KR101922837B1 - 어스 앵커 - Google Patents

어스 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2837B1
KR101922837B1 KR1020180036592A KR20180036592A KR101922837B1 KR 101922837 B1 KR101922837 B1 KR 101922837B1 KR 1020180036592 A KR1020180036592 A KR 1020180036592A KR 20180036592 A KR20180036592 A KR 20180036592A KR 101922837 B1 KR101922837 B1 KR 101922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unit
guide
head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6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석규
조용우
Original Assignee
조석규
조용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석규, 조용우 filed Critical 조석규
Priority to KR1020180036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28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2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2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02D5/808Ground anchors anchored by using exclusively a bon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05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제의 중량물인 제1헤드와 상기 제1헤드와 결합하며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는 제1수용부를 포함하는 제1부재; 상기 제1수용부에 수용되며 철제의 중량물인 제2헤드와 상기 제2헤드와 결합하며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는 제2수용부를 포함하는 제2부재; 상기 제2수용부에 수용되며 철제의 중량물인 제3헤드와 상기 제2헤드에 결합하며 인장재와 결합하는 인장재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3부재; 일단부는 상기 인장재 결합부에 결합하고 타단부는 지상에 마련되는 정착단에 고정되는 인장재; 상기 인장재의 타단을 고정하기 위한 정착수단; 상기 제2부재가 제1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이동은 허용하고 그 반대방향의 이동은 허용되지 않도록 하는 제1래칫 유닛; 및 제2래칫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부재 내지 상기 제3부재는 오염방지 가공수단을 통해 오염방지 가공된 것인 어스 앵커를 제공한다.
따라서, 작고 가벼우면서도 큰 인장력을 가할 수 있어, 시공비용을 줄이고 보관부터 시공 상에 이르기까지 최상의 상태의 어스 앵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어스 앵커{Earth anchor}
본 발명은 토목이나 건축 현장의 경사면의 안정화에 사용되거나 사면보강을 위해 사용되는 어스 앵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에 비하여 가볍고 크기가 작으면서도 인장재에 큰 인장력을 재하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되며, 보관부터 시공 상에 이르기까지 최상의 상태의 어스 앵커에 관한 것이다.
경사면 상에 보강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공법으로서, 경사면 상에 다수 개의 구멍을 천공한 다음 그 천공된 구멍으로 철봉이나 강봉을 삽입하고 상태에서, 각각의 천공구멍으로 콘크리트나 모르타르를 강제 주입시켜 경사면을 지지토록 한 어스앵커(Earth anchor) 공법이나, 천공된 구멍에 강봉(Steel bar)을 압입 시킨 다음 경사면을 따라 숏크리트(Shotcrete)를 타설하는 소일네일링(Soil-nailing) 공법이나 락볼트(Rock bolt) 공법 등이 알려져있다. 어스 앵커 구조물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반에 천공된 앵커공(1)에 삽입되는 인장재(2)와, 상기 앵커공(1)에 채움 되는 그라우트재(3)와 상기 인장재(2)를 상기 그라우트재 내에 정착시키기 위한 정착체(4)와, 상기 인장재(2)에 가해진 인장력을 지반에 전달하기 위한 지지체(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체(5)는 상기 인장재(2)를 지상에서 정착시키는 역할을 동시에 하는 것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공(1)의 외부에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앵커 구조물의 시공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반에 앵커공(1)을 천공하고,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천공된 앵커공(1)에 인장재(2)와 정착체(4)를 삽입한 후, 상기 인장재(2)를 지반에 고정하기 위하여 앵커공(1)의 일부를 그라우트재(3)로 매움 한다. 매움 하는 그라우트재(3)의 깊이는 시공현장에 따라 해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결정되며 일반적으로 앵커공(1) 깊이의 40 내지 50% 정도이다. 상기 그라우트재(3)가 매움 된 상태에서 일정기간이 지난 후 그라우트재(3)가 경화되면, 상기 앵커공(1)의 나머지부분을 그라우트재(3)로 채움하고, 지지체(5)를 시공한 후 나머지부분의 그라우트재(3)가 경화되기 전에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장치(7)를 이용하여 인장재(2)에 인장력을 가한 후 지지체(5)에 정착시킴으로써 도1에 도시된 어스앵커 구조물의 시공이 완료된다. 도 1 및 도 2a 내지 도 2c에 표시된 도면부호 6은 흑막이용 패널이다. 그런데 이러한 사면 안정의 목적 이외에도 장지간의 교량에 있어서 교대를 지지하거나 부력에 저항하기 위해서도 어스 앵커가 사용되는데 이런 경우에는 사면 안정에 사용되는 앵커에 비하여 매우 큰 인장력이 도입된다. 이러한 어스 앵커의 시공에 있어서 앵커에 도입되는 하중은 많은 것을 결정하게된다. 앵커에 도입되는 하중이 커지는 경우 인장재(2)의 수가 늘어나게 되고 정착제(4)의 크기 역시 커지게 되며 이에 따라 앵커공(1)의 직경 또한 커지게 된다. 다시 말해 인장재(2)에 도입되는 하중의 크기가 커질수록 앵커공(1)의 직경이 커지게 된다는 것을 의미하게 되는 것이다. 어스 앵커에 가해질 수 있는 인장력의 크기는 정착체(4)의 단면적과 길이의 함수이다. 단면적과 길이가 클수록가해지는 인장력도 커지게 된다. 통상적으로 사면안정을 위하여 시공되는 앵커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인장력의 크기는 40ton 정도인데 이 정도의 인장력을 도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정착체(4)의 직경은 약 10cm 정도이다. 그런데 장지간 교량에서 교대를 지지하는 목적이나 부력방지앵커의 경우 100ton이상의 인장력을 가하게 되며 이때에는 40cm 이상의 직경을 가지는 정착체(4)를 사용하며 그 정착길이도 6m에 달하게 된다.이러한 정착체(4)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50 내지 80 ton을 지지할 수 있는 크레인을 사용하게 되며, 크레인을 사용하더라도 앵커공이 경사진 경우가 많아 중력에 의하여 정착체(4)를 앵커공에 삽입하더라도 사람이 적절한 작업을 하는 것이 필요한데 작업과정에서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는 등의 문제가 있으며, 이에 따라 보다 작고 가벼우면서도 큰 인장력을 가할 수 있는 어스 앵커에 대한 요구가 커지는 상황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7622호
본 발명은, 종래에 비하여 가볍고 크기가 작으면서도 인장재에 큰 인장력을 재하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되며, 보관부터 시공 상에 이르기까지 최상의 상태의 어스 앵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철제의 중량물인 제1헤드와 상기 제1헤드와 결합하며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는 제1수용부를 포함하는 제1부재; 상기 제1수용부에 수용되며 철제의 중량물인 제2헤드와 상기 제2헤드와 결합하며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는 제2수용부를 포함하는 제2부재; 상기 제2수용부에 수용되며 철제의 중량물인 제3헤드와 상기 제2헤드에 결합하며 인장재와 결합하는 인장재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3부재; 일단부는 상기 인장재 결합부에 결합하고 타단부는 지상에 마련되는 정착단에 고정되는 인장재; 상기 인장재의 타단을 고정하기 위한 정착수단; 상기 제2부재가 제1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이동은 허용하고 그 반대방향의 이동은 허용되지 않도록 하는 제1래칫 유닛; 및 제2래칫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부재 내지 상기 제3부재는 오염방지 가공수단을 통해 오염방지 가공된 것인 어스 앵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어스 앵커에 의하면 작고 가벼우면서도 큰 인장력을 가할 수 있어, 시공비용을 줄이고 안전 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어스 앵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어스앵커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에 도시된 어스앵커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어스 앵커의 제1부재, 제2부재 및 제3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어스 앵커의 정착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어스 앵커를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방지 가공수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염방지 가공수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방지 가공처리 하기 위한 제2 오염방지 가공수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염방지 가공처리 하기 위한 제2 오염방지 가공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제2 오염방지 가공수단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오염방지 가공수단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어스 앵커의 제1부재, 제2부재 및 제3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어스 앵커의 정착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어스 앵커를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지반 안정을 위하여 사용되는 어스 앵커에 관한 것으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재(10), 제2부재(20), 제3부재(30), 인장재(40), 정착수단(50), 제1래칫 유닛(60) 및 제2래칫 유닛(7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부재(10)는 제1헤드(11)와 제1수용부(12)를 포함한다. 상기 제1헤드(11)는 철제의 중량물로서 반구(111)와 원뿔대(12)를 결합한 형상이다. 상기 제1수용부(12)는 상기 제1헤드(11)에 결합하며, 내부에 빈 공간(121)을 가진다. 제1수용부(1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헤드(11)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단면이 작아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헤드(11)와 제1수용부(12)는 용접 등의 방식에 의해 결합하게 되는데 제2부재(20)의 제2헤드(21)를 제1수용부(12)에 먼저 삽입하고 그 후에 제1헤드(11)와 제1수용부(12)를 결합하는 작업을 한다.
상기 제2부재(20)는 제2헤드(21)와 제2수용부(22)로 구성된다. 상기 제2헤드(21)는 철제의 중량물로서 상기 제1헤드(11)와 마찬가지로 반구(211)와 원뿔대(212)가 결합한 형상이다. 상기 제2수용부(22)는 상기 제2헤드(21)에 결합하며 그 내부에 빈 공간(221)을 가진다. 제2수용부(22) 역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헤드(21)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단면이 작아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헤드(21)와 제2수용부(22)도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하는데 제3부재(30)의 제3헤드(31)를 제2수용부(22)에 수용시킨 상태에서 제2헤드(21)와 제2수용부(22)를 서로 결합한다.
상기 제3부재(30)는 제3헤드(31)와 인장재 결합부(32)로 구성된다. 상기 제3헤드(31)는 제1헤드(11)나 제2헤드(21)와 마찬가지로 반구와 원뿔대를 결합한 형상이다. (제3헤드(31)에는 반구와 원뿔대에 별도의 도면부호를 표시하지 않았으나 도면에서 그 형상을 확인할 수 있다) 제1부재(10), 제2부재(20) 및 제3부재(30) 형상은 재료를 최소한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장재에 가해질 수 있는 인장력의 크기는 헤드 단면의 함수인데, 본 실시예와 같은 형상을 취하는 경우 단면적은 키우면서도 반구로부터 멀어질수록 단면이 작이지는 형상을 취함으로써 재료의 사용을 줄일 수 있으며 이는 제조단가를 줄이게 되어 경제적 시공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상기 인장재(40)는 일단부가 상기 인장재 결합부(32)에 결합하고 타단부가 지상에 마련되는 정착수단(50)에 고정되는 구성으로서, 그라우팅(80: 도 5참조)이 굳은 후에 인장력을 가할 수 있도록 커버(41)가 인장재(40)를 감싸도록 구성되어 있다. 인장재(40)로는 강연선이 가장 흔히 사용되는데 강봉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정착수단(50)은 상기 인장재(40)에 인장력을 가한 상태로 인장재(40)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압판(51)과 앵커 헤드(52)로 구성되며, 지압판(51)과 엥커 헤드(52)는 볼트(53)에 의해 서로 결합한다. 본 실시예의 정착수단(50)은 지압판(51)과 앵커 헤드(52)가 볼트(53)로 결합되는 점에서 종래의 정착수단과 차이가 있다. 종래의 정착수단은 지압판(51)과 앵커 헤드(52)가 결합하지 않았다. 이로 인하여 앵커 헤드(52)가 지압판(51) 위에서 움직임으로 인해 정착 작업에 어려움이 생기기도 하고 안전 사고가 발생하기도 하였는데 본 실시예의 정착수단(50)을 사용하는 경우 이러한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1래칫 유닛(60)은 상기 제1부재(10)와 제2부재(20) 사이에 마련되어 제2부재(20)가 제1부재(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은 허용하고 그 반대의 움직임은 차단하는 구성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재(10)에 형성된 제1돌기(61)와 제2부재(20)에 형성된 제1홈(6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돌기(61)는 도 3의 작은 동그라미 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상기 제1부재(10)의 제1수용부(12)에 힌지 결합한다. 상기 제1수용부(12)에는 제1돌기 수용부(612)가 마련되어 있고, 제1돌기 수용부(612)에는 상기 제1돌기(61)를 제1돌기 수용부(612)로부터 외부로 나가는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제1스프링(612)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2부재(20)가 제1부재(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일 때에는 제1돌기(61)가 제1스프링(612)를 밀면서 제1돌기 수용부(612)로 들어갔다가 제1홈(62)에 걸리게 되며, 그 반대 방향으로 움직일 때에는 제1돌기(61)를 제1돌기 수용부(612)로 들어가는 방향으로 밀 수가 없어서 그 움직임이 제한된다. 상기 제2래칫 유닛(70)은 상기 제2부재(20)와 제3부재(30) 사이에 마련되어 제3부재(30)가 제2부재(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은 허용하고 그 반대의 움직임은 차단하는 구성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부재(20)에 형성된 제2돌기(71)와 제3부재(30)에 형성된 제2홈(7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돌기(71)는 도 3의 작은 동그라미 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상기 제2부재(20)의 제2수용부(22)에 힌지 결합한다. 상기 제2수용부(22)에는 제2돌기 수용부(712)가 마련되어 있고, 제2돌기 수용부(712)에는 상기 제2돌기(71)를 제2돌기 수용부(712)로부터 외부로 나가는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제2스프링(712)이 마련되어 있다.
제2래칫 유닛(70)의 메커니즘은 제1래칫 유닛(60)의 메커니즘과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채용된 상기 제1래칫 유닛(60)과 제2래칫 유닛(70)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일방향 이동은 허용하고 반대방향의 이동은 제한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떤 구성이라도 채용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구성의 어스 앵커를 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며 이 과정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어스앵커의 기능,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부재(10), 제2부재(20) 및 제3부재(30)의 조립체(이하 "앵커 본체"라 함)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근접해 있는 상태로 제조되며, 이러한 상태가 유지된 상태에서 앵커공에 매립된다. 이러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앵커 본체의 길이를 짧게 함으로써 운반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생긴다. 앵커 본체가 앵커 공에 매립되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 본체를 감쌀 정도의 깊이까지 그라우팅(80)을 하게된다. 그라우팅으로는 시멘트 밀크나 시멘트 모르타르를 사용할 수 있다. 그라우팅(80)이 어느 정도 굳으면, 인장재에 인장력을 가하게 되며 이 인장력에 의해서 그라우팅(80)이 깨지면서 앵커 본체가 도 5의 (b)에 있는 상태로 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앵커공 전체에 그라우팅(80)을 채우게 되면, 제1수용부(12)의 빈공간(121)과 제2수용부(22)의 빈공간(221)에도 그라우팅이 가득 차게 된다. 그라우팅(80)이 빈공간(121,221)을 채우게 됨으로써 앵커 헤드와 그라우팅(80) 사이의 전단이 커지게 되며 이로 인하여 인장재(40)에 더욱 큰 인장력을 가할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된다. 이처럼 앵커 본체에 힘을 가하여 도 5의 (b)에 도시된 상태로 만들고 앵커공 전체에 그라우팅(80)을 채운 후 그라우팅(80)이 완전히 굳으면 인장재(40)에 인장력을 가하고 정착 수단(50)에 정착시킴으로써 어스 앵커의 시공이 완료된다. 본 실시예에 의할 경우 제1본체(10), 제2본체(20) 및 제3본체(30)의 형상으로 인하여 종래에 비하여 인장재(40)에 보다 큰 인장력을 재하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보다 적은 재료의 사용으로 인하여 제작 단가를 줄일 수 있다. 적은 재료를 사용했다는 것은 보다 가볍다는 의미이며 이는 곧 용이한 시공을 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종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가벼운 중량을 들어올릴 수 있는 크레인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공사비의 절감을 기대 할 수 있게 된다는 의미도 된다.
도 6 내지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방지 가공수단를 도시한 도면이다. 오염방지 가공수단은, 가공대상물(즉, 전술한 구성들 중 적어도 앵커헤드(52), 볼트(53), 지압판(51), 제3부재(20), 제1부재(10), 제1헤드(11), 반구(111) 등에 해당함.)에 인접하게 설치된 하나 이상의 분사유닛(110)과, 분사유닛(110)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유닛(121, 122)과, 상기 지지유닛(121, 122)을 가공대상물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유닛(130)을 포함한다. 분사유닛(110)은 경사지게 설치된 가공대상물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분사유닛(110)에는 오염방지 코팅물질이 저장된 저장탱크(113)가 연결되며, 저장탱크(113)의 오염방지 코팅물질이 공급펌프(114)의 펌핑에 의해 분사유닛(110)으로 공급된다. 이에, 분사유닛(110)은 저장탱크(113)로부터 공급된 오염방지 코팅물질을 가공대상물의 표면에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분사유닛(110)의 일측에는 간격감지센서(115)가 설치되어 분사유닛(110)과 가공대상물 사이의 간격을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미도시)로 전송함으로써 분사유닛(110)과 가공대상물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지지유닛(121, 122)은 분사유닛(110)을 지지함과 더불어, 분사유닛(110)을 상하방향으로 가이드하도록 구성된다. 지지유닛(121, 122)은 가공대상물의 표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가이드부(125)와, 가이드부(125)의 하단에 형성된 피벗부(126)와, 이 피벗부(126)에서 외측방향으로 가이드부(125)에 대해 일정각도로 교차되게 연장된 연장부(127)를 가진다. 가이드부(125)의 일면(즉, 가공대상물의 표면과 마주보는 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125a)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레일(125a)에는 가이드블록(111)이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되도록 설치되며, 가이드블록(111)에는 분사유닛(110)이 장착됨에 따라 분사유닛(110)은 가이드부(125)를 따라 가공대상물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피벗부(126)는 후술하는 가이드유닛(130)의 수직폴대(131)의 상단에 피벗가능하게 설치되고, 이에 가이드부(125)는 가공대상물의 경사각에 대응하여 용이하게 그 경사각이 조절될 수 있다. 연장부(127)는 피벗부(126)에서 외측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고, 연장부(127)는 가이드부(125)에 대해 일정각도로 교차하게 연장된다.
그리고, 연장부(127)의 단부에는 중심추(128, weight)가 설치되고, 이러한 중심추(128)에 의해 지지유닛(121, 122)은 그 무게 중심이 균형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125)에는 하나 이상의 처짐방지용 와이어(123)가 연결되고, 이러한 처짐방지용 와이어(123)에 의해 가이드부(125)가 가공대상물의 표면을 향해 처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처짐방지용 와이어(123)의 일단부는 가이드부(125)에 고정되고, 처짐방지용 와이어(123)의 타단부는 지지체(124)의 지지롤러(124a)에 조절가능하게 설치된다. 지지체(124)는 연장부(127)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지지롤러(124a)는 지지체(124)의 도중에 설치된다.지지유닛(121, 122)은 가공대상물의 중심선(CL)을 기준으로 상부공간(TA) 및 하부공간(LA)으로 구획하여 각 분사유닛(110)이 오염방지 코팅물질을 독립적으로 분사하도록 2개의 지지유닛(121, 122)으로 구성된다. 제1지지유닛(121)은 가공대상물의 상부공간(TA)에만 오염방지 코팅물질을 분사하도록 분사유닛(110)이 가이드부(125)의 상부 일정구간에서만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제2지지유닛(122)은 가공대상물의 하부공간(LA)에만 오염방지 코팅물질을 분사하도록 분사유닛(110)이 가이드부(125)의 하부 일정구간에서만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지지유닛(121, 122)이 가공대상물의 표면에 대해 상부공간(TA)과 하부공간(LA)으로 구획하여 독립적으로 오염방지 코팅물질을 분사함으로써 가공대상물의 표면에 대한 코팅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염방지 코팅물질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가이드유닛(130)은 지지유닛(121, 122)의 피벗부(126)가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수직폴대(131)와, 수직폴대(131)가 높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홀더(132)와, 홀더(132)를 가공대상물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133)를 포함한다. 수직폴대(131)의 상단에는 피벗연결부(134)가 형성되고, 이 피벗연결부(134)에는 지지유닛(120)의 피벗부(126)가 피벗축(135)을 매개로 피벗가능하게 설치되며, 수직폴대(131)는 홀더(132)에 높이조절가능하게 설치된다. 지지유닛(121, 122)의 피벗부(126)와 수직폴대(131)의 피벗연결부(134)에는 복수의 통공(126a, 634a)들이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고, 피벗축(135)을 중심으로 피벗부(126)가 일정 각도로 피벗팅한 이후에 다울핀(136)이 피벗부(126) 및 피벗연결부(134)의 서로 맞춰진 통공(126a, 634a)들에 끼워짐으로써 지지유닛(121, 122)의 회전된 위치가 고정되고, 이에 지지유닛(121, 122)의 가이드부(125)는 가공대상물의 경사각에 대응하여 그 경사각이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홀더(132)는 상단이 개방된 중공부를 가진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고, 홀더(132)의 중공부에는 수직폴대(131)가 높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며, 홀더(132)의 하단에는 가이드블럭(132b)이 마련된다. 수직폴대(131)와 홀더(132)에는 복수의 통공(131a, 632a)이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고, 수직폴대(131)가 홀더(132)의 중공부에 높이가 적절히 조절되어 삽입된 이후에 다월핀(1dowel pin, 38)이 수직폴대(131) 및 홀더(132)의 서로 맞춰진 통공(131a, 132a)들에 끼워짐으로써 수직폴대(131)는 홀더(132)에 높이조절가능하게 설치된다. 가이드레일(133)은 가공대상물이 설치된 바닥에 설치되고, 가공대상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된다. 가이드레일(133)에는 홀더(132)의 가이드돌기(132b)가 가이드됨에 따라 수직폴대(131), 홀더(132) 및 지지유닛(121, 122)은 가공대상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특히, 회전스크류(미도시)가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가이드블럭(132b)이 가이드레일(133)을 따라 이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에 의해 홀더(132), 수직폴대(131), 지지유닛(121, 122)은 길이방향 이송속도가 매우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가이드유닛(130)의 수직폴대(131) 및 홀더(132)가 가이드레일(133)을 통해 가공대상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됨에 따라 지지유닛(121, 122)들을 개별적으로 가공대상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고, 이와 더불어 지지유닛(121, 122)에서 각 분사유닛(110)을 개별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각 분사유닛(110)은 가공대상물의 표면에 오염방지 코팅물질을 길이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매우 신속하고 균일하게 분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구성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전술한 오염방지 가공수단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오염방지 가공수단은, 분사유닛(110)과, 상기 분사유닛(110)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유닛(121, 122)과, 상기 지지유닛(121, 122)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유닛(130)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유닛(121, 122)은 소정의 가이드부(125)와, 상기 가이드부(125)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유닛(130)에 대해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피벗부(126)와, 상기 피벗부(126)에서 외측방향으로 가이드부(125)에 대해 일정각도로 교차되게 연장된 연장부(127)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유닛(130)은 상기 지지유닛(121, 122)의 피벗부(126)가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수직폴대(131)와, 상기 수직폴대(131)가 높이조절가능 하게 설치되는 홀더(132)와, 상기 홀더(132)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133)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폴대(131)의 상단에는 피벗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피벗연결부에는 상기 지지유닛(121, 122)의 피벗부(126)가 피벗축을 매개로 피벗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홀더(132)의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레일(133)을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블럭(132b)이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부(125)는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가이드부(125a)와, 상기 하부가이드부(125a)으로 부터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식의 동작 및 진퇴 동작을 수행하는 상부가이드부(125b)로 구비된다. 상기 분사유닛(110)은 상기 하부가이드부(125a) 상에 구비되는 하부분사유닛(110a)과, 상기 상부가이드부(125b) 상에 구비되는 상부분사유닛(110b)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가이드부(125)는 상호 간에 틸팅 가능한 복수의 마디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가이드부(125b) 상의 상기 상부분사유닛(110b) 둘레부 적어도 일부 상에는 분사제어모듈(140)이 구비되어 상기 상부분사유닛(110b)의 코팅물질 분사범위 및 분사 용량을 제어한다.
상기 분사제어모듈은(140), 상기 하부가이드부(125a)의 길이방향 상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왕복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 분사제어모듈(141)과, 상기 하부가이드부(125a)의 길이방향 단부 상에서 틸트 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 분사제어모듈(142) 구비되며, 상기 제1 분사제어모듈(141)은 내측면 상에 진퇴형 제1 실린더모듈(S1), 상기 제1 실린더모듈(S1)과 이웃하는 진퇴형 제2 실린더모듈(S2), 상기 제1 실린더모듈(S1)로부터 출몰되는 제1 피스톤모듈(1P1), 상기 제2 실린더모듈(S2)로부터 출몰되는 제2 피스톤모듈(1P2)이 구비된다. 상기 제2 분사제어모듈(142)은 내측면 상에 진퇴형 제3 실린더모듈(S3), 상기 제3 실린더모듈(S3)과 이웃하는 진퇴형 제4 실린더모듈(S4), 상기 제3 실린더모듈(S3)로부터 출몰되는 제3 피스톤모듈(1P3), 상기 제4 실린더모듈(S4)로부터 출몰되는 제4 피스톤모듈(1P4)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실린더모듈(S1)은 상기 제3 실린더모듈(S3)은 상호간에 대향하며, 상기 제2 실린더모듈(S2)과 상기 제4 실린더모듈(S4)은 상호간에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피스톤모듈(1P1) 내지 상기 제4 피스톤모듈(1P4)은 상호간에 출몰 거리 설정을 통해 상기 상부분사유닛(110b)의 코팅물질 분사범위 및 분사용량을 제어한다.
상기 제1, 2 실린더모듈(S1, S2)은 상기 제1 분사제어모듈(141)의 단부 길이방향 상에서 소정 범위로 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3, 4 실린더모듈(S3, S4)은 상기 제2 분사제어모듈(142)의 단부 길이방향 상에서 소정 범위로 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분사제어모듈(141)의 단부 상에는 제1 집게형 파지부(CL1)가 구비되며 상기 제2 분사제어모듈(142)의 단부 상에는 제2 집게형 파지부(CL2)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125)는 상기 제1 집게형 파지부(CL1)와 상기 제2 집게형 파지부(CL2)를 통해 오염방지 처리를 위한 상기 대상물을 파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오염방지 가공수단은 소정의 제1 유동모듈(150a) 상에 위치되고, 가공 대상물인 상기 대상물은 소정의 제2 유동모듈(150b)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1 유동모듈(150a)은 , 최하단 제1-1 유동부(150a1)와, 상기 제1-1 유동부(150a1)의 상단에 위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는 제1-2 유동부(150a2)와, 상기 제1-2 유동부(150a2)의 상단에 위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는 제1-3 유동부(150a3)가 구비되며, 상기 제1-1 유동부(150a1)는 하방에 소정의 제1 마감패널(150a11)이 구비되며, 상기 제1-3 유동부(150a3)는 상방에 상기 오염방지 가공수단이 거치되는 제1 거치패널(150a31)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유동모듈(150b)은, 최하단 제2-1 유동부(150b1)와, 상기 제2-1 유동부(150b1)의 상단에 위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는 제2-2 유동부(150b2)와, 상기 제2-2 유동부(150b2)의 상단에 위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는 제2-3 유동부(150b3)가 구비되며, 상기 제2-1 유동부(150b1)는 하방에 소정의 제2 마감패널(150b11)이 구비되며, 상기 제2-3 유동부(150b3)는 상방에 상기 가공 대상물이 거치되는 제2 거치패널(150b31)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유동모듈(150a)과 상기 제2 유동모듈(150b) 사이에는 완충모듈(160)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유동모듈(150a)과 상기 제2 유동모듈(150b)은 상호 간에 이격 방향 또는 충돌 방향을 향해 유동됨에 있어, 상기 완충모듈(160)과 의 접촉을 매개로 상호 가속유동되거나 완충 유동된다.
상기 제1-1 유동부(150a1)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150a3)의 상기 완충모듈(160)을 향하는 내측 단부 상에는 제1 자성수단(M1)이 구비되고, 상기 제2-1 유동부(150b1)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150b3)의 상기 완충모듈(160)을 향하는 내측 단부 상에는 제2 자성수단(M2)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자성수단(M1)과 대향하는 상기 완충모듈(160)의 일측에는 제3 자성수단(M3)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자성수단(M2)과 대향하는 상기 완충모듈(160)의 타측에는 제4 자성수단(M4)이 구비되며, 상기 제1-1 유동부(150a1)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150a3)가 상기 완충모듈(160)을 향하는 제1 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 상기 제1 자성수단(M1)과 상기 제3 자성수단(M3)은 상호 간에 상이한 극성을 띠도록 설정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시키고, 상기 제1-1 유동부(150a1)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150a3)가 상기 완충모듈(160)의 반대측을 향하는 제2 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 상기 제1 자성수단(M1)과 상기 제3 자성수단(M3)은 상호 간에 동일한 극성을 띠도록 설정되어,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시킨다.
상기 제2-1 유동부(150b1)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150b3)가 상기 완충모듈(160)을 향하는 제3 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 상기 제2 자성수단(M2)과 상기 제4 자성수단(M4)은 상호 간에 상이한 극성을 띠도록 설정되어, 상기 제3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시키고, 상기 제2-1 유동부(150b1)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150b3)가 상기 완충모듈(160)의 반대측을 향하는 제4 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 상기 제2 자성수단(M2)과 상기 제4 자성수단(M4)은 상호 간에 동일한 극성을 띠도록 설정되어, 상기 제4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시킨다. 상기 완충모듈(160)은 상기 제3 자성수단(M3)과 상기 제4 자성수단(M4) 사이에 탄성수단(C)이 구비되어, 상기 제3 자성수단(M3)과 상기 제4 자성수단(M4)을 통해 가해지는 외력에 대응하는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며, 상기 완충모듈(160)은, 상기 제1-1 유동부(150a1)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150a3)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3 자성수단(M3)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과, 상기 제2-1 유동부(150b1)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150b3)의 상기 제3 방향으로의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4 자성수단(M4)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며, 상기 제1-1 유동부(150a1)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150a3)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화시키며,에 기반하여 상기 제3 자성수단(M3)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과, 상기 제2-1 유동부(150b1)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150b3)의 상기 제3 방향으로의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4 자성수단(M4)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킨다. 상기 제1-1 유동부(150a1)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150a3)의 상기 제3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3 자성수단(M3)에 대하여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제2-1 유동부(150b1)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150b3)의 상기 제4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4 자성수단(M4)에 대하여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완충모듈(160)을 향하는 상기 제1 거치패널(150a31)의 단부에는 제1-1 돌기부(150a31T)가 구비되고, 상기 완충모듈(160)을 향하는 상기 제1 마감패널(150a11)의 단부에는 제1-2 돌기부(150a11T)가 구비되며, 상기 완충모듈(160)을 향하는 상기 제2 거치패널(150b31)의 단부에는 제2-1 돌기부(150b31T)가 구비되고, 상기 완충모듈(160)을 향하는 상기 제2 마감패널(150b11)의 단부에는 제2-2 돌기부(150b11T)가 구비되며, 상기 완충모듈(160)은, 상기 제3 자성수단(M3) 및 상기 제4 자성수단(M4)의 상방에는 일측으로 상기 제1-1 돌기부(150a31T)를 가고정 시키고, 타측으로 상기 제1-2 돌기부(150a11T)를 가고정 시키기 위한 제1 고정수단(161)이 구비되고, 상기 제3 자성수단(M3) 및 상기 제4 자성수단(M4)의 하방에는 일측으로 상기 제2-1 돌기부(150b31T)를 가고정 시키고, 타측으로 상기 제2-2 돌기부(150b11T)를 가고정 시키기 위한 제2 고정수단(162)이 구비된다.
상기 제1 고정수단(161)은 상기 제1-3 유동부(150a3)가 상기 제1 방향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1-1 돌기부(150a31T)를 가고정하고, 상기 제1 고정수단(161)은 상기 제2-3 유동부(150b3)가 상기 제3 방향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2-1 돌기부(150b31T)를 가고정하며, 상기 제2 고정수단(162)은 상기 제1-1 유동부(150a1)가 상기 제1 방향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1-2 돌기부(150a11T)를 가고정하고, 상기 제2 고정수단(162)은 상기 제2-1 유동부(150b1)가 상기 제3 방향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2-2 돌기부(150b11T)를 가고정하며, 상기 제1 고정수단(161)은 상기 제1-1 유동부(150a1)를 상기 제2 방향 유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1 돌기부(150a31T)의 가고정을 해제하고, 상기 제1 고정수단(161)은 상기 제2-1 유동부(150b1)의 상기 제4 방향 유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1 돌기부(150b31T)의 가고정을 해제하며, 상기 제2 고정수단(162)은 상기 제1-2 유동부(150a2)의 상기 제2 방향 유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2 돌기부(150a11T)의 가고정을 해제하고, 상기 제2 고정수단(162)은 상기 제2-2 유동부(150b2)의 상기 제4 방향 유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2 돌기부(150b11T)의 가고정을 해제하면, 상기 제1-3 유동부(150a3) 및 상기 제1-1 유동부(150a1)는 상기 완충모듈(160)의 탄성복원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방향으로 가속화되어 유동된다. 상기 제2-3 유동부(150b3) 및 상기 제2-1 유동부(150b1)는 상기 완충모듈(160)의 탄성복원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4 방향으로 가속화되어 유동되며, 상기 가고정은 강제끼움, 자성결합, 공압식 가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에 기반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유동모듈(150a)의 하부에는 제1 운송모듈(170)이 구비되어, 상기 제1 유동모듈(150a)을 일정범위 내에서 유동시키고, 상기 제2 유동모듈(150b)의 하부에는 제2 운송모듈(180)이 구비되어, 상기 제1 유동모듈(150a)을 일정범위 내에서 유동시키며, 상기 제1 운송모듈(170)은, 제1-1 베이스부(171)와, 상기 제1-1 베이스부(171)상에서 일정하게 유동되는 제1-2 베이스부(172)와, 상기 제1-2 베이스부(172)와 상기 제1 유동모듈(150a)의 상기 제1-1 유동부(150a1)를 결속시켜 상기 제1 유동모듈(150a)과 상기 제1 운송모듈(170)을 상호 연동시키기 위한 제1 연동부(173)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운송모듈(180)은, 제2-1 베이스부(181)와, 상기 제2-1 베이스부(181)상에서 일정하게 유동되는 제2-2 베이스부(182)와, 상기 제2-2 베이스부(182)와 상기 제2 유동모듈(150b)의 상기 제2-1 유동부(150b1)를 결속시켜 상기 제2 유동모듈(150b)과 상기 제2 운송모듈(180)을 상호 연동시키기 위한 제2 연동부(183)가 구비된다.
상기 제1-1 베이스부(171)는 상기 제2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을 향할수록 점차 저감되는 경사각을 가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2 베이스부(172)는 상기 제1-1 베이스부(171)와 대응하여 형합되는 형상으로서, 상기 제1-1 베이스부(171)로부터 상기 제2 방향 과 상기 제1 방향 간에 진퇴 유동되며, 상기 제2-1 베이스부(181)는 상기 제4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3 방향을 향할수록 점차 저감되는 경사각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2 베이스부(182)는 상기 제2-1 베이스부(181)와 대응하여 형합되는 형상으로서, 상기 제2-1 베이스부(181)로부터 상기 제4 방향 과 상기 제3 방향 간에 진퇴 유동된다. 상기 제2 거치패널(150b31) 상에는 상기 가공 대상물을 거치하기 위한 거치모듈(190)이 구비되며 상기 가공 대상물은 상기 거치모듈(190) 상에 거치되며, 상기 거치모듈(190)은, 상기 제2 거치패널(150b31) 상에 구비되는 패널부(191)와, 상기 패널부(191) 상에 연직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2 거치패널(150b31)의 길이방향 및 높이 방항으로 각기 유동 가능한 적어도 한 쌍의 기둥부(192)가 구비되며, 상기 기둥부(192)의 내측면 높이방향 상에는 고정돌기(192a)가 다수로 형성되어 상기 가공 대상물을 가고정 시킨다.
도 13 내지 도 1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방지 가공처리 하기 위한 제2 오염방지 가공수단를 도시한 도면이다. 오염방지 가공처리 하기 위한오염방지 가공수단는 컨베이어(200)상에서 이송되는 전술한 대상물피코팅물의 일정높이에 고정된 고정부(215)에 축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215)에배치되는 회전수단(220)에 의해 회전되는 센터 사프트(225)와, 상기 센터 사프트(225)의 상부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상방 수평보(230)와, 상기 상방 수평보(230)의 양측에 교차하게 수직으로 배치되는 사이드 수직바(240)와, 상기 상방 수평보(230)에 미끄럼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240)가 수직으로 미끄럼 결합되며, 상기 상방 수평보(230)에 고정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240)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고정수단(242)을 구비한 이동블럭(245)과, 상기 상방 수평보(230)의 양측하부에서상기 사이드 수직바(240)에 미끄럼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240)에 고정되기 위한 제2 고정수단(247)을 구비하며, 상기 대상물에 도포되는 도포액를 공급받아 분사부(252)에 의해 대상물에 분사하는 스프레이건(250) 및 상기 스프레이건(250)에 가압된 공기를 제공하여 도포액를 상기 대상물에 분사시키는 공압펌프(2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센터 사프트(225)가 회전수단(220)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센터 사프트(225)에 고정된 상방 수평보(230)가 회전되고, 상방 수평보(230)의 양측에서 사이드 수직바(240)의 하부에 결합된 스프레이건(250)도 회전되는데, 스프레이건(250)의 회전에 의해 스프레이건(250)의 하방에서 연속적으로 이동되는 상기 대상물의 모든 면에 코팅재가 분사부(252)에서 미세하게 분사되어 고른 두께로 도포되고, 코팅재의 도포시간도 단축된다. 그리고, 상방 수평보(230)와 상기 사이드 수직바(240)에는 상기 스프레이건(250)의 수평위치 및 수직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눈금이 형성되는데, 작업자가 각 도포물에 따라 얻어진 도포액의 분사거리를 테이블화 하고, 이에 맞게 스프레이건(250)의 수평위치를 상방 수평보(230)에서 조절하고, 사이드 수직바(240)에서 수직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도포물에 맞게 미세하게 도포액을 분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고정수단(242)은 이동블럭(245)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상방 수평부에 이동블럭(245)을 고정시키는 수직나사 및 이동블럭(245)에 수평으로 결합되어 사이드 수직바(240)를 이동블럭(245)에 고정시키는 수평나사이 다. 또한, 제2 고정수단(247)은 스프레이건(250)을 사이드 수직바(240)의 하부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스프레이건(250)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회전을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어야 하는데, 사이드 수직바(240)에 스프레이건(250)을 축 결합하여 연결하는 축바가 형성되고 외주부에 원주방향으로 홀이 형성된 연결판과 연결판의 홀을 통해 스프레이건(250)에 끼워짐으로써, 스프레이건(250)의 분사각을 고정하는 핀 등으로 구성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215)의 일측에는 도포액를 공급하는 도포액 공급부(265) 및 상기 공압탱크(260)가 고정되고, 상기 센터 사프트(225)의 하부에는 상기 도포액 공급부(265)와 관(267)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스프레이건(250)에 관(267)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프레이건(250)으로 도포액의 공급을 차단하는 도포액 개폐밸브(270)를 구비한 도포액 연결부(275)가 구비되고, 상기 도포액 연결부(275)의 하부에는 상기 공압탱크(260)와 상기 스프레이건(250)에 관(267)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스프레이건으로 가압공기의 공급을 차단하는 가압공기 차단밸브(276)를 구비한 공압 연결부(277)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센터 사프트(225)에는 모터(286)나 실린더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블럭(245)을 수평으로 이동시킬 수있는 수평이동수단(280)이 구비되는데, 모터(286)에 의해 이동블럭(245)을 이동시키는경우, 모터(286)는 센터 사프트(225)에 상방 수평보(230)를 고정시키는 센터블럭(226)의 일면에 한 쌍이 고정되고, 모터(286)에는 스크류 환봉(287)에 연결되며, 스크류 환봉(287)은 이동블럭(245)의 저면부에 결합되는 암스크류(288)에 연결되고, 모터(286)의 구동에 의해 이동블럭(245)은 상방 수평보(230)에서 미끄럼이동된다. 이때, 이동블럭(245)의 이동거리는 모터(286)에 결합된 엔코더에 의해 모터(286)의 축 회전수와 모터(286)의 일회전에 의해 스크류 환봉(287)에서 이동되는 암스크류(288)의 이동거리에 의해 계산할 수 있다. 한편, 모터(286)는 제어부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의해 일정각도로 회전되고, 모터(286) 축의 브레이크 기능이 있는 스텝모터(286)를 사용함으로써, 제어부의 의한 모터제어가 간단해질 수 있으며, 브레이크 기능에 모터(286)축을 홀딩하여 이동블럭(245)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블럭(245)은 모터(286)를 제어하는 제어부에 이동블럭(245)의 이동거리를 설정하고, 제어부에 의해 이동거리에 맞는 회전수로 모터(286)가 회전됨으로써 상방 수평보(230)에서 이동되는데, 이동블럭(245)의 이동 거리는 대상물에 대응하스프레이건(250)의 위치에 맞게 제어부에서 미리 설정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이동블럭(245)에는 사이드 수직바(240)를 수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290)이 구비되는데, 높이조절수단(290)도 수평이동수단(280)과 마찬가지로 모터(286)와 스크류 조합, 또는 공압 실린더의 사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는, 높이조절수단(290)은 모터(296)가 이동블럭(245)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스크류 환봉(297)이 이동블럭(245)에 축 결합되며, 모터(286)와 스크류 환봉(297)이 피니언 기어(299)로 연결되고, 스크류 환봉(297)이 스프레이건(250)에 고정된 암스크류(298)로 연결되며, 이동블럭(245)에 미끄럼 결합된 사이드 수직바(240)가 모터(296)의 구동에 의해 이동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는데, 이동블럭(245)의 이동방식과 같은 방식으로 이동거리가 계산되고, 제어부에 의해 모터(296)의 회전수가 제어됨으로써 사이드 수직바(240)는 대상물에 맞는 스프레이건(250)의 위치에 맞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레이건(250)의 분사부(252)은 스프레이건(250)의 단부에서 상기 대상물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센터사프트(225)의 회전에 의해 스프레이건(250)이 회전되는 경우, 코팅재가 상기 대상물을 향해 하방으로 고르게 분사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염방지 가공처리 하기 위한 제2 오염방지 가공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컨베이어(200)는 하부에 소정의 지지대(210a)가 다수 구비되며, 상기 지지대(210a)는 하단부가 소정의 체결모듈(1000)에 수용되어 결합된다. 상기 지지대(210a)는, 하방을 향하는 기둥부(210a1)와, 상기 기둥부(210a1)의 상방 제1 영역(L1)과 하방 제2 영역(L2) 사이의 측면부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연장부(210a2)가 구비된다. 도 18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제2 오염방지 가공수단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스프레이건(250)의 전단부 상에는 소정의 분사부(252)와, 상기 분사부(252)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며 일정범위로 틸트 유동되는 벽체 또는 바 형상인 하나 이상의 가변부(291)가 구비되어 상기 분사부(252)로부터 분사되는 도포액의 분사범위를 조절한다. 상기 가변부(291)의 내측면 상에는 다수의 석션부(SH)구비되어 상기 분사부(252)로부터 분사되는 도포액적어도 일부를 흡입하며, 상기 가변부(291)의 외측면 상에는 에어 분사를 위한 다수의 에어 분사부(252)가 구비된다. 상기 스프레이건(250)의 상기 가변부(291)는 전체적 또는 개별적으로 정회전 동작 하거나 역회전 동작된다. 상기 스프레이건(250)의 후단부 상에는 상기 분사부(252)의 토출에 기반하는 반동을 상쇄시키기 위한 에어를 분사하는 역분사부(292)가 구비되며, 상기 스프레이건(250)의 하단부 상에는 상기 분사부(252) 및 상기 역분사부(292)의 동작에 기반하는 반동을 상쇄시키기 위한 제2 역분사부(293)가 구비된다. 상기 역분사부(292)는 틸팅구조부(PT1)를 통해 틸팅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 역분사부(293)은 좌우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코팅장치는 일정 범위로 유동 가능한 소정의 가이드 수단(GM)과, 상기 가이드 수단(GM)에 의하여 가이드되는 차단부(미도시)가 구비되며, 상기 차단부는, 소정 면적을 가지는 차단몸체(294)와, 상기 차단몸체(294)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 출몰부(295)와, 상기 차단몸체(294)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 출몰부(296)와, 상기 차단몸체(294)로부터 좌측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3 출몰부(297)와, 상기 차단몸체(294)로부터 우측방향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4 출몰부(미도시)가 구비된다.
도 20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차단부는 상기 차단몸체(294)로 부터 돌출된 상기 제2 출몰부(296)를 통해 상기 컨베이어(200) 상의 가공 대상물들을 상호 일정하게 이격 시킨다. 상기 스프레이건(250)은 상기 스프레이건(250)의 전단부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소정의 암모듈(RB)이 구비되며, 상기 암모듈 둘레부 적어도 일부영역 상에 소정의 제1 함입홈(RH1)이 형성된다. 상기 암모듈(RB)은 소정의 관절형 가이드부(GM1)와 상기 가이드부(GM1)로부터 연장되는 본체모듈(BM)이 구비된다. 상기 암모듈(RB)은 상기 제1 함입홈(RH1) 상에 삽입되어 거치된다. 상기 제1 함입홈(RH1)의 내부에는 상기 제1 함입홈 깊이 이상으로 소정의 제2 함입홈(RH2)이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암모듈(RB)의 상기 가이드부(GM)는 상기 제2 함입홈(RH2) 상에 삽입되어 거치되며, 상기 암모듈(RB)의 상기 본체모듈(BM)은 상기 제1 함입홈(RH1) 상에 삽입되어 거치된다.
상기 본체모듈(BM)은 상기 가이드부(GM)의 단부에 위치되는 히팅부(HM)와 상기 히팅부(HM)의 상방을 개폐시키는 계폐형 촬영부로 구비되며, 상기 촬영부는 제1 촬영부(CM1) 및 제2 촬영부(CM2)로 구비되어 회동을 통해 상기 히팅부
(HM)의 상면을 폐쇄 또는 노출시키며, 상기 히팅부(HM)과 마주하는 상기 제1 촬영부(CM1)의 저면부 상에는 제1 단열패널(CH1)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촬영부(CM2)의 저면부 상에는 제2 단열패널(CH2)이 구비된다. 상기 히팅부(HM)의 둘레부 제1 영역에는 제5 단열패널(CH5)이 구비되며, 회동 시 상기 히팅부(HM)의 상기 제5 단열패널(CH5)과 마주접하게 되는 상기 제1 촬영부(CM1)의 둘레부 상에는 제3 단열패널(CH3)이 구비된다. 상기 히팅부(HM)의 둘레부 제2 영역에는 제6 단열패널(CH6)이 구비되며회동 시 상기 히팅부(HM)의 상기 제6 단열패널(CH6)과 마주접하게 되는 상기 제2 촬영부(CM2)의 둘레부 상에는 제3 단열패널(CH3)이 구비된다.
도 22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오염방지 가공수단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스프레이건(250)은 상기 스프레이건(250)의 전단부를 향하여 유동되는 소정의 제2 암모듈(RB2)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암모듈(RB2) 둘레부 적어도 일부영역 상에 소정의 제3 함입홈(RH3)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암모듈(RB2)은 소정의 관절형 제2 가이드부(GM2)와 상기 제2 가이드부(GM2)로부터 연장되는 제2 본체모듈(BM2)이 구비된다. 상기 제2 암모듈(RB2)은 상기 제3 함입홈(RH3) 상에 삽입되어 거치된다. 상기 제3 함입홈(RH3)의 내부에는 상기 제3 함입홈(RH3) 깊이 이상으로 소정의 제4 함입홈(RH4)이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2 암모듈(RB2)의 상기 제2 가이드부(GM2)는 상기 제4 함입홈(RH4) 상에 삽입되며, 상기 제2 암모듈(RB2)의 상기 제2 본체모듈(BM2)은 상기 제3 함입홈(RH3) 상에 삽입되어 거치된다. 상기 본체모듈(BM)은 상기 제1 함입홈(RH1)에 대응하여 커브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암모듈(RB2)은 상기 제3 함입홈(RH3)에 대응하여 커브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 암모듈(RB2)은, 상기 제2 가이드부(GM2) 단부상에 구비되는 제2-1 암모듈(UM)과, 상기 제2-1 암모듈(UM)로부터 왕복 유동되는 제2-2 암모듈(DM)이 구비되며, 상기 제2-1 암모듈(UM)의 저면부 상에는 출몰식 제1브러쉬(BR1)가 구비되고, 상기 제2-2 암모듈(DM)의 상면부 상에는 출몰식 제2 브러쉬(BR2)가 구비된다. 상기 제2-1 암모듈(UM)과 상기 제2-2 암모듈(DM)이 이격된상태에서, 상기 제1 브러쉬(BR1)는 상기 제2-1 암모듈(UM)로부터 돌출되어 회전하며 상기 제2 브러쉬(BR2)는 상기 제2-2 암모듈(DM)로부터 돌출되어 회전하는 브러시 회전모드로 동작되며, 상기 제2 암모듈(RB2)은 상기 브러시 회전모드 동작 상태에서 상기 제1 브러쉬(BR1)와 상기 제2 브러쉬(BR2) 사이로 상기 가변부(291) 및 상기 분사부(252) 각각을 위치되도록 하여 세척한다. 상기 제1 브러쉬(BR1) 및 상기 제2 브러쉬(BR2)는 수평방향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제1 회전모드 및 수직방향 수직 방향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제2 회전모드로 동작한다. 한편, 본체모듈(BM)의 상기 촬영부는 상기 가변부(291) 및 상기 분사부(252) 주변 상태를 모니터링한 이후 상기 본체모듈(BM)의 상기 히팅부(HM)는 상기 가변부(291) 및 상기 분사부(252) 주변에 열을 가하며, 상기 가변부(291) 및 상기 분사부(252) 주변에 열을 가한 이후 상기 제2 본체모듈(BM2)이 상기 가변부(291) 및 상기 분사부(252)를 세척하며, 상기 세척 이후에 상기 본체모듈(BM)의 상기 촬영부가 세척 상태를 모니터링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제1부재 11 : 제1헤드
12 : 제1수용부 20 : 제2부재
21 : 제2헤드 22 : 제2수용부
30 : 제3부재 31 : 제3헤드
32 : 인장재 결합부 40 : 인장재

Claims (9)

  1. 철제의 중량물인 제1헤드와 상기 제1헤드와 결합하며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는 제1수용부를 포함하는 제1부재; 상기 제1수용부에 수용되며 철제의 중량물인 제2헤드와 상기 제2헤드와 결합하며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는 제2수용부를 포함하는 제2부재; 상기 제2수용부에 수용되며 철제의 중량물인 제3헤드와 상기 제2헤드에 결합하며 인장재와 결합하는 인장재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3부재; 일단부는 상기 인장재 결합부에 결합하고 타단부는 지상에 마련되는 정착단에 고정되는 인장재; 상기 인장재의 타단을 고정하기 위한 정착수단; 상기 제2부재가 제1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이동은 허용하고 그 반대방향의 이동은 허용되지 않도록 하는 제1래칫 유닛; 및 제2래칫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부재 내지 상기 제3부재는 오염방지 가공수단을 통해 오염방지 가공된 것이며,
    상기 오염방지 가공수단은,
    분사유닛과, 상기 분사유닛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유닛과, 상기 지지유닛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유닛은 소정의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유닛에 대해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피벗부와, 상기 피벗부에서 외측방향으로 가이드부에 대해 일정각도로 교차되게 연장된 연장부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지지유닛의 피벗부가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수직폴대와, 상기 수직폴대가 높이조절가능 하게 설치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폴대의 상단에는 피벗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피벗연결부에는 상기 지지유닛의 피벗부가 피벗축을 매개로 피벗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홀더의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블럭이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가이드부와, 상기 하부가이드부으로 부터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식의 동작 및 진퇴 동작을 수행하는 상부가이드부로 구비되며,
    상기 분사유닛은 상기 하부가이드부 상에 구비되는 하부분사유닛과, 상기 상부가이드부 상에 구비되는 상부분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가이드부는 상호 간에 틸팅 가능한 복수의 마디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가이드부 상의 상기 상부분사유닛 둘레부 적어도 일부 상에는 분사제어모듈이 구비되어 상기 상부분사유닛의 코팅물질 분사범위 및 분사 용량을 제어하되,
    상기 분사제어모듈은,
    상기 하부가이드부의 길이방향 상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왕복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 분사제어모듈과, 상기 하부가이드부의 길이방향 단부 상에서 틸트 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 분사제어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제1 분사제어모듈은 내측면 상에 진퇴형 제1 실린더모듈, 상기 제1 실린더모듈과 이웃하는 진퇴형 제2 실린더모듈, 상기 제1 실린더모듈로부터 출몰되는 제1 피스톤모듈, 상기 제2 실린더모듈로부터 출몰되는 제2 피스톤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제2 분사제어모듈은 내측면 상에 진퇴형 제3 실린더모듈, 상기 제3 실린더모듈과 이웃하는 진퇴형 제4 실린더모듈, 상기 제3 실린더모듈로부터 출몰되는 제3 피스톤모듈, 상기 제4 실린더모듈로부터 출몰되는 제4 피스톤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실린더모듈은 상기 제3 실린더모듈은 상호간에 대향하며, 상기 제2 실린더모듈과 상기 제4 실린더모듈은 상호간에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피스톤모듈 내지 상기 제4 피스톤모듈은 상호간에 출몰 거리 설정을 통해 상기 상부분사유닛의 코팅물질 분사범위 및 분사용량을 제어하는 어스 앵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80036592A 2018-03-29 2018-03-29 어스 앵커 KR101922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592A KR101922837B1 (ko) 2018-03-29 2018-03-29 어스 앵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592A KR101922837B1 (ko) 2018-03-29 2018-03-29 어스 앵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2837B1 true KR101922837B1 (ko) 2018-11-27

Family

ID=64603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6592A KR101922837B1 (ko) 2018-03-29 2018-03-29 어스 앵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283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322B1 (ko) * 2013-10-29 2015-03-23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태양전지용 초친수 오염방지 코팅물질 뿜칠장치
KR101687097B1 (ko) * 2015-03-09 2016-12-15 주식회사 건화 어스 앵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322B1 (ko) * 2013-10-29 2015-03-23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태양전지용 초친수 오염방지 코팅물질 뿜칠장치
KR101687097B1 (ko) * 2015-03-09 2016-12-15 주식회사 건화 어스 앵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57321B2 (en) Injecting device, drill rig and method of rock bolting
CA3030067C (en) Vibrator assembly for creating stone columns, and method for creating stone columns
KR101100258B1 (ko) 벽체미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벽체미장기계
JP2017186882A (ja) トンネル覆工コンクリート成形用の型枠支持装置の組み立て方法及びネット支持具
KR101922837B1 (ko) 어스 앵커
KR20160067915A (ko) 관절식 암을 갖는 트롤리
KR101933871B1 (ko) 아파트 벽체의 내진 성능 개선 방법
JP2007218048A (ja) コンクリート橋桁狭隘部のはつり装置及び同はつり装置の使用方法並びにコンクリート橋桁狭隘部の補修方法。
KR101836345B1 (ko) 기능성 이동식 곤도라
KR101908895B1 (ko) 아파트 천장슬라브 시공방법
JP2005240382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下面補修方法
KR20140040580A (ko) 건설용 안전벨트 걸이구
KR101931055B1 (ko) 아파트 지하주차장 시공 방법
KR101913073B1 (ko) 아파트의 천장패널 시공방법
KR101928742B1 (ko) 내진보강장치를 이용한 아파트 건물의 내진보강공법
KR101922838B1 (ko) 어스앵커 어셈블리
KR101947958B1 (ko) 아파트 단열 외벽 패널 시공방법
JP5851533B2 (ja) 可動式仮設足場
KR101922836B1 (ko) 지지버팀보용 강관 연결장치
KR101928743B1 (ko)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
JP2005307684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床板の敷設装置
KR101929230B1 (ko) 리모델링 건축물의 내진성능 보강을 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강 유닛
KR101908896B1 (ko) 아파트 배란다 배수처리 시스템 시공방법
CN211919933U (zh) 一种建筑多级螺旋输送机装置
KR102159509B1 (ko) 구조물 내진 공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