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7958B1 - 아파트 단열 외벽 패널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아파트 단열 외벽 패널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7958B1
KR101947958B1 KR1020180053567A KR20180053567A KR101947958B1 KR 101947958 B1 KR101947958 B1 KR 101947958B1 KR 1020180053567 A KR1020180053567 A KR 1020180053567A KR 20180053567 A KR20180053567 A KR 20180053567A KR 101947958 B1 KR101947958 B1 KR 101947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module
magnetic means
uni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청환
Original Assignee
조청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청환 filed Critical 조청환
Priority to KR1020180053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79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7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7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05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42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by projecting or otherwise applying hardenable masses to the exterior of a form leaf
    • E04B2/847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by projecting or otherwise applying hardenable masses to the exterior of a form leaf the form leaf comprising an insulating foam pane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002/8682Mixed technique using permanent and reusable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ay Contro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형성된 아파트 외벽에 철판이 미형성된 갱폼 프레임을 고정시키는 제 1공정; 기형성된 아파트 외벽에 철판이 미형성된 갱폼 프레임을 고정시키는 제 1공정; 상기 갱폼 프레임의 내측면에 단열 외벽 패널을 긴결시키는 제 2공정; 상기 단열 외벽 패널의 내측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벽철근을 배근하는 제 3공정; 상기 벽철근의 내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유로폼을 설치하되, 상기 갱폼 프레임과 단열 외벽 패널 및 유로폼을 긴결재로 긴결시키는 제 4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단열 외벽 패널은 표면처리 가공수단을 통해 오염방지 가공처리된 아파트 단열 외벽 패널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아파트 벽체의 단열 및 차열 성능을 향상시키고, 화재 안전 성능 및 친환경 성능을 향상시키며, 외벽 패널 시공을 위한 시공수단의 구성물 적어도 일부가 표면처리 가공을 통해 오염방지 내성이 강화되어, 시공 수단수단의 설치 전 유지 보수는 물론 설치 후의 유지 보수 관리가 용이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아파트 단열 외벽 패널 시공이 가능한 아파트 단열 외벽 패널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아파트 단열 외벽 패널 시공방법{METHOD FOR CONSTRUCTING INSULATED EXTERIOR WALL PANEL OF ECO-FRIENDLY APARTMENT}
본 발명은 아파트 단열 외벽 패널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파트 벽체의 단열 및 차열 성능을 향상시키고, 화재 안전 성능 및 친환경 성능을 향상시키며, 외벽 패널 시공을 위한 시공수단의 구성물 적어도 일부가 표면처리 가공을 통해 오염방지 내성이 강화되어, 시공 수단수단의 설치 전 유지 보수는 물론 설치 후의 유지 보수 관리가 용이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아파트 단열 외벽 패널 시공이 가능한 아파트 단열 외벽 패널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에서 냉난방 에너지 손실은 보통 창호, 외벽, 지붕 등의 외피를 통해 발생하기 때문에 고효율 에너지기 자재 등 친환경, 고효율 외피시스템에 대한 활발한 연구 및 다양한 제품이 생산 보급되고 있다. 국내 주거 건축물의 유형을 분류해 보면 50%이상이 공동주택이며, 새로이 공급되는 주택의 약 90%가 공동주택(아파트)이다. 이러한 실정을 고려해 볼 때 아파트 외피시스템에 대한 성능향상을 통해 열손실을 최소한 할 수 있는 방안이 매우 중요하다. 공동주택의 창호의 경우 단열성이 높은 복층유리, 로이코팅 유리 및 일사조절 시스템 등 다양한 창호 시스템이 개발 적용되고 있다. 반면, 벽체의 경우, 단열 방식이 내단열 중심의 건물 단열시스템을 적용하고 있어 열교현상을 근본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내단열 공법은 일반적으로 벽체-벽체, 벽체-슬래브 이음 부분에서 단열 불연속 부위가 발생하기 때문에 열교현상에 의한 에너지 손실, 결로 등의 원인이 되고 있어 앞으로는 내단열 보다 외단열공법의 적용이 적극 검토되어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외단열공법은 주로 외벽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경화후 시공하는 건식 공법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외단열공법은 건식공법임에도 불구하고 공사의 비효율성이 있었으며, 특히 공동주택(아파트)이 고층화됨에 따라 기존 외단열 시공성에 대한 효율이 더욱 떨어지게 된다. 또한, 외단열공법에 적용되는 단열 외벽 패널은 주로 유기계의 폴리스틸렌(스티로폼) 및 유무기 복합적층재를 적용함에 따라 화재에 취약하며, 특히 장기간 경과시 내구성이 저하되어 단열효과가 저하하고 균열 등이 발생하여 누수의 원인을 제공하는 등 외부의 충격에도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아파트 단열 외벽 패널 시공을 위한 시공수단의 설치 전 유지 보수는 물론 설치 후의 유지 보수 관리가 용이하지 못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외벽 패널 시공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54542호
본 발명은, 아파트 벽체의 단열 및 차열 성능을 향상시키고, 화재 안전 성능 및 친환경 성능을 향상시키며, 외벽 패널 시공을 위한 시공수단의 구성물 적어도 일부가 표면처리 가공을 통해 오염방지 내성이 강화되어, 시공 수단수단의 설치 전 유지 보수는 물론 설치 후의 유지 보수 관리가 용이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아파트 단열 외벽 패널 시공이 가능한 아파트 단열 외벽 패널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형성된 아파트 외벽에 철판이 미형성된 갱폼 프레임을 고정시키는 제 1공정; 기형성된 아파트 외벽에 철판이 미형성된 갱폼 프레임을 고정시키는 제 1공정; 상기 갱폼 프레임의 내측면에 단열 외벽 패널을 긴결시키는 제 2공정; 상기 단열 외벽 패널의 내측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벽철근을 배근하는 제 3공정; 상기 벽철근의 내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유로폼을 설치하되, 상기 갱폼 프레임과 단열 외벽 패널 및 유로폼을 긴결재로 긴결시키는 제 4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단열 외벽 패널은 표면처리 가공수단을 통해 오염방지 가공처리된 아파트 단열 외벽 패널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파트 단열 외벽 패널 시공방법에 의하면, 아파트 벽체의 단열 및 차열 성능을 향상시키고, 화재 안전 성능 및 친환경 성능을 향상시키며, 외벽 패널 시공을 위한 시공수단의 구성물 적어도 일부가 표면처리 가공을 통해 오염방지 내성이 강화되어, 시공 수단수단의 설치 전 유지 보수는 물론 설치 후의 유지 보수 관리가 용이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아파트 단열 외벽 패널 시공이 가능한 아파트 단열 외벽 패널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파트 단열 외벽 패널 시공방법에 따른 단열 외벽 패널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8은 도 1에 따른 아파트 단열 외벽 패널 시공방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처리 가공수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5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면처리 가공수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방지 가공처리 하기 위한 제2 표면처리 가공수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염방지 가공처리 하기 위한 제2 표면처리 가공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제2 표면처리 가공수단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 내지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표면처리 가공수단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 내지 도 32은 본 발명의 표면처리 가공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33 내지 도 34는 본 발명의 표면처리 가공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아파트 단열 외벽 패널 시공방법에 따른 단열 외벽 패널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아파트 단열 외벽 패널 시공방법에 적용된 단열 외벽 패널(10')은 공극 형성을 통해 단열 성능을 확보하도록 내부가 중공 상태인 마이크로 크기의 무기질계 세라믹 소재가 첨가되어 사각패널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무기질계 세라믹 소재는 글래스 비드, 세노스피어 비드, 마이크로 공극을 갖는 클로즈드 셀인 펄라이트계 비드중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바람직하게는 펄라이트계 비드와 질석이 단열 외벽패널의 질량 대비 5~40질량% 첨가되는 데, 5 질량% 미만이면 질량이 무거워지고, 단열 성능이 저하되며, 40질량%를 초과하면 강도가 저하된다.
이때, 단열 외벽 패널(10')은 시멘트, 규사가 50 질량% 이상 첨가되고, 여기에 규회석, 인조섬유, 펌프, 증점제와 함께 펄라이트계 비드와 질석이 첨가된 후 압출 방식으로 제작된다. 그리고, 단열 외벽 패널(10')은 아파트 외벽과 면접되는 내측면에 아파트 외벽과 일체화를 위해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돌기(11')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데, 돌기(11')는 역 삼각형태와 같이 외측으로 확대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열 외벽 패널(10')은 이웃하는 단열 외벽 패널과 결합이 용이하도록 양측면에 제혀쪽매(돌기와 홈으로이루어진 한쌍')(13')가 형성되고, 상하면에 서로 대응되는 형태의 반쪽쪽매(15')가 형성된다. 또한, 단열 외벽 패널(10')은 갱폼 프레임(30')과 결속을 위해 결속용 너트(17')가 구비되고, 하기에서 설명할 긴결재의 관통을 위한 관통 파이프(19')가 구비된다.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아파트 단열 외벽 패널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설명도이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아파트 단열 외벽 패널 시공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 외벽 패널(10')이 기형성된 아파트 외벽(1')에 기존 갱폼에서 철판이 제거되어 프레임 형태로만 제작된 갱폼 프레임(30')을 동바리(31')를 이용하여 고정시킨다(S100). 갱폼 프레임(30')에는 작업 발판(33')이 형성된다. 그런 다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갱폼 프레임(30')의 내측에 단열 외벽 패널(10')을 상호 고정하도록 결속용너트(17')에 결속용 볼트(40')를 긴결시킨다(S110). 복수의 단열 외벽 패널(10')이 제혀쪽매(13')와 반쪽쪽매(15')에 의해 상호 치합되고, 돌기(11')는 내측을 향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파트 외벽(1')에서 수직으로 돌출된 철근(21')에 벽철근(50')을 연결하여 배근하고, 벽철근(50')의 상단에 수평으로 슬래브 철근(60')을 배근한다(S120).
벽철근(50') 및 슬래브철근(60')은 격자 형태로 배근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 외벽 패널(10')과 대향되도록 슬래브(20')의 끝단 내측에 수직으로 유로폼(70')을 설치하되, 갱폼 프레임(30')과 단열 외벽 패널(10') 및 유로폼(70')에 긴결재(80')를 설치하여 상호 고정시킨다(S130). 이때, 긴결재(80')는 단열 외벽 패널(10')의 관통 파이프(19')를 통해 관통하여 양단이 갱폼 프레임(30')과 유로폼(70')에 각각 고정된다. 이때, 슬래브 철근(60')의 저면에 유로폼(70')을 설치하고, 이들 사이에 긴결재(80')를 설치하여 유로폼(70')을 일정 간격 이격시킨 다음, 유로폼(70')의 저면에 동바리(90')를 설치하여 고정시킨다. 유로폼(70')의 고정이 완료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 외벽 패널(10')과 유로폼(70') 사이 및 슬래브 철근(60')과 유로폼(70')에 콘크리트를 동시에 타설하여 아파트 외벽(1') 및 슬래브(3')를 형성하고, 양생이 완료되면 긴결재(80')를 제거하여 갱폼 프레임(30')과 유로폼(70')을 해체한다(S140).
이때, 아파트 외벽(1')의 내측과 단열 외벽 패널(10의 외측으로 돌출된 긴결재(80')를 절단하여 제거한다. 해체가 완료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 외벽 패널(10')과 이웃하는 단열 외벽 패널 사이의 조인트 부분과 긴결 부분인 결속용 너트(17')와 관통 파이프(19')에 실링재(100')로 실링한다(S150). 이때, 실링재(100')는 실리콘 또는 우레탄 폼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상기 공정을 순차적으로 반복 수행하여 아파트를 완성한다. 그리고, 아파트 외벽(1')이 모두 완성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 외벽 패널(10')에 열반사 도료(110')를 도포한다(S160). 한편, 단열 외벽 패널(10')의 외측면에 열반사 도료(110')를 기도포한 다음, 각종 패턴을 UV 도료로 미리 인쇄하여 조합함으로써 아파트 외벽(1')을 더욱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처리 가공수단를 도시한 도면이다. 표면처리 가공수단은, 가공대상물(즉, 전술한 구성들 중 적어도 단열 외벽 패널(10’), 너트(17’), 관통 파이프(19’), 갱폼 프레임(30’), 동바리(31’), 결속용 볼트(40’), 유로폼(70’), 긴결재(80’) 등에 해당함.)에 인접하게 설치된 하나 이상의 분사유닛(110)과, 분사유닛(110)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유닛(121, 122)과, 상기 지지유닛(121, 122)을 가공대상물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유닛(130)을 포함한다. 분사유닛(110)은 경사지게 설치된 가공대상물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분사유닛(110)에는 오염방지 코팅물질이 저장된 저장탱크(113)가 연결되며, 저장탱크(113)의 오염방지 코팅물질이 공급펌프(114)의 펌핑에 의해 분사유닛(110)으로 공급된다. 이에, 분사유닛(110)은 저장탱크(113)로부터 공급된 오염방지 코팅물질을 가공대상물의 표면에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분사유닛(110)의 일측에는 간격감지센서(115)가 설치되어 분사유닛(110)과 가공대상물 사이의 간격을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미도시)로 전송함으로써 분사유닛(110)과 가공대상물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지지유닛(121, 122)은 분사유닛(110)을 지지함과 더불어, 분사유닛(110)을 상하방향으로 가이드하도록 구성된다. 지지유닛(121, 122)은 가공대상물의 표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가이드부(125)와, 가이드부(125)의 하단에 형성된 피벗부(126)와, 이 피벗부(126)에서 외측방향으로 가이드부(125)에 대해 일정각도로 교차되게 연장된 연장부(127)를 가진다. 가이드부(125)의 일면(즉, 가공대상물의 표면과 마주보는 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125a)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레일(125a)에는 가이드블록(111)이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되도록 설치되며, 가이드블록(111)에는 분사유닛(110)이 장착됨에 따라 분사유닛(110)은 가이드부(125)를 따라 가공대상물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피벗부(126)는 후술하는 가이드유닛(130)의 수직폴대(131)의 상단에 피벗가능하게 설치되고, 이에 가이드부(125)는 가공대상물의 경사각에 대응하여 용이하게 그 경사각이 조절될 수 있다. 연장부(127)는 피벗부(126)에서 외측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고, 연장부(127)는 가이드부(125)에 대해 일정각도로 교차하게 연장된다.
그리고, 연장부(127)의 단부에는 중심추(128, weight)가 설치되고, 이러한 중심추(128)에 의해 지지유닛(121, 122)은 그 무게 중심이 균형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125)에는 하나 이상의 처짐방지용 와이어(123)가 연결되고, 이러한 처짐방지용 와이어(123)에 의해 가이드부(125)가 가공대상물의 표면을 향해 처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처짐방지용 와이어(123)의 일단부는 가이드부(125)에 고정되고, 처짐방지용 와이어(123)의 타단부는 지지체(124)의 지지롤러(124a)에 조절가능
하게 설치된다. 지지체(124)는 연장부(127)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지지롤러(124a)는 지지체(124)의 도중에 설치된다.지지유닛(121, 122)은 가공대상물의 중심선(1CL)을 기준으로 상부공간(TA) 및 하부공간(LA)으로 구획하여 각 분사유닛(110)이 오염방지 코팅물질을 독립적으로 분사하도록 2개의 지지유닛(121, 122)으로 구성된다. 제1지지유닛(121)은 가공대상물의 상부공간(TA)에만 오염방지 코팅물질을 분사하도록 분사유닛(110)이 가이드부(125)의 상부 일정구간에서만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제2지지유닛(122)은 가공대상물의 하부공간(LA)에만 오염방지 코팅물질을 분사하도록 분사유닛(110)이 가이드부(125)의 하부 일정구간에서만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지지유닛(121, 122)이 가공대상물의 표면에 대해 상부공간(TA)과 하부공간(LA)으로 구획하여 독립적으로 오염방지 코팅물질을 분사함으로써 가공대상물의 표면에 대한 코팅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염방지 코팅물질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가이드유닛(130)은 지지유닛(121, 122)의 피벗부(126)가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수직폴대(131)와, 수직폴대(131)가 높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홀더(132)와, 홀더(132)를 가공대상물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133)를 포함한다. 수직폴대(131)의 상단에는 피벗연결부(134)가 형성되고, 이 피벗연결부(134)에는 지지유닛(120)의 피벗부(126)가 피벗축(135)을 매개로 피벗가능하게 설치되며, 수직폴대(131)는 홀더(132)에 높이조절가능하게 설치된다. 지지유닛(121, 122)의 피벗부(126)와 수직폴대(131)의 피벗연결부(134)에는 복수의 통공(126a, 634a)들이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고, 피벗축(135)을 중심으로 피벗부(126)가 일정 각도로 피벗팅한 이후에 다울핀(136)이 피벗부(126) 및 피벗연결부(134)의 서로 맞춰진 통공(126a, 634a)들에 끼워짐으로써 지지유닛(121, 122)의 회전된 위치가 고정되고, 이에 지지유닛(121, 122)의 가이드부(125)는 가공대상물의 경사각에 대응하여 그 경사각이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홀더(132)는 상단이 개방된 중공부를 가진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고, 홀더(132)의 중공부에는 수직폴대(131)가 높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며, 홀더(132)의 하단에는 가이드블럭(132b)이 마련된다. 수직폴대(131)와 홀더(132)에는 복수의 통공(131a, 632a)이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고, 수직폴대(131)가 홀더(132)의 중공부에 높이가 적절히 조절되어 삽입된 이후에 다월핀(1dowel pin, 38)이 수직폴대(131) 및 홀더(132)의 서로 맞춰진 통공(131a, 632a)들에 끼워짐으로써 수직폴대(131)는 홀더(132)에 높이조절가능하게 설치된다. 가이드레일(133)은 가공대상물이 설치된 바닥에 설치되고, 가공대상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된다. 가이드레일(133)에는 홀더(132)의 가이드돌기(132b)가 가이드됨에 따라 수직폴대(131), 홀더(132) 및 지지유닛(121, 122)은 가공대상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특히, 회전스크류(미도시)가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가이드블럭(132b)이 가이드레일(133)을 따라 이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에 의해 홀더(132), 수직폴대(131), 지지유닛(121, 122)은 길이방향 이송속도가 매우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가이드유닛(130)의 수직폴대(131) 및 홀더(132)가 가이드레일(133)을 통해 가공대상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됨에 따라 지지유닛(121, 122)들을 개별적으로 가공대상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고, 이와 더불어 지지유닛(121, 122)에서 각 분사유닛(110)을 개별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각 분사유닛(110)은 가공대상물의 표면에 오염방지 코팅물질을 길이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매우 신속하고 균일하게 분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구성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전술한 표면처리 가공수단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표면처리 가공수단은, 분사유닛(110)과, 상기 분사유닛(110)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유닛(121, 122)과, 상기 지지유닛(121, 122)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유닛(130)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유닛(121, 122)은 소정의 가이드부(125)와, 상기 가이드부(125)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유닛(130)에 대해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피벗부(126)와, 상기 피벗부(126)에서 외측방향으로 가이드부(125)에 대해 일정각도로 교차되게 연장된 연장부(127)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유닛(130)은 상기 지지유닛(121, 122)의 피벗부(126)가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수직폴대(131)와, 상기 수직폴대(131)가 높이조절가능 하게 설치되는 홀더(132)와, 상기 홀더(132)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133)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폴대(131)의 상단에는 피벗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피벗연결부에는 상기 지지유닛(121, 122)의 피벗부(126)가 피벗축을 매개로 피벗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홀더(132)의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레일(133)을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블럭(132b)이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부(125)는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가이드부(125a)와, 상기 하부가이드부(125a)으로 부터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식의 동작 및 진퇴 동작을 수행하는 상부가이드부(125b)로 구비된다. 상기 분사유닛(110)은 상기 하부가이드부(125a) 상에 구비되는 하부분사유닛(110a)과, 상기 상부가이드부(125b) 상에 구비되는 상부분사유닛(110b)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가이드부(125)는 상호 간에 틸팅 가능한 복수의 마디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가이드부(125b) 상의 상기 상부분사유닛(110b) 둘레부 적어도 일부 상에는 분사제어모듈(140)이 구비되어 상기 상부분사유닛(110b)의 코팅물질 분사범위 및 분사 용량을 제어한다.
상기 분사제어모듈은(140), 상기 상부가이드부(125b)의 길이방향 상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왕복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 분사제어모듈(141)과, 상기 상부가이드부(125b)의 길이방향 단부 상에서 틸트 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 분사제어모듈(142) 구비되며, 상기 제1 분사제어모듈(141)은 내측면 상에 진퇴형 제1 실린더모듈(S1), 상기 제1 실린더모듈(S1)과 이웃하는 진퇴형 제2 실린더모듈(S2), 상기 제1 실린더모듈(S1)로부터 출몰되는 제1 피스톤모듈(P1), 상기 제2 실린더모듈(S2)로부터 출몰되는 제2 피스톤모듈(P2)이 구비된다. 상기 제2 분사제어모듈(142)은 내측면 상에 진퇴형 제3 실린더모듈(S3), 상기 제3 실린더모듈(S3)과 이웃하는 진퇴형 제4 실린더모듈(S4), 상기 제3 실린더모듈(S3)로부터 출몰되는 제3 피스톤모듈(P3), 상기 제4 실린더모듈(S4)로부터 출몰되는 제4 피스톤모듈(P4)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실린더모듈(S1)은 상기 제3 실린더모듈(S3)은 상호간에 대향하며, 상기 제2 실린더모듈(S2)과 상기 제4 실린더모듈(S4)은 상호간에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피스톤모듈(P1) 내지 상기 제4 피스톤모듈(P4)은 상호간에 출몰 거리 설정을 통해 상기 상부분사유닛(110b)의 코팅물질 분사범위 및 분사용량을 제어한다.
상기 제1, 2 실린더모듈(S1, S2)은 상기 제1 분사제어모듈(141)의 단부 길이방향 상에서 소정 범위로 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3, 4 실린더모듈(S3, S4)은 상기 제2 분사제어모듈(142)의 단부 길이방향 상에서 소정 범위로 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분사제어모듈(141)의 단부 상에는 제1 집게형 파지부(1CL1)가 구비되며 상기 제2 분사제어모듈(142)의 단부 상에는 제2 집게형 파지부(1CL2)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125)는 상기 제1 집게형 파지부(1CL1)와 상기 제2 집게형 파지부(1CL2)를 통해 오염방지 처리를 위한 상기 대상물을 파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표면처리 가공수단은 소정의 제1 유동모듈(150a) 상에 위치되고, 가공 대상물인 상기 대상물은 소정의 제2 유동모듈(150b)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1 유동모듈(150a)은 , 최하단 제1-1 유동부(150a1)와, 상기 제1-1 유동부(150a1)의 상단에 위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는 제1-2 유동부(150a2)와, 상기 제1-2 유동부(150a2)의 상단에 위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는 제1-3 유동부(150a3)가 구비되며, 상기 제1-1 유동부(150a1)는 하방에 소정의 제1 마감패널(150a11)이 구비되며, 상기 제1-3 유동부(150a3)는 상방에 상기 표면처리 가공수단이 거치되는 제1 거치패널(150a31)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유동모듈(150b)은, 최하단 제2-1 유동부(150b1)와, 상기 제2-1 유동부(150b1)의 상단에 위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는 제2-2 유동부(150b2)와, 상기 제2-2 유동부(150b2)의 상단에 위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는 제2-3 유동부(150b3)가 구비되며, 상기 제2-1 유동부(150b1)는 하방에 소정의 제2 마감패널(150b11)이 구비되며, 상기 제2-3 유동부(150b3)는 상방에 상기 가공 대상물이 거치되는 제2 거치패널(150b31)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유동모듈(150a)과 상기 제2 유동모듈(150b) 사이에는 완충모듈(160)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유동모듈(150a)과 상기 제2 유동모듈(150b)은 상호 간에 이격 방향 또는 충돌 방향을 향해 유동됨에 있어, 상기 완충모듈(160)과 의 접촉을 매개로 상호 가속유동되거나 완충 유동된다.
상기 제1-1 유동부(150a1)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150a3)의 상기 완충모듈(160)을 향하는 내측 단부 상에는 제1 자성수단(M1)이 구비되고, 상기 제2-1 유동부(150b1)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150b3)의 상기 완충모듈(160)을 향하는 내측 단부 상에는 제2 자성수단(M2)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자성수단(M1)과 대향하는 상기 완충모듈(160)의 일측에는 제3 자성수단(M3)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자성수단(M2)과 대향하는 상기 완충모듈(160)의 타측에는 제4 자성수단(M4)이 구비되며, 상기 제1-1 유동부(150a1)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150a3)가 상기 완충모듈(160)을 향하는 제1 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 상기 제1 자성수단(M1)과 상기 제3 자성수단(M3)은 상호 간에 상이한 극성을 띠도록 설정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시키고, 상기 제1-1 유동부(150a1)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150a3)가 상기 완충모듈(160)의 반대측을 향하는 제2 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 상기 제1 자성수단(M1)과 상기 제3 자성수단(M3)은 상호 간에 동일한 극성을 띠도록 설정되어,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시킨다.
상기 제2-1 유동부(150b1)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150b3)가 상기 완충모듈(160)을 향하는 제3 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 상기 제2 자성수단(M2)과 상기 제4 자성수단(M4)은 상호 간에 상이한 극성을 띠도록 설정되어, 상기 제3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시키고, 상기 제2-1 유동부(150b1)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150b3)가 상기 완충모듈(160)의 반대측을 향하는 제4 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 상기 제2 자성수단(M2)과 상기 제4 자성수단(M4)은 상호 간에 동일한 극성을 띠도록 설정되어, 상기 제4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시킨다. 상기 완충모듈(160)은 상기 제3 자성수단(M3)과 상기 제4 자성수단(M4) 사이에 탄성수단(1C)이 구비되어, 상기 제3 자성수단(M3)과 상기 제4 자성수단(M4)을 통해 가해지는 외력에 대응하는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며, 상기 완충모듈(160)은, 상기 제1-1 유동부(150a1)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150a3)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3 자성수단(M3)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과, 상기 제2-1 유동부(150b1)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150b3)의 상기 제3 방향으로의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4 자성수단(M4)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며, 상기 제1-1 유동부(150a1)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150a3)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화시키며,에 기반하여 상기 제3 자성수단(M3)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과, 상기 제2-1 유동부(150b1)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150b3)의 상기 제3 방향으로의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4 자성수단(M4)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킨다. 상기 제1-1 유동부(150a1)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150a3)의 상기 제3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3 자성수단(M3)에 대하여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제2-1 유동부(150b1)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150b3)의 상기 제4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4 자성수단(M4)에 대하여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완충모듈(160)을 향하는 상기 제1 거치패널(150a31)의 단부에는 제1-1 돌기부(150a31T)가 구비되고, 상기 완충모듈(160)을 향하는 상기 제1 마감패널(150a11)의 단부에는 제1-2 돌기부(150a11T)가 구비되며, 상기 완충모듈(160)을 향하는 상기 제2 거치패널(150b31)의 단부에는 제2-1 돌기부(150b31T)가 구비되고, 상기 완충모듈(160)을 향하는 상기 제2 마감패널(150b11)의 단부에는 제2-2 돌기부(150b11T)가 구비되며, 상기 완충모듈(160)은, 상기 제3 자성수단(M3) 및 상기 제4 자성수단(M4)의 상방에는 일측으로 상기 제1-1 돌기부(150a31T)를 가고정 시키고, 타측으로 상기 제1-2 돌기부(150a11T)를 가고정 시키기 위한 제1 고정수단(161)이 구비되고, 상기 제3 자성수단(M3) 및 상기 제4 자성수단(M4)의 하방에는 일측으로 상기 제2-1 돌기부(150b31T)를 가고정 시키고, 타측으로 상기 제2-2 돌기부(150b11T)를 가고정 시키기 위한 제2 고정수단(162)이 구비된다.
상기 제1 고정수단(161)은 상기 제1-3 유동부(150a3)가 상기 제1 방향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1-1 돌기부(150a31T)를 가고정하고, 상기 제1 고정수단(161)은 상기 제2-3 유동부(150b3)가 상기 제3 방향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2-1 돌기부(150b31T)를 가고정하며, 상기 제2 고정수단(162)은 상기 제1-1 유동부(150a1)가 상기 제1 방향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1-2 돌기부(150a11T)를 가고정하고, 상기 제2 고정수단(162)은 상기 제2-1 유동부(150b1)가 상기 제3 방향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2-2 돌기부(150b11T)를 가고정하며, 상기 제1 고정수단(161)은 상기 제1-1 유동부(150a1)를 상기 제2 방향 유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1 돌기부(150a31T)의 가고정을 해제하고, 상기 제1 고정수단(161)은 상기 제2-1 유동부(150b1)의 상기 제4 방향 유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1 돌기부(150b31T)의 가고정을 해제하며, 상기 제2 고정수단(162)은 상기 제1-2 유동부(150a2)의 상기 제2 방향 유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2 돌기부(150a11T)의 가고정을 해제하고, 상기 제2 고정수단(162)은 상기 제2-2 유동부(150b2)의 상기 제4 방향 유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2 돌기부(150b11T)의 가고정을 해제하면, 상기 제1-3 유동부(150a3) 및 상기 제1-1 유동부(150a1)는 상기 완충모듈(160)의 탄성복원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방향으로 가속화되어 유동된다. 상기 제2-3 유동부(150b3) 및 상기 제2-1 유동부(150b1)는 상기 완충모듈(160)의 탄성복원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4 방향으로 가속화되어 유동되며, 상기 가고정은 강제끼움, 자성결합, 공압식 가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에 기반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유동모듈(150a)의 하부에는 제1 운송모듈(170)이 구비되어, 상기 제1 유동모듈(150a)을 일정범위 내에서 유동시키고, 상기 제2 유동모듈(150b)의 하부에는 제2 운송모듈(180)이 구비되어, 상기 제1 유동모듈(150a)을 일정범위 내에서 유동시키며, 상기 제1 운송모듈(170)은, 제1-1 베이스부(171)와, 상기 제1-1 베이스부(171)상에서 일정하게 유동되는 제1-2 베이스부(172)와, 상기 제1-2 베이스부(172)와 상기 제1 유동모듈(150a)의 상기 제1-1 유동부(150a1)를 결속시켜 상기 제1 유동모듈(150a)과 상기 제1 운송모듈(170)을 상호 연동시키기 위한 제1 연동부(173)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운송모듈(180)은, 제2-1 베이스부(181)와, 상기 제2-1 베이스부(181)상에서 일정하게 유동되는 제2-2 베이스부(182)와, 상기 제2-2 베이스부(182)와 상기 제2 유동모듈(150b)의 상기 제2-1 유동부(150b1)를 결속시켜 상기 제2 유동모듈(150b)과 상기 제2 운송모듈(180)을 상호 연동시키기 위한 제2 연동부(183)가 구비된다.
상기 제1-1 베이스부(171)는 상기 제2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을 향할수록 점차 저감되는 경사각을 가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2 베이스부(172)는 상기 제1-1 베이스부(171)와 대응하여 형합되는 형상으로서, 상기 제1-1 베이스부(171)로부터 상기 제2 방향 과 상기 제1 방향 간에 진퇴 유동되며, 상기 제2-1 베이스부(181)는 상기 제4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3 방향을 향할수록 점차 저감되는 경사각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2 베이스부(182)는 상기 제2-1 베이스부(181)와 대응하여 형합되는 형상으로서, 상기 제2-1 베이스부(181)로부터 상기 제4 방향 과 상기 제3 방향 간에 진퇴 유동된다. 상기 제2 거치패널(150b31) 상에는 상기 가공 대상물을 거치하기 위한 거치모듈(190)이 구비되며 상기 가공 대상물은 상기 거치모듈(190) 상에 거치되며, 상기 거치모듈(190)은, 상기 제2 거치패널(150b31) 상에 구비되는 패널부(191)와, 상기 패널부(191) 상에 연직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2 거치패널(150b31)의 길이방향 및 높이 방항으로 각기 유동 가능한 적어도 한 쌍의 기둥부(192)가 구비되며, 상기 기둥부(192)의 내측면 높이방향 상에는 고정돌기(192a)가 다수로 형성되어 상기 가공 대상물을 가고정 시킨다.
도 16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방지 가공처리 하기 위한 제2 표면처리 가공수단를 도시한 도면이다. 오염방지 가공처리 하기 위한표면처리 가공수단는 컨베이어(200)상에서 이송되는 전술한 대상물피코팅물의 일정높이에 고정된 고정부(215)에 축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215)에배치되는 회전수단(220)에 의해 회전되는 센터 사프트(225)와, 상기 센터 사프트(225)의 상부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상방 수평보(230)와, 상기 상방 수평보(230)의
양측에 교차하게 수직으로 배치되는 사이드 수직바(240)와, 상기 상방 수평보(230)에 미끄럼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240)가 수직으로 미끄럼 결합되며, 상기 상방 수평보(230)에 고정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240)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고정수단(242)을 구비한 이동블럭(245)과, 상기 상방 수평보(230)의 양측하부에서상기 사이드 수직바(240)에 미끄럼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240)에 고정되기 위한 제2 고정수단(247)을 구비하며, 상기 대상물에 도포되는 도포액를 공급받아 분사부(252)에 의해 대상물에 분사하는 스프레이건(250) 및 상기 스프레이건(250)에 가압된 공기를 제공하여 도포액를 상기 대상물에 분사시키는 공압펌프(2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센터 사프트(225)가 회전수단(220)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센터 사프트(225)에 고정된 상방 수평보(230)가 회전되고, 상방 수평보(230)의 양측에서 사이드 수직바(240)의 하부에 결합된 스프레이건(250)도 회전되는데, 스프레이건(250)의 회전에 의해 스프레이건(250)의 하방에서 연속적으로 이동되는 상기 대상물의 모든 면에 코팅재가 분사부(252)에서 미세하게 분사되어 고른 두께로 도포되고, 코팅재의 도포시간도 단축된다. 그리고, 상방 수평보(230)와 상기 사이드 수직바(240)에는 상기 스프레이건(250)의 수평위치 및 수직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눈금이 형성되는데, 작업자가 각 도포물에 따라 얻어진 도포액의 분사거리를 테이블화 하고, 이에 맞게 스프레이건(250)의 수평위치를 상방 수평보(230)에서 조절하고, 사이드 수직바(240)에서 수직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도포물에 맞게 미세하게 도포액을 분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고정수단(242)은 이동블럭(245)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상방 수평부에 이동블럭(245)을 고정시키는 수직나사 및 이동블럭(245)에 수평으로 결합되어 사이드 수직바(240)를 이동블럭(245)에 고정시키는 수평나사이 다. 또한, 제2 고정수단(247)은 스프레이건(250)을 사이드 수직바(240)의 하부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스프레이건(250)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회전을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어야 하는데, 사이드 수직바(240)에 스프레이건(250)을 축 결합하여 연결하는 축바가 형성되고 외주부에 원주방향으로 홀이 형성된 연결판과 연결판의 홀을 통해 스프레이건(250)에 끼워짐으로써, 스프레이건(250)의 분사각을 고정하는 핀 등으로 구성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215)의 일측에는 도포액를 공급하는 도포액 공급부(265) 및 상기 공압탱크(260)가 고정되고, 상기 센터 사프트(225)의 하부에는 상기 도포액 공급부(265)와 관(267)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스프레이건(250)에 관(267)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프레이건(250)으로 도포액의 공급을 차단하는 도포액 개폐밸브(270)를 구비한 도포액 연결부(275)가 구비되고, 상기 도포액 연결부(275)의 하부에는 상기 공압탱크(260)와 상기 스프레이건(250)에 관(267)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스프레이건으로 가압공기의 공급을 차단하는 가압공기 차단밸브(276)를 구비한 공압 연결부(277)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센터 사프트(225)에는 모터(286)나 실린더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블럭(245)을 수평으로 이동시킬 수있는 수평이동수단(280)이 구비되는데, 모터(286)에 의해 이동블럭(245)을 이동시키는경우, 모터(286)는 센터 사프트(225)에 상방 수평보(230)를 고정시키는 센터블럭(226)의 일면에 한 쌍이 고정되고, 모터(286)에는 스크류 환봉(287)에 연결되며, 스크류 환봉(287)은 이동블럭(245)의 저면부에 결합되는 암스크류(288)에 연결되고, 모터(286)의 구동에 의해 이동블럭(245)은 상방 수평보(230)에서 미끄럼이동된다. 이때, 이동블럭(245)의 이동거리는 모터(286)에 결합된 엔코더에 의해 모터(286)의 축 회전수와 모터(286)의 일회전에 의해 스크류 환봉(287)에서 이동되는 암스크류(288)의 이동거리에 의해 계산할 수 있다. 한편, 모터(286)는 제어부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의해 일정각도로 회전되고, 모터(286) 축의 브레이크 기능이 있는 스텝모터(286)를 사용함으로써, 제어부의 의한 모터제어가 간단해질 수 있으며, 브레이크 기능에 모터(286)축을 홀딩하여 이동블럭(245)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블럭(245)은 모터(286)를 제어하는 제어부에 이동블럭(245)의 이동거리를 설정하고, 제어부에 의해 이동거리에 맞는 회전수로 모터(286)가 회전됨으로써 상방 수평보(230)에서 이동되는데, 이동블럭(245)의 이동 거리는 대상물에 대응하스프레이건(250)의 위치에 맞게 제어부에서 미리 설정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이동블럭(245)에는 사이드 수직바(240)를 수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290)이 구비되는데, 높이조절수단(290)도 수평이동수단(280)과 마찬가지로 모터(286)와 스크류 조합, 또는 공압 실린더의 사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는, 높이조절수단(290)은 모터(296)가 이동블럭(245)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스크류 환봉(297)이 이동블럭(245)에 축 결합되며, 모터(286)와 스크류 환봉(297)이 피니언 기어(299)로 연결되고, 스크류 환봉(297)이 스프레이건(250)에 고정된 암스크류(298)로 연결되며, 이동블럭(245)에 미끄럼 결합된 사이드 수직바(240)가 모터(296)의 구동에 의해 이동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는데, 이동블럭(245)의 이동방식과 같은 방식으로 이동거리가 계산되고, 제어부에 의해 모터(296)의 회전수가 제어됨으로써 사이드 수직바(240)는 대상물에 맞는 스프레이건(250)의 위치에 맞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레이건(250)의 분사부(252)은 스프레이건(250)의 단부에서 상기 대상물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센터사프트(225)의 회전에 의해 스프레이건(250)이 회전되는 경우, 코팅재가 상기 대상물을 향해 하방으로 고르게 분사된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염방지 가공처리 하기 위한 제2 표면처리 가공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컨베이어(200)는 하부에 소정의 지지체(210a)가 다수 구비되며, 상기 지지체(210a)는 하단부가 소정의 체결모듈(1000)에 수용되어 결합된다. 상기 지지체(210a)는, 하방을 향하는 기둥부(210a1)와, 상기 기둥부(210a1)의 상방 제1 영역(L1)과 하방 제2 영역(L2) 사이의 측면부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연장부(210a2)가 구비된다. 도 21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제2 표면처리 가공수단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스프레이건(250)의 전단부 상에는 소정의 분사부(252)와, 상기 분사부(252)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며 일정범위로 틸트 유동되는 벽체 또는 바 형상인 하나 이상의 가변부(291)가 구비되어 상기 분사부(252)로부터 분사되는 도포액의 분사범위를 조절한다. 상기 가변부(291)의 내측면 상에는 다수의 석션부(SH)구비되어 상기 분사부(252)로부터 분사되는 도포액적어도 일부를 흡입하며, 상기 가변부(291)의 외측면 상에는 에어 분사를 위한 다수의 에어 분사부(252)가 구비된다.
상기 스프레이건(250)의 상기 가변부(291)는 전체적 또는 개별적으로 정회전 동작 하거나 역회전 동작된다. 상기 스프레이건(250)의 후단부 상에는 상기 분사부(252)의 토출에 기반하는 반동을 상쇄시키기 위한 에어를 분사하는 역분사부(292)가 구비되며, 상기 스프레이건(250)의 하단부 상에는 상기 분사부(252) 및 상기 역분사부(292)의 동작에 기반하는 반동을 상쇄시키기 위한 제2 역분사부(293)가 구비된다. 상기 역분사부(292)는 틸팅구조부(PT1)를 통해 틸팅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 역분사부(293)은 좌우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코팅장치는 일정 범위로 유동 가능한 소정의 가이드 수단(GM)과, 상기 가이드 수단(GM)에 의하여 가이드되는 차단부(미도시)가 구비되며, 상기 차단부는, 소정 면적을 가지는 차단몸체(294)와, 상기 차단몸체(294)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 출몰부(295)와, 상기 차단몸체(294)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 출몰부(296)와, 상기 차단몸체(294)로부터 좌측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3 출몰부(297)와, 상기 차단몸체(294)로부터 우측방향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4 출몰부(미도시)가 구비된다.
도 23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차단부는 상기 차단몸체(294)로부터 돌출된 상기 제2 출몰부(296)를 통해 상기 컨베이어(200) 상의 가공 대상물들을 상호 일정하게 이격 시킨다. 상기 스프레이건(250)은 상기 스프레이건(250)의 전단부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소정의 암모듈(RB)이 구비되며, 상기 암모듈 둘레부 적어도 일부영역 상에 소정의 제1 함입홈(RH1)이 형성된다. 상기 암모듈(RB)은 소정의 관절형 가이드부(GM1)와 상기 가이드부(GM1)로부터 연장되는 본체모듈(BM)이 구비된다. 상기 암모듈(RB)은 상기 제1 함입홈(RH1) 상에 삽입되어 거치된다. 상기 제1 함입홈(RH1)의 내부에는 상기 제1 함입홈 깊이 이상으로 소정의 제2 함입홈(RH2)이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암모듈(RB)의 상기 가이드부(GM)는 상기 제2 함입홈(RH2) 상에 삽입되어 거치되며, 상기 암모듈(RB)의 상기 본체모듈(BM)은 상기 제1 함입홈(RH1) 상에 삽입되어 거치된다. 상기 본체모듈(BM)은 상기 가이드부(GM)의 단부에 위치되는 히팅부(HM)와 상기 히팅부(HM)의 상방을 개폐시키는 계폐형 촬영부로 구비되며, 상기 촬영부는 제1 촬영부(CM1) 및 제2 촬영부(CM2)로 구비되어 회동을 통해 상기 히팅부(HM)의 상면을 폐쇄 또는 노출시키며, 상기 히팅부(HM)과 마주하는 상기 제1 촬영부(CM1)의 저면부 상에는 제1 단열패널(CH1)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촬영부(CM2)의 저면부 상에는 제2 단열패널(CH2)이 구비된다. 상기 히팅부(HM)의 둘레부 제1 영역에는 제5 단열패널(CH5)이 구비되며, 회동 시 상기 히팅부(HM)의 상기 제5 단열패널(CH5)과 마주접하게 되는 상기 제1 촬영부(CM1)의 둘레부 상에는 제3 단열패널(CH3)이 구비된다. 상기 히팅부(HM)의 둘레부 제2 영역에는 제6 단열패널(CH6)이 구비되며회동 시 상기 히팅부(HM)의 상기 제6 단열패널(CH6)과 마주접하게 되는 상기 제2 촬영부(CM2)의 둘레부 상에는 제3 단열패널(CH3)이 구비된다.
도 25 내지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표면처리 가공수단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스프레이건(250)은 상기 스프레이건(250)의 전단부를 향하여 유동되는 소정의 제2 암모듈(RB2)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암모듈(RB2) 둘레부 적어도 일부영역 상에 소정의 제3 함입홈(RH3)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암모듈(RB2)은 소정의 관절형 제2 가이드부(GM2)와 상기 제2 가이드부(GM2)로부터 연장되는 제2 본체모듈(BM2)이 구비된다. 상기 제2 암모듈(RB2)은 상기 제3 함입홈(RH3) 상에 삽입되어 거치된다.
상기 제3 함입홈(RH3)의 내부에는 상기 제3 함입홈(RH3) 깊이 이상으로 소정의 제4 함입홈(RH4)이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2 암모듈(RB2)의 상기 제2 가이드부(GM2)는 상기 제4 함입홈(RH4) 상에 삽입되며, 상기 제2 암모
듈(RB2)의 상기 제2 본체모듈(BM2)은 상기 제3 함입홈(RH3) 상에 삽입되어 거치된다. 상기 본체모듈(BM)은 상기 제1 함입홈(RH1)에 대응하여 커브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암모듈(RB2)은 상기 제3 함입홈(RH3)에 대응하여 커브
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 암모듈(RB2)은, 상기 제2 가이드부(GM2) 단부상에 구비되는 제2-1 암모듈(UM)과, 상기 제2-1 암모듈(UM)로부터 왕복 유동되는 제2-2 암모듈(DM)이 구비되며, 상기 제2-1 암모듈(UM)의 저면부 상에는 출몰식 제1
브러쉬(BR1)가 구비되고, 상기 제2-2 암모듈(DM)의 상면부 상에는 출몰식 제2 브러쉬(BR2)가 구비된다. 상기 제2-1 암모듈(UM)과 상기 제2-2 암모듈(DM)이 이격된상태에서, 상기 제1 브러쉬(BR1)는 상기 제2-1 암모듈(UM)로부터 돌출되어 회전하며 상기 제2 브러쉬(BR2)는 상기 제2-2 암모듈(DM)로부터 돌출되어 회전하는 브러시 회전모드로 동작되며, 상기 제2 암모듈(RB2)은 상기 브러시 회전모드 동작 상태에서 상기 제1 브러쉬(BR1)와 상기 제2 브러쉬(BR2) 사이로 상기 가변부(291) 및 상기 분사부(252) 각각을 위치되도록 하여 세척한다. 상기 제1 브러쉬(BR1) 및 상기 제2 브러쉬(BR2)는 수평방향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제1 회전모드 및 수직방향 수직 방향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제2 회전모드로 동작한다. 한편, 본체모듈(BM)의 상기 촬영부는 상기 가변부(291) 및 상기 분사부(252) 주변 상태를 모니터링한 이후 상기 본체모듈(BM)의 상기 히팅부(HM)는 상기 가변부(291) 및 상기 분사부(252) 주변에 열을 가하며, 상기 가변부(291) 및 상기 분사부(252) 주변에 열을 가한 이후 상기 제2 본체모듈(BM2)이 상기 가변부(291) 및 상기 분사부(252)를 세척하며, 상기 세척 이후에 상기 본체모듈(BM)의 상기 촬영부가 세척 상태를 모니터링 한다.
도 28 내지 도 32은 본 발명의 표면처리 가공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8 내지 도 32을 참조하면, 전술한 상기 제1 운송모듈(170) 및 상기 제2 운송모듈(180)의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지지부{(L) 또는 (L’)); 및 상기 지지부(L)에 결속되어, 상기 표면처리 가공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감쇄시키고 진동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멀티 범퍼모듈을 개시한다.
상기 멀티 범퍼모듈은 상기 지지부(L)를 거치하기 위한 제1 범퍼모듈(10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범퍼모듈(100')은, 상기 지지부(L)의 단부 일영역이 안착되는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1 안착부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1 가압부(1112')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1 가압부(1112')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1 회전부(1113')가 구비되는 제1-1 범퍼모듈(1110')과, 상기 지지부(L)의 단부 타영역이 안착되는 제2 안착부(2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2 가압부(2112')와, 상기 제2 안착부(2111')와, 상기 제2 가압부(2112')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2 회전부(2113')가 구비되는 제1-2 범퍼모듈(211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가압부(1112')는 브릿지(B1)를 매개로 상기 제1 안착부(1111')를 진퇴시키며, 상기 제1 가압부(1112')의 상기 제1 안착부(1111') 대향면 상에는 제1-1 이격거리 감지센서(S11')와, 제1-2 이격거리 감지센서(S2')가 구비되고, 상기 제2 가압부(2112')는 브릿지(B1)를 매개로 상기 제2 안착부(2111')를 진퇴시키며, 상기 제2 가압부(2112')의 상기 제2 안착부(2111') 대향면 상에는 제2-1 이격거리 감지센서(S21')와, 제2-2 이격거리 감지센서(S22')가 구비되고,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1-1 이격거리 감지센서(S11')의 제1-1 정보값 및 상기 제1-2 이격거리 감지센서(S2')의 제1-2 정보값을, 상기 제2-1 이격거리 감지센서(S21')의 제2-1 정보값과 상기 제2-2 이격거리 감지센서(S22')의 제2-2 정보값과 대비하여 모니터링한다.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1-1 이격거리 감지센서(S11')의 제1-1 정보값과 상기 제1-2 이격거리 감지센서(S2')의 제1-2 정보값을 대비하여 모니터링하고,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2-1 이격거리 감지센서(S21')의 제2-1 정보값과 상기 제2-2 이격거리 감지센서(S22')의 제2-2 정보값을 대비하여 모니터링한다.
상기 지지부(L)는 바(bar) 형상체이며, 상기 지지부(L)의 하단부에는 각각 상방에서 하방으로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며 슬라이딩 방식으로 왕복유동 가능한 제1테이퍼 구조물(T1)과,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구비되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호 간에 탄성수단(CM)으로 연동되어 수평방향 간에 탄성복원력을 가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정합을 이루며,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기 제2 안착부(2111')와 정합을 이루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 사이에서 내부로 가압되어 안착되며,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는 각각 내부로부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을 향하는 경사면의 외부로 출몰되는 돌기(O)가 구비된다. 상기 돌기(O)는 상기 경사면을 따라 다수로 구비되고,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돌기(O)에 의하여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 상에 고정되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적어도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 접하는 접촉부가 엘라스토머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기(O)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O)가 삽입된다.
상기 지지부(L)의 양측면 상에는 각각 높이방향 상으로 유동되는 승하강 수단(UP)이 구비되며, 상기 제1-1 범퍼모듈(1110')의 상기 제1 회전부(1113')와 상기 제1-2 범퍼모듈(2110')의 상기 제2 회전부(2113')의 상면부 제1 수평영역 상에는 상기 지지부(L)를 향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왕복 유동 가능한 고정수단(HM)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고정수단(HM)은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상기 제1 안착부(1111 및 상기 제2 안착부(2111') 상에 안착된 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의 상방 노출면인 제2 수평영역 적어도 일부 가압하도록 유동되며, 상기 승하강 수단(UP)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수평영역 상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수단(HM)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하방으로 가압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수단(HM)은 상기 제2 수평영역 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빗변이 상기 지지부(L) 반대편을 향하도록 둘레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직삼각형상체이며, 상기 승하강 수단(UP)은 바) 또는 플레이트 형상체로서, 챔퍼가 형성된 하단부로 둘레방향으로 회전된 상기 고정수단(HM)의 상방을 가압하되, 상기 승하강 수단(UP)은 하단부가 상기 고정수단(HM)의 빗변 적어도 일부와 형합하도록 접촉하여 가압한다. 상기 멀티 범퍼모듈은 상기 제1 범퍼모듈(110')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2 범퍼모듈(2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범퍼모듈(200')은, 상기 제1-1 범퍼모듈(1110')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3 안착부(3111')와, 상기 제3 안착부(3111')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3 회전부(3113')가 구비되는 제2-1 범퍼모듈(3110')과, 상기 제1-2 범퍼모듈(2110')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4 안착부(4111')와, 상기 제4 안착부(4111')를 수평방향 상에서 일정영역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4 회전부(4113')가 구비되는 제2-2 범퍼모듈(4110')을 포함한다. 상기 제3 안착부(3111')는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4 안착부(4111')는 상기 제2 안착부(211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3 안착부(3111')와 상기 제4 안착부(4111')는 적어도 경사면 일부가 엘라스토머 재질로이루어지며, 상기 제3 안착부(3111'),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기 제3 회전부(3113') 및 상기 제4 회전부(4113')의 하방에는 상방과 하방간의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펌핑모듈(PM)이 구비되며, 상기 펌핑모듈(PM)은, 하판부(BL')와, 상기 제3안착부(3111'),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기 제3 회전부(3113') 및 상기 제4 회전부(4113')가 거치되며, 상기 하판부(BL')로부터 탄성수단 및 폄핑수단을 매개로 상방과 하방 간에 유동 가능한 상판부(UL')를 포함한다.
상기 펌핑수단은 유체의 내장 및 토출을 위하여 유체가 내장되는 내장체(I')와, 외부 가압힘 또는 진동에 기반하여 상기 내장체(I') 상에서 일정하게 유동되어, 상기 내장체(I')의 상기 유체가 분사되도록 하기 위한 가압체(P)가 구비된다. 상기 상판부(UL')와 상기 하판부(BL')는 상호간에 인력 또는 척력을 발생시키도도록 각각 자성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내장체(I')는 수평방향 단부 상으로 분사노즐(N')이 형성되어 상기 상판부(UL')와 상기 하판부(BL')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유체를 분사하되,상기 유체는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및 폴리스티렌 중 어느 하나인 열가소성 수지이거나, 유색을 띠는 기체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L)는, 외부 하중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을 매개로 상기 제1 범퍼모듈(110') 상에 1차 안착되되, 상기 제1 회전부(1113') 및 상기 제2 회전부(2113')의 선택적인 회전동작 제어에 기반하여 상기 지지부(L)의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상기 제2 범퍼모듈(200') 상에 2차 안착되거나, 기 설정값 이상의 하중이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를 강제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제2 범퍼모듈(200') 상에 2차 안착된다.
도 33 내지 도 34는 본 발명의 표면처리 가공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차이점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3 내지 도 34을 참조하면, 상기 멀티 범퍼모듈은, 상기 제1 범퍼모듈(110)과 상기 제2 범퍼모듈 사이에 구비되는 서브 범퍼모듈(3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서브 범퍼모듈(300)은, 상기 제1-1 범퍼모듈(1110)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1 서브 안착부(1111)S)와, 상기 제1 서브 안착부(1111)S)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1 서브 가압부(1112S)와, 상기 제1 서브 안착부(1111)S)와 상기 제1 서브 가압부(1112S)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1 서브 회전부(1113S)가 구비되는 제1 서브 범퍼모듈(3110)과, 상기 제1-2 범퍼모듈(2110)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2 서브 안착부(2111S)와, 상기 제2 서브 안착부(2111S)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2 서브 가압부(2112S)와, 상기 제2 서브 안착부(2111S)와 상기 제2 서브 가압부(2112S)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2 서브 회전부(2113S가 구비되는 제2 서브 범퍼모듈(4110)을 개시한다.
상기 제1 서브 가압부(1112S)는 브릿지(B1)를 매개로 상기 제1 서브 안착부(1111)S)를 진퇴시키며, 상기 제1 서브 가압부(1112S)의 상기 제1 서브 안착부(1111)S) 대향면 상에는 제1-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1S)와, 제1-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2S)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서브 가압부(2112S)는 브릿지(B1)를 매개로 상기 제2 서브 안착부(2111S)를 진퇴시키며, 상기 제2 가압부(2112)의 상기 제2 서브 안착부(2111S) 대향면 상에는 제2-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1S)와, 제2-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2S)가 구비되고,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1-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1S)의 제1-1 서브 정보값 및 상기 제1-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2S)의 제1-2 서브 정보값을, 상기 제2-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1S)의 제2-1 서브 정보값과 상기 제2-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2S)의 제2-2 서브 정보값과 대비하여 모니터링한다, 또한,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1-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1S)의 제1-1 서브 정보값과 상기 제1-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2S)의 제1-2 서브 정보값을 대비하여 모니터링하고,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2-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1S)의 제2-1 서브 정보값과 상기 제2-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2S)의 제2-2 서브 정보값을 대비하여 모니터링한다.
상기 제1 서브 안착부(1111)S)는, 상기 제2서브 안착부(2111S)를 향하는 대각선 상방 측면부에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챔퍼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서브 안착부(2111S)는, 상기 제1 서브 안착부(1111)S)를 향하는 대각선 상방 측면부에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챔퍼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L)는, 외부 하중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을 매개로 상기 제1 범퍼모듈(110)을 경유하여, 상기 제1 서브 범퍼모듈(3110) 상에 안착되되, 상기 제1 서브 회전부(1113S) 및 상기 제2 서브 회전부(2113S의 선택적인 회전동작 제어에 기반하여 상기 지지부(L)의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상기 제1 서브 범퍼모듈(3110) 상에 안착되거나, 기 설정값 이상의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를 강제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제1 서브 범퍼모듈(3110) 상에 안착된다.
상기 제3 안착부(3111) 및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에는 각각 다수의 완충구(EC가 구비되어, 상기 제1 범퍼모듈(100을 경유하는 상기 지지부(L)의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과 접하며, 상기 완충구(EC)는 상기 제3 안착부(3111) 및 상기 제4 안착부(4111)의 표면을 덮는 커버형 구조물로서 상호 이웃하여 복수로 배치된다. 상기 완충구(EC)는 내부에 유체 저장을 위한 포켓이 형성되며, 상기 제3 안착부(3111) 및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에서 내부로부터 외부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완충구(EC)는 내부에 유체 저장을 위한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3 안착부(3111) 및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에서 내부로부터 외부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외측 대각선 하부면이 챔퍼가 형성되며 상기 제3 회전부(3113)의 외곽을 가압하여 상기 제3 회전부(3113)의 유동을 제한하는 제1 외곽 가압부(5100)와, 상기 제1 외곽 가압부(5100)에 상방 대각선 방향으로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1 구동부(5200)와, 상기 제1 구동부(5200)의 하방을 지지하는 제1 상단 패널부(5300)와, 상기 제1 상단 패널부(5300)의 하부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1 하단 패널부(5400)와, 상기 제1 상단 패널부(5300)와 상기 제1 하단 패널부(5400) 사이에 구비되며 내부에 시각적 식별 및 후각적 식별을 위한 기체가 내장되는 제1 캡슐층이 다수 구비되어, 일정 수치의 가압힘이 가해지면 상기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구비되는 제1 캡슐패널(CP1)이 구비되는 제1 외곽 가압모듈(500)과, 상기 제1 외곽 가압모듈(500)의 외측에서 상방과 하방간에 일정 높이로 유동되어, 상기 제1 캡슐층의 기체를 외부로 가속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제1 배출수단(BM1)이 내장되는 제1 배출모듈(550)과, 외측 대각선 하부면이 챔퍼가 형성되며 상기 제4 회전부(4113)의 외곽을 가압하여 상기 제4 회전부(4113)의 유동을 제한하는 제2 외곽 가압부(6100)와, 상기 제2 외곽 가압부(6100)에 상방 대각선 방향으로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2 구동부(6200)와, 상기 제2 구동부(6200)의 하방을 지지하는 제2 상단 패널부(6300)와, 상기 제2 상단 패널부(6300)의 하부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2 하단 패널부(6400)와, 상기 제2 상단 패널부(6300)와, 상기 제2 하단 패널부(6400) 사이에 구비되며 내부에 시각적 식별 및 후각적 식별을 위한 기체가 내장되는 제2 캡슐층이 다수 구비되어, 일정 수치의 가압힘이 가해지면 상기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구비되도록 하는 제2 캡슐패널(CP2)가 구비되는 제2 외곽 가압모듈(600)과, 상기 제2 외곽 가압모듈(600)의 외측에서 상방과 하방간에 일정 높이로 유동되어, 상기 제2 캡슐층의 기체를 외부로 가속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제2 배출수단(BM2)이 내장되는 제2 배출모듈(650)을 개시한다.
상기 제1 캡슐패널(CP1)은 제1-1 캡슐패널(CP11)과, 상기 제1-1 캡슐패널(CP11)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2 캡슐패널(CP12)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캡슐패널(CP2)은 제2-1 캡슐패널(CP21)과, 상기 제2-1 캡슐패널(CP21)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2 캡슐패널(CP2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출모듈(550)의 상기 제1 배출수단(BM1)은 제1 배출수단(BM11)과, 상기 제1 배출수단(BM11)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2 배출수단(BM12)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배출모듈(650)의 상기 제2 배출수단(BM2)은 제2-1 배출모듈(BM21)과, 상기 제2-1 배출모듈(BM21)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2 배출모듈(BM2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출모듈(550)은 상기 기체의 배출을 위하여, 상기 제1 배출수단(BM11) 및 상기 제1-2 배출수단(BM12)이 상기 제1-1 캡슐패널(CP11) 및 상기 제1-2 캡슐패널(CP12)에 대응하도록 유동되며, 상기 제2 배출모듈(650)은 상기 기체의 배출을 위하여, 상기 제2-1 배출모듈(BM21) 및 상기 제2-2 배출모듈(BM22)은 상기 제2-1 캡슐패널(CP21) 및 상기 제2-2 캡슐패널(CP22)에 대응하도록 유동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단열 외벽 패널 20' : 슬래브
30' : 갱폼 프레임 40' : 결속용 볼트
50' : 벽철근 60' : 슬래브 철근
70' : 유로폼 80' : 긴결재
90' : 동바리 100' : 실링재

Claims (5)

  1. 기형성된 아파트 외벽에 철판이 미형성된 갱폼 프레임을 고정시키는 제 1공정; 상기 갱폼 프레임의 내측면에 단열 외벽 패널을 긴결시키는 제 2공정; 상기 단열 외벽 패널의 내측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벽철근을 배근하는 제 3공정; 상기 벽철근의 내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유로폼을 설치하되, 상기 갱폼 프레임과 단열 외벽 패널 및 유로폼을 긴결재로 긴결시키는 제 4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단열 외벽 패널은 표면처리 가공수단을 통해 오염방지 가공처리된 것이며,
    상기 표면처리 가공수단은,
    분사유닛과, 상기 분사유닛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유닛과, 상기 지지
    유닛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유닛은 소정의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유닛에 대해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피벗부와, 상기 피벗부에서 외측방향으로 가이드부에 대해 일정각도로 교차되게 연장된 연장부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지지유닛의 피벗부가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수직폴대와, 상기 수직폴대가 높이 조절가능 하게 설치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폴대의 상단에는 피벗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피벗연결부에는 상기 지지유닛의 피벗부가 피벗축을 매개로 피벗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홀더의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블럭이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가이드부와, 상기 하부가이드부로부터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식의 동작 및 진퇴 동작을 수행하는 상부가이드부로 구비되며,
    상기 분사유닛은 상기 하부가이드부 상에 구비되는 하부분사유닛과, 상기 상부가이드부 상에 구비되는 상부분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가이드부는 상호 간에 틸팅 가능한 복수의 마디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가이드부 상의 상기 상부분사유닛 둘레부 적어도 일부 상에는 분사제어모듈이 구비되어 상기 상부분사유닛의 코팅물질 분사범위 및 분사 용량을 제어하며,
    상기 분사제어모듈은,
    상기 상부가이드부의 길이방향 상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왕복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 분사제어모듈과, 상기 상부가이드부의 길이방향 단부 상에서 틸트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 분사제어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제1 분사제어모듈은 내측면 상에 진퇴형 제1 실린더모듈, 상기 제1 실린더모듈과 이웃하는 진퇴형 제2 실린더모듈, 상기 제1 실린더모듈로부터 출몰되는 제1 피스톤모듈, 상기 제2 실린더모듈로부터 출몰되는 제2 피스톤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제2 분사제어모듈은 내측면 상에 진퇴형 제3 실린더모듈, 상기 제3 실린더모듈과 이웃하는 진퇴형 제4 실린더모듈, 상기 제3 실린더모듈로부터 출몰되는 제3 피스톤모듈, 상기 제4 실린더모듈로부터 출몰되는 제4 피스톤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실린더모듈과 상기 제3 실린더모듈은 상호간에 대향하며, 상기 제2실린더모듈과 상기 제4 실린더모듈은 상호간에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피스톤모듈 내지 상기 제4 피스톤모듈은 상호간에 출몰 거리 설정을 통해 상기 상부분사유닛의 코팅물질 분사범위 및 분사용량을 제어하되,
    상기 제1, 2 실린더모듈은 상기 제1 분사제어모듈의 단부 길이방향 상에서 소정 범위로 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3, 4 실린더모듈은 상기 제2 분사제어모듈의 단부 길이방향 상에서 소정 범위로 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분사제어모듈의 단부 상에는 제1 집게형 파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 분사제어모듈의 단부 상에는 제2 집게형 파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집게형 파지부와 상기 제2 집게형 파지부를 통해 오염방지 처리를 위한 파지를 위한 것이며, 상기 표면처리 가공수단은 소정의 제1 유동모듈 상에 위치되고, 가공 대상물은 소정의 제2 유동모듈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1 유동모듈은,
    최하단 제1-1 유동부와, 상기 제1-1 유동부의 상단에 위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는 제1-2 유동부와, 상기 제1-2 유동부의 상단에 위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는 제1-3 유동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1 유동부는 하방에 소정의 제1 마감패널이 구비되며,
    상기 제1-3 유동부는 상방에 상기 표면처리 가공수단이 거치되는 제1 거치패널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유동모듈은,
    최하단 제2-1 유동부와,
    상기 제2-1 유동부의 상단에 위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는 제2-2 유동부와,
    상기 제2-2 유동부의 상단에 위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는 제2-3 유동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1 유동부는 하방에 소정의 제2 마감패널이 구비되며,
    상기 제2-3 유동부는 상방에 상기 가공 대상물이 거치되는 제2 거치패널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유동모듈과 상기 제2 유동모듈 사이에는 완충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유동모듈과 상기 제2 유동모듈은 상호 간에 이격 방향 또는 충돌방향을 향해 유동됨에 있어,
    상기 완충모듈과의 접촉을 매개로 상호 가속유동되거나 완충유동되는 아파트 단열 외벽 패널 시공방법.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1 유동부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의 상기 완충모듈을 향하는 내측단부 상에는 제1 자성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제2-1 유동부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의 상기 완충모듈을 향하는 내측단부 상에는 제2 자성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자성수단과 대향하는 상기 완충모듈의 일측에는 제3 자성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자성수단과 대향하는 상기 완충모듈의 타측에는 제4 자성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제1-1 유동부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가 상기 완충모듈을 향하는 제1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 상기 제1 자성수단과 상기 제3 자성수단은 상호 간에 상이한 극성을 띠도록 설정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시키고,
    상기 제1-1 유동부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가 상기 완충모듈의 반대측을 향하는 제2 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 상기 제1 자성수단과 상기 제3 자성수단은 상호간에 동일한 극성을 띠도록 설정되어,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시키며,
    상기 제2-1 유동부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가 상기 완충모듈을 향하는 제3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 상기 제2 자성수단과 상기 제4 자성수단은 상호 간에 상이한 극성을 띠도록 설정되어, 상기 제3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시키고,
    상기 제2-1 유동부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가 상기 완충모듈의 반대측을 향하는 제4 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 상기 제2 자성수단과 상기 제4 자성수단은 상호간에 동일한 극성을 띠도록 설정되어, 상기 제4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시키며,
    상기 완충모듈은 상기 제3 자성수단과 상기 제4 자성수단 사이에 탄성수단이구비되어,
    상기 제3 자성수단과 상기 제4 자성수단을 통해 가해지는 외력에 대응하는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며,
    상기 완충모듈은,
    상기 제1-1 유동부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유동에기반하여 상기 제3 자성수단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과, 상기 제2-1 유동부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의 상기 제3 방향으로의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4 자성수단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며,
    상기 제1-1 유동부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화시키며, 상기 제3 자성수단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과, 상기 제2-1 유동부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의 상기 제3 방향으로의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4 자성수단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며,
    상기 제1-1 유동부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의 상기 제3 방향으로의 유동을가속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3 자성수단에 대하여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제2-1 유동부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의 상기 제4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4 자성수단에 대하여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는 아파트 단열 외벽 패널 시공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완충모듈을 향하는 상기 제1 거치패널의 단부에는 제1-1 돌기부가 구비되고,
    상기 완충모듈을 향하는 상기 제1 마감패널의 단부에는 제1-2 돌기부가 구비되며,
    상기 완충모듈을 향하는 상기 제2 거치패널의 단부에는 제2-1 돌기부가 구비되고,
    상기 완충모듈을 향하는 상기 제2 마감패널의 단부에는 제2-2 돌기부가 구비되며,
    상기 완충모듈은,
    상기 제3 자성수단 및 상기 제4 자성수단의 상방에는 일측으로 상기 제1-1돌기부를 가고정 시키고, 타측으로 상기 제1-2 돌기부를 가고정 시키기 위한 제1고정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제3 자성수단 및 상기 제4 자성수단의 하방에는 일측으로 상기 제2-1돌기부를 가고정 시키고, 타측으로 상기 제2-2 돌기부를 가고정 시키기 위한 제2고정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제1 고정수단은 상기 제1-3 유동부가 상기 제1 방향 유동에 기반하여상기 제1-1 돌기부를 가고정하고,
    상기 제1 고정수단은 상기 제2-3 유동부가 상기 제3 방향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2-1 돌기부를 가고정하며,
    상기 제2 고정수단은 상기 제1-1 유동부가 상기 제1 방향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1-2 돌기부를 가고정하고,
    상기 제2 고정수단은 상기 제2-1 유동부가 상기 제3 방향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2-2 돌기부를 가고정하며,
    상기 제1 고정수단은 상기 제1-1 유동부를 상기 제2 방향 유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1 돌기부의 가고정을 해제하고,
    상기 제1 고정수단은 상기 제2-1 유동부의 상기 제4 방향 유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1 돌기부의 가고정을 해제하며,
    상기 제2 고정수단은 상기 제1-2 유동부의 상기 제2 방향 유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2 돌기부의 가고정을 해제하고,
    상기 제2 고정수단은 상기 제2-2 유동부의 상기 제4 방향 유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2 돌기부의 가고정을 해제하면,
    상기 제1-3 유동부 및 상기 제1-1 유동부는 상기 완충모듈의 탄성복원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방향으로 가속화되어 유동되고,
    상기 제2-3 유동부 및 상기 제2-1 유동부는 상기 완충모듈의 탄성복원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4 방향으로 가속화되어 유동되며,
    상기 가고정은 강제끼움, 자성결합, 공압식 가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에 기반하는 것인 아파트 단열 외벽 패널 시공방법.
KR1020180053567A 2018-05-10 2018-05-10 아파트 단열 외벽 패널 시공방법 KR101947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567A KR101947958B1 (ko) 2018-05-10 2018-05-10 아파트 단열 외벽 패널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567A KR101947958B1 (ko) 2018-05-10 2018-05-10 아파트 단열 외벽 패널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7958B1 true KR101947958B1 (ko) 2019-05-02

Family

ID=66581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567A KR101947958B1 (ko) 2018-05-10 2018-05-10 아파트 단열 외벽 패널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79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27118A (zh) * 2021-03-01 2021-06-25 中建二局第三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可周转散拼式单边支模型钢支架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4107A (ko) * 2003-11-07 2005-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형 오리피스를 갖춘 커먼레일 인젝터
KR100984646B1 (ko) * 2010-03-22 2010-10-01 주식회사 진산기계 비드분사조절기를 구비한 차선도포기
KR101154542B1 (ko) 2010-03-11 2012-06-13 광건티앤씨(주) 기밀 및 단열 효과가 뛰어난 외벽패널의 설치구조
KR101309735B1 (ko) * 2011-11-25 2013-09-17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친환경 아파트 단열 외벽 패널 시공방법
KR101505322B1 (ko) * 2013-10-29 2015-03-23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태양전지용 초친수 오염방지 코팅물질 뿜칠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4107A (ko) * 2003-11-07 2005-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형 오리피스를 갖춘 커먼레일 인젝터
KR101154542B1 (ko) 2010-03-11 2012-06-13 광건티앤씨(주) 기밀 및 단열 효과가 뛰어난 외벽패널의 설치구조
KR100984646B1 (ko) * 2010-03-22 2010-10-01 주식회사 진산기계 비드분사조절기를 구비한 차선도포기
KR101309735B1 (ko) * 2011-11-25 2013-09-17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친환경 아파트 단열 외벽 패널 시공방법
KR101505322B1 (ko) * 2013-10-29 2015-03-23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태양전지용 초친수 오염방지 코팅물질 뿜칠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27118A (zh) * 2021-03-01 2021-06-25 中建二局第三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可周转散拼式单边支模型钢支架
CN113027118B (zh) * 2021-03-01 2021-12-14 中建二局第三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可周转散拼式单边支模型钢支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21425B1 (en) Wall frame
US5277013A (en) Wall panel for modular buildings and method of assembly
KR101947958B1 (ko) 아파트 단열 외벽 패널 시공방법
AU2014201474B2 (en) Plastic wall panel
KR101908292B1 (ko) 건물 내진 보강 공법
KR101933871B1 (ko) 아파트 벽체의 내진 성능 개선 방법
KR100949937B1 (ko)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부 보수보강을 위한 양방향 이동식 작업대를 가진 에폭시 주입장치
KR101945195B1 (ko) 건물 외부 벽체의 보강 보수공법
KR101908895B1 (ko) 아파트 천장슬라브 시공방법
KR101928742B1 (ko) 내진보강장치를 이용한 아파트 건물의 내진보강공법
CN107429536B (zh) 用于生产窗户的垫块的方法
US20180106049A1 (en) Fitting external insulation systems to buildings
KR101913073B1 (ko) 아파트의 천장패널 시공방법
CN111894037B (zh) 沉管预制装配式端封门安装施工方法
JP2005240382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下面補修方法
KR101931055B1 (ko) 아파트 지하주차장 시공 방법
KR101908896B1 (ko) 아파트 배란다 배수처리 시스템 시공방법
KR101928743B1 (ko)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
KR101929230B1 (ko) 리모델링 건축물의 내진성능 보강을 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강 유닛
CN101666143B (zh) 以大规格饰面砖为饰面层的聚氨酯保温系统施工方法
CN214328574U (zh) 一种桥梁加固用桥面裂缝修补装置
KR101922837B1 (ko) 어스 앵커
KR101922836B1 (ko) 지지버팀보용 강관 연결장치
CN210126541U (zh) 一种高效的建筑用材料装卸装置
CN213008259U (zh) 一种轻质建筑板材吊装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