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6992B1 - 센서 조립체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센서 조립체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6992B1
KR101926992B1 KR1020170114115A KR20170114115A KR101926992B1 KR 101926992 B1 KR101926992 B1 KR 101926992B1 KR 1020170114115 A KR1020170114115 A KR 1020170114115A KR 20170114115 A KR20170114115 A KR 20170114115A KR 101926992 B1 KR101926992 B1 KR 101926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in
housing
holder
mold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4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다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1020170114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69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6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6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00Details of instruments
    • G01P1/02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36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 F16H59/38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of gearing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서 조립체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센서 조립체 제조 방법은 하우징 사출 공정 이후에 홀더의 고정핀을 절단하는 고정핀 절단 공정을 더 포함하고, 센서 조립체 제조장치는 밀핀에 장착되어 작동하면서 고정핀을 절단하는 절단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핀 절단이 자동으로 수행됨으로써 센서 조립체 제조가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센서 조립체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ensor assembly}
본 발명은 센서 조립체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미널, 센싱소자, 홀더, 하우징 등으로 이루어지는 센서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센서 조립체는 감지 대상 물리량을 감지하는 센싱소자 뿐만 아니라 작동 전원 인가 및 감지 신호 전달을 위한 터미널과, 센싱소자와 터미널을 연결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홀더와, 홀더 전체를 감싸서 센싱소자와 터미널을 보호하고 센서 조립체 설치를 위한 마운팅부와 커넥터 연결을 위한 커넥터부가 형성된 하우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센서 조립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계를 거쳐 제조된다.
먼저 터미널(1)이 내장되는 형태로 홀더(2)를 사출 성형한다(1차 사출). 홀더(2)의 양측부에는 하우징(5)을 형성하는 2차 사출 공정에서 홀더 조립체(홀더(2)에 터미널(1)과 센싱소자(3)가 조립된 상태)를 고정해주기 위한 고정핀(2a)이 형성된다. 이어 홀더(2)에 센싱소자(3)를 장착하고 레이저 용접으로 터미널(1)과 연결한다.
이어 홀더 조립체를 금형에 삽입하고 홀더 조립체를 감싸도록 하우징(5)을 사출 성형한다(2차 사출). 이때 금형에 부시(4)가 삽입되어 하우징(5)의 일측에 볼트 장착을 위한 마운팅부가 형성되고, 터미널(1)의 주변을 감싸는 커넥터부도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하우징(5) 사출 후에는 금형에서 하우징 조립체를 꺼내고, 하우징(5)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기 고정핀(2a)을 절단한다.
마지막으로 하우징(5)의 외주에 오링(6)을 설치하면 센서 조립체(7)의 제조가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센서 조립체(7)는 홀더(2) 사출과 하우징(5) 사출의 2차에 걸친 사출 공정을 통해 제조되는데, 하우징 사출 공정에서 홀더 조립체의 고정 상태 유지를 위해서 상기 홀더(2)의 측부에는 반드시 고정핀(2a)이 형성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고정핀(2a)은 센서 조립체(7) 제조 완료 후에는 불필요한 것이므로 하우징 조립체를 금형에서 분리한 후 일일이 수작업으로 절단해야만 했으며, 이에 따라 센서 조립체(7)의 제조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제조 시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48526호(2016.05.04. 공개)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홀더의 고정핀을 수작업으로 절단할 필요가 없게 됨으로써 센서 조립체의 제조가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센서 조립체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조립체 제조방법은 1차 금형에 터미널을 삽입하고 홀더를 사출 성형하는 홀더 사출 공정과, 상기 1차 금형에서 터미널과 일체화된 홀더를 꺼내어 홀더에 센싱소자를 장착하고 터미널과 센싱소자를 용접하는 센싱소자 용접 공정과, 상기 터미널과 센싱소자가 구비된 홀더 조립체를 2차 금형에 삽입하고 그 홀더 조립체를 감싸는 하우징을 사출 성형하는 하우징 사출 공정과, 상기 하우징이 성형된 하우징 조립체가 2차 금형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그 금형에 구비된 절단툴을 구동하여 홀더의 고정핀을 절단하는 고정핀 절단 공정 및 상기 고정핀이 절단된 하우징 조립체를 2차 금형에서 꺼낸 후 하우징의 외주부에 오링을 설치하는 오링 설치 공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조립체 제조방법은 상기 고정핀 절단 공정 직후에 절단된 고정핀을 공기압의 힘으로 2차 금형 외부로 강제 배출하는 고정핀 제거 공정을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조립체 제조장치는 상부고정플레이트와 하부고정플레이트, 상기 상부고정플레이트와 하부고정플레이트 각각에 고정된 상형부와 하형부, 상기 상형부와 하형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형부와 하형부 합형시 하우징 성형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코어와 하부코어, 상기 하부고정플레이트와 하형부와 하부코어를 관통하여 설치된 설치홀에 삽입 설치되어 그 설치홀을 따라 직선 이동하면서 상기 하우징 성형 공간의 외부로 돌출된 홀더 고정핀의 기단부를 절단하는 절단툴, 상기 설치홀로 삽입되어 절단툴에 연결된 밀핀, 상기 하부고정플레이트의 하측에 설치되어 밀핀의 하단이 장착되고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 작동되어 밀핀을 작동시키는 밀핀구동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상형부와 하형부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핀이 위치된 곳과 상형부와 하형부의 외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공기압 유입홀과 고정핀 배출홀이 형성된다.
상기 공기압 유입홀의 입구에 고압 에어가 충진된 에어탱크가 연결되고, 에어탱크의 출구에 전자제어밸브가 구비되며, 전자제어밸브는 제어유니트에 의해 하우징 사출 성형이 완료된 후 일시적으로 개방되었다가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핀 배출홀의 출구에 고정핀 배출 슈트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핀 배출 슈트는 일측 입구가 고정핀 배출홀의 출구와 마주보는 경사진 관체와, 관체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형부에 장착되는 플랜지와, 관체의 타측 단부에 수직 하방으로 절곡 연장되어 고정핀을 고정핀 배출 슈트의 수직 하방으로 배출시키는 하향 절곡부를 포함한다.
상기 절단툴은 일측 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절단날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절단툴에 나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밀핀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절단툴이 밀핀에 나사 조립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 사출 성형 후 제품을 금형에서 인출하지 않고 제품이 금형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홀더의 고정핀을 절단할 수 있게 됨으로써 고정핀을 수작업으로 절단하는 공정을 실시할 필요가 없게 되어 센서 조립체의 제조가 한층 용이하고 신속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금형 내에서 절단된 고정핀은 절단 이후 즉시 금형 외부로 배출되어 한 곳에 모아짐으로써 절단된 고정핀의 처리 작업도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절단툴이 밀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절단날 파손시 절단툴을 교체하여 고장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빠르게 제조를 재개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센서 조립체 제조방법을 설명한 공정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조립체 제조방법을 설명한 공정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조립체 제조장치의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조립체 제조장치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조립체 제조장치의 일 구성인 절단툴과 밀핀의 분해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조립체 제조방법을 설명한 공정 순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조립체 제조방법은, 홀더 사출 공정, 센싱소자 용접 공정, 하우징 사출 공정, 고정핀 절단 공정, 오링 설치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홀더 사출 공정은 1차 금형에 터미널(1)을 삽입하고 터미널(1)을 감싸도록 홀더(2)를 사출 성형하는 1차 사출 공정이다. 이 홀더 사출 공정에서 홀더(2)의 양쪽 측부에는 고정핀(2a)이 형성된다. 고정핀(2a)은 이후 설명할 하우징 사출 공정(2차 사출 공정)에서 2차 금형 내부에 홀더 조립체(터미널(1)과 센싱소자(3) 및 홀더(2)가 조립된 상태)를 고정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센싱소자 용접 공정은 1차 금형에서 터미널(1)과 일체화된 홀더(2)를 꺼내어 홀더(2)에 센싱소자(3)를 장착하고 레이저 용접으로 터미널(1)과 센싱소자(3)를 연결하는 공정이다.
상기 하우징 사출 공정은 터미널(1)과 센싱소자(3)가 구비된 홀더 조립체를 2차 금형에 삽입하고 그 홀더 조립체를 감싸도록 하우징(5)을 사출 성형하는 2차 사출 공정이다. 홀더 조립체를 감싸도록 하우징(5)이 사출 성형된 상태를 하우징 조립체로 칭한다.
상기 고정핀 절단 공정은 상기 홀더 조립체를 감싼 하우징 조립체가 2차 금형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2차 금형에 구비된 절단툴(60)(이후, 제조장치에 관한 설명에서 상세히 설명함)을 구동하여 홀더(2)의 고정핀(2a)을 절단하는 공정이다.
상기 오링 설치 공정은 고정핀(2a)이 절단된 하우징 조립체를 2차 금형에서 꺼낸 후 하우징(5)의 외주부에 오링(6)을 설치하는 공정이다.
한편, 상기 하우징 사출 공정에서는 2차 금형 내부에 홀더 조립체 뿐만 아니라 홀더 조립체와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부시(4)가 삽입되어 하우징(5)의 일측에 센서 조립체의 볼트 장착을 위한 마운팅부가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 사출 공정에서 터미널(1)의 일측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로 그 주변을 감싸는 커넥터부도 형성된다. 커넥터부는 센서 조립체와 제어유니트를 전선을 매개로 연결할 때 전선측 커넥터가 삽입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와 같이 고정핀 절단 공정에서 제품을 2차 금형에서 꺼내지 않고, 제품이 2차 금형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조장치에 구비된 절단툴(60)을 작동시켜 홀더(2)의 고정핀(2a)을 절단할 수 있게 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고정핀(2a)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절단할 필요가 없게 되어 고정핀 절단 작업이 한층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센서 조립체 제조 공정 전체의 사이클 타임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조립체 제조방법은 상기 고정핀 절단 공정 직후에 고정핀 제거 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핀 제거 공정은 2차 금형에 구비된 고정핀 제거장치(이후, 제조장치의 설명시 상세히 설명함)를 작동시켜 절단된 고정핀(2a)을 공기압의 힘으로 2차 금형 외부로 강제 배출하여 한 곳에 모아주는 공정이다.
이 고정핀 제거 공정에 의해 2차 금형을 분리하고 하우징 조립체를 꺼낼 때 절단된 고정핀(2a)이 작업을 방해하지 않게 되어 작업이 한층 수월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제거된 고정핀(2a)이 자동으로 한 곳에 모아질 수 있기 때문에 고정핀(2a)의 처리 작업도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제 상기와 같은 고정핀(2a)의 자동 절단과 제거 및 수거가 가능한 센서 조립체 제조장치에 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조립체 제조장치는 상기 하우징 사출 공정이 실시되는 2차 사출 금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이하, 고정핀(2a)의 절단과 제거 및 수거와 관련하여 언급되는 금형은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2차 금형을 지칭한다.)
상기 2차 사출 금형은 상부고정플레이트(10)와 하부고정플레이트(20), 상부고정플레이트(10)와 하부고정플레이트(20) 각각에 고정되고 상호 맞대어져 합형되는 상형부(30)와 하형부(40), 상기 상형부(30)와 하형부(40) 각각에 구비되어 상형부(30)와 하형부(40) 합형시 밀폐된 하우징 성형 공간(cavity)(C)을 형성하는 상형코어(35)와 하형코어(45)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 성형 공간(C)의 외측에는 홀더(2)의 양측 고정핀(2a)이 지지되는 고정핀 지지부가 존재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조립체 제조장치는 상기 금형을 관통한 설치홀 내에서 직선 이동하면서 상기 고정핀(2a)을 절단하는 절단툴(60)을 구비한다.
상기 절단툴(60)은 밀핀(70)에 의해 구동되는데, 상기 밀핀(70)은 절단툴 구동용 밀핀으로서 성형 완료된 제품을 금형에서 분리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품 분리용 밀핀(=이젝터 핀)과는 별도로 따로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절단툴(60)은 밀핀(70)의 단부에 장착되어 밀핀(70) 작동시 일체로 직선 이동한다.
절단툴(60) 설치홀과 밀핀(70) 설치홀은 동일 직선 상에 위치한 하나의 홀로서 하부고정플레이트(20)와, 하형부(40) 및 하형코어(45)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밀핀(70)의 하단은 하부고정플레이트(20)의 하측에 위치한 밀핀구동플레이트(50)에 장착되어 있으며, 밀핀구동플레이트(50)는 도시하지 않은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에 의해 구동된다. 이러한 밀핀 구동 장치는 일반적인 제품 취출용 밀핀의 구동장치와 동일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단툴(60)은 봉형 바디의 일측 단부에 절단날(61)이 돌출 형성된 것으로, 절단날(61)은 봉형 바디의 일측 평단면에서 그 단면의 일측 테두리부에 절단툴(60)의 길이 방향으로 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절단툴(60)이 금형에 설치될 때는 상기 절단날(61)이 하우징 성형 공간(C)에 인접한 고정핀(2a)의 기단 부분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설치 위치가 조정된다. 따라서, 양측 절단툴(60)은 도 4와 같이 각각의 절단날(61)이 서로 등진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절단툴(60)이 상향 이동할 때 고정핀(2a)의 기단부(홀더(2)와 고정핀(2a)의 연결부)를 절단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핀(2a)을 지지하는 고정핀 지지부의 하우징 성형 공간(C) 인접 부분에는 절단날(61)이 통과할 수 있는 절단날 통과홀이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밀핀(70)에 의해 구동되는 절단툴(60)이 구비됨으로써 하우징(5)의 사출 성형이 완료되고 소정 시간(경화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밀핀(70)을 구동하여 절단툴(60)을 고정핀(2a)쪽으로 이동시키면 절단툴(60)의 절단날(61)에 의해 고정핀(2a)이 절단된다.
이와 같이 금형을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 고정핀 절단 공정이 자동으로 수행됨으로써 고정핀 절단 공정이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진행된다. 따라서, 센서 조립체 제조 공정 전체의 진행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금형에는 공기압 유입홀(80)과 고정핀 배출홀(90)이 형성된다.
상기 공기압 유입홀(80)은 상형부(30) 또는 하형부(40)(도면에는 하형부(40)에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하였다.)를 관통하여 고정핀(2a)이 위치한 곳까지 연장 성형된 것이고, 상기 고정핀 배출홀(90)은 공기압 유입홀(80)의 반대쪽에서 고정핀(2a)이 위치한 곳으로부터 금형의 외부까지 관통 형성된 것이다.
공기압 유입홀(80)과 고정핀 배출홀(90)은 상형부(30)와 하형부(40) 각각에 형성된 홈이 상형부(30)와 하형부(40) 합형시 서로 합해져서 하나의 홀을 이루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압 유입홀(80)의 입구는 호스(110)를 매개로 고압의 공기가 충진된 에어탱크(100)와 연결된다. 호스(110)가 연결된 에어탱크(100)의 출구 쪽에는 전자제어밸브(120)가 설치되고, 전자제어밸브(120)는 금형을 포함한 사출 성형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니트(130)에 의해 개폐 작동이 제어된다.
하우징(5)의 사출 성형이 완료되고 경화 시간이 경과한 후에 제어유니트(130)는 전자제어밸브(120)를 짧은 시간(약 0.5 ~ 1.0초) 동안 개방한다. 전자제어밸브(120) 개방 시간 동안 에어탱크(100)내 압축 공기가 고압으로 공기압 유입홀(80)을 통해 고정핀(2a)쪽으로 유입되고, 이때 이미 절단날(61)에 의해 절단되어 있던 고정핀(2a)이 공압에 의해 반대쪽으로 불려져 고정핀 배출홀(90)을 통해 금형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절단된 고정핀(2a)의 배출이 공압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금형을 분리하고 제품을 꺼낸 후 고정핀(2a)을 금형에서 제거하기 위한 작업을 별도로 실시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공정 진행을 방해하는 요소가 제거되어 제조 공정이 보다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핀 배출홀(90)의 출구에는 고정핀 배출 슈트(Chute)(140)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핀 배출 슈트(140)는 관체(141)와, 관체(141)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142)와 관체(141)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 하향 절곡부(14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플랜지(142)가 상형부(30)의 측면에 볼트로 고정되어 설치된다.
설치 상태에서 관체(141)는 일측 단부가 고정핀 배출홀(90)의 출구와 마주하고 있으며,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하향 절곡부(142)는 상기와 같이 경사진 관체(141)에 대해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142)는 관체(141) 둘레 중 일부(도면에서 상측부)에만 형성되어 상형부(30)에만 장착된다. 이는 금형 분리 즉, 상형부(30)와 하형부(40)의 분리시 고정핀 배출 슈트(140)가 방해 요소로 작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고정핀 배출구(90)의 출구측에 고정핀 배출 슈트(140)가 구비되면, 절단된 고정핀(2a)이 공압에 의해 배출될 때 고정핀 배출 슈트(140)의 내부 경로를 통해 하방의 일정 장소로 낙하된다.
따라서 고정핀 배출 슈트(140)의 하방에 수거함을 준비해두면 금형으로부터 배출된 고정핀(2a)이 자동으로 수거함에 모임으로써 홀더(2)로부터 분리된 고정핀(2a)의 후처리 작업(모아서 버림)이 매우 간편해진다.
한편, 상기 절단툴(6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날(61)이 형성된 쪽의 반대쪽 단부에 길이 방향 내측으로 나사홈(62)이 형성된다. 이에 대응하여 밀핀(70)의 단부에는 수나사(71)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수나사(71)가 나사홈(62)에 나사 체결되는 구조로 밀핀(70)의 단부에 절단툴(60)이 장착된다.
이와 같이 절단툴(60)이 밀핀(70)에 나사 체결 구조로 착탈 가능함으로써 제조 공정 진행 중 절단날(61)이 손상되는 경우 간단하게 절단툴(60)을 교체하고 공정을 계속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과 같이 밀핀(70)과 별물로 구성된 절단툴(60)이 구비됨으로써 밀핀(70)의 파손이 방지되어 밀핀(70)의 내구 수명이 증가되는 효과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터미널 2 : 홀더
2a : 고정핀 3 : 센싱소자
4 : 부시 5 : 하우징
6 : 오링 7 : 센서 조립체
10 : 상부고정플레이트 20 : 하부고정플레이트
30 : 상형부 35 : 상형코어
40 : 하형부 45 : 하형코어
50 : 밀핀구동플레이트 60 : 절단툴
61 : 절단날 62 : 나사홈
70 : 밀핀 71 : 수나사
80 : 공기압 유입홀 90 : 고정핀 배출홀
100 : 에어탱크 110 : 호스
120 : 전자제어밸브 130 : 제어유니트
140 : 고정핀 배출 슈트 141 : 관체
142 : 플랜지 143 : 하향 절곡부

Claims (9)

1차 금형에 터미널을 삽입하고 그 터미널을 감싸는 홀더를 사출 성형하는 홀더 사출 공정과,
상기 1차 금형에서 터미널과 일체화된 홀더를 꺼내어 홀더에 센싱소자를 장착하고 터미널과 센싱소자를 용접하여 접합하는 센싱소자 용접 공정과,
상기 터미널과 센싱소자가 구비된 홀더 조립체를 2차 금형에 삽입하고 그 홀더 조립체를 감싸는 하우징을 사출 성형하는 하우징 사출 공정과,
상기 하우징이 성형된 하우징 조립체가 2차 금형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그 2차 금형에 구비된 절단툴을 작동시켜 홀더의 고정핀을 절단하는 고정핀 절단 공정 및
상기 고정핀이 절단된 하우징 조립체를 2차 금형에서 꺼낸 후 하우징의 외주부에 오링을 설치하는 오링 설치 공정
을 포함하는 센서 조립체 제조방법.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 절단 공정 직후에 절단된 고정핀을 공기압의 힘으로 2차 금형 외부로 강제 배출하는 고정핀 제거 공정을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조립체 제조방법.
상부고정플레이트와 하부고정플레이트,
상기 상부고정플레이트와 하부고정플레이트 각각에 고정된 상형부와 하형부,
상기 상형부와 하형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형부와 하형부 합형시 하우징 성형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코어와 하부코어,
상기 하부고정플레이트와 하형부와 하부코어를 관통하여 설치된 설치홀에 삽입 설치되어 그 설치홀을 따라 직선 이동하면서 상기 하우징 성형 공간의 외부로 돌출된 홀더 고정핀의 기단부를 절단하는 절단툴,
상기 설치홀로 삽입되어 절단툴에 연결된 밀핀,
상기 하부고정플레이트의 하측에 설치되어 밀핀의 하단이 장착되고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 작동되어 밀핀을 작동시키는 밀핀구동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센서 조립체 제조장치.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형부와 하형부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핀이 위치된 곳과 상형부와 하형부의 외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공기압 유입홀과 고정핀 배출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조립체 제조장치.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공기압 유입홀의 입구에 고압 에어가 충진된 에어탱크가 연결되고, 에어탱크의 출구에 전자제어밸브가 구비되며, 전자제어밸브는 제어유니트에 의해 하우징 사출 성형이 완료된 후 일시적으로 개방되었다가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조립체 제조장치.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 배출홀의 출구에 고정핀 배출 슈트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조립체 제조장치.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 배출 슈트는 일측 입구가 고정핀 배출홀의 출구와 마주보는 경사진 관체와, 관체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형부에 장착되는 플랜지와, 관체의 타측 단부에 수직 하방으로 절곡 연장되어 고정핀을 고정핀 배출 슈트의 수직 하방으로 배출시키는 하향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조립체 제조장치.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절단툴은 일측 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절단날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조립체 제조장치.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절단툴에 나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밀핀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절단툴이 밀핀에 나사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조립체 제조장치.
KR1020170114115A 2017-09-06 2017-09-06 센서 조립체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1926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115A KR101926992B1 (ko) 2017-09-06 2017-09-06 센서 조립체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115A KR101926992B1 (ko) 2017-09-06 2017-09-06 센서 조립체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6992B1 true KR101926992B1 (ko) 2018-12-07

Family

ID=64669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4115A KR101926992B1 (ko) 2017-09-06 2017-09-06 센서 조립체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699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6058A (ja) * 2001-08-27 2003-03-05 Nissin Kogyo Co Ltd 車輪速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29459B1 (ko) * 2011-09-02 2013-02-04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차량용 센서 조립체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6058A (ja) * 2001-08-27 2003-03-05 Nissin Kogyo Co Ltd 車輪速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29459B1 (ko) * 2011-09-02 2013-02-04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차량용 센서 조립체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84389B1 (en) Arrangement related to a motor-driven tool
KR101926992B1 (ko) 센서 조립체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US7140862B2 (en) Removable in-mold degating insert
US7556709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lastic containers for liquids
EP1658929A1 (en) Chip removing method and air blow nozzle for removing chip
US6375891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resinous tank
JP4738638B2 (ja) モータロータ用ガイカスト装置
CN109049537B (zh) 二次注塑成型模具及其工作方法
WO2015159449A1 (ja) オートドレン
KR101144554B1 (ko) 자동차용 연료필터 조립체의 하우징 제조방법 및 자동차용 연료필터 조립체의 하우징
KR20200045274A (ko) 필터 주사기의 필터 부착방법
CN109605689A (zh) 一种辅助脱模的塑料模具
CN209255573U (zh) 一种三通管自动成型机
CN211968315U (zh) 一种液体硅胶管类零件全自动注射成型机及其生产线
CN109397636A (zh) 具有环形倒扣脱模结构的注塑模具
CN210126235U (zh) 一种带有废屑收集装置的冲切注塑设备
CN209918971U (zh) 一种压铸模动定模框垃圾槽加工刀具
CA2170694A1 (en) Gas injector for the moulding of hollow plastic parts
CN208930643U (zh) 具有环形倒扣脱模结构的注塑模具
KR102071360B1 (ko) 필터 청소기능을 구비한 쿨런트 공급장치
KR101975966B1 (ko) 금형의 코어가이드봉 후단부 절삭가공장치
CN109433899A (zh) 一种三通管自动成型机
CN211221873U (zh) 洗衣机外壳厚长型浇口料模内无损切除机构
TWI380863B (zh) A perforating device with an oiling device
KR100743429B1 (ko) 연료필터커버의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