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6858B1 - 적층체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적층체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6858B1
KR101926858B1 KR1020117022854A KR20117022854A KR101926858B1 KR 101926858 B1 KR101926858 B1 KR 101926858B1 KR 1020117022854 A KR1020117022854 A KR 1020117022854A KR 20117022854 A KR20117022854 A KR 20117022854A KR 101926858 B1 KR101926858 B1 KR 101926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release film
exchange resin
laminated
ion ex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2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8744A (ko
Inventor
미키마사 스기오카
도요히로 마츠우라
히데키 야마다
Original Assignee
니뽄 고아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고아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고아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18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8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6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6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26Polyalke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48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i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sulphones; polysulf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ket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32B27/32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comprising polycyclo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3/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properties or particular surface features, e.g. particular surface coatings; Layered products design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covered by another single 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8Processes of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89Means for holding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04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membrane-electrode assemblies [MEA]
    • H01M8/1006Corrugated, curved or wave-shaped M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2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 H01M8/1023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having only carbon, e.g. polyarylenes, polystyrenes or polybutadiene-styre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39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halogenated, e.g. sulfonated polyvinylidene fluor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69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es
    • H01M8/1081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es starting from solutions, dispersions or slurries exclusively of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2008/1095Fuel cells with polymeric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Fuel Cell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Inert Electro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온 교환 수지를 포함하는 층에 대하여 양호한 이형성을 나타내는 이형 필름을 조합한 적층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체는 시클로올레핀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이형 필름에, 이온 교환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적층체 및 그의 제조 방법{LAMINAT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본 발명은 특정한 이형 필름에 이온 교환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적층한 적층체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합체층을 형성하기 위한 지지 기재로서 이형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이형 필름은 목적으로 하는 중합체층이 형성된 후에 그 중합체층으로부터 박리되는 성질, 즉 이형성이 요구된다. 또한 이형 필름은 이형성 이외에, 그의 표면에 형성되는 중합체층의 성상에 따라서 내열성, 내약품성, 치수 안정성, 취급성, 기계적 강도, 비오염성 등 그 밖의 물성이 하나 이상 요구되는 경우가 많다.
이형 필름의 대표예로서,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올레핀 필름, 실리콘계 이형 코팅 필름, 불소계 이형 코팅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이형 필름은 그의 표면에 형성되는 층의 재료나 그의 도포 조건 등에 따라서 각각 구체적으로 선택 채용된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구체예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필름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특히 내열성이 양호하다는 점에서 일반적으로 공정지(casting paper)로서 이용되고 있지만, 용도에 따라서는 이형성 또는 내산성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폴리올레핀 필름의 구체예로서는 폴리프로필렌(PP) 필름, 폴리메틸펜텐(TPX) 필름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특히 내약품성이 요구되는 이형 필름으로서 이용되고 있지만, 용도에 따라서는 내열성, 치수 안정성 또는 기계적 강도가 불충분해지고, 발액성(liquid repellency)이 강하기 때문에 도막이 불안정해지고, 나아가 도막 형성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다. 또한, 실리콘계 이형 코팅 필름에는 규소(Si) 성분이 도막에 이행되는 오염성, 이형성의 경시 변화 등이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불소계 이형 코팅 필름에는 발액성이 강하기 때문에 안정한 도막이 형성될 수 없는 경우나 이형성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이형 필름에는 종류에 따라서 그 특성에 일장일단이 있고, 그의 표면에 형성되는 층과의 적합성에 대해서는 반드시 예측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고체 고분자형 연료 전지의 부재에는 이온 교환 수지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막이나 촉매층이 포함된다. 이러한 고분자 전해질막을 캐스팅법으로 형성하고, 또는 촉매층을 코팅법으로 형성할 때에, 그의 지지 기재로서 이형 필름을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고체 고분자형 연료 전지용의 전해질막 또는 전극막을 형성할 때에 주름이나 수축이 발현되지 않으며, 이들 막으로부터의 이형성이 양호하고, 이들 막을 오염시키지 않는 이형 필름으로서, 폴리에스테르 등의 지지 필름에 불소계 수지 필름을 라미네이트한 기재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내열성, 이형성, 비오염성이 우수한 이형 필름의 재료로서, 에틸렌과 노르보르넨의 공중합체인 환상 폴리올레핀 수지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이 이형 필름이 인쇄 배선 기판 등과 프레스열판과의 접착 방지용으로서, 또는 프리프레그와 프레스 성형형과의 접착 방지용으로서 특히 유용하다고 기재되어 있지만, 이온 교환 수지를 포함하는 층에 대한 이형성 및 그 밖의 특성에 대해서는 시사된 바도 없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3-28539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6-257399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폴리에스테르 등의 지지 필름에 불소계 수지 필름을 라미네이트한 기재 필름은, 불소계 수지 필름이 압출 성형품이기 때문에 「피쉬 아이(fish eye)」라고 불리는 요철 결함을 포함할 우려가 있다. 「피쉬 아이」는 볼록부의 높이가 약 10 ㎛에 미치는 것도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결함을 갖는 기재 필름의 표면에 두께 20 ㎛로 이온 교환 수지의 박층을 캐스팅법으로 형성시킨 경우, 이온 교환 수지층의 두께가 크게 변동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불소계 수지 필름은 비싸고, 이온 교환 수지층 등의 제조 비용도 높아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온 교환 수지를 포함하는 층에 대하여 양호한 이형성을 나타내는 이형 필름을 조합한 적층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별도의 목적은 이온 교환 수지를 포함하는 층의 두께가 보다 균일하게 되는 이형 필름을 조합한 적층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온 교환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오염시키지 않는 이형 필름을 조합한 적층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온 교환 수지층 등의 제조 비용이 삭감된 적층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별도의 목적은 그와 같은 적층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1) 시클로올레핀계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이형 필름에, 이온 교환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층체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2) 상기 이온 교환 수지를 포함하는 층이 고체 고분자형 연료 전지용의 전해질막 또는 전극막인, 상기 (1)에 기재된 적층체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3) 상기 이온 교환 수지를 포함하는 층이 고체 고분자형 연료 전지용의 막 전극 접합체인, 상기 (1)에 기재된 적층체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4) 상기 시클로올레핀계 공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Tg)가 120 ℃ 이상인,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체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5) 상기 시클로올레핀계 공중합체가 에틸렌과 노르보르넨의 공중합체인,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체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6) 상기 이형 필름의 상기 이온 교환 수지를 포함하는 층과는 반대측에 적층된 기재 필름을 추가로 포함하는,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체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7) 상기 기재 필름의 상기 이형 필름과는 반대측에 적층된 별도의 이형 필름을 추가로 포함하는, 상기 (6)에 기재된 적층체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8) 상기 기재 필름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또는 폴리프로필렌(PP)인, 상기 (6) 또는 (7)에 기재된 적층체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9) 시클로올레핀계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이형 필름의 한쪽면 상에, 이온 교환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적층하고, 그의 반대면 상에 기재 필름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시클로올레핀계 공중합체를 필름형으로 용융 압출함으로써 이형 필름을 제작한 후, 상기 이형 필름을 상기 기재 필름과 라미네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10) 시클로올레핀계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이형 필름의 한쪽면 상에, 이온 교환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적층하고, 그의 반대면 상에 기재 필름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시클로올레핀계 공중합체의 용액을 제조한 후, 상기 용액을 상기 기재 필름 상에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적층체는 시클로올레핀계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이형 필름에 이온 교환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적층함으로써, 이온 교환 수지를 포함하는 층과 이형 필름 사이의 이형성이 양호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층체는 이온 교환 수지를 캐스팅법으로 제막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층체에 있어서 이온 교환 수지를 포함하는 층은, 이형 필름의 평탄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두께가 균일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적층체에 있어서 이온 교환 수지를 포함하는 층은, 이형 필름에 기인하는 오염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층체를 이용함으로써, 이온 교환 수지를 포함하는 층의 제조 비용이 삭감된다.
도 1 (A) 내지 (C)는 본 발명에 의한 적층체의 각종 실시 양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2는 발명예와 비교예의 각 적층체에 있어서의 박리 강도를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다.
도 3은 발명예와 비교예의 각 적층체에 이용한 이형 필름에 포함되는 결함(피쉬 아이)의 개수를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체는 시클로올레핀계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이형 필름에, 이온 교환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진다. 도 1에, 본 발명에 따른 적층체의 각종 실시 양태의 대략적인 횡단면도 (A) 내지 (C)를 나타낸다. 도 1(A)는 이형 필름 (11)의 한쪽면에 이온 교환 수지층 (12)를 적층한 적층체를 나타내는 대략적인 횡단면도이다. 도 1(B)는 이형 필름 (21)의 한쪽면에 이온 교환 수지층 (22)를 적층하고, 이형 필름 (21)의 이온 교환 수지층 (22)와는 반대측에 기재 필름 (23)을 적층한 적층체를 나타내는 대략적인 횡단면도이다. 도 1(C)는 이형 필름 (31)의 한쪽면에 이온 교환 수지층 (32)를 적층하고, 이형 필름 (31)의 이온 교환 수지층 (22)와는 반대측에 기재 필름 (33)을 적층하고, 기재 필름 (33)의 이형 필름 (31)과는 반대측에 별도의 이형 필름 (34)를 적층한 적층체를 나타내는 대략적인 횡단면도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기본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특히 이형 필름이 시클로올레핀계 공중합체로 이루어짐으로써, 이온 교환 수지를 포함하는 층과의 관계에서 상술한 발명의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또한,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형 필름의 배킹(backing)으로서 기재 필름을 조합함으로써, 예를 들면 시클로올레핀계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이형 필름이 보강되어 적층체의 반송성이나 취급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 필름의 이면에 추가의 이형 필름을 적층함으로써, 예를 들면 복수의 적층체를 상하로 중첩시켜 보관하는 경우나 긴 적층체를 롤형으로 하여 보관하는 경우에, 이온 교환 수지층과 기재 필름의 접촉에 의한 블록킹(blocking)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시클로올레핀계 공중합체란, 적어도 1종의 환상 올레핀을 공중합시킨 올레핀계 공중합체를 말한다. 환상 올레핀의 구체예로서는 시클로펜텐, 시클로헥센, 시클로옥텐; 시클로펜타디엔, 1,3-시클로헥사디엔 등의 1환의 환상 올레핀; 비시클로[2.2.1]헵타-2-엔(관용명: 노르보르넨), 5-메틸-비시클로[2.2.1]헵타-2-엔, 5,5-디메틸-비시클로[2.2.1]헵타-2-엔, 5-에틸-비시클로[2.2.1]헵타-2-엔, 5-부틸-비시클로[2.2.1]헵타-2-엔, 5-에틸리덴-비시클로[2.2.1]헵타-2-엔, 5-헥실-비시클로[2.2.1]헵타-2-엔, 5-옥틸-비시클로[2.2.1]헵타-2-엔, 5-옥타데실-비시클로[2.2.1]헵타-2-엔, 5-메틸리덴-비시클로[2.2.1]헵타-2-엔, 5-비닐-비시클로[2.2.1]헵타-2-엔, 5-프로페닐-비시클로[2.2.1]헵타-2-엔 등의 2환의 환상 올레핀; 트리시클로[4.3.0.12,5]데카-3,7-디엔(관용명: 디시클로펜타디엔), 트리시클로[4.3.0.12,5]데카-3-엔; 트리시클로[4.4.0.12,5]운데카-3,7-디엔 또는 트리시클로[4.4.0.12,5]운데카-3,8-디엔, 또는 이들의 부분 수소 첨가물(또는 시클로펜타디엔과 시클로헥센의 부가물)인 트리시클로[4.4.0.12,5]운데카-3-엔; 5-시클로펜틸-비시클로[2.2.1]헵타-2-엔, 5-시클로헥실-비시클로[2.2.1]헵타-2-엔, 5-시클로헥세닐비시클로[2.2.1]헵타-2-엔, 5-페닐-비시클로[2.2.1]헵타-2-엔과 같은 3환의 환상 올레핀; 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단순히 테트라시클로도데센이라고도 함), 8-메틸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에틸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메틸리덴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에틸리덴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비닐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프로페닐-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과 같은 4환의 환상 올레핀; 8-시클로펜틸-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시클로헥실-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시클로헥세닐-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페닐-시클로펜틸-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테트라시클로[7.4.13,6.01,9.02,7]테트라데카-4,9,11,13-테트라엔(1,4-메타노-1,4,4a,9a-테트라히드로플루오렌이라고도 함), 테트라시클로[8.4.14,7.01,10.03,8]펜타데카-5,10,12,14-테트라엔(1,4-메타노-1,4,4a,5,10,10a-헥사히드로안트라센이라고도 함); 펜타시클로[6.6.1.13,6.02,7.09,14]-4-헥사데센, 펜타시클로[6.5.1.13,6.02,7.09,13]-4-펜타데센, 펜타시클로[7.4.0.02,7.13,6.110,13]-4-펜타데센; 헵타시클로[8.7.0.12,9.14,7.111,17.03,8.012,16]-5-에이코센, 헵타시클로[8.7.0.12,9.03,8.14,7.012,17.113,16]-14-에이코센; 시클로펜타디엔의 4량체 등의 다환의 환상 올레핀을 들 수 있다. 이들 환상 올레핀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특히 바람직한 환상 올레핀은 상기 노르보르넨이다.
환상 올레핀과 공중합되는 올레핀으로서는 α-올레핀이 바람직하고, 그의 구체예로서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3-메틸-1-부텐, 3-메틸-1-펜텐, 3-에틸-1-펜텐, 4-메틸-1-펜텐, 4-메틸-1-헥센, 4,4-디메틸-1-헥센, 4,4-디메틸-1-펜텐, 4-에틸-1-헥센, 3-에틸-1-헥센, 1-옥텐, 1-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헥사데센, 1-옥타데센, 1-에이코센 등의 탄소수 2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내지 8의 에틸렌 또는 α-올레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α-올레핀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특히 바람직한 α-올레핀은 에틸렌이다.
환상 올레핀과 α-올레핀의 중합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고, 공지된 방법에 따라서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형 필름에 사용되는 시클로올레핀계 공중합체는 에틸렌과 노르보르넨의 부가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에틸렌과 노르보르넨의 부가 공중합체는 노르보르넨의 몰 분율을 높임으로써 높은 Tg를 얻는 것이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시클로올레핀계 공중합체의 Tg는 통상 50 ℃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0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60 ℃ 이상이다. Tg가 높을수록 고온에서의 필름 형상 유지와 이형성이 우수하지만, 한편으로 Tg가 너무 높으면 성형 가공이 곤란해진다. 또한, 이온 교환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적층하여 적층체를 형성할 때에 열 처리가 실시되는 경우에는, 해당 열 처리 온도보다도 높은 Tg를 갖는 시클로올레핀계 공중합체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인 시클로올레핀계 공중합체의 Tg의 상한치는 250 ℃ 정도이다. 또한, Tg가 다른 시클로올레핀계 공중합체를 2종 이상 병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이형 필름의 제막법으로서는, 일반적으로 T 다이를 이용한 공지된 용융 압출법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B) 또는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 필름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용융 압출법으로 제막한 시클로올레핀계 공중합체의 필름을 기재 필름에 라미네이트하는 방법이나, 시클로올레핀계 공중합체의 용액을 기재 필름 상에 코팅하는 방법(용액 유연법)을 채용할 수 있다. 용융 압출법 및 용액 유연법으로 시클로올레핀계 공중합체의 필름을 제막하는 방법의 상세에 대해서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12967호 공보를 참조하기 바란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형 필름에는 시판되어 있는 것도 있고,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 특히 바람직하게 이용되는 에틸렌과 노르보르넨의 부가 공중합체는 폴리플라스틱스 가부시끼가이샤에서 등록 상표 「TOPAS」로 시판되고 있다.
이형 필름의 두께는 기재 필름을 조합하지 않는 경우, 일반적으로 50 내지 150 ㎛,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0 ㎛의 범위 내에 있다. 이형 필름의 두께는, 기재 필름을 조합한 경우에는 비교적 얇게 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 15 내지 110 ㎛,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 ㎛의 범위 내에 있다. 어느 쪽이든, 이형 필름의 두께는 소기의 이형성, 적층체의 취급성, 재료 비용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이형 필름에 적층되는 이온 교환 수지를 포함하는 층으로서는, 특히 고체 고분자형 연료 전지용의 전해질막 또는 전극막, 또는 전해질막의 양면에 전극막을 접합시켜 이루어지는 막 전극 접합체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이러한 전해질막은 양성자(H+) 전도성이 높고, 전자 절연성이고, 가스 불투과성인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고분자 전해질막일 수 있다. 대표예로서, 불소 함유 고분자를 골격으로 하고 술폰산기, 카르복실기, 인산기, 포스폰기 등의 기를 갖는 수지를 들 수 있다. 고분자 전해질막의 두께는 저항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전자 절연성 및 가스 불투과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한 보다 얇은 것이 요구되고, 구체적으로는 5 내지 50 ㎛,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의 범위 내로 설정된다. 본 발명에서의 고분자 전해질막의 재료는 전체 불소계 고분자 화합물로 한정되지 않으며, 탄화수소계 고분자 화합물이나 무기 고분자 화합물과의 혼합물, 또는 고분자쇄 내에 C-H 결합과 C-F 결합 양쪽을 포함하는 부분 불소계 고분자 화합물일 수도 있다. 탄화수소계 고분자 전해질의 구체예로서, 술폰산기 등의 전해질기가 도입된 폴리아미드, 폴리아세탈,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 폴리술폰, 폴리에테르 등, 및 이들의 유도체(지방족 탄화수소계 고분자 전해질), 술폰산기 등의 전해질기가 도입된 폴리스티렌, 방향환을 갖는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카보네이트 등, 및 이들의 유도체(부분 방향족 탄화수소계 고분자 전해질), 술폰산기 등의 전해질기가 도입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페닐렌술피드 등, 및 이들의 유도체(전체 방향족 탄화수소계 고분자 전해질) 등을 들 수 있다. 부분 불소계 고분자 전해질의 구체예로서는 술폰산기 등의 전해질기가 도입된 폴리스티렌-그래프트-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폴리스티렌-그래프트-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등, 및 이들의 유도체를 들 수 있다. 전체 불소계 고분자 전해질막의 구체예로서는 측쇄에 술폰산기를 갖는 퍼플루오로 중합체인 나피온(등록 상표)막(Nafion®)(듀퐁사 제조), 아시플렉스(등록 상표)막(Aciplex®)(아사히 가세이사 제조) 및 플레미온(등록 상표)막(Flemion®)(아사히 글래스사 제조)을 들 수 있다. 또한, 무기 고분자 화합물로서는 실록산계 또는 실란계의, 특히 알킬실록산계의 유기 규소 고분자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구체예로서 폴리디메틸실록산,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고분자 전해질막으로서, 연신 다공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막에 양성자 전도성 수지를 함침시킨 보강형 고체 고분자 전해질막인 GORE-SELECT(등록 상표)(재팬 고어 텍스사 제조)를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고체 고분자형 연료 전지용의 전극막으로서는 촉매 입자와 이온 교환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온 교환 수지는 상술한 전해질막에 대해서 설명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촉매는 통상 촉매 입자를 담지한 도전재로 이루어진다. 촉매 입자로서는 수소의 산화 반응 또는 산소의 환원 반응에 촉매 작용을 갖는 것일 수 있고, 백금(Pt) 및 그 밖의 귀금속 이외에 철, 크롬, 니켈 등, 및 이들의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도전재로서는 탄소계 입자, 예를 들면 카본 블랙, 활성탄, 흑연 등이 바람직하고, 특히 미분말상 입자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대표적으로는 표면적 20 m2/g 이상의 카본 블랙 입자에 귀금속 입자, 예를 들면 Pt 입자 또는 Pt와 다른 금속의 합금 입자를 담지시킨 것이 있다. 특히 애노드용 촉매에 대해서는, Pt는 일산화탄소(CO)의 피독에 약하기 때문에, 메탄올과 같이 CO를 포함하는 연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Pt와 루테늄(Ru)의 합금 입자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극막 중의 이온 교환 수지는 촉매를 지지하고, 전극막을 형성하는 결합제가 되는 재료이고, 촉매에 의해서 생긴 이온 등이 이동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역할을 갖는다. 이러한 이온 교환 수지로서는, 먼저 고체 고분자 전해질막에 관련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전극막은, 촉매가 애노드에서는 수소, 메탄올 등의 연료 가스와, 캐소드에서는 산소, 공기 등의 산화제 가스와 가능한 한 많이 접촉할 수 있도록, 다공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극막 중에 포함되는 촉매량은 0.01 내지 4 mg/cm2,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6 mg/cm2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B) 또는 (C)에 나타낸 기재 필름으로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폴리아미드, 방향족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페닐렌술피드,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폴리프로필렌 등의 공지된 각종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등의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프로필렌(PP)이 내열성 및 기계적 특성면에서 바람직하다. 기재 필름의 두께는 적층체의 반송성이나 취급성을 고려하여, 일반적으로 25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38 내지 50 ㎛의 범위 내로 설정할 수 있다.
시클로올레핀계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이형 필름에 이온 교환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적층하는 데에 있어서는, 상술한 이형 필름의 표면에, 또는 한쪽면에 기재 필름을 구비하는 이형 필름의 이형 필름 표면에, 이온 교환 수지의 용액을 도포하여 해당 용매를 건조 제거함으로써 본 발명의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이온 교환 수지를 포함하는 층의 두께는 이온 교환 수지의 용액 농도를 조정함으로써, 또는 이온 교환 수지 용액의 도포-건조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소기의 두께로 할 수 있다. 이온 교환 수지를 포함하는 층이 고체 고분자형 연료 전지용의 전해질막인 경우, 시판되고 있는 나피온(등록 상표) 용액 등의 전해질 용액을 이형 필름 상에 도포하여 건조시킬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별도로 제작해 둔 고체 고분자 전해질막을 이형 필름에 대하여 핫 프레스(hot-press)하는 방법도 있다. 이온 교환 수지를 포함하는 층이 고체 고분자형 연료 전지용의 전극막인 경우에는, 전극막의 성분을 포함하는 용액 또는 분산액(촉매 잉크)을 이형 필름 상에 도포하여 건조시킬 수 있다. 이온 교환 수지를 포함하는 층이 고체 고분자형 연료 전지용의 막 전극 접합체인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형 필름 상에 애노드 또는 캐소드 전극막을 형성시킨 후, 그 전극막에 대하여 고분자 전해질막을 핫 프레스로 접합시키고, 그 고분자 전해질막에 대하여 캐소드 또는 애노드 전극막을 조합시킬 수 있다. 전극막과 고분자 전해질막을 조합할 때에는 스크린 인쇄법, 스프레이 도포법, 데칼(decal)법 등 종래 공지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이형 필름으로서, 에틸렌과 노르보르넨의 공중합체인 폴리플라스틱스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TOPAS(등록 상표) 6015」를 준비하였다. 또한, 이온 교환 수지의 용액으로서, 측쇄에 술폰산기를 갖는 퍼플루오로 중합체의 용액(고형분 20 질량%)인 듀퐁사 제조 「나피온(등록 상표) DE2021」을 준비하였다. 이어서, 용액 유연 장치(RK PRINT COAT INS(등록 상표) TRUMENTS사 제조 컨트롤 코터 K202)를 이용하여, 상기 이형 필름(크기 21 cm×30 cm, 두께 100 ㎛) 상에 상기 용액을 캐스트하고, 그의 도막을 130 ℃의 오븐 내에서 건조시켜, 이형 필름 상에 이온 교환 수지층(두께 20 ㎛)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2
이형 필름의 용액으로서, 에틸렌과 노르보르넨의 공중합체인 폴리플라스틱스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TOPAS(등록 상표) 5013」으로부터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12967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서 용액(고형분 20 질량%)을 제조하였다. 또한, 기재 필름으로서 미쓰비시 주시사 제조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크기 21 cm×30 cm, 두께 50 ㎛)을 준비하였다. 용액 유연 장치(RK PRINT COAT INS(등록 상표) TRUMENTS사 제조 컨트롤 코터 K202)를 이용하여, 상기 기재 필름 상에 상기 이형 필름의 용액을 캐스트하고, 그의 도막을 130 ℃의 오븐 내에서 건조시켜, 기재 필름 상에 이형 필름(두께 0.5 ㎛)을 형성하였다. 또한 이온 교환 수지의 용액으로서, 측쇄에 술폰산기를 갖는 퍼플루오로 중합체의 용액(고형분 20 질량%)인 듀퐁사 제조 「나피온(등록 상표) DE2021」을 준비하였다. 이어서, 용액 유연 장치(RK PRINT COAT INS(등록 상표) TRUMENTS사 제조 컨트롤 코터 K202)를 이용하여, 상기 이형 필름 상에 상기 용액을 캐스트하고, 그의 도막을 130 ℃의 오븐 내에서 건조시켜, 이형 필름 상에 이온 교환 수지층(두께 20 ㎛)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1
이형 필름으로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인 미쓰비시 주시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다이아 호일(등록 상표) T100」을 준비하였다. 또한 이온 교환 수지의 용액으로서, 측쇄에 술폰산기를 갖는 퍼플루오로 중합체의 용액(고형분 20 질량%)인 듀퐁사 제조 「나피온(등록 상표) DE2021」을 준비하였다. 용액 유연 장치(RK PRINT COAT INS(등록 상표) TRUMENTS사 제조 컨트롤 코터 K202)를 이용하여, 상기 이형 필름(크기 21 cm×30 cm, 두께 50 ㎛) 상에 상기 용액을 캐스트하고, 그의 도막을 130 ℃의 오븐 내에서 건조시켜, 이형 필름 상에 이온 교환 수지층(두께 20 ㎛)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2
이형 필름으로서, 폴리올레핀인 미쓰이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오퓰란(등록 상표)(Opulent®) TPX X44B」를 준비하였다. 또한 이온 교환 수지의 용액으로서, 측쇄에 술폰산기를 갖는 퍼플루오로 중합체의 용액(고형분 20 질량%)인 듀퐁사 제조 「나피온(등록 상표) DE2021」을 준비하였다. 용액 유연 장치(RK PRINT COAT INS(등록 상표) TRUMENTS사 제조 컨트롤 코터 K202)를 이용하여, 상기 이형 필름(크기 21 cm×30 cm, 두께 50 ㎛) 상에 상기 용액을 캐스트하고, 그의 도막을 130 ℃의 오븐 내에서 건조시켜, 이형 필름 상에 이온 교환 수지층(두께 20 ㎛)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3
이형 필름으로서, 불소계 이형 코팅 필름인 유니티카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FZ」를 준비하였다. 또한 이온 교환 수지의 용액으로서, 측쇄에 술폰산기를 갖는 퍼플루오로 중합체의 용액(고형분 20 질량%)인 듀퐁사 제조 「나피온(등록 상표) DE2021」을 준비하였다. 용액 유연 장치(RK PRINT COAT INS(등록 상표) TRUMENTS사 제조 컨트롤 코터 K202)를 이용하여, 상기 이형 필름(크기 21 cm×30 cm, 두께 50 ㎛) 상에 상기 용액을 캐스트하고, 그의 도막을 130 ℃의 오븐 내에서 건조시켜, 이형 필름 상에 이온 교환 수지층(두께 20 ㎛)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4
이형 필름으로서, 불소계 라미네이트 필름인 미쓰비시 주시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플루오로주(등록 상표)(FLUOROJU®) RL」을 준비하였다. 또한 이온 교환 수지의 용액으로서, 측쇄에 술폰산기를 갖는 퍼플루오로 중합체의 용액(고형분 20 질량%)인 듀퐁사 제조 「나피온(등록 상표) DE2021」을 준비하였다. 용액 유연 장치(RK PRINT COAT INS(등록 상표) TRUMENTS사 제조 컨트롤 코터 K202)를 이용하여, 상기 이형 필름(크기 21 cm×30 cm, 두께 50 ㎛) 상에 상기 용액을 캐스트하고, 그의 도막을 130 ℃의 오븐 내에서 건조시켜, 이형 필름 상에 이온 교환 수지층(두께 20 ㎛)을 형성하였다.
(박리 강도의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형성된 이온 교환 수지층의 이형 필름에 대한 박리 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장치에는 도요 세이끼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인장 시험기 STROGRAPH R3을 사용하였다. 각 시료로부터 시험편(폭 15 mm)을 제조하고, 척(chuck) 사이의 거리 80 mm 및 인장 속도 20 mm/분의 조건으로 박리 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 중, 비교예 2는 폴리올레핀계 이형 필름에 대하여 나피온(등록 상표) 용액이 발액을 일으켰기 때문에 도막이 형성되지 않아 박리 강도를 측정할 수 없었음을 나타내고 있다. 비교예 1은, 나피온(등록 상표)막이 응집 파괴를 일으켰기 때문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대한 박리 강도를 측정할 수 없었음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실시예 1, 2는 박리 강도가 비교예 3의 불소계 이형 코팅 필름보다 현저히 낮고, 비교예 4의 불소계 라미네이트 필름과 동등하였다.
(피쉬 아이의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의 이형 필름의 결함(피쉬 아이)의 개수를 측정하였다. 측정 장치에는 미쓰비시 레이온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결함 검사 장치 LSC-3100을 사용하였다. 각 이형 필름에 대해서, 15 m/분의 조건으로 장경 0.5 mm 이상의 피쉬 아이수를 계측하였다. 측정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 중,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내지 3은 이형 필름에 장경 0.5 mm 이상의 피쉬 아이가 검출되지 않았음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비교예 4의 불소계 라미네이트 필름에는 피쉬 아이가 검출되었다.
본 발명은 시클로올레핀계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이형 필름에, 이온 교환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층체이며, 이온 교환 수지를 포함하는 층과 이형 필름 사이의 이형성이 양호한 적층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형 필름은 규소 등의 오염성 물질을 포함하지 않고, 피쉬 아이 등의 결함도 없기 때문에, 박리 후의 이온 교환 수지를 포함하는 층은 오염되지 않고 두께도 균일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형 필름은 탄화수소계 재료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불소계 및 그 밖의 이형 필름보다 비용적으로 유리하다. 본 발명은 고체 고분자형 연료 전지에 있어서의 고분자 전해질막, 전극막, 막 전극 접합체 등의 이온 교환 수지 함유 부재를 제조할 때에 특히 유용하다.
11, 21, 31…이형 필름
12, 22, 32…이온 교환 수지층
23, 33…기재 필름
34…별도의 이형 필름

Claims (10)

  1. 시클로올레핀계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이형 필름에, 이온 교환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층체로서, 상기 이형 필름이 상기 이온 교환 수지를 포함하는 층의 전면을 덮는 적층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교환 수지를 포함하는 층이 고체 고분자형 연료 전지용의 전해질막 또는 전극막인 적층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교환 수지를 포함하는 층이 고체 고분자형 연료 전지용의 막 전극 접합체인 적층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클로올레핀계 공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Tg)가 120 ℃ 이상인 적층체.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클로올레핀계 공중합체가 에틸렌과 노르보르넨의 공중합체인 적층체.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 필름의 상기 이온 교환 수지를 포함하는 층과는 반대측에 적층된 기재 필름을 추가로 포함하는 적층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의 상기 이형 필름과는 반대측에 적층된 별도의 이형 필름을 추가로 포함하는 적층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또는 폴리프로필렌(PP)인 적층체.
  9. 시클로올레핀계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이형 필름의 한쪽면 상에 이온 교환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적층하고, 이형 필름의 반대면 상에 기재 필름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층체로서, 상기 이형 필름이 상기 이온 교환 수지를 포함하는 층의 전면을 덮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시클로올레핀계 공중합체를 필름형으로 용융 압출함으로써 이형 필름을 제작한 후, 상기 이형 필름을 상기 기재 필름과 라미네이트하고, 여기서 상기 이형 필름을 상기 기재 필름과 라미네이트하기 전 또는 후에, 상기 이온 교환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라미네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
  10. 시클로올레핀계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이형 필름의 한쪽면 상에 이온 교환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적층하고, 이형 필름의 반대면 상에 기재 필름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층체로서, 상기 이형 필름이 상기 이온 교환 수지를 포함하는 층의 전면을 덮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시클로올레핀계 공중합체의 용액을 제조한 후, 상기 용액을 상기 기재 필름 상에 코팅함으로써 이형 필름을 제작하고, 이어서 이온 교환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라미네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
KR1020117022854A 2009-03-30 2010-02-04 적층체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9268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83058 2009-03-30
JP2009083058A JP5566040B2 (ja) 2009-03-30 2009-03-30 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PCT/JP2010/052006 WO2010116789A1 (ja) 2009-03-30 2010-02-04 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2346A Division KR20170016512A (ko) 2009-03-30 2010-02-04 적층체 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744A KR20120018744A (ko) 2012-03-05
KR101926858B1 true KR101926858B1 (ko) 2018-12-07

Family

ID=4293607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2346A KR20170016512A (ko) 2009-03-30 2010-02-04 적층체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117022854A KR101926858B1 (ko) 2009-03-30 2010-02-04 적층체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2346A KR20170016512A (ko) 2009-03-30 2010-02-04 적층체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20021335A1 (ko)
EP (1) EP2422975B1 (ko)
JP (1) JP5566040B2 (ko)
KR (2) KR20170016512A (ko)
CN (2) CN105882083A (ko)
CA (1) CA2754048A1 (ko)
HK (1) HK1164795A1 (ko)
WO (1) WO20101167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787477C (en) * 2010-01-25 2017-05-23 Ramot At Tel-Aviv University Ltd. Energy storage and generation systems
GB201302014D0 (en) * 2013-02-05 2013-03-20 Johnson Matthey Fuel Cells Ltd Use of an anode catalyst layer
JP6085185B2 (ja) * 2013-02-06 2017-02-22 株式会社ダイセル 燃料電池製造用離型フィルム及び積層体並びに燃料電池の製造方法
JP6087647B2 (ja) * 2013-02-06 2017-03-01 株式会社ダイセル 離型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用途
JP6069036B2 (ja) * 2013-03-07 2017-01-25 株式会社ダイセル 燃料電池製造用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燃料電池の製造方法
JP6062407B2 (ja) * 2013-11-14 2017-01-18 株式会社ダイセル 離型フィルム、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燃料電池の製造方法
JP6013398B2 (ja) * 2014-05-19 2016-10-25 ダイセルバリューコーティング株式会社 樹脂フィルム、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燃料電池の製造方法
JP6081959B2 (ja) * 2014-05-19 2017-02-15 ダイセルバリューコーティング株式会社 樹脂フィルム、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燃料電池の製造方法
JP6276134B2 (ja) * 2014-08-04 2018-02-07 ダイセルバリューコーティング株式会社 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燃料電池の膜電極接合体の製造方法
JP6537248B2 (ja) 2014-10-31 2019-07-03 株式会社康井精機 機能性物質薄膜素材の製造方法並びに機能性物質薄膜素材およびその積層体
JP7251596B2 (ja) * 2015-12-14 2023-04-04 東洋紡株式会社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部材成型用離型フィルム
JP7133893B2 (ja) * 2015-12-14 2022-09-09 東洋紡株式会社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部材成型用離型フィルム
CA3030468C (en) 2016-07-20 2021-12-07 W. L. Gore & Associates, Inc. Roll construction of laminated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JP6586545B2 (ja) * 2017-08-23 2019-10-02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フィルム状積層体、および、高分子薄膜の製造方法
CN114072938A (zh) 2019-07-11 2022-02-18 日本戈尔合同会社 用于制造电解质膜或膜电极组件的离型膜
JP6967128B1 (ja) * 2020-08-26 2021-11-17 株式会社ダイセル 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燃料電池の製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7399A (ja) 2005-02-21 2006-09-28 Kureha Corp 離型フィルム、積層離型フィルム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2008251376A (ja) * 2007-03-30 2008-10-16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極−電解質膜接合体製造用転写シート
JP2008291408A (ja) 2007-05-28 2008-12-04 Kishu Paper Co Ltd 工程剥離紙用原紙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5396A (ja) * 2002-03-28 2003-10-07 Mitsubishi Plastics Ind Ltd 電極膜及び/又は電解質膜の製造用基材フィルム並びに電極膜と電解質膜の接合体の製造方法
WO2004037942A1 (ja) * 2002-10-25 2004-05-06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離型剤および離型シート
JP5124097B2 (ja) * 2006-03-20 2013-01-23 日本ゴア株式会社 電解質膜及び固体高分子形燃料電池
EP2245691A1 (en) * 2007-12-28 2010-11-0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duction of catalyst coated membran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7399A (ja) 2005-02-21 2006-09-28 Kureha Corp 離型フィルム、積層離型フィルム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US20060280915A1 (en) * 2005-02-21 2006-12-14 Hideki Kitamura Laminated release film
JP2008251376A (ja) * 2007-03-30 2008-10-16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極−電解質膜接合体製造用転写シート
JP2008291408A (ja) 2007-05-28 2008-12-04 Kishu Paper Co Ltd 工程剥離紙用原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22975A1 (en) 2012-02-29
CN105882083A (zh) 2016-08-24
CN102438829A (zh) 2012-05-02
KR20170016512A (ko) 2017-02-13
EP2422975B1 (en) 2015-04-08
EP2422975A4 (en) 2013-02-27
HK1164795A1 (en) 2012-09-28
CA2754048A1 (en) 2010-10-14
JP5566040B2 (ja) 2014-08-06
US20120021335A1 (en) 2012-01-26
JP2010234570A (ja) 2010-10-21
WO2010116789A1 (ja) 2010-10-14
KR20120018744A (ko) 2012-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6858B1 (ko) 적층체 및 그의 제조 방법
EP3070770B1 (en) Release film, lamin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uel cell
JP6085185B2 (ja) 燃料電池製造用離型フィルム及び積層体並びに燃料電池の製造方法
WO2015178191A1 (ja) 樹脂フィルム、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燃料電池の製造方法
JP6970270B2 (ja) ラミネート化材料のロール構造及び製造方法
CN114072938A (zh) 用于制造电解质膜或膜电极组件的离型膜
JP6013398B2 (ja) 樹脂フィルム、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燃料電池の製造方法
JP6967128B1 (ja) 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燃料電池の製造方法
JP2023022070A (ja) 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燃料電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040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125

Effective date: 2018053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