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6412B1 - 복층 필름 및 광학 시트 - Google Patents

복층 필름 및 광학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6412B1
KR101926412B1 KR1020147024008A KR20147024008A KR101926412B1 KR 101926412 B1 KR101926412 B1 KR 101926412B1 KR 1020147024008 A KR1020147024008 A KR 1020147024008A KR 20147024008 A KR20147024008 A KR 20147024008A KR 101926412 B1 KR101926412 B1 KR 101926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layer
mass
prism
film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4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4179A (ko
Inventor
히데마사 호소다
쿠니히코 오가
타츠야 노무라
타카시 코바야시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44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4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6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6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5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55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G02B5/045Prism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5Manufacturing aspects; Material asp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E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12/00Crosslink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4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by sha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guide
    • G02B6/0046Tapered light guide, e.g. wedge-shaped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3Prismatic sheet or layer; Brightness enhancement element, sheet or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3Coating layer not in excess of 5 mils thick or equivalent
    • Y10T428/264Up to 3 mils
    • Y10T428/2651 mil or le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광학 기능 시트인 프리즘 시트(20)는 복층 시트이고 유기 재료를 포함하는 광학 기능층인 프리즘층(21)과 복층 필름(22)을 구비한다. 복층 필름(22)은 필름 베이스(30)와 이 필름 베이스(30) 상에 형성된 제 1 접착층(31)을 구비한다. 프리즘층(21)은 후공정에서 제 1 접착층(31) 상에 형성된다. 제 1 접착층(31)의 두께는 적어도 0.1㎛이다. 제 1 접착층(31)은 폴리올레핀을 적어도 10질량% 포함한다.

Description

복층 필름 및 광학 시트{MULTILAYERED FILM AND OPTICAL SHEET}
본 발명은 복층 필름과 광학 기능층을 구비하는 광학 시트에 관한 것이다.
액정 디스플레이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장치에는 프리즘 시트, 반사 방지 시트, 광확산 시트, 하드 코트 시트, IR 흡수 시트, 전자파 실드 시트, 조색 시트, 방현 시트 등이라 하는 폴리머제의 광학 기능 시트가 사용된다. 광학 기능 시트는 유기 재료로 이루어지는 시트상의 광학 기능층과 광학 기능층을 지지하는 필름 베이스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프리즘 시트는 시트상의 프리즘층과 프리즘층을 지지하는 폴리에스테르제의 필름 베이스를 구비한다.
그러나, 광학 기능층을 폴리에스테르제의 필름 베이스 상에 직접 형성해도, 필름 베이스와 광학 기능층의 접착력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따라서, 광학 기능층과 필름 베이스의 접착력을 높이기 위해서, 접착층을 필름 베이스 상에 형성하고, 이 접착층에 의해 필름 베이스와 광학 기능층을 접착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폴리에스테르제의 필름 베이스와 이 상에 형성되는 층의 접착력을 높이기 위한 접착층에 대해서는 여러가지로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특허공개 2006-187880호 공보에는 수지와 입자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접착층이 기재되어 있다. 이 접착층의 수지로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아크릴, 말레산 그래프트 변성 폴리올레핀이 사용된다.
그러나, 최근, 무른 소재로 형성되어, 일단 변형해도 형상이 원래대로 돌아가는(복원되는) 광학 기능층이 등장하고 있다. 예를 들면, 프리즘 시트의 프리즘층에 대해서는 종래는 1000MPa 이상의 탄성률이었던 것 대신에, 200MPa 이하의 탄성률의 것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낮은 탄성률의 프리즘층은 종래의 높은 탄성률의 프리즘층에 비하여 다른 부재와 접했을 때에 다른 부재에 스크래치를 내기 어렵고, 또한 수송이나 보관 등을 위해 프리즘층 상에 형성하는 보호 필름이 불요하게 된다는 메리트가 있다. 이러한 낮은 탄성률을 갖고, 변형 후에 형상이 복원되는 광학 기능층은 프리즘층에 한하지 않고, 마이크로렌즈층 등의 다른 광학 기능층에도 금후 적용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낮은 탄성률을 갖고, 변형되어도 형상이 복원되는 프리즘층은 폴리에스테르제의 필름 베이스와의 접착력이 매우 낮고, 일본국 특허공개 2006-187880호 공보에 기재되는 접착층을 형성해도 충분한 접착력이 없다. 접착력의 평가 방법으로서 일반적인 것에는 크로스컷 박리 시험이 있고, 크로스컷 시에 프리즘층은 크게 변형되거나 형상을 복원하거나 한다. 종래의 접착층은 이 크로스컷 시에 프리즘층과 필름 베이스의 밀착을 유지할 수 없다.
그래서, 본 발명은 필름 베이스와 변형되어도 형상이 복원되는 낮은 탄성률의 광학 기능층의 접착력이 향상된 복층 필름과 광학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복층 필름은 필름 베이스와 접착층을 구비한다. 필름 베이스는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접착층은 필름 베이스의 일방의 면에 적어도 0.1㎛의 두께로 형성된다. 접착층은 유기 재료를 포함하는 광학 기능층에 필름 베이스를 접착한다. 접착층은 폴리올레핀을 적어도 10질량% 포함한다.
접착층의 탄성률은 500M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층은 가교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는 옥사졸린계 화합물,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 에폭시, 이소시아네이트, 멜라민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층은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에 대한 아크릴 수지의 질량 비율은 5% 이상 700% 이하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학 시트는 광학 기능층과 필름 베이스와 접착층을 구비한다. 광학 기능층은 입사광을 굴절시켜서 집광 또는 확산하고, 유기 재료를 포함한다. 필름 베이스는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접착층은 필름 베이스와 광학 기능층 사이에 적어도 0.1㎛의 두께로 형성된다. 접착층은 필름 베이스와 광학 기능층을 접착하고, 폴리올레핀을 적어도 10질량% 포함한다.
접착층의 탄성률은 500M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층은 가교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는 옥사졸린계 화합물,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 에폭시, 이소시아네이트, 멜라민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필름 베이스와 변형해도 형상이 복원되는 낮은 탄성률의 광학 기능층의 접착력이 향상한다.
도 1은 액정 표시 장치의 개요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복층 필름을 구비하는 프리즘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복층 필름의 형상 변화의 설명도이다.
도 4는 복층 필름을 구비하는 프리즘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5는 프리즘 시트의 형상 변화의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복층 필름은 광학 기능층이 후공정에서 부여됨으로써 광학 시트로 되어 액정 표시 장치에 사용된다. 광학 기능층은 입사광을 굴절시켜서 집광 또는 확산하는 층이고, 광학 기능층으로서는 예를 들면, 프리즘층, 마이크로렌즈층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복층 필름에는 내스크래치성을 부여하는 하드 코트가 후공정에서 부여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의 복층 필름을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을 도 1에 나타낸다. 이 액정 표시 장치는 일례이고, 본 발명의 복층 필름을 사용한 실시형태는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예는 프리즘 시트를 일반적인 실시형태로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이고, 프리즘 시트에 복층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액정 표시 장치(10)는 액정 패널(11)과 광원 유닛(12)을 구비한다. 액정 패널(11)은 액정 셀(13)과, 2매의 편광판(14, 15)으로 구성된다. 액정 셀(13)은 투명한 글래스 기판 사이에 액정을 봉입한 것이고, 각 글래스 기판의 내면에 형성된 투명전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투과하는 광의 편광 상태를 변화시킨다.
편광판(14)은 편광막(14a)과 그 양면에 밀착시킨 한 쌍의 보호막(14b, 14c)으로 구성된다. 편광판(15)도 편광판(14)과 같은 구성이고, 편광막(15a)과 보호막(15b, 15c)으로 구성된다. 편광판(14)과 편광판(15)은 서로 크로스니콜이 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이들 편광판(14)과 편광판(15) 사이에 액정 셀(13)이 배치된다.
광원 유닛(12)은 액정 패널(11)을 배후로부터 조명하는 것이고, 예를 들면 광원 램프(17), 도광판(18), 확산 시트(19), 프리즘 시트(20)로 구성된다. 광원 램프(17)에는 예를 들면, 봉상의 형광관(CCFL,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이나 LED(Light Emitting Diode)를 사용한다. 도 1의 광원 유닛(12)은 엣지 라이트 방식으로서 있고, 광원 램프(17)는 단면 쐐기형의 도광판(18)의 단부(엣지)를 따른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 광원 램프(17)로부터 방출되는 조명광은 직접 또는 리플렉터(17a)에 반사되어서 도광판(18)의 단부로부터 내부로 입사한다. 도광판(18)은 입사한 조명광을 그 내부로 반사함으로써, 액정 패널(11)과 거의 같은 사이즈의 사출면(18a)으로부터 사출한다.
또한, 이 예에서는 광원 램프(17)는 도광판(18)을 사출면(18a)의 수직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경우, 직사각형의 도광판(18)의 1변을 이루는 단부(엣지)를 따른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광원 램프(17)는 2변이나 3변을 따라서 배치되는 경우도 있고, 도광판(18)의 4변의 모두에 배치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도광판(18)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단면 쐐기형으로 되어 있고, 광원 램프(17)측에 두께가 두꺼운 쪽을 향해 광원 램프(17)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서서히 두께가 얇아지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 도광판(18) 대신에, 두께가 일정한 도광판을 사용해도 된다. 도광판(18)의 표면에 스크린 인쇄 등의 도트 패턴과 같은 광확산 기능을 부여해도 된다. 또한, 도광판(18)의 내부에 산란을 갖는 재료를 혼합함으로써 광확산 기능을 부여해도 된다. 이러한 광확산 기능을 도광판(18)에 부여함으로써, 도광판(18)은 광을 보다 균일하게 사출한다. 도광판(18)은 가시광의 흡수가 가능한 한 적은 재료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나 폴리카보네이트가 열거된다.
확산 시트(19)는 액정 패널(11)의 전면을 균일하게 조명하기 위한 것이고, 사출면(18a)에 근접시켜서 배치되어 있다. 이 확산 시트(19)는 사출면(18a)으로부터 사출되는 조명광을 투과할 때에 산란해서 확산시킨다. 이러한 확산 시트(19)로서는 예를 들면, 투명한 시트의 표면에 비즈형의 광확산 재료를 분산시킨 것, 시트 내부로 광확산 재료를 분산시킨 것, 복수의 렌즈 형상의 형을 이용하여 자외선 경화 수지를 경화해서 성형한 소위, 마이크로렌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액정 패널(11)의 전체면을 균일하게 조명하는 구체예로서는 도광판(18)에 스크린 인쇄 등의 도트 패턴이 실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도트를 흐리는 것, 광원 램프(17)로서 여러 개의 LED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LED의 각 사이에 간극이 있음으로써 생기는 밝기의 불균일을 없애는 것, 설치 공정에서 생기는 미소한 스크래치 등을 은폐시켜 제조상의 수율을 상승시키는 것 등이 열거된다. 또한, 확산 시트(19)의 도광판(18)과 접하는 면에 있어서의 간섭 얼룩이나 스크래치를 방지하기 위해서, 도광판(18)과 접하는 확산 시트(19)의 표면에 각종 매트제를 혼합한 도포층을 형성하거나, 표면을 조면화하는 경우가 있다.
프리즘 시트(20)는 액정 패널(11)과 확산 시트(19)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정면 휘도를 향상시킨다. 즉, 이 프리즘 시트(20)는 액정 패널(11)의 법선 방향으로 사출되는 조명광의 광량을 크게 하기 위해서 조명광의 분포를 제어한다. 프리즘 시트(20)는 그 사이즈가 액정 패널(11)의 배면과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고, 프리즘층(21)과 복층 필름(22)을 구비한다. 복층 필름(22)은 프리즘층(21)을 지지한다. 프리즘 시트(20)는 프리즘층(21)이 액정 패널(11)측, 복층 필름(22)이 확산 시트(19)측이 되는 상태로 배치되는 경우가 많다. 확산 시트(19)로 확산된 조명광은 프리즘 시트(20)의 복층 필름(22)에 입사하고, 프리즘층(21)으로부터 사출되는 조명광이 액정 패널(11)에 입사한다.
복층 필름(22)은 상술한 바와 같이 프리즘층(21)이 부여되어서 프리즘 시트(20)가 된다. 도 2,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리즘층(21)은 일방의 면에 단면 삼각형의 프리즘이 복수 형성된 층이고, 타방의 면으로부터 입사한 광을 프리즘으로부터 사출한다.
광원 유닛(12)에 있어서는 조명광의 진행 방향에 있어서의 최하류에 프리즘층(21)이 있다. 이 때문에, 광원 유닛(12)을 프리즘층(21)측으로부터 비스듬한 각도를 취해 보았을 때에, 레인보우 얼룩이라 불리는 색 얼룩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색 얼룩은 프리즘 분광에 의해 발생하고, 이 프리즘 분광은 프리즘층(21)을 형성하는 폴리머가 갖는 굴절률의 파장 분산성에 따르는 것이다. 이 색 얼룩을 방지하기 위해서, 광원 유닛(12)으로서 프리즘층 상에 다른 한 장의 확산 시트(19)를 더 형성하거나, 액정 패널(11)의 편광판(14, 15)의 보호막(14b, 15c)의 적어도 일부에 산란 기능을 갖게 하거나, 프리즘층(21)의 내부나 표면에 산란 기능을 부여하거나, 각 프리즘에 특수한 형상을 가지게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단, 코스트 저감의 관점으로부터는 프리즘 시트(20)의 프리즘층(21)과는 반대의 면, 즉 복층 필름(22)의 표면에 헤이즈가 5∼50%, 바람직하게는 10∼50% 정도의 광산란층을 형성함으로써 색 얼룩을 방지해도 된다.
프리즘층(21)은 탄성률이 1000MPa 이상 3000MPa 이하의 범위내라고 하는 단단한 것이어도 되지만, 이 예에서는 1MPa 이상 1000MPa 미만의 범위내의 무른 소재로 형성되어서 탄성 변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프리즘층(21)의 탄성률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10MPa 이상 200MPa 이하의 범위내이다. 탄성률이 1000MPa 이상인 고탄성률의 프리즘층(21)은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져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을 만큼의 변형은 없거나, 또는 변형했다고 하여도 그 후,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는 경우는 없다. 이에 대하여 탄성률이 1000MPa 미만인 저탄성률의 프리즘층(21)은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져서 도 3의 2점 파선(A)으로 나타내는 상태로 변형되어도 힘의 부여가 해제되면 형상이 복원되어 도 3의 실선(B)으로 나타내는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온다.
프리즘층(21)은 유기 폴리머로 이루어진다. 단, 프리즘층(21)은 프리즘으로서의 성질을 손상하지 않는 한, 무기나 유기의 각종 재료나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되고, 유기 폴리머의 분자 골격 중에 무기 원자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프리즘층(21)에 포함되는 유기 폴리머는 활성 에너지선이 조사됨으로써, 가교 반응이나 중합 반응이 생겨서 결과적으로 경화하는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고, 생성한 것이다. 활성 에너지선은 가시광선, 자외선, X선 등의 전자파나 α선과 같은 입자선 중 어느 하나라도 상술의 반응을 일으키는 에너지를 갖고 있으면 되지만, 일반적으로는 자외선이다. 또한, 자외선이 조사되어서 생성한 폴리머를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자외선 경화 수지라고 한다.
프리즘층(21)은 후술한 바와 같이 도포액으로 형성한다. 본 발명은 프리즘층(21)을 형성하기 위한 도포액이 도포 후에 건조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예를 들면 반응성 희석제를 사용한 무용제형의 도포액인 경우나, 아크릴계 자외선 경화 타입의 도포액인 경우에 효과가 크다.
무용제형이고 아크릴계 자외선 경화 타입의 도포액에는 하기의 식(1)으로 나타내는 화합물로 평균 부가 몰수: (x+y)가 5 이상인 것과 식(2)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에서, z가 2 이상인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의 식(1)으로 나타내는 화합물과 하기의 식(2)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총량은 도포액의 질량에 대하여 2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 부가 몰수 : (x+y)는 30 이하인 것이 용해성의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다. 평균 부가 몰수 : (x+y)가 30을 초과하면, 굴절률이 저하하고, 그 영향으로 휘도가 저하하거나 용해성이 나빠서 도포액의 도포 성능이 악화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평균 부가 몰수 : (x+y)는 6 이상 28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14081712907-pct00001
Figure 112014081712907-pct00002
복층 필름(22)은 적어도 박막상의 필름 베이스(30)와, 필름 베이스(30)의 일방의 면에 접착해서 배치된 제 1 접착층(31)을 구비한다.
필름 베이스(30)는 광학 기능층의 지지체가 되는 것이고, 예를 들면 프리즘 시트(20)로 되는 것이 예정되는 경우에는 프리즘층(21)의 지지체가 된다. 필름 베이스(30)는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고, 또한 가소제 등의 첨가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폴리에스테르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이 사용된다. 그 중에서도, 코스트나 기계적 강도의 관점으로부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필름 베이스(30)는 지지체로서의 기계적 강도 향상의 관점으로부터, 연신 처리가 실시된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축 연신한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 배율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1.5배 이상 7배 이하의 범위이다. 연신 배율이 1.5배보다 작으면 기계적 강도가 불충분한 경우가 있고, 반대로 7배를 초과하면 두께의 균일성이 결핍될 경우가 있다. 연신 배율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2배 이상 5배 이하의 범위이다. 특히, 바람직한 연신의 방향 및 배율은 서로 직교하는 2방향에서 각각 2배 이상 5배 이하의 범위이다.
필름 베이스(30)의 두께 T30은 예를 들면 30㎛ 이상 500㎛ 이하의 범위내에서 일정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이상 300㎛ 이하의 범위 내에서 일정하다. 필름 베이스(30)의 두께 T30이 30㎛ 미만이면, 탄력이 없어져 취급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한편, 필름 베이스(30)의 두께 T30이 500㎛를 초과하면, 표시 장치의 소형화나 경량화가 도모되기 어려워지는 것 외, 코스트적으로도 불리하다.
제 1 접착층(31)은 프리즘층(21)과 필름 베이스(30)를 접착하는 것이다. 제 1 접착층(31)의 탄성률은 크더라도 500MPa, 즉 500MPa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접착층(31)의 탄성률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10MPa 이상 500MPa 이하의 범위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50MPa 이상 500MPa 이하의 범위내이다. 종래의 접착층은 탄성률이 600MPa 이상인 것에 반해, 제 1 접착층(31)은 상기한 바와 같이 매우 낮은 탄성률을 갖는다. 이것에 의해 프리즘층(21)이 탄성 변형할 때에, 제 1 접착층(31)은 매우 미크로한 레벨로 신축해서 프리즘층(21)의 형상의 변화에 추종한다. 예를 들면 도 3의 2점 파선 A의 상태에서, 프리즘층(21)이 필름 베이스(30)에 압박해서 근접하는 방향으로 변형하면, 제 1 접착층(31)은 두께 T31이 작아지는 상태로 수축한다. 또한, 변형한 프리즘층(21)이 도 3의 실선(B)으로 나타내는 상태로 형상이 되돌아올 때에는, 제 1 접착층(31)은 원래의 두께 및 형상으로 되돌아온다. 이렇게 제 1 접착층(31)은 두께를 변화시키고 형상을 복원하는 성질을 갖는다. 제 1 접착층(31)에 신축성을 가지게 함으로써 프리즘층(21)의 형상이 변화되어도 프리즘층(21)이 필름 베이스(30)로부터 박리되지 않고 접착한 상태가 유지되어 밀착된 상태가 된다. 또한, 프리즘층(21)과 필름 베이스(30)가 박리된다란 프리즘층(21)이 제 1 접착층(31)로부터 박리되는 것, 제 1 접착층(31)이 내부로부터 파괴되는 것, 제 1 접착층(31)이 필름 베이스(30)로부터 박리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또한, 종래의 접착층은 파단 신도가 5% 미만인 것에 반해, 제 1 접착층(31)은 파단 신도가 10% 이상 300% 이하의 범위내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접착층(31)은 프리즘층(21)이 탄성 변형해도 파단되는 경우없이 보다 확실하게 크게 신장한다.
제 1 접착층(31)은 폴리머 성분을 포함한다. 제 1 접착층(31)은 폴리올레핀을 적어도 10질량% 포함한다. 10질량%란 제 1 접착층(31)의 전체 질량으로부터 그 전체 질량의 5% 이하를 차지하는 첨가제를 제외한 질량을 100으로 할 때에, 질량 비율이 적어도 10, 즉 10 이상인 것을 의미한다. 폴리올레핀을 10질량% 이상 포함함으로써, 제 1 접착층(31)은 상기의 탄성률을 갖게 된다. 제 1 접착층(31)은 폴리올레핀을 10질량% 이상 90질량% 이하의 범위내에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0질량% 이상 80질량% 이하의 범위내에서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최초 폴리올레핀은 폴리에스테르와의 접착력이 약한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고, 종래,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필름 베이스(30)와 광학 기능층을 접착하는 접착층에는 주성분으로서 사용되지 않았다. 또한, 접착층에 폴리올레핀을 사용하는 것은 필름 베이스(30)나 광학 기능층에 폴리올레핀이 사용되고 있는 경우로 한정되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필름 베이스(30)와 폴리올레핀이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묻지 않는 광학 기능층을 접착하는 접착층에 있어서, 폴리올레핀을 주성분으로 하여 사용한다. 이렇게 폴리올레핀을 접착층의 주성분으로 하는데에도 상관없고, 프리즘층(21)과 필름 베이스(30)가 박리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 제 1 접착층(31)의 두께 T31은 적어도 0.1㎛, 즉 0.1㎛ 이상으로 하고 있다. 제 1 접착층(31)의 두께 T31이 0.1㎛ 미만이면 프리즘층(21)과 필름 베이스(30)가 박리되기 쉬워지고, 프리즘층(21)이 저탄성률일 경우에는 특히 박리되기 쉽다. 또한, 상기의 두께로 함으로써 예를 들면, 크로스컷 박리 시험시에 프리즘층(21)에 크로스컷 등에 의해 부하로서 걸린 응력이 제 1 접착층(31)으로 완화된다. 제 1 접착층(31)의 두께 T(31)는 0.1㎛ 보다 크고 3.0㎛ 이하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0.10㎛ 보다 크고 2.0㎛ 이하의 범위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2㎛ 이상 1.5㎛ 이하의 범위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 1 접착층(31)의 두께 T31은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온 고습 하에서 열화되기 어려운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종래부터 평가되는 습열 경시(예로서 85℃ 건조 하이거나, 65℃ 95% RH에서 100시간부터 500시간 경과)한 상태에 있어서도 상기의 탄성률 및 파단 신도가 유지된다. 폴리올레핀은 고온 고습 하에서 열화되기 어려운 수지이므로, 폴리올레핀을 사용함으로써 습열 경시한 상태에서도 상기의 탄성률 및 파단 신도가 유지된다.
제 1 접착층(31)은 가교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는 프리즘층(21)과 필름 베이스(30)의 접착력을 보다 높이기 위해서 사용한다. 가교제는 제 1 접착층(31)을 형성할 때의 가교 반응을 일으키는 것이면 되고, 형성된 후의 제 1 접착층(31)에 가교제로서 잔존하지 않고 있어도 된다. 즉, 얻어진 복층 필름(22) 중에 있어서는 가교제가 다른 분자를 가교한 가교 구조의 일부에 조립되고, 이미 가교제로서의 반응이나 작용을 완료한 것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가교제에 의해, 제 1 접착층(31)에 있어서의 분자끼리나 분자내에서의 가교점이 증가하고, 이것에 의해 제 1 접착층(31)의 형상을 복원하는 성질이 보다 확실하게 되거나, 프리즘층(21) 및 필름 베이스(30)에 대한 제 1 접착층(31)의 접착력이 보다 향상한다.
제 1 접착층(31)에 포함되는 가교제로서는 옥사졸린계 화합물,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 에폭시, 이소시아네이트, 멜라민(C3N6H6)이 바람직하고, 이들 중 복수종류가 제 1 접착층(31) 중에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가교제로서는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옥사졸린계 화합물,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 에폭시, 이소시아네이트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 1 접착층(31)은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 수지는 폴리올레핀과 복합됨으로써 제 1 접착층(31)의 파단 신도를 크게 하기 위한 것이다. 아크릴 수지는 폴리올레핀에 대한 질량 비율이 0% 이상 700% 이하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5% 이상 700% 이하의 범위내가 보다 바람직하고, 30% 이상 300% 이하의 범위내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수지」란 식물로부터 분비되는 혼합 물질의 의미가 아니라, 폴리머(중합체)의 의미로 사용한다.
제 1 접착층(31)을 형성하는 각 화합물의 상세를 이하에 설명한다.
<폴리올레핀>
폴리올레핀은 에틸렌, 부틸렌, 프로필렌 등의 알켄을 중합해서 이루어지는 폴리머이고, 또한 이러한 구조를 갖는 공중합체이어도 되고, 이들을 총칭해서 폴리올레핀계 폴리머라 이하 칭한다. 이러한 폴리올레핀계 폴리머는 구체적으로는 다음 중 어느 하나가 바람직하다.
·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아크릴 모노머 또는 메타크릴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
·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카르복실산(무수물을 포함한다)으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
·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아크릴 모노머 또는 메타크릴 모노머와, 카르복실산(무수물을 포함한다)으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
폴리올레핀계 폴리머를 구성하는 아크릴 모노머 또는 메타크릴 모노머의 구체예로서 바람직하게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등이 열거된다.
또한, 폴리올레핀계 폴리머를 구성하는 카르복실산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말레산 무수물 등이 열거된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복수의 종류를 혼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폴리올레핀계 폴리머 중의 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은 합계로 80∼98mol%의 범위 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85∼95mol%의 범위내가 바람직하다. 또한, 아크릴 모노머 또는 메타크릴 모노머는 합계로 0∼20mol%의 범위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3∼10mol%의 범위내가 바람직하다. 또한, 카르복실산은 합계로 0∼15mol%의 범위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mol%의 범위내가 바람직하다. 모노머 조성을 이 범위로 함으로써 양호한 접착성과 내구성을 양립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폴리머의 분자량은 2000∼200000 정도가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계 폴리머는 직쇄 구조의 것이어도 분기 구조의 것이어도 된다. 폴리올레핀계 폴리머는 수계의 폴리머 분산물(소위, 라텍스)의 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계 폴리머에 대해서 수계의 폴리머 분산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해서는 유화에 의한 방법과 유화 분산에 의한 방법이 있지만, 전자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특허 제3699935호 명세서에 기재된 방법을 참고로 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폴리머는 수계의 폴리머를 라텍스의 형태로 하는 경우에는 카르복실기, 수산기 등의 수친화성의 관능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올레핀계 폴리머를 라텍스의 형태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계면활성제(예:음이온계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폴리머(예:폴리비닐알코올) 등의 유화 안정제를 함유시켜도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pH 조정제(예:암모니아, 트리에틸아민, 탄산수소나트륨 등), 방부제(예:1,3,5-헥사히드로-(2-히드록시에틸)-s-트리아진, 2-(4-티아졸릴)벤즈이미다졸 등), 증점제(예:폴리아크릴산 나트륨, 메틸셀룰로오스 등), 조막(造膜) 조제(예:부틸카르비톨아세테이트 등) 등의 라텍스 첨가제로서 공지된 화합물을 첨가해도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폴리올레핀계 폴리머의 수계의 라텍스는 시판되어 있는 것도 있다. 시판품의 구체예로서는 본다인 HX-8210, HX-8290, TL-8030, LX-4110(이상, Sumitomo Chemical Co., Ltd. 제품), 아로베이스 SA-1200, SB-1010, SE-1013N, SE1200(이상, UNITIKA LTD. 제품) 등이 있다.
<옥사졸린계 화합물>
옥사졸린계 화합물은 하기 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옥사졸린기를 갖는 화합물이다.
Figure 112014081712907-pct00003
옥사졸린계 화합물로서는 2-비닐-2-옥사졸린, 2-비닐-4-메틸-2-옥사졸린, 2-비닐-5-메틸-2-옥사졸린, 2-이소프로페닐-2-옥사졸린, 2-이소프로페닐-4-메틸-2-옥사졸린, 2-이소프로페닐-5-메틸-2-옥사졸린 등이 열거된다. 또한, 이들 중의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또한, 옥사졸린계 화합물은 예를 들면 에포크로스 K-2020E, 에포크로스 K-2010E, 에포크로스 K-2030E, 에포크로스 WS-300, 에포크로스 WS-500, 에포크로스 WS-700 등의 시판품(NIPPON SHOKUBAI CO., LTD. 제품)으로서도 입수 가능하다.
옥사졸린계 화합물은 폴리머 성분에 대하여 5질량% 이상 80질량% 이하의 범위내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질량% 이상 40질량% 이하의 범위내에서 첨가하는 것이다. 옥사졸린계 화합물을 상술의 범위에서 첨가함으로써 고온 하, 고온 고습 하에서의 경시 후라도 필름 베이스(30)와의 접착력을 손실하지 않아 높은 접착력이 유지된다. 이것에 반하여 첨가량이 5질량% 미만인 경우에는 고온 하, 고온 고습 하에서의 경시에 의해 접착력이 저하해버릴 경우가 있다. 한편, 첨가량이 80질량%를 초과하면, 도포액의 안정성이 열악할 경우가 있다.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은 -N=C=N-로 나타내어지는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이다. 폴리카르보디이미드는 통상, 유기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축합 반응에 의해 합성되지만, 이 합성에 사용되는 유기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유기기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방향족계, 지방족계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혼합계도 사용 가능하다. 단, 반응성의 관점으로부터 지방족계가 특히 바람직하다. 합성 원료로서는 유기 이소시아네이트, 유기 디이소시아네이트, 유기 트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이 사용된다.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은 폴리머 성분에 대하여 5질량% 이상 80질량% 이하의 범위내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질량% 이상 75질량% 이하의 범위내에서 첨가하는 것이다.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을 상술의 범위에서 첨가함으로써 필름 베이스(30)와의 접착력이 보다 향상한다. 또한, 첨가량이 80질량%를 초과하면, 필름 베이스(30)와의 접착력의 관점에서는 특별히 폐해는 없지만 코스트가 지나치게 든다.
<에폭시>
에폭시는 분자내에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 및 에폭시기가 반응한 결과, 얻어지는 화합물이다. 분자내에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에피클로로히드린과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비스페놀 A 등의 수산기나 아미노기의 축합물이 열거되고, 폴리에폭시 화합물, 디에폭시 화합물, 모노에폭시 화합물, 글리시딜아민 화합물 등이 있다. 폴리에폭시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소르비톨, 폴리글리시딜에테르, 폴리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 펜타에리스리톨폴리글리시딜에테르, 디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글리시딜트리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네이트, 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폴리글리시딜에테르, 디에폭시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레조르신디글리시딜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모노에폭시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알릴글리시딜에테르, 2-에틸헥실 글리시딜에테르, 페닐글리시딜에테르, 글리시딜아민 화합물로서는 N, N, N',N',-테트라글리시딜-m-크실릴렌디아민, 1,3-비스(N,N-디글리시딜아미노)시클로헥산 등이 열거된다. 에폭시기를 갖는 수용성 모노머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데나콜-614B」(소르비톨폴리글리시딜에테르, 에폭시 당량 173, 상품명, Nagase ChemteX Corporation 제품), 「데나콜-EX-313」(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 에폭시 당량 141, 상품명, Nagase ChemteX Corporation 제품), 「데나콜-EX-512」(폴리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 에폭시 당량 168, 상품명, Nagase ChemteX Corporation 제품) 및「데나콜-EX-830」(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에폭시 당량 268, 상품명, Nagase ChemteX Corporation 제품)으로서도 입수 가능하다.
<이소시아네이트>
이소시아네이트는 -N=C=O의 부분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다. 유기 이소시아네이트의 예로서는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가 열거되고, 이들을 혼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디메틸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1,4-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2,4-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1,3-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이 사용되고, 또한 유기 모노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이소포론이소시아네이트, 페닐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부틸이소시아네이트, 나프틸이소시아네이트 등이 사용된다. 또한,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은 예를 들면, 카르보디라이트 V-02-L2, 카르보디라이트 V-02, 카르보디라이트 V-04, 카르보디라이트 V-06, 카르보디라이트 E-01, 카르보디라이트 E-02, 카르보디라이트 E-03A, 카르보디라이트 E-04 등의 시판품(Nisshinbo Holdings Inc. 제품)으로서도 입수 가능하다.
<아크릴 수지>
아크릴 수지는 아크릴계, 메타아크릴계의 모노머로 대표되는 바와 같은,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중합성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중합체이다. 이들은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중 어느 것이라도 상관없다. 또한, 그들 중합체와 다른 폴리머(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등)와의 공중합체도 포함된다. 예를 들면, 블록 공중합체, 그라프트 공중합체이다. 또는 폴리에스테르 용액, 또는 폴리에스테르 분산액 중에서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중합성 모노머를 중합해서 얻어진 폴리머(경우에 따라서는 폴리머의 혼합물)도 포함된다. 마찬가지로 폴리우레탄 용액, 폴리우레탄 분산액 중에서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중합성 모노머를 중합해서 얻어진 폴리머(경우에 따라서는 폴리머의 혼합물)도 포함된다. 동일하게 다른 폴리머 용액 또는 분산액 중에서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중합성 모노머를 중합해서 얻어진 폴리머(경우에 따라서는 폴리머 혼합물)도 포함된다. 또한, 접착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서, 히드록실기,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것도 가능하다.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중합성 모노머로서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특히 대표적인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이타콘산, 푸말산, 말레산, 시트라콘산과 같은 각종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류 및 그들의 염;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부틸히드록시푸마레이트, 모노부틸히드록시이타코네이트와 같은 각종의 수산기 함유 모노머류;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은 각종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류; (메타)아크릴아미드,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또는 (메타)아크릴로니트릴 등과 같은 각종 질소 함유 화합물;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디비닐벤젠, 비닐톨루엔과 같은 각종 스티렌 유도체, 프로피온산 비닐과 같은 각종 비닐에스테르류;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등과 같은 각종 규소 함유 중합성 모노머류; 인 함유 비닐계 모노머류; 염화 비닐, 염화 피리덴과 같은 각종의 할로겐화 비닐류; 부타디엔과 같은 각종 공역 디엔류가 열거된다.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인 쥴리머 ET-410(TOAGOSEI CO., LTD. 제품)이 시판품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복층 필름(22)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용융 폴리머의 압출에 의해, 필름 베이스(30)를 제작하다. 다음에 필름 베이스(30)를 연신한다. 연신은 1방향 또는 2방향으로 행하고, 바람직하게는 2방향으로 행하는 것이고, 2방향은 서로 직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제 1 접착층(31)의 원료가 되는 폴리올레핀을 용매에 녹여서 이루어지는 도포액을 연신된 필름 베이스(30)의 적어도 일방의 필름면에 도포하고, 필름면 상에 도포막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포막을 가열하는 등 해서 도포막으로부터 용매를 증발시켜, 제 1 접착층(31)이 필름면에 형성된 필름 베이스(30), 즉 복층 필름(22)이 얻어진다. 또한, 제 1 접착층(31)에 가교제나 아크릴 수지를 포함시키는 경우에는 도포액에 이들을 포함시켜 두면 된다. 또한, 필름 베이스(30)의 연신을 2방향으로 행할 경우에는 일방의 방향에 있어서의 연신을 행한 후에, 타방의 방향에 있어서의 연신을 행한다. 제 1 접착층(31)을 형성하는 도포액의 도포 전에, 2방향으로의 연신을 행해도 되고, 도포 전에 일방의 방향에 있어서의 연신을 행하고, 도포 후에 타방의 방향에 있어서의 연신을 행해도 된다.
도포액의 도포 방법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바 코터 도포, 슬라이드 코터 도포 등의 공지의 방법이 사용된다. 용매는 물, 톨루엔, 메틸알콜, 이소프로필알콜, 메틸에틸케톤 등,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의 수계, 유기 용제계의 각종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용매 중에서 물은 코스트, 제조의 간편성, 환경의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다.
또한, 2축 연신 후의 필름 베이스(30)에 대하여, 제 1 접착층(31)을 형성하는 도포액을 도포함으로써, 광학 특성이 균일하고, 또한 면상이 우수한 복층 필름(22)이 얻어진다.
프리즘 시트(20)는 이하의 방법으로 제조된다. 프리즘층(21)을 자외선 경화 수지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하는 자외선 경화 타입의 도포액을 사용한다. 도포액을 프리즘층의 몰드에 충전하고, 몰드의 도포액과 복층 필름(22)의 제 1 접착층(31)을 접촉하는 상태에 따라서, 필름 베이스(30)측으로부터 광을 조사함으로써 도포막을 경화시킨다. 또한, 이 방법 대신에 복층 필름(22) 중 제 1 접착층(31)측의 필름면에, 프리즘층(21)을 형성하는 도포액을 도포하고, 도포막을 형성하고 나서, 프리즘층의 몰드를 도포막의 표면에 압박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몰드와 도포막을 압박한 상태에서, 필름 베이스(30)측으로부터 광을 조사함으로써 도포막을 경화시킨다. 이상의 방법에 의해, 복층 필름(22)과 제 1 접착층(31) 상에 형성된 프리즘층(21)을 구비하는 프리즘 시트(20)가 얻어진다.
도 4에 나타내는 복층 필름(42)은 필름 베이스(30)와 제 1 접착층(31)과 제 2 접착층(32)을 구비한다. 또한, 도 4에 있어서는 도 2, 도 3과 같은 부재 및 층 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접착층(32)은 제 1 접착층(31)의 필름 베이스(30)와 접하는 제 1 면(31a)과는 반대측의 제 2 면(31b)에 형성된다. 복층 필름(42)은 제 2 접착층(32)이 노출되어 있는 제 1 면(42a)에, 후공정에서 프리즘층(21)이 형성되어 프리즘 시트(40)가 된다.
제 2 접착층(32)은 필름 베이스(30)와 프리즘층(21)의 접착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 2 접착층(32)의 두께 T32는 0.1㎛ 이상 2.5㎛ 이하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0.2㎛ 이상 2.0㎛ 이하의 범위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 2 접착층(32)은 프리즘층(21)이 형성되는 공정, 구체적으로는 프리즘층(21)을 형성하는 도포액이 도포되고나서 자외선 등의 광조사에 의해 경화되기까지의 사이에, 프리즘층(21)을 형성하는 도포액이 침투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경화해서 형성된 프리즘층(21)과 복층 필름(42)은 프리즘층(21)과 복층 필름(22)(도 2, 도 3 참조)에 비해서 보다 강한 접착력으로 접착한다.
제 2 접착층(32)은 프리즘층(21)이 탄성 변형할 때에 두께를 거의 변하게 하지 않아 프리즘층(21)과 마찬가지로 변형한다. 한편, 제 1 접착층(31)은 상술한 바와 같이, 낮은 탄성률을 가짐으로써 프리즘층(21)이 탄성 변형할 때에 신축하고, 프리즘층(21)의 형상의 변화에 추종한다. 예를 들면, 도 5의 2점 파선(A)으로 나타내는 상태에서, 프리즘층(21)이 필름 베이스(30)에 압박되어서 근접하는 방향으로 변형되면, 제 2 접착층(32)은 프리즘층(21)과 마찬가지로 필름 베이스(3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변형하고, 제 1 접착층(31)은 두께 T31이 작아지는 상태로 수축된다. 또한, 변형된 프리즘층(21)이 도 5의 실선(B)의 상태로 형상이 되돌아올 때는 제 2 접착층(32)은 프리즘층(21)과 마찬가지로 두께를 거의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로 형상을 되돌리고, 제 1 접착층(31)은 원래의 두께 및 형상으로 되돌아온다. 이렇게 제 1 접착층(31)은 형상을 복원하는 성질을 가지므로, 프리즘층(21)의 형상이 변화되어도 프리즘층(21)이 필름 베이스(30)로부터 박리되지 않고 접착된 상태가 유지됨과 아울러 제 2 접착층(32)에 의해 프리즘층(21)이 보다 박리되기 어려워진다.
제 2 접착층(32)으로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제 2 접착층(32)의 제 1 실시형태는 가교제와, 폴리우레탄과,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는 유리전이점(Tg)이 60℃ 미만인 것이고, 디카르복실산 구성 단위 중 적어도 30%가 나프탈렌 환을 갖는 디카르복실산 구성 단위인 공중합 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접착층(32)에 포함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유리전이점(Tg)이 60℃ 미만인 것에 의해, 프리즘층(21)과의 접착력이 보다 향상한다. 특히, 프리즘층(21)이 식(1)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과 식(2)으로 나타내어지는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도포액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프리즘층(21)과의 접착력은 확실하게 향상한다. 제 2 접착층(32)에 포함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유리전이점(Tg)은 접착력을 향상하는 관점에서는 낮을수록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복층 필름(22)으로서 형상의 유지나 취급성의 관점으로부터 최저라도 대략 0℃이다.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접착층(32)에 포함되는 폴리에스테르는 2종류 이상의 폴리에스테르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적어도 1종은 유리전이점(Tg)이 60℃ 미만인 폴리에스테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유리전이점(Tg)이 60℃ 이상인 폴리에스테르를 병용해도 되지만, 유리전이점(Tg)이 60℃ 이상인 폴리에스테르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프리즘층(21)을 형성하는 공정에 있어서 프리즘층(21)을 형성하는 도포액이 제 2 접착층(32)에 침투하기 어려워져, 접착력 향상의 정도가 낮아진다. 따라서, 제 2 접착층(32)에 유리전이점(Tg)이 60℃ 이상인 폴리에스테르와 60℃ 미만인 폴리에스테르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유리전이점(Tg)이 60℃ 이상인 폴리에스테르의 농도는 1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제 2 접착층(32)에 포함되는 폴리에스테르에 있어서의 유리전이점(Tg)이 60℃ 미만인 폴리에스테르의 농도는 9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5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접착층(32)에 포함되는 폴리에스테르로서, 나프탈렌 환을 함유하는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제 2 접착층(32)의 표면에 있어서의 올리고머의 석출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된다. 이것은 필름 베이스(30)로부터의 올리고머 성분과 나프탈렌 환을 함유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상용성이 높은 것에 서 기인하는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접착층(32)에 포함되는 폴리에스테르의 유리전이점(Tg)이 -20℃ 미만이면, 폴리에스테르의 안정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을 경우가 있다. 따라서, 제 2 접착층(32)에 포함되는 폴리에스테르의 유리전이점(Tg)은 -2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접착층(32)에 포함되는 폴리에스테르의 유리전이점(Tg)은 -20℃ 이상 60℃ 이하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50℃ 이하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전이점(Tg)의 측정 방법은 JIS K 7121(1987)과 같다.
나프탈렌 환을 갖는 폴리에스테르는 나프탈렌 환을 갖지 않는 폴리에스테르에 비하여, 유리전이점(Tg)이 높은 경향이 있다. 따라서, 나프탈렌 환을 포함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중, 유리전이점(Tg)이 60℃ 미만인 것으로서는 하기 식(4)으로 나타내어지는 디카르복실산 성분, 하기의 식(5)으로 나타내어지는 디올 성분으로부터 생성한 폴리에스테르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 (4) HOOC-(CH2)n-COOH (4≤n≤10, n은 자연수)
식 (5) HO-(CH2)m-OH (4≤m≤10, m은 자연수)
디카르복실산의 구성 단위로서는 2,6-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의 구성 단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나프탈렌 환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중, 유리전이점(Tg)이 60℃ 미만인 것으로서는 디카르복실산의 구성 단위로서, 식(4)으로 나타내어지는 디카르복실산이나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등을 구성 단위로서 갖는 것이어도 된다.
나프탈렌 환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의 모든 디카르복실산 구성 단위의 수에 대하여,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의 구성 단위의 수가 차지하는 비율(X1)은 30% 이상 90% 이하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율(X1)이 30% 미만인 경우에는 올리고머의 석출 방지의 효과가 불충분하게 될 경우가 있다. 비율(X1)이 90% 보다 클 경우에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유리전이점(Tg)이 높게 되는 결과, 프리즘층(21), 특히 아크릴계의 자외선 경화 수지를 포함하는 프리즘층(21)과의 접착력이 낮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비율(X1)은 40% 이상 80% 이하의 범위내가 보다 바람직하고, 50% 이상 75% 이하의 범위내가 더욱 바람직하다.
비율(X1)이 상술의 범위가 되는 폴리에스테르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폴리에스테르를 제작하기 위한 디카르복실산 중, 나프탈렌 환을 포함하는 디카르복실산이 차지하는 물질량의 비율은 비율(X1)과 마찬가지로 30mol% 이상 90mol% 이하의 범위내가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에스테르를 제작하기 위한 디카르복실산 중, 나프탈렌 환을 포함하는 디카르복실산이 차지하는 물질량의 비율은 40mol% 이상 80mol% 이하의 범위내가 보다 바람직하고, 50mol% 이상 75mol% 이하의 범위내가 더욱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의 디올 구성 단위로서는 폴리에스테르의 유리전이점(Tg)이 낮아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식(5)으로 나타내어지는 디올 외, 에틸렌글리콜이나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등이 있다.
폴리에스테르의 모든 디올 구성 단위의 수에 대하여, 식(5)의 디올의 구성 단위의 수가 차지하는 비율(X2)은 10% 이상 95% 이하의 범위내가 바람직하고, 20% 이상 90% 이하의 범위내가 보다 바람직하고, 30% 이상 85% 이하의 범위내가 더욱 바람직하다. 비율(X2)이 10% 미만에서는 유리전이점(Tg)을 낮추는 효과가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프리즘층(21), 특히 아크릴계의 자외선 경화 수지를 포함하는 프리즘층(21)과의 접착력이 낮아진다. 비율(X2)이 95% 보다 크면 중합도가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비율(X2)이 상술의 범위가 되는 폴리에스테르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폴리에스테르를 제작하기 위한 디올 중, 식(5)의 디올이 차지하는 물질량의 비율은 비율(X2)과 마찬가지로 10% 이상 95% 이하의 범위내가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에스테르를 제작하기 위한 디올 중, 식(5)의 디올이 차지하는 물질량의 비율은 20% 이상 90% 이하의 범위내가 보다 바람직하고, 30% 이상 85% 이하의 범위내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는 예를 들면, 플러스 코트 Z592 등의 시판품(GOO CHEMICAL CO., LTD. 제품)으로서도 입수가능하다.
또한, 제 1 접착층(31)을 상기 구성으로 하는 것 대신에, 제 2 접착층(32)이 폴리우레탄을 포함함으로써, 프리즘층(21)과의 충분한 접착력은 확보된다. 제 1 접착층(31)을 상기 구성으로 하는 것에 더해서, 제 2 접착층(32)이 폴리우레탄을 포함함으로써, 프리즘층(21)과의 충분한 접착력이 보다 확실하게 향상한다. 제 2 접착층(32)에 포함되는 폴리우레탄은 주쇄에 우레탄 결합을 갖는 폴리머의 총칭이고, 통상, 폴리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의 반응에 의해 얻어진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TDI(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MDI(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NDI(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TODI(톨리딘디이소시아네이트), HDI(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IPDI(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이 있다. 폴리올로서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헥산트리올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의 반응에 의해 얻어진 폴리우레탄 폴리머에 쇄연장 처리를 해서 분자량을 증대시킨 폴리머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폴리 이소시아네이트, 폴리올 및 쇄연장 처리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폴리우레탄 핸드북」(이와타 케이지 편찬, 일간공업신문사, 1987년 발행)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제 2 접착층(32)에 포함되는 폴리우레탄은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제 2 접착층(32)에 포함되는 폴리우레탄은 유리전이점(Tg)이 -40℃ 이상 50℃ 이하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이상 40℃ 이하의 범위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 2 접착층(32)에 포함되는 폴리우레탄의 유리전이점(Tg)이 50℃를 초과하면, 프리즘층(21), 특히, 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아크릴계의 자외선 경화 수지가 포함되는 프리즘층(21)의 도포액이 도포되면, 이 도포액이 침투하기 어려워져 프리즘층(21)과의 접착력의 향상의 정도가 낮아진다. 제 2 접착층(32)에 포함되는 폴리우레탄의 유리전이점(Tg)이 -40℃ 미만이면, 폴리우레탄의 안정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폴리우레탄은 예를 들면, 수퍼 플렉스 150HS, 수퍼 플렉스 470 등의 시판품(DAI-ICHI KOGYO SEIYAKU CO.,LTD. 제품), 하이드란 AP-20, 하이드란 WLS-210, 하이드란 HW-161 등의 시판품(DIC Corporation 제품)으로서도 입수가능하다.
제 2 접착층(32)에 포함되는 가교제로서는 이소시아네이트, 옥사졸린계, 카르보디이미드계, 멜라민계, 요소계, 에폭시계 등이 열거된다. 이들 중에서, 도포액의 경시 안정성, 고온 고습 처리 후의 밀착성의 관점으로부터, 옥사졸린계, 카르보디이미드계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가교제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해도 되고, 상기의 가교제 중 2개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또한, 시간을 둔 후에 프리즘층(21) 등의 광학 기능층을 형성하는 경우 등, 복층 필름(42)을 장기간 보관하는 사이의 제 1 접착층(31)과 제 2 접착층(32)의 경시 안정성의 관점으로부터 제 2 접착층(32)에 가교제를 포함시키지 않아도 된다.
제 2 접착층(32)에 있어서의 이소시아네이트, 옥사졸린계 화합물,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로서는 제 1 접착층(31)의 가교제로서 열거한 이소시아네이트, 옥사졸린계 화합물,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제 2 접착층(32)에 있어서는 옥사졸린계 화합물은 제 2 접착층(32)의 폴리머 성분에 대하여 0질량% 보다 많고 50질량% 이하의 범위내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50질량%의 범위내에서 첨가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40질량%의 범위내에서 첨가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옥사졸린계 화합물을 상술의 범위에서 첨가함으로써 고온 하, 고온 고습 하에서의 경시 후라도, 프리즘층(21)과 필름 베이스(30)의 접착력이 보다 확실하게 유지된다. 이것에 대하여, 첨가량이 5질량% 미만인 경우에는 고온 하, 고온 고습 하에서의 경시 변화로서 접착력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첨가량이 50질량%를 초과하면, 도포액의 안정성이 열악해지는 경향이 있다.
제 2 접착층(32)에 있어서는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은 제 2 접착층(32)의 폴리머 성분에 대하여 0질량% 보다 많고 80질량% 이하의 범위내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5∼80질량%의 범위내에서 첨가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75질량%의 범위내에서 첨가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을 상술의 범위에서 첨가함으로써 프리즘층(21)과 필름 베이스(30)의 접착력이 보다 확실하게 유지된다. 이에 대하여 첨가량이 15질량% 미만인 경우에는 프리즘층(21)과 필름 베이스(30)의 접착력의 향상의 정도가 작아진다. 한편, 첨가량이 80질량%를 초과하면, 접착력의 관점에서는 특별히 폐해는 없지만, 코스트가 지나치게 든다.
복층 필름(42)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우선, 앞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복층 필름(22)을 제작한다. 제 2 접착층(32)의 원료가 되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및 가교제를 용매에 녹여서 이루어지는 도포액을 제 1 접착층(31) 상에 도포하여 도포막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포막을 가열하는 등 하여 도포막으로부터 용매를 증발시켜, 제 2 접착층(32)이 제 1 접착층(31) 상에 형성된 복층 필름(42)이 얻어진다. 제 2 접착층(32)을 형성하는 도포 방법 및 용매는 제 1 접착층(31)을 형성하는 도포 방법 및 용매와 마찬가지로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제 1 접착층(31)을 형성하는 도포 방법 및 용매로서 열거한 상술의 방법 및 용매를 이용해도 된다.
프리즘 시트(40)는 복층 필름(42)의 제 2 접착층(32) 상에 프리즘층(21)을 형성하는 도포액을 도포해서 프리즘층(21)을 형성하는 것으로 제조된다. 프리즘층(21)의 형성 방법은 앞에서 설명한 프리즘 시트(20)의 프리즘층(21)과 같다.
제 2 접착층(32)의 제 2 실시형태는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고, 이 폴리에스테르는 유리전이점(Tg)이 60℃ 미만인 것이고, 디카르복실산구성 단위 중 10mol% 이상 40mol% 이하의 범위가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디카르복실산 구성 단위이다.
디카르복실산 구성 단위 중 10mol% 이상 40mol% 이하의 범위가 불포화 이중결합을 갖는 디카르복실산 구성 단위란 폴리에스테르의 모든 디카르복실산 구성 단위에 대하여, 이 불포화 이중결합을 갖는 디카르복실산의 구성 단위가 차지하는 비율(X3)이 10% 이상 50% 이하의 범위내인 것을 의미한다. X3이 10%이상인 것에 의해, 10% 미만인 경우에 비하여 프리즘층(21)과 보다 강한 접착력으로 접착한다. 또한, X3이 50% 이하인 것에 의해, 50% 보다 큰 경우에 비하여 제 2 접착층(32)을 형성하는 도포액의 안정성이 보다 향상하고, 제 2 접착층(32)이 보다 확실하게 균일한 두께로 형성된다. 제 2 접착층(32)을 형성하는 도포액의 안정성을 고려하면, X3은 10% 이상 40% 이하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이상 30% 이하의 범위내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제 2 접착층(32)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 중, 유리전이점(Tg)이 60℃ 미만인 것으로서는 식(4)으로 나타내어지는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부터 생성한 폴리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또한,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비페닐 디카르복실산, 숙신산,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등을 디카르복실산 구성 단위에 포함하고 있어도 상관없다. 이 경우, 프리즘층(21)을 형성하는 도포액을 도포하면, 이 도포액이 제 2 접착층(32)에 침투하기 쉬워진다.
또한, 디카르복실산의 구성 단위로서, 2,6-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의 구성 단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폴리에스테르의 모든 디카르복실산구성 단위에 대하여, 2,6-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의 구성 단위가 차지하는 비율(X4)은 20% 이상 80% 이하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율(X4)이 20% 이상이면 20% 미만인 경우에 비하여 올리고머의 석출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된다. 비율(X4)이 80% 이하이면 80%보다 큰 경우에 비하여 폴리에스테르의 유리전이점(Tg)이 보다 높게 되고, 그 결과, 프리즘층(21)을 형성하는 도포액의 제 2 접착층(32)에 침투량이 보다 많아짐으로써 제 2 접착층(32)과 프리즘층(21)의 접착력이 보다 향상한다. 비율(X4)은 30% 이상 70% 이하의 범위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0% 이상 65% 이하의 범위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비율(X3)이 상술의 범위가 되는 폴리에스테르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폴리에스테르를 제작하기 위한 디카르복실산 중, 불포화 이중결합을 갖는 디카르복실산의 물질량의 비율은 비율(X3)과 마찬가지로 10mol% 이상 50mol% 이하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에스테르를 제작하기 위한 디카르복실산 중, 불포화 이중결합을 갖는 디카르복실산이 차지하는 물질량의 비율은 10mol% 이상 40mol% 이하의 범위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mol% 이상 30mol% 이하의 범위내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비율(X4)이 상술의 범위가 되는 폴리에스테르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폴리에스테르를 제작하기 위한 디카르복실산 중, 나프탈렌 환을 포함하는 디카르복실산이 차지하는 물질량의 비율은 비율(X4)과 마찬가지로 20mol% 이상 80mol% 이하의 범위내가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에스테르를 제작하기 위한 디카르복실산 중, 나프탈렌 환을 포함하는 디카르복실산이 차지하는 물질량의 비율은 30mol% 이상 70mol% 이하의 범위내가 보다 바람직하고, 40mol% 이상 65mol% 이하의 범위내가 더욱 바람직하다.
제 2 접착층(32)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의 디올 성분은 바람직한 것으로서, 제 2 접착층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의 디올 성분으로서 기재한 것이나, 네오펜틸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이 열거된다.
제 1 접착층(31)은 필름 베이스(30)의 일방의 필름면뿐만 아니라, 타방의 필름면에도 배치해도 된다. 예를 들면, 필름 베이스(30)의 타방의 필름면에 프리즘층(21)과는 다른 광학 기능층을 형성하는 경우이다. 또한, 타방의 필름면에도 제 1 접착층(31)을 형성한 경우에는 이 제 1 접착층(31) 상에도 제 2 접착층(32)을 형성해도 된다.
프리즘층(21)과 반대측의 필름면에 형성되는 다른 광학 기능층으로서는 일본특허공개 평10-300908에 기재되어 있는 간섭 무늬 방지층, 일본 특허공표 2007-529780에 기재되어 있는 손상 방지층, 일본국 특허공개 2010-49243에 기재되어 있는 프리즘층 정점의 접촉 스크래치 방지층, 또는 레인보우 얼룩 개량층 등이 열거된다.
또한, 필름 베이스(30)의 양쪽의 필름면에 제 1 접착층(31)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필름 베이스(30)의 양쪽의 필름면에, 제 1 접착층(31)을 형성하는 도포액을 도포하면 된다.
또한, 제 1 접착층(31)과 제 2 접착층(32)에는 각종 첨가제를 포함시켜도 된다. 첨가제로서는 매트제, 계면활성제, 윤활제, 방부제가 열거된다.
매트제로서는 유기 또는 무기의 미립자 중 어느 하나라도 된다. 예를 들면, 폴리스티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실리콘 수지, 벤조구아나민 수지 등의 폴리머 미립자나 실리카, 탄산 칼슘, 산화 마그네슘, 탄산 마그네슘 등의 무기 미립자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폴리스티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실리카는 미끄럼성 개량 효과, 코스트의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다.
매트제의 평균 입경은 0.01∼12㎛의 범위내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9㎛의 범위내이다. 이들 범위내의 평균 입경으로 함으로써 표시 장치의 표시 품위의 저하를 초래하지 않고, 미끄럼성 개량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다. 또한, 평균 입경이 다른 매트제를 2종류 이상 사용할 수도 있다.
매트제의 첨가량은 평균 입경에 의해서도 다르지만, 0.1∼100mg/m2의 범위내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50mg/m2의 범위내이다. 이들 범위내의 첨가량으로 함으로써 표시 장치의 표시 품위의 저하를 초래하지 않고, 미끄럼성 개량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서는 공지의 음이온계, 비이온계, 양이온계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계면활성제 편람」 (니시 이치로, 이마이 토모이치로, 카사리 타다시, 산업도서(주) 1960년 발행)에 기재되어 있다. 계면활성제의 첨가량으로서는 0.1∼30mg/m2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10mg/m2의 범위이다. 이들 범위내의 첨가량으로 함으로써 튐을 발생시키지 않고, 면상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윤활제로서는 합성 또는 천연 왁스, 실리콘 화합물, R-O-SO3M(단, R은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기, 알킬기의 탄소수는 3개부터 20개인 정수, M은 1가의 금속 원자를 나타낸다).
윤활제의 구체예로서는 셀로졸 524, 428, 732-B, 920, B-495, 하이드린 P-7, D-757, Z-7-30, E-366, F-115, D-336, D-337, 폴리론 A, 393, H-481, 하이미크론 G-110F, 930, G-270(이상, CHUKYO YUSHI CO.,LTD. 제품), 케미펄 W100, W200, W300, W400, W500, W950(이상, Mitsui Chemicals, Inc. 제품) 등의 왁스계, KF-412, 413, 414, 393, 859, 8002, 6001, 6002, 857, 410, 910, 851, X-22-162A, X-22-161A, X-22-162C, X-22-160AS, X-22-164B, X-22-164C, X-22-170B, X-22-800, X-22-819, X-22-820, X-22-821(이상, Shin-Etsu Chemical Co., Ltd.) 등의 실리콘계, C16H33-O-SO3Na, C18H37-O-SO3Na 등의 상기 일반식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미끄럼제는 0.1부터 50mg/m2의 범위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20mg/m2의 범위에서 첨가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범위내에서 첨가함으로써 면상을 양호하게 하면서, 미끄럼성을 충분히 얻을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광학 기능층으로서 프리즘층(21)이 형성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지만, 프리즘층(21) 대신에, 다른 광학 기능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제 1 접착층(31)과 제 2 접착층(32)과는 같은 작용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렌즈가 면상으로 다수 배치된 마이크로렌즈층이 낮은 탄성률을 갖고 형상이 복원되는 것인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복층 필름(22, 42)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내스크래치성을 부여하는 하드 코트가 낮은 탄성률을 갖고, 형상이 복원되는 것인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복층 필름(22, 42)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세한 것은 실시예 1에 기재하고, 실시예 2∼7, 비교예 1∼5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다른 조건만 기재한다.
실시예 1
(베이스 필름의 제작)
이하의 순서에 의해, 필름 베이스(30)를 제작했다. 우선, Ti 화합물을 촉매로서 중축합한 고유점도 0.64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하, PET라 기재한다)를 함수율 50ppm 이하로 건조했다. 건조한 PET를 히터 온도가 280℃ 이상 300℃ 이하의 범위로 설정된 압출기내에서 용융시켰다. 용융시킨 PET를, 정전 인가된 칠드 롤 상에 다이부로부터 압출하고, 띠상의 비결정 베이스를 얻었다. 얻어진 비결정 베이스를 길이 방향으로 3.3배로 연신한 후, 폭방향에 대하여 3.8배로 연신하고, 두께 188㎛의 필름 베이스(30)를 얻었다.
필름 베이스(30)를 반송 속도 60m/분으로 반송하면서, 양면을 730J/m2의 조건으로 코로나 방전 처리를 행한 후, 하기의 도포액 A를 바 코트법에 의해 편면에 도포했다. 그리고, 이것을 145℃에서 1분 건조하고, 필름 베이스(30)의 편면에 제 1 접착층(31)을 형성하고, 또한 양면을 288J/m2의 조건으로 코로나 방전 처리를 행했다. 제 1 접착층(31) 상에 하기의 도포액 B를 바 코팅법에 의해 도포하고, 이것을 145℃에서 1분 건조하고, 제 1 접착층(31) 상에 제 2 접착층(32)이 형성된 복층 필름(42)을 제작했다.
(도포액 A)
도포액 A의 조성은 이하와 같다.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63.4질량부
(TOAGOSEI CO., LTD.제 쥴리마 ET-410 고형분 30%)
폴리올레핀 95.1질량부
(UNITIKA LTD.제 아로베이스 SE-1013N 고형분 20질량%)
가교제(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 31.5질량부
(Nisshinbo Holdings Inc.제품 카르보디라이트 V-02-L2 고형분 40%)
계면활성제 A 16.7질량부
(Sanyo Chemical Industries, Ltd. 제품, 나로아크티 CL-95의 1% 수용액)
계면활성제 B 6.9질량부
(NOF CORPORATION 제품, 라피졸B-90의 1% 수용액)
폴리스티렌 라텍스 수분산액 1.2질량부
(Zeon Corporation, Nipol UFN 1008)
방부제 0.8질량부
(DAITO CHEMICAL CO.,LTD. 제품, AF-337, 고형분 3.5% 메탄올 용매)
증류수 α질량부
(α; 이 양 α를 조절함으로써 도포액 A의 전체를 1000질량부로 했다)
(도포액 B)
도포액 B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폴리에스테르의 수분산액 77.6질량부
(GOO CHEMICAL CO., LTD.제품, 플러스 코트 Z592 고형분 25%)
폴리우레탄 수지 51.1질량부
(DAI-ICHI KOGYO SEIYAKU CO.,LTD.제품 수퍼 플럭스 150HS 고형분 38%)
가교제(옥사졸린 화합물) 15.3질량부
(NIPPON SHOKUBAI CO., LTD.제품 에포크로스 K-2020E 고형분 40%)
계면활성제 A 29.7질량부
(Sanyo Chemical Industries, Ltd.제품 나로아크티 CL-95의 1% 수용액)
계면활성제 B 12.3질량부
(NOF CORPORATION 제품, 라피졸 B-90의 1% 수용액)
윤활제 1.8질량부
(CHUKYO YUSHI CO.,LTD. 제품, 카르나우바 왁스 분산물 셀로졸 524 고형분 30%)
방부제 0.7질량부
(DAITO CHEMICAL CO.,LTD.제품, AF-337, 고형분 3.5% 메탄올 용매)
증류수 α질량부
(α; 이 양 α를 조절함으로써 도포액 B의 전체를 1000질량부로 했다)
프리즘층(21)을 형성하는 하기의 도포액(이하, 프리즘층용 도포액이라고 한다) PA를, 프리즘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금형에 충전했다. 프리즘층용 도포액 PA는 자외선에 의해 경화하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복층 필름(42)의 제 2 접착층(32)이 금형 상의 도포액에 접촉하는 상태에서, 복층 필름(42)을 금형에 롤러로 압박하고, 도포액과 제 2 접착층(32)의 접촉 개시부터 3초 후에, 필름 베이스(30)측으로부터 자외선을 1000mJ/cm2의 조건으로 조사해서 경화를 행했다. 자외선을 조사하는 광원으로서는 USHIO INC. 제품 메탈할라이드 램프 UVL-1500M2를 사용했다. 금형으로부터 복층 필름(42)을 박리하고, 정각 90°, 피치 60㎛, 높이가 30㎛인 프리즘층(21)을 구비하는 복층 필름(42), 즉 프리즘 시트(40)를 얻었다.
(프리즘층용 도포액 PA)
프리즘층용 도포액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비스페놀 A형 디아크릴레이트 수지 57.0질량부
(Shin-Nakamura Chemical Co., Ltd. 제품, NK 에스테르 A-BPE-10)
비스페놀 A형 디아크릴레이트 수지 5.0질량부
(Shin-Nakamura Chemical Co., Ltd. 제품, NK 에스테르 A-BPE-4)
에톡시화 o-페닐페놀아크릴레이트 35.0질량부
(Shin-Nakamura Chemical Co., Ltd. 제품, NK 에스테르 A-LEN-10)
개시제 3질량부
(IRGACURE 184)
얻어진 프리즘 시트(40)와, 제 1 접착층(31) 및 프리즘층(21)의 평가 샘플에 관해서 이하의 평가 및 측정을 행했다. 각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1. 접착력의 평가
제조 직후의 프리즘 시트(40)의 프리즘층(21) 상에 대하여 한쪽 날 면도기에 의해 종횡 각각 11개의 스크래치를 부여한 100개의 칸을 형성했다. 이 후에, 점착 테이프(3M사 제품 600)를 붙이고, 테이프 상을 지우개로 문질러서 완전하게 부착시켰다. 그 후에 수평면에 대하여 90° 방향으로 박리시켜 박리된 칸의 수를 구함으로써 필름 베이스(30)에 대한 프리즘층(21)의 접착력을 하기 A∼E의 5단계로 평가했다.
A : 박리 없음의 경우
B : 박리된 칸의 수가 1개 이상 5개 미만인 경우
C : 박리된 칸의 수가 5개 이상 15개 미만인 경우
D : 박리된 칸의 수가 15개 이상 30개 미만인 경우
E : 박리된 칸의 수가 30개 이상인 경우
또한, 상기 A 및 B는 제품상 합격의 레벨이고, C, D, E는 불합격의 레벨이다.
2. 탄성률과 파단 신도의 측정
하기 조건 이외는 ATSM D882에 기초하여, 이하의 샘플 제작 조건으로 폭 5mm, 두께 20㎛의 각 평가 샘플을 작성했다. 이 두께 20㎛란 제 1 접착층(31)의 탄성률 및 파단 신도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제 1 접착층(31)의 평가 샘플의 두께이고, 프리즘층(21)의 탄성률 및 파단 신도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프리즘층(21)의 평가 샘플의 두께이다.
제 1 접착층(31)을 형성하기 위해서 사용한 도포액 A를 지지체 상에 도포하고, 제 1 접착층(31)을 형성한 조건과 동일한 조건에서 막을 형성하고, 이 막을 지지체로부터 박리함으로써 제 1 접착층(31)의 평가 샘플을 작성했다. 지지체로서는 세라필 HP2(Toray Inc. 제품)을 사용했다. 또한, 프리즘층용 도포액 PA를 지지체 상에 도포하고, 프리즘층(21)을 형성한 조건과 같은 조건으로 막을 형성하고, 이 막을 지지체로부터 박리함으로써 프리즘층(21)의 평가 샘플을 작성했다. 사용한 지지체는 세라필 HP2(Toray Inc. 제품)이다. 평가는 텐실론 RTM-50 Orientec Co., Ltd. 제품을 이용하여, 폭 5mm, 척간 거리 20mm, 인장 속도 5mm/min, 실온(23℃ 상대 습도 50%)에서 인장 특성으로서의 탄성률과 파단 신도를 각 평가 샘플에 대해서 구했다.
3. 제 1 접착층의 두께 T31과 제 2 접착층의 두께 T32
프리즘층(21)을 형성하기 전의 복층 필름(42)에 있어서, 마이크로톰(Leica사 제품 RM2255)을 사용하여 단면 절삭을 실시했다. 얻어진 단면을 주사 전자 현미경(HITACHI사 제품 S-4700)으로 관찰함으로써 제 1 접착층(31)의 두께 T31과, 제 2 접착층(32)의 두께 T32를 측정했다. 제 1 접착층(31)과 제 2 접착층(32)의 두께 T31, T32는 표 1의 제 1 접착층의 「두께」란과 제 2 접착층의 「두께」란에 각각 나타낸다. 또한, 표 1의 「접착층의 두께의 합」이란 제 1 접착층(31)의 두께 T31과 제 2 접착층(32)의 두께 T32의 합이다.
또한, 표 1에 있어서 「폴리올레핀」란의 수치는 제 1 접착층(31)을 구성하는 전체 고형 질량으로부터 첨가제를 제외한 질량을 100으로 할 때에, 폴리올레핀의 고형 질량을 나타낸다.「아크릴 수지」란의 수치는 제 1 접착층(31)을 구성하는 전체 고형 질량으로부터 첨가제를 제외한 질량을 100이라고 할 때에 아크릴의 고형 질량을 나타낸다.「가교제」란의 수치는 제 1 접착층(31)을 구성하는 전체 고형 질량으로부터 첨가제를 제외한 질량을 100이라고 할 때에, 가교제의 고형 질량을 나타낸다.
Figure 112018075835203-pct00010
실시예 2
실시예 1과 같은 필름 베이스(30)를 반송 속도 60m/분으로 반송하면서, 양면을 730J/m2의 조건으로 코로나 방전 처리를 행한 후, 도포액 A를 바 코팅법에 의해 편면에 도포했다. 그리고, 이것을 145℃에서 1분 건조하고, 필름 베이스(30)의 편면에 제 1 접착층(31)을 형성하고, 복층 필름(22)을 제작했다. 제 1 접착층(31)의 두께는 표 1에 나타낸다. 이 복층 필름(22)의 제 1 접착층(31) 상에, 실시예 1과 같은 프리즘층용 도포액을 도포하고,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으로 프리즘층(21)을 형성해서 프리즘 시트(20)을 얻었다.
실시예 1과 같은 방법 및 기준으로, 프리즘 시트(20)와 제 1 접착층(31) 및 프리즘층(21)의 평가 샘플에 관해서 평가와 측정을 실시했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접착층(32)을 형성하지 않고 있으므로, 표 1의 「제 2 접착층」의 「두께」란에는 「-」라고 기재한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도포액 A를 하기의 도포액 C로 대신했다. 그 밖의 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프리즘 시트(40)를 얻었다.
(도포액 C)
도포액 C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8.5질량부
(TOAGOSEI CO., LTD.제품 쥴리마 ET-410 고형분 30%)
폴리올레핀 228.3질량부
(UNITIKA LTD. 제품 아로베이스 SE-1013N 고형분 20질량%)
가교제(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 6.3질량부
(Nisshinbo Holdings Inc.제품 카르보디라이트 V-02-L2 고형분 40%)
계면활성제 A 16.7질량부
(Sanyo Chemical Industries, Ltd.제품 나로아크티 CL-95의 1% 수용액)
계면활성제 B 6.9질량부
(NOF CORPORATION 제품, 라피졸 B-90의 1% 수용액)
폴리스티렌 라텍스 수분산액 1.2질량부
(Zeon Corporation, Nipol UFN 1008)
방부제 0.8질량부
(DAITO CHEMICAL CO.,LTD.제품, AF-337, 고형분 3.5% 메탄올 용매)
증류수 α질량부
(α; 이 양 α를 조절함으로써 도포액 C의 전체를 1000질량부로 했다)
실시예 1과 같은 방법 및 기준으로, 프리즘 시트(20)와 제 1 접착층(31) 및 프리즘층(21)의 평가 샘플에 대해서 평가와 측정을 실시했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도포액 A를 하기의 도포액 D로 대신했다. 그 밖의 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프리즘 시트(40)를 얻었다.
(도포액 D)
도포액 D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폴리올레핀 190.2질량부
(UNITIKA LTD.제품, 아로베이스 SE-1013N 고형분:20질량%)
가교제(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 31.5질량부
(Nisshinbo Holdings Inc.제품, 카르보디라이트 V-02-L2 고형분 40%)
계면활성제 A 16.7질량부
(Sanyo Chemical Industries, Ltd.제품 나로아크티 CL-95의 1% 수용액)
계면활성제 B 6.9질량부
(NOF CORPORATION 제품, 라피졸 B-90의 1% 수용액)
폴리스티렌 라텍스 수분산액 1.2질량부
(Zeon Corporation, Nipol UFN 1008)
방부제 0.8질량부
(DAITO CHEMICAL CO.,LTD.제품, AF-337, 고형분 3.5% 메탄올 용매)
증류수 α질량부
(α; 이 양 α를 조절함으로써 도포액 D의 전체를 1000질량부로 했다)
실시예 1과 같은 방법 및 기준으로 프리즘 시트(20)와, 제 1 접착층(31) 및 프리즘층(21)의 평가 샘플에 관해서 평가와 측정을 실시했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도포액 A를 하기의 도포액 E로 대신했다. 그 밖의 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프리즘 시트(40)를 얻었다.
(도포액 E)
도포액 E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109.9질량부
(TOAGOSEI CO., LTD.제품, 쥴리마 ET-410 고형분 30%)
폴리올레핀 25.3질량부
(UNITIKA LTD.제품, 아로베이스 SE-1013N 고형분 20질량%)
가교제(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 31.5질량부
(Nisshinbo Holdings Inc.제품, 카르보디라이트 V-02-L2 고형분 40%)
계면활성제 A 16.7질량부
(Sanyo Chemical Industries, Ltd.제품, 나로아크티 CL-95의 1% 수용액)
계면활성제 B 6.9질량부
(NOF CORPORATION 제품, 라피졸 B-90의 1% 수용액)
폴리스티렌 라텍스 수분산액 1.2질량부
(Zeon Corporation, Nipol UFN 1008)
방부제 0.8질량부
(DAITO CHEMICAL CO.,LTD.제품, AF-337, 고형분 3.5% 메탄올 용매)
증류수 α질량부
(α; 이 양 α을 조절함으로써 도포액 E의 전체를 1000질량부로 했다)
실시예 1과 같은 방법 및 기준으로 프리즘 시트(20)와, 제 1 접착층(31) 및 프리즘층(21)의 평가 샘플에 대해서 평가와 측정을 실시했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도포액 A를 하기의 도포액 F로 대신했다. 그 밖의 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프리즘 시트를 얻었다.
(도포액 F)
도포액 F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126.8질량부
(TOAGOSEI CO., LTD.제품, 쥴리마 ET-410 고형분 30%)
가교제(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 31.5질량부
(Nisshinbo Holdings Inc.제품, 카르보디라이트 V-02-L2 고형분 40%)
계면활성제 A 16.7질량부
(Sanyo Chemical Industries, Ltd.제품, 나로아크티 CL-95의 1% 수용액)
계면활성제 B 6.9질량부
(NOF CORPORATION 제품, 라피졸 B-90의 1% 수용액)
폴리스티렌 라텍스 수분산액 1.2질량부
(Zeon Corporation, Nipol UFN 1008)
방부제 0.8질량부
(DAITO CHEMICAL CO.,LTD.제품, AF-337, 고형분 3.5% 메탄올 용매)
증류수 α질량부
(α; 이 양 α를 조절함으로써 도포액 F의 전체를 1000질량부로 했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 및 기준으로, 얻어진 프리즘 시트와 제 1 접착층 및 프리즘층의 평가 샘플에 대해서 평가와 측정을 실시했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도포액 A 대신에, 도포액 G를 사용했다.
제 1 접착층을 형성하기 위한 건조 조건을 145℃ 1분 대신에, 130℃ 1분 후 224℃ 5초로 했다. 그 밖의 조건은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프리즘 시트를 제작했다.
도포액 G는 이하의 방법 및 처방으로 조제했다.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95질량부, 디메틸이소프탈레이트 95질량부, 에틸렌글리콜 35질량부, 네오펜틸글리콜 145질량부, 아세트산 아연 0.1질량부 및 3산화 안티몬 0.1질량부를 반응 용기에 넣고, 180℃에서 3시간 걸쳐서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행했다. 다음에 5-나트륨 이소프탈산 6.0질량부를 첨가하고, 240℃에서 1시간 걸쳐서 에스테르화 반응을 행한 후, 중축합 반응을 행하여 폴리에스테르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의 30질량% 수분산액을 6.7질량부, 중아황산 소다로 블록한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함유하는 자기가교형 폴리우레탄의 20질량% 수용액(DAI-ICHI KOGYO SEIYAKU CO.,LTD. 제품 : 상품명, 엘라스트론 H-3)을 40질량부, 엘라스트론용 촉매(Cat64)를 0.5질량부, 물을 47.8질량부 및 이소프로필알콜을 5질량부, 각각 혼합하고, 또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1질량%, 콜로이달실리카 입자(Nissan Chemical Industries, Ltd. 제품: 스노텍스 OL)를 5질량% 첨가했다. 그 후, 이것을 여과 입자 사이즈(초기 여과 효율 95%) 25㎛의 펠트형 폴리프로필렌제 여재로 정밀 여과하여 도포액 G로 했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 및 기준으로 얻어진 프리즘 시트와, 제 1 접착층 및 프리즘층의 평가 샘플에 관해서 평가와 측정을 실시했다. 또한, 본 비교예에서는 제 2 접착층을 형성하지 않고 있으므로, 표 1의 「제 2 접착층」의 「두께」란에는 「-」라고 기재한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제 1 접착층(31)의 두께를 표 1에 기재하는 두께로 변경한 제 1 접착층을 형성했다. 그 밖의 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프리즘 시트를 제작했다.
실시예 1과 같은 방법 및 기준으로 얻어진 프리즘 시트와, 제 1 접착층 및 프리즘층의 평가 샘플에 관해서 평가와 측정을 실시했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6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제 1 접착층(31)의 두께를 표 1에 기재한 두께로 변경한 제 1 접착층(31)을 형성했다. 그 밖의 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프리즘 시트(40)를 제작했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 및 기준으로 얻어진 프리즘 시트(40)와 제 1 접착층(31) 및 프리즘층(21)의 평가 샘플에 대해서 평가와 측정을 실시했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7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제 1 접착층(31)의 두께를 표 1에 기재하는 두께로 변경한 제 1 접착층(31)을 형성했다. 그 밖의 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프리즘 시트(40)를 제작했다.
실시예 1과 같은 방법 및 기준으로 얻어진 프리즘 시트(40)와 제 1 접착층(31) 및 프리즘층(21)의 평가 샘플에 대해서 평가와 측정을 실시했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4]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도포액 A를 하기의 도포액 H로 대신했다. 그 밖의 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프리즘 시트를 제작했다.
(도포액 H)
도포액 H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63.4질량부
(TOAGOSEI CO., LTD.제품, 쥴리마 ET-410 고형분 30%)
폴리에스테르 수분산액 76.1질량부
(GOO CHEMICAL CO., LTD.제품, 플러스 코트 Z-687 고형분 25질량%)
가교제(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 31.5질량부
(Nisshinbo Holdings Inc.제품, 카르보디라이트 V-02-L2 고형분 40%)
계면활성제 A 16.7질량부
(Sanyo Chemical Industries, Ltd.제품, 나로아크티 CL-95의 1% 수용액)
계면활성제 B 6.9질량부
(NOF CORPORATION 제품, 라피졸 B-90의 1% 수용액)
폴리스티렌 라텍스 수분산액 1.2질량부
(Zeon Corporation, Nipol UFN 1008)
방부제 0.8질량부
(DAITO CHEMICAL CO.,LTD.제품, AF-337, 고형분 3.5% 메탄올 용매)
증류수 α질량부
(α; 이 양 α를 조절함으로써 도포액 H의 전체를 1000질량부로 했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 및 기준으로 얻어진 프리즘 시트와 제 1 접착층 및 프리즘층의 평가 샘플에 대해서 평가와 측정을 실시했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5]
비교예 4에 있어서의 프리즘층용 도포액 PA 대신에, 이하의 프리즘층용 도포액 PB를 사용했다. 그 밖의 조건은 비교예 4와 같이 해서 프리즘 시트를 제작했다.
(프리즘층용 도포액 PB)
프리즘층용 도포액 PB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비스페놀 A형 디아크릴레이트 수지 65.0질량부
(Shin-Nakamura Chemical Co., Ltd.제품, NK에스테르 A-BPE-4)
에톡시화 o-페닐페놀아크릴레이트 32.0질량부
(Shin-Nakamura Chemical Co., Ltd.제품, NK에스테르 A-LEN-10)
개시제 3질량부
(IRGACURE184)
실시예 1과 같은 방법 및 기준으로 얻어진 프리즘 시트와 제 1 접착층 및 프리즘층의 평가 샘플에 대해서 평가와 측정을 실시했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Claims (20)

  1.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필름 베이스와,
    상기 필름 베이스의 일방의 면에 적어도 0.45㎛의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필름 베이스를 유기 재료로 이루어지는 광학 기능층에 접착하고, 폴리올레핀을 적어도 10질량% 포함하는 접착층을 구비하고,
    상기 폴리올레핀의 분자량은 2000∼200000이고,
    상기 폴리올레핀은 카르복실기 또는 수산기를 갖는 수계 폴리머이고,
    상기 접착층의 탄성률은 500MPa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필름.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가교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필름.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옥사졸린계 화합물,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 에폭시, 이소시아네이트, 멜라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필름.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필름.
  8. 삭제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필름.
  10. 삭제
  11. 제 1 항, 제 3 항, 제 5 항, 제 7 항 및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파단 신도가 10% 이상 300% 이하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필름.
  12. 제 1 항, 제 3 항, 제 5 항, 제 7 항 및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폴리올레핀을 37.5질량% 이상 80질량% 이하의 범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필름.
  13. 제 1 항, 제 3 항, 제 5 항, 제 7 항 및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제 1 상기 접착층 상에 제 2 접착층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필름.
  14. 입사광을 굴절시켜서 집광 또는 확산하고 유기 재료를 포함하는 광학 기능층과,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필름 베이스와,
    상기 필름 베이스와 상기 광학 기능층 사이에 적어도 0.45㎛의 두께로 형성되어서 상기 필름 베이스와 상기 광학 기능층을 접착하고 폴리올레핀을 적어도 10질량% 포함하는 접착층을 구비하고,
    상기 폴리올레핀의 분자량은 2000∼200000이고,
    상기 폴리올레핀은 카르복실기 또는 수산기를 갖는 수계 폴리머이고,
    상기 접착층의 탄성률은 500MPa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시트.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47024008A 2012-03-23 2013-02-27 복층 필름 및 광학 시트 KR1019264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66711 2012-03-23
JP2012066711A JP5934533B2 (ja) 2012-03-23 2012-03-23 複層フィルム及び光学シート
PCT/JP2013/055165 WO2013140966A1 (ja) 2012-03-23 2013-02-27 複層フィルム及び光学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179A KR20140144179A (ko) 2014-12-18
KR101926412B1 true KR101926412B1 (ko) 2018-12-07

Family

ID=49222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4008A KR101926412B1 (ko) 2012-03-23 2013-02-27 복층 필름 및 광학 시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40356618A1 (ko)
JP (1) JP5934533B2 (ko)
KR (1) KR101926412B1 (ko)
WO (1) WO20131409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6807B1 (ko) 2014-08-14 2023-03-31 미츠비시 폴리에스테르 필름 인코포레이티드 코팅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함유하는 적층
KR101975350B1 (ko) * 2016-04-18 2019-05-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색변환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디스플레이 장치
CN108333870B (zh) * 2017-01-19 2021-08-10 臻鼎科技股份有限公司 感光树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印刷电路板的制备方法
KR102467723B1 (ko) * 2017-02-13 2022-11-16 타츠타 전선 주식회사 그라운드 부재, 차폐 프린트 배선판 및 차폐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
WO2019053317A1 (en) * 2017-09-15 2019-03-21 Nanocomp Oy Ltd SHOCK-RESISTANT LIGHT GUIDE STRUCTURE
KR102440235B1 (ko) * 2017-11-29 2022-09-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JP6839669B2 (ja) * 2018-01-09 2021-03-10 タツタ電線株式会社 電磁波シールドフィルム
JP6714631B2 (ja) * 2018-03-15 2020-06-24 タツタ電線株式会社 電磁波シールドフィルム及びシールドプリント配線板
KR102586266B1 (ko) * 2018-07-11 2023-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사출 금형의 코팅층용 도료 및 사출 금형의 코팅층의 제조 방법
KR20220158678A (ko) * 2020-03-27 2022-12-01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수지 조성물, 배선 기판 및 도전성 패턴의 제조 방법
WO2022113577A1 (ja) * 2020-11-24 2022-06-02 東洋紡株式会社 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873B1 (ko) * 2001-12-10 2009-12-21 데이진 듀폰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광학용 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83097A (en) * 1977-12-14 1979-07-02 Mitsui Petrochem Ind Ltd Epoxy resin composition
US4338230A (en) * 1981-06-22 1982-07-06 Eastman Kodak Company Emulsifiable polyolefin waxes prepared by reacting pivalolactone and a polyolefin wax containing carboxyl groups
DE4206714A1 (de) * 1992-03-04 1993-09-09 Sandoz Ag Wachsdispersionen,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US5905099A (en) * 1995-11-06 1999-05-1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Heat-activatable adhesive composition
JPH10123964A (ja) * 1996-08-30 1998-05-15 Sony Corp 液晶表示装置
DE19929791A1 (de) * 1999-06-29 2001-02-01 Basf Ag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von Polybutylenterephthalat aus Terephthalsäure und Butandiol
US6569516B1 (en) * 1999-12-10 2003-05-27 Nitto Denko Corporation Transparent laminate and plasma display panel filter utilizing same
TWI247772B (en) * 2000-02-10 2006-01-21 Teijin Ltd Polyester film composite, light-diffuser plate and utilization thereof
JP2002155158A (ja) * 2000-11-21 2002-05-28 Teijin Ltd 光学用易接着性積層フィルム
EP1283106A4 (en) * 2001-03-15 2005-12-14 Mitsui Chemicals Inc LAMINATED BODY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LAMINATED BODY
DE60126353T2 (de) * 2001-08-07 2007-10-18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Biaxial orientierte schichtförmige polyesterfolie und folie mit harter überzugsschicht
JP2004300379A (ja) * 2003-04-01 2004-10-28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光学用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CN100593467C (zh) * 2004-05-14 2010-03-10 帝人杜邦薄膜日本有限公司 取向聚酯膜
EP1767567B1 (en) * 2004-05-28 2012-06-20 Teijin Dupont Films Japan Limited Multilayer polyester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EP1826826A1 (en) * 2004-11-25 2007-08-29 Teijin Dupont Films Japan Limited Highly adhesive polyester film and film for protecting back side of solar cell using same
TW200632002A (en) * 2004-11-30 2006-09-16 Fuji Photo Film Co Ltd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JP4687952B2 (ja) * 2004-12-28 2011-05-25 東洋紡績株式会社 光学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05010109A1 (de) * 2005-03-02 2006-09-07 Basf Ag Modifizierte Polyolefinwachse
US7622031B2 (en) * 2007-01-15 2009-11-2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 for preparing oxidized polyolefin waxes
DE102007028308A1 (de) * 2007-06-20 2008-12-24 Clariant International Limited Mikronisierte Wachsmischungen mit reduzierter Staubentwicklung enthaltend Polyethylenglykolverbindungen (PEG)
WO2009076284A1 (en) * 2007-12-12 2009-06-1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ptical film laminates
JP4798156B2 (ja) * 2008-03-17 2011-10-19 三菱樹脂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
KR20110063429A (ko) * 2008-09-08 2011-06-10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US20120095169A1 (en) * 2009-06-30 2012-04-19 Ryohei Ogawa Polylactic acid-based resin, process for producing polylactic acid-based resin, polylactic acid resin composition, stereocomplex polylactic acid resin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stereocomplex polylactic acid resin composition
JP5544858B2 (ja) * 2009-12-11 2014-07-09 サイデン化学株式会社 偏光板用粘着剤組成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873B1 (ko) * 2001-12-10 2009-12-21 데이진 듀폰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광학용 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40966A1 (ja) 2013-09-26
JP2013195997A (ja) 2013-09-30
JP5934533B2 (ja) 2016-06-15
US20140356618A1 (en) 2014-12-04
KR20140144179A (ko) 2014-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6412B1 (ko) 복층 필름 및 광학 시트
JP5752522B2 (ja) 光学機能部材支持用積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プリズムシート
JP4457322B2 (ja) 光学用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7234929B2 (ja) 離型フィルム及び積層体
JP4150982B2 (ja) 積層フィルム及びそれを得るための接着性改質基材フィルム
TW201011332A (en) Multilayer polyester film for optical use
JP5119478B2 (ja) 光学用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得るための密着性改質基材フィルム
KR101767911B1 (ko)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JP5564760B2 (ja) 接着性改質基材フィルムおよび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WO2013140965A1 (ja) 光学機能部材支持用複層フィルム、プリズムシート、光源ユニット及び表示装置
JP4174739B2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光学機能性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得るための密着性改質基材フィルム
KR20140032442A (ko) 도포 필름
JP2015136792A (ja) 積層体
JP5380896B2 (ja) 接着性改質基材フィルムおよび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5380897B2 (ja) 接着性改質基材フィルムおよび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2016064517A (ja) 積層フィルム
JP5380898B2 (ja) 接着性改質基材フィルムおよび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5795032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4389185B2 (ja) 接着性改質基材フィルムおよび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6160038B2 (ja) 偏光子保護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23108836A (ja) 硬化膜及び積層体、並びにこれらの製造方法
JP5822999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344746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23108835A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組成物、その硬化物、及び積層体
JP2015025086A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