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6156B1 - 용접용 와이어 송급장치 - Google Patents

용접용 와이어 송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6156B1
KR101926156B1 KR1020170089831A KR20170089831A KR101926156B1 KR 101926156 B1 KR101926156 B1 KR 101926156B1 KR 1020170089831 A KR1020170089831 A KR 1020170089831A KR 20170089831 A KR20170089831 A KR 20170089831A KR 101926156 B1 KR101926156 B1 KR 101926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welding wire
side feed
feeding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9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영근
강혜영
Original Assignee
하영근
강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영근, 강혜영 filed Critical 하영근
Priority to KR1020170089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61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6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6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23K9/124Circuits or methods for feeding welding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23K9/126Controlling the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 and the gas tor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6Arc welding or cutting making use of shielding gas
    • B23K9/167Arc welding or cutting making use of shielding gas and of a non-consumable electr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송급롤러와, 상기 각 송급롤러에 의한 용접용 와이어의 송급 속도를 제어하도록 제공되는 컨트롤 조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용접용 와이어 송급장치가 제공되며, 특히 상기 각 송급롤러들은 서로 동일하거나 혹은, 서로 다른 속도로 각각의 용접용 와이어를 송급하도록 이루어지면서 용접 불량에 대한 실시간적인 대처를 통해 용접 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용접용 와이어 송급장치{welding wire feeding device}
본 발명은 용접용 와이어를 송급하는 송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와이어가 두 소재의 용접 부위로 송급되면서 용접될 때 상기 용접 부위의 단차로 인해 야기되는 용접 불량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백비드가 발생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용접용 와이어 송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접이라 함은 같은 종류 또는 다른 종류의 금속 재료를 용융시켜 접합시키는 금속 접합 기술로써, 아크(ARC) 용접과, 티그(TIG) 용접과, 미그(MIG) 용접 및 CO2 용접 등 다양한 방식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각 용접법 중 티그 용접의 경우는 아르곤 또는 헬륨 등의 불활성 기체 속에서 비소모성 텅스텐 전극과 소재의 사이에 아크를 발생시켜 상기 소재를 용접하는 용접법으로써 두꺼운 판으로 이루어진 두 소재 간의 이음을 위한 용접에 주로 사용된다.
한편, 상기한 용접 작업시에는 용접용 와이어가 지속적으로 공급되어야 하기 때문에 종래에는 와이어 송급장치를 이용하여 해당 와이어를 자공으로 공급되도록 함과 더불어 그 송급이 일정한 속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접 품질의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특히, 종래에는 백비드(back bead)의 정확한 형성 및 다량의 용접을 위해 둘 이상 복수의 와이어를 공급하는 용접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복수의 와이어를 공급하는 와이어 송급장치에 관련하여는 등록특허 제10-1388804호, 등록특허 제10-1595282호, 등록특허 제10-0697393호, 등록특허 제10-0411350호 등에 기재된 바와 같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의 와이어 송급장치는 모든 와이어가 동일한 속도로 송급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용접 부위의 어긋남으로 인한 높낮이 차이가 존재할 경우 용접 불량의 우려가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두 소재 간의 상하 높낮이 차이가 존재하게 되면 용접을 위해 송급되는 각 용접용 와이어와 소재와의 접촉 거리가 서로 달라짐에 따른 저항값의 변경에 의해 상대적으로 용접용 와이어와 가까운 측의 소재에는 과도한 용접 비드가 형성되고, 상대적으로 용접용 와이어와 먼 측의 소재에는 용접 비드가 부족하게 형성됨으로써 용접 불량이 발생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특히, 통상적인 작업 현장에서는 각 소재가 서로 정확히 일치된 상태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위치됨이 일반적이라는 것을 고려할 때 이러한 높낮이 차이에 의해 복수의 용접용 와이어가 동일한 속도로 공급될 경우에는 전술된 바와 같은 용접 불량이 발생될 수밖에 없다.
더욱이, 종래 기술에 따른 와이어 송급장치는 전술된 바와 같은 소재의 높낮이 차이로 인한 용접 불량의 문제점으로 인해 일정한 형상의 백비드(back bead)를 형성하는 것이 사실상 어려워 백비드 형성을 위한 작업 용도로는 사용될 수 없고, 단순한 육성 용접시에만 적용될 수밖에 없다는 사용상의 한계가 있다.
등록특허 제10-1388804호 등록특허 제10-1595282호 등록특허 제10-0697393호 등록특허 제10-0411350호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와이어가 두 소재의 용접 부위로 송급되면서 용접될 때 상기 용접 부위의 단차로 인해 야기되는 용접 불량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백비드가 발생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용접용 와이어 송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용접용 와이어 송급장치에 따르면 용접용 토치의 전극으로부터 용접 진행 방향측의 전방측 부위를 향해 공급되는 용접용 와이어가 권취된 전방측 송급롤러; 용접용 토치의 전극으로부터 용접 진행 방향측의 후방측 부위를 향해 공급되는 용접용 와이어가 권취된 후방측 송급롤러; 용접용 토치의 전극으로부터 용접 진행 방향측의 어느 한 측편 부위를 향해 공급되는 용접용 와이어가 권취된 제1측부 송급롤러; 용접용 토치의 전극으로부터 용접 진행 방향측의 다른 한 측편 부위를 향해 공급되는 용접용 와이어가 권취된 제2측부 송급롤러; 상기 각 송급롤러의 동작 속도를 제어하도록 복수의 조작용 노브가 구비된 컨트롤 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방측 송급롤러 및 후방측 송급롤러는 서로 동일하게 회전되면서 각 용접용 와이어의 송급 속도가 동일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됨과 더불어 상기 제1측부 송급롤러와 제2측부 송급롤러는 서로 개별적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면서 각 용접용 와이어의 송급 속도가 서로 동일하거나 혹은, 서로 달리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방측 와이어 송급롤러 및 후방측 와이어 송급롤러는 단일의 제1구동모터에 의해 서로 일괄적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측부 와이어 송급롤러는 제2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측부 와이어 송급롤러는 제3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컨트롤 조작부는 상기 각 구동모터를 개별 제어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 조작부는 상기 제1구동모터의 동작 속도를 수동 조절하기 위한 제1조작용 노브와, 상기 제2구동모터의 동작 속도를 수동 조절하기 위한 제2조작용 노브와, 상기 제3구동모터의 동작 속도를 수동 조절하기 위한 제3조작용 노브와, 상기 제2구동모터 및 제3구동모터의 동작 속도를 서로 연동시켜 수동 조절하기 위한 제4조작용 노브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 조작부에는 상기 제4조작용 노브에 의해 연동되는 상기 제2구동모터 및 제3구동모터 간의 동작 속도에 대한 동조율을 조절하는 동조율 조작용 노브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용접용 와이어 송급장치는 두 소재가 상하로 어긋나 있어서 비드의 형성에 관련한 제3용접용 와이어 및 제4용접용 와이어와 소재와의 접촉 거리가 서로 다르다 하더라도 상기 각 용접용 와이어의 송급 속도를 달리 조절함으로써 각 용접용 와이어와 소재와의 접촉 거리가 최대한 유사하게 이루어짐에 따른 용접 과다나 용접 부족 현상은 방지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의 용접용 와이어 송급장치는 비드 형성에 관련한 두 용접용 와이어(제3용접용 와이어 및 제4용접용 와이어)의 송급 속도에 대한 개별적 조절 및 미세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용접 초기의 백 비드 형성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백 비드 형성을 자동화된 작업으로도 수행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일반적인 단차 부위의 용접 작업시 용접 비드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와이어 송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화하여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와이어 송급장치에 의해 송급되는 각 용접용 와이어와 전극 간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와이어 송급장치에 의해 송급되는 각 용접용 와이어와 전극 간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와이어 송급장치 중 컨트롤 조작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와이어 송급장치에 의한 용접용 와이어의 송급시 초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도 6의 “A”부 확대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와이어 송급장치에 의한 용접용 와이어의 송급시 속도 조절로 인한 용접 비드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용접용 와이어 송급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용접용 와이어 송급장치는 용접을 위해 사용되는 둘 이상 복수의 용접용 와이어(10,20,30,40)를 동시에 혹은, 일부만 선택하여 송급하기 위한 장치이며, 이러한 용접용 와이어(10,20,30,40)는 모두 동일한 재질의 와이어임을 그 예로 하지만, 필요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접용 와이어(10,20,30,40)는 여타의 용접용 와이어와는 다른 재질로 제공될 수도 있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와이어 송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화하여 나타낸 상태도이다.
이러한 도면을 토대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와이어 송급장치는 크게 복수의 송급롤러(110,120,130,140)와, 상기 각 송급롤러(110,120,130,140)에 의한 용접용 와이어(10,20,30,40)의 송급 속도를 제어하도록 제공되는 컨트롤 조작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특히 상기 각 송급롤러(110,120,130,140)들은 서로 동일하거나 혹은, 서로 다른 속도로 각각의 용접용 와이어(10,20,30,40)를 송급하도록 이루어지면서 용접 불량에 대한 실시간적인 대처를 통해 용접 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각 송급롤러(110,120,130,140)는 각각의 용접용 와이어(10,20,30,40)가 권취되도록 이루어진 롤러로써, 전방측 송급롤러(110)와 후방측 송급롤러(120)와 제1측부 송급롤러(130) 및 제2측부 송급롤러(140)로 구분되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전방측 송급롤러(110)는 용접용 토치(50)의 전극(51)으로부터 용접 진행 방향측의 전방측 부위를 향해 공급되는 용접용 와이어(이하, “제1용접용 와이어”라 함)(10)가 권취되는 롤러이고, 상기 후방측 송급롤러(120)는 용접용 토치(50)의 전극(51)으로부터 용접 진행 방향측의 후방측 부위를 향해 공급되는 용접용 와이어(이하, “제2용접용 와이어”라 함)(20)가 권취되는 롤러이다.
특히, 상기 전방측 송급롤러(110) 및 후방측 송급롤러(120)는 제1와이어 송급부(1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와이어 송급부(150)에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제1구동모터(151)의 구동력에 의해 서로 동일한 속도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1구동모터(151)의 구동에 의해 상기 후방측 송급롤러(120)와 전방측 송급롤러(110)가 동시에 회전되면서 동일한 속도로 제1용접용 와이어(10) 및 제2용접용 와이어(20)를 각각 송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제1구동모터(151)는 회전속도에 대한 조절이 가능한 BLDC모터로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상기 전방측 송급롤러(110) 및 후방측 송급롤러(120)의 회전에 의해 송급되는 제1용접용 와이어(10) 및 제2용접용 와이어(20)의 송급 속도에 대한 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짐을 그 예로 한다.
또한, 상기 전방측 송급롤러(110)의 회전축(111) 및 후방측 송급롤러(120)의 회전축(121)과 제1구동모터(151)의 모터축(도시는 생략됨) 간의 동력 전달을 위한 구조는 통상의 벨트식이나 체인식 혹은, 기어식 등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동력 전달을 위한 구조는 일반적인 구조이기 때문에 상세한 도시 및 더욱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각 송급롤러들(110,120,130,140) 중 제1측부 송급롤러(130)는 용접용 토치(50)를 이루는 전극(51)의 어느 한 측편 부위를 향해 공급되는 용접용 와이어(이하, “제3용접용 와이어”라 함)(30)가 권취되는 롤러이고, 상기 제2측부 송급롤러(140)는 용접용 토치(50)를 이루는 전극(51)의 다른 한 측편 부위를 향해 공급되는 용접용 와이어(이하, “제4용접용 와이어”라 함)(40)가 권취되는 롤러이다.
특히, 상기 제1측부 송급롤러(130) 및 제2측부 송급롤러(140)는 제2와이어 송급부(16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측부 송급롤러(130)는 상기 제2와이어 송급부(160)에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제2구동모터(161)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제3용접용 와이어(30)를 송급하도록 이루어짐과 더불어 상기 제2측부 송급롤러(140)는 상기 제2와이어 송급부(160)에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제3구동모터(162)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제4용접용 와이어(40)를 송급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1측부 송급롤러(130)와 제2측부 송급롤러(140)는 상기 제2구동모터(161) 및 제3구동모터(162)에 의해 서로 개별적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제2구동모터(161) 및 제3구동모터(162)는 회전속도에 대한 조절이 가능한 BLDC모터로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상기 제1측부 송급롤러(130) 및 제2측부 송급롤러(140)의 회전에 의해 송급되는 제3용접용 와이어(30) 및 제4용접용 와이어(40)의 송급 속도에 대한 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짐을 그 예로 한다.
한편, 상기 각 용접용 와이어들(10,20,30,40) 중 제1용접용 와이어(10) 및 제2용접용 와이어(20)는 용접 비드의 두께(용접량)에 관련되어 제공되는 용접용 와이어임과 더불어 제3용접용 와이어(30) 및 제4용접용 와이어(40)는 용접 비드의 형상에 관련되어 제공되는 용접용 와이어이며, 이러한 각 용접용 와이어(10,20,30,40)의 송급 위치에 관련하여는 첨부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다음으로, 상기 컨트롤 조작부(200)는 상기 각 송급롤러(110,120,130,140)의 동작 속도를 제어하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컨트롤 조작부(200)는 각 송급롤러(110,120,130,140)의 동작 속도를 수동 조작하기 위한 복수의 조작용 노브(210,220,230,24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각 조작용 노브(210,220,230,240)는 첨부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구동모터(151)의 동작 속도(제1용접용 와이어와 제2용접용 와이어의 송급 속도)를 수동 조절하기 위한 제1조작용 노브(210)와, 상기 제2구동모터(161)의 동작 속도(제3용접용 와이어의 송급 속도)를 수동 조절하기 위한 제2조작용 노브(220)와, 상기 제3구동모터(162)의 동작 속도(제4용접용 와이어의 송급 속도)를 수동 조절하기 위한 제3조작용 노브(230)와, 상기 제2구동모터(162) 및 제3구동모터(163)의 동작 속도(제3용접용 와이어와 제4용접용 와이어의 송급 속도)를 서로 연동시켜 수동 조절하기 위한 제4조작용 노브(24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즉, 작업자는 상기한 각 조작용 노브(210,220,230,240)의 실시간적인 조작을 통해 용접시 각 용접용 와이어(10,20,30,40)가 소재(1)에 과도하게 인접함에 따라 야기되는 용접 불량을 방지하면서 우수한 품질의 용접 비드(3)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용접 작업이 진행되는 부위에는 소재(1)의 용접 부위를 촬영하는 카메라(310)를 더 구비함과 더불어 상기 컨트롤 조작부(200)에는 상기 카메라(310)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화면(320)을 더 구비하여 실시간적인 용접 상태를 작업자가 인지하면서 상기 각 조작용 노브(210,220,230,240)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상기 제4조작용 노브(240)는 해당 노브의 조작이 이루어질 경우 상기 제2구동모터(161)의 구동에 따른 제1측부 송급롤러(130)의 회전 속도에 반비례하여 제3구동모터(162)의 구동에 따른 제2측부 송급롤러(14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제4조작용 노브(240)의 조작에 의해 제2구동모터(161)의 구동에 의한 제1측부 송급롤러(130)의 회전 속도가 더욱 빨라지도록 조절될 경우 제3구동모터(162)의 구동에 의한 제2측부 송급롤러(140)의 회전 속도는 상대적으로 더욱 느려지도록 하여 제3용접용 와이어(30) 및 제4용접용 와이어(40)의 송급 속도가 반비례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컨트롤 조작부(200)에 동조율 조작용 노브(250)가 더 구비됨을 추가로 제시한다.
상기한 동조율 조작용 노브(250)는 상기 제4조작용 노브(240)에 의해 연동되는 상기 제2구동모터(161) 및 제3구동모터(162) 간의 동작 속도에 대한 동조율을 조절하도록 제공되는 노브이며, 이러한 동조율 조작용 노브(250)에 의해 조절되는 동조율에 따라 각 측부 승급롤러(130,140) 간의 회전 속도에 대한 반비례율의 크기가 달라지도록 하여 더욱 정밀한 제3용접용 와이어(30) 및 제4용접용 와이어(40)의 송급 속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와이어 송급장치에 의한 각 용접용 와이어(10,20,30,40)의 송급 과정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용접하고자 하는 두 소재(1) 간의 용접 대상 부위에 용접용 토치(50)의 전극(51)이 대향되도록 위치시킴과 더불어 상기 전극(51)을 기준으로 용접 진행 방향측인 전방에는 제1용접용 와이어(10)를 위치시키고, 용접 진행 방향측인 후방에는 제2용접용 와이어(20)를 위치시키며, 전극(51)의 양측 부위에는 제3용접용 와이어(30) 및 제4용접용 와이어(40)를 각각 위치시킨다.
또한, 작업자는 컨트롤 조작부(200)에 구비된 각 조작용 노브(210,220,230,240)를 조작하여 상기 제1용접용 와이어(10)와, 제2용접용 와이어(20)와, 제3용접용 와이어(30) 및 제4용접용 와이어(40)의 송급 속도를 각각 설정한다.
이때, 상기 제1용접용 와이어(10) 및 제2용접용 와이어(20)는 제1조작용 노브(210)의 조작에 의해 일괄적인 송급 속도가 설정되고, 상기 제3용접용 와이어(30)는 제2조작용 노브(220)의 조작에 의해 송급 속도가 설정됨과 더불어 상기 제4용접용 와이어(40)는 제3조작용 노브(230)의 조작에 의해 송급 속도가 설정된다.
이러한 초기 상태에서 전원 공급을 통한 용접 작업이 시작되면 상기 용접용 토치(50)의 전극(51)으로 전원이 공급되면서 해당 전극(51)으로 인접하게 송급되는 상기 각 용접용 와이어(10,20,30,40)가 용융됨과 더불어 이로써 발생된 용융물에 의해 두 소재(1) 간의 사이인 용접 대상 부위가 용접된다.
계속해서, 상기 용접용 토치(50)가 상기 용접 대상 부위를 따라 이동됨으로써 상기 두 소재(1) 간의 용접 대상 부위에 대한 용접이 이루어진다.
한편, 이와 같은 용접이 진행되는 도중 작업자는 디스플레이 화면(320)을 통해 용접 부위의 용접 상태를 지속적으로 확인하며, 이렇게 확인되는 용접 상태에 따라 컨트롤 조작부(200)의 각 조작용 노브(210,220,230,240)를 조절하면서 용접 불량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첨부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소재(1) 간의 높낮이 차이로 인해 제4용접용 와이어(40)가 제3용접용 와이어(30)에 비해 소재(1)에 가까워서 더욱 많은 용융이 이루어짐이 확인되면 제2조작용 노브(220)를 조작하여 제3용접용 와이어(30)의 송급 속도를 더욱 빠르게 조절하거나 혹은, 제3조작용 노브(230)를 조작하여 제4용접용 와이어(40)의 송급 속도를 더욱 느리게 조절하여 제3용접용 와이어(30)의 송급 속도를 제4용접용 와이어(40)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조절하는 것이다.
물론, 제4조작용 노브(240)를 조작하여 제4용접용 와이어(40)의 송급 속도는 느리게 조절함과 동시에 제3용접용 와이어(30)의 송급 속도는 반비례적으로 빠르게 조절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한 제4조작용 노브(240)의 조작시에는 필요에 따라 동조율 조작용 노브(250)의 조작을 통해 상기 제4조작용 노브(240)의 조작에 의한 제4용접용 와이어(40)의 송급 속도와 제3용접용 와이어(30)의 송급 속도 간의 동조율을 조절하여 더욱 미세한 각 용접용 와이어(10,20,30,40)의 송급 속도에 대한 조절을 통한 용접 성능의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육성 용접과 같이 더욱 많은 용접 비드(3)를 얻고자 할 경우에는 제1조작용 노브(210)의 조작을 통해 제1용접용 와이어(10) 및 제2용접용 와이어(20)의 송급 속도가 더욱 빨라지도록 조절하고, 반대로 용접 비드(3)가 과도하게 많을 경우에는 제1조작용 노브(210)의 조작을 통해 제1용접용 와이어(10) 및 제2용접용 와이어(20)의 송급 속도가 더욱 느려지도록 조절한다.
따라서, 전술된 컨트롤 조작부(200)의 각 조작용 노브(210,220,230,240)에 대한 조작에 의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록 빠르게 용접 불량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좋은 형상의 용접 비드(3)를 형성하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용접용 와이어 송급장치는 두 소재(1)가 상하로 어긋나 있어서 용접 비드(3)의 형성에 관련한 제3용접용 와이어(30) 및 제4용접용 와이어(40)와 소재(1)와의 접촉 거리가 서로 다르다 하더라도 상기 각 용접용 와이어(30,40)의 송급 속도를 달리 조절함으로써 각 용접용 와이어(30,40)와 소재(1)와의 접촉 거리가 최대한 유사하게 이루어짐에 따른 용접 과다나 용접 부족 현상은 방지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용접용 와이어 송급장치는 용접 비드(3) 형성에 관련한 두 용접용 와이어(제3용접용 와이어 및 제4용접용 와이어)(30,40)의 송급 속도에 대한 개별적 조절 및 미세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용접 초기의 백 비드 형성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백 비드 형성을 자동화된 작업으로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1. 소재 3. 용접 비드
10,20,30,40. 용접용 와이어 50. 용접용 토치
51. 전극 110,120,130,140. 송급롤러
150. 제1와이어 송급부 151. 제1구동모터
160. 제2와이어 송급부 161. 제2구동모터
162. 제3구동모터 200. 컨트롤 조작부
210,220,230,240. 조작용 노브 250. 동조율 조작용 노브
310. 카메라 320. 디스플레이 화면

Claims (5)

  1. 용접용 토치의 전극으로부터 용접 진행 방향측의 전방측 부위를 향해 공급되는 용접용 와이어가 권취된 전방측 송급롤러;
    용접용 토치의 전극으로부터 용접 진행 방향측의 후방측 부위를 향해 공급되는 용접용 와이어가 권취된 후방측 송급롤러;
    용접용 토치의 전극으로부터 용접 진행 방향측의 어느 한 측편 부위를 향해 공급되는 용접용 와이어가 권취된 제1측부 송급롤러;
    용접용 토치의 전극으로부터 용접 진행 방향측의 다른 한 측편 부위를 향해 공급되는 용접용 와이어가 권취된 제2측부 송급롤러;
    상기 각 송급롤러의 동작 속도를 제어하도록 복수의 조작용 노브가 구비된 컨트롤 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와이어 송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측 송급롤러 및 후방측 송급롤러는 서로 동일하게 회전되면서 전방측 송급롤러에 권취된 용접용 와이어와 후방측 송급롤러에 권취된 용접용 와이어의 송급 속도가 서로 동일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측부 송급롤러와 제2측부 송급롤러는 서로 개별적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면서 제1측부 송급롤러에 권취된 용접용 와이어와 제2측부 송급롤러에 권취된 용접용 와이어의 송급 속도가 서로 동일하게 이루어지거나 혹은, 제1측부 송급롤러에 권취된 용접용 와이어와 제2측부 송급롤러에 권취된 용접용 와이어의 송급 속도가 서로 달리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와이어 송급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측 송급롤러 및 후방측 송급롤러는 단일의 제1구동모터에 의해 서로 일괄적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측부 송급롤러는 제2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측부 송급롤러는 제3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컨트롤 조작부는 상기 각 구동모터를 개별 제어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와이어 송급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조작부는
    상기 제1구동모터의 동작 속도를 수동 조절하기 위한 제1조작용 노브와,
    상기 제2구동모터의 동작 속도를 수동 조절하기 위한 제2조작용 노브와,
    상기 제3구동모터의 동작 속도를 수동 조절하기 위한 제3조작용 노브와,
    상기 제2구동모터 및 제3구동모터의 동작 속도를 서로 연동시켜 수동 조절하기 위한 제4조작용 노브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와이어 송급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조작부에는
    상기 제4조작용 노브에 의해 연동되는 상기 제2구동모터 및 제3구동모터 간의 동작 속도에 대한 동조율을 조절하는 동조율 조작용 노브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와이어 송급장치.
KR1020170089831A 2017-07-14 2017-07-14 용접용 와이어 송급장치 KR101926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831A KR101926156B1 (ko) 2017-07-14 2017-07-14 용접용 와이어 송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831A KR101926156B1 (ko) 2017-07-14 2017-07-14 용접용 와이어 송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6156B1 true KR101926156B1 (ko) 2019-02-26

Family

ID=65562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9831A KR101926156B1 (ko) 2017-07-14 2017-07-14 용접용 와이어 송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615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1350B1 (ko) 2001-09-18 2003-12-18 (주) 보이스웨어 음성합성 및 음성변조 서버를 구비한 통합서버에서문자메시지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시스템
KR100697393B1 (ko) 2006-01-26 2007-03-20 기 중 김 트윈 와이어 피더
KR101388804B1 (ko) 2012-12-13 2014-04-23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용접용 와이어 송급장치
KR101595282B1 (ko) 2014-11-13 2016-02-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용접 와이어 교체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1350B1 (ko) 2001-09-18 2003-12-18 (주) 보이스웨어 음성합성 및 음성변조 서버를 구비한 통합서버에서문자메시지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시스템
KR100697393B1 (ko) 2006-01-26 2007-03-20 기 중 김 트윈 와이어 피더
KR101388804B1 (ko) 2012-12-13 2014-04-23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용접용 와이어 송급장치
KR101595282B1 (ko) 2014-11-13 2016-02-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용접 와이어 교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1442B2 (en) Adaptable rotating arc welding method and system
KR102378732B1 (ko) 파이프용접장치
JPH09271986A (ja) 高速回転アーク自動溶接装置
US4672173A (en) Gas-shielded arc welding apparatus
EP2658671B1 (en) Welding system and method of welding with curtain electrodes and strip electrodes
KR101883837B1 (ko) 복합 자동 용접 장치
KR101926156B1 (ko) 용접용 와이어 송급장치
JPH10193126A (ja) 狭開先溶接ヘッド及び狭開先溶接方法
WO2014196283A1 (ja) 溶接装置、溶接システム、溶接装置に用いられるプログラム、および溶接装置の制御方法
KR20180123835A (ko) 코일 용접 장치 및 그 방법
JP4434066B2 (ja) 裏当て支持装置およびアーク溶接装置
CA3134743A1 (en) Systems and methods to control welding processes using weld pool attributes
KR102308432B1 (ko) 용접장치의 제어방법
KR100343858B1 (ko) 협개선 잠호용접용 자동스윙 토치
JP2789686B2 (ja) 多電極溶接方法及び装置
KR200361395Y1 (ko) 컨트롤 패널이 부착된 용접용 와이어 피딩장치
JP4227483B2 (ja) 自動溶接機
KR101798932B1 (ko) 아크 용접기의 용가재 송급장치
JP6349569B2 (ja) セルフシールドアーク溶接機
KR101247517B1 (ko) 필렛 전용 용접 캐리지
KR102350726B1 (ko) 복합 용접와이어 공급장치
KR102241954B1 (ko) 사각 구조물 자동 용접장치
JP2613161B2 (ja) ウィービング溶接方法
JP4764538B2 (ja) 自動溶接方法
JP3682549B2 (ja) アークスポット溶接方法およびアークスポット溶接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