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5626B1 - 에어 플로팅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에어 플로팅 컨베이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25626B1 KR101925626B1 KR1020180024818A KR20180024818A KR101925626B1 KR 101925626 B1 KR101925626 B1 KR 101925626B1 KR 1020180024818 A KR1020180024818 A KR 1020180024818A KR 20180024818 A KR20180024818 A KR 20180024818A KR 101925626 B1 KR101925626 B1 KR 1019256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turn belt
- residue
- fluid
- belt
- retur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2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7 hel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4 hel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SWQJXJOGLNCZEY-UHFFFAOYSA-N helium atom Chemical compound [He] SWQJXJOGLNCZE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61 inert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01 m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 B08B1/02—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20—Cleaning of moving articles, e.g. of moving webs or of objects on a convey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2—Cleaning travelling wor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B08B5/043—Cleaning travelling wor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68—Belts provided with guiding means, e.g.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턴 벨트의 하면에 잔존하는 잔여물을 분리하는 에어 플로팅 컨베이어로서, 리턴 벨트의 하측에 구비되고 리턴 벨트를 상측으로 지지하는 지지부, 리턴 벨트의 상측에 구비되어 잔여물의 상측으로의 비산을 방지하는 상단 밀폐부, 리턴 벨트와 지지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잔여물의 하측으로의 비산을 방지하는 하단 밀폐부 및 상단 밀폐부의 상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잔여물을 흡입하는 흡입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사되는 유체가 주입되는 유입구를 통해, 주유구의 상측에 구비된 리턴 벨트가 상측으로 부상함과 동시에, 분사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리턴 벨트의 하면에 잔존하는 잔여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하단 밀폐부가 구비됨으로써 리턴 벨트로부터 잔여물의 낙탄 및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단 밀폐부가 구비됨으로써, 리턴 벨트로부터 분리된 잔여물 및 유체가 상측으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와 하단 밀폐부가 접하여 일체로 구비되고, 상단 밀폐부 및 하단 밀폐부에 의해 밀폐부의 내부 공간이 밀폐됨으로써, 잔여물 및 유체가 밀폐부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리턴 벨트의 양단은 제1 각도로 기울어져 상측을 향하게 되어, 리턴 벨트는 "V"형상으로 구비되기 때문에 잔여물은 리턴 벨트의 중앙부로 응집되고, 이에 따라 잔여물은 리턴 벨트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에어 플로팅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리턴 벨트에 잔존하는 잔여물을 분리함으로써, 잔여물의 낙탄 및 비산에 따른 이송 설비의 고장 및 환경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베이어는 일정한 거리 사이에 설치되어 원료 등을 자동으로 연속 이송하는 장치로서, 제철소나 발전소 또는 제분공장에서는 벨트 컨베이어를 널리 사용한다. 이를 위해, 벨트 컨베이어는 일정한 거리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헤드 풀리와 테일 풀리에 권취된 상태로 구비되고, 원료를 이송하는 이송 벨트 및 원료의 이송이 종료된 상태에서 다시 원료를 이송하기 위해 이동되는 리턴 벨트로 구분된다. 하지만, 리턴 벨트의 하면에 잔여물이 있는 경우 리턴 벨트를 이동시키는 리턴 롤러와 잔여물이 지속적으로 접하게 되어 마찰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벨트 컨베이어를 움직이는 동력의 손실로 이어져 작업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을 야기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행문헌 1(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5060호)은 리턴 벨트의 하측에 구비되는 벨트 접촉면을 통해 리턴 벨트에 잔존하는 잔여물을 리턴 벨트로부터 분리하는 벨트컨베이어용 분진 방지장치를 개시하였다. 또한, 선행문헌 2(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83438호)는 리턴 벨트에 밀착되어 잔여물을 제거하는 블레이드가 구비되는 벨트 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장치를 개시하였다.
하지만, 선행문헌 1 및 선행문헌 2의 경우 리턴 벨트로부터 분리된 잔여물을 별도로 회수할 수 있는 수단이 개시되어 있지 않아 분리된 잔여물이 비산하게 된다. 이에 따라, 벨트 컨베이어의 각 구성은 잔여물에 노출되어 빠르게 노후되고 파손되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또한, 잔여물이 바람에 의해 비산하게 됨에 따라, 각종 환경 문제 또는 작업자의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리턴 벨트에 잔존하는 잔여물을 분리하고, 분리된 잔여물을 용이하게 미리 설정된 위치로 배출하는 컨베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리턴 벨트를 움직이는 동력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컨베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분리된 잔여물이 낙하 및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컨베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리턴 벨트의 하면에 잔존하는 잔여물을 분리하는 에어 플로팅 컨베이어로서, 리턴 벨트의 하측에 구비되고 리턴 벨트를 상측으로 지지하는 지지부, 리턴 벨트의 상측에 구비되어 잔여물의 상측으로의 비산을 방지하는 상단 밀폐부, 리턴 벨트와 지지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잔여물의 하측으로의 비산을 방지하는 하단 밀폐부 및 상단 밀폐부의 상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잔여물을 흡입하는 흡입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사되는 유체가 주입되는 유입구를 통해 유입구의 상측에 구비된 리턴 벨트가 상측으로 부상함과 동시에, 분사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리턴 벨트의 하면에 잔존하는 잔여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단 밀폐부가 구비됨으로써 리턴 벨트로부터 잔여물의 낙탄 및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단 밀폐부가 구비됨으로써, 리턴 벨트로부터 분리된 잔여물 및 유체가 상측으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부와 하단 밀폐부가 접하여 일체로 구비되고, 상단 밀폐부 및 하단 밀폐부에 의해 밀폐부의 내부 공간이 밀폐됨으로써, 잔여물 및 유체가 밀폐부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리턴 벨트는 양단이 제1 각도로 기울어져 상측을 향하게 되는 "V"형상으로 구비되기 때문에 잔여물은 리턴 벨트의 중앙부로 응집되고, 이에 따라 잔여물은 리턴 벨트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플로팅 컨베이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턴 벨트 및 리턴 벨트의 하면에 잔존하는 잔여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 및 분사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부 및 리턴 벨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단 밀폐부 및 유입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부로의 유체 유입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턴 벨트의 상승 및 잔여물의 분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여물이 분리되는 것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부에 의해 흡입된 잔여물이 잔여물 배출 경사부를 통해 잔여물이 배출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여물 배출 경사부 및 덕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 플로팅 컨베이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턴 벨트 및 리턴 벨트의 하면에 잔존하는 잔여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 및 분사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부 및 리턴 벨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단 밀폐부 및 유입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부로의 유체 유입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턴 벨트의 상승 및 잔여물의 분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여물이 분리되는 것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부에 의해 흡입된 잔여물이 잔여물 배출 경사부를 통해 잔여물이 배출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여물 배출 경사부 및 덕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 플로팅 컨베이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제부터,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플로팅 컨베이어(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플로팅 컨베이어(100)는 리턴 벨트(b), 리턴 벨트(b)의 하측에 구비되고 리턴 벨트(b)를 상측으로 지지하는 지지부(110), 리턴 벨트(b)의 상측에 구비되고 잔여물(r)의 상측 방향으로의 비산을 방지하는 상단 밀폐부(130a), 리턴 벨트(b)와 지지부(110)의 사이에 구비되어 잔여물(r)의 하측 방향으로의 비산을 방지하는 하단 밀폐부(130b), 밀폐부(130)의 내부에 유체를 주입하는 분사부(120) 및 분리된 잔여물(r)을 흡입하는 흡입부(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측 방향, 하측 방향, 수평 방향, 수직 방향, 상단, 하단 등의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플로팅 컨베이어의 절단면을 정면에서 바라보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또한, 리턴 벨트(b)의 길이방향은 컨베이어 벨트를 권취하도록 회전하는 헤드 풀리(Head Pulley)에서 테일 풀리(Tail Pullley)를 향하는 방향을 뜻한다. 즉, 리턴 벨트(b)의 길이방향은 리턴 벨트(b)가 이동하는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잔여물(r)은 대상물이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송된 후, 미처 이송되지 못한 채로 리턴 벨트(b)의 하면에 잔존하는 대상물을 뜻한다. 이외에도 잔여물(r)은 먼지, 찌꺼기 등의 "분진이 발생하여 비산함에 따라 공기 중에 부유할 수 있는 물체"를 뜻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플로팅 컨베이어(100)는 종래 기술과 동일하게 리턴 벨트(b)를 권취하도록 회전함으로써 대상물을 이송하는 헤드 풀리 및 테일 풀리를 구비하고, 헤드 풀리 및 테일 풀리가 회전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가 별도로 구비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턴 벨트(b) 및 리턴 벨트(b)의 하면에 잔존하는 잔여물(r)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리턴 벨트(b)의 하면에는 잔여물(r)이 잔존할 수 있다. 상세하게, 리턴 벨트(b)의 하면에는 응집력 또는 부착력이 큰 잔여물(r)이 리턴 벨트(b)의 하면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부착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잔여물(r)은 종래의 리턴 벨트(b)를 이동시키는 리턴 롤러에 들러붙게 되고, 이에 따라 리턴 벨트(b)를 정확하게 이송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잔여물(r)에 의해 리턴 벨트(b)를 이송하는데 필요한 동력이 추가적으로 발생하게 되어 불필요한 동력 소모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종래의 기술에서 리턴 벨트(b)를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리턴 롤러는 본 발명에서 구비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리턴 벨트(b)는 앞서 언급한 헤드 풀리 및 테일 풀리의 회전운동을 통해 이동된다.
또한, 리턴 벨트(b)의 양단은 상측을 향하도록 구비된다. 상세하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턴 벨트(b)의 하측에는 후술할 지지부(110)가 구비되고 지지부(110)의 양단은 상측을 향하도록 제1 각도(a1)로 기울어져 구비된다. 이에 따라, 지지부(110)에 의해 상측으로 지지되는 리턴 벨트(b)의 양단은 상측을 향하도록 구비된다. 즉, 리턴 벨트(b)는 지지부(110)와 마찬가지로 제1 각도(a1)로 기울어져 구비된다. 이에 따라, 리턴 벨트(b)는 양단이 상측을 향하는 "V"자의 형상을 유지한 채 밀폐부(130)의 내부에서 이동한다. 양단이 상측을 향하는 리턴 벨트(b)가 구비됨으로써, 리턴 벨트(b)의 하면에 잔존하는 잔여물(r)은 리턴 벨트(b)의 하측을 향하도록 구비되는 부분(이하, 리턴 벨트(b)의 중앙부로 지칭한다)으로 이동하여 응집될 수 있다. 응집된 잔여물(r)은 질량이 커지게 되어, 중력 또는 외력에 의해 용이하게 리턴 벨트(b)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리턴 벨트(b)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분사되는 유체는 제1 각도(a1)로 경사져 "V"형상으로 구비되는 리턴 벨트(b)의 중앙부에서 리턴 벨트(b)의 양단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리턴 벨트(b)의 표면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저항 및 압력저항을 받게 된다. 특히, 유체가 압력저항을 이겨내지 못하는 지점에서는 와류가 발생하는 유동 박리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와류에 의해, 잔여물(r)은 리턴 벨트(b)의 하면으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리턴 벨트(b)는 하측에서 분사되는 유체에 의해 상측으로 부상한다. 즉, 리턴 벨트(b)는 분사되는 유체를 통해 상측으로 상승하는 동시에 잔여물(r)을 분리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로서, 리턴 벨트(b)는 양단이 상측을 향하도록 완만하게 만곡되어 구비되는 "U"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하측에서 분사되는 유체에 의해 리턴 벨트(b)가 보다 용이하게 상측으로 부상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리턴 벨트(b)가 상측으로 부상하고 잔여물(r)이 분리되는 보다 자세한 과정은 후술할 도 7 및 도 8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110) 및 분사부(12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지지부(110)는 리턴 벨트(b)의 형상을 특정하고 지지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지지부(110)는 리턴 벨트(b)의 하측에 구비되고(도 1 참조), 지지부(110)의 양단은 제1 각도(a1)로 기울어져 구비된다. 즉, 지지부(110)의 양단이 제1 각도(a1)로 기울어져 구비됨으로써, 지지부(110)의 상측에 구비되는 리턴 벨트(b)의 양단 또한 제1 각도(a1)로 기울어져 상측을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10)의 가운데 부분(이하, 지지부(110)의 중앙부로 지칭한다)은 지면과 제2 각도(a2)를 이루어 지면으로부터 지지되고, 제2 각도(a2)는 제1 각도(a1)보다 큰 각도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지지부(110)의 중앙부와 연결된 지지부(110)의 양단은 지면과 소정의 높이로 이격된다. 여기서, 지지부(110)의 양단과 지면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후술할 분사부(120)가 위치될 수 있기 때문에, 지지부(110)의 양단이 지면과 이격되지 않는 것과 비교했을 때 설치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10)의 중앙부를 통해, 전체적인 단면의 형상이 ""으로 구비되는 지지부(110)는 지면으로부터 용이하게 지지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지지부(110)의 중앙부는 제2 각도(a2)로 경사져 구비됨과 동시에, 지면과 평행한 평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110)는 보다 용이하게 지면으로부터의 직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후술하겠지만 지지부(110)의 중앙부가 제2 각도(a2)로 구비됨에 따라, 지지부(110)의 상측에 위치하는 하단 밀폐부(130b)와 지지부(110)의 사이에는 공간부가 구비된다. 상기 공간부를 통해 분사부(120)로부터 유입된 유체가 응집되게 되고, 응집된 유체가 유입구(131)를 통해 밀폐부(130)의 내부로 분사됨에 따라, 보다 균일한 압력으로 리턴 벨트(b)를 상측으로 부상시킬 수 있다. 한편, 지지부(110)는 도 4 및 도 5에서 후술할 하단 밀폐부(130b)와 일체로 구비된다(도 1 참조). 상세하게, 하단 밀폐부(130b)의 하면은 지지부(110)의 상면과 접하도록 구비되는데, 이는 리턴 벨트(b)로부터 분리된 잔여물(r)이 하측으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고, 분사되는 유체가 지지부(110)와 하단 밀폐부(130b)의 사이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지지부(110)의 일면은 후술할 분사부(120)에 의해 주입되는 유체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개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체는 지지부(110)의 상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지지부(110)의 일면이 개구되어 유체가 유입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도 6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분사부(120)는 유체를 분사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분사부(120)는 유체를 생성하는 펌프 등으로 구비될 수 있고, 지지부(110)의 개구된 일면과 연결되어 유체를 주입할 수 있다. 여기서, 분사부(120)에 의해 주입되는 유체는 고압의 공기로 구비되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유체는 잔여물(r)을 응집시키기 위한 액체 및 기체의 혼합물로 구비되거나, 잔여물(r)이 보다 용이하게 분리되기 위한 고온의 기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유체는 잔여물(r)의 화학적 성질에 대응하여 잔여물(r)이 산화 또는 발화하지 않도록 반응성이 작은 헬륨 등의 비활성 기체로도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분사부(120)는 보다 용이한 유체 공급을 위해 복수 개로 구비되고,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복수 개의 분사부(120)는 9 내지 10미터 단위의 챔버 타입(Chamber Type)으로 이격되어 구비됨으로써 보다 일정한 압력과 유량으로 유체를 주입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부(130) 및 리턴 벨트(b)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단 밀폐부(130b) 및 유입구(13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밀폐부(130)는 리턴 벨트(b)가 유체에 의해 상측으로 부상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고, 리턴 벨트(b)의 하면으로부터 분리된 잔여물(r)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밀폐부(130)는 리턴 벨트(b)의 하측에 구비되는 하단 밀폐부(130b) 및 리턴 벨트(b)의 상측에 구비되는 상단 밀폐부(130a)로 구분되고, 상단 밀폐부(130a) 및 하단 밀폐부(130b)의 사이에 구비되는 공간에 리턴 벨트(b)를 수용하도록 구비된다.
상단 밀폐부(130a)는 분리된 잔여물(r)이 상측으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한다(도 7 참조). 이를 위해, 상단 밀폐부(130a)는 리턴 벨트(b)의 상측에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의 상단 밀폐부(130a)의 단면은 ""형상으로 구비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면이 호 형상으로 구비되는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단 밀폐부(130a)의 단면의 형상은 하단 밀폐부(130b)와 체결되어 내부 공간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채택 가능하다. 상단 밀폐부(130a)를 통해, 분리되어 상측으로 비산하려는 잔여물(r)은 상단 밀폐부(130a)에 의해 가로막혀 상측으로 비산되지 않는다.
하단 밀폐부(130b)는 분리된 잔여물(r)이 하측으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하단 밀폐부(130b)는 리턴 벨트(b)의 하측에 구비된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하단 밀폐부(130b)는 지지부(110)와 일체가 되도록 구비된다(도 6 참조). 즉, 지지부(110) 및 하단 밀폐부(130b)는 용접 등의 공정을 통해 일체로 구비되고, 이에 따라 지지부(110)와 하단 밀폐부(130b)의 사이로 유체 또는 잔여물(r)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단 밀폐부(130b)의 양단은 지지부(110) 및 리턴 벨트(b)와 동일한 제1 각도(a1)로 기울어져 구비된다. 즉, 하단 밀폐부(130b)의 상면에는 리턴 벨트(b)가 배치되기 때문에, 리턴 벨트(b)의 "V"형상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해 하단 밀폐부(130b)는 양단이 지면으로부터 제1 각도(a1)로 기울어져 상측을 향하도록 구비된다.
하단 밀폐부(130b)의 하면에는 유입구(131)가 더 구비된다. 유입구(131)는 분사부(120)에서 유입된 유체를 밀폐부의 내부(상단 밀폐부(130a)와 하단 밀폐부(130b)의 사이에 구비되는 공간을 뜻함)로 안내하여 유체가 분사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유입구(131)는 하단 밀폐부(130b)를 관통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131)는 하단 밀폐부(130b)의 하면과 지지부(110)의 중앙부의 사이에 유격 공간의 상측에 구비된다. 즉, 유입구(131)는 지지부(110)와 하단 밀폐부(130b)가 서로 접하지 않는 부분에 구비되어 유체를 유입시킬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유입구(131)는 보다 용이한 유체 공급을 위해 복수 개로 구비되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구비된다. 또한, 복수의 유입구(131)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렬로 연결되거나, 도 5b와 같이 지그재그 배열로 이루도록 연결될 수 있다(연결되는 부분은 파선으로 도시함). 여기서, 복수 개의 유입구(131)가 연결되는 부분은 하단 밀폐부(130b)의 내부에서 연결되기 때문에 하단 밀폐부(130b)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또한, 복수 개의 유입구(131)는 1개의 분사부(120)를 통해 유체를 분사하거나, 복수 개의 분사부(120)를 통해 유체를 분사할 수 있다.
상단 밀폐부(130a) 및 하단 밀폐부(130b)는 별도의 체결 수단에 의해 서로 체결되어 내부 공간이 밀폐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입구(131)를 통해 밀폐부의 내부로 분사되는 유체 및 분리된 잔여물(r)은 밀폐부의 내부에서 외부로 비산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잔여물(r)의 낙하 및 비산에 따른 환경 오염, 설비 고장, 인명 피해 등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도 7 및 도 8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부로의 유체 유입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턴 벨트(b)의 상승 및 잔여물(r)의 분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여물(r)이 분리되는 것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형상으로 구비되는 지지부(110)와 "V"형상으로 구비되는 하단 밀폐부(130b)가 서로 접함에 따라, 하측을 향하도록 구비되는 지지부(110)의 중앙부와 하단 밀폐부(130b)의 중앙부의 사이에는 공간부가 구비된다. 분사부(120)에 의해 생성된 유체는 지지부(110)의 개구된 일면을 통해 상기 공간부로 이동하고, 하단 밀폐부(130b)의 하면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유입구(131)를 통해 밀폐부(130)의 내부 공간으로 주입된다. 이를 통해, 유체는 지지부(110) 및 밀폐부(130)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도 밀폐부(13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유입된 유체를 통해, 리턴 벨트(b)는 상측으로 부상하게 되고(도 8 참조), 부상한 리턴 벨트(b)의 하면과 하단 밀폐부(130b)의 상면의 사이로 주입된 유체가 흐른다. 즉, 유체는 밀폐부(130)의 내부로 유입된 이후 리턴 벨트(b)의 양단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리턴 벨트(b)의 하면에 잔존하는 잔여물(r)은 유체의 압력에 의해 리턴 벨트(b)의 하면으로부터 분리됨과 동시에 리턴 벨트(b)의 양단으로 이동한다. 리턴 벨트(b)의 양단으로 이동된 잔여물(r)은 후술할 흡입부(140)를 통해 흡입되어 에어 컨베이어의 외부로 배출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부(140)에 의해 흡입된 잔여물(r)이 잔여물 배출 경사부를 통해 잔여물(r)이 배출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여물 배출 경사부(150) 및 덕트(16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의 경우, 흡입부(140), 잔여물 배출 경사부(150) 및 덕트(160)를 용이하게 표현하기 위해, 덕트(160)를 절단한 사시도로 표현한다.
흡입부(140)는 분리된 잔여물(r)을 흡입한다. 이를 위해, 흡입부(140)는 관 형상으로 구비되고, 흡입부(140)의 일단은 상단 밀폐부(130a)의 상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흡입부(140)는 관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흡입부(140)의 일단은 상측을 향해 폭이 좁아지도록 구비되는 깔대기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분리된 잔여물(r)은 밀폐부(13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된 흡입부(140)의 일단을 향해 이동하고, 후술할 잔여물 배출 경사부(150)의 상측에 구비되는 흡입부(140)의 타단을 통해 후술할 잔여물 배출 경사부(150)의 상면으로 하강함으로써 에어 플로팅 컨베이어(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흡입부(140)가 구비됨으로써, 리턴 벨트(b)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밀폐부(130)의 내부 공간에 적층될 수 있는 잔여물(r)을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잔여물(r)이 리턴 벨트(b)의 하면에 재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턴 벨트(b)를 움직이는 헤드 풀리 및 테일 풀리를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동력의 불필요한 추가적인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잔여물 배출 경사부(150)는 흡입부(140)를 통해 흡입된 잔여물(r)을 에어 컨베이어의 외부로 배출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잔여물 배출 경사부(150)의 내부는 개구되고, 개구된 잔여물 배출 경사부(150)의 내부 공간에는 앞서 언급한 리턴 벨트(b), 지지부(110), 분사부(120) 및 밀폐부가 배치된다. 즉, 리턴 벨트(b) 및 밀폐부(130)는 잔여물 배출 경사부(150)를 통과하게 된다. 또한, 잔여물 배출 경사부(150)의 상면은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를 갖는 경사면으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흡입부(140)를 통해 흡기된 잔여물(r)은 잔여물 배출 경사부(150)의 상면 상에 배치되고, 잔여물 배출 경사부(150)의 경사지도록 구비된 상면을 따라 이동하여 미리 설정된 장소에 배치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잔여물 배출 경사부(150)의 상면 및 일면(도 9에서 잔여물 배출 경사부의 좌측면을 뜻함)으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되는 별도의 덕트(160)에 의해, 잔여물 배출 경사부(150)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는 잔여물(r)이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잔여물(r)을 사일로 등의 미리 설정된 장소로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리턴 벨트(b)에 대한 별도의 청소 작업을 진행하지 않아도 되어 불필요한 인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 플로팅 컨베이어(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 플로팅 컨베이어(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과 비교하여 상승 방지부(132)를 더 구비한다. 상승 방지부(132)는 분사되는 유체에 의해 리턴 벨트(b)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승 방지부(132)는 밀폐부의 내부 공간에 구비된다. 상세하게, 상승 방지부(132)는 상단 밀폐부(130a)의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승 방지부(132)는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된다. 하지만, 상승 방지부(132)의 단면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측을 향하도록 뾰족하게 구비된 삼각형 형상, 곡면이 하측을 향하도록 구비되는 반원 형상 등으로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유체에 의해 리턴 벨트(b)가 상측으로 상승할 때, 상승 방지부(132)의 하면과 리턴 벨트(b)의 상면이 접함으로써, 리턴 벨트(b)는 상측으로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과도한 상승에 의해 리턴 벨트(b)의 위치가 불규칙하게 가변되어, 리턴 벨트(b)가 엉키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리턴 벨트(b)가 과도한 상승을 방지하여 리턴 벨트(b)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승 방지부(132)는 탄성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외에도 경도가 낮은 금속 등을 상승 방지부(132)의 재질로 채택할 수 있다. 이는 리턴 벨트(b)와 접촉하는 과정에서 리턴 벨트(b)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보다 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승 방지부(132)는 복수 개로 구비되고, 복수 개의 상승 방지부(132)는 리턴 벨트(b)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승 방지부(132)와 리턴 벨트(v)가 접촉한다 하더라도, 이격된 복수 개의 상승 방지부(132)의 사이로 유체 및 잔여물(r)이 흡입부(140)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6)
- 유체를 분사하여 리턴 벨트(b)의 하면에 잔존하는 잔여물(r)을 분리하는 에어 플로팅 컨베이어(100)로서,
상기 리턴 벨트(b)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리턴 벨트(b)를 상측으로 지지하는 지지부(110);
상기 리턴 벨트(b)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잔여물(r)의 상측으로의 비산을 방지하는 상단 밀폐부(130a);
상기 리턴 벨트(b)와 상기 지지부(110)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잔여물(r)의 하측으로의 비산을 방지하는 하단 밀폐부(130b); 및
상기 상단 밀폐부(130a)의 상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잔여물(r)을 흡입하는 흡입부(140);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110) 및 하단 밀폐부(130b)의 양단이 상측을 향하도록 제1 각도(a1)로 기울어져 구비됨으로써, 상기 리턴 벨트(b)는 “V”자 형상으로 이동되고, 상기 리턴 벨트(b)의 하면에 위치한 상기 잔여물(r)은 상기 리턴 벨트(b)의 양단에서 하측을 향하는 상기 리턴 벨트(b)의 중앙부로 이동하여 응집되어 보다 용이하게 상기 리턴 벨트(b)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지지부(110)의 중앙부는 상기 제1 각도(a1)보다 큰 제2 각도(a2)로 경사져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110)의 양단은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이격됨으로써, 상기 리턴 벨트(b)의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부(120)가 위치하기 위한 공간이 제공되며,
상기 지지부(110) 및 상기 하단 밀폐부(130b)는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하단 밀폐부(130b)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유입구(131)가 더 구비되며,
상기 하단 밀폐부(130b)와 상기 지지부(110)의 사이에는 공간부가 더 구비됨으로써, 상기 분사부(120)로부터 분사된 상기 유체는 상기 공간부를 통과하여 상기 유입구(131)로 배출되며,
상기 유입구(131)는 상기 하단 밀폐부(130b)의 하면에 복수 개 구비되고,
복수 개의 상기 유입구(131)는 상기 하단 밀폐부(130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고,
상기 흡입부(140)를 통해 흡기된 잔여물(r)을 배출하는 잔여물 배출 경사부(1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턴 벨트(b)는 상기 잔여물 배출 경사부(150)를 통과함으로써, 상기 잔여물(r)은 상기 상단 밀폐부(130a) 및 하단 밀폐부(130b)의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상단 밀폐부(130a)의 하면에서 하측 방향으로 돌출 구비되되, 상기 리턴 벨트(b)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구비되는 상승 방지부(13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승 방지부(132)를 통해 상기 리턴벨트(b)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복수 개의 상기 상승 방지부(132)의 사이로 유체 및 상기 잔여물(r)이 용이하게 상기 흡입부(140)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플로팅 컨베이어.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4818A KR101925626B1 (ko) | 2018-02-28 | 2018-02-28 | 에어 플로팅 컨베이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4818A KR101925626B1 (ko) | 2018-02-28 | 2018-02-28 | 에어 플로팅 컨베이어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51407A Division KR20190103932A (ko) | 2018-11-29 | 2018-11-29 | 에어 플로팅 컨베이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25626B1 true KR101925626B1 (ko) | 2018-12-05 |
Family
ID=64743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24818A KR101925626B1 (ko) | 2018-02-28 | 2018-02-28 | 에어 플로팅 컨베이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25626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60218A (ja) * | 2001-11-27 | 2003-06-03 |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 空気浮上式ベルトコンベヤ |
JP3475570B2 (ja) * | 1995-04-21 | 2003-12-08 |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 ベルトコンベヤ |
JP3485407B2 (ja) * | 1995-12-25 | 2004-01-13 | 川崎重工業株式会社 | 空気浮上式ベルトコンベア装置 |
JP4186342B2 (ja) * | 1999-09-27 | 2008-11-26 | 宇部興産株式会社 | 空気浮上式ベルトコンベヤ |
-
2018
- 2018-02-28 KR KR1020180024818A patent/KR10192562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475570B2 (ja) * | 1995-04-21 | 2003-12-08 |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 ベルトコンベヤ |
JP3485407B2 (ja) * | 1995-12-25 | 2004-01-13 | 川崎重工業株式会社 | 空気浮上式ベルトコンベア装置 |
JP4186342B2 (ja) * | 1999-09-27 | 2008-11-26 | 宇部興産株式会社 | 空気浮上式ベルトコンベヤ |
JP2003160218A (ja) * | 2001-11-27 | 2003-06-03 |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 空気浮上式ベルトコンベヤ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48243B1 (ko) | 분사재 회수 장치, 분사재 회수 장치를 구비한 블라스트 가공 장치 및 블라스트 가공 방법 | |
US20200062513A1 (en) | Conveyor belt cleaning apparatus | |
JP2014022744A (ja) | 非接触マルチ搬送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異物除去方法 | |
KR101309221B1 (ko) | 벨트 컨베이어 미세 분진 흡입 장치 | |
KR101925626B1 (ko) | 에어 플로팅 컨베이어 | |
KR20110002455U (ko) | 포장용기의 이물질 제거장치 | |
JP2016087592A (ja) | 破砕機の粉塵飛散防止用カバー | |
KR20190103932A (ko) | 에어 플로팅 컨베이어 | |
JP2019168172A (ja) | 水封灰出しコンベヤ装置 | |
JP5907000B2 (ja) | 転炉スカートシール部におけるダスト除去方法 | |
KR20190102262A (ko) |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 장치 | |
US6866071B2 (en) | Dustless Stacker method and apparatus for a bulk solids handling and storage system | |
JP2011195260A (ja) | 木屑ピットの粉塵飛散抑止装置 | |
KR101245941B1 (ko) | 와류 방지 커버가 구비된 마그네틱 컨베이어 | |
EP1505899B1 (en) | Liquid bath filter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pparatus | |
KR101914342B1 (ko) | 국부 비산먼지 억제장치 | |
CN209596759U (zh) | 一种受料皮带机尾除尘处理装置 | |
KR102547160B1 (ko) | 각관 가공시스템 | |
JP3272201B2 (ja) | コンベア用ベルト面清掃装置 | |
KR20200091571A (ko) | Gtsu 호퍼의 비산먼지 차단장치 | |
RU2029486C1 (ru) | Пылеприемный насадок | |
AU765012B2 (en) | Passive enclosure dust control system | |
CN219407776U (zh) | 一种自动清堵的下料斗 | |
JP2015063368A (ja) | 豆類の搬送装置 | |
CN220683709U (zh) | 一种耐火材料输送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