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5513B1 - 차량용 보조제동장치의 유압밸브 - Google Patents

차량용 보조제동장치의 유압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5513B1
KR101925513B1 KR1020160155741A KR20160155741A KR101925513B1 KR 101925513 B1 KR101925513 B1 KR 101925513B1 KR 1020160155741 A KR1020160155741 A KR 1020160155741A KR 20160155741 A KR20160155741 A KR 20160155741A KR 101925513 B1 KR101925513 B1 KR 101925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oil
valve housing
reaction force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5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7286A (ko
Inventor
김희철
윤찬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동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동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동테크
Priority to KR1020160155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5513B1/ko
Publication of KR20180057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7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36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including a pilot valve responding to an electromagnetic force
    • B60T8/3615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 B60T8/3655Continuously controlled electromagnetic valves
    • B60T8/366Valve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5/00Construction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alves incorporated in power brake systems and not covered by groups B60T11/00 or B60T13/00
    • B60T15/02Application and release valves
    • B60T15/04Driver's valves
    • B60T15/041Driver's valves controlling auxiliary pressure brakes, e.g. parking or emergency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4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comprising an additional fluid circuit including fluid pressurising means for modifying the pressure of the braking fluid, e.g. including wheel driven pumps for detecting a speed condition, or pumps which are controlled by means independent of the braking system
    • B60T8/4036Pump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failure-responsiv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48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connecting the brake actuator to an alternative or additional source of fluid pressure, e.g. traction control systems
    • B60T8/4809Traction control, stability control, using both the wheel brakes and other automatic braking systems
    • B60T8/4827Traction control, stability control, using both the wheel brakes and other automatic braking systems in hydraulic brake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보조제동장치의 유압밸브는, 내부에 유압용 오일이 유동하기 위한 유로가 형성되는 밸브하우징과, 상기 밸브하우징의 내부를 따라 선택적으로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유압이 작용 및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스플과, 상기 밸브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스플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상기 스플에 선택적으로 외력을 작용하는 솔레노이드 조립체와, 상기 스플에 의하여 보다 정밀한 유압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스플에 유압의 반대방향으로 반력을 작용하기 위하여 상기 스플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반력작용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밸브하우징의 내부에 오일 찌꺼기가 끼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오일 찌꺼기에 의한 오작동이 최소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보조제동장치의 유압밸브{Hydraulic pressure valve of assistance brake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보조제동장치에 사용되기 위한 유압밸브에 관한 것이다.
버스, 트럭과 같은 고하중을 가진 차량의 경우에는 보조제동장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보조제동장치는 유압 방식으로 작동하는 경우가 많아, 예를 들면 공개특허 제2000-001089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유압을 자유롭게 조절하기 위한 유압밸브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유압밸브에서는 오일에 섞여 있는 공기가 유로 상의 일부분에 모여 밸브의 작동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유압밸브를 사용하다 보면 유로의 내벽에 오일 찌꺼기와 같은 이물질이 적층되어 성능이 저하되어 유압밸브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2000-0010895호(2000.2.25)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밸브의 오일 유로 상의 공기가 배출이 어려운 부분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공기가 보다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어, 밸브가 더욱 안정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차량용 보조제동장치의 유압밸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오일 찌꺼기에 의한 오작동이 최소화될 수 있는 차량용 보조제동장치의 유압밸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안되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보조제동장치의 유압밸브는, 내부에 유압용 오일이 유동하기 위한 유로가 형성되는 밸브하우징과, 상기 밸브하우징의 내부를 따라 선택적으로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유압이 작용 및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스플과, 상기 밸브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스플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상기 스플에 선택적으로 외력을 작용하는 솔레노이드 조립체와, 상기 스플에 의하여 보다 정밀한 유압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스플에 유압의 반대방향으로 반력을 작용하기 위하여 상기 스플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반력작용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보조제동장치의 유압밸브에 의하면, 밸브의 오일 유로 상의 공기가 배출이 어려운 부분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공기가 보다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어, 밸브가 더욱 안정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보다 상세히, 스플에 홀을 형성하여, 오일을 스플 단부와 밸브 하우징 사이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여 스플 반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스플의 위치를 자동적으로 제어되도록 하던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오일에서 분리된 공기가 스플 단부와 밸브 하우징 사이 공간으로 유입되면 스플에 의한 단차로 인하여 공기가 자연적으로 배출되기가 어려운 반면에, 본 발명에 의하면 스플에 구비된 반력작용핀에 의하여 스플 반력이 발생되어 스플의 위치가 자동적으로 제어될 뿐만 아니라, 오일과 함께 오일에서 분리된 공기가 스플 단부와 밸브 하우징의 사이 공간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공기에 의한 밸브의 오작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밸브하우징의 내부에 오일 찌꺼기가 끼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오일 찌꺼기에 의한 오작동이 최소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보조제동장치의 유압밸브에 있어서, 유압이 걸려 제동력이 작용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보조제동장치의 유압밸브에 있어서, 유압이 차단되어 제동력이 해제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보조제동장치의 유압밸브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보조제동장치의 유압밸브에 있어서, 유압이 걸려 제동력이 작용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보조제동장치의 유압밸브에 있어서, 유압이 차단되어 제동력이 해제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보조제동장치의 유압밸브는, 내부에 유압용 오일이 유동하기 위한 유로가 형성되는 밸브하우징(1)과, 상기 밸브하우징(1)의 내부를 따라 선택적으로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유압이 작용 및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스플(2)과, 상기 밸브하우징(1)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스플(2)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상기 스플(2)에 선택적으로 외력을 작용하는 솔레노이드 조립체(3)와, 상기 스플(2)에 의하여 보다 정밀한 유압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스플(2)에 유압의 반대방향으로 반력을 작용하기 위하여 상기 스플(2)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반력작용로드(5)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하우징(1)의 내부에는, 유압펌프(미도시)에 연결되어 유압펌프의 작동에 의한 유압이 전달되는 펌프측유로(11)와, 제동력이 발생될 수 있도록, 상기 펌프측유로(11)의 유압이 선택적으로 전달되는 엑츄에이터측 유로(12)와, 상기 제동력이 필요없는 경우에 상기 엑츄에이터측 유로(12)에 걸린 유압이 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엑츄에이터측 유로(12)의 오일이 저장탱크(14)로 전달되는 탱크측유로(13)가 형성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밸브하우징(1)의 일측에, 오일 유압을 발생시킬 수 있는 유압펌프와, 유압용 오일이 저장되는 상기 저장탱크(14)가 설치된다. 상기 유압펌프가 작동하게 되면 오일 압력이 높아져 유압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유압펌프가 작동한 상태에서 상기 펌프측유로(11)와 상기 엑츄에이터측 유로(12)가 연통되게 되며, 상기 유압펌프에 의한 유압이 상기 엑츄에이터측 유로(12)로 전달되어 상기 차량용 보조제동장치에 의한 제동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펌프측유로(11)와 상기 엑츄에이터측 유로(12) 사이의 오일 유동이 차단되고, 상기 엑츄에이터측 유로(12)와 상기 탱크측유로(13)가 서로 연통됨으로써, 상기 엑츄에이터측 유로(12)의 오일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탱크측유로(13)로 유입되어 상기 엑츄에이터측 유로(12)의 유압이 낮아지게 되면서 상기 차량용 보조제동장치에 의한 제동 작용이 해제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스플(2)은 상기 밸브하우징(1)의 내부 공간을 따라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스플(2)은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밸브하우징(1)의 내부에는 상기 스플(2)의 길이보다 더 긴 형상의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스플(2)이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삽입 설치된다.
상기 스플(2)은, 상기 솔레노이드 조립체(3)와 연결되어 상기 솔레노이드 조립체(3)의 작동에 의해 발생한 힘을 상기 스플(2)로 전달하는 스위치작용부(21)와, 상기 밸브하우징(1)의 내벽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상기 밸브하우징(1)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디부(22)와, 상기 바디부(22)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밸브하우징(1)과 사이에 오일이 유동할 수 있는 간격을 형성하는 유동제어부(23)를 포함한다.
상기 유동제어부(23)는, 상기 스플(2)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펌프측유로(11)에 대응되는 지점에 형성되는 펌프측유동부(231)와, 상기 엑츄에이터측 유로(12)에 대응되는 지점에 형성되는 제동측유동부(232)와, 상기 탱크측유로(13)에 대응되는 지점에 형성되는 탱크측유동부(23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22)는, 상기 스위치작용부(21)와 상기 펌프측유동부(231)의 사이에 위치하는 스플 유구홈(221)과, 상기 펌프측유동부(231)와 상기 제동측유동부(232)의 사이에 위치하는 오일 공급측 스플 랜드부(222)와, 상기 제동측유동부(232)와 상기 탱크측유동부(233)의 사이에 위치하는 오일 드레인측 스플 랜드부(223)와, 상기 스위치작용부(21)의 반대측에 해당하는 상기 스플(2)의 단부를 이루는 반력 스플 랜드부(224)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하우징(1)의 엑츄에이터측 유로(12)와 인접한 상기 밸브하우징(1)의 내주면에는 상기 오일 공급측 스플 랜드부(222)와 오일 드레인측 스플 랜드부(223) 사이에 오일이 유동하기 위한 간격을 형성하는 오일유동홈(1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플(2)은, 상기 스플(2)의 단부면(226)과 상기 밸브하우징(1)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오일유동홈(15)은 상기 오일 공급측 스플 랜드부(222)부터 상기 오일 드레인측 스플 랜드부(223)까지 해당하는 길이보다 작은 너비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오일 공급측 스플 랜드부(222)의 상기 펌프측유로(11)에 가까운 외주면에는 경사부(225)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플(2)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오일 공급측 스플 랜드부(222)의 경사부(225)와 상기 밸브하우징(1) 사이의 간격이 형성되거나 차폐되면서, 상기 펌프측유로(11)와 상기 엑츄에이터측 유로(12)가 서로 연통되거나 차단될 수 있다. 상기 펌프측유로(11)와 상기 엑츄에이터측 유로(12)가 서로 연통됨에 따라, 상기 유압펌프에 의하여 발생된 유압이 상기 엑츄에이터측 유로(12)에도 전달되어 상기 차량용 보조제동장치에 의한 차량 제동이 이루어진다. 다만, 이때에는 상기 오일 드레인측 스플 랜드부(223)와 상기 밸브하우징(1)은 서로 맞닿은 상태로, 상기 엑츄에이터측 유로(12)와 상기 탱크측유로(13) 사이의 오일 유동은 차단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상기 유압펌프에 의한 유압이 상기 엑츄에이터측 유로(12)에만 전달되고, 상기 탱크측유로(13)에는 전달되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플(2)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오일 드레인측 스플 랜드부(223)와 상기 밸브하우징(1) 사이의 간격이 형성되거나 차폐되면서, 상기 엑츄에이터측 유로(12)와 상기 탱크측유로(13)가 서로 연통되거나 차단될 수 있다. 상기 엑츄에이터측 유로(12)와 상기 탱크측유로(13)가 서로 연통됨에 따라, 상기 엑츄에이터측 유로(12)의 오일이 상기 탱크측유로(13)로 이동하면서 상기 엑츄에이터측 유로(12)의 유압이 해제됨으로써, 상기 차량용 보조제동장치에 의한 차량 제동이 해제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만, 이때에는 상기 오일 공급측 스플 랜드부(222)와 밸브하우징(1)은 서로 맞닿은 상태로, 상기 펌프측유로(11)와 상기 엑츄에이터측 유로(12) 사이의 오일 유동이 차단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상기 엑츄에이터측 유로(12)의 오일이 상기 탱크측유로(13)로만 이동할 뿐, 상기 펌프측유로(11)의 오일은 상기 엑츄에이터측 유로(12)나 탱크측유로(13)로는 유입되지 않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유압밸브에 의하여 상기 차량용 보조제동장치가 작동이 제어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작용부(21)는 상기 스플(2)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상기 솔레노이드 조립체(3)의 작동에 의해 발생한 밀고 당기는 힘을 상기 스플(2)에 전달한다.
따라서, 상기 제동력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솔레노이드 조립체(3)의 작동에 의해 상기 스위치작용부(21)가 상기 스플(2)을 상기 솔레노이드 조립체(3)의 반대 방향으로 밀어서, 상기 스플(2)이 상기 펌프측연통공(41)과 상기 공급측연통공(42) 사이의 오일 유동이 허용되고 상기 공급측연통공(42)과 상기 탱크측연통공(43) 사이의 오일 유동이 차단되는 제동작용상태에 위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동력이 필요없는 경우에는, 상기 솔레노이드 조립체(3)의 작동에 의해 상기 스위치작용부(21)가 상기 스플(2)을 상기 솔레노이드 조립체(3)방향으로 당겨서, 상기 스플(2)이 상기 펌프측연통공(41)과 상기 공급측연통공(42) 사이의 오일 유동이 차단되고 상기 공급측연통공(42)과 상기 탱크측연통공(43) 사이의 오일 유동이 허용되는 제동해제상태에 위치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스플(2)의 제동측유동부(232)와 상기 반력 스플 랜드부(224)의 단부면(226)을 관통하는 반력연통공(24)이 형성된다. 즉, 상기 반력연통공(24)의 일단은 상기 제동측유동부(232)의 표면에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반력 스플 랜드부(224)의 단부면(226)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반력작용로드(5)는 일단부가 상기 밸브하우징의 내벽에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반력연통공(24)에 삽입되며, 상기 반력연통공(24)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스플(2)이 상기 제동작용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엑츄에이터측 유로(12)로 유입된 고압의 오일이 상기 반력연통공(24)을 통하여 상기 스플(2)를 관통하여 상기 반력작용로드(5)를 밀고, 상기 반력작용로드(5)를 미는 힘만큼 상기 반력작용로드(5)와 상기 밸브하우징(1) 사이에 작용하는 반력도 발생하여, 상기 엑츄에이터측 유로(12)의 유압을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스플(2)에 상기 솔레노이드 조립체(3) 방향으로 유압에 의한 반력이 가해지도록 하여, 유압펌프에 의한 유압이 변화되더라도 상기 스플(2)에 가해지는 반력도 함께 변화됨으로써, 상기 오일 공급측 스플 랜드부(222)와 상기 밸브하우징(1) 사이의 간격이 급하게 변하지 않고, 미세한 조정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보조제동장치의 유압밸브의 작동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차량용 보조제동장치의 제동력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솔레노이드 조립체(3)에 의하여, 상기 스플(2)이 제동작용상태에 위치되고, 상기 유압펌프가 작동한다. 그러면, 상기 펌프측유로(11)의 오일 압력이 높아지고, 상기 펌프측유로(11)와 상기 엑츄에이터측 유로(12)가 서로 연통되게 됨으로써, 상기 유압펌프에 의한 유압이 상기 엑츄에이터측 유로(12)에 전달되어 상기 차량용 보조제동장치에 의한 차량 제동이 작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보조제동장치의 제동력이 필요없는 경우에는, 상기 솔레노이드 조립체(3)에 의하여, 상기 스플(2)이 제동해제상태에 위치된다. 그러면, 상기 펌프측유로(11)와 상기 엑츄에이터측 유로(12) 사이의 오일 유동이 차단되고, 상기 엑츄에이터측 유로(12)와 상기 탱크측유로(13)가 서로 연통되게 됨으로써, 상기 엑츄에이터측 유로(12)의 고압 오일이 상기 탱크측유로(13)로 유입되어 상기 엑츄에이터측 유로(12)의 유압이 해제되면서 상기 차량용 보조제동장치에 의한 차량 제동이 해제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반력작용로드(5)에 의하여 상기 엑츄에이터측 유로(12)로 유입되는 오일이 상기 스플(2)의 단부면(226)과 상기 밸브하우징(1)의 사이 공간으로 유입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오일 찌꺼기에 의한 오작동이 최소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오일 유로 상의 공기가 배출이 어려운 부분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공기가 보다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어, 유압밸브가 더욱 안정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보다 상세히, 스플에 홀을 형성하여, 오일을 스플 단부와 밸브 하우징 사이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여 스플 반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스플의 위치를 자동적으로 제어되도록 하던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오일에서 분리된 공기가 스플 단부와 밸브 하우징 사이 공간으로 유입되면 스플에 의한 단차로 인하여 공기가 자연적으로 배출되기가 어려운 반면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스플(2)에 구비된 상기 반력작용핀(5)에 의하여 상기 스플(2) 반력이 발생되어 상기 스플(2)의 위치가 자동적으로 제어될 뿐만 아니라, 오일과 함께 오일에서 분리된 공기가 상기 스플(2) 단부와 상기 밸브 하우징(1)의 사이 공간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공기에 의한 밸브의 오작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밸브하우징
2 : 스플
3 : 솔레노이드 조립체
5 : 반력작용로드
11 : 펌프측유로
12 : 엑츄에이터측 유로
13 : 탱크측유로
14 : 저장탱크
21 : 스위치작용부
22 : 바디부
23 : 유동제어부
24 : 반력연통공
221 : 스플 유구홈
222 : 오일 공급측 스플 랜드부
223 : 오일 드레인측 스플 랜드부
224 : 반력 스플 랜드부
225 : 경사부
226 : 단부면
231 : 펌프측유동부
232 : 제동측유동부
233 : 탱크측유동부

Claims (5)

  1. 내부에 유압용 오일이 유동하기 위한 유로가 형성되는 밸브하우징;
    상기 밸브하우징의 내부를 따라 선택적으로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유압이 작용 및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스플;
    상기 밸브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스플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상기 스플에 선택적으로 외력을 작용하는 솔레노이드 조립체; 및
    상기 스플에 의하여 보다 정밀한 유압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스플에 유압의 반대방향으로 반력을 작용하기 위하여 상기 스플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반력작용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조제동장치의 유압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은,
    상기 솔레노이드 조립체와 연결되어 상기 솔레노이드 조립체의 작동에 의해 발생한 힘을 상기 스플로 전달하는 스위치작용부;
    상기 밸브하우징의 내벽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상기 밸브하우징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밸브 하우징과 스플 사이에 오일이 유동할 수 있는 간격을 형성하는 유동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조제동장치의 유압밸브.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하우징의 내부에는,
    유압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유압펌프의 작동에 의한 유압이 전달되는 펌프측유로;
    제동력이 발생될 수 있도록, 상기 펌프측유로의 유압이 선택적으로 전달되는 엑츄에이터측 유로; 및
    상기 제동력이 필요없는 경우에 상기 엑츄에이터측 유로에 걸린 유압이 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엑츄에이터측 유로의 오일이 저장탱크로 전달되는 탱크측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유동제어부는,
    상기 스플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펌프측유로에 대응되는 지점에 형성되는 펌프측유동부;
    상기 엑츄에이터측 유로에 대응되는 지점에 형성되는 제동측유동부; 및
    상기 탱크측유로에 대응되는 지점에 형성되는 탱크측유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조제동장치의 유압밸브.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스위치작용부와 펌프측유동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스플 유구홈;
    상기 펌프측유동부와 제동측유동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오일 공급측 스플 랜드부;
    상기 제동측유동부와 탱크측유동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오일 드레인측 스플 랜드부; 및
    상기 스위치작용부의 반대측에 해당하는 상기 스플의 단부를 이루는 반력 스플 랜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조제동장치의 유압밸브.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에는, 상기 스플의 제동측유동부와 반력 스플 랜드부의 단부면을 관통하는 반력연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반력작용로드는 일단부가 상기 밸브하우징의 내벽에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반력연통공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제동측유동부를 통한 상기 반력작용로드에 작용하는 유압의 힘에 대응하여 상기 밸브하우징의 지지에 의한 반력이 작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조제동장치의 유압밸브.
KR1020160155741A 2016-11-22 2016-11-22 차량용 보조제동장치의 유압밸브 KR101925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741A KR101925513B1 (ko) 2016-11-22 2016-11-22 차량용 보조제동장치의 유압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741A KR101925513B1 (ko) 2016-11-22 2016-11-22 차량용 보조제동장치의 유압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286A KR20180057286A (ko) 2018-05-30
KR101925513B1 true KR101925513B1 (ko) 2019-02-26

Family

ID=62300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5741A KR101925513B1 (ko) 2016-11-22 2016-11-22 차량용 보조제동장치의 유압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5513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0895A (ko) 1997-03-13 2000-02-25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유압 작동식 차단밸브와 유압식 차량 제동장치
KR100590710B1 (ko) * 2001-10-04 2006-06-19 주식회사 만도 브레이크 트랙션 콘트롤 시스템의 왕복형 유압밸브
KR100612472B1 (ko) * 2001-10-15 2006-08-16 주식회사 만도 브레이크 트랙션 콘트롤 시스템의 왕복형 유압밸브
KR100711489B1 (ko) * 2005-09-01 2007-04-2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브레이크 오일 흐름 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286A (ko) 2018-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4860B2 (en) Electromagnetic valve and transmission-use fuel pressure control device using electromagnetic valve
US10146235B2 (en) Valve device
KR100495757B1 (ko) 마스터 실린더
KR20140045541A (ko) 밸브 슬라이드를 구비한 슬라이드 밸브
JP5331353B2 (ja) 差動液圧マスターシリンダ
KR100540231B1 (ko) 하이드로릭 부스터 브레이크 시스템
KR20060079222A (ko) 비례 압력 조절 밸브
WO2018180367A1 (ja) 電磁比例弁
WO2011052072A1 (ja) 車両用摩擦クラッチの油圧制御装置
KR101925513B1 (ko) 차량용 보조제동장치의 유압밸브
US20080087345A1 (en) Direct operated cartridge valve assembly
KR20120064037A (ko) 자동차 자동 트랜스미션용 슬라이드 밸브
JP2013129235A (ja) バーハンドル車両用ブレーキ制御装置
KR101925511B1 (ko) 차량용 보조제동장치의 유압밸브
KR101925516B1 (ko) 차량용 보조제동장치의 유압밸브
WO2016010164A1 (ja) 液圧制動装置
US9835260B2 (en) Spool valve
KR20140049051A (ko) 액추에이터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밸브 슬라이드를 구비한 슬라이딩 밸브
JP2006017273A (ja) スプール弁
JP2018040465A (ja) 減衰弁およびシリンダ装置
JP2017142696A (ja) 二段比例減圧弁
KR100845499B1 (ko) 자동변속기용 이중 어큐뮬레이터
JPH05201327A (ja) 2段式ブレーキ弁
CN221033396U (zh) 比例先导阀及具有其的溢流阀
JP2006271701A (ja) 開放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