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5396B1 - 해양 구조물 및 그의 크레인 모터 시동방법 - Google Patents

해양 구조물 및 그의 크레인 모터 시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5396B1
KR101925396B1 KR1020120120262A KR20120120262A KR101925396B1 KR 101925396 B1 KR101925396 B1 KR 101925396B1 KR 1020120120262 A KR1020120120262 A KR 1020120120262A KR 20120120262 A KR20120120262 A KR 20120120262A KR 101925396 B1 KR101925396 B1 KR 101925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motor
crane
motors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0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4588A (ko
Inventor
이태경
이준희
최현기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0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5396B1/ko
Publication of KR20140054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4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22Control systems or devices for electric driv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1/00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02Details of starting control
    • H02P1/04Means for controlling progress of starting sequence in dependence upon time or upon current, speed, or other motor parame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2003/001Driving of auxiliaries characterised by type of power supply, or power transmission, e.g. by using electric power or steam
    • B63J2003/002Driving of auxiliaries characterised by type of power supply, or power transmission, e.g. by using electric power or steam by using electric p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해양 구조물 및 그의 크레인 모터 시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모터 구동에 의해 동작하는 크레인, 엔진에서 연료를 연소시켜 발생하는 동력을 이용해서 전원을 생산하는 발전기 및 상기 크레인의 동작시 상기 발전기에서 생산되는 전력량과 각 모터의 용량을 비교하여 상기 크레인에 마련된 복수의 모터를 순차적으로 시동하도록 제어하는 전원제어기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크레인에 마련된 제1 내지 제3 모터를 순차적으로 시동해서 전압 강하 현상을 방지하여 해양 구조물의 전원체계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해양 구조물 및 그의 크레인 모터 시동방법{OFFSHARE STRUCTURE AND METHOD FOR CRANE MOTOR STARTING THEREOF}
본 발명은 해양 구조물 및 그의 크레인 모터 시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크레인에 마련된 복수의 모터를 순차적으로 시동하여 해양 구조물의 전원체계를 안정화하는 해양 구조물 및 그의 크레인 모터 시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해양 구조물은 육지와 연결된 어떤 구조도 갖지 않은 상태에서 어떤 날씨 조건 하에서도 바다의 한 지점에 머물러 있을 수 있는 구조물을 말한다.
이러한 해양 구조물은 자원개발 활동, 예컨대 석유나 가스와 같은 해양 자원을 발굴, 시추, 생산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이를 위한 다양한 장비들을 구비한다.
본 출원인은 해양 구조물과 관련된 기술을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2-0007737호(2012년 1월 25일 공개,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2-0053734호(2012년 5월 29일 공개, 이하 '특허문헌 2'라 함) 등 다수에 개시하여 출원한 바 있다.
일반적으로 해양 구조물에 적용되는 장비들 중에서 크레인은 일반적으로 수백 ㎾ 이상 용량을 갖는 3개의 모터에 의해 동작된다.
즉, 종래기술에 따른 해양 구조물은 크레인을 동작시키기는 경우, 3개의 모터를 동시에 시동함에 따라 크레인 구동용 모터의 시동시 많은 전력을 사용하게 된다.
이로 인해, 종래기술에 따른 해양 구조물은 발전기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크레인 동작을 위해 대용량의 모터를 시동함에 따라 과도한 시동전류로 인해 전압 강하(voltage drop) 현상이 발생하여 해양 구조물 전체의 전원체계가 불안정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중장비 분야에서 시동시 전압강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의 일 예가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107959호(1996년 5월 23일 공고, 이하 '특허문헌 3'이라 함) 등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은 배터리릴레이와 키박스 사이에 다이오드를 설치하여 스타트 모터이 회전시 전압 강하의 전달을 차단하고, 다이오드와 키박스의 연결라인에 보조배터리를 설치한다.
하지만, 특허문헌 3은 중장비 시동시 전압 강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다이오드와 배터리 등의 추가적인 부품을 마련해야만 하고, 수백 ㎾ 이상의 대용량 모터를 복수로 설치하는 해양 구조물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해양 구조물에 적용되는 크레인을 동작시키기 위해 대용량 모터 시동시 전압 강화 현상을 방지하여 해양 구조물의 전원체계를 안정화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2-0007737호(2012년 1월 25일 공개)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2-0053734호(2012년 5월 29일 공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107959호(1996년 5월 23일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크레인에 마련된 복수의 모터를 순차적으로 시동하여 해양 구조물에서 발생하는 전압 강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해양 구조물 및 그의 크레인 모터 시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전기에서 크레인 구동을 위해 마련된 복수의 모터를 시동할 수 있는 충분한 전력량이 확보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복수의 모터를 순차적으로 시동해서 해양 구조물의 전원체계를 안정화할 수 있는 해양 구조물 및 그의 크레인 모터 시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복수의 모터 구동에 의해 동작하는 크레인, 엔진에서 연료를 연소시켜 발생하는 동력을 이용해서 전원을 생산하는 발전기 및 상기 크레인의 동작시 상기 발전기에서 생산되는 전력량과 각 모터의 용량을 비교하여 상기 크레인에 마련된 복수의 모터를 순차적으로 시동하도록 제어하는 전원제어기를 포함한다.
상기 크레인은 상기 발전기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이용해서 구동되는 제1 내지 제3 모터, 온/오프 조작명령을 입력받는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를 통해 온 조작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전원제어기로 전원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전원제어기의 전원 인가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모터를 순차적으로 시동하는 모터 시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제어기는 상기 모터 시동기로부터 전원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모터 시동기로 전원 인가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원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 내지 제3 모터를 순차적으로 시동하도록 전원 인가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제어기는 상기 시간을 계수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에서 계수된 시간을 확인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다음 모터를 시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제어기는 상기 제1 내지 제3 모터의 용량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제1 내지 제3 모터의 용량 중에서 다음 시동하고자 하는 모터의 용량과 상기 발전기에서 생산되는 전력량을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기초해서 다음 모터를 시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a) 크레인에 마련된 스위치가 온 조작되는 단계, (b) 상기 크레인에 마련된 모터 시동기에서 전원제어기로 전원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c) 전원제어기에서 상기 전원 요청 신호에 따라 발전기에서 생산되는 전력량과 최초 시동할 모터의 용량을 비교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의 비교 결과에 기초해서 상기 크레인에 마련된 복수의 모터를 순차적으로 시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d)단계는 상기 복수의 모터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터를 시동한 후 타이머를 이용해서 미리 설정된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다음 모터를 순차적으로 시동할수 있다.
상기 (d)단계는 상기 복수의 모터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터를 시동한 후 상기 발전기에서 생산되는 전력량이 안정화되어 다음 시동할 모터의 용량보다 커지면 다음 모터를 순차적으로 시동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레인에 마련된 제1 내지 제3 모터를 순차적으로 시동해서 전압 강하 현상을 방지하여 해양 구조물의 전원체계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제1 내지 제3 모터를 미리 설정된 설정시간 간격에 따라 시동하거나 각 모터 구동 후 발전기에서 생산되는 전력량이 안정화되면 다음 모터를 시동하도록 제어하여 해상 구조물에 마련된 각 전장장비 및 전원제어기에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해양 구조물에 마련된 통합 제어시스템에서 발전기에서 생산되는 전력량에 따라 모터를 시동함에 따라 해양 구조물의 전력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전압 강하 현상으로 인한 해상 구조물에 마련된 각 전장장비 및 전원제어기의 손상 및 고장을 방지하고, 해양 구조물에 마련된 전장장비의 성능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크레인 모터 시동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 및 그의 크레인 모터 시동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모터 구동에 의해 동작하는 크레인(10), 엔진에서 연료를 연소시켜 발생하는 동력을 이용해서 전원을 생산하는 발전기(20) 및 크레인(10)의 동작시 발전기(20)에서 생산되는 전력량과 각 모터의 용량을 비교하여 크레인(10)에 마련된 복수의 모터를 순차적으로 시동하도록 제어하는 전원제어기(30)를 포함한다.
크레인(10)은 발전기(20)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이용해서 구동되는 복수의 모터, 관리자로부터 온/오프 조작명령을 입력받는 스위치(15) 및 스위치(150의 온 조작시 전원제어기(30)로 전원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전원제어기(30)의 전원 인가 신호에 따라 각 모터를 순차적으로 시동하는 모터 시동기(14)를 포함할 수 있다.
해상 구조물에 적용되는 크레인(10)은 해수면으로부터 약 250t 이상의 중량물을 들어올릴 수 있고, 수심 3000m까지 중량물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크레인(10)에는 복수, 예컨대 제1 내지 제3 모터(11 내지 13)가 마련되고, 제 1 내지 제3 모터(11 내지 13)는 수백 ㎾의 용량을 갖는 대용량 모터를 사용한다.
여기서, 제1 내지 제3 모터(11 내지 13)는 동일한 용량을 가지거나, 또는 서로 다른 용량을 가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크레인(10)에 마련된 제1 내지 제3 모터(11 내지 13)를 동시에 시동하면, 과도한 시동전류를 소모함에 따라 전압 강하 현상이 발생하여 해양 구조물의 전원체계가 불안정해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 예에서 전원제어기(30)는 발전기(20)에서 생산되는 전력량과 모터 용량을 비교하여 충분한 전력량이 있는 경우에 제1 내지 제3 모터(11 내지 13)를 순차적으로 시동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전원제어기(30)는 해양 구조물에 마련되는 전체 전장장비의 상태를 감시 및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통합제어시스템일 수 있다.
특히, 전원제어기(30)는 크레인(10)의 상태를 감시하고, 감시 결과에 따라 크레인(10)에 마련된 제1 내지 제3 모터(11 내지 13)를 시동 또는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원제어기(30)는 모터 시동기(14)로부터 전원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모터 시동기(14)로 전원 인가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부(31), 통신부(31)를 통해 전원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발전기(20)에서 생산되는 전력량과 시동하고자 하는 모터의 용량을 비교하여 충분한 전력량이 있는 경우에 제1 내지 제3 모터(11 내지 13)를 순차적으로 시동하도록 전원 인가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1)는 통신 케이블을 이용해서 모터 시동기(14)와 연결되어 전원 요청 신호 및 전원 인가 신호를 송수신한다.
이러한 통신부(31)는 전원 요청 신호 및 전원 인가 신호에 따라 내부에 마련된 다수의 접점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접점회로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2)는 제1 모터(11)를 시동한 후, 미리 설정된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제2 모터(12)를 시동하고, 제2 모터(12) 시동 후 다시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제3 모터(13)를 시동하도록 전원 인가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설정시간은 모터를 시동한 후 발전기에서 생산되는 전력량이 다음 모터를 구동할 수 있도록 안정화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보다 긴 시간으로 설정된다.
즉, 실험 결과에 따르면, 해양 구조물의 크레인 모터 시동 후 발전기의 전력량이 안정화는 시간은 수 초였다.
이에 따라, 본 실시 예서 설정시간은 안정화 시간보다 긴 약 10초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전원제어기(30)는 제1 모터(11) 또는 제2 모터(12)를 시동한 후 설정시간이 경과하는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도록 시간을 계수하는 타이머(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32)는 타이머(33)를 이용해서 설정시간이 경과하는지를 검사하고,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다음 모터를 시동하도록 전원 인가 신호를 발생해서 제1 내지 제3 모터(11 내지 13)를 순차적으로 시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제어부(32)는 미리 설정된 설정시간 간격으로 제1 내지 제3 모터(11 내지 13)를 순차적으로 시동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전원제어기(30)는 제1 내지 제3 모터(11 내지 13)의 용량과 해상 구조물에 마련된 전장장치의 동작상태, 특히 크레인(10)의 동작상태정보와 발전기(20)의 동작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제어부(32)에서 제1 모터(11) 시동 후 발전기(20)에서 생산되는 전력량이 안정화되어 제2 모터(12)의 용량보다 커지면 제2 모터(12)를 시동하고, 다시 제2 모터(12) 시동 후 발전기(20)에서 생산되는 전력량이 안정화되어 제3 모터(13)의 용량보다 커지면 제3 모터(13)를 시동하도록 전원 인가 신호를 발생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크레인에 마련된 제1 내지 제3 모터를 순차적으로 시동해서 전압 강하 현상을 방지하여 해양 구조물의 전원체계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1 내지 제3 모터를 미리 설정된 설정시간 간격에 따라 시동하거나 각 모터 구동 후 발전기에서 생산되는 전력량이 안정화되면 다음 모터를 시동하도록 제어하여 해상 구조물에 마련된 각 전장장비 및 전원제어기에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전압 강하 현상으로 인한 해상 구조물에 마련된 각 전장장비 및 전원제어기의 손상 및 고장을 방지하고, 각 장치의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다음,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크레인 모터 시동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크레인 모터 시동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지한 실시 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크레인 모터 시동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10)을 동작시키기 위해서 관리자에 의해 크레인(10)에 마련된 스위치(15)가 온 조작되면서 시작된다(S10).
스위치(15)가 온 조작되면, 모터 시동기(14)는 전원제어기(30)로 전원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S11).
이때, 전원제어기(30)는 해상 구조물에 마련된 전체 전장장비의 동작 상태를 감시하고, 발전기(20)에서 생산되는 전력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지속적으로 검사하고 있는 상태이다(S12).
전원제어기(30)의 통신부(31)는 전원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32)로 전달하고, 제어부(32)는 발전기(20)에서 생산되는 전력량과 제1 내지 제3 모터(11 내지 제3 모터) 중에서 가장 먼저 시동할 모터의 용량, 예컨대 제1 모터(11)의 용량을 비교한다(S13).
비교 결과, 발전기(20)에서 생산되는 전력량이 저장부(34)에 저장된 제1 모터(11)의 용량보다 커서 제1 모터(11)를 시동하기에 충분한 경우, 제어부(32)는 제1 모터(11)를 시동하도록 전원 인가 신호를 발생한다.
그러면, 통신부(31)는 모터 시동기(14)로 전원 인가 신호를 송신한다.
이에 따라, 모터 시동기(14)는 발전기(20)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이용해서 제1 모터(11)를 시동한다(S14).
이와 같이, 제1 모터(11)가 시동됨과 동시에 전원제어기(30)에 마련된 타이머(33)는 시간을 계수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32)는 타이머(33)에서 계수된 시간을 확인하여 미리 설정된 설정시간, 예컨대 약 10초가 경과한 후 제2 모터(12)를 시동하도록 전원 인가 신호를 발생하고, 모터 시동기(14)는 발전기(20)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이용해서 제2 모터(12)를 시동한다(S15).
이어서, 제어부(32)는 다시 타이머(33)에서 계수된 시간을 확인하여 설정시간이 경과한 후 제3 모터를 시동하도록 전원 인가 신호를 발생하고, 모터 시동기는 발전기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이용해서 제3 모터를 시동한다(S16).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크레인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1 내지 제3 모터를 미리 설정된 설정시간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시동시켜 크레인을 동작시킬 수 있다.
크레인(10)이 동작하는 과정에서 전원제어기(30)는 크레인(10)에 마련된 스위치(10)가 오프 조작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크레인(10)의 동작상태를 감시하고, 스위치(100가 오프 조작되면 제1 내지 제3 모터(11 내지 13)의 구동을 중지시켜 크레인(10)의 동작을 중지하도록 제어한다.
물론, 제어부(32)는 제1 내지 제3 모터(11 내지 13)를 순차적으로 시동하기 위하여 발전기(20)에서 생산되는 전력량과 다음 시동할 모터의 용량을 비교해서, 발전기(20)에서 생산되는 전력량이 안정화되어 다음 모터를 시동하기에 충분한 경우 다음 모터를 시동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은 크레인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1 내지 제3 모터를 순차적으로 시동해서 크레인 모터 시동으로 인한 전압 강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즉, 상기의 실시 예에서는 해상 구조물을 이용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해상 구조물뿐만 아니라, 대용량 모터를 시동해서 동작하는 각종 장비에 적용되어 모터 시동시 전압 강하 현상을 방지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크레인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1 내지 제3 모터를 순차적으로 시동해서 크레인 모터 시동으로 인한 전압 강하 현상을 방지하여 해상 구조물의 전원체계를 안정화하는 해상 구조물의 크레인 모터 시동방법 기술에 적용된다.
10: 크레인 11 내지 13: 제1 내지 제3 모터
14: 모터 시동기 15: 스위치
20: 발전기 30: 전원제어기
31: 통신부 31: 제어부
33: 타이머 34: 저장부

Claims (8)

  1. 복수의 모터 구동에 의해 동작하는 크레인(10),
    엔진에서 연료를 연소시켜 발생하는 동력을 이용해서 전원을 생산하는 발전기(20) 및
    상기 크레인(10)의 동작시 상기 발전기(20)에서 생산되는 전력량과 각 모터의 용량을 비교하여 상기 크레인(10)에 마련된 복수의 모터를 순차적으로 시동하도록 제어하는 전원제어기(30)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제어기(30)는 타이머(33)에서 계수된 시간을 확인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다음 모터를 시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10)은
    상기 발전기(20)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이용해서 구동되는 제1 내지 제3 모터(11 내지 13),
    온/오프 조작명령을 입력받는 스위치(15) 및
    상기 스위치(15)로부터 온 조작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전원제어기(30)로 전원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전원제어기(30)의 전원 인가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모터(11 내지 13)를 순차적으로 시동하는 모터 시동기(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기(30)는
    상기 모터 시동기(14)로부터 전원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모터 시동기(14)로 전원 인가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부(31) 및
    상기 통신부(31)를 통해 전원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 내지 제3 모터(11 내지 13)를 순차적으로 시동하도록 전원 인가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
  4. 삭제
  5. 복수의 모터 구동에 의해 동작하는 크레인(10),
    엔진에서 연료를 연소시켜 발생하는 동력을 이용해서 전원을 생산하는 발전기(20) 및
    상기 크레인(10)의 동작시 상기 발전기(20)에서 생산되는 전력량과 각 모터의 용량을 비교하여 상기 크레인(10)에 마련된 복수의 모터를 순차적으로 시동하도록 제어하는 전원제어기(30)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제어기(30)는 상기 복수의 모터의 용량 중에서 다음 시동하고자 하는 모터의 용량과 상기 발전기(20)에서 생산되는 전력량을 비교하며, 비교결과에 기초해서 다음 모터를 시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
  6. (a) 크레인에 마련된 스위치가 온 조작되는 단계,
    (b) 상기 크레인에 마련된 모터 시동기에서 전원제어기로 전원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c) 전원제어기에서 상기 전원 요청 신호에 따라 발전기에서 생산되는 전력량과 최초 시동할 모터의 용량을 비교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의 비교 결과에 기초해서 상기 크레인에 마련된 복수의 모터를 순차적으로 시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구조물의 크레인 모터 시동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복수의 모터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터를 시동한 후 타이머를 이용해서 미리 설정된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다음 모터를 순차적으로 시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구조물의 크레인 모터 시동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복수의 모터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터를 시동한 후 상기 발전기에서 생산되는 전력량이 안정화되어 다음 시동할 모터의 용량보다 커지면 다음 모터를 순차적으로 시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구조물의 크레인 모터 시동방법.
KR1020120120262A 2012-10-29 2012-10-29 해양 구조물 및 그의 크레인 모터 시동방법 KR101925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262A KR101925396B1 (ko) 2012-10-29 2012-10-29 해양 구조물 및 그의 크레인 모터 시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262A KR101925396B1 (ko) 2012-10-29 2012-10-29 해양 구조물 및 그의 크레인 모터 시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4588A KR20140054588A (ko) 2014-05-09
KR101925396B1 true KR101925396B1 (ko) 2019-02-27

Family

ID=50886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0262A KR101925396B1 (ko) 2012-10-29 2012-10-29 해양 구조물 및 그의 크레인 모터 시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53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52816A1 (ko) * 2014-09-29 2016-04-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플랜트의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6776A (ja) * 2006-11-17 2008-06-05 Tsuji Sangyo Kk 制御装置
JP2011157181A (ja) 2010-02-01 2011-08-18 Fuji Electric Co Ltd クレーン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0473A (en) * 1991-11-19 1993-05-11 Harnischfeger Corporation System with delay timer for motor load equalization
KR950007257B1 (ko) * 1992-12-23 1995-07-07 민경식 동력전달방법 및 장치
KR20120007737A (ko) 2010-07-15 2012-01-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발전 장치를 갖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
KR101777595B1 (ko) 2010-11-18 2017-09-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구조물의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6776A (ja) * 2006-11-17 2008-06-05 Tsuji Sangyo Kk 制御装置
JP2011157181A (ja) 2010-02-01 2011-08-18 Fuji Electric Co Ltd クレーン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4588A (ko) 2014-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95800B2 (en) Power distribution trailer for an electric driven hydraulic fracking system
US10243371B2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oad sharing of generator sets
CN105539421A (zh) 增程式电动汽车的增程器停机控制方法及系统
US20150336474A1 (en) Vehicle power supply apparatus and vehicle power regeneration system
CN104734587A (zh) 过载后的总线恢复
JP5963826B2 (ja) エンジン始動装置
CN113922360B (zh) 压裂井场供电系统
KR101925396B1 (ko) 해양 구조물 및 그의 크레인 모터 시동방법
CN113682456A (zh) 一种船用推进与发电自由切换的动力系统及控制方法
AU2021475012A1 (en) Energy supply modes for electrically powered mining or construction machines
CN103670718A (zh) 燃气轮机的电力起动控制方法及装置
JP6657060B2 (ja) 複数のインバータの制御装置およびこれを適用したインバータシステム
KR101314163B1 (ko) 무정전 디젤발전기
CN202429198U (zh) 一种混合动力车辆的控制系统及混合动力车辆
CN208036628U (zh) 一种无人机电源启动控制装置、无人机供电系统
CN103764470A (zh) 混合电源装置及其控制方法
JP2010110062A (ja) エンジン発電機
JP5786310B2 (ja) 電力制御装置
JP4753408B2 (ja) 発電装置
JP2017093235A (ja) ハイブリッド電源システム
JP2009153259A (ja) 可搬式発電機の制御方法
KR101922024B1 (ko) 해양 구조물용 연료전지 공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 공급 방법
US12006807B2 (en) Power distribution trailer for an electric driven hydraulic fracking system
CN218991765U (zh) 起动机保护装置
KR20150125758A (ko) 선박의 동적위치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