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5094B1 - 무인비행체 조종면허시험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인비행체 조종면허시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5094B1
KR101925094B1 KR1020170146542A KR20170146542A KR101925094B1 KR 101925094 B1 KR101925094 B1 KR 101925094B1 KR 1020170146542 A KR1020170146542 A KR 1020170146542A KR 20170146542 A KR20170146542 A KR 20170146542A KR 101925094 B1 KR101925094 B1 KR 101925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test point
unmanned aerial
unmanned
aerial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6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성기
Original Assignee
방성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성기 filed Critical 방성기
Priority to KR1020170146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50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64C2201/12
    • B64C2201/14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비행체 조종면허시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드론과 같은 소형 무인비행체의 조종면허를 획득하기 위한 면허시험장에 구비되어 무인비행체에 대한 조종자의 조작 및 조종 능력을 시험감독관의 육안을 통한 종래의 주관적 판정 방식에 비해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는 무인비행체 조종면허시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무인비행체 조종면허 시험장 내에 미리 지정된 복수의 시험지점에 설치되거나 상기 복수의 시험지점과 상기 무인비행체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무인비행체가 특정 시험지점 상에 설정된 거리범위 이내에 위치하는지를 검출하는 위치검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인비행체 조종면허시험 시스템은 무인비행체가 지정된 위치에 위치하는지, 지정된 고도에 위치하는지, 지정된 경로를 따라 비행하는지를 센서를 통해 검출 및 판정하므로 기존의 조종면허 시험장에서 시험감독관의 주관적인 판단에 따른 오판이나 불이익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무인비행체 조종면허시험 시스템{Driving license test system for unmanned air vehicle}
본 발명은 무인비행체 조종면허시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드론과 같은 소형 무인비행체의 조종면허를 획득하기 위한 면허시험장에 구비되어 무인비행체에 대한 조종자의 조작 및 조종 능력을 시험감독관의 육안을 통한 종래의 주관적 판정 방식에 비해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는 무인비행체 조종면허시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인비행체는 사람이 타지 않고 무선전파의 유도에 의해서 비행하는 비행기나 헬리콥터 모양의 비행체로서 일명, 드론(drone)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무인비행체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종래에는 군용 및 취미용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 운송업 및 영화나 방송산업에 이르기까지 그 활용성이 매우 넓어지고 있으며, 활용목적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성능을 가진 비행체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특히, 정글이나 오지, 화산지역, 자연재해지역, 원자력 발전소 사고지역 등 인간이 접근할 수 없는 지역에 무인비행체를 투입하여 운용하기도 한다.
또한, 무인비행체는 미리 설정된 경로를 따라 자유롭고 신속하게 이동하여 탑재된 카메라나 센서를 통해 특정지역에 대한 원격 감시를 할 수 있다. 또한, 무인비행체는 조종 장치 또는 조종사 단말과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조종 장치 또는 조종사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명령에 따라 비행 및 사진촬영 등의 기능을 수행하여 특정 지역을 감시를 할 수 있다. 여기서, 조종 장치를 통한 무인비행체의 제어는 수백미터 내외의 근거리에서 이루어진다.
무인비행체를 활용하는 조종사는 조종 장치나 조종사 단말을 통해 또는 미리 경로를 설정하여 자신이 원하는 영역으로 무인비행체를 비행시켜 농약을 살포하거나, 배송 업무를 수행시키고, 원하는 영역의 사진이나 영상을 촬영한다.
그러나, 다양한 무인비행체가 보급되면서, 조종사가 보안시설, 발전소, 군사시설과 같은 사생활 보호가 요구되는 지역으로 무인비행체를 무단으로 비행시키거나, 사유지에 침범시켜 사진 또는 영상을 불법 촬영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무인비행체 조종 자격증 취득을 위한 평가 절차가 시스템화 되지 않아 시험감독관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한 공정성 저하와 부정행위 및 불투명한 조치가 이루져 신뢰성과 객관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KR 10-1083128 B1 KR 10-2017-0088540 A KR 10-2009-0104207 A KR 10-2011-0087442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무인비행체가 조종면허시험 절차 및 과정에 따라 지정된 위치에 위치하는지, 지정된 고도에 위치하는지, 지정된 경로를 따라 비행하는지를 센서를 통해 검출 및 판정하므로 기존의 조종면허 시험장에서 시험감독관의 주관적인 판단에 따른 오판이나 불이익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무인비행체 조종면허시험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비행체 조종면허시험 시스템은 무인비행체 조종면허 시험장 내에 미리 지정된 복수의 시험지점에 설치되거나 상기 복수의 시험지점과 상기 무인비행체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무인비행체가 특정 시험지점 상에 설정된 거리범위 이내에 위치하는지를 검출하는 위치검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인비행체가 특정 시험지점 상에 설정된 거리범위 이내에 위치하면, 알림신호를 제공하는 알림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시험지점에 설치되거나, 상기 복수의 시험지점과 상기 무인비행체 각각에 설치되어 특정 시험지점에 대한 상기 무인비행체의 고도를 검출하는 고도검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정 시험지점에 대해 상기 무인비행체가 설정된 고도범위 이내에 위치하면, 알림신호를 제공하는 알림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시험지점에 설치되거나, 상기 복수의 시험지점과 상기 무인비행체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무인비행체가 지정된 복수의 시험지점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지정된 시험경로를 따라 비행하는지를 검출하는 경로검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인비행체가 지정된 복수의 시험지점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지정된 시험경로를 따라 비행을 완료하면, 알림신호를 제공하는 알림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검출부와 상기 고도검출부와 상기 경로검출부는 각각 상기 무인비행체에 대한 위치검출정보, 고도검출정보, 경로검출정보를 무선 송출하는 통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위치검출부와 상기 고도검출부와 상기 경로검출부에서 각각 송출되는 위치검출정보, 고도검출정보, 경로검출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종합하여 무인비행체 조종면허시험 응시자의 합격 여부를 판정하는 관리단말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검출부는 상기 복수의 시험지점에 각각 설치되는 초음파 근접센서 또는 풍량센서 또는 적외선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도검출부는 상기 복수의 시험지점에 각각 설치되는 초음파 거리센서 또는 적외선 거리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로검출부는 상기 무인비행체에 설치되는 지피에스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인비행체 조종면허시험 시스템은 무인비행체가 지정된 위치에 위치하는지, 지정된 고도에 위치하는지, 지정된 경로를 따라 비행하는지를 센서를 통해 검출 및 판정하므로 기존의 조종면허 시험장에서 시험감독관의 주관적인 판단에 따른 오판이나 불이익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비행체 조종면허시험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비행체 조종면허시험 시스템의 위치검출부를 통한 무인비행체의 위치를 검출하는 방식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비행체 조종면허시험 시스템의 구성요소 및 제어계통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비행체 조종면허시험 시스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성요소 및 제어계통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비행체 조종면허시험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 에에 따른 구성요소 및 제어계통을 나타낸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인비행체 조종면허시험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에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비행체 조종면허시험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인비행체 조종면허시험 시스템은 드론과 같은 소형 무인비행체(100) 조종면허 시험장 내에 미리 지정된 복수의 시험지점에 설치되거나, 복수의 시험지점과 무인비행체(100) 각각에 설치되어 무인비행체(100)가 특정 시험지점 상에 설정된 거리범위 이내에 위치하는지를 검출하는 위치검출부(10);를 구비한다.
위치검출부(10)는 무인비행체(100)가 지정된 시험지점 상에 위치하는 지를 검출하는 것으로서, 복수의 시험지점에 각각 직립 배치되는 콘 형상의 지주(1)에 설치되는 초음파 근접센서(11), 풍량센서(12) 또는 풍속센서(13), 적외선센서(14)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포함하며, 각 센서에서 검출된 정보를 통해 시험지점에 대한 무인비행체(100)의 위치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부(1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위치검출부(10)는 초음파 근접센서(11)를 적용할 수 있다. 위치검출부(10)는 무인비행체(100)가 지정된 시험지점을 기준으로 지정된 시험지점 상에 설정된 각도범위 및 거리범위 이내로 접근 및 위치하면, 무인비행체(100)가 해당 시험지점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초음파 근접센서(11)는 해당 시험지점으로부터 직교하는 연직방향에 대해 설정된 각도범위 이내에서만 무인비행체(100)를 검출할 수 있도록 지향성을 갖는 것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검출부(10)는 풍량센서(12) 또는 풍속센서(13)를 적용할 수 있다. 위치검출부(10)는 무인비행체(100)가 지정된 시험지점 상에 설정된 각도범위 및 거리범위 이내에 위치할 때, 무인비행체(100)의 비행중 프로펠러 회전에 의해 무인비행체(100) 하부에 작용하는 바람의 양 또는 속도를 검출하고, 풍량센서(12) 또는 풍속센서(13)에서 검출된 바람의 양 또는 속도가 일정 기준치 이상이면 해당 시험지점 상에 무인비행체(100)가 위치하는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위치검출부(10)는 적외선센서(14)를 적용할 수 있다. 위치검출부(10)는 무인비행체(100)가 지정된 시험지점 상에 설정된 각도범위 및 거리범위 이내에 위치하면, 무인비행체(100)의 비행중 프로펠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한 열 화상을 검출하고, 검출된 열 화상의 크기가 설정된 크기 이상이면 해당 시험지점 상에 무인비행체(100)가 위치하는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인비행체 조종면허시험 시스템은 복수의 시험지점에 설치되거나, 복수의 시험지점과 무인비행체(100) 각각에 설치되어 특정 시험지점에 대한 무인비행체(100)의 고도를 검출하는 고도검출부(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고도검출부(20)는 복수의 시험지점에 각각 설치되는 초음파 거리센서(21) 또는 적외선 거리센서(22)와, 각 센서에서 검출된 정보를 통해 무인비행체(100)가 설정된 고도범위 이내에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부(2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고도검출부(20)는 지면에 대해 연직방향에 위치하는 무인비행체(100)와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지향성을 갖도록 설치되며, 초음파 거리센서(21) 또는 적외선 거리센서(22)에서 검출된 무인비행체(100)와의 거리가 설정된 고도범위 이내이면, 무인비행체(100)가 해당 시험지점에 대해 설정된 고도범위 이내에 위치하는 것을 판정할 수 있다.
상술한 위치검출부(10) 및 고도검출부(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시험지점에 각각 직립하도록 설치되어 시험 응시자(200) 또는 시험관독관이 시험지점의 위치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표시부가 마련된 콘 형상의 지주(1)에 설치한 구조를 적용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지주(1)를 생략한 형태로 시험지점 상의 지면이나 바닥에 설치할 수도 있고, 이와 다르게 무인비행체(100)에 설치 및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인비행체 조종면허시험 시스템은 복수의 시험지점에 설치되거나, 복수의 시험지점과 무인비행체(100) 각각에 설치되어 무인비행체(100)가 지정된 복수의 시험지점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지정된 시험경로를 따라 비행하는지를 검출하는 경로검출부(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경로검출부(30)는 무인비행체(100)에 설치되어 무인비행체(100)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지피에스모듈(31) 및 지정된 시험경로에 각각 위치하는 복수의 시험지점에 대한 기준위치정보가 미리 저장된 저장부 및 지피에스모듈(31)에서 획득된 무인비행체(100)의 비행위치정보와 기준위치정보를 비교하여 무인비행체(100)가 지정된 시험경로를 따라 순차적으로 비행을 하는지 또는 지정된 시험경로를 따라 순차적으로 비행을 완료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부(3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인비행체 조종면허시험 시스템은 무인비행체(100)가 특정 시험지점 상에 설정된 거리범위 이내에 위치하거나, 특정 시험지점에 대해 무인비행체(100)가 설정된 고도범위 이내에 위치하거나, 지정된 복수의 시험지점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미리 지정된 시험경로를 따라 비행 또는 비행을 완료할 때, 시험 응시자(200) 또는 시험감독관(300)이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알림신호를 제공하는 알림부(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알림부(40)는 빛이나 소리 형태의 알림신호를 제공할 수 있도록 경광등이나 스피커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인비행체 조종면허시험 시스템은 위치검출부(10)와 고도검출부(20)와 경로검출부(30)에 무인비행체(100)에 대한 위치검출정보, 고도검출정보, 경로검출정보를 무선 송출하는 통신부(19, 29, 39)가 각각 더 구비된다.
그리고, 위치검출부(10)와 고도검출부(20)와 경로검출부(30)에서 각각 송출되는 위치검출정보, 고도검출정보, 경로검출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종합하여 무인비행체(100) 조종면허시험 응시자(200)의 합격 여부를 판정하는 관리단말부(50)를 더 구비한다.
상기 관리단말부(50)는 무인비행체 조종면허시험 시스템의 관제부(미도시)에 구비될 수도 있고, 시험감독관(300)이 구비 및 휴대할 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비행체 조종면허시험 시스템을 이용한 무인비행체(100) 조종면허시험 과정 및 합격 여부 판정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무인비행체(100) 조종면허시험 과정은 복수의 특정 시험지점 및 복수의 시험지점을 포함하는 지정 시험경로를 따라 무인비행체(100)가 비행하는 것으로 설정되고,
이때, 특정 시험지점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작지점(P0), 제1 시험지점(P1), 제2 시험지점(P2), 제3 시험지점(P3), 제4 시험지점(P4), 제5 시험지점(P5)고, 지정 시험경로는 제1 시험경로(L1)와, 제2 시험경로(L2)와, 제3 시험경로(L3)와, 제4 시험경로(L4)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시험경로(L1)는 시작지점(P0)에서 제1 시험지점(P1)으로 이동하는 경로이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시험경로(L2)는 제1 시험지점(P1)에서 제2 시험지점(P2)으로 전진 후, 제1 시험지점(P1)으로 다시 복귀하는 경로이다.
본 실시 예에서 제3 시험경로(L3)는 제 제1 시험지점(P1)에서 우측 제3 시험지점(P3)으로 이동하고, 제3 시험지점(P3)으로부터 제1 시험지점(P1) 상방의 설정된 고도로 이격된 제4 시험지점(P4)까지 경사지게 상승 이동하며, 제4 시험지점(P4)으로부터 제1 시험지점(P1)의 좌측 제5 시험지점(P5)까지 경사지게 하강하여 이동하며, 제1 시험지점(P1)으로 복귀하는 경로이다.
본 실시 예에서 제4 시험경로(L4)는 제1 시험지점(P1)으로부터 시작지점(P0)으로 이동하고, 시작지점(P0)으로부터 제3 시험지점(P3), 제2 시험지점(P2), 제5 시험지점(P5)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시작지점(P0)으로 복귀하는 경로이다.
먼저, 시험 응시자(200)는 최초 무인비행체(100)가 놓인 초기지점에서 무인비행체(100)를 설정된 높이로 상승 및 기체의 이상 유무를 점검한 뒤, 무인비행체(100)를 시작지점(P0)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제1 시험지점(P1)에 설치된 위치검출부(10)는 무인비행체(100)가 제1 시험지점(P1) 상에 설정된 각도범위 및 거리범위 이내에 위치하는지 판정하고, 정위치에 위치한 것으로 판정될 시 시험 응시자(200) 및 시험관독관이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알림부(40)가 동작한다.
이후, 시험 응시자(200)는 무인비행체(100)가 제2 시험경로(L2)를 따라 비행할 수 있도록 무인비행체(100)를 제2 시험지점(P2)으로 이동시킨 후, 다시 제1 시험지점(P1)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제2 시험지점(P2)에 설치된 위치검출부(10)는 무인비행체(100)가 제2 시험지점(P2) 상에 설정된 각도범위 및 거리범위 이내에 위치하는지 판정하고, 정위치에 위치한 것으로 판정될 시 알림부(40)를 동작시킨다. 또한, 제1 시험지점(P1)에 설치된 위치검출부(10)는 무인비행체(100)가 제2 시험지점(P2)에서 제1 시험지점(P1)으로 복귀할 때, 무인비행체(100)가 제1 시험지점(P1)에 위치하는지를 판정하고, 정위치에 위치한 것으로 판정될 시 알림부(40)가 동작한다.
시험 응시자(200)는 제2 시험경로(L2)를 따라 무인비행체(100)의 비행이 끝나면, 무인비행체(100)가 제3 시험경로(L3)를 따라 비행할 수 있도록 무인비행체(100)를 제3 시험지점(P3)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제3 지점에 설치된 위치검출부(10)에서 무인비행체(100)에 대한 위치검출이 이루어지면 알림부(40)가 동작한다.
그리고, 무인비행체(100)가 제3 시험지점(P3)에서 제1 시험지점(P1) 상의 제4 시험지점(P4)으로 이동할 수 있게 무인비행체(100)를 상방으로 경사지게 상승시킨다. 이때, 제1 지점에 설치된 위치검출부(10) 및 고도검출부(20)에 의해 무인비행체(100)가 정위치 및 설정된 고도범위에 위치한 것으로 판정되면, 알림부(40)가 작동한다.
이후, 무인비행체(100)가 제4지점에서 제5 시험지점(P5)으로 이동할 수 있게 무인비행체(100)를 하방으로 경사지게 하강시킨다. 이때, 제5 시험지점(P5)에 설치된 위치검출부(10)는 무인비행체(100)가 제5 시험지점(P5)에 위치하는지를 판정하고, 정위치에 위치한 것으로 판정될 시 알림부(40)가 동작한다.
그리고, 제5 시험지점(P5)으로부터 제1 시험지점(P1)으로 무인비행체(100)를 이동시킴으로써 제3 시험경로(L3)에 대한 비행이 완료된다. 이때, 제1 시험지점(P1)에 설치된 위치검출부(10)는 무인비행체(100)가 제1 시험지점(P1)으로 복귀 여부를 판정하고, 복귀한 것으로 판정될 시 알림부(40)가 작동한다.
시험 응시자(200)는 제3 시험경로(L3)를 따라 무인비행체(100)의 비행이 끝나면, 무인비행체(100)를 제4 시험경로(L4)를 따라 비행시키도록 제1 시험지점(P1)으로부터, 시작지점(P0), 제3 시험지점(P3), 제2 시험지점(P2), 제5 시험지점(P5), 시작지점(P0)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도록 무인비행체(100)를 조종하고, 무인비행체(100)가 시작지점(P0)으로 복귀하면 제4 시험경로(L4)에 대한 비행이 완료된다. 이때, 시작지점(P0), 제3 시험지점(P3), 제2 시험지점(P2), 제5 시험지점(P5)에 각각 설치된 위치검출부(10)는 무인비행체(100)가 해당 시험지점에 대한 통과 여부를 판정하고, 해당 시험지점을 통과한 것으로 판정되면 알림부(40)가 작동한다.
또한, 무인비행체(100)에 설치되는 경로검출부(30)는 지피에스모듈(31)을 통해 획득한 무인비행체(100)의 위치정보들 즉, 무인비행체(100)가 비행할 때 실시간으로 획득한 무인비행체(100)의 위치정보들을 저장부에 저장된 기준위치정보들 즉, 시작지점(P0), 제3 시험지점(P3), 제2 시험지점(P2), 제5 시험지점(P5)을 호형으로 경유하는 원주상의 각 지점에 대한 위치정보와 비교하여 무인비행체(100)가 지정된 제4 시험경로(L4)를 따라 비행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지정된 제4 시험경로(L4)를 따라 비행한 것으로 판정될 시 알림부(40)가 작동한다.
이후, 시험 응시자(200)가 무인비행체(100)를 시작지점(P0)에서 초기위치로 이동 및 착륙시키면 무인비행체(100) 조종면허 시험 과정이 완료되며, 시험감독관(300)은 무인비행체(100)의 비행 시작시점부터 비행 완료시점까지 위치검출부(10), 고도검출부(20), 경로검출부(30)에 의한 알림부(40)의 작동 상황을 지속적으로 체크 및 채점하여 합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비행체 조종면허시험 시스템은 무인비행체(100)가 제1 시험경로(L1) 내지 제4 시험경로(L4)를 따라 비행할 때, 각 시험경로 상에 위치하는 시험지점들에 설치된 각각의 위치검출부(10) 및 고도검출부(20)와 무인비행체(100)에 설치된 경로검출부(30)는 무인비행체(100)에 대한 위치검출정보 및 판정 정보, 고도검출정보 및 판정정보, 경로검출정보 및 판정정보를 통신부(19, 29, 39) 통해 관리단말부(50)로 무선 송출하고, 관리단말부(50)는 각각의 위치검출부(10) 및 고도검출부(20)와 경로검출부(30)에서 송출되는 위치검출정보 및 판정 정보, 고도검출정보 및 판정정보, 경로검출정보 및 판정정보 수신 및 수신된 정보들을 종합하여 해당 시험 응시자(200)의 합격 여부를 종합적으로 판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비행체 조종면허시험 시스템은 무인비행체(100)가 지정된 위치에 위치하는지, 지정된 고도에 위치하는지, 지정된 경로를 따라 비행하는지를 센서를 통해 검출 및 판정하므로 기존의 조종면허 시험장에서 시험감독관(300)의 주관적인 판단에 따른 오판이나 불이익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비행체 조종면허시험 시스템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지주
10 : 위치검출분
20 : 고도검출부
30 : 경로검출부
40 : 알림부
50 : 관리단말부
100 : 무인비행체
200 : 시험 응시자
300 : 시험 감독관
P1 : 제1 시험지점
P2 : 제2 시험지점
P3 : 제3 시험지점
P4 : 제4 시험지점
P5 : 제5 시험지점
L1 : 제1 시험경로
L2 : 제2 시험경로
L3 : 제3 시험경로
L4 : 제4 시험경로

Claims (10)

  1. 무인비행체 조종면허 시험장 내에 미리 지정된 복수의 특정 시험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무인비행체가 상기 특정 시험지점 상에 설정된 거리범위 이내에 위치하는지를 검출하는 위치검출부와;
    상기 특정 시험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특정 시험지점에 대한 상기 무인비행체의 고도를 검출하는 고도검출부와;
    상기 무인비행체에 설치되어 상기 무인비행체가 상기 특정 시험지점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지정된 시험경로를 따라 비행하는지를 검출하는 경로검출부와;
    상기 무인비행체가 특정 시험지점 상에 설정된 거리범위 이내에 위치하거나, 상기 특정 시험지점에 대해 상기 무인비행체가 설정된 고도범위 이내에 위치하거나, 상기 무인비행체가 지정된 특정 시험지점들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지정된 시험경로를 따라 비행을 완료하면, 알림신호를 제공하는 알림부와;
    상기 위치검출부와 상기 고도검출부와 상기 경로검출부에서 각각 송출되는 위치검출정보, 고도검출정보, 경로검출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종합하여 무인비행체 조종면허시험 응시자의 합격 여부를 판정하는 관리단말부;를 구비하고,
    상기 위치검출부는 상기 특정 시험지점에 각각 설치되는 적외선센서 또는 풍량센서 또는 풍속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검출된 정보를 통해 특정 시험지점에 대한 상기 무인비행체의 위치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무인비행체의 비행중 프로펠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에서 발생하는 열화상을 검출하고, 검출된 열화상의 크기가 설정된 크기 이상이면 해당 특정 시험지점 상에 무인비행체가 위치하는 것으로 판정하거나,
    상기 무인비행체의 비행중 프로펠러에 의해 상기 무인비행체 하부에 작용하는 바람의 양 또는 속도가 일정 기준치 이상이면 해당 특정 시험지점 상에 상기 무인비행체가 위치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비행체 조종면허시험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70146542A 2017-11-06 2017-11-06 무인비행체 조종면허시험 시스템 KR101925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542A KR101925094B1 (ko) 2017-11-06 2017-11-06 무인비행체 조종면허시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542A KR101925094B1 (ko) 2017-11-06 2017-11-06 무인비행체 조종면허시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5094B1 true KR101925094B1 (ko) 2018-12-04

Family

ID=64669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6542A KR101925094B1 (ko) 2017-11-06 2017-11-06 무인비행체 조종면허시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5094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8216A (ko) * 2018-10-29 2020-05-08 진광식 드론 실기 평가시스템
KR20200075606A (ko) * 2018-12-18 2020-06-26 전남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 풍동 실험장치
KR20200097969A (ko) * 2019-02-11 2020-08-20 홍영표 비행경력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167745B1 (ko) * 2020-07-28 2020-10-19 주식회사 라젠 Ai 및 빅데이터 기반의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의 시험 및 시험장 통합 관리 서비스 시스템
KR20200123556A (ko) 2019-04-22 2020-10-3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인 항공기 운용 평가 시스템 및 방법
KR102175354B1 (ko) * 2019-09-10 2020-11-06 주식회사 케이디에이 드론 위치 식별 장치 및 방법
KR102200288B1 (ko) * 2020-04-21 2021-01-08 김원국 무인비행체 조종면허 실기시험 자동 평가 시스템
KR102213268B1 (ko) * 2020-10-08 2021-02-05 주식회사 조은에듀테크 치매 예방을 위한 드론 활용 교육 프로그램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10034861A (ko) * 2019-09-23 2021-03-31 윤영기 초경량 비행 장치의 조종자 평가 방법 및 장치
KR20220049964A (ko) * 2020-10-15 2022-04-22 김병준 무인 비행체 모니터링 시스템
KR102411724B1 (ko) * 2021-11-24 2022-06-22 주식회사 씨엔테크 드론 실기 평가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122B1 (ko) * 2006-06-23 2008-03-31 주식회사 무성항공 무인헬리콥터의 조종 능력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63802B1 (ko) * 2014-04-21 2016-10-07 박근석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무선조종비행기 조종평가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122B1 (ko) * 2006-06-23 2008-03-31 주식회사 무성항공 무인헬리콥터의 조종 능력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63802B1 (ko) * 2014-04-21 2016-10-07 박근석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무선조종비행기 조종평가 시스템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0719B1 (ko) * 2018-10-29 2020-09-01 진광식 드론 실기 평가시스템
KR20200048216A (ko) * 2018-10-29 2020-05-08 진광식 드론 실기 평가시스템
KR20200075606A (ko) * 2018-12-18 2020-06-26 전남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 풍동 실험장치
KR102184199B1 (ko) * 2018-12-18 2020-11-27 전남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 풍동 실험장치
KR20200097969A (ko) * 2019-02-11 2020-08-20 홍영표 비행경력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224567B1 (ko) * 2019-02-11 2021-03-08 홍영표 비행경력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269094B1 (ko) * 2019-04-22 2021-06-2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인 항공기 운용 평가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23556A (ko) 2019-04-22 2020-10-3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인 항공기 운용 평가 시스템 및 방법
CN112561747A (zh) * 2019-09-10 2021-03-26 凯迪阿有限公司 无人机位置识别装置及方法
KR102175354B1 (ko) * 2019-09-10 2020-11-06 주식회사 케이디에이 드론 위치 식별 장치 및 방법
KR20210034861A (ko) * 2019-09-23 2021-03-31 윤영기 초경량 비행 장치의 조종자 평가 방법 및 장치
KR102200288B1 (ko) * 2020-04-21 2021-01-08 김원국 무인비행체 조종면허 실기시험 자동 평가 시스템
KR102167745B1 (ko) * 2020-07-28 2020-10-19 주식회사 라젠 Ai 및 빅데이터 기반의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의 시험 및 시험장 통합 관리 서비스 시스템
KR102213268B1 (ko) * 2020-10-08 2021-02-05 주식회사 조은에듀테크 치매 예방을 위한 드론 활용 교육 프로그램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20049964A (ko) * 2020-10-15 2022-04-22 김병준 무인 비행체 모니터링 시스템
KR102450383B1 (ko) 2020-10-15 2022-09-30 김병준 무인 비행체 모니터링 시스템
KR102411724B1 (ko) * 2021-11-24 2022-06-22 주식회사 씨엔테크 드론 실기 평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5094B1 (ko) 무인비행체 조종면허시험 시스템
US1144247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urveillance with a visual marker
US11550315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inspection system
JP6904608B2 (ja) 境界に沿った飛行制限ゾーンを生成する、または飛行制限ゾーンに対する無人航空機(uav)の航空応答を評価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US9513635B1 (en) Unmanned aerial vehicle inspection system
CN107131877B (zh) 无人飞行器航线构建方法及系统
CN104298248B (zh) 旋翼无人机精确视觉定位定向方法
US20180002010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inspection system
KR102050247B1 (ko) 드론 조종 평가 시스템
US11150089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control point selection system
KR102112340B1 (ko) 근거리용 드론 감지 장치
CN113268075A (zh) 一种无人机控制方法及系统
Sherman et al. Cooperative search and rescue using autonomous unmanned aerial vehicles
Norton et al. Decisive test methods handbook: Test methods for evaluating suas in subterranean and constrained indoor environments, version 1.1
KR102450383B1 (ko) 무인 비행체 모니터링 시스템
KR101882419B1 (ko) 무인비행기를 이용한 다 차로 차량 검지 시스템 및 방법
JP2019074781A (ja) 無人航空機及び点検システム
JP2005207862A (ja) 目標位置情報取得システム及び目標位置情報取得方法
KR102333350B1 (ko) 무인비행체 수직이착륙 시스템 및 그의 작동방법
KR102269094B1 (ko) 무인 항공기 운용 평가 시스템 및 방법
KR102200288B1 (ko) 무인비행체 조종면허 실기시험 자동 평가 시스템
JP2020135327A (ja) 飛行体システム、飛行体、位置測定方法、プログラム
US12007761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inspection system
KR102209882B1 (ko) 비행 드론을 통한 구조물 검사 시스템
JP2020050099A (ja) 飛行ロボットおよび監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