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7745B1 - Ai 및 빅데이터 기반의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의 시험 및 시험장 통합 관리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Ai 및 빅데이터 기반의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의 시험 및 시험장 통합 관리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7745B1
KR102167745B1 KR1020200093882A KR20200093882A KR102167745B1 KR 102167745 B1 KR102167745 B1 KR 102167745B1 KR 1020200093882 A KR1020200093882 A KR 1020200093882A KR 20200093882 A KR20200093882 A KR 20200093882A KR 102167745 B1 KR102167745 B1 KR 102167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unmanned aerial
aerial vehicle
manned aircraft
man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3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젠
Priority to KR1020200093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77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7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7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9/08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aircraft, e.g. Link tr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6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19/165Control of aircraft
    • B64C2201/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I 및 빅데이터 기반의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의 시험 및 시험장 통합 관리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실기 시험에서 비행중인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의 움직임을 추적함으로써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의 정확한 위치 및 비행 고도를 판단하고, 이를 기반으로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조종 능력 평가의 정확도 및 신뢰도를 향상시켜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실기시험 평가 기준에 맞게 보다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합격 및 불합격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한 맞춤 실기 시험 및 해당 시험을 실시할 수 있는 시험장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일례로,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자에게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의 시험진행 음성안내신호를 전달하고,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장 내 각 비행구역에 각각 설치된 다수의 감지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시험진행 음성안내신호에 따른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의 인식, 위치, 고도 및 거리를 각각 감지하고, 해당 감지데이터를 기반으로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의 이륙, 비행 및 착륙에 따른 시험결과를 생성하는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시스템부; 및 상기 시험결과를 기반으로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자의 합격여부를 판정하여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자에게 전달하되, 불합격 시 상기 시험결과를 기반으로 불합격 요소를 추출하고,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시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불합격 요소와 매칭되는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시험데이터를 추출하여 전달하는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관리 시스템부를 포함하는 AI 및 빅데이터 기반의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의 시험 및 시험장 통합 관리 서비스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AI 및 빅데이터 기반의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의 시험 및 시험장 통합 관리 서비스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INTEGRATED MANAGEMENT SERVICE FOR TEST AND TEST SITE OF MANNED AIRCRAFT AND UNMANNED AIRCRAFT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본 발명의 실시예는 AI 및 빅데이터 기반의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의 시험 및 시험장 통합 관리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론(Drone)은 무인항공기를 말하는 것으로, 조종사가 탑승하지 않고 지정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제작된 비행체를 말하며, 드론형 유인 항공기는 조종사 등 사람이 탈수 있는 드론형 항공기(이하 유인항공기라고 함)를 말한다.
특히, 드론은 군대에서 정찰, 공격용으로 전쟁을 대비하는 무인항공기를 개발하면서부터 시초가 되었으나, 최근에는 일반인에게도 오락용으로 많이 보급되어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이와 같은 무인항공기와 유인항공기는 근래 들어, 간편성, 신속성, 경제성 등 여러 이점 때문에, 군사용 외에도, 물류 배송, 재난 구조, 방송 레저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등 많은 장점이 있으나, 바람 등 외부 환경의 변화와 운전 조작의 미숙으로 인해 추락할 우려가 있으며, 추락 시 여러 고가의 부품들이 파손되어 경제적 피해가 발생되거나, 대인 및 대물에 대한 2차적인 안전사고가 동반될 수 있는 피해의 위험성 또한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위험성을 갖는 무인항공기와 유인항공기는 이미 시장에 널리 확대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으로, 미숙련자의 경우 조종 능력의 향상을 위한 연습이 필수적으로 필요한 것이고, 재난 재해의 대형화, 방사능 화재, 붕괴, 화학 재난 등 극한 상황에서 드론을 활용하여 인적, 물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전문인의 양성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무인항공기와 유인항공기 전문인의 양성을 위해 자격 시험(초경량 비행 장치 조종자 무인헬리콥터 및 무인멀티콥터 자격증)이 운용되고 있으며, 이에 발맞추어 드론에 대한 이론 및 조종능력 등의 습득을 위한 다양한 드론 시험 기관이 생겨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운용중인 무인항공기 및 유인항공기의 자격 시험이나 시험 시스템은 피평가자의 조종 능력 시험을 감독자 또는 관리자가 육안으로 식별하여 평가 및 시험하는 실정에 머무르고 있으며,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평가 시스템이 구비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58041호(공개일자: 2020년05월27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실기 시험에서 비행중인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의 움직임을 추적함으로써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의 정확한 위치 및 비행 고도를 판단하고, 이를 기반으로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조종 능력 평가의 정확도 및 신뢰도를 향상시켜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실기시험 평가 기준에 맞게 보다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합격 및 불합격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한 무인 항공기와 유인 항공기의 맞춤 실기 시험 서비스, 교육 서비스와 더불어 시험장 관리 서비스를 통합하여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I 및 빅데이터 기반의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의 시험 및 시험장 통합 관리 서비스 시스템은,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자에게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의 시험진행 음성안내신호를 전달하고,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장 내 각 비행구역에 각각 설치된 다수의 감지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시험진행 음성안내신호에 따른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의 인식, 위치, 고도 및 거리를 각각 감지하고, 해당 감지데이터를 기반으로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의 이륙, 비행 및 착륙에 따른 시험결과를 생성하는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시스템부; 및 상기 시험결과를 기반으로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자의 합격여부를 판정하여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자에게 전달하되, 불합격 시 상기 시험결과를 기반으로 불합격 요소를 추출하고,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시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불합격 요소와 매칭되는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시험데이터를 추출하여 전달하는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관리 시스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시스템부는, 이착륙장, 호버링 포인트 및 비상 착륙장을 각각 구비한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장; 음성을 인식하여 상기 시험진행 음성안내신호를 생성하고 외부로 전송하는 시험진행 음성안내신호 생성부; 상기 시험진행 음성안내신호 생성부로부터 상기 시험진행 음성안내신호를 수신하여 음성 및 상기 시험진행 음성안내신호를 변환한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시험진행 음성안내신호 출력부; 상기 이착륙장, 호버링 포인트 및 비상 착륙장에 설치되어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의 인식, 위치, 고도 및 거리를 각각 감지하고, 감지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감지 장치부; 상기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감지 장치부로부터 감지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감지데이터를 기반으로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의 이륙, 비행 및 착륙에 따른 시험결과를 생성하고, 생성된 시험결과를 상기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관리 시스템부로 전달하는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결과 생성부; 및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자의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과정을 녹화하는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녹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험진행 음성안내신호 생성부와 상기 시험진행 음성안내신호 출력부는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자와 시험자 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호 소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관리 시스템부는, 상기 시험결과와 상기 시험진행 음성안내신호에 따라 미리 저장된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의 이륙, 비행 및 착륙 별 가이드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시험결과에서 합격 요소와 불합격 요소를 분류하여 추출하고, 추출된 불합격 요소에 기반하여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의 합격여부를 판정하는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합격 판정부; 및 상기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합격 판정부의 합격 판정 시 합격 여부를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자에게 전달하고, 불합격 판정 시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시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합격 판정부를 통해 추출된 불합격 요소에 매칭되는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실기 보강시험데이터를 추출하고, 불합격 판정 결과와 함께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자에게 전달하는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결과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합격 판정부는, 상기 시험진행 음성안내신호를 인식하고, 텍스트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텍스트데이터에 따른 상기 가이드데이터를 상기 시험결과와 비교할 수 있다.
또한,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자가 소지한 휴대통신단말에 설치되어 상기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시스템부에 접속된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어플리케이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관리 시스템부로부터 합격 또는 불합격 판정 결과와, 불합격 판정 시 상기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실기 보강시험데이터를 수신하여 휴대통신단말을 통해 출력하는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결과 출력부; 및 상기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결과 출력부를 통한 불합격 판정 결과 수신 시 상기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관리 시스템부에 이의를 신청하여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자의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녹화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결과 이의 신청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결과 제공부는, 상기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이의 신청부를 통해 이의 신청을 접수하는 경우 상기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녹화부로부터 해당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자의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녹화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어플리케이션부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결과 제공부는, 상기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어플리케이션부로 상기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실기 보강시험데이터와 연계된 가상 시뮬레이션데이터를 추가 제공하고, 상기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어플리케이션부는,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의 가상 비행 조작이 가능한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제공되는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 시뮬레이션데이터 기반의 가상 시험을 실행하는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가상 시험 실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실기 시험에서 비행중인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의 움직임을 추적함으로써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의 정확한 위치 및 비행 고도를 판단하고, 이를 기반으로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조종 능력 평가의 정확도 및 신뢰도를 향상시켜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실기시험 평가 기준에 맞게 보다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합격 및 불합격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한 무인 항공기와 유인 항공기의 맞춤 실기 시험 서비스, 교육 서비스와 더불어 시험장 관리 서비스를 통합하여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자동화 시스템을 통해 모든 시험자들이 형평성 있는 시험을 치름으로써 현재 항공기 시험 시스템의 원천적인 문제들을 바로 잡을 수 있다.
또한, 비행, 시험 후에 결과 및 과정 상 발생된 모든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시험자 본인의 노력이 필요한 부분과 비행시 위험 부분을 보다 명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시험을 위한 보다 세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어, 조종사의 조종능력과 기술 향상에도 도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I 및 빅데이터 기반의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의 시험 및 시험장 통합 관리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레이더의 설치 위치에 대한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I 및 빅데이터 기반의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의 시험 및 시험장 통합 관리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시스템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관리 시스템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어플리케이션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가상 시험 실행부의 실행 화면에 대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I 및 빅데이터 기반의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의 시험 및 시험장 통합 관리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개요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레이더의 설치 위치에 대한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I 및 빅데이터 기반의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의 시험 및 시험장 통합 관리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시스템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관리 시스템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어플리케이션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가상 시험 실행부의 실행 화면에 대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I 및 빅데이터 기반의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의 시험 및 시험장 통합 관리 서비스 시스템(1000)은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시스템부(100),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관리 시스템부(200) 및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어플리케이션부(3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시스템부(100)는,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자에게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의 시험진행 음성안내신호를 전달하고,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장(110) 내 각 비행구역에 각각 설치된 다수의 감지 장치부(140)를 이용하여 시험진행 음성안내신호에 따른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의 인식, 위치, 고도 및 거리를 각각 감지하고, 해당 감지데이터를 기반으로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의 이륙, 비행 및 착륙에 따른 시험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시스템부(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장(110), 시험진행 음성안내신호 생성부(120), 시험진행 음성안내신호 출력부(130),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감지 장치부(140),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결과 생성부(150) 및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녹화부(16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장(110)는,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실기 비행장과 동일한 규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착륙장(H), 호버링 포인트(A, B, C, D, E) 및 비상 착륙장(F)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시험진행 음성안내신호 생성부(120)는,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시험진행 음성안내신호를 생성하고 외부로 전송할 수 있으며, 시험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시험진행 음성안내신호에 포함된 질의에 대한 응답신호를 생생하여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시험진행 음성안내신호 생성부(120)는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자와 시험자의 음성을 각각 입력 받기 위한 마이크,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데이터를 텍스트로 변환하기 위한 STT(Speech To Text) 모듈,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음성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피커는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장(110)에 설치된 형태 또는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컨트롤러(20)에 설치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자가 쉽게 들을 수 있는 형태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STT 모듈은 텍스트데이터를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결과 생성부(150)로 제공하여 시험결과에 포함된 정보로서 이용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이러한 시험진행 음성안내신호 생성부(120)는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자와 시험자 측에 각각 설치되어 질의응답을 통한 상호 소통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시험 또는 실제 실기 시험 간에 시험이자(또는 감독관)와 시험자 간의 질의 응답을 통해 시험자의 스코어 처리를 할 수 있도록 보조하며, 질의 내용 자체를 텍스트화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기하여 시험자가 객관식(숫자형태-선택형)으로 응답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질의 응답의 내용은 시험장 별로 랜덤으로 진행되며, 이로써 시험의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음을 물론이고, 모든 시험과정에 대한 비대면화가 가능하다.
상기 시험진행 음성안내신호 출력부(130)는,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장(110)의 외부 또는 내부에 설치되어 시험진행 음성안내신호 생성부(120)로부터 시험자의 시험진행 음성안내신호(음성데이터) 및 시험자의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외부로 출력하여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자와 시험자 각각 서로의 음성을 쉽게 들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시험진행 음성안내신호 출력부(130)는 스피커 모듈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청각 장애자의 경우 별도의 디스플레이(청각장애자에게 유용함)를 통해 상기와 같이 변환된 텍스트데이터가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는 타이머, 텍스트, 영상 등을 표시하며, 합격 또는 불합격 유무에 대한 정보를 시각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시험진행 음성안내신호 출력부(130)는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자와 시험자 측에 각각 설치되어 질의응답을 통한 상호 소통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감지 장치부(140)는, 이착륙장(H), 호버링 포인트(A, B, C, D, E) 및 비상 착륙장(F)에 설치되어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의 인식, 위치, 고도, 거리 및 움직임을 각각 감지하고, 이에 따라 생성된 감지데이터를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결과 생성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감지 장치부(140)는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를 인식하고, 인식된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의 위치, 고도, 이착륙장(H), 호버링 포인트(A, B, C, D, E) 및 비상 착륙장(F) 각각으로부터의 거리, 및 움직임 등을 감지 및 측정하기 위한 통합 센서(이착륙 센서, 거리 센서, 속도 센서, 고도 센서 등)와 라이다/레이더(11)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통합 센서와 라이다/레이더(11)는 이착륙장(H), 호버링 포인트(A, B, C, D, E) 및 비상 착륙장(F)뿐만 아니라,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장(110) 내의 곳곳에 배치되어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의 이착륙 및 비행에 대한 모든 움직임을 실시간 포착 및 확인 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라이다/레이더(11)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일례일 뿐이며, 무인 항공기/무인 항공기(10)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시험장(110) 곳곳에 설치될 수도 있고, 라이다/레이더(11)뿐만 아니라 통합 센서 또한 마찬가지로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결과 생성부(150)는,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감지 장치부(140)로부터 생성된 감지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감지데이터를 기반으로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의 이륙, 비행 및 착륙뿐만 아니라 시험장과 콘, 라인 등에 설치된 각종 센서, 라이다, 레이더로부터 측정된 항공기의 위치, 고도, 경로, 속도 등 모든 시험관련 측정/감지데이터가 시험결과로서 생성하며, 생성된 시험결과를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관리 시스템부(200)로 실시간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결과 생성부(150)는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감지 장치부(140)로부터 생성된 감지데이터뿐만 아니라, 시험진행 음성안내신호 생성부(120)로부터 수신된 텍스트데이터(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자가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실기 시험 진행을 위한 안내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한 데이터)와 함께 시험결과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시험결과정보를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관리 시스템부(20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녹화부(160)는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장(110)에 설치된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자의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과정을 녹화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결과 이의 신청에 따라 해당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자의 녹화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시스템부(100)는 시험과정이나 프로세스의 전화과정을 바뀌거나 일부를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시스템부(100)는 관리자의 스마트 기기 등과 연동되어 안면인식 및 음성인식 기능을 제공하여 항공기 시험을 위한 보안성과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관리 시스템부(200)는,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결과 생성부(150)로부터 제공되는 시험결과를 기반으로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자의 합격 여부를 판정하여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자에게 전달하되, 불합격 시 해당 시험결과를 기반으로 불합격 요소를 추출하고,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시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불합격 요소와 매칭되는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시험데이터를 추출하여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관리 시스템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합격 판정부(210) 및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결과 제공부(22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합격 판정부(210)는, 시험결과와 시험진행 음성안내신호(텍스트데이터)에 따라 미리 저장된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의 이륙, 비행 및 착륙 별 가이드데이터를 비교하여 시험결과에서 합격 요소와 불합격 요소를 분류하여 추출하고, 추출된 불합격 요소에 기반하여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의 합격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합격 판정부(210)는 시험진행 음성안내신호를 인식하고, 텍스트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텍스트데이터에 따른 가이드데이터를 시험결과와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험진행 음성안내신호(텍스트데이터)에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자가 이륙, 호버링 포인트 이동, 착륙이라는 지시가 있는 경우, 해당 지시를 상술한 텍스트데이터를 기반으로 각각 인식하고, 인식된 지시정보에 따른 시험결과 내 이륙, 호버링 포인트 이동, 착륙을 위한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의 위치, 고도, 움직임, 속도 등의 감지데이터를 합격기준에 대한 정보를 갖는 가이드데이터와 비교하여 각 지시에 따른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의 움직임 각각의 항목에 대한 점수를 산정하며, 최종 점수를 산출하여 합격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상기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결과 제공부(220)는,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합격 판정부(210)의 합격 판정 시 합격 여부를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자에게 전달하고, 불합격 판정 시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시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합격 판정부(210)를 통해 추출된 불합격 요소에 매칭되는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실기 보강시험데이터를 추출하고, 불합격 판정 결과와 함께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결과 제공부(220)는 시험결과에 대한 합격과 불합격이라는 단순한 결과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불합격 판정 시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의 움직임 항목 별로 기준에 미달되는 항목을 추출하고, 해당 항목과 관련된 시험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시험 데이터베이스에서 불합격 요소와 매칭되는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실기 보강시험데이터를 추출하여 해당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자의 부족한 부분에 대한 시험정보와 다양한 팁을 알림 등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불합격 상황뿐만 아니라, 합격 시에도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자의 시험결과를 기반으로 한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실기 보강시험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는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자가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실기에 대하여 자신이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항목을 입력하면, 입력된 항목에 대한 보강시험데이터를 제공하거나, 실기 항목 별 불완전한 요소가 검출되면 해당 항목에 대한 보강시험데이터를 준비하여 해당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시험결과, 해당 결과에 따른 합격 또는 불합격 여부, 그리고 보강시험데이터는 후술하는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어플리케이션부(300)를 통해 알림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되며,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결과 제공부(220)는,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이의 신청부(160)를 통해 이의 신청을 접수하는 경우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장(110)에 설치된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녹화부(130)로부터 해당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자의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녹화데이터를 수신하여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어플리케이션부(3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자가 자신의 시험결과에 대한 직접적인 확인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의 신청을 통해 해당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자의 실기 시험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자신이 어떻게 시험을 치렀는지 또는 자신의 문제점 등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해당 영상 확인은 이의 신청 시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자의 ID 또는 응시번호 등을 입력하면 해당 영상을 추출하고, 편집하여 시험 어플리케이션부(300)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제공 방식으로는 스트리밍 방식으로의 제공이 적절하다.
상기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결과 제공부(220)는,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어플리케이션부(300)로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실기 보강시험데이터와 연계된 가상 시뮬레이션데이터를 추가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험결과 불합격 판정을 받은 경우, 특정 호버링 포인트로의 이동에 대한 불합격 요소가 있는 것으로 파악된 경우, 해당 호버링 포인트로의 이동에 대한 보강시험데이터와 함께 해당 시험내용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 인터페이스(331)와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실기 가상 시뮬레이션을 통해 바로 호버링 포인트로의 이동 연습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부족한 부분에 대한 실전 능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관리 시스템부(200)는 시험자 별 시험결과뿐만 아니라 시험과정에서 발생된 모든 데이터와 그로부터 파생되는 모든 정보를 기록/저장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관리 시스템부(200)는 시험 응시자, 시험 합격자/불합격자, 지역 별 합격자, 시험장(각 파트별) 등의 모든 데이터를 빅데이터화하고, 시험 후 다른 시험자를 위해 해당 데이터(원본, 가공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울특별시(1,000명, 총응시자의 10%), 합격자(100명, 총응시자의 1%), 강남구(~), 시험장(원주비행, 직선비행 등)의 정보를 기록 및 관리할 수 있다.또한,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관리 시스템부(200)는 기록 및 관리되는 모든 데이터와 정보를 관리자의 스마트 기기로 전송하여 공유할 수 있다.
상기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어플리케이션부(300)는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자가 소지한 휴대통신단말(30)에 설치되어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관리 시스템부(200)에 접속되어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과 관련된 각종 정보(자신의 시험 과정과 결과에 대한 모든 정보를 포함)를 확인 및 알림 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어플리케이션부(3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결과 출력부(310),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결과 이의 신청부(320) 및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가상 시험 실행부(3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결과 출력부(310)는,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관리 시스템부(200)로부터 합격 또는 불합격 판정 결과와, 불합격 판정 시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실기 보강시험데이터를 수신하여 휴대통신단말(30)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알림 기능을 설정하여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에 대한 합격 또는 불합격에 대한 판정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불합격 판정 시 URL을 통해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실기 보강시험데이터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해당 보강시험데이터는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자의 선택에 따라 개인 자료실에 업로드 하거나 휴대통신단말(30)로 다운로드 받아 언제든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합격 시에도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자의 선택 또는 설정에 따라 합격선에 도달했으나 불완전 요소로 판단되는 항목에 대한 보강시험데이터 또는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자가 원하는 항목에 대한 보강시험데이터의 열람 또는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결과 이의 신청부(320)는,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결과 출력부(310)를 통한 불합격 판정 결과 수신 시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관리 시스템부(200)에 이의를 신청하여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자의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녹화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의 신청 시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자의 ID 또는 임시 응시번호 등의 식별정보를 입력하고, 해당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영상을 추출하여 스트리밍 방식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가상 시험 실행부(330)는,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의 가상 비행 조작이 가능한 컨트롤 인터페이스(331)를 제공하고, 제공되는 컨트롤 인터페이스(331)를 이용하여 가상 시뮬레이션데이터 기반의 가상 시험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험결과 불합격 판정을 받은 경우, 특정 호버링 포인트로의 이동에 대한 불합격 요소가 있는 것으로 파악된 경우, 해당 호버링 포인트로의 이동에 대한 보강시험데이터와 함께 해당 시험내용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 인터페이스(331)와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실기 가상 시뮬레이션을 통해 바로 호버링 포인트로의 이동 연습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부족한 부분에 대한 실전 능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어플리케이션부(300)는 휴대통신단말(30)을 통한 본인인증(안면인식, 생체정보인식 등) 구성이 추가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인인증이 완료된 시험자는 디스플레이로 구현되는 타이머의 동작에 따라 시험 전용 항공기(무인 항공기의 경우) 시험을 진행할 수 있으며, 해당 타이머에 의해 주어진 시간 이내에 시험이 진행되며, 시험 시간을 관리하는 별도의 구성도 추가될 수 있다. 시험 시작 전, 중, 후 과정에서 음성 관련 시험을 진행할 수 있다. 즉, 시험관/심사관/관리자와의 소통은 물론 음성인식 기술이 적용되어 간단한 질의응답 테스트도 진행 가능하다. 여기서, 음성인식은 시험자와 시험관 간의 양방향 소통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무인 항공기와 유인 항공기에 대한 시험 및 시험장 통합 관리에 관한 내용만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모의 시험과 실제 시험을 위한 교육도 동일 구성을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본의 사람이 진행했던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이나 실기 시험(시험 전 일련의 모든 과정을 연습)을 센서와 레이더 등의 장치, 그리고 해당 장치로부터 감지 및 측정된 데이터를 AI 및 빅데이터 기반의 프로그램을 통한 합격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사람의 판단이나 주관에 의한 합격 여부 판정 결과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시험과 시험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AI 및 빅데이터 기반의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의 시험 및 시험장 통합 관리 서비스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0: AI 및 빅데이터 기반의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의 시험 및 시험장 통합 관리 서비스 시스템
100: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시스템부
110: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장
120: 시험진행 음성안내신호 생성부
130: 시험진행 음성안내신호 출력부
140: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감지 장치부
150: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결과 생성부
160: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녹화부
200: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관리 시스템부
210: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합격 판정부
220: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결과 제공부
300: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어플리케이션부
310: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결과 출력부
320: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결과 이의 신청부
330: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가상 시험 실행부
331: 컨트롤 인터페이스
10: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11: 라이다/레이더
20: 컨트롤러
30: 휴대통신단말
H: 이착륙장
A, B, C, D, E: 호버링 포인트
F: 비상 착륙장

Claims (6)

  1.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자에게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의 시험진행 음성안내신호를 전달하고,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장 내 각 비행구역에 각각 설치된 다수의 감지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시험진행 음성안내신호에 따른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의 인식, 위치, 고도 및 거리를 각각 감지하고, 해당 감지데이터를 기반으로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의 이륙, 비행 및 착륙에 따른 시험결과를 생성하는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시스템부; 및
    상기 시험결과를 기반으로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자의 합격여부를 판정하여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자에게 전달하되, 불합격 시 상기 시험결과를 기반으로 불합격 요소를 추출하고,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시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불합격 요소와 매칭되는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시험데이터를 추출하여 전달하는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관리 시스템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관리 시스템부는,
    상기 시험결과와 상기 시험진행 음성안내신호에 따라 미리 저장된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의 이륙, 비행 및 착륙 별 가이드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시험결과에서 합격 요소와 불합격 요소를 분류하여 추출하고, 추출된 불합격 요소에 기반하여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의 합격여부를 판정하는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합격 판정부; 및
    상기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합격 판정부의 합격 판정 시 합격 여부를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자에게 전달하고, 불합격 판정 시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시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합격 판정부를 통해 추출된 불합격 요소에 매칭되는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실기 보강시험데이터를 추출하고, 불합격 판정 결과와 함께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자에게 전달하는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결과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 및 빅데이터 기반의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의 시험 및 시험장 통합 관리 서비스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시스템부는,
    이착륙장, 호버링 포인트 및 비상 착륙장을 각각 구비한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장;
    음성을 인식하여 상기 시험진행 음성안내신호를 생성하고 외부로 전송하는 시험진행 음성안내신호 생성부;
    상기 시험진행 음성안내신호 생성부로부터 상기 시험진행 음성안내신호를 수신하여 음성 및 상기 시험진행 음성안내신호를 변환한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시험진행 음성안내신호 출력부;
    상기 이착륙장, 호버링 포인트 및 비상 착륙장에 설치되어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의 인식, 위치, 고도 및 거리를 각각 감지하고, 감지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감지 장치부;
    상기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감지 장치부로부터 감지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감지데이터를 기반으로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의 이륙, 비행 및 착륙에 따른 시험결과를 생성하고, 생성된 시험결과를 상기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관리 시스템부로 전달하는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결과 생성부; 및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자의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과정을 녹화하는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녹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험진행 음성안내신호 생성부와 상기 시험진행 음성안내신호 출력부는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자와 시험자 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호 소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 및 빅데이터 기반의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의 시험 및 시험장 통합 관리 서비스 시스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합격 판정부는,
    상기 시험진행 음성안내신호를 인식하고, 텍스트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텍스트데이터에 따른 상기 가이드데이터를 상기 시험결과와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 및 빅데이터 기반의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의 시험 및 시험장 통합 관리 서비스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자가 소지한 휴대통신단말에 설치되어 상기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시스템부에 접속된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어플리케이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관리 시스템부로부터 합격 또는 불합격 판정 결과와, 불합격 판정 시 상기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실기 보강시험데이터를 수신하여 휴대통신단말을 통해 출력하는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결과 출력부; 및
    상기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결과 출력부를 통한 불합격 판정 결과 수신 시 상기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관리 시스템부에 이의를 신청하여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자의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녹화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결과 이의 신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 및 빅데이터 기반의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의 시험 및 시험장 통합 관리 서비스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결과 제공부는,
    상기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이의 신청부를 통해 이의 신청을 접수하는 경우 상기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녹화부로부터 해당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자의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녹화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 시험 어플리케이션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 및 빅데이터 기반의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의 시험 및 시험장 통합 관리 서비스 시스템.
KR1020200093882A 2020-07-28 2020-07-28 Ai 및 빅데이터 기반의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의 시험 및 시험장 통합 관리 서비스 시스템 KR102167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882A KR102167745B1 (ko) 2020-07-28 2020-07-28 Ai 및 빅데이터 기반의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의 시험 및 시험장 통합 관리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882A KR102167745B1 (ko) 2020-07-28 2020-07-28 Ai 및 빅데이터 기반의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의 시험 및 시험장 통합 관리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7745B1 true KR102167745B1 (ko) 2020-10-19

Family

ID=73042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882A KR102167745B1 (ko) 2020-07-28 2020-07-28 Ai 및 빅데이터 기반의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의 시험 및 시험장 통합 관리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774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25697A (zh) * 2021-09-15 2021-11-09 北京航空航天大学 考虑任务能力变化的无人机集群可靠性评估方法和系统
KR20220104499A (ko) * 2021-01-18 2022-07-26 최인용 고정밀 Geo 좌표를 이용한 초경량 비행체 교육 평가 장치
WO2022181130A1 (ja) * 2021-02-26 2022-09-01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CN116824954A (zh) * 2023-07-03 2023-09-29 中国民用航空飞行学院 眼动+飞行数据的模拟机飞行训练讲评系统及方法
WO2024067135A1 (zh) * 2022-09-29 2024-04-04 亿航智能设备(广州)有限公司 基于大数据识别的无人驾驶航空器管理方法、系统和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5094B1 (ko) * 2017-11-06 2018-12-04 방성기 무인비행체 조종면허시험 시스템
KR20200048216A (ko) * 2018-10-29 2020-05-08 진광식 드론 실기 평가시스템
KR20200058041A (ko) 2018-11-19 2020-05-27 윤주민 드론 실기시험 평가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5094B1 (ko) * 2017-11-06 2018-12-04 방성기 무인비행체 조종면허시험 시스템
KR20200048216A (ko) * 2018-10-29 2020-05-08 진광식 드론 실기 평가시스템
KR20200058041A (ko) 2018-11-19 2020-05-27 윤주민 드론 실기시험 평가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4499A (ko) * 2021-01-18 2022-07-26 최인용 고정밀 Geo 좌표를 이용한 초경량 비행체 교육 평가 장치
KR102509387B1 (ko) * 2021-01-18 2023-03-14 최인용 고정밀 Geo 좌표를 이용한 초경량 비행체 교육 평가 장치
WO2022181130A1 (ja) * 2021-02-26 2022-09-01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CN113625697A (zh) * 2021-09-15 2021-11-09 北京航空航天大学 考虑任务能力变化的无人机集群可靠性评估方法和系统
WO2024067135A1 (zh) * 2022-09-29 2024-04-04 亿航智能设备(广州)有限公司 基于大数据识别的无人驾驶航空器管理方法、系统和介质
CN116824954A (zh) * 2023-07-03 2023-09-29 中国民用航空飞行学院 眼动+飞行数据的模拟机飞行训练讲评系统及方法
CN116824954B (zh) * 2023-07-03 2024-03-01 中国民用航空飞行学院 眼动+飞行数据的模拟机飞行训练讲评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7745B1 (ko) Ai 및 빅데이터 기반의 무인 항공기 및 유인 항공기의 시험 및 시험장 통합 관리 서비스 시스템
KR102098516B1 (ko) 승객 관리 장치 및 승객 관리 방법
Dekker Ten questions about human error: A new view of human factors and system safety
US20160027336A1 (en) Methods for Evaluating Human Performance in Aviation
CN109074068A (zh) 飞行装置、电子设备以及程序
CN110390265A (zh) 一种无人机巡检的识别检测方法及系统
CN109740446A (zh) 课堂学生行为分析方法及装置
Kilingaru et al. Monitoring pilot “situation awareness”
AU2017279806A1 (en) Method and system for abnormality detection
TWI794516B (zh) 透過空中交通管理電子系統的用於空中管理的訓練和/或輔助平台及方法
US20190056726A1 (en) Drone captcha
CN110648405B (zh) 一种基于增强现实的飞行操作辅助方法和系统
US10657444B2 (en) Devices and methods using machine learning to reduce resource usage in surveillance
KR102166432B1 (ko) 스마트 드론을 사용한 재난 상황 대응 방법
EP1479033A2 (en) Personalized boarding pass
US20190195652A1 (en) Electronic interface device between at least one avionic system and a set of sensors, related avionic installatio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Ravich Courts in the drone age
KR101968810B1 (ko) 생체측정적 행동 콘텍스트를 기반으로 하는 인간 인식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11062366A (zh) 一种消控室内人员姿态检测方法及系统
Thian Civil and military airworthiness challenges in Asia
DE102015010184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einer Personenkontrolle
KR102150719B1 (ko) 드론 실기 평가시스템
Woo Visual detection of small unmanned aircraft: Modeling the limits of human pilots
KR102067464B1 (ko) 비행 드론 감지장치를 이용한 비행 드론 모니터링 시스템
KR102200288B1 (ko) 무인비행체 조종면허 실기시험 자동 평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