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4614B1 - 산화방지용액 및 이를 포함하는 물티슈 - Google Patents

산화방지용액 및 이를 포함하는 물티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4614B1
KR101924614B1 KR1020180078332A KR20180078332A KR101924614B1 KR 101924614 B1 KR101924614 B1 KR 101924614B1 KR 1020180078332 A KR1020180078332 A KR 1020180078332A KR 20180078332 A KR20180078332 A KR 20180078332A KR 101924614 B1 KR101924614 B1 KR 101924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pineapple
apple
dr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남
Original Assignee
박종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남 filed Critical 박종남
Priority to KR1020180078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6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6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4Shaped forms, e.g. sheets, not provided for in any other sub-group of this main group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16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34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hawthorn, plum, cherry, peach, apricot or almon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40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300/00Combinations or 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covered by classes A01N27/00 - A01N65/48 with other active or formulation relevant ingredients, e.g. specific carrier materials or surfactants, covered by classes A01N25/00 - A01N65/48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Toxi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화방지용액 및 이를 포함하는 물티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산화방지용액은 물을 수소발생기로 전기분해하여 생성되고 미네랄을 포함하는 알칼리수이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산화방지 효과가 있는 산화방지용액을 제조하고 이를 물티슈에 이용함으로써, 장기간 보관하는 경우에는 물티슈가 변성되는 것을 방지하고 피부를 닦아도 인체 무해하며 인체에 유익한 신진대사를 활성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산화방지용액 및 이를 포함하는 물티슈{SOLUTION OF PREVENTING OXIDATION AND WET TISSU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산화방지용액 및 이를 포함하는 물티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산화방지 효과가 있는 산화방지용액을 제조하고 이를 물티슈에 이용함으로써, 장기간 보관하는 경우에는 물티슈가 변성되는 것을 방지하고 피부를 닦아도 인체 무해하며 인체에 유익한 신진대사를 활성화할 수 있는 산화방지용액 및 이를 포함하는 물티슈에 관한 것이다.
물티슈는 수분에 강한 원단에 액상의 원료를 도포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물휴지라고도 하는데, 최근에는 일반적인 물티슈보다 소독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물티슈가 애용되고 있다.
이러한 물티슈는 수분을 함유함에도 불구하고 쉽게 분해되지 않는 펄프나 부직포를 그 소재로 하여 제조되는데, 상기의 소재에 소독, 항균 및 살균 성능이 있는 물질이 함입되도록 하고, 이를 이용하여 오염 상태를 제거함과 동시에 인체나 인체와 직접 접촉하는 대상을 제독하는데 이용된다.
또한, 이러한 물티슈의 소독, 항균 및 살균 성분은 포장되어 유통 및 사용되는 과정에서 세균 및 곰팡이가 번식하지 못하도록 통상적으로는 벤젠계열 또는 카바메이트계열 등의 화학방부제가 주로 사용되며, 장기간 수분의 증발을 방지하기 위해 수분증발방지제인 프로플렌글리콜 등도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에 물티슈에 사용되는 화학방부제는 사용량이 법적으로 허용된 기준량 이하라고 하더라도, 장기간 사용하거나 자주 또는 한꺼번에 많은 양을 사용하게 되면, 피부 트러블의 발생, 호르몬 이상 및 알러지 반응 등과 같은 인체에 유해한 작용을 하게 되며, 특히, 피부가 연약한 소아나 피부질환이 있는 환자의 경우에는 물티슈에 함유된 화학방부제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사용상 매우 주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527691호(2015년 06월 03일 등록) 국내공개특허 제10-2017-0014494호(2017년 02월 08일 공개) 국내공개특허 제10-2012-0098117호(2012년 09월 05일 공개)
본 발명은 산화방지 효과가 있는 산화방지용액을 제조하고 이를 물티슈에 이용함으로써, 장기간 보관하는 경우에는 물티슈가 변성되는 것을 방지하고 피부를 닦아도 인체 무해하며 인체에 유익한 신진대사를 활성화할 수 있는 산화방지용액 및 이를 포함하는 물티슈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산화방지 효과가 있는 산화방지용액을 이용함으로써, 물티슈 사용의 만족감 및 관능성을 향상시켜 소비자의 기호도를 충족시킬 수 있는 산화방지용액 및 이를 포함하는 물티슈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산화방지용액은 물을 수소발생기로 전기분해하여 생성되고 미네랄을 포함하는 알칼리수이다.
약 알칼리수는 음료, 막걸리, 링거 생산에 사용될 수 있고, 전원 24시간 이상 공간 에너지 파동 주입 및 냉장 또는 밀폐실 냉장 24시간 동시 수소 발생으로 이온산화분말 희석으로 미네랄 수 제조하고, 식품 보존 에너지 파동으로 물은 육각수로 변하고 산화도 방지된다.
또한, 적당한 알칼리 수는 화장품, 영양음료로, 강 알칼리수는 종이와 위생천을 제조하고, 수소발생기와 공간에너지 발생기는 24시간 이상 가동 가능하다.
상기 산화방지용액은 pH가 7.5~9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용액은 물티슈, 막걸리, 음료수 또는 증류수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티슈는 물을 수소발생기로 전기분해하여 생성되고 미네랄을 포함하는 알칼리수인 산화방지용액을 포함한다.
상기 산화방지용액의 pH는 7.5~9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용액은 항균 조성물을 더 포함하되, 상기 항균 조성물은 산화방지용액 100 중량부에 대해 10 내지 3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고, 상기 항균 조성물은 이산화규소 나노입자 1 내지 3 중량부, 이산화티탄(TiO2) 0.1 내지 1 중량부, 나노은 분말 0.1 내지 1 중량부, 황칠 추출액 1 내지 2 중량부, 트리플 히알루론산 0.5 내지 1.5 중량부, 사과 추출액 1 내지 2 중량부 및 파인애플 추출액 2 내지 4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며, 상기 황칠 추출액은, 황칠나무를 준비한 후 분쇄하여 황칠나무 분말을 제조하되, 상기 황칠나무 분말은 500 내지 1500㎛의 입경을 가지고, 100 내지 1000m2/g의 비표면적을 가지도록 분쇄하고, 상기 분쇄된 황칠나무 분말을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되, 상기 분쇄된 황칠나무 분말의 건조는 온도 30 내지 35℃ 및 습도 35 내지 45%로 유지되는 건조기에서 10 내지 15시간 동안 수행되며, 상기 건조된 황칠나무 분말을 증숙하여 수증기로 찌되, 상기 건조된 황칠나무 분말의 증숙은 상기 건조된 황칠나무 분말을 140 내지 145℃의 온도 및 2.5 내지 3.5kgf/cm2의 압력에서 3 내지 6시간 동안 수증기로 가열함으로써 진행되고, 상기 증숙된 황칠나무 분말에 초음파를 가한 후 상기 황칠나무 분말 고형분을 제거하여 황칠나무 분말 추출액을 제조하되, 상기 초음파는 50 내지 100KHz의 진동주파수에서 50 내지 100분 동안 200 내지 300와트(watt)의 출력을 이용하여 추출하고, 상기 황칠나무 분말 추출액을 원심분리하여 황칠나무 분말의 미세 불순물들이 위치하는 하층액과, 상기 하층액 상부에 위치하는 중층액 및 상층액으로 위치적으로 구분하여 분리하며, 상기 원심분리된 황칠나무 분말 추출액의 중층액 및 상층액을 분리한 후, 상기 중층액 및 상층액을 가열하여 황칠나무 추출액을 제조하되, 상기 원심분리된 황칠나무 분말 추출액의 중층액 및 상층액을 분리한 후, 125 내지 135℃의 온도로 가열하여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황칠나무 분말에 포함되어 있는 유효성분들이 침출되어 형성된 겔 상태의 황칠나무 추출액을 제조하고, 황칠나무 생잎을 준비한 후 세척하여 상기 황칠나무 생잎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되, 상기 황칠나무 생잎의 세척은 상기 준비된 황칠나무 생잎을 2 내지 4(w/w)% 농도 및 30 내지 35℃의 온도의 탄산수소나트륨이 용해된 정제수에서 5 내지 10분 동안 침지시켜 세척하고, 상기 세척된 황칠나무 생잎을 건조기에서 건조하되, 상기 황칠나무 생잎을 온도 20 내지 25℃ 및 습도 35 내지 40%로 유지되는 건조기에서 5 내지 10시간 동안 건조하며, 상기 건조된 황칠나무 생잎을 정제수와 혼합한 후 가열하여 황칠나무 생잎 추출액을 제조하되, 상기 황칠나무 생잎 추출액은 상기 건조된 황칠나무 생잎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1500 내지 250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110 내지 120℃의 온도 및 2 내지 3kgf/cm2의 압력하에서 5 내지 10시간 동안 가열함으로써 황칠나무 생잎 추출액을 제조하고, 상기 황칠나무 추출액과 황칠나무 생잎 추출액을 혼합한 후 숙성시켜 황칠 추출액을 제조하되, 상기 황칠 추출액은 상기 황칠나무 추출액 및 황칠나무 생잎 추출액을 4:6 내지 6:4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5 내지 10℃의 온도에서 2 내지 5시간 보관하여 숙성함으로써 제조되고, 상기 트리플 히알루론산은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1 내지 2 중량부, 소듐 아세틸레이티드 히알루로네이트 0.005 내지 0.02 중량부, 하이드롤라이즈드 히알루로닉 애씨드 0.05 내지 0.2 중량부, 1,2-헥산디올 1 내지 3 중량부 및 정제수 90 내지 9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배합되어 제조되며, 상기 사과 추출액은, 사과를 준비하여 1 내지 3(w/w)% 농도 범위 및 25 내지 35℃의 온도를 가지는 탄산수소나트륨(NaHCO3)이 용해된 정제수에서 1 내지 3분 동안 침지시켜 세척하고, 상기 세척된 사과를 1 내지 3cm의 크기 단위로 분쇄하며, 상기 분쇄된 사과를 수증기를 이용하여 가열하여 찌되, 상기 수증기를 이용한 사과의 가열은 제1 가열 및 제2 가열의 단계를 거쳐 수행되고, 상기 제1 가열은 상기 분쇄된 사과를 60 내지 70℃ 온도의 수증기로 20 내지 30분 동안 가열하고, 상기 제2 가열은 상기 가열된 사과를 80 내지 90℃ 온도의 수증기로 1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하며, 상기 수증기로 가열된 사과를 건조하여 상기 사과에 잔류하고 있는 수분을 제거하되, 상기 사과의 건조는 60 내지 70℃의 온도에서 50 내지 100분 동안 수행되고, 상기 건조된 사과를 추출하여 사과 추출액을 제조하되, 상기 건조된 사과의 추출은 건조된 사과의 중량 대비 10 내지 20배의 정제수를 첨가한 후, 95 내지 105℃의 온도에서 5 내지 10시간 동안 열수 추출한 다음, 추출된 여액을 여과하여 고분자 섬유소 및 고형분을 제거함으로써 사과 열수 추출액을 제조하고, 상기 사과 열수 추출액을 65 내지 75℃의 온도로 유지하면서 30 내지 40브릭스(Brix)로 농축함으로써 사과 추출액을 제조하며, 상기 파인애플 추출액은, 파인애플을 준비한 후 1 내지 3(w/w)% 농도 범위 및 30 내지 40℃의 온도를 가지는 탄산수소나트륨이 용해된 정제수에 5 내지 10분 동안 침지시켜 세척하고, 상기 세척된 파인애플을 분쇄하되, 상기 파인애플의 분쇄는 상기 파인애플을 0.5 내지 2cm의 직경으로 분쇄하며, 상기 파인애플을 증숙하되, 상기 파인애플의 증숙은 제1 증숙 단계 및 제2 증숙 단계로 이루어진고, 상기 제1 증숙 단계는 상기 분쇄된 파인애플을 65 내지 75℃ 온도의 수증기로 10 내지 30분 동안 가열하는 단계이고, 상기 제2 증숙 단계는 상기 가열된 파인애플을 90 내지 95℃ 온도의 수증기로 50 내지 100분 동안 가열하는 단계이며, 상기 파인애플을 건조하되, 상기 파인애플의 건조는 상기 증숙된 파인애플을 70 내지 75℃의 온도에서 100 내지 200분 동안 수행되고, 상기 건조된 파인애플을 추출하여 파인애플 추출액을 제조하되, 상기 파인애플 추출액의 제조는 (a) 건조된 파인애플 1000~1200g에 70%(v/v) 에탄올수용액 10~12ℓ로 85 내지 90℃에서 3~4시간 동안 1차 추출한 다음, 70%(v/v) 에탄올수용액 4~6ℓ로 85 내지 90℃에서 2~3시간 동안 2차 추출을 완료하고, 진공회전증발기에서 1000 내지 1200㎖이 될 때까지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추출액에 물을 가하여 중량 대비 2 내지 3배로 희석하고, 14,000~15,000rpm에서 20 내지 3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고분자 섬유소 및 고형분을 완전히 제거한 다음, 모아진 상등액을 중량 대비 1.2~1.5배의 클로로포름으로 2회 추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클로로포름층을 제거하고, 수층을 중량 대비 1.2~1.5배의 에틸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하여 파인애플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에 의해 파인애플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티슈는 산화방지 효과가 있는 산화방지용액을 제조하고 이를 물티슈에 이용함으로써, 장기간 보관하는 경우에는 물티슈가 변성되는 것을 방지하고 피부를 닦아도 인체 무해하며 인체에 유익한 신진대사를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산화방지 효과가 있는 산화방지용액을 이용함으로써, 물티슈 사용의 만족감 및 관능성을 향상시켜 소비자의 기호도를 충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산화방지용액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화방지용액은 물을 공지의 수소발생기(또는, 수소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전기분해하여 제조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 제조되는 상기 산화방지용액의 pH는 7.5~9의 범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인 수돗물에는 양(+)이온, 음(-)이온, 산소, 수소(H), 염소, 인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중성수로서 알칼리수, 수소수 혹은 알칼리 이온수에 비해 인체에 유익하지 않다는 점에서 수돗물은 끓여 먹거나, 정수기를 통해 바로 물을 정수하여 미네랄 성분이 많은 알칼리수로 전환하여 식수로 사용한다.
상기 알카리 이온수는, pH가 높은 수치의 알칼리수인데, 수돗물과 일반 정수기의 7 정도의 pH와는 높은 알칼리수 정수기는 그 내부를 저장된 수돗물이 전해조에서 음극과 양극 사이에 설치된 격막에 직류전기를 흘려 전기분해로서 음극판에 미네랄 성분이 많은 물을 만들어 내고, 필터에 걸러져 깨끗한 식수를 얻을 수 있다
통상적인 전기분해에 의한 알칼리수의 전해환원수 생성에 따라 양(+)이온은 증가하기 때문에 칼륨, 칼슘, 나트륨, 마그네슘, 망간 등의 미네랄성분이 증가하기 때문에 인체에 유익할 뿐만 아니라 전기분해된 물은 일반적인 수돗물, 생수에 비해 물분자(클러스터)가 치밀해지기 때문에 물 분자의 운동성이 활발하고, 인체에 흡수가 빠른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산화방지용액은 통상적인 물 또는 수돗물을 공지의 수소발생기(또는, 수소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전기분해하여 제조될 수 있는데, 공지의 수소발생기에 마련된 전원버튼을 눌러 전압를 가하면, 전극부를 통해 상기 수소발생기의 용기 내에 담긴 물은 전기분해가 이루어진다.
즉, 물을 전기분해가 이루어지면서 이때 물 분자는 음극과 양극으로 나뉘어지며, 이때 음극측에서는 수소가 함유된 pH가 중성 이상의 활성수소수로 만들어 주고, 이와 같이 물의 환원이 이루어진 농도는 음극측에서 수소수(알칼리 이온수)를 얻을 수 있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pH 7.5~9의 범위를 가지는 산화방지용액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전기분해에 따른 수소 발생은 수소가 용존된 것이 아닌 수산이온이 함유된 것인데, 상기와 같이 환원된 물은 산성이 포함된 일반 식수에 비해 노화를 방지하는 효과와 함께 각종 질병 등을 예방할 수 있는데 도움을 준다.
상기와 같이 물을 공지의 수소발생기(또는, 수소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전기분해하여 육각수를 제조할 수 있는데, 지구 표면의 70% 이상이 물에 덮혀 있고 신생아는 97%, 성인은 70%(shlssm 75%, 뼈는 22%, 치아의 상아질은 2%)가 물로 구성되어 있다.
물분자 H2O가 육각형 고리구조를 이루고 있는 상태를 육각수라고 하는데, 단백질 분자 1개당 물분자 7만 여 개가 둘러싸고 있고, 이 둘러싼 물 분자를 「구조화된 물 분자」라 한다. 구조화된 물 분자는 6각수 62%, 5각수 24%, 4각수 등이 14%의 비율로 구성되어 있다.
6각수 비율이 낮아지면 세포 활동을 혼란시키고 저하시켜 질병을 유발한다. 6각수는 체내 산소 부족을 해소하고, 성인병 예방 및 치유, 면역 기능 향상, 노화 지연, 혈액 순환 및 신진대사 촉진, 노폐물·독소 체외 배출, 암 예방 및 치유 등의 효능을 갖는다. 사람이 나이가 들면 세포 내의 물구조가 깨져 외부로 빠져 나가 피부가 주름지는 노화 현상이 생긴다. 물은 모든 세포 안팎의 물질 교환에서 생명 정보의 전달을 상호 가능케 하는 통로다. 건강과 장수의 열쇠는 바로 물이다. 모든 생명의 작동 과정에 물이 관여한다. 건강한 물은 정보 수집과 전송을 가능케 하는 튼튼한 3차원의 크리스탈 같은 미세한 구조를 갖고 있다. 인간은 아무런 고형식을 먹지 않고도 몇 주일 동안 생존할 수 있지만, 물은 단 몇 일만 마시지 않아도 죽는다. 세포를 둘러 싸고 있는 세포외액의 단 2%를 잃는 것은 20%의 에너지 소모를 의미한다. 결국 어떤 물을 얼마나, 어떻게 먹느냐가 우리의 건강과 수명을 좌우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공지의 수소발생기(또는, 수소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되지만, 공간에너지 방사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최근 물리학 이론에 의하면 공간은 꽉 차있을 뿐만 아니라, 요동치고 있다고 표현하는데, 공간은 요동치면서 물질을 생성하기도 하고 물질이 유지될 수 있도록 에너지를 제공하기도 한다. 공간에 내재하는 에너지를 이용하는 가장 대표적인 방법이 바로 피라미드이다. 피라미드는 매우 특수한 성질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피라미드 안에서는 우유나 고기의 부패가 억제되고 꽃이 잘 시들지 않으며 담배와 술이 매우 순해지고 심지어는 오래 사용한 면도날도 재생된다고 한다.
피라미드 이외에도 공간에너지를 이용하는 방법에 다양하게 개발되었는데, 기하학적인 도형의 대칭과 균형을 응용해 공간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공간에너지 방사 장치가 최근에 개발되었다.
상기 공간 에너지 방사 장치를 이용한 실험 결과, 이 장치는 피라미드와 같이 우유와 고기의 부패를 억제하며 이 장치를 물에 처리했을 경우 물의 전기 전도도가 증가하며 개면활성이 증가해서 물과 기름이 잘 섞이는 등의 물성 변화가 관찰되었다.
이 물을 사용하면 꽃이 잘 시들지 않으며 동식물의 성장이 촉진되는 등 생리 활성이 증가하고, 공간에너지를 고기에 처리하면 오랜 시간이 흘러도 드립 현상이 생기지 않는다. 그리고 고기를 얼렸다 녹여도 육즙이 흘러 나오지 않고 조직이 얼리기 전 같이 치밀하게 유지되고 색과 맛이 생고기와 같이 그대로 나타난다. 고기를 구을 때도 고기의 누린내가 전혀 나지 않을 뿐 아니라 많은 사람들로부터 생고기보다 더 맛있다는 평을 받고 시간이 지나면서 오히려 더 맛있게 변하며 회를 얼렸다 녹여도 맛이 그래도 유지된다.
그리고 이 장치로 술을 처리하면 술맛이 매우 부드러워질 뿐 아니라 숙취가 줄어들었으며 술을 담글 때 숙성 기간이 대폭 단축된다.
이러한 공간에너지 방사 장치는 단지 술의 숙성 뿐 아니라 발효를 필요로 하는 모든 식품에 응용 가능하고 기능성 물을 대량으로 만드는 데도 사용될 수 있다.
공간에너지로 처리한 물은 실험실 실험에서 면역 기능을 상승시켰고 이 물을 사람들이 마시자 아토피성 피부염이 사라지고 당뇨와 고혈압 등의 만성질환이 치유되었다. 뿐만 아니라 공간에너지 장치를 설치한 곳에서는 사람들이 건강해지고 병이 치유되기도 했다. 공간에너지는 환경 오염을 제거하는 데에도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산화방지용액을 포함하는 물티슈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산화방지용액을 이용하여 물티슈를 제조하는 것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한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산화방지용액을 이용하여 막걸리, 음료수를 제조하거나 증류수로도 이용하는 구성 등에도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티슈는 산화방지용액을 포함하여 제조되는데, 상기 산화방지용액은 물을 공지의 수소발생기(또는, 수소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전기분해하여 제조되고, 상기 산화방지용액의 pH는 7.5~9의 범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물티슈에 항균성을 가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산화방지용액 이외에 항균 조성물을 더 포함할 수도 있는데, 상기 항균 조성물은 산화방지용액 100 중량부에 대해 10 내지 3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항균 조성물은 이산화규소 나노입자, 이산화티탄(TiO2), 나노은 분말, 황칠 추출액, 트리플 히알루론산 및 파인애플 추출액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항균 조성물은 이산화규소 나노입자 1 내지 3 중량부, 이산화티탄(TiO2) 0.1 내지 1 중량부, 나노은 분말 0.1 내지 1 중량부, 황칠 추출액 1 내지 2 중량부, 트리플 히알루론산 0.5 내지 1.5 중량부, 사과 추출액 1 내지 2 중량부 및 파인애플 추출액 2 내지 4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이산화규소(Silicon dioxide, SiO2)는 규소의 산화물로 실리카(silica) 라고도 하며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것으로 잘 알려진 뮬라이트(mullite), 근청석, 황토 등의 주요 구성요소로 사용된다. 상기 이산화규소는 적은 양으로도 많은 양의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효능을 가지며 값도 저렴한데, 비결정성 실리카는 인체 발암성이 없는 것으로 평가되어 화장품의 주된 원료로 사용되며, 인체에 유해성은 알려진 바 없다.
상기 이산화티탄 및 나노은 분말은 광촉매로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광촉매는(光觸媒, photocatalyst)는 빛을 받아들여 화학반응을 촉진시키는 물질을 말하는 것으로, 이러한 광촉매는 주로 띠 간격에너지(band gap energy) 이상의 빛 에너지가 조사되었을 때 전자와 정공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정공에 의해 수산화라디칼(-OH)이 생성되게 되며, 상기 수산화라디칼의 강력한 산화력을 통해 그 표면에 흡착된 기상 또는 액상의 유기물을 분해하는 이른바 '광산화반응'을 일으키는 물질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광촉매는 빛 에너지를 흡수함으로써 촉매활성을 나타내게 되는데, 이때 발생하는 강력한 산화력으로 유해물질을 산화, 분해하게 된다. 이러한 광촉매는 그 특성을 이용하여 박테리아, 미생물, 유기물질들을 분해하는 유기오탁수의 정화에 주로 활용되고 있다.
상기 이산화티탄은 빛을 받으면 벤젠ㆍ톨루엔ㆍ포름알데히드 등과 같은 유해물질을 분해하여 물과 이산화탄소로 만드는 특성이 있고, 저렴하고 인체에 무해하는 등 여러 가지 장점이 있고, 상기 나노은(Ag)은 이산화티탄과 함께 혼합되어 항균성 광촉매의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첨가되며, 상기 나노은(Ag)을 첨가함으로써, 광산화반응을 촉진하고 혼합성 및 도포성을 좋게 하며, 항균성, 항곰팡이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황칠 추출액은 황칠나무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a Lev)는 두릅나무과 오갈피속의 상록활엽교목으로 높이 15m 이상까지 자라는 한국 고유의 토종나무이다. 어린 가지는 녹색이며 광택이 있고, 꽃은 6월에 피며, 길이 7~19mm의 열매가 검게 익는다. 최저기온이 영하 2℃ 이상, 연 평균기온이 12~15℃ 이상인 지역에서 자라는 난대성 식물이다.
세계적으로 황칠을 분비하는 황칠나무는 한반도 서남부 내륙과 해안, 도서, 그리고 제주도에서만 자라는 희귀종이며, 현재는 그 수량이 극히 제한되어 있는데, 황칠은 황금빛을 띤다 하여 금칠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황칠의 금빛은 햇볕에 드러나면 더욱 찬란해지고, 검정색을 내는 옻칠과는 달리 제품의 무늬와 색깔을 그대로 살려주면서 황금빛을 입혀주는 특징이 있다.
황칠은 일반적으로 황금색 도막을 형성하는 도료 성분인 비휘발 성분 66.7%, 방향성분 10.8%, 수분 8.1%, 고형분 14.4%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방향 성분은 주로 세스퀴테르펜류의 β-쿠베벤(cubebene), γ-셀리넨(selinene), δ-카디넨 (cadinene) 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황칠에 포함된 방향 성분은 심신을 맑고 편안하게 해주는 안식향으로서의 가치뿐만 아니라 다양한 약리작용을 가지고 있어 향수, 화장료나 기능성 식음료로서의 이용가치가 높다.
상기 황칠 추출액은 하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황칠 추출액은 황칠나무를 준비한 후, 볼 밀링(ball milling) 장치와 같은 공지의 분쇄기를 이용하여 황칠나무 분말을 제조할 수 있는데, 상기 황칠나무 분말은 500 내지 1500㎛의 입경을 가지고, 100 내지 1000m2/g의 비표면적을 가지도록 분쇄될 수 있다.
상기 황칠나무 분말이 500㎛의 입경 또는 100m2/g의 비표면적 미만으로 분쇄되는 경우에는 분쇄 시간이 지연되고 분진이나 미세 분말에 의해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1500㎛의 입경 또는 1000m2/g의 비표면적을 초과하여 분쇄되는 경우에는 상기 황칠나무 분말 내부에 함유되어 있는 유효성분들이 용이하게 추출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분쇄된 황칠나무 분말을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데, 상기 분쇄된 황칠나무 분말의 건조는 온도 30 내지 35℃ 및 습도 35 내지 45%로 유지되는 건조기에서 10 내지 15시간 동안 건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공정 조건으로 황칠나무 분말을 건조하여 황칠나무 분말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이 점진적으로 고르게 증발되도록 함으로써, 황칠나무의 유용성분을 보다 용이하게 추출시킬 수 있고, 황칠나무 분말의 세포조직의 파괴로 공기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황칠나무 분말의 유용성분이 진하게 추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건조된 황칠나무 분말을 증숙하여 수증기로 찔 수 있다.
상기 건조된 황칠나무 분말의 증숙은 일정한 압력하에서 일정한 온도의 수증기로 가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건조된 황칠나무 분말을 140 내지 145℃의 온도 및 2.5 내지 3.5kgf/cm2의 압력에서 3 내지 6시간 동안 수증기로 가열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건조된 황칠나무 분말의 증숙이 상기한 공정 조건의 하한 미만으로 수행되는 경우에는 황칠나무 분말이 충분히 증숙되지 못하여 추후 공정에서 짧은 시간 내에 충분한 추출액을 제조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한 공정 조건의 상한을 초과하여 수행되는 경우에는 황칠나무 분말의 유효성분이 휘발되거나 더 이상의 증숙의 효과 증가가 미미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증숙된 황칠나무 분말에 초음파를 가한 후 상기 황칠나무 분말 고형분을 제거하여 황칠나무 분말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황칠나무 분말 추출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증숙된 황칠나무 분말을 용매와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한 후, 초음파 추출기에 투입하여 상기 혼합액에 초음파를 가함으로써 황칠나무 분말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는데, 상기 용매로는 물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황칠나무 분말 추출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혼합액에 가해지는 초음파는 50 내지 100KHz의 진동주파수에서 50 내지 100분 동안 200 내지 300와트(watt)의 출력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황칠나무 분말 추출액을 원심분리할 수 있다.
상기 황칠나무 분말 추출액에는 용매 및 황칠나무 분말에서 추출된 유용성분이 침출되어 있는데, 상기 황칠나무 분말에서 추출된 유용성분들이 침출되어 있는 황칠나무 분말 추출액을 원심분리함으로써, 황칠나무 분말의 미세 불순물들이 위치하는 하층액과, 상기 하층액 상부에 위치하는 중층액 및 상층액으로 위치적으로 구분하여 분리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원심분리된 황칠나무 분말 추출액의 중층액 및 상층액을 분리한 후, 상기 중층액 및 상층액을 가열하여 황칠나무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황칠나무 추출액 제조 단계에서는 상기 원심분리된 황칠나무 분말 추출액의 중층액 및 상층액을 분리한 후, 125 내지 135℃의 온도로 가열하여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황칠나무 분말에 포함되어 있는 유효성분들이 침출되어 형성된 겔 상태의 황칠나무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다.
이어서, 황칠나무 생잎을 준비한 후 세척하여 상기 황칠나무 생잎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황칠나무 생잎의 세척은 상기 준비된 황칠나무 생잎을 탄산수소나트륨이 용해된 정제수를 이용할 수 있는데, 2 내지 4(w/w)% 농도 및 30 내지 35℃의 온도의 탄산수소나트륨 용액에서 5 내지 10분 동안 침지시켜 세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세척된 황칠나무 생잎을 건조기에서 건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황칠나무 생잎의 건조는 햇빛 건조시 상기 황칠나무 생잎의 엽록소가 파괴되고 유용 성분이 휘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황칠나무 생잎을 온도 20 내지 25℃ 및 습도 35 내지 40%로 유지되는 건조기에서 5 내지 10시간 동안 건조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건조된 황칠나무 생잎을 정제수와 혼합한 후 가열하여 황칠나무 생잎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황칠나무 생잎 추출액은 상기 건조된 황칠나무 생잎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1500 내지 250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110 내지 120℃의 온도 및 2 내지 3kgf/cm2의 압력하에서 5 내지 10시간 동안 가열함으로써 황칠나무 생잎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황칠나무 추출액과 황칠나무 생잎 추출액을 혼합한 후 숙성시켜 황칠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는데, 상기 황칠 추출액은 상기 황칠나무 추출액 및 황칠나무 생잎 추출액을 4:6 내지 6:4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5 내지 10℃의 온도에서 2 내지 5시간 보관하여 숙성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트리플 히알루론산은 소듐 히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소듐 아세틸레이티드 히알루로네이트(Sodium Acetylated Hyaluronate), 하이드롤라이즈드 히알루로닉 애씨드(Hydrolyzed Hyaluronic acid), 1,2-헥산디올(1,2-Hexanediol) 및 정제수(Water)를 일정한 중량 비율로 계량하여 제조되는데, 상기 트리플 히알루론산은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1 내지 2 중량부, 소듐 아세틸레이티드 히알루로네이트 0.005 내지 0.02 중량부, 하이드롤라이즈드 히알루로닉 애씨드 0.05 내지 0.2 중량부, 1,2-헥산디올 1 내지 3 중량부 및 정제수 90 내지 9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배합되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트리플 히알루론산은 3종류의 히알루론산, 즉,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소듐 아세틸레이티드 히알루로네이트 및 하이드롤라이즈드 히알루로닉 애씨드를 포함하여 제조되는데, 본 발명에서 상기 하이드롤라이즈드 히알루로닉 애씨드(Hydrolyzed Hyaluronic Acid)는 피부에 침투 및 흡수되어 피부 속의 보습력을 높일 수 있고, 상기 소듐 히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는 피부 표면에서 막을 형성하여 수분증발을 낮추며, 상기 소듐 아세틸레이티드 히알루로네이트(Sodium Acetylated Hyaluronate)는 보유하고 있는 아세틸기가 소수성(Hydrophobic)의 성질을 보유하고 있어서 피부에 잘 부착되는 닻(Anchor) 역할을 함으로써 피부 부착력을 높여줌과 더불어 각각의 히알루론산과 함께 보습 시너지(Synergy)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트리플 히알루론산을 제조하기 위하여, 원재료를 준비한 후 계량할 수 있다.
상기 트리플 히알루론산을 제조하기 위한 원재료로는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소듐 아세틸레이티드 히알루로네이트, 하이드롤라이즈드 히알루로닉 애씨드, 1,2-헥산디올 및 정제수가 준비될 수 있고, 상기 원재료는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1 내지 2 중량부, 소듐 아세틸레이티드 히알루로네이트 0.005 내지 0.02 중량부, 하이드롤라이즈드 히알루로닉 애씨드 0.05 내지 0.2 중량부, 1,2-헥산디올 1 내지 3 중량부 및 정제수 90 내지 9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계량되어 준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계량된 정제수를 교반기에 투입한 후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소듐 아세틸레이티드 히알루로네이트 및 하이드롤라이즈드 히알루로닉 애씨드를 투입하고 30 내지 40℃의 온도에서 500 내지 1000RPM의 교반속도로 교반하여 상기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소듐 아세틸레이티드 히알루로네이트 및 하이드롤라이즈드 히알루로닉 애씨드 파우더를 용해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소듐 아세틸레이티드 히알루로네이트 및 하이드롤라이즈드 히알루로닉 애씨드가 용해된 정제수에 1,2-헥산디올을 투입한 후 30 내지 40℃의 온도에서 500 내지 1000RPM의 교반속도로 교반하고 여과 탈포 등의 공지된 공정을 거쳐 본 발명에 따른 트리플 히알루론산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사과 추출액은 하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먼저, 사과 추출액을 제조할 사과를 준비하여 세척함으로써, 상기 사과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사과는 저장품 또는 현지 생산품인 국내산 사과를 사용하며, 상기 사과의 세척은 탄산수소나트륨(NaHCO3)이 용해된 정제수를 이용하여 상기 사과의 표면을 세척할 수 있는데, 상기 탄산수소나트륨이 용해된 정제수를 이용하여 상기 사과의 표면을 세척함으로써, 상기 사과의 표면에 잔류하는 농약 성분이나 중금속, 곰팡이 제거의 세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탄산수소나트륨(NaHCO3)은 식품첨가물로도 이용되는 것으로, 독성이 없으며 침투, 확산, 팽창 등의 기능을 가져 사과의 표면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는데, 상기 탄산수소나트륨은 1 내지 3(w/w)% 농도 범위를 가지고, 25 내지 35℃의 온도에서 1 내지 3분 동안 침지시켜 세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세척된 사과를 일정한 크기 단위로 분쇄할 수 있다.
상기 사과의 분쇄는 짧은 시간 내에 사과로부터 유효 성분이 효과적으로 추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분쇄기 또는 믹서기 등을 이용하여 상기 사과를 1 내지 3cm의 조각으로 분쇄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사과가 1cm 미만으로 분쇄되는 경우에는 사과 미분에 의한 작업성이 나빠질 수 있고, 3cm를 초과하여 분쇄되는 경우에는 추후 공정에서 사과의 내부까지 균일하게 가열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분쇄된 사과를 수증기를 이용하여 가열함으로써, 상기 사과를 수증기로 찔 수 있다.
상기 수증기를 이용한 사과의 가열은 상기 사과의 내부까지 효과적으로 찌기 위하여 제1 가열 및 제2 가열의 단계를 거쳐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가열은 상기 분쇄된 사과를 60 내지 70℃ 온도의 수증기로 20 내지 30분 동안 가열할 수 있고, 상기 제2 가열은 상기 가열된 사과를 80 내지 90℃ 온도의 수증기로 1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가열이 60℃ 미만의 온도 또는 20분 미만으로 수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사과의 표면과 내부가 수증기에 의해 균일하게 가열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70℃ 초과의 온도 또는 30분을 초과하여 수행되는 경우에는 사과의 표면 및 내부의 온도가 균일하게 예열되어 더 이상의 효과 증가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가열이 80℃ 미만의 온도 또는 1시간 미만으로 수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사과가 충분히 가열되지 못하여 추후 공정에서 짧은 시간 내에 추출액을 제조하기 어렵고, 90℃ 초과의 온도 또는 3시간을 초과하여 수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사과의 유효성분이 휘발하거나 사과의 물성이 약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수증기로 가열된 사과를 건조하여 상기 사과에 잔류하고 있는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사과의 건조는 상기 가열된 사과를 일정 시간 및 온도하에서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추후 공정에서 상기 사과의 추출액을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다.
상기 사과의 건조는 60 내지 70℃의 온도에서 50 내지 100분 동안 수행될 수 있는데, 상기 사과의 건조가 60℃ 미만의 온도 또는 50분 미만으로 수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수증기에 의해 가열된 사과에 잔류하는 수분이 충분히 제거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70℃ 초과의 온도 또는 100분을 초과하여 수행되는 경우에는 더 이상의 잔류 수분이 제거되지 않거나 사과의 물성이 변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건조된 사과를 추출하여 사과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건조된 사과의 추출은 열수 추출법을 이용할 수 있는데, 상기 건조된 사과의 추출은 건조된 사과의 중량 대비 10 내지 20배의 정제수를 첨가한 후, 95 내지 105℃의 온도에서 5 내지 10시간 동안 열수 추출한 다음, 추출된 여액을 여과하여 고분자 섬유소 및 고형분을 제거함으로써 사과 열수 추출액을 제조하고, 상기 사과 열수 추출액을 65 내지 75℃의 온도로 유지하면서 30 내지 40브릭스(Brix)로 농축함으로써 사과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파인애플 추출액은 하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파인애플 추출액이 사용될 수 있다.
먼저, 파인애플을 준비한 후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파인애플의 세척은 탄산수소나트륨(NaHCO3)이 용해된 정제수를 이용하여 세척할 수 있는데, 상기 탄산수소나트륨이 용해된 정제수를 이용하여 상기 파인애플의 표면을 세척함으로써, 상기 파인애플의 표면에 잔류되어 있는 농약 성분이나 중금속, 곰팡이 제거의 세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탄산수소나트륨(NaHCO3)은 식품첨가물로도 이용되는 것으로, 독성이 없으며 침투, 확산, 팽창 등의 기능을 가져 파인애플의 표면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는데, 상기 탄산수소나트륨은 1 내지 3(w/w)% 농도 범위를 가지고, 30 내지 40℃의 온도에서 5 내지 10분 동안 세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세척된 파인애플을 분쇄할 수 있다.
상기 파인애플의 분쇄는 짧은 시간 내에 파인애플으로부터 유효 성분이 추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분쇄기 또는 믹서기 등을 이용하여 상기 파인애플을 0.5 내지 2cm의 직경으로 분쇄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파인애플을 증숙할 수 있다.
상기 파인애플의 증숙은 상기 분쇄된 파인애플을 가열하여 수증기로 찌는 것인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파인애플을 효과적으로 증숙하기 위하여 제1 증숙 단계 및 제2 증숙 단계, 즉 두 단계의 증숙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파인애플의 증숙 과정에서 상기 제1 증숙 단계는 상기 분쇄된 파인애플을 65 내지 75℃ 온도의 수증기로 10 내지 30분 동안 가열하는 단계이고, 상기 제2 증숙 단계는 상기 가열된 파인애플을 90 내지 95℃ 온도의 수증기로 50 내지 100분 동안 가열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증숙 단계가 65℃ 미만의 온도 또는 10분 미만으로 수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파인애플의 표면과 외부가 수증기에 의해 균일하게 증숙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75℃ 초과의 온도 또는 30분을 초과하여 수행되는 경우에는 파인애플의 표면 및 내부의 온도가 균일하게 예열되어 더 이상의 효과 증가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증숙 단계가 90℃ 미만의 온도 또는 50분 미만으로 수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파인애플이 충분히 증숙되지 못하여 추후 공정에서 짧은 시간 내에 추출액을 제조하기 어렵고, 95℃ 초과의 온도 또는 100분을 초과하여 수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파인애플의 유효성분이 휘발되거나 파인애플의 물성이 약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파인애플을 건조할 수 있다.
상기 파인애플의 건조는 상기 증숙된 파인애플을 70 내지 75℃의 온도에서 100 내지 200분 동안 수행될 수 있는데, 상기 파인애플의 건조가 70℃ 미만의 온도 또는 100분 미만으로 수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증숙된 파인애플에 잔류하는 수분이 충분히 제거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75℃ 초과의 온도 또는 200분을 초과하여 수행되는 경우에는 더 이상의 잔류 수분이 제거되지 않거나 파인애플의 물성이 변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건조된 파인애플을 추출하여 파인애플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건조된 파인애플의 추출은 용매 추출법, 열수 추출법 또는 초임계 추출법과 같은 공지된 추출법을 이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파인애플 추출액의 제조는 (a) 건조된 파인애플 1000~1200g에 70%(v/v) 에탄올수용액 10~12ℓ로 85 내지 90℃에서 3~4시간 동안 1차 추출한 다음, 70%(v/v) 에탄올수용액 4~6ℓ로 85 내지 90℃에서 2~3시간 동안 2차 추출을 완료하고, 진공회전증발기에서 1000 내지 1200㎖이 될 때까지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추출액에 물을 가하여 중량 대비 2 내지 3배로 희석하고, 14,000~15,000rpm에서 20 내지 3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고분자 섬유소 및 고형분을 완전히 제거한 다음, 모아진 상등액을 중량 대비 1.2~1.5배의 클로로포름으로 2회 추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클로로포름층을 제거하고, 수층을 중량 대비 1.2~1.5배의 에틸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하여 파인애플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에 의해 파인애플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산화방지용액을 포함하는 물티슈에 대한 실시예를 들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 실시예 >
먼저, 물을 공지의 수소발생기를 이용하여 전기분해하여 pH 7.5~9의 범위를 가지는 산화방지용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산화방지용액 100 중량부에 대해 항균 조성물이 2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도록 하였고, 상기 산화방지용액은 건조된 물티슈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5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항균 조성물로는 이산화규소 나노입자 2 중량부, 이산화티탄(TiO2) 0.5 중량부, 나노은 분말 0.5 중량부, 황칠 추출액 1.5 중량부, 트리플 히알루론산 1 중량부, 사과 추출액 1.5 중량부 및 파인애플 추출액 3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도록 하였다.
< 비교예 1 >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물티슈를 구입하여 비교예 1에 따른 물티슈로 사용하였다.
< 비교예 2 >
실시예와 동일하게 물티슈를 제조하였는데, 비교예 2에서는 실시예와 달리 산화방지용액이 포함되지 않도록 하였다.
< 비교예 3 >
실시예와 동일하게 물티슈를 제조하였는데, 비교예 3에서는 실시예와 달리 항균 조성물이 포함되지 않도록 하였다.
1. 기호도 평가
상기와 같이 실시예들과, 비교예들에 따라 제조된 물티슈의 끈적임, 청량감 등 기호도에 대하여 관능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관능시험은 일반 소비자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점수 및 평가기준은 9점 채점법을 이용하였으며,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점수 평가 기준
9 매우 좋음
7 좋음
5 보통
3 나쁨
1 매우 나쁨
구분 청량감 끈적임 종합적 기호도
실시예 8.5 8.5 8.5
비교예 1 6.2 6.4 6.3
비교예 2 5.3 5.2 5.2
비교예 3 5.1 5.2 5.1
전술한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들에 따라 제조된 물티슈가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물티슈에 비해 청량감, 끈적임 등에 대한 기호도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가려움 평가
관능 검사 요원으로 20~30대 여성 및 남성 30명을 선발하여 양쪽 팔에 물티슈를 사용하게 한 후, 1시간 경과 후 홍반, 가려움 등의 피부 부작용 여부를 조사하여, 피부자극이 있는지 여부에 대하여 판단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3]에 기재하였다
구분 피부 부작용 여부
실시예 X
비교예 1 X
비교예 2 X
비교예 3 X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실시예 및 비교예들에 따라 제조된 물티슈는 홍반, 가려움 등의 피부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고 인체 무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항균 시험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물티슈를 이용하여 사용균주 Escherichia coil ATCC 25922 및 Pseudomonas aeruginosa ATCC 15442을 이용하여 항균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의 [표 4]에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시료 구분 초기농도 48시간 후 농도(CFU/40p)
대장균에 의한 시험 비교예 3 555 960
실시예 555 265
녹동균에 의한 시험 비교예 3 425 760
실시예 425 280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비교예 3에 따른 물티슈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세균이 증가하고 있으나,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는 세균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기서, 농도의 단위 중 CFU는 Colony Forming Unit를 의미하며 40p는 0.04mL를 의미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물을 수소발생기로 전기분해하여 생성되고 미네랄을 포함하는 알칼리수인 산화방지용액을 포함하고,
    상기 산화방지용액의 pH는 7.5~9의 범위를 가지며,
    상기 산화방지용액은 항균 조성물을 더 포함하되, 상기 항균 조성물은 산화방지용액 100 중량부에 대해 10 내지 3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고, 상기 항균 조성물은 이산화규소 나노입자 1 내지 3 중량부, 이산화티탄(TiO2) 0.1 내지 1 중량부, 나노은 분말 0.1 내지 1 중량부, 황칠 추출액 1 내지 2 중량부, 트리플 히알루론산 0.5 내지 1.5 중량부, 사과 추출액 1 내지 2 중량부 및 파인애플 추출액 2 내지 4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며,
    상기 황칠 추출액은,
    황칠나무를 준비한 후 분쇄하여 황칠나무 분말을 제조하되, 상기 황칠나무 분말은 500 내지 1500㎛의 입경을 가지고, 100 내지 1000m2/g의 비표면적을 가지도록 분쇄하고, 상기 분쇄된 황칠나무 분말을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되, 상기 분쇄된 황칠나무 분말의 건조는 온도 30 내지 35℃ 및 습도 35 내지 45%로 유지되는 건조기에서 10 내지 15시간 동안 수행되며, 상기 건조된 황칠나무 분말을 증숙하여 수증기로 찌되, 상기 건조된 황칠나무 분말의 증숙은 상기 건조된 황칠나무 분말을 140 내지 145℃의 온도 및 2.5 내지 3.5kgf/cm2의 압력에서 3 내지 6시간 동안 수증기로 가열함으로써 진행되고, 상기 증숙된 황칠나무 분말에 초음파를 가한 후 상기 황칠나무 분말 고형분을 제거하여 황칠나무 분말 추출액을 제조하되, 상기 초음파는 50 내지 100KHz의 진동주파수에서 50 내지 100분 동안 200 내지 300와트(watt)의 출력을 이용하여 추출하고, 상기 황칠나무 분말 추출액을 원심분리하여 황칠나무 분말의 미세 불순물들이 위치하는 하층액과, 상기 하층액 상부에 위치하는 중층액 및 상층액으로 위치적으로 구분하여 분리하며, 상기 원심분리된 황칠나무 분말 추출액의 중층액 및 상층액을 분리한 후, 상기 중층액 및 상층액을 가열하여 황칠나무 추출액을 제조하되, 상기 원심분리된 황칠나무 분말 추출액의 중층액 및 상층액을 분리한 후, 125 내지 135℃의 온도로 가열하여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황칠나무 분말에 포함되어 있는 유효성분들이 침출되어 형성된 겔 상태의 황칠나무 추출액을 제조하고, 황칠나무 생잎을 준비한 후 세척하여 상기 황칠나무 생잎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되, 상기 황칠나무 생잎의 세척은 상기 준비된 황칠나무 생잎을 2 내지 4(w/w)% 농도 및 30 내지 35℃의 온도의 탄산수소나트륨이 용해된 정제수에서 5 내지 10분 동안 침지시켜 세척하고, 상기 세척된 황칠나무 생잎을 건조기에서 건조하되, 상기 황칠나무 생잎을 온도 20 내지 25℃ 및 습도 35 내지 40%로 유지되는 건조기에서 5 내지 10시간 동안 건조하며, 상기 건조된 황칠나무 생잎을 정제수와 혼합한 후 가열하여 황칠나무 생잎 추출액을 제조하되, 상기 황칠나무 생잎 추출액은 상기 건조된 황칠나무 생잎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1500 내지 250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110 내지 120℃의 온도 및 2 내지 3kgf/cm2의 압력하에서 5 내지 10시간 동안 가열함으로써 황칠나무 생잎 추출액을 제조하고, 상기 황칠나무 추출액과 황칠나무 생잎 추출액을 혼합한 후 숙성시켜 황칠 추출액을 제조하되, 상기 황칠 추출액은 상기 황칠나무 추출액 및 황칠나무 생잎 추출액을 4:6 내지 6:4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5 내지 10℃의 온도에서 2 내지 5시간 보관하여 숙성함으로써 제조되고,
    상기 트리플 히알루론산은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1 내지 2 중량부, 소듐 아세틸레이티드 히알루로네이트 0.005 내지 0.02 중량부, 하이드롤라이즈드 히알루로닉 애씨드 0.05 내지 0.2 중량부, 1,2-헥산디올 1 내지 3 중량부 및 정제수 90 내지 9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배합되어 제조되며,
    상기 사과 추출액은,
    사과를 준비하여 1 내지 3(w/w)% 농도 범위 및 25 내지 35℃의 온도를 가지는 탄산수소나트륨(NaHCO3)이 용해된 정제수에서 1 내지 3분 동안 침지시켜 세척하고, 상기 세척된 사과를 1 내지 3cm의 크기 단위로 분쇄하며, 상기 분쇄된 사과를 수증기를 이용하여 가열하여 찌되, 상기 수증기를 이용한 사과의 가열은 제1 가열 및 제2 가열의 단계를 거쳐 수행되고, 상기 제1 가열은 상기 분쇄된 사과를 60 내지 70℃ 온도의 수증기로 20 내지 30분 동안 가열하고, 상기 제2 가열은 상기 가열된 사과를 80 내지 90℃ 온도의 수증기로 1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하며, 상기 수증기로 가열된 사과를 건조하여 상기 사과에 잔류하고 있는 수분을 제거하되, 상기 사과의 건조는 60 내지 70℃의 온도에서 50 내지 100분 동안 수행되고, 상기 건조된 사과를 추출하여 사과 추출액을 제조하되, 상기 건조된 사과의 추출은 건조된 사과의 중량 대비 10 내지 20배의 정제수를 첨가한 후, 95 내지 105℃의 온도에서 5 내지 10시간 동안 열수 추출한 다음, 추출된 여액을 여과하여 고분자 섬유소 및 고형분을 제거함으로써 사과 열수 추출액을 제조하고, 상기 사과 열수 추출액을 65 내지 75℃의 온도로 유지하면서 30 내지 40브릭스(Brix)로 농축함으로써 사과 추출액을 제조하며,
    상기 파인애플 추출액은,
    파인애플을 준비한 후 1 내지 3(w/w)% 농도 범위 및 30 내지 40℃의 온도를 가지는 탄산수소나트륨이 용해된 정제수에 5 내지 10분 동안 침지시켜 세척하고, 상기 세척된 파인애플을 분쇄하되, 상기 파인애플의 분쇄는 상기 파인애플을 0.5 내지 2cm의 직경으로 분쇄하며, 상기 파인애플을 증숙하되, 상기 파인애플의 증숙은 제1 증숙 단계 및 제2 증숙 단계로 이루어진고, 상기 제1 증숙 단계는 상기 분쇄된 파인애플을 65 내지 75℃ 온도의 수증기로 10 내지 30분 동안 가열하는 단계이고, 상기 제2 증숙 단계는 상기 가열된 파인애플을 90 내지 95℃ 온도의 수증기로 50 내지 100분 동안 가열하는 단계이며, 상기 파인애플을 건조하되, 상기 파인애플의 건조는 상기 증숙된 파인애플을 70 내지 75℃의 온도에서 100 내지 200분 동안 수행되고, 상기 건조된 파인애플을 추출하여 파인애플 추출액을 제조하되, 상기 파인애플 추출액의 제조는 (a) 건조된 파인애플 1000~1200g에 70%(v/v) 에탄올수용액 10~12ℓ로 85 내지 90℃에서 3~4시간 동안 1차 추출한 다음, 70%(v/v) 에탄올수용액 4~6ℓ로 85 내지 90℃에서 2~3시간 동안 2차 추출을 완료하고, 진공회전증발기에서 1000 내지 1200㎖이 될 때까지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추출액에 물을 가하여 중량 대비 2 내지 3배로 희석하고, 14,000~15,000rpm에서 20 내지 3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고분자 섬유소 및 고형분을 완전히 제거한 다음, 모아진 상등액을 중량 대비 1.2~1.5배의 클로로포름으로 2회 추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클로로포름층을 제거하고, 수층을 중량 대비 1.2~1.5배의 에틸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하여 파인애플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에 의해 파인애플 추출액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
  4. 삭제
  5. 삭제
KR1020180078332A 2018-07-05 2018-07-05 산화방지용액 및 이를 포함하는 물티슈 KR101924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332A KR101924614B1 (ko) 2018-07-05 2018-07-05 산화방지용액 및 이를 포함하는 물티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332A KR101924614B1 (ko) 2018-07-05 2018-07-05 산화방지용액 및 이를 포함하는 물티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4614B1 true KR101924614B1 (ko) 2018-12-03

Family

ID=64743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332A KR101924614B1 (ko) 2018-07-05 2018-07-05 산화방지용액 및 이를 포함하는 물티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4614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3522B1 (ko) 항균 물티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균 물티슈
CN105779171A (zh) 一种微纳米贝壳粉果蔬清洗剂及制备方法
KR102162992B1 (ko) 항균성 황사마스크
KR102019443B1 (ko) 친환경 복합 혼합물을 포함하는 주방용 세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7315985B2 (ja) 山養参を用いた石鹸組成物、及びそれを含む石鹸
KR20170036397A (ko) 항산화활성과 항균활성의 기능성 고형샴푸비누 조성물 및 그 비누 제조방법
CN103720631B (zh) 一种可食用的水果沐浴露及其制备方法
KR101515406B1 (ko) 오징어 부산물 추출 젤라틴 및 천연허브추출물을 함유한주름개선을 위한 클레이마사지팩수액의 제조방법 및 그에따라 제조된 조성물
CN107802547A (zh) 一种迷迭香洗发露
KR102226774B1 (ko) 황기, 황정 및 솔잎 추출물이 포함되는 주방세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95002A (ko) 대나무와 조릿대을 이용한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방사되는 연소용과 수용성 및 분말 첩부용 대나무뜸 제조방법
CN114149878A (zh) 一种山羊奶沙蒿混合物、制备方法及其应用
KR101940926B1 (ko) 죽염을 이용한 천연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283903A (zh) 一种有机荷叶茶及其生产方法
KR102174199B1 (ko) 산양삼 성분이 포함된 어성초 발효 오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어성초 발효 오일
CN109010178A (zh) 一种沐浴露及其生产工艺
KR101478784B1 (ko) 편백을 이용한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KR101924614B1 (ko) 산화방지용액 및 이를 포함하는 물티슈
KR20100035352A (ko) 기능성 김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김
KR101419028B1 (ko) 홍어의 숙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홍어 회
KR102293285B1 (ko) 연어 그라브락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연어 그라브락스
KR102137752B1 (ko) 순지트를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
KR102200917B1 (ko) 아로니아를 이용한 건강 단무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강 단무지
KR101950983B1 (ko) 엘더베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음료의 제조 방법
KR102200916B1 (ko) 울금을 이용한 건강 단무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강 단무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