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4582B1 - 치과용 견인장치 - Google Patents

치과용 견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4582B1
KR101924582B1 KR1020160169193A KR20160169193A KR101924582B1 KR 101924582 B1 KR101924582 B1 KR 101924582B1 KR 1020160169193 A KR1020160169193 A KR 1020160169193A KR 20160169193 A KR20160169193 A KR 20160169193A KR 101924582 B1 KR101924582 B1 KR 101924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ing
gum
pull
grip
de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9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8345A (ko
Inventor
김진철
김진백
최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to KR1020160169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582B1/ko
Priority to PCT/KR2017/003675 priority patent/WO2018074683A1/ko
Priority to EP17767717.6A priority patent/EP3530231A4/en
Priority to AU2017248561A priority patent/AU2017248561B1/en
Priority to CN201780001384.0A priority patent/CN108472107B/zh
Priority to JP2017550814A priority patent/JP6514356B2/ja
Priority to US15/563,727 priority patent/US10772493B2/en
Publication of KR20180068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8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33Gingival retraction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61C1/084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of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임플란트의 정확한 식립을 위해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대한 이미지를 정확하게 획득되도록, 본 발명은 구강 내부의 상하악 중 적어도 어느 일측 잇몸의 내측부를 감싸도록 아치형 프로파일로 연장되되 외주면에 혀가 수용되도록 가압구속부가 형성된 내측견인부와, 상기 내측견인부의 양단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되 상기 잇몸의 외측부를 감싸도록 아치형 프로파일로 형성된 외측견인부가 포함된 견인베이스부; 및 상기 견인베이스부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측단 중 어느 일측으로 이격된 연결영역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견인베이스부의 상측방향으로 단차진 그립부가 포함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견인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치과용 견인장치{dental retractor}
본 발명은 치과용 견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임플란트의 정확한 식립을 위해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대한 이미지를 정확하게 획득하기 위한 치과용 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는 본래의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인체조직을 대신할 수 있는 대치물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인공으로 만든 치아를 이식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상실된 치근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 등으로 만든 픽스츄어를 치아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은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할 수 있다.
한편, 임플란트 식립을 위해 먼저 드릴을 이용하여 치조골에 천공을 형성하고 상기 천공에 픽스츄어가 식립되는데, 천공의 형성 및 임플란트 식립은 환자마다 상이하게 수행된다. 이는, 환자의 치아 상태나 임플란트가 필요한 치아의 위치, 환자의 치조골 상태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 깊이 및 방향을 결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치조골에 천공을 형성하기 위한 드릴링 작업은 초심자뿐만 아니라 경험자에게도 작업 과정에서 깊이 및 방향을 정확하게 가늠하기가 상당히 어렵다는 난점이 있다. 더욱이, 작업 경험이 풍부하지 않은 초보자의 경우 별도의 측정단계 없이 드릴링 도중 형성된 천공의 깊이를 가늠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것이다.
또한, 치조골에 천공을 형성시 시술자가 드릴에 힘을 가하여 드릴링 작업을 수행하면서 현재 어느 정도까지 깊이로 드릴링 작업이 이루어졌는지 판단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일정 깊이 이상으로 드릴이 삽입되면 치조골의 신경을 손상시키는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일정한 깊이에 도달하기 전에 드릴링 작업이 종료된 경우에는 천공의 깊이가 얕아서 픽스츄어 고정에 과도한 힘이 소요된다. 또한, 천공 주위의 나사산이 손상되거나 픽스츄어가 완벽하게 고정되지 못해 추후 재시술을 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천공 작업을 수행할 정확한 위치 및 방향을 안내하도록 서지컬 가이드(surgical guide)라고 하는 보조 기구를 사용한다.
도 1은 종래의 서지컬 가이드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서지컬 가이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제조된다. 먼저, CT 촬영을 통해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의 3차원 이미지가 획득되고 오랄스캔을 통해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의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가 획득된다(s1).
여기서, CT 촬영을 통하여 획득된 3차원 이미지에는 구강 내부의 치관(잇몸 외측으로 드러난 치아의 일부분) 및 치근(잇몸 내부에서 치조골과 결합된 부분), 그리고 치조골의 형상 및 치관, 치근, 치조골의 골밀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오랄스캔을 통하여 획득된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에는 구강 내부의 치관 및 잇몸의 형상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그리고, 각 이미지가 획득되면, 치아의 특이점 등 시술자에 의해 설정된 구강 내부 지점을 기준으로 두 이미지가 영상 정합된다(s2). 이어서, 영상 정합된 결과를 통해 임플란트 식립계획이 수립되고(s3), 식립계획에 따라 임플란트 식립을 안내할 수 있는 서지컬 가이드가 제조된다(s4).
한편, CT 촬영을 통한 3차원 이미지는 조직의 밀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연조직, 예컨대, 잇몸조직 내지 혀 등은 제외된 상태로 획득된다.
반면, 오랄스캔을 통한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에는 치관의 외면 형상뿐만 아니라 연조직인 잇몸도 함께 표시된다. 따라서, 상기 3차원 이미지와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의 영상정합을 통하여 피시술자의 정확한 구강 내부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임플란트 식립을 정확하게 가이드할 수 있는 상기 서지컬 가이드가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는 구강스캐너를 이용하여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를 직접 스캐닝하여 획득되는데, 이때 혀 및 입술의 움직임에 의해 정확한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의 획득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혀의 유동으로 구강스캐너의 스캐닝 이동 경로가 간섭되어 정확한 위치의 스캐닝이 어려우며, 획득된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에 대한 보정작업 단계 및 소요시간이 가중되므로 임플란트 식립기간이 증가하고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피시술자가 입술을 무의식적으로 움직임에 따라 시술자가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를 가시적으로 정확하게 확인하기 어려우며 구강스캐너의 이동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지 못하여 획득된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의 정확성이 저하된다.
이로 인해,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에 혀 및 입술의 외면형상이 포함되면 영상 정합을 위한 데이터로 활용이 어려우므로 반복적인 스캐닝 작업에 의한 피시술자의 불편함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혀와 입술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조직의 유동을 구속할 수 있는 견인부재가 별도로 구비됨에 따라 시술자의 조작이 번거로우며 보조시술자가 필요함에 따라 스캐닝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33219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임플란트의 정확한 식립을 위해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대한 이미지를 정확하게 획득하기 위한 치과용 견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강 내부의 상하악 중 적어도 어느 일측 잇몸의 내측부를 감싸도록 아치형 프로파일로 연장되되 외주면에 혀가 수용되도록 가압구속부가 형성된 내측견인부와, 상기 내측견인부의 양단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되 상기 잇몸의 외측부를 감싸도록 아치형 프로파일로 형성된 외측견인부가 포함된 견인베이스부; 및 상기 견인베이스부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측단 중 어느 일측으로 이격된 연결영역으로부터 편심 연장되되, 상기 견인베이스부의 상측방향으로 단차진 그립부가 포함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외측견인부의 아치형 연장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교차되도록 상기 연결영역으로부터 사선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잇몸의 내외측부가 전체적으로 수용되도록 상기 내측견인부와 상기 외측견인부 사이에는 상기 내측견인부의 내주면이 상기 잇몸의 내측부와 이격되도록 기설정된 제1간격과 상기 외측견인부의 내주면이 상기 잇몸부의 외측부와 이격되도록 기설정된 제2간격을 포함하여 설정된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내측견인부 및 상기 외측견인부의 이웃하는 양단부를 일체로 연결하도록 외측으로 라운드진 연결부가 구비되되, 상기 내측견인부 및 상기 외측견인부 사이의 간격 또는 상기 연결부의 각도가 변경되도록 상기 견인베이스부는 외력에 의해 3차원 소성 변형된 상태로 형상이 유지되는 연성의 와이어부와, 상기 와이어부의 외측을 감싸는 합성수지 재질의 외피부를 포함하여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견인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부에는 상기 연결영역으로부터 상향 구배지되 시술자의 파지시 상측에 위치하는 손가락이 가압 지지되도록 상면부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진 가압지지연장부가 구비되며, 상기 그립부는 상기 가압지지연장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되 시술자의 파지시 하측에 위치하는 손가락에 안착 지지되도록 하면부측에 오목한 지지홈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삭제
더욱이, 상기 그립부의 단부에는 시술자의 파지시 손바닥에 밀착 지지되도록 양측방향으로 확장되어 기설정된 면적을 갖는 지지가이드면부가 더 형성되되,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견인베이스부와 선택적으로 탈부착되도록,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부와 상기 외측견인부의 상호 대향측에는 하나 이상의 비연속정렬부가 형성된 구속부와 상기 구속부가 형합 체결되는 구속홈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삭제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견인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견인베이스부의 내측견인부에 형성된 가압구속부에 혀가 견인 구속됨과 동시에 외측견인부의 외주면에 입술 및 볼의 내면이 외측으로 가압 견인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됨으로써 스캐닝 시 혀 및 입술 등의 연조직에 의한 간섭이 최소화되므로 획득된 스캐닝 이미지의 신뢰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둘째,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견인베이스부의 중앙부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되되, 팔의 자연스러운 운동반경에 대응하여 사선 외측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상기 손잡이부를 파지시 손목의 과도한 꺾임이 방지되며, 손잡이부의 대향측에 구강스캐너 등이 인입되는 최대한의 공간이 확보되어 작업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셋째,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부 상측이 볼록하게 돌설되어 시술자의 파지시 가해지는 가압력이 상기 견인베이스부에 안정적으로 전달됨에 따라 구강 내부 연조직의 견고한 견인 구속이 가능하므로 조작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서지컬 가이드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견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견인장치를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견인장치가 구강 내부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견인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견인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견인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견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견인장치를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견인장치가 구강 내부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견인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견인장치(300)는 견인베이스부(310)와 손잡이부(32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견인장치(300)는 임플란트 식립계획을 수립시 구강스캐너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스캐닝 이미지에 임플란트 식립대상부에 대한 3차원 외부형상 정보가 명확하게 표시되도록 구강 내부에 사용되는 장치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치과용 견인장치(300)의 일측이 구강 내부에 배치되어 혀 내지 입술과 같은 연조직의 유동을 견인 구속함에 따라 구강스캐너를 이용한 잇몸의 명확한 외부형상 이미지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임플란트 식립대상부라 함은 임플란트 식립이 실질적으로 수행되는 부분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 임플란트 식립계획이 더욱 정확하게 수립되도록 상기 임플란트 식립대상부가 포함된 잇몸뿐만 아니라 대향측 잇몸도 스캔하여 스캐닝 이미지가 추가로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잇몸의 표면에는 상기 잇몸 외형에 대한 스캐닝 이미지와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를 CT 촬영하여 획득된 CT 이미지 간의 영상 정합기준점으로 활용되는 마커(미도시)가 적어도 3개소 이상 복수개소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커(미도시)는 기설정된 부피를 갖는 부재로 구비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치과용 레진이 잇몸 표면에 주입 및 부착되어 정합기준점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마커(미도시)는 상기 스캐닝 이미지 및 상기 CT 이미지에 동시에 표시되도록 방사선 불투과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치과용 견인장치(300)는 혀를 포함하는 유동성이 높은 연조직의 분포도가 높은 하악측 잇몸에 적용되는 것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상악측 잇몸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견인베이스부(310)는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 상하악 중 적어도 어느 일측 잇몸의 내측부 및 외측부를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구비되며, 내측견인부(311)와 외측견인부(312)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에서 상기 견인베이스부(310) 내측에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잇몸(1)의 전체적인 외면 프로파일을 개략적으로 표시한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잇몸(1)은 임플란트 식립대상부를 포함하는 잇몸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 그의 대합치아측 잇몸에도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측견인부(311)는 상기 잇몸(1)의 내측부(1a)를 감싸도록 아치형 프로파일로 연장되되 외주면(311b)에는 혀가 수용되도록 가압구속부(315)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내측견인부(311)의 외주면(311b)이라 함은 상기 잇몸(1)의 내측부(1a)와 대응되는 구강의 설근측 외면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측견인부(312)는 상기 내측견인부(311)의 양단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되 상기 잇몸(1)의 외측부(1b)를 감싸도록 아치형 프로파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320)는 상기 견인베이스부(310)의 중앙부(310c)를 중심으로 양측단(310d) 중 어느 일측으로 이격된 연결영역(a, 해칭부분)으로부터 편심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320)에는 상기 견인베이스부(310)의 상측방향으로 단차진 그립부(322)가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견인베이스부(310)의 중앙부(310c)라 함은 실질적으로 상기 외측견인부(312)에서 구강의 순측(labial)에 대응되는 부분으로 상기 외측견인부(312)에서 외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진 부분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견인베이스부(310)의 양측단(310d)은 상기 내측견인부(311)와 상기 외측견인부(312)의 양단부가 상호 연결된 부분으로 후술되는 연결부(314)측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320)가 편심 연장되었다 함은 상기 손잡이부(320)가 상기 견인베이스부(310)의 중앙부(310c)를 벗어나 상기 양측단(310d) 중 어느 일측단 방향으로 치우쳐진 영역으로부터 연장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연결영역(a)은 상기 견인베이스부(310)의 양측단(310d) 중 어느 일측단과 상기 중앙부(310c) 사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좌측 또는 우측의 견치(canine) 및 소구치(premolar)측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손잡이부(320)가 구강 내부의 정중선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편심되어 구비됨으로써 상기 손잡이부(320)가 연장된 타측에 상기 구강 내부에 치과용 기구 등이 인입 가능한 공간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이를 통해, 구강스캐너(S) 및 치과용 기구의 핸들링 반경이 확대되므로 작업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구강스캐너(S) 및 치과용 기구의 핸들링 작업시 상기 치과용 견인장치(300)의 손잡이부(320)와의 간섭이 최소화되므로 작업편의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320)는 상기 외측견인부(312)의 아치형 연장방향(e1)에 대하여 수직으로 교차되도록 상기 연결영역(a)으로부터 사선 외측방향으로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외측견인부(312)는 상기 잇몸(1)의 외측부(1b)와 대응하여 소정의 반경값을 갖는 아치형(원호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320)는 상기 외측견인부(312)가 원호형으로 라운드진 아치형 연장방향(e1)과 수직으로 교차되는 방향(e2)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손잡이부(320)는 임플란트 식립을 수행하는 시술자의 양측 팔의 자연스러운 운동반경에 대응하여 상기 견인베이스부(310)로부터 사선 외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시술자가 상기 치과용 견인장치(300)를 파지시 손목 내지 팔목 관절의 과도한 꺾임이 방지되므로 시술자가 구강스캐너(S)를 이용한 스캐닝 작업시 피로도가 감소되며 작업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부(320)가 상기 견인베이스부(310)와 연결되는 일단부(320a)에는 상기 연결영역(a)으로부터 상향 구배진 가압지지연장부(321)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압지지연장부(321)는 시술자의 파지시 상측에 위치하는 손가락, 예컨대 엄지손가락(f1)이 가압 지지되도록 상면부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가압지지연장부(321)가 상향 경사지게 연결됨에 따라 상기 견인베이스부(310)와 상기 그립부(322)는 실질적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상하방향으로 단차지게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치과용 견인장치(300)에 전달되는 시술자의 가압력이 입술(2)의 상면보다 하측에 형성된 상기 잇몸(1)의 하단부측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균일하게 가해질 수 있다.
즉, 상기 견인베이스부(310)가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지지연장부(321)의 하면측이 피시술자의 입술(2) 상면측에 배치되면, 상기 견인베이스부(310)가 상기 잇몸(1)의 하단부측으로 가압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견인부(311) 및 상기 외측견인부(312)의 각 외주면(311b,312b)에 혀(3), 입술(2) 미 볼의 내면이 외측으로 견인된다. 이때, 상기 가압지지연장부(321)의 하면에 피시술자의 입술(2)이 가압 고정되어 유동이 제한됨으로써 구강스캐너(S)를 이용한 스캐닝 시 입술(2)에 의한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립부(322)는 상기 가압지지연장부(321)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결되되 시술자의 파지시 하측에 위치하는 손가락, 예컨대 검지손가락(f2)에 안착 지지되도록 하면부측에 오목한 지지홈부(322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지지홈부(322a)는 실질적으로 상측으로 볼록하게 돌설된 상기 가압지지연장부(321)의 대향면부(하면부)측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도 5를 참조하면, 시술자가 상기 손잡이부(320)를 파지시 상기 그립부(322)의 하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상기 지지홈부(322a)가 검지손가락(f2)의 상면측에 안착 지지된다. 동시에, 상기 지지홈부(322a)의 대향면측에 볼록하게 돌설된 상기 가압지지연장부(321)의 상면에 엄지손가락(f1)이 가압 지지되면서 상기 손잡이부(320)가 시술자의 손가락(f1,f2) 사이에 견고하게 클램핑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시술자가 상기 손잡이부(320)를 파지한 상태로 상기 치과용 견인장치(300)의 유동 내지 위치변경이 최소화되므로 구강 내부의 연조직을 견인 구속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의 연조직이 견인 구속된 상태에서 구강스캐너를 이용한 신속하고 명확한 이미지 획득이 가능하며, 이를 통하여 획득된 스캐닝 이미지의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홈부(322a)가 검지손가락(f2)에 안착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지지연장부(321)의 볼록하게 돌설된 상면이 시술자의 엄지손가락(f1)에 의해 가압 지지되면 지렛대작용에 의해 상기 견인베이스부(310)가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면측으로 안정적으로 가압된다. 이를 통해, 시술자가 상기 치과용 견인장치(300)를 파지시 최소한의 가압력만으로도 스캐닝 이미지를 획득하고자 하는 잇몸측 연조직을 용이하게 견인 구속할 수 있으므로 조작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가압지지연장부(321)가 상면측으로 볼록하게 돌설됨에 따라 시술자의 핸들링시 가해지는 가압력이 상기 견인베이스부(310)에 집중적으로 전해짐에 따라 상기 치과용 견인장치(300)를 통한 견인안정성이 더욱 개선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그립부(322)의 단부에는 시술자의 파지시 시술자의 손바닥측에 밀착 지지되도록 양측방향으로 확장되어 기설정된 면적을 갖는 지지가이드면부(32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부(320)는 시술자의 파지시 실질적으로 주먹쥔 상태의 손 프로파일에 자연스럽게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므로 시술자의 그립감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손잡이부(320)가 시술자의 손가락(f1,f2) 사이에서 고정된 상태가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됨에 따라 상기 견인베이스부(310)의 위치가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구강스캐너(S)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스캐닝 이미지의 신뢰도 역시 향상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가압지지연장부(321), 상기 지지홈부(322a) 및 상기 지지가이드면부(323)에는 시술자의 파지시 손가락 및 손바닥의 미끄러짐이 방지되도록 요철형상의 논슬립부(미도시)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견인장치(400)의 변형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구속부(416) 및 구속홈부(426)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420)는 상기 견인베이스부(410)와 선택적으로 탈부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손잡이부(420)의 일단부와 상기 외측견인부(412)의 상호 대향측에는 구속부(416)와, 상기 구속부(416)가 형합되는 구속홈부(426)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속부(416)와 구속홈부(426)에는 상호 형합 체결된 상태에서 회동 및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나 이상의 비연속정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구속부(416)는 상기 외측견인부(412)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대칭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속홈부(426)는 상기 구속부(416)의 외면과 상호 형합되는 홈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손잡이부(420)를 분리 후 상기 외측견인부(412)의 일측 또는 타측에 형성된 상기 구속부(416)에 끼우기만 하면 시술자의 오른손 또는 왼손으로의 조작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상기 손잡이부(420)가 상기 견인베이스부(410)의 중앙부로부터 편심 연장되더라도 그립방향성의 제한이 최소화되므로 활용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구속부(416) 및 상기 구속홈부(426)가 상호 형합 체결된 상태에서 시술자가 파지하여 가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손잡이부(420)의 체결각도 및 위치가 고정되도록 회동 또는 유동을 제한하는 상기 비연속정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연속정렬부는 상기 구속부(416) 및 상기 구속홈부(426)의 외면 및 내면 프로파일과 비연속적으로 연장된 단차부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구속부(416) 및 상기 구속홈부(426)는 도면에서와 같이 각 면의 연속방향이 상이한 다각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 디컷부(D-cut) 또는 별도의 돌기/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구속부는 상기 외측견인부의 양측에 부분적으로 대향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외측견인부의 중앙부 및 양측의 전체적인 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상기 구속부(416)가 상기 외측견인부(412)에 형성되고 상기 구속홈부(426)가 상기 손잡이부(420)의 일단부에 형성됨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구속부가 상기 손잡이부(420)의 일단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부에는 집게 또는 클램프 형상의 구속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구속부재에 의해 상기 견인베이스부에 클램핑 고정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한편,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견인베이스부(310)는 외력에 의해 3차원 소성 변형된 형상이 유지되는 연성의 와이어부(310a)와, 상기 와이어부(310a)의 외측을 감싸는 합성수지 재질의 외피부(310b)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와이어부(310a)는 상기 내측견인부(311), 상기 외측견인부(312) 및 상기 연결부(314)가 상기 잇몸(1)의 내외측부(1a,1b)를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내부에 수용공간(313)이 형성된 아치형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절곡 형성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부(310a)는 피시술자의 개인별 편차에 대응되도록 외력에 의해 3차원적인 변형이 용이하면서도 변형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추가적인 외력이 가해지기 전까지 변형이 방지될 수 있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와이어부(310a)는 외력에 의해 구부리거나 펼 수 있는 금속 재질의 철사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부(310a)는 단면이 원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 상하방향 두께가 양측방향 폭보다 좁은 타원형 단면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혀, 입술 및 볼을 견인할 수 있는 측면 면적은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면서도 상기 잇몸(1)의 내외측부(1a,1b) 및 상기 견인베이스부(310)의 내주면(311a,312a) 사이 간격이 최대한 넓게 확보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구강 내부 연조직을 더욱 안정적으로 견인 구속하면서도 구강스캐너를 이용하여 잇몸에 대한 스캐닝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부(310a)의 외측은 상기 외피부(310b)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피부(310b)는 실리콘 또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등과 같이 상기 와이어부(310a)의 소성 변형시 함께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도 의료기구 제조에 사용 가능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피부(310b)는 내측에 삽입되는 상기 와이어부(310a)가 실질적으로 차폐될 수 있는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견인베이스부(310)는 상술한 금속 재질의 와이어부(310a)만으로 제조될 수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 구강스캐너를 이용한 스캐닝 시 금속 재질의 와이어부(310a)에 의한 빛의 산란으로 정확한 스캐닝 이미지를 획득하기 어렵다. 또한, 금속 재질의 와이어부(310a)가 구강 내부의 피부에 직접 접촉되는 경우 피시술자의 불편감 및 거부감이 야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부(310a)의 외측에 불투명한 합성수지 재질의 상기 외피부(310b)가 구비됨에 따라 스캐닝 시 빛의 산란이 방지되면서도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접촉시 불편감 및 구강 내부 연조직의 긁힘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320)도 상기 견인베이스부(310)와 마찬가지로 금속 재질의 와이어부 외측에 합성수지 재질의 외피부가 커버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320)를 구성하는 상기 와이어부는 구강 내부 연조직의 견인을 위한 가압력에도 실질적으로 변형되지 않는 강성의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견인베이스부(310)가 다양한 피시술자의 개인별 편차에 따라 변형이 가능하게 형성되면서도, 상기 손잡이부(320)는 외력을 지지하는 강도의 재질로 구비됨에 따라 구강 내부 연조직의 가압을 통한 견인구속력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견인베이스부(310)와 상기 손잡이부(320)는 외측이 상기 외피부(310b)에 의해 커버됨에 따라 스캐닝 시 빛의 산란을 방지하면서도 피시술자 및 시술자에게 직접적으로 전해지는 감촉이 개선되므로 불편감이 최소화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견인베이스부(310)측 와이어부와 상기 손잡이부(320)측 와이어부는 강성이 상이한 별도의 금속 재질의 와이어로 구비되되 연결되는 부분이 상호 용접 또는 체결된 상태에서 외면에 상기 외피부가 일체로 커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견인베이스부(310)와 상기 손잡이부(320)는 각각 와이어부 및 외피부가 포함되도록 별도로 제조되되 연결되는 부분이 상호 체결되거나 경우에 따라 일체로 고정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견인베이스부(310)측 와이어부와 상기 손잡이부(320)측 와이어부는 동일한 금속 재질의 와이어가 복수개로 중첩되되, 각 중첩되는 두께를 상이하게 하여 강성이 조절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더불어, 상기 견인베이스부(310)는 상기 잇몸이 수용되는 상기 수용공간(313)이 형성되도록 상기 내측견인부(311) 및 상기 외측견인부(312)의 각 내주면(311a,312a)이 이격 배치되되, 이웃하는 양단부를 일체로 연결하도록 외측으로 라운드진 상기 연결부(314)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외측견인부(312)가 상기 내측견인부(311)의 양단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었다 함은 상기 연결부(314)를 통하여 일체로 연장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내측견인부(311), 상기 연결부(314) 및 상기 외측견인부(312)는 실질적으로 하나의 상기 와이어부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 부분의 기능에 따라 구분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내측견인부(311)와 상기 외측견인부(312) 사이에는 상기 잇몸의 내외측부가 전체적으로 수용되는 상기 수용공간(31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용공간(313)은 상기 내측견인부(311)의 내주면(311a)이 상기 잇몸(1)의 내측부(1a)와 이격되도록 기설정된 제1간격(g1)과, 상기 외측견인부(312)의 내주면(312a)이 상기 잇몸(1)의 외측부(1b)와 이격되도록 기설정된 제2간격(g2)을 포함하여 설정된다.
더욱이, 상기 제1간격(g1) 및 상기 제2간격(g2)은 성별 및 연령에 따른 잇몸 프로파일의 개인별 편차를 포괄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견인베에스부는 개인별 편차를 대표할 수 있도록 세부적으로 산출된 제1간격 및 제2간격에 따라 복수개로 규격화되어 제조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내측견인부(311) 및 상기 외측견인부(312)가 상기 잇몸의 내외측부로부터 상기 제1간격(g1) 및 상기 제2간격(g2)에 대응하여 각각 이격됨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313)은 상기 잇몸(1)의 측면 프로파일보다 실질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견인베이스부(310)가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수용공간(313)의 내측에 상기 잇몸(1)이 수용되도록 배치되면, 상기 가압구속부(315)에 혀(3)의 외측면이 밀착 구속되면서 구강 내부의 원심측으로 견인된다. 또한, 상기 외측견인부(312)의 외주면(312b)이 피시술자의 입술(2) 및 볼의 내면을 외측으로 가압 견인함에 따라 상기 잇몸(1)의 외측부(1b)로부터 상기 입술(2) 및 볼의 내면이 이격된다.
이에 따라,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구강스캐너(S)가 이동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으며, 피시술자가 무의식적으로 혀 또는 입을 움직이더라도 유동되는 혀 또는 입에 의해 구강스캐너(S)의 스캐닝 경로가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잇몸(1)의 내외측부로부터 혀(3), 입술(2) 및 볼의 내면이 실질적으로 이격되므로 상기 잇몸(1)의 전체적인 외면 형상이 더욱 명확하게 노출된다.
이에 따라, 시술자는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를 가시적으로 명확하게 인식하여 구강스캐너를 통한 정확한 스캐닝 이미지 획득이 가능하며, 획득된 스캐닝 이미지의 신뢰도가 더욱 개선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스캐닝 이미지와 CT 이미지 간의 영상정합을 통한 임플란트 식립의 정확성 및 정밀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견인베이스부(310)가 구강 내부에 배치되면 혀(3)가 구강 내부의 원심측인 설근측으로 견인 구속됨과 동시에 입술(2) 및 볼이 구강의 외측방향으로 가압 견인될 수 있다. 따라서, 견인방향이 상이한 혀 및 입술, 볼을 하나의 도구를 통하여 전체적으로 상기 잇몸의 내외측부와 이격되도록 견인할 수 있으므로 시술자의 조작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대부분의 치아가 소실된 무치악 또는 부분무치악과 같이 연조직의 잇몸량이 많은 구강 내부 환경에서도 상기 견인베이스부(310)가 잇몸의 내외측부를 가압하면서 고정함에 따라 상기 잇몸 외면의 형상에 대한 스캐닝 이미지가 더욱 명확하게 획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314)는 상기 견인베이스부(310)의 양측단(310d), 바람직하게는 구강 내부의 후구치삼각(retromolar trigoen)측에 대응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잇몸(1)의 내외측부(1a,1b)가 전체적으로 상기 견인베이스부(310)의 내주면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이와 인접한 구강 내부의 연조직이 상기 잇몸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가압 견인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314)는 상기 가압지지연장부(321)의 구배진 상면과 마주보게 상향 절곡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부(314)는 상기 잇몸의 원심측 외면을 경유하면서도 피시술자의 상하악이 이격된 상태에서 대합치아측 잇몸의 외면부를 지지하도록 연결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를 스캐닝하는 과정에서 상기 피시술자의 상하악이 임의로 교합됨을 방지하여 스캐닝 과정이 더욱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견인베이스부(310)가 시술자의 외력에 의한 조작시 구부리거나 펼 수 있는 재질의 상기 와이어부(310a)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내측견인부(311) 및 상기 외측견인부(312) 사이의 간격 또는 상기 연결부(314)의 각도를 탄력적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치과용 견인장치(300)를 통하여 피시술자의 다양한 구강 환경에 대응하여 즉각적이고 탄력적인 변경 조작이 용이하므로 활용성 및 경제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견인장치(300,400)는 상기 견인베이스부(310)의 내측견인부(311)에 형성된 가압구속부(315)에 혀가 견인 구속됨과 동시에 외측견인부(312)의 외주면에 입술 및 볼의 내면이 외측으로 가압 견인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이를 통해, 시술자가 구강스캐너를 이용하여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를 스캐닝 시 혀 및 입술 등의 연조직에 의한 간섭이 최소화되므로 획득된 스캐닝 이미지의 신뢰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320,420)는 상기 견인베이스부(310,410)의 중앙부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되되, 팔의 자연스러운 운동반경에 대응하여 사선 외측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를 통해, 시술자가 상기 손잡이부(320,420)를 파지시 손목의 과도한 꺾임이 방지되며, 상기 손잡이부(320,420)의 대향측에 구강스캐너 등이 인입되는 최대한의 공간이 확보됨으로써 작업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손잡이부(320)를 파지시 상기 그립부(322)의 오목한 하면이 시술자의 검지손가락에 안착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지지연장부(321)의 볼록한 상면이 엄지손가락에 의해 가압 지지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320)의 일단부 상측이 볼록하게 돌설되어 지렛대작용에 의해 시술자의 파지시 가해지는 가압력이 상기 견인베이스부(310)에 안정적으로 전달되어 상기 잇몸의 하단부측으로 가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견인베이스부(310)를 통한 구강 내부 연조직의 견인 구속이 용이하므로 상기 치과용 견인장치(300,400)의 조작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치과용 견인장치(300,400)는 상술한 임플란트 식립계획 뿐만 아니라 다양한 보철물식립 및 교정치료 등 구강 내부의 명확한 스캐닝 이미지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치과치료에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치과용 견인장치(300,400)는 구강 내부의 스캐닝 이미지 획득 외에 치주질환 등을 치료시에도 혀 및 입술 등의 연조직을 견인 구속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 : 잇몸 2 : 입술
3 : 혀 S : 구강스캐너
310 : 견인베이스부 311 : 내측견인부
312 : 외측견인부 313 : 수용공간
314 : 연결부 315 : 가압구속부
320 : 손잡이부 321 : 가압지지연장부
322 : 그립부 323 : 지지가이드면부
300,400 : 치과용 견인장치

Claims (5)

  1. 구강 내부의 상하악 중 적어도 어느 일측 잇몸의 내측부를 감싸도록 아치형 프로파일로 연장되되 외주면에 혀가 수용되도록 가압구속부가 형성된 내측견인부와, 상기 내측견인부의 양단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되 상기 잇몸의 외측부를 감싸도록 아치형 프로파일로 형성된 외측견인부가 포함된 견인베이스부; 및
    상기 견인베이스부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측단 중 어느 일측으로 이격된 연결영역으로부터 편심 연장되되, 상기 견인베이스부의 상측방향으로 단차진 그립부가 포함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외측견인부의 아치형 연장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교차되도록 상기 연결영역으로부터 사선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잇몸의 내외측부가 전체적으로 수용되도록 상기 내측견인부와 상기 외측견인부 사이에는 상기 내측견인부의 내주면이 상기 잇몸의 내측부와 이격되도록 기설정된 제1간격과 상기 외측견인부의 내주면이 상기 잇몸의 외측부와 이격되도록 기설정된 제2간격을 포함하여 설정된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내측견인부 및 상기 외측견인부의 이웃하는 양단부를 일체로 연결하도록 외측으로 라운드진 연결부가 구비되되,
    상기 내측견인부 및 상기 외측견인부 사이의 간격 또는 상기 연결부의 각도가 변경되도록 상기 견인베이스부는 외력에 의해 3차원 소성 변형된 상태로 형상이 유지되는 연성의 와이어부와, 상기 와이어부의 외측을 감싸는 합성수지 재질의 외피부를 포함하여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견인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부에는 상기 연결영역으로부터 상향 구배지되 시술자의 파지시 상측에 위치하는 손가락이 가압 지지되도록 상면부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진 가압지지연장부가 구비되며,
    상기 그립부는 상기 가압지지연장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되 시술자의 파지시 하측에 위치하는 손가락에 안착 지지되도록 하면부측에 오목한 지지홈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견인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의 단부에는 시술자의 파지시 손바닥에 밀착 지지되도록 양측방향으로 확장되어 기설정된 면적을 갖는 지지가이드면부가 더 형성되되,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견인베이스부와 선택적으로 탈부착되도록,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부와 상기 외측견인부의 상호 대향측에는 하나 이상의 비연속정렬부가 형성된 구속부와 상기 구속부가 형합 체결되는 구속홈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견인장치.
  5. 삭제
KR1020160169193A 2016-10-20 2016-12-13 치과용 견인장치 KR101924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193A KR101924582B1 (ko) 2016-12-13 2016-12-13 치과용 견인장치
PCT/KR2017/003675 WO2018074683A1 (ko) 2016-10-20 2017-04-04 치과용 견인장치
EP17767717.6A EP3530231A4 (en) 2016-10-20 2017-04-04 DENTAL RETRACTOR
AU2017248561A AU2017248561B1 (en) 2016-10-20 2017-04-04 Dental retractor
CN201780001384.0A CN108472107B (zh) 2016-10-20 2017-04-04 牙科牵开器
JP2017550814A JP6514356B2 (ja) 2016-10-20 2017-04-04 歯科用牽引装置
US15/563,727 US10772493B2 (en) 2016-10-20 2017-04-04 Dental retra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193A KR101924582B1 (ko) 2016-12-13 2016-12-13 치과용 견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345A KR20180068345A (ko) 2018-06-22
KR101924582B1 true KR101924582B1 (ko) 2019-02-21

Family

ID=62768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9193A KR101924582B1 (ko) 2016-10-20 2016-12-13 치과용 견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458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30822A1 (en) * 2007-09-26 2013-09-05 Ultradent Products, Inc. Methods, devices, systems, assemblies, and kits for tissue retraction in an oral cavity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3219Y1 (ko) 2006-09-07 2006-12-08 김세정 구강 내 수술 및 치료를 위한 착탈식 혀 견인장치
KR100944036B1 (ko) * 2007-12-12 2010-02-2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구강 사진촬영용 입술 견인기
KR101222435B1 (ko) * 2011-02-01 2013-01-1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용 리트랙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30822A1 (en) * 2007-09-26 2013-09-05 Ultradent Products, Inc. Methods, devices, systems, assemblies, and kits for tissue retraction in an oral cavity
US20160270880A1 (en) 2007-09-26 2016-09-22 Ultradent Products, Inc. Methods, devices, systems, assemblies, and kits for tissue retraction in an oral cav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345A (ko) 2018-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02547B (zh) 在口腔中製造用於植牙的手術引導件的方法
KR101862815B1 (ko) 치아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 및 식립물 제조방법
KR101797155B1 (ko) 치아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 및 식립물 제조방법
CN108601640B (zh) 肌位3d调节器具和肌位3d调节咬合器
US9827075B2 (en) Determination of a three dimensional relation between upper and lower jaws with reference to a temporomandibular joint
US10772493B2 (en) Dental retractor
US11103334B2 (en) Device for removing material from the oral cavity of a patient
KR101550369B1 (ko)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 및 크라운, 어버트먼트 제조방법
KR101777261B1 (ko)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 및 식립물 제조방법
KR20180103761A (ko)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및 그 제조방법
US20110250563A1 (en) Interdental device
KR101706332B1 (ko) 정렬기준이 표시된 치아 임플란트 시술용 서지컬 가이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83942B1 (ko) 치과용 견인장치
CN114010347B (zh) 一种自固定式个体化下颌保持器及其构建方法
KR101797743B1 (ko) 인공치아의 이식 가이드 시스템
KR101924582B1 (ko) 치과용 견인장치
KR101954262B1 (ko) 치과용 마우스피스
KR101924578B1 (ko) 치과용 견인장치
KR101862820B1 (ko) 틀니 제조방법
KR101881472B1 (ko) 치아 교정용 와이어 시술을 위한 보조기구
KR101894039B1 (ko)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
AU2017248561B1 (en) Dental retractor
RU201626U1 (ru) Укладчик ретракционной нити
KR101970748B1 (ko) 분할형 수직고경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아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 및 보철물 제조방법
JP6688046B2 (ja) X線撮影に使用する歯科矯正用アンカースクリューのねじ込み位置決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