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3951B1 - 일회용 검진 바지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일회용 검진 바지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3951B1
KR101923951B1 KR1020180041354A KR20180041354A KR101923951B1 KR 101923951 B1 KR101923951 B1 KR 101923951B1 KR 1020180041354 A KR1020180041354 A KR 1020180041354A KR 20180041354 A KR20180041354 A KR 20180041354A KR 101923951 B1 KR101923951 B1 KR 101923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e forming
forming portion
front surface
pants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1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호
Original Assignee
이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호 filed Critical 이준호
Priority to KR1020180041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39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12Surgeons' or patients' gowns or dresses
    • A41D13/1236Patients' garments
    • A41D13/1254Patients' garments for the lower part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41D1/065Trousers with crotch lin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2/00Multi-step production lines for making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52Dispos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회용 검진 바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회용 검진 바지는, 장방형의 원단(10)의 좌우방향 일측과 타측이 접혀 중앙의 앞면형성부(20)와, 앞면형성부(20) 좌,우측에 접혀 형성된 일측배면형성부(30) 및 타측배면형성부(40)가 형성되어 있되, 일측배면형성부(30)는 단부가 앞면형성부(20) 중간지점을 지나 타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타측배면형성부(40)는 단부가 앞면형성부(20) 중간지점(a)을 지나 마감 박음질할 정도의 거리를 초과하여 앞면형성부(20)의 타측 단부 까지 거리 미만이 되도록 형성되어 앞면형성부(20)의 표면에 일측배면형성부(30)와 타측배면형성부(40)가 모두 겹치는 겹침부(50)가 형성되어 있고, 원단(10)의 전후방향 일측 단부(b)는 착용자 몸통이 수용되는 몸통수용공간(61)이 형성되도록 둘레를 따라 박음질 처리된 일측박음부(60)가 형성되어 있으며, 원단(10)의 전후방향 타측 단부(c)는 중간지점(a)에서 일측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70)가 형성되어 있으며, 절개부(70)를 따라 박음질 처리된 타측박음부(80)가 형성되어 상기 겹침부(50)에는 일측박음부(60)와 타측박음부(80) 사이에 개구부(81)가 형성되며, 타측박음부(80) 양측에 착용자의 다리가 수용되는 다리수용공간(8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착용시 엉덩이 부위가 잘 보이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검진시에는 개구부를 벌리면 용이하게 검진이 가능한 검진 바지가 제공되며, 벨크로테이프나 지퍼 등을 구비하지 않고도 의료진이 검진 후 개구부를 손쉽게 닫고, 그 후 천이 겹쳐져 잘 보이지 않게 함으로써 노출에 의한 수치심은 물론 벨크로테이프나 지퍼 등의 식별물로 인한 수치심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고, 더 나아가 통상의 바지 제조에 소요되는 허리춤 박음 공정 외에는 장방형의 천 양측을 접고, 하단을 절개하고, 절개부 주변을 박음하는 단순한 공정으로 이루어져 종래의 검진 바지에 비해 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어 의료기관으로 하여금 사용 후 재사용에 대한 욕심이 발생하지 않게 되며, 천이 겹쳐지는 부위의 폭이 한정됨으로써 별도의 개구부 고정 수단 없이도 의료진으로 하여금 개방은 용이하게 하면서 피검자의 보행시 외부로 잘 노출되지 않게 되고, 안쪽에 겹쳐지는 천의 중간 부분에 보조 절개부를 형성함으로써 의료진으로 하여금 개방이 쉽게 해주면서 외부로 둔부 노출을 최소화하여 피검자의 수치심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일회용 검진 바지 및 그 제조 방법{Pants for health medical examina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it}
본 발명은 대장 질환이나 항문 질환 등에 대한 검진이나 시술을 위해 착용하는 검진 바지에 관한 것으로, 착용시 엉덩이 부위가 잘 보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의료진이 용이하게 검진 및 시술이 가능하도록 하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일회용 검진 바지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장 내시경 검사나, 치질이나 치루와 같은 항문 질환을 위한 검진이나 시술시 피검진자는 의료용 베드에 의료진의 옆으로 엎드려 둔부가 의료진 쪽으로 향하도록 하여 검진이나 시술이 이루어지게 된다.
더불어, 검진 전에 위생 및 세균 감염 위험을 방지하고자 피검자는 본인의 옷을 벗은 후 의료기관에서 제공한 검진용 의류를 입고 검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를 위한 바지에 관한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수술용 바지"(한국 등록디자인공보 30-0891374호, 특허문헌 1)에는 진찰을 위한 구멍이 항문 주변에 형성되어 있고, 구멍 주변에 덮개가 구비되고, 덮개와 구멍 주변에 한 쌍의 벨크로 테이프가 구비된 구성이 공개되어 있다.
또, "환자복 하의"(한국 등록디자인공보 제30-0876088호, 특허문헌 2)에는 둔부에 커다랗게 트임부가 형성되고, 이 트임부를 가리는 날개부가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 공개되어 있다.
또한, "환자전용 바지"(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14003호, 특허문헌 3)에는 허벅지 뒷편으로부터 엉덩이 상측에 이르는 "∩"의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절개부를 따라 지퍼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이 공개되어 있기도 하다.
더불어, "국부개폐가 용이한 바지"(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196471호, 특허문헌 4)에는 내외로 이중 구조로 이루어진 허리줄에 바지 상부가 커튼과 같이 매달려 있어 허리줄에 매달린 옷을 좌우로 잡아당기면 닫히고, 반대로 작동하면 바지가 개방되도록 한 구조가 공개되어 있다.
그런데, 특허문헌 1 내지 4의 구성들은 모두 벨크로테이프를 닫거나, 지퍼를 올리거나, 허리줄을 따라 옷을 추스리는 작업을 해야 바지가 개방되거나 닫히게 된다.
만일, 검사중인 의료진이나 피검자가 검진 후 이러한 작업을 하지 못하게 될 경우 검사 후 둔부가 노출된 상태가 되어 이 상태로 환복을 위해 의료기관 복도를 걷게 되면 둔부 노출로 인한 수치심을 갖게 된다.
또한,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벨크로테이프, 지퍼, 날개 등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피검자 외 다른 사람들이 대장 질환 검사나 치료를 받기 위해 방문한 것을 알 수 있게 되는 바, 이 역시 피검자에게 수치심을 갖게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검사 전, 후에 의료진이 벨크로테이프, 지퍼, 날개 등을 조작해야 하는 데 이 과정에서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이 이 부위에 묻을 수 있게 되는 문제점까지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벨크로테이프, 지퍼, 날개 등을 구비해서 제조되기 때문에 제조 단가가 상승하게 되고, 이로 인해 의료기관에서 재사용을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질병 감염 등의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KR 30-0891374 (2017.01.17) KR 30-0876088 (2016.10.05) KR 10-1414003 (2014.06.25) KR 10-0196471 (1999.02.20)
본 발명의 일회용 검진 바지 및 그 제조 방법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착용시 엉덩이 부위가 잘 보이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검진시에는 개구부를 벌리면 용이하게 검진이 가능한 검진 바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한, 벨크로테이프나 지퍼 등을 구비하지 않고도 의료진이 검진 후 개구부를 손쉽게 닫고, 그 후 천이 겹쳐져 잘 보이지 않게 함으로써 노출에 의한 수치심은 물론 벨크로테이프나 지퍼 등의 식별물로 인한 수치심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더 나아가, 통상의 바지 제조에 소요되는 허리춤 박음 공정 외에는 장방형의 천 양측을 접고, 하단을 절개하고, 절개부 주변을 박음하는 단순한 공정으로 이루어져 종래의 검진 바지에 비해 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어 의료기관으로 하여금 사용 후 재사용에 의한 감염을 예방하려는 것이다.
특히, 천이 겹쳐지는 부위의 폭이 한정됨으로써 별도의 개구부 고정 수단 없이도 의료진으로 하여금 개방은 용이하게 하면서 피검자의 보행시 외부로 잘 노출되지 않게 하려는 것이다.
또, 안쪽에 겹쳐지는 천의 중간 부분에 보조 절개부를 형성함으로써 의료진으로 하여금 개방이 쉽게 해주면서 외부로 둔부 노출을 최소화하여 피검자의 수치심 발생을 최소화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회용 검진 바지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장방형의 원단(10)의 좌우방향 일측과 타측이 접혀 중앙의 앞면형성부(20)와, 앞면형성부(20) 좌,우측에 접혀 형성된 일측배면형성부(30) 및 타측배면형성부(40)가 형성되어 있되, 일측배면형성부(30)는 단부가 앞면형성부(20) 중간지점을 지나 타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타측배면형성부(40)는 단부가 앞면형성부(20) 중간지점(a)을 지나 마감 박음질할 정도의 거리를 초과하여 앞면형성부(20)의 타측 단부 까지 거리 미만이 되도록 형성되어 앞면형성부(20)의 표면에 일측배면형성부(30)와 타측배면형성부(40)가 모두 겹치는 겹침부(50)가 형성되어 있고, 원단(10)의 전후방향 일측 단부(b)는 착용자 몸통이 수용되는 몸통수용공간(61)이 형성되도록 둘레를 따라 박음질 처리된 일측박음부(60)가 형성되어 있으며, 원단(10)의 전후방향 타측 단부(c)는 중간지점(a)에서 일측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70)가 형성되어 있으며, 절개부(70)를 따라 박음질 처리된 타측박음부(80)가 형성되어 상기 겹침부(50)에는 일측박음부(60)와 타측박음부(80) 사이에 개구부(81)가 형성되며, 타측박음부(80) 양측에 착용자의 다리가 수용되는 다리수용공간(8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겹침부(50)의 폭(e)은 상기 앞면형성부(20) 폭(d)의 1/5 ~ 1/6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타측배면형성부(40)는 겹칩부(50) 중간 측에 위치한 단부가 일측박음부(60)와 타측박음부(80)측 단부보다 중앙 측에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절개된 보조절개부(4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일회용 검진 바지의 제조 방법은, 장방형의 원단(10)을 준비한 후 원단(10)의 좌우방향 일측과 타측을 접어, 중앙의 앞면형성부(20), 앞면형성부(20)의 좌,우측에 접혀 형성된 일측배면형성부(30) 및 타측배면형성부(40)를 형성하되, 일측배면형성부(30)는 단부가 앞면형성부(20) 중간지점을 지나 타측으로 마감 박음질 할 정도의 거리만큼 돌출되도록 접고, 타측배면형성부(40)는 단부가 앞면형성부(20) 중간지점(a)을 지나 마감 박음질할 정도의 거리를 초과하여 앞면형성부(20)의 타측 단부 까지 거리 미만이 되도록 접어 앞면형성부(20)에 표면에 일측배면형성부(30)와 타측배면형성부(40)가 모두 겹치는 겹침부(50)를 형성하는 밴딩단계와; 상기 밴딩된 원단의 전후방향 일측 단부(b)를 따라 박음질 처리하여 일측박음부(60)를 형성함으로써 일측박음부(60)에 의해 둘러쌓여 착용자 몸통이 수용되는 몸통수용공간(61)을 형성하며, 착용자의 허리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일측박음부에 허리고정수단(62)을 설치하는 허리측박음단계와; 상기 앞면형성부(20) 중간지점(a)의 전후방향 타측 단부(c)로부터 서로 겹쳐 있는 앞면형성부(20), 일측배면형성부(30), 타측배면형성부(40)를 한꺼번에 소정의 길이만큼 절개하여 절개부(70)를 형성하는 중앙절개단계와; 상기 절개부(70)를 따라 일측배면형성부(30), 타측배면형성부(40), 앞면형성부(20)를 박음질하여 타측박음부(80)를 형성하여 상기 겹침부(50)에는 일측박음부(60)와 타측박음부(80) 사이의 개구부(81)가 형성되도록 하고, 타측박음부(80) 양측에 착용자의 다리가 수용되는 다리수용공간(82)을 형성하는 다리측박음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착용시 엉덩이 부위가 잘 보이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검진시에는 개구부를 벌리면 용이하게 검진이 가능한 검진 바지가 제공된다.
또한, 벨크로테이프나 지퍼 등을 구비하지 않고도 의료진이 검진 후 개구부를 손쉽게 닫고, 그 후 천이 겹쳐져 잘 보이지 않게 함으로써 노출에 의한 수치심은 물론 벨크로테이프나 지퍼 등의 식별물로 인한 수치심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통상의 바지 제조에 소요되는 허리춤 박음 공정 외에는 장방형의 천 양측을 접고, 하단을 절개하고, 절개부 주변을 박음하는 단순한 공정으로 이루어져 종래의 검진 바지에 비해 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어 의료기관으로 하여금 사용 후 재사용에 의한 감염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천이 겹쳐지는 부위의 폭이 한정됨으로써 별도의 개구부 고정 수단 없이도 의료진으로 하여금 개방은 용이하게 하면서 피검자의 보행시 외부로 잘 노출되지 않게 된다.
또, 안쪽에 겹쳐지는 천의 중간 부분에 보조 절개부를 형성함으로써 의료진으로 하여금 개방이 쉽게 해주면서 외부로 둔부 노출을 최소화하여 피검자의 수치심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회용 검진 바지 제조 방법에서 밴딩단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회용 검진 바지 제조 방법에서 허리측박음단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회용 검진 바지 제조 방법에서 중앙절개단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회용 검진 바지 제조 방법에서 다리측박음단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회용 검진 바지의 개구부를 벌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회용 검진 바지가 길게 형성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일회용 검진 바지의 내측 원단에 보조절개부가 형성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일회용 검진 바지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1. 밴딩단계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장방형의 원단(10)을 준비한다.
이어 원단(10)의 좌우방향 일측과 타측을 접는다.
이렇게 좌우방향의 양측을 중앙 측으로 접게 되면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중앙에 앞면형성부(20)가 형성되게 되며, 그 양측에 일측배면형성부(30) 및 타측배면형성부(40)가 접혀 형성되어 앞면형성부(20)를 덮는 형태가 된다.
착용시의 상태로 설명하면 앞면형성부(20)는 피검자의 사타구니 측 방향에 위치하게 되고, 일측배면형성부(30) 및 타측배면형성부(40)는 피검자의 둔부 측 방향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도 1의 하단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일측배면형성부(30)는 단부가 앞면형성부(20) 중간지점을 지나 타측으로 마감 박음질 할 정도의 거리만큼 돌출되도록 접는다.
마감 박음질 할 정도의 거리는 대략 5 ~ 20mm 정도가 될 수 있다.
더불어, 타측배면형성부(40)는 단부가 앞면형성부(20) 중간지점(a)을 지나 마감 박음질할 정도의 거리를 초과하여 앞면형성부(20)의 타측 단부 까지 거리 미만이 되도록 접는다.
수치상으로는 20mm를 초과하면서 300mm 미만 정도의 범위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앞면형성부(20)에 표면에 일측배면형성부(30)와 타측배면형성부(40)가 모두 겹치는 겹침부(50)가 형성되게 된다.
이때, 겹침부(50)에서 타측배면형성부(40)가 일측배면형성부(30)와 앞면형성부(2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밴딩한다.
도면에서 앞면형성부(20)의 폭(d)은 피검자의 허리 치수에 따라 달리 이루어지게 되는데, 만일 허리 둘레가 큰 피검자가 착용할 때 겹침부(50)의 폭(e)이 30mm ~ 70mm 밖에 안된다면 둔부의 곡면 형상, 보행에 따른 둔부 움직임에 의해 손쉽게 노출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겹침부(50)의 폭(e)은 앞면형성부(20)의 폭(d)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른 바람직한 겹침부(50)의 폭(e)은 상기 앞면형성부(20) 폭(d)의 1/5 ~ 1/6인 것이 좋다.
이 수치는 표준 체형의 성인 기준으로 할 때 겹치는 부분인 겹침부(50)의 폭(e)이 대략 100mm 내외의 정도에 해당하게 되는 것으로, 노출을 회피하면서 의료진에게는 검진 및 시술시 간편하게 겹친 부위를 벌려 사용상의 간편함을 제공하게 된다.
만일, 폭(e)이 1/5 정도의 수치가 되는 것은 대략 중앙지점(a)으로부터 앞면형성부(20)의 일측 단부까지 거리의 1/2 정도에 약간 못미치는 위치인데, 이 경우의 수치가 의료진이 벌리기 용이하고, 보행 활동에서의 피검자의 둔부 노출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만일, 겹침부(50)의 폭(e)을 상기 수치 범위의 최대값보다 크게 할 경우 의료진은 검진 과정에서 잘 벌리기 어렵게 될 뿐만 아니라, 피검자로 하여금 착용 과정 및 착용 중의 이물감 및 불편함을 줄 수 있다.
반대로 겹침부(50)의 폭(e)을 상기 수치 범위의 최소값보다 작게 할 경우 피검자가 착용 후 활동시 둔부 노출 위험성이 커지게 된다.
2. 허리측박음단계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밴딩된 원단(10)의 전후방향 일측 단부(b)를 따라 박음질 처리하여 일측박음부(60)를 형성함으로써 일측박음부(60)에 의해 둘러쌓여 착용자 몸통이 수용되는 몸통수용공간(61)을 형성한다.
이때, 착용 후 착용자의 허리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일측박음부(60)에 끈, 고무줄 등과 같은 공지의 허리고정수단(62)을 설치한다.
이러한 허리측박음단계는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팬티나 바지 제조 공정에서 허리측을 조이거나 고정하기 위한 다양한 박음 및 마감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도 2에서 확대된 절개사시도 부분은 일측박음부(60)의 형성 예를 나타낸 것으로, 가운데에 고무줄로 된 허리고정수단(62)이 설치되어 있고, 착용자 앞면 측에 위치하게 되는 앞면형성부(20)는 허리고정수단(62)을 감싼 채 몸통수용공간(61) 내측으로 밴딩된 후 박음질 처리되어 있다.
또, 착용자 뒷면 측에 위치하게 되는 부분은 타측배면형성부(40)와 일측배면형성부(30)가 겹쳐진 상태에서 허리고정수단(62)을 감싼 채 동일하게 몸통수용고간(61) 내측으로 밴딩된 후 박음질 처리되어 있다.
여기서 중요한 부분은 다양한 박음 처리가 가능하지만, 겹침부(50)에서 박음 처리시 타측배면형성부(40)와 일측배면형성부(30)가 겹쳐진 상태에서 박음 처리되는 것이 좋다.
이는 의료진이 내부에 위치하는 타측배면형성부(40)를 당겨 벌린 후 검사 종료 후 자연스럽게 다시 닫힐 수 있게 해주며, 보행시 개구부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3. 중앙절개단계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허리측박음단계가 이루어진 부분의 반대편인 타측 단부(c),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앞면형성부(20) 중간지점(a)의 전후방향 타측 단부(c)로부터 서로 겹쳐 있는 앞면형성부(20), 일측배면형성부(30), 타측배면형성부(40)를 한꺼번에 소정의 길이만큼 절개하여 절개부(70)를 형성한다.
도 3에는 가위(71)를 이용하여 절개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절개하는 길이는 바지의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면의 예는 반바지 형태로 제조되기 때문에 절개부(70)의 길이가 짧게 이루어지나, 도 6과 같이 긴 반지 형태로 제조될 경우 절개부(70)의 길이는 길게 이루어진다.
4. 다리측박음단계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절개부(70)를 따라 각각 양측의 일측배면형성(30), 타측배면형성부(40), 앞면형성부(20)를 관통하면서 박음질하여 타측박음부(80)를 형성한다.
도면에서는 미싱(83)을 이용하여 박음질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처럼 다리측 박음을 실시하게 됨에 따라 겹침부(50)의 전방측 단부와 후방측 단부에 일측박음부(60)와 타측박음부(80)가 형성되고, 그 사이의 일측배면형성(30)와 타측배면형성부(40)는 아무런 고정요소가 없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의료진의 검진시 개방 가능한 개구부(81)가 형성된다.
더불어, 타측박음부(80)의 형성에 의해 타측박음부(80) 양측에는 착용자의 다리가 수용되는 다리수용공간(82)을 형성한다.
상기한 구성에서 각 공정은 작업 편의에 따라 선후가 뒤바뀌어 진행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본 발명의 일회용 검진 바지는 도 4 및 도 7에 그 예가 도시되어 있다.
그 구성은 장방형의 원단(10)의 좌우방향 일측과 타측이 접혀 중앙의 앞면형성부(20)와, 앞면형성부(20) 좌,우측에 접혀 형성된 일측배면형성부(30) 및 타측배면형성부(40)가 형성되어 있되, 일측배면형성부(30)는 단부가 앞면형성부(20) 중간지점을 지나 타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타측배면형성부(40)는 단부가 앞면형성부(20) 중간지점(a)을 지나 마감 박음질할 정도의 거리를 초과하여 앞면형성부(20)의 타측 단부 까지 거리 미만이 되도록 형성되어 앞면형성부(20)의 표면에 일측배면형성부(30)와 타측배면형성부(40)가 모두 겹치는 겹침부(50)가 형성되어 있다.
또, 원단(10)의 전후방향 일측 단부(b)는 착용자 몸통이 수용되는 몸통수용공간(61)이 형성되도록 둘레를 따라 박음질 처리된 일측박음부(60)가 형성되어 있으며, 원단(10)의 전후방향 타측 단부(c)는 중간지점(a)에서 일측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70)가 형성되어 있으며, 절개부(70)를 따라 박음질 처리된 타측박음부(80)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겹침부(50)에는 일측박음부(60)와 타측박음부(80) 사이에 개구부(81)가 형성되며, 타측박음부(80) 양측에 착용자의 다리가 수용되는 다리수용공간(82)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겹침부(50)의 폭(e)은 상기 앞면형성부(20) 폭(d)의 1/5 ~ 1/6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바지의 길이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반바지 형태나 긴바지 형태 모두 가능하다.
더 나아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타측배면형성부(40)는 겹칩부(50) 중간 측에 위치한 단부가 일측박음부(60)와 타측박음부(80)측 단부보다 중앙 측에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절개된 보조절개부(4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의 (A)는 보조절개부(41)가 라운드진 형태로 이루어진 예이며, (B)는 사다리꼴 형태로 절개된 예, (C)는 삼각 형태로 절개된 예이다.
또, 보조절개부(41)와 반대가 되도록 중앙 부위가 단부측으로 더 돌출된 미도시된 보조돌출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보조돌출부를 구성하게 되면, 보행 등의 활동시 의도하지 않은 뒷트임을 보다 더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겹침부(50)를 구성하는 타측배면형성부(40)와 일측배면형성부(30)만을 가볍게 1회 박음 처리하는 보조박음부(60)를 일측박음부(60)와 타측박음부(80)로부터 중앙 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보조박음부(60)는 피검자 착용시에는 박음 상태를 유지하다가, 검진시 의료진이 가볍게 잡아당기거나, 의료 가위로 잘라낼 수 있다.
이러한 보조박음부(60)는 검진에 이르기 전까지 개구부(81)의 개방을 가일층 억제하여 피검자에게 보다 자유로운 활동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되며, 검진시 의료진은 간단히 잡아당기거나 잘라내는 동작만으로 개구부(81)의 개방성이 보다 크게 이루어져 진료 및 시술의 간편함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회용 검진 바지 및 그 제조 방법은 대장 내시경 검사 및 수술, 직장이나 항문 질환의 검진, 수술, 진료 등에 적용될 수 있다 할 것이다.
10 : 원단 20 : 앞면형성부
30 : 일측배면형성부 40 : 타측배면형성부
41 : 보조절개부 50 : 겹침부
60 : 일측박음부 61 : 몸통수용공간
62 : 허리고정수단 70 : 절개부
71 : 가위 80 : 타측절개부
81 : 개구부 82 : 다리수용공간
90 : 보조박음부
a : 앞면형성부의 중간지점
b : 원단의 전후방향 일측 단부
c : 원단의 전후방향 타측 단부
d : 앞면형성부의 폭
e : 겹침부의 폭

Claims (4)

  1. 검진 바지에 있어서,
    장방형의 원단(10)의 좌우방향 일측과 타측이 접혀 중앙의 앞면형성부(20)와, 앞면형성부(20) 좌,우측에 접혀 형성된 일측배면형성부(30) 및 타측배면형성부(40)가 형성되어 있되, 일측배면형성부(30)는 단부가 앞면형성부(20) 중간지점을 지나 타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타측배면형성부(40)는 단부가 앞면형성부(20) 중간지점(a)을 지나 마감 박음질할 정도의 거리를 초과하여 앞면형성부(20)의 타측 단부 까지 거리 미만이 되도록 형성되어 앞면형성부(20)의 표면에 일측배면형성부(30)와 타측배면형성부(40)가 모두 겹치는 겹침부(50)가 형성되어 있고,
    원단(10)의 전후방향 일측 단부(b)는 착용자 몸통이 수용되는 몸통수용공간(61)이 형성되도록 둘레를 따라 박음질 처리된 일측박음부(60)가 형성되어 있으며,
    원단(10)의 전후방향 타측 단부(c)는 중간지점(a)에서 일측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70)가 형성되어 있으며, 절개부(70)를 따라 박음질 처리된 타측박음부(80)가 형성되어 상기 겹침부(50)에는 일측박음부(60)와 타측박음부(80) 사이에 개구부(81)가 형성되며, 타측박음부(80) 양측에 착용자의 다리가 수용되는 다리수용공간(8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검진 바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겹침부(50)의 폭(e)은 상기 앞면형성부(20) 폭(d)의 1/5 ~ 1/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검진 바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배면형성부(40)는 겹칩부(50) 중간 측에 위치한 단부가 일측박음부(60)와 타측박음부(80)측 단부보다 중앙 측에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절개된 보조절개부(4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검진 바지.
  4. 일회용 검진 바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장방형의 원단(10)을 준비한 후 원단(10)의 좌우방향 일측과 타측을 접어, 중앙의 앞면형성부(20), 앞면형성부(20)의 좌,우측에 접혀 형성된 일측배면형성부(30) 및 타측배면형성부(40)를 형성하되, 일측배면형성부(30)는 단부가 앞면형성부(20) 중간지점을 지나 타측으로 마감 박음질 할 정도의 거리만큼 돌출되도록 접고, 타측배면형성부(40)는 단부가 앞면형성부(20) 중간지점(a)을 지나 마감 박음질할 정도의 거리를 초과하여 앞면형성부(20)의 타측 단부 까지 거리 미만이 되도록 접어 앞면형성부(20)에 표면에 일측배면형성부(30)와 타측배면형성부(40)가 모두 겹치는 겹침부(50)를 형성하는 밴딩단계와;
    상기 밴딩된 원단의 전후방향 일측 단부(b)를 따라 박음질 처리하여 일측박음부(60)를 형성함으로써 일측박음부(60)에 의해 둘러쌓여 착용자 몸통이 수용되는 몸통수용공간(61)을 형성하며, 착용자의 허리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일측박음부에 허리고정수단(62)을 설치하는 허리측박음단계와;
    상기 앞면형성부(20) 중간지점(a)의 전후방향 타측 단부(c)로부터 서로 겹쳐 있는 앞면형성부(20), 일측배면형성부(30), 타측배면형성부(40)를 한꺼번에 소정의 길이만큼 절개하여 절개부(70)를 형성하는 중앙절개단계와;
    상기 절개부(70)를 따라 일측배면형성부(30), 타측배면형성부(40), 앞면형성부(20)를 박음질하여 타측박음부(80)를 형성하여 상기 겹침부(50)에는 일측박음부(60)와 타측박음부(80) 사이의 개구부(81)가 형성되도록 하고, 타측박음부(80) 양측에 착용자의 다리가 수용되는 다리수용공간(82)을 형성하는 다리측박음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일회용 검진 바지의 제조 방법.
KR1020180041354A 2018-04-10 2018-04-10 일회용 검진 바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1923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354A KR101923951B1 (ko) 2018-04-10 2018-04-10 일회용 검진 바지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354A KR101923951B1 (ko) 2018-04-10 2018-04-10 일회용 검진 바지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3951B1 true KR101923951B1 (ko) 2018-11-30

Family

ID=64561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1354A KR101923951B1 (ko) 2018-04-10 2018-04-10 일회용 검진 바지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3951B1 (ko)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2241B2 (ja) 1995-03-31 2000-11-27 新東工業株式会社 被膜貼着成形品の溶断取出方法及び受型装置
JP3114816B2 (ja) 1991-06-22 2000-12-04 豊田工機株式会社 デジタル出力を有する容量形センサ
JP3205763B2 (ja) 1995-10-05 2001-09-04 鹿島建設株式会社 シールド工法のエントランスパッキン
KR200325065Y1 (ko) 2003-05-28 2003-08-29 황선문 혈관조영검사, 시술 및 수술용 일회용 팬츠
KR200334450Y1 (ko) 2003-08-27 2003-11-28 권경해 의료용 속옷
JP2004076238A (ja) 2002-08-09 2004-03-11 Fukujukai Ladies Clinic Shigematsu 産婦人科外陰部診察用穴あき診察衣
KR200381565Y1 (ko) 2005-01-13 2005-04-14 이순덕 환자용 기능성 팬티
JP3866883B2 (ja) 1999-07-07 2007-01-10 東洋紡績株式会社 治療・検査用パンツ
JP3921330B2 (ja) 2000-04-28 2007-05-30 戸高 禮子 非健常者用衣服
KR100741907B1 (ko) 2007-04-12 2007-07-24 황선문 시술 및 수술용 일회용 팬츠
KR100773114B1 (ko) 2006-02-13 2007-11-07 하영교 수술환자용 팬티
JP3145079U (ja) 2008-07-14 2008-09-25 株式会社トンボ 受診用下衣
US20130104294A1 (en) 2011-10-31 2013-05-02 Olive Edwards Undergarment with Crotch Opening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4816B2 (ja) 1991-06-22 2000-12-04 豊田工機株式会社 デジタル出力を有する容量形センサ
JP3112241B2 (ja) 1995-03-31 2000-11-27 新東工業株式会社 被膜貼着成形品の溶断取出方法及び受型装置
JP3205763B2 (ja) 1995-10-05 2001-09-04 鹿島建設株式会社 シールド工法のエントランスパッキン
JP3866883B2 (ja) 1999-07-07 2007-01-10 東洋紡績株式会社 治療・検査用パンツ
JP3921330B2 (ja) 2000-04-28 2007-05-30 戸高 禮子 非健常者用衣服
JP2004076238A (ja) 2002-08-09 2004-03-11 Fukujukai Ladies Clinic Shigematsu 産婦人科外陰部診察用穴あき診察衣
KR200325065Y1 (ko) 2003-05-28 2003-08-29 황선문 혈관조영검사, 시술 및 수술용 일회용 팬츠
KR200334450Y1 (ko) 2003-08-27 2003-11-28 권경해 의료용 속옷
KR200381565Y1 (ko) 2005-01-13 2005-04-14 이순덕 환자용 기능성 팬티
KR100773114B1 (ko) 2006-02-13 2007-11-07 하영교 수술환자용 팬티
KR100741907B1 (ko) 2007-04-12 2007-07-24 황선문 시술 및 수술용 일회용 팬츠
JP3145079U (ja) 2008-07-14 2008-09-25 株式会社トンボ 受診用下衣
US20130104294A1 (en) 2011-10-31 2013-05-02 Olive Edwards Undergarment with Crotch Open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9173B2 (en) Pants and similar types with a convenient flap
US5802611A (en) Releasable clothing with temperature sensor for bedridden patients
US5535452A (en) Man's removable brief to be removed while wearing an outer garment
KR101525577B1 (ko) 대장내시경용 환자복
EP1657988B1 (en) Garment for patients in endoscopy
US20070271670A1 (en) Disposable undergarment for medical treatment and surgery
KR101923951B1 (ko) 일회용 검진 바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0485573Y1 (ko) 남성용 기능성 팬티
JP4523602B2 (ja) 補助衣服
CA2838431C (en) Undergarment with discreet access opening
CA2948366A1 (en) Accessible fashion wear
KR200415967Y1 (ko) 수술환자용 팬티
KR20170095542A (ko) 대장 내시경용 환자복
JP3208020U (ja) 介護用スラックス
JP6614664B2 (ja) 被介護者用ズボン
JP3499867B1 (ja) スカート及びその製作方法
CN220109201U (zh) 一种适用于截石位检查或手术操作的病员服
JP2012132132A (ja) 施術用パンツ
KR200217334Y1 (ko) 편리한 위생적인 남성용 반바지형 팬티
JP3174920U (ja) 下半身用の衣服
JP2019123978A (ja) パジャマ
KR100773114B1 (ko) 수술환자용 팬티
CN211092019U (zh) 一次性使用肠镜检查裤子
CN210901508U (zh) 胸部美容护理衣
JP2011174191A (ja) 男性用下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