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3694B1 - 홍삼과 병풀을 함유하는 달팽이 사료 및 달팽이 사육방법 - Google Patents

홍삼과 병풀을 함유하는 달팽이 사료 및 달팽이 사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3694B1
KR101923694B1 KR1020170020507A KR20170020507A KR101923694B1 KR 101923694 B1 KR101923694 B1 KR 101923694B1 KR 1020170020507 A KR1020170020507 A KR 1020170020507A KR 20170020507 A KR20170020507 A KR 20170020507A KR 101923694 B1 KR101923694 B1 KR 101923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ail
feed composition
snails
feed
f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0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4332A (ko
Inventor
박성민
이정노
김재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Priority to KR1020170020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3694B1/ko
Publication of KR20180094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4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6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9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insects, e.g. bees or silkwor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A01K67/0331Snai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23K20/24Compounds of alkaline earth metals, e.g. magnesium

Abstract

본 발명은 홍삼과 병풀이 함유된 달팽이 사료 및 그 사료를 이용한 달팽이 사육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달팽이 사료 제조방법 및 사육방법은 면역강화능이 우수한 홍삼과 재생 효능이 있는 병풀을 함유하여 달팽이의 생존율을 증가시키고 달팽이의 약성 및 점액의 효능을 더욱 높이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Description

홍삼과 병풀을 함유하는 달팽이 사료 및 달팽이 사육방법 {Snail feed with red ginseng and Centella asiatica and breed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달팽이 사료 및 달팽이 사육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면역강화기능이 우수한 홍삼과 상처 치유 효능이 있는 병풀을 함유하는 사료 및 그 사료를 이용하여 달팽이를 사육함으로써 달팽이의 생존율을 증가시키고 달팽이의 약성 및 점액의 효능을 더욱 높이는 사육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달팽이(Acusta despecta sieboldiana)는 복족류에 속하며 세계에 약 2만 종이 알려져 있다. 달팽이류는 이동력이 약하기 때문에 개체군이 지역별로 격리되어 아종이 많이 생긴다. 그 중에는 대형(껍데기 높이 100mm)인 아프리카마노달팽이(Achatina achatina)와 껍데기 높이가 약 1mm인 왜달팽이(Valononia costata)가 있는가 하면 브라질에 서식하는 큰 붕달팽이는 알의 길이가 27mm, 지름이 약 12mm이다. 주로 한국, 일본, 중국 등 온대와 열대 지방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달팽이의 점액을 구성하는 성분을 뮤신(Mucin)이라 하며, 뮤신을 구성하고 있는 성분은 콘드로이친 설페이트(chondroitin sulfate)이다. 또한, 주영양성분은 단백질(54.29%), 지질(4.18%), 탄수화물(30.45%), 회분(4.07%) 등으로 알려져 있으며, 달팽이 점액의 주요 함유물질인 알란토인(Allantoin)은 피부진정 및 모공수축작용이 있으며 글리콜산(Glicolic Acid)은 피부트러블 예방효과가 있고 콜라겐(Collagen)과 엘라스틴(Elastin)은 피부탄력을 유지시켜주는 것으로 알려있다.
한편, 홍삼은 수삼을 박피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증기로 찌고 건조하는 증숙을 반복하여 만든 가공된 인삼을 말한다. 홍삼은 담황갈색 혹은 담적갈색을 띠는 시각적인 차이뿐만 아니라 건조 과정이 수분이 증발되어 단위 g당 생리활성물질의 함량이 매우 높은 특징이 있다. 증숙 시, 홍삼은 사포닌 배당체가 사포닌으로 전환되어 사포닌의 농도가 증가하고, 사포닌의 종류도 32종으로 늘어났으며, 이는 피로회복, 면역력 증진, 자양 강장, 항산화 작용 등의 효능을 나타낸다.
한편, 병풀은 산형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고투콜라, 호랑이풀, 조개풀로도 불린다. 주요성분은 베타-카로텐, 캄페스테롤, 캠페롤, 사포닌, 아시아티코사이드, 마데카소사이드 등이 있으며 약리작용으로는 이뇨작용, 강장, 신경안정, 마취, 면역자극, 구토억제 등에 효과 있다. 또한, Madecasic acid와 Asiaticosid는 상처 치유, 혈액 순환 촉진 등에 효능이 있어 약해진 피부를 진정시키고 재생력을 강화시키는 진정 성분으로 쓰인다.
또한, 종래에는 홍삼과 병풀을 모두 함유하는 달팽이 사료 조성물에 관련된 발명이 없었다. 본 발명자들은 면역증진효능이 우수한 홍삼과 재생효능이 뛰어난 병풀을 배합한 사료를 이용하여 달팽이 사육방법을 개발하였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10-0092924호 (공개일자 2010.08.23)에는 뽕잎으로 식용달팽이를 사육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649939호 (등록일자 2016.08.16)에는 생광석을 먹인 달팽이 점액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면역강화기능이 우수한 홍삼과 재생효능이 뛰어난 병풀을 함유하는 사료 및 그 사료를 이용하여 달팽이를 사육하는 방법으로, 달팽이의 약성을 더욱 높이고, 달팽이가 분비하는 점액의 효능을 높여 달팽이의 부가가치를 증진시킨 홍삼과 병풀을 함유된 달팽이 사료 및 달팽이 사육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홍삼 및 병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팽이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달팽이 사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미강, 콩분말, 옥수수가루 및 탄산칼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달팽이 사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달팽이 사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홍삼분말 4~20중량%, 병풀분말 4~20 중량%, 미강 10~40중량%, 콩분말10~40중량%, 옥수수가루10~30중량% 및 탄산칼슘 10~30중량%로 조성된 것이 좋다.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달팽이 사료 조성물을 급여하여 달팽이를 사육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달팽이를 사육하는 방법은, 바람직하게 알로부터 부화한 달팽이에 본 발명의 달팽이 사료 조성물을 0.5~1.5일에 1회씩 급여하면서 1~3주간 사육한 후, 본 발명의 달팽이 사료 조성물을 2~4일에 1회씩 급여하면서 1~3개월간 사육하여 새끼 달팽이로 성장시키는 단계 (a); 상기 단계 (a) 후, 성장한 새끼 달팽이를 다른 사육조로 각각 분가시켜 본 발명의 달팽이 사료 조성물을 2~4일에 1회씩 급여하면서, 4~6개월 사육하여 성체 달팽이로 성장시키는 단계 (b)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본 발명의 달팽이를 사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알로부터 부화한 달팽이는, 바람직하게 사육조 당 40~60마리씩 담겨 있는 것이 좋다.
상기 단계 (a)의 부화한 달팽이를 새끼달팽이로 키우는 과정에서,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달팽이 사료 조성물의 급여 시, 이전에 공급된 잔여 사료는 제거하는 것이 좋다.
상기 본 발명의 달팽이를 사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의 성장한 새끼 달팽이는, 바람직하게 사육조 당 18~20마리씩 분가시키는 것이 좋다.
상기 본 발명의 달팽이를 사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의 성체 달팽이는, 바람직하게 크기가 5~10cm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은 홍삼과 병풀을 함유하는 사료를 이용하여 달팽이를 사육함으로써 달팽이의 생존율을 높이고, 달팽이 약성 및 점액의 효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홍삼 및 병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팽이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홍삼, 병풀은 종래에 식품, 약품 등의 분야에서 다양하게 적용되어 왔으나, 아직까지 홍삼 및 병풀을 모두 포함하는 달팽이 사료 조성물은 알려진 바 없고, 본 발명에서 달팽이 사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처음으로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하기 본 발명의 실험에 의하면, 본 발명의 달팽이 사료 조성물로 사육된 달팽이는 생존율이 약 98% 이상임에 반해, 홍삼 또는 병풀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되지 않은 사료는 달팽이 생존율이 현저히 낮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홍삼은 사포닌 배당체가 사포닌으로 전환되어 사포닌의 농도가 증가하고, 피로회복, 면역력 증진, 자양 강장, 항산화 작용 등의 효능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병풀은 베타-카로텐, 캄페스테롤, 캠페롤, 사포닌, 아시아티코사이드, 마데카소사이드 등을 주요성분으로 하는데, 약리작용으로는 이뇨작용, 강장, 신경안정, 마취, 면역자극, 구토억제 등에 효과 있다. 마데카소산(Madecasic acid)과 아시아티코사이드(Asiaticosid)는 상처 치유, 혈액 순환 촉진 등에 효능이 있어 약해진 피부를 진정시키고 재생력을 강화시키는 진정 성분으로 쓰인다.
한편, 본 발명의 달팽이 사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미강, 콩분말, 옥수수가루 및 탄산칼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미강은 미네랄 및 비타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콩분말은 단백질로써 달팽이의 성장을 돕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옥수수가루는 탄수화물로써, 달팽이의 에너지 공급원 역할을 한다. 그리고 탄산칼슘은 달팽이의 껍질을 구성하는 성분으로써, 필수적 섭취가 필요한 영양소이다.
이때, 상기 달팽이 사료 조성물은, 더욱 바람직하게 홍삼분말 4~20중량%, 병풀분말 4~20 중량%, 미강 10~40중량%, 콩분말10~40%, 옥수수가루10~30% 및 탄산칼슘10~30%로 조성된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달팽이 사료 조성물을 급여하여 달팽이를 사육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달팽이를 사육하는 방법은, 바람직하게 알로부터 부화한 달팽이에 상기 본 발명의 달팽이 사료 조성물을 0.5~1.5일에 1회씩 급여하면서 1~3주간 사육한 후, 본 발명의 달팽이 사료 조성물을 2~4일에 1회씩 급여하면서 1~3개월간 사육하여 새끼 달팽이로 성장시키는 단계 (a); 상기 단계 (a) 후, 성장한 새끼 달팽이를 다른 사육조로 각각 분가시켜 본 발명의 달팽이 사료 조성물을 2~4일에 1회씩 급여하면서, 4~6개월 사육하여 성체 달팽이로 성장시키는 단계 (b);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하에서는 상기 각 단계를 세분화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a): 알로부터 부화한 달팽이를 새끼달팽이로 사육하는 단계>
본 단계는 알로부터 부화한 달팽이에 상기 본 발명의 달팽이 사료 조성물을 0.5~1.5일에 1회씩 급여하면서 1~3주간 사육한 후, 본 발명의 달팽이 사료 조성물을 2~4일에 1회씩 급여하면서 1~3개월간 사육하여 새끼 달팽이로 성장시키는 단계이다.
본 단계는 알로부터 부화한 달팽이에 본 발명의 달팽이 사료 조성물을 0.5~1.5일에 1회씩 급여하면서 1~3주간 사육하는 과정 ①과, 상기 과정 ①후, 본 발명의 달팽이 사료 조성물을 2~4일에 1회씩 급여하면서 1~3개월간 사육하여 새끼 달팽이로 성장시키는 과정 ②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①의 과정을 설명하자면, 알로부터 부화한 달팽이에 상기 본 발명의 달팽이 사료 조성물을 0.5~1.5일에 1회씩 급여하면서 1~3주간 사육하는 과정이다. 바람직하게는 1일에 1회씩 급여하는 것이 좋은데, 본 발명의 사료를 1일에 1회씩 공급할 경우, 3일 1회 사료 공급하는 방법보다 생존율이 현저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과정 ①에서, 상기 알로부터 부화한 달팽이는, 바람직하게 사육조 당 40~60마리씩 담겨 있는 것이 좋다. 사육조당 40마리 미만으로 담는 것은 경제적이지 못하고, 60마리 초과로 담는 것은 생육 공간이 너무 비좁아 달팽이의 면역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사육조당 40~60마리가 바람직한 것이다.
본 과정 ①에서는,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달팽이 사료 조성물의 급여시 이전에 공급된 잔여 사료를 제거하는 것이 좋다. 잔여 사료를 제거함으로써 사료에 곰팡이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면역력이 약한 새끼 달팽이의 사멸률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②의 과정을 설명하자면, 상기 ① 과정의 사육 후, 본 발명의 달팽이 사료 조성물을 2~4일에 1회씩 급여하면서 1~3개월간 사육하여 새끼 달팽이로 성장시키는 단계이다.
본 과정 ②에서는, 상기 ① 과정보다 긴 주기로 사료를 공급한다. 달팽이 사료에는 다양한 영양성분이 있기 때문에, 세균 및 곰팡이의 생장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① 과정의 면역력이 약한 어린 달팽이에게는 짧은 주기로 사료를 공급해야 한다. 하지만, 어린 달팽이에서 어느 정도 성장한 본 과정 ②에서는 ① 경우에 비해 면역력이 높으므로, 보다 긴 주기로 사료를 공급해도 무방한 것이다.
<단계 (b): 성체 달팽이로 성장시키는 단계>
본 단계는 상기 단계 (a) 후, 성장한 새끼 달팽이를 다른 사육조로 각각 분가시켜 본 발명의 달팽이 사료 조성물을 2~4일에 1회씩 급여하면서, 4~6개월 사육하여 성체 달팽이로 성장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본 발명의 달팽이를 사육하는 방법에 있어, 상기 단계 (b)의 성장한 새끼 달팽이는, 바람직하게 사육조 당 18~20마리씩 분가시키는 것이 좋다. 성장한 달팽이는 몸집이 커져 새끼 달팽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생육 공간을 많이 차지하기 때문에 사육조 당 달팽이의 수를 새끼 달팽이에 비해 적게 배분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달팽이를 사육하는 방법에 있어, 상기 단계 (b)의 성체 달팽이는, 바람직하게 크기가 5~10cm인 것이 좋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8cm인 것이 좋다. 이 정도 크기로 성장하면 출하를 할 수 있을 정도의 상품성이 있기 때문이다. 출하를 위한 달팽이는 에탄올로 깨끗이 소독하고 출하하는 것이 좋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 하기 실시예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 실시예 1: 달팽이 사료의 제조]
1~5년근 홍삼을 시료로 선별하여 충분히 세척한 다음 분쇄하여 200 메시를 이용해 미세하게 만들었다. 병풀도 충분히 세척한 다음 분쇄하여 200 메시를 이용하여 미세하게 만들었다. 상기의 제조된 홍삼분말, 병풀분말, 미강, 콩분말, 옥수수가루 및 탄산칼슘을 혼합하였다. 그 후, 물을 첨가한 다음 반죽하여 달팽이 사료를 제조하였다.
또한, 사료에 따른 달팽이 사육시 생존율을 비교하기 위해 병풀을 제외한 달팽이 사료 비교 실시예 1, 홍삼을 제외한 달팽이 사료 비교 실시예 2, 홍삼과 병풀을 제외한 기존 달팽이 사료인 비교 실시예 3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에는 상기 실시예에서 사용한 달팽이 사료의 성분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비교 실시예 1 비교 실시예 2 비교 실시예 3
미강 30% 32% 32% 32%
콩분말 22% 25% 25% 28%
옥수수가루 22% 25% 25% 28%
탄산칼슘 10% 10% 10% 12%
홍삼분말 8% 8% 0% 0%
병풀분말 8% 0% 8% 0%
총함량 100% 100% 100% 100%
[ 실시예 2: 새끼 달팽이 사육]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 실시예 1~3에서 제조된 달팽이 사료를 이용하여 달팽이를 사육하였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달팽이 사료를 이용하여 달팽이를 사육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았다. 적정수의 달팽이 알,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200개의 달팽이 알을 사육조에 옮겨서 10~14일 동안 보관하여 부화시켰다. 상기의 사육조는 불투명한 재질로 구성되며 측면부는 다수의 통기공이 존재하고, 상단부는 개방형으로 결합할 수 있는 덮개를 가진 것을 사용하였다. 사육조는 코코넛 톱밥을 깔고 물을 채워 습도를 70~80%로 유지하고 온도는 약 22~28℃로 유지하였다.
사육조에서 부화시켜 얻은 새끼 달팽이를 다른 사육조에 약 40~60 마리씩 옮긴 후 약 2개월간 사육하였다. 상기 사육조에서 사육하는 달팽이는 사료를 1일 1회 공급하면서 2주간 사육하는데, 이는 사료를 공급함과 동시에 이전에 공급된 잔여 사료를 제거함으로써 사료에 곰팡이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면역력이 약한 새끼 달팽이의 사멸률을 줄였다. 2주간 사육한 이후 3일 1회 사료를 공급하며 2개월간 사육하였다.
[실험예 1: 사료에 따른 새끼달팽이 생존률 비교]
상기의 실시예 1의 홍삼과 병풀을 함유하는 달팽이 사료를 이용한 실시예 2의 새끼 달팽이 사육 방법과 비교 실시예 1~3의 달팽이 사료를 이용한 새끼 달팽이 사육 방법의 생존율을 비교하였다.
동일한 수의 달팽이 알 50 개를 1~20번 사육조에 옮겨서 10~14일 동안 보관하여 부화시킨다. 1~5번 사육조의 새끼 달팽이는 실시예 1의 홍삼과 병풀을 함유한 달팽이 사료를 1일 1회 공급하여 사육하였으며 6~10번 사육조는 홍삼분말을 함유한 비교 실시예 1의 달팽이 사료를 1일 1회 공급하여 사육하였다. 11~15번 사육조의 새끼 달팽이는 병풀을 함유한 비교 실시예 2의 달팽이 사료를 1일 1회 공급하여 사육하였으며 15~20번 사육조의 새끼 달팽이는 비교 실시예 3의 달팽이 사료를 1일 1회 공급하였다. 상기의 방법으로 2주간 1일 1회 달팽이 사료를 공급하여 사육한 이후 달팽이 사료를 3일 1회 공급하며 2개월간 사육하여 각 사육조의 달팽이 생존율을 비교하였다.
시료명 사육조 생존율(%)
실시예 1 1 98.0%
2 99.0%
3 97.0%
4 98.0%
5 98.5%
비교 실시예 1 6 88.5%
7 89.0%
8 87.0%
9 88.5%
10 88.5%
비교 실시예 2 11 87.5%
12 87.0%
13 87.0%
14 88.5%
15 89.5%
비교 실시예 3 16 80.5%
17 81.0%
18 84.0%
19 82.5%
20 82.5%
상기 표 2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홍삼과 병풀을 함유한 사료를 먹인 새끼 달팽이의 생존율은 평균 98.10%로 비교 실시예 1~3의 새끼 달팽이 생존율보다 더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교 실시예 1의 달팽이 사료와 비교 실시예 2의 달팽이 사료 생존율은 각각 88.3%, 87.9%로 기존 달팽이 사료인 비교 실시예 3의 생존율 82.1% 보다 더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2: 사육방법에 따른 새끼달팽이 생존율 비교]
상기의 실시예 1의 홍삼과 병풀을 함유하는 달팽이 사료를 공급하여 실시예 2의 새끼 달팽이 사육 방법과 기존 새끼 달팽이 사육 방법의 새끼 달팽이 생존율을 비교하였다.
동일한 수의 달팽이 알 50개를 1~10번 사육조에 옮겨서 10~14일 동안 보관하여 부화시켰다. 1~5번 사육조의 새끼 달팽이는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실시예 1의홍삼과 병풀을 함유한 달팽이 사료를 1일 1회 공급하여 사육하였으며 6~10번 사육조의 새끼 달팽이는 비교 실시예 2로 동일한 사료를 3일 1회 공급하여 사육하였다. 상기의 방법으로 2주간 달팽이 사료를 공급하여 사육한 이후 달팽이 사료를 3일 1회 공급하며 2개월간 사육하여 각 사육조의 달팽이 생존율을 비교하였다.
시료명 사육조 생존율(%)

홍삼과 병풀을 함유한 사료
1일 1회 사료 공급
1 97.0%
2 98.0%
3 98.5%
4 98.0%
5 99.5%

홍삼과 병풀을 함유한 사료1
3일 1회 사료 공급
6 81.5%
7 79.0%
8 67.0%
9 82.5%
10 78.5%
상기 표 3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깨끗한 환경과 신선한 상태의 사료를 공급한 실시예 2의 새끼 달팽이의 생존율이 98.2%로 기존의 사육방법인 비교 실시예 1의 새끼 달팽이 생존율인 77.7%보다 20.5% 더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 실시예 3: 성체 달팽이 사육]
상기의 실시예 2로 2개월간 사육한 새끼 달팽이를 다른 사육조에 18~20마리씩 분가시켜 사육하였다. 상기의 사육조에서 사육하는 달팽이는 3일에 1회 사료를 공급하며 약 4~5개월간 사육하였다. 이때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달팽이 사료를 사용하였다.
약 4~5개월간 홍삼과 병풀을 함유하는 사료를 먹인 달팽이는 크기가 5~10 cm, 바람직하게는 6~8cm인 달팽이를 선별하고 이렇게 선별된 달팽이를 에탄올로 깨끗이 소독하고 출하하였다.

Claims (9)

  1. 홍삼 및 병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팽이 사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달팽이 사료 조성물은,
    미강, 콩분말, 옥수수가루 및 탄산칼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팽이 사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달팽이 사료 조성물은,
    홍삼분말 4~20중량%, 병풀분말 4~20 중량%, 미강 10~40중량%, 콩분말10~40중량%, 옥수수가루10~30중량% 및 탄산칼슘 10~30중량%로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팽이 사료 조성물.
  4. 제1항의 달팽이 사료 조성물을 급여하여 달팽이를 사육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달팽이를 사육하는 방법은,
    알로부터 부화한 달팽이에 상기 달팽이 사료 조성물을 0.5~1.5일에 1회씩 급여하면서 1~3주간 사육한 후, 상기 달팽이 사료 조성물을 2~4일에 1회씩 급여하면서 1~3개월간 사육하여 새끼 달팽이로 성장시키는 단계 (a);
    상기 단계 (a) 후, 성장한 새끼 달팽이를 다른 사육조로 각각 분가시켜 상기 달팽이 사료 조성물을 2~4일에 1회씩 급여하면서, 4~6개월 사육하여 성체 달팽이로 성장시키는 단계 (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팽이를 사육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알로부터 부화한 달팽이는,
    사육조 당 40~60마리씩 담겨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팽이를 사육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상기 달팽이 사료 조성물의 급여시 이전에 공급된 잔여 사료는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팽이를 사육하는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의 성장한 새끼 달팽이는,
    사육조 당 18~20마리씩 분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팽이를 사육하는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의 성체 달팽이는,
    크기가 5~10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팽이를 사육하는 방법.

KR1020170020507A 2017-02-15 2017-02-15 홍삼과 병풀을 함유하는 달팽이 사료 및 달팽이 사육방법 KR101923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507A KR101923694B1 (ko) 2017-02-15 2017-02-15 홍삼과 병풀을 함유하는 달팽이 사료 및 달팽이 사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507A KR101923694B1 (ko) 2017-02-15 2017-02-15 홍삼과 병풀을 함유하는 달팽이 사료 및 달팽이 사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332A KR20180094332A (ko) 2018-08-23
KR101923694B1 true KR101923694B1 (ko) 2018-11-29

Family

ID=63454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0507A KR101923694B1 (ko) 2017-02-15 2017-02-15 홍삼과 병풀을 함유하는 달팽이 사료 및 달팽이 사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36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5534B1 (ko) * 2022-08-03 2023-11-24 박헌의 산삼배양근 배양 배지를 이용한 식용 달팽이용 사료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32735B2 (ja) 1989-11-18 1997-07-23 株式会社ホーネンコーポレーション エスカルゴ用飼料
KR101098400B1 (ko) 2010-08-31 2011-12-26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홍삼 먹인 달팽이 점액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72093B1 (ko) 2012-09-13 2013-06-07 김경오 린테우스 상황버섯이 함유된 식용 달팽이 사료 및 그 사료를 이용한 식용 달팽이 사육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2924A (ko) 2010-08-03 2010-08-23 유연실 뽕잎으로 식용달팽이 사육하는 방법
KR101649939B1 (ko) 2014-09-24 2016-08-22 (주)차모스코스메틱 생광석을 먹인 달팽이 점액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32735B2 (ja) 1989-11-18 1997-07-23 株式会社ホーネンコーポレーション エスカルゴ用飼料
KR101098400B1 (ko) 2010-08-31 2011-12-26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홍삼 먹인 달팽이 점액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72093B1 (ko) 2012-09-13 2013-06-07 김경오 린테우스 상황버섯이 함유된 식용 달팽이 사료 및 그 사료를 이용한 식용 달팽이 사육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연구보고서(201307) "기능성 천연물을 이용한 면역강화 사료첨가제 및 브랜드 뱀장어 개발" http://www.ndsl.kr/ndsl/search/detail/report/reportSearchResultDetail.do?cn=TRKO20140002019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332A (ko) 2018-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9105B1 (ko) 닭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23744B1 (ko) 흰점박이꽃무지의 사료 조성물
CN1759719A (zh) 以活禽为生物反应器生产的绿色保健禽肉禽蛋及方法
CN104996361B (zh) 非洲鸵鸟的人工饲养方法
CN103250914B (zh) 一种90日龄以上成年獭兔专用饲料添加剂
CN105231066A (zh) 一种雏鸭饲料的配方及其制备方法
CN106213054A (zh) 一种环保型青鱼饲料
CN106376723A (zh) 一种肉鸡养殖专用饲料
KR101923694B1 (ko) 홍삼과 병풀을 함유하는 달팽이 사료 및 달팽이 사육방법
CN107549107A (zh) 一种提高乌鸡产蛋量的养殖方法
CN107410170A (zh) 一种三黄鸡鸡苗培育的方法
KR102365311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령견용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71427A (ko) 새싹보리를 함유하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사료 조성물 또는 이를 이용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사육방법
CN104187198A (zh) 一种黄粉虫专用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
CN107410171A (zh) 一种雏鸡抗病培育方法
KR20140014420A (ko) 흑마늘 박 및 흑마늘 엑기스를 포함하는 어류 또는 가축용 사료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8668915B (zh) 一种盐碱地畜禽养殖用发酵床垫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KR20200077628A (ko) 거저리과 유충의 수분공급용 젤리 그 제조 방법
CN109805204A (zh) 一种复合菌发酵饲料及其制备方法
CN114224988B (zh) 一种促进鸡醒抱的复方中草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603876B1 (ko) 닭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닭 사료 조성물 및 닭 사육방법
CN113693029B (zh) 一种产虫茶昆虫室内规模化繁殖的方法
KR102647678B1 (ko) 고구마 부산물을 이용한 가축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가축 사료
KR101249849B1 (ko) 꾸지뽕을 활용한 가축사료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가축사료
CN109588558A (zh) 一种畜禽健康养殖用饲料添加剂、制备方法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