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3514B1 - 플로레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결핵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플로레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결핵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3514B1
KR101923514B1 KR1020160169937A KR20160169937A KR101923514B1 KR 101923514 B1 KR101923514 B1 KR 101923514B1 KR 1020160169937 A KR1020160169937 A KR 1020160169937A KR 20160169937 A KR20160169937 A KR 20160169937A KR 101923514 B1 KR101923514 B1 KR 101923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rculosis
phloretin
composition
mtkasiii
floret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9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8230A (ko
Inventor
김양미
전다솜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69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3514B1/ko
Publication of KR20180068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8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5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Y10S514/924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로레틴, 플로레틴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결핵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결핵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로레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결핵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Phloretin or as active ingredients for preventing or treating of Tuberculosis}
본 발명은 플로레틴, 플로레틴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결핵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플라보노이드는 주로 과일, 야채, 콩과식물, 곡물, 향신료, 견과류 및 차, 커피, 레드와인과 같은 식물 유래 식품에 함유되어 있는 폴리페놀 화합물의 계통이다. 이러한 폴리페놀은 약리학적 활성의 광범위한 스펙트럼을 나타내며, 플라보노이드는 항산화, 항암, 항생, 항바이러스 및 항염증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플로레틴((3-(4-hydroxyphenyl)-1-(2,4,6-trihydroxyphenyl)propan-1-one)은 C6-C3-C6 골격을 가진 디하이드로칼콘(dihydrochalcone)이다. 상기 플로레틴은 사과(주로 껍질) 및 사과 잎에 풍부하고, 유리형 또는 글루코시드 형(glucosidic form)의 플로리진(phloridzin, (phloretin 2'-O-glucose))으로 존재한다. 사과 껍질에 0.2 내지 5㎎/g의 플로레틴이 함유되어 있고, 사과 과육 및 사과 잎에 플로리진 함량은 각각 9.31% 및 2.98%이다. 플로레틴의 당화 유도체(Glycosylated derivatives)는 가수분해효소에 의해 대부분 유리형(free form)으로 전환된다. 플로레틴은 항산화, 항암 활성을 포함한 많은 생물학적 기능을 가지며, 심장질환의 예방과 연관되어 있다. 또한, 염증성 케모카인, 사이토카인 및 선천성 면역 반응에서 활성화된 백혈구에 의해 유도되는 분화 인자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플로레틴 처리가 LPS로 유도된 RAW264.7 cells에서 NF-κB 아형인 p65 및 MAPK(mitogen-associated protein kinase)의 인산화의 핵 전좌(translocation)의 발현을 억제한다는 것이 보고된 바 있다.
결핵(Tuberculosis, TB)은 섬유아세포(fibroblasts), 대식세포(macrophages) 및 수지상세포(dendritic cell)를 감염 및 활성화시킴으로써 주로 폐에 영향을 주는 Mycobacterium tuberculosis에 의한 감염이다. 결핵은 상당한 염증 및 육아종(granulomas)의 발달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세계 인구의 3분의 1이상이 전세계 주요 병원체 중 하나인 상기 세균에 의해 감염된다. 최근 몇 년 동안, 화학 요법으로 결핵을 통제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다약제 내성(multidrug-resistant, MDR) 및 광범위 약제 내성(drug-resistant, XDR) 결핵의 유병률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MDR 및 XDR 균주에 대해 증진된 활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낮은 독성, 빠른 마이코박테리아 살균(mycobactericidal)활성 및 짧은-과정의 치료로 숙주세포에 침투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항-결핵 약제를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 마이코박테리아의 생존에 필수적인 상기 마이코박테리아의 세포벽은 지질이 풍부하고 방수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항생제로부터 마이코박테리아를 보호하고 대식세포에서 박테리아를 지속적으로 증식 가능하도록 한다. 마이콜린 산(Mycolic acids)은 α-alkyl-β-hydroxy fatty acids의 긴-체인으로서, 세포벽의 60%를 구성하고, 주로 밀랍의 세포외피(cell envelope)의 불후한 투과성의 원인이 된다. 지방산 생합성은 병원성 미생물의 생존에 필수적이며, 최근 새로운 치료제의 대상으로 떠오르고 있다. 마이코박테리아는 제Ⅰ 형 및 제Ⅱ 형의 지방산 합성 효소를 모두 나타낸다는 점에서 특이성을 갖는다. 제Ⅰ 형 합성효소는 모든 사슬 연장 반응을 수행하고 효모 및 포유 동물에서 발견되는 단일, 관능 폴리펩티드이다. 반면, 제Ⅱ 형 합성효소는 각각의 사슬 연장 반응이 박테리아 및 식물에서 발견되는 분리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별개의 효소에 의해 수행된다. M. tuberculosis의 β-Ketoacyl-acyl carrier protein synthase III(mtKASIII)는 malonyl-acyl-carrier protein과 acyl-coenzyme (Co)A 유래 지방산 합성 효소 제Ⅰ 형의 축합을 촉매함으로써, 지방산 합성효소 제Ⅰ 형 및 제Ⅱ 형 시스템을 연결한다. 또한, 상기 β-Ketoacyl-acyl carrier protein synthase III는 제Ⅱ 형 지방산 생합성 개시의 역할을 하는 중요한 축합 효소이며, 신규한 항-결핵 약제의 잠재적인 목표이다. 본 발명자들은 KAS III 단백질의 억제제로서 광범위-항균 활성을 갖는 합성 납과 천연 화합물에 대해서 보고한 바 있다.
인간의 건강에 미치는 유익한 효과 덕분에 식품 플라보노이드에 대한 관심이 있으나, 결핵균에 대한 플로레틴의 영향에 대해 보고된 바는 없다.
본 발명은 플로레틴, 플로레틴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결핵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등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플로레틴(Phloretin), 플로레틴(Phloretin)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결핵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플로레틴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6122366720-pat00001
.
상기 조성물은 상기 플로레틴을 0.1μM 내지 1000μM의 농도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TNF-α, IL-1β, IL-6, IL-12 및 MMP-1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사이토카인의 분비량을 감소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JNK, p38 MAPK 및 ERK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키나아제(kinase)의 인산화를 감소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mtKASⅢ(M. tuberculosis β-ketoacyl acyl carrier protein synthaseⅢ)와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mtKASⅢ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플로레틴의 A 고리의 수산화기(-OH)와 제1 수소결합 및 B 고리의 수산화기(-OH)와 제2 수소결합 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6122366720-pat00002
.
상기 제1 수소결합은 상기 mtKASⅢ의 Asn261 및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플로레틴의 A 고리의 2'-수산화기(OH) 간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수소결합은 상기 mtKASⅢ의 Cys122 및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플로레틴의 B 고리의 4-수산화기(OH) 간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mtKASⅢ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플로레틴 B 고리와 소수성 상호작용(hydrophobic interactions)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6122366720-pat00003
.
상기 소수성 상호작용(hydrophobic interactions)은 mtKASⅢ의 Ile166, Ile199, Leu221, Val226 및 Ala260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아미노산과 상기 플로레틴 B 고리 사이에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결핵은 다약제 내성(multidrug-resistant, MDR) 결핵, 광범위 약제 내성(drug-resistant, XDR) 결핵, 폐결핵, 흉막결핵, 림프절 결핵, 뇌결핵, 장결핵, 척추결핵, 신장결핵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로레틴(Phloretin), 플로레틴(phloretin)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결핵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플로레틴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6122366720-pat00004
.
상기 조성물은 TNF-α, IL-1β, IL-6, IL-12 및 MMP-1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사이토카인의 분비량을 감소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JNK, p38 MAPK 및 ERK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효소의 인산화를 감소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결핵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은 플로레틴, 플로레틴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플로레틴은 TNF-α, IL-1β, IL-6, IL-12 및 MMP-1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사이토카인의 분비량을 감소시키고, JNK, p38 MAPK 및 ERK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효소의 인산화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플로레틴의 유연한 열린 구조로 인해 결핵균(M. tuberculosis) mtKASⅢ(β-ketoacyl acyl carrier protein synthase III)와의 높은 결합 친화도(binding affinity)를 갖는바, 플로레틴이 결핵균의 세포막에 효과적으로 투과될 수 있으므로, 결핵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균주의 생장에 대한 플로레틴의 효력에 대한 것이다.
도 2는 IFN-γ를 처리한 MRC-5 cell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mRNA 발현에 대한 플로레틴의 효력을 나타낸 것이다. 바(bar)는 평균 발현수준±β-actin에 대한 표준편차를 나타낸다. **P < 0.005, ***P < 0.001은 IFN-γ만을 처리한 세포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도 3은 LPS를 처리한 수지상 세포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mRNA 발현에 대한 플로레틴의 효력을 나타낸 것이다. 바(bar)는 평균 발현수준±GAPDH에 대한 표준편차를 나타낸다. **P < 0.005, ***P < 0.001은 IFN-γ만을 처리한 세포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도 4는 플로레틴을 처리한 후 IFN-γ로 자극한 MRC-5 cell의 JNK, p38 MAPK, 및 ERK 발현을 나타낸 것이다. 바(bar)는 평균 ± 표준편차를 나타낸다. **P < 0.005, ***P < 0.001은 IFN-γ만을 처리한 세포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도 5는 LPS로 자극된 수지상 세포에 플로레틴을 표지된 농도로 24시간 동안 처리한 배지를 나타낸 것이다. 바(bar)는 독립된 3회 실험의 평균 ± 표준편차를 나타낸다. **P < 0.005, ***P < 0.001은 IFN-γ(a 내지 c) 또는 LPS(d 내지 f)만을 처리한 세포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도 6은 LPS로 자극된 마우스 모델에서 염증전(pro-inflammatory) 사이토카인의 억제를 나타낸 것이다. . **P < 0.005, ***P < 0.001은 LPS만을 처리한 세포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도 7은 플로레틴과 세포 생존과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각각 (a) 알라닌아미노전달효소(alanine transaminase, ALT) (b) 아스파르테이트아미노전달효소(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및 (c) 혈액요소질소(blood urea nitrogen, BUN)의 혈청 레벨에 대한 플로레틴의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데이터는 평균±표준편자를 나타낸다.
도 9는 pH 7.0의 0, 10, 20, 40, 60, 및 100 μM 의 플로레틴 존재 하에서 mtKASIII의 형광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시료는 290nm에서 흡수(excited)되었고, 290-600nm에서 방출 스펙스럼을 기록하였다.
도 10은 플로레틴 및 mtKASIII의 결합을 나타낸 것이다. 흰색은 소수성 잔기를 나타내고, 노란색은 수소결합에 관여하는 소수성 잔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자들은 사과, 체리 및 블랙 베리에 풍부한 천연 플라보노이드인 플로레틴(phloretin)이 H37Rv, MDR, 및 XDR 임상 격리균과 같은 결핵균(M. tuberculosis)에 대하여 항-마이코박테리아 활성 및 폐 염증을 억제함을 확인하고, 상기 플로레틴의 항염증 작용에 대한 구체적인 작용기전을 입증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서는 플로레틴의 항-결핵활성 및 이의 목적 단백질에 대해 조사하였고(실시예 1 참조), LPS로 자극된 수지상 세포뿐만 아니라, IFN-γ로 자극된 MRC-5 인간 폐 섬유아세포의 형태를 확인하였다(실시예 2 참조). 또한, 마이코박테리아에 의해 감염된 수지상세포는 IL-1β, TNF-α 및 IL-6와 같은 면역억제(immunosuppressive) 사이토카인을 대량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LPS로 자극된 수지상 세포의 염증을 억제하는 방법을 확인하였다(실시예 4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LPS가 유도된 폐 염증의 마우스 모델에서 플로레틴의 생체 내 효과를 확인(실시예 5 참조)하였다. KAS III는 제Ⅱ 형 지방산 생합성 개시에 중요한 효소이기 때문에, 신규 향균제에 대한 잠재적인 목표로 알려져 있는 바, 형광 소광(fluorescence quenching)을 통해 플로레틴과 mtKAS III의 상호작용을 확인하였고(실시예 8 참조), 잠재적 표적 단백질인 mtKAS III와 플로레틴 사이의 상호작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분자 도킹연구를 실시하였다(실시예 9 참조). 그 결과, 결핵의 억제 및 폐 염증과 연관된 건강보조식품으로써 플로레틴의 이점을 확인하였다.
본 명세서 내 "플로레틴"은 천연 유래 화합물로서, 주로 사과 및 딸기 등에 존재하며 급성 및 만성 질환을 개선할 수 있다. 특히, 사과는 폐 기능 개선시키고, 만성 폐쇄성 폐 질환과 같은 호흡기 질환의 위험을 감소시키며, 대장, 폐 및 전립선 암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결핵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본 발명은 플로레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결핵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로레틴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6122366720-pat00005
.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결핵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플로레틴을 0.1 μM 내지 1000μM의 농도로 포함할 수 있으며, 100μM 내지 400 μM의 농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때, 조성물 내 플로레틴의 농도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결핵균에 대한 활성저하의 문제점이 있고, 플로레틴의 농도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세포 독성의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알라닌아미노전달효소(alanine transaminase, ALT), 아스파르테이트아미노전달효소(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및 혈액요소질소(blood urea nitrogen, BUN)의 혈청 레벨을 측정함으로써 플로레틴의 세포독성 실험을 한 결과, LPS 10㎎/㎏을 처리한 후, 플로레틴을 2.5㎎/㎏ 또는 5㎎/㎏ 처리한 마우스와 플로레틴을 처리하지 않은 마우스 간의 유의적 차이는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8 참조). 또한, 플로레틴을 처리한 마우스는 체중 감소, 비틀림(twisting), 과민반응 또는 죽음과 같은 독성 징후를 나타내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결핵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플로레틴은 사과와 같은 식품에서 유래된 천연 화합물로서 세포 독성을 문제가 없으므로 결핵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TNF-α, IL-1β, IL-6, IL-12 및 MMP-1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사이토카인의 분비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사이토카인 및 케모카인은 결핵균 감역의 초기 면역반응에서 분비된다. IFN-γ은 T cell 및 NK cell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사이토카인을 생성하는 주요한 사이토카인으로써, 대식세포를 활성화 시키고, NO 합성효소(NOS), 시클로옥시게나아제-2(cyclooxygenase-2), IL-1β 및 IL-12의 상향조절(upregulation) 및 활성화를 통해 염증을 유도한다. 구체적으로, LPS로 자극된 수지상 세포 및 IFN-γ로 자극된 인간 폐 섬유모세포 MRC-5에 플로레틴을 처리함으로써 IL-1β, IL-6, IL-12, TNF-α 및 MMP-1의 mRNA 수준이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LPS로 자극된 마우스 모델에서 실시한 In-vitro 및 in-vivo 실험에서 상기 플로레틴이 최소한의 독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LPS 주사 전에 플로레틴을 처리한 마우스의 폐 균질액(lung homogenates)에서 TNF-α, IL-1β, 및 IL-6와 같은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수준이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인간 폐 섬유모세포 MRC-5에 IFN-γ 20ng/㎖을 처리하고, 20μM의 플로레틴을 처리한 경우, IL-1β, IL-12 및 TNF-α가 음성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45%, 56% 및 57%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5a 내지 5c). 또한, 수지상 세포에 LPS 20ng/㎖을 처리하고, 20μM의 플로레틴을 처리한 경우, IL-1β, IL-6 및 TNF-α가 음성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69%, 68% 및 85%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5d 내지 5f).
더 나아가, 상기 조성물은 JNK, p38 MAPK 및 ERK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효소의 인산화를 감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이코박테리아는 MAPK 및 NF-κB를 포함하여 염증과 관련된 신호전달 경로를 활성화시키고, 결핵균은 인간 폐 섬유모세포 MRC-5에서 콜라겐 분해를 자극함으로써 3/p38 MAPK/NF-?B-의존 방식(3/p38 MAPK/NF-?B-dependent manner) 전사의 신호변환기(signal transducer) 및 활성제인 MMP-1의 발현을 유도시킨다. 즉, 플로레틴은 p38 MAPK/ERK 신호를 억제함으로써 전-염증성(pro-inflammatory)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조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결핵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mtKASⅢ(M. tuberculosis β-ketoacyl acyl carrier protein synthaseⅢ)와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킹 분석(Docking analysis)을 통하여, 플로레틴과 mtKAS III가 수소결합 및 소수성 상호작용을 통해 결합하고, 상기 결합으로 인해 상기 mtKAS III가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M . tuberculosis의 mtKASIII(β-Ketoacyl-acyl carrier protein synthase III)는 malonyl-acyl-carrier protein과 acyl-coenzyme (Co)A 유래 지방산 합성 효소 제Ⅰ 형의 축합을 촉매함으로써, 지방산 합성효소 제Ⅰ 형 및 제Ⅱ 형 시스템을 연결하며, 상기 β-Ketoacyl-acyl carrier protein synthase III는 제Ⅱ 형 지방산 생합성 개시의 역할을 하는 중요한 축합 효소이다. 마이코박테리아(Mycobacteria)는 대부분의 항생제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지질이 풍부하고, 불투과성의 세포벽을 가지고 있는 반면, 플로레틴은 천연 유래 칼콘(1,3-diaryl-2-propen-1-ones)의 하나로서, 막 투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연한 열린-사슬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조성물과 mtKASⅢ가 결합함으로써, mtKASⅢ에 의해 결핵균 내 초기 제Ⅱ 형의 지방산 신장(elongation) 단계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항-결핵 활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mtKASⅢ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플로레틴의 A 고리의 수산화기(-OH)와 제1 수소결합 및 B 고리의 수산화기(-OH)와 제2 수소결합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 수소결합은 mtKASⅢ의 Asn261 및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플로레틴의 A 고리의 2'-수산화기(OH) 간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수소결합은 상기 mtKASⅢ의 Cys122 및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플로레틴의 B 고리의 4-수산화기(OH) 간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mtKASⅢ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플로레틴 B 고리와 소수성 상호작용(hydrophobic interactions)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소수성 상호작용(hydrophobic interactions)은 mtKASⅢ의 Ile166, Ile199, Leu221, Val226 및 Ala260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아미노산과 상기 플로레틴 B 고리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플로레틴, 플로레틴 유도체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결핵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결핵은 다약제 내성(multidrug-resistant, MDR) 결핵, 광범위 약제 내성(drug-resistant, XDR) 결핵, 폐결핵, 흉막결핵, 림프절 결핵, 뇌결핵, 장결핵, 척추결핵, 신장결핵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플로레틴을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것을 말하며, 상기 염으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하여 형성된 산 부가염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로레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유기산 또는 무기산을 이용하여 형성된 산 부가염일 수 있으며, 상기 유기산은 예를 들면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락트산, 부티르산, 이소부티르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말산, 말레산, 말론산, 푸마르산, 숙신산, 숙신산 모노아미드, 글루탐산, 타르타르산, 옥살산, 시트르산, 글리콜산, 글루쿠론산, 아스코르브산, 벤조산, 프탈산, 살리실산, 안트라닐산, 디클로로아세트산, 아미노옥시 아세트산, 벤젠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또는 메탄술폰산을 포함한다. 무기산은 예를 들면 염산, 브롬산, 황산, 인산, 질산, 탄산 또는 붕산을 포함한다. 산 부가염은 바람직하게는 염산염 또는 아세트산염 형태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염산염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산 부가염은 a) 플로레틴 및 산을 직접 혼합하거나, b) 이를 용매 또는 함수 용매 중에 용해시키고 혼합시키거나, 또는 c) 플로레틴을 용매 또는 수하 용매 중의 산에 위치시키고 이들을 혼합하는 일반적인 염 제조방법으로 제조된다.
위와는 별도로 추가적으로 염이 가능한 형태는 가바염, 가바펜틴염, 프레가발린염, 니코틴산염, 아디페이트염, 헤미말론산염, 시스테인염, 아세틸시스테인염, 메티오닌염, 아르기닌염, 라이신염, 오르니틴염 또는 아스파르트산염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결핵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예컨대, 경구 투여용 담체 또는 비경구 투여용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담체는 락토스, 전분, 셀룰로스 유도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경구 투여용 담체는 물, 적합한 오일, 식염수, 수성 글루코스 및 글리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안정화제 및 보존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안정화제로는 아황산수소나트륨, 아황산나트륨 또는 아스코르브산과 같은 항산화제가 있다. 적합한 보존제로는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메틸- 또는 프로필-파라벤 및 클로로부탄올이 있다. 그 밖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다음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참고로 할 수 있다(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995).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인간을 비롯한 포유동물에 어떠한 방법으로도 투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적인 투여방법으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골수내, 경막내, 심장내, 경피, 피하, 복강내, 비강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내 투여일 수 있다.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투여 경로에 따라 경구투여용 또는 비경구 투여용 제제로 제형화 할 수 있다. 제형화할 경우에는 하나 이상의 완충제(예를 들어, 식염수 또는 PBS), 항산화제, 정균제, 킬레이트화제(예를 들어, EDTA 또는 글루타치온),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아쥬반트(예를 들어,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현탁제, 농후제 습윤제, 붕해제 또는 계면활성제,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액제, 겔제, 시럽제, 슬러리제, 현탁액 또는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옥수수 전분, 밀 전분, 쌀 전분, 감자 전분 등 포함),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락토오스(lactose), 덱스트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 또는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예컨대, 활성성분을 고체 부형제와 배합한 다음 이를 분쇄하고 적합한 보조제를 첨가한 후 과립 혼합물로 가공함으로써 정제 또는 당의 정제를 수득할 수 있다.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또는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또는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또는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가교결합 폴리비닐피롤리돈, 한천, 알긴산 또는 나트륨 알기네이트 등을 붕해제로 첨가할 수 있으며,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적으로 투여하는 경우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적합한 비경구용 담체와 함께 주사제, 경피 투여제 및 비강 흡입제의 형태로 당 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주사제의 경우에는 반드시 멸균되어야 하며 박테리아 및 진균과 같은 미생물의 오염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주사제의 경우 적합한 담체의 예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물, 에탄올, 폴리올(예를 들어,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및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 이들의 혼합물 및/또는 식물유를 포함하는 용매 또는 분산매질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합한 담체로는 행크스 용액, 링거 용액, 트리에탄올 아민이 함유된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 또는 주사용 멸균수, 10% 에탄올, 40% 프로필렌 글리콜 및 5% 덱스트로즈와 같은 등장 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주사제를 미생물 오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는 파라벤, 클로로부탄올, 페놀, 소르빈산, 티메로살 등과 같은 다양한 항균제 및 항진균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사제는 대부분의 경우 당 또는 나트륨 클로라이드와 같은 등장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피 투여제의 경우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겔제, 외용액제, 파스타제, 리니멘트제, 에어롤제 등의 형태가 포함된다. 상기에서 ‘경피 투여’는 약학 조성물을 국소적으로 피부에 투여하여 약학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한 양의 활성 성분이 피부 내로 전달되는 것을 의미한다.
흡입 투여제의 경우,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화합물은 적합한 추진제, 예를 들면, 디클로로플루오로메탄,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이산화탄소 또는 다른 적합한 기체를 사용하여, 가압 팩 또는 연무기로부터 에어로졸 스프레이 형태로 편리하게 전달 할 수 있다. 가압 에어로졸의 경우, 투약 단위는 계량된 양을 전달하는 밸브를 제공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들면, 흡입기 또는 취입기에 사용되는 젤라틴 캡슐 및 카트리지는 화합물, 및 락토즈 또는 전분과 같은 적합한 분말 기제의 분말 혼합물을 함유하도록 제형화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제형은 모든 제약 화학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처방서인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15th Edition, 1975.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ennsylvania 18042, Chapter 87: Blaug, Seymour)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결핵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플로레틴을 유효량으로 포함 할 때 바람직한 결핵 예방 및 치료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효량"이라 함은 음성 대조군에 비해 그 이상의 반응을 나타내는 양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근 기능을 향상시키기에 충분한 양을 말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플로레틴이 0.01 내지 99.99% 포함될 수 있으며, 잔량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가 차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플로레틴의 유효량은 조성물이 제품화되는 형태 등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총 유효량은 단일 투여량(single dose)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으며, 다중 투여량(multiple dose)으로 장기간 투여되는 분할 치료 방법(fractionated treatment protocol)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상술한 요소들은 모두 교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질환의 정도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을 달리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시는 상기 플로레틴을 기준으로 하루에 체중 1 kg당 바람직하게 0.01 내지 50 mg, 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0 mg의 양으로 투여되도록, 그리고 경구 투여시는 플로레틴을 기준으로 하루에 체중 1 kg당 바람직하게 0.01 내지 100 mg, 더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mg의 양으로 투여되도록 1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플로레틴의 용량은 약학 조성물의 투여 경로 및 치료 횟수뿐만 아니라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상태, 성별, 질환의 중증도, 식이 및 배설율 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환자에 대한 유효 투여량이 결정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당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플로레틴을 결핵 예방 및 치료를 위한 특정한 용도에 따른 적절한 유효 투여량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보이는 한 그 제형, 투여 경로 및 투여 방법에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결핵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또는 생물학적 반응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결핵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
본 발명은 플로레틴(Phloretin), 플로레틴(phloretin)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결핵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플로레틴의 구체적은 내용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 영양 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건강식품(health food), 식품 첨가제(food additives) 및 사료 등의 모든 형태를 포함하며, 인간 또는 가축을 비롯한 동물을 취식대상으로 한다. 상기 유형의 식품 조성물은 당 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일반 식품으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음료(알콜성 음료 포함), 과실 및 그의 가공식품(예: 과일통조림, 병조림, 잼, 마아말레이드 등), 어류, 육류 및 그 가공식품(예: 햄, 소시지 콘비이프 등), 빵류 및 면류(예: 우동, 메밀국수, 라면, 스파게이트, 마카로니 등), 과즙, 각종 드링크, 쿠키, 엿, 유제품(예: 버터, 치이즈 등), 식용식물 유지, 마아가린, 식물성 단백질, 레토르트 식품, 냉동식품, 각종 조미료(예: 된장, 간장, 소스 등) 등에 본 발명의 플로레틴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영양보조제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캡슐, 타블렛, 환 등에 본 발명의 플로레틴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건강 기능식품으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플로레틴 자체를 차, 쥬스 및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건강음료)할 수 있도록 액상화, 과립화, 캡슐화 및 분말화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플로레틴을 식품 첨가제의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분말 또는 농축액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플로레틴과 결핵 예방 및 개선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공지의 활성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조성물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로레틴을 건강음료로 이용하는 경우, 상기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일 수 있다. 감미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 당 일반적으로 약 0.01 ~ 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 0.03 g 이다.
또한, 본 발명의 플로레틴은 결핵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함유될 수 있는데, 그 양은 결핵 예방 및 개선용 작용을 달성하기에 유효한 양으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전체 조성 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플로레틴과 함께 결핵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다른 활성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펙트산의 염, 알긴산, 알긴산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또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건강식품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또는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당 0.01 ~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준비예]
하기 실시예에서 사용한 플로레틴은 Sigma-Aldrich (St. Louis, MO,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상기 플로레틴을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를 이용하여 99%가 되도록 정제하였다. 상기 화합물을 H2O : dimethylsulfoxide (9:1, v/v)에 용해시켜서 10㎎/㎖의 원액을 얻었다.
[실시예]
실시예 1. 항-결핵(anti-tuberculosis) 활성 평가
플로레틴의 MDR 및 XDR M. tuberculosis H37Rv 세포주에 대한 항-결핵 활성은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결정되었다. M. tuberculosis H37Rv, MDR, 및 XDR clinical isolates의 배양액(166㎕)과 0.5% liquid agarose 500㎕를 37℃에서 혼합하였다. microfluidic agarose channels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혼합물의 10㎕ 부피를 inlet well에 로딩하였다. 박테리아는 실온에서 상기 겔이 고체화됨에 따라 고정되었다. 플로레틴(0-729μM), 양성대조군 (0-16 μM, Sigma-Aldrich) 및 10% oleic albumin dextrose catalase을 포함하는 Middlebrook 7H9를 겔에 로딩하였다; 상기 혼합물 및 배지가 microfluidic agarose channels 쪽으로 확산되었다. 96-well microfluidic agarose channel chip을 37℃에서 배양하였고 liquid medium loading well과 microfluidic agarose channel 사이의 boundary area를 40배 대물렌즈의 도립현미경(inverted microscope)을 이용하여 각각 1, 3, 5, 7, 및 9일 차에 이미지화 하였다. Time-lapse images에서 M. tuberculosis strains에 대응하는 어두운 회색 점을 image processing에 의하여 디지털 정보로 변환하였다. M. tuberculosis 커버리지 영역을 평가하고 90% (MIC90)에 의해 M. tuberculosis의 생장을 억제하는 가장 낮은 농도를 계산함으로써 Agent의 민감도를 결정하였다. 모든 실험은 최소한 3번 이상 실시하였으며, 최소생장제한 농도를 하기 표 1에 나타냈다.
균주 균주 유형 플로레틴의 최소생장제한농도(MIC90,μM)
P887 H37Rv 182
M22 MDR 364
X24 XDR 364
X59 XDR 364
그 결과,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플로레틴은 H37Rv(P887)의 최소생장제한농도는 182 μM이고, MDR(M22) 및 XDR(X24, X59)의 최소생장제한농도는 364 μM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도 1).
실시예 2. RT-PCR(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Human lung fibroblast MRC-5 cells와 mouse Dendritic cells 에서 LPS에 의해 유도되는 염증을 억제하는 플로레틴의 자세한 기전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downstream factor들의 mRNA 발현을 RT-PCR로 확인하였다.
Human lung fibroblast MRC-5 cells 및 Dendritic cells에 플로레틴 20μM을 처리한 후 배양기에서 3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또한, Human lung fibroblast MRC-5 cells 에 플로레틴 20μM 및 IFN-γ 20ng/mL을 처리한 후 배양기에서 3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마찬가지로, Dendritic cells에 플로레틴 20μM 및 LPS 20ng/mL을 처리한 후 배양기에서 3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Human lung fibroblast MRC-5 cells 및 Dendritic cells에 플로레틴을 처리하지 않은 것과 플로레틴 20μM 및 IFN-γ 20ng/mL(MRC-5 cell), 플로레틴 20μM 및 LPS 20ng/mL(Dendritic cell)을 처리한 후 3시간 동안 배양한 것을 각각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IL)-1β, IL-6, IL-12, tumor necrosis factor (TNF)-α, matrix metalloproteinase (MMP)-1 및 β-actin 및 GAPDH의 mRNA 발현을 공지된 primer를 사용하여 RT-PCR을 실시하였다. 신호 강도는 ImageJ softwar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Bethesda, MD, USA)를 이용하여 농도계에 의해 정량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IFN-γ만을 처리한 MRC-5 cells과 비교하여 IFN-γ 및 플로레틴을 함께 처리한 MRC-5 cells에서의 TNF-α, IL-1β, IL-6, IL-12, 및 MMP-1의 mRNA 발현수준이 각각 55%, 38%, 97%, 100% 및 100%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LPS만을 처리한 Dendritic cells과 비교하여 LPS 및 플로레틴을 함께 처리한 Dendritic cells에서의 TNF-α, IL-1β, IL-6, IL-12, 및 MMP-1의 mRNA 발현수준이 각각 53%, 68%, 90%, 30% 및 40%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웨스턴블랏(Western Blot)
IFN-γ로 자극한 MRC5 cell에서 JNK, p38 MAPK 및 ERK의 인산화 현황을 조사하기 위하여 웨스틴블랏을 실시하였다.
Human lung fibroblast MRC-5 cells에 플로레틴을 처리하지 않은 것과 플로레틴 50μM 및 IFN-γ 20ng/mL을 처리한 것을 각각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먼저, MRC-5 cells에서 분리된 단백질의 동량(20㎍)을 10% sodium dodecyl sulfate polyacrylamide 겔 상에서 분리한 다음 차단된 polyvinylidene difluoride membranes에 옮겼다. 이후, JNK(Phosphorylated c-Jun N-terminal kinase), ERK(phosphorylated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phosphorylated p38 및 β-actin에 대한 primary antibodies와 함께 4℃에서 하룻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Tween 20을 함유한 Tris-buffered saline으로 3번 세척하고, Luminol/Enhancer solution과 함께 배양한 다음, 상기 membrane을 secondary antibodies로 conjugation된 horseradish peroxidase와 함께 실온에서 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단백질 밴드의 상대 밀도는 ImageJ software를 사용하여 정량 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플로레틴은 JNK, p38 MAPK 및 ERK의 인산화를 각각 13%, 44% 및 53%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LPS-stimulated dentritic cells뿐만 아니라 MRC-5 human lung fibroblasts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산에 대한 플로레틴의 억제효과를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에 의해 평가하였다. 염증성 사이토카인 레벨은 전술한 바와 같이 ELISA 키트에서 제공된 recombinant 사이토카인을 이용하여 표준 곡선에 기초하여 계산하였다. 계산된 값은 적어도 3개의 독립적인 실험의 평균±표준편차이다.
그 결과,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IFN-γ 20ng/㎖을 처리하여 자극시킨 인간 폐 섬유모세포 MRC-5에 10μM의 플로레틴을 처리한 경우, IL-1β, IL-12 및 TNF-α가 음성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39%, 35% 및 43%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20μM의 플로레틴을 처리한 경우, IL-1β, IL-12 및 TNF-α가 음성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45%, 56% 및 57%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5a 내지 5c). 또한, LPS 20ng/㎖을 처리하여 자극시킨 수지상 세포에 10μM의 플로레틴을 처리한 경우, IL-1β, IL-6 및 TNF-α가 음성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37%, 22% 및 45%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20μM의 플로레틴을 처리한 경우, IL-1β, IL-6 및 TNF-α가 음성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69%, 68% 및 85%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5d 내지 5f).
실시예 5. LPS로 자극된 폐( LPS -stimulated Lung) 염증의 In Vivo 마우스 모델
LPS로 자극된 폐 염증 마우스 모델에 대하여 플로레틴의 효과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BALB/c 마우스를 각 그룹당 3마리씩 6개의 실험군으로 나누고 샘플을 phosphate-buffered saline에 준비한 후, 플로레틴(2.5 또는 5㎎/㎏)을 마우스에 복강 내 주사하여 미리 투여하였다.
1시간 후, 상기 마우스에 10㎎/㎏의 LPS를 복강 내 주사하고, 12시간 동안 유지한 후에 희생시켰다. lung homogenates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4℃, 13000rpm에서 15분 동안 원심분리 한 후, 상기 상청액(supernatants)을 전술한 바와 같이 ELISA로 측정하였다.
Serum alanine transaminase 및 aspartate aminotransferase를 하기의 Reitman-Frankel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37℃에서 60분 동안 substrate reagent 및 혈청을 공동 배양하였다. 그 다음 컬러 시약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추가로 실온에서 20분간 배양하였다.
이후, 0.4 N NaOH을 첨가하고, 상기 흡광도를 550nm에서 모니터링 하였다. 혈중 요소 질소 농도는 하기에 따른 urease-indophenol method kit(Asan pharmaceutical, Kore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효소 용액 및 혈청을 37℃에서 5분간 공동 배양하였다. 이후, 컬러 시약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37℃에서 10분 도안 배양하였다. 58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모든 실험 및 동물 보호에 대한 프로토콜은 건국대학교의 동물관리 및 사용위원회(KU15046)에 의해 승인된 방법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플로레틴 2.5㎎/㎏을 주사한 마우스의 경우, 플로레틴을 주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TNF-α, IL-1β 및 IL-6가 각각 11%, 6% 및 26%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플로레틴 5㎎/㎏을 주사한 마우스의 경우, 플로레틴을 주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TNF-α, IL-1β 및 IL-6가 각각 56%, 19% 및 28%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플로레틴에 의해 전-염증성(pro-inflammatory) 사이토카인의 분비가 억제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6. 플로레틴의 세포독성(Cytotoxicity)
MRC-5 및 HaCaT human keratinocytes에 대한 플로레틴의 세포독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MTT asay(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assay)를 실시하였다.
MRC-5 및 HaCaT human keratinocytes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Manassas, VA, USA)에서 구입하여 준비하였다. MRC-5 및 HaCaT cells에 플로레틴(0-400μM)을 처리하였다. 세포 생존률은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70nm에서 측정하였고, 측정된 값은 적어도 3번의 독립적인 실험의 평균을 나타내는 값을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그 결과, 도 7a에 나타난 바와 같이, MRC-5 cell은 플로레틴 농도 100μM까지는 세포 생존(viability)에 영향을 받지 않았고, 400μM의 농도에서도 50% 이상 생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HaCaT human keratinocytes는 플로레틴 농도 150μM 까지는 세포 생존에 영향을 받지 않았고, 400μM의 농도에서도 75%이상 생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7. mtKAS III의 구성(construction), 발현(expression) 및 정제
M. tuberculosis (H37Rv) genomic DNA로부터 증폭된 mtKAS III을 코딩하는 fabH gene을 한국 결핵 연구원(서울, 한국)에서 입수하였다. 순방향 및 역방향 프라이머 5'-TAG GAC GCA TAT GAC GGA GAT CGC CAC-3' 및 5'-CTG GCT GGA TCC GAT CTT CGC GCG CTC A-3'을 각각 NdeI 및 BamHI 제한효소 자리를 이용하여 mtKAS III을 증폭하였다. pET-15b/mtKAS III을 제조하기 위하여 정제된 PCT 산물을 우선 pGEM-T-Easy vector (Promega, Madison, WI, USA)로 클로닝하고, mtKAS III fragments를 NdeI 및 BamHI sites를 통해 pET15b로 삽입하였다. 제조된 pET-15b/mtKAS III은 Escherichia coli BL21 (DE3) cells로 형질전환(transformation)하였다. mtKAS III의 발현 및 정제는 전술된 바와 같이 수행하였다.
실시예 8. mtKAS III 단백질 및 플로레틴 사이의 형광 소광 (Fluorescence Quenching)
가능한 목적 단백질을 찾기 위하여, 플로레틴과 mtKAS III 간의 결합을 조사하였다.
플로레틴 및 mtKAS III protein의 결합상수(binding constants)를 RF-5301PC spectrofluorophotometer(Shimadzu, Kyoto, Japan)로 25℃에서 측정하였다. 플로레틴을 pH 8.0에서 NaCl(100 mM)이 함유된 sodium phosphate buffer(50 mM)로 10μM mtKAS III protein solution(단백질 : 억제제 = 1:10)을 적정하였다. 상기 샘플을 2㎖ cuvette에 넣었다. 흡광도는 10nm의 여기(excitation) 및 방출(emission) 경로 길이를 측정하였다. mtKAS III의 형광 양자 수율(Fluorescence quantum yields)을 플로레틴이 증가하는 농도(0-100μM)의 존재 하에서 트립토판 방출을 측정함으로써 결정하였다.
그 결과,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mtKAS III와 플로레틴의 형광 적정곡선은 mtKAS III의 트립토판 형광이 플로레틴에 의하여 현저하게 소광 되었음을 시사하며, 플로레틴과 mtKAS III의 결합 친화도(binding affinity)를 하기 수학식 1로 나타냈다.
[수학식 1]
K= 7.221 × 10-7M-1
실시예 9. 도킹연구(Docking Studies)
mtKAS III의 Asn261과 플로레틴 A-고리의 2'-hydroxy group 및 mtKAS III의 Cys122와 플로레틴 B-고리의 4'-hydroxy group간의 수소결합을 밝히기 위하여 도킹분석을 실시하였다.
플로레틴과의 결합을 평가하기 위해 자유 형태 mtKAS III(1M1M.pdb)의 X선 결정구조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활성 부위를 정의하였고 수용체-기질 상호작용을 고려하였다. DS modeling/CDOCKER(Biovia, San Diego, CA, USA) 및 CHARMM force field를 사용하여 Linux platform에서 계산을 수행하였다. 알고리즘은 rigid protein을 추정하고, ligand flexibility를 허용하였다. 최종 도킹포즈(docking poses)는 최소한의 단계에 의해 정제하였다. 상기의 결과는 단백질-리간드 상호작용 및 내부 리간드 변형(strain)을 모두 포함하는 에너지 용어로 기재하였다. 더 높은 에너지 값은 결합이 더 유리함을 나타낸다.
그 결과,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mtKAS III의 Ile166, Ile199, Leu221, Val226 및 Ala260과 플로레틴 B-고리와의 추가적인 소수성 상호작용(hydrophobic interactions)이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0. 통계적 분석
적어도 3개의 독립적인 샘플을 준비하여 상기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GraphPad InStat v.3.05 software(GraphPad Inc., La Jolla, CA, USA)를 이용하여 데이터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값은 P<0.05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갖는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7)

  1. 플로레틴(Phloretin)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결핵균 증식 또는 성장 억제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레틴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핵균 증식 또는 성장 억제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8044506541-pat00006
    .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플로레틴을 0.1 μM 내지 1000 μM의 농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핵균 증식 또는 성장 억제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TNF-α, IL-1β, IL-6, IL-12 및 MMP-1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사이토카인의 분비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핵균 증식 또는 성장 억제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JNK, p38 MAPK 및 ERK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키나아제(kinase)의 인산화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핵균 증식 또는 성장 억제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mtKASⅢ(M. tuberculosis β-ketoacyl acyl carrier protein synthaseⅢ)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핵균 증식 또는 성장 억제용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mtKASⅢ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플로레틴의 A 고리의 수산화기(-OH)와 제1 수소결합 및 B 고리의 수산화기(-OH)와 제2 수소결합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핵균 증식 또는 성장 억제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8044506541-pat00007
    .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소결합은 상기 mtKASⅢ의 Asn261 및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플로레틴의 A 고리의 2'-수산화기(OH) 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핵균 증식 또는 성장 억제용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소결합은 상기 mtKASⅢ의 Cys122 및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플로레틴의 B 고리의 4-수산화기(OH) 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핵균 증식 또는 성장 억제용 조성물.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mtKASⅢ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플로레틴 B 고리와 소수성 상호작용(hydrophobic interactions)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핵균 증식 또는 성장 억제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8044506541-pat00008
    .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상호작용(hydrophobic interactions)은 mtKASⅢ의 Ile166, Ile199, Leu221, Val226 및 Ala260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아미노산과 상기 플로레틴 B 고리 사이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핵균 증식 또는 성장 억제용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핵은 다약제 내성(multidrug-resistant, MDR) 결핵, 광범위 약제 내성(drug-resistant, XDR) 결핵, 폐결핵, 흉막결핵, 림프절 결핵, 뇌결핵, 장결핵, 척추결핵, 신장결핵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핵균 증식 또는 성장 억제용 조성물.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60169937A 2016-12-13 2016-12-13 플로레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결핵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23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937A KR101923514B1 (ko) 2016-12-13 2016-12-13 플로레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결핵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937A KR101923514B1 (ko) 2016-12-13 2016-12-13 플로레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결핵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230A KR20180068230A (ko) 2018-06-21
KR101923514B1 true KR101923514B1 (ko) 2018-11-29

Family

ID=62806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9937A KR101923514B1 (ko) 2016-12-13 2016-12-13 플로레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결핵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35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11486A1 (ko) * 2021-03-30 2022-10-06 주식회사 소젠 사이토카인 억제제와 활성산소 생성억제제 및 소거제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LOS Pathogens, 10(7), e1004265(2014.07.)*
논문(Food Funct. 2015 Jun;6(6):1960-1967)
논문(International Immunopharmacology, Volume 40, November 2016, Pages 98-105)*
논문(Journal of Molecular Graphics and Modelling, Volume 27, Issue 4, November 2008, Pages 476-488)
학회초록(전다솜, 대한화학회 학술발표회 초록 2016.08.1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230A (ko) 2018-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2733B1 (ko) 복분자 미성숙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101870960B1 (ko)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k040706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41023B1 (ko) 최종당화산물 저감 활성을 갖는 신규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841021B1 (ko) 최종당화산물 저감 활성을 갖는 신규한 락토코쿠스 락티스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869740B1 (ko) 최종당화산물 저감 활성을 갖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776001B1 (ko) 판두라틴 또는 핑거루트(보에센베르기아 판두라타)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 손실 질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869739B1 (ko) 최종당화산물 저감 활성을 갖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펜토서스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236233B1 (ko) 이고들빼기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간 기능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조성물
KR101923514B1 (ko) 플로레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결핵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134161A (ko) 타트체리추출물 및 미배아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또는 불안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23235A (ko) 강글리오사이드를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833011B1 (ko) 람네틴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결핵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017176A (ko) 장 내 유산균 증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유산균 생산 방법
KR101247802B1 (ko) 피페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188581B1 (ko) 향부자 메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패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9034920A (ja) Pde5活性阻害剤
KR101909885B1 (ko) 살리드로사이드 또는 베툴린을 이용한 뇌수막종 개선용 조성물
KR102114271B1 (ko) 금어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KR20140064505A (ko) 단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20095801A (ko) 포도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기부전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KR101809143B1 (ko) 시게스벡키아 오리엔탈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150113709A (ko) 삼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470613B1 (ko) 라티폴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18160B1 (ko) 람부탄 씨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플라보노이드를 세노모르픽 제제의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의 노화 관련 증상 억제 및 노화 관련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조성물
KR20130112236A (ko) 부티르산 나트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 글루코즈로 유도된 염증 억제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