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3358B1 - 불능화 기구를 구비한 주사기 - Google Patents

불능화 기구를 구비한 주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3358B1
KR101923358B1 KR1020187013195A KR20187013195A KR101923358B1 KR 101923358 B1 KR101923358 B1 KR 101923358B1 KR 1020187013195 A KR1020187013195 A KR 1020187013195A KR 20187013195 A KR20187013195 A KR 20187013195A KR 101923358 B1 KR101923358 B1 KR 101923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rod
barrel
stopper
syringe assembly
di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3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1680A (ko
Inventor
리차드 제이. 카이짜
로버트 비. 오델
브라이언 에이취. 웨이맨
Original Assignee
백톤 디킨슨 앤드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톤 디킨슨 앤드 컴퍼니 filed Critical 백톤 디킨슨 앤드 컴퍼니
Publication of KR20180051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1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5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re-use, or for indicating if defective, used, tampered with or unsteri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5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re-use, or for indicating if defective, used, tampered with or unsterile
    • A61M5/5066Means for preventing re-use by disconnection of piston and piston-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11Piston or piston-rod constructions, e.g. connection of piston with piston-rod
    • A61M2005/31516Piston or piston-rod constructions, e.g. connection of piston with piston-rod reducing dead-space in the syringe barrel after deliv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5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re-use, or for indicating if defective, used, tampered with or unsterile
    • A61M5/5013Means for blocking the piston or the fluid passageway to prevent illegal refilling of a syringe
    • A61M5/502Means for blocking the piston or the fluid passageway to prevent illegal refilling of a syringe for blocking the piston
    • A61M2005/5026Means for blocking the piston or the fluid passageway to prevent illegal refilling of a syringe for blocking the piston allowing single filling of syrin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5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re-use, or for indicating if defective, used, tampered with or unsterile
    • A61M5/5066Means for preventing re-use by disconnection of piston and piston-rod
    • A61M2005/5073Means for preventing re-use by disconnection of piston and piston-rod by breaking or rupturing the connection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29Syringe barrels
    • A61M5/3135Syringe barre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proximal e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5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re-use, or for indicating if defective, used, tampered with or unsterile
    • A61M5/5013Means for blocking the piston or the fluid passageway to prevent illegal refilling of a syringe
    • A61M5/502Means for blocking the piston or the fluid passageway to prevent illegal refilling of a syringe for blocking the pist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재사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동적 불능화 시스템을 갖는 주사기 조립체가 제공된다. 상기 주사기 조립체는 배럴, 플런저 로드, 및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 로드는 배럴 내에서 상기 플런저 로드를 쇄정시키는 가요성 돌출부(556)를 포함한다. 상기 주사기 조립체는 재사용이 시도될 때 상기 플런저 로드를 파단하는 취약부(570)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불능화 기구를 구비한 주사기{SYRINGE WITH DISABLING MECHANISM}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재사용을 방지하기 위해 주사 후에 플런저 로드의 원위 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수동 쇄정 기구(passive locking mechanism)를 갖는 주사기 조립체, 주사기를 수동적으로 불능화시키기 위해 스토퍼와 플런저 로드가 상대 운동을 이용하여 작동하는 주사기 조립체, 사용하기 전에 주사기의 분해를 방지하기 위해 제거가능하게 연결된 스토퍼와 플런저 로드를 포함하는 주사기 조립체, 및 주사기의 사용 또는 불능화된 주사기를 표시하기 위해 시각적 표시나 마킹(marking)을 포함하는 주사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살균 또는 충분한 살균 없이 피하 주사기 제품을 재사용하는 것은 약물 남용을 영속화하고 전염병의 전파를 용이하게 한다고 믿어진다. 정맥주사 약물 사용자에 의한 주사기의 재사용은 그들이 AIDS 바이러스 및 간염과 같은 소정의 바이러스에 대해 고위험군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염병의 전파를 더 악화시킨다. 또한, 의료 종사자와 의료 용품이 부족한 나라에서는 오염에 대한 높은 위험이 존재한다.
사용 후에 작동될 수 없는 주사기는 이러한 문제에 대해 실행가능한 해결책을 제시한다. 주사기를 불능화시키기 위해 능동적인 조치를 취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불능화될 수 있는 다양한 주사기가 제안되어 있으며 이는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다. 사용자가 주사기를 능동적으로 불능화시킬 필요가 없는 일회용 주사기도 하나의 해결책을 제공할 것으로 생각된다. 자동적으로 또는 수동적으로 재사용될 수 없게 하고, 예를 들어 보다 적은 부품을 이용하여 비용 효율이 높은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는 주사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주사기가 사용되었는지 또는 불능화되었는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마킹 또는 다른 인디케이터도 바람직할 수 있다.
주사 사이클의 완료 후에 활성화되는 주사기 조립체용 수동적 불능화 시스템이 제공된다. 주사기 조립체는 주사 사이클의 완료 전에 사용자가 주사기를 분해하지 못하게 하는 방식으로 부착되는 스토퍼 및 플런저 로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약물을 충전, 주사, 및/또는 재구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장치의 원위단(distal end)은 환자에게 가장 가까운 단부이고, 장치의 근위단(proximal end)은 환자로부터 멀면서 시술자에게 가장 가까운 단부가 되는 규칙을 따른다. "직경(diameter)"이라는 용어는 임의의 단면 형상을 갖는 배럴의 벽들 간의 최장 거리의 측정치이고, 단면 폭이라는 용어와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주사기 조립체의 재사용을 방지하기 위해 플런저 로드를 배럴 내에 수동적으로 쇄정시킬 수 있게 하는 각각의 구조 및 조립체를 갖는 배럴, 세장형 플런저 로드, 및 스토퍼를 포함하는 주사기 조립체가 제공된다. 상기 배럴은 원위단, 개방 근위단, 유체가 유지될 수 있는 챔버를 형성하는 내면을 갖는 원통형 측벽, 및 원위 벽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내면은 제1 단면 폭을 형성한다. 상기 원위 벽의 개구는 유체가 챔버로부터 개구를 통해서 유출될 수 있게 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상기 배럴의 측벽의 내면은 상기 근위단에 인접한 리브를 포함한다. 상기 리브는 내면의 나머지 부분에 형성된 제1 단면 폭보다 작은 제2 단면 폭을 형성한다. 상기 리브는 플런저 로드의 근위 방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장애물을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근위단, 원위단, 및 상기 근위단과 원위단 사이의 본체(main body)를 갖는 연장된 플런저 로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플런저 로드의 근위단에 썸 프레스가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플런저 로드는 슬라이딩하거나 또는 상기 배럴의 챔버 내에서 근위 및 원위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플런저의 원위단은 원위단과 근위단을 갖는 스토퍼-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런저 로드는 플런저 로드의 본체와 썸 프레스 사이에 배치되는 가요성 돌출부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 실시예의 가요성 돌출부는 리브에서 배럴의 단면 폭 또는 제2 단면 폭보다 큰 단면 폭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플런저 로드는 외부 에지를 구비한 지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는 가요성 돌출부에 근위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하나 이상 실시예의 가요성 돌출부는 플런저 로드에 원위 방향으로 힘이 인가됨에 따라 근위 방향으로 구부림으로써 상기 플런저 로드의 원위 방향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상기 플런저 로드는 지지 부재에 근위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취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취약부는 지지 부재의 에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둘 이상의 지점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취약부는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는 3개의 지점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취약부는 적어도 4개의 지점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4개의 지점 연결부 중 제1 및 제2 지점 연결부는 서로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4개의 지점 연결부 중 제3 및 제4 지점 연결부는 또한 서로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변형 예에서, 모든 4개의 지점 연결부는 서로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다른 변형 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지점 연결부 간의 거리는 상기 제3 및 제4 지점 연결부 간의 거리보다 크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상기 가요성 돌출부는 플런저 로드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두개의 엽부(leaf)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가요성 돌출부는 서로 등간격일 수 있거나 서로 다른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는 두 엽부보다 많은 엽부를 포함한다. 상기 취약부의 지점 연결부는 엽부와 정렬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상기 돌출부는 서로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4개의 엽부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지점 연결부가 제1 및 제2 엽부와 정렬되며 반면에 상기 제3 지점 연결부와 제4 지점 연결부가 제3 및 제4 엽부와 정렬되지 않는 4개의 지점 연결부를 상기 취약부가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3 지점 연결부와 제4 지점 연결부는 상기 지지 부재의 외부 에지의 대향 단부들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하나 이상 실시예의 주사기 조립체는 근위단과 원위단을 갖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가 배럴의 원위 벽과 접촉하고 있을 때 상기 가요성 돌출부가 리브를 지나 원위 방향으로 전진하여 상기 플런저 로드를 배럴에 쇄정시켜서 상기 주사기 조립체의 재사용을 방지하게 하도록 상기 스토퍼가 플런저 로드의 스토퍼-결합부에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토퍼가 배럴의 원위 벽과 접촉하고 있을 때, 상기 플런저 로드의 가요성 돌출부는 배럴의 리브를 지나 원위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전진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상기 주사기 조립체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배럴 내에 스토퍼와 플런저 로드가 배치되어 상기 스토퍼의 원위단과 배럴의 원위 벽 사이에 갭이 존재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가 배럴의 원위단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플런저 로드에 원위 방향으로의 힘을 인가하여 상기 스토퍼와 플런저 로드가 원위 방향으로 함께 이동하게 하고, 이에 의해 상기 돌출부가 배럴에서 상기 리브를 지나 원위 방향으로 전진하여 상기 배럴에 플런저 로드를 쇄정시키게 하여서 상기 주사기 조립체의 재사용을 방지한다. 상기 플런저 로드가 배럴에서 쇄정된 후에, 상기 플런저 로드에 근위 방향으로 향하는 힘을 인가하여 상기 플런저 로드의 취약부가 파단되게 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상기 취약부의 둘 이상의 지점 연결부는 플런저 로드에 인가되는 원위 방향으로의 힘을 견뎌서 상기 가요성 돌출부가 리브를 지나 원위 방향으로 전진한 후에 근위 방향으로의 힘의 인가에 따라 파단되도록 맞춰진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상기 가요성 돌출부가 리브를 지나 원위 방향으로 전진한 후에 상기 플런저 로드를 근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힘은 상기 둘 이상의 지점 연결부를 파단시키는데 필요한 힘을 초과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플런저 로드를 배럴 내에 수동적으로 쇄정하여 주사기 조립체의 재사용을 방지하게 하는 개별의 특징 및 구조를 갖는 배럴, 플런저 로드, 및 스토퍼를 포함하는 주사기 조립체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배럴을 3-3 라인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배럴의 일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스토퍼를 5-5 라인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플런저 로드를 6-6 라인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7-7 라인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근위 방향으로 이동되어 있는 플런저 로드를 나타낸 도 7의 도면이다.
도 9는 원위 방향으로 이동되어 있는 플런저 로드를 나타낸 도 8의 도면이다.
도 10은 주사기 배럴의 쇄정된 위치에 있는 플런저 로드를 나타낸 도 9의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조립체의 근위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2는 배럴에 배치되는 시각적 마커를 갖는 주사기 조립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배럴 및 플런저 로드의 스토퍼-결합부에 배치되는 시각적 인디케이터 또는 마커를 갖는 주사기 조립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14-14 라인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는 주사기 배럴의 쇄정된 위치에 있는 플런저 로드를 나타낸 도 14의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조립체의 근위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7은 플런저 로드가 주사기 배럴에 쇄정된 후에 플런저 로드의 근위부가 주사기 조립체로부터 파단된 것을 나타낸 도 10의 도면이다.
도 18은 플런저 로드가 근위 방향으로 이동되고 스토퍼가 플런저 로드로부터 결합 해제된 것을 나타낸 도 7의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플런저 로드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19에 도시된 스토퍼의 측면도이다.
도 22는 도 19에 도시된 주사기 조립체의 22-22 라인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3은 근위 방향으로 이동되어 있는 플런저 로드를 나타낸 도 22의 도면이다.
도 24는 원위 방향으로 이동되어 있는 플런저 로드를 나타낸 도 23의 도면이다.
도 25는 주사기 배럴의 쇄정된 위치에 있는 플런저 로드를 나타낸 도 24의 도면이다.
도 26은 플런저 로드가 배럴에 쇄정된 후에 플런저 로드의 근위부가 주사기 조립체로부터 파단된 것을 나타낸 도 25의 도면이다.
도 27은 플런저 로드가 근위 방향으로 이동되고 스토퍼가 플런저 로드로부터 결합 해제되는 것을 나타낸 도 22의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28에 도시된 배럴을 29-29 라인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0은 도 29에 도시된 배럴의 일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31은 도 28에 도시된 스토퍼를 31-31 라인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2는 도 28에 도시된 플런저 로드의 사시도이다.
도 33은 도 28에 도시된 플런저 로드를 33-33 라인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4는 도 28에 도시된 주사기 조립체를 34-34 라인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5는 근위 방향으로 이동되어 있는 플런저 로드를 나타낸 도 34의 도면이다.
도 36은 원위 방향으로 이동되어 있는 플런저 로드를 나타낸 도 35의 도면이다.
도 37은 주사기 배럴의 쇄정된 위치에 있는 플런저 로드를 나타낸 도 36의 도면이다.
도 38은 도 37에 도시된 조립체의 근위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39는 플런저 로드가 배럴에 쇄정된 후에 플런저 로드의 근위부가 주사기 조립체로부터 파단된 것을 나타낸 도 37의 도면이다.
도 40은 플런저 로드가 근위 방향으로 이동되고 스토퍼가 플런저 로드로부터 결합 해제된 것을 나타낸 도 34의 도면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2는 도 41에 도시된 배럴을 42-42 라인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3은 원위단으로부터 도 41에 도시된 플런저 로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4는 근위단으로부터 도 41에 도시된 플런저 로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5는 도 41에 도시된 플런저 로드의 측면도이다.
도 46a는 도 45에 도시된 플런저 로드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6b는 도 46a에 도시된 플런저 로드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6c는 도 43에 도시된 플런저 로드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7은 취약부에 원위 방향으로 인접한 도 45에 도시된 플런저 로드의 일부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48은 취약부에 근위 방향으로 인접한 도 45에 도시된 플런저 로드의 일부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49는 환형 돌출부에 근위 방향으로 인접한 도 45에 도시된 플런저 로드의 일부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50은 도 41에 도시된 스토퍼에 부착된 도 41에 도시된 플런저 로드를 50-50 라인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1은 도 41에 도시된 주사기 조립체를 51-51 라인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2는 근위 방향으로 이동되어 있는 플런저 로드를 나타낸 도 51의 도면이다.
도 53은 원위 방향으로 이동되어 있는 플런저 로드를 나타낸 도 52의 도면이다.
도 54는 도 53에 도시된 주사기 조립체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55는 플런저 로드가 배럴에 쇄정된 후에 플런저 로드가 주사기 조립체로부터 파단된 것을 나타낸 도 53의 도면이다.
본 발명의 여러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이 다음의 설명에서 제시된 구조 또는 공정 단계의 상세에 한정되지 않음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며 다양한 방식으로 실시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은 사용자가 플런저 로드를 배럴 내에 수동적으로 쇄정하여 주사기 조립체의 재사용을 방지하게 하는 개별의 특징 및 구조를 갖는 배럴, 플런저 로드, 및 스토퍼를 포함하는 주사기 조립체를 제공한다.
도 1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조립체(100)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사기 조립체는 배럴(120), 플런저 로드(140), 및 스토퍼(160)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의 근위단(169)이 플런저 로드의 원위단(141)에 부착되도록 배열된다. 연결된 스토퍼(160)와 플런저 로드(140)는 배럴(120)의 근위단(129)으로 삽입된다.
도 3에 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럴(120)은 챔버(128)를 형성하는 내면(126)을 갖는 원통형 측벽(110)을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챔버(128)는 분말이나 유체 형태의 약물을 포함할 수 있는 주사기 조립체의 내용물을 유지시킨다. 상기 배럴(120)은 개방 근위단(129), 원위단(121), 및 원위 벽(122)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원위 벽(122)은 챔버(128)와 유체 연통하는 개구(111)를 갖는다.
상기 배럴(120)의 측벽(110)은 주사기의 종축을 따라서 연속적인 내경을 갖는 챔버를 형성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배럴은 근위단으로부터 원위단으로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내경을 갖는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구조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구성요소들은 도시된 것과 다른 형상 및 크기일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배럴은 원통형 내부 형상을 유지하면서 외부 프리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배럴의 외면과 내면 모두는 비원형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주사기 배럴(120)은 배럴(120)의 근위단(129)에 부착되는 주연 플랜지(124)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배럴(120)은 배럴(120)의 원위 벽(122)에서의 개구(111)에 부착된 루멘(lumen)(153)을 갖는 니들 캐뉼러(needle cannula)(150)를 더 포함한다. 본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상기 니들 캐뉼러(150)를 원위 벽(122)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수단(152)이 제공된다. 상기 조립체(100)는 또한 니들 캐뉼러 위에 보호 캡을 포함할 수 있다(미도시).
도 4에 더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럴(120)은 그 근위단(129)에 인접한 리브(123)를 더 포함한다. 상기 리브(123) 위치에서의 배럴의 내경은 상기 배럴의 길이를 따른 다른 위치에서의 배럴(120)의 내경보다 작다. 상기 배럴(120)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배럴 영역을 생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선택적 탭(tab) 또는 디텐트(detent)가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리브는 내면(126)의 전체 원주 또는 상기 배럴(120)의 내경의 내면(126)의 일부를 따라 형성되는 링을 포함할 수 있다(미도시). 또한, 상기 배럴(1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럴(120)의 근위단(129)에서 상기 리브(123)에 인접한 직경 변이 영역(127)을 포함한다. 상기 직경 변이 영역(127)에서 상기 배럴의 내경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럴(120)의 원위단(121)으로부터 근위단(129)으로 증가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배럴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럴의 근위단(129)에서 상기 직경 변이 영역에 인접한 증가된 직경 영역(125)을 포함한다. 상기 증가된 직경 영역(125)에서의 배럴(120)의 내경은 상기 전체의 직경 변이 영역(127)의 배럴의 내경보다 크다.
상기 배럴은 플라스틱, 유리 또는 기타 적절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럴은 선택적인 투여량 측정 표시체(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이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스토퍼(160)는 원위단(161), 근위단(169), 스토퍼 몸체(164), 및 상기 배럴의 내면(126)과 밀봉부를 형성하는 주연 에지(162)를 갖는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160)의 주연 에지(162)는 리브(123)의 내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도 5에 도시된 스토퍼(160)는 잔류 유체의 감소 및 상기 주사기 배럴로부터의 유체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그 원위단(161)에 선택적인 세장형 팁(166)을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160)는 그 근위단(169)에서 스토퍼 몸체(164)에 인접한 테이퍼부(165)를 더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160)의 근위단(169)에서 넥부(163)가 상기 테이퍼부(165)에 인접해 있다. 상기 스토퍼 몸체(164)는 또한 플런저 로드(140)의 스토퍼-결합부(146)가 스토퍼(160)에 연결되게 하는 내부 리세스(168)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플런저 로드(140)에 스토퍼(160)를 유지하는 것을 돕기 위하여 주연 림(147)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배럴의 리브와 마찬가지로, 상기 플런저 로드(140)에 스토퍼(160)를 유지시키기 위해 디텐트 또는 탭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통상적으로 플라스틱 또는 기타 쉽게 폐기 및/또는 재활용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토퍼에 천연 또는 합성 고무를 포함하거나 상기 스토퍼에 천연 또는 합성 고무 밀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가 다수의 밀봉부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주사기 조립체는 근위단(149), 원위단(141), 및 상기 근위단(149)과 원위단(141) 사이에서 연장되는 본체(148)를 갖는 플런저 로드(140)를 포함한다. 상기 플런저 로드(140)는 플런저 로드(140)의 근위단(149)에 썸 프레스(thumb press)(142)를 더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썸 프레스(142)는 거친 표면(textured surface), 기록가능한 표면 및/또는 라벨을 더 포함한다.
도 6을 계속 참조하면, 상기 플런저 로드(140)는 썸 프레스(142)와 본체(148) 사이에 환형 돌출부(144)로서 도시된 돌출부(144)를 더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144)에서의 플런저 로드의 외경은 상기 리브(123)에서의 배럴(120)의 내경보다 크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돌출부(144)는 리브(123)를 지나서 배럴(120)로 상기 돌출부의 원위 방향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테이퍼부(145)를 포함하고, 이는 주사기의 작동에 대한 다음의 논의에서 명백해질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주사기 조립체는 돌출부(144)가 리브(123)를 지나서 원위 방향으로 전진하여, 사용자가 플런저 로드를 배럴에서 착저시킬 때 상기 플런저 로드를 배럴에 쇄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도 10 및 11에 더 명확히 도시됨).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플런저 로드(140)는 플런저 로드가 쇄정된 후에 사용자가 상기 플런저 로드에 충분한 근위 방향 힘을 가할 때 상기 플런저 로드의 적어도 일부를 본체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취약 연결부 또는 취약 지점(frangible connection or point)(143)을 더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취약 지점(143)은 돌출부(144)와 썸 프레스(142) 사이에 위치된다. 도시된 취약 연결부나 지점(143)은 예시적인 것이며, 상기 플런저 로드를 영구적으로 손상시키거나 그 밖에 상기 플런저 로드의 적어도 일부를 본체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다른 적절한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160)는 플런저 로드(140)의 스토퍼-결합부(146)에 연결될 때 상기 배럴 내에서 원위 방향으로 및 근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주사기 조립체의 작동에 대한 설명과 도 7을 참조하면 더 잘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는 스토퍼-결합부에 대해 사전-선택된 축방향 거리(132)를 원위 방향으로 및 근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는 플런저 로드에 대해 고정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축방향 거리는 이제 제로(0)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주사기는 배럴의 원위 벽과 스토퍼 사이에 갭이 존재하는 공급 당시의 초기 위치에 있을 것이다. 사용자가 주사기를 충전함에 따라, 상기 스토퍼와 플런저 로드는 근위 방향으로 함께 이동한다. 사용자가 주사기의 내용물을 배출함에 따라, 상기 스토퍼와 플런저 로드는 원위 방향으로 함께 이동하며, 상기 가요성 돌출부는 쇄정 리브를 지나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플런저 로드는 플라스틱 또는 기타 적절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돌출부 역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플런저 로드를 배럴 내에 쇄정시키는데 적절한 보다 경질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에서, 상기 배럴(120)은 스토퍼(160)와 플런저 로드(140)를 챔버에 유지시키며, 상기 스토퍼는 착저되거나(bottomed), "파킹되거나(parked)", 상기 배럴(120)의 원위 벽(122)과 접촉하고 있다. 상기 스토퍼의 주연 에지(162)는 배럴(120)의 내면(126)과 밀봉부를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160)는 플런저 로드(140)의 스토퍼-결합부(146)에 연결된다. 상기 스토퍼-결합부(146)는 넥부(163)에 의해 스토퍼 몸체(164)의 리세스(168) 내에 제거가능하게 유지된다.
도 7에서, 스토퍼(160)와 본체(148)의 원위단 사이의 갭은 주사 사이클 전에 사전-선택된 축방향 거리(132)를 형성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사전-선택된 축방향 거리(132)와 함께 조합된 상기 플런저 로드(140) 및 스토퍼의 길이가 상기 배럴(120)의 원위 벽(122)에서부터 근위단까지의 배럴(120)의 길이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돌출부(144)는 리브(123)의 근위측에 남게 된다. 상기 돌출부(144)와 스토퍼 몸체(164)의 주연 에지(162) 사이의 거리는 제1 거리(D1)를 규정한다.
도 8은 사용 중인 주사기 조립체를 도시하며,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흡입 또는 충전 단계를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가 도 8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근위 방향으로 상기 플런저 로드(140)에 힘을 인가하는 경우, 상기 스토퍼-결합부(146)가 림(147)에 의해 스토퍼(160)에 연결되면서 상기 플런저 로드(140)와 스토퍼(160)는 근위 방향으로 함께 이동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상기 사전-선택된 축방향 거리(132)를 형성하는 갭은 스토퍼(160)와 플런저 로드(140)가 주사기 배럴의 내면을 따라서 근위 방향으로 함께 이동하는 동안 유지된다. 사용자는 주사기로 소정 양의 약물이 흡인되면 상기 플런저 로드(140)에 근위 방향으로의 힘의 인가를 종료한다. 상기 흡입 단계 시에, 상기 플런저 로드와 스토퍼 몸체는 제1 거리(D1)를 유지하면서 상기 주사기로 약물을 흡인하기 위해 근위 방향으로 함께 이동한다.
도 9는 사용 중인 주사기 조립체를 도시하며, 구체적으로 주사 시에 상기 플런저 로드에 원위 방향으로의 힘의 인가를 나타내고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원위 방향으로의 힘을 플런저 로드(140)에 인가하면, 상기 스토퍼(160)가 정지한 채로 남아 있는 동안 도 7에서 사전-선택된 축방향 거리(132)를 형성하는 갭의 길이 만큼 상기 플런저 로드(140)는 원위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스토퍼의 주연 에지(162)에 의해 배럴의 내면(126)에 생성되는 마찰력이 상기 스토퍼(160)의 리세스(168)로 들어가는 스토퍼-결합부(146)에 의해 생성되는 마찰력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스토퍼(160)는 정지한 채로 남게 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스토퍼-결합부가 원위 방향으로 사전-선택된 축방향 거리(132)의 길이만큼 이동하여 상기 리세스(169)의 근위단과 접촉하면, 상기 스토퍼(160)와 플런저 로드(140)는 원위 방향으로 함께 이동하기 시작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가해진 힘은 스토퍼(160)의 주연 에지(162)와 배럴의 내면(126) 사이의 마찰력보다 크고, 이에 따라 상기 스토퍼(160)는 플런저 로드(140)와 함께 원위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주사기 조립체가 착저되지 않으면, 상기 플런저 로드를 쇄정시키지 않고서, 흡입된 유체의 제한된 양을 주사하거나 플런저 로드에 원위 방향으로 제한된 힘을 가하여 흡입된 유체의 일부를 내보내거나 배출시킬 수 있다. 그러나, 도 10을 참조하여 더 후술될 바와 같이, 사용자는 플런저 로드를 배럴에 쇄정시키면서 상기 스토퍼를 주사기 배럴의 원위 벽에 대해 착저시킬 수 있다.
상기 주사기의 내용물을 배출시킬 때, 상기 플런저 로드는 스토퍼 몸체가 정지한 채로 남아 있는 동안 도 7에 도시된 사전-선택된 축방향 거리(132)의 길이만큼 원위 방향으로 이동하며, 이에 따라 상기 사전-선택된 축방향 거리(132)를 형성하는 갭을 폐쇄시킨다. 상기 주사기의 내용물이 완전히 배출된 후, 상기 돌출부(144)와 주연 에지(162) 사이의 거리는 제2 거리(D2)를 규정하며, 상기 D2는 제1 거리(D1)와 상기 사전-선택된 축방향 거리(132)를 형성하는 갭 사이의 차이이다.
도 10은 플런저 로드가 배럴 내에 쇄정된 후의 주사기 조립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결합부가 스토퍼(160)의 리세스(168)로 진입하면 상기 사전-선택된 축방향 거리(132)를 형성하는 갭이 폐쇄되고, 이에 의해 상기 돌출부(144)는 쇄정 리브(123)를 지나서 전진하게 된다(도 11에 더 명확히 도시됨). 상기 돌출부(144)는 리브(123)에서의 배럴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상기 리브(123)는 돌출부(144)를 배럴(120) 내에 쇄정시켜서, 상기 플런저 로드(140)의 근위 방향 이동을 방지한다.
도 12는 배럴(120)이 시각적 마커(300)를 포함하는 주사기 조립체(100)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마커는 리브(123)와 정렬되며, 이는 도 16에 더 명확히 도시되어 있다. 상기 마커는 배럴의 측벽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측벽의 외면에 부가될 수 있다. 상기 마커는 잉크로 인쇄되거나, 접착 도포되거나, 거친 표면이거나, 상기 주사기 배럴 둘레에 고정되는 별도의 부품일 수 있다. 상기 마커는 측벽의 원주 둘레에 링을 형성하거나, 상기 측벽의 원주 둘레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탭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마커는 착색된 스트라이프이다. 더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마커는 사용자에게 주사기가 불능화되었음을 알려주기 위한 하나 이상의 글자 및/또는 숫자, 기하학적 형상,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 형태의 문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스토퍼-결합부(146)에 배치되는 시각적 인디케이터나 디스플레이(310)를 갖는 플런저 로드(140)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시각적 마커(300)와 마찬가지로, 상기 시각적 인디케이터(310)는 플런저 로드의 스토퍼-결합부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그 외면에 부가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나 디스플레이는 잉크로 인쇄되거나, 접착 도포되거나, 거친 표면이거나, 스토퍼 결합부에 고정되는 별도의 부품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상기 인디케이터나 디스플레이는 패턴, 중실부를 포함하거나, 상기 스토퍼-결합부의 전체 표면을 커버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플런저 로드의 원위단(141)과 본체(148) 사이에서 상기 스토퍼-결합부(146)의 길이를 따라 배치되는 착색된 스트라이프이다. 더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플런저 로드의 스토퍼-결합부(146) 원주를 따라서 배치되는 착색된 스트라이프이다. 더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마커는 하나 이상의 글자 및/또는 숫자, 기하학적 형상,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 형태의 문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에 더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160)와 본체(148)의 원위단 사이의 갭은 주사 사이클 전에 사전-선택된 축방향 거리(132)를 규정한다. 상기 시각적 인디케이터(310)는 갭이 존재할 때 시인될 수 있다. 상기 시각적 마커(300)는 배럴(120)의 외면에 배치되며 리브(123)와 정렬된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도 8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근위 방향으로 플런저 로드(140)에 힘을 가하는 경우, 상기 스토퍼-결합부(146)가 림(147)에 의해 스토퍼(160)에 연결되면서 상기 플런저 로드(140)와 스토퍼(160)는 근위 방향으로 함께 이동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상기 사전-선택된 축방향 거리(132)를 형성하는 갭은 스토퍼(160)와 플런저 로드(140)가 주사기 배럴의 내면을 따라서 근위 방향으로 함께 이동하는 동안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시각적 인디케이터(310)를 계속해서 시인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주사기의 내용물을 배출할 때, 상기 플런저 로드는 스토퍼 몸체가 정지한 채로 남아 있는 동안 도 7 및 14에 도시된 사전-선택된 축방향 거리(132)의 길이만큼 원위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상기 사전-선택된 축방향 거리(132)를 형성하는 갭을 폐쇄시킨다. 상기 스토퍼-결합부가 스토퍼에 대해 상대적으로 원위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플런저 로드의 스토퍼-결합부(146)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의 리세스(168) 내로 이동한다. 도 15에 더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상대적인 이동은 스토퍼 몸체(164)가 스토퍼-결합부를 커버하고 상기 시각적 인디케이터(310)의 시인성(visibility)을 차단하게 한다.
도 15 및 16에 더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럴(120)에 배치되며 리브(123)와 정렬되는 시각적 마커(300)는 또한 상기 돌출부(144)가 리브(123)를 지나서 전진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도 9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결합부가 스토퍼(160)의 리세스(168)로 진입하면 상기 사전-선택된 축방향 거리(132)를 형성하는 갭이 폐쇄되고, 이에 의하여 상기 돌출부(144)가 리브(123)를 지나서 전진하게 된다(도 11 및 16에 더 명확히 도시됨). 상기 시각적 마커에 대한 돌출부의 위치는 상기 플런저 로드가 배럴 내에 쇄정되었는지 및 상기 주사기 조립체가 불능화되었는지를 나타낸다. 상기 플런저 로드가 쇄정되기 전에, 상기 돌출부(144)는 시각적 마커(300)에 근위 방향으로 인접하게 된다. 상기 플런저 로드가 쇄정되면, 상기 돌출부(144)는 시각적 마커(300)에 원위 방향으로 인접하게 된다.
상기 시각적 마커(300) 및 시각적 인디케이터(310)의 각각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음을 인식하여야 할 것이다.
도 17은 플런저 로드(140)가 배럴(120)에 쇄정된 후의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플런저 로드(140)에 근위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상기 주사기 조립체를 재사용하려는 시도는 상기 플런저 로드(140)의 일부가 취약 연결부나 지점(143)에서 분리되게 한다. 상기 취약 연결부나 지점(143)은 플런저 로드(140)에 근위 방향의 힘이 인가되는 동안 상기 쇄정 리브(123)에 의해 돌출부에 가해져서 유지되는 힘이 상기 취약 지점(143)에서 플런저 로드를 파단하는데 필요한 힘보다 크도록 설계되며, 이에 따라 상기 취약 지점은 사용자가 리브에 의해 돌출부에 가해진 힘을 극복할 수 있기 전에 파단되거나 분리된다.
도 18은 스토퍼(160)가 스토퍼-결합부(146)로부터 분리된 구성에서의 주사기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토퍼(160)와 스토퍼-결합부(146)는 사용자가 사용 전에 주사기 조립체의 부품들을 분해하지 못하게 하기 위하여 결합 해제된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160)의 주연 에지(162)는 리브(123)의 내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플런저 로드(140)에 대해 근위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경우, 상기 리브(123)는 스토퍼(160)의 주연 에지(162)를 쇄정시키고, 상기 스토퍼-결합부(146)의 림(147)은 스토퍼의 넥부(163)로부터 연결 해제된다. 상기 리브(123)는 플런저 로드에 근위 방향 힘이 인가되는 동안 상기 플런저 로드의 스토퍼-결합부의 림과 스토퍼의 넥부에 의해 가해지는 마찰이나 힘보다 큰 힘을 상기 스토퍼의 주연 에지에 가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조립체(200)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1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조립체는 배럴(220), 플런저 로드(240), 및 스토퍼(260)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의 근위단(269)이 플런저 로드의 원위단(241)에 부착되도록 배열된다. 상기 스토퍼(260) 후에 플런저 로드(240)가 상기 배럴의 근위단(229)으로 삽입된다. 상기 배럴(220)의 근위단(229)에 플랜지(224)가 부착된다. 상기 배럴(220)은 배럴(220)의 원위단(221)에서 원위 벽(222)의 개구에 부착되는 루멘(253)을 갖는 니들 캐뉼러(250)를 더 포함한다. 또한, 하나 이상의 실시예는 상기 니들 캐뉼러(250)를 원위 벽(222)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허브(252)를 포함한다. 상기 조립체는 또한 니들 캐뉼러 위에 보호 캡을 포함할 수 있다(미도시).
도 3 및 4에서 이전에 설명된 배럴과 유사하며,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럴은 배럴의 내면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내면을 구비하며 상기 배럴 내에 플런저 로드를 쇄정시키기 위하여 리브(223), 쇄정 리브, 또는 다른 수단을 더 포함한다.
이제, 도 20을 참조하면, 본체(248), 원위단(241), 및 근위단(249)을 갖는 플런저 로드(24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플런저 로드(240)는 그의 근위단에서의 썸 프레스(242) 및 그의 원위단에서의 스토퍼-결합부(246)를 더 포함한다. 상기 플런저 로드(240)는 또한 썸 프레스(242)와 본체(248) 사이에 환형 돌출부(244) 형태의 돌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244)는 돌출부(244)가 리브(223)를 지나서 배럴(220)로 원위 방향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테이퍼부(245)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돌출부(244)는 리브(223)에서의 배럴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주사기 조립체의 구성은 사용자가 주사기 조립체를 착저시킬 때 상기 돌출부(244)가 리브(223)를 지나서 원위 방향으로 전진하여 플런저 로드(240)를 배럴(220)에 쇄정시킬 수 있게 한다(도 25 및 26에 더 명확히 도시되고 더 후술됨).
도시된 플런저 로드(240)는 적어도 하나의 취약 지점(243)을 더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플런저 로드(240)의 취약 지점(243)은 돌출부(244)와 썸 프레스(242) 사이에 위치되지만, 상기 취약 지점은 다른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상기 플런저 로드(240)의 원위단(241)에 스토퍼-결합부(246)가 포함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결합부(246)는 또한 플런저 리세스 및 리테이너(247)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는 스토퍼의 단부를 유지하기 위한 압입-끼워맞춤 부착물 또는 기타 적절한 수단을 포함한다.
이제, 도 21을 참조하며, 도 21은 원위단(261) 및 근위단(269)을 갖는 스토퍼(26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토퍼(260)는 배럴(220)의 내벽과 밀봉부를 형성하며 상기 리브(223)의 위치에서 배럴 내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주연 에지(262)를 포함한다(도 22 내지 24에 더 명확히 도시됨).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260)의 원위단(261)에 주사기의 전체 내용물 배출하는데 돕기 위한 세장형 팁(266)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토퍼(220)는 그 근위단(269)에 주연 립(263)을 갖는 스토퍼 몸체(2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260)는 스토퍼 몸체(264)를 스토퍼(260)에 연결하는 스토퍼 취약 연결부(26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상기 스토퍼(260)와 플런저 로드(240)는 배럴(220)의 챔버를 점유하며 상기 스토퍼는 배럴의 원위 벽에 대해 착저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260)의 주연 에지(262)는 배럴(220)의 내면과 밀봉부를 형성한다. 상기 스토퍼(260)는 플런저 로드(240)의 스토퍼-결합부(246)에 연결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결합부(246)의 리테이너(247)는 스토퍼(260)의 주연 립(263)을 유지한다.
또한, 도 19 내지 27의 주사기 조립체의 실시예는 도 13 내지 16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시각적 마커(300), 시각적 인디케이터(310) 또는 양자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실시예의 배럴(220)은 또한 쇄정 리브(223)와 정렬되는 시각적 마커를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주사기 조립체는 스토퍼 몸체(264)에 배치되는 시각적 인디케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토퍼(260)와 본체(248)의 원위단 사이에는 사전-선택된 축방향 거리(232)를 형성하는 갭이 존재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상기 돌출부(244)와 스토퍼(260)의 주연 에지(262) 사이의 거리는 제1 거리(D1)를 규정한다.
도 23은 사용 중인 주사기 조립체를 도시하며,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흡입 또는 충전 단계 시에 플런저 로드의 이동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가 플런저 로드에 근위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경우, 상기 플런저 로드(240)와 스토퍼(260)는 스토퍼-결합부(246)가 림(263)에 의해 스토퍼(260)에 연결되면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은 근위 방향으로 함께 이동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상기 사전-선택된 축방향 거리(232)를 형성하는 갭은 스토퍼(260)와 플런저 로드(240)가 근위 방향으로 함께 이동하는 동안 유지된다. 사용자는 주사기로 소정 또는 원하는 양의 약물이 흡입이나 흡인될 때까지 플런저 로드에 근위 방향 힘을 인가한다. 상기 흡입 단계 시에, 상기 플런저 로드와 스토퍼 몸체는 주사기로 약물을 흡입하기 위해 제1 거리(D1)를 유지하면서 근위 방향으로 함께 이동한다.
도 24는 또한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 단계 시에 플런저 로드에 원위 방향 힘이 인가될 때의 주사기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원위 방향으로의 힘의 인가는 상기 스토퍼(260)가 정지한 채로 남아 있는 동안 갭을 폐쇄시키며 도 22에 도시된 사전-선택된 축방향 거리(232)를 이동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스토퍼-결합부(246)가 사전-선택된 축방향 거리(232)를 원위 방향으로 이동하여 스토퍼 취약 연결부(265)와 접촉하면, 상기 스토퍼(260)와 플런저 로드(240)는 원위 방향으로 함께 이동하기 시작한다.
상기 주사기의 내용물을 배출할 때, 상기 플런저 로드는 스토퍼 몸체가 정지한 채로 남아 있는 동안 원위 방향으로 사전-선택된 축방향 거리(232)의 길이만큼 이동한다. 상기 주사기의 내용물이 배출되기 시작하거나 완전히 배출되는 동안 및 그 이후에, 상기 돌출부(244)와 주연 에지(262) 사이의 거리는 제2 거리(D2)를 규정하며, 상기 D2는 제1 거리(D1)와 상기 사전-선택된 축방향 거리(232)를 형성하는 갭 사이의 차이이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주사기 조립체가 착저되지 않으면, 플런저 로드를 쇄정된시키지 않고서, 흡입된 유체의 제한된 양을 주사하거나 플런저 로드에 원위 방향으로 제한된 힘을 가하여 흡입된 유체의 일부를 내보내거나 배출시킬 수 있다. 그러나, 후술될 바와 같이, 사용자는 통상적으로 스토퍼를 주사기 배럴의 원위 벽에 착저시킴으로써 상기 주사기의 내용물의 거의 전부를 배출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제, 상기 플런저 로드(240)가 배럴(220) 내에 쇄정된 후의 주사기 조립체를 도시하는 도 25를 참조하면, (도 24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결합부(246)가 스토퍼(260)의 취약 연결부(265)로 원위 방향 이동하면, 상기 사전-선택된 축방향 거리를 형성하는 갭이 폐쇄되고, 이에 의해 상기 돌출부(244)가 리브(223)를 지나서 전진하여 플런저 로드(240)를 배럴(220) 내에 쇄정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주사기 조립체의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이제, 도 26을 참조하면, 상기 플런저 로드(240)가 배럴(220) 내에 쇄정된 후에 사용자가 플런저 로드(240)에 근위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주사기 조립체를 재사용하려고 하는 구성의 주사기 조립체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플런저 로드에 충분한 근위 방향 힘을 인가하면 상기 돌출부(244) 및 리브의 유지력이 취약 지점이나 연결부의 파단력을 초과함에 따라 상기 플런저 로드(240)의 일부가 취약 연결부나 지점(243)에서 분리된다.
도 27은 플런저 로드에 근위 방향 힘이 인가되고 스토퍼가 배럴의 근위단으로 이동된 후 구성의 주사기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260)는 플런저 로드의 스토퍼-결합부(246)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스토퍼 취약 연결부(265)는 사용자가 주사기 조립체의 부품을 분해하지 못하게 하도록 파단된다. 그 밖에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260)의 주연 에지는 리브(223)의 위치에서의 배럴 내면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플런저 로드(240)에 근위 방향으로 힘을 인가하는 경우, 상기 배럴(220)의 리브(223)는 스토퍼(260)의 주연 에지(262)를 쇄정시키고, 상기 스토퍼 취약 연결부(265)는 파단되어, 상기 스토퍼 몸체(264)를 스토퍼(260)로부터 분리시킨다. 이론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상기 스토퍼 취약 연결부를 파단하는데 필요한 힘은 스토퍼의 주연 에지에 가해지는 힘보다 작다고 여겨진다.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조립체(400)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2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조립체는 배럴(420), 플런저 로드(440), 및 스토퍼(460)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469)의 근위단이 플런저 로드의 원위단(441)에 부착되도록 배열된다. 상기 배럴의 근위단(429)에 스토퍼(460)가 삽입된 후에 플런저 로드(440)가 삽입된다. 상기 배럴은 배럴(420)의 근위단(429)에 부착되는 플랜지(424), 및 상기 배럴(420)의 원위단(421)에서 원위 벽(422)의 개구에 부착되는 루멘(453)을 갖는 니들 캐뉼러(450)를 포함한다. 또한, 하나 이상의 실시예는 니들 캐뉼러(450)를 원위 벽(442)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허브(452)를 포함한다.
도 29에 더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럴은 챔버(428)를 형성하는 내면(426)을 갖는 원통형 측벽(410)을 더 포함한다. 도 30에 더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럴은 배럴의 내면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내면을 구비하며 상기 배럴 내에 플런저 로드를 쇄정시키기 위하여 리브(423), 쇄정 리브 또는 기타 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리브(423)의 원위단은 배럴(421)의 원위단과 대향하는 원위부(412)를 더 포함한다. 상기 리브(423) 및 리브의 원위부(412)는 상이한 형상 및 구성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리브(423)에 근위 방향으로 인접하게 램프(427)가 배치되고, 상기 램프(427)는 리브로부터 개방 근위단으로 증가하는 직경을 갖는다. 상기 램프(427)에 근위 방향으로 인접하게 증가된 직경 영역(425)이 배치된다. 상기 증가된 직경 영역(425)은 배럴의 내면(426)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제, 도 31을 참조하며, 도 31은 원위단(461)과 근위단(469)을 갖는 스토퍼(46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토퍼(460)는 배럴의 내면(426)과 밀봉부를 형성하고 상기 리브(423) 위치에서의 배럴 내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밀봉 에지(462)를 포함한다(도 29 및 30에 더 명확히 도시됨).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토퍼(460)는 내부 리세스(468)를 형성하는 스토퍼 몸체(464), 및 그 근위단(469)에 배치되는 넥부(4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토퍼는 탄성중합체 또는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본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다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제, 도 32를 참조하면, 본체(448), 원위단(441), 및 근위단(449)을 갖는 플런저 로드(44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플런저 로드(440)는 그의 근위단에서의 썸 프레스(442) 및 그의 원위단에서의 스토퍼-결합부(446)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플런저 로드(440)는 썸 프레스(442)와 본체(448) 사이의 가요성 돌출부(444), 및 상기 가요성 돌출부에 근위 방향으로 인접하며 사용 중에 플런저 사용 및 주사기(400)에 부가적인 안정성을 제공하는 지지 부재(445)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가요성 돌출부(444)는 리브(423)에서의 배럴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주사기 조립체의 구성은 사용자가 주사기 조립체를 착저시킬 때 상기 가요성 돌출부(444)가 리브(423)를 지나서 원위 방향으로 전진하여 상기 플런저 로드(440)를 배럴(420)에 쇄정시킬 수 있게 한다(도 37 및 38에 더 명확히 도시되고 더 후술됨). 상기 플런저 로드는 본체(448)의 원위단 및 근위단에 배치되는 선택적인 한 쌍의 원판(430, 43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판(430, 431)은 추가적인 안정성을 제공하며, 배럴의 형상에 따라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런저 로드(440)는 지지 부재(445)에 인접한 복수의 취약 연결부 또는 브릿지(443)를 더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플런저 로드(440)의 복수의 취약 연결부(443)는 지지 부재(445)와 썸 프레스(442) 사이에 위치되지만, 다른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상기 플런저 로드의 원위단(441)은 스토퍼-결합부(446)를 더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결합부(446)는 또한 스토퍼(460)의 넥부(463)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 링(447)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는 스토퍼의 단부를 유지하기 위한 압입-끼워맞춤 부착물 또는 기타 적절한 수단을 포함한다.
조립될 때, 상기 스토퍼(460)는 플런저 로드(440)의 스토퍼-결합부(446)에 연결된다. 도 3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460) 및 플런저 로드(440)는 스토퍼의 원위단(461)이 배럴(422)의 원위 벽에 대해 대향하여 위치된 상태에서 배럴(420)의 챔버를 점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460)의 밀봉 에지(462)는 배럴(420)의 내면과 밀봉부를 형성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결합부(446)의 유지 링(447)은 스토퍼(460)를 유지한다. 도 40을 참조하여 더 충실하게 설명될 바와 같이, 상기 유지 링(447)과 스토퍼-결합부(446) 사이의 연결부는 파열가능할 수 있다.
상기 주사기 조립체(400)의 실시예는 또한 도 13 내지 16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시각적 마커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실시예의 배럴(420)은 또한 쇄정 리브(423)와 정렬되는 시각적 마커를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주사기 조립체는 스토퍼 몸체(464)에 배치되는 시각적 인디케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도 34 및 35를 참조하면, 상기 스토퍼(460)와 본체(448)의 원위단 사이에 형성된 공간은 사전-선택된 축방향 거리(432)를 규정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상기 가요성 돌출부(444)와 스토퍼(460)의 밀봉 에지(462) 사이의 거리는 제1 거리(D1)를 규정한다.
흡입 또는 충전 단계, 주사 단계 및 쇄정 단계가 도 35 내지 38에 도시되어 있다. 도 7 내지 11의 실시예, 도 14 내지 16의 실시예 및 도 22 내지 24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플런저 로드에 근위 방향으로 힘을 인가하는 경우, 상기 넥부(463) 및 유지 링(447)에 의해 연결되는 플런저 로드(440) 및 스토퍼(460)는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근위 방향으로 함께 이동한다.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전-선택된 축방향 거리(432) 및 제1 거리(D1)를 형성하는 공간은 상기 스토퍼(460) 및 플런저 로드(440)가 근위 방향으로 함께 이동함에 따라 유지된다. 도 36은 주사 단계 시에 플런저 로드(440)에 원위 방향 힘이 인가될 때의 주사기 조립체(400)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힘은 스토퍼(460)가 정지한 채로 남아 있는 동안 플런저 로드(440)가 도 34에 도시된 사전-선택된 축방향 거리(432)를 이동되게 한다. 이는 플런저 로드(440)가 내부 리세스(468)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플런저 로드(440)와 스토퍼(460) 사이의 공간을 폐쇄시킨다. 상기 플런저 로드에 연속적으로 원위 방향 힘을 인가하면 상기 스토퍼(460)와 플런저 로드(440)는 원위 방향으로 함께 이동된다.
상기 주사기의 내용물이 배출되기 시작하거나 완전히 배출되는 동안 또는 그 이후에, 상기 가요성 돌출부(444)와 밀봉 에지(462) 사이의 거리는 제2 거리(D2)를 규정하며, 상기 D2는 제1 거리(D1)와 상기 사전-선택된 축방향 거리(432)를 형성하는 공간 사이의 차이이다.
그 밖에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주사기 조립체(400)의 사용자는 주사기 조립체가 착저되지 않으면, 플런저 로드를 쇄정시키지 않고서, 흡입된 유체의 제한된 양을 주사하거나 플런저 로드에 원위 방향으로 제한된 힘을 가하여 흡입된 유체의 일부를 내보내거나 배출시킬 수 있다.
이제, 플런저 로드(440)가 배럴(420) 내에 쇄정된 후의 주사기 조립체를 도시하는 도 37 및 38을 참조하면, 상기 스토퍼(460)에 대한 스토퍼-결합부(446)의 원위 방향 이동은 사전-선택된 축방향 거리를 형성하는 갭을 폐쇄시키며, 이에 의해 상기 가요성 돌출부(444)가 리브(423)를 지나서 전진하게 되어, 상기 플런저 로드(440)를 배럴(420) 내에 쇄정시켜, 상기 주사기 조립체의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요성 돌출부(444)는 주사기 조립체의 정상 사용 중에 플런저 로드를 착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요성 돌출부(444)는 배럴의 리브(423)의 좁은 직경을 지나서 이동함에 따라 구부러진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상기 돌출부(444)가 리브(423)를 지나서 원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플런저 로드에는 약간 증가한 힘이 인가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런저 로드에 인가되는 이러한 약간 증가한 힘은 주사기의 정상 사용 중에 사용자가 인지할 수 없다. 또한, 상기 배럴의 램프(427)는 가요성 돌출부(444)가 리브(423)를 지나서 이동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가요성 돌출부(444)가 리브(423)를 지나서 원위 방향으로 전진한 후에, 상기 리브의 원위부(412)는 가요성 돌출부(444)의 근위 방향 이동을 제한한다.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활성력은 플런저 로드를 인출하는데 필요한 힘보다 작다고 여겨진다.
이제, 도 39를 참조하면, 상기 플런저 로드(440)가 배럴(420) 내에 쇄정된 후에 사용자가 플런저 로드(440)에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인출력을 근위 방향으로 가하여 주사기 조립체를 재사용하려고 하는 구성의 주사기 조립체(40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플런저 로드에 충분한 근위 방향 힘을 인가하면, 상기 인출력이 플런저 로드의 일부를 본체로부터 분리하며 복수의 취약 연결부 또는 브릿지를 파단하는데 필요한 비활성력을 초과함에 따라, 상기 플런저 로드(440)의 일부가 복수의 취약 연결부(443)에서 분리된다.
도 40은 플런저 로드에 근위 방향 힘이 인가되고 스토퍼가 배럴의 근위단으로 이동한 후의 구성의 주사기 조립체(400)를 도시하고 있다. 그 밖에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의 밀봉 에지(462)는 리브(423) 위치에서의 배럴 내면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이에 따라 근위 방향으로의 힘 인가는 상기 스토퍼(460)가 플런저 로드의 스토퍼-결합부(446)로부터 분리되게 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사기 배럴은 주사기 조립체에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주사기 조립체의 내용물에 관한 하나 이상의 식별 정보 또는 의도된 수령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1은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주사기 조립체(500)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4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조립체는 배럴(520), 플런저 로드(540), 및 스토퍼(560)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의 근위단(569)이 플런저 로드의 원위단(541)에 부착되도록 배열된다. 상기 조립된 스토퍼(560)와 플런저 로드(540)를 사용 동안에 상기 배럴(520)의 근위단(529)에 삽입된다.
도 42에 더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럴(520)은 개방 근위단(529), 원위단(521), 및 원위 벽(522)을 포함한다. 측벽(524)은 원위단(521)으로부터 개방 근위단(529)으로 연장되고, 유체 약물 및/또는 다른 유체를 포함할 수 있는 유체를 보유하거나 유지하기 위한 챔버(528)를 형성하는 내면(526)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원위단(521)은 관통하는 개방 유로(525)를 갖는 팁(523)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개방 유로는 챔버(528)와 유체 연통한다. 또한, 상기 배럴은 배럴(520)의 근위단(529)에 부착되는 플랜지(527)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배럴(520)의 원위단(521)에서의 원위 벽(522)의 개구에 부착된 루멘(503)을 갖는 니들 캐뉼러(502)를 또한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실시예는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럴(520)에 니들 캐뉼러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 허브(508)를 포함한다.
상기 배럴은 배럴(520) 내에 플런저 로드(540)를 쇄정시키기 위하여 리브(510), 쇄정 리브 또는 기타 수단을 더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리브(510)는 배럴의 측벽(524)의 내면(526)의 단면 폭보다 작은 단면 폭을 갖는 내면을 형성한다. 하나 이상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리브(510)는 플런저 로드가 배럴(520)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상기 플런저 로드(540)를 배럴 내에 쇄정하기 위한 대안적인 구성, 형상 또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리브(510)는 배럴의 내면(526)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챔버(528)로 반경 방향으로 돌출 또는 연장되는 환형 벽을 형성하도록 연장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리브(510)는 챔버(528)로 연장되는 단일의 돌출부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미도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도 42 및 5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브(510)의 원위단은 배럴의 원위단(521)과 대향하는 원위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위부(미도시)는 플런저 로드(540)의 제거에 대한 장벽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배럴의 내면(526)에서 급격히 증가하는 단면 폭을 형성한다. 상기 원위부(미도시)는 플런저 로드(540)가 배럴로부터의 제거에 대한 장벽을 형성하는 수직 벽으로서 설명될 수도 있다. 상기 리브(510)에 근위 방향으로 인접하게 램프(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램프는 리브(510)로부터 배럴의 개방 근위단(529)으로 증가하는 단면 폭을 갖는다. 상기 램프(미도시)에 근위 방향으로 인접하게 증가된 단면 폭 영역(미도시)이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증가된 단면 폭 영역(미도시)은 배럴의 내면(526)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큰 단면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램프(미도시) 및/또는 증가된 단면 폭 영역(미도시)은 상기 리브(510)를 지나서 원위 방향으로 상기 플런저 로드(54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도 41에 더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560)는 원위단(561) 및 근위단(569)을 포함한다. 도 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560)는 배럴의 내면(526)과 밀봉부를 형성하는 밀봉 에지(562)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상기 밀봉 에지(562)는 리브(510)의 내면의 단면 폭보다 큰 단면 폭을 가질 수 있다. 도 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의 원위단(561)은 밀봉 에지(562)에 인접한 스토퍼 면(563)을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560)는 내부 리세스를 형성하는 스토퍼 몸체(564) 및 그 근위단(569)에 배치되는 넥부(56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탄성중합체나 플라스틱 재료, 또는 본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다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런저 로드와 조립될 때, 도 50에 더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런저 로드(540)의 일부는 스토퍼의 내부 리세스로 삽입되고, 상기 넥부(568)는 플런저 로드(540)와 결합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상기 플런저 로드(540)와 스토퍼(560) 사이의 연결부는 도 1 내지 40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파열될 수 있다.
이제, 도 45를 참조하면, 본체(548)를 포함하는 플런저 로드 몸체(544)를 갖는 것으로 플런저 로드(54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플런저 로드 몸체(544)는 원위단(541)으로부터 근위단(549)으로 연장되며 제1 축(501)을 따라 정렬된다. 상기 플런저 로드(540)는 그 근위단(549)에 썸 프레스(543) 및 그 원위단(541)에 스토퍼-결합부(5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3 내지 45에 도시된 플런저 로드 몸체(544)는 두개의 가로 부재(504, 505)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 부재는 두 가로 부재(504, 505) 사이에서 4개의 사분면(506)을 형성하는 십자형 몸체를 형성하도록 교차한다. 상기 가로 부재(504, 505)와 사분면(506)은 플런저 로드의 원위단(541)으로부터 근위단(549)으로 연장되고, 가요성 돌출부(550), 지지 부재(530), 및 취약부(frangible portion)(570)에 의해 교차된다(도 45에 더 명확히 도시되고 더 후술됨). 상기 가로 부재(504, 505)의 직경은 플런저 로드 몸체(544)의 길이를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로 부재(504, 505)의 단면 폭은 썸 프레스의 근위단(549)에 인접하게 감소하고, 이는 플런저 로드 몸체(544)의 단면 폭을 감소시킨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상기 플런저 로드 몸체(544)는 원통형 단면(미도시)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는 단일 부재(미도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5에 도시된 스토퍼-결합부(546)는 스토퍼(560)의 넥부(568)를 플런저 로드의 원위단(541)에 결합시키기 위한 유지 링(547)을 포함한다. 도 4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결합부(546)는 플런저 로드의 본체(548)와 유지 링(547) 사이에 배치되는 연장부(509)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부(509)는 스토퍼(560)의 내부 리세스를 수용 또는 점유함으로써 상기 스토퍼의 넥부(568)와 유지 링(547) 사이의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유지 링(547)은 넥부(568)에서 스토퍼(560)의 내부 리세스의 단면 폭보다 큰 단면 폭을 형성하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의 돌출부를 갖는다. 상기 스토퍼는 스토퍼-결합부(546)의 유지 링(547)을 결합시키기 위한 대응하는 구조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는 스토퍼(560)의 단부를 플런저 로드(540)에 유지 또는 결합시키기 위한 압입-끼워맞춤 부착물 또는 다른 적절한 수단을 포함한다.
도 4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플런저 로드(540)는 플런저 로드의 스토퍼-결합부(546)에 근위 방향으로 인접하게 또는 본체(548)의 원위단에 배치되는 제1 원판(54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원판(542)은 리브(510)의 내면의 단면 폭보다 큰 단면 폭을 형성한다. 상기 제1 원판(542)은 원형 단면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사각형, 삼각형, 또는 다른 형상을 갖는 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원판(542)은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며 제1 원판(542)의 단면 폭을 증가시키는 하나 이상의 돌기부(미도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플런저 로드는 본체(548)의 근위단에 배치되는 선택적인 제2 원판(54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원판(542) 및/또는 제2 원판(545)은 부가적인 안정성을 제공하고 상기 배럴 및/또는 플런저 로드의 형상에 따라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런저 로드(540)는 썸 프레스(543)와 본체(548) 사이에 배치되는 가요성 돌출부(550)를 포함한다. 도 45 및 46a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550)는 제2 원판(545) 및/또는 본체에 근위 방향으로 인접한 플런저 로드 몸체(544)와 교차한다. 상기 가요성 돌출부(550)는 플런저 로드(540)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며 제1 축(501)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가요성 돌출부(550)는 리브(510)의 내면의 단면 폭보다 큰 외부 단면 폭을 갖는다. 후술될 바와 같이, 상기 주사기 조립체의 구성은 사용자가 주사기 조립체를 착저시키거나 또는 상기 배럴(520)의 내용물 모두를 배출시킬 때 상기 가요성 돌출부(550)가 리브(510)를 지나 원위 방향으로 전진하여 상기 배럴(520)에 플런저 로드(540)를 쇄정하게 한다(도 53 내지 55에 더 명확히 도시되며 더 후술됨). 상기 가요성 돌출부(550)는 플런저 로드에 원위 방향으로의 힘이 인가됨에 따라 근위 방향으로 구부림으로써 상기 플런저 로드(540)가 리브(510)를 지나 원위 방향 이동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플런저 로드(540)가 챔버(528)를 통해 원위 방향으로 이동하게 상기 플런저 로드에 원위 방향으로 향하는 힘을 인가하여 상기 배럴(520)의 내용물이 배출되므로, 상기 돌출부(550)는 리브(510)와 상호 작용함에 따라 내측 방향으로 구부러져서 상기 스토퍼(560)가 도 51 및 52에 더 명확히 도시된 원위 벽(522)에서 주사기 배럴의 내면(526)과 접촉하게 된다. 상기 스토퍼(560)가 원위 벽(522)에서 주사기 배럴의 내면(526)과 접촉하면, 상기 돌출부(550)는 리브(510)를 지나 원위 방향으로 전진할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돌출부(550)는 리브(510)를 지나 원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근위 방향으로 구부러지게 하는 구조를 갖는다. 도 46a, 49, 51, 52, 및 5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돌출부(550)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4개의 엽부(551, 552, 553, 554)를 포함한다. 상기 엽부(551, 552, 553, 554)는 각 엽부를 플런저 로드 몸체(544)에 부착시키는 부착부(55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엽부(551, 552, 553, 554)는 부착부(554)의 반대 단부에 미부착부 또는 자유부(556)를 각각 포함한다. 상기 엽부(551, 552, 553, 554)는 플런저 로드(540)에 부착되고 상기 부착부(555)에서 플런저 로드로부터 수직으로 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자유부(556)는 임의의 구조에 미부착되는 것으로 그리고 캔틸레버 구조를 갖는 엽부(551, 552, 553, 554)를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상기 부착부(555)와 자유부(556) 사이의 부분은 각 엽부가 아치 형상(미도시)을 갖도록 상기 플런저 로드(540)로부터 플런저 로드의 근위단(549)을 향해 외측 방향으로 만곡된다. 또한, 상기 자유부(556)는 리브(510)를 지나 원위 방향으로 가요성 돌출부(55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테이퍼 에지(558)를 포함할 수 있다. 더 상세히 후술될 바와 같이, 상기 엽부(551, 552, 553, 554)의 아치 형상은 플런저 로드(540)가 배럴(520)에 쇄정된 후에 상기 가요성 돌출부(550)가 내측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억제시킨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상기 엽부(551, 552, 553, 554)는 각 엽부 사이에 공간(557)을 갖는다. 상기 공간(557)은 삼각형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두 측면이 두 엽부에 의해 형성되고 제3 개방 측면은 두 엽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부착부(555)의 반대편에 배치된다.
하나 이상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가요성 돌출부(550)는 접시 와셔(Belleville washer) 형상 또는 원뿔 형상을 갖는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부착부 또는 플런저 로드에 부착된 부분은 상기 자유부 또는 플런저 로드에 미부착된 부분에 원위 방향으로 인접해 있다. 하나 이상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가요성 돌출부(550)는 플런저 로드(540)에 수직하게 정렬되는 평면 원판(미도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평면 원판(미도시)은 리브(510)를 지나 원위 방향으로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테이퍼 에지(미도시)를 갖는 자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지지 부재(530)는 상기 가요성 돌출부(550)에 근위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플런저 로드 몸체(544)와 교차한다. 상기 지지 부재(530)는 사용 시에 플런저 로드(540)와 주사기 조립체(500)에 부가적인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부재(530)는 플런저 로드(540)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원위 대향면(532), 근위 대향면(533) 및 외부 에지(534)를 갖는 환형 돌출부(531)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부재(530)는 가요성 돌출부(550)와 환형 돌출부(531) 사이에서 원위 대향면(532)에 배치되는 스트럿 요소(strut element)(535)를 포함한다. 상기 스트럿 요소(535)는 제1 축(501)을 따라 원위 대향면(532)으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두개의 빔(536, 537)을 포함한다. 상기 빔(536, 537)은 그의 중간 지점에서 서로 교차하여 교차점(538)을 형성한다. 상기 빔(536, 537)은 플런저 로드 몸체(544)의 가로 부재(504, 505)와 정렬될 수 있다.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스트럿 요소(535)는 교차점(538)에서 가요성 돌출부(550)에 부착된다. 도 46a에 도시된 상기 빔(536, 537)은 환형 돌출부(531)의 외부 에지(534)로부터 교차점(538)으로 증가하는 높이를 갖는 둥근 에지(539)를 구비한다.
하나 이상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부재(530)는 스트럿 요소(535) 대신에 원위 대향면(532)에 부착되는 돔형 몸체(미도시)를 갖는 환형 돌출부(531)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빔(536, 537) 사이의 공간은 상기 스트럿 요소가 돔 형상(미도시)을 갖도록 제거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지 부재(530)의 환형 돌출부(531)는 증가된 두께(미도시)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스트럿 요소는 지지 부재(530)가 대체로 원판 형상의 구성(미도시)을 갖도록 제거될 수 있다.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런저 로드(540)는 취약부(5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5의 본 실시예에서, 상기 취약부(570)는 지지 부재(53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지점 연결부(571) 또는 브릿지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하나 이상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취약부(570)는 플런저 로드(540)의 일부가 파단할 수 있는 다른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플런저 로드(540)의 복수의 지점 연결부(571)는 지지 부재(530)와 썸 프레스(543) 사이에 위치되지만, 상기 취약부(570)는 다른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지점 연결부(571)는 지지 부재(530)를 플런저 로드의 근위단(549)에 연결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도면에서, 상기 복수의 지점 연결부(571)는 환형 돌출부(531)의 근위 대향면(533)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 부재(530)를 썸 프레스(543) 및 상기 플런저 로드의 근위단(549)에 인접한 플런저 로드(540)의 나머지 부분에 연결한다. 도 4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취약부(570)는 4개의 지점 연결부(572, 573, 574, 575)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상기 취약부(570)는 1개, 2개, 3개, 또는 4개 초과의 지점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미도시). 상기 지점 연결부(571)는, 후술될 복수의 지점 연결부(571)의 비교적 작은 치수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근위 대향면(533)을 가로질러 분산되어 사용 시에 상기 플런저 로드(540)에 부가적인 안정성을 제공하도록 분포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지점 연결부(571)는 원위단(576), 근위단(577) 및 몸체부(578)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578)는 원위단으로부터 근위단으로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지점 연결부(571)의 몸체부(578)는 단면 폭을 형성하는 원형 단면을 갖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복수의 지점 연결부(571)의 몸체부(578)는 상이한 형상, 예를 들어 사각형, 삼각형, 또는 다른 적절한 형상을 갖는 단면을 가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지점 연결부(571)의 몸체부(578)의 단면 폭은 원위단(576)으로부터 근위단(577)으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하나의 변형 예에서, 상기 복수의 지점 연결부(571)의 몸체부(578)의 단면 폭은 원위단(576)으로부터 근위단(577)으로 감소할 수 있다. 하나 이상 실시예의 상기 몸체부(578)의 단면 폭은 원위단(576)으로부터 근위단(577)으로 선형적으로 또는 증분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도 46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지점 연결부의 몸체부(578)의 단면 폭은 원위단(576)으로부터 근위단(577)으로 증분적으로 감소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부(578)는 제1 단면 폭을 갖는 원위부(579), 및 상기 제1 단면 폭보다 적거나 더 작은 제2 단면 폭을 갖는 근위부(58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지점 연결부의 몸체부(578)는 원위부(579)와 근위부(580) 사이에 배치되는 변이부(581)를 포함한다. 상기 변이부(581)는 원위부(579)로부터 근위부(580)로 감소하는 변이 단면 폭을 갖는다.
하나 이상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원위부(579)와 근위부(580)는 대략 동일한 단면 폭을 가질 수 있고, 반면에 상기 변이부(581)의 변이 단면 폭은 원위부와 근위부(577)보다 작은 단면 폭을 갖는다.
상기 복수의 지점 연결부(571)는 일정한 단면 폭을 갖는 하나 이상의 지점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고, 반면에 나머지 지점 연결부는 원위단으로부터 근위단으로 중가하거나 감소하는 단면 폭을 갖거나 또는 상기 원위부와 근위부 사이의 변이부에서 감소된 단면 폭을 갖는다. 대안적으로, 하나 이상의 지점 연결부는 증분적으로 또는 단계적인 방식으로 감소하거나 증가하는 단면 폭을 포함할 수 있고, 반면에 나머지 지점 연결부는 일정한 단면 폭, 선형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단면 폭, 및/또는 상기 원위부와 근위부 사이의 변이부에서 감소된 단면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지점 연결부(571) 사이의 거리는 일정하거나 달라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지점 연결부(572)와 지점 연결부(574) 간의 거리는 지점 연결부(573)와 지점 연결부(575) 간의 거리보다 크다. 상기 지점 연결부 간의 거리가 일정하지 않은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지점 연결부는 오프셋 또는 엇갈림(staggered) 방식으로 배치된다. 예를 들면, 도 46a에서, 상기 플런저 로드의 원위단(541)으로부터 봤을 때, 지점 연결부(572, 574)는 플런저 로드 몸체(544)의 가로 부재(504, 505) 및/또는 지지 부재(530)의 빔(536, 537)과 정렬되고, 반면에 지점 연결부(573, 575)는 빔(536, 537)의 약간 좌측으로 배치된다. 도 46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오프셋 요소(582)는 상기 지점 연결부(572, 574)를 지지하기 위하여 통합된다. 상기 오프셋 요소(582)는 가로 부재(504, 505)로부터 상기 가로 부재에 의해 형성된 개구(506)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거나 돌출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오프셋 요소(582)는 이들이 가로 부재(504, 505)로부터 개구(506)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됨에 따라 테이퍼진다. 지점 연결부(571)의 원위단(576)은 지지 부재(530)의 근위 대향면(533)의 표면적보다 대략 작은 단면 폭을 갖는 총괄 지점 연결면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지점 연결부(571)의 표면적에 대한 근위 대향면(533)의 표면적의 비율은 약 1:200보다 클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지점 연결부(571)와 근위 대향면(533) 간의 표면적 차이는 약 200배보다 클 수 있다. 더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지점 연결부(571)의 표면적에 대한 근위 대향면(533)의 표면적의 비율은 약 1:250보다 클 수 있거나, 또는 더 구체적으로 약 300보다 클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지점 연결부(571)의 표면적에 대한 근위 대향면(533)의 표면적의 비율은 약 1:250에서 약 1:350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더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지점 연결부(571)의 표면적에 대한 근위 대향면(533)의 표면적의 비율은 약 1:30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사기 조립체(500)의 실시예는 도 13 내지 16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시각적 마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실시예의 배럴(520)은 또한 쇄정 리브(510)와 정렬되도록 상기 측벽(524)에 배치되는 시각적 마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주사기 조립체(500)는 스토퍼 몸체(564)에 배치되는 시각적 인디케이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도 1 내지 40을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560)와 플런저 로드(540)는, 이들이 상기 스토퍼(560)와 플런저 로드(540) 사이에서 상대적인 이동이 있도록, 조립되거나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560)와 플런저 로드(540)는 스토퍼 면(563)이 배럴의 원위 벽(522)에 대하여 위치되거나 이와 접촉하도록 상기 배럴(520)의 챔버(528)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도 5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560)와 플런저 로드(540)는 고정된 관계에서 조립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560)와 플런저 로드(540)는 배럴의 원위 벽(522)으로부터의 거리에 위치된 스토퍼 면(563)의 원위단(561)으로 상기 배럴의 챔버(528)를 점유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 면(563)으로부터 가요성 돌출부(550) 까지의 상기 스토퍼(560)와 플런저 로드(540)의 길이는 상기 배럴의 원위 벽(522)과 리브(510) 간의 길이보다 짧고, 이는 상기 스토퍼 면(563)이 배럴의 원위 벽(522)과 접촉하고 있을 때 상기 가요성 돌출부(550)가 리브(510)를 지나 원위 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도 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560)와 플런저 로드(540)가 초기에 배럴(520) 내에 위치될 경우, 상기 가요성 돌출부(550)는 리브(510)에 근위 방향으로 인접하게 위치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 면(563)과 배럴의 원위 벽(522) 간의 거리는 상기 가요성 돌출부(550)를 리브(510)에 근위 방향으로 인접하게 위치시키도록 조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근위 방향으로 플런저 로드(540)에 힘을 인가하는 경우, 상기 넥부(568)에 의해 연결된 스토퍼(560)와 플런저 로드(540) 및 유지 링(547)은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은 근위 방향으로 함께 이동한다. 도 52 및 53은 주사 단계 시에 상기 플런저 로드(540)에 연속적인 원위 방향 힘이 인가될 때의 주사기 조립체(500)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힘은, 상기 배럴의 챔버(528)의 내용물이 배출되며 상기 스토퍼 면(563)이 배럴의 원위 벽(522)과 접촉할 때까지 상기 플런저 로드(540)와 스토퍼(560)를 원위 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주사기 조립체(500)의 사용자는 주사기 조립체가 착저되지 않으면, 플런저 로드를 쇄정시키지 않고서, 흡입된 유체의 제한된 양을 주사하거나 플런저 로드에 원위 방향으로 제한된 힘을 가하여 흡입된 유체의 일부를 내보내거나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배럴(520)의 전체 내용물이 배출됨에 따라, 도 53 내지 5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요성 돌출부(550)는 리브(510)를 지나 원위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스토퍼 면(563)이 배럴의 원위 벽(522)과 접촉하는 경우, 상기 가요성 돌출부(550)는 리브(510)에 원위 방향으로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플런저 로드(540)는 배럴(520) 내에 쇄정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요성 돌출부(550)는 주사기 조립체의 정상 사용 중에 플런저 로드(540)와 스토퍼(560)를 착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요성 돌출부(550)는 배럴의 리브(510)의 좁은 단면 폭을 지나 이동함에 따라 구부러진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상기 돌출부(550)가 리브(510)를 지나 원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플런저 로드에는 약간 증가한 힘이 인가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런저 로드에 인가되는 이러한 약간 증가한 힘은 주사기의 정상 사용 중에 사용자가 인지할 수 없다. 또한, 상기 배럴(520)의 램프(514)는 가요성 돌출부(550)가 리브(510)를 지나서 이동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활성력은 플런저 로드를 인출하는데 필요한 힘보다 작다고 여겨진다. 상기 가요성 돌출부(550)가 리브(510)를 지나서 원위 방향으로 전진한 후에, 상기 리브(510)는 가요성 돌출부(550)의 근위 방향 이동을 제한한다. 원위부(미도시)를 포함하는 리브(510)를 통합한 실시예에서, 상기 원위부는 가요성 돌출부(550)의 근위 방향 이동을 특히 제한한다. 또한, 상기 가요성 돌출부(550)의 아치 형상은 가요성 돌출부(550)가 내측 방향으로 구부러져서 상기 배럴(520)로부터 플런저 로드(540)를 해제시키거나 쇄정 해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상기 가요성 돌출부(550)가 리브(510)와 결합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3 내지 5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체가 배럴(520)로부터 배출된 후 및/또는 상기 스토퍼(560)가 배럴의 원위 벽(522)과 접촉한 후에 상기 플런저 로드(540)는 부가적인 힘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배럴(520) 내에 쇄정된다. 대신에, 사용자가 플런저 로드(540)와 스토퍼(560)를 배럴(520) 내에 착저시키고 및/또는 상기 배럴(520)의 내용물 모두를 배출시킴에 따라 상기 가요성 돌출부(550)는 리브(510)를 지나 원위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주사기 조립체(500)는 사용자가 플런저 로드(540)를 배럴(520)로 능동적으로 쇄정할 필요가 없는 수동적인 재사용 방지 기구를 제공한다.
이제, 도 55를 참조하면, 상기 플런저 로드(540)가 배럴(520) 내에 쇄정된 후에 사용자가 플런저 로드(540)에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인출력을 근위 방향으로 가하여 주사기 조립체를 재사용하려고 하는 구성의 주사기 조립체(50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플런저 로드(540)에 충분한 근위 방향 힘을 인가하면, 상기 인출력이 플런저 로드의 일부를 본체로부터 분리하며 복수의 취약 지점 연결부(571) 또는 브릿지의 적어도 일부를 파단하는데 필요한 비활성력을 초과함에 따라, 상기 플런저 로드(540)의 일부가 취약부(570)에서 분리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리브(510)에 의해 가요성 돌출부(550)의 엽부(551, 552, 553, 554)에 가해진 힘은 상기 취약 연결부(571)를 파단하는데 필요한 힘을 초과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사기 배럴은 주사기 조립체에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주사기 조립체의 내용물에 관한 하나 이상의 식별 정보 또는 의도된 수령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일 실시예", "특정 실시예", "하나 이상의 실시예" 또는 "실시예"에 대한 참조는 이러한 실시예와 관련해서 설명되는 특정한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성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여러 곳에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특정 실시예에서", "일 실시예에서" 또는 "실시예에서"와 같은 어구의 표현은 반드시 본 발명의 동일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더 나아가, 특정한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성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원리 및 적용을 예시할 뿐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에 대한 다양한 변경과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변경 및 변형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100: 주사기 조립체
110: 원통형 측벽
111: 개구
120: 배럴
121: 원위단
122: 원위 벽
126: 내면
128: 챔버
140: 플런저 로드
141: 원위단
160: 스토퍼
169: 근위단

Claims (30)

  1. 주사기 조립체이며,
    유체를 보유하기 위한 챔버를 형성하는 제1 단면 폭을 갖는 내면을 구비한 원통형 측벽, 개방 근위단, 및 상기 챔버와 유체 연통하는 관통 개구를 갖는 원위 벽을 구비하는 원위단을 포함하는 배럴로서, 상기 측벽은 제1 단면 폭보다 작은 제2 단면 폭을 형성하는 상기 근위단에 인접한 리브를 포함하는, 배럴;
    근위단, 원위단, 및 상기 근위단과 원위단 사이에서 연장되는 본체를 포함하는 세장형 플런저 로드로서, 상기 플런저 로드는 챔버 내에서 원위 및 근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근위단은 썸 프레스(thumb press)를 포함하고, 상기 원위단은 스토퍼-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 로드는 썸 프레스와 본체 사이에 가요성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리브에서 배럴의 단면 폭보다 큰 단면 폭을 갖고, 상기 플런저 로드는 상기 플런저 로드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 로드는 원위 대향면, 근위 대향면 및 외부 에지를 갖는 환형 돌출부와, 상기 가요성 돌출부 및 상기 환형 돌출부 사이에서 상기 원위 대향면 상에 배치된 스트럿 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 로드는 상기 지지 부재에 근위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지지 부재의 에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2개의 지점 연결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취약부를 더 포함하는, 세장형 플런저 로드; 및
    근위단과 원위단을 갖는 스토퍼로서, 상기 스토퍼의 원위단이 배럴의 원위 벽과 접촉하고 있을 때 상기 가요성 돌출부가 배럴에서 리브를 지나 원위 방향으로 전진하여 상기 플런저 로드를 배럴에 쇄정시켜서 상기 주사기 조립체의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토퍼가 플런저 로드의 스토퍼-결합부에 부착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주사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로드의 본체는 2개의 교차하는 가로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2개의 교차하는 가로 부재 사이에 4개의 사분면을 갖는 십자형 몸체를 형성하는, 주사기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부재 및 상기 사분면은, 상기 플런저 로드의 상기 원위단으로부터 상기 근위단으로 연장되고, 상기 가요성 돌출부, 상기 지지 부재 및 상기 취약부에 의해 교차되는, 주사기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부재의 단면 폭은 상기 지지 부재로부터 상기 썸 프레스까지 감소하는, 주사기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럿 요소는 제1 축을 따라서 상기 원위 대향면으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빔 및 제2 빔을 포함하는, 주사기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빔 및 상기 제2 빔은 상기 제1 빔 및 상기 제2 빔 사이의 중간 지점에서 서로 교차하여 교차점을 형성하는, 주사기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럿 요소는 상기 교차점에서 상기 가요성 돌출부에 부착되는, 주사기 조립체.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로드의 본체는 2개의 교차하는 가로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2개의 교차하는 가로 부재 사이에 4개의 사분면을 갖는 십자형 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빔 및 상기 제2 빔은 상기 플런저 로드의 본체의 상기 가로 부재와 정렬되는, 주사기 조립체.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빔 및 상기 제2 빔은 상기 환형 돌출부의 상기 외부 에지로부터 상기 교차점까지 증가하는 높이를 갖는 둥근 에지를 갖는, 주사기 조립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의 원위단은, 상기 플런저 로드의 제거에 대한 장벽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배럴의 내면에서 단면 폭의 급격한 감소를 갖는 상기 배럴의 원위단에 대향하는 원위부를 포함하는, 주사기 조립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로부터 상기 배럴의 개방 근위단까지 증가하는 단면 폭을 갖는 상기 리브에 인접하게 근위 방향으로 배치되는 램프를 더 포함하는, 주사기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상기 환형 돌출부가 상기 리브를 지나서 원위 방향으로 전진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주사기 조립체.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럴의 근위단은 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주사기 조립체.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럴은 상기 배럴의 개구에 부착된 니들 캐뉼러(needle cannula)를 더 포함하는, 주사기 조립체.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로드 및 상기 스토퍼 사이에 스토퍼 취약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주사기 조립체.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돌출부는 상기 플런저 로드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2개의 엽부를 포함하는, 주사기 조립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엽부는, 상기 플런저 로드가 상기 배럴에 쇄정된 후에 상기 가요성 돌출부가 내측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억제하는 아치 형상을 갖는, 주사기 조립체.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엽부는, 상기 리브를 지나서 원위 방향으로 상기 가요성 돌출부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테이퍼진 외부 에지를 갖는, 주사기 조립체.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로드는 상기 본체의 상기 원위단에 배치되는 제1 원판과 상기 본체의 상기 근위단에 배치되는 제2 원판을 더 포함하는, 주사기 조립체.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지점 연결부는 엇갈림 패턴으로 배치되는, 주사기 조립체.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서로에 대해 등간격으로 배치된 4개의 엽부를 포함하고, 제3 지점 연결부 및 제4 지점 연결부는 제3 및 제4 엽부와 오정렬되고, 상기 제3 지점 연결부 및 상기 제4 지점 연결부는 상기 지지 부재의 외부 에지의 대향 단부들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주사기 조립체. .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로드의 본체는 2개의 교차하는 가로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2개의 교차하는 가로 부재 사이에 4개의 사분면을 갖는 십자형 몸체를 형성하고,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고 상기 가로 부재로부터 상기 가로 부재 사이의 개구들 내로 테이퍼지는 오프셋 요소를 더 포함하는, 주사기 조립체.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로드에 원위 방향으로 힘이 인가되면 상기 돌출부는 근위 방향으로 구부러져서 상기 플런저 로드의 원위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주사기 조립체.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 조립체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스토퍼의 원위단 및 상기 배럴의 원위 벽 사이의 갭을 더 포함하는, 주사기 조립체.
  25. 제1항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원위 방향을 향하는 힘을 상기 플런저 로드에 인가하면, 상기 스토퍼가 상기 배럴의 원위단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배럴 내에서 원위 방향으로 상기 스토퍼 및 상기 플런저 로드가 함께 이동되고, 이로 인해 상기 돌출부가 상기 배럴 내에서 상기 리브를 지나서 전진하여 상기 배럴 내에서 상기 플런저 로드를 쇄정하여 상기 주사기 조립체의 재사용을 방지하는, 주사기 조립체.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리브를 원위 방향으로 지나간 이후에, 근위 방향을 향하는 힘을 상기 플런저에 인가하면, 상기 플런저 로드의 상기 취약부가 파단되는, 주사기 조립체.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지점 연결부는, 원위 방향으로 상기 플런저 로드 상의 힘의 인가를 견디고, 상기 가요성 돌출부가 상기 리브를 지나 원위 방향으로 전진한 이후에 근위 방향으로 힘의 인가시 파단되는, 주사기 조립체.
  2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지점 연결부의 단면 폭은 상기 원위단부터 상기 근위단까지 감소하는, 주사기 조립체.
  2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지점 연결부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제1 단면 폭을 갖는 원위부와, 상기 제1 단면 폭보다 작은 제2 단면 폭을 갖는 근위부와, 상기 원위부 및 상기 근위부 사이의 변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이부는 상기 원위부로부터 상기 근위부까지 감소하는 전이 단면 폭을 갖는, 주사기 조립체.
  3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결합부가 상기 스토퍼에 대해 근위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에 상기 스토퍼-결합부 상에서 계속해서 시인 가능한 시각적 인디케이터를 더 포함하는, 주사기 조립체.
KR1020187013195A 2010-09-20 2011-09-16 불능화 기구를 구비한 주사기 KR1019233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885,842 US8361018B2 (en) 2007-06-12 2010-09-20 Syringe with disabling mechanism
US12/885,842 2010-09-20
PCT/US2011/051947 WO2012040051A1 (en) 2010-09-20 2011-09-16 Syringe with disabling mechanism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3285A Division KR101858762B1 (ko) 2010-09-20 2011-09-16 불능화 기구를 구비한 주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1680A KR20180051680A (ko) 2018-05-16
KR101923358B1 true KR101923358B1 (ko) 2018-11-28

Family

ID=4467807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3285A KR101858762B1 (ko) 2010-09-20 2011-09-16 불능화 기구를 구비한 주사기
KR1020187013195A KR101923358B1 (ko) 2010-09-20 2011-09-16 불능화 기구를 구비한 주사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3285A KR101858762B1 (ko) 2010-09-20 2011-09-16 불능화 기구를 구비한 주사기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2) US8361018B2 (ko)
EP (4) EP2808048B1 (ko)
JP (3) JP6046624B2 (ko)
KR (2) KR101858762B1 (ko)
CN (1) CN102834135B (ko)
AP (1) AP3975A (ko)
AU (2) AU2011305764B2 (ko)
BR (2) BR122020009166B1 (ko)
CA (2) CA2972165C (ko)
ES (4) ES2776448T3 (ko)
MX (1) MX346548B (ko)
NZ (1) NZ601893A (ko)
RU (2) RU2623306C1 (ko)
SG (2) SG10201506072YA (ko)
WO (1) WO2012040051A1 (ko)
ZA (1) ZA20120637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36392A1 (ko) * 2022-01-17 2023-07-20 메디허브 주식회사 일회용 주사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673268S1 (en) * 2011-11-04 2012-12-25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yringe plunger rod
USD667107S1 (en) * 2011-11-04 2012-09-11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yringe plunger rod
USD667109S1 (en) * 2011-11-04 2012-09-11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yringe plunger rod
USD673675S1 (en) * 2011-11-04 2013-01-01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yringe plunger rod
USD667108S1 (en) * 2011-11-04 2012-09-11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yringe plunger rod
ITRE20120020A1 (it) * 2012-03-14 2013-09-15 Cgm Spa Siringa per l'iniezione di materiale granulare solido
BR112015010607A2 (pt) 2012-11-09 2017-12-05 Iinjec Tech Inc injetor de entrega de fluido, montagem de agulha retrátil e método para injetar pelo menos uma dose de uma medicação fluida transcutaneamente no corpo.
US8784376B2 (en) * 2012-12-04 2014-07-22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Thumb press frangible feature for re-use prevention
KR101697210B1 (ko) * 2015-08-18 2017-01-17 주식회사대경피앤씨 질 세정기
CN110312541B (zh) * 2017-02-17 2022-05-31 贝克顿·迪金森公司 带有塞子引导件的注射器和柱塞杆
EP3672515B1 (en) * 2017-08-25 2024-03-20 Biolase, Inc. Fractional handpiece system
WO2019182870A1 (en) * 2018-03-20 2019-09-26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yringe stopper and plunger rod arrangement for a syringe assembly
SE542798C2 (en) * 2018-04-06 2020-07-07 Krui Ab Auto disable prefilled syringe with plunger rod spring
US11654240B2 (en) * 2018-06-01 2023-05-23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Low dose syringe including an air venting system
JP6969021B2 (ja) * 2018-12-27 2021-11-24 株式会社ダイセル 無針注射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52748A1 (en) 2002-10-11 2006-03-09 Coelho Eduardo P Single use syringe having safety shield
WO2008154616A1 (en) 2007-06-12 2008-12-18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yringe with disabling mechanism
WO2009151472A1 (en) 2008-06-12 2009-12-17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yringe with disabling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7738A (en) * 1981-10-28 1983-01-11 Janssen Pharmaceutica Inc. Pre-filled syringe for abusable drugs
US4541610A (en) 1982-11-24 1985-09-17 Lucas Industries Fluid flow control valve assemblies
NO157085C (no) * 1986-01-07 1988-01-20 Chr Sandsdalen Anordning ved injeksjonssprte for engangsbruk.
GB2197792A (en) 1986-11-26 1988-06-02 Power Richard Kiteley Disposable syringes
IN169618B (ko) * 1987-06-25 1991-11-23 Agven Medical Corp Ltd
WO1989006146A1 (en) * 1987-12-30 1989-07-13 Jacques Verlier Non-reusable syringe
MY104360A (en) 1987-12-30 1994-03-31 Verlier Jacques Non-reusable syringe
US4932941A (en) 1988-03-14 1990-06-12 Min Kyung M Non-reusable disposable syringe
US5085638A (en) 1988-03-31 1992-02-04 David Farbstein Single use disposable syringe
BE1001579A4 (nl) 1988-04-08 1989-12-05 Frank Dumon Injectiespuit voor eenmalig gebruik.
GB8824100D0 (en) 1988-10-14 1988-11-23 Agven Medical Corp Ltd Syringe
US4973310A (en) * 1988-12-30 1990-11-27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ingle-use syringe
EP0415867A1 (en) * 1989-07-03 1991-03-06 Fabersanitas S.A. Syringe-needle system for injections for a unique use
IT1230297B (it) * 1989-07-05 1991-10-18 Carmelo Lo Duca Siringa utilizzabile una sola volta.
JPH0370146U (ko) * 1989-11-09 1991-07-12
US5114405A (en) * 1990-05-21 1992-05-19 Winter Douglas A Single use tamper resistant syringe
US5053010A (en) 1990-10-03 1991-10-01 Triad Technology Safety syringe with retractable needle
FR2668067B1 (fr) * 1990-10-23 1998-01-16 Lg Medical Sa Seringue d'injection d'un produit vers le corps d'un receveur, piston pour seringue et application de cette seringue a l'introduction d'une prothese vasculaire.
US5106372A (en) * 1991-05-03 1992-04-21 Sherwood Medical Company Single use syringe
US5269760A (en) * 1991-11-14 1993-12-14 Bina Dale C Non-reusable hypodermic syringe
US5211629A (en) 1991-12-23 1993-05-18 Pressly William B S Safety syringe
FR2686517A1 (fr) 1992-01-27 1993-07-30 Lardenois Robert Seringue a usage unique.
FR2689765B1 (fr) 1992-04-10 1999-07-09 Constantin Vounatsos Seringue uni injection.
US5370620A (en) * 1992-12-28 1994-12-06 Shonfeld; David Single use hypodermic syringe
EP0636381B1 (en) 1993-07-26 1997-08-13 Finestyle Properties Limited Disposable syringe with a retractable needle
US6090077A (en) * 1995-05-11 2000-07-18 Shaw; Thomas J. Syringe plunger assembly and barrel
GB2350317B (en) * 1996-07-15 2001-01-10 Star Syringe Ltd Apparatus for making syringes
DE19705892C1 (de) * 1997-02-15 1998-11-12 Siekmann Gmbh Universalsicherheitsspritze
US5989219A (en) * 1998-01-23 1999-11-23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ingle-use syringe
EP1106194A1 (en) 1999-12-03 2001-06-13 Euro-China Farma, S.L. Single-use disposable syringe
US6599269B1 (en) * 1999-12-03 2003-07-29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ingle-use syringe
EP1260241A4 (en) 2000-03-02 2004-07-14 Daikyo Seiko Ltd PRE-FILLED SYRINGE ASSEMBLY
EP1439874A1 (de) 2001-10-31 2004-07-28 Destroject Gmbh, Medical Devices Einmalspritze für den medizinischen gebrauch
AU2003283620A1 (en) 2002-11-19 2004-06-15 Peter Balfour Dugmore Hypodermic safety syringe
US20040176722A1 (en) * 2003-03-05 2004-09-09 Capes David Francis Single-use syringe
US7331934B2 (en) * 2003-07-30 2008-02-19 Becton Dickinson Co Syringe assembly having disabling mechanism
EP1830909B1 (en) 2004-12-21 2010-07-28 Becton, Dickinson & Company Syringe assembly having disabling mechanism
GB0608046D0 (en) 2006-04-25 2006-05-31 Star Syringe Ltd Syringe
CN2936285Y (zh) * 2006-08-29 2007-08-22 吴渭水 可回缩针头的安全注射器
DE102007026972A1 (de) * 2007-06-04 2008-12-11 Cet Consulting Engineering Trading Monika Eccard Einwegspritze mit Wiederverwendungsschutz
MY178508A (en) 2007-07-12 2020-10-14 Star Syringe Ltd Needlestick prevention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52748A1 (en) 2002-10-11 2006-03-09 Coelho Eduardo P Single use syringe having safety shield
WO2008154616A1 (en) 2007-06-12 2008-12-18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yringe with disabling mechanism
WO2009151472A1 (en) 2008-06-12 2009-12-17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yringe with disabling mechanis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36392A1 (ko) * 2022-01-17 2023-07-20 메디허브 주식회사 일회용 주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920371B2 (en) 2014-12-30
BR122020009166B1 (pt) 2021-08-03
CN102834135B (zh) 2015-11-25
ES2732704T3 (es) 2019-11-25
SG10201506072YA (en) 2015-09-29
ZA201206371B (en) 2013-06-26
JP6046624B2 (ja) 2016-12-21
AU2011305764B2 (en) 2015-12-24
KR101858762B1 (ko) 2018-05-16
CA2972165C (en) 2019-06-04
AP2012006487A0 (en) 2012-12-31
BR112012023806B1 (pt) 2021-01-19
BR112012023806A2 (pt) 2016-08-02
EP2525852B1 (en) 2016-04-20
WO2012040051A1 (en) 2012-03-29
JP6581956B2 (ja) 2019-09-25
RU2623306C1 (ru) 2017-06-23
NZ601893A (en) 2015-05-29
EP2525852A1 (en) 2012-11-28
CA2790117A1 (en) 2012-03-29
AP3975A (en) 2017-01-04
EP3042680B1 (en) 2019-04-10
AU2016201512A1 (en) 2016-03-24
ES2699598T3 (es) 2019-02-11
RU2582453C2 (ru) 2016-04-27
ES2574908T3 (es) 2016-06-23
CA2972165A1 (en) 2012-03-29
CA2790117C (en) 2017-08-15
EP3406284A1 (en) 2018-11-28
MX2012009553A (es) 2012-11-23
US8361018B2 (en) 2013-01-29
EP3406284B1 (en) 2019-12-18
EP2808048A1 (en) 2014-12-03
AU2011305764A1 (en) 2012-09-06
AU2016201512B2 (en) 2017-08-31
KR20130097057A (ko) 2013-09-02
CN102834135A (zh) 2012-12-19
SG183438A1 (en) 2012-09-27
ES2776448T3 (es) 2020-07-30
KR20180051680A (ko) 2018-05-16
MX346548B (es) 2017-03-24
RU2012136872A (ru) 2014-03-10
JP2018118097A (ja) 2018-08-02
JP2013540490A (ja) 2013-11-07
EP2808048B1 (en) 2018-08-29
EP3042680A1 (en) 2016-07-13
US20110092903A1 (en) 2011-04-21
JP6685340B2 (ja) 2020-04-22
JP2017074387A (ja) 2017-04-20
US20130110044A1 (en) 2013-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3358B1 (ko) 불능화 기구를 구비한 주사기
KR101538532B1 (ko) 무력화 기구를 갖는 주사기
EP2167175B1 (en) Syringe with disabling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