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2973B1 - 4-반사경을 적용한 마이크로 스폿 분광 타원계 - Google Patents

4-반사경을 적용한 마이크로 스폿 분광 타원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2973B1
KR101922973B1 KR1020170012035A KR20170012035A KR101922973B1 KR 101922973 B1 KR101922973 B1 KR 101922973B1 KR 1020170012035 A KR1020170012035 A KR 1020170012035A KR 20170012035 A KR20170012035 A KR 20170012035A KR 101922973 B1 KR101922973 B1 KR 101922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or
light
optical system
sample
foc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2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7691A (ko
Inventor
김상준
이민호
Original Assignee
(주)엘립소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립소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엘립소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170012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2973B1/ko
Publication of KR20180087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7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2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2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1Polarisation-affecting properties
    • G01N21/211Ellipsome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4/00Measuring polarisation of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correction, e.g. distorsion, aberration
    • G02B27/00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correction, e.g. distorsion, aberration for correction of secondary colour or higher-order chromatic aberr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4개의 반사경으로 이루어지는 집속 광학계를 편광제어 모듈과 시료 사이 및 시료와 검광자 모듈 사이에 배치하여 광축의 변화 없이 광학계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시료에 조사되는 집속광을 스폿 형태로 조사할 수 있도록 하는 4-반사경을 적용한 마이크로 스폿 분광 타원계에 관한 것으로서, 광원에서 발생된 광을 제어된 편광 상태로 편광 시키는 편광제어 모듈, 편광된 광을 시료에 집속시키도록 4개의 반사경으로 구성되는 제 1 집속 광학계, 제 1 집속 광학계로부터의 집속광을 입사 받아 광학적 특성에 따라 편광 상태를 변화시키는 시료, 제 1 집속 광학계와 대칭적으로 위치하고, 시료의 표면에서 반사하여 발산하는 빛을 평행광으로 변환시키도록 4개의 반사경으로 구성되는 제 2 집속광학계, 제 2 집속 광학계를 통해 변환된 광의 편광 상태를 검지하는 검광자 모듈, 검지된 광을 파장별로 분광시킨 후, 분광된 광의 파장별 광량을 측정하기 위한 분광기로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4-반사경을 적용한 마이크로 스폿 분광 타원계{MICROSPOT SPECTROSCOPIC ELLIPSOMETER WITH 4-REFLECTORS}
본 발명은 분광 타원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반사경을 이용하여 광축의 변화없이 광학계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시료에 조사되는 집속광을 스폿 형태로 조사할 수 있고 집속 광학계에 의한 편광상태 변화를 무시하여 측정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4-반사경을 적용한 마이크로 스폿 분광 타원계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디스플레이, 광학박막 등의 분야에서 비 파괴적 측정 방법으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타원법(Ellipsometry)은 제어된 편광상태를 갖고 있는 빛을 시료에 입사시킨 후 반사광의 변화된 편광상태를 측정, 분석하여 편광을 변화시킨 요인인 시료의 조밀도 변화, 광학적 두께, 복소 귤절률 등을 구하는 방법이다.
이를 위한 장치를 타원계라 칭하며 타원계는 빛의 편광상태를 제어하고 측정 및 분석하기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광원, 편광 발생모듈, 시료, 편광 검출모듈, 광 검출기로 구성되며, 특히 타원계 중 빛의 파장에 따라 측정 및 분석을 하는 타원계를 분광 타원계라고 한다.
최근 반도체 공정은 회로 선폭 30 nm 대의 공정에서 회로 선폭 1x nm 대의 공정으로 진행됨에 따라 박막의 공정 두께와 선폭 또한 작아지며 반도체분야에서 박막의 두께를 모니터링 하는 데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분광 타원계 분야에서도 공간 분해능을 향상시키는 요구가 커지고 있다.
분광 타원계는 빛을 시료 표면에 집속시키기 위하여 집속 광학계를 사용하는데 DUV영역에서부터 근 적외선 영역까지 높은 투과율을 가지는 광학 매질은 매우 한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DUV 영역에서부터 근 적외선 영역까지의 넓은 파장 대역에 대해 시료위치에서 수십 ㎛ 이내의 직경을 가지는 스폿을 만들어 내기는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굴절 투과형 렌즈를 사용하는 집속 광학계에서는 넓은 파장대역에서의 색수차를 보정하기 위해서는 두 장 이상의 렌즈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두 장 이상의 렌즈를 사용할 경우 광학계의 중심축을 통과하는 빛을 사용하여 동축 구조의 집속 광학계를 구현할 수 있어, 광학계의 제작과 광학정렬 등이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렌즈 매질의 파장에 따른 굴절률 분산에서 기인하는 색수차와 구면렌즈를 사용함에 따라 나타나는 구면수차, 코마, 비점수차 등 다양한 수차가 발생한다.
한편, 시료 표면을 조명하는 면적을 매우 작게 하는 집속 광학계를 포함한 타원계를 마이크로 스폿 타원계라 한다.
이때, 집속 광학계로서 굴절 투과형 렌즈를 사용하는 경우 적용하는 광학 매질의 파장에 따른 특성에 따라 렌즈가 제한적으로 적용된다. 또한, 분광 타원계의 경우 파장의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색 수차로 인해 최적화된 집속 광학계를 적용 하더라도 시료 표면에서의 스폿 크기를 매우 작게 유지 하는 것에 용이하지 않다.
또한, 집속 광학계로 반사경을 이용하는 경우 빛이 반사되면서 편광상태의 변화를 일으켜 정밀 측정 오차의 원인이 될 수 있어 기존 방식은 반사경과 시료 사이에 편광 제어 모듈을 배치한다.
그런데, 반사경을 이용할 경우 집속을 위한 반사경과 시료사이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충분한 마이크로 스폿을 얻기 위한 전체 광학계의 크기가 커지는 경향이 존재하며, 이는 전체 분광 타원계의 크기를 크게 하는 요인이 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57093호 "분광 타원해석기" 미국등록특허 제7889339호 "Complementary waveplate rotating compensator ellipsometer"
본 발명은 4개의 반사경만으로 이루어지는 집속 광학계를 편광제어 모듈과 시료 사이 및 시료와 검광자 모듈 사이에 배치하여 광축의 변화 없이 광학계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시료에 조사되는 집속광을 스폿 형태로 조사할 수 있도록 하는 4-반사경을 적용한 마이크로 스폿 분광 타원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4-반사경을 적용한 마이크로 스폿 분광 타원계는 광원에서 발생된 광을 제어된 편광 상태로 편광 시키는 편광제어 모듈, 편광된 광을 시료에 집속시키도록 4개의 반사경으로 구성되는 제 1 집속 광학계, 제 1 집속 광학계로부터의 집속광을 입사 받아 광학적 특성에 따라 편광 상태를 변화시키는 시료, 제 1 집속 광학계와 대칭적으로 위치하고, 시료의 표면에서 반사하여 발산하는 빛을 빛을 평행광으로 변환시키도록 4개의 반사경으로 구성되는 제 2 집속광학계, 제 2 집속 광학계를 통해 변환된 광의 편광 상태를 검지하는 검광자 모듈, 검지된 광을 파장별로 분광시킨 후, 분광된 광의 파장별 광량을 측정하기 위한 분광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각 반사경에 입사하는 광의 입사각이 10° 이하가 되도록 하여 입사광의 반사에 따른 타원 상수 p파와 s파의 반사계수가 서로 상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 1 집속 광학계는 중심축에 위치하여 중심축 광을 차단하는 제 1 반사경과, 제 1 반사경의 후단에서 중심축과 일정 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위치하여 제 1 반사경의 반사면으로 광을 반사하도록 구성되는 제 2 반사경과, 제 1 반사경에서 반사된 광을 반사시키도록 제 2 반사경의 후단 중심축에 위치하는 제 3 반사경과, 제 3 반사경과 제 2 반사경 사이에서 중심축과 일정 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위치하여 제 3 반사경에서 반사된 광을 시료 표면에 집속시키는 제 4 반사경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반사경의 곡률 반경이 제 2 반사경의 곡률 반경보다 커 제 1 반사경에서 반사된 광이 제 2 반사경에 대하여 광축을 통과하지 않고 진행하거나, 제 1 반사경의 곡률 반경이 제 2 반사경의 곡률 반경보다 작아 제 1 반사경에서 반사된 광이 제 2 반사경에 대하여 광축을 통과하여 진행할 수 있다.
또는 제 1 집속 광학계는 중심축과 일정 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위치하여 중심축으로 광이 진행하도록 하는 제 1 반사경과, 제 1 반사경의 후단의 중심축에 위치하여 제 1 반사경의 반사면으로 광을 반사하도록 구성되는 제 2 반사경과, 제 1 반사경에서 반사된 광을 반사시키도록 제 2 반사경의 후단의 중심축과 일정 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위치하는 제 3 반사경과, 제 3 반사경과 제 2 반사경 사이의 중심축에 위치하여 제 3 반사경에서 반사된 광을 시료 표면에 집속시키는 제 4 반사경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4개의 반사경을 이용하여 집속 광학계를 구성함으로써 색수차가 발생하지 않으며 파장대역에 제한을 받지 않아 고해상 집속 광학계를 구성할 수 있고, 동축 광학계로 구성함으로써 광축 정렬이 용이하고 편광상태에 영향을 주지 않아 측정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투과 매질을 사용하지 않아 파장변화에 따른 특성이 없으므로 DUV로 부터 근적외선에 걸친 넓은 파장대역에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스폿 분광 타원계 구성도.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집속 광학계 실시예들을 나타낸 단면 구성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4-반사경을 적용한 마이크로 스폿 분광 타원계 구성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집속 광학계 실시예들을 나타낸 단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스폿 분광 타원계는 광원(100), 편광제어 모듈(200), 모터와 인코더(300), 제 1 집속 광학계(400), 제 2 집속 광학계(500), 검광자 모듈(600), 분광기(700)를 포함한다.
광원(100)은 시료(s)에 조사되는 광 발생 장치로서, 원자외선(Deep Ultra Violet; DUV)에서부터 근적외선에 걸친 다양한 파장대역의 광을 발생한다.
편광제어 모듈(200)은 광원(100)과 시료 사이에 위치하고, 광원(100)에서 발생된 광을 제어된 편광 상태로 편광시킨다. 즉, 광원(100)에서 발생한 빛은 일반적으로 특정 편광상태로 나타낼 수 없는 무 편광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편광제어 모듈(200)은 광원(100)에서 발생한 빛을 통과시켜 특정 편광 상태로 제어된 측정 광으로 편광시킨다.
모터와 인코더(300)는 편광제어 모듈(200)과 검광자 모듈(600)에 결합되어 모터구동펄스가 인가될 때 마다 단위각도 만큼씩 회전함으로써, 편광제어 모듈(200) 또는 검광자 모듈(600)을 통과하는 광의 편광 방향을 주기적으로 변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 1 집속 광학계(400)는 편광제어 모듈(200)과 시료(s) 사이에 위치하여 편광제어 모듈(200)에 의해 편광된 측정 광을 시료(s)의 집속시키는 것으로서, 4개의 반사경으로 구성된다.
즉, 제 1 집속 광학계(400)는 전반부의 2개의 반사경과 후반부의 2개의 반사경으로 구성되는데, 2반사경 구조의 집속 광학계인 역 카세그레인(Inverse Cassegrain) 방식보다 빛의 집속 정도가 우수하여 마이크로 스폿 분광 타원계의 구조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반사경만으로 구성되므로 색수차가 발생하지 않으며 파장대역에 제한을 받지 않아 고해상 집속 광학계의 제작에 유리하고, 투과 매질을 사용하지 않아 파장변화에 따른 특성이 없으므로 DUV로 부터 근적외선에 걸친 넓은 파장대역에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시료(s)의 표면에 입사된 측정 광은 시료의 굴절률, 두께와 같은 광학적, 구조적 특성에 따라 변형된 편광을 반사하게 된다.
제 2 집속 광학계(500)는 시료(s)의 표면에서 반사하여 발산하는 빛을 검광자모듈로 보낼 수 있도록 평행광으로 변환시키는 4개의 반사경으로 구성된다. 이때, 제 2 집속 광학계(500)는 제 1 집속 광학계(400)와 대칭되는 위치에 위치하며, 제 1 집속 광학계(400)와는 대칭 구조를 갖는다.
검광자 모듈(600)은 광의 반사경로 상에 배치되어 제 2 집속 광학계(500)를 통해 변환된 광의 편광 상태를 검지한다.
분광기(700)는 검지된 광을 파장별로 분광시킨 후, 분광된 광의 파장별 광량을 측정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집속 광학계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 1 집속 광학계(400)는 4개의 반사경으로 이루어진다.
선단에 위치하는 제 1 반사경(410a, 420a)은 중심축 광을 차단하도록 중심축에 위치하고, 제 2 반사경(410b, 420b)은 제 1 반사경(410a, 420a)의 후단에서 중심축과 일정 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제 2 반사경(410b, 420b)의 반사면에서 반사된 광은 제 1 반사경(410a, 420a)의 반사면에 입사된다.
제 1 반사경(410a, 420a)과 제 2 반사경(410b, 420b)은 편광제어 모듈(200)로부터 시료(s) 방향으로 진행하는 측정 광을 평행 광에 가깝게 보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곡률 반경이 90 mm ~ 110 mm 부근의 크기를 갖도록 한다.
이때,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제 1 반사경(410a, 420a)의 곡률 반경을 제 2 반사경(410b, 420b)의 곡률 반경보다 크게 하여 제 1 반사경(410a, 420a)에서 반사된 광이 제 2 반사경(410b, 420b)에 대하여 광축을 통과하지 않고 진행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도 3과 같이 제 1 반사경(410a, 420a)의 곡률 반경을 제 2 반사경(410b, 420b)의 곡률 반경보다 작게 하여 제 1 반사경에서 반사된 광이 제 2 반사경(410b, 420b)에 대하여 광축을 통과하여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후단에 위치하는 제 3 반사경(410c, 420c)은 제 2 반사경(410b, 420b)의 후단 중심축에 위치하여 제 1 반사경(410a, 420a)에서 반사된 광을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 4 반사경(410d, 420d)은 제 3 반사경(410c, 420c)과 제 2 반사경(410b, 420b) 사이에서 중심축과 일정 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위치하여 제 3 반사경(410c, 420c)에서 반사된 광을 반사시켜 시료(s)의 표면에 마이크로 스폿 형태의 집속광이 조사되도록 한다.
이때, 제 3 반사경(410c, 420c)과 제 4 반사경(410d, 420d)은 측정광을 10 ㎛ 이하의 마이크로 스폿 광으로 집속하기 위해 5 mm ~ 30 mm 의 곡률 반경을 갖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1 반사경(430a)은 중심축과 일정 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위치하여 중심축으로 광이 진행하도록 구성되고, 제 2 반사경(43b)은 제 1 반사경(430a)의 후단의 중심축에 위치하여 제 1 반사경(430a)의 반사면으로 광을 반사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 3 반사경(430c)은 제 1 반사경에서 반사된 광을 반사시키도록 제 2 반사경(430b)의 후단의 중심축과 일정 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제 4 반사경(430d)은 제 3 반사경(430c)과 제 2 반사경(430b) 사이의 중심축에 위치하여 제 3 반사경(430c)에서 반사된 광을 시료(s) 표면에 집속 시키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집속 광학계의 경우 비축 광학계 구조로 구성되기 때문에 되어 있기 때문에 제작에 있어서 광학계의 중심축에 대해 한 쪽 면만 사용가능하도록 광학계를 제작 할 수 도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집속 광학계를 구성하는 반사경 들은 반사면에 입사하는 광의 입사각이 10° 이하가 되도록 하여, 입사광의 반사에 따른 타원 상수 p파와 s파의 반사계수는 매우 작은 차이를 갖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동축 광을 사용하기 때문에 반사경의 입사각이 10° 이하가 되도록 하면 p파와 s파의 반사계수 차이는 근사적으로 상쇄하므로, 4반사경계 내에서 반사에 의한 편광상태 변화를 무시할 수 있다.
여기서 p파는 입사되는 평면과 평행(parallel)한 상태의 편광 이며, s파는 입사되는 평면에 수직한 상태의 편광 상태로 독일어의 senkrecht에서 유래 하였다.
즉, 일반적으로는 타원계의 경우 측정 광이 시료표면에 비스듬하게 입사하기 때문에 광학계와 시료 사이의 거리를 충분하게 확보해야 하기 위해 전체 광학계의 크기가 커지거나 광축이 틀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광학계에 반사경을 사용하는 경우 빛이 반사되면서 편광상태가 변화되어 측정 오차를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반사경계의 반사경이 매우 높은 반사율을 갖도록 하고 각 반사경에 10° 이하로 광을 입사시킴에 따라 입사광의 반사에 따른 타원 상수 p파와 s파의 반사계수는 매우 작게 하여 편광 상태를 무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수학식으로 통해 증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학식 1>
Figure 112017008997960-pat00001
<수학식 2>
Figure 112017008997960-pat00002
수학식 1 및 수학식 2의 코사인을 수열로 나타내서 정리하면,
<수학식 3>
Figure 112017008997960-pat00003
<수학식 4>
Figure 112017008997960-pat00004
단,
Figure 112017008997960-pat00005
(반사의 법칙)
Figure 112017008997960-pat00006
(코사인 수열)
Figure 112017008997960-pat00007
(반사율이 클 경우)
따라서, 수학식 3은
Figure 112017008997960-pat00008
, 수학식 4는
Figure 112017008997960-pat00009
가 된다.
즉, 반사경면에 대한 입사각
Figure 112017008997960-pat00010
가 작은 경우
Figure 112017008997960-pat00011
,
Figure 112017008997960-pat00012
가 되어 편광 변화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rp와 rs는 각각 반사경면에 입사된 후 나타나는 p파와 s파의 반사계수를 표현하는 프레넬 계수(Fresnel Coefficients)이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 : 광원 200 : 편광제어 모듈
300 : 모터와 인코더 400 : 제 1 집속 광학계
500 : 제 2 집속 광학계 600 : 검광자 모듈
700 : 분광기

Claims (6)

  1. 광원에서 발생된 광을 제어된 편광 상태로 편광 시키는 편광제어 모듈;
    상기 편광된 광을 시료에 집속시키도록 4개의 반사경으로 구성되고, 4개의 반사경의 중심이 광축과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4개의 반사경이 광축과 동축을 이루는 제 1 집속 광학계;
    상기 제 1 집속 광학계로부터의 집속광을 입사 받아 광학적 특성에 따라 편광 상태를 변화시키는 시료;
    상기 제 1 집속 광학계와 대칭 구조를 갖고 상기 제 1 집속 광학계와 대칭적으로 위치하며, 상기 시료의 표면에서 반사하여 발산하는 빛을 평행광으로 변환시키도록 4개의 반사경으로 구성되고, 4개의 반사경의 중심이 광축과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4개의 반사경이 광축과 동축을 이루는 제 2 집속광학계;
    상기 제 2 집속 광학계를 통해 변환된 광의 편광 상태를 검지하는 검광자 모듈;
    상기 검지된 광을 파장별로 분광시킨 후, 분광된 광의 파장별 광량을 측정하기 위한 분광기를 포함하고,
    상기 각 반사경에 입사하는 광의 입사각이 10° 이하가 되도록 하여 입사광의 반사에 따른 타원 상수 p파와 s파의 반사계수가 서로 상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반사경을 적용한 마이크로 스폿 분광 타원계.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집속 광학계는
    광의 중심축에 위치하여 중심축 광을 차단하는 제 1 반사경과,
    상기 제 1 반사경의 후단에서 중심축과 일정 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반사경의 반사면으로 광을 반사하도록 구성되는 제 2 반사경과,
    상기 제 1 반사경에서 반사된 광을 반사시키도록 제 2 반사경의 후단 중심축에 위치하는 제 3 반사경과,
    상기 제 3 반사경과 제 2 반사경 사이에서 중심축과 일정 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제 3 반사경에서 반사된 광을 시료 표면에 집속시키는 제 4 반사경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반사경을 적용한 마이크로 스폿 분광 타원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사경의 곡률 반경이 상기 제 2 반사경의 곡률 반경보다 커 상기 제 1 반사경에서 반사된 광이 제 2 반사경에 대하여 광축을 통과하지 않고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반사경을 적용한 마이크로 스폿 분광 타원계.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사경의 곡률 반경이 상기 제 2 반사경의 곡률 반경보다 작아 상기 제 1 반사경에서 반사된 광이 제 2 반사경에 대하여 광축을 통과하여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반사경을 적용한 마이크로 스폿 분광 타원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집속 광학계는
    광의 중심축과 일정 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위치하여 중심축으로 광이 진행하도록 하는 제 1 반사경과,
    상기 제 1 반사경의 후단의 중심축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반사경의 반사면으로 광을 반사하도록 구성되는 제 2 반사경과,
    상기 제 1 반사경에서 반사된 광을 반사시키도록 제 2 반사경의 후단의 상기 중심축과 일정 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위치하는 제 3 반사경과,
    상기 제 3 반사경과 제 2 반사경 사이의 중심축에 위치하여 상기 제 3 반사경에서 반사된 광을 시료 표면에 집속시키는 제 4 반사경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반사경을 적용한 마이크로 스폿 분광 타원계.
KR1020170012035A 2017-01-25 2017-01-25 4-반사경을 적용한 마이크로 스폿 분광 타원계 KR101922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035A KR101922973B1 (ko) 2017-01-25 2017-01-25 4-반사경을 적용한 마이크로 스폿 분광 타원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035A KR101922973B1 (ko) 2017-01-25 2017-01-25 4-반사경을 적용한 마이크로 스폿 분광 타원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7691A KR20180087691A (ko) 2018-08-02
KR101922973B1 true KR101922973B1 (ko) 2018-11-28

Family

ID=63251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2035A KR101922973B1 (ko) 2017-01-25 2017-01-25 4-반사경을 적용한 마이크로 스폿 분광 타원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29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545A (ko) 2019-05-09 2020-11-18 (주)엘립소테크놀러지 고배율 광학계를 적용하는 마이크로 스폿 분광타원계의 왜곡 보정 및 적용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2153B1 (ko) * 2020-12-16 2023-10-23 한국원자력연구원 곡률이 상이한 복수의 포물선 반사체 및 복수의 타원 반사체를 이용한 광 집속 장치
CN113777048B (zh) * 2021-08-11 2023-07-25 华中科技大学 一种共轴超快光谱椭偏仪及测量方法
KR102622581B1 (ko) * 2021-09-28 2024-01-09 (주)엘립소테크놀러지 마이크로스폿 분광타원계가 구비된 반도체 ocd 측정장치
KR102545519B1 (ko) * 2022-01-03 2023-06-21 (주)오로스 테크놀로지 편광 변조가 최소화된 반사형 광학계 및 이를 구비한 분광 타원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89353B2 (ja) 2000-09-20 2015-10-07 ケーエルエー−テンカー コーポレイション 半導体製造プロセスのための方法と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89353B2 (ja) 2000-09-20 2015-10-07 ケーエルエー−テンカー コーポレイション 半導体製造プロセスのための方法と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545A (ko) 2019-05-09 2020-11-18 (주)엘립소테크놀러지 고배율 광학계를 적용하는 마이크로 스폿 분광타원계의 왜곡 보정 및 적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7691A (ko) 2018-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2973B1 (ko) 4-반사경을 적용한 마이크로 스폿 분광 타원계
JP4464561B2 (ja) 軸外球面鏡と屈折素子を用いる分光計測システム
EP1025430B1 (en) Optical resonator for cavity ring-down spectroscopy with prism retroreflectors
JP5546454B2 (ja) 広幅分光計
US6172823B1 (en) Mode matching for cavity ring-down spectroscopy based upon Brewster&#39;s angle prism retroreflectors
US20180356569A1 (en) Reflecting prism for optical resonant cavity, and optical resonant cavity and spectral measurement instrument thereof
US7755775B1 (en) Broadband optical metrology with reduced wave front distortion, chromatic dispersion compensation and monitoring
US20020030813A1 (en) Spectroscopic measurement system using an off-axis spherical mirror and refractive elements
EP1202033B1 (en) Spectral ellipsometer
US6172824B1 (en) Low loss prism retroreflectors for relative index of refraction less than the square root of 2
KR100992839B1 (ko) 마이크로 스폿 분광타원계
US5517032A (en) Thin film thickness measuring system
US724836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tical characterization of a sample over a broadband of wavelengths with a small spot size
US20140184776A1 (en) Micro or nano scope
KR20160143969A (ko) 평면거울 및 렌즈를 이용한 성능개선 분광기
US732745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tical characterization of a sample over a broadband of wavelengths while minimizing polarization changes
JP4294566B2 (ja) 全反射吸収測定用プリズムを用いた全反射吸収測定方法
CN115389022B (zh) 椭偏仪
CN117347317B (zh) 用于频域光学相干层析成像系统的大深度光谱仪及其应用
JP2001281056A (ja) 干渉計及び分光器
CN116045828B (zh) 一种光谱椭偏测量系统和一种光谱椭偏测量方法
KR102229335B1 (ko) 고배율 광학계를 적용하는 마이크로 스폿 분광타원계의 왜곡 보정 및 적용 방법
JP3135516U (ja) 反射対物鏡および反射対物鏡を応用した赤外顕微鏡
KR20160100629A (ko) 현미경
JP2007121322A (ja) 全反射吸収測定用プリズ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全反射吸収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