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2647B1 -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 - Google Patents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2647B1
KR101922647B1 KR1020180099336A KR20180099336A KR101922647B1 KR 101922647 B1 KR101922647 B1 KR 101922647B1 KR 1020180099336 A KR1020180099336 A KR 1020180099336A KR 20180099336 A KR20180099336 A KR 20180099336A KR 101922647 B1 KR101922647 B1 KR 101922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fluid
upstream
flow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9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필제
김영포
왕철식
Original Assignee
(주) 유니플로
우필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유니플로, 우필제 filed Critical (주) 유니플로
Priority to KR1020180099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26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2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2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2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sealing faces shaped as surfaces of solids of revolution
    • F16K3/24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sealing faces shaped as surfaces of solids of revolution with cylindrical 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16K27/041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cylindrical slide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30Details
    • F16K3/314Forms or constructions of slides; Attachment of the slide to the spi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 F16K31/1221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one side of the piston being spring-loa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류측몸체에 형성된 제1,2,3,4유로중 유체가 유입되는 제2유로와 유체가 배출되는 제4유로에 각각 유체유입유로지지대와, 유체배출유도연결부 및 유체배출유도공을 구비하여 제2유로의 유체 유입과 제4유로의 유체배출을 용이하게 하여 제2,4유로와 연결된 제1,3유로를 통해 실린더형트림의 작동을 원할하게 하여 개폐밸브의 유통로를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개폐하도록한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는;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에 있어서, 내부에 유통로를 관통 형성하는 상,하류측 몸체와; 상기 상,하류측 몸체의 사이에 내부로 상,하류측 챔버로 구분되어 형성된 챔버와; 상기 챔버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중앙 몸체와; 상기 유통로 일측의 설치된 밸브시트와; 상기 상,하류측 챔버에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전후 이동하면서 상기 밸브시트에 밀착 또는 이격 작동하는 실린더형 트림과; 상기 중앙 몸체에는 상기 상류측 챔버에 연결게 형성되고, 상기 상류측 몸체 내부의 상기 유통로 내부 중앙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유통로와 연결되게 연통부를 구비한 유체유입유도지지대와, 상기 연통부와 연결되게 형성된 제1유로와; 상기 상류측몸체 내부의 상기 유통로에 연결형성된 제2유로와;상기 하류측 챔버(30b)에 연결되는 제3유로와; 상기 하류측 몸체 내부의 상기 유통로 중앙에 형성된 분기부와, 상기 분기부에 형성된 유체배출유도공과, 상기 유체배출유도공에 하부가 결합되게 설치된 유체배출유도연결부와, 상기 유체배출유도연결부의 상부와 연결되게 상기 하류측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제3유로와 연통된 제4유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Opening and closing valve for fluid transport control}
본 발명은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하류측몸체에 형성된 제1,2,3,4유로중 유체가 유입되는 제1유로와 유체가 배출되는 제4유로에 각각 유체유입유로지지대와, 유체배출유도연결부 및 유체배출유도공을 구비하여 제1유로의 유체 유입과 제4유로의 유체배출을 용이하게 하여 제2,4유로와 연결된 제2,3유로를 통해 실린더형트림의 작동을 원할하게 하여 개폐밸브의 유통로를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개폐하도록한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에 관한 것이다.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의 기술로는;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223101호(2013년 01월 30일 등록)『방식 전환 가능형 유체 이송제어용 걔폐밸브』가 제시되어 있는바,
내부에 유통로(2)를 관통 형성하는 상,하류측 몸체(10)(20)와 상기 상,하류측 몸체 사이에 내부로 챔버(3)를 형성하는 중앙 몸체(30)를 상호 결합 구성하고, 상기 유통로 일측의 밸브시트(40)와 상기 챔버의 상,하류측 챔버(3a)(3b)에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전후 이동하면서 밸브시트에 밀착 또는 이격 작동하는 실린더형 트림(50)에 의해 밸브를 개폐 작동하는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에 있어서,
상기 중앙 몸체(30)에는 상류측 챔버(3a)에 연결되는 제1유로(31)와 상류측 몸체(10) 내부의 유통로에 연결되는 제2유로(32)와 하류측 챔버(3b)에 연결되는 제3유로(33) 및 하류측 몸체(20) 내부의 유통로에 연결되는 제4유로(34)를 형성하여 상기 제1,2,3,4 유로를 연결 제어하여 개폐 작동하는 방식이나 상기 제1,3유로에 유,공압을 공급하여 개폐 작동하는 방식을 선택하도록 이루어진 방식 전환 가능형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상류측몸체(10)의 상기 유통로(2)에 유입되는 상기 제2유로(32)는 상기 상류측몸체(10)의 상부면에 형성되어서, 상기 상류측몸체(10)에 수평으로 상부면에 형성된 상기 유통로(2)에 수평으로 유체가 가압되면, 이 유체는 수평으로 가압되면 유체의 가압력에 의해서 상기 상류측몸체(10)의 상기 제2유로(32)에 제대로 유입되지 못하고 상기 상류측몸체(10)의 상기 유통로(2)에서 상기 하류측몸체(10)의 상기 유통로(2)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러하게 제대로 상기 제2유로(32)에 유체의 유입제대로 이루어지않아서 상기 제2유로(32)와 연계되는 상기 제1,3,4유로(31,33,34)에 의해 연동되는 상기 실린더형 트림(50)이 구동지 못하여 상기 실린더형 트림(50)으로 개폐밸브의 상기 유통로(2)를 안정적으로 개폐하지 못한다.
또한, 상기 제2유로(32)에 상기 상류측몸체(10)의 상기 유통로(2)를 통해 유체가 유입되더라도 이 유체는 상기 제1,3유로(31,32)를 거쳐 상기 제4유로(34)로 배출되는데, 상기와 같은 상기 제4유로(34)는 상기 분기부(2a)의 외측둘레와 대응되는 상기 하류측몸체(20)의 하부면에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상기 분기부(2a)의 외측둘레에 형성된 상기 유통로(2)에는, 상기 상류측몸체(10)의 상기 유통로(2)에서 상기 하류측몸체(20)의 상기 유통로(2)에 전달되는 높은기압 및 압력이 높은 유체가 지나가면서 상기 분기부(2a)의 외측둘레에 진공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진공이 상기 분기부(2a)의 외측둘레에 형성된 상기 유통로(2)에 형성되어서, 상기 분기부(2a)와 마주하여 형성된 상기 하류측몸체(20)에 형성된 상기 제4유로(34)에서 상기 분기부(2a)의 외측둘레에 형성된 진공으로 인해 유체의 배출이 되지 못하여서, 이러하게 제2,4유로(32,34)에 유체가 유입 및 배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상기 제2,4유로(32,34)와 연결된 상기 제1,3유로(31,33)에 유체가 전달되지 않아서 상기 제1,3유로(31,32)의 유입되는 유체로 작동되는 상기 실린더형 트림(50)의 구동이 않되어서, 개폐밸브의 상기 유통로(2)를 용이하게 개폐하지 못하는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223101호(2013년 01월 30일 등록)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류측몸체의 유통로에 구비된 유체유입유도지지대에 제1유로가 연결되고, 하류측몸체의 유통로에 형성된 분기부에 형성된 유체배출유도공과 이 유체배출유도공과 연결되는 유체배출유도연결부에 제4유로가 연결되어서, 상류측몸체의 유통로에 유입되는 유체가 유체유입유도지지대를 통해서 제1유로로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유입되어 제2유로 및 제3유로를 거쳐 실린더형 트림을 작동시키고 제4유로로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배출되어서, 제1,4유로에서 유체의 유입 및 배출을 원할하게 하여 제1,4유로와 연계된 제2,3유로 연동으로 실린더형 트림의 작동을 보다 원할하게 하여 실린더형 트림으로 개폐밸브의 걔페를 보다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하도록한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에 있어서, 내부에 유통로를 관통 형성하는 상,하류측 몸체와; 상기 상,하류측 몸체의 사이에 내부로 상,하류측 챔버로 구분되어 형성된 챔버와; 상기 챔버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중앙 몸체와; 상기 유통로 우측의 설치된 밸브시트와; 상기 상,하류측 챔버에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전후 이동하면서 상기 밸브시트에 밀착 또는 이격 작동하는 실린더형 트림과; 상기 중앙 몸체에는 상기 상류측 챔버에 연결게 형성되고, 상기 상류측 몸체 내부의 상기 유통로 내부 중앙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유통로와 연결되게 연통부를 구비한 유체유입유도지지대와, 상기 연통부와 연결되게 형성된 제1유로와; 상기 상류측몸체 내부의 상기 유통로에 연결형성된 제2유로와;상기 하류측 챔버(30b)에 연결되는 제3유로와; 상기 하류측 몸체 내부의 상기 유통로 중앙에 형성된 분기부와, 상기 분기부(70)에 형성된 유체배출유도공과, 상기 유체배출유도공에 하부가 결합되게 설치된 유체배출유도연결부와, 상기 유체배출유도연결의 상부와 연결되게 상기 하류측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제3유로와 연통된 제4유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2,3,4유로를 연결 제어하여 개폐 작동하는 방식이나, 상기 제1,3유로에 유,공압을 공급하여 개폐 작동하는 방식을 선택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체유입유도지지대에 형성된 상기 연통부는 상기 유체유입유도지지대의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부가 외부와 연통되게 형성된 수직연결공과, 상기 수직연결공의 타측에 수평으로 형성된 수평연결공이 외부연통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연결공의 하부외측에는 확장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체배출유도공은 상기 분기부에 수평으로 형성된 수평결합공과, 상기 수평결합공의 타측상부에 연결되게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결합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결합공의 하부외측에는 확장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류측챔버의 우측면에 형성된 삽입공에 삽입되고, 상기 실린더형 트림의 자측면에 설치된 제1스프링이 구비되거나, 상기 하류측챔버의 좌측면에 형성된 삽입공에 삽입되고, 상기 실린더형 트림의 우측면에 설치된 제2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류측몸체의 유통로에 구비된 유체유입유도지지대에 제1유로가 연결되고, 하류측몸체의 유통로에 형성된 분기부에 형성된 유체배출유도공과 이 유체배출유도공과 연결되는 유체배출유도연결부에 제4유로가 연결되어서, 상류측몸체의 유통로에 유입되는 유체가 유체유입유도지지대를 통해서 제1유로로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유입되어 제2유로 및 제3유로를 거쳐 실린더형 트림을 작동시키고 제4유로로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배출되어서, 제1,4유로에서 유체의 유입 및 배출을 원할하게 하여 제1,4유로와 연계된 제2,3유로 연동으로 실린더형 트림의 작동을 보다 원할하게 하여 실린더형 트림으로 개폐밸브의 걔페를 보다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체이송용 개폐밸브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략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유입유도지지대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배출유도공 및 유체배출유도연결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작용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실시예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안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략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유입유도지지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배출유도공 및 유체배출유도연결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작용도이고, 도 7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실시예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이송제어용개폐밸브는 도 2 내지 도 10에 도시된 것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는 상류측몸체(10)와, 하류측몸체(10)와, 챔버(30)와, 중앙몸체(30a)와, 밸브시트(40)와, 실린더형 트림(50)과, 제1유로(60a)와, 제2유로(60b)와, 제3유로(60c)와, 제4유로(60d)로 구성된다.
상기 상류측몸체(1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상류측몸체(10)는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100)의 좌측에 형성되고, 상기 상류측몸체(10)의 내부에는 유통로(11)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상류측몸체(10)의 상기 유통로(11)는 유체가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류측몸체(10)의 상기 유통로(11)는 후술되는 상기 하류측몸체(20)의 상기 유통로(11)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류측몸체(2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하류측몸체(20)는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100)의 우측에 형성되고, 상기 하류측몸체(20)의 내부에는 유통로(11)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하류측몸체(20)의 상기 유통로(11)는 유체가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류측몸체(20)의 상기 유통로(11)는 상기 상류측몸체(10)의 상기 유통로(11)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챔버(3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챔버(30)는 상기 상,하류측 몸체(10,20)의 사이에 내부로 상,하류측 챔버(30a)(30b)로 구분되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중앙몸체(40a)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중앙몸체(40a)는 상기 챔버(30)의 상부를 개폐하도로 구성된다.
상기 밸브시트(4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밸브시트(40)는 상기 유통로(11) 우측의 설치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하류측몸체(10)에 형성된 상기 유통로(10)의 우측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형 트림(50)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상,하류측 챔버(30a,30b)에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전후 이동하면서 상기 밸브시트(40)에 밀착 또는 이격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상,하류측챔버(30a,30b)에 연계되어 형성된 제1 내지 제4유로(60a 내지 60d)에 유체의 유입 및 배출작용으로 상기 실린더형 트림(50)이 상기 상,하류측챔버(30a,30b)에서 좌,우로전 이동되어서 상기 하류측몸체(20)의 상기 유통로(11)에 설치된 상기 밸브시트(40)에 밀착 또는 이격되어서, 상기 하류측몸체(20)의 상기 유통로(11)에 유체흐름을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유로(60a)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유로(60a)는 상기 중앙 몸체(40a)에는 상기 상류측 챔버(30a)에 연결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유로(60a)는 상기 유통로(11)와 연결되게 연통부(61)를 구비한 유체유입유도지지대(62)와, 상기 연통부(61)와 연결되게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유로(60a)는 상기 제2유로(60b)와 연통되게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유체유압유도지지대(62)에 형성된 상기 연통부(61)와 연결되게 상기 상류측 몸체(10)에 상기 제1유로(60a)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제1유로(60a)는 상기 유체유입유도지지대(62)에 형성된 상기 연통부(61)를 통해 유체를 유입하여 상기 제2유로(60b)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유체유입유도지지대(62)에 형성된 상기 연통부(61)는 상기 상류측몸체(10)의 상기 유통로(11)에 유입되는 유체를 보다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상기 제1유로(60a)로 공급하여 상기 제1유로(60a)와 연통된 상기 제2유로(60b)에도 유체가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유입되어서,
종래의 상기 제1유로(31)는 상기 상류측몸체(10)의 외측둘면에 형성되어 상기 유통로(2)와 연통되게 구성되어서, 상기 상류측몸체(10)에 수평으로 형성된 상기 유통로(2)에 수평으로 유체가 가압되면 이 유체는 수평으로 가압되면서, 상기 상류측몸체(10)의 상기 제1유로(31)에 제대로 유입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유체유입유도지지대(62)에 형성된 상기 연통부(61)는 상기 유체유입유도지지대(62)의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부가 외부와 연통되게 형성된 수직연결공(61a)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수직연결공(61a)의 타측에 수평으로 형성된 수평연결공(61b)이 외부와 연통되게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평연결공(61b)의 하부외측에는 확장부(a)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연통부(61)는 상기 상류측몸체(10)의 상기 유통로(11)에 유입되는 유체를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유입을 유도하여 상기 연통부(61)와 연결된 상기 제2유로(60b)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평연결공(61b)의 하부외측에는 확장부(a)가 형성되는 것은, 상기 확장부(a)를 통해서 상기 상류측몸체(10)의 상기 유통로(11)에 유입되는 유체를 안정적으로 수집하여 상기 수평연결공(61b)으로 공급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유로(60b)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2유로(60b)는 상기 상류측 몸체(10) 내부의 상기 유통로(11)에 연결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2유로(60b)는 상기 제1유로(60a)와 연통되게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3유로(60c)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3유로(60c)는 상기 하류측 챔버(30b)에 연결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3유로(60c)는 상기 제2유로(60b)와 연통되게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4유로(60d)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4유로(60d)는 상기 하류측 몸체(20) 내부의 상기 유통로(11) 중앙에 형성된 분기부(7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분기부(70)에 형성된 유체배출유도공(71)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유체배출유도공(71)에 하부가 결합되게 설치된 유체배출유도연결부(80)로 구성된다.
상기 유체배출유도연결부(80)는 내부에 유체가 관통될수 있는 관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유로(60d)는 상기 유체배출유도연결부(80)의 상부와 연결되게 상기 하류측몸체(20)에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4유로(60d)는 상기 제3유로(60c)와 연통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하류측몸체(20)의 상기 유통로(11)에 형성된 상기 분기부(70)에 상기 유체배출유도공(71)과, 상기 유체배출유도연결부(80)를 형성하는 것은,
상기 제4유로(60d)에 상기 유체배출유도연결부(80)가 연결되고 이 상기 유체배출유도연결부(80)에 상기 분기부(70)의 상기 유체배출유도공(71)에 연결하여 상기 제4유로(60d)에서 배출되는 유체가 상기 하류측몸체(20)의 상기 유통로(11)에서 배출되는 유체에 방해없이 보다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배출되게 한다.
또한, 상기 유체배출유도연결부(80)에 형성된 연결공(81)은 상기 제4유로(60d)와, 상기 수직연결공(71b)와 연통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상기 분기부(2a)의 외측둘레에는 상기 상류측몸체(10)의 상기 유통로(2)에서 상기 하류측몸체(20)의 상기 유통로(2)에 전달되는 높은기압 및 압력이 높은 유체가 지나가면서 상기 분기부(2a)의 외측둘레에 진공이 발생되어 이러한 진공이 상기 분기부(2a)의 외측둘레에 형성되면, 상기 분기부(2a)의 외측둘레에 형성된 상기 유통로(2)에도 진공이 발생하여서, 이 진공으로 인해 상기 분기부(2a)와 마주하여 형성된 상기 하류측몸체(20)에 형성된 상기 제4유로(34)에서 유체의 배출이 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유체배출유도공(71)은 상기 분기부(70)에 수평으로 형성된 수평결합공(71a)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결합공(71a)의 타측상부에 연결되게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결합공(71b)으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평결합공(71a)의 하부외측에는 확장부(a)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수평결합공(71a)의 하부외측에는 확장부(a)가 형성되는 것은, 상기 유체배출유도공(71)으로 유입되는 유체를 상기 수직결합공(71b)와 상기 수평결합공(71a)을 통해 보다 안정적으로 배출을 유도하여 신속하게 배출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중앙 몸체(40a)에는 상류측 챔버(30a)에 연결되는 제1유로(60a)와 상류측 몸체(10) 내부의 유통로에 연결되는 제2유로(60b)와 하류측 챔버(30b)에 연결되는 제3유로(60c) 및 하류측 몸체(20) 내부의 유통로에 연결되는제4유로(60d)를 형성하여 상기 제1,2,3,4유로(60a,60b,60c,60d)를 연결 제어하여 개폐 작동하는 방식이나, 상기 제1,3유로(60a,60c)에 유,공압을 공급하여 개폐 작동하는 방식을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1,2,3,4유로(60a,60b,60c,60d)의 연결 제어를 통상의 조작기(200)에 의해 행하되, 상기 조작기(200)의 구동원에 따라 솔레노이드 방식과 수동방식을 선택하게 되고, 상기 제1,3유로(60a)(60c)에 유,공압을 공급하여 작동하는 유,공압 방식을 선택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 방식과 수동방식은 상기 제1,2유로(60a,60b)와 제3,4유로(60c,60d)를 연결 폐쇄하고 상기 제2,3유로(60b,60c)와 제1,4유로(60a,60d)를 연결 개방하거나 상기 제2,3유로(60b,60c)와 제1,4유로(60a60d)를 연결 개방하고 상기 제2,1유로(60b,60a)와 제3,4유로(60c,60d)를 연결 폐쇄하여 상시 닫힘형 또는 상시 열림형 방식을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 방식과 수동방식은 상기 제1,2유로(60a,60b)와 제3,4유로(60c,60d)를 연결 폐쇄하고 상기 제2,3유로(60b,60c)와 제1,4유로(60a,60d)를 연결 개방하거나 상기 제2,3유로(60b,60c)와 제1,4유로(60a,60d)를 연결 개방하고 상기 제2,1유로(60b,60a)와 제3,4유로(60c,60d)를 연결폐쇄하여 상시 닫힘형 또는 상시 열림형 방식을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유,공압 방식은 상기 제1유로(60a)에 유,공압을 공급하여 폐쇄하고 상기 제3유로(60c)에 유,공압을 공급하여 개방하는 복동형, 상기 실린더형 트림(50)이 상류측 챔버에 설치된 제1스프링(90)에 의해 폐쇄 상태에서 상기 제3유로(60c)에 유,공압을 공급하여 개방하는 단동 상시 닫힘형이나, 상기 실린더형 트림(50)이 하류측 챔버에 설치된 상기 제1스프링(90a)에 의해 개방 상태에서 상기 제1유로에 유,공압을 공급하여 폐쇄하는 단동 상시 열림형 방식을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밸브 개폐 방식 전환은 조작기 교체나 조작기의 장착 방향 교체 등에 의해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는것이다.
그리고 상기 조작기는 도면에서와 같은 직선형 또는 회전형을 선택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상류측챔버(30a)의 우측면에 형성된 삽입공(b)에 삽입되고, 상기 실린더형 트림(50)의 좌측면에 설치된 제1스프링(90a)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스프링(90a)은 상기 상,하류측챔버(30a)의 내부에서 유체에 의해 좌,우로 이동되는 상기 실린더형 트림(50)의 좌측면과 상기 상류측챔버(30a)의 좌우측면에 설치되어서 상기 실린더형 트림(50)이 상기 밸브시트(40)에 밀착되기 위해서 좌측으로 이동시 상기 제1스프링(90a)은 팽창되었다가, 상기 실린더형 트림(50)이 상기 밸브시트(40)에 분리되기 위해서 우측으로 이동시 상기 제1스프링(90a)은 압축되었다가, 다시 상기 실린더형 트림(50)이 상기 밸브시트(40)에 밀착되기 위해서 좌측으로 이동시 상기 실린더형 트림(50)이 상기 밸브시트(40)에서 분리되기 위해서 우측으로 이동시 상기 제1스프링(90a)이 압축되었다 팽창되는 힘으로 상기 실린더형 트림(50)이 상기 밸브시트(40)에서 보다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밀착되게 하여 상기 실린더형 트림(50)으로 본 발명의 개폐밸브 상기 하류측몸체(20)의 상기 유통로(11)에 유체를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공급 및 차단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하류측챔버(30b)의 좌측면에 형성된 삽입공(a)에 삽입되고, 상기 실린더형 트림(50)의 우측면에 설치된 제2스프링(90b)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스프링(90b)은 상기 상,하류측챔버(30a)의 내부에서 유체에 의해 좌,우로 이동되는 상기 실린더형 트림(50)의 우측면과 상기 하류측챔버(30b)의 좌측면에 설치되어 에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형 트림(50)이 상기 밸브시트(40)에 밀착되기 위해서 우측으로 이동시 상기 제2스프링(90b)은 압축되었다가 상기 실린더형 트림(50)이 상기 밸브시트(40)에서 분리되기 위해서 좌측으로 이동시 상기 제2스프링(90b)이 수축되었다 팽창되는 힘으로 상기 실린더형 트림(50)이 상기 밸브시트(40)에서 보다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분리되게 하여 상기 실린더형 트림(50)으로 본 발명의 개폐밸브 상기 하류측몸체(20)의 상기 유통로(11)에 유체를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공급 및 차단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작용을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시 닫힘형 방식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상기 조작기(100)에 의해 상기 제1,2유로(60a,60b))와 상기 제3,4유로(60c,60d)를 연결시킨다.
그러면 상류측 몸체(10)의 내부 상기 유통로(11)로 유입되는 유체가 상기 유체유입유도지지대(62)의 상기 연통부(61)를 통해 상기 제1유로(60a)- 상기 조작기(200)- 상기 제2유로(60b)를 통해 상기 상류측 챔버(30a)로 공급되어 상기 실린더형 트림(50)을 우측 이동시켜 상기 실린더 트림(50)의 우단이 상기 밸브 시트(40)에 밀착하므로 밸브 폐쇄 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하류측 챔버(30b)의 유체는 상기 제3유로(60c)-상기 조작기(200)- 제4유로(60d)를 통해 전달되고 상기 제4유로(60d)에 전달되는 유체는 다시 상기 하류측 몸체(20)의 내부 상기 유통로(11)에 형성된 상기 분기부(70)에 형성된 상기 유체배출유도공(71)과 상기 유체배출유도연결부(80)로 배출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조작기(200)에 의해 상기 제2,3(60b,60c)유로와 상기 제1,4유로(60a,60d)를 연결시키면 상기 상류측 몸체(10)의 내부 상기 유통로(11) 유체가 상기 유체유입유도지지대(62)에 형성된 상기 연통부(61)를 통해 상기 제2유로(60b)- 상기 조작기(200)- 상기 제3유로(60c)를 통해 상기 하류측 챔버(30b)로 공급되어 상기 실린더형 트림(50)을 좌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실린더 트림(50)의 우단이 상기 밸브 시트(40)에 이격되므로 밸브 개방 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상류측 챔버(30a)의 유체는 상기 제1유로(60a)- 조작기(200)- 상기 제4유로(60d))를 통해 하류측 몸체(20)의 내부 상기 유통로(11)에 형성된 상기 분기부(70)에 형성된 상기 유체배출유도공(71)과 상기 유체배출유도연결부(80)로 배출된다.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시 열림형 방식은 상시 닫힘형 방식과 역으로 조작기(200)에 의해 상기 제2,3유로(60b,60c)와 상기 제1,4유로(60a,60d)를 연결하여 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1,2유로(60a,60b)와 제3,4유로(60c,60d)를 연결하여 밸브를 폐쇄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상류측 몸체 11: 유통로
20: 하류측 몸체 30: 챔버
30a: 상류측챔버 30b: 하류측챔버
40: 밸브시트 50: 실린더형 트림
60a: 제1유로 60b: 제2유로
60c: 제3유로 60d: 제4유로
61: 연통부 61a: 수직연결공
61b: 수평연결공 62; 유체유입유도지지대
70: 분기부 71: 유체배출유도공
71a: 수평결합공 71b: 수직결합공
80: 유체배출유도연결부 90a: 제1스프링
90b: 제2스프링 a: 확장부
b: 삽입공

Claims (7)

  1.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에 있어서,
    내부에 유통로(11)를 관통 형성하는 상,하류측 몸체(10,20)와; 상기 상,하류측 몸체(10,20)의 사이에 내부로 상,하류측 챔버(30a,30b)로 구분되어 형성된 챔버(30)와;
    상기 챔버(30)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중앙 몸체(40a)와; 상기 유통로(11) 우측의 설치된 밸브시트(40)와; 상기 상,하류측 챔버(30a,30b)에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전후 이동하면서 상기 밸브시트(40)에 밀착 또는 이격 작동하는 실린더형 트림(50)과; 상기 중앙 몸체(40a)에는 상기 상류측 챔버(30a)에 연결게 형성되고, 상기 상류측 몸체(10) 내부의 상기 유통로(11) 내부 중앙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유통로(11)와 연결되게 연통부(61)를 구비한 유체유입유도지지대(62)와, 상기 연통부(61)와 연결되게 형성된 제1유로(60a)와;
    상기 상류측몸체(10) 내부의 상기 유통로(11)에 연결형성된 제2유로(60b)와;상기 하류측 챔버(30b)에 연결되는 제3유로(60c)와; 상기 하류측 몸체(20) 내부의 상기 유통로(11) 중앙에 형성된 분기부(70)와, 상기 분기부(70)에 형성된 유체배출유도공(71)과, 상기 유체배출유도공(71)에 하부가 결합되게 설치된 유체배출유도연결부(80)와, 상기 유체배출유도연결부(80)의 상부와 연결되게 상기 하류측몸체(20)에 형성되고 상기 제3유로와 연통된 제4유로(60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4유로(60a,60b,60c,60d)를 연결 제어하여 개폐 작동하는 방식이나, 상기 제1,3유로(60a,60c)에 유,공압을 공급하여 개폐 작동하는 방식을 선택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유입유도지지대(62)에 형성된 상기 연통부(61)는 상기 유체유입유도지지대(62)의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부가 외부와 연통되게 형성된 수직연결공(61a)과, 상기 수직연결공(61a)의 타측에 수평으로 형성된 수평연결공(61b)이 외부연통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연결공(61b)의 하부외측에 확장부(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배출유도공(71)은 상기 분기부(70)에 수평으로 형성된 수평결합공(71a)과, 상기 수평결합공(71a)의 타측상부에 연결되게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결합공(71b)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결합공(71a)의 하부외측에는 확장부(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측챔버(30a)의 우측면에 형성된 삽입공(b)에 삽입되고, 상기 실린더형 트림(50)의 좌측면에 설치된 제1스프링(90a)이 구비되거나, 상기 하류측챔버(30b)의 좌측면에 형성된 삽입공(a)에 삽입되고, 상기 실린더형 트림(50)의 우측면에 설치된 제2스프링(90b)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
KR1020180099336A 2018-08-24 2018-08-24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 KR101922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9336A KR101922647B1 (ko) 2018-08-24 2018-08-24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9336A KR101922647B1 (ko) 2018-08-24 2018-08-24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2647B1 true KR101922647B1 (ko) 2019-02-20

Family

ID=65561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9336A KR101922647B1 (ko) 2018-08-24 2018-08-24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264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7268A (ja) * 1991-09-30 1993-04-06 Hokoku Kogyo Co Ltd 管水路用制水装置
KR100283593B1 (ko) * 1999-01-30 2001-02-15 전덕조 유체이송용 개폐 밸브장치
KR100481410B1 (ko) * 2005-01-28 2005-04-07 주식회사 바램 긴급 차단용 제어밸브 시스템
KR101223101B1 (ko) 2012-05-09 2013-01-17 도영기 방식 전환 가능형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
KR20140036590A (ko) * 2012-09-17 2014-03-26 주식회사 케이 디 텍 방식 전환 가능형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7268A (ja) * 1991-09-30 1993-04-06 Hokoku Kogyo Co Ltd 管水路用制水装置
KR100283593B1 (ko) * 1999-01-30 2001-02-15 전덕조 유체이송용 개폐 밸브장치
KR100481410B1 (ko) * 2005-01-28 2005-04-07 주식회사 바램 긴급 차단용 제어밸브 시스템
KR101223101B1 (ko) 2012-05-09 2013-01-17 도영기 방식 전환 가능형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
KR20140036590A (ko) * 2012-09-17 2014-03-26 주식회사 케이 디 텍 방식 전환 가능형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51350B2 (en) Valve device for a control cylinder
TWI412677B (zh) 先導式提動閥
US6167901B1 (en) Pilot 3-port transfer valve
US8381777B2 (en) Filling valve having a liquid chamber, a gas chamber and a medium chamber, and filling machine comprising the same
US8991427B2 (en) 3-way high-pressure air operated valve
KR20160001608A (ko) 3방향 전자 밸브
US6237634B1 (en) Manually operated supply and exhaust changeover valve for fluid Pressure apparatus
US20110265544A1 (en) Hydraulic cylinder for a hydraulic drawing cushion
IT9067954A1 (it) Elettrovalvola a tre vie ad alta velocita' per un fluido in pressione, ad esempio per circuiti di aria compressa
US9096011B2 (en) Blow molding valve for a blow molding valve block
KR101922647B1 (ko)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
KR20210115851A (ko) 솔레노이드 밸브
EP0898103A2 (en) Three-port solenoid valve using valve body for five-port solenoid valve
US6009896A (en) Shut-off valve
KR101644940B1 (ko) 개폐 밸브
CA2624265A1 (en) Hydraulic control apparatus
RU2769896C9 (ru) Гидро(пневмо)цилиндр
US7726341B2 (en) Multi-way valve
US11680648B2 (en) Device for regulating the flow of a fluid
KR20210044215A (ko) 적어도 2개의 챔버와 적어도 하나의 이송 밸브를 갖는 배열체
KR101922331B1 (ko) 고압 서보밸브를 이용한 고압 볼륨부스터
US20100090143A1 (en) Dual locking valve
EP2610535B1 (en) Pilot-operated valve and fluid control unit comprising said valve
KR101609063B1 (ko) 다이나믹실이 구비된 밸브 및 그 밸브의 스트로크 측정방법
KR102097897B1 (ko) 압력상쇄형 케이지를 갖는 고차압 조절밸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