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3101B1 - 방식 전환 가능형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 - Google Patents

방식 전환 가능형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3101B1
KR101223101B1 KR1020120049003A KR20120049003A KR101223101B1 KR 101223101 B1 KR101223101 B1 KR 101223101B1 KR 1020120049003 A KR1020120049003 A KR 1020120049003A KR 20120049003 A KR20120049003 A KR 20120049003A KR 101223101 B1 KR101223101 B1 KR 101223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stem
flow path
opening
downst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9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영기
조승엽
Original Assignee
도영기
주식회사 케이 디 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영기, 주식회사 케이 디 텍 filed Critical 도영기
Priority to KR1020120049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31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3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3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2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sealing faces shaped as surfaces of solids of revolution
    • F16K3/24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sealing faces shaped as surfaces of solids of revolution with cylindrical valve members
    • F16K3/26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sealing faces shaped as surfaces of solids of revolution with cylindrical valve members with fluid passages in the valv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30Details
    • F16K3/314Forms or constructions of slides; Attachment of the slide to the spi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3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08Mechanic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2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preventing water-hammer or noise
    • F16K47/023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preventing water-hammer or noise for preventing water-hammer, e.g. damping of the valve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식 전환 가능형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내부에 유통로(2)를 관통 형성하는 상,하류측 몸체(10)(20)와 상기 상,하류측 몸체 사이에 내부로 챔버(3)를 형성하는 중앙 몸체(30)를 상호 결합 구성하고, 상기 유통로 일측의 밸브시트(40)와 상기 챔버의 상,하류측 챔버(3a)(3b)에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전후 이동하면서 밸브시트에 밀착 또는 이격 작동하는 실린더형 트림(50)에 의해 밸브를 개폐 작동하되; 상기 중앙 몸체(30)에 상류측 챔버(3a)에 연결되는 제1유로(31)와 상류측 몸체(10) 내부의 유통로에 연결되는 제2유로(32)와 하류측 챔버(3b)에 연결되는 제3유로(33) 및 하류측 몸체(20) 내부의 유통로에 연결되는 제4유로(34)를 형성하여 상기 제1,2,3,4유로를 조작기에 의해 연결 제어하는 것에 의해 별도의 부가 장치나 구조 변경 없이 솔레노이드 밸브, 수동밸브나 유,공압 밸브 등 복수 구동 방식을 선택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 솔레노이드 밸브의 상시 열림형이나 상시 닫힘형, 유,공압 밸브의 복동형, 단동 개방형 또는 단독 폐쇄형 등을 선택 적용할 수 있어 사용 편리성 및 경제성이 우수하고, 설계 변경이나 형식 변경 등에 쉽게 대처할 수 있어 생산, 유통 및 설치 전단계에서 관리의 유연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방식 전환 가능형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Multi-Operation Mode Valve for Fluid Transportation}
본 발명은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하나의 밸브에 의해 별도의 부가 장치나 구조 변경 없이 솔레노이드 밸브, 수동밸브나 유,공압 밸브 등 복수 구동 방식을 선택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 솔레노이드 밸브의 상시 열림형이나 상시 닫힘형, 유,공압 밸브의 복동형, 단동 개방형 또는 단독 폐쇄형 등을 선택 적용할 수 있어 사용 편리성 및 경제성이 우수하고, 설계 변경이나 형식 변경 등에 쉽게 대처할 수 있어 생산, 유통 및 설치 전단계에서 관리의 유연성이 우수한 방식 전환 가능형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 등이 이송되는 배관에는 유체의 이송 흐름을 제어하는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가 설치 사용된다.
이와 같은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는 다양한 방식이 사용된다.
예를 들면 솔레노이드 밸브, 수동밸브나 유,공압 밸브 밸브와 같이 구동 방식이나 구동원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고, 이와 같은 다양한 방식의 개폐 밸브는 각 방식마다 밸브 구조를 상이하게 구성하고 있었다.
또한, 상기 솔레이드 방식이나 수동밸브 방식에서 밸브가 상시 닫힘 상태에서 밸브를 개방 작동 제어하는 상시 닫힘형, 밸브가 상시 열림 상태에서 밸브를 폐쇄 작동하는 상기 열림형 등과 같이 밸브의 형태에 따라서도 밸브 구조를 상이하게 구성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가 구동방식, 구동원, 구동 형태 등에 따라 상이한 구조로 다양하게 분류되어 있기 때문에 개폐 밸브를 모든 형식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한계를 갖고 있었다.
즉, 설계 단계에서 부터 설치, 시공 단계까지 구체적으로 개폐 밸브의 방식과 형태를 채택하여 설계, 설치 및 시공하여야 하고, 설계 변경 등에 의해 개폐 밸브의 방식이 바뀌는 경우에 전혀 새로운 밸브로 교체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의 불편함은 물론 비 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설계 변경, 형식 변경 등에 쉽게 대처할 수 없어 생산, 유통 및 설치 전단계에서 관리의 유연성을 갖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밸브와 유사한 형태의 종래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는 실린더형 트림의 전단이 유통로에 노출된 구조로 전후 이동하면서 밸브 시트에 밀착 또는 이격되어 밸브를 개폐 작동하기 때문에 실린더형 트림이 유체 압력에 의해 개폐 작동을 위한 에너지 손실이 크고, 점착성 유체나 고형물이 포함된 유체의 경우 실린더형 트림의 전단에 끼임 문제로 개폐 작동을 원활히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특히 솔레노이드 밸브)의 경우에 밸브의 개폐 작동 여부를 전기적 작동 확인 이외에 기계적 작동 확인이 곤란하여 작동 신뢰성이 불안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하나의 밸브에 의해 별도의 부가 장치나 구조 변경 없이 솔레노이드 밸브, 수동밸브나 유,공압 밸브 등 복수 구동 방식을 선택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 솔레노이드 밸브의 상시 열림형이나 상시 닫힘형, 유,공압 밸브의 복동형, 단동 개방형 또는 단독 폐쇄형 등을 선택 적용할 수 있어 사용 편리성 및 경제성이 우수하고, 설계 변경이나 형식 변경 등에 쉽게 대처할 수 있어 생산, 유통 및 설치 전단계에서 관리의 유연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밸브의 실린더형 트림 전단이 유통로에 돌출되지 않는 비 노출형 구조를 채택하므로 유체 압력의 영향이 적어 종래 보다 개폐 작동을 위한 에너지 손실이 적고, 점착성 유체나 고형물이 포함된 유체의 경우 실린더형 트림 전단에 끼임 문제가 방지되어 개폐 작동을 원활히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밸브의 개폐 작동시 실린더형 트림의 전후 이동에 연동 작동하는 밸브 스템을 설치하여 밸브의 개폐 여부를 전기적 확인 이외에 기계적 확인이 가능하므로 작동 신뢰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밸브의 개폐 작동시 실린더형 트림의 전후 이동에 따른 밸브의 개폐 속도를 제어하므로 수충격 현상을 최소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내부에 유통로를 관통 형성하는 상,하류측 몸체와 상기 상,하류측 몸체 사이에 내부로 챔버를 형성하는 중앙 몸체를 상호 결합 구성하고, 상기 유통로 일측의 밸브시트와 상기 챔버의 상,하류측 챔버에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전후 이동하면서 밸브시트에 밀착 또는 이격 작동하는 실린더형 트림에 의해 밸브를 개폐 작동하되;
상기 중앙 몸체에는 상류측 챔버에 연결되는 제1유로와 상류측 몸체 내부의 유통로에 연결되는 제2유로와 하류측 챔버에 연결되는 제3유로 및 하류측 몸체 내부의 유통로에 연결되는 제4유로를 형성하여 상기 제1,2,3,4 유로를 연결 제어하여 개폐 작동하는 방식이나 상기 제1,3유로에 유,공압을 공급하여 개폐 작동하는 방식을 선택하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 상기 제2,4 유로에는 제2,4유로의 개폐 또는 개방 정도 조절할 수 있는 속도 조절밸브를 더 설치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 상기 실린더형 트림은 상,하류측 몸체의 내부 유통로 외측에 형성되는 챔버 내부에 수평 설치되고, 상기 밸브 시트는 하류측 몸체의 내부 유통로 일측에 내부 유통로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만곡 확장부 위치에서 내부 유통로 보다 큰 직경으로 설치하여 상기 실린더형 트림의 전단이 내부 유통로에 비 돌출 상태에서 트림 후단이 만곡 확장부로 수평 출몰하면서 밸브 시트에 밀착 또는 이격 작동하여 밸브를 개폐하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 상기 중앙 몸체는 일측에 밸브 개폐 정도를 기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밸브 스템을 더 구성하되, 상기 밸브 스템은 실린더형 트림에 수평 연결되는 스템 연결봉과 상기 스템 연결봉에 연결되어 실린더형 트림의 전후 이동에 따라 전후 이동하는 스템 구동자 및 상기 스템 구동자의 전후 이동에 따라 연동 회전작동하는 스템으로 구성하여 상기 스템 구동자의 장공에 스템 단부에 편심 설치된 안내핀이 삽입 안내되어 스템 구동자의 전후 이동에 따라 스템이 연동 회전작동하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하나의 밸브에서 제1,2,3,4유로를 형성하여 이를 조작기에 의해 연결 제어하는 것에 의해 의해 별도의 부가 장치나 구조 변경 없이 솔레노이드 밸브, 수동밸브나 유,공압 밸브 등 복수 구동 방식을 선택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 솔레노이드 밸브의 상시 열림형이나 상시 닫힘형, 유,공압 밸브의 복동형, 단동 개방형 또는 단독 폐쇄형 등을 선택 적용할 수 있어 사용 편리성 및 경제성이 우수하고, 설계 변경이나 형식 변경 등에 쉽게 대처할 수 있어 생산, 유통 및 설치 전단계에서 관리의 유연성이 우수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그 밖에 밸브의 실린더형 트림 전단이 내부 유통로에 돌출되지 않는 비 노출형 구조를 채택하므로 유체 압력의 영향이 적어 종래 보다 개폐 작동을 위한 에너지 손실이 적고, 점착성 유체나 고형물이 포함된 유체의 경우 실린더형 트림의 전단에 끼임 문제가 방지되어 개폐 작동을 원활히 제공하고, 밸브의 개폐 작동시 실린더형 트림의 전후 이동에 연동 작동하는 밸브 스템을 설치하여 밸브의 개폐 여부를 전기적 확인 이외에 기계적 확인이 가능하므로 작동 신뢰성을 우수하며, 밸브의 개폐 작동시 실린더형 트림의 전후 이동에 따른 밸브의 개폐 속도를 제어하므로 수충격 현상을 최소화하는 등의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밸브의 폐쇄 상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요부 분해 단면도.
도 4는 도 2의 개방 상태 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밸브 스템의 다양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요부 평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밸브의 개폐 상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밸브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밸브의 단면도.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 방식 전환 가능형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는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유통로(2)를 관통 형성하는 상,하류측 몸체(10)(20)와 상기 상,하류측 몸체 사이에 내부로 챔버(3)를 형성하는 중앙 몸체(30)를 상호 결합 구성하고,
상기 유통로 일측의 밸브시트(40)와 상기 챔버의 상,하류측 챔버(3a)(3b)에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전후 이동하면서 밸브시트에 밀착 또는 이격 작동하는 실린더형 트림(50)에 의해 밸브를 개폐 작동하도록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중앙 몸체(30)에는 상류측 챔버(3a)에 연결되는 제1유로(31)와 상류측 몸체(10) 내부의 유통로에 연결되는 제2유로(32)와 하류측 챔버(3b)에 연결되는 제3유로(33) 및 하류측 몸체(20) 내부의 유통로에 연결되는 제4유로(34)를 형성하여 상기 제1,2,3,4 유로를 연결 제어하여 개폐 작동하는 방식이나 상기 제1,3유로에 유,공압을 공급하여 개폐 작동하는 방식을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1,2,3,4유로(31)(32)(33)(34)의 연결 제어를 통상의 조작기(100)에 의해 행하되, 상기 조작기의 구동원에 따라 솔레노이드 방식과 수동방식을 선택하게 되고, 상기 제1,3유로(31)(33)에 유,공압을 공급하여 작동하는 유,공압 방식을 선택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 방식과 수동방식은 상기 제1,2유로와 제3,4유로를 연결 폐쇄하고 상기 제2,3유로와 제1,4유로를 연결 개방하거나 상기 제2,3유로와 제1,4유로를 연결 개방하고 상기 제2,1유로와 제3,4유로를 연결 폐쇄하여 상시 닫힘형 또는 상시 열림형 방식을 선택하도록 구성된다(도 2 내지 도 4 참조).
그리고 상기 유,공압 방식은 제1유로에 유,공압을 공급하여 폐쇄하고 제3유로에 유,공압을 공급하여 개방하는 복동형, 상기 실린더형 트림(50)이 상류측 챔버에 설치된 탄발스프링(90)에 의해 폐쇄 상태에서 제3유로에 유,공압을 공급하여 개방하는 단동 상시 닫힘형이나, 상기 실린더형 트림(50)이 하류측 챔버에 설치된 탄발스프링(90)에 의해 개방 상태에서 제1유로에 유,공압을 공급하여 폐쇄하는 단동 상시 열림형 방식을 선택하도록 구성된다(도 8 내지 도 11 참조).
상기 밸브 개폐 방식 전환은 조작기 교체나 조작기의 장착 방향 교체 등에 의해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조작기는 도면에서와 같은 직선형 또는 회전형을 선택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 밖에 본 발명은 상기 제2,4 유로(32)(34)에 제2,4유로의 개폐 또는 개방 정도 조절할 수 있는 속도 조절밸브(60)(60)가 더 설치 구성된다.
상기 속도 조절밸브는 제1,2,3,4유로 또는 제1,3유로를 사용하기 위한 방식 전환시 또는 상기 제2,4 유로를 통과 공급되는 유량을 조절하여 설린더형 트림(50)의 이동 속도 조절에 의해 밸브의 개폐 속도 조절시 사용하는데, 상기 제2,4유로가 많이 개방될수록 밸브 개폐 속도가 빨라지고 적게 개방될수록 밸브 개폐 속도가 늦어진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형 트림(50)은 상,하류측 몸체의 내부 유통로(2) 외측에 형성되는 챔버(3) 내부에 수평 설치되고,
상기 밸브 시트(40)는 하류측 몸체(20)의 내부 유통로(2) 일측에 내부 유통로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만곡 확장부(25) 위치에서 내부 유통로(2) 보다 큰 직경으로 설치하여 상기 실린더형 트림(50)의 전단이 만곡 확장부에 비 돌출 상태에서 트림 후단이 수평 출몰하면서 밸브 시트에 밀착 또는 이격 작동하여 밸브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상기 실린더형 트림(50)의 전단이 유체가 이송되는 내부 유통로(2)에 비 돌출된 비 노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종래 보다 전후 이동 작동을 위한 에너지 손실이 절감되고, 점착성 유체나 고형물이 포함된 유체의 경우 실린더형 트림의 전단에 끼임 문제가 방지되어 개폐 작동을 원활히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중앙 몸체(30)는 일측에 밸브 개폐 정도를 기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밸브 스템(70)을 더 구성하는데, 이는 도 5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실린더형 트림(50)에 수평 연결되는 스템 연결봉(71)과 상기 스템 연결봉에 연결되어 실린더형 트림의 전후 이동에 따라 전후 이동하는 스템 구동자(72) 및 상기 스템 구동자의 전후 이동에 따라 연동 회전작동하는 스템(73)으로 구성하되, 상기 스템 구동자(72)와 스템(73)은 기어부(72a)(73a)에 의해 치합하여 연동 작동하도록 구성하거나, 상기 스템 구동자(72)와 스템(73)에 안내핀(74)과 상기 안내핀이 안내되는 장공(75)을 대향 형성하여 연동 작동하도록 구성한다.
이는 상기 실린더형 트림(50)이 밸브 시트에 밀착 또는 이격되게 이동하면서 밸브를 개폐 작동하는 밸브의 개폐 상태를 밸브 스템에 의해 기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작동 신뢰성을 높이도록 한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7의 솔레노이드 방식 또는 수동 방식은 밸브의 제1,2,3,4유로(31)(32)(33)(34)를 통상의 조작기(100)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2유로와 제3,4유로를 연결 폐쇄하고 상기 제2,3유로와 제1,4유로를 연결 개방하는 상시 닫힘형 방식 또는 상기 제2,3유로와 제1,4유로를 연결 개방하고 상기 제1,2유로와 제3,4유로를 연결 폐쇄하는 상시 열림형 방식을 선택하게 된다.
상기 상시 닫힘형 방식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조작기(100)에 의해 상기 제1,2유로(31)(32)와 제3,4유로(33)(34)를 연결시킨다.
그러면 상류측 몸체(10)의 내부 유통로(2) 유체가 제2유로(32)- 조작기(100)- 제1유로(31)를 통해 상류측 챔버(3a)로 공급되어 실린더형 트림(50)을 후진 이동시켜 실린더 트림 후단이 밸브 시트(40)에 밀착하므로 밸브 폐쇄 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하류측 챔버(3b)의 유체는 제3유로(33)-조작기(100)- 제4유로(34)를 통해 하류측 몸체(20)의 내부 유통로(2)로 배출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조작기(100)에 의해 상기 제2,3(32)(33)유로와 제1,4유로(31)(34)를 연결시키면 상류측 몸체(10)의 내부 유통로(2) 유체가 제2유로(32)- 조작기(100)- 제3유로(33)를 통해 하류측 챔버(3b)로 공급되어 실린더형 트림(50)을 후퇴 이동시켜 실린더 트림 후단이 밸브 시트(40)에 이격되므로 밸브 개방 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상류측 챔버(3a)의 유체는 제1유로(31)- 조작기(100)- 제4유로(34)를 통해 하류측 몸체(20)의 내부 유통로(2)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시 열림형 방식은 상시 닫힘형 방식과 역으로 조작기(100)에 의해 제2,3유로와 제1,4유로를 연결하여 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1,2유로와 제3,4유로를 연결하여 밸브를 폐쇄하는 것이다.
그 밖에 본 발명은 상기 제2,4유로(32)(34)에 설치된 속도 조절밸브(60)(60)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상,하류측 챔버(3a)(3b)로 공급되는 유체의 속도를 제어하므로 실린더형 트림(50)의 전후 이동 속도를 조절하여 밸브의 개폐 속도를 신속하게 또는 느리게 작동하도록 선택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실린더형 트림(50)의 전단이 챔버(3) 내부에 수평 설치되어 내부 유통로(2)에 비 돌출된 상태에서 하류측 몸체의 내부 유통로(2) 보다 큰 직경의 만곡 확장부(25)에 실린더형 트림의 후단이 수평 출몰하면서 밸브 시트에 밀착 또는 이격 작동하여 밸브를 개폐 작동하기 때문에 종래 보다 전후 이동 작동을 위한 에너지 손실이 절감되고, 점착성 유체나 고형물이 포함된 유체의 경우 실린더형 트림의 전단에 끼임 문제가 방지되어 개폐 작동을 원활히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린더형 트림(50)의 전후 이동에 의한 밸브의 개폐 상태를 밸브 스템(70)에 의해 기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실린더형 트림(50)의 전후 이동에 따라 실린더형 트림(50)에 수평 연결된 스템 연결봉(71)과 상기 스템 연결봉에 연결된 스템구동자(72)가 전후 이동하게 되고, 상기 스템구동자의 전후 이동에 따라 상기 스템구동자와 기어부(72a)(73a)로 기어 치합되거나 안내핀(74) 및 장공(75)으로 대향 형성된 스템(73)을 정,역 회전시키므로 상기 스템의 회전 위치에 따라 실린더형 트림(50)에 의한 밸브의 개폐 정도를 기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 도 8 내지 도 11의 유,공압 방식은 밸브의 제2,4유로(32)(34)를 속도 조절밸브(60)(60)에 의해 폐쇄하고, 제1,3유로(31)(33)를 통상의 조작기(100)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유로에 유,공압을 공급하여 폐쇄하고 제3유로에 유,공압을 공급하여 개방하는 복동형(도 8 및 도 9 참조)이나, 상기 실린더형 트림(50)이 상류측 챔버에 설치된 탄발스프링(90)에 의해 폐쇄 상태에서 제3유로에 유,공압을 공급하여 개방하는 단동 상시 닫힘형(도 10 참조) 또는 상기 실린더형 트림(50)이 하류측 챔버에 설치된 탄발스프링(90)에 의해 개방 상태에서 제1유로에 유,공압을 공급하여 폐쇄하는 단동 상시 열림형(도 11 참조)을 선택하게 된다.
상기 복동형 방식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조작기(100)에 의해 상기 제1,3유로(31)(32)를 연결시킨다.
이 상태에서 유공압을 제1유로(31)를 통해 상류측 챔버(3a)로 공급하면 실린더형 트림(50)이 후진 이동하여 실린더형 트림 후단이 밸브 시트(40)에 밀착하므로 밸브를 폐쇄하게 된다.
그리고 조작기(100) 조작에 의해 유공압을 제3유로(33)를 통해 하류측 챔버(3b)로 공급하면 실린더 트림(50)이 후퇴 이동하여 실린더형 트림 후단이 밸브 시트(40)에서 이격되므로 밸브를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단동 상시 닫힘형은 실린더형 트림(50)이 상류측 챔버에 설치된 탄발스프링(90)에 의해 폐쇄 상태에서 유공압을 제3유로(33)를 통해 하류측 챔버(3b)로 공급하면 실린더 트림(50)이 탄발 후퇴 이동하여 밸브를 개방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 단동 상시 열림형은 실린더형 트림(50)이 하류측 챔버에 설치된 탄발스프링(90)에 의해 개방 상태에서 유공압을 제1유로(31)를 통해 상류측 챔버(3a)로 공급하면 실린더 트림(50)이 탄발 후진 이동하여 밸브를 폐쇄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의 밸브에 의해 별도의 부가 장치나 구조 변경 없이 솔레노이드 밸브, 수동밸브나 유,공압 밸브 등 복수 구동 방식을 선택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 솔레노이드 밸브의 상시 열림형이나 상시 닫힘형, 유,공압 밸브의 복동형, 상시 단동 개방형 또는 상시 단독 폐쇄형 등을 선택 적용할 수 있어 사용 편리성 및 경제성이 우수하고, 설계 변경이나 형식 변경 등에 쉽게 대처할 수 있어 생산, 유통 및 설치 전단계에서 관리의 유연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 것이다.
2: 유통로 10: 상류측 몸체
20: 하류측 몸체 3: 챔버
3a: 상류측 챔버 3b: 하류측 챔버
30: 중앙 몸체 40: 밸브 시트
50: 실린더형 트림 31,32,33,34: 제1,2,3,4유로
100: 조작기 60: 속도 조절밸브
25: 만곡 확장부 70: 밸브 스템
71: 스템 연결봉 72: 스템 구동자
73: 스템 72a,72b: 기어부
74: 안내핀 75: 장공

Claims (6)

  1. 내부에 유통로(2)를 관통 형성하는 상,하류측 몸체(10)(20)와 상기 상,하류측 몸체 사이에 내부로 챔버(3)를 형성하는 중앙 몸체(30)를 상호 결합 구성하고,
    상기 유통로 일측의 밸브시트(40)와 상기 챔버의 상,하류측 챔버(3a)(3b)에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전후 이동하면서 밸브시트에 밀착 또는 이격 작동하는 실린더형 트림(50)에 의해 밸브를 개폐 작동하는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에 있어서,
    상기 중앙 몸체(30)에는 상류측 챔버(3a)에 연결되는 제1유로(31)와 상류측 몸체(10) 내부의 유통로에 연결되는 제2유로(32)와 하류측 챔버(3b)에 연결되는 제3유로(33) 및 하류측 몸체(20) 내부의 유통로에 연결되는 제4유로(34)를 형성하여 상기 제1,2,3,4 유로를 연결 제어하여 개폐 작동하는 방식이나 상기 제1,3유로에 유,공압을 공급하여 개폐 작동하는 방식을 선택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식 전환 가능형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4 유로(32)(34)에는 제2,4유로의 개폐 또는 개방 정도 조절할 수 있는 속도 조절밸브(60)(60)를 더 설치 구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식 전환 가능형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형 트림(50)은 상,하류측 몸체의 내부 유통로(2) 외측에 형성되는 챔버(3) 내부에 수평 설치되고,
    상기 밸브 시트(40)는 하류측 몸체(20)의 내부 유통로(2) 일측에 내부 유통로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만곡 확장부(25) 위치에서 내부 유통로(2) 보다 큰 직경으로 설치하여 상기 실린더형 트림(50)의 전단이 내부 유통로에 비 돌출된 상태에서 트림의 후단이 만곡 확장부에 수평 출몰하면서 밸브 시트에 밀착 또는 이격 작동하여 밸브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식 전환 가능형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몸체(30)는 일측에 밸브 개폐 정도를 기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밸브 스템(70)을 더 구성하되, 상기 밸브 스템은 실린더형 트림(50)에 수평 연결되는 스템 연결봉(71)과 상기 스템 연결봉에 연결되어 실린더형 트림의 전후 이동에 따라 전후 이동하는 스템 구동자(72) 및 상기 스템 구동자의 전후 이동에 따라 연동 회전작동하는 스템(73)으로 구성하고 상기 스템 구동자(72)와 스템(73)가 기어부(72a)(73a)에 의해 치합하여 연동 작동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식 전환 가능형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몸체(30)는 일측에 밸브 개폐 정도를 기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밸브 스템(70)을 더 구성하되, 상기 밸브 스템(70)은 실린더형 트림(50)에 수평 연결되는 스템 연결봉(71)과 상기 스템 연결봉에 연결되어 실린더형 트림의 전후 이동에 따라 전후 이동하는 스템 구동자(72) 및 상기 스템 구동자의 전후 이동에 따라 연동 회전작동하는 스템(73)으로 구성하여 상기 스템 구동자의 장공(75)에 스템 단부에 편심 설치된 안내핀(74)이 삽입 안내되어 스템 구동자의 전후 이동에 따라 스템이 연동 회전작동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식 전환 가능형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4유로(31)(32)(33)(34)는 상기 제1,2유로와 제3,4유로를 연결 제어하여 폐쇄작동하고 제2,3유로와 제1,4유로를 연결 제어하여 개방 작동하거나, 상기 제2,3유로와 제1,4유로를 연결 제어하여 개방작동하고 제2,1유로와 제3,4유로를 연결 제어하여 폐쇄작동하거나, 상기 제1유로에 유,공압을 공급하여 폐쇄작동하고 제3유로에 유,공압을 공급하여 개방작동하거나, 상기 실린더형 트림(50)이 상류측 챔버에 설치된 탄발스프링(90)에 의해 폐쇄 상태에서 제3유로에 유,공압을 공급하여 개방작동하거나, 상기 실린더형 트림(50)이 하류측 챔버에 설치된 탄발스프링(90)에 의해 개방 상태에서 제1유로에 유,공압을 공급하여 폐쇄작동하는 방식 중에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개폐 작동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식 전환 가능형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
KR1020120049003A 2012-05-09 2012-05-09 방식 전환 가능형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 KR101223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003A KR101223101B1 (ko) 2012-05-09 2012-05-09 방식 전환 가능형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003A KR101223101B1 (ko) 2012-05-09 2012-05-09 방식 전환 가능형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3101B1 true KR101223101B1 (ko) 2013-01-17

Family

ID=47842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9003A KR101223101B1 (ko) 2012-05-09 2012-05-09 방식 전환 가능형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310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2647B1 (ko) 2018-08-24 2019-02-20 (주) 유니플로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
KR20200023011A (ko) 2018-08-24 2020-03-04 (주) 유니플로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에 구비된 밸브개폐표시장치
KR20200038039A (ko) * 2018-10-02 2020-04-10 계병철 정밀 유체제어 축방향 밸브
KR20230126207A (ko) * 2022-02-22 2023-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초순수 제조 설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83A (ja) * 1992-06-18 1994-01-11 Asahi Organic Chem Ind Co Ltd 空気圧作動バルブ
JPH06174142A (ja) * 1992-12-14 1994-06-24 Tokimec Inc カートリッジ型絞り弁
JPH1113930A (ja) 1997-06-23 1999-01-22 Kubota Corp ホロージェットバルブ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83A (ja) * 1992-06-18 1994-01-11 Asahi Organic Chem Ind Co Ltd 空気圧作動バルブ
JPH06174142A (ja) * 1992-12-14 1994-06-24 Tokimec Inc カートリッジ型絞り弁
JPH1113930A (ja) 1997-06-23 1999-01-22 Kubota Corp ホロージェットバルブ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2647B1 (ko) 2018-08-24 2019-02-20 (주) 유니플로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
KR20200023011A (ko) 2018-08-24 2020-03-04 (주) 유니플로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에 구비된 밸브개폐표시장치
KR102126892B1 (ko) 2018-08-24 2020-06-25 (주) 유니플로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에 구비된 밸브개폐표시장치
KR20200038039A (ko) * 2018-10-02 2020-04-10 계병철 정밀 유체제어 축방향 밸브
KR102123025B1 (ko) * 2018-10-02 2020-06-15 계병철 정밀 유체제어 축방향 밸브
KR20230126207A (ko) * 2022-02-22 2023-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초순수 제조 설비
KR102599635B1 (ko) * 2022-02-22 2023-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초순수 제조 설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3101B1 (ko) 방식 전환 가능형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
US5699834A (en) Manifold-type solenoid valves
KR20120115111A (ko) 파일럿식 3위치 스위칭 밸브
CN102269192B (zh) 液压阀
US5273069A (en) Operation valve with pressure compensation valve
JPS5825186B2 (ja) ボ−ルバルブ
CN108350909A (zh) 流体控制阀
KR101188227B1 (ko) 3-방향 다목적 전환 밸브
KR101398195B1 (ko) 방식 전환 가능형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
US5692427A (en) Flow reinforcement directional control valve for a hydraulic circuit
CN100374737C (zh) 先导式电磁阀
CN112065795B (zh) 螺纹插装式阀组
RU2347125C1 (ru) Клапан запорно-регулирующий
JPH0432538Y2 (ko)
CN105485412B (zh) 一种可控开度的先导阀
KR100894087B1 (ko) 유체-작동 액추에이터의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밸브
KR20140036591A (ko) 동축 유선형 유로 구조를 갖는 파일럿형 솔레노이드 밸브
JP3821906B2 (ja) 負荷保持切換弁装置
KR102489675B1 (ko) 유압 밸브 및 농업용 트랙터 프론트 로더의 유압 제어장치
CN215436587U (zh) 切断阀、转向装置、转向器、转向系统以及车辆
CN219045486U (zh) 多路阀及工程机械
JP7346037B2 (ja) 流量制御弁
JP6985095B2 (ja) 空圧穿孔機械用流量制御弁
JP3333567B2 (ja) 複合電磁切換弁
RU2338942C1 (ru) Клапан запорно-регулирующ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