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1410B1 - 긴급 차단용 제어밸브 시스템 - Google Patents

긴급 차단용 제어밸브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1410B1
KR100481410B1 KR10-2005-0007879A KR20050007879A KR100481410B1 KR 100481410 B1 KR100481410 B1 KR 100481410B1 KR 20050007879 A KR20050007879 A KR 20050007879A KR 100481410 B1 KR100481410 B1 KR 100481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fluid
inlet
main valv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7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8911A (ko
Inventor
조진식
김병문
손회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램
조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램, 조진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램
Priority to KR10-2005-0007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1410B1/ko
Publication of KR20050018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8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1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14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6/00Transfer print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6/00Transfer printing apparatus
    • B41F16/0006Transfer printing apparatus for printing from an inked or preprinted foil or b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6/00Transfer printing apparatus
    • B41F16/0006Transfer printing apparatus for printing from an inked or preprinted foil or band
    • B41F16/002Presses of the rotary type
    • B41F16/0026Presses of the rotary type with means for applying print under heat and pressure, e.g. using heat activable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7/0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F17/08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filamentary or elongated articles, or on articles with cylindrical surfaces
    • B41F17/14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filamentary or elongated articles, or on articles with cylindrical surfaces on articles of finite length
    • B41F17/2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filamentary or elongated articles, or on articles with cylindrical surfaces on articles of finite length on articles of uniform cross-section, e.g. pencils, rulers, resis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7/0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F17/08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filamentary or elongated articles, or on articles with cylindrical surfaces
    • B41F17/14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filamentary or elongated articles, or on articles with cylindrical surfaces on articles of finite length
    • B41F17/2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filamentary or elongated articles, or on articles with cylindrical surfaces on articles of finite length on articles of uniform cross-section, e.g. pencils, rulers, resistors
    • B41F17/22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filamentary or elongated articles, or on articles with cylindrical surfaces on articles of finite length on articles of uniform cross-section, e.g. pencils, rulers, resistors by rolling cont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긴급 차단용 제어밸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정전 시나 누수 발생시 이를 감지하여 신속히 밸브를 차단함으로써 가압장 등 무인시스템에서 정전 또는 누수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도록 하는 긴급 차단용 제어밸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주배관에 직렬로 연결되는 유입구와 부스터 펌프로 배출하는 유출구가 구비되어 유로를 형성하고, 다이어프램에 의해 상부챔버와 하부챔버로 상호 분리되며, 상기 상부 및 하부 챔버에 작용하는 압력의 차이에 따라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의 유로가 선택적으로 조절되는 메인밸브; 상기 메인밸브의 유입구에 형성된 보조유입공과 연결되는 제1 보조유로를 통해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포트와, 유입된 유체가 상기 메인밸브의 상부챔버로 배출되는 배출포트로 구성되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제1 보조유로와 연결된 제2 보조유로를 통해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포트와, 유입된 유체가 상기 메인밸브의 하부챔버로 배출되는 배출포트로 구성되는 제2 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메인밸브의 상부챔버와 연결된 제3 보조유로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포트와, 유입된 유체가 대기로 드레인되는 드레인포트로 구성되는 제3 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메인밸브의 하부챔버와 연결된 제4 보조유로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포트와, 유입된 유체가 대기로 드레인되는 드레인포트로 구성되는 제4 솔레노이드 밸브; 및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솔레노이드 밸브의 선택적인 개폐동작을 통해 상기 메인밸브의 유로를 제어함과 동시에, 펌프의 가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긴급 차단용 제어밸브 시스템{Control valve system for emergency cutoff}
본 발명은 긴급 차단용 제어밸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정전 시나 누수 발생시 이를 감지하여 신속히 밸브를 차단함으로써 가압장 등 무인시스템에서 정전 또는 누수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도록 하는 긴급 차단용 제어밸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도 시스템은 가압장에서 고도가 높은 배수지로 송수하여 자연낙하방식으로 저지대의 수요처에 물을 공급한다.
이때, 정전과 같이 전원 오작동으로 펌프가 급정지하게 될 경우 역류로 인한 서지(surge)현상 때문에 펌프가 파손될 수도 있으므로, 펌프 유출측에는 수충격 방지 밸브 등과 같은 안전밸브를 설치하여 서지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펌프를 보호할 수 있지만, 펌프의 유입측에 발생하는 서지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장치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펌프의 유입측에 발생하는 서지 현상으로 인한 펌프, 배관 및 부대시설 등의 파손시에는 펌프장 침수사고, 도로파손 등으로 직결되므로, 막대한 상수도 시설 복구비용 뿐 아니라 제반 유지 관리 비용 또한 반복적으로 지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안출된 것으로, 정전 시나 누수 발생시 이를 감지하여 신속히 밸브를 차단함으로써 가압장 등 무인시스템에서 정전 또는 누수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도록 하는 긴급 차단용 제어밸브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긴급 차단용 제어밸브 시스템은, 주배관에 직렬로 연결되는 유입구와 부스터 펌프로 배출하는 유출구가 구비되어 유로를 형성하고, 다이어프램에 의해 상부챔버와 하부챔버로 상호 분리되며, 상기 상부 및 하부 챔버에 작용하는 압력의 차이에 따라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의 유로가 선택적으로 조절되는 메인밸브; 상기 메인밸브의 유입구에 형성된 보조유입공과 연결되는 제1 보조유로를 통해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포트와, 유입된 유체가 상기 메인밸브의 상부챔버로 배출되는 배출포트로 구성되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제1 보조유로와 연결된 제2 보조유로를 통해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포트와, 유입된 유체가 상기 메인밸브의 하부챔버로 배출되는 배출포트로 구성되는 제2 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메인밸브의 상부챔버와 연결된 제3 보조유로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포트와, 유입된 유체가 대기로 드레인되는 드레인포트로 구성되는 제3 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메인밸브의 하부챔버와 연결된 제4 보조유로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포트와, 유입된 유체가 대기로 드레인되는 드레인포트로 구성되는 제4 솔레노이드 밸브; 및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솔레노이드 밸브의 선택적인 개폐동작을 통해 상기 메인밸브의 유로를 제어함과 동시에, 펌프의 가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밸브는, 유입구와 유출구가 구비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밸브 몸체; 상기 밸브 몸체 상부의 개구부에 결합되며, 일측에 상기 제2 보조유로와 연통되는 제1 하부연통공이, 타측에 상기 제4 보조유로와 연통되는 제2 하부연통공이 구비된 중간 플레이트와, 상기 중간 플레이트 상부에 결합되어 내부 챔버를 형성하며 일측에 상기 제1 보조유로와 연통되는 제1 상부연통공이, 타측에 상기 제3 보조유로와 연통되는 제2 상부연통공이 구비된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중간 플레이트와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상부챔버와 하부챔버로 분리하는 다이어프램과, 상기 다이어프램에 장착된 다이어프램 플레이트와, 상기 다이어프램 플레이트에 지지되어 상기 다이어프램의 상하 운동에 따라 승강운동하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의 상부측에 결합되는 조절축과, 상기 플런저의 하부측에 결합되어 승강운동에 따라 상기 밸브 몸체의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의 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디스크 시트 및 상기 메인밸브의 중간플레이트와 디스크 시트 사이에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의 유로를 개폐하며 압력을 조절하는 탄성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다이어프램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조절축의 승강운동을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와, 누수 발생시 누수를 감지하는 센서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펌프의 가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긴급 차단용 제어밸브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배관(L)에 직렬로 연결되는 유입구(110)와 부스터 펌프(P)로 배출하는 유출구(120)가 구비되며 다이어프램(144)에 의해 상부챔버(S1)와 하부챔버(S2)로 상호 분리되는 메인밸브(100)와, 상기 메인밸브(100)의 유입구(110)에 형성된 보조유입공(110a)과 상기 메인밸브(100)의 상부챔버(S1) 및 하부챔버(S2) 사이를 연결하는 보조유로로부터 유입되는 유체를 각각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 밸브(200, 300)와, 상기 상부 및 하부챔버(S1, S2)와 연결된 보조유로로부터 유입되는 유체를 각각 대기로 드레인 하는 제3 및 제4 솔레노이드 밸브(400, 50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밸브(100) 상부측에는 다이어프램(144)에 연동하여 승강운동하는 조절축(149)과, 상기 조절축(149)의 승강운동을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700)가 구비된다.
그리고, 하우징(H)의 일측에는 상기 부스터 펌프(P)와 주배관(L)으로부터 공급되는 용수의 누수 발생시 이를 감지하는 센서(800)가 부가적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리미트 스위치(700) 또는 상기 센서(800)로부터 입력받은 신호에 의한 부스터 펌프(P)의 가동 제어, 그리고 제1, 제2, 제3 및 제4 솔레노이드 밸브(200, 300, 400, 500)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콘트롤러(600)가 별도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밸브(100)의 유입구(110)에 형성된 보조유입공(110a)은 제1 보조유로(p1)에 의해 상기 메인밸브(100)의 상부챔버(S1)와 연통되고, 상기 제1 보조유로(p1)는 제1 보조유로(p1) 상에 구비된 연결부재(150)에 의해 제2 보조유로(p2)로 분리되어 상기 메인밸브(100)의 하부챔버(S2)와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밸브(100)의 상부 및 하부챔버(S1, S2)는 각각 제3 및 제4보조유로(p3, p4)와 연통된다.
한편,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보조유로(p1, p2, p3, p4)에는 상기 콘트롤러(60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동작이 이루어지는 제1, 제2, 제3 및 제4 솔레노이드 밸브(200, 300, 400, 500)가 각각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 , 제2, 제3 및 제4 솔레노이드 밸브(200, 300, 400, 500)는 별도로 구비되는 상기 콘트롤러(600)에 의해 개폐동작이 이루어지는 통상적인 2방향(2-way) 밸브로, 상기 콘트롤러(600)에 의해 유체의 흐름방향이 적절히 가변된다.
상기 제1 및 제4 솔레노이드 밸브(200, 500)는 노멀 오픈(Normal open) 형 밸브로서, 상기 콘트롤러(600)에 의한 신호의 입력이 없는 기본 상태에서는 오픈 상태로 유로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콘트롤러(600)에 의한 신호의 입력 시에는 클로즈 상태로 유로가 폐쇄되는 것이다.
상기 제2 및 제3 솔레노이드 밸브(300, 400)는 노멀 클로즈(Normal close)형 밸브로서, 상기 콘트롤러(600)에 의한 신호의 입력이 없는 기본 상태에서는 클로즈 상태로 유로가 폐쇄되어 있으며, 상기 콘트롤러(600)에 의한 신호의 입력 시에는 오픈 상태로 유로가 개방되는 것이다.
먼저, 상기 제1 솔레노이드 밸브(200)는, 상기 제1 보조유로(p1)를 통해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포트(210)와, 유입된 유체가 상기 메인밸브(100)의 상부챔버(S1)로 배출되는 배출포트(22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솔레노이드 밸브(300)는, 상기 제1 보조유로(p1)와 연결된 제2 보조유로(p2)를 통해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포트(310)와, 유입된 유체가 상기 메인밸브(100)의 하부챔버(S2)로 배출되는 배출포트(32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3 솔레노이드 밸브(400)는, 상기 메인밸브(100)의 상부챔버(S1)와 연결된 제3 보조유로(p3)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포트(410)와, 유입된 유체가 대기로 드레인되는 드레인포트(42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4 솔레노이드 밸브(500)는, 상기 메인밸브(100)의 하부챔버(S2)와 연결된 제4 보조유로(p4)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포트(510)와, 유입된 유체가 대기로 드레인되는 드레인포트(520)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콘트롤러(600)는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솔레노이드 밸브(200, 300, 400, 500)의 선택적인 개폐동작 명령을 수행하도록 하는 중앙처리장치(CPU) 등이 구비되어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명령에 따라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솔레노이드 밸브(200, 300, 400, 500)의 유로를 전환하는 밸브 조작부 등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콘트롤러(600)는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솔레노이드 밸브(200, 300, 400, 500)의 선택적인 개폐동작을 통해 상기 메인밸브의 유입구(110)와 유출구(120) 사이의 유로를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조절축(149)의 승강운동을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700)와, 누수 발생시 누수를 감지하는 센서(800)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부스터 펌프(P)의 가동을 제어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긴급 차단용 제어밸브 시스템의 메인밸브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밸브(100)는, 주배관(L)에 직렬로 연결되는 유입구(110)와 부스터 펌프로 배출하는 유출구(120)가 구비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밸브 몸체(130)와, 상기 밸브 몸체(130) 상부측에 위치하며 상기 유입구(110)와 유출구(120) 사이에 있는 시트부(131)의 유로를 넓히거나 좁히도록 하여 유로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다이어프램조립체(14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다이어프램조립체(140)는, 가이드공(141a)이 형성된 가이드부싱(141)을 구비하며 상기 밸브 몸체(130)의 개구부(132)에 결합되는 중간 플레이트(142)와, 상기 중간 플레이트(142) 상부에 결합되어 그 사이에 내부 챔버를 형성하는 커버 플레이트(143)를 포함한다.
상기 중간플레이트(142)의 일측에는 상기 제2 보조유로(p2)와 연통되는 제1 하부연통공(142a)이, 타측에는 상기 제4 보조유로(p4)와 연통되는 제2 하부연통공(142b)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143)의 일측에는 상기 제1 보조유로(p1)와 연통되는 제1 상부연통공(143a)이, 타측에는 상기 제3 보조유로(p3)와 연통되는 제2 상부연통공(143b)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중간 플레이트(142)와 커버 플레이트(143) 사이에는 내열성과 강도가 우수한 유연성 있는 재질의 다이어프램(144)이 개재되어 상기 내부 챔버를 상부 챔버(S1)와 하부 챔버(S2)로 분리한다.
따라서, 상기 보조유입공(110a)으로부터 제1 보조유로(p1)를 통해 상기 제1 상부연통공(143a)으로 유입된 유체가 상기 상부챔버(S1)를 가압하거나, 상기 제2 보조유로(p2)로부터 제1 하부연통공(142a)으로 유입된 유체가 상기 하부챔버(S2)를 가압하게 되어, 상기 상부 챔버(S1)와 하부 챔버(S2)에 가해지는 압력 변화, 즉 상기 상부 챔버(S1) 및 하부 챔버(S2)에 작용하는 압력의 차이에 따라 도면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이어프램(144)은 상하로 승강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다이어프램(144)의 상하 양측에는 한 쌍의 다이어프램 플레이트(145a, 145b)가 결합되며, 상기 다이어프램 플레이트(145a, 145b)에는 플런저(146)가 결합되어 다이어프램(144)의 상하 운동에 따라 함께 승강운동을 한다.
상기 플런저(146)는 중간 플레이트(142)에 마련된 가이드부싱(141)의 가이드공(141a)을 관통하여 결합되어 그 승강운동이 가이드된다.
상기 플런저(146)의 시트부(131)측 단부에는 상기 시트부(131)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디스크 시트(147)가 결합되며, 상기 플런저(146)의 승강운동에 따라 상기 시트부(131)와 접촉함으로써 선택적으로 유로가 조절되게 된다.
상기 플런저(146)의 커버 플레이트(143)측 단부에는 상기 플런저(146)와 결합되어 상기 다이어프램(144)과 연동하여 승강운동을 하는 조절축(149)이 구비된다.
상기 메인밸브(100)의 중간플레이트(142)와 디스크 시트 사이(147)에는 탄성 스프링(148)이 개재되어 상기 메인밸브(100)의 유입구(110)와 유출구(120) 사이의 유로를 서서히 열고, 비상시나 정전시 급격히 차단하여 상기 메인밸브(100) 내의 압력을 조절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긴급 차단용 제어밸브 시스템의 동작을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긴급 차단용 제어밸브 시스템에서 평상시 용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긴급 차단용 제어밸브 시스템에서 이상 발생시 용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트롤러(600, 도1 참조)의 온 스위치를 누르면 상기 제1 솔레노이드 밸브(200)는 상기 메인밸브(100)의 보조유입공(110a)과 연통된 상기 제1 보조유로(p1)를 통하여 상기 메인밸브(100)의 상부챔버(S1)로 연결되는 유로를 폐쇄하며, 제2 솔레노이드 밸브(300)는 상기 메인밸브(100)의 하부챔버(S2)로 연결되는 유로를 개방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3 솔레노이드 밸브(400)는 상기 상부챔버(S1)와 연결된 제3 보조유로(p3)로의 유로를 개방하며, 제4 솔레노이드 밸브(400)는 상기 하부챔버(S2)와 연결된 제4 보조유로(p4)로의 유로를 폐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유입구(110) 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은 상기 상부챔버(S1) 내의 유체는 상기 제3 보조유로(p3)를 거쳐 상기 제3 솔레노이드 밸브(400)의 드레인포트(420)를 통해 대기로 드레인된다.
따라서, 상기 제2 보조유로(p2)를 통해 상기 하부챔버(S2)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다이어프램(144, 도2 참조)이 상승하게 되면, 유입구(110)와 유출구(120) 사이의 유로를 디스크 시트(147, 도2 참조)가 개방하게 되어 부스터 펌프(P)로 유체가 배출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상기 메인밸브(100)의 상부측에 상기 다이어프램(144)과 연동하여 승강운동을 하는 조절축(149)이 상승하여 리미트 스위치(700)와 접촉하게 됨으로써, 상기 리미트 스위치(700)가 감지한 부스터 펌프(P)의 가동 신호를 받은 콘트롤러(600)에 의해 부스터 펌프(P)가 동작하기 시작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중간플레이트(142, 도2 참조)와 디스크 시트(147) 사이에 탄성 스프링(148)을 개재하여, 상기 메인밸브(100)의 유입구(110)와 유출구(120) 사이의 유로가 급격히 개방됨으로써 발생하는 워터해머 현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탄성 스프링(148)의 작용으로 상기 다이어프램(144)이 점진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긴급 차단용 제어밸브 시스템에서 이상 발생시 용수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수 발생시 누수를 감지하는 센서(800)로부터 신호를 입력받게 되면, 상기 콘트롤러(600)에 의해 상기 제1 솔레노이드 밸브(200)는 상기 메인밸브(100)의 보조유입공(110a)과 연통된 상기 제1 보조유로(p1)를 통하여 상기 메인밸브(100)의 상부챔버(S1)로 연결되는 유로를 개방하며, 제2 솔레노이드 밸브(300)는 상기 메인밸브(100)의 하부챔버(S2)로 연결되는 유로를 폐쇄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3 솔레노이드 밸브(400)는 상기 상부챔버(S1)를 통하여 제3 보조유로(p3)로 연결되는 유로를 폐쇄하며, 제4 솔레노이드 밸브(400)는 상기 하부챔버(S2)를 통하여 제4 보조유로(p4)로 연결되는 유로를 개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유입구(110) 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은 상기 하부챔버(S2) 내의 유체는 상기 제4 보조유로(p4)를 거쳐 상기 제4 솔레노이드 밸브(500)의 드레인포트(520)를 통해 대기로 드레인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보조유로(p1)를 통해 상기 상부챔버(S1)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다이어프램(144, 도2 참조)이 하강하게 되면, 유입구(110)와 유출구(120) 사이의 유로를 디스크 시트(147, 도2 참조)가 폐쇄하게 되어 부스터 펌프(P)로 유체가 배출되는 것을 막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리미트 스위치(700)와 접촉하여 있던 조절축(149)이 하강하여, 상기 리미트 스위치(700)에서 이탈하게 되면, 상기 리미트 스위치(700)가 감지한 부스터 펌프(P)의 정지 신호를 받은 콘트롤러(600)에 의해 부스터 펌프(P)가 정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중간플레이트(142)와 디스크 시트(147) 사이에 탄성 스프링(148)을 개재하여, 상기 탄성 스프링(148)의 작용으로 상기 다이어프램(144)을 급격히 하강하도록 하여, 상기 메인밸브(100)의 유입구(110)와 유출구(120) 사이의 유로가 신속히 차단됨으로써 더 이상의 누수를 방지하게 된다.
한편, 정전시에는 전술 한 바와 같은 일련의 동작에 의해 상기 메인밸브(100)의 유입구(110)와 유출구(120)사이의 유로가 신속히 차단됨으로써, 상기 부스터 펌프(P)로 용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부스터 펌프의 고장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정전 시나 누수 발생시 이를 감지하여 신속히 밸브를 차단함으로써 가압장 등 무인시스템에서 정전 또는 누수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도록 하는 긴급 차단용 제어밸브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우선, 정전이나 누수 발생과 같은 이상 발생 시 이를 감지하여 신속히 밸브를 차단함으로써 가압장 등 무인시스템에서 정전 또는 누수로 인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에 의한 신속한 응답으로 안정적인 제어가 가능하며 유로의 개방 및 차단 속도가 개별적으로 조절가능하게 되어,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긴급 차단용 제어밸브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긴급 차단용 제어밸브 시스템의 메인밸브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긴급 차단용 제어밸브 시스템에서 평상시 용수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긴급 차단용 제어밸브 시스템에서 이상 발생시 용수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메인밸브 110...유입구
120...유출구 130...밸브몸체
140...다이어프램 조립체 144...다이어프램
146...플런저 147...디스크 시트
148...탄성 스프링 150...연결부재
200...제1 솔레노이드 밸브 300...제2 솔레노이드 밸브
400...제3 솔레노이드 밸브 500...제4 솔레노이드 밸브
600...콘트롤러 700...리미트 스위치
800...센서

Claims (3)

  1. 주배관(L)에 직렬로 연결되는 유입구(110)와 부스터 펌프로 배출하는 유출구(120)가 구비되어 유로를 형성하고, 다이어프램(144)에 의해 상부챔버(S1)와 하부챔버(S2)로 상호 분리되며, 상기 상부 및 하부 챔버에 작용하는 압력의 차이에 따라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의 유로가 선택적으로 조절되는 메인밸브(100);
    상기 메인밸브의 유입구에 형성된 보조유입공(110a)과 연결되는 제1 보조유로(p1)를 통해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포트(210)와, 유입된 유체가 상기 메인밸브의 상부챔버로 배출되는 배출포트(220)로 구성되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200);
    상기 제1 보조유로(p1)와 연결된 제2 보조유로(p2)를 통해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포트(310)와, 유입된 유체가 상기 메인밸브의 하부챔버로 배출되는 배출포트(320)로 구성되는 제2 솔레노이드 밸브(300);
    상기 메인밸브의 상부챔버(S1)와 연결된 제3 보조유로(p3)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포트(410)와, 유입된 유체가 대기로 드레인되는 드레인포트(420)로 구성되는 제3 솔레노이드 밸브(400);
    상기 메인밸브(100)의 하부챔버(S2)와 연결된 제4 보조유로(p4)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포트(510)와, 유입된 유체가 대기로 드레인되는 드레인포트(520)로 구성되는 제4 솔레노이드 밸브(500); 및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솔레노이드 밸브(200, 300, 400, 500)의 선택적인 개폐동작을 통해 상기 메인밸브의 유로를 제어함과 동시에, 펌프의 가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6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차단용 제어밸브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밸브(100)는,
    유입구(110)와 유출구(120)가 구비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밸브 몸체(130);
    상기 밸브 몸체 상부의 개구부(132)에 결합되며, 일측에 상기 제2 보조유로(p2)와 연통되는 제1 하부연통공(142a)이, 타측에 상기 제4 보조유로(p4)와 연통되는 제2 하부연통공(142b)이 구비된 중간 플레이트(142)와, 상기 중간 플레이트 상부에 결합되어 내부 챔버를 형성하며 일측에 상기 제1 보조유로(p1)와 연통되는 제1 상부연통공(143a)이, 타측에 상기 제3 보조유로(p3)와 연통되는 제2 상부연통공(143b)이 구비된 커버 플레이트(143)와, 상기 중간 플레이트와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상부챔버와 하부챔버로 분리하는 다이어프램(144)과, 상기 다이어프램에 장착된 다이어프램 플레이트(145a, 145b)와, 상기 다이어프램 플레이트에 지지되어 상기 다이어프램의 상하 운동에 따라 승강운동하는 플런저(146)와, 상기 플런저의 상부측에 결합되는 조절축(149)과, 상기 플런저의 하부측에 결합되어 승강운동에 따라 상기 밸브 몸체의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의 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디스크 시트(147) 및 상기 메인밸브(100)의 중간플레이트(142)와 디스크 시트 사이(147)에 유입구(110)와 유출구(120) 사이의 유로를 개폐하며 압력을 조절하는 탄성 스프링(148)으로 이루어진 다이어프램 조립체(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차단용 제어밸브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600)는, 상기 조절축(149)의 승강운동을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700)와, 누수 발생시 누수를 감지하는 센서(800)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펌프의 가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차단용 제어밸브 시스템.
KR10-2005-0007879A 2005-01-28 2005-01-28 긴급 차단용 제어밸브 시스템 KR100481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7879A KR100481410B1 (ko) 2005-01-28 2005-01-28 긴급 차단용 제어밸브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7879A KR100481410B1 (ko) 2005-01-28 2005-01-28 긴급 차단용 제어밸브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8911A KR20050018911A (ko) 2005-02-28
KR100481410B1 true KR100481410B1 (ko) 2005-04-07

Family

ID=37228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7879A KR100481410B1 (ko) 2005-01-28 2005-01-28 긴급 차단용 제어밸브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14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2647B1 (ko) * 2018-08-24 2019-02-20 (주) 유니플로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
KR20220056917A (ko) * 2020-10-28 2022-05-09 (주) 삼진정밀 수도배관용 재난대비 차단밸브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2458B1 (ko) * 2018-06-12 2019-10-15 울트라밸브 주식회사 배관내의 유체를 이용한 감압밸브의 제어장치
CN111734878A (zh) * 2019-11-18 2020-10-02 株洲南方阀门股份有限公司 电控式爆管自动切断控制阀
CN114215926B (zh) * 2022-02-21 2022-06-03 广东永泉阀门科技有限公司 一种防水击微阻型智能调节水泵控制阀的控制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2647B1 (ko) * 2018-08-24 2019-02-20 (주) 유니플로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
KR20220056917A (ko) * 2020-10-28 2022-05-09 (주) 삼진정밀 수도배관용 재난대비 차단밸브 시스템
KR102506479B1 (ko) * 2020-10-28 2023-03-07 (주) 삼진정밀 수도배관용 재난대비 차단밸브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8911A (ko) 2005-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1408B1 (ko) 수충격 방지용 제어밸브 시스탬
CA1122880A (en) Hydraulic control valve unit
KR100586023B1 (ko) 릴리프 밸브
KR100481410B1 (ko) 긴급 차단용 제어밸브 시스템
JP6290923B2 (ja) ポンプのスタートアップが簡便な背圧調節装置
US10704705B2 (en) Valve for switching fluids, extinguishing system and method
KR950704617A (ko) 가압유 공급장치(Pressurized fluid supply system)
CA2667351A1 (en) Fuel cell system
KR100481403B1 (ko) 감압 및 압력유지 제어밸브 시스템
US5469703A (en) Device for controlling a hydraulic motor
US4119016A (en) Hydraulic control device
KR100554723B1 (ko) 파일롯-릴리프 밸브
KR20110130003A (ko) 파일럿 작동형 안전밸브 및 그 개폐방법
KR20050081058A (ko) 릴리프 밸브
KR100481409B1 (ko) 심정 펌프용 제어밸브 시스템
JP4781194B2 (ja) ロータリーベーン式舵取機
KR19990059487A (ko) 건설중장비용 작업장치의 로킹장치
JPS5952314B2 (ja) 天然ガス等の輸送管の破裂時自動遮断装置
KR200383975Y1 (ko) 감압 및 릴리프 밸브장치
US10900375B2 (en) Turbine with quick-closing valves and regulating valves
KR100957739B1 (ko) 유압 작동식 밸브의 신속한 비상 차단용 시스템 및 밸브장치
JPH07139307A (ja) 制御弁用アクチュエータ
EP2256392B1 (en) Valve arrangement
KR20060040565A (ko) 파이롯트 밸브를 이용한 압력방출시스템
EP0737815B1 (en) Unloading device for a hydraulic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