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2408B1 - 타이어 정련공정의 고무시트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 정련공정의 고무시트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2408B1
KR101922408B1 KR1020160121828A KR20160121828A KR101922408B1 KR 101922408 B1 KR101922408 B1 KR 101922408B1 KR 1020160121828 A KR1020160121828 A KR 1020160121828A KR 20160121828 A KR20160121828 A KR 20160121828A KR 101922408 B1 KR101922408 B1 KR 101922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sheet
conveyor
refining process
ba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1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2776A (ko
Inventor
김보선
Original Assignee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1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2408B1/ko
Publication of KR20180032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2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2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2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29C47/3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55Conveyors for extru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 B29C33/44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with mechanical ejector or drive means therefor
    • B29C47/0021
    • B29C47/9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06Advancing webs by friction b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6/00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for web-advanc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2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having an operating surface contacting only one face of the material, e.g.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2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having an operating surface contacting only one face of the material, e.g. roller
    • B65H2301/44322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having an operating surface contacting only one face of the material, e.g. roller be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80Arangement of the sens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 정련공정에서 고무시트를 감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믹서와 롤다이(Roll die) 압출기를 통해 배출되는 고무시트를 냉각 및 건조시키어 적재시키는 배치오프(Batch off) 라인에서 이송시킬 때 상기 고무시트가 테이크 어웨이(Take away) 컨베이어로부터 진입되는 바(Bar) 컨베이어에 걸리지 않는 미걸림 상태를 감지하여 알려주는 타이어 정련공정의 고무시트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믹서(1)와 롤다이 압출기(2)를 거쳐 배출되는 고무시트(100)를 테이크 어웨이 컨베이어(3)를 통해 바 컨베이어(4)로 진입 이동시킬 때 상기 바 컨베이어(4)의 바(4a)들에 고무시트(100)의 진입 여부를 확인하는 타이어 정련공정의 고무시트 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테이크 어웨이 컨베이어(3)의 구동롤러(7) 하방으로 여러 개의 재료 받침대(8)들이 일체로 장착된 회전축(9)과, 상기 회전축(9)의 한쪽 선단에 일체로 설치된 무게추(10) 및, 상기 무게추(10)의 회전을 감지하는 근접센서(11)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타이어 정련공정의 고무시트 감지장치{Rubber sheet sensing apparatus of tire mixing process}
본 발명은 타이어 정련공정에서 고무시트를 감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믹서와 롤다이(Roll die) 압출기를 통해 배출되는 고무시트를 냉각 및 건조시키어 적재시키는 배치오프(Batch off) 라인에서 이송시킬 때 상기 고무시트가 테이크 어웨이(Take away) 컨베이어로부터 진입되는 바(Bar) 컨베이어에 걸리지 않는 미걸림 상태를 감지하여 알려주는 타이어 정련공정의 고무시트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 제조시 정련공정은 타이어 제조에 필요한 여러 원료를 혼합해서 타이어에 사용되는 각종의 고무를 배합해 내는 공정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원료가 투입되어 혼합되는 믹서(1)와 롤다이 압출기(2)를 거치면서 배합고무가 일정 두께의 고무시트(100)로 제조되고, 상기 고무시트(100)는 도 2와 같이 테이크 어웨이 컨베이어(3)와 바 컨베이어(4)를 통해 이송된다.
여기서 이송되는 고무시트(100)가 바 컨베이어(4)로 전달되면, 상기 테이크 어웨이 컨베이어(3)와 바 컨베이어(4) 사이에서 점착을 방지하기 위해 탈크(Talc)액이 뿌려지고, 상기 탈크액이 도포된 고무시트(100)가 바 컨베이어(4)의 각각의 바(4a)에 루우프(Loop) 형태로 걸려 늘어진 채로 이송되면서 상기 바 컨베이어(4)의 배치팬(5, Batch fan)들에 의해 건조된다.
이 같이 상기 고무시트(100)는 배치오프라인(6)의 내부를 통과하는 동안 냉각 건조되어 공지의 방법으로 배출장치에 의해 적재다이에 자동으로 적재된다.
종래 상기와 같은 타이어 정련공정에서 고무시트의 이송중, 도 2와 같이 시트고무(100)가 바 컨베이어(4)로 진입 이동시 시트고무(100)의 초기부가 실선방향으로 바 컨베이어(4)의 바(4a)들에 걸리지 않고 점선방향으로 배치오프라인(6) 설비의 바닥으로 직접 떨어지는 재료의 미걸림 여부를 작업자가 일일이 시각을 통해 직접 확인해야 하는 작업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특히 상기 고무시트(100)의 초기부가 실선처럼 바 컨베이어(4)의 바(4a)들에 걸리지 않고 설비 바닥으로 직접 떨어지는 경우, 작업자는 라인정지 조치를 취하게 되는데, 이때 설비의 라인정지 조치가 늦어질수록 고무시트(100)의 트러블 처리량이 증가되어 작업자의 노동부하가 커지는 단점과, 고무시트(100)의 트러블 처리를 위해 작업자의 안전사고의 위험도 제기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87460호(2013.08.06.).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426167호(2004.03.25.).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타이어 정련공정에서 고무시트가 테이크 어웨이 컨베이어를 거쳐 바 컨베이어로 진입 이동시 상기 바 컨베이어에 고무시트의 미걸림 상태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작업자에게 이를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자동으로 알려주는 타이어 정련공정의 고무시트 감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믹서와 롤다이 압출기를 거쳐 배출되는 고무시트를 테이크 어웨이 컨베이어를 통해 바 컨베이어로 진입 이동시킬 때 상기 바 컨베이어의 바들에 고무시트의 진입 여부를 확인하는 타이어 정련공정의 고무시트 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테이크 어웨이 컨베이어의 구동롤러 하방으로 여러 개의 재료 받침대들이 일체로 장착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한쪽 선단에 일체로 설치된 무게추 및, 상기 무게추의 회전을 감지하는 근접센서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정련공정의 고무시트 감지장치는 타이어 정련공정에서 제조된 고무시트를 배치오프라인으로 이동시킬 때, 고무시트의 초기부가 바 컨베이어에 미걸림 상태 여부를 직접 확인할 필요가 없이 자동으로 감지하여 알려주기 때문에 작업자의 노동력 절감과 설비의 자동화로 작업효율의 개선이 이루어지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종래 통상적인 타이어 정련공정의 전체 레이아웃(Lay out) 구성도,
도 2는 종래 고무시트를 안내하는 컨베이어들의 연결부위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개략 확대 구성도,
도 4(a)와 (b)는 본 발명의 요부 작동상태 도면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와 기술적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 1과 같이 믹서(1)와 롤다이 압출기(2)를 거치면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타이어 제조에 사용되는 고무시트(100)가 제조되고, 상기 고무시트(100)는 도 2와 같이 배치오프라인(6)의 테이크 어웨이 컨베이어(3)와 바 컨베이어(4)로 이송되는데, 상기 바 컨베이어(4)의 바(4a)들 사이에 루우프 형태로 걸려 이동되면서 배치팬(5)들에 의해 냉각과 건조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믹서(1)와 롤다이 압출기(2)를 거쳐 배출되는 고무시트(100)를 테이크 어웨이 컨베이어(3)를 통해 바 컨베이어(4)로 진입 이동시킬 때 상기 바 컨베이어(4)의 바(4a)들에 고무시트(100)의 진입 여부를 확인하는 타이어 정련공정의 고무시트 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테이크 어웨이 컨베이어(3)의 구동롤러(7) 하방으로 여러 개의 재료 받침대(8)들이 일체로 장착된 회전축(9)과, 상기 회전축(9)의 한쪽 선단에 일체로 설치된 무게추(10) 및, 상기 무게추(10)의 회전을 감지하는 근접센서(11)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재료 받침대(8)는 테이크 어웨이 컨베이어(3)를 통해 이동된 고무시트(100)의 재료를 받아들이기 위해 평상시 무게추(10)가 설치된 회전축(9)에 수평상태로 유지되어 있으면서 여러 개가 회전축(9)에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9)은 재료 받침대(8)가 고무시트(100)를 받게 되면 회전하는 부분으로, 무게추(10)가 한쪽 선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무게추(10)는 재료 받침대(8)가 평상시, 즉 고무시트(100)가 없는 상태에서 수평상태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한편, 상기 근접센서(100)는 시트고무(100)가 재료 받침대(8)에 걸리면 무게추(10)가 회전축(9)과 일체로 회전할 때 상기 무게추(10)의 회전을 감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필요에 따라 상기 회전축(9)의 회전각도를 직접 감지하기 위해 각도센서를 채택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도 4(a)와 같이 롤다이 압출기(2)에서 배출되는 고무시트(100)가 테이크 어웨이 컨베이어(3)를 타고 이동하여 바 컨베이어(4)에 진입되지 않을 경우, 상기 고무시트(100)는 테이크 어웨이 컨베이어(3)의 구동롤러(7) 하방에 있는 재료 받침대(8)로 떨어진다.
이때 상기 재료 받침대(8)는 고무시트(100)의 무게에 의해 도 4(b)와 같이 회전축(9)과 함께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축(9)에 설치된 무게추(10)도 함께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회전하는 무게추(10)를 근접센서(11)가 감지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근접센서(11)에 감지된 신호는 배치오프라인(6)의 조작반에 디스플레이로 표시되거나 경보음을 발생시키면서 상기 배치오프라인(6) 전체를 정지시키게 되고, 작업자는 설비 바닥에 떨어진 고무시트의 트러블 조치를 완료한 후 재가동 시키면 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정련공정의 고무시트 감지장치는 고무시트 이동시 배치오프라인에서 고무시트의 재료 초입부 미걸림 상태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알려 주기 때문에, 재료 미걸림시 작업자의 노동부하를 절감할 수 있으면서 설비 자동화로 작업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1 : 믹서(Mixer), 2 : 롤다이(Roll die) 압출기,
3 : 테이크 어웨이(Take away) 컨베이어,
4 : 바(Bar) 컨베이어, 4a : 바,
5 : 배치팬(Batch fan), 6 : 배치오프(Batch off)라인,
7 : 구동롤러, 8 : 재료 받침대,
9 : 회전축, 10 : 무게추,
11 : 근접센서.

Claims (3)

  1. 믹서(1)와 롤다이 압출기(2)를 거쳐 배출되는 고무시트(100)를 테이크 어웨이 컨베이어(3)를 통해 바 컨베이어(4)로 진입 이동시킬 때 상기 바 컨베이어(4)의 바(4a)들에 고무시트(100)의 진입 여부를 확인하는 타이어 정련공정의 고무시트 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테이크 어웨이 컨베이어(3)의 구동롤러(7) 하방으로 여러 개의 재료 받침대(8)들이 일체로 장착된 회전축(9)과, 상기 회전축(9)의 한쪽 선단에 일체로 설치된 무게추(10) 및, 상기 무게추(10)의 회전을 감지하는 근접센서(11)를 구비하되, 상기 재료 받침대(8)는 테이크 어웨이 컨베이어(3)를 통해 이동된 고무시트(100)의 재료를 받아들이기 위해 고무시트(100)가 없는 상태에서 수평상태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무게추(10)가 설치된 회전축(9)에 수평상태로 유지되어 있으면서 여러 개가 회전축(9)에 등간격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정련공정의 고무시트 감지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60121828A 2016-09-23 2016-09-23 타이어 정련공정의 고무시트 감지장치 KR101922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828A KR101922408B1 (ko) 2016-09-23 2016-09-23 타이어 정련공정의 고무시트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828A KR101922408B1 (ko) 2016-09-23 2016-09-23 타이어 정련공정의 고무시트 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776A KR20180032776A (ko) 2018-04-02
KR101922408B1 true KR101922408B1 (ko) 2018-11-28

Family

ID=61976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1828A KR101922408B1 (ko) 2016-09-23 2016-09-23 타이어 정련공정의 고무시트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240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776A (ko) 2018-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39382B2 (en) Laundry transfer apparatus and method
KR20160072352A (ko) 저위투입구 믹서로더
KR101922408B1 (ko) 타이어 정련공정의 고무시트 감지장치
KR101196444B1 (ko) 컨베이어시스템의 통합모니터링장치 및 그 방법
US10823604B2 (en) Combination weighing device which uses different parameters to control conveying units
US10625950B2 (en) Conveying apparatus having a serrated impact bar
KR101801112B1 (ko) 정밀 성형 및 정량 이송가능한 고무 절단 시스템
CN107804681A (zh) 一种称重皮带给料机
KR100658290B1 (ko) 소결광 냉각용 쿨러의 대차 휠 이상유무 검출장치
KR102451489B1 (ko) 작동 제어구조를 갖는 파쇄장치
KR101572358B1 (ko) 슈트용 고착물 제거장치
KR20140018481A (ko) 이송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송공급방법
KR101574095B1 (ko) 주름혹 밑면 자동 버핑 장치
KR100827204B1 (ko) 파봉 장치
JP6925735B2 (ja) 物品供給装置
KR101529200B1 (ko) 컨베이어 벨트 감시 장치
KR102133100B1 (ko) 철편 검출기 테스트 장치
KR102095708B1 (ko) 모서리 가공용 밀링 시스템
KR20160031271A (ko) 용기 자동 세척장치
JP6429658B2 (ja) 食品生地搬出装置
JP2005246270A (ja) 塗布装置
CN109443722A (zh) 喷涂机喷嘴堵塞检测设备以及喷涂系统
JP6658055B2 (ja) ゴム押出機へのゴム材料供給装置および方法
CN220744391U (zh) 一种输料防堵系统
KR101335242B1 (ko) 시트 고무 건조장치 및 이를 갖는 타이어용 시트 고무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