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6444B1 - 컨베이어시스템의 통합모니터링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컨베이어시스템의 통합모니터링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6444B1
KR101196444B1 KR20100025417A KR20100025417A KR101196444B1 KR 101196444 B1 KR101196444 B1 KR 101196444B1 KR 20100025417 A KR20100025417 A KR 20100025417A KR 20100025417 A KR20100025417 A KR 20100025417A KR 101196444 B1 KR101196444 B1 KR 101196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belt
damaged
roller
bearing
surface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25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6161A (ko
Inventor
허인순
Original Assignee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주식회사 한진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주식회사 한진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00025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6444B1/ko
Publication of KR20110106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6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6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6444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Control Of Conveyo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시스템의 통합모니터링장치 및 그 방법은 석탄, 시멘트 등과 같은 중량물인 이송대상물을 이송하는 컨베이어시스템의 이송롤러의 표면온도를 검출하여 컨베이어벨트의 손상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관리자에게 통보함에 따라 컨베이어벨트의 손상에 대한 즉각적인 보수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컨베이어벨트의 구동을 위한 이송롤러의 베어링의 보수유지까지 적기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컨베이어시스템의 통합모니터링장치 및 그 방법{TOTAL MONITORING APPARATUS AMD METHOD OF CONVEYOR SYSTEM}
본 발명은 컨베이어시스템의 통합모니터링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석탄, 시멘트 등과 같은 이송대상물을 이송하는 컨베이어시스템의 이송롤러의 표면온도를 검출하여 컨베이어벨트의 손상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관리자에게 통보함에 따라 컨베이어벨트의 손상에 대한 즉각적인 보수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컨베이어벨트의 구동을 위한 이송롤러의 베어링의 보수유지까지 적기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컨베이어시스템의 통합모니터링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베이어시스템은 예를 들어 원석, 석탄, 시멘트 등과 같은 이송대상물을 하역설비로부터 적재장소까지 이송하는 이송라인이나 기타 이송설비에 주로 사용된다.
컨베이어시스템은 통상, 그 상부에 적재된 이송대상물을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벨트와, 컨베이어벨트의 양측에 설치되어 컨베이어벨트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풀리 및 리턴풀리와, 컨베이어벨트의 하부를 지지하여 컨베이어벨트의 처짐을 방지하는 이송롤러 및 리턴롤러와, 이송롤러를 소정의 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한다.
컨베이어어시스템은 해상하역설비로부터 적재장소로 이송대상물을 이송하는 라인과 같이 그 이송거리가 긴 경우에 다수의 컨베이어벨트가 일렬로 직열배열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이송방향을 전환시켜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부분에 이송방향의 전환을 위한 셔틀과 슈트가 설치되어 이송대상물이 다른 벨트컨베이어로 분기하여 이송될 수 있다.
그러나 이송대상물의 모서리나 날카롭거나 또는 이송대상물에 날카로운 철편 등이 혼입된 경우에는 컨베이어벨트에 손상이 발생됨에 따라 컨베이어벨트의 이송진행시 짧은 시간내에 컨베이어벨트가 길이방향으로 절개되거나, 또는 이송대상물의 하중에 따른 이송롤러와의 마찰에 의해 특정부분이 마모되면서 해당부분에 하중이 집중되면서 컨베이어벨트가 절개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러한 컨베이어벨트의 절개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컨베이어시스템의 컨베이어벨트의 손상 또는 절개여부를 감지하는 다양한 장치 및 방법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장치 및 방법들 중에 초음파감지기 또는 금속감지기를 이용한 감지장치 및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초음파감지기를 이용하여 컨베이어벨트의 절개여부를 감지하는 장치 및 방법의 경우에는, 초음파감지기가 이송물대상물에서 발생되는 분진 등에 의해 오동작하거나, 기타 다른 장치에 의한 노이즈에 의해 오동작하는 문제점이 있다.
금속감지기를 이용하여 컨베이어벨트의 절개여부를 감지하는 장치 및 방법의 경우에는 금속재 이외의 비철금속이나 다른 물질은 감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컨베이어벨트 자체가 이송대상물의 양이나 하중에 따라 그 형상이나 처짐량이 상이하여 컨베이어벨트의 손상 상태를 감지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비접촉식 컨베이어벨트 감지장치의 경우는 컨베이어벨트의 양측단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장치의 신호를 수신하여 벨트컨베이어의 작동을 제어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전술한 비접촉식 컨베이어벨트 감지장치의 경우에는 컨베이어벨트의 양측단의 위치와 컨베이어벨트의 하면의 높이의 연산을 통해 컨베이어벨트의 손상여부를 감지함에 따라 감지방법이 복잡하다.
그리고, 전술한 비접촉식 컨베이어벨트 감지장치는 이송대상물의 양이나 하중에 따라 컨베이어벨트 자체의 형상이나 처짐량이 상이하여 단순히 컨베이어벨트의 양측단의 위치와 컨베이어벨트의 하면의 높이의 연산을 통해 컨베이어벨트의 손상여부를 감지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전술한 비접촉식 컨베이어벨트 감지장치는 실제 컨베이어벨트가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컨베이어벨트의 양측단의 위치와 컨베이어벨트의 하면의 높이가 일정범위 이상 변화되어야만 실제적인 감지가 가능하여 사전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전술한 비접촉식 컨베이어벨트 감지장치는 이송롤러의 베어링과 같은 컨베이어벨트의 부품들의 손상에 대한 통합적인 모니터링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컨베이어시스템의 이송롤러의 표면온도를 검출하여 컨베이어벨트의 손상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관리자에게 통보함에 따라 컨베이어벨트의 손상에 대한 즉각적인 보수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과 관련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컨베이어벨트의 구동을 위한 이송롤러의 베어링의 보수유지까지 적기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시스템의 통합모니터링장치는 이송대상물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벨트와,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회전구동 및 지지를 위한 다수의 이송롤러를 포함하는 컨베이어시스템에 부가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와 상기 이송롤러의 베어링을 통합적으로 감시 및 관리하는 컨베이어시스템의 통합모니터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롤러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이송롤러의 표면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에 유무선통신망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손상여부와 상기 이송롤러의 베어링의 손상여부를 판단하는 관리서버와, 상기 관리서버에 유무선통신망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손상여부와 상기 이송롤러의 베어링의 손상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관리자단말기를 포함하는 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이송롤러의 표면온도가 기설정된 정상온도범위의 상한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컨베이어벨트가 손상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이송롤러의 표면온도가 기설정된 정상온도범위의 하한값 미만인 경우 상기 이송롤러의 베어링이 손상된 것으로 판단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온도센서는 레이져온도센서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이송롤러의 베어링에 대한 유지보수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정보처리를 통해 기설정된 교체주기마다 상기 관리자단말기로 상기 이송롤러의 베어링의 교체지시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리자단말기는 상기 관리서버에서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손상 또는 상기 이송롤러의 베어링의 손상에 대한 정보가 수신될 경우에 진동 또는 음향을 통해 이를 경고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시스템의 통합모니터링방법은, 이송대상물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벨트와,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회전구동 및 지지를 위한 다수의 이송롤러를 포함하는 컨베이어시스템을 통합적으로 감시 및 관리하기 위한 컨베이어시스템의 통합모니터링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송롤러들의 표면온도를 각각 측정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이송롤러들의 표면온도가 기설정된 정상온도범위 내인지 판단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이송롤러들의 표면온도가 기설정된 정상온도범위 내일 경우에 상기 이송롤러들의 표면온도를 재측정하고, 상기 이송롤러들의 표면온도가 기설정된 정상온도범위의 상한값을 초과할 경우에 상기 컨베이어벨트가 파손된 것으로 판단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에서 컨베이어벨트가 파손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송롤러들의 표면온도가 기설정된 정상온도범위의 하한값 미만일 경우에 상기 이송롤러의 베어링이 파손된 것으로 판단하는 제 5 단계와, 상기 제 5 단계에서 상기 이송롤러의 베어링이 파손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제 6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고신호는 진동 또는 음향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베이어시스템의 통합모니터링장치 및 그 방법은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컨베이어시스템의 이송롤러의 표면온도를 검출하여 컨베이어벨트의 손상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관리자에게 통보함에 따라 컨베이어벨트의 손상에 대한 즉각적인 보수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송대상물의 양이나 하중에 따른 컨베이어벨트 자체의 형상변화에 따른 처짐량에 관계없이 컨베이어벨트의 손상 상태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으며, 이송대상물에 의한 오작동이 방지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컨베이어시스템의 이송롤러의 표면온도를 검출하여 이송롤러의 베어링의 손상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관리자에게 통보함에 따라 이송롤러의 베어링의 손상에 대한 즉각적인 보수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송롤러의 베어링의 유지보수정보가 관리서버에서 관리됨에 따라 주기적인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시스템의 통합모니터링장치의 개략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시스템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시스템의 통합모니터링장치에 의한 통합모니터링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시스템의 통합모니터링장치에 있어서 관리서버에 의한 이송롤러의 베어링의 유지보수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시스템의 통합모니터링장치의 개략구조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벨트시스템의 일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시스템의 통합모니터링장치에 의한 통합모니터링방법의 순서도가 도시되며, 도 4에는 관리서버에 의한 이송롤러의 베어링의 유지보수순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시스템의 통합모니터링장치(1)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송대상물(7)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벨트(3)와, 컨베이어벨트(3)의 회전구동 및 지지를 위한 다수의 이송롤러(5)를 포함하는 컨베이어시스템에 부가적으로 설치되어, 컨베이어벨트(3)와 이송롤러(5)의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을 통합적으로 감시 및 관리하는 것으로, 이송롤러(5)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어 이송롤러(5)의 표면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0)와, 온도센서(10)에 유무선통신망(15)에 의해 연결되고 온도센서(10)의 측정신호를 수신하여 컨베이어벨트(3)의 손상여부와 이송롤러(5)의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의 손상여부를 판단하는 관리서버(20)와, 관리서버(20)에 유무선통신망(15)에 의해 연결되고 컨베이어벨트(3)의 손상여부와 이송롤러(5)의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의 손상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관리자단말기(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온도센서(10)는 컨베이어시스템의 통합모니터링을 위한 주요 파라미터인 이송롤러(5)의 표면온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각각의 이송롤러(5)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하부에 설치된다.
이때, 이송롤러(5)의 하부에는 컨베이어벨트(3)의 처짐 방지를 위한 지지롤러(5')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지지롤러(5')의 일측에도 온도센서(10)가 설치되도록 한다.
온도센서(10)는 서미스터나 열전대와 같은 접촉식 온도센서보다는 레이져온도센서 또는 적외선온도센서와 같은 비접촉식 온도센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온도센서(10)의 측정신호는 유무선통신망(15)을 통해 관리서버(20)로 전송되는데, 이 유무선통신망(15)은 공지된 유선통신망과, 예를 들어 무선주파수통신, 블루투스통신, 이더넷, 무선랜통신 등 공지된 무선통신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시스템은 도 2와 같이 구동모터(4)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풀리(2)와, 구동풀리(2)의 회전에 연동하는 리턴풀리(2')가 컨베이어벨트(3)에 의하여 연결되어 일방향으로 이송대상물(7)을 이송시키게 된다.
여기서, 이송롤러(5)는 중량물인 이송대상물(7)이 컨베이어벨트(3)의 이송방향을 벗어나 이탈하지 않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벨트(3)의 이송방향을 따라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이송롤러(5)는 구동풀리(2) 및 리턴풀리(2')와 경사를 이루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리서버(20)는 유무선통신망(15)을 통해 온도센서(10)의 측정신호를 수신하여 소정의 연산처리를 통해 컨베이어벨트(3)의 손상여부와 이송롤러(5)의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의 손상여부를 판단한 후 그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단말기(30)로 출력한다.
관리서버(20)는 기설정된 정상온도범위를 기준으로 온도센서(10)에 의해 측정된 이송롤러(5)의 표면온도가 기설정된 정상온도범위 내에 속하면 컨베이어벨트(3)나 이송롤러(5)의 베어링이 손상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관리서버(20)는 온도센서(10)에 의해 측정된 이송롤러(5)의 표면온도가 기설정된 정상온도범위를 벗어날 경우에 컨베이어벨트(3) 또는 이송롤러(5)의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이 손상된 것으로 판단한다.
컨베이어벨트(3)가 손상되면 이송롤러(5)에 과도한 마찰열이 발생하게 되므로, 관리서버(20)는 온도센서(10)에 의해 측정된 이송롤러(5)의 표면온도가 기설정된 정상온도범위의 상한값을 초과할 경우 컨베이어벨트(3)가 손상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이송롤러(5)의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이 손상되면 이송롤러(5)가 잘 회전되지 않음에 따라 컨베이어벨트(3)의 이송에 따른 마찰열이 감소하게 되므로, 관리서버(20)는 온도센서(10)에 의해 측정된 이송롤러(5)의 표면온도가 기설정된 정상온도범위의 하한값 미만인 경우 이송롤러(5)의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이 손상된 것으로 판단한다.
관리서버(20)에는 데이터베이스(25)가 구비되는데, 이 데이터베이스(25)는 컨베이어벨트(3)와 이송롤러(5)의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의 파손발생 및 유지보수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고 특히 각각의 이송롤러(5)의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의 교체정보 또는 기설정된 교체주기 등과 같은 유지보수정보가 저장된다.
따라서 관리서버(20)는 기설정된 교체주기마다 이송롤러(5)의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이 교체될 수 있도록 차후에 설명될 관리자단말기(30)로 이송롤러(5)의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의 교체지시를 전송하기도 한다.
전술한 관리서버(20)에는 유무선통신망(15)에 의해 관리자단말기(30)가 연결되는데, 이 관리자단말기(30)는 컨베이어벨트(3)의 손상여부와 이송롤러(5)의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의 손상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관리자가 그에 따른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통상의 컴퓨터단말기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관리자가 휴대 가능한 통상의 휴대용단말기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관리자단말기(30)는 관리서버(20)에서 컨베이어벨트(3)의 손상 또는 상기 이송롤러(5)의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의 손상에 대한 정보가 수신될 경우에 진동 또는 음향을 통해 이를 관리자에게 경고할 수 있도록 진동모듈 또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시스템의 통합모니터링장치(1)에 의한 통합모니터링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시스템의 통합모니터링장치(1)에 의한 통합모니터링방법은, 이송대상물(7)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벨트(3)와, 컨베이어벨트(3)의 회전구동 및 지지를 위한 다수의 이송롤러(5)를 포함하는 컨베이어시스템을 통합적으로 감시 및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통합모니터링방법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송롤러들(5)의 표면온도를 각각 측정하는 제 1 단계와, 이송롤러들(5)의 표면온도가 기설정된 정상온도범위 내인지 판단하는 제 2 단계와, 이송롤러들(5)의 표면온도가 기설정된 정상온도범위 내일 경우에 이송롤러들(5)의 표면온도를 재측정하고, 이송롤러들(5)의 표면온도가 기설정된 정상온도범위의 상한값을 초과할 경우에 컨베이어벨트(3)가 파손된 것으로 판단하는 제 3 단계와, 제 3 단계에서 컨베이어벨트(3)가 파손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 진동 또는 음향과 같은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이송롤러들(5)의 표면온도가 기설정된 정상온도범위의 하한값 미만일 경우에 이송롤러(5)의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이 파손된 것으로 판단하는 제 5 단계와, 제 5 단계에서 이송롤러의 베어링이 파손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 진동 또는 음향과 같은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제 6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온도센서(10)는 이송롤러(5) 각각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하부에 설치되어 이송롤러(5)의 표면온도를 측정하고, 이에 관한 측정신호를 유무선통신망(15)을 통하여 관리서버(20)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관리서버(20)는 기설정된 정상온도범위를 기준으로 온도센서(10)에 의해 측정된 이송롤러(5)의 표면온도가 기설정된 정상온도범위 내에 속할 경우에 컨베이어벨트(3)나 이송롤러(5)의 베어링이 손상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온도센서(10)에 의해 측정된 이송롤러(5)의 표면온도가 기설정된 정상온도범위를 벗어날 경우에 컨베이어벨트(3) 또는 이송롤러(5)의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이 손상된 것으로 판단하여 관리자단말기(30)로 진동 또는 음향과 같은 경고신호를 출력함으로써 관리자로 하여금 적절한 조치를 즉각 취할 수 있도록 한다.
통상, 컨베이어벨트(3)가 손상되면 이송롤러(5)에 과도한 마찰열이 발생하게 되므로, 관리서버(20)는, 온도센서(10)에 의해 측정된 이송롤러(5)의 표면온도가 기설정된 정상온도범위의 상한값을 초과할 경우 컨베이어벨트(3)가 손상된 것으로 판단한다.
통상, 이송롤러(5)의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이 손상되면 이송롤러(5)가 잘 회전되지 않음에 따라 컨베이어벨트(3)의 이송에 따른 마찰열이 감소하게 되므로, 관리서버(20)는, 온도센서(10)에 의해 측정된 이송롤러(5)의 표면온도가 기설정된 정상온도범위의 하한값 미만인 경우 이송롤러(5)의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이 손상된 것으로 판단하여, 관리자단말기(30)로 진동 또는 음향과 같은 경고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또한, 관리서버(20)에는 컨베이어벨트(3)와 이송롤러(5)의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의 파손발생 및 유지보수에 관한 정보와, 각각의 이송롤러(5)의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의 교체정보 또는 기설정된 교체주기 등과 같은 유지보수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25)가 구비됨에 따라, 이송롤러(5)의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이 기설정된 교체주기마다 교체될 수 있도록 지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관리서버(20)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이송롤러(5)의 베어링(도시되지 않음)마다 기설정된 교체주기가 도래했는지를 체크한다.
관리서버(20)는 전술한 체크를 통해 교체가 필요한 이송롤러(5)의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에 대한 정보가 추출되며, 이렇게 추출된 정보가 관리자단말기(30)로 출력됨에 따라, 관리자로 하여금 교체가 필요한 이송롤러(5)의 베어링(도시되지 않음)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교체된 이송롤러(5)의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에 대한 정보는 관리서버(20)에 다시 저장되어 그 정보가 갱신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시스템의 통합모니터링방법을 알고리즘화한 소프트웨어를 관리 서버(20) 및 관리자 단말기(30)에 설치하여 관리자가 컨베이어벨트(3) 및 이송롤러(5) 등의 이상유무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음은 물론, 이송롤러(5)의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에 대한 교체 주기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시스템의 통합모니터링방법을 알고리즘화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이송롤러(5) 뿐만 아니라, 구동풀리(2)와 리턴풀리(2') 등의 이상유무와 구동풀리(2)와 리턴풀리(2')의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에 대한 교체 주기도 파악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컨베이어시스템의 이송롤러의 표면온도를 검출하여 컨베이어벨트의 손상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관리자에게 통보함에 따라 컨베이어벨트의 손상에 대한 즉각적인 보수작업을 할 수 있고, 컨베이어벨트의 구동을 위한 이송롤러의 베어링의 보수유지까지 적기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컨베이어시스템의 통합모니터링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시스템의 통합모니터링장치
2...구동풀리 2'...리턴풀리
3...컨베이어벨트 4...구동모터
5...이송롤러 5'...지지롤러
7...이송대상물 10...온도감지센서
15...유무선통신망 20...관리서버
25...데이터베이스 30...관리자단말기

Claims (8)

  1. 이송대상물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벨트와,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회전구동 및 지지를 위한 다수의 이송롤러를 포함하는 컨베이어시스템에 부가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와 상기 이송롤러의 베어링을 통합적으로 감시 및 관리하는 컨베이어시스템의 통합모니터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롤러의 일측 각각 설치되어 상기 이송롤러의 표면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온도센서에 유무선통신망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손상여부와 상기 이송롤러의 베어링의 손상여부를 판단하는 관리서버; 및
    상기 관리서버에 유무선통신망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손상여부와 상기 이송롤러의 베어링의 손상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관리자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이송롤러의 표면온도가 기설정된 정상온도범위의 상한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컨베이어벨트가 손상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이송롤러의 표면온도가 기설정된 정상온도범위의 하한값 미만인 경우 상기 이송롤러의 베어링이 손상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시스템의 통합모니터링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이송대상물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벨트와,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회전구동 및 지지를 위한 다수의 이송롤러를 포함하는 컨베이어시스템을 통합적으로 감시 및 관리하기 위한 컨베이어시스템의 통합모니터링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송롤러들의 표면온도를 각각 측정하는 제 1 단계;
    상기 이송롤러들의 표면온도가 기설정된 정상온도범위 내인지 판단하는 제 2 단계;
    상기 이송롤러들의 표면온도가 기설정된 정상온도범위 내일 경우에 상기 이송롤러들의 표면온도를 재측정하고, 상기 이송롤러들의 표면온도가 기설정된 정상온도범위의 상한값을 초과할 경우에 상기 컨베이어벨트가 파손된 것으로 판단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에서 컨베이어벨트가 파손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시스템의 통합모니터링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롤러들의 표면온도가 기설정된 정상온도범위의 하한값 미만일 경우에 상기 이송롤러의 베어링이 파손된 것으로 판단하는 제 5 단계;
    상기 제 5 단계에서 상기 이송롤러의 베어링이 파손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제 6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시스템의 통합모니터링방법.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신호는 진동 또는 음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시스템의 통합모니터링방법.
KR20100025417A 2010-03-22 2010-03-22 컨베이어시스템의 통합모니터링장치 및 그 방법 KR101196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25417A KR101196444B1 (ko) 2010-03-22 2010-03-22 컨베이어시스템의 통합모니터링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25417A KR101196444B1 (ko) 2010-03-22 2010-03-22 컨베이어시스템의 통합모니터링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6161A KR20110106161A (ko) 2011-09-28
KR101196444B1 true KR101196444B1 (ko) 2012-11-01

Family

ID=45426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25417A KR101196444B1 (ko) 2010-03-22 2010-03-22 컨베이어시스템의 통합모니터링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64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6584A (ko) * 2018-05-02 2019-11-12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 보수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13824A (zh) * 2013-04-26 2013-07-24 刘旭珍 皮带防撕裂监控装置及方法
KR101656229B1 (ko) * 2014-12-19 2016-09-09 주식회사 포스코 루퍼 설비의 스윙 롤 조정 장치 및 방법
KR200486224Y1 (ko) * 2017-08-31 2018-04-18 한국발전기술주식회사 컨베이어 벨트 풀리의 손상 감지 시스템
CN107512550B (zh) * 2017-09-27 2020-07-17 武汉摩林翰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带式输送机的输送带损害监测装置及方法
KR101975398B1 (ko) * 2018-04-20 2019-05-07 허인순 컨베이어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975399B1 (ko) * 2018-04-27 2019-05-07 허인순 컨베이어벨트 이송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8340A (ja) * 1997-02-12 1998-08-18 Ntn Corp コンベアローラの異常検出装置
JPH11180534A (ja) 1997-12-22 1999-07-06 Mitsubishi Heavy Ind Ltd ベルトコンベアの高温部検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8340A (ja) * 1997-02-12 1998-08-18 Ntn Corp コンベアローラの異常検出装置
JPH11180534A (ja) 1997-12-22 1999-07-06 Mitsubishi Heavy Ind Ltd ベルトコンベアの高温部検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6584A (ko) * 2018-05-02 2019-11-12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 보수 장치 및 방법
KR102074363B1 (ko) 2018-05-02 2020-02-06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 보수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6161A (ko) 201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6444B1 (ko) 컨베이어시스템의 통합모니터링장치 및 그 방법
KR101975398B1 (ko) 컨베이어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US9221617B2 (en) Conveyor carriage position monitoring
KR20200025175A (ko) 컨베이어 고장 판단 장치 및 감시 방법
JP2018127333A (ja) ベルトコンベアの温度監視システム
KR20100087476A (ko) 벨트 컨베어의 리턴 롤러 결함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JP2023061942A (ja) 搬送システム検査装置(ドクター物流)
KR101626825B1 (ko) 컨베이어 벨트 사행 감지장치 및 표시장치
KR101140854B1 (ko) 철편 검출 장치 및 방법
JP7136153B2 (ja) センサ装置および異常監視装置
KR101529200B1 (ko) 컨베이어 벨트 감시 장치
JP2012006703A (ja) ベルトコンベア監視システム
JP6644341B1 (ja) 畜舎の予防保全システム
KR20110016785A (ko) 컨베이어 장치 및 그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
KR102162838B1 (ko) 컨베이어 벨트의 화재 예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컨베이어 벨트의 안전관리 시스템
CN112707112A (zh) 输送系统
KR100748121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수송물 떨어짐 검출장치
KR20120110316A (ko) 벨트 컨베이어 감지장치
JP2011136786A (ja) ベルトコンベヤ及び火災予防検知機能を搭載したベルトコンベヤ式連続アンローダ
JP7473085B2 (ja) ベルトの搬送状態検知装置、及びベルトの搬送状態検知方法
KR100588527B1 (ko) 고로 장입벨트의 리턴롤러 결함검출 시스템
US20180356276A1 (en) An improved conveyor weigh cell module
KR20150012011A (ko)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상태 감시 장치
WO2023171625A1 (ja) 搬送状態検知装置、及び搬送状態検知方法
KR102131671B1 (ko) 컨베이어 벨트의 손상 정도 검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