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2838B1 - 컨베이어 벨트의 화재 예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컨베이어 벨트의 안전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컨베이어 벨트의 화재 예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컨베이어 벨트의 안전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2838B1
KR102162838B1 KR1020190135731A KR20190135731A KR102162838B1 KR 102162838 B1 KR102162838 B1 KR 102162838B1 KR 1020190135731 A KR1020190135731 A KR 1020190135731A KR 20190135731 A KR20190135731 A KR 20190135731A KR 102162838 B1 KR102162838 B1 KR 102162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belt
temperature
fire
control unit
temperature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5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호
배상수
조유진
Original Assignee
(주)화승엑스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승엑스윌 filed Critical (주)화승엑스윌
Priority to KR1020190135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2838B1/ko
Priority to JP2019237893A priority patent/JP6982608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2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detecting dangerous physical condition of load carriers, e.g. for interrupting the drive in the event of overheat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66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load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22Heat or fir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컨베이어 벨트의 화재 예측 시스템이 적용된다. 일 예로, 상면에서 원료가 운송되도록 마련된 컨베이어 벨트;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소정간격으로 복수 개가 구비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하면을 지지하는 캐리어롤러;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 하면의 온도를 측정하는 복수 개의 제1 온도측정장치; 및 상기 제1 온도측정장치로부터 측정된 신호를 전송 받아 화재 위험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 구동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상기 제1 온도측정장치에서 측정되는 온도 변화를 감지하여, 화재 위험 원인을 검출하되, 상기 화재 위험 원인에는, 상기 캐리어롤러 및 상기 원료가 포함될 수 있다.

Description

컨베이어 벨트의 화재 예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컨베이어 벨트의 안전관리 시스템{FIRE PREDICTING SYSTEM FOR CONVEYOR BELT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컨베이어 벨트의 화재 예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컨베이어 벨트의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컨베이어 벨트는 모터 및 감속기 등을 이용하여 구동되며, 드라이브 풀리와 테일 풀리 사이에 벨트를 끼워 회전하면서 운반물을 운반한다.
제철소, 광산 등에 사용되는 산업용 컨베이어 벨트는 철광석, 코우크스, 석탄, 시메트 등 원료를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 상당량의 운반물을 장거리로 운송하는데, 컨베이어 벨트와 캐리어롤러 간의 연속적인 마찰로 발생되는 마찰열로 컨베이어 벨트의 발화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원료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원료들끼리의 물리적 마찰로 인해 자연 발화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의 발화나 원료의 자연 발화로 컨베이어 벨트가 절단되는 경우, 주변 작업자의 인명피해가 발생하거나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 전체로 화재가 전이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컨베이어 벨트의 발화 원인을 보다 정확하게 검출하고, 그 발화 원인의 위치를 파악하여 화재 발생 가능성을 미리 예측하여 화재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컨베이어 벨트 인명사고는 구동 중인 컨베이어 벨트 주변에 사람이 접근할 때 발생한다는 점에서, 사람이 접근하는 경우 이를 효율적으로 검출하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컨베이어 벨트의 발화 원인을 검출하고, 그 발화 원인의 위치를 파악하여 화재 발생 가능성을 미리 예측함으로써 화재 발생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컨베이어 벨트의 화재 예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컨베이어 벨트의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컨베이어 벨트 주변에 사람이 접근하여 인명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리 방지할 수 있는 컨베이어 벨트의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면에서 원료가 운송되도록 마련된 컨베이어 벨트;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소정간격으로 복수 개가 구비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하면을 지지하는 캐리어롤러;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 하면의 온도를 측정하는 복수 개의 제1 온도측정장치; 및 상기 제1 온도측정장치로부터 측정된 신호를 전송 받아 화재 위험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 구동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상기 제1 온도측정장치에서 측정되는 온도 변화를 감지하여, 화재 위험 원인을 검출하되, 상기 화재 위험 원인에는, 상기 캐리어롤러 및 상기 원료가 포함되는, 컨베이어 벨트의 화재 예측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컨베이어 벨트의 화재 예측 시스템에 따르면, 컨베이어 벨트의 발화 원인이 캐리어롤러 및 원료 중 어디에 있는지 신속하게 판단하여, 화재 발생 가능성을 미리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의 컨베이어 벨트의 화재 예측 시스템에 따르면, 컨베이어 벨트의 발화 원인이 된 캐리어롤러 및/또는 원료의 위치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판단하여, 화재 발생 가능성을 미리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의 컨베이어 벨트의 안전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작업자가 컨베이어 벨트 주변에 접근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검출하여 인명사고 발생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의 화재 예측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의 화재 예측 시스템의 상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의 화재 예측 시스템의 제어부에서 각 구동 시간에 따라 제1 온도측정장치에서 측정한 온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의 안전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내용을 더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이는 상기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 또는 '아래'에 바로 위치하거나 또는 그들 요소들 사이에 추가적인 요소가 개재될 수 있다는 의미를 모두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 또는 '하부' 라는 용어는 관찰자의 시점에서 설정된 상대적인 개념으로, 관찰자의 시점이 달라지면, '상부' 가 '하부'를 의미할 수도 있고, '하부'가 '상부'를 의미할 수도 있다.
복수의 도면들 상에서 동일 부호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기술되는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이하에서 지칭하는 컨베이어 벨트는, 컨베이어 시스템(또는 장치)와 컨베이어 용 벨트의 의미를 모두 갖고, 마모와 관련하여는 컨베이어 용 벨트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면에서 원료가 운송되도록 마련된 컨베이어 벨트;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소정간격으로 복수 개가 구비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하면을 지지하는 캐리어롤러;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 하면의 온도를 측정하는 복수 개의 제1 온도측정장치; 및 상기 제1 온도측정장치로부터 측정된 신호를 전송 받아 화재 위험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 구동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상기 제1 온도측정장치에서 측정되는 온도 변화를 감지하여, 화재 위험 원인을 검출하되, 상기 화재 위험 원인에는, 상기 캐리어롤러 및 상기 원료가 포함되는, 컨베이어 벨트의 화재 예측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예로, 상기 컨베이어 벨트 구동 시간의 흐름을 t1, t2, t3, (…), ty 이라 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 구동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상기 원료가 통과하는 순서로 배치되는 상기 제1 온도측정장치의 위치를 P1, P2, P3, (…), Px 이라 하며, ty 일 때, Px에서 측정된 온도를 T(Px, ty) 이라 할 때, 상기 제어부는 검출된 상기 T(Px, ty)을 정상온도와 주의온도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구분하고, 적어도 2개의 추세를 검출하되, 제1 추세로부터 화재 위험 원인이 된 상기 캐리어롤러의 위치를 검출하고, 제2 추세로부터 화재 위험 원인이 된 상기 원료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의온도가 T(Px, ty)에서 검출된 후, T(Px, ty+1), T(Px, ty+2), (…), T(Px, ty+z)이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 내에서 유지되는 경우, 상기 제1 추세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위험 원인이 된 상기 캐리어롤러의 위치를 Px 및 Px-1 사이 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주의온도가 T(Px, ty)에서 검출된 후, T(Px+1, ty+1), T(Px+2, ty+2), (…), T(Px+z, ty+z)이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 내에서 유지되는 경우, 상기 제2 추세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위험 원인이 된 상기 원료의 위치를 ty+z 시간에 Px+(z-1) 및 Px+(z+1) 사이 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의온도가 T(Px, ty)에서 검출된 후, T(Px, ty+1), T(Px, ty+2), (…), T(Px, ty+z)이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 내에서 유지되거나 상기 T(Px, ty) 보다 높은 경우; 및 T(Px+1, ty+1)에서 T(Px+z, ty+z)으로 갈수록, 측정된 온도가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화재 위험 원인이 된 상기 캐리어롤러의 위치를 Px 및 Px-1 사이 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의온도가 T(Px, ty)에서 검출된 후, T(Px+1, ty+1), T(Px+2, ty+2), (…), T(Px+z, ty+z)이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 내에서 유지되거나 상기 T(Px, ty) 보다 높은 경우; 및 T(Px, ty+1), T(Px+1, ty+2), (…), T(Px+(z-1), ty+z)이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 내의 정상온도에서 유지되는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화재 위험 원인이 된 상기 원료의 위치를 ty+z 시간에 Px+(z-1) 및 Px+(z+1) 사이 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면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측정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 구동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제2 온도측정장치에서 측정되는 온도 변화를 감지하여, 화재 위험 원인이 된 상기 원료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술한 컨베이어 벨트의 화재 예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온도측정장치에서 측정된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1 주의온도보다 높거나, 상기 제2 온도측정장치에서 측정된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2 주의온도보다 높은 경우, 알림을 발생시키는, 컨베이어 벨트의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알림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구동을 중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접근감지 발광부 및 상기 접근감지 발광부에서 방출된 광을 수신하는 접근감지 수광부를 포함하는 접근 감지 시스템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근감지 수광부에서 검출된 광의 범위가 미리 설정된 범위 이하인 경우, 알림을 발생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의 화재 예측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의 화재 예측 시스템의 상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컨베이어 벨트의 안전관리 시스템은, 컨베이어 벨트(1), 컨베이어 벨트 상으로 원료를 투입하는 원료투입부(2), 컨베이어 벨트를 지지하는 캐리어롤러(3), 캐리어롤러(3)를 지지하는 캐리어롤러 지지부(4), 컨베이어 벨트(1)의 말단에 배치되어 컨베이어 벨트(1)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테일풀리(tail pulley)부(5), 제1 온도측정장치(210), 제2 온도측정장치(220)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컨베이어 벨트(1) 상면에서 원료가 운송된다.
캐리어롤러(3)는 컨베이어 벨트(1)를 따라 소정간격으로 복수 개가 구비되어 컨베이어 벨트(1)의 하면을 지지한다.
제1 온도측정장치(210)는 컨베이어 벨트(1)의 측부에 복수 개가 배치되어, 컨베이어 벨트(1) 하면의 온도를 측정한다. 일 예로, 제1 온도측정장치(210)는 캐리어롤러(3)와 맞닿는 높이의 컨베이어 벨트(1) 하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제1 온도측정장치(210)로부터 측정된 신호를 전송 받아 화재 위험을 판단한다.
이때, 제어부는, 컨베이어 벨트 구동 시간의 흐름(t)에 따라 복수 개의 제1 온도측정장치(P)에서 측정되는 온도 변화(T)를 감지하여, 화재 위험 원인이 캐리어롤러(3) 및 원료(6) 중 어느 것인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3개의 변수로부터 도출된 3차원 그래프로부터 상기 화재 위험 원인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하 도 3 내지 도 7을 들어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의 화재 예측 시스템의 제어부에서 각 구동 시간에 따라 제1 온도측정장치에서 측정한 온도를 나타낸 그래프로, 3차원 그래프에서 컨베이어 벨트 구동 시간의 흐름(t)을 각각 고정변수로 하여 제1 온도측정장치(P)의 위치(x축)에 따른 온도(T)(y축) 변화를 2차원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한편, 도 3 내지 도 7의 그래프에서 마름모 형태의 표식은 정상온도를 지칭하고, 네모 및 동그라미 형태의 표식은 주의온도를 지칭한다. 또한, 도 1 및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제1 온도측정장치(P) 사이에 적어도 한 개의 캐리어롤러(3)가 배치되는 것을 전제한다.
즉, 화재 예측 시스템의 제어부는, 3개의 변수, 즉, 컨베이어 벨트 구동 시간의 흐름(t), 제1 온도측정장치(P), 및 측정된 온도(T)를 변수로 하여 도출된 3차원 그래프로부터 상기 화재 위험 원인의 위치 변수로부터 도출된 3차원 그래프로부터 화재 위험 원인을 판단한다.
먼저, 3개의 변수를 설명한다. 컨베이어 벨트 구동 시간의 흐름을 t1, t2, t3, (…), ty 이라 하고, 컨베이어 벨트 구동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상기 원료가 통과하는 순서로 배치되는 제1 온도측정장치의 위치를 P1, P2, P3, (…), Px 이라 하며, ty 일 때, Px에서 측정된 온도를 T(Px, ty) 이라 정의한다. 이때, x, y, z(후술함)는 모두 양수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검출된 상기 T(Px, ty)을 정상온도와 주의온도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주의온도는 온도 범위에 따라 복수의 단계로 추가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상온도는 컨베이어 벨트가 설치된 환경의 온도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오차 범위가 상기 제어부에 저장될 수 있고, 상기 주의온도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가 손상되거나 절단될 수 있는 온도로 상기 정상온도 보다 높은 온도 범위를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주의온도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구성하는 고무 소재인 폴리머의 유리전이온도(Tg), 내화성, 내구성 측정 결과 등으로부터 오차 범위가 미리 설정되어 상기 제어부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검출된 상기 T(Px, ty)로부터 3차원 그래프 상에서 적어도 2개의 추세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제1 추세로부터 화재 위험 원인이 된 캐리어롤러의 위치를 검출하고, 제2 추세로부터 화재 위험 원인이 된 상기 원료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는, 주의온도가 T(Px, ty)에서 검출된 후, T(Px, ty+1), T(Px, ty+2), (…), T(Px, ty+z)이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 내에서 유지되는 경우, 제1 추세로 판단할 수 있고, 상기 화재 위험 원인이 된 캐리어롤러의 위치를 Px과 Px-1 사이 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4 내지 도 7에서, t2 시간 이후 P2는 지속적으로 주의온도를 검출한다. 상기 제어부는 이 경우를 제1 추세로 판단, 즉, 화재 위험 원인이 캐리어롤러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는 또한, 화재 위험 원인이 된 캐리어롤러가 P2와 P1 사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는, 주의온도가 T(Px, ty)에서 검출된 후, T(Px+1, ty+1), T(Px+2, ty+2), (…), T(Px+z, ty+z)이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 내에서 유지되는 경우, 제2 추세로 판단할 수 있고, 상기 화재 위험 원인이 된 상기 원료의 위치를 ty+z 시간에 Px+(z-1) 및 Px+(z+1) 사이 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5 내지 도 7에서, 제어부는 t3 시간의 P5, t4 시간의 P6, t5 시간의 P7은 지속적으로 주의온도를 검출한다. 상기 제어부는 이 경우를 제2 추세로 판단, 즉, 화재 위험 원인이 원료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는 또한, 화재 위험 원인이 된 원료가 t5 시간에서 P6 및 P8 사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는, 주의온도가 T(Px, ty)에서 검출된 후, T(Px, ty+1), T(Px, ty+2), (…), T(Px, ty+z)이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 내에서 유지되거나 상기 T(Px, ty) 보다 높은 경우; 및 T(Px+1, ty+1)에서 T(Px+z, ty+z)으로 갈수록, 측정된 온도가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만족하는 경우, 화재 위험 원인이 된 캐리어롤러의 위치를 Px 및 Px-1 사이 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4 내지 도 7에서, 제어부는 t2 시간 이후 P2는 지속적으로 주의온도를 검출하고, T(P3, t3), T(P4, t4), T(P5, t5)로 진행될수록 측정된 온도가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검출한다. 상기 제어부는 이 경우를 제1 추세로 판단, 즉, 화재 위험 원인이 캐리어롤러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는 또한, 화재 위험 원인이 된 캐리어롤러가 P2와 P1 사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는, 주의온도가 T(Px, ty)에서 검출된 후, T(Px+1, ty+1), T(Px+2, ty+2), (…), T(Px+z, ty+z)이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 내에서 유지되거나 상기 T(Px, ty) 보다 높은 경우; 및 T(Px, ty+1), T(Px+1, ty+2), (…), T(Px+(z-1), ty+z)이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 내의 정상온도에서 유지되는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만족하는 경우, 화재 위험 원인이 된 원료의 위치를 ty+z 시간에서 Px+(z-1) 및 Px+(z+1) 사이 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5 내지 도 7에서, 제어부는 t3 시간의 P5, t4 시간의 P6, t5 시간의 P7은 지속적으로 주의온도를 검출하고, T(P5, t4), T(P6, t5)이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 내의 정상온도에서 유지되는 것으로 검출한다. 상기 제어부는 이 경우를 제2 추세로 판단, 즉, 화재 위험 원인이 원료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는 또한, 화재 위험 원인이 된 원료가 t5 시간에서 P6 및 P8 사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온도측정장치는, 적외선 온도측정 장치가 적용될 수 있고, Pyrometer가 적용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컨베이어 벨트의 화재 예측 시스템은, 컨베이어 벨트(1)의 상면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측정장치(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온도측정장치(220)는, 예를 들어, 열화상카메라(thermal imaging camera)가 적용되어, 컨베이어 벨트 상면의 온도를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고, 특히, 발화되는 원료를 즉각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는, 컨베이어 벨트 구동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제2 온도측정장치(220)에서 측정되는 온도 변화를 감지하여, 화재 위험 원인이 된 원료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의 안전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8를 참조하면, 컨베이어벨트의 안전관리 시스템은 화재예측부(30), 접근감지부(40) 및 제어부(10)를 포함한다.
화재예측부(30)는 전술한 컨베이어 벨트의 화재 예측 시스템이 적용되고, 제어부(10)는 전술한 제어부가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0)는 화재예측부(20)의 제1 온도측정장치(210)에서 측정된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1 주의온도보다 높거나, 제2 온도측정장치(220)에서 측정된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2 주의온도보다 높은 경우, 알림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알림은 컨베이어 벨트의 구동을 중지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접근감지부(40)는 접근감지 발광부(310) 및 접근감지 발광부(310)에서 방출된 광을 수신하는 접근감지 수광부(320)를 포함하는 접근 감지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근감지 발광부(310) 및 접근감지 수광부(320)는 컨베이어 벨트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고,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컨베이어 벨트에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거리는, 컨베이어 벨트의 크기, 구동 속도, 원료 물질의 종류 등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0)는, 접근감지 수광부(320)에서 검출된 광의 범위가 미리 설정된 범위 이하인 경우, 알림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작업자가 접근감지 발광부(310)와 접근감지 수광부(320) 사이를 통과함에 따라 접근감지 수광부(320)에서 검출된 광의 범위가 미리 설정된 범위 이하인 경우, 제어부는 작업자가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위험한 거리까지 접근한 것으로 판단하여, 알림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알림은 컨베이어 벨트의 구동을 중지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의 범위는, 광량, 검출 면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접근감지 발광부(310)가 횡 방향으로 광을 방출하는 경우, 작업자의 접근 정도에 따라 접근감지 수광부(320)에서 검출되는 광의 검출 면적 범위가 달라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알림 단계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알림 단계는, 작업자가 컨베이어 벨트에 접근함에 따라, 접근감지 알림, 경고 알림, 컨베이어 벨트 구동 중단으로 구분하여 알림을 발생시킴으로써, 작업자가 구동 중인 컨베이어 벨트 근처로 접근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은 이해를 돕기 위해 각각의 구성요소를 주체로 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각 구성요소의 두께, 길이, 개수 등은 도면 작성의 진행상, 실제와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각 구성요소의 재질이나 형상, 치수 등은 한 예로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효과에서 실질적으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1: 컨베이어 벨트
2: 원료투입부
3: 캐리어롤러
4: 캐리어롤러 지지부
5: 테일풀리부
6: 원료
10: 제어부
30: 화재예측부
40: 점근감지부
210: 제1 온도측정장치
220: 제2 온도측정장치
310: 접근감지 발광부
320: 접근감지 수광부

Claims (12)

  1. 상면에서 원료가 운송되도록 마련된 컨베이어 벨트;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소정간격으로 복수 개가 구비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하면을 지지하는 캐리어롤러;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 하면의 온도를 측정하는 복수 개의 제1 온도측정장치; 및
    상기 제1 온도측정장치로부터 측정된 신호를 전송 받아 화재 위험을 판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 구동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상기 제1 온도측정장치에서 측정되는 온도 변화를 감지하여, 화재 위험 원인을 검출하되,
    상기 화재 위험 원인에는, 상기 캐리어롤러 및 상기 원료가 포함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 구동 시간의 흐름을 t1, t2, t3, (…), ty 이라 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 구동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상기 원료가 통과하는 순서로 배치되는 상기 제1 온도측정장치의 위치를 P1, P2, P3, (…), Px 이라 하며,
    ty 일 때, Px에서 측정된 온도를 T(Px, ty) 이라 할 때,
    상기 제어부는 검출된 상기 T(Px, ty)을 정상온도와 주의온도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구분하고, 적어도 2개의 추세를 검출하되,
    제1 추세로부터 화재 위험 원인이 된 상기 캐리어롤러의 위치를 검출하고,
    제2 추세로부터 화재 위험 원인이 된 상기 원료의 위치를 검출하는, 컨베이어 벨트의 화재 예측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의온도가 T(Px, ty)에서 검출된 후, T(Px, ty+1), T(Px, ty+2), (…), T(Px, ty+z)이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 내에서 유지되는 경우, 상기 제1 추세로 판단하는, 컨베이어 벨트의 화재 예측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위험 원인이 된 상기 캐리어롤러의 위치를 Px 및 Px-1 사이 인 것으로 판단하는, 컨베이어 벨트의 화재 예측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의온도가 T(Px, ty)에서 검출된 후, T(Px+1, ty+1), T(Px+2, ty+2), (…), T(Px+z, ty+z)이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 내에서 유지되는 경우, 상기 제2 추세로 판단하는, 컨베이어 벨트의 화재 예측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위험 원인이 된 상기 원료의 위치를 ty+z 시간에 Px+(z-1) 및 Px+(z+1) 사이 인 것으로 판단하는, 컨베이어 벨트의 화재 예측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의온도가 T(Px, ty)에서 검출된 후,
    T(Px, ty+1), T(Px, ty+2), (…), T(Px, ty+z)이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 내에서 유지되거나 상기 T(Px, ty) 보다 높은 경우; 및
    T(Px+1, ty+1)에서 T(Px+z, ty+z)으로 갈수록, 측정된 온도가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화재 위험 원인이 된 상기 캐리어롤러의 위치를 Px 및 Px-1 사이 인 것으로 판단하는, 컨베이어 벨트의 화재 예측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의온도가 T(Px, ty)에서 검출된 후,
    T(Px+1, ty+1), T(Px+2, ty+2), (…), T(Px+z, ty+z)이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 내에서 유지되거나 상기 T(Px, ty) 보다 높은 경우; 및
    T(Px, ty+1), T(Px+1, ty+2), (…), T(Px+(z-1), ty+z)이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 내의 정상온도에서 유지되는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화재 위험 원인이 된 상기 원료의 위치를 ty+z 시간에 Px+(z-1) 및 Px+(z+1) 사이 인 것으로 판단하는, 컨베이어 벨트의 화재 예측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면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측정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 구동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제2 온도측정장치에서 측정되는 온도 변화를 감지하여, 화재 위험 원인이 된 상기 원료의 위치를 검출하는, 컨베이어 벨트의 화재 예측 시스템.
  10. 청구항 1 및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의 화재 예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온도측정장치에서 측정된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1 주의온도보다 높거나,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면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측정장치에서 측정된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2 주의온도보다 높은 경우, 알림을 발생시키는, 컨베이어 벨트의 안전관리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알림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구동을 중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컨베이어 벨트의 안전관리 시스템.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접근감지 발광부 및 상기 접근감지 발광부에서 방출된 광을 수신하는 접근감지 수광부를 포함하는 접근 감지 시스템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근감지 수광부에서 검출된 광의 범위가 미리 설정된 범위 이하인 경우, 알림을 발생시키는, 컨베이어 벨트의 안전관리 시스템.
KR1020190135731A 2019-10-29 2019-10-29 컨베이어 벨트의 화재 예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컨베이어 벨트의 안전관리 시스템 KR102162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731A KR102162838B1 (ko) 2019-10-29 2019-10-29 컨베이어 벨트의 화재 예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컨베이어 벨트의 안전관리 시스템
JP2019237893A JP6982608B2 (ja) 2019-10-29 2019-12-27 コンベアベルトの安全管理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731A KR102162838B1 (ko) 2019-10-29 2019-10-29 컨베이어 벨트의 화재 예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컨베이어 벨트의 안전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2838B1 true KR102162838B1 (ko) 2020-10-07

Family

ID=72883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5731A KR102162838B1 (ko) 2019-10-29 2019-10-29 컨베이어 벨트의 화재 예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컨베이어 벨트의 안전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28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5683B1 (ko) * 2021-11-17 2022-08-24 (주)화승코퍼레이션 컨베이어 벨트의 마모확인 장치, 화재 예측 시스템, 작업자의 접근 감지 시스템, 자동교정이 가능한 표면상태 검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베이어 벨트의 통합 관리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121Y1 (ko) * 2002-01-09 2002-08-13 파츠닉(주) 하나의 센서를 이용한 안전 감지 장치
KR101147501B1 (ko) * 2010-07-01 2012-05-30 (주)세네카 벨트 컨베이어의 화재감지장치
KR101274136B1 (ko) * 2011-08-31 2013-06-11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컨베이어벨트의 열감지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121Y1 (ko) * 2002-01-09 2002-08-13 파츠닉(주) 하나의 센서를 이용한 안전 감지 장치
KR101147501B1 (ko) * 2010-07-01 2012-05-30 (주)세네카 벨트 컨베이어의 화재감지장치
KR101274136B1 (ko) * 2011-08-31 2013-06-11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컨베이어벨트의 열감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5683B1 (ko) * 2021-11-17 2022-08-24 (주)화승코퍼레이션 컨베이어 벨트의 마모확인 장치, 화재 예측 시스템, 작업자의 접근 감지 시스템, 자동교정이 가능한 표면상태 검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베이어 벨트의 통합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64919B1 (en) Chain wear monitoring method and apparatus
CN103964196B (zh) 物品分类设备
EP3290364B1 (en) Conveyor belt wear monitoring system
CN107531428A (zh) 具有基于物品特性的转移率的滑动分选器弹出式分流输送机
KR102162838B1 (ko) 컨베이어 벨트의 화재 예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컨베이어 벨트의 안전관리 시스템
CN209506830U (zh) 输送机系统和用于控制其输送机元件中的张力的控制器
CN106429305B (zh) 一种输送线堵包检测方法和装置
JP2021175691A (ja) コンベヤベルトの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US11148887B2 (en) Conveying and sorting apparatus
KR20200001723A (ko) 컨베이어 벨트의 물품 간격 조절 시스템 및 방법
US20200189854A1 (en) Monitoring system for conveyor belt
CN108698765B (zh) 输送带的磨损检测装置
KR101196444B1 (ko) 컨베이어시스템의 통합모니터링장치 및 그 방법
US9063096B2 (en) Device for inspecting small pharmaceutical products
KR102435683B1 (ko) 컨베이어 벨트의 마모확인 장치, 화재 예측 시스템, 작업자의 접근 감지 시스템, 자동교정이 가능한 표면상태 검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베이어 벨트의 통합 관리 시스템
JP2021070587A (ja) コンベアベルトの摩耗確認装置、コンベアベルトの火災予測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たコンベアベルトの安全管理システム
KR101813111B1 (ko) 이송물의 이송 상태 측정 장치
KR101529200B1 (ko) 컨베이어 벨트 감시 장치
JP6712564B2 (ja) 異物検知装置
KR101581545B1 (ko) 슈트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송장치
KR101837905B1 (ko) 벨트 컨베이어를 갖는 원료 이송 시스템
TW202239632A (zh) 有軌道台車
JP2017061375A5 (ko)
KR102074363B1 (ko) 벨트 컨베이어 보수 장치 및 방법
KR101411854B1 (ko) 리크레이머의 충돌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