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1419B1 - 다기능 집중화 구조의 플라이 휠 커버 - Google Patents

다기능 집중화 구조의 플라이 휠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1419B1
KR101921419B1 KR1020170068232A KR20170068232A KR101921419B1 KR 101921419 B1 KR101921419 B1 KR 101921419B1 KR 1020170068232 A KR1020170068232 A KR 1020170068232A KR 20170068232 A KR20170068232 A KR 20170068232A KR 101921419 B1 KR101921419 B1 KR 101921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flywheel cover
flow path
flywheel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8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국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8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14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1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1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1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 B63H21/14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relating to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2Arrangements of lubricant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3/00Liquid cooling
    • F01P3/20Cooling circuits not specific to a single part of engine or mach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51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controlling the engagement or disengagement between engine and starter, e.g. meshing of pinion and engine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00Frames or casing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Frames serving as machinery beds
    • F16M1/02Frames or casing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Frames serving as machinery beds for reciprocating engines or similar machines
    • F16M1/026Frames or casing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Frames serving as machinery beds for reciprocating engines or similar machines for housing movable engine or machine parts other than crankshafts, e.g. valve-gear 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ubric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이 휠 커버가 가지는 고유의 기능 이외에, 예를 들면, 윤활유 통로와 엔진 냉각수 통로 역할을 부여하여 배관 구성을 삭제하거나 단순화시키고, 각종의 엔진 보조 기기의 탑재 및 안내 역할을 부여하여 부품 수를 줄이고 조립성을 향상시킨 다기능 집중화 구조의 플라이 휠 커버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집중화 구조의 플라이 휠 커버는, 엔진 블록(100)의 단부에 장착되고 크랭크축(200)의 출력 측 단부가 연결되는 플라이 휠의 외부를 감싸 보호하는 플라이 휠 커버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 휠 커버(400)의 몸체 배면에, 상기 엔진 블록(100)의 내부에 천공된 윤활유 유로(104)의 출구에 마주하여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윤활유 유로(104)를 나오는 윤활유가 유입되는 윤활유 유입 홈(412); 상기 윤활유 유입 홈(412)으로부터 상기 플라이 휠 커버(400)의 몸체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내부 유로; 상기 내부 유로로부터 플라이 휠 커버(400)의 몸체 배면으로 나가는 형태를 가지고, 출구가 상기 엔진 블록(100)에 천공된 피스톤 윤활용 오일제트 공급유로(102)의 입구에 마주하여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오일제트 향 출구유로(415);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다기능 집중화 구조의 플라이 휠 커버{Flywheel Cover Structured for Multi-functionalization and Centralization}
본 발명은 엔진의 플라이 휠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라이 휠 커버가 가지는 고유의 기능 이외에, 예를 들면, 윤활유 통로와 엔진 냉각수 통로 역할을 부여하여 배관 구성을 삭제하거나 단순화시키고, 각종의 엔진 보조 기기의 탑재 및 안내 역할을 부여하여 부품 수를 줄이고 조립성을 향상시킨 다기능 집중화 구조의 플라이 휠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추진용, 해양 플랜트, 육상 플랜트 등은 엔진 구조물은, 엔진을 유지 및 보수하기 위한 플랫폼 구조물을 비롯한 부수적인 구조물 및 설비들을 위한 공간까지 추가로 확보하여야 하므로, 엔진 구조물의 설치를 위한 공간은 협소하고 매우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예를 들어, 선박에서는 화물 적재 공간을 우선적으로 확보하여야 하기 때문에 엔진 및 감속기 등의 파워 트레인 및 플랫폼 구조물들을 설치하기 위한 엔진 룸의 공간은 협소해질 수밖에 없으며, 이는 소형의 선박일 경우 더욱 그러하다.
따라서 현대 및 미래의 엔진 설비는, 출력과 연비의 관점에서의 효율의 향상이라는 전통적인 과제와 함께, 엔진 구조물이나 부대설비의 규모를 축소하고, 각종 배관이나 보조기기 등도 효율성을 높이고, 조립, 분해,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배치와 정렬(arrangement) 상태를 가질 수 있도록 하며, 환경오염도 줄이기 위한 과제들도 해결해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자들은, 엔진의 열효율을 종래와 동등하게 유지하거나 더욱 향상시킴과 함께, 엔진 냉각수 순환계통, 윤활유 순환계통, 흡기 계통, 배기 계통을 포함하여 펌프, 블로어, 모터 등의 엔진 보조 기기들을 부분별로 적정하고 합리적으로 조화시켜 집중화, 모듈화, 통합화, 소형화 및 단순화의 관점에서 재구성하는 연구를 계속해 오고 있다.
또한, 엔진 보조기기 및 부속 장치들을 포함하는 구조물들의 조립, 분해 및 유지보수를 쉽게 할 수 있도록 재배치하면서 엔진의 외관이 단순하고 일목요연하게 정렬되도록 하며, 엔진 룸 내부를 언제나 깨끗하게 유지하여 작업자에게 쾌적한 엔진룸을 제공하기 위한 연구도 계속해 오고 있다.
이러한 연구 중 하나로서, 본 발명자들은 엔진 냉각수, 윤활유 및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통로나 배관을 간결하게 함과 동시에 엔진 외부에 복잡하고 무질서한 배관 연결을 피하기 위해 엔진 블록 내부에 윤활유 통로나 냉각수 통로를 직접 뚫어 마련하는 설계를 계속해 오고 있다.
하지만, 위와 같이 윤활유 통로나 냉각수 통로를 엔진 블록에 직접 뚫어 형성하더라도, 주변의 다른 부분과 연계하여 함께 조화시키지 못하면, 엔진 블록에서 실린더 헤드로 가는 배관 등과 같은 부분은 여전히 남아 있고, 또한 엔진 블록에서 외부로 나가는 연결부의 구성이나 위치 설정에도 한계가 있으며, 다른 엔진 보조기기와의 조화도 어렵게 되는 등, 여전히 개선의 여지가 많이 남아있다.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6-0101222호 공보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개발한 것으로서, 전술한 엔진 블록에 윤활유 통로나 냉각수 통로를 직접 뚫어 형성하는 것에 연계할 수 있도록 최적화된 다기능 집중화 구조의 플라이 휠 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엔진 플라이 휠 커버를, 그것이 가지는 고유의 기능 이외에, 엔진 블록의 윤활유 통로와 냉각수 통로를 실린더 헤드, 엔진 각부 또는 외부로 연결할 수 있는 최적화된 통로의 역할을 부여함으로써, 엔진 외부로 드러나는 배관 구성을 삭제하거나 단순화시키는 설계를 가능케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플라이 휠 커버에 각종의 엔진 보조 기기를 탑재하거나 안내하는 역할을 부여함으로써, 부품 수를 줄이고 각종 엔진 보조 기기의 조립성과 정비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집중화 구조의 플라이 휠 커버는, 엔진 블록(100)의 단부에 장착되고 크랭크축(200)의 출력 측 단부가 연결되는 플라이 휠의 외부를 감싸 보호하는 플라이 휠 커버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 휠 커버(400)의 몸체 배면에, 상기 엔진 블록(100)의 내부에 천공된 윤활유 유로(104)의 출구에 마주하여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윤활유 유로(104)를 나오는 윤활유가 유입되는 윤활유 유입 홈(412); 상기 윤활유 유입 홈(412)으로부터 상기 플라이 휠 커버(400)의 몸체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내부 유로; 상기 내부 유로로부터 플라이 휠 커버(400)의 몸체 배면으로 나가는 형태를 가지고, 출구가 상기 엔진 블록(100)에 천공된 피스톤 윤활용 오일제트 공급유로(102)의 입구에 마주하여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오일제트 향 출구유로(415);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휠 커버에서, 상기 내부 유로는, 상기 윤활유 유입 홈(412)으로부터 플라이 휠 커버(400)의 몸체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 유로(413); 상기 제1 유로(413)로부터 플라이 휠 커버(400)의 몸체 내부로 재연장되어 상기 오일제트 향 출구유로(415)와 만나는 제2 유로(414);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휠 커버에서, 상기 윤활유 유입 홈(412) 또는 상기 내부 유로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플라이 휠 커버(400)의 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엔진 블록(100)의 캠축 윤활유 공급유로(106)에 연결되는 캠축 윤활유 순환유로(4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휠 커버에서, 상기 캠축 윤활유 순환유로(420)는, 상기 내부 유로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플라이 휠 커버(400)의 몸체 측면을 관통해 나오는 형태로 형성되는 캠축 향 출구유로(422); 상기 캠축 향 출구유로(422)와 상기 엔진 블록(100)의 캠축 윤활유 공급유로(106)의 입구를 연결하는 연결관(423);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휠 커버에서, 상기 플라이 휠 커버(400)의 몸체 배면에, 상기 엔진 블록(100)의 내부에 천공된 냉각수 배출유로(108)의 출구에 마주하여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냉각수 배출유로(108)를 나오는 냉각수가 유입되는 냉각수 유입통로(431); 상기 냉각수 유입통로(431)로부터 상기 플라이 휠 커버(400)의 몸체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내부 냉각수 통로; 상기 내부 냉각수 통로로부터 플라이 휠 커버(400)의 몸체 측방 외부로 천공되어 냉각수 배출용 외부 배관이 접속되는 배출 통로(434); 를 포함하는 냉각수 순환 통로(43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내부 냉각수 통로는, 상기 냉각수 유입통로(431)로부터 플라이 휠 커버(400)의 몸체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 통로(432); 상기 제1 통로(432)로부터 플라이 휠 커버(400)의 몸체 내부로 재연장되어 상기 배출 통로(434)와 만나는 제2 통로(433);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수 유입통로(431), 제1 통로(432) 및 제2 통로(433)는 상기 플라이 휠 커버(400)의 몸체 좌우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 통로(434)는 상기 플라이 휠 커버(400)의 몸체 좌우 양측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되며; 좌, 우 양측에 형성되는 제2 통로(433)는 좌우 연결통로(435)로 연결되어 상기 배출 통로(434)에 합류하여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휠 커버에서, 상기 플라이 휠 커버(400)의 몸체 상단부에는 엔진 블록(100) 내부의 오일 미스트를 배출하기 위한 덕트 부재(600)를 안착시켜 장착하기 위한 덕트 장착부(440)가 형성되고; 상기 플라이 휠 커버(400)의 몸체 내부에는, 상기 엔진 블록(100) 내부의 오일 미스트를 상기 덕트 부재(600)로 유도하기 위한 오일 미스트 유도로(44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휠 커버에서, 상기 플라이 휠 커버(400)의 몸체의 측방에는, 스타트 모터(500)의 피니언 기어(504)를 수용하고, 배면에서 스타트 모터(500)의 플랜지(502)를 장착하기 위한 스타트 모터 장착부(450)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플라이 휠 커버(400)의 스타트 모터 장착부(450)의 외주면에는 연료 분사량 조절을 위한 거버너(700)를 장착하기 위한 거버너 장착면(46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휠 커버에서, 상기 플라이 휠 커버(400)의 상단에는, 거버너(700)의 속도 조절 링크 중 수평 운동 축(710)의 좌우방향 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부(470)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부(470)에는 상기 수평 운동 축(710)이 좌우 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관통하는 미끄럼 안내공(47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휠 커버에서, 상기 플라이 휠 커버(400)의 일측 외주에는 상기 플라이 휠 커버(400)를 수동으로 회전시키는 정비용 터닝 기어(800)의 장착을 위한 터닝 기어 장착부(480)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윤활유 순환 유로의 구성을 구비함과 함께, 그것에 더하여 냉각수 순환 통로의 구성, 오일 미스트 배출을 위한 구성, 스타스 모터를 장착하기 위한 구성, 거버너를 장착하고 링크를 안내하기 위한 구성, 그리고 정비용 터닝 기어를 장착하기 위한 구성까지 구비한 다기능 집중화 구조의 플라이 휠 커버ㄱ가 구현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휠 커버와 엔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반대쪽에서 바라본 상태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휠 커버를 배면 쪽(엔진 블록에 붙는 쪽)에서 바라본 상태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엔진 블록으로부터 플라이 휠 커버로의 윤활유 유입 통로를 보여줌과 함께, 엔진 블록 내의 오일 미스트 배출 통로를 보여주는 종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휠 커버의 윤활유 통로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 블록과 플라이 휠 커버의 피스톤 냉각용 오일 제트 윤활용 유로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5의 오일 제트용 제2 유로(414)의 중심을 기준으로 한 평단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 블록과 플라이 휠 커버의 캠축 윤활용 유로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5의 제3 유로(424)의 중심을 기준으로 한 평단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 블록과 플라이 휠 커버의 냉각수 통로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3의 플러그의 중심을 기준으로 한 평단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제2 통로(433)를 기준으로 한 종단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타트 모터 장착부와 거버너 장착부를 나타내는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을 전면 쪽에서 바라본 단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거버너 장착부 및 그것의 속도 조절 샤프트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부, 그리고 정비용 회전 기어 조립부를 전반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거버너 속도조절용 수평 운동 축 및 가이드 부를 나타내는 종단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정비용 회전 기어 조립부를 나타내는 종단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플라이 휠 커버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V-형 엔진의 엔진 블록과, 그 엔진 블록에 맞는 플라이 흴 커버를 하나의 예로서 도시하고 설명하지만, 다른 엔진(예를 들면, 직렬형 엔진)에서도 동일한 기술 사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휠 커버와 엔진을 도시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의 반대쪽에서 바라본 상태로 도시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엔진 블록(100)에 설치되는 크랭크축(200)의 출력 측 단부에 플라이 휠(300)이 장착된다. 플라이 휠 커버(400)는, 플라이 휠(300)의 외부를 감싸 수용하는 상태로 엔진 블록(100)에 결합 되어서, 크랭크축(200)과 함께 회전하는 플라이 휠(300)을 보호(즉, 작업자를 보호)하는 한편, 크랭크축(200)을 통해 윤활유가 누출되지 못하도록 밀봉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플라이 휠 커버(400)에는 용도에 따라 변속장치의 케이스(예: 클러치 하우징 또는 변속기 케이스 등), 발전기 터빈 등이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휠 커버(400)는, 위와 같은 고유의 역할에 더하여, 앞에서 설명한 엔진 구조물의 단순화, 집중화, 통합화, 모듈화 등의 과제에 효과적으로 부합하기 위한 다양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이를 위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휠 커버(400)는, 캠축 윤활유 순환유로(420)를 제공하고, 냉각수 순환 통로(430)를 제공하고, 오일 미스트(oil mist) 배출용 덕트 부재(600)를 플라이 휠 커버(400) 측에 배치하기 위한 덕트 장착부(440)를 제공하고, 스타트 모터(500)를 장착하기 위한 스타트 모터 장착부(450)를 제공하고, 연료 분사량 조절을 위한 거버너(governor)를 장착하기 위한 거버너 장착면(460) 및 그것의 수평 운동 축(710)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부(470)를 제공하며, 정비용 터닝 기어(800)를 장착하기 위한 터닝 기어 장착부(480)(도 12 및 도 13 참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휠 커버(400)는, 이러한 다양한 기능들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면서, 구조적으로는 단순하고 기능적으로는 우수한 형태를 가지도록 연구 및 설계되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휠 커버(4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윤활유 순환 유로의 구성>
도 3에는 플라이 휠 커버(400)의 배면(여기서는, 엔진 블록(100)에 밀착하는 면을 말한다) 쪽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7에는 윤활유 순환 유로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휠 커버(400)는, 엔진 블록(100)으로부터 엔진의 각 활동부에 공급되는 윤활유의 순환 유로의 역할을 부여하여 엔진 구조물 외부에 설치되는 배관을 제거 또는 최소화한 구조를 가진다.
이를 위해, 플라이 휠 커버(400)의 몸체 배면에는 엔진 블록(100)으로부터 나오는 윤활유를 받아 피스톤 윤활용 오일제트에 다시 공급하기 위한 오일제트 순환유로(410)가 형성된다. 이에 더하여, 엔진 블록(100)으로부터 나오는 윤활유를 받아 캠축의 활동부에 윤활유를 다시 공급하기 위한 캠축 윤활유 순환유로(420)가 형성된다.
오일제트 순환유로(410)는, 엔진 블록(100)으로부터 나오는 윤활유를 유입시키기 위한 윤활유 유입 홈(412)을 구비하고, 윤활유 유입 홈(412)으로부터 플라이 휠 커버(400)의 몸체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내부 유로를 구비하며, 내부 유로로부터 플라이 휠 커버(400)의 몸체 배면으로 나가서 엔진 블록(100) 측으로 다시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오일제트 향 출구유로(415)를 구비한다.
오일제트 순환유로(410)의 윤활유 유입 홈(412)은, 플라이 휠 커버(400)의 배면 상부에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된다. 내부 유로(추후 설명)는, 윤활유 유입 홈(412)으로부터 플라이 휠 커버(400)의 몸체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오일제트 향 출구유로(415)는 상기 내부 유로로부터 엔진 블록(100)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도 4는 윤활유 유입 홈(412)의 중심을 기준으로 한 종단면 사시도이다. 윤활유 유입 홈(412)은 엔진 블록(100)의 내부에 천공된 윤활유 유로(104)의 출구에 마주하여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윤활유 유로(104)를 통해 나오는 윤활유는 윤활유 유입 홈(412)으로 들어온다.
도 5는 도 3의 도면부호 '417', 즉, 플러그(417)의 중심을 기준으로 한 종단면도이고, 도 6은 횡단면도이다. 오일제트 순환유로(410)의 내부 유로는 플라이 휠 커버(400)의 몸체 내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오일제트 향 출구유로(415)는, 내부 유로로부터 플라이 휠 커버(400)의 몸체 배면으로 나가는 형태를 가지며, 그것의 출구는 엔진 블록(100)에 천공된 피스톤 윤활용 오일제트 공급유로(102)의 입구에 마주하여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내부 유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윤활유 유입 홈(412)으로부터 몸체를 하향 경사져 관통하는 형태의 제1 유로(413)와, 제1 유로(413)로부터 수평으로 관통하는 제2 유로(414)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엔진 블록(100)으로부터 나오는 윤활유는, 다른 배관을 거치지 않고, 윤활유 유입 홈(412)으로 유입된 후, 제1,2 유로(413, 414)로 이루어지는 내부 유로를 통해 몸체 내부를 흐르며, 이어서 오일제트 향 출구유로(415)를 통해 엔진 블록(100)의 피스톤 윤활용 오일제트 공급유로(102)로 공급된다.
제1 유로(413) 및 제2 유로(414)는, 각각 몸체의 외측에서 드릴과 같은 천공 공구를 통해 형성되며, 천공을 위한 입구 부분은 플러그(416, 417)로 막아둔다.
다음으로, 캠축 윤활유 순환유로(420)는, 상기 오일제트 순환유로(410)와 연계하여 오일제트 순환유로(410)의 일부분을 공통으로 이용하는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중복을 피하고 구조를 단순하게 구성하기에 적합한 구성을 가진다.
즉, 캠축 윤활유 순환유로(420)는, 윤활유 유입 홈(412) 또는 내부 유로로부터 분기되어 플라이 휠 커버(400)의 몸체의 다른 곳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엔진 블록(100)의 캠축 윤활유 공급유로에 연결된다.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캠축 윤활유 순환유로(420)는, 오일제트 순환유로(410)의 제1 유로(413)의 일측으로부터 분기되어 플라이 휠 커버(400)의 몸체 측면을 관통해 나오는 형태의 캠축 향 출구유로(422)를 구비하고, 캠축 향 출구유로(422)를 엔진 블록(100)에 형성된 캠축 윤활유 공급유로(106)의 입구까지 연결하는 연결관(423)을 구비한다. 엔진의 외부로 연결관(423)이라고 하는 하나의 단순한 구조의 배관만을 드러내면서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423)의 단부에는 연결 플랜지(424)가 용접되어 있고, 이 연결 플랜지(424)를 캠축 윤활유 공급유로(106)가 있는 엔진 블록(100)에 결합 된다.
<냉각수 순환 통로의 구성>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휠 커버(400)는, 엔진을 냉각하고 귀환하는 엔진 냉각수를 엔진 블록(100)의 몸체 내부 및 플라이 휠 커버(400)의 몸체 내부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엔진 구조물 외부에 배치할 배관을 제거함과 함께, 외부 연결 배관의 접속부를 플라이 휠 커버(400)의 측면에 배치함으로써 엔진 구조물의 혼잡을 줄이고 정비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외부 연결 배관의 조립과 정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구조를 가진다.
이를 위해, 플라이 휠 커버(400)에는 엔진 블록(100)으로부터 나오는 냉각수를 받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냉각수 순환 통로(430)가 형성된다.
도 3,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플라이 휠 커버(400)의 냉각수 순환 통로(430)는, 플라이 휠 커버(400)의 몸체 배면에 형성되는 냉각수 유입통로(431), 냉각수 유입통로(431)로부터 플라이 휠 커버(400)의 몸체 내부를 관통하는 내부 냉각수 통로, 그리고 내부 냉각수 통로로부터 플라이 휠 커버(400)의 몸체 측방 외부로 천공되는 배출 통로(434)를 포함한다.
냉각수 유입통로(431)는, 엔진 블록(100)의 내부에 천공된 냉각수 배출유로(108)의 출구에 마주하여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냉각수 배출유로(108)를 나오는 냉각수가 유입되도록 한다.
내부 냉각수 통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수 유입통로(431)로부터 플라이 휠 커버(400)의 몸체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 통로(432)와, 제1 통로(432)로부터 플라이 휠 커버(400)의 몸체 내부로 재연장되어 배출 통로(434)와 만나는 제2 통로(433)를 포함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수 유입통로(431), 제1 통로(432) 및 제2 통로(433)는 플라이 휠 커버(400)의 몸체 좌우 양측에 형성되고, 배출 통로(434)는 플라이 휠 커버(400)의 몸체 좌우 양측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되며, 좌, 우 양측에 형성되는 제2 통로(433)는 좌우 연결통로(435)로 연결되어 배출 통로(434)에 합류하여 배출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V-형 엔진에 적합한 구조이다. 또한, 배출 통로(434)는, 플라이 휠 커버(400)의 몸체 하단부에 가깝게 형성하면, 외부 접속 배관의 설치 위치를 낮추어 엔진 구조물의 복잡함을 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출 통로(434)가 엔진 블록(100)이 아니라 플라이 휠 커버(400)에 형성됨과 함께 측방에 설치하는 것에 의해, 엔진 냉각수의 배출을 위한 배관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엔진 구조물의 복잡함을 피할 수 있으며, 조립과 정비성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오일 미스트 배출을 위한 구성>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휠 커버(400)에는 엔진 블록(100) 내부에서 발생한 오일 미스트를 엔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구조가 연계되어 있다.
이를 위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이 휠 커버(400)에는 오일 미스트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덕트 부재(600)가 장착된다.
덕트 부재(600)는 부유하는 오일 미스트를 선별적으로 배출하기 위해 플라이 휠 커버(400)의 상단에 장착된다.
플라이 휠 커버(400)의 몸체 상단부에는 덕트 부재(600)를 안착시켜 장착하기 위한 덕트 장착부(440)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이 휠 커버(400)의 몸체 내부에는, 엔진 블록(100) 내부의 오일 미스트를 덕트 부재(600)로 유도하기 위한 오일 미스트 유도로(442)가 형성된다.
덕트 부재(600)의 내부에는, 플라이 휠 커버(400)의 오일 미스트 유도로(442)와 연결되는 미스트 배출 통로(602)가 형성된다.
엔진 블록(100)에서 발생 된 오일 미스트는, 플라이 휠 커버(400)에 형성된 오일 미스트 유도로(442)로 유입되고, 덕트 부재(600)의 미스트 배출 통로(60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스타스 모터를 장착하기 위한 구성>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휠 커버(400)에는 시동 시 플라이 휠(300)을 돌려주기 위한 스타트 모터의 장착부의 역할도 부여된다.
도 1 내지 도 3, 그리고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이 휠 커버(400)의 몸체의 측방에는, 스타트 모터 장착부(450)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스타트 모터 장착부(450)는, 스타트 모터(500)의 피니언 기어(504)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한편, 그것의 배면(즉, 엔진 블록 방향)에서 스타트 모터(500)의 플랜지(502)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면을 제공한다.
스타트 모터 장착부(450)가 플라이 휠 커버(400)의 몸체 측방으로 일체로 돌출된 형태를 가지고, 스타트 모터(500)를 배면으로부터 장착하도록 함으로써, 스타트 모터를 장착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예; 브래킷 등)이 필요치 않고, 스타트 모터(500)의 착탈이 자유로우며, 스타트 모터(500)의 돌출량도 최소화할 수가 있다.
<거버너를 장착하고 링크를 안내하기 위한 구성>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휠 커버(400)에는, 연료펌프의 플런저 회전용 랙을 구동하여 연료 분사량을 조절하는 거버너를 장착하고, 거너버와 랙을 연결하는 링크의 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역할도 함께 부여된다.
도 1,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이 휠 커버(400)의 스타트 모터 장착부(450)의 외주면에는 연료 분사량 조절을 위한 거버너(700)를 장착하기 위한 거버너 장착면(460)이 형성된다.
즉, 스타트 모터 장착부(450)를 거버너(700) 장착을 위한 장착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거버너(700)의 장착을 위해, 거버너 장착면(460)에는 선반(720)이 장착되고, 선반(720) 위에 거버너(700)가 안착 되어 고정된다.
거버너(700)로부터는 연표 펌프의 랙을 구동하기 위한 속도 조절 링크가 연결된다. 속도 조절 링크는, V-형 엔진의 좌우 연료펌프의 랙을 구동하기 위해 수평 운동 축(710)을 구비한다. 이 수평 운동 축(710)은, 연료 분사량의 정밀한 제어를 위해 정밀하게 안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플라이 휠 커버(400)의 상단에는, 거버너(700)의 수평 운동 축(710)의 좌우방향 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부(470)가 형성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부(470)에는, 수평 운동 축(710)이 좌우 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관통하는 미끄럼 안내공(472)이 형성된다.
이처럼, 별도의 장치 없이 플라이 휠 커버(400)를 통해 거버너(700)의 수평 운동 축(710)의 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정비용 터닝 기어를 장착하기 위한 구성>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휠 커버(400)에는, 엔진 정비(예를 들면, 점화 시기 조정 등) 시, 작업자가 수동으로 플라이 휠(30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정비용 터닝 기어를 장착할 수 있는 장착부의 역할도 함께 부여된다.
도 2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이 휠 커버(400)의 일측 외주에는, 플라이 휠 커버(400)를 수동으로 회전시키는 정비용 터닝 기어(800)의 장착을 위한 터닝 기어 장착부(480)가 돌출 형성된다.
터닝 기어 장착부(480)는, 공간 설계상, 전술한 스타트 모터 장착부(450)의 반대측에 형성하는 것이 정비성이나 조립성의 측면에서 더욱 유리하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비용 터닝 기어(800)는, 하우징(802)의 내부에 조작 기어(804)와 아이들 기어(806)가 구비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조작 기어(804)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돌리기 위한 기어이고, 아이들 기어(806)는 링 기어(302)에 맞물려서 조작 기어(804)의 회전력을 링 기어(302)에 전달하는 기어이다.
플라이 휠 커버(400)의 터닝 기어 장착부(480)에는 정비용 터닝 기어(800)ㅇ의 하우징(802)이 장착된다.
100: 엔진 블록
102: 오일 제트 공급유로
104: 윤활유 유로
106: 캠축 윤활유 공급유로
108: 냉각수 배출유로
300: 플라이 휠
302: 링 기어
400: 플라이 휠 커버
410: 오일제트 순환유로
412: 윤활유 유입 홈
413: 제1 유로
414: 제2 유로
415: 오일제트 향 출구유로
416: 플러그
417: 플러그
420: 캠축 윤활유 순환유로
422: 캠축 향 출구유로
423: 연결관
430: 냉각수 순환 통로
431: 유입 통로
432: 제1 통로
433: 제2 통로
434: 배출 통로
435: 좌우 연결통로
440: 덕트 장착부
450: 스타트 모터 장착부
460: 거버너 장착부
470: 가이드 부
472: 미끄럼 안내공
480: 터닝 기어 장착부
500: 스타트 모터
502: 플랜지
504: 피니언 기어
700: 거버너
710: 수평 운동 축
720: 선반
800: 정비용 터닝 기어
802: 하우징
804: 조작 기어
806: 아이들 기어

Claims (12)

  1. 엔진 블록(100)의 단부에 장착 고정되고 크랭크축(200)의 출력 측 단부가 연결되는 플라이 휠의 외부를 감싸 보호하는 플라이 휠 커버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 휠 커버(400)의 몸체 배면에, 상기 엔진 블록(100)의 내부에 천공된 윤활유 유로(104)의 출구에 마주하여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윤활유 유로(104)를 나오는 윤활유가 유입되는 윤활유 유입 홈(412);
    상기 윤활유 유입 홈(412)으로부터 상기 플라이 휠 커버(400)의 몸체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 유로(413);
    상기 제1 유로(413)의 한 지점으로부터 분기되는 제2 유로(414)와, 상기 제2 유로(414)로부터 상기 플라이 휠 커버(400)의 몸체 배면을 향해 굽어져 나가는 형태로 연장되며 출구가 상기 엔진 블록(100)의 몸체에 천공되어 있는 피스톤 윤활용 오일제트 공급유로(102)의 입구에 마주하여 연결되는 오일제트 향 출구유로(415)를 포함하는 오일제트 순환유로(410);
    상기 제1 유로(413)의 다른 한 지점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오일제트 순환유로(410)와 다른 방향으로 상기 플라이 휠 커버(400)의 몸체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엔진 블록(100)의 몸체에 천공되어 있는 캠축 윤활유 공급유로(106)의 입구에 마주하여 연결되는 캠축 윤활유 순환유로(420);를 구비하며,
    상기 윤활유 유입 홈(412)을 통해 상기 엔진 블록(100)으로부터 플라이 휠 커버(400)의 몸체 내부로 유입된 윤활유가 상기 제1 유로(413)를 통해 오일제트 순환유로(410)와 캠축 윤활유 순환유로(420)로 분배되어 각각 상기 엔진 블록(100)의 몸체에 천공되어 있는 피스톤 윤활용 오일제트 공급유로(102)와 캠축 윤활유 공급유로(106)로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 휠 커버.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캠축 윤활유 순환유로(420)는,
    상기 제1 유로(413)의 상기 다른 한 지점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플라이 휠 커버(400)의 몸체 측면을 관통해 나오는 형태로 형성되는 캠축 향 출구유로(422);
    상기 캠축 향 출구유로(422)와 상기 엔진 블록(100)의 캠축 윤활유 공급유로(106)의 입구를 연결하는 연결관(42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 휠 커버.
  5. 제1항에서,
    상기 플라이 휠 커버(400)의 몸체 배면에, 상기 엔진 블록(100)의 내부에 천공된 냉각수 배출유로(108)의 출구에 마주하여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냉각수 배출유로(108)를 나오는 냉각수가 유입되는 냉각수 유입통로(431);
    상기 냉각수 유입통로(431)로부터 상기 플라이 휠 커버(400)의 몸체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내부 냉각수 통로;
    상기 내부 냉각수 통로로부터 플라이 휠 커버(400)의 몸체 측방 외부로 천공되어 냉각수 배출용 외부 배관이 접속되는 배출 통로(434); 를 포함하는 냉각수 순환 통로(43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 휠 커버.
  6. 제5항에서,
    상기 내부 냉각수 통로는,
    상기 냉각수 유입통로(431)로부터 플라이 휠 커버(400)의 몸체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 통로(432); 및
    상기 제1 통로(432)로부터 플라이 휠 커버(400)의 몸체 내부로 재연장되어 상기 배출 통로(434)와 만나는 제2 통로(43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 휠 커버.
  7. 제6항에서,
    상기 냉각수 유입통로(431), 제1 통로(432) 및 제2 통로(433)는 상기 플라이 휠 커버(400)의 몸체 좌우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 통로(434)는 상기 플라이 휠 커버(400)의 몸체 좌우 양측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되며,
    좌, 우 양측에 형성되는 제2 통로(433)는 좌우 연결통로(435)로 연결되어 상기 배출 통로(434)에 합류하여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 휠 커버.
  8. 제1항에서,
    상기 플라이 휠 커버(400)의 몸체 상단부에는 엔진 블록(100) 내부의 오일 미스트를 배출하기 위한 덕트 부재(600)를 안착시켜 장착하기 위한 덕트 장착부(440)가 형성되고,
    상기 플라이 휠 커버(400)의 몸체 내부에는, 상기 엔진 블록(100) 내부의 오일 미스트를 상기 덕트 부재(600)로 유도하기 위한 오일 미스트 유도로(44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 휠 커버.
  9. 제1항에서,
    상기 플라이 휠 커버(400)의 몸체의 측방에는,
    스타트 모터(500)의 피니언 기어(504)를 수용하고, 배면에서 스타트 모터(500)의 플랜지(502)를 장착하기 위한 스타트 모터 장착부(450)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 휠 커버.
  10. 제9항에서,
    상기 플라이 휠 커버(400)의 스타트 모터 장착부(450)의 외주면에는 연료 분사량 조절을 위한 거버너(700)를 장착하기 위한 거버너 장착면(46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 휠 커버.
  11. 제1항 또는 제10항에서,
    상기 플라이 휠 커버(400)의 상단에는, 거버너(700)의 속도 조절 링크 중 수평 운동 축(710)의 좌우방향 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부(470)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부(470)에는 상기 수평 운동 축(710)이 좌우 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관통하는 미끄럼 안내공(47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 휠 커버.
  12. 제1항에서,
    상기 플라이 휠 커버(400)의 일측 외주에는 상기 플라이 휠 커버(400)를 수동으로 회전시키는 정비용 터닝 기어(800)의 장착을 위한 터닝 기어 장착부(480)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 휠 커버.
KR1020170068232A 2017-06-01 2017-06-01 다기능 집중화 구조의 플라이 휠 커버 KR101921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8232A KR101921419B1 (ko) 2017-06-01 2017-06-01 다기능 집중화 구조의 플라이 휠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8232A KR101921419B1 (ko) 2017-06-01 2017-06-01 다기능 집중화 구조의 플라이 휠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1419B1 true KR101921419B1 (ko) 2018-11-22

Family

ID=64557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8232A KR101921419B1 (ko) 2017-06-01 2017-06-01 다기능 집중화 구조의 플라이 휠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14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04207A (zh) * 2024-02-04 2024-03-15 常州莱可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轻量化具有散热功能的发动机飞轮壳体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08589A (ja) * 2014-06-26 2016-01-18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のフライホイール冷却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08589A (ja) * 2014-06-26 2016-01-18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のフライホイール冷却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04207A (zh) * 2024-02-04 2024-03-15 常州莱可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轻量化具有散热功能的发动机飞轮壳体
CN117704207B (zh) * 2024-02-04 2024-04-12 常州莱可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轻量化具有散热功能的发动机飞轮壳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7169B2 (en) Cooling oil delivery structure for a vehicular generator, and engine including same
US7322318B2 (en) Cooling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engine incorporating same
JPWO2014010653A1 (ja) 車両用エンジンの潤滑システム
US8893609B2 (en) Engine component including breather apparatus, and engine body incorporating same
KR101921419B1 (ko) 다기능 집중화 구조의 플라이 휠 커버
ITTO20060006A1 (it) Motore a combustione interna.
JP2000199417A (ja) 内燃機関のオイル通路
JP2000110532A (ja) 油圧制御装置付エンジンのオイル通路構造
JP2010138844A (ja) エンジンの潤滑油冷却構造
JP2006266207A (ja) エンジンの潤滑油供給装置
JP2021152366A (ja) エンジン装置
JP4505984B2 (ja) 内燃機関の動弁装置への給油構造
US6637399B2 (en) Lubrication structure in OHC engine
JP2000337164A (ja) エンジン装置
KR100407020B1 (ko) 4사이클 ohc엔진에 있어서의 윤활구조
JP6082603B2 (ja) 内燃機関
US20210088043A1 (en) Inline piston pump
JP2009250216A (ja) エンジン
KR200410564Y1 (ko) 디젤엔진의 기어 드라이브구조
JP2018178832A (ja) ギア潤滑機構
JP4403026B2 (ja) 燃料噴射ポンプの潤滑構造
JP2000337116A (ja) エンジン装置
JP2008180135A (ja) 燃料噴射ポンプ潤滑構造
JPH0692725B2 (ja) エンジンのオイルパン装置
JP2009097350A (ja) エンジ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