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1391B1 - 에어 공구 - Google Patents

에어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1391B1
KR101921391B1 KR1020167001644A KR20167001644A KR101921391B1 KR 101921391 B1 KR101921391 B1 KR 101921391B1 KR 1020167001644 A KR1020167001644 A KR 1020167001644A KR 20167001644 A KR20167001644 A KR 20167001644A KR 101921391 B1 KR101921391 B1 KR 101921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upply
exhaust
air
exhaust pipe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1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2891A (ko
Inventor
야스마사 스즈키
Original Assignee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22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2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1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1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5Hydraulic 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1/00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 B24B21/18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3/00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6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with abrasive belts, e.g. with endless travell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9/00Portable percussive tools with fluid-pressure drive, i.e. driven directly by fluids, e.g. having several percussive tool bits operated simultaneously
    • B25D9/06Means for driving the impulse member
    • B25D9/12Means for driving the impulse member comprising a built-in liquid motor, i.e. the tool being driven by hydraulic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2Construction of casings, bodies or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50/00General details of portable percussive tools; Components used in portable percussive tools
    • B25D2250/121Housing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50/00General details of portable percussive tools; Components used in portable percussive tools
    • B25D2250/125Hydraulic tool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Portable Power Tools In General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과제) 배기의 단열 팽창에 의한 하우징의 냉각을 저감시키도록 배기관을 구성한 에어 공구를 제공하는 것.
(해결 수단) 에어 모터 (12) 에 의해 구동되는 에어 공구에 있어서, 에어 모터 (12) 를 수용하는 에어 모터 수용부 (21), 및 그 에어 모터 수용부 (21) 로부터 연장되어 후방 개구단 (22) 에까지 도달하는 통상의 급배기관 수용부 (24) 를 갖는 공구 하우징 (20) 과, 공구 하우징 (20) 의 급배기관 수용부 (24) 의 내부에 배치된 급기관 (41) 및 배기관 (42) 을 구비하도록 한다. 당해 에어 공구에 있어서는, 배기관 (42) 을 급배기관 수용부 (24) 와는 별체로 형성하고 있다. 또, 배기관 (42) 과 급배기관 수용부 (24)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도록 하여, 배기관 (42) 과 급배기관 수용부 (24) 사이의 단열성을 높이도록 하고 있다.

Description

에어 공구{AIR TOOL}
본 발명은 에어 모터를 압축 공기에 의해 구동시키도록 된 에어 공구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에어 공구로는, 무단 (無端) 연삭 벨트를 회전 구동시켜 연삭 작업을 실시하는 벨트 연삭 공구 (특허문헌 1) 나 볼트 등의 체결 작업을 실시하는 에어 임펙트 렌치 (특허문헌 2)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에어 공구에서는, 내장된 에어 모터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급기 유로를 구성하는 급기관이 그립부를 구성하는 하우징 내에 형성되어 있다. 또, 하우징과 급기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에어 모터로부터 배출되는 압축 공기를 배기하기 위한 배기 유로로서 이용하도록 하고 있다.
일본 특허 제491297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38267호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에어 공구에 있어서는, 에어 모터로부터 나온 직후의 압축 공기가 단열 팽창되어 그 온도가 저하되므로 하우징의 에어 모터를 수용하고 있는 부분이 냉각됨과 함께, 온도가 저하된 압축 공기가 배기 유로를 통과함으로써 하우징의 배기 유로를 구성하고 있는 부분도 냉각되게 된다. 하우징은 작업자가 작업 중에 잡는 그립부를 구성하고 있으므로, 작업자는 차가워진 하우징을 계속 잡지 않으면 안 되게 된다. 특히, 겨울철 등은 장갑을 끼고 있지 않으면 작업을 계속할 수 없을 만큼 차가워지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크게 저해될 우려가 있다. 또, 하우징 내를 직접 배기가 흐르고 있으므로, 에어 모터로부터 배기되는 압축 공기에 함유되는 작동유가 하우징의 간극이나 이음매로부터 외부로 누출되어 그립부가 오염되기 쉽고, 그에 따라 작업성이 저해될 우려도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배기의 단열 팽창에 의한 하우징의 냉각을 저감시키도록 배기관을 구성한 에어 공구를 제공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또, 작동유가 하우징의 그립부 상에 누출되지 않도록 배기관을 구성한 에어 공구를 제공하는 것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에어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에어 공구에 있어서,
상기 에어 모터를 수용하는 에어 모터 수용부, 및 그 에어 모터 수용부로부터 연장되어 후방 개구단에까지 도달하는 통상의 급배기관 수용부를 갖는 공구 하우징으로서, 상기 에어 모터 수용부가, 상기 에어 모터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 공기 입구와 상기 에어 모터로부터 압축 공기를 배출하는 압축 공기 출구를 갖고, 상기 압축 공기 입구와 상기 압축 공기 출구가 상기 급배기관 수용부 내에 개구되어 있는 공구 하우징과,
상기 공구 하우징의 상기 급배기관 수용부의 내부에 배치된 급기관으로서, 상기 후방 개구단 근방에 위치하여 압축 공기 공급원으로부터의 압축 공기를 받아들이는 급기 입구, 상기 압축 공기 입구에 연통되는 급기 출구, 및 상기 급기 입구로부터 상기 급기 출구까지 연장되는 급기 유로를 갖는 급기관과,
상기 공구 하우징의 상기 급배기관 수용부의 내부에 배치된 배기관으로서, 상기 압축 공기 출구에 연통되는 배기 입구, 상기 후방 개구단 근방에 위치하여 압축 공기를 상기 급배기관 수용부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 출구, 및 상기 배기 입구로부터 상기 배기 출구까지 연장되는 배기 유로를 갖는 배기관을 구비하고,
상기 배기관이, 상기 급배기관 수용부와는 별체로 형성된 에어 공구를 제공한다.
당해 에어 공구에 있어서는, 공구 하우징 내에 배치된 배기관이, 공구 하우징의 급배기관 수용부와는 별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단열 팽창에 의해 냉각된 배기가 공구 하우징을 직접 냉각시키는 것을 회피할 수 있고, 이로써, 공구 하우징이 차가워지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배기가 급배기관 수용부에 직접 접하지 않고 외부로 배기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배기되는 압축 공기 중의 작동유가 급배기관 수용부의 간극으로부터 밖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기관이, 상기 급배기관 수용부의 측벽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배치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배기관과 급배기관 수용부 사이에 간극을 형성함으로써 배기관과 급배기관 수용부 사이의 단열 효과를 높여, 단열 팽창된 배기에 의한 공구 하우징의 냉각을 더욱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기관은, 그 일부에 있어서 상기 급배기관 수용부와 걸어 맞추어져 그 급배기관 수용부에 의해 지지되도록 되고, 그 배기관의 일부 및 그 일부가 걸어 맞추어지는 상기 급배기관 수용부의 적어도 일방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그 배기관의 일부 및 그 일부가 걸어 맞추어지는 상기 급배기관 수용부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배기관이 급배기관 수용부와 걸어 맞추도록 함으로써, 급배기관 수용부가 배기관에 의해 지지되므로, 공구 하우징의 강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한 상기 간극이 형성되므로, 급배기관 수용부의 냉각을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급기관이, 상기 급배기관 수용부와는 별체로 형성되고, 상기 급배기관 수용부의 측벽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배치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배기관과 함께 급기관도 급배기관 수용부와 별체로 형성되므로, 그것들이 급배기관 수용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급기관과 급배기관 수용부의 측벽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배기관이 압축 공기의 단열 팽창에 의해 냉각되는 것에 수반하여 냉각되는 급기관에 의해 공구 하우징이 직접 냉각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급기관 및 상기 배기관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급기관과 배기관이 일체로 되어 하나의 부재로 되어 있으므로, 제조시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급기관의 상기 급기 출구가 상기 배기관의 상기 배기 입구의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급기관의 상기 급기 입구가 상기 배기관의 상기 배기 출구보다 하방에 위치하며,
상기 급기관의 상기 급기 유로는, 상기 급기 입구로부터 상기 급기 출구까지 대략 직선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배기관은, 상기 배기 입구와 상기 배기 출구 사이의 중간 부분에서 좌우 2 개로 나뉜 제 1 및 제 2 중간 부분을 갖고, 그 제 1 및 제 2 중간 부분이 상기 급기관을 양측에서 사이에 두도록 연장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방」 「하방」이란, 「에어 모터 수용부」를 전방 위치로 하고, 「급배기관 수용부」를 그 에어 모터 수용부로부터 대략 수평 방향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설정한 경우의 위치 관계로, 당해 에어 공구의 사용시에 있어서의 위치 관계를 반드시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압축 공기 공급원에 접속되는 급기관의 급기 입구를 배기 출구의 하방 위치로 함으로써, 급기 입구로부터 늘어지는 에어 호스에 배기가 닿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급기 유로가 대략 직선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에어 모터에 압축 공기를 공급할 때의 압력 손실을 작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나아가서는, 배기관의 중간 부분이 급기관을 양측에서 사이에 두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중간 부분 전체를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급기관의 일방측을 통과시켜 연장시킨 경우에 비해, 배기 유로의 당해 중간 부분에 있어서의 유로 단면적을 확보하면서 배기 유로의 휨을 적게할 수 있어 유로 저항을 억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급기관의 상기 급기 출구가 상기 배기관의 상기 배기 입구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기 급기관의 상기 급기 입구가 상기 배기관의 상기 배기 출구의 하방에 위치하며, 상기 급기 유로와 상기 배기 유로가 병행으로 배치되어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급기관의 상기 급기 출구와 상기 공구 하우징의 상기 압축 공기 입구 사이에 배치된 제 1 시일 부재와, 상기 배기관의 상기 배기 입구와 상기 공구 하우징의 상기 압축 공기 출구 사이에 배치된 제 2 시일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급기관 및 상기 배기관이, 상기 급기 유로 및 상기 배기 유로에 대해 대략 직각인 방향에서 상기 급배기관 수용부 내에 삽입되어, 그 급배기관 수용부 내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급기관의 상기 급기 출구의 단면이 상기 방향에 면하도록 그 방향에 대해 경사지고, 그 급기 출구의 단면에 맞닿는 상기 제 1 시일 부재의 면이 삽입되어 온 상기 급기관의 상기 급기 출구의 단면에 밀봉 걸어 맞추도록 상기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고,
상기 배기관의 상기 배기 입구의 단면이 상기 방향에 면하도록 그 방향에 대해 경사지고, 상기 배기 출구의 단면에 맞닿는 상기 제 2 시일 부재의 면이 삽입되어 온 상기 배기관의 상기 배기 입구의 단면에 밀봉 걸어 맞추도록 상기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급기관 및 배기관을 공구 하우징에 장착할 때, 급기관 및 배기관을 급기 유로 및 배기 유로에 대해 대략 직각인 방향에서 공구 하우징의 급배기관 수용부 내에 삽입함에 따라, 제 1 및 제 2 시일 부재가 각각 급기 출구 및 배기 입구에 의해 서서히 압축되게 된다. 이로써, 급기 출구 및 배기 입구 그리고 각 시일 부재가 경사져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해, 각 시일 부재에 가해지는 슬라이딩 마찰이 저감되어, 마찰에 의해 각 시일 부재가 손상될 가능성이 저감된다. 또, 급기관 및 배기관과 각 시일 부재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 저항이 작아지므로 급기관 및 배기관을 공구 하우징의 급배기관 수용부 내에 삽입할 때 필요한 힘이 저감되어, 조립성도 향상되도록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급기관 내에 배치되어 상기 급기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밸브를 추가로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급기관의 외부로부터 상기 배기 유로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급기 유로 내로 연장되고, 상기 밸브와 걸어 맞추어진 밸브 제어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그 밸브 제어 부재를 상기 외부에서 조작함으로써 상기 밸브의 개폐 조작을 실시하도록 할 수 있다.
밸브 제어 부재가 배기 유로를 통과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배기 유로에 밸브 제어 부재와의 시일 구조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져, 구성을 간략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에어 공구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에어 공구의 측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Ⅱ-Ⅱ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Ⅲ-Ⅲ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3 의 Ⅳ-Ⅳ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5 는 도 2 의 Ⅴ-Ⅴ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6 은 도 3 의 Ⅵ-Ⅵ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7 은 급배기관의 사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에어 공구의 측면도이다.
도 9 는 도 8 의 Ⅸ-Ⅸ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0 은 도 9 의 Ⅹ-Ⅹ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에어 공구 (10) 는,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어 모터 (12) 를 수용하는 공구 하우징 (20) 과, 에어 모터 (12) 의 출력축 (14) 에 고정된 드라이브 풀리 (80) 와, 드라이브 풀리 (80) 를 덮도록 공구 하우징 (20) 에 장착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풀리 지지 본체부 (82) 와, 풀리 지지 본체부 (82) 에 전후 방향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풀리 지지바 (84) 와, 그 풀리 지지바 (84) 의 선단부 (84-1) 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된 아이들 풀리 (86) 를 구비하고, 드라이브 풀리 (80) 와 아이들 풀리 (86) 사이에 걸쳐 둘러진 무단 연삭 벨트 (87) 를 에어 모터 (12) 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되도록 한 벨트식 연삭 공구 (10) 이다.
도 2 내지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구 하우징 (20) 은, 원통상의 에어 모터 수용부 (21) 와, 그 에어 모터 수용부 (21) 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후방 개구단 (22) 에까지 연장된 통상의 급배기관 수용부 (24) 로 이루어져 있다. 에어 모터 수용부 (21) 내에는 에어 모터 (12) 가 배치되고, 급배기관 수용부 (24) 내에는 당해 공구 하우징 (20) 과는 별체로 된 급배기관 (40) 이 배치되어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어 모터 수용부 (21) 에는, 급배기관 수용부 (24) 내에 개구되도록, 에어 모터 (12) 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압축 공기 입구 (21-1) 가 형성되고, 또, 압축 공기 입구 (21-1) 의 하방 위치에는 에어 모터 (12) 로부터의 압축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압축 공기 출구 (21-2) 가 형성되어 있다. 급배기관 (40) 은, 급기 유로 (41-1) 를 구성하는 급기관 (41) 과 배기 유로 (42-1) 를 구성하는 배기관 (42) 이 일체로서 형성된 구조를 갖고, 급기관 (41) 전단의 급기 출구 (41-2) 가 시일 부재 (50) 를 개재하여 압축 공기 입구 (21-1) 에 접속되고, 배기관 (42) 전단의 배기 입구 (42-2) 가 시일 부재 (52) 를 개재하여 압축 공기 출구 (21-2) 에 접속되도록, 급배기관 수용부 (24) 내에 배치되어 있다. 급기관 (41) 의 후단의 급기 입구 (41-3) 에는, 압축 공기 공급원에 연결되는 에어 튜브 (도시되지 않음) 를 접속하기 위한 조인트 (54) 가 장착되어 있다. 이 조인트 (54) 는, 급배기관 (40) 의 횡단 방향으로 관통된 핀 삽입공 (44) (도 7) 에 삽입된 조인트 유지핀 (56) 이 걸어 맞춤 홈 (55) 에 걸어 맞추어짐으로써, 급기 유로 (41-1) 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유지됨과 함께, 길이 축선 둘레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급기 입구 (41-3) 로부터 급기 출구 (41-2) 에까지 도달하는 급기 유로 (41-1) 는, 대체로 직선상으로 연장되도록 되어 있어, 압축 공기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가 통과할 때의 압력 손실을 억제하도록 하고 있다. 배기관 (42) 은, 압축 공기 출구 (21-2) 에 접속된 배기 입구 (42-2) 로부터, 공구 하우징 (20) 의 후방 개구단 (22) 의 상방에 위치하는 배기 출구 (42-3) 에까지, 도중에 급기관 (41) 과 입체적으로 교차하도록 하여 연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관 (42) 의 배기 입구 (42-2) 와 배기 출구 (42-3) 사이의 중간 부분 (42-4) 이 좌우로 2 개로 나뉜 제 1 중간 부분 (42-4a) 과 제 2 중간 부분 (42-4b) 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 제 1 중간 부분 (42-4a) 과 제 2 중간 부분 (42-4b) 이 급기관 (41) 의 일부를 양측에서 사이에 두도록 연장되어 입체적으로 교차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배기관 (42) 에 의해 구성되는 배기 유로 (42-1) 는, 1 개의 유로가 중간 부분 (42-4) 에서 2 개로 분기되고 또한 1 개로 통합되는 유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유로의 구성으로 함으로써, 중간 부분 (42-4) 을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급기관 (41) 의 일방측을 통과하여 연장시킨 경우에 비해, 배기 유로 (42-1) 의 당해 중간 부분 (42-4) 에 있어서의 유로 단면적을 확보하면서 배기 유로 (42-1) 의 휨을 적게 할 수 있어 유로 저항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공구 하우징 (20) 의 횡단 방향에서의 중앙 부근을 통과하는 급기관 (41) 의 양측을 배기 유로 (42-1) 로서 이용함으로써, 급배기관 (40) 의 특히 좌우 방향 (도 4 에서 보아 상하 방향) 에서의 폭을 작게 억제하고, 급배기관 (40) 을 수용하는 급배기관 수용부 (24) 의 폭을 작게 억제하도록 하고 있다. 이로써 급배기관 수용부 (24) 의 외주면에 의해 구성되는 그립부 (26) 를 컴팩트한 형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공구 하우징 (20) 은 수지제의 부재로, 급배기관 (40) 은 주조에 의해 형성된 금속제의 부재로 되고 있고, 공구 하우징 (20) 에 있어서의 그립부 (26) 를 구성하고 있는 급배기관 수용부 (24) 내에 금속제의 급배기관 (40) 을 배치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립부 (26) 의 강성도 높이도록 되어 있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기관 (41) 의 급기 유로 (41-1) 내에는, 급기 유로 (41-1) 를 개폐하여 에어 모터 (12) 로의 압축 공기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 (60)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밸브 (60) 는, 급기 유로 (41-1) 에 형성된 단부 (段部) (46) 에 형성된 시일면 (47) 에 밀봉 걸어 맞추는 밸브 시일 부재 (62) 와, 이 밸브 시일 부재 (62) 에 고정된 후단부 (63-1) 로부터 급기 유로 (41-1) 내에서 급기 출구 (41-2) 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밸브 로드 (63) 와, 밸브 시일 부재 (62) 를 시일면 (47) 에 압압 (押壓) 하도록 급기 유로 (41-1) 내에 있어서 밸브 시일 부재 (62) 와 조인트 (54) 의 전단면 사이에 설정된 스프링 (64) 으로 이루어진다. 이 밸브 (60) 는, 급기관 (41) 의 측벽에 형성된 개구 (48) 를 지나 급기 유로 (41-1) 내에까지 연장되는 밸브 제어 부재 (66) 에 의해 급배기관 (40) 의 외부로부터 개폐가 조작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밸브 제어 부재 (66) 가 그 선단부에 형성된 삽입 통과공 (66-1) 내에 밸브 로드 (63) 의 선단부 (63-2) 가 삽입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이 밸브 제어 부재 (66) 를 급기 유로 (41-1) 내에 밀어넣음으로써 밸브 로드 (63) 의 선단부 (63-2) 가 도면에서 보아 상방으로 밀려 밸브 로드 (63) 가 기울고, 이로써 밸브 시일 부재 (62) 가,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울어 밸브 시일 부재 (62) 와 시일면 (47) 사이에 간극이 생기도록 되어 있다. 밸브 시일 부재 (62) 와 시일면 (47) 사이에 간극이 생김으로써 밸브 (60) 와 급기 유로 (41-1) 의 밀봉이 해제되어, 급기 유로 (41-1) 가 급기 입구 (41-3) 와 급기 출구 (41-2) 사이에서 연통된 상태가 된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배기관 수용부 (24) 의 하방 위치에는, 작업자가 밸브 (60) 의 개폐를 조작하기 위한 밸브 조작 레버 (70) 가 배치되어 있다. 이 밸브 조작 레버 (70) 는, 급배기관 수용부 (24) 의 내부에 위치하는 추축 (樞軸) (72) 을 중심으로 공구 하우징 (20) 에 대해 추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공구 하우징 (20) 의 외부에 노출된 조작면 (70-1) 을 도면에서 보아 상방으로 누름으로써, 도 1 에 나타내는 공구 하우징 (20) 으로부터 하방으로 날아 온 상태에서, 도 5 에 나타내는 공구 하우징 (20) 내에 밀어넣어진 상태로까지, 도면에서 보아 시계 방향으로 추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 이 밸브 조작 레버 (70) 는, 급배기관 (40) 에 면한 위치에 있는 걸어 맞춤면 (70-2) 에 있어서 밸브 제어 부재 (66) 의 후단면 (66-2) 과 걸어 맞추어져 있고, 당해 밸브 조작 레버 (70) 를 추동시킴으로써, 밸브 제어 부재 (66) 를 급기 유로 (41-1) 내에 밀어넣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밸브 (60) 를 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밸브 조작 레버 (70) 에는, 당해 밸브 조작 레버 (70) 에 대해 그 길이 축선 방향에서는 슬라이딩 가능하지만 길이 축선 방향 둘레로는 회전할 수 없게 유지된 나사 샤프트 (74) 와, 이 나사 샤프트 (74) 와 나사 결합하여 회전 가능하게 된 너트 (76) 와, 그 나사 샤프트 (74) 의 선단에 고정된 맞닿음 부재 (78) 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 조작 레버 (70) 를 추동시켰을 때, 이 맞닿음 부재 (78) 가 급배기관 (40) 의 하부 외표면에 형성된 경사 맞닿음면 (49) 에 맞닿음으로써, 밸브 조작 레버 (70) 의 추동 범위가 제한된다. 또, 맞닿음 부재 (78) 는, 너트 (76) 를 회전시킴으로써 나사 샤프트 (74) 와 함께 축선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고, 맞닿음 부재 (78) 의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맞닿음 부재 (78) 가 급배기관 (40) 의 경사 맞닿음면 (49) 에 맞닿을 때의 밸브 조작 레버 (70) 의 추동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밸브 조작 레버 (70) 의 추동 범위를 조절함으로써 밸브 제어 부재 (66) 가 급기 유로 (41-1) 내로 밀어넣어지는 이동량이 변경되어, 결과적으로 밸브 조작 레버 (70) 를 밀어넣었을 때의 밸브 (60) 의 개도가 조정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밸브 제어 부재 (66) 는, 배기 유로 (42-1) 를 통과하지 않고 급기 유로 (41-1) 내로 연장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밸브 제어 부재 (66) 를 급기 유로 (41-1) 내로 유도하기 위한 개구 (48) 는 급기관 (41) 에만 형성되어 있고, 배기관 (42) 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밸브 제어 부재 (66) 에 대해 시일을 필요로 하는 부분이 급기관 (41) 과의 사이로 한정되므로, 시일 지점이 적어져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음과 함께, 시일 부재에 의한 슬라이딩 저항이 작아져 밸브 개폐시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밸브 조작 레버 (70) 의 조작면 (70-1) 을 누르고 있던 힘을 해제하면, 밸브 시일 부재 (62) 를 급기 유로 (41-1) 가 닫힌 상태로 되돌리려고 하는 스프링 (64) 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밸브 조작 레버 (70) 는 밸브 제어 부재 (66) 에 밀려 반시계 방향으로 추동되고, 도 1 의 상태로 돌아온다. 또한, 압축 공기가 조인트 (54) 로부터 공급되고 있는 상황에 있어서는, 압축 공기의 압력도 밸브 시일 부재 (62) 를 닫은 상태로 되돌리는 힘이 된다. 즉, 스프링 (64) 의 탄성 지지력과 압축 공기의 압력에 의해, 밸브 조작 레버 (70) 는 조작 전 상태 (도 1) 로 되돌려진다.
조인트 (54) 에 접속된 에어 튜브를 개재하여 압축 공기 공급원으로부터 압축 공기가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밸브 조작 레버 (70) 의 조작면 (70-1) 을 눌러 밸브 (60) 를 열면, 압축 공기는, 급기 유로 (41-1) 및 압축 공기 입구 (21-1) 를 지나 급기구 (12-1) 로부터 에어 모터 (12) 내로 흐른다. 압축 공기가 공급된 에어 모터 (12) 는, 도 3 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에어 모터 (12) 내를 지나 배기구 (12-2) 로부터 배출되는 압축 공기는, 압축 공기 출구 (21-2) 로부터 배기 유로 (42-1) 내로 흘러, 배기 출구 (42-3) 로부터 공구 하우징 (20) 의 후방 개구단 (22) 을 지나 대기 중에 배출된다. 에어 모터 (12) 를 회전 구동시킨 압축 공기는 에어 모터 (12) 의 배기구 (12-2) 로부터 배출된 직후에 압력이 급격하게 저하되어 단열 팽창된다. 단열 팽창된 공기는 그 온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배기관 (42) 은 온도가 저하된 공기에 의해 냉각된다.
급배기관 (40) 에 있어서의 배기관 (42) 의 측면은,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배기관 수용부 (24) 의 측면벽 (28) 과 걸어 맞추어진 상태로 급배기관 수용부 (24) 내에 배치되어 있다. 금속제의 급배기관 (40) 을 수지제의 공구 하우징 (20) 의 급배기관 수용부 (24) 와 걸어 맞추도록 배치함으로써, 급배기관 (40) 이 공구 하우징 (20) 을 내측으로부터 지지하고, 공구 하우징 (20) 의 그립부 (26) 에 필요 충분한 강성을 갖게 하도록 하고 있다. 급배기관 수용부 (24) 의 배기관 (42) 과 걸어 맞추는 부분에는, 복수의 오목부 (30) 가 형성되어 있고, 급배기관 (40) 과의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어 접촉 면적이 작아지도록 하고 있다. 또, 급배기관 (40) 과 급배기관 수용부 (24) 의 상면벽 (32) 및 하면벽 (34)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급배기관 (40) 과 그립부 (26) 를 형성하는 급배기관 수용부 (24)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고, 또 걸어 맞추는 부분에 있어서는 오목부 (30) 를 형성하여 접촉 면적을 작게 하도록 함으로써, 그립부 (26) 와 급배기관 (40) 사이에서 열이 전달되기 어려워진다. 즉, 당해 에어 공구 (10) 를 사용 중에 압축 공기의 단열 팽창에 의해 냉각된 배기관 (42) 에 의해, 그립부 (26) 가 차가워지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구 하우징 (20) 에 장착된 풀리 지지 본체부 (82) 의 선단부 (84-1) 에는 풀리 지지바 (84) 를 받아들이는 바 수용공 (82-1) 이 형성되어 있다. 바 수용공 (82-1) 에는 슬라이딩 인서트 (88) 가 삽입되어 있고, 이 슬라이딩 인서트 (88) 는, 풀리 지지 본체부 (82) 의 측면으로부터 바 수용공 (82-1) 에까지 관통되는 나사 구멍 (82-2) 에 나사 결합된 고정 나사 (89) 에 의해 풀리 지지 본체부 (82) 에 고정되어 있다. 풀리 지지바 (84) 는, 슬라이딩 인서트 (88) 의 원활한 면을 갖는 내공에 삽입되어, 풀리 지지 본체부 (82) 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고, 풀리 지지바 (84) 의 측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 구멍상의 슬라이딩 제한공 (84-2) 이 형성되어 있다. 풀리 지지 본체부 (82) 에는, 위치 결정 나사 (90) 가, 그 풀리 지지 본체부 (82) 의 측면으로부터 삽입되어 슬라이딩 인서트 (88) 의 관통공 (88-1) 을 지나 풀리 지지바 (84) 의 전후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있는 슬롯 구멍상의 슬라이딩 제한공 (84-2) 내에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위치 결정 나사 (90) 에 의해, 풀리 지지바 (84) 가 회전하지 않도록 유지됨과 함께, 당해 풀리 지지바 (84) 의 전후 방향에서의 슬라이딩 가능한 범위를 제한하고 있다. 풀리 지지바 (84) 에는, 그 후단면 (84-3) 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스프링 수용공 (84-4) 이 형성되어 있고, 이 스프링 수용공 (84-4) 내에는 당해 풀리 지지바 (84) 를 전방으로 탄성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 (92) 이 설정되어 있다. 이 스프링 (92) 은, 그 전단부 (92-1) 가 스프링 수용공 (84-4) 의 전단면 (84-5) 에 맞닿고, 그 후단부 (92-2) 가 풀리 지지바 (84) 의 후단면 (84-3) 으로부터 더욱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바 수용공 (82-1) 의 후방에는 스프링 (92) 을 그 후방 위치에서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 지지 부재 (94) 가, 풀리 지지 본체부 (82) 상의 추동축 (94-1) 을 중심으로 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스프링 지지 부재 (94) 가 도 2 에 나타내는 위치에 있을 때에는, 스프링 지지 부재 (94) 의 스프링 지지 돌기부 (94-2) 가 스프링 (92) 의 후단부 (92-2) 에 배치된 스프링 시트 (96) 와 걸어 맞추어지고, 스프링 (92) 을 풀리 지지바 (84) 와의 사이에서 압축한 상태가 된다. 이 스프링 (92) 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풀리 지지바 (84) 의 전단부에 형성된 아이들 풀리 (86) 는 무단 연삭 벨트 (87) 의 내주면에 가압되고, 그 무단 연삭 벨트 (87) 에 소정의 장력을 가한 상태가 된다. 스프링 지지 부재 (94) 를 도면에서 보아 시계 방향으로 대략 90 도 회전시키면, 스프링 시트 (96) 가 스프링 지지 돌기부 (94-2) 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상태가 되어, 스프링 (92) 은 자연 길이에까지 연장된다. 이 상태에서는, 풀리 지지바 (84) 는, 스프링 (92) 의 탄성 지지력을 받지 않고 후방으로 이동 가능해지기 때문에, 아이들 풀리 (86) 와 무단 연삭 벨트 (87) 사이에 간극이 생겨, 무단 연삭 벨트 (87) 의 제거가 가능해진다. 또한, 스프링 지지 부재 (94) 에는 드라이브 풀리 (80) 를 측방으로부터 덮는 커버 (98) 가 장착되어 있고, 스프링 지지 부재 (94) 와 함께 추동되도록 되어 있다.
도 8 내지 도 10 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에어 공구 (110) 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에어 공구 (10) 에 비해, 주로 압축 공기의 유로의 구성이 상이하다.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당해 에어 공구 (110) 에 있어서는, 급기관 (141) 의 급기 출구 (141-2) 가 배기관 (142) 의 배기 입구 (142-2) 의 하방에 위치하고, 급기관 (141) 의 급기 입구 (141-3) 가 배기관 (142) 의 배기 출구 (142-3) 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급기 유로 (141-1) 와 배기 유로 (142-1) 가 병행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수반하여, 공구 하우징 (120) 의 압축 공기 입구 (121-1) 와 압축 공기 출구 (121-2) 의 위치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에어 공구 (10) 와는 반대로 되어 있다. 즉, 압축 공기 입구 (121-1) 가 압축 공기 출구 (121-2) 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급기관 (141) 의 급기 입구 (141-3) 로부터 공급된 압축 공기는, 급기 유로 (141-1) 및 급기 입구 (141-3) 를 지나 에어 모터 (112) 의 흡기구 (112-1) 로부터 그 에어 모터 (112) 내에 들어가, 에어 모터 (112) 내를 도면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흐르면서 에어 모터 (112) 를 동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킨다. 에어 모터 (112) 의 배기구 (112-2) 로부터 나온 압축 공기는, 그 흐름의 방향을 반전시켜 에어 모터 (112) 의 외측에 형성된 환상 유로 (112-3) 내를 시계 방향으로 흘러 압축 공기 출구 (121-2) 로부터 배기 유로 (142-1) 내에 도달하여, 배기 출구 (142-3) 로부터 외부로 배기된다.
공구 하우징 (120) 은,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 부분 (120-1) 과 좌측 부분 (120-2) 과 캡 부분 (120-3) 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급배기관 (140) 은 좌측 부분 (120-2) 과 캡 부분 (120-3) 이 제거되어 있는 상태로, 급기 유로 (141-1) 및 배기 유로 (142-1) 에 대해 대략 직각인 방향 (D) (우측 향향) 에서 우측 부분 (120-1) 의 급배기관 수용부 (124) 내에 삽입되어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급기관 (141) 의 급기 출구 (141-2) 와 공구 하우징 (120) 의 압축 공기 입구 (121-1) 사이에는 제 1 시일 부재 (150) 가 배치되어 있다. 동일하게, 배기관 (142) 의 배기 입구 (142-2) 와 공구 하우징 (120) 의 압축 공기 출구 (121-2) 사이에도 제 2 시일 부재 (152) 가 배치되어 있다. 급기관 (141) 의 급기 출구 (141-2) 의 단면 (141-4) 은,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방향 (D) 에 면하도록 그 방향 (D) 에 대해 경사져 있고, 제 1 시일 부재 (150) 의 급기 출구 (141-2) 에 맞닿는 면 (151) 도 동일하게 경사져 있다. 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배기관 (142) 의 배기 입구 (142-2) 의 단면 (142-4) 과 제 2 시일 부재 (152) 의 배기 입구 (142-2) 에 맞닿는 면 (153) 도 동일하게 경사져 있다. 이로써, 급배기관 (140) 을 상기 방향 (D) 에서 공구 하우징 (120) 의 우측 부분 (120-1) 의 급배기관 수용부 (124) 내에 삽입함에 따라, 제 1 및 제 2 시일 부재 (150, 152) 의 각 면 (151, 153) 과 급배기관 (140) 의 각 단면 (141-4, 142-4) 사이의 거리가 서서히 작아져, 이윽고 제 1 및 제 2 시일 부재 (150, 152) 의 각 면 (151, 153) 과 급배기관 (140) 의 각 단면 (141-4, 142-4) 이 맞닿게 된다. 그리고, 더욱 급배기관 (140) 을 삽입해 나가면, 제 1 및 제 2 시일 부재 (150, 152) 가 급배기관 (140) 의 각 단면 (141-4, 142-4) 에 의해 서서히 압축되어 가고, 급배기관 (140) 이 공구 하우징 (120) 의 급배기관 수용부 (124) 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면, 제 1 및 제 2 시일 부재 (150, 152) 가 급배기관 (140) 의 각 단면 (141-4, 142-4) 에 각각 밀봉 걸어 맞추어진 상태가 되도록 되어 있다. 당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급배기관 (140) 을 우측 부분 (120-1) 에 삽입하도록 되어 있지만, 좌측 부분 (120-2) 에 삽입하도록 해도 된다. 그 경우에는, 방향 (D) 은 좌측 방향이 된다. 또, 공구 하우징 (120) 을 좌우로 분할하는 것이 아니라 상하로 분할되도록 하고, 급배기관 (140) 을 상하 방향에서 공구 하우징 (120) 의 급배기관 수용부 (124) 내에 삽입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상기 서술한 급배기관 (140) 과 제 1 시일 부재 (150) 및 제 2 시일 부재 (152) 사이의 밀봉 접속의 구조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에어 공구 (10) 에 채용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시일 부재 (150) 와 제 2 시일 부재 (152) 는 일체의 부재로 되어 있지만, 별개의 부재로 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에어 공구 (10, 110) 에 있어서는, 압축 공기에 의해 냉각되는 급배기관 (40, 140) 이, 그립부 (26, 126) 를 구성하는 공구 하우징 (20, 120) 과는 별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급배기관 (40, 140) 과 공구 하우징 (20, 120) 사이의 단열성이 높아져, 단열 팽창되어 온도가 저하된 압축 공기에 의해 그립부 (26, 126) 가 직접 냉각되는 것이 회피된다. 이로써, 그립부 (26, 126) 가 차가워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통상 복수의 부재로 구성되는 공구 하우징에 급기 유로 및 배기 유로를 직접 형성하고 있던 종래의 에어 공구에 있어서는, 각 부재의 이음매를 시일 구조로 하여 유로를 형성하도록 하고 있었지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급배기관 (40, 140) 을 급기 유로 (41-1, 141-1) 와 배기 유로 (42-1, 142-1) 가 형성되어 있는 별체의 하나의 부재로 하고 있으므로, 압축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에 있어서의 시일 지점이 종래의 것에 비해 적어져,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음과 함께, 압축 공기 및 그 압축 공기에 함유되는 작동유의 시일 부분으로부터 누출을 저감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급기관 (41, 141) 과 배기관 (42, 142) 을 일체의 급배기관 (40, 140) 으로서 구성하고 있는데, 급기관 (41, 141) 과 배기관 (42, 142) 을 각각의 부재로 해도 된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에어 공구 (10, 110) 에 대해 벨트식 연삭 공구 (10, 110) 를 예로서 설명했지만, 당해 에어 공구 (10, 110) 는 벨트식 연삭 공구에 한정되지 않고, 에어 임펙트 렌치 등의 다른 에어 공구로 할 수도 있다.
에어 공구 (벨트식 연삭 공구) : 10
에어 모터 : 12
급기구 : 12-1
배기구 : 12-2
출력축 : 14
공구 하우징 : 20
에어 모터 수용부 : 21
압축 공기 입구 : 21-1
압축 공기 출구 : 21-2
후방 개구단 : 22
급배기관 수용부 : 24
그립부 : 26
측면벽 : 28
오목부 : 30
상면벽 : 32
하면벽 : 34
급배기관 : 40
급기관 : 41
급기 유로 : 41-1
급기 출구 : 41-2
급기 입구 : 41-3
배기관 : 42
배기 유로 : 42-1
배기 입구 : 42-2
배기 출구 : 42-3
중간 부분 : 42-4
제 1 중간 부분 : 42-4a
제 2 중간 부분 ; 42-4b
핀 삽입공 : 44
단부 : 46
시일면 : 47
개구 : 48
경사 맞닿음면 : 49
시일 부재 : 50
시일 부재 : 52
조인트 : 54
걸어 맞춤 홈 : 55
조인트 유지핀 : 56
밸브 : 60
밸브 시일 부재 : 62
밸브 로드 : 63
후단부 : 63-1
선단부 : 63-2
스프링 : 64
밸브 제어 부재 : 66
삽입 통과공 : 66-1
후단면 : 66-2
밸브 조작 레버 : 70
조작면 : 70-1
걸어 맞춤면 : 70-2
추축 : 72
나사 샤프트 : 74
너트 : 76
맞닿음 부재 : 78
드라이브 풀리 : 80
풀리 지지 본체부 : 82
바 수용공 : 82-1
나사 구멍 : 82-2
풀리 지지바 : 84
선단부 : 84-1
슬라이딩 제한공 : 84-2
후단면 : 84-3
스프링 수용공 : 84-4
전단면 : 84-5
아이들 풀리 : 86
무단 연삭 벨트 : 87
슬라이딩 인서트 : 88
관통공 : 88-1
고정 나사 : 89
위치 결정 나사 : 90
스프링 : 92
전단부 : 92-1
후단부 : 92-2
스프링 지지 부재 : 94
추동축 : 94-1
스프링 지지 돌기부 : 94-2
스프링 시트 : 96
커버 : 98
에어 공구 (벨트식 연삭 공구) : 110
에어 모터 : 112
흡기구 : 112-1
배기구 : 112-2
환상 유로 : 112-3
공구 하우징 : 120
우측 부분 : 120-1
좌측 부분 : 120-2
캡 부분 : 120-3
압축 공기 입구 : 121-1
압축 공기 출구 : 121-2
급배기관 수용부 : 124
그립부 : 126
급배기관 : 140
급기관 : 141
급기 유로 : 141-1
급기 출구 : 141-2
급기 입구 : 141-3
단면 : 141-4
배기관 : 142
배기 유로 : 142-1
배기 입구 : 142-2
배기 출구 : 142-3
단면 : 142-4
제 1 시일 부재 : 150
면 : 151
제 2 시일 부재 : 152
면 : 153
방향 : D

Claims (13)

  1. 에어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에어 공구에 있어서,
    상기 에어 모터를 수용하는 에어 모터 수용부, 및 상기 에어 모터 수용부로부터 연장되어 후방 개구단에까지 도달하는 통상 (筒狀) 의 급배기관 수용부를 갖는 공구 하우징으로서, 상기 에어 모터 수용부가, 상기 에어 모터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 공기 입구와 상기 에어 모터로부터 압축 공기를 배출하는 압축 공기 출구를 갖고, 상기 압축 공기 입구와 상기 압축 공기 출구가 상기 급배기관 수용부 내에 개구되어 있고, 상기 급배기관 수용부의 외주면에 당해 에어 공구의 사용 중에 작업자가 파지하는 그립부가 형성되어 있는, 공구 하우징과,
    상기 공구 하우징의 상기 급배기관 수용부의 내부에 배치된 급기관으로서, 상기 후방 개구단 근방에 위치하여 압축 공기 공급원으로부터의 압축 공기를 받아들이는 급기 입구, 상기 압축 공기 입구에 연통되는 급기 출구, 및 상기 급기 입구로부터 상기 급기 출구까지 연장되는 급기 유로를 갖는 급기관과,
    상기 공구 하우징의 상기 급배기관 수용부의 내부에 배치된 배기관으로서, 상기 압축 공기 출구에 연통되는 배기 입구, 상기 후방 개구단 근방에 위치하여 압축 공기를 상기 급배기관 수용부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 출구, 및 상기 배기 입구로부터 상기 배기 출구까지 연장되는 배기 유로를 갖는 배기관을 구비하고,
    상기 배기관이, 상기 급배기관 수용부와는 별체로 형성되고,
    상기 급배기관 수용부는, 상면벽, 하면벽, 및 상기 배기관의 서로 반대측에서 상기 상면벽과 하면벽을 연결하는 측면벽을 갖고,
    상기 배기관은, 상기 측면벽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상면벽 및 상기 하면벽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측면벽이 오목부를 갖고, 상기 오목부에 의해 상기 배기관과 상기 측면벽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된, 에어 공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관이, 상기 급배기관 수용부와는 별체로 형성되고, 상기 급배기관 수용부의 측벽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에어 공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관 및 상기 배기관이 일체로 형성된 에어 공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관의 상기 급기 출구가 상기 배기관의 상기 배기 입구의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급기관의 상기 급기 입구가 상기 배기관의 상기 배기 출구보다 하방에 위치하며,
    상기 급기관의 상기 급기 유로는, 상기 급기 입구로부터 상기 급기 출구까지 직선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배기관은, 상기 배기 입구와 상기 배기 출구 사이의 중간 부분에서 좌우 2 개로 나뉜 제 1 및 제 2 중간 부분을 갖고, 상기 제 1 및 제 2 중간 부분이 상기 급기관을 양측 사이에 두도록 연장되도록 한 에어 공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관의 상기 급기 출구가 상기 배기관의 상기 배기 입구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기 급기관의 상기 급기 입구가 상기 배기관의 상기 배기 출구의 하방에 위치하며,
    상기 급기 유로와 상기 배기 유로가 병행으로 배치되어 있는 에어 공구.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관의 상기 급기 출구와 상기 공구 하우징의 상기 압축 공기 입구 사이에 배치된 제 1 시일 부재와, 상기 배기관의 상기 배기 입구와 상기 공구 하우징의 상기 압축 공기 출구 사이에 배치된 제 2 시일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급기관 및 상기 배기관이, 상기 급기 유로 및 상기 배기 유로에 대해 직각인 방향에서 상기 급배기관 수용부 내에 삽입되어 상기 급배기관 수용부 내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급기관의 상기 급기 출구의 단면이 상기 방향에 면하도록 상기 방향에 대해 경사지고, 상기 급기 출구의 단면에 맞닿는 상기 제 1 시일 부재의 면이 삽입되어 온 상기 급기관의 상기 급기 출구의 단면에 밀봉되도록 상기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고,
    상기 배기관의 상기 배기 입구의 단면이 상기 방향에 면하도록 상기 방향에 대해 경사지고, 상기 배기 출구의 단면에 맞닿는 상기 제 2 시일 부재의 면이 삽입되어 온 상기 배기관의 상기 배기 입구의 단면에 밀봉되도록 상기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는 에어 공구.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관 내에 배치되어 상기 급기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밸브를 추가로 구비하는 에어 공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관의 외부로부터 상기 배기 유로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급기 유로 내로 연장되고, 상기 밸브와 걸어 맞추어진 밸브 제어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밸브 제어 부재를 상기 외부에서 조작함으로써 상기 밸브의 개폐 조작을 실시하도록 한 에어 공구.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관 내에 배치되어 상기 급기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밸브와,
    상기 급기관의 외부로부터 상기 배기 유로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급기 유로 내로 연장되고, 상기 밸브와 걸어 맞추어진 밸브 제어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밸브 제어 부재를 상기 외부에서 조작함으로써 상기 밸브의 개폐 조작을 실시하도록 한 에어 공구.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67001644A 2013-06-26 2014-06-25 에어 공구 KR1019213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33982 2013-06-26
JP2013133982 2013-06-26
PCT/JP2014/066815 WO2014208589A1 (ja) 2013-06-26 2014-06-25 エア工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891A KR20160022891A (ko) 2016-03-02
KR101921391B1 true KR101921391B1 (ko) 2018-11-22

Family

ID=52141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1644A KR101921391B1 (ko) 2013-06-26 2014-06-25 에어 공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015225B1 (ko)
JP (1) JP6185585B2 (ko)
KR (1) KR101921391B1 (ko)
CN (1) CN105307822B (ko)
TW (1) TWI568549B (ko)
WO (1) WO20142085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5107A1 (ja) * 2016-03-11 2017-09-14 日東工器株式会社 ベルト式研削工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09457A1 (en) * 2003-07-08 2005-01-13 Nitto Kohki Co., Ltd. Hand-held endless belt abrad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0329A (en) * 1980-10-20 1987-04-28 Hutchins Manufacturing Company Powered abrading tool
JP2581579B2 (ja) * 1987-12-26 1997-02-12 株式会社ナカニシ エアーツールの接続装置
JPH07314315A (ja) * 1994-05-27 1995-12-05 Uriyuu Seisaku Kk エアーモータの排気の温度低下防止機構
SE503847C2 (sv) * 1994-10-10 1996-09-16 Atlas Copco Tools Ab Handtag till ett pneumatiskt kraftverktyg
US6082468A (en) * 1998-04-20 2000-07-04 Snap-On Tools Company Interchangeable grips for power hand tools
JP2001138267A (ja) 1999-11-16 2001-05-22 Kuken:Kk エアツールにおける消音装置
US7404450B2 (en) * 2000-01-27 2008-07-29 S.P. Air Kabusiki Kaisha Pneumatic rotary tool
JP3826133B2 (ja) * 2003-12-16 2006-09-27 日東工器株式会社 ベルト式研削工具
JP3910944B2 (ja) * 2003-07-08 2007-04-25 日東工器株式会社 手持ち式無端ベルト駆動式切削工具
JP4487856B2 (ja) * 2005-05-30 2010-06-23 日立工機株式会社 エア工具
JP4388938B2 (ja) * 2006-08-03 2009-12-24 日東工器株式会社 打撃工具
JP2008088933A (ja) * 2006-10-04 2008-04-17 Max Co Ltd エアモータ及びエアモータ付き空気圧工具
JP4847363B2 (ja) * 2007-02-09 2011-12-28 日東工器株式会社 無端ベルト式研削工具
JP4912976B2 (ja) * 2007-07-31 2012-04-11 日東工器株式会社 エア工具
US20090258584A1 (en) * 2008-04-10 2009-10-15 X'pole Precision Tools, Inc. Multi-Shell Air-Tight Compartmentalized Casing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09457A1 (en) * 2003-07-08 2005-01-13 Nitto Kohki Co., Ltd. Hand-held endless belt abrad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15225A1 (en) 2016-05-04
TW201524709A (zh) 2015-07-01
TWI568549B (zh) 2017-02-01
EP3015225B1 (en) 2018-10-17
JPWO2014208589A1 (ja) 2017-02-23
KR20160022891A (ko) 2016-03-02
CN105307822A (zh) 2016-02-03
CN105307822B (zh) 2018-05-18
JP6185585B2 (ja) 2017-08-23
EP3015225A4 (en) 2017-03-01
WO2014208589A1 (ja) 2014-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6840B2 (en) Motor assembly for pneumatic tool
US20050121843A1 (en) Pneumatic clamping device
US20110139474A1 (en) Pneumatic impact tool
JP2000218430A (ja) 動力ツ―ル及びその機構
KR101921391B1 (ko) 에어 공구
US8739832B2 (en) Motor assembly for pneumatic tool
WO2013161357A1 (ja) 3ポートバルブ
US20090107691A1 (en) Housings for power tools
JPH09103969A (ja) 空気圧式トルク衝撃工具
WO2008060935A2 (en) Liquid dispensing apparatus
KR100573414B1 (ko) 유압 실린더
US20080110940A1 (en) Dispensing apparatus having a pivot actuator
CA2565597C (en) Gas combustion operated fastener driving tool with casing floating at the front end
JP2008073841A5 (ko)
KR101127896B1 (ko) 볼 밸브
EP2085670B1 (en) By-pass valve
KR200364147Y1 (ko) 유압 실린더의 실 구조
JP6234093B2 (ja) エア工具
JP2007210069A (ja) 工作機械の加工ヘッドおよび工作機械
KR20080047650A (ko) 볼 밸브
US20140190719A1 (en) Double-valve mechanism
KR200370456Y1 (ko) 유압 실린더
KR200310723Y1 (ko) 공구에어작동기
KR20060004736A (ko) 유압 실린더의 실 구조
CN117072711A (zh) 一种控制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