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1319B1 - 미용 멜팅필름 - Google Patents

미용 멜팅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1319B1
KR101921319B1 KR1020170098063A KR20170098063A KR101921319B1 KR 101921319 B1 KR101921319 B1 KR 101921319B1 KR 1020170098063 A KR1020170098063 A KR 1020170098063A KR 20170098063 A KR20170098063 A KR 20170098063A KR 101921319 B1 KR101921319 B1 KR 101921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cosmetic
thickness
skin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8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한욱
안정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70098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13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1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1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8Zanthoxylum, e.g. pricklya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술 후 피부에 잔존물이 남지 않는 최적의 얇은 두께로 되고, 미용에센스에 잘 용해되는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미용 멜팅필름을 제공하는 것으로, 80㎛의 오피피필름 상면에 10~30㎛, 바람직하게는 15㎛의 두께로 미용성분필름이 적층 되고 그 상면으로 120㎛ 두께의 망사지가 피복된 것이며, 상기 미용성분필름은 히알루론산 23 중량%, 자일리톨 10 중량%, 메칠프로판디올 5 중량%, 초피나무열매 추출물 0.2 중량%, 금은화 추출물 0.2 중량%, 할미꽃 추출물 0.2 중량%, 자몽 추출물 0.2 중량%, 나머지는 정제수로 되는 수용성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미용 멜팅필름{beauty melting film}
본 발명은 피부에 미용 에센스를 바르고 그 위로 미용성분필름을 붙이고 문지르는 것으로 상기 미용성분필름이 수분에 용해되면서 피부로 흡수되게 하는 미용 멜팅필름에 관한 것이다.
피부의 목 주름, 팔자 주름, 눈가 주름, 여드름, 다이어트, 튼 살, 팔꿈치나 발꿈치의 굳은살, 다크서클 등의 증상을 개선 및 완화하기 위한 피부개선제가 다양한 종류로 공지되어있다.
피부개선제를 함유하고 있는 제품으로는 액상 그대로 제품화한 것과, 부직포로 된 패치에 적셔 사용하게 한 것, 그리고 액상 제품을 막으로 펼치고 건조하여 필름으로 형상화한 미용 멜팅필름 등이 공지되어 있다.
액상 제품은 시술부위에 바르고 문질러서 피부에 침투되게 하는 방법으로 사용하고, 부직포 패치는 시술부위에 장시간 부착하여 미용성분이 피부로 스미도록 하는 방법으로 사용한다.
미용 멜팅필름은 별도의 액상 제품을 시술부위에 바르고 그 위에 얹어놓고 문질러서 미용성분필름이 용해되게 하여 피부로 미용성분이 스미게 하는 방법으로 사용한다,
여기서 미용의 주요성분으로 되는 히알루론산 등의 값 비싼 원료물질의 첨가량은 미용 효과를 나타내는 바로미터가 되는데, 액상제품의 경우는 필요 이상으로 첨가해야 하므로 원가가 비싸지는 반면에, 피부로 침투되는 분량은 제한적이므로 값 비싼 미용의 주요성분의 대부분은 낭비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다.
부직포 패치에서도 액상 미용성분을 사용하므로 원가 절감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미용성분의 피부침투효과도 미미하다는 단점이 있다.
미용 멜팅필름은 미용의 필수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얇은 필름이 주체이므로 가장 원가 절감효과가 큰 방식이다.
종래에 제품화된 미용 멜팅필름은 상기 피부개선제가 함유된 미용 에센스의 수분에 용해되는 성분의 미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하여 기재상에 얇은 두께의 미용성분필름이 부착된 형태로 시판된 바 있다.
상술한 미용 멜팅필름에 관련하여 다음 특허문헌 1은 합성 고분자 물질, 천연 고분자 물질, 피부친화성 증진제, 천연 생체물질, 다가 알코올, 기능첨가제, 방부제 및 물로 이루어진 피부미용 및 상처치료용 수용성 필름을 개시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성형되는 미용성분필름의 두께는 2~3,000㎛로 기재하고 있다.
그렇지만, 실제로는 미용 멜팅필름의 두께를 3,000㎛ 이하로 얇게 성형하면 다음의 문제가 발생하여 제품화할 수 없게 된다.
먼저, 미용 멜팅필름의 제조방식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오피피필름(oriented polypropylene film)으로 되는 기재상에 이형제를 코팅하고, 그 위로 멜팅필름 조성물 수용액을 도포하여 500㎛ 두께를 가진 미용성분필름으로 적층 형성하고 건조한다.
건조된 미용성분필름을 스탬프 프레스 하여 필름이 소정형상의 제품과 그 주변의 제거부분으로 형성되게 한 다음, 상기 제거부분을 걷어올려 회수하는 한편, 소정형상으로 남겨진 미용성분필름과 오피피필름을 소정규격으로 절단하면 목적물로 되는 미용 멜팅필름으로 얻게 된다.
상기와 같이 미용 멜팅필름이 제조되는 과정에서, 미용성분필름의 두께를 얇게 할수록 값 비싼 미용 주요성분의 낭비를 줄일 수 있으나, 예로서 두께를 150㎛ 이하로 얇게 코팅하였을 때, 건조된 후에 얻어지는 미용성분필름은 25㎛ 이하로 되기 때문에 형태보전성이 대단히 취약하여 취급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즉, 미용성분필름을 얇게 형성하면 제조과정에서 주변의 필요없는 부분을 걷어내어 분리할 때, 제품으로 남아야 하는 부분의 일부가 같이 떨어져 나가거나 한쪽이 같이 끌어올려지면서 접혀져 다른 부분에 붙어버림에 따라 형상 전체가 훼손되는 불량이 대량으로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오피피필름에서 미용성분필름이 얹어지는 면에는 추후 잘 떼어낼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미리 이형제를 코팅해 놓고 있는바, 파우치에 포장된 후 내부에서 이형제의 작용으로 필름의 박리가 진행되어 불량품으로 반품되는 사례도 빈번하다.
게다가 사용할 때에도 사용자가 우선 시술부위에 미용에센스를 바르고 그 위로 미용성분필름을 펼쳐 붙여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미용에센스가 묻은 손가락으로 미용성분필름을 펼치면 상기 미용에센스의 수분이 멜팅 필름을 녹임에 따라 사용자의 손가락 여기저기에 달라붙어 시술하기 어렵게 되는 등 사용하기 번거로운 단점도 있다.
이 때문에 기존의 미용 멜팅필름은 대개 코팅 시에 500㎛의 두께로 코팅하고 건조하여 80㎛ 정도의 두께로 되는 제품으로 얻고 있다.
미용성분필름의 두께는 조성물에 따라 차이는 있겠지만 코팅 시에 150㎛ 이하로 하거나 가능하다면 그보다 더 얇게 하여 건조 후의 두께가 10~30㎛로 되게 하는 것이 좋다.
그 이유는 두께가 증가할수록 조성물에 함유되는 고가의 미용성분량도 늘게 되어 원가 상승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미용성분필름이 너무 두꺼우면 시술부위에서 피부로 녹아 들어가는 미용성분필름의 일부가 잔존물로 남아 하얀 막 형태를 형성하게 되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676937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시술 후 피부에 잔존물이 남지 않는 최적의 얇은 두께로 되고, 미용에센스에 잘 용해되는 성분으로 이루어지면서도, 건조된 필름의 형태 보전성이 강화되는 구조의 미용 멜팅필름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구현하는 본 발명은, 80㎛의 오피피필름 상면에 10~30㎛ , 바람직하게는 15㎛ 두께의 미용성분필름이 붙여지고 그 상면으로 120㎛ 두께의 망사지를 피복 접합한 구성으로 된다.
또, 상기 미용성분필름은 히알루론산 23 중량%, 자일리톨 10 중량%, 메칠프로판디올 5 중량%, 초피나무열매 추출물 0.2 중량%, 금은화 추출물 0.2 중량%, 할미꽃 추출물 0.2 중량%, 자몽 추출물 0.2 중량%, 나머지는 정제수로 되는 수용성 조성물을 두께 조절하면서 막으로 형성되게 한 다음, 통상의 방법으로 건조하여 시트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히알루론산은 미용 주요성분으로 첨가되는 고가물이고, 다당류로서의 자일리톨과 다가 알코올인 메칠프로판디올은 건조과정에서 필름의 수축에 의해 나타나는 컬링 현상을 막아주기 위하여 첨가되며, 초피나무열매 추출물은 피부에 대한 비타민 C와 토코페롤 공급원으로 작용함과 동시에 천연 방부제로 기능 하고, 금은화 추출물과 할미꽃 추출물은 피부 진정과 항염 기능, 그리고 초피나무 추출물과 함께 천연 방부제로 기능 하도록 첨가되며, 자몽 추출물은 천연 착향료로 첨가된다.
본 발명의 미용 멜팅필름에서는 미용성분필름이 10~30㎛로 얇게 형성되어도 그 표면의 망사지에 의해 강도 보강되어 형태 보전성이 향상되는 것이므로, 제조공정에서 스탬프 프레스 하고 주변 측 제거부분을 분리수거할 때에도 제품으로 되는 소정형상의 필름은 프레스 된 형태를 유지하게 되어 제품 회수율이 기존 방식에 비해 대폭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미용 멜팅필름을 시술할 때 미용에센스가 미용성분필름을 녹이기 시작해도 망사지가 필름의 표면을 보호하고 있어서 형태가 비틀려지지 않고 처음 그대로 유지됨과 동시에 시술자의 손가락에 달라붙는 것을 막아주므로 미용성분필름의 시술이 번거롭지 않게 되고, 게다가 미용성분필름이 녹으면서 피부로 흡수되면 망사지만 남게 되어 피시술자는 미용성분필름이 완전히 녹았는가를 어렵지 않게 인식할 수 있고 시술 후의 처리도 망사지를 벗겨내면 그만이므로 사용하기도 편리하다.
게다가, 미용성분필름은 얇은 두께로 성형되기 때문에, 히알루론산과 같은 고가의 성분을 다른 성분에 비해 많이 포함하여도, 총량 자체가 소량이기 때문에 제조원가가 급격하게 상승되지도 않아, 좋은 품질의 제품을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미용 멜팅필름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련된 미용 멜팅필름의 제조 예를 나타내는 공정도.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미용 멜팅필름은 도 1로 나타낸 바와 같이, 오피피필름(2)의 상면에 10~30㎛, 바람직하게는 15㎛ 두께로 미용성분필름(4)이 적층 되고, 그 상면이 다시 망사지(6)로 피복 보호된 구성으로 된다.
상기 오피피필름(2)의 두께는 본 발명에서 80㎛의 두께를 채용하였으며, 이것은 미용 멜팅필름의 기재로 적당한 두께일 뿐 특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 망사지(6)는 나일론으로 된 망사지로서 두께 120㎛의 것을 채용하였다.
망사지(6)의 두께도 사용할 때 느껴지는 촉감이나 미용성분필름과의 친화성 등을 고려하여 채택한 것일 뿐 특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적층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미용 멜팅필름은 도 2로 도시한 제조공정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오피피필름(2)에 그라비아 도포방식으로 액상의 조성물을 적층하고 반건조시켜서 표면이 점성을 유지하는 미용성분필름(4)을 120㎛ 이하로 형성하고, 이어서 반건조 된 상면으로 망사지(6)를 피복과 동시에 가압하고 2차 건조하여 완전히 건조된 소재필름(8)을 얻는다.
얻어진 소재필름(8)에서 미용성분필름(4)은 건조에 의해 두께가 10~30㎛, 바람직하게는 15㎛의 두께로 축소되고, 그 상면을 피복하는 망사지(6)는 가압 될 때 밑면의 일부분이 상기 미용성분필름(4)에 살짝 눌려 들어간 상태로 접합된다.
상기 소재필름(8)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스탬프 프레스기에서 소정의 제품형상으로 절단되고 주변의 불필요한 제거부분이 박리 회수되면서 다시 일정 규격으로 절단되는 과정을 거쳐 최종 제품의 미용 멜팅필름으로 된다.
이렇게 얻어지는 미용 멜팅필름을 사용할 때, 시술자는 시술부위에 미용 에센스를 바르고 그 위로 오피피필름(2)에서 벗겨낸 미용성분필름(4)을 붙인 다음, 손가락으로 그 표면을 가볍게 문지르면 미용 에센스에 상기 미용성분필름(4)이 녹으면서 망사지(6)가 벗겨진다.
벗겨지는 망사지(6)는 폐기하고 외부로 노출된 시술부위를 재차 손가락으로 문질러 미용 성분이 피부에 흡수되게 한다.
본 발명에서 미용성분필름(4)은 10~30㎛ 두께로 극히 얇은 것이므로 시술부위에 붙이고 문지른 다음 30분 정도 경과 하면 피부로 흡수되거나 일부는 증발하여 잔존물 없이 소멸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련된 미용 멜팅필름은 사용 후에 불쾌감을 느낄 정도로 피부에 잔존물이 남지 않는다.
상술한 본 발명의 미용 멜팅필름에서 미용성분필름(4)은
히알루론산 23 중량%
자일리톨 10 중량%
메칠프로판디올 5 중량%
초피나무 추출물 0.2 중량%
정제수 잔량
으로 된다.
상술한 성분을 갖는 멜팅필름(4)의 두께를 5㎛, 10㎛, 30㎛, 35㎛로 구분하여 성형한 시료를 준비하고, 액상 미용에센스와 함께 상기 시료를 인체 피부에 실제로 시술한 직후와 망사지를 벗겨낸 직후, 그리고 실온에서 30분 방치하여 피부로 흡수된 상태를 사진 촬영하고 이를 다음 비교 실시예로 나타낸다.
[비교 실시예]
<시술 직후 사진>
Figure 112017076067648-pat00006
피부 위의 망사지 패턴을 육안으로 볼 수 있다.
<망사지 벗겨낸 직후 사진>
Figure 112017076067648-pat00007
피부에 미용 에센스가 발라진 것을 육안으로 볼 수 있다.
<실온에서 30분 방치 후의 사진>
Figure 112017076067648-pat00008
30분 방치하여 건조된 상태는 육안으로 봤을 때, 5㎛, 10㎛, 30㎛는 구분이 어려울 정도로 피부에 흔적이 남지 않았고, 35㎛는 피부에 미소한 잔존물이 희끗희끗하게 남아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관련된 미용 멜팅필름 두께는 5~30㎛ 범위에서 제품화가 최적함을 알 수 있다.
그렇지만, 본 발명에서 5㎛ 두께는 미용 주요성분의 함량이 매우 적게 되는 것이므로 배제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련된 미용 멜팅필름에서 미용성분필름(4)의 두께는 10~30㎛ 범위, 바람직하게는 15㎛가 적합하다.
2: 오피피필름 4: 미용성분필름
6: 망사지

Claims (2)

120㎛ 두께의 망사지(6)가 표면에 피복 부착된 두께 10~30㎛의 건조된 미용성분필름(4)을 오피피필름(2)에 부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건조된 미용성분필름(4)은 히알루론산 23 중량%, 자일리톨 10 중량%, 메칠프로판디올 5 중량%, 초피나무열매 추출물 0.2 중량%, 금은화 추출물 0.2 중량%, 할미꽃 추출물 0.2 중량%, 자몽 추출물 0.2 중량%, 나머지는 정제수로 구성한 것을 통상의 방법으로 건조하여 얻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멜팅필름.
삭제
KR1020170098063A 2017-08-02 2017-08-02 미용 멜팅필름 KR101921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063A KR101921319B1 (ko) 2017-08-02 2017-08-02 미용 멜팅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063A KR101921319B1 (ko) 2017-08-02 2017-08-02 미용 멜팅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1319B1 true KR101921319B1 (ko) 2018-11-22

Family

ID=64557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8063A KR101921319B1 (ko) 2017-08-02 2017-08-02 미용 멜팅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13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4901B1 (ko) 2018-12-10 2019-07-29 김남이 미용성분 공급 및 피부노폐물 흡착의 이중 작용을 하는 건조 후 박리형 미용조성물을 이용한 미용시트세트
KR20220049697A (ko) * 2020-10-15 2022-04-22 (주)진우바이오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937B1 (ko) * 2005-06-01 2007-02-02 주식회사 제닉 피부미용 및 상처치료용 수용성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763373B1 (ko) * 2016-11-23 2017-07-31 (주)바이오제닉스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937B1 (ko) * 2005-06-01 2007-02-02 주식회사 제닉 피부미용 및 상처치료용 수용성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763373B1 (ko) * 2016-11-23 2017-07-31 (주)바이오제닉스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4901B1 (ko) 2018-12-10 2019-07-29 김남이 미용성분 공급 및 피부노폐물 흡착의 이중 작용을 하는 건조 후 박리형 미용조성물을 이용한 미용시트세트
KR20220049697A (ko) * 2020-10-15 2022-04-22 (주)진우바이오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26702B1 (ko) * 2020-10-15 2022-07-29 (주)진우바이오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76867B (zh) 人体美容多层凝胶面膜
US10751266B2 (en) Method of making a barrier patch with soluble film
KR101921319B1 (ko) 미용 멜팅필름
WO2007004300A1 (ja) 化粧品
JPS62230711A (ja) 除毛シ−ト
JP2007119405A (ja) 皮膚貼付剤
KR101795709B1 (ko) 피부 온도 감응형 기능성 하이드로 겔을 이용한 얼굴윤곽 개선용 패치 및 그 제조방법
US6298864B1 (en) Device for applying a film-forming composition
JP2008255066A (ja) 新規パック用化粧品組成物
KR101130993B1 (ko) 펄프를 포함하는 상변화 하이드로겔
JP6067604B2 (ja) 美容パック用基材シート、それを用いた美容パック材、及び、美容パック材の製造方法
WO1998006375A1 (fr) Compositions collantes et humide, timbres a emplatre comprenant celles-ci et procedes d&#39;utilisation associes
JP3563021B2 (ja) 化粧用パックの製造方法
EP0865274B1 (de) Flächenstabilisierte pharmazeutische zubereitung zur anwendung auf der haut
WO2000032154A1 (fr) Cosmetiques en feuille
TW200528145A (en) Product for administration of active agents to different areas of the skin
KR102038857B1 (ko) 하이드로겔 조성물
KR20110060571A (ko) 천연분말 한지 하이드로젤 마스크 팩
US20220226203A1 (en) Skin-attachable thin film patch based on a water-soluble non-woven fabric
KR102347522B1 (ko) 투명 코 팩
JP2001019615A (ja) ボディ用シート状パック化粧料
CN210283751U (zh) 一种不干胶纹身组合贴
JP2007022964A (ja) フィブロイン含有シート
JP2016165457A (ja) 爪装飾用シール素材及び爪装飾用シール
DE69919112T2 (de) Lösung von einem Polyacryl- und/oder Polyvinyl-Polymer mit einem Füllstoff und einem keratolytischen Agentien dazu, und kosmetische Vorrichtung zum Reinigen und Pfleg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