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6702B1 -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6702B1
KR102426702B1 KR1020200133103A KR20200133103A KR102426702B1 KR 102426702 B1 KR102426702 B1 KR 102426702B1 KR 1020200133103 A KR1020200133103 A KR 1020200133103A KR 20200133103 A KR20200133103 A KR 20200133103A KR 102426702 B1 KR102426702 B1 KR 102426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aluronate
film
mesh
thickness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3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9697A (ko
Inventor
권동건
권대중
권신환
이명한
장은희
전영찬
홍주연
Original Assignee
(주)진우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우바이오 filed Critical (주)진우바이오
Priority to KR1020200133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6702B1/ko
Publication of KR20220049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9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36After-treatment
    • C08J9/40Impregnation
    • C08J9/42Impregnation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6/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 A61L26/0009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6/002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00Compositions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1/00 or C08L3/00
    • C08L5/08Chitin; Chondroitin sulfate;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화 상태에서도 형태가 그대로 유지되어 화장품용 마스크 팩, 의료기기용 패치, 창상피복재 등으로 활용 가능한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은 망사 시트의 구멍에 히알루론산염이 침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은 기존 제품과는 달리 베이스 필름에서 탈착시킬 때 필름이 찢어지지 않고, 건조 전 형태를 유지한 채로 탈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필름의 두께 조절이 자유로워 제조가 용이하며, 수화 상태에서도 형태가 그대로 유지되어 화장품, 의약품, 의료기기용 팩, 패치, 인공 피부 등의 다양한 용도로 적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Sodium Hyaluronate Mesh Film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화 상태에서도 형태가 그대로 유지되어 화장품용 마스크 팩, 의료기기용 패치, 창상피복재 등으로 활용 가능한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히알루론산염(Sodium Hyaluronate, Hyaluronic Acid, HA)은 자연에서 알려진 가장 높은 친수성 물질로서 콜라겐, 엘라스틴과 더불어 피부세포를 구성하는 성분 중 하나인 것으로, 천연 보습제라고 불리며 우수한 보습력을 부여하고 있다.
콜라겐과 엘라스틴 섬유조직 사이에 들어있는 젤리 상태의 물질인 히알루론산염은 모든 살아있는 유기체에 자연 상태로 존재하는 성분이다. 인체의 여러 부분에 존재하는 히알루론산염은 특히 피부에 많이 존재하여 피부의 탄력과 볼륨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며, 히알루론산염이 부족하면 피부가 건조해지고 탄력이 감소하여 주름을 생성하게 되면서 피부 노화가 진행된다.
히알루론산염의 장점을 이용하여 고농도 히알루론산염이 함유된 필름의 제조방법들로 등록된 특허들이 있으나 이들 히알루론산염 필름은 페녹시에탄올 등의 유해한 방부제가 첨가되어 있다.
일본등록특허 제6084833호는 점도가 24.5 Pa·s 이상 210 Pa·s 이하의 히알루론산 용액의 건조물이며, 물에 대한 초기 접촉각이 25° 이상 90° 이하 베이스 필름상으로 형성되고 있는, 필름 중의 히알루론산 함유 농도가 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 필름을 개시하였다.
히알루론산염 필름을 경피용으로 사용시에는 수화된 상태로 피부에 빠르게 흡수시켜야 하므로, 저점도 히알루론산염 용액을 이용하여 얇은 두께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기존 히알루론산염 필름의 경우 고 점도의 히알루론산염 용액을 사용하고, 필름의 두께를 일정 이상으로 해야 필름의 제조가 가능하였다. 필름의 두께가 10㎛ 이상인 경우에는, 사용시 충분한 수분이 제공되지 않으면 피부 부착이 어렵고, 부착되더라도 필름이 전부 수화되지 못하여 피부에 흡수되지 못하기 때문에 각질 형태로 잔류함으로써 이물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얇은 두께의 히알루론산염 필름이 제조되었다 하더라도, 베이스 필름에서 탈착시킬 때 얇은 두께로 인하여 필름이 찢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노력한 결과, 자동도포기에 베이스 필름을 위치시키고 히알루론산염 용액을 주입한 다음, 히알루론산염 용액에 망사 시트를 올리고 건조시킬 경우, 두께가 얇고, 수화시에도 형태가 유지되는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필름 형성을 위한 부형제 사용없이 히알루론산염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두께가 얇으면서, 수화시 테두리 부위의 말림 현상 없이 형태 유지가 가능한 히알루론산염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제수만으로 경피 흡수가 용이한 히알루론산염 필름을 포함하는 화장품용 마스크 팩과 패치, 의료기기용 패치와 창상피복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망사 시트의 구멍에 히알루론산염이 침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a) 히알루론산염을 용매로 용해시켜 0.1~30.0중량%의 히알루론산염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자동도포기에 베이스 필름을 위치시킨 후, 상기 제조된 히알루론산염 용액을 주입하는 단계; 및 (c) 상기 주입된 히알루론산염 용액에 망사 시트를 올리고,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히알루론산염 용액은 0.05~5.0㎜의 두께로 캐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망사 시트의 두께는 0.1~0.3㎜이고, 400~800mesh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망사 시트는 폴리우레탄, TPE(thermoplastic elastomer),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비스코스레이온, 랜실(Lanseal),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락트산(PLA), 라텍스, 부직포 및 실리콘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망사 시트의 신장율은 10~3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의 두께는 0.1~0.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을 포함하는 화장품용 마스크 팩, 의료기기용 패치 및 창상피복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은 기존 제품과는 달리 베이스 필름에서 탈착시킬 때 필름이 찢어지지 않고, 건조 전 형태를 유지한 채로 탈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필름의 두께 조절이 자유로워 제조가 용이하며, 수화 상태에서도 형태가 그대로 유지되어 화장품, 의약품, 의료기기용 팩, 패치, 인공 피부 등의 다양한 용도로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베이스 필름에서 탈착된 본 발명의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과 기존 히알루론산염 필름의 외형 사진이다 (좌: 실시예 1, 우: 비교예 1).
도 2는 베이스 필름에서 탈착된 본 발명의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과 기존 히알루론산염 필름을 수화시켰을 때의 외형 사진이다 (좌: 실시예 1, 우: 비교예 1).
본 발명에서는 망사 시트를 이용할 경우, 두께가 얇아서 피부 흡수도는 우수하지만, 베이스 필름에서 탈착하거나, 수화시 파손되지 않고 형태가 유지되는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농도의 히알루론산염 용액을 다양한 범위의 두께로 캐스팅하고, 히알루론산염 용액에 망사 시트를 올리고 건조시켜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을 제조한 다음, 제조된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의 두께, 베이스 필름 탈착 또는 수화시 파손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0.1~30.0중량%의 히알루론산염 용액을 30~70℃의 온도조건에서 건조시켰을 때 표면이 매끄럽고, 망사 구멍 내에 빈 공간 없이 히알루론산염이 고르게 도포된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을 0.1~0.5㎜ 두께로 제조할 수 있고, 제조된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은 베이스 필름에서 탈착시키거나, 피부 적용을 위하여 수화시킬 경우에도 필름의 파손없이 형태를 유지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a) 히알루론산염을 용매로 용해시켜 0.1~30.0중량%의 히알루론산염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자동도포기에 베이스 필름을 위치시킨 후, 상기 제조된 히알루론산염 용액을 주입하는 단계; 및 (c) 상기 주입된 히알루론산염 용액에 망사 시트를 올리고,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히알루론산염은 히알루론산에 염이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서, 히알루론산나트륨, 히알루론산칼슘, 히알루론산칼륨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히알루론산염의 분자량은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3kDa~2.5MDa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히알루론산염 용액의 히알루론산염의 함량은 0.1~30.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히알루론산염 용액의 농도가 0.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필름 성형의 어려움이 있고, 3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높은 점도로 인해 필름의 도포된 표면이 불규칙하게 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범위의 히알루론산염 용액의 점도는 300~100,000cPs에 해당된다. 저분자량의 히알루론산의 경우 고농도로 용해하여 상기 기준 점도를 맞추어야 하며 고분자량의 히알루론산의 경우 저농도로 용해하여 상기 기준 점도를 맞추어야 균일한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히알루론산염을 용해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100% 물 또는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할 수 있으며, 에탄올 수용액은 에탄올의 함량이 0.01~30부피%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을 단독으로 사용하여 히알루론산염을 용해시킬 경우에는 미생물 오염 방지를 위하여 많은 주의가 필요하지만, 에탄올 수용액으로 히알루론산염을 용해시킬 경우에는 에탄올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미생물 오염 방지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필름 형성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에탄올 함량이 30부피%를 초과할 경우에는 히알루론산염의 분자량이 증가함에 따라 필름이 불투명해지거나 필름이 형성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자동 도포기는 일반 필름 제조시 널리 사용되는 기기로서, 본체와 필름의 두께를 조절하는 어플리케이터 및 두께조절 다이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자동도포기에 베이스 필름을 위치시킨 후, 상기 제조된 히알루론산염 용액을 주입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베이스 필름은 히알루론산염 필름을 보호하고 추후에 쉽게 박리가능한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히알루론산염 용액은 어플리케이터와 두께조절 다이얼을 이용하여 0.05~5.0㎜ 두께로 캐스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빠르게 피부흡수가 될 수 있도록 히알루론산염 필름을 얇은 두께로 만들고, 수화시에도 그 형태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주입된 히알루론산염 용액에 망사 시트를 올리고,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망사 시트의 두께는 0.1~0.3㎜이고, 400~800mesh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망사 시트의 두께가 0.3㎜를 초과할 경우에는 망사가 두꺼워 피부 부착이나 사용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400mesh 미만 일 경우 망사 시트에 용액이 고르게 도포되지 않고 800mesh를 초과할 경우에는 수화된 히알루론산 망사 필름을 피부 부착 부위에서 탈착 시, 전부 탈착되지 못하고 망사 시트에 수화된 상태 그대로 잔류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망사 시트의 소재는 폴리우레탄, TPE(thermoplastic elastomer),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비스코스레이온, 랜실(Lanseal),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락트산(PLA), 라텍스, 부직포, 실리콘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망사 시트의 신장율은 10~3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망사 시트의 신장율이 30%를 초과할 경우에는 건조 과정에서 캐스팅된 상태로 형태를 유지되지 않으며 망사 시트의 고정이 어려워 건조 후 망사 시트에 주름이 발생하여 건조가 덜 되거나 망사 구멍 사이에 히알루론산염 용액이 골고루 침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의 건조는 30~70℃ 조건에서 6~10시간동안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는 30~70℃에서 수행되는 한, 특별한 제한없이 다양한 건조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건조가 30℃ 미만인 경우에는 완벽히 건조되지 않는 문제가 있고, 70℃를 초과할 경우에는 과하게 건조되어 망사 시트에서 필름이 분리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은 베이스 필름 위에 망사 시트를 올린 다음 히알루론산염 용액을 주입 후 건조하여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망사 시트 두께 이상으로 히알루론산염 용액을 캐스팅해야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망사 시트의 구멍에 히알루론산염이 침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에 관한 것이다.
상기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에 포함된 히알루론산염은 분자량이 3kDa~2.5MDa인 것이 바람직하고, 히알루론산염의 함량이 0.1~30.0중량%인 히알루론산염 용액이 건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에 포함된 망사 시트는 앞서 기재한 바와 동일한 소재, 두께, 메쉬(mesh)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제조된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의 두께는 0.1~0.5㎜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은 일반 가위나 칼로 원하는 형태로 쉽게 성형이 가능하며, 지지체 역할을 하는 망사 시트를 통해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수화시에도 그 형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을 포함하는 화장품용 마스크 팩, 의료기기용 패치, 창상피복재로 이용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분자량에 따른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의 형성능 확인
히알루론산염(분자량 3kDa, 0.1MDa, 0.8MDa, 1.2MDa 및 2.5MDa)을 각각 20부피% 에탄올 수용액에 0.3~30중량% 농도로 용해시켰다.
자동 도포기 (COAD 411, 의왕기계, 한국)에 폴리에틸렌 베이스 필름을 위치시킨 후, 자동 도포기의 필름 어플리케이터의 두께를 1.0㎜로 설정하고, 용해된 히알루론산염 용액을 주입하였다.
자동 도포기에 주입된 히알루론산염 용액에 망사 시트(PE, 두께: 0.17㎜, 500mesh, 신장율 12%)를 올린 다음 40℃에서 6~10시간 건조하여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을 제조하였다.
그 결과, 3kDa의 히알루론산염을 사용할 경우, 히알루론산염의 농도를 15중량%로 높이고, 2.5MDa을 사용할 경우, 히알루론산염의 농도를 0.1중량%로 낮출 경우,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을 제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히알루론산염의 분자량에 따라 히알루론산염 용액의 농도를 적절히 조절할 경우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을 제조할 수 있었다.
하지만, 3kDa의 히알루론산염 0.1중량% 용액을 이용할 경우에는 건조된 필름의 망사 사이에 히알루론산염 용액이 채워지지 못한 일부 빈 공간이 있어 15중량% 이상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2: 필름 어플리케이터의 두께에 따른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의 형성능 확인
히알루론산염(분자량 0.8MDa)을 각각 20부피% 에탄올 수용액에 1.0중량% 농도로 용해시켰다.
자동 도포기 (COAD 411, 의왕기계, 한국)에 폴리에틸렌 베이스 필름을 위치시킨 후, 자동 도포기의 필름 어플리케이터의 두께를 0.01~6.0㎜로 설정하고, 용해된 히알루론산염 용액을 주입하였다.
자동 도포기에 주입된 히알루론산염 용액에 망사 시트(PE, 두께: 0.17㎜, 500mesh, 신장율 12%)를 올린 다음 40℃에서 6~10시간 건조하여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을 제조하였다.
그 결과, 어플리케이터의 두께가 0.1㎜ 미만인 경우에는 필름이 건조된 후에 망사 사이에 히알루론산염 용액이 채워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고. 5.0㎜를 초과할 경우에는 표면이 고르지 못하게 캐스팅되는 문제가 있었지만, 0.1~5.0㎜인 경우에는 망사 필름이 잘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망사 시트에 따른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의 형성능 확인
히알루론산염(분자량 0.8MDa)을 20부피% 에탄올 수용액에 1.0중량% 농도로 용해시켰다.
자동 도포기 (COAD 411, 의왕기계, 한국)에 폴리에틸렌 베이스 필름을 위치시킨 후, 자동 도포기의 필름 어플리케이터의 두께를 1.0㎜로 설정하고, 용해된 히알루론산염 용액을 주입하였다.
자동 도포기에 주입된 히알루론산염 용액에 망사 시트(PE, 두께: 0.05~0.5㎜, 300~900mesh, 신장율: 5~40%를 올린 다음 40℃에서 6~10시간 건조하여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을 제조하였다.
그 결과, 망사 시트의 두께, 망사시트의 mesh 및 신장율에 따라 망사 시트의 두께는 0.1~0.3㎜, 400~800mesh, 신장율이 10~30% 일 때 필름형성이 가장 잘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망사 시트가 400mesh 미만인 경우 mesh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건조된 필름의 망사 사이에 히알루론산염 용액이 없는 빈 공간이 확인되었고, 800mesh를 초과할 경우에는 필름 형성은 가능하나 수화 시 망사 시트에 필름이 부착 부위가 아닌 망사 시트에 그대로 남아 사용이 불가하였다.
또한, 망사 시트의 신장율이 10% 미만인 경우에는 필름을 제작하는데 문제는 없으나 피부에 부착시켰을 때 발생되는 뻣뻣하고 거친 느낌으로 인해 사용감이 저하되는 특징을 나타냈고, 30%를 초과한 경우에는 신축성으로 인해 필름을 도포한 상태에서 망사가 히알루론산염 용액에 부착되지 못하고 이동성을 보여 건조 과정에서 주름이 발생하였고, 이에 따라 주름이 발생된 부위에 건조가 덜 되는 문제가 있었다.
실시예 4: 건조온도에 따른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의 형성능 확인
히알루론산염(분자량 0.8MDa)을 20부피% 에탄올 수용액에 1.0중량% 농도로 용해시켰다.
자동 도포기 (COAD 411, 의왕기계, 한국)에 폴리에틸렌 베이스 필름을 위치시킨 후, 자동 도포기의 필름 어플리케이터의 두께를 1.0㎜로 설정하고, 용해된 히알루론산염 용액을 주입하였다.
자동 도포기에 주입된 히알루론산염 용액에 망사 시트(PE, 두께: 0.17㎜, 500mesh, 신장율 12%)를 올린 다음 20~80℃에서 6~10시간 건조하여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을 제조하였다.
그 결과, 건조온도에 따라 30℃ 미만인 경우에는 건조 시 건조되지 않은 부분이 발생하였고, 70℃를 초과할 경우에는 과도한 건조로 인해 망사 시트와 필름 부분이 박리되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비교예 1: 통상의 히알루론산염 필름 제조
망사 시트를 사용하지 않고, 0.8MDa의 히알루론산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히알루론산염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의 베이스 필름 탈착
실시예 1~4에서 제조된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히알루론산염 필름의 베이스 필름을 탈착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히알루론산염 필름은 베이스 필름에서의 탈착시 찢어지는 반면, 동일한 두께의 실시예 1~4에서 제조된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의 경우 베이스 필름에서의 탈착이 용이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수화된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의 외관 비교
히알루론산염 필름을 피부에 부착시키기 위해서는 히알루론산염 필름을 수화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실시예 1~4에서 제조된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히알루론산염 필름의 베이스 필름을 탈착시킨 후, 피부에 부착하고 정제수를 분사하여 수화시켰다.
그 결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4에서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은 수화된 후에도 외관을 유지하고 있는 반면,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히알루론산염 필름은 말림 현상으로 인해 테두리 부분만 두껍게 뭉쳐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렇게 뭉쳐진 부분은 피부에 흡수되지 않고 잔류하여 이물감을 주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3)

  1. 망사 시트의 구멍에 히알루론산염이 침투되어 있는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에 있어서,
    상기 망사 시트는 두께가 0.1~0.3㎜이고, 400~800mesh이며, 신장율이 10~30%인 폴리우레탄, TPE(thermoplastic elastomer), 폴리에스테르, 비스코스레이온, 랜실(Lanseal),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락트산(PLA), 라텍스, 부직포 및 실리콘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의 두께는 0.1~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
  6. (a) 히알루론산염을 용매로 용해시켜 0.1~30.0중량%의 히알루론산염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자동도포기에 베이스 필름을 위치시킨 후, 상기 제조된 히알루론산염 용액을 주입하는 단계; 및
    (c) 상기 주입된 히알루론산염 용액에 망사 시트를 올리고,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망사 시트는 두께가 0.1~0.3㎜이고, 400~800mesh이며, 신장율이 10~30%인 폴리우레탄, TPE(thermoplastic elastomer), 폴리에스테르, 비스코스레이온, 랜실(Lanseal),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락트산(PLA), 라텍스, 부직포 및 실리콘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히알루론산염 용액은 0.05~5.0㎜의 두께로 캐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의 제조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 또는 제5항중 어느 한 항의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을 포함하는 화장품용 마스크 팩.
  12. 제1항 또는 제5항중 어느 한 항의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을 포함하는 의료기기용 패치.
  13. 제1항 또는 제5항중 어느 한 항의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을 포함하는 창상피복재.
KR1020200133103A 2020-10-15 2020-10-15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26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103A KR102426702B1 (ko) 2020-10-15 2020-10-15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103A KR102426702B1 (ko) 2020-10-15 2020-10-15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9697A KR20220049697A (ko) 2022-04-22
KR102426702B1 true KR102426702B1 (ko) 2022-07-29

Family

ID=81452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3103A KR102426702B1 (ko) 2020-10-15 2020-10-15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670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1319B1 (ko) * 2017-08-02 2018-11-22 주식회사 이엠코퍼레이션 미용 멜팅필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2331B1 (ko) * 2013-09-16 2016-03-11 주식회사 제닉 레이스 시트를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KR102030496B1 (ko) * 2017-09-27 2019-10-10 (주)진우바이오 자동 도포기에 의한 히알루론산염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히알루론산염 필름
KR20190106091A (ko) * 2018-03-07 2019-09-18 (주)진우바이오 히알루론산염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히알루론산염 필름
KR20190118328A (ko) * 2018-04-10 2019-10-18 주식회사 에스엔비아 히알루론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엠보싱 및 다공성을 갖는 쉬트 및 마스크 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1319B1 (ko) * 2017-08-02 2018-11-22 주식회사 이엠코퍼레이션 미용 멜팅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9697A (ko) 2022-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3477B2 (en) Dissolvable microneedles for skin treatment
CN101716376B (zh) 生长因子缓释型双层人工皮肤
CN108014366A (zh) 一种海洋生物材料复合水凝胶敷料及其制备方法
AU2015237230B2 (en) Dissolvable microneedles for skin treatment
KR20130006834A (ko) 피부 및 상처 보호를 위한 실크 필름의 제조방법
EP0920875A1 (en) Wound covering material containing silk fibroin and silk sericin as the main component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101678656B1 (ko) 기능성이 강화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US4803078A (en) Wound dressing
US20050181027A1 (en) Chitosan-containing wound dressings
Bielecki et al. Wound dressings and cosmetic materials from bacterial nanocellulose
CA2845150A1 (en) Primary dressing for moist wound healing, and method for producing said primary dressing
KR101661353B1 (ko) 단일 또는 이종의 피부활성성분의 공급제어 기능을 가지는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KR100745050B1 (ko)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A2771490A1 (en) Tissue dressing kit including tissue dressing material and detachment solvent, and uses therefor
WO2008156285A1 (en) Method for producing hydrophilic foam dressing and hydrophilic foam dressing produced thereby
KR20010096776A (ko) 2종 이상의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시이트형하이드로겔 팩제 및 그의 제조방법
CN107397980B (zh) 一种组织修复膜涂覆用防粘连组合物及其使用方法
Kuddushi et al. Recent advances in novel materials and techniques for developing transparent wound dressings
KR102426702B1 (ko)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86998B1 (ko) 실리콘 겔 시트 드레싱
KR101698053B1 (ko) 엠보싱 형상 표면을 가지는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CN113952114B (zh) 具有图案化可释放气体的多层纳米纤维敷料及其制备方法
JP2015139603A (ja) 創傷被覆材及び血液中の血球成分と血漿成分との分離方法
JP2005263759A (ja) 皮膚浸透性シート
JP2001212224A (ja) 創傷被覆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