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1230B1 - 스냅용 수단추의 스터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스냅용 수단추의 스터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1230B1
KR101921230B1 KR1020170180524A KR20170180524A KR101921230B1 KR 101921230 B1 KR101921230 B1 KR 101921230B1 KR 1020170180524 A KR1020170180524 A KR 1020170180524A KR 20170180524 A KR20170180524 A KR 20170180524A KR 101921230 B1 KR101921230 B1 KR 101921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snap
metal material
socket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0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영운
Original Assignee
나영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영운 filed Critical 나영운
Priority to KR1020170180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12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1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1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7/00Press-button or snap fasteners
    • A44B17/0064Details
    • A44B17/0076Socket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1/00Fastening by snap action
    • A44D2201/10Details of the stud or socket member
    • A44D2201/30Socket member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 시 변형으로 인한 작동 불량을 줄이고, 아울러 디자인적으로 노출을 최소화하여 심미적인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스냅용 수단추의 스터드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A) 환봉 형상의 금속재료 중심부에 피부착대상물의 구멍을 통과한 포스트의 생크를 끼우기 위한 관통구멍을 절삭 가공으로 뚫는 공정 (B) 관통구멍이 뚫린 상기 금속재료의 중심부에 상기 포스트의 생크 끝부분을 두들겨 변형시켜서 체결하기 위한 고정구멍을 상기 관통구멍의 지름보다 크고 깊이보다 깊게 절삭 가공으로 뚫는 공정 (C) 고정구멍이 뚫린 상기 금속재료의 길이 방향 끝부분 모서리를 스냅용 암단추의 소켓에 끼워지기 쉽도록 절삭 가공으로 비스듬하게 또는 동그스름하게 깎는 공정 (D) 상기 금속재료의 바깥쪽 둘레 면에 상기 소켓의 안쪽에 장착된 스냅링이 탄성에 의해 밀착되면서 걸리도록 걸림홈을 절삭 가공으로 파는 공정 (E) 걸림홈이 패인 상기 금속재료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냅용 수단추의 스터드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스냅용 수단추의 스터드 및 그 제조방법{MALE SNAP FASTENER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MALE SNAP FASTENERS}
본 발명은 스냅용 수단추의 스터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단추용 스터드의 형상과 치수를 일정한 규격으로 가공할 수 있어 사용 시 변형 등으로 인한 작동 불량을 줄이고, 아울러 디자인적으로 노출을 최소화하여 심미적인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스냅용 수단추의 스터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냅(snap fastener)은 요면(凹面)을 갖는 암단추(socket)와 철면(凸面)을 갖는 수단추(ball stud)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옷이나 가방 등과 같은 각종 피부착대상물의 트인 부분에 각각 나누어 달아 그 트인 부분을 여밀 때 서로 눌러 맞추어서 물림 결합되도록 하는 단추의 일종이다.
종래의 스냅으로는 예컨대, 등록실용신안 제20-0183274호에 개시된 합단추가 있다.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단추는 소켓(50a)과, 이를 피부착대상물에 고정하기 위한 헤드(100a)로 이루어지고, 수단추는 스터드(50b)와, 이를 피부착대상물에 고정하기 위한 포스트(100b)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소켓(50a)과 스터드(50b)의 가운데 부분에는 결합구멍(52a)(52b)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헤드(100a)와 포스트(l00b)의 가운데 부분에는 소켓(50a)과 스터드(50b)의 결합구멍(52a)(52b)에 끼워져 고정되는 생크(120a)(130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소켓(50a)의 안쪽에는 스터드(50b)가 끼워지거나 빠질 때 지름이 탄력적으로 확장되고 스터드(50b)가 완전히 끼워지면 원래의 형태 및 위치로 복귀되면서 스터드(50b)의 하부를 가압하여 결속상태를 유지시키는 스냅링이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스냅은 피부착대상물의 특정 위치에 뚫린 구멍을 통해 헤드(100a)와 포스트(l00b)의 생크(120a)(130b)를 통과시킨 후 그 생크(120a)(130b)에 소켓(50a)과 스터드(50b)의 결합구멍(52a)(52b)을 맞춰 끼우고 피부착대상물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생크(120a)(130b)의 상단부를 리벳터(riveter) 등의 공구로 때려서 넓히고 고착함으로써 의복, 가방, 신발 등의 피부착대상물에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스터드(50b)는 판상의 금속 재료를 프레스 가공으로 가압 성형한 후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연출하고 광택효과와 더불어 내식성 및 기계적 계면 특성의 향상 등을 위해 금, 은, 니켈 등으로 전기 도금처리를 하거나 분체도장으로 원하는 색을 입히고 코팅하는 이른바 후가공을 하며, 이렇게 함으로써 부식을 방지함은 물론 다양한 질감과 디자인적인 심미감을 부여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스냅용 수단추는 전기도금법으로 금이나 은 또는 니켈의 얇은 막을 입히는 표면처리를 하면 그 도금층의 두께만큼 전체적인 두께가 약간 두꺼워져서 암단추와의 체결을 위한 공차 범위를 벗어나게 되고, 이로 인해 암단추와의 결합에 지장을 주어 쉽게 물리지 않는 등 잠김 및 풀림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불량률이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프레스 가공으로 성형하는 특성상 외력에 의해 쉽게 변형되거나 균열이 일어나면서 사용 시 결합력이 자칫 느슨해져 작동의 안정성 및 체결성(locking)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KR 101729292 B1(2017.04.17) KR 101660504 B1(2016.09.21) KR 101180898 B1(2012.09.03) KR 1020170069432 A(2017.06.21) KR 200183274 Y1(2000.03.13) JP특개2000-342306 A US5,435,043 A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고, 기존의 스냅용 수단추의 스터드가 지닌 한계 및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스터드의 형상과 치수를 일정한 규격으로 가공할 수 있어 사용 시 헐거움이나 변형으로 인해 암단추의 소켓에서 쉽게 빠지거나 분리되는 등의 작동 불량을 줄이고, 아울러 디자인적으로 노출을 최소화하여 심미적인 완성도를 높이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스냅용 수단추의 스터드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형상과 치수를 일정한 규격으로 가공하여 사용 시 헐거움이나 변형으로 인해 암단추의 소켓에서 쉽게 빠지거나 분리되는 등의 작동 불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스냅용 수단추의 스터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디자인적으로 노출을 최소화하여 심미적인 완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스냅용 수단추의 스터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 및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태양에 따른 구체적 수단은, (A) 환봉 형상의 금속재료 중심부에 피부착대상물의 구멍을 통과한 포스트의 생크를 끼우기 위한 관통구멍을 절삭 가공으로 뚫는 공정, (B) 관통구멍이 뚫린 상기 금속재료의 중심부에 상기 포스트의 생크 끝부분을 두들겨 변형시켜서 체결하기 위한 고정구멍을 상기 관통구멍의 지름보다 크고 깊이보다 깊게 절삭 가공으로 뚫는 공정, (C) 고정구멍이 뚫린 상기 금속재료의 길이 방향 끝부분 모서리를 스냅용 암단추의 소켓에 끼워지기 쉽도록 절삭 가공으로 비스듬하게 또는 동그스름하게 깎는 공정, (D) 상기 금속재료의 바깥쪽 둘레 면에 상기 소켓의 안쪽에 장착된 스냅링이 탄성에 의해 밀착되면서 걸리도록 걸림홈을 절삭 가공으로 파는 공정, (E) 걸림홈이 패인 상기 금속재료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냅용 수단추의 스터드 제조방법을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스터드의 형상과 치수를 일정한 규격으로 가공할 수 있어 사용 시 헐거움이나 변형으로 인해 암단추의 소켓에서 쉽게 빠지거나 분리되는 등의 작동 불량을 줄이고, 아울러 디자인적으로 노출을 최소화하여 심미적인 완성도를 높이는 스터드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으로, 상기 (B) 공정에서, 상기 고정구멍의 지름은 상기 관통구멍의 지름보다 1.5 내지 2배로 크게 형성함으로써 피부착대상물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상기 (D) 공정에서, 상기 걸림홈의 구석 중 상기 스냅링이 드나드는 방향 쪽의 구석에 사면을 절삭 가공으로 비스듬하게 동시에 깎음으로써 상기 스냅링이 끼워지거나 빠지기 수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태양에 따른 구체적 수단은, 스냅용 수단추의 포스트와 피부착대상물을 사이에 두고 상기 포스트의 생크를 구멍에 끼우고 두들겨 찌그러뜨려서 피부착대상물에 고정하는 스냅용 수단추의 스터드에 있어서, 환봉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 한쪽 중심부에 상기 포스트의 생크를 끼우기 위해 형성된 관통구멍과,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 다른 한쪽 중심부에 상기 포스트의 생크 끝부분을 두들겨 변형시켜서 체결하기 위해 상기 관통구멍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된 고정구멍과,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 다른 한쪽 끝부분 모서리에 스냅용 암단추의 소켓에 끼워지기 쉽도록 절삭 가공으로 비스듬하게 또는 동그스름하게 형성된 챔퍼부와, 상기 몸체의 바깥쪽 둘레 면에 상기 소켓의 안쪽에 장착된 스냅링이 탄성에 의해 밀착되면서 걸리도록 일정한 깊이로 패인 걸림홈 및 상기 걸림홈의 구석 중 상기 스냅링이 드나드는 방향 쪽의 구석에 상기 스냅링이 끼워지거나 빠지기 수월하도록 비스듬하게 형성된 사면을 포함하여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냅용 수단추의 스터드를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형상과 치수가 일정하여 사용 시 헐거움이나 변형으로 인해 암단추의 소켓에서 쉽게 빠지거나 분리되는 등의 작동 불량을 줄이고, 아울러 디자인적으로 노출을 최소화하여 심미적인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의 달성과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의 실시 태양은, 형상과 치수가 일정한 규격의 스터드를 절삭 가공으로 얻을 수 있어 사용 시 헐거움이나 기계적 변형으로 인해 암단추의 소켓에서 쉽게 빠지거나 분리되는 등의 작동 불량을 줄이고 구조적인 견고성과 체결성을 극대화하여 품질을 향상시킴은 물론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더구나 디자인적으로 노출이 되는 부분을 최소화하여 피부착대상물에 장착 시 심미적인 완성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가공작업의 단순화로 원가절감은 물론이고 효율성과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스냅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냅용 수단추의 스터드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냅용 수단추의 스터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냅용 수단추의 스터드를 나타낸 횡단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냅용 수단추의 스터드를 채용하여 피부착대상물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스냅의 부분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상측, 하측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로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할 수 있다.
<스냅용 수단추의 스터드 제조방법>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냅용 수단추의 스터드 제조방법은, 크게 (A) 관통구멍 형성공정, (B) 고정구멍 형성공정, (C) 챔퍼부 형성공정, (D) 걸림홈 형성공정 및 (E) 절단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 관통구멍 형성공정
의류를 비롯하여 가방, 지갑 등과 같은 각종 피부착대상물(O)의 표면이나 이면에 매달기 위해 환봉 형상의 금속재료나 선재로 이루어진 몸체(11)의 중심부에 피부착대상물(O)의 구멍을 통과한 포스트(20)의 생크(21)를 끼울 수 있도록 구멍 뚫기(drilling) 등의 절삭 가공으로 뚫어서 관통구멍(12)을 형성한다.
이때, 관통구멍(12)의 지름은 포스트(20)의 생크(21)보다 약간 크게 가공한다.
여기서 몸체(11)는 단면의 형상이 원형으로 이루어진 구리, 주철, 니켈 또는 황동합금 따위의 환봉이나 선재를 이용하여 형성함으로써 연마, 세척, 도금 등의 표면처리 없이도 우수한 질감의 장식성과 심미감을 구현할 수 있다.
(B) 고정구멍 형성공정
포스트의 생크(21) 끝부분을 오목한 홈이 형성된 펀치나 프레스 장치 등으로 두들겨 변형시켜서 체결할 수 있도록 관통구멍(12)이 뚫린 몸체(11)의 중심부에 구멍 뚫기(drilling) 등의 절삭 가공으로 뚫어서 고정구멍(13)을 형성한다.
이때, 고정구멍(13)은 관통구멍(12)의 지름보다 크고 관통구멍(12)의 깊이보다 깊게 형성한다.
예를 들면, 고정구멍(13)의 지름은 관통구멍(12)의 지름보다 1.5 내지 2배로 크게 형성함으로써 포스트(20)와 피부착대상물(O)을 사이에 두고 포스트의 생크(21)를 고정구멍(13)에 끼우고 두들겨 찌그러뜨리는 과정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고, 그로 인해 피부착대상물(O)에 한층 더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고정구멍(13)의 지름은 스냅용 암단추의 헤드의 생크(41) 지름보다 약간 크게 형성함으로써 스냅용 암단추의 소켓(30)과 탈부착 시 그 소켓(30)을 다른 피부착대상물(O')에 고정하기 위한 헤드(40)의 생크(41) 부분이 접촉 간섭 없이 고정구멍(13) 안으로 들어갈 수 있어 그로 인한 작동 불량을 막을 수 있다.
(C) 챔퍼부 형성공정
고정구멍(13)이 뚫린 몸체(11)의 길이 방향 끝부분 모서리를 스냅용 암단추의 소켓(30)에 끼워지기 쉽도록 선삭 등의 절삭 가공으로 비스듬하게 또는 동그스름하게 깎아서 쳄퍼부(14)를 형성한다.
여기서 쳄퍼부(14)는 필요에 따라 걸림홈(15)을 형성한 다음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D) 걸림홈 형성공정
스냅용 암단추의 소켓(30)과 탈부착 시 그 소켓(30)의 안쪽에 장착된 스냅링(31)이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밀착되면서 걸리도록 몸체(11)의 바깥쪽 둘레 면을 절삭 가공으로 일정한 깊이로 파서 걸림홈(15)을 형성한다.
즉, 몸체(11)의 앞쪽 부분이 스냅용 암단추의 소켓(30) 안으로 끼워질 때 발생하는 마찰력으로 스냅링(31)이 벌어지다가 걸림홈(15) 부분에 위치하면 탄성 작용으로 원래대로 복귀하면서 상호 간의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걸림홈(15)의 구석 중 스냅용 암단추의 스냅링(31)이 드나드는 방향 쪽의 구석은 절삭 가공으로 비스듬하게 동시에 깎아 사면(16)을 형성함으로써 스냅용 암단추의 스냅링이 끼워지거나 빠지는 작동이 훨씬 더 원활하고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E) 절단공정
바깥쪽 둘레 면에 일정한 깊이로 걸림홈(15)이 패인 몸체(11)를 절삭 가공으로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스냅용 수단추의 스터드(10)를 얻는다.
이때, 걸림홈(15)과 일정한 간격을 두는 위치에서 마치 플랜지 혹은 칼라와 같이 둥근 테 모양의 돌출 부분을 형성하도록 절단함으로써 피부착대상물(O)과 마주하는 쪽 말단의 강성 및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또는 걸림홈(15) 부분을 가로질러 절단함으로써 피부착대상물(O)과 마주하는 면의 폭이 그 반대쪽 면보다 좁은 형상의 스냅용 수단추의 스터드(10)를 얻을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냅용 수단추의 스터드 제조방법은 형상과 치수가 일정한 규격으로 가공할 수 있어 사용 시 헐거움이나 기계적 변형으로 인해 암단추의 소켓(30)에서 쉽게 빠지거나 분리되는 등의 작동 불량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이고, 구조적인 견고성과 체결성을 극대화하여 품질의 향상은 물론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공작업의 단순화로 원가절감은 물론이고 효율성과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디자인적으로 노출이 되는 부분을 최소화하여 피부착대상물(O)에 장착 시 심미적인 완성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가공작업의 단순화로 원가절감은 물론이고 효율성과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스냅용 수단추의 스터드 >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냅용 수단추의 스터드(10)는 스냅용 수단추의 포스트(20)와 피부착대상물(O)을 사이에 두고 포스트의 생크(21)를 끼우고 두들겨 찌그러뜨려서 피부착대상물(O)에 고정하는 것으로, 크게 몸체(11), 관통구멍(12), 고정구멍(13), 챔퍼부(14), 걸림홈(15) 및 사면(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11)는 옷이나 가방 등과 같은 각종 피부착대상물(O)의 표면이나 이면에 매달기 위해 환봉 형상의 금속재료나 선재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형성되어 있다.
관통구멍(12)은 포스트의 생크(21)를 끼우기 위해 몸체(11)의 길이 방향 한쪽 중심부에 상하로 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관통구멍(12)의 지름은 포스트(20)의 생크(21)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고정구멍(13)은 포스트의 생크(21) 끝부분을 두들겨 변형시켜서 체결하기 위해 몸체(11)의 길이 방향 다른 한쪽 중심부에 관통구멍(12)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즉, 고정구멍(13)과 관통구멍(12)은 몸체(11)의 길이 방향 동일한 중심부에 지름이 서로 다르게 마치 깔대기의 구멍처럼 뚫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고정구멍(13)은 관통구멍(12)의 지름보다 크고 관통구멍(12)의 깊이보다 깊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고정구멍(13)의 지름은 관통구멍(12)의 지름보다 1.5 내지 2배로 크고, 아울러 포스트의 생크(21) 지름보다 약간 크게 형성함으로써 포스트(20)와 피부착대상물(O)을 사이에 두고 포스트의 생크(21)를 고정구멍(13)에 끼우고 두들겨 찌그러뜨리는 과정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고, 그로 인해 피부착대상물(O)에 한층 더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챔퍼부(14)는 스냅용 암단추의 소켓(30)과 탈부착 시 그 소켓(30) 안으로 끼워지기 쉽도록 몸체(11)의 길이 방향 다른 한쪽 끝부분 모서리에 비스듬하게 또는 동그스름하게 형성되어 있다.
걸림홈(15)은 스냅용 암단추의 소켓(30)과 탈부착 시 그 소켓(30)의 안쪽에 장착된 스냅링(31)이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밀착되면서 걸리도록 몸체(11)의 바깥쪽 둘레 면에 일정한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즉, 몸체(11)의 앞쪽 부분이 스냅용 암단추의 소켓(30) 안으로 끼워질 때 발생하는 마찰력으로 소켓의 스냅링(31)이 자연스럽게 벌어지다가 걸림홈(15) 부분에 위치하면 탄성 작용으로 원래대로 복귀하면서 상호 간의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사면(16)은 소켓의 스냅링(31)이 끼워지거나 빠지는 작동이 원활하고 수월하게 이루어지도록 걸림홈(15)의 양쪽 구석 중 스냅링(31)이 드나드는 방향 쪽의 구석에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냅용 수단추의 스터드(10)는 환봉 형상의 금속재료를 절삭 가공하여 형상과 치수가 일정한 규격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종래와 달리 기계적 변형이나 균열 등으로 인해 형상과 치수가 변하거나 체결 상태가 헐거워지는 일이 없어 사용 시 암단추의 소켓(30)에서 쉽게 빠지거나 분리되는 등의 작동 불량을 줄일 수 있다.
아울러 구조적인 견고성과 체결성을 극대화하여 품질의 향상은 물론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게다가 피부착대상물(O)에 장착 시 디자인적으로 노출이 되는 부분이 적어 심미적인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냅용 수단추의 스터드(10)는 CNC 라우터(router)나 NC 라우터 등과 같이 가공 경로를 부호 및 수치 개념으로 프로그래밍하여 자동으로 공작물의 절삭과 면취 등의 가공을 하는 수치제어형 가공기계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가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 스터드 11: 몸체
12: 관통구멍 13: 고정구멍
14: 챔퍼부 15: 걸림홈
16: 사면 20: 포스트
21: 생크 30: 소켓
31: 스냅링 40: 헤드

Claims (3)

  1. 다음의 각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스냅용 수단추의 스터드 제조방법.
    (A) 환봉 형상의 금속재료 중심부에 피부착대상물의 구멍을 통과한 포스트의 생크를 끼우기 위한 관통구멍을 절삭 가공으로 뚫는 공정
    (B) 관통구멍이 뚫린 상기 금속재료의 중심부에 상기 포스트의 생크 끝부분을 두들겨 변형시켜서 체결하기 위한 고정구멍을 상기 관통구멍의 지름보다 크고 깊이보다 깊으면서 스냅용 암단추의 생크 지름보다 크게 절삭 가공으로 뚫는 공정
    (C) 고정구멍이 뚫린 상기 금속재료의 길이 방향 끝부분 모서리를 스냅용 암단추의 소켓에 끼워지기 쉽도록 절삭 가공으로 비스듬하게 또는 동그스름하게 깎는 공정
    (D) 상기 금속재료의 바깥쪽 둘레 면에 상기 소켓의 안쪽에 장착된 스냅링이 탄성에 의해 밀착되면서 걸리도록 걸림홈을 절삭 가공으로 파고, 상기 걸림홈의 구석 중 상기 스냅링이 드나드는 방향 쪽의 구석에 상기 스냅링이 끼워지거나 빠지기 수월하도록 사면을 절삭 가공으로 비스듬하게 동시에 깎는 공정
    (E) 걸림홈이 패인 상기 금속재료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공정
  2. 삭제
  3. 삭제
KR1020170180524A 2017-12-27 2017-12-27 스냅용 수단추의 스터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921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524A KR101921230B1 (ko) 2017-12-27 2017-12-27 스냅용 수단추의 스터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524A KR101921230B1 (ko) 2017-12-27 2017-12-27 스냅용 수단추의 스터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1230B1 true KR101921230B1 (ko) 2018-11-22

Family

ID=64557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0524A KR101921230B1 (ko) 2017-12-27 2017-12-27 스냅용 수단추의 스터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12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90381A (zh) * 2021-03-26 2021-06-04 福建省石狮市华联服装配件企业有限公司 母扣、公扣及四合扣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0106A (ja) * 1999-01-25 2000-08-02 Takeda Seiki Kk スナップファスナ―用の合成樹脂製雄型嵌合部材
JP3192241B2 (ja) * 1992-09-14 2001-07-23 日立機電工業株式会社 波動式沈澱物掻寄装置
KR200368816Y1 (ko) 2004-09-13 2004-12-03 장용실 금속제 스냅패스너용 아일렛
JP2008099741A (ja) 2006-10-17 2008-05-01 Morito Co Ltd 割れやすい素材を使用したボタン及びその製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2241B2 (ja) * 1992-09-14 2001-07-23 日立機電工業株式会社 波動式沈澱物掻寄装置
JP2000210106A (ja) * 1999-01-25 2000-08-02 Takeda Seiki Kk スナップファスナ―用の合成樹脂製雄型嵌合部材
KR200368816Y1 (ko) 2004-09-13 2004-12-03 장용실 금속제 스냅패스너용 아일렛
JP2008099741A (ja) 2006-10-17 2008-05-01 Morito Co Ltd 割れやすい素材を使用したボタン及びその製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90381A (zh) * 2021-03-26 2021-06-04 福建省石狮市华联服装配件企业有限公司 母扣、公扣及四合扣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22065B2 (ja) パンチ組立体及び板押え
KR101247667B1 (ko) 중공체 요소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 중공체 요소, 조립체 피스,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연속식 복합 툴
EP1568421A1 (en) Method of processing formed product, and metal cope and metal drag used for the method
KR101921230B1 (ko) 스냅용 수단추의 스터드 및 그 제조방법
JP2014521422A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止部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2540186B1 (en) Button fixing member and method for forming button fixing member, eyelet member and method for forming eyelet member
JPWO2015033475A1 (ja) ファスナーチェーン及びスライドファスナー、並びにファスナーエレメントの製造方法
KR100563200B1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스프링체 및 이를 장착한 슬라이더
EP2581235B1 (en) Metal component and method for forming metal component
JP2006205234A (ja) バーリング金型及びバーリング加工方法
US20100313725A1 (en) Puncher
CA1299345C (en) Button colle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EP2401934A1 (en) Press-stud, particularly for items of clothing or the like
CN212280207U (zh) 转动扣合结构、按扣及转动扣合结构的组装工具
US20050278923A1 (en) Method of forming metal zipper teeth and forming device thereof
KR101892505B1 (ko) 투 컬러 기둥단추
KR20090023738A (ko) 펀치 조립체
KR101163625B1 (ko) 귀걸이 뒷장식부재의 제조방법과 그 구조
JP4505845B2 (ja) パンチャー
US3996647A (en) Button including a male and female portion
US20040244161A1 (en) Snap button and a die for assembling the same
JPH0241378B2 (ko)
JP4390316B2 (ja) ダイ装置
KR20020076968A (ko) 체인형 보석난집
CN111278584B (zh) 拉链链牙的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