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9935B1 - 부착식 미끄럼방지용 바닥포장재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부착식 미끄럼방지용 바닥포장재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9935B1
KR101919935B1 KR1020180040998A KR20180040998A KR101919935B1 KR 101919935 B1 KR101919935 B1 KR 101919935B1 KR 1020180040998 A KR1020180040998 A KR 1020180040998A KR 20180040998 A KR20180040998 A KR 20180040998A KR 101919935 B1 KR101919935 B1 KR 101919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p
slip plate
adhesive layer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0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현근
Original Assignee
한라케미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케미칼(주) filed Critical 한라케미칼(주)
Priority to KR1020180040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99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9J1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07Vehicle decelerating or arresting surfacings or surface arrangements, e.g. arrester beds ; Escape roads, e.g. for steep descents, for sharp be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대상면에 형성되는 베이스접착층에 논슬립플레이트가 별도의 열처리 공정없이 신속하게 접착 결합됨에 따라 시인성, 품질 균일성, 작업 편의성, 내구성 및 미끄럼저항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미끄럼방지가 필요한 대상면에 메틸메타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도막형 접착제가 도포 및 경화되어 형성되는 베이스접착층; 및 메틸메타아크릴 수지 및 골재를 포함하는 미끄럼방지 포장재가 기설정된 면적을 갖는 성형틀의 내부에 충진 및 경화되어 제조되며, 상기 베이스접착층의 상면에 안착 및 가압되어 상기 도막형 접착제의 경화시 접착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논슬립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부착식 미끄럼방지용 바닥포장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부착식 미끄럼방지용 바닥포장재 및 그의 제조방법{attachable floor packing structure for non-slip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부착식 미끄럼방지용 바닥포장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상면에 형성되는 베이스접착층에 논슬립플레이트가 별도의 열처리 공정없이 신속하게 접착 결합됨에 따라 시인성, 품질 균일성, 작업 편의성, 내구성 및 미끄럼저항성이 개선된 부착식 미끄럼방지용 바닥포장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스콘 또는 콘크리트, 철재 등으로 형성된 도로에서 상기 도로의 기울기가 급하거나 급커브 구간, 경사로 등 제동거리가 요구되는 구간은 눈이나 비로 인하여 노면에 슬립현상이 발생하고 이로 인한 차량 사고의 위험이 존재한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도로면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미끄럼방지 성능을 높이고 차량의 급정거, 경사진 노면에서 차량의 미끄럼이나 우천시 수막현상 등을 줄이기 위해 미끄럼방지포장재 도료를 도로면에 도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미끄럼방지포장재 도료는 통상적으로 열가소성 수지와 규사, 석영, 유리알(bead), 보크사이트, 재강 슬러그 등의 골재를 혼합한 후 레이커, 헤라 등을 사용하여 도로면에 도포 후, 롤러브러쉬를 이용하여 표면거칠기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미끄럼방지포장재 도료가 현장에 도포된 초기에는 표면에 돌출된 골재에 의해 미끄럼저항성이 발휘된다. 그러나, 고하중 차량 등의 빈번한 통행으로 인해 상기 골재의 급속한 마모로 급격히 미끄럼저항성이 낮아지므로 장기적인 미끄럼저항성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장기적인 미끄럼저항성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미끄럼방지포장재 도료에 골재의 혼합 함량을 대폭 증가시키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골재의 함량이 일정 비율 이상으로 증가될 경우, 열가소성 수지의 함유량이 상대적으로 적어져 현장 도포시 도료의 퍼짐성 및 작업성이 저하되고, 도로면과의 접착성이 미흡하여 도로면으로부터 탈락되거나 크랙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골재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이외에도 장기적인 미끄럼저항성을 유지하기 위해 도로면에 그루빙 시공법, 스템프 시공법 및 스텐실 시공법을 적용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그루빙 시공법은 특장 절삭 장비 등을 이용하여 도로면에 홈이 형성되도록 절삭한 후 상기 미끄럼방지포장재 도료를 도포하는 공법이다.
그러나, 상기 그루빙 시공법은 도로의 경사도가 15% 이상인 경우(45°기준 100%), 특장 절삭 장비를 사용할 수 없어 상기 그루빙 시공법이 꼭 필요한 급경사 구간에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특장 절삭 장비를 사용한 별도의 홈파기 그루빙 공정이 추가됨에 따라 공사기간이 연장되어 시공비가 증가될 뿐만 아니라 도로면을 절삭함으로써 건설폐기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스템프 시공법은 도로면 상측에 안착된 철재 문양판을 히팅기로 가열하여 콤펙트 등을 이용해 문양을 각인한 후 스프레이 장비 등을 이용해 상기 미끄럼방지포장재 도료를 도포하는 공법이다.
그러나, 상기 스템프 시공법은 상기 히팅기, 콤펙트, 철재 문양판, 스프레이 장비 등의 다양한 특장 장비를 사용한 별도의 홈파기 스템프 공정이 추가됨에 따라 공사기간이 연장되어 시공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홈파기 스템프 공정시 도로면에 문양이 각인되며 발생하는 소음으로 인해 주변으로부터 많은 민원이 제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시인성이 우수한 스텐실 시공법은 자전거 도로, 보행로, 공원, 테마거리 등에 미관을 개선하기 위해 규격화된 문양지 종이를 바닥 표면에 안착시킨 후 스프레이 장비 등을 이용해 상기 미끄럼방지포장재 도료를 도포하여 상기 문양지를 제거함으로써 다양한 문양을 연출하는 공법이다.
그러나, 상기 스텐실 시공법은 상기 문양지가 박막의 종이 재질이므로 미끄럼방지포장재 도료가 2mm를 초과하는 도막 두께를 형성하도록 도포될 경우 상기 문양지의 제거시 상기 문양지에 도포된 미끄럼방지포장재 도료가 바닥으로 흘러내려 깨끗한 문양이 형성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상기 미끄럼방지포장재 도료가 2mm 이하의 도막 두께를 갖도록 도포됨에 따라 차량 통행 등에 의해 작용되는 고하중에 대하여 바닥재층의 내마모성, 내구성 및 미끄럼저항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로의 바닥 표면이 일반적으로 골재 돌출, 지반 침하 등으로 평탄하지 않고 상기 문양지는 부착 스티커면이 없어 바닥 표면과 문양지가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미끄럼방지포장재 도료가 도포되기 어려워 스프레이 특장장비를 필수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도로의 바닥 표면에 문양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미끄럼방지포장재 도료가 도포된 이후 상기 문양지를 제거함에 따라 다량의 건설폐기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501091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대상면에 형성되는 베이스접착층에 논슬립플레이트가 별도의 열처리 공정없이 신속하게 접착 결합됨에 따라 시인성, 품질 균일성, 작업 편의성, 내구성 및 미끄럼저항성이 개선된 부착식 미끄럼방지용 바닥포장재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미끄럼방지가 필요한 대상면에 메틸메타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도막형 접착제가 도포 및 경화되어 형성되는 베이스접착층; 및 메틸메타아크릴 수지 및 골재를 포함하는 미끄럼방지 포장재가 기설정된 면적을 갖는 성형틀의 내부에 충진 및 경화되어 제조되며, 상기 베이스접착층의 상면에 안착 및 가압되어 상기 도막형 접착제의 경화시 접착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논슬립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골재는 상기 미끄럼방지 포장재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50~70 중량%으로 포함되되, 석영, 실리콘디옥사이드, 탄화규소, 경옥, 글라스비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식 미끄럼방지용 바닥포장재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논슬립플레이트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되 기설정된 패턴을 갖는 관통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성형틀에는 소정의 두께를 갖되 기설정된 길이로 연장된 장방형 평판 형상을 갖는 베이스부의 테두리를 따라 상향 돌출된 측벽부의 내부에 형성된 캐비티의 바닥면에 상기 기설정된 패턴을 갖는 패턴부가 상향 돌출되며, 상기 관통개구부는 상기 논슬립플레이트의 폭방향 및 길이방향을 따라 다단 배열되는 복수개의 개구홀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도막형 접착제는 제1착색제를 포함하며, 상기 미끄럼방지 포장재는 상기 제1착색제와 상이한 색상을 갖는 제2착색제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홀의 개구폭은 상기 논슬립플레이트의 상하방향 두께를 기설정된 시야각의 탄젠트 함수값으로 나눈 값 이상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삭제
한편, 본 발명은 소정의 두께를 갖되 기설정된 길이로 연장된 장방형 평판 형상을 갖는 베이스부의 테두리를 따라 상향 돌출된 측벽부의 내부에 형성된 캐비티의 바닥면에 기설정된 패턴을 갖는 패턴부가 상향 돌출된 성형틀이 준비되는 제1단계; 메틸메타아크릴 수지와, 석영, 실리콘디옥사이드, 탄화규소, 경옥, 글라스비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로 구비되며 전체 중량에 대하여 50~70 중량%의 골재, 그리고 제2착색제를 포함하는 미끄럼방지 포장재가 상기 캐비티에 충진 및 경화되어 논슬립플레이트가 형성되는 제2단계; 상기 논슬립플레이트가 상기 성형틀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패턴부와 대응되는 관통개구부가 형성되는 제3단계; 및 미끄럼방지가 필요한 바닥면에 메틸메타아크릴 수지 및 제1착색제를 포함하는 도막형 접착제가 도포 및 경화되어 형성된 베이스접착층의 상측에 상기 논슬립플레이트가 접착 결합되는 4단계를 포함하는 부착식 미끄럼방지용 바닥포장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착식 미끄럼방지용 바닥포장재 및 그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메틸메타아크릴 수지를 주재질로 하는 기제조된 논슬립플레이트가 도막형 접착체가 경화되기 전 5분 이내에 상면에 안착 및 가압되면 별도의 열처리 공정 없이도 신속하게 접착 결합되면서도 화학적으로 유사한 물적 특성을 갖게 되어 표면 박리의 발생이 방지된 상태로 견고하게 일체형으로 접착되므로 내구성, 품질의 균일성 및 현장 설치에 대한 작업의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둘째, 상기 베이스접착층 및 다양한 문양 형성이 가능한 논슬립플레이트에 각각 포함되는 상기 제1착색제 및 제2착색제가 상호 상이한 색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논슬립플레이트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개구부를 통해 상기 베이스접착층의 색상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각 색상의 대비와 다양한 문양을 통한 시인성 및 미관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셋째, 상기 논슬립플레이트는 미끄럼방지 포장재가 성형틀에 도포 및 경화되어 제조되므로 종래와는 달리 별도의 롤러장치 등을 이용한 회전 이송을 통한 도포방식이 적용되지 않아 더 높은 비율의 골재가 포함될 수 있으며 골재에 의한 내마모성 및 미끄럼저항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넷째, 고체 상태의 평판 형상인 논슬립플레이트가 기제조된 후 베이스접착층에 부착되는 방식이므로 문양 형성을 위해 도포되는 바닥재 층의 두께가 한정적이던 종래와는 달리 상하방향 두께를 더 두껍게 구비될 수 있어 차량 통행 등에 의해 작용되는 고하중에 대하여 내마모성 및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다섯째, 기제조된 논슬립플레이트가 베이스접착층에 부착되면 설치가 완료되므로 종래의 그루빙 시공법이나 스텐실 시공법 등과 같이 특장 장비 사용에 따른 시공비용 및 홈파기 공정시 발생되는 건설폐기물의 처리비용이 소요되지 않아 경제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여섯째, 상기 논슬립플레이트는 상기 관통개구부가 형성된 상태로 기제조되므로 현장 설치시 특장 장비를 사용하는 별도의 공정 없이도 그루빙 및 스텐실 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자체적인 미끄럼 방지 효과를 동시에 제공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므로 안전성이 더욱 개선되는 시너지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곱째, 상기 논슬립플레이트에 폭방향 및 길이방향을 따라 다단 배열되는 복수개의 개구홀로 형성된 관통개구부의 표면 단차에 의해 차량의 타이어와의 마찰음이 발생하여 운전자의 경각심과 졸음방지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그루빙 및 스템프 효과로 수막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덟째, 상기 논슬립플레이트가 차량의 바퀴가 주로 접촉 및 마찰되어 급속하게 마모가 발생되는 도로면 양쪽 가장자리의 마찰영역에 배열됨에 따라 내구성 및 작업의 편의성 및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뿐만 아니라 자재비용 감소 및 공사기간 단축을 통해 경제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착식 미끄럼방지용 바닥포장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착식 미끄럼방지용 바닥포장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착식 미끄럼방지용 바닥포장재의 논슬립플레이트가 제조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착식 미끄럼방지용 바닥포장재가 대상면에 설치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착식 미끄럼방지용 바닥포장재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착식 미끄럼방지용 바닥포장재가 도로면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착식 미끄럼방지용 바닥포장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착식 미끄럼방지용 바닥포장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착식 미끄럼방지용 바닥포장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착식 미끄럼방지용 바닥포장재의 논슬립플레이트가 제조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예시도이고,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착식 미끄럼방지용 바닥포장재가 대상면에 설치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착식 미끄럼방지용 바닥포장재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착식 미끄럼방지용 바닥포장재(100)는 베이스접착층(10) 및 논슬립플레이트(2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접착층(10)은 미끄럼방지가 필요한 대상면(K)에 메틸메타아크릴 수지(methyl methacrylate, MMA)를 포함하는 도막형 접착제(f1)가 도포 및 경화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도막형 접착제(f1)는 메틸메타아크릴 수지 및 제1착색제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메틸메타아크릴 수지는 저온속성 경화성과 접착성, 내구성, 내열성, 내화학성, 내마모성, UV 안전성 등의 물성이 우수하다. 또한, 메틸메타아크릴 수지는 무색 투명한 액체로, 상기 도막형 접착제(f1)는 상기 제1착색제가 혼합됨에 따라 제1색상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접착층(10)의 상하방향 두께는 3~5mm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접착층(10)의 상하방향 두께가 3mm 미만인 경우에는 후술되는 상기 논슬립플레이트(20)가 원활하게 접착되지 않고 임의로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접착층(10)의 상하방향 두께가 5mm 초과인 경우 상기 도막형 접착제(f1)의 도포된 후 경화를 위한 건조시간이 5분을 초과하여 설치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과도한 도막형 접착제(f1)의 사용으로 제조비용이 증가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접착층(10)의 상하방향 두께가 3~5mm로 설정됨에 따라 상기 도막형 접착제(f1)가 도포된 후 3~5분 경과 후에 경화가 완료되어 상기 베이스접착층(10)으로 형성되면서도 상기 논슬립플레이트(20)가 원활하게 접착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논슬립플레이트(20)는 상기 도막형 접착제(f1)가 경화되기 전 5분 이내에 상기 베이스접착층(10)의 상면에 안착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도막형 접착제(f1)가 도포된 후 3~5분이 경과됨에 따라 경화되면서 상기 논슬립플레이트(20)가 상기 베이스접착층(10)의 상측에 안정적으로 접착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논슬립플레이트(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접착층(10)의 상면에 안착 및 가압되어 상기 도막형 접착제(f1)의 경화시 접착 결합됨에 따라 부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논슬립플레이트(20)는 상기 베이스접착층(10)의 상측에 상호 밀착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논슬립플레이트(20)가 복수개로 구비되면 상기 베이스접착층(10)의 상측에 폭방향 및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논슬립플레이트(20)가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접착층(10)의 상측에 폭방향 및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것을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또한, 상기 논슬립플레이트(20)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되 기설정된 패턴을 갖는 관통개구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패턴이라 함은 일정한 형태를 갖는 무늬뿐만 아니라 그림 내지 숫자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을 갖는 문양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논슬립플레이트(20)에는 상기 관통개구부를 통한 다양한 문양 형성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관통개구부는 상기 논슬립플레이트(20)의 폭방향 및 길이방향을 따라 다단 배열되는 복수개의 개구홀(21)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관통개구부가 상기 논슬립플레이트(20)의 상면부에 전체적으로 다단 배열되는 복수개의 개구홀(21)로 형성되면 운전자가 경각심을 갖도록 상측을 지나가는 차량의 타이어와 상기 논슬립플레이트(20)의 상면부에 마찰음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논슬립플레이트(20)에 형성된 관통개구부의 표면 단차에 의해 차량의 타이어와의 마찰음이 발생하여 운전자의 경각심과 졸음방지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그루빙 및 스템프 효과로 수막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논슬립플레이트(20)는 메틸메타아크릴 수지, 골재 및 제2착색제를 포함하는 미끄럼방지 포장재(f2)가 기설정된 면적을 갖는 성형틀(150)의 내부에 충진 및 경화되어 제조된다.
여기서, 도 2 내지 도 4b을 참조하면, 상기 부착식 미끄럼방지용 바닥포장재(100)가 제조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먼저, 베이스부(151)의 테두리를 따라 상향 돌출된 측벽부(152)의 내부에 형성된 캐비티(153)의 바닥면에 상기 기설정된 패턴을 갖는 패턴부(155)가 상향 돌출된 상기 성형틀(150)이 준비된다(s10).
상세히,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성형틀(150)은 상부가이더부(150a) 및 하부가이더부(150b)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상부가이더부(150a) 및 상기 하부가이더부(150b)는 각각 별도로 구비되어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가이더부(150a)는 베이스부(151) 및 측벽부(152)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부(151)는 소정의 두께를 갖되 기설정된 길이로 연장된 장방형 평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151)에는 상기 패턴부(155)의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내면 프로파일을 갖는 삽입홀(156)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홀(156)을 통해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상기 패턴부(155)가 형합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벽부(152)는 상기 베이스부(151)의 상면부 테두리를 따라 상향 돌출된다. 이때, 상기 측벽부(152)는 상기 베이스부(151)의 상면부로부터 수직 연장되며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부(151)의 상면부 테두리를 따라 용접 내지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측벽부(152)는 상기 베이스부(151)와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측벽부(152)의 내부에는 캐비티(15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캐비티(153)의 바닥면, 즉 상기 측벽부(152) 내측으로 배치되는 상기 베이스부(151)의 상면부는 기설정된 면적을 갖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캐비티(153)는 기설정된 면적을 갖는 상기 베이스부(151)의 상면부 및 상기 측벽부(152)에 의해 박스형으로 구획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상기 미끄럼방지 포장재(f2)가 충진 및 경화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벽부(152)의 높이는 기설정된 높이를 갖도록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논슬립플레이트(20)의 상하방향 두께(d)를 안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높이는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10mm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논슬립플레이트(20)는 실질적으로 상기 측벽부(152)의 높이에 대응되는 상하방향 두께(d)를 갖도록 제조된다. 따라서, 상기 논슬립플레이트(20)의 상하방향 두께(d)는 3~10mm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캐비티(153)의 내면에는 테프론(teflon) 재질의 제1접착방지코팅층(153a)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접착방지코팅층(153a)은 상기 베이스부(151)의 상면부 및 상기 측벽부(152)의 내면을 커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테프론 재질은 비점착성이 우수하여 상기 미끄럼방지 포장재(f2)의 경화시 상호 간의 접착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미끄럼방지 포장재(f2)가 충진 및 경화되어도 상기 제1접착방지코팅층(153a)에 의해 이형성을 갖게 되므로 상기 캐비티(153)의 내면으로부터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가이더부(150b)는 몸체부(154) 및 패턴부(155)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이때, 상기 몸체부(154)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장방형 평판 형상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54)의 면적은 상기 상부가이더부(150a)의 안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상기 베이스부(151)의 면적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부(154)는 제조가 수행되는 작업공간의 바닥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상부가이더부(150a)가 상기 하부가이더부(150b)의 상측에 안착되거나, 상기 미끄럼방지 포장재(f2)가 충진 및 경화되거나, 안착된 상부가이더부(150a)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상기 하부가이더부(150b)의 임의 이동이 구속되므로 작업 안정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턴부(155)는 상기 기설정된 패턴을 갖도록 상기 몸체부(154)의 상면부로부터 수직하게 상향 돌출된다. 이때, 상기 패턴부(155)는 상기 몸체부(154)의 상면부에 하단부가 용접 내지 접착 등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부(155)의 외면에는 테프론 재질의 제2접착방지코팅층(155a)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부가이더부(150b)의 상측에는 상기 상부가이더부(150a)가 안착되고 상기 삽입홀(156)에 상기 패턴부(155)가 형합 삽입된다.
이때, 상기 패턴부(155)의 상하방향 높이는 상기 베이스부(151)의 상하방향 두께 및 상기 측벽부(152)의 상하방향 두께를 합산한 값에 대응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패턴부(155)가 상기 삽입홀(156)에 형합 삽입되면 상기 캐비티(153)의 대상면(K)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상향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가이더부(150b)의 상측에 상기 상부가이더부(150a)가 안착되어 상기 캐비티(153)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패턴부(155)가 상향 돌출되면 상기 성형틀(150)의 준비가 완료된다.
또한, 상기 성형틀(150)은 상기 상부가이더부(150a) 및 상기 하부가이더부(150b)의 결합시 하중에 의한 파손이 방지되도록 금속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논슬립플레이트(20)와의 이형성이 향상되도록 테프론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상부가이더부(150a) 및 상기 하부가이더부(150b)는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캐비티(153)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패턴부(155)가 일체로 상향 돌출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각 가이더부(150a,150b)를 결합 내지 분리하는 과정이 생략되므로 제조편의성이 향상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한편, 상기 성형틀(150)이 준비되면(s10), 상기 미끄럼방지 포장재(f2)가 상기 캐비티(153)에 충진 및 경화되어 논슬립플레이트(20)가 형성된다(s20).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가이더부(150b)에 상기 상부가이더부(150a)가 안착된 상태로 상기 미끄럼방지 포장재(f2)가 상기 캐비티(153)에 충진된다. 이때, 상기 미끄럼방지 포장재(f2)는 상기 캐비티(153)의 부피에 대응되도록 충진될 수 있으며, 상면부가 롤러 등에 의해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미끄럼방지 포장재(f2)는 상기 캐비티(153)에 충진된 상태에서 소정의 건조 시간이 경과되어 경화가 완료되면 논슬립플레이트(20)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미끄럼방지 포장재(f2)는 메틸메타아크릴 수지와, 석영, 실리콘디옥사이드, 탄화규소, 경옥, 글라스비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로 구비되는 골재, 그리고 제2착색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미끄럼방지 포장재(f2)에는 상기 도막형 접착제(f1)와 동일하게 메틸메타아크릴 수지가 포함되므로 상기 논슬립플레이트(20)가 상기 베이스접착층(10)의 상면에 안착 및 가압되어 상호 간의 접착시 실질적으로 일체형으로 접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미끄럼방지 포장재(f2)는 상기 도막형 접착제(f1)와 동일하게 메틸메타아크릴 수지가 포함됨에 따라 상호 화학적으로 유사한 물적 특성을 갖고 표면 박리가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더욱 견고하게 일체형으로 접착되므로 제품의 내구성, 품질의 균일성 및 미끄럼저항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논슬립플레이트(20)를 상기 베이스접착층(10)에 안착 및 가압하는 과정만으로도 상기 도막형 접착제(f1)가 경화되며 상호간에 일체로 접착되므로 현장 설치에 대한 작업의 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골재는 석영, 실리콘디옥사이드(silicon dioxide), 탄화규소, 경옥, 글라스비드(glass beads)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로 구비되며, 상기 논슬립플레이트(20)의 미끄럼저항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골재의 직경은 180㎛~6mm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골재의 직경이 180㎛ 미만으로 설정되면 미끄럼저항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6mm를 초과하도록 설정되면 상기 골재의 퍼짐성이 저하되어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골재의 직경은 180㎛~6mm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미끄럼저항성이 우수하게 나타난 600㎛~4.36 mm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골재는 상기 미끄럼방지 포장재(f2)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50~70 중량%으로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종래에는 대상면(K)에 바닥재 도료가 도포된 후 롤러장치 등으로 도로면에 회전 이송되어 미끄럼방지층이 형성되었다. 그러나, 상기 바닥재 도료에 골재의 함유량이 4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수지의 함유량이 상대적으로 적어져 퍼짐성 및 젖음성이 저하됨에 따라 롤러장치 등으로 회전 이송을 통한 작업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바닥재 도료는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 제10-1726192호에 개시되고 있으며, 상술한 등록특허에 개시된 바닥재 조성물의 골재는 바닥재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30~40 중량%으로 포함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끄럼방지 포장재(f2)는 종래와는 달리 별도의 롤러장치 등으로 회전 이송되어 도포되지 않고 상기 캐비티(153)에 충진된 상태에서 경화되어 제조된다. 따라서, 상기 미끄럼방지 포장재(f2)에는 상술한 등록특허에 개시된 바닥재 조성물보다 더 높은 비율의 골재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골재가 상기 미끄럼방지 포장재(f2)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50 중량% 미만인 경우 종래의 바닥재 도료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미끄럼저항성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골재가 상기 미끄럼방지 포장재(f2)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70 중량% 초과인 경우 퍼짐성 및 젖음성이 과도하게 저하되어 상기 캐비티(153) 내부에 원활한 충진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통해, 상기 골재가 상기 미끄럼방지 포장재(f2)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50~70 중량%으로 포함됨에 따라 상기 캐비티(153)에 충진될 수 있는 적합한 퍼짐성 및 젖음성을 가지면서도 종래의 바닥재 도료에 비해 골재의 함량 비율이 더욱 높아져 골재에 의한 내마모성 및 미끄럼저항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미끄럼방지 포장재(f2)는 필요에 따라, 점도조절제, 왁스 및 벤조일 퍼옥사이드(benzoyl peroxide) 등을 포함하는 반응첨가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미끄럼방지 포장재(f2)에는 침강방지제로서 상기 점도조절제가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점도조절제는 상기 미끄럼방지 포장재(f2)가 충진된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실리카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예컨대 OCI사의 K-200 퓸드 실리카(fumed silica)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끄럼방지 포장재(f2)에는 표면오염 방지제로서 상기 왁스가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왁스는 파라핀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하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대기중의 산소를 차단하고 경화 및 건조된 상기 미끄럼방지 포장재(f2) 표면의 끈적임을 방지하여 표면 오염이 최소화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미끄럼방지 포장재(f2)는 상기 제2착색제가 포함됨에 따라 제2색상에 대응되는 색상으로 나타난다. 이때, 상기 제2착색제는 상기 제2색상이 상기 제1색상과 상호 상이한 색상을 갖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제1착색제가 노란색 계열의 안료로 구비되면, 상기 제2착색제는 붉은색 계열의 산화철 등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산화철은 시인성이 우수하면서도 무독성 및 무오염의 무기 안료로서 친환경적이다. 이를 통해, 도 5와 같이, 상기 베이스접착층(10)의 상측에 상기 논슬립플레이트(20)가 안착되면 상기 베이스접착층(10)의 외면이 상기 관통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논슬립플레이트(20)가 형성되면(s20), 상기 논슬립플레이트(20)가 상기 성형틀(150)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패턴부(155)와 대응되도록 관통개구부가 형성된다(s30).
이때, 도 3c를 참조하면, 상기 미끄럼방지 포장재(f2)가 경화되어 상기 논슬립플레이트(20)가 형성되면 상기 상부가이더부(150a)가 상기 하부가이더부(150b)로부터 분리된다.
여기서, 상기 논슬립플레이트(20)는 상기 패턴부(155)가 상기 삽입홀(156)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접착방지코팅층(155a)에 의해 상기 패턴부(155)와의 접착이 방지되어 안정적으로 분리되므로 균열 내지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논슬립플레이트(20)에는 상기 패턴부(155)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관통개구부가 형성된다. 즉, 상기 상부가이더부(150a)는 상기 하부가이더부(150b)로부터 상측으로 이동되어 분리된다.
따라서, 상기 관통개구부는 상기 캐비티(153) 내측에 위치한 상기 패턴부(155)가 상기 삽입홀(156)을 통해 분리되어 제거됨에 따라 상기 패턴부(155)의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내면 프로파일을 갖도록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패턴부(155)가 폭방향 및 길이방향을 따라 다단 배열되는 복수개의 돌기로 구비되면 상기 관통개구부는 상기 복수개의 돌기에 대응되는 내면 프로파일을 갖는 복수개의 개구홀(21)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가이더부(150a)가 상기 하부가이더부(150b)로부터 분리되면 도 3d와 같이, 상기 논슬립플레이트(20)는 상기 캐비티(153)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논슬립플레이트(20)는 상기 캐비티(153)의 내면에 구비된 상기 제1접착방지코팅층(153a)에 의해 접착에 의한 균열 내지 파손이 방지된 상태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논슬립플레이트(20)는 상기 미끄럼방지 포장재(f2)가 충진 및 경화된 후 상기 성형틀(150)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관통개구부가 형성됨에 따라 제조가 완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논슬립플레이트(20)는 상기 홀가디어장치(150)를 통해 균일한 품질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어 상기 대상면(K)의 상측에 다단 배열시 고품질의 부착식 미끄럼방지용 바닥포장재(100)가 제공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관통개구부는 테이프 및 문양 스티커를 통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관통개구부는 상기 논슬립플레이트(20)가 상기 베이스접착층(10)의 상면부에 접착 결합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부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문양 스티커는 기설정된 문양을 갖되, 탄성이 있는 EVA, 고무 소재 등으로 형성되며, 상기 테이프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테이프의 일면에 상기 미끄럼방지 포장재(f2)가 도포 및 경화되면 상기 문양 스티커를 제외한 테이프의 일면에 논슬립플레이트(2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테이프가 상기 베이스접착층(10)의 상부에 안착되면 상기 논슬립플레이트(20)가 상기 베이스접착층(10)에 접착 결합되어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테이프 및 상기 문양 스티커를 제거하면 상기 베이스접착층(10)의 상측에는 상기 문양 스티커에 대응되도록 관통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가 요구하는 다양한 형상의 문양을 갖도록 상기 관통개구부가 형성되므로 일반 도로, 공원, 테마거리 등에 적용되면 시인성이 우수하고 미관이 더욱 개선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한편, 상기 논슬립플레이트(20)에 상기 관통개구부가 형성되면(s30), 미끄럼방지가 필요한 상기 대상면(K)에 상기 도막형 접착제(f1)가 도포 및 경화되어 형성된 베이스접착층(10)의 상측에 상기 논슬립플레이트(20)가 접착 결합된다(s40).
상세히,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도막형 접착제(f1)가 상기 대상면(K)에 도포 및 경화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도막형 접착제(f1)의 상하방향 두께는 3~5mm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며, 별도의 롤러(1) 등을 이용하여 상면부가 평탄하도록 도포될 수 있다.
또한,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도막형 접착제(f1)가 도포된 상태에서 상기 성형틀(150)을 통해 기제조된 논슬립플레이트(20)가 상기 도막형 접착제(f1)의 상면에 안착 및 가압된다. 물론, 미끄럼방지를 요하는 대상면(K)의 면적에 따라 상기 논슬립플레이트(2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도막형 접착제(f1)의 상측에 길이방향 및 폭방향을 따라 다단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논슬립플레이트(20)는 상기 도막형 접착제(f1)가 도포된 후 5분 이내에 상면에 안착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막형 접착제(f1)가 경화되기 이전인 3분 이내에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논슬립플레이트(20)가 상기 도막형 접착제(f1)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로 3~5분이 경과되면 상기 도막형 접착제(f1)의 경화가 완료되어 상기 베이스접착층(10)으로 형성되며 상기 논슬립플레이트(20)는 상기 베이스접착층(10)의 상측에 접착 결합된다(s40).
즉, 상기 논슬립플레이트(20)는 상기 도막형 접착제(f1)가 상기 베이스접착층(10)으로 경화되기 3~5분 이내에 상면에 안착 및 가압되면 접착 결합되어 부착되며 상기 부착식 미끄럼방지용 바닥포장재(100)의 제조가 완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제조된 상기 논슬립플레이트(20)가 상기 도막형 접착제(f1)가 상기 베이스접착층(10)으로 경화되기 3~5분 이내에 상면에 안착 및 가압되기만 하면 별도의 열처리 공정 없이도 신속하게 접착 결합되므로 현장 설치에 대한 작업의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착식 미끄럼방지용 바닥포장재(100)는 실질적으로 기제조된 평판 형상의 논슬립플레이트(20)가 대상면(K)에 부착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상기 논슬립플레이트(20)의 상하방향 두께(d)는 종래의 스텐실 시공법과는 달리 2mm를 초과하는 두께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문양 형성을 위해 바닥재 층의 두께가 2mm로 초과되기 어려웠던 종래와는 달리 기제조된 고체 상태의 평판 형상인 논슬립플레이트(20)가 대상면(K)에 형성된 상기 베이스접착층(10)에 부착되는 방식이므로 상기 논슬립플레이트(20)의 상하방향 두께(d)가 처음부터 2mm를 초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논슬립플레이트(20)는 상하방향 두께(d)가 3~10mm로 설정됨에 따라 종래에 비해 상하방향 두께가 더 두껍게 구비될 수 있어 차량 통행 등에 의해 작용되는 고하중에 대하여 내마모성 및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기제조된 상기 논슬립플레이트(20)가 상기 베이스접착층(10)에 접착 결합되어 부착되면 설치가 완료됨에 따라 종래의 그루빙 시공법이나 스텐실 시공법 등과 같이 특장 장비의 사용에 따른 시공비용 및 홈파기 공정 시 발생되는 건설폐기물의 처리비용이 소요되지 않아 경제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논슬립플레이트(20)는 상기 관통개구부가 형성된 상태로 기제조되므로 현장 설치시 특장 장비를 사용하는 별도의 공정 없이도 그루빙 및 스텐실 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자체적인 미끄럼 방지 효과를 동시에 제공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므로 안전성이 더욱 개선되는 시너지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접착층(10) 및 상기 논슬립플레이트(20)는 각각 제1착색제 및 상기 제2착색제를 포함하며 서로 상이한 색상을 갖는다. 이때, 상기 베이스접착층(10)은 상기 관통개구부를 통해 외면이 외측을 향해 노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 5와 같이, 상기 부착식 미끄럼방지용 바닥포장재(100)의 제조가 완료되면 상기 관통개구부를 통해 나타나는 상기 베이스접착층(10)의 색상과 상기 논슬립플레이트(20)의 색상이 상호 상이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운전자 내지 보행자는 상기 부착식 미끄럼방지용 바닥포장재(100)가 설치된 대상면(K)에 대하여 상기 제1색상 및 상기 제2색상 간의 대비를 통한 시인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다양한 문양을 갖는 상기 논슬립플레이트(20)에 의해 상기 부착식 미끄럼방지용 바닥포장재(100)가 설치된 대상면(K)의 미관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이때, 도 3d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개구홀(21)의 개구폭(w)은 상기 논슬립플레이트(20)의 상하방향 두께(d)를 기설정된 시야각(θ)의 탄젠트 함수값으로 나눈 값 이상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시야각(θ)이라 함은 운전자 내지 보행자가 상기 논슬립플레이트(20)의 상면부를 하측으로 경사지게 바라보는 시선과 상기 논슬립플레이트(20)의 상면부 사이 각도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기설정된 시야각(θ) 및 상기 논슬립플레이트(20)의 상하방향 두께(d)는 다양하게 설정 가능하므로 상기 개구홀(21)의 개구폭(w) 또한 이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기설정된 시야각(θ)이 45°이고, 상기 논슬립플레이트(20)의 상하방향 두께(d)가 5mm인 경우, 상기 기설정된 시야각(θ)의 탄젠트 함수값은 1이므로 상기 개구홀(21)의 개구폭(w)은 5mm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운전자 내지 보행자는 45°이상의 시야각(θ)에서 실질적으로 상기 베이스접착층(10)의 제1색상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기 기설정된 시야각(θ) 및 상기 논슬립플레이트(20)의 상하방향 두께(d)에 따라 상기 개구홀(21)의 개구폭(w)이 설정되면 운전자 내지 보행자가 상기 기설정된 시야각(θ)에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바라보더라도 상기 개구홀(21)을 통해 상기 베이스접착층(10)의 노출 부분이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되므로 시인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착식 미끄럼방지용 바닥포장재가 도로면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여기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관통개구부가 형성된 상기 논슬립플레이트(20)는 차량의 바퀴가 마찰되는 마찰영역(M)을 따라 배열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부착식 미끄럼방지용 바닥포장재는 차량의 미끄럼방지를 위해 도로면(R)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상면(K)은 차량이 통행하는 도로면(R)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도로면(R)에는 일반적으로 기설정된 폭으로 이격된 한 쌍의 차선(t1,t2)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각 차선(t1,t2) 사이로 차량이 통행한다.
이때, 상기 도로면(R)에는 각 차선(t1,t2) 사이의 가장자리 양측부에 상기 차량의 통행시 바퀴가 마찰되는 한 쌍의 마찰영역(M)이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마찰영역(M)에는 차량의 바퀴가 주로 접촉 및 마찰되어 급속하게 마모가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각 마찰영역(M)에는 상기 관통개구부가 형성된 상기 논슬립플레이트(20)가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각 마찰영역(M)에는 상기 도막형 접착제(f1)가 도포되어 상기 베이스접착층(10)이 형성되며, 상기 논슬립플레이트(20)가 상기 베이스접착층(10)의 상면에 안착 및 가압되어 상기 도막형 접착제(f1)의 경화시 접착 결합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마찰영역(M)이 상기 도로면(R)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정되므로 상기 관통개구부가 형성된 상기 논슬립플레이트(10)는 상기 마찰영역(M)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마찰영역(M)의 폭간격은 1~1.2m로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논슬립플레이트(20)의 폭은 상기 마찰영역(M)의 폭에 대응되도록 1~1.2m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찰영역(M)을 제외한 도로면(R)의 나머지 영역에는 상기 도막형 접착제(f1)가 도포 및 경화되어 상기 베이스접착층(10)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마찰영역(M)을 제외한 도로면(R)의 나머지 영역에는 종래의 바닥재 도료가 도포 및 경화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논슬립플레이트(20)가 차량의 바퀴가 주로 접촉 및 마찰되어 급속하게 마모가 발생되는 도로면(R) 양쪽 가장자리의 마찰영역(M)에 배열됨에 따라 내구성 및 작업의 편의성 및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뿐만 아니라 자재비용 감소 및 공사기간 단축을 통해 경제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베이스접착층 20: 논슬립플레이트
150: 성형틀 151: 베이스부
152: 측벽부 153: 캐비티
100: 부착식 미끄럼방지용 바닥포장재

Claims (5)

  1. 미끄럼방지가 필요한 대상면에 메틸메타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도막형 접착제가 도포 및 경화되어 형성되는 베이스접착층; 및
    메틸메타아크릴 수지 및 골재를 포함하는 미끄럼방지 포장재가 기설정된 면적을 갖는 성형틀의 내부에 충진 및 경화되어 제조되며, 상기 베이스접착층의 상면에 안착 및 가압되어 상기 도막형 접착제의 경화시 접착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논슬립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골재는 상기 미끄럼방지 포장재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50~70 중량%으로 포함되되, 석영, 실리콘디옥사이드, 탄화규소, 경옥, 글라스비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로 구비되며,
    상기 논슬립플레이트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되 기설정된 패턴을 갖는 관통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성형틀에는 소정의 두께를 갖되 기설정된 길이로 연장된 장방형 평판 형상을 갖는 베이스부의 테두리를 따라 상향 돌출된 측벽부의 내부에 형성된 캐비티의 바닥면에 상기 기설정된 패턴을 갖는 패턴부가 상향 돌출되며,
    상기 관통개구부는 상기 논슬립플레이트의 폭방향 및 길이방향을 따라 다단 배열되는 복수개의 개구홀로 형성되고,
    상기 도막형 접착제는 제1착색제를 포함하고, 상기 미끄럼방지 포장재는 상기 제1착색제와 상이한 색상을 갖는 제2착색제를 포함하되, 상기 개구홀의 개구폭은 상기 논슬립플레이트의 상하방향 두께를 기설정된 시야각의 탄젠트 함수값으로 나눈 값 이상으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식 미끄럼방지용 바닥포장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소정의 두께를 갖되 기설정된 길이로 연장된 장방형 평판 형상을 갖는 베이스부의 테두리를 따라 상향 돌출된 측벽부의 내부에 형성된 캐비티의 바닥면에 기설정된 패턴을 갖는 패턴부가 상향 돌출된 성형틀이 준비되는 제1단계;
    메틸메타아크릴 수지와, 석영, 실리콘디옥사이드, 탄화규소, 경옥, 글라스비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로 구비되며 전체 중량에 대하여 50~70 중량%의 골재, 그리고 제2착색제를 포함하는 미끄럼방지 포장재가 상기 캐비티에 충진 및 경화되어 논슬립플레이트가 형성되는 제2단계;
    상기 논슬립플레이트가 상기 성형틀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패턴부와 대응되는 관통개구부가 형성되는 제3단계; 및
    미끄럼방지가 필요한 대상면에 메틸메타아크릴 수지 및 제1착색제를 포함하는 도막형 접착제가 도포 및 경화되어 형성된 베이스접착층의 상측에 상기 논슬립플레이트가 접착 결합되는 4단계를 포함하는 부착식 미끄럼방지용 바닥포장재의 제조방법.
KR1020180040998A 2018-04-09 2018-04-09 부착식 미끄럼방지용 바닥포장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19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998A KR101919935B1 (ko) 2018-04-09 2018-04-09 부착식 미끄럼방지용 바닥포장재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998A KR101919935B1 (ko) 2018-04-09 2018-04-09 부착식 미끄럼방지용 바닥포장재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9935B1 true KR101919935B1 (ko) 2018-11-19

Family

ID=64561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0998A KR101919935B1 (ko) 2018-04-09 2018-04-09 부착식 미끄럼방지용 바닥포장재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99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6694B1 (ko) 2021-06-07 2021-10-25 주식회사 성윤로드 친환경 미끄럼방지 포장재 시공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808B1 (ko) * 2010-04-15 2010-11-23 이상오 미끄럼방지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808B1 (ko) * 2010-04-15 2010-11-23 이상오 미끄럼방지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6694B1 (ko) 2021-06-07 2021-10-25 주식회사 성윤로드 친환경 미끄럼방지 포장재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9935B1 (ko) 부착식 미끄럼방지용 바닥포장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344131B1 (ko) 문양표현 탄성 포장 시공방법
KR20050018864A (ko) 도로상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포장재
KR101482588B1 (ko) 탄성ㆍ축광 특성을 갖는 탄성 포장재와 이의 제조 방법 및 시공 방법
KR200399107Y1 (ko) 도로상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포장재가 도포된과속방지턱
KR101206309B1 (ko) 도막형성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도로 표시용 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182672B1 (ko) 도로용 미끄럼방지 포장재의 시공방법
KR101464316B1 (ko) 투수성을 확보하고 미끄럼 저항성을 높여 제공되는 고강도 시각 장애인 유도블록 및 그 제조방법
JP6328840B1 (ja) 滑り止め層を備えた覆工板
JP3949445B2 (ja) スリップ防止措置を施した鉄蓋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49686B1 (ko)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
KR20060124129A (ko) 미끄럼방지설비 및 그 시공 방법
KR101764201B1 (ko) 도로포장용보수재 조성물 및 도로포장용보수재층 형성방법
KR100665189B1 (ko) 점자블록 및 그 제조방법
JP4923217B2 (ja) 視覚障害者誘導用突起フィルム及びその敷設方法
KR101041111B1 (ko) 미끄럼 방지 도로 시공방법
KR20070067644A (ko) 도로 포장공법
KR200427777Y1 (ko) 횡단보도를 포함한 노면 표시와 미끄럼 방지부를 시공하는장치
KR200354487Y1 (ko) 점자블록
JP2008001339A (ja) 台車本体及び台車本体の製造方法並びに台車
EP1460184A2 (en) Surface access cover
KR100762407B1 (ko) 도로면에 무늬를 갖는 미끄럼 방지제를 형성하는도로시공방법 및 그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도로면
KR102096837B1 (ko) 내부식성 미끄럼방지용 바닥재가 도포된 그레이팅 데크의 제조장치
US7544956B2 (en) Method of forming a slip-resistant photo-luminescent device
KR20150125534A (ko) 탄성ㆍ축광 특성을 갖는 탄성 포장재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