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9491B1 - 판재형 복합소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판재형 복합소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9491B1
KR101919491B1 KR1020170052943A KR20170052943A KR101919491B1 KR 101919491 B1 KR101919491 B1 KR 101919491B1 KR 1020170052943 A KR1020170052943 A KR 1020170052943A KR 20170052943 A KR20170052943 A KR 20170052943A KR 101919491 B1 KR101919491 B1 KR 101919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pressing member
composite
composite sheet
shee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2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9333A (ko
Inventor
신동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플러스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플러스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플러스컴텍
Priority to KR1020170052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9491B1/ko
Publication of KR20180119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9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30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 B29C70/34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and 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i.e. combined with compressing after the lay-up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06Fibrous reinforc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5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e.g. feeding or storage of prepregs or SMC after impregnation or during age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29D99/001Producing wall or panel-like structures, e.g. for hulls, fuselages, or buildings

Abstract

본 발명은, 판재형 복합소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 가능한 카트리지의 트레이 상에 복수 개가 적층된 복합소재시트들 및 상기 복합소재시트들의 하면과 상면에 각각 부착되는 제1 이형필름 및 제2 이형필름을 포함하는 복합소재시트유닛을 배치하고, 상기 복합소재시트유닛 상에 상기 복합소재시트유닛의 상면을 덮도록 놓이며, 상기 카트리지와 독립적으로 분리되며 자체 중력에 의하여 상기 복합소재시트유닛을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카트리지를 베이크(bake) 장치에 삽입하여 굽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판재형 복합소재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plate-like composite material}
본 발명은 판재형 복합소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편하면서 한 번의 공정으로 다량의 판재형 복합소재를 제조할 수 있는 판재형 복합소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복합소재시트를 이용하여 복합소재를 제조할 때 롤러에 복합소재시트를 다수 회 권취하여 원통형 또는 빔 형태의 복합소재를 제조하거나, 판형의 복합소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종래의 복합소재 제조장치는 양단의 축(10)에 걸쳐져 수평으로 이동하게 되는 엔들리스(endless) 벨트(20)가 상하로 위치하여 압출로(30)를 형성하고, 상기 압출로(30)를 통과하는 원료를 가열 및 냉각하기 위한 다수 개의 온도조절박스(40)가 압축로(30)를 형성하는 벨트(20)의 벨트면(a)을 따라 차례로 위치한다. 상기 온도조절박스(40)는 히팅박스 및 쿨링박스를 포함한다.
도면에 상세히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온도조절박스(40)는 벨트면(a) 사이에 봉 형태의 다수 개의 롤러가 구비된다. 상기 롤러는 스스로 자전함과 동시에 온도조절박스(40) 표면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수평 이동하는 벨트면(a)의 일정한 위치에서 온도조절박스(40)가 압출로(30)를 통과하는 원료를 가열 및 냉각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롤러는 원료에 가압수단으로 작용한다.
상기 제조장치는 온도조절박스(40) 표면을 따라 구비되어야 하는 롤러가 장치의 비용을 증가시키고, 온도조절박스(40)의 온도가 직경 35mm 이상의 롤러를 통해 원료에 전해지므로 원료의 가열 및 냉각과정에서 에너지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5-0110066호
본 발명은 간편하면서 한 번의 공정으로 다량의 판재형 복합소재를 제조할 수 있는 판재형 복합소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판재형 복합소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이동 가능한 카트리지의 트레이 상에 복수 개가 적층된 복합소재시트들 및 상기 복합소재시트들의 하면과 상면에 각각 부착되는 제1 이형필름 및 제2 이형필름을 포함하는 복합소재시트유닛을 배치하고, 상기 복합소재시트유닛 상에 상기 복합소재시트유닛의 상면을 덮도록 놓이며, 상기 카트리지와 독립적으로 분리되며 자체 중력에 의하여 상기 복합소재시트유닛을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카트리지를 베이크(bake) 장치에 삽입하여 굽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굽는 단계에서는 상기 복합소재들이 가열되면서 녹으면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서로 접착하여 하나의 상기 판재형 복합소재로 형성되는 판재형 복합소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판재형 복합소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이동 가능한 카트리지의 트레이 상에 복수 개가 적층된 복합소재시트들 및 상기 복합소재시트들의 하면과 상면에 각각 부착되는 제1 이형필름 및 제2 이형필름을 포함하는 복합소재시트유닛을 배치하고, 상기 카트리지에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움직여서 상기 복합소재시트유닛을 상방에서 하방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카트리지를 베이크(bake) 장치에 삽입하여 굽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굽는 단계에서는 상기 복합소재들이 가열되면서 녹으면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서로 접착하여 하나의 상기 판재형 복합소재로 형성되는 판재형 복합소재 제조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판재형 복합소재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복수 개의 복합소재시트들을 적층시키고 가압부재로 가압한 상태로 굽기만 하면 되므로 제조방법이 간편하여 손쉽게 판재형 복합소재를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복합소재유닛을 카트리지에 넣어 굽되, 카트리지에 복수 개의 저장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복수 개의 복합소재시트유닛을 배치한 상태로 구울 수 있기 때문에 한 번의 공정으로 복수 개의 판재형 복합소재를 제조할 수 있다.
셋째, 복합소재시트유닛을 가압하는 가압수단이 슬라이드 이동되거나 탄성부재에 의해 이동하여 복합소재시트유닛 상에 설치될 수 있어 작업자가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판재형 제조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형 복합소재 제조방법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판재형 복합소재 제조과정이 도시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재형 복합소재 제조용 카트리지의 일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재형 복합소재 제조용 카트리지의 일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판재형 복합소재 제조방법 및 판재형 복합소재 제조용 카트리지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형 복합소재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이동 가능한 카트리지(10)의 트레이(110) 상에 복수 개가 적층된 복합소재시트(130)들 및 상기 복합소재시트(130)들의 하면과 상면에 각각 부착되는 제1 이형필름(120) 및 제2 이형필름(140)을 포함하는 복합소재시트유닛(100)을 배치하고, 상기 복합소재시트유닛(100) 상에 상기 복합소재시트유닛(100)의 상면을 덥도록 놓이며, 상기 카트리지(10)와 독립적으로 분리되며 자체 중력에 의하여 상기 복합소재시트유닛(100)을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카트리지(10)를 상기 베이크(bake) 장치(30)에 삽입하여 굽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굽는 단계에서는 상기 복합소재시트(130)들이 가열되면서 녹으면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서로 접착하여 하나의 상기 판재형 복합소재로 형성된다.
전술한 상기 판재형 복합소재의 제조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트레이(110) 상에 복수 개가 적층된 복합소재시트(130)들 및 상기 복합소재시트(130)들의 하면과 상면에 각각 부착되는 제1 이형필름(120) 및 제2 이형필름(140)을 포함하는 복합소재시트유닛(100)을 배치한다.
이를 본 실시예에 따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트레이(100) 상에 제1 이형필름(120)을 구비한다.(S105) 상기 제1 이형필름(120)은 후술될 공정에서 상기 트레이(110) 상에 적층될 상기 복합소재시트(130)가 후술될 상기 베이크(bake) 장치(30)에서 구워질 때 상기 트레이(110)에 접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트레이(10)에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제1 이형필름(120)이 구비되면 상기 제1 이형필름(120) 상에 적어도 둘 이상의 복합소재시트(130)들을 적층하여 구비한다.(S110) 본 실시예에서는 세 개의 상기 복합소재시트(130)들을 적층하여 구비하는 것을 예로 든다.
상기 제1 이형필름(120) 상에 구비되는 상기 복합소재시트(130)는 예시적으로 GFRP(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CFRP(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AFRP(Aramid Fiber Reinforced Plastic) 중 어느 하나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복합소재시트(130)가 CFRP 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한편, 상기 복합소개시트(130)는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의 길이가 더 길게 연장되는 직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이형필름(120) 상에 구비되는 상기 복합소재시트(130)는 본원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판재형 복합소재(미도시)의 두께에 따라 적층되는 개수가 달라진다.
복수 개의 상기 복합소재시트(130)들이 적층된 후에는 복수 개 상기 복합소재시트(130)들 중 최상층에 위치한 상기 복합소재시트(130) 상에 제2 이형필름(140)을 구비하여 복합소재시트유닛(100)을 형성한다.(S115) 후술되는 바와 같이 상기 복합소재시트유닛(100) 상에는 가압부재(200)가 설치된다. 상기 베이크 장치(30)에 의해 상기 복합소재시트유닛(100)이 구워질 때 상기 복합소재시트(130)는 점착성질을 갖는 상태로 변화되므로 상기 가압부재(200)와 접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 이형필름(140)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제2 이형필름(140)은 상기 제1 이형필름(120)과 동일한 구성이다.
한편, 전술에서는 상기 제1 이형필름(120) 및 상기 제2 이형필름(140)이 상기 복합소재시트(130)들과 별로도 마련되어 있으나, 상기 제1 이형필름(120) 및 상기 제2 이형필름(140)은 상기 복합소재시트(130)에 부착된 상태로 공급될 수도 있다.
상기 복합소재시트유닛(100)이 형성되면, 상기 복합소재시트유닛(100) 상에 가압부재(200)를 설치한다.(S120) 상기 가압부재(200)는 상기 복합소재시트유닛(100) 상,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2 이형필름(140) 상에 설치되어 자체 중력에 의해 상기 복합소재시트(130)들을 가압한다. 상기 가압부재(200)는 블록의 형태로 구비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작업자가 상기 가압부재(200)를 직접 옮겨 상기 복합소재시트유닛(100) 상에 설치한다.
상기 가압부재(200)가 상기 복합소재시트유닛(100) 상에 안착되면, 상기 가압부재(200)가 구비된 상기 복합소재시트유닛(100)이 배치된 상기 트레이(110)를 카트리지(10)에 저장한다.(S125) 상기 카트리지(10)는 상기 복합소재시트유닛(110)과 상기 가압부재(200)를 저장한다.
상기 카트리지(10)의 내부공간은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설정 거리만큼 분할된 복수 개의 저장공간(11)들이 형성된다. 상기 카트리지(10)는 상기 저장공간(11)들을 형성하기 위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카트리지(10)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으로부터 설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제1 격벽(13)과,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카트리지(10)의 상면 또는 하면으로부터 설정거리 이격되어 복수 개 구비되는 제2 격벽(14)들을 포함한다. 그리고 각각의 저장공간(11)에는 상기 가압부재(200)가 설치된 상기 복합소재시트유닛(100)이 배치된다.
상기 가압부재(200)가 설치된 상기 복합소재시트유닛(100)은 슬라이드 삽입되어 상기 저장공간(11)에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트레이(110)가 슬라이드 삽입되는데, 상기 카트리지(10) 내부에는 상기 트레이(110)가 슬라이드 삽입될 수 있도록 레일부가 형성된다.
상기 레일부는 상기 카트리지(10)의 좌측 내면, 상기 제1 격벽(13)의 양 측면, 상기 카트리지(10)의 우측 내면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레일부가 상기 저장공간(11)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카트리지(10)의 전후방향으로 수평 연장된 돌기(15)들이 수직방향으로 설정 간격 이격되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110)는 상기 돌기(15)들 사이로 슬라이드 삽입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 레일부의 실시 형태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일 뿐 다양한 실시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트레이(110) 상에 상기 복합소재시트유닛(100) 및 상기 가압부재(200)가 설치되는 과정이 상기 카트리지(10)의 외부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일 뿐 상기 트레이(110)가 먼저 상기 카트리지(10)의 내부에 삽입된 후 상기 카트리지(10)의 내부에서 상기 복합소재시트유닛(100) 및 상기 가압부재(200)가 설치되는 과정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카트리지(10)의 모든 상기 저장공간(11)들에 상기 가압부재(200)가 설치된 상기 복합소재시트유닛(100)을 배치하면 상기 카트리지(10)를 베이크(bake) 장치(30)에 삽입하여 굽는다.(S130) 상기 베이크 장치(30)는 예시적으로 오토클레이브(Autoclave)가 적용된다.
상기 베이크 장치(30)에서 굽는 온도는 80℃ 내지 125℃ 이다. 상기 굽는 과정에서는 1차적으로 상기 베이크 장치(30)의 온도를 80℃로 설정한 후 상기 복합소재시트유닛(100)을 약 1시간 정도 구워내고, 상기 베이크 장치(30)의 온도를 125℃까지 올린다. 그리고 상기 베이크 장치(30)의 온도가 125℃가 되면 상기 복합소재시트유닛(100)을 약 1시간 정도 더 구워낸다. 따라서 상기 복합소재시트유닛(100)을 구워내는 시간은 약 3시간 정도 소요된다. 상기 복합소재시트유닛(100)이 상기 베이크 장치(30)에서 구워지면 상기 복합소재시트(130)는 점착성을 띄는 상태로 변화된다. 상기 복합소재시트유닛(100)이 상기 가압부재(200)의 자체 중력에 의해 가압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적층된 상기 복합소재시트(130)들은 서로 접착되면서 하나의 판재형 복합소재로 형성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재형 복합소재를 제조하기 위한 카트리지가 도시된 것이다.
상기 카트리지(10a)를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카트리지(10a)를 이용하는 상기 판재형 복합소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이동 가능한 카트리지(10a)의 트레이(110) 상에 복수 개가 적층된 복합소재시트(130)들 및 상기 복합소재시트(130)들의 하면과 상면에 각각 부착되는 제1 이형필름(120) 및 제2 이형필름(140)을 포함하는 복합소재시트유닛(100)을 배치하고, 상기 카트리지(10a)에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움직여서 상기 복합소재시트유닛(100)을 상방에서 하방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200a)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카트리지(10a)를 베이크(bake) 장치(30)에 삽입하여 굽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 판재형 복합소재를 제조하기 위한 상기 카트리(10a)는 도 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압부재(200a)가 거치될 수 있는 거치수단과, 상기 가압부재(200a)를 상하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는 슬라이딩 이동수단을 포함하고 있어 상기 가압부재(200a)가 상기 카트리지(10a)에 설치된다.
도면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거치수단은 상기 가압부재(200a)를 상기 카트리지(10a)의 상기 저장공간(11)에 거치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이동수단을 통해 상기 가압부재(200a)를 상기 저장공간(11)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전술한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압부재(200a)를 상기 카트리지(10a)의 외부에서 작업자가 직접 옮겨 상기 복합소재시트유닛(100) 상에 설치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복합소재시트유닛(100)을 상기 카트리지(10a)의 상기 저장공간(11)에 저장한 후 상기 가압부재(200a)를 상하 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복합소재시트유닛(100) 상에 설치한다.
상기 거치수단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카트리지(10a)의 좌측 내면(미표기), 우측 내면(미표기) 및 상기 제1 격벽(13)의 양 측면에는 상기 저장공간(11)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카트리지(10a)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연장되는 거치 돌기(16a)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카트리지(10a)의 좌측 내면(미표기) 및 우측 내면(미표기) 상기 거치돌기(16a)와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 홈(16b)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격벽(13)에는 상기 거치돌기(16a)와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 홀(13a)이 형성된다. 상기 거치돌기(16a)는 상기 가압부재(200a)의 하부에서 상기 가압부재(200a)를 지지하고 있다가 상기 저장공간(11)으로 상기 복합소재시트유닛(100)이 삽입되어 저장되면, 상기 삽입 홈(16b) 및 상기 삽입 홀(13a)로 삽입된다.
상기 제1 격벽(13)에는 하나의 저장공간(11)과 수평방향으로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저장공간(11)에서도 상기 거치돌기(16a)가 삽입되어야 하므로 상기 제1 격벽(13)을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홀로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거치돌기(16a)는 상기 삽입 홈(16b)에 탄성수단(미도시)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1 격벽(13)에 구비된 상기 거치돌기(16a)들은 상호 간에 탄성수단(미도시)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거치돌기(16a)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삽입 홈(16b) 및 삽입 홀(13a)로 삽입된다.
상기 슬라이드 이동수단은 상기 가압부재(200a)의 양 측면에 결합된 롤러(17)를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카트리지(10a)의 좌측 내면, 우측 내면 및 상기 제1 격벽(13)에는 수직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레일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롤러(17)의 일부가 상기 레일홈(미도시)에 삽입되어 있다.
상기 가압부재(200a)는 상기 롤러(17)가 상기 레일홈(미도시)을 따라 회전하여 수직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드 이동한다.
즉, 상기 복합소재시트유닛(100)이 상기 저장공간(11)으로 삽입 저장되면 상기 거치돌기(16a)가 상기 삽입 홈(16b) 및 상기 삽입 홀(13a)로 삽입되고 상기 가압부재(200a)는 상기 롤러(17)에 의해 하향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복합소재시트유닛(100) 상에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복합소재시트유닛(100)은 상기 가압부재(200a)의 자체 중력에 의해 가압된다.
상기 복합소재시트유닛(100) 상에 상기 가압부재(200a)가 설치된 이후의 공정은 전술한 일 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재형 복합소재를 제조방법 을 구현하기 위해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카트리지가 도시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카트리지(10b)를 이용하는 상기 판재형 복합소재의 제조방법은 도 4에 도시된 상기 카트리지(10a)를 이용하는 상기 판재형 복합소재의 제조방법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보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카트리지(10b)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거치수단과 탄성부재(18)를 포함한다. 상기 거치수단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탄성부재(18)는 일측은 상기 카트리지(10b)의 상측 내면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가압부재(200b)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생략되었으나, 상기 탄성부재(18)는 다른 상기 저장공간(11)에 구비될 때 일측이 상기 제2 격벽(14)의 일면,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면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가압부재(200b)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압부재(200b)의 압축 인장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18)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복합소재시트유닛(100)을 형성하는 S115 단계 이후, 상기 복합소재시트유닛(100)이 상기 저장공간(11)에 저장되면 상기 탄성부재(18)에 의해 상기 복합소재시트유닛(100) 상에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가압부재(200b)는 평상 시 압축되어 있어 상기 가압부재(200b)가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가 상기 저장공간(11)에 상기 복합소재시트유닛(100)에 저장되면 상기 가압부재(200b)를 고정시키고 있던 거치수단이 상기 가압부재(200b)의 지지를 해제하면 상기 탄성부재(18)가 인장되면서 상기 가압부재(200b)가 하향 이동하여 상기 복합소재시트유닛(100) 상에 설치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복합소재시트유닛(100)이 상기 가압부재(200b)에 의해 가압되되, 상기 가압부재(200b)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기 탄성부재(18)의 인장력이 상기 가압부재(200b)를 통해 전달되어 상기 복합소재시트유닛(100)이 가압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압부재(200b)가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가압부재(200, 200a)보다 가볍고 강도도 세지 않은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복합소재시트유닛(100) 상에 상기 가압부재(200b)가 설치된 이후의 공정은 전술한 일 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카트리지 30: 베이크 장치
100: 복합소재시트유닛
110: 트레이 120: 제1 이형필름
130: 복합소재시트 140: 제2 이형필름
200, 200a, 200b: 가압부재
11: 저장공간
13: 제1 격벽 13a: 삽입 홀
14: 제2 격벽 15: 돌기
16a: 거치돌기 16b: 삽입 홈
17: 롤러 18: 탄성부재

Claims (10)

  1. 삭제
  2. 판재형 복합소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이동 가능한 카트리지의 트레이 상에 복수 개가 적층된 복합소재시트들 및 상기 복합소재시트들의 하면과 상면에 각각 부착되는 제1 이형필름 및 제2 이형필름을 포함하는 복합소재시트유닛을 배치하고, 상기 카트리지에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움직여서 상기 복합소재시트유닛을 상방에서 하방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카트리지를 베이크(bake) 장치의 내부로 이동시켜서 삽입하여 굽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굽는 단계에서는 상기 복합소재시트들이 가열되면서 녹으면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서로 접착하여 하나의 상기 판재형 복합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카트리지는,
    내부에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을 따라 설정 간격 분할되며, 상기 가압부재가 각각 설치 되는 복수 개의 저장공간들;
    상기 카트리지의 내부를 상기 저장공간들로 분할하기 위해 상기 카트리지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 중 어느 한 면으로부터 설정 거리 이격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격벽;
    상기 카트리지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한 면으로부터 설정 거리 이격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격벽;
    상기 카트리지는 측면 내측과 상기 제1 격벽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재를 지지하는 거치수단; 및
    일측은 상기 가압부재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카트리지의 좌측 내면, 우측 내면 또는 상기 제1 격벽의 일면과 연결되어 상기 가압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이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가압부재를 상기 거치수단에 의하여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저장공간에 상기 복합소재시트유닛이 배치된 상기 트레이를 삽입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거치수단에 의한 지지를 해제시켜서, 상기 슬라이드 이동수단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를 하향 이동시켜서 상기 가압부재의 자체 중력에 의하여 상기 복합소재시트유닛을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판재형 복합소재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거치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좌측 내면, 우측 내면 및 상기 제1 격벽의 양 측면으로부터 각각 상기 저장공간을 향해 돌출되며 거치돌기;
    상기 좌측 내면 및 상기 우측 내면 각각의 상기 거치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거치돌기가 외력에 의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삽입 홈; 및
    상기 제1 격벽의 상기 거치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거치돌기가 외력에 의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삽입 홀을 포함하는 판재형 복합소재 제조방법.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이동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좌측 내면, 우측 내면 및 상기 제1 격벽의 양 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레일홈; 및
    일측은 상기 가압부재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레일홈에 삽입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레일홈을 따라 상기 가압부재를 수직방향을 왕복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롤러를 포함하는 판재형 복합소재 제조방법.
  8. 삭제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거치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좌측 내면, 우측 내면 및 상기 제1 격벽의 양 측면으로부터 각각 상기 저장공간을 향해 돌출되며 거치돌기;
    상기 좌측 내면 및 상기 우측 내면 각각의 상기 거치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거치돌기가 외력에 의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삽입 홈; 및
    상기 제1 격벽의 상기 거치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거치돌기가 외력에 의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삽입 홀을 포함하는 판재형 복합소재 제조방법.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합소재는 GFRP(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CFRP(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AFRP(Aramid Fiber Reinforced Plastic) 중 어느 하나인 판재형 복합소재 제조방법.
KR1020170052943A 2017-04-25 2017-04-25 판재형 복합소재 제조방법 KR101919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943A KR101919491B1 (ko) 2017-04-25 2017-04-25 판재형 복합소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943A KR101919491B1 (ko) 2017-04-25 2017-04-25 판재형 복합소재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333A KR20180119333A (ko) 2018-11-02
KR101919491B1 true KR101919491B1 (ko) 2018-11-19

Family

ID=64328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2943A KR101919491B1 (ko) 2017-04-25 2017-04-25 판재형 복합소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949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9762A (ja) * 1999-12-28 2001-07-03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積層板の製造法及び積層板成形用プレー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9762A (ja) * 1999-12-28 2001-07-03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積層板の製造法及び積層板成形用プレ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333A (ko) 2018-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38121B2 (ja) キュア処理装置及びラミネート加工システム
KR102451418B1 (ko) 열 성형 장치 및 열 성형 방법
US8911847B2 (en) Vacuum insulation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239272B2 (ja)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部材の成形方法および成形装置
JP2010123940A (ja) ソーラーモジュールをラミネートする装置
JP6917580B2 (ja) ピラー実装方法及びガラスパネルユニットの製造方法
CA2985987A1 (en) Fiber-reinforced plastic producing device, movable stage, shaped fabric producing method, and fiber-reinforced plastic producing method
KR101919491B1 (ko) 판재형 복합소재 제조방법
KR101515005B1 (ko) 기판 적재용 카세트의 서포트바 및 이 서포트바의 제조 방법
KR101986619B1 (ko) 필름을 기판에 라미네이팅하는 장치 및 그 방법
JP2023158195A (ja) プリフォーム賦形装置、プリフォーム賦形方法及び複合材成形方法
JP2007313864A (ja) 横型多段プレス装置のプレス構造
JP2017196782A (ja) 積層構造体
KR101223704B1 (ko) 탄소 섬유 파이프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탄성 섬유 파이프
KR101757166B1 (ko) 복합시트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JP2013069830A (ja) フィルムコンデンサ用エイジング装置
KR101320937B1 (ko) 다수의 소편으로 분할된 페라이트 복합시트의 자동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553662B1 (ko) 프레스 성형장치의 열판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연속 성형방법
JP2006198905A (ja) セメント成形体の養生装置および養生方法
JP5709587B2 (ja) エージングボックス
JP2007301888A (ja) 軽量複合板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スピーカー
KR20020081084A (ko) 다단 프레스 장치
JP2006205419A (ja) プレス成形用金型、プレス成形装置、およびプレス成形品
JP2023072327A (ja) 賦形装置および賦形方法
WO2021186667A1 (ja) 賦形方法および賦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