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7135B1 - 철판용 자동면취기 - Google Patents

철판용 자동면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7135B1
KR101917135B1 KR1020170092645A KR20170092645A KR101917135B1 KR 101917135 B1 KR101917135 B1 KR 101917135B1 KR 1020170092645 A KR1020170092645 A KR 1020170092645A KR 20170092645 A KR20170092645 A KR 20170092645A KR 101917135 B1 KR101917135 B1 KR 101917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rame
shaft support
iron plate
hinge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2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영
Original Assignee
김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영 filed Critical 김수영
Priority to KR1020170092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71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3/00Milling particular work; Special milling operations; Machines therefor
    • B23C3/12Trimming or finishing edges, e.g. deburring welded corners
    • B23C3/126Portable devices or machines for chamfering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1/00Milling machines not designed for particular work or special operations
    • B23C1/20Portable devices or machines; Hand-driven devices or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20/00Details of milling processes
    • B23C2220/16Chamfer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60/00Details of constructional elements
    • B23C2260/04Adjustabl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70/00Details of milling machines, milling processes or mill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2270/20Milling external areas of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판용 자동면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방축의 양측에 좌우측 바퀴와 양측 축지지대에 각각 설치되는 전방바퀴유닛의 일측이 힌지식으로 설치되고 타측은 호형홈을 따라 선회하고 난 뒤에는 전방바퀴유닛의 조절된 각도를 고정시키게 하여 가공하는 철판이 직선형에서부터 호형의 곡선크기에 맞추어 전방바퀴유닛이 주행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고, 커터가 설치되는 절삭가공부와 전후방바퀴가 설치된 주행부사이에 칩차단판을 설치하고, 전후방바퀴는 철판과의 접지력이 향상되는 구조로 형성함에 따라 전후방바퀴가 미끄럼 없이 철판 상을 주행하면서 면취 가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베이스프레임(2)의 하부에 자석(3)이 고정 설치되고, 베이스프레임(2)의 하측에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와 커터(7)가 각각 설치되어 철판의 모서리부를 면취 가공하는 철판 자동면취기에 있어서, 상기 철판 자동면취기는 힌지식으로 조절 가능한 전방바퀴유닛(10)과, 주행모터(37)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후방바퀴유닛(30)과 베이스프레임(2) 하측에는 칩차단판(8)이 설치되고,상기 전방바퀴유닛(10)은 선회축지지대(15)와 힌지식 축지지대(16)가 각각 설치되며, 선회축지지대(15)와 힌지식 축지지대(16) 내측의 전방축(11)에는 전방바퀴(14)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2)에는 각도표시눈금(19)와, 선회축지지대(15)의 외면에는 각도지시부(18)가 표시되고, 상기 후방바퀴유닛(30)은 한 쌍의 후방바퀴(32)를 설치한 축지지대(33)가 설치되며, 후방바퀴(32) 사이의 후방축(31)은 종동스프라켓(34)이 고정 설치되고, 후방축(31) 상측의 베이스프레임(2) 상면에는 체인(35)을 통하여 종동스프라켓(34)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스프라켓(36)이 설치된 주행모터(37)가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판용 자동면취기{Automatic chamfering machine for steel plate}
본 발명은 철판용 자동면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방축의 양측에 좌우측 바퀴와 양측 축지지대에 각각 설치되는 전방바퀴유닛의 일측이 힌지식으로 설치되고 타측은 호형홈을 따라 선회하고 난 뒤에는 전방바퀴유닛의 조절된 각도를 고정시키게 하여 가공하는 철판이 직선형에서부터 호형의 곡선크기에 맞추어 전방바퀴유닛이 주행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고, 커터가 설치되는 절삭가공부와 전후방바퀴가 설치된 주행부사이에 칩차단판을 설치하고, 전후방바퀴는 철판과의 접지력이 향상되는 구조로 형성함에 따라 전후방바퀴가 미끄럼 없이 철판 상을 주행하면서 면취 가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철판 자동면취기는 특허등록 제10-953503호(발명의 명칭 : 양면 에지 가공 포터블장치),(종래발명 1)가 특허공보에 의해 알려지고 있다.
상기 종래발명 1은 피가공물(철판)의 모서리에 대하여 모따기처리와 같은 면 처리를 하는 장치로서, 에어모터를 이용하여 자동 주행 및 가공이 가능하고, 양면 동시 가공이 가능하며, 수직면(Vertical), 오버헤드(Overhead), 곡면, 맨홀 등 다양한 작업면에 대한 주행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맨홀, 프랫-바(Flat-bar), 티-바(T-bar), 앵글(Angle) 등 다양한 부재에 대한 가공이 가능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종래발명 1은, 몸체부 하면에 장착되며, 몸체부의 주행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7도)만큼 틀어진 상태로 장착되고 앞바퀴와 뒷바퀴가 동력 전달용 체인으로 연결되는 주행바퀴; 몸체부 하면에 장착되며, 피가공물의 모서리에 걸쳐진 상태에서 주행바퀴의 구동에 따라 이동하면서 자동으로 면 처리 가공을 수행하는 양면 에지 가공 툴; 몸체부 하면에 장착되며, 몸체부가 작업면에서 떨어지지 않고 주행할 수 있도록 자력을 생성하는 영구자석; 몸체부 하면에 장착되며, 피가공물의 모서리에 걸쳐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양면에지 가공 툴의 가공 작업시 몸체부가 회전하는 것을 막아주는 주행가이드; 몸체부에 장착되며, 주행바퀴 및 양면 에지 가공 툴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조작 레버를 포함하는 양면 에지 가공 포터블 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발명 1은 앞바퀴와 뒷바퀴가 몸체부의 주행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7도)만큼 틀어진 상태로 장착되어 편향주행을 하도록 하고, 앞바퀴와 뒷바퀴가 동력 전달용 체인으로 연결되어서 앞뒤바퀴전체가 구동을 하도록 하였으나, 이는 앞뒤바퀴전체가 7도만큼 틀어진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구동되기 때문에 피가공물인 철판의 상면과 바퀴와의 사이에서 미끄럼이 발생될 염려가 있으며, 그러한 미끄럼이 발생되면 커터가 피가공물의 모서리에 균일한 압력으로 접촉하지 못하여 면취가공면이 불균일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타인이 특허등록 제10-1304507호(발명의 명칭 : 철판 자동면취기), (종래발명 2)의 발명이 출원되고 등록되어 특허공보에 의해 알려지고 있다.
상기 종래발명 2는 전후방바퀴를 전후방향으로 1자 형태가 되게 설치한 상태에서 전방측 좌,우바퀴의 회전속도를 달리함으로써, 회전속도가 늦은 바퀴쪽으로 철판 자동면취기가 편향주행하게 되어 철판 자동면취기가 치우치는 힘에 의해 철판의 모서리부를 면취가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는 전방측 좌,우바퀴의 회전속도가 설치되는 서로 맞물리는 기어의 잇수에 따라 정해지게 되고, 그렇게 정해진 기어의 맞물린 기어비에 따라 자동면취기가 주행하는 곡선의 크기가 정해진 상태가 된다.
그에 따라 면취가공부가 직선형이거나, 또는 호의 크기가 얼마로 정해지면 그 정해진 면취가공부에 맞게 기어비를 맞추어 기어부분을 개별적으로 제작해야만 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면취가공부의 각도, 다시말하면 직선부에서 부터 호의 크기가 달라질 때마다 그 면취가공부에 맞는 종래발명 2에 의한 철판자동면취기를 구비해야 하므로 기계제작비용이 상승되게 되었고, 그로인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등록 제10-953503호(발명의 명칭 : 양면 에지 가공 포터블장치) 특허등록 제10-1304507호(발명의 명칭 : 철판 자동면취기)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방바퀴유닛의 일측이 힌지식으로 설치되고 타측은 호형홈을 따라 선회하고 난 뒤에는 전방바퀴유닛의 조절된 각도를 고정시키게 함으로써, 가공하는 철판이 직선형에서부터 호형의 곡선크기가 변경되는 경우에 그 면취가공부에 맞추어 전방바퀴유닛이 주행하는 각도를 조절한 상태에서 면취가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커터가 설치되는 절삭가공부와 전후방바퀴가 설치된 주행부사이에 칩차단판을 설치하고, 전후방바퀴는 철판과의 접지력이 향상되는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칩이 주행부측으로 오지 않고 잔후방바퀴가 큰 접지력으로 철판에 접지된 상태에서 미끄럼 없이 철판 상을 주행함에 따라 정확한 면취 가공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프레임의 하부에 자석이 고정 설치되고, 베이스프레임의 하측에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와 커터가 각각 설치되어 철판 상에서 주행을 하며 철판의 모서리부를 면취 가공하는 철판 자동면취기에 있어서, 상기 철판 자동면취기는 베이스프레임의 전후방 하측에 선회방향을 힌지식으로 조절 가능한 전방바퀴유닛과, 주행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후방바퀴유닛이 설치되며, 전후방바퀴유닛이 설치되는 주행부와 커터가 설치되는 절삭가공부의 사이의 베이스프레임 하측에는 칩차단판이 설치되고, 상기 전방바퀴유닛은 전방축의 양측단 외부에 선회축지지대와 힌지식 축지지대가 전방축의 회전을 지지하게 각각 설치되며, 선회축지지대와 힌지식 축지지대 내측의 전방축에는 전방축과 동일하게 회전하는 전방바퀴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힌지식 축지지대는 중앙 상부가 베이스프레임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 통공을 관통하는 힌지볼트에 체결되며, 선회축지지대는 전후방에 고정볼트가 체결되되, 이들 고정볼트는 상기 힌지볼트를 중심점으로 베이스프레임에 호형으로 형성되는 호형홈을 관통하여 체결되고, 상기 호형홈 외측의 베이스프레임에는 각도표시눈금이 표시되며, 선회축지지대의 외면에는 각도지시부가 표시되고, 상기 선회축지지대의 소정위치에는 브래킷이 설치되며, 호형홈과 근접한 베이스프레임에는 볼트설치대가 힌지핀에 의해 설치되고, 이 볼트설치대에는 선단부가 브래킷에 회전 지지되게 설치되는 조절볼트가 나사식으로 체결되며, 이 조절볼트에는 조절볼트의 위치를 고정하는 잠금너트가 체결되고, 상기 후방바퀴유닛은 한 쌍의 후방바퀴를 설치한 후방축의 양단부가 베이스프레임의 후방측 저면에 설치되는 축지지대에 회전이 지지되게 설치되며, 후방바퀴 사이의 후방축은 종동스프라켓이 고정 설치되고, 후방축 상측의 베이스프레임 상면에는 체인을 통하여 종동스프라켓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스프라켓이 설치된 주행모터가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전후방바퀴는 전후방바퀴에 포함되는 바퀴고무본체의 외부면 전둘레에 흡착판 형태로 형성되는 다수의 흡착부를 간격을 두고 형성하며, 흡착부 사이의 틈새홈에는 돌출부를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철판용 자동면취기는, 전방바퀴유닛의 일측이 힌지식으로 설치되고 타측은 호형홈을 따라 선회하고 난 뒤에는 전방바퀴유닛의 조절된 각도를 고정시키게 함으로써, 가공하는 철판이 직선형에서부터 호형의 곡선크기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하나의 철판용 자동면취기로서 그 면취가공부에 맞추어 전방바퀴유닛이 주행하는 각도를 조절한 상태에서 면취가공을 할 수 있어 경제성에서의 유리함과, 생산성이 되는 매우 실용적인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커터가 설치되는 절삭가공부와 전후방바퀴가 설치된 주행부사이에 칩차단판을 설치하고, 전후방바퀴는 철판과의 접지력이 향상되는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칩이 주행부측으로 오지 않고 잔후방바퀴가 큰 접지력으로 철판에 접지된 상태에서 미끄럼 없이 철판 상을 주행함에 따라 정확한 면취 가공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나타내는 저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도 1의 "C"부를 확대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선회 축지지대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전후방바퀴와 철판과의 접지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전후방바퀴의 표면을 전개하여 도시한 부분 도면.
도 9의 (가)(나)는 도 8의 D-D선 및 E-E선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철판용 자동면취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9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철판 자동면취기(1)는, 베이스프레임(2)의 하부에 베이스프레임(2)을 포함한 철판 자동면취기(1) 전체가 철판(4)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자력으로 당기도록 하는 자석(3)이 고정 설치되고, 베이스프레임(2)의 전후방 하측에는 선회방향을 힌지식으로 조절 가능한 전방바퀴유닛(10)과, 주행모터(37)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후방바퀴유닛(3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프레임(2)의 타측에는 절삭모터(6)에 의해 회전하면서 철판(4)의 모서리부를 면취 가공하는 커터(7)가 설치되고, 전후방바퀴유닛(10,30)이 설치되는 주행부와 커터(7)가 설치되는 절삭가공부의 사이의 베이스프레임(2) 하측에는 칩차단판(8)이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된다.
상기 전방바퀴유닛(10)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방축(11)의 좌우측(양측)단 외부에 선회축지지대(15)와 힌지식 축지지대(16)가 전방축(11)의 회전을 지지하게 각각 설치되고, 선회축지지대(15)와 힌지식 축지지대(16) 내측의 전방축(11)에는 전방축(11)과 동일하게 회전하는 전방바퀴(14)가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식 축지지대(16)는 중앙 상부가 베이스프레임(2)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 통공(16a)을 관통하는 힌지볼트(16b)에 체결되고, 선회축지지대(15)는 전후방에 2개의 고정볼트(15a)가 체결되되, 이 2개의 고정볼트(15a)는 상기 힌지볼트(16b)를 중심점으로 베이스프레임(2)에 호형으로 길게 형성되는 호형홈(17)을 관통하여 체결된다.
따라서, 힌지볼트(16b)와 2개의 고정볼트(15a)를 느슨하게 풀면, 전방바퀴유닛(10)이 힌지볼트(16b)를 중심으로 하여 길게 형성된 호형홈(17)을 따라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이 가능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1 및 도 5,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호형홈(17) 외측의 베이스프레임(2)에는 힌지볼트(16b)가 체결되는 힌지중심점(16c)으로부터 각도를 눈금으로 표시하는 각도표시눈금(19)이 표시되고, 선회축지지대(15)의 외면에는 각도지시부(18)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선회축지지대(15)의 소정위치에는 브래킷(20)이 설치되고, 호형홈(17)과 근접한 베이스프레임(2)에는 볼트설치대(21)가 힌지핀(21a)이 의해 설치되며, 이 볼트설치대(21)에는 선단부가 브래킷(20)에 회전지지되게 설치되는 조절볼트(22)가 나사식으로 체결되며, 이 조절볼트(22)에는 조절볼트(22)의 위치를 고정하는 잠금너트(23)가 체결되어 선회축지지대(15)의 위치를 이동하고 정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후방바퀴유닛(30)은, 도 1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후방바퀴(32)를 설치한 후방축(31)의 양단부가 베이스프레임(2)의 후방측 저면에 설치되는 축지지대(33)에 회전이 지지되게 설치되며, 후방바퀴(32) 사이의 후방축(31)에는 종동스프라켓(34)이 고정 설치되고, 후방축(31) 상측의 베이스프레임(2) 상면에는 체인(35)을 통하여 종동스프라켓(34)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스프라켓(36)이 설치된 주행모터(37)가 설치된다.
상기 양측 축지지대(33)는 고정볼트(38)에 의해 베이스프레임(2)에 고정 설치되어 후방축(31)을 포함한 양측 축지지대(33)와 한 쌍의 후방바퀴(32)가 일(一)자 형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도 7 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포함되는 전후방바퀴(14,32)는, 철판(4)과의 접지력을 증대시켜 미끄럼을 예방하도록 전후방바퀴(14,32)에 포함되는 바퀴고무본체(40)의 외부면 전둘레에 흡착판 형태로 형성되는 다수의 흡착부(41)를 간격을 두고 형성하며, 흡착부(41) 사이의 틈새홈(44)에는 돌출부(45)를 형성한다.
이 때, 상기 흡착부(41)는 흡착판 형태로 가운데가 오목한 흡착홈(42)이 형성되고 그 외주연에는 흡착홈테(43)가 형성되며, 상기 흡착홈테(43)의 저면이 돌출부(45)의 저면보다 소정의 높이(h:0.5~1㎜)만큼 낮게 형성하여 고무재나 연질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1㎜ 내외의 폭을 원형테 형태로 형성되는 흡착홈테(43)이 철판(4)의 상면에 먼저 흡착되되, 이 흡착홈테(43)가 압착되면서 높이가 낮아지고, 뒤이어 그 보다 높이가 미세하게 높은 돌출부(45)가 철판(4)과 접촉하면서 철판(4) 위를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프레임(2)의 상면에는 절삭모터(6) 및 주행모터(37)를 온, 오프시키는 조작스위치(9a)와, 에어공급장치(미도시)로부터 에어를 공급받는 에어공급구(9b), 에어공급구(9b)를 통하여 공급된 에어를 저장하는 에어탱크(9c)를 구비한 제어부(9)가 설치되고, 또 다른 일측에는 본 발명에 의한 철판 자동면취기(1)를 이동시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5)가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철판 자동면취기(1)가 철판(4) 위에서 주행하면서 커터(7)로서 철판(4)의 모서리부분을 면취 가공할 때, 철판 자동면취기(1)의 주행을 안내하는 주행가이드와, 커터(7) 주변에 커터(7)로서 면취 가공할 때 발생되는 칩을 에어의 압력으로 불어내는 에어분사구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면 부호중 미설명 부호 "12, 13"은 전방좌바퀴와 전방우바퀴로서 이들 전방좌우바퀴(12,13)를 전방바퀴로(14)로 통칭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철판 자동면취기(1)를 이용하여 철판(4)의 모서리부분을 면취 가공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면취가공할 철판(4)의 면취가공부가 직선 상태인지, 곡선 상태인지, 곡선이면 곡률이 얼마인지를 파악한 뒤에, 면취가공부의 직선 및 곡선의 곡률에 따라 전방바퀴유닛(10)의 각도를 조절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철판 자동면취기(1)에는 면취 가공하고자 하는 가공부에 따라 직선 상태일 때는 전방바퀴유닛(10)의 몇도 만큼 각도를 맞춰야 할지, 곡률이 크고 작을 때는 전방바퀴유닛(10)의 몇도 만큼 각도를 맞춰야 할지를 데이터를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가공부의 직진이나 곡률 상태마다 전방바퀴유닛(10)의 몇도 만큼 각도를 맞춰야 할지를 정하지 않은 것은, 철판 자동면취기(1)의 크기나 무게, 커터의 크기와 종류, 바퀴의 접촉면적에 따라 전방바퀴유닛(10)의 기울여지는 각도를 달리해야 하기 때문이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을 하게 되는 정해진 한 가지 철판 자동면취기(1)로서 면취 가공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면취가공부의 직선 상태나 곡률에 따라 정해진 데이터의 각도에 맞게 전방바퀴유닛(10)의 각도를 조절하거나,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는 임의로 각도로 전방바퀴유닛(10)의 각도를 조절하면서 가공부의 상태(조건)에 맞게 전방바퀴유닛(10)의 각도를 맞춰야 한다.
이때는, 선회축지지대(15)에 체결된 2개의 고정볼트(15a)와, 힌지식 축지지대(16)에 체결된 힌지볼트(16b)를 느슨하게 풀면, 전방바퀴유닛(10)은 힌지볼트(16b)를 회전 중심점으로 하여 도 1의 도면상 좌측의 선회축지지대(15)를 화살표와 같이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데, 선회축지지대(15)에 체결되어 있으면서 느슨하게 풀린 2개의 고정볼트(15a)는 길이가 긴 호형홈(17)의 내부에서 소정의 각도만큼 선회가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도 1 및 도 6에서와 같이 선회축지지대(15)를 손으로 잡아서 필요로 하는 각도위치로 이동시켜서 각도를 조절할 수도 있으나, 전방바퀴유닛(10)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크지 않고 1도에서 10도 내외만큼 작은 각도로 조절하는 것임에 따라 도 1 및 도 5에서보는 바와 같이 볼트설치대(21)에 접한 잠금너트(23)를 풀은 뒤에, 조절볼트(22)를 돌리면 조절볼트(22)를 돌리는 방향에 따라 조절볼트(22)가 호형홈(17)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동하면서 선회축지지대(15)가 화살표와 같이 선회 이동하면서 원하는 각도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볼트설치대(21)는 베이스프레임(2)에 힌지핀(21a)에 의해 힌지식으로 설치되어 조절볼트(22)를 돌리는 과정에서 선회축지지대(15)에 설치된 고정볼트(15a)가 호형홈(17)에서 안내되는데, 고정볼트(15a)가 호형홈(17)을 따라 곡선이동할 때, 상기 힌지핀(21a)을 중심으로 볼트설치대(21)가 회전하여 조절볼트(22)가 선회축지지대(15)를 밀고 당기는데 지장을 주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도면상 좌측의 선회축지지대(15)를 이동시키면 선회축지지대(15)에 설치된 고정볼트(15a)가 호형홈(17)에서 안내되고, 이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힌지식 축지지대(16)에 느슨하게 체결된 한 개의 힌지볼트(16b)를 중심점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며, 원하는 위치로 선회 이동이 된 뒤에 3개의 볼트(15a,16b)를 모두 잠그면 전방바퀴유닛(10)의 각도조절이 1차적으로 완료하게 된다.
이렇게 1차로만 전방바퀴유닛(10)에 대한 각도조절을 완료해도 작용 상에는 문제가 없으나, 선회축지지대(15)에 체결되는 고정볼트(15a)를 덜 조였거나, 전방바퀴(14)와 철판(4)과의 접착 접지력에 의해 전방바퀴유닛(10)의 각도가 풀릴 것에 대비하여 도 5에서와 같이 조절볼트(22)에 체결된 잠금너트(23)를 볼트설치대(21)에 밀착되게 잠그면, 선회축지지대(15)를 이중으로 잠그게 되어 전방바퀴유닛(10)의 각도가 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전방바퀴유닛(10)에 대한 선회각도를 조절 완료한 뒤에는 전방바퀴유닛(10)을 면취가공할 철판(4) 위에 올려놓는데, 그 올려놓는 위치는 각각의 바퀴(14,32)가 설치된 주행장치부가 철판(4) 상면에 얹히게 되고, 커터(7)는 가공하고자 하는 철판(4)의 모서리부분과 접촉된 상태가 되어야 한다.
이렇게 철판 자동면취기(1)를 철판(4) 위에 올려놓으면, 베이스프레임(2)의 하부에 설치된 자석(3)의 자력이 철판을 끌어당겨서 각각의 바퀴(14,32)가 철판의 상면에 밀착되면서 철판 자동면취기(1)가 철판에서 떨어지지 않고 주행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주행모터(37)와 절삭모터(6)를 구동시키게 되면, 주행모터(37)의 동력이 체인(35)을 통하여 후방축(31)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 후방축(31)에는 한 쌍의 후방바퀴(32)가 설치되어서 상기 주행모터(37)의 동력이 후방바퀴(32)에 전달되게 되며, 후방바퀴(32)가 철판(4)과 접촉하고 있음에 따라 그들의 마찰력에 의해 철판 자동면취기(1)가 주행을 하게 되고, 그와 더불어 절삭모터(6)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커터(7)가 철판(4)의 모서리부를 면취 가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후방바퀴(32)의 회전에 의해 철판 자동면취기(1)가 전방측으로 주행할 때, 전방바퀴(14)는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으면서 전방바퀴유닛(10)이 커터(7)가 설치된 절삭가공부의 반대 방향측을 향한 상태임에 따라 철판 자동면취기(1)는, 도 1의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치우치게 주행하는 편향주행을 하게 되는데, 베이스프레임(2)의 우측 하방에 설치된 절삭장치부의 커터(7)가 철판(4)의 우측 모서리부와 접촉한 상태임에 따라 커터(7)가 철판(4)의 모서리부에 밀어붙이게 된다.
이와 같이 철판 자동면취기(1)가 좌측방향으로 편향 주행함과 아울러 커터(7)는 철판(4)의 우측 모서리부에 밀착하며 밀어붙이면서 회전하게 되어 철판(4)의 우측 모서리부를 면취 가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전후방바퀴유닛(10,30)이 설치된 주행부와 커터(7)가 설치된 절삭가공부 사이의 베이스프레임(2) 하부에는 칩차단판(8)이 설치되어서 커터(7)에 의해 철판(4)의 모서리부를 면취 가공하는 과정에서 비산되는 칩이 전후방바퀴유닛(10,30)이 설치된 주행부 측으로 오지 않게 되어 가공하고자 하는 철판 상면에 칩이 얹히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만약에 커터(7)에 의해 절삭되면서 비산되는 칩이 철판(4) 위에 얹히게 되면, 주행하던 철판 자동면취기(1)의 전후방바퀴(14,32)가 고무재나 연질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칩이 달라붙거나 박히게 되는데, 이렇게 전후방바퀴(14,32)의 외주면에 칩이 달라붙거나 박히게 되면 전후방바퀴(14,32)와 철판(4)의 상면 사이에서 미끄럼이 발생하여 철판 자동면취기(1)가 제대로 주행하지 못하게 되면서 면취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주행부와 절삭가공부 사이의 베이스프레임(2) 하부에는 칩차단판(8)이 설치되어서 커터(7)에 의해 철판(4)의 모서리부를 면취 가공하는 과정에서 비산되는 칩이 전후방바퀴유닛(10,30)이 설치된 주행부 측으로 오지 않게 되어 가공하고자 하는 철판 상면에 칩이 얹히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그로인하여 전후방바퀴(14,32)의 외주면에 칩이 달라붙거나 박히지 않아서 전후방바퀴(14,32)와 철판(4)의 상면 사이에서 미끄럼이 발생하지도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포함되는 전후방바퀴(14,32)는, 도 7 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철판(4)과 바퀴의 외주면과의 접지력을 증대시키는 흡착판 형태의 흡착부(41)가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그 들 다수의 흡착부(41) 사이에는 틈새홈(44)이 형성되며, 틈새홈(44)들에는 각각의 흡착부(41)와 틈새를 두고 돌출부(45)가 형성되어서 철판(4)과 전후방바퀴(14,32)의 외주면이 흡착판형태로 흡착하게 된다.
그런데, 전후방바퀴(14,32)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횡방향으로 한 줄의 흡착부(41)만 철판(4)가 순간적으로 흡착식으로 밀착하는데, 전후방바퀴(14,32)의 회전력이 흡착력보다 커서 순간적으로 전후방바퀴(14,32)의 외주면이 철판(4)의 상면에 밀착하고, 뒤이어 뒤따르는 흡착부(41)가 밀착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그리고, 흡착부(41)의 얇은 흡착홈테(43)가 철판에 접촉하면서 흡착홈(42)에 의해 철판이 밀착할 때, 흡착홈테(43)의 폭은 1㎜ 내외로 좁으면서 고무재나 연질합성수지재로 형성되며, 철판 자동면취기(1)의 전체무게와 자석(3)에 의해 철판 자동면취기(1)를 철판 측으로 끌어당기는 힘에 의해 흡착홈테(43)이 눌리면서 흡착홈테(43)의 저면이 압착되어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그와 더불어 돌출부(45)가 흡착홈테(43)가 소정의 높이(h:0.5~1㎜)만큼 낮게 형성되어 흡착홈테(43)가 눌릴 때, 흡착부(41)의 저면과 돌출부(45)의 저면이 철판(4)의 상면에 함께 밀착하여 커다란 접지력이 발생되어 전후방바퀴(14,32)가 철판(4)의 상면에서 미끄럼 없이 정해진 주행방향으로 정확하게 주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전후방바퀴(14,32)가 미끄러짐이 없이 정확한 주행을 함에 따라 철판(4)의 모서리부에 대한 면취작업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에어분사구와 주행가이드를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선출원된 특허출원 제2012-90778호(발명의 명칭 : 챔퍼밀)의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에어분사구와 주행가이드를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1 : 철판 자동면취기 2 : 베이스프레임 3 : 자석
4 : 철판 5 : 손잡이 6 : 절삭모터
7 : 커터 8 : 칩차단판 9 : 제어부
10 : 전방바퀴유닛 11 : 전방축 12 : 전방좌바퀴
13 : 전방우바퀴 14 : 전방바퀴 15 : 선회축지지대
16 : 힌지식 축지지대 17 : 호형홈 18 : 각도지시부
19 : 각도표시눈금 20 : 브래킷 21 : 볼트설치대
22 : 조절볼트 23 : 잠금너트 30 : 후방바퀴유닛
31 : 후방축 32 : 후방바퀴 33 : 축지지대
34 : 종동스프라켓 35 : 체인 36 : 구동스프라켓
37 : 주행모터 38 : 고정볼트 40 : 바퀴고무본체
41 : 흡착부 42 : 흡착홈 43 : 흡착홈테
44 : 틈새홈 45 : 돌출부

Claims (3)

  1. 베이스프레임(2)의 하부에 자석(3)이 고정 설치되고, 베이스프레임(2)의 하측에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와 커터(7)가 각각 설치되어 철판(4) 상에서 주행을 하며 철판의 모서리부를 면취 가공하는 철판 자동면취기에 있어서,
    상기 철판 자동면취기는 베이스프레임(2)의 전후방 하측에 선회방향을 힌지식으로 조절 가능한 전방바퀴유닛(10)과, 주행모터(37)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후방바퀴유닛(30)이 설치되며, 전후방바퀴유닛(10,30)이 설치되는 주행부와 커터(7)가 설치되는 절삭가공부의 사이의 베이스프레임(2) 하측에는 칩차단판(8)이 설치되고,
    상기 전방바퀴유닛(10)은 전방축(11)의 양측단 외부에 선회축지지대(15)와 힌지식 축지지대(16)가 전방축(11)의 회전을 지지하게 각각 설치되며, 선회축지지대(15)와 힌지식 축지지대(16) 내측의 전방축(11)에는 전방축(11)과 동일하게 회전하는 전방바퀴(14)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힌지식 축지지대(16)는 중앙 상부가 베이스프레임(2)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 통공(16a)을 관통하는 힌지볼트(16b)에 체결되며, 선회축지지대(15)는 전후방에 고정볼트(15a)가 체결되되, 이들 고정볼트(15a)는 상기 힌지볼트(16b)를 중심점으로 베이스프레임(2)에 호형으로 형성되는 호형홈(17)을 관통하여 체결되고,
    상기 호형홈(17) 외측의 베이스프레임(2)에는 각도표시눈금(19)이 표시되며, 선회축지지대(15)의 외면에는 각도지시부(18)가 표시되고,
    상기 선회축지지대(15)의 소정위치에는 브래킷(20)이 설치되며, 호형홈(17)과 근접한 베이스프레임(2)에는 볼트설치대(21)가 힌지핀(21a)에 의해 설치되고, 이 볼트설치대(21)에는 선단부가 브래킷(20)에 회전 지지되게 설치되는 조절볼트(22)가 나사식으로 체결되며, 이 조절볼트(22)에는 조절볼트(22)의 위치를 고정하는 잠금너트(23)가 체결되고,
    상기 후방바퀴유닛(30)은 한 쌍의 후방바퀴(32)를 설치한 후방축(31)의 양단부가 베이스프레임(2)의 후방측 저면에 설치되는 축지지대(33)에 회전이 지지되게 설치되며, 후방바퀴(32) 사이의 후방축(31)은 종동스프라켓(34)이 고정 설치되고, 후방축(31) 상측의 베이스프레임(2) 상면에는 체인(35)을 통하여 종동스프라켓(34)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스프라켓(36)이 설치된 주행모터(37)가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용 자동면취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바퀴(14,32)는 전후방바퀴(14,32)에 포함되는 바퀴고무본체(40)의 외부면 전둘레에 흡착판 형태로 형성되는 다수의 흡착부(41)를 간격을 두고 형성하며, 흡착부(41) 사이의 틈새홈(44)에는 돌출부(45)를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용 자동면취기.
KR1020170092645A 2017-07-21 2017-07-21 철판용 자동면취기 KR101917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645A KR101917135B1 (ko) 2017-07-21 2017-07-21 철판용 자동면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645A KR101917135B1 (ko) 2017-07-21 2017-07-21 철판용 자동면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7135B1 true KR101917135B1 (ko) 2018-11-09

Family

ID=64426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2645A KR101917135B1 (ko) 2017-07-21 2017-07-21 철판용 자동면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71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60787A (zh) * 2019-09-21 2019-12-13 宜兴市九洲封头锻造有限公司 一种撕边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0807B1 (ko) * 2012-06-26 2014-08-14 구용석 직각 결합부의 용접 비드 절삭 가공장치
KR101740864B1 (ko) * 2016-07-18 2017-05-26 주식회사한현엔트 자동 면취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0807B1 (ko) * 2012-06-26 2014-08-14 구용석 직각 결합부의 용접 비드 절삭 가공장치
KR101740864B1 (ko) * 2016-07-18 2017-05-26 주식회사한현엔트 자동 면취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60787A (zh) * 2019-09-21 2019-12-13 宜兴市九洲封头锻造有限公司 一种撕边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3503B1 (ko) 양면 에지 가공 포터블 장치
KR20040007222A (ko) 글래스의 가공장치
KR101917135B1 (ko) 철판용 자동면취기
KR101740864B1 (ko) 자동 면취기
KR102128328B1 (ko) 파이프 가공 캐리지
KR101178342B1 (ko) 자동면취기
JP2018034251A (ja) バンドソー
CN212918855U (zh) 一种手持式板材坡口打磨装置
KR20210040577A (ko) 원형 커터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커팅 장치
JP6926828B2 (ja) バリ取り装置
JPH09132013A (ja) タイヤならし装置
CN103038022A (zh) 用于手持式工具机的导向装置
CN211072975U (zh) 板材磨边装置
KR100820186B1 (ko) 연삭기용 탈착형 면취기
KR101304507B1 (ko) 철판 자동면취기
JP3729742B2 (ja) 端縁加工装置及び端縁加工方法
KR100768450B1 (ko) 장식용 프레임 연마장치
JPS5841086Y2 (ja) 石材研削装置
KR20140134495A (ko) 직선가공용 면취기
CN212496371U (zh) 一种可调节的辅助锁付治具
US3526061A (en) Honing machine
JPH07314306A (ja) ワークの面取り装置
KR20130078254A (ko) 파이프용 면취기
CN219189620U (zh) 一种坡口机
CN218984335U (zh) 一种磨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