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7069B1 - 프로필렌-에틸렌-1-부텐 터폴리머를 포함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프로필렌-에틸렌-1-부텐 터폴리머를 포함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7069B1
KR101917069B1 KR1020187004230A KR20187004230A KR101917069B1 KR 101917069 B1 KR101917069 B1 KR 101917069B1 KR 1020187004230 A KR1020187004230 A KR 1020187004230A KR 20187004230 A KR20187004230 A KR 20187004230A KR 101917069 B1 KR101917069 B1 KR 101917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ethylene
butene
propylene
polyolef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4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5974A (ko
Inventor
안드리아 페리사티
안젤로 페라로
파올라 마사리
말코 씨아라포니
클라우디우스 카발리에리
로베르토 팬태리오니
Original Assignee
바셀 폴리올레핀 이탈리아 에스.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셀 폴리올레핀 이탈리아 에스.알.엘 filed Critical 바셀 폴리올레핀 이탈리아 에스.알.엘
Publication of KR20180025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5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B29C47/002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specially treated, e.g. irradi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04Monomers containing three or four carbon atoms
    • C08F210/06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4/00Polymerisation catalysts
    • C08F4/42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 C08F4/44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 C08F4/60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together with refractory metals, iron group metals, platinum group metals, manganese, rhenium technetium or compounds thereof
    • C08F4/62Refractory metals or compounds thereof
    • C08F4/64Titanium, zirconium, hafnium or compounds thereof
    • C08F4/642Component covered by group C08F4/64 with an organo-aluminium compound
    • C08F4/6421Titanium tetrahalides with organo-alumin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4/00Polymerisation catalysts
    • C08F4/42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 C08F4/44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 C08F4/60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together with refractory metals, iron group metals, platinum group metals, manganese, rhenium technetium or compounds thereof
    • C08F4/62Refractory metals or compounds thereof
    • C08F4/64Titanium, zirconium, hafnium or compounds thereof
    • C08F4/647Catalysts containing a specific non-metal or metal-free compound
    • C08F4/649Catalysts containing a specific non-metal or metal-free compound organic
    • C08F4/6491Catalysts containing a specific non-metal or metal-free compound organic hydrocarbon
    • C08F4/6492Catalysts containing a specific non-metal or metal-free compound organic hydrocarbon containing aliphatic unsatu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2Copolymers of propene at least partially crystalline copolymers of propene with other 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8Oriented bi-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2Shear str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8Cree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323/14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4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423/14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423/16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C08L2203/162Applications used for films sealable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8/00Chemical blending or stepwise polymerisation process with the same catalyst

Abstract

A) 1.5 중량% 내지 6.0 중량% 범위의 에틸렌 유도 단위 함량을 갖는 프로필렌 에틸렌 코폴리머 19 중량% 내지 50 중량%; B) 1.5 중량% 내지 6.0 중량% 범위의 에틸렌 유도 단위 함량 및 4.8 중량% 내지 12.4 중량%의 1-부텐 유도 단위 함량을 갖는 프로필렌 에틸렌 1-부텐 터폴리머의 50 중량% 내지 81 중량%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조성물로서: 성분 A) 및 B)의 합계가 100이고; 상기 조성물은 하기 요건을 특징으로 하며: - C2 중량%/C4 중량%의 비율이 0.22 내지 3.0이고, C2 중량%는 에틸렌 유도 단위의 중량%이고, C4 중량%는 1-부텐 유도 단위의 중량%이고; - 25℃에서의 크실렌 가용성 분획의 함량이 2 내지 15 중량%에 포함되고; - Mw/Mn에 관하여 표시되는, 분자량 분포(MWD)는 4.0 초과이고; - 200℃에서 회복 가능한 컴플라이언스는 800 내지 1200 초의 최댓값 65x10-5 Pa-1 미만인 것인, 폴리올레핀 조성물.

Description

프로필렌-에틸렌-1-부텐 터폴리머를 포함하는 조성물
본 개시는, 코로나 처리 후의 표면 장력에 관하여 개선된 특성을 가지는 필름, 특히 2축 연신 필름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프로필렌 에틸렌 코폴리머 및 프로필렌 에틸렌 1-부텐 터폴리머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프로필렌 코폴리머 또는 터폴리머로 제조된 필름은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프로필렌 코폴리머 또는 터폴리머는, 프로필렌 호모폴리머에 대해서 더 양호한 충격성, 더 낮은 강성 및 더 양호한 투명성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사용된다. 그러나 일부 경우에는, 특히 서로 대조적인 특성이 요구되는 경우, 이들 특성 사이의 허용 가능한 균형을 찾아내는 것이 어렵다. 예를 들어, 소정의 유연성이 요구되는 경우, 이것은 일반적으로 식품 접촉 적용예에 부적당한 다량의 크실렌 가용성 분획의 존재 하에 얻어진다.
미국 특허 제6,221,984호는 에틸렌 및 적어도 하나의 C4-C10 알파-올레핀과 프로필렌의 랜덤 코폴리머, 및 필름, 섬유 또는 몰딩에 사용될 수 있는 이와 같은 랜덤 코폴리머의 제조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특히, 이와 같은 특허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에 의해 얻어진 터폴리머는 크실렌-가용성 폴리머 입자(실시예 1 내지 3)의 낮은 비율 때문에 식품 포장 필름에 특히 적합하다. 한편, 크실렌 가용성 분획이 증가되면, 필름의 시일 개시 온도 및 그 광학 특성이 만족스럽지 않게 된다.
WO2009/019169호는 2 개의 상호 연결된 중합 영역을 포함하는 기상 반응기에서 제조된 프로필렌/에틸렌/1-부텐 터폴리머에 관한 것이다. 상기 터폴리머는 특히 0.1 내지 0.8 범위의 에틸렌 함량(중량%)와 1-부텐 함량(중량%)의 비율 및 25℃에서 9 중량%보다 높은 크실렌 가용성 분획을 갖는다.
WO2013/174778호는 0.5 중량% 내지 2.2 중량%의 에틸렌 유도 단위 및 6.0 중량% 내지 20.0 중량%의 1 부텐 유도 단위를 함유하는 프로필렌, 에틸렌, 1-부텐 터폴리머에 관한 것이다; 특히, 25℃에서 크실렌 가용성 분획은 15.0 중량% 미만이며 최솟값은 5.0이다. 또한, 이와 같은 경우에서 크실렌 가용성 분획과 SIT 사이의 균형이 보다 개선될 수 있다.
폴리올레핀 필름은 또한, 불량한 습윤성, 불량한 인쇄 적성, 및 다른 재료와의 불량한 접착성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이들 특성은 폴리올레핀-기재 폴리머의 낮은 표면 장력 및 많은 화학 물질 및 용매에 대한 그들의 높은 내성과 관련되어 있다. 전형적으로, 프로필렌 필름의 표면 장력은 27 내지 30 mN/m의 범위이다.
표면 장력을 증가시켜 필름을 금속화, 코팅, 인쇄 잉크, 라미네이션 등,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해 수용적이 되도록 여러 표면 처리가 당업계에 알려져 있는데, 코로나 방전, 화염, 플라즈마, 화학적 처리 또는 분극화된 화염에 의한 처리를 포함한다.
이들 절차는 모두 공통적으로, 발생된 반응성 종에의 노출에 의해, 폴리머 표면이 극성기로, 부분적으로 그리고 일시적으로 개질되고, 따라서 표면을 더욱 용이하게 인쇄 가능하게 한다.
이제 놀랍게도, 프로필렌 에틸렌 코폴리머 및 프로필렌 에틸렌 1-부텐 터폴리머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조성물이 코로나 처리 후에, 보다 높은 표면 장력을 갖는 필름, 특히 2축 배향 필름(BOPP)을 얻는 데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본 개시는:
A) 1.5 중량% 내지 6.0 중량% 범위의 에틸렌 유도 단위 함량을 갖는 프로필렌 에틸렌 코폴리머의 19 중량% 내지 50 중량%;
B) 1.5 중량% 내지 6.0 중량% 범위의 에틸렌 유도 단위 함량 및 4.8 중량% 내지 12.4 중량%의 1-부텐 유도 단위 함량을 갖는 프로필렌 에틸렌 1-부텐 터폴리머의 50 중량% 내지 81 중량%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조성물로서;
성분 A) 및 B)의 합계가 100이고;
상기 조성물은 하기 요건을 특징으로 하며:
- C2 중량%/C4 중량%의 비율이 0.22 내지 3.0이고, C2 중량%는 에틸렌 유도 단위의 중량%이고, C4 중량%는 1-부텐 유도 단위의 중량%이고;
- 25℃에서의 크실렌 가용성 분획의 함량이 2 내지 15 중량%이고;
- Mw/Mn에 관하여 표시되는, 분자량 분포(MWD)가 4.0 초과이고;
- 특징화 섹션에서 보고된 절차에 따라 측정된 200℃에서의 회복 가능한 컴플라이언스는 800 내지 1200 초의 최댓값 65x10-5 Pa-1 미만인 것인, 폴리올레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실시예 1과 비교예 2의 특징화 섹션에서 보고된 절차에 따라 200℃에서 측정된 회복 컴플라이언스 대 시간이 보고된다.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A) 1.5 중량% 내지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2.6 중량% 내지 5.2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1 중량% 내지 4.3 중량% 범위의 에틸렌 유도 단위 함량을 갖는 프로필렌 에틸렌 코폴리머의 19 중량%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25 중량% 내지 42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1 중량% 내지 38 중량%;
B) 1.5 중량% 내지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1.9 중량% 내지 4.8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1 중량% 내지 3.7 중량% 범위의 에틸렌 유도 단위 함량, 및 4.8 중량% 내지 12.4 중량%, 바람직하게는 5.1 중량% 내지 10.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6.8 중량% 내지 10.0 중량%의 1-부텐 유도 단위 함량을 갖는 프로필렌 에틸렌 1-부텐 터폴리머의 50 중량% 내지 81 중량%, 바람직하게는 58 중량% 내지 7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62 중량% 내지 69 중량%를 포함하며;
성분 A) 및 B)의 합계는 100이고;
상기 조성물은 하기 요건을 특징으로 하며:
- C2 중량%/C4 중량%의 비율이 0.22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0.30 내지 2.3, 보다 바람직하게는 0.35 내지 1.3이고, C2 중량%가 에틸렌 유도 단위의 중량%이고, C4 중량%는 1-부텐 유도 단위의 중량%이고;
- 25℃에서의 크실렌 가용성 분획이 2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3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1.5 중량% 포함되고,
- Mw/Mn에 관하여 표시되는, 분자량 분포(MWD)가 4.0 초과, 바람직하게는 10.0 미만이고;
- 특징화 섹션에서 보고된 절차에 따라 200℃에서 측정된 회복 가능한 컴플라이언스는 800 내지 1200 초의 최댓값 65x10-5 Pa-1 미만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반응기 등급(즉, 화학적 또는 물리적 비스브레이킹을 실시하지 않은 코폴리머)으로서 폴리올레핀 조성물에 대하여 언급되는 용융 유량(MFR 230℃ 2.16 kg)이 0.5 내지 75 g/10 분,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0 g/10 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20.0 g/10 분,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8.0 g/10 분의 범위이다.
특히,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140℃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136.8℃ 미만의 용융 온도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90 내지 109℃에 포함되는 시일 개시 온도(SIT)를 갖는다.
프로필렌 에틸렌 코폴리머는 프로필렌 및 에틸렌 코모노머만을 함유하는 것으로 정의되고, 프로필렌 에틸렌 1-부텐 터폴리머는 프로필렌, 에틸렌 및 1-부텐 코모노머만을 함유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필름, 특히 2축 배향(BOPP) 필름의 제조에 특히 적합하다. 폴리올레핀 조성물로 얻어진 BOPP 필름은 코로나 처리 후에 보다 높은 표면 장력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하기의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촉매의 존재 하에, 프로필렌을 에틸렌과 중합시키고, 프로필렌을 에틸렌 및 1-부텐과 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i) Ti, Mg, Cl 및 전자 공여체 화합물(내부 공여체)을 포함하는 고체 촉매 성분;
(ii) 알킬알루미늄 화합물 및,
(iii) 전자-공여체 화합물(외부 공여체).
고체 성분의 입자는 실질적으로 구형의 모폴로지를 가지며, 평균 직경은 5 μm 내지 150 μm, 바람직하게는 20 μm 내지 100 μm,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μm 내지 90 μm의 범위이다. 실질적으로 구형의 모폴로지를 갖는 입자로서, 보다 큰 축과 보다 작은 축 간의 비율이 1.5보다 작거나 같고, 바람직하게는 1.3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Mg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8 내지 3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내지 25 중량%의 범위이다.
일반적으로 Ti의 양은 0.5 중량% 내지 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7 중량% 내지 3 중량%의 범위이다.
내부 전자 공여체 화합물은 하기 식의 1,3-디에테르이다:
Figure 112018015009615-pct00001
상기 식에서, RI 및 RII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C1-C18 알킬, C3-C18 시클로알킬 또는 C7-C18 아릴 라디칼이고; RIII 및 RIV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C1-C4 알킬 라디칼이거나; 위치 2의 탄소 원자가 5, 6 또는 7개의 탄소 원자, 또는 5-n 또는 6-n' 개의 탄소 원자(여기서, n은 1 또는 2이고 n'는 1, 2 또는 3임), 및 각각 N, O, S 및 Si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n 개의 질소 원자 및 n' 개의 헤테로원자로 이루어진 환식 또는 다환식 구조에 속하는 1,3-디에테르이고, 상기 구조는 2 또는 3 불포화(시클로폴리엔 구조)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다른 환식 구조와 축합되거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라디칼; 시클로알킬, 아릴, 아르알킬, 알카릴 라디칼 및 할로겐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거나, 다른 환식 구조와 축합되어 있고, 상기 축합된 환식 구조에 또한 결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상기 언급된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고; 하나 이상의 상기 언급된 알킬, 시클로알킬, 아릴, 아르알킬, 또는 알카릴 라디칼 및 축합된 환식 구조는 선택적으로 탄소 또는 수소 원자, 또는 둘 모두에 대한 치환기로서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들)을 함유한다.
이와 같은 유형의 에테르는 공개된 유럽 특허 출원 제361493호 및 제728769호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디에테르의 대표예는 2-메틸-2-이소프로필 -1,3-디메톡시프로판, 2,2-디이소부틸-1,3-디메톡시프로판, 2-이소프로필 -2-시클로펜틸-1,3-디메톡시프로판, 2-이소프로필 -2-이소아밀-1,3-디메톡시프로판, 9,9-비스(메톡시메틸)플루오렌이다.
Mg/Ti 몰비는, 바람직하게는 13보다 크거나 같고,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40의 범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0의 범위이다. 이에 상응하여, Mg/공여체 몰비는, 바람직하게는 16 초과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7 초과이며 통상적으로 18 내지 50의 범위이다.
고체 촉매 성분의 제조는 여러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하나의 방법에 따르면, 고체 촉매 성분은 식 Ti(OR)q-yXy(여기서, q는 티타늄의 원자가이고, y는 1 내지 q의 수임)의 티타늄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TiCl4를 식 MgCl2·pROH(여기서 p는 0.1 내지 6,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5의 수이고, R은 1 내지 18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탄화수소 라디칼이다)의 부가물로부터 유래하는 염화 마그네슘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부가물은 알코올과 염화 마그네슘을 혼합하고, 부가물의 용융 온도(100 내지 130℃)에서 교반 조건하에서 작동하여 구상 형태로 적절하게 제조할 수 있다. 그 후, 부가물을 상기 부가물과 비혼화성의 불활성 탄화수소와 혼합하여 이에 의해 에멀젼을 생성시키고, 이것을 신속하게 켄칭하여 구상 입자의 형태로 부가물의 응고를 일으키도록 한다. 이와 같은 절차에 의해 제조된 구상 부가물의 예는 미국특허 제4,399,054호 및 미국특허 제4,469,648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렇게 얻어진 부가물은 Ti 화합물과 즉시 반응할 수 있거나, 또는 이는 미리 열 제어된 탈알코올화(dealcoholation)(80 내지 130℃)를 실시하고, 알코올의 몰수가 일반적으로 3 미만,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5인 부가물을 얻을 수 있다. Ti 화합물과의 반응은 부가물(탈알콜화된 또는 그와 같은)을 차가운 TiCl4(일반적으로 0℃)중에 현탁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혼합물은 80 내지 130까지 가열하고 이와 같은 온도에서 0.5 내지 2 시간 동안 유지시킨다. TiCl4를 사용한 처리는 한 번 이상 수행할 수 있다. 내부 전자 공여체 화합물은 TiCl4를 사용한 처리 중에 원하는 비율로 첨가할 수 있다.
알킬-Al 화합물 (ii)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트리에틸알루미늄,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 트리-n-부틸알루미늄, 트리-n-헥실알루미늄, 트리-n-옥틸알루미늄과 같은 트리알킬 알루미늄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다. 또한 가능하게는 상기 인용된 트리알킬알루미늄과 혼합하여, 알킬알루미늄 할로겐화물, 알킬알루미늄 수소화물 또는 알킬알루미늄 세스퀴염화물, 예를 들어 AlEt2Cl 및 Al2Et3Cl3을 사용할 수 있다. Al/Ti 비율은 1 이상이고, 일반적으로 50 내지 2000에 포함된다.
적절한 외부 전자-공여체 화합물은 실리콘 화합물, 에테르, 에스테르, 아민,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 및 특히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및 케톤을 포함한다.
외부 공여체 화합물의 바람직한 부류는 식 (R6)a(R7)bSi(OR8)c(여기서 a 및 b는 0 내지 2의 정수이고, c는 1 내지 4의 정수이고, 합 (a+b+c)는 4이고); R6, R7, 및 R8는 선택적으로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1 내지 18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시클로 알킬 또는 아릴 라디칼임)의 실리콘 화합물의 것이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a가 1이고, b가 1이고, c가 2이고, R6 과 R7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적으로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3 내지 10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분지형 알킬, 시클로알킬 또는 아릴 기이고, R8이 C1-C10 알킬 기, 특히 메틸인 실리콘 화합물이다. 상기 바람직한 실리콘 화합물의 예는 메틸시클로헥실디메톡시실란(C 공여체), 디페닐디메톡시실란, 메틸-t-부틸디메톡시실란, 디시클로펜틸디메톡시실란(D 공여체), 디이소프로필디메톡시실란, (2-에틸피페리디닐)t-부틸디메톡시실란, (2-에틸피페리딘)테실디메톡시실란, (3,3,3-트리플루오로-n-프로필)-(2-에틸피페리디닐)-디메톡시실란, 메틸(3,3,3-트리플루오로-n-프로필)디메톡시실란이다. 또한, 실리콘 화합물은 a가 0이고, c가 3이고, R7이 선택적으로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분지형 알킬 또는 시클로 알킬 기이고, R8이 메틸인 실리콘 화합물이 또한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바람직한 실리콘 화합물의 예는 시클로헥실트리메톡시실란, t-부틸트리메톡시실란 및 테실트리메톡시실란이다.
전자 공여체 화합물 (iii)은 유기알루미늄 화합물과 상기 전자 공여체 화합물 (iii) 사이의 몰비가 0.1 내지 50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0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0이 되도록 하는 양으로 사용된다.
중합 공정은 공지의 기술, 예를 들어 희석제로서 불활성 탄화수소 용매를 사용하는 슬러리 중합, 또는 반응 매체로서 액체 모노머(예를 들어 프로필렌)를 사용하는 벌크 중합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유동상 또는 기계적 교반상 반응기에서 작동하는 기상으로 중합 공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중합은 2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중합을 기상에서 수행하는 경우, 작동 압력은 일반적으로 0.5 내지 5 MPa,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 MPa이다. 벌크 중합에서 작동 압력은 일반적으로 1 내지 8 MPa,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 MPa이다. 수소는 통상적으로 분자량 조절제로서 사용된다.
본 개시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산화 방지제, 공정 안정화제, 슬립제, 대전 방지제, 블록 방지제와 같이 필름 제조를 위해 통상 사용되는 첨가제를 또한 함유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잘 알려진 공정 및 기술에 따라 단층 또는 다층 필름을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압출 공정이 사용될 수 있다.
압출 공정에 있어서 사용하는 폴리머 재료를 압출기에서 용융하고 좁은 다이 슬릿을 통해 압출한다. 이어서 다이의 출구로부터 재료를 냉각하고, 가열하고, 선택적으로 여러 방법 또는 이의 조합으로 배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정의 예는 캐스트, 블로운, 압출 코팅, 1축 배향, 동시 2축 배향 및 축차 2축 배향 필름 공정이다.
이와 같은 공정의 구체적인 예는 블로운 필름 및 BOPP 공정이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개시를 보다 잘 예시하기 위해 제공되며,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실시예
특징화
크실렌 가용성 분획의 측정
2.5 g의 폴리머 및 250 mL의 o-크실렌을 냉장고 및 자기 교반기를 구비한 유리 플라스크에 도입한다. 온도를 용매의 30 분 내에 비등점까지 상승시킨다. 이어서, 이렇게 하여 얻어진 용액을 환류 하에 유지시키고, 추가로 30 분 동안 교반한다. 이어서 밀폐된 플라스크를 얼음과 물의 배쓰에 30 분 동안 유지시키고, 25℃의 항온 수조에 30 분 동안 또한 유지시킨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고체를 급속 여과지로 여과하고, 100 ml의 여과액을 미리 칭량한 알루미늄 용기에 붓고, 이것을 질소 기류 하에서 가열판에서 가열하여 증발에 의해 용매를 제거한다. 이어서 일정한 중량이 얻어질 때까지 용기를 80℃의 오븐에서 진공 하에 유지시킨다. 잔류물은 칭량하여 크실렌 가용성 폴리머의 백분율을 측정한다.
분자량 분포 MWD (Mw/Mn)
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는 13 μm의 입자 크기를 갖는 4 개의 혼합-층 컬럼 PLgel Olexis가 구비된 Waters Alliance GPCV/2000 장비를 사용하여 150℃에서 측정하였다. 컬럼의 치수는 300 × 7.8 mm이었다. 사용된 이동상은 진공 증류된 1,2,4-트리클로로벤젠(TCB)이며, 유량은 1.0 ml/분으로 유지했다. 샘플 용액을 1 내지 2 시간 TCB에서 150℃에서 교반하면서 샘플을 가열하여 제조하였다. 농도는 1 mg/ml이었다. 분해를 방지하기 위해, 0.1 g/l의 2,6-디-tert-부틸-p-크레졸을 첨가하였다. 300 μl(공칭 값)의 용액을 컬럼 세트에 주입하였다. 580 내지 7 500 000 Da 범위의 분자량을 갖는 10 개의 폴리스티렌 표준 샘플(애질런트 사의 EasiCal 키트)를 사용하여 교정 곡선을 얻었다. Mark-Houwink 관계식의 K 값은 다음과 같은 것으로 가정했다:
K = 1.21 × 10-4 dl/g 및 α = 0.706 폴리스티렌 표준 물질의 경우,
K = 1.90 × 10-4 dl/g 및 α = 0.725 실험 샘플의 경우.
삼차 다항식 피트를, 실험 데이터를 보간하고 교정 곡선을 얻기 위해 사용했다. 데이터 취득 및 처리는 GPC 옵션을 사용하여 Waters Empowers 3 크로마토그래피 데이터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용융 유량(MFR)
폴리머 조성물의 용융 유량 MFR은 ISO 1133(230, 2.16 Kg)에 따라 측정하였다.
코모노머 함량의 측정
코모노머 함량은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기(FTIR)를 사용하여 샘플 대 공기 배경의 IR 스펙트럼을 수집함으로써 적외선 분광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장비 데이터 취득 파라미터는 다음과 같다:
- 퍼지 시간 : 최소 30 초
- 수집 시간 : 최소 3 분
- 아포디제이션: Happ-Genzel
- 해상도: 2 cm-1.
샘플 제조:
유압 프레스를 사용하여 2 장의 알루미늄 호일 사이에 약 1 g의 샘플을 프레싱하여 두꺼운 시트가 얻어진다. 균질성이 문제가 되는 경우, 최소 2 회 프레싱 작동이 권장된다. 이와 같은 시트에서 작은 부분을 절단하여 필름을 성형한다. 권장 두께는 0.02 내지 0.05 cm(8 내지 20 밀) 범위이다.
프레싱 온도는 약 1 분 동안 180±10℃(356℉) 및 약 10 kg/cm2(142.2 PSI)의 압력이다. 약 1 분 후에 압력을 해제하고 샘플을 프레스로부터 제거하여 샘플을 실온까지 냉각한다.
폴리머의 압축 필름의 스펙트럼을 흡광도 대 파수(cm-1)로 기록한다. 다음의 측정 값을 사용하여 에틸렌 및 1-부텐 함량을 계산한다:
- 막 두께의 분광 표준화에 사용되는 4482 내지 3950 cm-1의 조합 흡수대의 면적(At).
- 이소택틱 비첨가적(isotactic non-additivate) 폴리프로필렌 스펙트럼의 두 개의 적절한 연속적 분광학적 감산 이후 750 내지 700 cm-1 사이의 흡수대의 면적 및 이어서 800 내지 690 cm-1 범위의 1-부텐-프로필렌 랜덤 코폴리머의 기준 스펙트럼의 면적인 AC2.
- 이소택틱 비첨가적 폴리프로필렌 스펙트럼의 두 개의 적절한 연속적인 분광학적 감산 이후에 769 cm-1(최댓값)에서의 흡수대의 높이 및 이어서 800 내지 690 cm-1 범위의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코폴리머의 기준 스펙트럼의 높이인 DC4.
에틸렌 및 1-부텐 함량 교정 직선을 계산하기 위해, 기지 량의 에틸렌 및 1-부텐의 샘플을 사용하여 얻어진 에틸렌 및 1-부텐에 대한 교정 직선이 필요하다:
에틸렌의 교정:
AC2/At 대 에틸렌 몰 퍼센트(%C2m)를 플로팅함으로써 교정 직선(GC2)을 얻는다. GC2의 기울기는 선형 회귀로부터 계산한다.
1-부텐의 교정:
DC4/At 대 1-부텐 몰 퍼센트(%C4m)를 플로팅함으로써 교정 직선(GC4)을 얻는다. GC4의 기울기는 선형 회귀로부터 계산한다.
알려지지 않은 샘플의 스펙트럼을 기록한 후, 알려지지 않은 샘플의 (At), (AC2) 및 (DC4)를 계산한다. 샘플의 에틸렌 함량(% 몰 분율 C2m)은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Figure 112018015009615-pct00002
샘플의 1-부텐 함량(% 몰 분율 C4m)은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Figure 112018015009615-pct00003
프로필렌 함량(몰 분율 C3m)은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Figure 112018015009615-pct00004
중량을 기준으로 에틸렌, 1-부텐 함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Figure 112018015009615-pct00005
Figure 112018015009615-pct00006
시차 주사 열량법(DSC)을 통한 용융 온도
폴리머의 용융 온도(Tm)는 인듐 용융점에 대해 미리 교정한 퍼킨 엘머 사제 DSC-1 열량계 상에서 시차 주사 열량법(D.S.C.)으로, 20℃/분에서 ISO 11357-1, 2009 및 11357-3, 2011에 따라 측정하였다. 모든 DSC 도가니 내의 샘플의 중량은 6.0±0.5 mg으로 유지하였다.
용융점을 얻기 위해 칭량된 샘플을 알루미늄 팬에 밀봉하고 20℃/분으로 200℃까지 가열하였다. 샘플을 200℃에서 2 분 동안 유지하고, 모든 미소결정을 완전히 용해시킨 후, 20℃/분에서 5℃까지 냉각하였다. 5℃에서 2 분 방치한 후, 샘플을 20℃/분에서 200℃까지 두 번째 실행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이와 같은 두 번째 가열 작업에서, 피크 온도(Tp, m)을 용융 온도로 취하였다.
헤이즈의 측정
각 시험 조성물을 단축 스크류 콜린 압출기(스크류 1:25의 길이/직경 비)에서 7 m/분의 필름 연신 속도 및 210 내지 250℃의 용융 온도에서 압출하여 제조된 약 5x5 cm 50 ㎛ 두께의 필름 시편을 사용하였다. 헤이즈 값은 헤이즈미터(Hazemeter) 타입 UX-10 또는 필터 "C"와 함께 G.E. 1209 광원을 갖는 동등한 장비에 연결된 가드너(Gardner) 측광 단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기지의 헤이즈의 기준 샘플은 장비를 교정하는 데 사용하였다.
표면 장력의 측정
표면 장력의 측정은 ASTM D2578-09에 따라 측정한다.
시일 개시 온도(SIT)
필름 시편의 제작:
본 개시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사용하여 A/B/C 다층 필름을 제조하였으며, 여기서 A 층은 실시예 1의 폴리머이고, B 층은 Lyondellbasell에 의해 판매되는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MOPLEN HP522H이고, C 층은 비교예 2의 폴리머이다. 공정 파라미터는 표 1에 보고한다.
Figure 112018015009615-pct00007
다층 필름은 5.1:1 비율로 연신되었다.
비교를 위해, 또한 C/B/C 다층 필름을 제조하였으며, 여기서 C 층은 비교예 2의 폴리머이고, B 층은 Lyondellbasell 에 의해 판매되는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MOPLEN HP522H이다. 공정 파라미터는 표 2에 보고한다.
Figure 112018015009615-pct00008
SIT의 측정:
각각의 시험을 위해 두 개의 상기 시편을, 인접한 층이 특정한 시험 조성물의 층이 되도록 정렬하여 중첩시켰다. 중첩된 시편을 Brugger Feinmechanik Sealer, 모델 HSG-ETK 745을 이용하여 2 cm 측면의 한쪽에 따라 밀봉하였다. 밀봉 시간은 0.1 N/mm2의 압력에서 5 초이다. 밀봉 온도는 각 시일에 대해 1℃를 증가시켜, 시험 조성물의 용융 온도보다 약 30℃ 미만의 온도에서 시작하였다. 밀봉된 샘플을 냉각한 후, 이 밀봉되지 않은 단부를 인스트론 기계에 부착시키고, 이들을 50 mm/분의 견인 속도(traction speed)에서 시험하였다.
SIT는 적어도 2 뉴턴의 하중이 상기 시험 조건에 적용되는 경우, 시일이 파손되지 않는 최소한의 밀봉 온도이다.
회복 가능한 컴플라이언스의 측정
회복 가능한 컴플라이언스는 25 mm 반경의 원추판 형상 및 상부에 원추판을 갖는 1.992° 등급의 측정 원추 각도를 갖는 Physica MCR301 레오미터를 사용하여 크리프 및 회복 측정에 의해 측정하였다. 시험 온도는 200℃이다.
크리프 시간의 측정
복소 점도는 5%의 일정 변형에서 100 rad/s 내지 0.01 rad/s의 주파수 스위프 시험에서 측정하였고, 0.01 rad/s의 주파수에서의 값을 선택하여 크리프 시간을 계산하였다(프로파일에서 시간 설정 없음). 이어서 크리프 시간은 다음 식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크리프 시간=복소 점도@0.01 rad/s /100; [1]
여기서, 100은 인가된 응력 파스칼이다.
회복 시간의 측정
회복 시간은 다음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회복 시간=크리프 시간*7 [2]
크리프 및 회복 시험
a) 크리프
크리프는, [1]에서 계산된 크리프 시간에 따라 최대 초 동안 1 초에 한 번 측정하였다. 인가된 전단 응력은 100 Pa이다;
b) 회복
회복은 [2]에서 계산된 회복 시간에 따라 최대 초 동안 1 초에 한 번 측정하였다. 인가된 전단 응력은 0 Pa이다.
시험의 종료 시에, 소프트웨어는 초 단위로 측정된 Pa-1 대 시간 단위로 측정된 회복 가능한 컴플라이언스를 계산한다.
실시예 1
구상 부가물의 제조를 위한 절차
마이크로타원체 MgCl.2.1 C2H5OH 부가물은, 유럽 특허 출원 제728769호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하였다.
고체 촉매 성분의 제조를 위한 절차
고체 촉매 성분을 유럽 특허 출원 제728769호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하였다.
예비중합 처리
전술한 고체 촉매 성분을 중합 반응기에 도입하기 전에, 트리에틸알루미늄(TEAL) 및 디시클로펜틸디메톡시실란(DCPMS, D 공여체)와 표 2에 보고된 비율로 접촉시켰다.
그 후, 얻어진 혼합물을 중합 반응기 내에 이를 도입하기 전에 20℃에서 약 5 분 동안 액체 프로필렌 중에서 현탁액으로 유지시켜 예비 중합을 실시하였다.
중합
제1 기상 중합 반응기에, 예비 중합된 촉매 시스템, 수소(분자량 조절제로 사용한 경우) 프로필렌 및 에틸렌을 기체 상태로 연속적이고 일정한 흐름으로 공급함으로써, 프로필렌 에틸렌 코폴리머를 생성한다.
제1 반응기에서 생성된 폴리머는 연속적인 흐름으로 배출하고, 미반응 모노머를 제거한 후, 수소(사용한 경우) 1-부텐, 에틸렌 및 프로필렌을 기체 상태로 정량적으로 일정한 흐름과 함께, 제2 기상 반응기에 연속 흐름으로 도입한다.
제2 반응기를 나가는 폴리머 입자는 반응성 모노머 및 휘발성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증기 처리를 실시한 다음, 건조시킨다.
주요한 중합 조건을 표 3에 보고한다. 폴리머 특징은 표 4에 보고되어 있다.
Figure 112018015009615-pct00009
비교예 2는 표 4에서 보고된 요건을 갖는 Lyondellbasell에 의해 판매되는 시판 제품이고 내부 공여체로서 9,9-비스(메톡시메틸)플루오렌 대신에 디이소부틸프탈레이트를 사용한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2의 회복 컴플라이언스 곡선은 도 1에 보고된다. 800 내지 1200 초의 2 개의 곡선의 최댓값은 표 4에 보고된다.
Figure 112018015009615-pct00010
얻어진 필름의 샘플에 대해 코로나 처리를 행한 다음 상이한 시간에 표면 장력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표 5 에 보고한다.
Figure 112018015009615-pct00011
표 5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비교예 2에 대해 보다 높은 표면 장력을 나타낸다.

Claims (11)

  1. A) 1.5 중량% 내지 6.0 중량% 범위의 에틸렌 유도 단위 함량을 갖는 프로필렌 에틸렌 코폴리머의 19 중량% 내지 50 중량%;
    B) 1.5 중량% 내지 6.0 중량% 범위의 에틸렌 유도 단위 함량 및 4.8 중량% 내지 12.4 중량%의 1-부텐 유도 단위 함량을 갖는 프로필렌 에틸렌 1-부텐 터폴리머 50 중량% 내지 81 중량%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조성물로서;
    성분 A) 및 B)의 합계가 100이고
    상기 조성물은 하기 요건을 특징으로 하며:
    - C2 중량%/C4 중량%의 비율이 0.22 내지 3.0이고, C2 중량%는 에틸렌 유도 단위의 중량%이고 C4 중량%는 1-부텐 유도 단위의 중량%이고;
    - 25℃에서의 크실렌 가용성 분획의 함량이 2 내지 15 중량%이고;
    - Mw/Mn에 관하여 표시되는, 분자량 분포(MWD)가 4.0 초과이고;
    - 200℃에서 회복 가능한 컴플라이언스는 800 내지 1200 초의 최댓값 65x10-5 Pa-1 미만을 갖는, 폴리올레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성분 A)가 25 중량% 내지 42 중량%의 범위이고, 성분 B) 가 58 중량% 내지 75 중량%의 범위인, 폴리올레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성분 A)중의 에틸렌 유도 단위 함량이 2.6 중량% 내지 5.2 중량%의 범위인, 폴리올레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성분 B)중의 에틸렌 유도 단위 함량이 1.9 중량% 내지 4.8 중량%의 범위이고 1-부텐 유도 단위 함량이 5.1 중량% 내지 10.5 중량%의 범위인, 폴리올레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200℃에서 회복 가능한 컴플라이언스는 800 내지 1200 초의 최댓값 60x10-5 Pa-1 미만을 갖는, 폴리올레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성분 B)중의 에틸렌 유도 단위 함량이 2.5 중량% 내지 3.9 중량%의 범위인, 폴리올레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성분 B)중의 1-부텐 유도 단위 함량이 5.3 중량% 내지 6.9 중량%의 범위인, 폴리올레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용융 온도가 136.8℃ 미만인, 폴리올레핀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시일 개시 온도(SIT)는 90 내지 109℃에 포함되는, 폴리올레핀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포함하는, 필름.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포함하는, 2축 배향(BOPP) 필름.
KR1020187004230A 2015-08-06 2016-07-19 프로필렌-에틸렌-1-부텐 터폴리머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9170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180040.6 2015-08-06
EP15180040 2015-08-06
PCT/EP2016/067144 WO2017021138A1 (en) 2015-08-06 2016-07-19 Composition comprising propylene-ethylene-1-butene terpolym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5974A KR20180025974A (ko) 2018-03-09
KR101917069B1 true KR101917069B1 (ko) 2018-11-08

Family

ID=53783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4230A KR101917069B1 (ko) 2015-08-06 2016-07-19 프로필렌-에틸렌-1-부텐 터폴리머를 포함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577492B2 (ko)
EP (1) EP3331703B1 (ko)
JP (1) JP6491792B2 (ko)
KR (1) KR101917069B1 (ko)
CN (1) CN107921764B (ko)
ES (1) ES2731357T3 (ko)
PL (1) PL3331703T3 (ko)
RU (1) RU2679259C1 (ko)
TR (1) TR201910968T4 (ko)
WO (1) WO20170211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594B1 (ko) * 2020-07-16 2020-11-04 최용제 단열 및 차열성능이 우수한 비닐 하우스용 시트
US20240124693A1 (en) * 2020-12-09 2024-04-18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Propylene polymer composition
WO2024028042A1 (en) * 2022-08-03 2024-02-08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Polypropylene composition for heat sealable film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6079B1 (ko) 1994-03-24 2002-12-26 바셀 노쓰 아메리카 인코포레이티드 봉합온도가낮고잉크부착성이양호한결정성프로필렌공중합체조성물
EP2743307A1 (en) 2012-12-12 2014-06-18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Polyolefin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35550A1 (de) 1977-08-06 1979-02-08 Guenther O Prof Dr Schenck Mehrkammer-photoreaktor
IT1096661B (it) 1978-06-13 1985-08-26 Montedison Spa Procedimento per la preparazione di prodotti in forma sferoidale solidi a temperatura ambiente
IT1098272B (it) 1978-08-22 1985-09-07 Montedison Spa Componenti,di catalizzatori e catalizzatori per la polimerizzazione delle alfa-olefine
JPS61115940A (ja) 1984-11-09 1986-06-03 Mitsubishi Yuka Badische Kk ポリプロピレン発泡体粒子
JPS61248740A (ja) 1985-04-26 1986-11-06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多層フイルム
IT1227260B (it) 1988-09-30 1991-03-28 Himont Inc Dieteri utilizzabili nella preparazione di catalizzatori ziegler-natta
IL117114A (en) 1995-02-21 2000-02-17 Montell North America Inc Components and catalysts for the polymerization ofolefins
US7049377B1 (en) 1995-02-21 2006-05-23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1,3-diethers and components and catalysts for the polymerization of olefins, containing said diethers
DE19722569A1 (de) 1997-05-28 1998-12-03 Basf Ag Statistische Propylencopolymerisate
US6455602B1 (en) * 2000-10-24 2002-09-24 Union Carbide Chemicals & Plastics Technology Corporation High-speed processable cellular insulation material with enhanced foamability
US7351478B2 (en) 2001-03-16 2008-04-01 Fina Technology, Inc. Heat-seal films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1501070B1 (ko) 2007-08-03 2015-03-10 바셀 폴리올레핀 이탈리아 에스.알.엘 프로필렌 삼원중합체 제조 방법
US9255166B2 (en) 2008-04-24 2016-02-09 Borealis Ag High purity heterophasic propylene copolymers
EP2666793A1 (en) 2012-05-21 2013-11-27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Propylene based terpolymer
KR101349929B1 (ko) 2013-05-14 2014-01-14 두지산업 주식회사 리본형 직물
EP2810773A1 (en) * 2013-06-05 2014-12-10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Butene-1 copolymer tie layer in multilayer film structures having a low seal temperature and improved hot tac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6079B1 (ko) 1994-03-24 2002-12-26 바셀 노쓰 아메리카 인코포레이티드 봉합온도가낮고잉크부착성이양호한결정성프로필렌공중합체조성물
EP2743307A1 (en) 2012-12-12 2014-06-18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Polyolefin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91792B2 (ja) 2019-03-27
RU2679259C1 (ru) 2019-02-06
US10577492B2 (en) 2020-03-03
PL3331703T3 (pl) 2019-11-29
TR201910968T4 (tr) 2019-08-21
KR20180025974A (ko) 2018-03-09
ES2731357T3 (es) 2019-11-15
EP3331703B1 (en) 2019-05-29
CN107921764A (zh) 2018-04-17
US20180237623A1 (en) 2018-08-23
WO2017021138A1 (en) 2017-02-09
BR112018002393A2 (pt) 2018-09-18
EP3331703A1 (en) 2018-06-13
JP2018525488A (ja) 2018-09-06
CN107921764B (zh) 201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09268B2 (ja) 改良されたシール性および光学特性ならびに低減された溶解性を有する結晶性プロピレンコポリマー組成物
JP4625182B2 (ja) 封止性と光学特性が改善され、かつ溶解度が減じられた結晶性プロピレンコポリマー組成物
KR101764561B1 (ko) 랜덤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80094930A (ko)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
CN106255720B (zh) 多层膜无规丙烯-乙烯共聚物
EP2049579A1 (en) Butene-1 copolymers
JP2020517781A (ja) プロピレン系重合体組成物
US20090326156A1 (en) Butene-1 copolymers
KR101917069B1 (ko) 프로필렌-에틸렌-1-부텐 터폴리머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59756B1 (ko) 프로필렌-에틸렌-1-부텐 터폴리머를 포함하는 필름
KR101925767B1 (ko) 프로필렌-에틸렌-1-부텐 터폴리머를 포함하는 조성물
JP6559879B2 (ja) プロピレン−エチレン−1−ブテン三元共重合体を含む多層フィルム
EP3271408A1 (en) Propylene based terpolymer
WO2014139731A1 (en) Multilayer fibers
BR112018002393B1 (pt) Composição que compreende terpolímeros de propileno-etileno-1-buteno
WO2024083610A1 (en) Polypropylene composition with good sealing proper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