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6628B1 - 조립식 벽체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조립식 벽체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6628B1
KR101916628B1 KR1020180050644A KR20180050644A KR101916628B1 KR 101916628 B1 KR101916628 B1 KR 101916628B1 KR 1020180050644 A KR1020180050644 A KR 1020180050644A KR 20180050644 A KR20180050644 A KR 20180050644A KR 101916628 B1 KR101916628 B1 KR 101916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all
present
unit block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0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승
Original Assignee
이현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승 filed Critical 이현승
Priority to KR1020180050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66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6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6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0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telescop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벽체 어셈블리는, 상하 길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며, 내부에 콘크리트가 충진되는 충진공간이 형성되고, 복수 개가 측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소정 폭을 가지는 벽체를 형성하는 단위벽체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립식 벽체 어셈블리{Prefabricated Wall Assembly}
본 발명은 조립식 벽체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단위벽체모듈을 통해 간편하게 벽체를 형성할 수 있는 조립식 벽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벽체라 함은 건물 또는 방을 둘러싸거나, 특정 영역을 구획하고 통행인 또는 차량 등의 진행을 막는 역할을 수행하는 고체로 된 구조체를 말한다.
이와 같은 벽체는 일반적으로 철근 등을 이용하여 프레임을 짜 구축한 상태에서 그 둘레에 거푸집을 짜 구축하고, 그 내부에 콘크리트 등을 타설한 뒤 거푸집을 해체하는 과정을 거쳐 시공하게 된다.
다만, 이와 같은 종래의 벽체 시공방법은 강도 확보를 위해 많은 철근이 소요될 뿐 아니라, 거푸집의 구축 및 해체와 같은 부가적인 시공 절차로 인해 인력이 많이 소요되고, 공기가 길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52731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복수의 단위벽체모듈을 통해 종래에 비해 보다 간편한 방식으로 벽체를 형성함에 따라 소요인력 및 비용을 감소시키고, 공기를 단축시키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립식 벽체 어셈블리는, 상하 길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며, 내부에 콘크리트가 충진되는 충진공간이 형성되고, 복수 개가 측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소정 폭을 가지는 벽체를 형성하는 단위벽체모듈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단위벽체모듈은, 서로 폭이 다른 복수 개의 단위블록을 포함하며, 폭이 보다 좁은 단위블록은 폭이 보다 넓은 단위블록 내에 수용될 수 있도록 구비되되, 폭이 보다 넓은 단위블록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단위블록 중 폭이 가장 넓은 단위블록 및 폭이 가장 좁은 단위블록에는 상기 충진공간 내에 콘크리트를 주입 가능하도록 하는 주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가 측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된 상기 단위벽체모듈은, 인접한 다른 단위벽체모듈과 역 방향으로 기립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립식 벽체 어셈블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복수의 단위벽체모듈을 측 방향으로 배열하여 서로 조립하고, 그 내부에 콘크리트를 충진시키는 방식으로 종래에 비해 보다 간편하게 벽체를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이에 따라 소요인력 및 비용을 감소시키고,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별도의 철근 등을 구비하지 않고도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단위벽체모듈의 개수를 조절시키는 것만으로 벽체의 폭을 용이하게 조절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 어셈블리에 있어서, 단위벽체모듈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 어셈블리에 있어서, 단위벽체모듈을 조립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 어셈블리에 있어서, 단위벽체모듈 내에 콘크리트를 충진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및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 어셈블리에 있어서, 충진모니터링볼트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 어셈블리에 있어서, 단위벽체모듈(10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 어셈블리는 복수 개의 단위벽체모듈(100)을 포함한다.
상기 단위벽체모듈(100)은 상하 길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며, 내부에 콘크리트가 충진되는 충진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단위벽체모듈(100)은 복수 개가 측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됨에 따라 소정 폭을 가지는 벽체의 기초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단위벽체모듈(100)은 서로 폭이 다른 복수 개의 단위블록(110a~110d)을 포함한다. 이때 폭이 보다 좁은 단위블록(110a~110d)은, 폭이 보다 넓은 단위블록(110a~110d) 내에 수용될 수 있도록 구비되되, 폭이 보다 넓은 단위블록(110a~110d)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하나의 단위벽체모듈(100)은 총 4개의 단위블록(110a~110d)을 포함하는 것으로 하였으며,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들은 폭이 작은 순으로부터 각각 제1단위블록(110a), 제2단위블록(110b), 제3단위블록(110c), 제4단위블록(110d)이라 칭하도록 한다.
즉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위블록(110a)은 제2단위블록(110b) 내에 수용되며, 제2단위블록(110b)은 제3단위블록(110c) 내에, 제3단위블록(110c)은 제4단위블록(110d) 내에 수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부피가 최소화되어 운반 및 보관이 매우 편리하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위블록(110a~110d)을 모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킨 상태에서는 기 설정된 높이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단위블록(110a~110d) 중 폭이 가장 넓은 단위블록, 즉 제4단위블록(110d) 및 폭이 가장 좁은 단위블록, 즉 제1단위블록(110a)에는 상기 충진공간 내에 콘크리트를 주입 가능하도록 하는 주입홀(111)과, 후술할 충진모니터링볼트(200, 도 4 참조)이 장착되는 보조홀(1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상기 주입홀(111)은 상기 단위벽체모듈(100)의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보조홀(112)은 상기 단위벽체모듈(100)의 측면 측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 어셈블리에 있어서, 단위벽체모듈(100)을 조립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위벽체모듈(100)은 복수 개가 측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됨에 따라 소정 폭을 가지는 벽체의 기초를 형성한다.
이때 복수 개가 측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된 상기 단위벽체모듈(100)은, 인접한 다른 단위벽체모듈(100)과 역 방향으로 기립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어느 하나의 단위벽체모듈(100)의 경우 제1단위블록(110a)이 상부로 배치된 형태를 가진다면, 그와 인접한 한 쌍의 다른 단위벽체모듈(100)은 제1단위블록(110a)이 하부로 배치된 형태를 가지게 된다.
이는 제1단위블록(110a)으로부터 제4단위블록(110d)으로 진행할수록 폭이 증가하기 때문으로, 본 실시예와 같이 서로 인접한 단위벽체모듈(100)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기립시킬 경우 서로 맞물려 빈 공간 없이 벽체의 폭을 연장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단위벽체모듈(100)을 이와 같은 상태로 배치한 상태에서 이들을 상호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유닛(150)이 더 구비된다.
상기 고정유닛(150)은 상기 단위벽체모듈(100)의 상부에서 한 쌍 이상의 상기 단위벽체모듈(100) 간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유닛(150)은, 평판 형태로 형성된 고정패널(152)과, 상기 고정패널(152)의 하부로 돌출된 삽입돌기(154)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고정패널(152)은 한 쌍 이상의 단위벽체모듈(100)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삽입돌기(154)는 상기 단위벽체모듈(100)의 주입홀(111)에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돌기(154)는 상하 관통된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내부에 충진유로(156)를 형성하며, 상기 삽입돌기(154)의 둘레면에는 복수 개의 고정홀(155)이 형성된다.
상기 충진유로(156)는 상기 단위벽체모듈(100)의 내부 충진공간에 콘크리트를 주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동경로를 제공하며, 상기 고정홀(155)은 상기 삽입돌기(154)를 충진공간 내의 콘크리트에 안정적으로 정착시켜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단위벽체모듈(100)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고정유닛(150)은 각각 서로 인접한 한 쌍의 단위벽체모듈(100)을 고정시키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서로 인접한 고정유닛(150)을 다시 고정시키는 다른 고정유닛(150)을 더 결합시키는 것으로 하였다. 이때 서로 인접한 고정유닛(150)을 다시 고정시키는 다른 고정유닛(150)은 상기 삽입돌기(154)의 직경이 다른 고정유닛(150)에 비해 다소 작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위벽체모듈(100)의 하부에 위치된 주입홀(111)에는, 차폐커버(1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폐커버(160)는 상기 주입홀(111)을 완전히 차폐함에 따라 상기 충진공간 내의 콘크리트가 외측으로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 어셈블리에 있어서, 단위벽체모듈(100) 내에 콘크리트를 충진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단위벽체모듈(100)에 고정유닛(150) 및 차폐커버(160)를 장착한 후에는, 도 4와 같이 주입장치(10)를 통해 단위벽체모듈(100) 내에 콘크리트를 충진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단위벽체모듈(100) 내의 콘크리트 충진량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상기 보조홀(112)에는 충진모니터링볼트(200)가 구비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 어셈블리에 있어서, 충진모니터링볼트(20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충진모니터링볼트(200)는 볼트부재(210)와, 탄성부재(220)와, 결합부재(230)를 포함한다.
상기 볼트부재(210)는 와셔부(212)와 제1나사부(214)를 포함하며, 상기 상기 와셔부(212)는 상기 보조홀(11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보조홀(112)의 둘레 영역에 지지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제1나사부(214)는 내주면 및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볼트부재(210)의 내부에는 상하 관통된 제1관통홀(215)을 가진다.
상기 탄성부재(220)는 상기 제1관통홀(215)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며, 이에 따라 상기 볼트부재(21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220)는 상기 제1나사부(214)보다 내측으로 연장된 면적을 가지는 상기 와셔부(212)에 안착된다.
상기 결합부재(23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나사부(234)와, 그 내부에 상하 관통된 제2관통홀(235)을 포함하며, 상기 제2나사부(234)의 외경은 상기 제1관통홀(215)의 직경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재(230)는 상기 볼트부재(21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상기 결합부재(230)는 상기 탄성부재(220)를 눌러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각 구성요소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부재(210)는 상기 단위벽체모듈(100)의 보조홀(112)에 나사결합된 상태로 고정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단위벽체모듈(100) 내의 충진공간에 콘크리트를 주입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의 높이가 상기 충진모니터링볼트(200)가 구비된 위치에 도달하게 될 경우, 상기 콘크리트의 부피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220)가 외측으로 확장되며 돌출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현재 콘크리트의 주입량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 외에도, 현재 콘크리트의 주입량을 파악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단위벽체모듈(100)의 일부가 투명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특성 상 콘크리트의 주입량은 상기 단위벽체모듈(100)의 상부에서 확인하는 것만으로도 족하므로, 상기 단위벽체모듈(100)은 상부 및 하부 일부만이 투명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상기 단위벽체모듈(100)이 역 방향으로 기립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단위벽체모듈
110a~110d: 단위블록
111: 주입홀
112: 보조홀
150: 고정유닛
160: 차폐커버
200: 충진모니터링볼트
210: 볼트부재
220: 탄성부재
230: 결합부재

Claims (4)

  1. 상하 길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며, 내부에 콘크리트가 충진되는 충진공간이 형성되고, 복수 개가 측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소정 폭을 가지는 벽체를 형성하는 단위벽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단위벽체모듈은 서로 폭이 다른 복수 개의 단위블록을 포함하며, 폭이 보다 좁은 단위블록은 폭이 보다 넓은 단위블록 내에 수용될 수 있도록 구비되되, 폭이 보다 넓은 단위블록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형성되며,
    복수 개가 측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된 상기 단위벽체모듈은, 인접한 다른 단위벽체모듈과 역 방향으로 기립되는 조립식 벽체 어셈블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단위블록 중 폭이 가장 넓은 단위블록 및 폭이 가장 좁은 단위블록에는 상기 충진공간 내에 콘크리트를 주입 가능하도록 하는 주입홀이 형성된 조립식 벽체 어셈블리.
  4. 삭제
KR1020180050644A 2018-05-02 2018-05-02 조립식 벽체 어셈블리 KR101916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644A KR101916628B1 (ko) 2018-05-02 2018-05-02 조립식 벽체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644A KR101916628B1 (ko) 2018-05-02 2018-05-02 조립식 벽체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6628B1 true KR101916628B1 (ko) 2018-11-08

Family

ID=64330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0644A KR101916628B1 (ko) 2018-05-02 2018-05-02 조립식 벽체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66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09511A (zh) * 2022-05-26 2022-07-29 中建八局总承包建设有限公司 组装式树脂模块墙体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8385A (ja) * 2003-01-17 2004-08-05 Ohbayashi Corp 柱状構造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8385A (ja) * 2003-01-17 2004-08-05 Ohbayashi Corp 柱状構造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09511A (zh) * 2022-05-26 2022-07-29 中建八局总承包建设有限公司 组装式树脂模块墙体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1494B2 (en) Strengthening device to increase strength of grout layer
CA2508040C (en) Tower foundation made up of slabs with sloping edges
KR101134709B1 (ko)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
JP2015086594A (ja) プレキャスト床版の接合構造およびプレキャスト床版の接合方法
KR101916628B1 (ko) 조립식 벽체 어셈블리
KR101708339B1 (ko) 내진부재를 구비한 내진형 수배전반(고압배전반, 저압배전반, mcc반, 분전반)
US5833206A (en) Universal foot for telecommunications switching cabinet
KR101179037B1 (ko) 노출형 주각부 및 이를 이용한 주각 시공방법
CN110820948A (zh) 用于道路施工的降噪装置
CN209837025U (zh) 用于反力墙的地锚装置
CN219157734U (zh) 一种装配式建筑地基结构
JP2021195834A (ja) 柱脚アンカー構造体、架台、および柱脚アンカー構造体の設計方法
CN220378021U (zh) 一种临时围挡固定装置
US10151075B2 (en) Concrete mounting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for fences and other concrete mounted structures
KR102658243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및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CN217176139U (zh) 一种市政建筑工程用彩钢围挡固定装置
CN215165792U (zh) 一种光伏发电工程基础预埋组件安装用辅助定位装置
CN219158628U (zh) 一种组合式路桥施工围挡
KR102143821B1 (ko) 블록형 철골 프레임 내진보강구조 및 내진보강공법
KR100684390B1 (ko) 앵커볼트 조립체
KR102279850B1 (ko) 안전발판 낙하물 방지용 경첩
KR102356035B1 (ko) 포스트 텐션이 적용된 모듈러 유닛 체결 구조
CN213296672U (zh) 一种建筑结构设计墙柱脚连接结构
KR101518433B1 (ko) 부재조립형 빗물 저류조
JP6830732B2 (ja) 配電設備の基台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