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8243B1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및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및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8243B1
KR102658243B1 KR1020230001379A KR20230001379A KR102658243B1 KR 102658243 B1 KR102658243 B1 KR 102658243B1 KR 1020230001379 A KR1020230001379 A KR 1020230001379A KR 20230001379 A KR20230001379 A KR 20230001379A KR 102658243 B1 KR102658243 B1 KR 102658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wall structure
precast concrete
concrete wall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1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윤섭
김진섭
정종근
서형석
김수명
Original Assignee
삼성이앤에이 주식회사
주식회사 태영피씨엠
주식회사 피에스텍건축구조기술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이앤에이 주식회사, 주식회사 태영피씨엠, 주식회사 피에스텍건축구조기술사사무소 filed Critical 삼성이앤에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01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82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8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8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76Anchorings for bulkheads or sections thereof in as much a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002/8676Wall end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및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는 적어도 한쌍의 베이스 플레이트 및 적어도 한쌍의 쐐기형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한쌍의 베이스 플레이트는 각각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개방형 홀 및 상기 본체의 타측에 형성되되 상기 개방형 홀과 이격되게 형성된 폐쇄형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한쌍의 쐐기형 스토퍼는 이들 각각을 종방향으로 관통하는 중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및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Fixing apparatus for constructing precast concrete wall, concrete wall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structing concrete wall structure}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및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이 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공간 활용성과 시공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및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이 개시된다.
종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의 시공시 고정방법으로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의 외측면에 설치된 인서트와 기초 콘크리트에 설치된 케미컬 앵커를 브라켓으로 고정하여 시공 중 벽체를 고정시키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에 따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을 시공할 경우에는 기초 콘크리트에 케미컬 앵커를 설치하기 위하여 천공시 기초 콘크리트 내부의 기초철근과 간섭이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케미컬 앵커를 정위치에 설치하기가 불가능해져서, 경사지게 천공 후 케미컬 앵커를 강제로 휘어 설치해야 하므로 케미컬 앵커의 내력이 감소하는 사례가 다수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의 시공이 완료된 이후에는 브라켓 고정을 위한 측면볼트 제거 및 기초에 설치된 케미컬 앵커의 절단 작업이 추가로 필요하여 작업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의 측면 고정을 위하여 내부에 매입되는 철물과 브라켓 철물이 과다하게 소요되어 시공비가 상승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공간 활용성과 시공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경화시켜 제조한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적어도 한쌍의 베이스 플레이트 및 적어도 한쌍의 쐐기형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한쌍의 베이스 플레이트는 각각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개방형 홀 및 상기 본체의 타측에 형성되되 상기 개방형 홀과 이격되게 형성된 폐쇄형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한쌍의 쐐기형 스토퍼는 이들 각각을 종방향으로 관통하는 중공을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적어도 한쌍의 쐐기형 스토퍼는 각각 상부 커버, 상기 상부 커버와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된 하부 커버, 및 상기 상부 커버와 상기 하부 커버 사이로서 이들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상부 고정유닛과 하부 고정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커버, 상기 하부 커버, 상기 상부 고정유닛 및 상기 하부 고정유닛은 각각 이들을 모두 종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구성된 중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한쌍의 쐐기형 스토퍼는 상기 적어도 한쌍의 베이스 플레이트상에 하나씩 배치되되 상기 적어도 한쌍의 쐐기형 스토퍼 각각을 종방향으로 관통하는 중공과 상기 적어도 한쌍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하나씩 형성된 상기 개방형 홀이 서로 연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는 상기 적어도 한쌍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일대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한쌍의 지압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는 상기 적어도 한쌍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하나씩 형성된 상기 폐쇄형 홀에 하나씩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한쌍의 연결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일방향으로 연장된 일측 베이스부, 일방향으로 연장된 타측 베이스부 및 상기 양측 베이스부 사이에 배치되어 일방향으로 연장된 중앙 돌출부를 포함하고, 일부분은 매립되고 나머지 일부분은 상기 중앙 돌출부의 상부로 돌출된 수직 주철근을 포함하는 기초 콘크리트;
상기 기초 콘크리트의 일측 베이스부에 배치된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상기 기초 콘크리트의 타측 베이스부에 배치된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상기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과 상기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서로 연결시키도록 구성된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및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중 상기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상기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상기 기초 콘크리트에 고정시키도록 배치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 중 적어도 한쌍의 베이스 플레이트는 각각의 개방형 홀을 통해 상기 기초 콘크리트 중 상기 중앙 돌출부의 상부로 돌출된 적어도 한쌍의 수직 주철근에 하나씩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상기 기초 콘크리트 중 상기 중앙 돌출부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 중 적어도 한쌍의 쐐기형 스토퍼는 각각의 중공을 통해 상기 기초 콘크리트 중 상기 중앙 돌출부의 상부로 돌출된 상기 적어도 한쌍의 수직 주철근의 상단부에 하나씩 삽입되어 하강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한쌍의 베이스 플레이트상에 배치된 후 조여진 것일 수 있다.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중 상기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상기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은 각각 콘크리트, 매립 수직철근 및 매립 인서트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 중 상기 적어도 한쌍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하나씩 형성된 폐쇄형 홀을 통해 적어도 한쌍의 연결볼트가 적어도 한쌍의 매립 인서트에 하나씩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은 일부분은 상기 기초 콘크리트에 매립되고 나머지 일부분은 상기 중앙 돌출부의 상부로 돌출된 지수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은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의 내부에 타설 및 양생된 콘크리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일방향으로 연장된 일측 베이스부, 일방향으로 연장된 타측 베이스부 및 상기 양측 베이스부 사이에 배치되어 일방향으로 연장된 중앙 돌출부를 포함하고, 일부분은 매립되고 나머지 일부분은 상기 중앙 돌출부의 상부로 돌출된 수직 주철근을 포함하는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키는 단계(S10);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 중 적어도 한쌍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각각의 개방형 홀을 통해 상기 기초 콘크리트 중 상기 중앙 돌출부의 상부로 돌출된 적어도 한쌍의 수직 주철근에 하나씩 끼워 결합함으로써 상기 기초 콘크리트 중 상기 중앙 돌출부상에 배치시키는 단계(S20);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 중 상기 적어도 한쌍의 쐐기형 스토퍼를 각각의 중공을 통해 상기 기초 콘크리트 중 상기 중앙 돌출부의 상부로 돌출된 상기 적어도 한쌍의 수직 주철근의 상단부에 하나씩 삽입하여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적어도 한쌍의 베이스 플레이트상에 배치시키는 단계(S30);
상기 기초 콘크리트의 일측 베이스부에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배치시키고 타측 베이스부에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배치시키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의 배치단계로서, 상기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상기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에 각각 형성된 하부 관통홀에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 중 대응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부분이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매립 인서트 및 상기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매립 인서트와 이들 각각에 대응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폐쇄형 홀이 서로 정렬되도록 배치시키는 단계(S40);
상기 적어도 한쌍의 베이스 플레이트상에 배치된 상기 적어도 한쌍의 쐐기형 스토퍼를 조여주는 단계(S50); 및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 중 상기 적어도 한쌍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하나씩 형성된 폐쇄형 홀을 통해 적어도 한쌍의 연결볼트를 적어도 한쌍의 매립 인서트에 하나씩 체결시키는 단계(S60)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은, 상기 단계(S60) 이후에,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중 상기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과 상기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사이의 내부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키는 단계(S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은, 상기 단계(S10)와 상기 단계(S20) 사이에,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 중 적어도 한쌍의 지압판을 상기 중앙 돌출부상에 배치시키는 단계(S80)를 더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단계(S20)에서 상기 적어도 한쌍의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기초 콘크리트 중의 상기 중앙 돌출부상에 직접 배치되지 않고 상기 중앙 돌출부상에 미리 배치된 상기 적어도 한쌍의 지압판상에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는 하기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의 내부에 설치되어 기존의 브라켓처럼 벽체 외면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어 공간 활용성 및 작업자 걸림 등의 안전저해 요소를 삭제할 수 있다
(2) 기초 콘크리트에 별도의 케미컬 앵커 작업을 실시하지 않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의 시공시 기초철근과의 간섭이 해소될 수 있다.
(3)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의 설치 후 별도의 볼트/브라켓/케미컬 앵커 제거 작업이 불필요하여 작업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4) 기존 브라켓 및 케미컬 앵커를 활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의 고정방법 대비 소요철물이 감소하여 공사비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의 시공 허용 오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및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precast concrete wall structure)"란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이 현장 시공에 따라 제작 및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공장에서 제작된 후 시공 현장 내에 설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종방향"이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를 본래의 설치 목적에 맞게 설치하거나 세운 상태에서의 수직방향을 의미하고, "횡방향"이란 그 상태에서의 수평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방형 홀(open-type hall)"이란 홀을 둘러싸는 측벽들 중 일부가 존재하지 않아 상부 및 하부뿐만 아니라 측부가 외부에 노출된 홀을 의미하고, "폐쇄형 홀(closed-type hall)"이란 홀을 둘러싸는 측벽들이 온전히 존재하여 측부는 완전히 폐쇄되고 상부 및 하부만이 외부에 노출된 홀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부" 또는 "상방"이란 상대적으로 중력의 역방향에 위치한 부분 또는 그 부분으로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하부" 또는 "하방"이란 상대적으로 중력의 순방향에 위치한 부분 또는 그 부분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승"이란 중력의 역방향으로 수직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하고 "하강"이란 중력의 순방향으로 수직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210, 220)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10)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10)을 나타낸 평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210, 220)의 시공 허용 오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210), 220)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210, 220)는 적어도 한쌍의 베이스 플레이트(211, 221) 및 적어도 한쌍의 쐐기형 스토퍼(212, 222)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4의 (a)를 참조하면, 적어도 한쌍의 베이스 플레이트(211, 221)는 각각 본체(211a, 221a), 개방형 홀(h11, h21) 및 폐쇄형 홀(h12, h22)을 포함한다.
개방형 홀(h11, h21)은 본체(211a, 221a)의 일측에 하나씩 형성된다.
폐쇄형 홀(h12, h22)은 본체(211a, 221a)의 타측에 하나씩 형성되되, 개방형 홀(h11, h21)과 이격되게 나란히 형성된다.
적어도 한쌍의 쐐기형 스토퍼(212, 222)는 이들 각각을 종방향으로 관통하는 중공(미도시)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4의 (b)를 참조하면, 적어도 한쌍의 쐐기형 스토퍼(212, 222)는 각각 상부 커버(212a, 222a), 하부 커버(212b, 222b), 상부 고정유닛(212c, 222c) 및 하부 고정유닛(212d, 222d)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커버(212a, 222a) 및 하부 커버(212b, 222b)는 서로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부 고정유닛(212c, 222c) 및 하부 고정유닛(212d, 222d)은 상부 커버(212a, 222a)와 하부 커버(212b, 222b)의 사이로서, 이들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커버(212a, 222a)와 하부 커버(212b, 222b)를 강하게 나사결합할수록 상부 고정유닛(212c, 222c) 및 하부 고정유닛(212d, 222d)은 고무 밴딩 형태로 강하게 압착될 수 있다. 적어도 한쌍의 쐐기형 스토퍼(212, 222)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부 커버(212a, 222a), 하부 커버(212b, 222b), 상부 고정유닛(212c, 222c) 및 하부 고정유닛(212d, 222d)은 각각 이들을 모두 종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구성된 중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한쌍의 쐐기형 스토퍼(212, 222)는 적어도 한쌍의 베이스 플레이트(211, 221)상에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한쌍의 쐐기형 스토퍼(212, 222)는 이들 각각을 종방향으로 관통하는 중공과 적어도 한쌍의 베이스 플레이트(211, 221)에 하나씩 형성된 개방형 홀(h11, h21)이 서로 연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210, 220)는 적어도 한쌍의 지압판(214, 2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한쌍의 지압판(214, 224)은 적어도 한쌍의 베이스 플레이트(211, 221)를 일대일로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어도 한쌍의 지압판(214, 224)은 적어도 한쌍의 베이스 플레이트(211, 221)가 설치되는 바닥면(예를 들어, 후술하는 기초 콘크리트(100)의 중앙 돌출부(113)의 상면)이 평평하지 않을 경우 이를 보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210, 220)는 적어도 한쌍의 연결볼트(213, 2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한쌍의 연결볼트(213, 223)는 적어도 한쌍의 베이스 플레이트(211, 221)에 하나씩 형성된 폐쇄형 홀(h12, h22)에 하나씩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210, 220)는 후술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310, 320)의 시공 중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310, 320)에 횡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저항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10)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4의 (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10)은 기초 콘크리트(110),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310, 320)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210, 220)를 포함한다.
기초 콘크리트(110)는 일측 베이스부(111), 타측 베이스부(111), 중앙 돌출부(113) 및 수직 주철근(112-1, 112-2)을 포함한다.
일측 베이스부(111)는 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타측 베이스부(111)도 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측 베이스부(111)와 타측 베이스부(111)는 일체로 형성되어 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중앙 돌출부(113)는 양측 베이스부(111) 사이에 배치되어 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측 베이스부(111), 중앙 베이스부(111), 타측 베이스부(111) 및 중앙 돌출부(113)는 일체로 형성되어 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중앙 베이스부(111)란 중앙 돌출부(113)의 하부로서 일측 베이스부(111)와 타측 베이스부(111) 사이에 배치된 베이스부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는, 중앙 베이스부(111)와 중앙 돌출부(113)를 통칭하여 간단히 중앙 돌출부(113)로 지칭하기로 한다.
수직 주철근(112-1, 112-2)은 일부분은 기초 콘크리트(110)에 매립되고 나머지 일부분은 중앙 돌출부(113)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 주철근(112-1, 112-2)은 2열 종대로 좌우 및 전후간 간격이 동일하도록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열의 수직 주철근(112-1) 및 이와 마주 보도록 배치된 제2 열의 수직 주철근(112-2)이 하나의 쌍을 이루는 방식으로 복수쌍의 수직 주철근(112-1, 112-2)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이들 복수쌍의 수직 주철근(112-1, 112-2) 중 적어도 한쌍의 수직 주철근(112-1, 112-2)에 적어도 한쌍의 베이스 플레이트(211, 221) 및 적어도 한쌍의 쐐기형 스토퍼(212, 222)가 하나의 조합을 이루어 일대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211, 221)의 개수 또는 쐐기형 스토퍼(212, 222)의 개수만큼 연결볼트(213, 224) 및/또는 지압판(214, 224)이 배치될 수 있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310, 320)은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310),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320) 및 연결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310)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320)은 기초 콘크리트(110)의 일측 베이스부(111) 및 타측 베이스부(111)에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310)과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320)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서로 연결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210, 220)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310, 320) 중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310)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320)을 기초 콘크리트(110)에 고정시키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310)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320)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210, 220)의 고정 작용에 의해 기초 콘크리트(110)에 위치 고정되어 별도의 지지부재 없이도 자립이 가능하다. 이러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210, 220)는 적어도 한쌍이 배치될 수 있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210, 220) 중 적어도 한쌍의 베이스 플레이트(211, 221)는 각각의 개방형 홀(h11, h21)을 통해 기초 콘크리트(110) 중 중앙 돌출부(113)의 상부로 돌출된 적어도 한쌍의 수직 주철근(112-1, 112-2)에 하나씩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기초 콘크리트(110) 중 중앙 돌출부(113)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적어도 한쌍의 베이스 플레이트(211, 221)는 각각의 개방형 홀(h11, h21) 및 폐쇄형 홀(h12, h22)에 각각 여유 공간이 존재하기 때문에, 기초 콘크리트(110) 중 중앙 돌출부(113)의 상부로 돌출된 수직 주철근(112-1, 112-2)과 대응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310) 및/또는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320)의 내부의 매립 인서트(313, 323) 사이에 정렬 오차(즉, 동일선상에 위치하지 않음)가 발생할 경우에도 대응 베이스 플레이트(211, 221)를 적절히 회전시킴으로써 대응 수직 주철근(112-1, 112-2)과 대응 매립 인서트(313, 323)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도 1과 함께 도 4의 (c)를 참조하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210, 220) 중 적어도 한쌍의 쐐기형 스토퍼(212, 222)는 각각의 중공을 통해 기초 콘크리트(110) 중 중앙 돌출부(113)의 상부로 돌출된 적어도 한쌍의 수직 주철근(112-1, 112-2)에 하나씩 삽입되어 중력의 작용으로 하강함으로써 적어도 한쌍의 베이스 플레이트(211, 221)상에 배치된 후 조여진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고정유닛(212c, 222c) 및 하부 고정유닛(212d, 222d)은 각각 대응 수직 주철근(112-1, 112-2)에 직접 닿는 부분으로서, 대응 수직 주철근(112-1, 112-2)에 밀착되면 대응 수직 주철근(112-1, 112-2)의 마디에 물려 움직이지 않는다. 상부 고정유닛(212c, 222c) 및 하부 고정유닛(212d, 222d)이 대응 수직 주철근(112-1, 112-2)에 강하게 밀착될수록 이들이 대응 수직 주철근(112-1, 112-2)의 움직임에 저항하는 힘은 커지게 된다. 상부 커버(212a, 222a) 및 하부 커버(212b, 222b)는 암-수 나사로 제작되어 서로 조여질 수 있는데, 상부 커버(212a, 222a) 및 하부 커버(212b, 222b)의 내부에 상부 고정유닛(212c, 222c) 및 하부 고정유닛(212d, 222d)을 넣고 나사를 조이면, 이들 상부 고정유닛(212c, 222c) 및 하부 고정유닛(212d, 222d)이 대응 수직 주철근(112-1, 112-2)에 강하게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커버(212a, 222a) 및 하부 커버(212b, 222b)의 내부 공간은 대응 수직 주철근(112-1, 112-2)의 직경보다 충분히 커서, 대응 수직 주철근(112-1, 112-2)의 상단부에 끼워서 내릴 수 있고, 상부 고정유닛(212c, 222c) 및 하부 고정유닛(212d, 222d)은 각각 2개의 조각으로 분리되어 있어서, 대응 수직 주철근(112-1, 112-2)의 상하부에 고무 밴딩 형태로 가밀착된 후, 대응 상부 커버(212a, 222a) 및 하부 커버(212b, 222b)로 나사 본조임을 하게 된다.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310)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320)은 각각 콘크리트(311, 321), 매립 수직철근(312, 322) 및 매립 인서트(313, 323)를 포함할 수 있다.
매립 수직철근(312, 322) 및 대응 매립 인서트(313, 323)는 대응 콘크리트(311, 321)에 매립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립 수직철근(312, 322) 및 대응 매립 인서트(313, 323)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개별적으로 제작된 후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매립 인서트(313, 323)는 내벽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내부 중공을 포함할 수 있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210, 220) 중 적어도 한쌍의 베이스 플레이트(211, 221)에 하나씩 형성된 폐쇄형 홀(h12, h22)을 통해 적어도 한쌍의 연결볼트(213, 223)가 적어도 한쌍의 매립 인서트(313, 323)에 하나씩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한쌍의 연결볼트(213, 223)가 적어도 한쌍의 베이스 플레이트(211, 221)에 하나씩 형성된 폐쇄형 홀(h12, h22)을 통과하여 적어도 한쌍의 매립 인서트(313, 323)에 하나씩 나사결합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10)은 지수판(1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수판(114)은 투수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그 일부분은 기초 콘크리트(110)에 매립되고 나머지 일부분은 중앙 돌출부(113)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10)은 기초 콘크리트(110)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한쌍의 수직 주철근(112-1, 112-2)과 제1,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310, 320)이 적어도 한쌍의 베이스 플레이트(211, 221)를 매개로 하여 서로 연결됨으로써 횡방향 전도가 발생하지 않도록 기초 콘크리트(110)에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10)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310, 320)의 내부에 타설 및 양생된 콘크리트(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210, 220)를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과 함께 도 5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210, 220)를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이하, 간단히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이라고 지칭함)은 일방향으로 연장된 일측 베이스부(111), 일방향으로 연장된 타측 베이스부(111) 및 양측 베이스부(111) 사이에 배치되어 일방향으로 연장된 중앙 돌출부(113)를 포함하고, 일부분은 매립되고 나머지 일부분은 중앙 돌출부(113)의 상부로 돌출된 수직 주철근(112-1, 112-2)을 포함하는 기초 콘크리트(110)를 타설 및 양생시키는 단계(S10)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도 1과 함께 도 5의 (b)를 참조하면,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210, 220) 중 적어도 한쌍의 베이스 플레이트(211, 221)를 각각의 개방형 홀(h11, h21)을 통해 기초 콘크리트(110) 중 중앙 돌출부(113)의 상부로 돌출된 적어도 한쌍의 수직 주철근(112-1, 112-2)에 하나씩 끼워 결합함으로써 기초 콘크리트(110) 중 중앙 돌출부(113)상에 배치시키는 단계(S20)를 더 포함한다.
다음으로 도 1과 함께 도 5의 (c)를 참조하면, 상기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210, 220) 중 적어도 한쌍의 쐐기형 스토퍼(212, 222)를 각각의 중공을 통해 기초 콘크리트(110) 중 중앙 돌출부(113)의 상부로 돌출된 적어도 한쌍의 수직 주철근(112-1, 112-2)의 상단부에 하나씩 삽입하여 하강시킴으로써 적어도 한쌍의 베이스 플레이트(211, 221)상에 배치시키는 단계(S30)를 더 포함한다.
다음으로 도 1, 도 4의 (a) 및 도 4의 (c)와 함께 도 5의 (d)를 참조하면, 상기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은 기초 콘크리트(110)상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310, 320)을 배치시키는 단계로서, 기초 콘크리트(110)의 일측 베이스부(111)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310, 320) 중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310)가 배치되도록 하고 타측 베이스부(111)에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320)이 배치되도록 하며,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310)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320)에 각각 형성된 하부 관통홀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210, 220) 중 대응 베이스 플레이트(211, 221)의 일부분이 삽입되도록 하여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310)의 매립 인서트(313)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320)의 매립 인서트(323)와 이들 각각에 대응되는 베이스 플레이트(211, 221)에 형성된 폐쇄형 홀(h12, h22)이 서로 정렬되도록 배치시키는 단계(S40)를 더 포함한다.
다시 도 1, 도 4의 (a) 및 도 4의 (c)와 함께 도 5의 (d)를 참조하면, 상기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은 적어도 한쌍의 베이스 플레이트(211, 221)상에 배치된 적어도 한쌍의 쐐기형 스토퍼(212, 222)를 조여주는 단계(S50)를 더 포함한다.
다음으로 도 1, 도 4의 (a) 및 도 4의 (c)와 함께 도 5의 (e)를 참조하면, 상기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은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310, 320)에 하나씩 형성된 하부 관통홀을 통해 적어도 한쌍의 연결볼트(213, 223)를 삽입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210, 220) 중 적어도 한쌍의 베이스 플레이트(211, 221)에 하나씩 형성된 폐쇄형 홀(h12, h22)을 통해 적어도 한쌍의 연결볼트(213, 223)를 적어도 한쌍의 매립 인서트(313, 323)에 하나씩 체결시키는 단계(S60)를 더 포함한다.
다름으로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310, 320) 중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310)과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320) 사이의 내부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키는 단계(S70)를 더 포함한다.
또한 도 5의 (b) 내지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은, 상기 단계(S10)와 상기 단계(S20) 사이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210, 220) 중 적어도 한쌍의 지압판(214, 224)을 중앙 돌출부(113)상에 배치시키는 단계(S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단계(S20)에 있어서, 적어도 한쌍의 베이스 플레이트(211, 221)는 기초 콘크리트(110) 중의 중앙 돌출부(113)상에 직접 배치되지 않고, 중앙 돌출부(113)상에 미리 배치된 적어도 한쌍의 지압판(214, 224)상에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단계(S90)는 상황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구현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210, 220: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
310, 320: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110: 기초 콘크리트 111: 베이스부
112-1, 112-2: 수직 주철근 113: 중앙 돌출부
114: 지수판 211, 221: 베이스 플레이트
211a, 221a: 본체 212, 222: 쐐기형 스토퍼
212a, 222a: 상부 커버 212b, 222b: 하부 커버
212c, 222c: 상부 고정유닛 212d, 222d: 하부 고정유닛
213, 223: 연결볼트 214, 224: 지압판
311, 321: 콘크리트 312, 322: 매립 수직철근
313, 323: 매립 인서트 h11, h21: 개방형 홀
h12, h22: 폐쇄형 홀

Claims (15)

  1. 일방향으로 연장된 일측 베이스부, 일방향으로 연장된 타측 베이스부 및 상기 양측 베이스부 사이에 배치되어 일방향으로 연장된 중앙 돌출부를 포함하고, 일부분은 매립되고 나머지 일부분은 상기 중앙 돌출부의 상부로 돌출된 수직 주철근을 포함하는 기초 콘크리트;
    상기 기초 콘크리트의 일측 베이스부에 배치된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상기 기초 콘크리트의 타측 베이스부에 배치된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상기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과 상기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서로 연결시키도록 구성된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및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중 상기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상기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상기 기초 콘크리트에 고정시키도록 배치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는 적어도 한쌍의 베이스 플레이트 및 적어도 한쌍의 쐐기형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한쌍의 베이스 플레이트는 각각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개방형 홀 및 상기 본체의 타측에 형성되되 상기 개방형 홀과 이격되게 형성된 폐쇄형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한쌍의 쐐기형 스토퍼는 이들 각각을 종방향으로 관통하는 중공을 포함하고,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중 상기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상기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은 각각 콘크리트, 매립 수직철근 및 매립 인서트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 중 상기 적어도 한쌍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하나씩 형성된 폐쇄형 홀을 통해 적어도 한쌍의 연결볼트가 적어도 한쌍의 매립 인서트에 하나씩 체결된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 중 적어도 한쌍의 베이스 플레이트는 각각의 개방형 홀을 통해 상기 기초 콘크리트 중 상기 중앙 돌출부의 상부로 돌출된 적어도 한쌍의 수직 주철근에 하나씩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상기 기초 콘크리트 중 상기 중앙 돌출부상에 배치되는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 중 적어도 한쌍의 쐐기형 스토퍼는 각각의 중공을 통해 상기 기초 콘크리트 중 상기 중앙 돌출부의 상부로 돌출된 상기 적어도 한쌍의 수직 주철근의 상단부에 하나씩 삽입되어 하강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한쌍의 베이스 플레이트상에 배치된 후 조여진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일부분은 상기 기초 콘크리트에 매립되고 나머지 일부분은 상기 중앙 돌출부의 상부로 돌출된 지수판을 더 포함하는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의 내부에 타설 및 양생된 콘크리트를 더 포함하는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6. 일방향으로 연장된 일측 베이스부, 일방향으로 연장된 타측 베이스부 및 상기 양측 베이스부 사이에 배치되어 일방향으로 연장된 중앙 돌출부를 포함하고, 일부분은 매립되고 나머지 일부분은 상기 중앙 돌출부의 상부로 돌출된 수직 주철근을 포함하는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키는 단계(S10);
    제1항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 중 적어도 한쌍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각각의 개방형 홀을 통해 상기 기초 콘크리트 중 상기 중앙 돌출부의 상부로 돌출된 적어도 한쌍의 수직 주철근에 하나씩 끼워 결합함으로써 상기 기초 콘크리트 중 상기 중앙 돌출부상에 배치시키는 단계(S20);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 중 상기 적어도 한쌍의 쐐기형 스토퍼를 각각의 중공을 통해 상기 기초 콘크리트 중 상기 중앙 돌출부의 상부로 돌출된 상기 적어도 한쌍의 수직 주철근의 상단부에 하나씩 삽입하여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적어도 한쌍의 베이스 플레이트상에 배치시키는 단계(S30);
    상기 기초 콘크리트상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을 배치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기초 콘크리트의 일측 베이스부에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중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이 배치되도록 하고 타측 베이스부에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이 배치되도록 하며, 상기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상기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에 각각 형성된 하부 관통홀에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 중 대응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부분이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매립 인서트 및 상기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매립 인서트와 이들 각각에 대응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폐쇄형 홀이 서로 정렬되도록 배치시키는 단계(S40);
    상기 적어도 한쌍의 베이스 플레이트상에 배치된 상기 적어도 한쌍의 쐐기형 스토퍼를 조여주는 단계(S50); 및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 중 상기 적어도 한쌍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하나씩 형성된 폐쇄형 홀을 통해 적어도 한쌍의 연결볼트를 적어도 한쌍의 매립 인서트에 하나씩 체결시키는 단계(S60)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60) 이후에,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중 상기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과 상기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사이의 내부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키는 단계(S70)를 더 포함하는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10)와 상기 단계(S20) 사이에,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 중 적어도 한쌍의 지압판을 상기 중앙 돌출부상에 배치시키는 단계(S80)를 더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단계(S20)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쌍의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기초 콘크리트 중의 상기 중앙 돌출부상에 직접 배치되지 않고 상기 중앙 돌출부상에 미리 배치된 상기 적어도 한쌍의 지압판상에 하나씩 배치되는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쌍의 쐐기형 스토퍼는 각각 상부 커버, 상기 상부 커버와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된 하부 커버, 및 상기 상부 커버와 상기 하부 커버 사이로서 이들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상부 고정유닛과 하부 고정유닛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 상기 하부 커버, 상기 상부 고정유닛 및 상기 하부 고정유닛은 각각 이들을 모두 종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구성된 중공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쌍의 쐐기형 스토퍼는 상기 적어도 한쌍의 베이스 플레이트상에 하나씩 배치되되 상기 적어도 한쌍의 쐐기형 스토퍼 각각을 종방향으로 관통하는 중공과 상기 적어도 한쌍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하나씩 형성된 상기 개방형 홀이 서로 연통되도록 배치되는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는 상기 적어도 한쌍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일대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한쌍의 지압판을 더 포함하는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는 상기 적어도 한쌍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하나씩 형성된 상기 폐쇄형 홀에 하나씩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한쌍의 연결볼트를 더 포함하는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14. 삭제
  15. 삭제
KR1020230001379A 2023-01-04 2023-01-04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및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658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1379A KR102658243B1 (ko) 2023-01-04 2023-01-04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및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1379A KR102658243B1 (ko) 2023-01-04 2023-01-04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및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8243B1 true KR102658243B1 (ko) 2024-04-18

Family

ID=90844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1379A KR102658243B1 (ko) 2023-01-04 2023-01-04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및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824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9764B1 (ko) * 2019-04-02 2020-03-16 한국콘크리트산업 주식회사 S바 철근 및 pc부재 수평철근을 이용한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200037677A (ko) * 2018-10-01 2020-04-09 김수명 Pc벽체 시공중 자립을 위한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JP2020159070A (ja) * 2019-03-27 2020-10-01 株式会社翔栄 免震装置用架台における鉄筋棒の芯出し工法及び芯出し設置治具
KR20200112052A (ko) * 2019-03-20 2020-10-05 주식회사 태영피씨엠 타설압 저항성이 강화된 프리캐스트 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7677A (ko) * 2018-10-01 2020-04-09 김수명 Pc벽체 시공중 자립을 위한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200112052A (ko) * 2019-03-20 2020-10-05 주식회사 태영피씨엠 타설압 저항성이 강화된 프리캐스트 벽체
JP2020159070A (ja) * 2019-03-27 2020-10-01 株式会社翔栄 免震装置用架台における鉄筋棒の芯出し工法及び芯出し設置治具
KR102089764B1 (ko) * 2019-04-02 2020-03-16 한국콘크리트산업 주식회사 S바 철근 및 pc부재 수평철근을 이용한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1030B1 (ko) 가압판을 이용한 조적조 내진 보강 구조물 및 방법
KR20090088107A (ko)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입되는 고정수단
KR101908356B1 (ko) 내진보강용 이중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KR101842593B1 (ko) 제진장치 설치공법
JP2007031934A (ja) 住宅の傾斜矯正工法
KR102658243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시공용 고정장치,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및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201159B1 (ko) 캡유닛과 보강기둥을 이용한 내진 보강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JP4472726B2 (ja) 免震建物構造
KR101299008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각용 수직 전단 연결재
KR101845078B1 (ko) 유동식 연결부재가 구비된 내진보강용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JP4982217B2 (ja) 設備用基礎構造体
JP4449875B2 (ja) 大断面のトンネル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CN209941962U (zh) 一种装配式剪力墙竖向连接构造
KR20220030457A (ko) 철근콘크리트 프레임에 pc부재의 보강으로 앵커의 정착길이를 줄이는 내진벽 및 그 시공방법
KR102102214B1 (ko) 보 테이블폼 안전난간대
KR100849133B1 (ko) 면진장치의 조립설치를 위한 가설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면진장치 설치방법
AU2012101074A4 (en) A component tunnel ceiling structure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JP7339865B2 (ja) 壁パネルの建て込み方法
KR101022713B1 (ko) 전장폼의 전도 방지장치
KR101033530B1 (ko) 천장 거푸집 지지용 써포트의 안전키트
JP5000387B2 (ja) 後施工アンカー設置方法
JP3093059B2 (ja) 建物ユニットの免震据付装置及びユニット建物
JP6359349B2 (ja) 取付構造及び取付工法
KR20190123408A (ko) 합벽지지대 고정장치
JP2006257680A (ja) 機械基礎及びそ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