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6574B1 - 환자 맞춤형 자동 방사선 검사 테이블 - Google Patents

환자 맞춤형 자동 방사선 검사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6574B1
KR101916574B1 KR1020170037555A KR20170037555A KR101916574B1 KR 101916574 B1 KR101916574 B1 KR 101916574B1 KR 1020170037555 A KR1020170037555 A KR 1020170037555A KR 20170037555 A KR20170037555 A KR 20170037555A KR 101916574 B1 KR101916574 B1 KR 101916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voxel
spring
fixing
voxel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7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8980A (ko
Inventor
권대철
노은비
김연욱
김윤현
나영섭
김성진
양승종
Original Assignee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37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6574B1/ko
Publication of KR20180108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8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6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6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61B6/0485Inflatable rests for lifting of pat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61B6/0407Supports, e.g. tables or beds, for the body or parts of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 맞춤형 자동 방사선 검사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의 상태를 정밀하게 진단 위한 X-ray검사, CT검사, MRI검사, 초음파검사등을 수행할 때 환자의 체위를 용이하게 고정시켜 보다 정밀한 진단결과를 유도해 낼 수 있는 것으로, 판상의 하부판; 하부판의 상부에 수직으로 부착되는 다수의 스프링; 개개의 스프링의 상부에 하나씩 접속하는 막대형상의 복셀 기둥; 복셀 기둥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복셀 기둥의 측면을 감싸는 좌우방지틀; 및 스프링과 복셀 기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삽입되는 다수의 관통홈이 형성되고 공기압축기에 연결되어 내부로 공기가 유입 또는 유출될 수 있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환자 맞춤형 자동 방사선 검사 테이블{Patient adaptive automatic radiography examination table}
본 발명은 환자 맞춤형 자동 방사선 검사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의 상태를 정밀하게 진단 위한 X-ray검사, CT검사, MRI검사, 초음파검사 등을 수행할 때 환자의 체위를 용이하게 고정시켜 보다 정밀한 진단결과를 유도해 낼 수 있고 고정된 체위에 의해 환자 또한 검사의 편의를 제공받을 수 있는 환자 맞춤형 자동 방사선 검사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자동검사 테이블은 방사선 검사에서 환자를 눕히거나 환자의 환부를 위치시키는 곳이다.
이러한 자동검사 테이블을 이용한 방사선 검사는 환자의 환부, 연령, 체형에 따라 테이블로 부터의 각도를 15°45°90°등 여러 각도를 이용하여 환자의 자세를 잡아 주어 검사하여야 한다.
이에 임상의 방사선검사에서는 환자고정기구, 일예로 발포 스티렌 수지의 스티로폼(styrofoam), 스펀지(sponge), 지지대 역할의 보조기구와 벨크로(velcro) 등을 이용한 방사선투과(radiolucent) 물질로 구성된 보조기구를 사용하고 있으며, 나무판 모래주머니와 같은 부재도 종종 환자고정기구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보조기구들은 분실의 위험과 다수의 환자들이 공용으로 사용하므로 훼손의 위험성이 있으며 유아나 노인, 몸이 불수의적으로 움직이는 환자의 경우 스티로폼과 같은 보조기구만으로는 자세 고정이 쉽지 않다는 단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자세가 제대로 고정이 되지 않으면 환자의 움직임에 의한 영상으로 방사선 영상의 질이 떨어져 정확한 진단이 어렵게 되며, 방사선사와 환자의 민원이 증가하게 된다. 즉, 잘못된 방사선 촬영의 결과로 인해 환자의 상태를 정밀하게 진찰할 수 없게 되면 방사선 촬영을 재차 진행해야 되고, 이로 인한 환자의 방사선 피폭선량 또한 증가하게 된다.
한편, 종래의 검사 테이블과 검사 보조기구들은 환자들의 연령, 체형과 무관하게 획일적으로 제작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획일적으로 제작된 테이블과 검사 보조기구로는 환자가 정확한 자세를 취할 수 없음에 따라 검사 시에 움직임이 발생하여 진단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아울러, 보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 환자에게 검사 자세를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공개특허 제10-2016-0005518에는 엑스레이 촬영시 관절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통상 관절 고정 장치는 환자의 환부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가 부가적으로 요구되며, 환부의 위치에 따라 각기 다른 용도의 장치들을 부가적으로 구비해야 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게 되고, 환부의 외상 정도가 심각할 경우 이러한 장치들을 환부에 직접적으로 접촉시키면 환자는 심각한 통증을 느낌과 더불어 환자와의 소통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못하게 되어 검사자는 정확한 진단을 내리기 어렵게 된다.
공개특허 제10-2016-0005518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병원 또는 의료기관에서 X-ray검사, CT검사, MRI검사, 초음파검사 등을 수행할 때 환자의 체위를 용이하게 고정시켜 방사선사와 환자의 불필요한 체력소모가 줄어들고 환자는 자신에게 맞게 테이블이 조정되어 보다 편리하게 검사에 임할 수 있으며, 획일적인 보조기구 없이 테이블 만으로도 자세가 고정이 되어 불필요한 재검사를 피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방사선 검사 시간이 최소화되고 피폭선량을 줄일 수 있으며, 환자와 방사선사 간의 육체적 피로도가 감소할 수 있도록 한 환자 맞춤형 자동 방사선 검사 테이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판상의 하부판; 하부판의 상부에 수직으로 부착되는 다수의 스프링과 개개의 스프링의 상부에 하나씩 접속하는 막대형상의 복셀 기둥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수단; 복셀 기둥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복셀 기둥의 측면을 감싸는 좌우방지틀; 및 상기 스프링과 복셀 기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삽입되는 다수의 관통홈이 형성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내부로 압축공기를 유입 또는 유출시키는 공기압축기로 구성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셀 기둥은, 스프링과 접속하는 파이프 형상의 바디; 및 바디의 상단에 위치하는 판상 재질의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고정부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복셀 기둥의 바디가 삽입되는 다수의 요동방지홈이 관통된 요동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판과 고정부의 사이에 개재되며, 스프링의 높이만큼 고정부를 하부판에서 이격시키는 이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스프링이 관통홈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관통홈에 끼워지는 중공형상의 삽입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베드 위에서 환자의 신체굴곡에 맞게 복셀 기둥이 고정되므로 검사자세 조건에 맞는 자세고정을 스스로 하기 어려운 정신을 잃은 환자나 소아, 노인, 장애인 등의 환자들이 자세를 취하기에 보다 편리하고, 정확한 자세 고정으로 인해 흔들림이 없어 재촬영을 최소화시켜 방사선 피폭량이 줄어들며, 방사선사의 육체적 노동을 줄일 수 있고 아울러, 방사선사 또한 피폭에 노출될 일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환자의 신체 일부롤 고정하는 환자고정기구를 따로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보다 편리하게 환자의 검진을 위한 촬영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베드 위에서 환자의 체위가 고정되므로 정밀한 촬영을 진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불필요한 재촬영을 피함으로써 환자와 사용자 간의 육체적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베드 위에서 환자의 체위가 고정되므로 환자가 촬영에 필요한 자세를 힘들게 취할 필요가 없게 되어 환자는 검사의 편의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맞춤형 자동 방사선 검사 테이블의 전체적인 외관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맞춤형 자동 방사선 검사 테이블의 전체적인 외관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A선에 의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맞춤형 자동 방사선 검사 테이블의 사용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 맞춤형 자동 방사선 검사 테이블의 전체적인 외관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 맞춤형 자동 방사선 검사 테이블의 전체적인 외관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A-A선에 의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 맞춤형 자동 방사선 검사 테이블의 사용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복셀 기둥이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는 일예를 도시한 개념도.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병원 또는 의료기관에서 환자의 상태를 정밀하게 진단 위한 X-ray검사, CT검사, MRI검사, 초음파검사등을 수행할 때 환자의 체위를 용이하게 고정시켜 보다 정밀한 진단결과를 유도해 낼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맞춤형 자동 방사선 검사 테이블의 전체적인 외관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맞춤형 자동 방사선 검사 테이블의 전체적인 외관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A선에 의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맞춤형 자동 방사선 검사 테이블의 사용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러한 특징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환자 맞춤형 자동 방사선 검사 테이블의 제1실시예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하부판(100), 이동수단(200), 좌우방지틀(300), 고정수단(400), 요동방지부(500) 및 제어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판(100)은 판상재질로서 스프링(210)의 이탈 및 움직임을 방지하도록 스프링(210)을 고정하게 되고 스프링(210)의 수리 및 보수에 대비하여 작업이 용이하도록 베이스(1)와 분리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베이스(1)는 통상의 테이블에서 테이블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수단으로, 하부에는 지면에서 환자 맞춤형 자동 방사선 검사 테이블의 위치이동이 용이하도록 구름수단, 예컨대 바퀴 등을 부착시켜 환자 맞춤형 자동 방사선 검사 테이블의 가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하부판(100)에 형성된 요입부(110)에는 후술되는 스프링(210)의 하단이 삽입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즉, 요입부(110)는 하부판(100)의 상면을 따라 복수개의 요부가 배열된 형상으로, 첨부된 도면에는 환형상의 요입부(110)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스프링(210)의 하단을 고정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을 통해 구현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다음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수단(200)은 하부판(100)의 상부에 수직으로 부착되는 다수의 스프링(210)과 개개의 스프링(210)의 상부에 하나씩 결합되는 막대형상의 복셀 기둥(220)으로 구성된다.
이때, 복셀 기둥(220)은 침대나 치료용 베드(B)의 매트리스에 대응되는 부분으로, 다수의 스프링(210)이 배열된 상태에서 스프링(210)의 상단에 복셀 기둥(220)이 각각 대응되도록 배열되며, 이때, 복셀 기둥(220)은 일반적인 매트리스의 외형과 동일하도록 대략 직사각형의 형태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표시된 도면부호 B는 복수의 복셀 기둥(220)들이 서로 인접하여 배열된 상태의 베드(B)를 의미하며, 방사선 촬영시 환자는 베드(B)의 상부로 환부를 위치시키게 된다. 이때, 베드(B)를 구성하는 복셀 기둥(220)의 개수를 증가시킬수록 보다 정밀한 체위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지만 제작의 용이성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복셀 기둥(220)의 개수는 현장상황을 고려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복셀 기둥(220)은 스프링(210)과 접속하는 파이프 형상의 바디(221) 및 바디(221)의 상단에 위치하는 판상 재질의 안착부(2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223)는 스프링(210)이 압축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면이 동일한 평면을 이룰 수 있도록 평평한 판상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바디(221)의 하단으로 스프링(210)과 접속하게 되는데 스프링(210)을 지지고정할 수 있도록 하단에 돌부(221-1)가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돌부(221-1)가 스프링(210)의 상단 내주면에 끼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도 4에 확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환부를 베드(B)에 위치시킬 때 안착부(223)의 모서리가 환자의 환부에 접촉해 환부를 자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곡면형상의의 배김방지부(225)를 안착부(223)의 상단 둘레에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좌우방지틀(300)은 복셀 기둥(220)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복셀 기둥(220)의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성된다. 즉, 좌우방지틀(300)은 대략 직사각 형태로 배열된 이동수단(200)의 외측을 감싸는 사각 케이스와 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좌우방지틀(300)은 베이스(1)의 상부에 부착되서 베드(B)에 환자가 위치할 경우 복셀 기둥(220)을 지지하는 스프링(210)이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후술되는 고정부(41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측벽을 형성하게 된다. 즉, 베이스(1)에 결합된 좌우방지틀(300)의 내측으로 하부판(100), 이동수단(200), 고정수단(400) 및 요동방지부(500)가 적층되면서 수납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고정수단(400)은 고정부(410) 및 공기압축기(420)로 구성된다. 이때, 고정부(410)는 스프링(210)과 복셀 기둥(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삽입되는 다수의 관통홈(411)이 형성되고 공기압축기(420)에 연결되어 내부로 공기가 유입 또는 유출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고정부(410)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재와 같이 탄력성이 뛰어난 튜브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복셀 기둥(22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을 통해 변형실시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공기압축기(420)는 고정부(410)로 공기압을 불어넣거나 빼낼 수 있는 구성, 예컨대 공지된 일반적인 컴프레셔를 채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면에서는 공기압축기(420)를 베이스(1)의 일측으로 설치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외부에 위치한 공기압축기(420)에 연장설치된 호스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고정부(410)의 관통홈(411)에는 바디(221)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으며, 공기압축기(420)를 통해 고정부(410)를 팽창시키게 되면 관통홈(411)은 바디(221)의 일부분을 조여 바디(221)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동수단(200)과 고정수단(400)의 자세한 작동예는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요동방지부(500)는 고정부(410)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복셀 기둥(220)의 바디(221)가 삽입되는 다수의 요동방지홈(510)이 관통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동방지부(500)는 고정부(410)의 상면으로 안착됨과 동시에 요동방지홈(510)에 바디(221)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 이때, 요동방지홈(510)은 전술한 관통홈(411)과 맞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요동방지홈(510)과 관통홈(411)의 내측에서 복셀 기둥(220)이 상하 병진운동을 반복하게 된다. 한편, 요동방지부(500)는 복셀 기둥(220)의 상하 병진운동시에 바디(221)의 외주면을 파지함으로써 복셀 기둥(220)이 편심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요동방지부(500)는 필요에 따라서는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에 더하여, 도 2의 확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홈(411)에는 삽입관(413)이 끼움될 수 있는데, 삽입관(413)은 중공형상으로 스프링(210)이 관통홈(411)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관통홈(411)에 끼워진다. 관통홈(411)에서 스프링(210)이 신장과 압축을 반복하게 될 때 불측의 사유로 스프링(210)의 일면으로 관통홈(411)의 내벽면에 손상을 입히게 될 경우, 고정부(410)가 훼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관통홈(411)과 스프링(210) 사이에 삽입관(413)을 개재시켜 보다 안정적으로 스프링(210)을 취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삽입관(413)은 관통홈(411)의 수축과 팽창작용에 대응되도록 탄성 변형이 가능한 합성수지재나 고무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스프링(210)은 방사선투과재질 예컨대 합성수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만일, 금속재의 스프링(210)을 사용할 경우, 금속은 방사선 비투과물질로써 방사선 영상에 영향을 미쳐 영상의 질에 손상을 입히게 되며 정확한 진단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스프링(210)은 방사선 투과물질인 합성수지재의 스프링(210)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다음으로, 제어부(600)는 상기 좌우방지틀(300)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압축기(420)의 공기 유입과 유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게 된다. 제어부(600)은 예컨대 사용자가 조작하기 쉬운 버튼을 구비한 조작판의 형상으로 공기압축기(420)를 단속하여 펌프의 내측으로 공기를 주입 또는 배출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맞춤형 자동 방사선 검사 테이블의 작동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방사선 피촬영자(환자)는 방사선 촬영을 위해 베드(B)의 상부로 환부를 안착시킨다. 이때, 이동수단(200)의 상부로 신체를 국부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지만, 이하 설명에서는 환자가 이동수단(200)의 상부로 누워있는 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베드(B)의 상부로 환자가 눕게 되면, 환자의 체중에 의해 복셀 기둥(220)들이 하강하게 되고 복셀 기둥(220)으로 전달되는 환자의 체중은 스프링(210)을 압축시키는 힘으로 작용하게 되어 환자가 위치한 부분의 스프링(210)이 압축되게 된다.
이때, 환자의 자세를 고정하기 위해 하강한 복셀 기둥(220)들의 움직임을 고정하게 된다. 이를 위해 사용자(의사 또는 방사선사)는 제어부(600)를 조작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00)를 조작하여 공기압축기(420)에서 고정부(410)측으로 공기를 토출하게 되면 각 복셀 기둥(220)들이 관통홈(411)의 압축력에 의해 조여지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9a에 도시된 것처럼 관통홈(411)에 바디(210)의 일부가 삽입이 되면 공기압축기(420)를 통해 고정부(410)로 압축공기를 불어넣어 도 9b에 도시된 화살표의 방향으로 고정부(410)를 팽창시켜 관통홈(411)의 내측벽면이 바디(221)의 외주면을 조일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관통홈(411)에서 복셀 기둥(220)을 고정할 수 있게 되어 환자가 취한 자세의 상태로 복셀 기둥(220)의 높낮이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복셀 기둥(220)은 환자의 신체 굴곡에 대응되도록 높낮이가 조절되어 베드(B)가 이루는 단면 형상이 곡선을 이루게 된다. 이에 환자는 편안한 상태로 베드(B)의 상부에서 자세를 고정할 수 있게 되고 사용자는 보다 정확하게 환자의 환부를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촬영을 끝낸 뒤에는 사용자는 제어부(600)를 제어하여 고정부(410)에 충전된 공기를 모두 배기시킨다. 이때, 팽창되어 있던 관통홈(411)이 공기가 배출됨과 동시에 느슨해 지면서 조이고 있던 바디(221)를 해제하게 되면 스프링(21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복셀 기둥(220)들이 제 위치로 상승하며 복귀하게 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중복을 피하기 위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 맞춤형 자동 방사선 검사 테이블의 전체적인 외관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 맞춤형 자동 방사선 검사 테이블의 전체적인 외관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A-A선에 의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 맞춤형 자동 방사선 검사 테이블의 사용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환자 맞춤형 자동 방사선 검사 테이블의 다른 실시예는 크게 하부판(100'), 이동수단(200'), 좌우방지틀(300'), 고정수단(400'), 요동방지부(500'), 제어부(600') 및 이격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와 전술한 실시예의 차이점은, 고정부(410')를 하부판(100')에서 스프링(210')의 높이만큼 이격되게 배치하는 점인데, 본 실시예는 고정부(410')를 하부판(100')에서 이격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그 일예로 하부판(100')과 고정부(410')의 사이에 이격부(700)를 개재시켜 하부판(100')에서 고정부(410')를 이격시키는 일예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즉, 본 실시예에서의 고정부(4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부(700)의 상부에 안착되어 이격부(700)의 전체 면적을 커버하며 전체를 동시에 팽창시켜 관통홈(411')에 삽입된 복셀 기둥(220')의 바디(221') 하단을 조여 바디(221')의 위치를 일괄적으로 고정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부(700)는 하부판(100')의 상부 외주둘레에 대응되는 사각틀프레임의 형상으로, 하부판(100')의 상부에 안착된다.
아울러, 도 7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부(700)의 상하방향으로의 높이는 스프링(210')에 압축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의 상하방향 높이보다 높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만일 이격부(700)의 상하방향으로의 높이를 충분히 확보하지 못해 하부판(100')에서 고정부(410')를 스프링(210')의 높이만큼 이격시키지 못할 경우 스프링(210')의 일부가 고정부(410')의 관통홈(411')에 삽입되면서 고정부(410')를 훼손시킬 우려가 발생하게 된다.
즉,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환자의 체중에 의해 복셀 기둥(220')이 스프링(210')을 압축시키게 되면 스프링(210')은 이격부(700)의 내측에 형성된 압축공간(710)에서만 압축 및 신장을 반복하게 된다.
아울러, 스프링(210, 210')의 탄성계수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하게 되면 환자가 누울 때나 자세를 바꾸게 될 때, 갑작스럽게 복셀 기둥(220, 220')들이 내려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환자가 이동수단(200, 200')에서 일어나거나 자세를 바꾸게 될 경우에 보다 안정되게 복셀 기둥(220, 220')들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검사자세 조건에 맞는 자세고정을 스스로 하기 어려운 환자, 예컨대 정신을 잃은 환자나 소아, 노인, 장애인 등의 방사선 촬영시에 상기 환자들의 자세를 보다 쉽게 고정할 수 있어 정확한 방사선 촬영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100, 100': 하부판
200, 200': 이동수단
210, 210': 스프링
220, 220': 복셀 기둥
300, 300': 좌우방지틀
400, 400': 고정수단
410, 410': 고정부
420, 420': 공기압축기
500, 500': 요동방지부
600, 600': 제어부
700: 이격부

Claims (5)

  1. 상면에 복수 개의 요입부가 형성된 판상의 하부판;
    하단이 상기 복수 개의 요입부에 삽입고정되어 하부판의 상부에 수직으로 부착되며 방사선 투과물질로 이루어진 다수의 스프링 및 개개의 스프링의 상부에 하나씩 접속하는 막대형상의 복셀 기둥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수단;
    복셀 기둥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복셀 기둥의 측면을 감싸는 좌우방지틀;
    상기 하부판의 상부 외주둘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스프링에 압축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의 상하방향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며 내측으로 스프링이 압축 및 신장되는 압축공간이 마련되고 하부판과 고정부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고정부를 하부판에서 이격되게 배치시키는 이격부; 및
    공기압축기 및 고무 또는 합성수지재의 튜브로 구성되며 상기 복셀 기둥이 삽입되는 다수의 관통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격부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이격부의 전체 면적을 커버하며 내부로 상기 공기압축기의 압축공기를 유입하여 전체를 동시에 팽창시켜 관통홈에 삽입된 복셀 기둥을 조여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복셀 기둥은,
    스프링과 접속하는 파이프 형상의 바디; 및
    바디의 상단에 위치하는 판상 재질의 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의 상단 둘레에는 곡면형상의 배김방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압축기를 통해 고정부를 팽창시키게 되면 관통홈은 관통홈에 삽입된 바디의 하단을 조여 바디의 위치를 일괄적으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맞춤형 자동 방사선 검사 테이블.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복셀 기둥의 바디가 삽입되는 다수의 요동방지홈이 관통된 요동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맞춤형 자동 방사선 검사 테이블.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스프링이 관통홈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관통홈에 끼워지는 중공형상의 삽입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맞춤형 자동 방사선 검사 테이블.

KR1020170037555A 2017-03-24 2017-03-24 환자 맞춤형 자동 방사선 검사 테이블 KR101916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555A KR101916574B1 (ko) 2017-03-24 2017-03-24 환자 맞춤형 자동 방사선 검사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555A KR101916574B1 (ko) 2017-03-24 2017-03-24 환자 맞춤형 자동 방사선 검사 테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8980A KR20180108980A (ko) 2018-10-05
KR101916574B1 true KR101916574B1 (ko) 2018-11-08

Family

ID=63878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7555A KR101916574B1 (ko) 2017-03-24 2017-03-24 환자 맞춤형 자동 방사선 검사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65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95966B (zh) * 2021-12-14 2023-12-01 洛阳新区人民医院 一种儿科用舒适且易于定位的皮肤科激光治疗配合装置及使用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900Y1 (ko) 2001-08-03 2001-11-23 이성두 침대용 매트리스
KR101043999B1 (ko) * 2010-11-24 2011-06-24 주식회사 소어베드 의료용 침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900Y1 (ko) 2001-08-03 2001-11-23 이성두 침대용 매트리스
KR101043999B1 (ko) * 2010-11-24 2011-06-24 주식회사 소어베드 의료용 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8980A (ko) 2018-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60272B2 (en) Device for immobilizing a patient and compressing a patient's skeleton, joints and spine during diagnostic procedures using an MRI unit, CT scan unit or x-ray unit
US11064974B2 (en) Patient interface system
US7603730B2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 patient in a prone position during diagnostic imaging
KR101800046B1 (ko) 사지들을 이미징하기 위한 의료용의 컴퓨터화된 토모그래피 이미징 장치
US8361003B2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diagnosing and treating conditions of the spine
KR102179353B1 (ko) 슬개골 영상 진단을 위한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 및 이를 이용한 방사선 촬영방법
CN110916709B (zh) 提高在医学影像检查过程中被检部位稳定性的方法及装置
KR101916574B1 (ko) 환자 맞춤형 자동 방사선 검사 테이블
WO2017064182A1 (en) Fixation device for a part of the body
CN102300504A (zh) 使用两种不同类型的多个衬垫的固定
CN108969278A (zh) 普外科用腰部支撑垫
JP2005176955A (ja) 透視撮影台および体位保持具
KR102497908B1 (ko) 방사선 촬영용 무릎 자세 보조기
RU195559U1 (ru) Моб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о уходу за лежачим больным
KR101846721B1 (ko) 시술자 편의성을 개선한 의료용 침대
JP6037291B2 (ja) 頭・頸・医療サポート枕
JP2017121403A (ja) 医用画像診断装置用マット
KR102615557B1 (ko) 초음파 진료 대상 환자용 침대
KR101727484B1 (ko) 소아 환자 고정 기구
JP7119963B2 (ja) 核医学診断装置用被検者支持装置
KR102554381B1 (ko) 방사선 촬영 보조 장치
KR102615601B1 (ko) 초음파 진료 대상 환자용 침대 및 침대 세트
US20190350492A1 (en) Support devices for medical imaging procedures
KR102546849B1 (ko) X-선 검사 시 자세 안정화 장치
CN209884175U (zh) 核医学显像双脚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