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9353B1 - 슬개골 영상 진단을 위한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 및 이를 이용한 방사선 촬영방법 - Google Patents
슬개골 영상 진단을 위한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 및 이를 이용한 방사선 촬영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79353B1 KR102179353B1 KR1020190022979A KR20190022979A KR102179353B1 KR 102179353 B1 KR102179353 B1 KR 102179353B1 KR 1020190022979 A KR1020190022979 A KR 1020190022979A KR 20190022979 A KR20190022979 A KR 20190022979A KR 102179353 B1 KR102179353 B1 KR 1021793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tient
- radiographic
- height
- support
- patella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10000004417 Patella Anatomy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10000003141 Lower Extremity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10000000689 upper leg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10000001699 lower leg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2601 radiograph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10000001503 Joints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1965 increased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10000000988 Bone and Bones Anatomy 0.000 claims 2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0000037237 body shap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80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642 transportation engine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6820 Arthralg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217 Buttock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845 Cartilag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6010023204 Joint disloc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558 Osteophyt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193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4565 Tremo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9 clinical 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059 diagnostic ima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UWLPCYBIJSLGQO-UHFFFAOYSA-N dodecanoic acid;propane-1,2,3-triol Chemical compound OCC(O)CO.CCCCCCCCCCCC(O)=O UWLPCYBIJSLGQ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55 form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629 knee join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0000000009 sten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262 steno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51 synthetic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61 synthetic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98 tes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2—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with 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6—Details of data transmission or power supply, e.g. use of slip rings
Abstract
본 발명의 환자의 원위부로부터 근위부 방향으로 환자의 슬개골을 촬영하기 위해 환자의 하지를 지지하는 슬개골 영상 진단을 위한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는 바닥과 접촉하는 하단면이 편평하고, 하단면과 연결된 두 개의 빗면으로 구성된 상단면의 일 영역이 기설정된 범위의 내각을 형성하여, 환자의 하지를 지지하는 삼각기둥 형상의 지지체; 지지체의 상단면에 의해 지지되는 하지의 대퇴와 하퇴가 형성하는 각도에 따라 지지체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 지지체의 상단면 중, 대퇴를 지지하는 영역의 양측면에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결합되어 상단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세워진 한 쌍의 기둥을 포함하는 연결부; 및 연결부와 결합되어 하지가 세워진 높이에 따라 연결부와 결합된 영역을 회전축으로하여 회동하며, 방사선을 감지하는 디텍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슬개골 영상 진단을 위한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 및 이를 이용한 방사선 촬영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개골의 종축방향 골절, 탈구, 아탈구와 같은 변위, 골극 형성, 슬개 및 대퇴관절의 협착, 연골의 마모 등을 진단하는 슬개골 영상 진단을 위한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 및 이를 이용한 방사선 촬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슬개골(Patella)을 검사하는 방법에는 환자가 엎드린 상태에서 촬영을 실시하는 Skyline Hughston법과 Skyline Settegast법이 있으며, 환자가 눕거나 앉은 상태에서 촬영을 실시하는 Skyline Merchant법과 Skyline Laurin법이 있다.
이러한 검사법은 무릎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 또는 허리가 불편한 어르신들이 촬영을 실시하는 동안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검사 중에 발생하는 다리의 움직임과 떨림을 예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영상의료영상기술연구회. Textbook of radiographic positioning and clinical diagnosis: 청구문화사, 2006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몸이 불편한 환자들이 누운 상태에서 슬개골을 촬영하도록 환자의 하지를 지지하는 슬개골 영상 진단을 위한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 및 이를 이용한 방사선 촬영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환자의 체형에 따라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슬개골 영상 진단을 위한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사선 촬영시 환자에게 피폭되는 방사선의 차단이 용이한 슬개골 영상 진단을 위한 방사선 촬영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환자의 원위부로부터 근위부 방향으로 환자의 슬개골을 촬영하기 위해 상기 환자의 하지를 지지하는 슬개골 영상 진단을 위한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는 바닥과 접촉하는 하단면이 편평하고, 상기 하단면과 연결된 두 개의 빗면으로 구성된 상단면의 일 영역이 기설정된 범위의 내각을 형성하여, 상기 환자의 하지를 지지하는 삼각기둥 형상의 지지체; 상기 지지체의 상단면에 의해 지지되는 하지의 대퇴와 하퇴가 형성하는 각도에 따라 상기 지지체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 상기 지지체의 상단면 중, 상기 대퇴를 지지하는 영역의 양측면에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상단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세워진 한 쌍의 기둥을 포함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어 상기 하지가 세워진 높이에 따라 상기 연결부와 결합된 영역을 회전축으로하여 회동하며, 방사선을 감지하는 디텍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텍터부는, 방사선을 감지하는 무선 디텍터; 상기 무선 디텍터의 슬라이딩 구동을 유도하여 기설정된 위치에 상기 무선 디텍터를 고정시키는 디텍터 홀더; 및 상기 디텍터 홀더와 상기 연결부가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디텍터 홀더를 고정시키는 각도 조절 렌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디텍터는, 감지된 방사선을 외부 영상장치로 전달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체는, 상기 하지의 하퇴를 지지하는 부분의 하단부에 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체는, 상기 일 영역이 형성하는 내각이 100도 내지 140도로 형성되고, 상기 내각에 의해 형성된 상단면의 돌출영역이 라운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 조절부는, 촬영 중 상기 환자 하지의 이동에 의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바닥과 접촉하는 단면에 미끄럼 방지 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손잡이를 이용하여 상기 지지체가 운반되는 경우, 상기 미끄럼 방지 부재가 결합된 단면이 바닥과 이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환자의 원위부로부터 근위부 방향으로 환자의 슬개골을 촬영하기 위해 상기 환자의 하지를 지지하는 슬개골 영상 진단을 위한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를 이용한 방사선 촬영 방법은 상기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의 상단면에 상기 환자의 대퇴 및 하퇴를 지지시키는 촬영 준비 단계; 상기 지지된 대퇴와 하퇴가 이루는 각도에 따라 상기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 단계; 및 상기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의 무선 디텍터가 상기 환자의 슬개골과 슬개대퇴관절이 투영된 방사선을 감지하도록 각도를 조절하여 슬개골을 촬영하는 하지 촬영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지 촬영 단계는, 상기 환자를 향하여 조사되는 방사선을 차폐하기 위한 차폐막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지 촬영 단계는, 상기 무선 디텍터를 통해 감지된 방사선 영상을 디지털 영상으로 변환시켜 상기 환자의 하지 촬영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개골 영상 진단을 위한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는 지지체를 통해 누운 상태의 환자의 하지를 지지함으로써 환자의 무릎과 바닥면의 마찰을 예방하고, 환자 하지의 움직임을 방지함으로써 방사선 촬영시 환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개골 영상 진단을 위한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 및 이를 이용한 방사선 촬영방법은 환자의 체형에 따라 높이 조절부의 높이를 조절하고, 조절된 하지의 높이에 따라 디텍터부의 각도를 조절하여 다양한 체형의 환자에게 맞춤형 촬영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개골 영상 진단을 위한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슬개골 영상 진단을 위한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를 사용한 촬영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슬개골 영상 진단을 위한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슬개골 영상 진단을 위한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 중 디텍터부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개골 영상 진단을 위한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를 이용한 방사선 촬영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슬개골 영상 진단을 위한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를 사용한 촬영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슬개골 영상 진단을 위한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슬개골 영상 진단을 위한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 중 디텍터부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개골 영상 진단을 위한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를 이용한 방사선 촬영방법의 흐름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개골 영상 진단을 위한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는 환자의 원위부로부터 근위부 방향으로 환자의 슬개골을 촬영할 수 있다. 상세하게, 본 발명에 따른 슬개골 영상 진단을 위한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는 지지체를 통해 누운 상태의 환자의 하지를 지지함으로써 환자의 무릎과 바닥면의 마찰을 예방하고, 환자 하지의 움직임을 방지함으로써 방사선 촬영시 환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개골 영상 진단을 위한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슬개골 영상 진단을 위한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를 사용한 촬영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슬개골 영상 진단을 위한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개골 영상 진단을 위한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1, 이하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는 지지체(11), 높이 조절부(13), 연결부(15) 및 디텍터부(17)를 포함한다. 한편,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1)로 X-ray와 같은 방사선을 조사하기 위해 튜브(T)와 같은 방사선 촬영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1)는 환자의 하방에 위치한 튜브(T)에서 상방으로 조사된 방사선이 환자 슬개골의 접선방향으로 조사되도록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지지체(11)는 삼각기둥 형상일 수 있다. 지지체(11)는 바닥과 접촉하는 편평한 하단면(111)과 하단면(111)과 연결된 두 개의 빗면으로 구성된 상단면(113)의 일 영역이 기설정된 범위의 내각을 형성하여, 환자의 하지를 지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 지지체(11)는 삼각기둥 형상을 변형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지지체(11)의 종단면은 하단면(111)이 바닥과 접촉하고, 상단면이 융기된 형태일 수 있다. 지지체(11)는 일 영역이 형성하는 내각이 100도 내지 140도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지지체(11)는 일 영역이 형성하는 내각이 115도 내지 125도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지지체(11)는 일 영역이 형성하는 내각이 120도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체(11)에 의해 지지되는 하지의 대퇴 슬개관절은 지지체(11)에 접촉하는 대퇴(9)와 하퇴(8)가 이루는 각도로 인하여 120도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과 같이, 환자의 오금이 접촉하는 것을 대비하여 지지체(11)는 내각에 의해 형성된 상단면(113)의 돌출영역이 라운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가 지지체(11)를 사용하는 경우, 국부적인 지점에 압력이 집중되어 환자에게 가해지는 통증을 예방할 수 있다.
지지체(11)는 환자의 둔부가 접촉하는 모서리 영역이 라운딩 또는 평판화 되어 환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체(11)의 상단면(113)은 곡률을 가진 곡면으로 형성되어 환자의 대퇴(9)와 하퇴(8)가 용이하게 거치될 수 있으며, 탄성을 갖는 소재를 상단면(113)에 다단으로 형성시켜 하지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한편, 지지체(11)는 하지의 하퇴(8)를 지지하는 부분의 하단부에 손잡이(115)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손잡이(115)는 하단부의 전방으로 노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손잡이(115)는 하단부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손잡이(115)는 지지체(11)의 이동을 보조하는 외력이 적용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예시들에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높이 조절부(13)는 지지체(11)의 상단면(113)에 의해 지지되는 하지의 대퇴(9)와 하퇴(8)가 형성하는 각도에 따라 지지체(1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높이 조절부(13)는 지지체(11)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필요에 따라 위치가 조절되며, 지지체(11)의 높이를 상승시키기 위해 지지체(11)의 하단부로 회동할 수 있다. 반대로, 지지체(11)의 높이를 하강시키기 위해 지지체(11)의 전단으로 회동할 수 있다.
상세하게, 높이 조절부(13)는 대퇴(9)와 하퇴(8)가 형성하는 각도가 상단면의 돌출영역의 내각보다 작은 경우 지지체(11)의 높이를 상승시켜 환자의 대퇴(9)와 하퇴(8)가 이루는 각도를 넓힐 수 있다. 이를 통해, 방사선 촬영 장치에서 조사되어 슬개골을 통과한 방사선이 무선 디텍터(171)의 중앙에 투영될 수 있다.
유사하게, 높이 조절부(13)는 환자의 체형에 따라 무릎의 높이가 과도하게 높거나 낮아 방사선 촬영 장치에서 조사된 방사선이 슬개골을 통과하지 못하거나 무선 디텍터(171)의 중앙에 투영되지 못하는 경우, 무릎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지지체(11)의 높이를 변경할 수 있다. 이처럼, 높이 조절부(13)는 방사선 촬영 장치가 세팅된 환경에서 지지체(11) 높이의 변경을 통해 환자 무릎의 높이를 조절하여 슬개골의 방사선 촬영 환경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상대적으로 신체 사이즈가 큰 남성 환자를 촬영하는 경우에는 높이 조절부(13)가 지지체(11)의 하단으로 배치되도록 하여 지지체(11)의 높이를 상승시키고, 상대적으로 신체 사이즈가 작은 여성 환자를 촬영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높이 조절부(13)가 지지체(11)의 전방과 후방으로 배치되도록 하여 지지체(11)의 높이를 하강시킴으로써 환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게 지지체(1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높이 조절부(13)는 촬영 중 환자 하지의 이동에 의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바닥과 접촉하는 단면에 미끄럼 방지 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상세하게, 높이 조절부(13)는 촬영중인 환자의 발바닥이 미끄러지거나 환자가 자세를 바꾸는 등의 움직임을 취하는 경우 지지체(11)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바닥과 접촉하는 단면에 미끄럼 방지 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미끄럼 방지 부재는 마찰력이 강한 합성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미끄럼 방지 부재는 바닥과 접촉하는 표면적을 넓힌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높이 조절부(13)는 손잡이(115)를 이용하여 지지체(11)가 운반되는 경우, 미끄럼 방재 부재가 결합된 단면이 바닥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일 예로, 환자의 체형에 맞추어 지지체(11)의 위치를 조정하는 경우 높이 조절부(13)는 지지체(11)의 내측으로 삽입되거나, 지지체(11)와 바닥이 접촉하지 않는 영역으로 회전하여 미끄럼 방지 부재와 바닥을 분리시킴으로써 운반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처럼, 높이 조절부(13)는 지지체(11)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높이 조절부(13)는 지지체(11)의 하단면(111)보다 돌출된 형태로 지지체(11)와 결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하단면(111)의 내측으로 삽입되거나 회전을 통해 지지체(11)의 측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설명은 도 5를 통해 상술하도록 한다.
연결부(15)는 지지체(11)의 상단면(113) 중, 대퇴(9)를 지지하는 영역의 양측면에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결합되어 상단면(113) 방향으로 연장되어 세워진 한 쌍의 기둥(151, 15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연결부(15)는 디텍터부(17)를 고정시키기 위해 지지체(11)의 양단에 형성된 기둥(151, 153)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5)의 각 기둥은 각도 조절 렌치(175)가 결합되기 위한 핀이 수용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5)는 디텍터부(17)의 넓이에 맞추어 기둥 간 간격이 조절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환자에게 조사되는 방사선을 차폐하기 용이한 크기의 디텍터부(17)를 지지체(11)와 연결할 수 있다.
디텍터부(17)는 연결부(15)와 결합되어 하지가 세워진 높이에 따라 연결부(15)와 결합된 영역을 회전축으로하여 회동할 수 있다. 디텍터부(17)는 방사선을 감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통해 디텍터부(17)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도 1의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 중 디텍터부의 분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디텍터부(17)는 무선 디텍터(171), 디텍터 홀더(173) 및 각도 조절 렌치(175)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텍터(171)는 방사선을 감지할 수 있다. 무선 디텍터(171)는 방사선 촬영장치에서 조사된 방사선을 감지할 수 있다. 무선 디텍터(171)는 감지된 방사선을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 디텍터(171)는 감지된 방사선을 외부 영상장치로 전달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와 같이, 무선 디텍터(171)는 방사선 촬영 장치에서 조사되는 방사선을 감지하기 위해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무선 디텍터(171)는 디텍터 홀더(173)의 홈에 수용되어 상부 또는 하부로 슬라이딩 구동할 수 있다. 무선 디텍터(171)는 방사선 촬영이 종료된 경우, 디텍터 홀더(173)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디텍터 홀더(173)는 무선 디텍터(171)의 슬라이딩 구동을 유도할 수 있다. 디텍터 홀더(173)는 무선 디텍터(171)를 기설정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디텍터 홀더(173)는 측면을 관통하고 무선 디텍터(171)의 슬라이딩 구동을 유도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디텍터 홀더(173)는 무선 디텍터(171)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가이드가 높이별로 배치되어 무선 디텍터(171)를 다양한 높이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 가이드는 자석식, 가이드 홈 내측으로 노출가능한 볼트식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설계상의 요구사항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제공될 수 있다.
디텍터 홀더(173)는 각도 조절 렌치(175)와 결합하기 위한 핀을 수용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디텍터 홀더(173)에 수용된 핀을 회전시킴으로써 디텍터 홀더(173)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각도 조절 렌치(175)는 디텍터 홀더(173)와 연결부(15)가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여 디텍터 홀더(173)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 각도 조절 렌치(175)는 디텍터 홀더(173)에 수용된 핀을 회전시킴으로써 디텍터 홀더(173)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도 조절 렌치(175)는 고정핀의 외경과 동일한 크기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회전가능한 높이 조절부(13)와 달리 지지체의 하단부에서 삽입과 노출을 통해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가 적용될 수 있으며, 해당 실시 예를 하기의 도 5를 통해 기술하도록 한다.
한편, 도 1내지 도 3에 개시된 실시 예와 상이하게, 지지체의 하단면에 높이 조절부가 결합되어 지지체(21)의 높이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세하게, 높이 조절부는 지지체의 하단면에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높이 조절부는 동일한 길이만큼 노출되어 지지체의 높이를 일정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높이 조절부는 상이한 길이만큼 노출되어 지지체의 하단면에 기울기를 유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좌, 우측 대퇴의 길이차로 인해 무릎의 높이가 다른 환자의 양 무릎을 유사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한편 해당 실시 예에서, 높이 조절부는 지지체의 운반이 요구되는 경우 하단부 내측으로 완전히 삽입되어 바닥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즉, 높이 조절부의 하단에 부착된 미끄럼 방지 부재를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운반시 마찰력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높이 조절부는 접이식 형태로 지지체에 결합되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세하게, 중앙에서 점접촉 하는 X자 형태로 배치된 한 쌍의 다리를 포함하고, 다리가 기울어진 정도에 따라 지지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한 쌍의 다리가 바닥과 수평한 상태로 배치되는 경우 지지체의 높이가 가장 낮게 유지될 수 있으며, 한 쌍의 다리가 바닥과 수직한 상태에 가까워 질수록 지지체의 높이가 상승할 수 있다.
이처럼, 높이 조절부의 노출정도를 조절하기 위해 수동식 높이 조절 게이지 또는 압력식 높이 조절 게이지가 추가될 수 있으나, 높이 조절부의 노출정도를 조절하는 수단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설계상의 변형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추가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를 이용한 방사선 촬영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의 구성 및 특성과 관련되어 중복된 부분은 생략하며,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를 이용한 방사선 촬영방법에 관련한 서술을 추가적으로 기재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개골 영상 진단을 위한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를 이용한 방사선 촬영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개골 영상 진단을 위한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를 이용한 방사선 촬영방법(이하 방사선 촬영방법)은 촬영 준비 단계(S1), 높이 조절 단계(S3) 및 하지 촬영 단계(S5)를 포함한다. 한편, 방사선 촬영 방법은 방사선 촬영장치와 전술한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환자의 원위부로부터 근위부 방향으로 환자의 슬개골을 촬영할 수 있다.
촬영 준비 단계(S1)에서는 슬개골 영상 진단을 위한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의 상단면에 환자의 대퇴 및 하퇴를 지지시킬 수 있다. 촬영 준비 단계(S1)에서는 환자의 대퇴골 장축과 하퇴골 장축의 각이 120도가 되도록 누운 자세의 환자의 검사측 슬관절을 60도 굽힐 수 있다. 이때, 환자의 하지를 지지체에 접촉시킴으로써 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환자의 부담이 감소될 수 있다.
높이 조절 단계(S3)에서는 지지된 대퇴와 하퇴가 이루는 각도에 따라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세하게, 환자의 대퇴와 하퇴의 안쪽면 중 어느 한면이 지지체에 접촉하지 않는 경우, 높이 조절부를 통해 지지체의 높이를 조절하여 환자의 하지가 온전히 지지되도록 장치를 세팅할 수 있다. 또한, 높이 조절 단계(S3)에서는 환자의 무릎의 위치가 과도하게 높거나 낮은 경우 지지체의 높이를 조절하여 환자의 무릎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높이 조절 단계(S3)에서는 환자의 양 무릎의 높이가 상이한 경우, 높이 조절부를 제어하여 지지체의 기울기를 유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환자의 양 무릎의 높이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하지 촬영 단계(S5)에서는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의 무선 디텍터가 환자의 슬개골과 슬개대퇴관절이 투영된 방사선을 감지하도록 각도를 조절하여 슬개골을 촬영할 수 있다.
상세하게, 하지 촬영 단계(S5)에서는 각도 조절 렌치를 통해 디텍터 홀더와 연결부가 이루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하지 촬영 단계(S5)에서는 디텍터 홀더에 수용된 무선 디텍터를 슬라이딩 구동하여 일정한 높이로 위치시킨 뒤, 높이를 고정시킬 수 있다.
하지 촬영 단계(S5)에서는 환자를 향하여 조사되는 방사선을 차폐하기 위한 차폐막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하지 촬영 단계(S5)에서는 폭이 넓은 디텍터부를 결합하기 위해 연결부를 구성하는 각 기둥간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격된 거리에 대응하는 폭의 디텍터부를 결합하여 환자에게 조사되는 방사선을 차폐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하지 촬영 단계(S5)에서는 디텍터부와 환자 사이에 방사선 치마를 배치하여 환자에게 조사되는 방사선을 차폐할 수 있다.
하지 촬영 단계(S5)에서는 무선 디텍터를 통해 감지된 방사선 영상을 디지털 영상으로 변환시켜 환자의 하지 촬영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하지 촬영 단계(S5)에서는 촬영된 슬개골 영상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외부 모니터링 장치와 디텍터부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 촬영 단계(S5)에서는 촬영된 슬개골 영상을 확인한 뒤, 방사선 촬영 보조 장치의 설정을 변경하여 환자의 자세를 변경한 상태로 촬영을 진행함으로써 선명도가 향상된 슬개골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슬개골 영상 진단을 위한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 및 이를 이용한 방사선 촬영방법은 환자의 체형에 따라 높이 조절부의 높이를 조절하고, 조절된 하지의 높이에 따라 디텍터부의 각도를 조절하여 다양한 체형의 환자에게 맞춤형 촬영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
11: 지지체
111: 하단면
113: 상단면
115: 손잡이
13: 높이 조절부
15: 연결부
151, 153: 기둥
17: 디텍터부
171: 무선 디텍터
173: 디텍터 홀더
175: 각도 조절 렌치
8: 하퇴
9: 대퇴
T: 튜브
11: 지지체
111: 하단면
113: 상단면
115: 손잡이
13: 높이 조절부
15: 연결부
151, 153: 기둥
17: 디텍터부
171: 무선 디텍터
173: 디텍터 홀더
175: 각도 조절 렌치
8: 하퇴
9: 대퇴
T: 튜브
Claims (10)
- 환자의 원위부로부터 근위부 방향으로 환자의 슬개골을 촬영하기 위해 상기 환자의 하지를 지지하는 슬개골 영상 진단을 위한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에 있어서,
바닥과 접촉하는 하단면이 편평하고, 상기 하단면과 연결된 두 개의 빗면으로 구성된 상단면의 일 영역이 기설정된 범위의 내각을 형성하여, 상기 환자의 하지를 지지하는 삼각기둥 형상의 지지체;
상기 지지체의 상단면에 의해 지지되는 하지의 대퇴와 하퇴가 형성하는 각도에 따라 상기 지지체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
상기 지지체의 상단면 중, 상기 대퇴를 지지하는 영역의 양측면에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상단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세워진 한 쌍의 기둥을 포함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어 상기 하지가 세워진 높이에 따라 상기 연결부와 결합된 영역을 회전축으로하여 회동하며, 방사선을 감지하는 디텍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텍터부는,
상기 환자의 하방에 위치한 튜브에서 상방으로 조사되는 방사선을 감지하는 무선 디텍터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조사된 방사선이 상기 환자의 슬개골을 통과하고 상기 무선 디텍터의 중앙에 투영되도록 상기 지지체의 높이를 조절하되, 상기 하지의 대퇴와 하퇴가 형성하는 각도가 상기 상단면의 내각보다 작은 경우 상기 지지체의 높이를 상승시켜 상기 하지의 대퇴와 하퇴가 이루는 각도를 넓히고, 상기 환자의 무릎 높이에 따라 상기 지지체의 높이를 조절하는, 슬개골 영상 진단을 위한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텍터부는,
상기 무선 디텍터의 슬라이딩 구동을 유도하여 기설정된 위치에 상기 무선 디텍터를 고정시키는 디텍터 홀더; 및
상기 디텍터 홀더와 상기 연결부가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디텍터 홀더를 고정시키는 각도 조절 렌치;를 더 포함하는, 슬개골 영상 진단을 위한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텍터는,
감지된 방사선을 외부 영상장치로 전달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슬개골 영상 진단을 위한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하지의 하퇴를 지지하는 부분의 하단부에 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슬개골 영상 진단을 위한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일 영역이 형성하는 내각이 100도 내지 140도로 형성되고, 상기 내각에 의해 형성된 상단면의 돌출영역이 라운딩된, 슬개골 영상 진단을 위한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는,
촬영 중 상기 환자 하지의 이동에 의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바닥과 접촉하는 단면에 미끄럼 방지 부재가 결합되는, 슬개골 영상 진단을 위한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손잡이를 이용하여 상기 지지체가 운반되는 경우, 상기 미끄럼 방지 부재가 결합된 단면이 바닥과 이격되는, 슬개골 영상 진단을 위한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
- 환자의 원위부로부터 근위부 방향으로 환자의 슬개골을 촬영하기 위해 상기 환자의 하지를 지지하는 슬개골 영상 진단을 위한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를 이용한 방사선 촬영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의 상단면에 상기 환자의 대퇴 및 하퇴를 지지시키는 촬영 준비 단계;
상기 지지된 대퇴와 하퇴가 이루는 각도에 따라 상기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 단계; 및
상기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의 무선 디텍터가 상기 환자의 슬개골과 슬개대퇴관절이 투영된 방사선을 감지하도록 각도를 조절하여 슬개골을 촬영하는 하지 촬영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디텍터는 상기 환자의 하방에 위치한 튜브에서 상방으로 조사되는 방사선을 감지하고,
상기 높이 조절 단계는, 상기 조사된 방사선이 상기 환자의 슬개골을 통과하고 상기 무선 디텍터의 중앙에 투영되도록 상기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의 높이를 조절하되, 상기 환자의 대퇴 및 하퇴가 형성하는 각도가 상기 상단면의 내각보다 작은 경우 상기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의 높이를 상승시켜 상기 환자의 대퇴 및 하퇴가 이루는 각도를 넓히고, 상기 환자의 무릎 높이에 따라 상기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의 높이를 조절하는, 슬개골 영상 진단을 위한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를 이용한 방사선 촬영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지 촬영 단계는,
상기 환자를 향하여 조사되는 방사선을 차폐하기 위한 차폐막이 형성되는, 슬개골 영상 진단을 위한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를 이용한 방사선 촬영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지 촬영 단계는,
상기 무선 디텍터를 통해 감지된 방사선 영상을 디지털 영상으로 변환시켜 상기 환자의 하지 촬영 영상을 출력하는, 슬개골 영상 진단을 위한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를 이용한 방사선 촬영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2979A KR102179353B1 (ko) | 2019-02-27 | 2019-02-27 | 슬개골 영상 진단을 위한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 및 이를 이용한 방사선 촬영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2979A KR102179353B1 (ko) | 2019-02-27 | 2019-02-27 | 슬개골 영상 진단을 위한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 및 이를 이용한 방사선 촬영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04539A KR20200104539A (ko) | 2020-09-04 |
KR102179353B1 true KR102179353B1 (ko) | 2020-11-16 |
Family
ID=72471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22979A KR102179353B1 (ko) | 2019-02-27 | 2019-02-27 | 슬개골 영상 진단을 위한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 및 이를 이용한 방사선 촬영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7935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29217A (ko) | 2021-03-16 | 2022-09-23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각도조절이 가능한 날개부를 가진 영상촬영용 무릎각도 지지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603477B (zh) * | 2020-12-12 | 2022-02-18 | 常州安康医疗器械有限公司 | 一种可调整拍摄角度的可视穿刺器 |
KR102497908B1 (ko) * | 2021-02-26 | 2023-02-09 |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 방사선 촬영용 무릎 자세 보조기 |
KR102467748B1 (ko) * | 2021-03-08 | 2022-11-16 | 경북대학교병원 |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06584A (ja) | 2004-06-25 | 2006-01-12 | Takeshi Okada | 医療用膝置き台およびその製造方法 |
CN201727528U (zh) | 2010-08-07 | 2011-02-02 | 邱诚 | 可调式屈膝位摄片架 |
KR101332019B1 (ko) * | 2011-11-21 | 2013-11-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환자용 테이블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레이 촬영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131021A (ko) | 2009-06-05 | 2010-12-15 | 손상혁 | 대퇴슬개관절의 이상적 영상구현을 위한 x-선 촬영 보조기구 개발 |
-
2019
- 2019-02-27 KR KR1020190022979A patent/KR10217935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06584A (ja) | 2004-06-25 | 2006-01-12 | Takeshi Okada | 医療用膝置き台およびその製造方法 |
CN201727528U (zh) | 2010-08-07 | 2011-02-02 | 邱诚 | 可调式屈膝位摄片架 |
KR101332019B1 (ko) * | 2011-11-21 | 2013-11-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환자용 테이블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레이 촬영시스템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29217A (ko) | 2021-03-16 | 2022-09-23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각도조절이 가능한 날개부를 가진 영상촬영용 무릎각도 지지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04539A (ko) | 2020-09-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79353B1 (ko) | 슬개골 영상 진단을 위한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 및 이를 이용한 방사선 촬영방법 | |
EP1894528B1 (en) | Wheelchair | |
US20210186790A1 (en) | Table System for Medical Imaging | |
JP2000500049A (ja) | 位置決め装置 | |
KR101787555B1 (ko) | 골반의 움직임이 구현된 보행보조장치 | |
JP7319275B2 (ja) | 診断イメージングにおける患者位置決め | |
JP6345485B2 (ja) | 寝台装置、x線ct装置及び医用画像診断装置 | |
CN1977768A (zh) | X射线仪 | |
JP7297835B2 (ja) | 被検体搬送具 | |
US5428660A (en) | Portable medical panoramic radiographic device | |
JP6401205B2 (ja) | 脚長測定装置及び脚長測定方法 | |
KR20170021723A (ko) | 자동 틸팅 기능을 갖는 이동형 엑스레이 촬영기 | |
JP2017086628A (ja) |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 |
CN109646234A (zh) | 一种先天性髋关节脱位复位固定装置 | |
JP2005176955A (ja) | 透視撮影台および体位保持具 | |
KR101916574B1 (ko) | 환자 맞춤형 자동 방사선 검사 테이블 | |
CN107928695B (zh) | 踝关节固定装置 | |
KR101625057B1 (ko) | 방사선 촬영 보조 기구 및 방사선 촬영 장치 | |
KR20160005518A (ko) | 엑스레이 촬영용 하지관절 정위치 고정장치 | |
KR101613647B1 (ko) | 견관절 촬영을 위한 보조기구 | |
CN210931488U (zh) | 小儿左足正斜位拍摄固定模型 | |
RU2740245C1 (ru) | Крепежная система универсальная | |
CN113384289B (zh) | 一种膝关节侧位x射线自动检测床及其检测方法 | |
KR102497908B1 (ko) | 방사선 촬영용 무릎 자세 보조기 | |
CN214965749U (zh) | 一种术中摄片用手术台通用支架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