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3999B1 - 의료용 침대 - Google Patents

의료용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3999B1
KR101043999B1 KR1020100117719A KR20100117719A KR101043999B1 KR 101043999 B1 KR101043999 B1 KR 101043999B1 KR 1020100117719 A KR1020100117719 A KR 1020100117719A KR 20100117719 A KR20100117719 A KR 20100117719A KR 101043999 B1 KR101043999 B1 KR 101043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ed
support
rotating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7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덕규
백창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소어베드
백창현
변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소어베드, 백창현, 변덕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소어베드
Priority to KR1020100117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39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3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3999B1/ko
Priority to PCT/KR2011/009039 priority patent/WO2012070898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15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modular blocks, or inserts, with layers of differen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divided into different adjustable sections, e.g. for Gatch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2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ly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체위를 스스로 바꾸지 못하는 환자의 체중에 의해 침대면과 접촉되어 압박되는 신체의 부분에 압력을 주기적으로 해소하여 혈행을 원활하게 하면서 침대와 신체 접촉면에 공간이 형성되게 하여 통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로 장기간에 걸쳐 침상에 누워 있어야하는 환자와 고령환자의 체위를 변경하지 않아도 욕창 등의 질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침대는 내부에 지지대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침대 프레임과; 상기 침대 프레임의 지지대 상부에 안착되는 회동 프레임과; 상기 회동프레임의 상면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승강수단들과; 상기 승강수단들의 상면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되는 휴식부재와; 상기 회동 프레임을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부재와; 상기 침대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승강수단이 교번되게 작동되도록 하는 컨트롤러부;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의료용 침대에 있어서,
상기 침대 프레임의 지지대와 회동 프레임의 사이에는 승강부재를 통해 승강되어 상기 회동 프레임를 승강시키는 승강틀이 개재되고, 상기 승강부재에는 이 승강부재의 승강작동과 연동작동되어 환자의 무게를 측정하는 체중 측정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의료용 침대{A MEDICAL BED}
본 발명은 체위를 스스로 바꾸지 못하는 환자의 체중에 의해 침대면과 접촉되어 압박되는 신체의 부분에 압력을 주기적으로 해소하여 혈행을 원활하게 하면서 침대와 신체 접촉면에 공간이 형성되게 하여 통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로 장기간에 걸쳐 침상에 누워 있어야하는 환자와 고령환자의 체위를 강제로 변경하지 않아도 욕창 등의 질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의료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매우 고령의 환자, 쇠약한 환자, 하반신마비와 사지마비 등의 마비환자, 신체 감각이 소실된 환자 등 체위를 스스로 바꾸지 못하는 중환자의 경우에는 반드시 간병인이나 보호자의 도움을 받아 용변처리나 목욕 등을 해야한다.
또한, 최소한 1~2시간 이내의 간격으로 환자의 체위를 바꿔주지 않으면 욕창이 발병하는 원인이 되므로, 일정 시간마다 체위를 변경해주거나 충분한 영양을 섭취하면서 피부 주위를 깨끗히 하고 건조하게 유지시켜야 한다.
이에 따라, 환자의 신체부위를 용이하게 변화시켜 욕창을 방지 수 있는 의료용 침대의 개발이 꾸준히 개발되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 일례로 본 출원인에 의해 선 등록된 특허 제10-0947374호 '의료용 침대'와, 공개특허 제10-2010-0087826호 '욕창방지용 침대'가 제시된 바 있다.
상기한 선행기술은 스스로 체위를 바꾸지 못하는 환자가 침대에 누워있는 상태에서 환자와 침대가 접촉되는 부분에 승강 실린더를 이용하여 공간이 발생되도록 하므로서, 환자의 신체 뒷부분에 혈액과 공기가 소통되게 하여 장기간 침대생활을 해온 환자에게 발생되는 욕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은 환자의 체중을 측정할 수 있는 수단이 별도로 마련되지 않아 환자의 건강상태를 수시로 체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치료목적에 따라 환자의 자세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없어 필요에 따라 환자의 자세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 간병인 또는 보호자가 강제로 자세를 변경해야 하기 때문에 간병인 또는 보호자는 많은 힘이 소진되어 체력적으로 많은 부담과 피로를 느끼게 되며, 강제적으로 움직여야 하는 환자 또한 고통을 받게 되며 불편한 자세를 취해야 하는 문제점이 수반된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상체판과 하체판으로 분할형성하고 상호 맞닿는 부분에 힌지로 회동가능하게 결합하여 회동 실린더로 상기 상체판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환자가 식사를 하거나 TV를 청취할 경우 환자 및 간병인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상기 종래기술은 환자의 하체부분에 대한 각도 조절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장기간 침대생활을 해온 환자에게 추가적으로 발생되는 변비, 근육 경직 등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체판의 회동은 단순히 회동 실린더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체중이 각기 다른 환자들의 무게에 효율적으로 대응하여 지지할 수 없고, 상체판을 하강시킬 경우 부드러운 하강이 이루어질 수 없어 환자는 불편함을 느끼게 될 뿐만 아니라, 상체판의 거상각도가 작기 때문에 식사나 TV 청취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종래기술은 환자의 머리가 위치되는 부분에도 머리와 침대 간의 공간이 발생되도록 하는 구조이므로 환자의 휴식 또는 수면을 방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병실에 마련된 에어나 유압공급장치를 통해 승강 실린더 및 회동 실린더를 작동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에 침대를 다른 장소로 옮길 경우에는 승강 실린더를 작동시킬 수 없어 침대와 환자 사이에 공간이 발생되도록 할 수 없으며, 종래기술의 침대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반드시 별도로 에어나 유압 공급장치를 마련해야 하므로 이에 따른 번거로운 불편함이 뒤따른다.
그리고, 상기 에어나 유압 공급장치는 침대에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승강 실린더 및 회동 실린더를 작동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에 침대를 제작함에 있어 비용이 많이 요구되며 승강 실린더 및 회동 실린더의 고장발생률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의 침대에는 보관함을 설치할 수 있는 수단이 별도로 마련되어 있지 않아 병원생활에 필요한 생활용품을 보관하기 위한 공간의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의료용 침대의 승강 실린더와 지지판 및 욕창방지 침대의 승강 실린더와 침대 조각판은 볼트 및 너트를 통해 결합되는 구조이므로 다수개의 승강 실린더 중 어느 하나의 승강 실린더에 결함발생시 용이하게 교체하거나 보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환자의 체중이 계측기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여 환자의 건강상태를 수시로 체크할 수 있으며, 의료진으로 하여금 약물의 투약량을 쉽게 계산할 수 있도록 한 의료용 침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더한 다른 목적은 치료목적에 따라 환자의 자세를 다양하게 취할 수 있도록 하며, 온몸의 근육 및 내장 기관의 혈행 및 신진대사를 촉진하여 고령이나 질병으로 장기간 누워서 생활해야 하는 사람들에게 발생될 수 있는 욕창이나 변비, 근육 경직, 비만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의료용 침대를 제공하는 데에도 있다.
본 발명에 더한 또 다른 목적은 침대의 거상이 수직에 가깝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환자가 식사나 TV 청취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의료용 침대를 제공하는 데에도 있다.
본 발명에 더한 또 다른 목적은 침대 거상시 체중이 각기 다른 환자들의 무게에 효율적으로 대응하여 지지할 수 있고, 침대를 하강시킬 경우 부드러운 하강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 의료용 침대를 제공하는 데에도 있다.
본 발명에 더한 또 다른 목적은 침대를 다른 장소로 옮기더라도 승강용 실린더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침대와 환자 사이에 공간이 발생되도록 하므로서 언제나 환자의 욕창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에어나 유압 공급장치를 반드시 별도로 마련하지 않아도 승강용 실린더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의료용 침대를 제공하는 데에도 있다.
본 발명에 더한 또 다른 목적은 승강용 실린더 및 회동 실린더의 작동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침대를 제작함에 있어 비용을 절감하고 승강 실린더 및 회동 실린더의 고장발생률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의료용 침대를 제공하는 데에도 있다.
본 발명에 더한 또 다른 목적은 침대에 보관함을 설치하여 병원생활에 필요한 생활용품을 보관하기 위한 공간의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의료용 침대를 제공하는 데에도 있다.
본 발명에 더한 또 다른 목적은 다수개의 승강용 실린더 중 어느 하나의 실린더에 결함발생시 휴식부재로 부터 용이하게 분리하여 보수하거나 새것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한 의료용 침대를 제공하는 데에도 있다.
상기한 다수의 목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단은 내부에 지지대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침대 프레임과; 상기 침대 프레임의 지지대 상부에 안착되는 회동 프레임과; 상기 회동 프레임의 상면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승강수단들과; 상기 승강수단들의 상면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되는 휴식부재와; 상기 회동 프레임을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부재와; 상기 침대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승강수단이 교번되게 작동되도록 하는 컨트롤러부;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의료용 침대에 있어서,
상기 침대 프레임의 지지대와 회동 프레임의 사이에는 승강부재를 통해 승강되어 상기 회동 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승강틀이 개재되고, 상기 승강부재에는 이 승강부재의 승강작동과 연동작동되어 환자의 무게를 측정하는 체중 측정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침대는 환자의 체중이 계측기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여 환자의 건강상태를 수시로 체크할 수 있으며, 의료진으로 하여금 약물의 투약량을 쉽게 계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침대에 틸트 수단과, 상체 회동부재와, 하체 회동부재 및 승강부재 등을 마련하여 치료목적에 따라 환자의 자세를 다양하게 취할 수 있도록 하며, 온몸의 근육 및 내장 기관의 혈행 및 신진대사를 촉진하여 고령이나 질병으로 장기간 누워서 생활해야 하는 사람들에게 발생될 수 있는 욕창이나 변비, 근육 경직, 비만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침대의 거상이 수직에 가깝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환자가 식사나 TV 청취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체판 및 하체판에 장력조절 스프링이 설치되어 침대의 상체판 거상시 체중이 각기 다른 환자들의 무게에 효율적으로 대응하여 지지할 수 있고, 침대의 하체판을 하강시킬 경우 부드러운 하강이 이루어 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침대를 다른 장소로 옮기더라도 승강용 실린더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침대에 에어탱크 및 컨트롤러 박스를 설치하여 언제나 침대와 환자 사이에 공간이 발생되도록 하므로서 환자의 욕창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에어나 유압 공급장치를 반드시 별도로 마련하지 않아도 승강용 실린더를 작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승강용 실린더 및 회동 실린더의 작동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침대를 제작함에 있어 비용을 절감하고 승강 실린더 및 회동 실린더의 고장발생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침대에 보관함을 설치하여 병원생활에 필요한 생활용품을 보관하기 위한 공간의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수개의 승강용 실린더 중 어느 하나의 실린더에 결함발생시 휴식부재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여 보수하거나 새것으로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침대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침대에 적용된 난간의 작동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침대에 컨트롤 박스 및 에어탱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침대에 에어탱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침대에 적용된 회동 프레임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침대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침대에 적용된 승강부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침대에 적용된 휴식부재의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침대에 적용된 탄성 슬리브를 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침대에 적용된 승강용 실린더의 내부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침대에 적용된 승강수단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침대의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더욱 명백해 질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침대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침대에 적용된 난간의 작동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침대에 컨트롤 박스 및 에어탱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침대에 에어탱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침대에 적용된 회동 프레임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침대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침대에 적용된 승강부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침대에 적용된 휴식부재의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침대에 적용된 탄성 슬리브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침대에 적용된 승강용 실린더의 내부상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침대에 적용된 승강수단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침대의 실시예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침대는 침대 프레임(10)과, 회동 프레임(20)과, 승강수단과, 휴식부재(30)와, 회동부재와, 승강틀(200)과, 체중측정부재(150)와, 컨트롤러부(60)로 이루어져 구성된다.
상기 침대 프레임(10)은 내부가 빈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에는 회동 프레임(2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대(11)가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침대 프레임(10)의 저면에는 두께와 높이를 갖는 지지용 다리(12)가 연장형성되며, 상기 지지용 다리(12)의 하단에는 침대 프레임(10)이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가 더 설치된다.
상기 지지용 다리(12)는 사람이 걸려 넘어지거나 다치지 않도록 침대 프레임(10)의 저면 내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퀴(12a)는 지지용 다리(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침대 프레임(10)을 이동하면서 방향을 바꿀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용 다리(12)에는 바퀴(12a)의 구름을 제어하는 제동부재(미도시)를 더 설치하므로서, 본 발명의 의료용 침대(1)가 병실에 위치하거나 이동 중에 잠시 멈추고자 할 경우 상기 제동부재를 통해 바퀴를 고정하여 환자를 보호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침대 프레임(10)의 내부에는 브라켓(미도시)을 더 설치하고 상기 브라켓에는 송풍팬(100)을 간격을 두고 더 설치하므로서, 환자의 뒷부분에 공기를 공급하여 환자의 혈액 순환을 촉진시키고 욕창방지기능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침대 프레임(10)의 내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14)를 더 결합하고, 상기 안착부(14)에는 컨트롤 박스(110)를 더 장착할 수 있다.
이를 좀 더 보충하여 설명하면 상기 컨트롤 박스(110)는 승강용 실린더(40)에 공압이 주입되거나 배출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병원의 중환자실 등 타 의료장비 구동을 위해 마련된 압축공기 라인(5)에 바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간편성, 내구성, 편리성을 도모하고 의료용 침대(1)의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침대 프레임(10)의 내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14)를 더 결합하고, 상기 안착부(14)에는 에어탱크(120)가 더 장착할 수 있다.
이를 좀 더 보충하여 설명하면 상기 에어탱크(120)는 상기 컨트롤 박스(110)를 통해 제어되도록 함에 따라 본 발명의 의료용 침대를 다른 장소로 옮기더라도 승강용 실린더(40)에 공압을 주입하거나 배출하여 휴식부재(30)를 승강시켜 언제나 환자의 욕창 발생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침대 프레임(10)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용 실린더(40) 및 옥상이나 배란다 등에 설치되는 에어탱크(120')가 연통되도록 하기 위한 연결선(7)을 각각 설치하여 에어탱크(120')의 공압이 침대 프레임(10)의 승강용 실린더(40)에 각각 공급되도록 함에 따라 개별적인 에어공급보다 원가를 현저히 절감하고, 승강용 실린더(40)의 고장발생률을 현저히 낮출 수 있다.
상기 침대 프레임(10)에는 간병인 또는 환자에게 필요한 생활용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보괌함(160)이 더 구비되어진다.
예를 들어, 침대 프레임(10)의 저면에는 그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레일틀(15)을 더 설치하고, 상기 레일틀(15)에는 상기 레일틀(15)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침대 프레임(10)의 내부로 수용되거나 침대 프레임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보관함(160)을 더 구비하여 병원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생활용품을 보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레일틀(15)의 내벽면과 맞닿는 보관함(160)의 일면에는 레일틀(15)의 내벽면에 부착되는 자석(161)을 간격을 두고 더 설치하여 상기 보관함(160)을 레일틀(15)의 내부에 수용하였을 경우 유동 없이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침대 프레임(10)의 양측면에는 환자가 바닥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난간(70)이 더 결합되는데, 상기 난간(70)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수평바(71)와, 상기 수평바(71)의 사이에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연장형성되는 수직바(72)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수평바(71) 중 하측에 위치되는 수평바(71)의 양측 끝단에는 힌지편(73)이 형성되어 상기 수평바(71)의 힌지편(73)을 침대 프레임(10)의 양측 저면에 간격을 두고 결합된 힌지편(13)과 맞닿게 한 다음 상기 힌지편(13,73)에 회동축(2)을 순차적으로 관통설치하면 상기 난간(70)은 침대 프레임(10)의 상,하측으로 회동될 수 있다.
삭제
상기 난간(70)의 모서리 부분은 곡선형상으로 절곡하여 환자, 보호자, 의료인이 다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난간(70)의 재질은 쉽게 녹슬거나 부식되지 않고 내구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회동축(2)은 공지의 볼트 및 너트가 채용될 수 있으며, 상기한 난간(70)은 난간제어 부재(80)에 의해 상,하 방향의 회동을 제어 받는다.
상기 난간제어 부재(80)는 고정편(81)과, 회동 고정부(83)와, 지지 스프링(86)으로 이루어져 구성된다.
상기 고정편(81)은 평평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침대 프레임(10)의 저부에 결합되며, 상면 중앙부분에는 상기 침대 프레임(1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내측을 향해 라운딩 처리되어 상기 침대 프레임의 외면 일부분을 감싸도록 용접결합되고, 그 하부측으로는 좌,우 방향으로 관통되는 결속홀(82)이 형성된다.
상기 회동 고정부(83)는 상기 고정편(81)의 일측면에 위치되고, 상기 회동 고정부(83) 및 고정편(81)에 순차적으로 관통설치되는 회동축(2)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앙부분에는 내측을 향해 라운딩 처리된 고정홈(84)이 형성되고, 일단부에 손잡이(85)가 설치된다.
상기 지지 스프링(86)의 일측은 상기 고정편(81)의 결속홀(82)에 결속되고 타측은 상기 회동 고정부(83)의 측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결속구(6)에 결속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난간 제어부재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환자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난간(70)을 침대 프레임(10)의 위로 올리고자 할 경우 손잡이(85)를 통해 회동 고정부(83)를 상측으로 회동시키면서 난간(70)의 수평바(71) 중 아래쪽에 위치된 수평바(71)가 회동 고정부(83)의 고정홈(84)에 수용되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지지 스프링(86)은 인장력을 통해 회동 고정부(83)를 지탱하게 되어 난간(70)이 직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환자를 진료하기 위해 난간(70)을 침대 프레임(10)의 아래로 내리고자 할 경우 상기 손잡이(85)를 통해 회동 고정부(83)를 상측으로 회동시켜 난간(70)의 수평바(71) 중 아래쪽에 위치된 수평바(71)가 회동 고정부(83)의 고정홈(84)에서 이탈되도록 하여 난간(70)을 침대 프레임(10)의 아래로 내릴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난간(70)을 구성하는 수평바(71)의 힌지편(73)과 침대 프레임(10)의 힌지편(13) 사이에는 중앙 부분이 상기 회동축(2)의 외주연에 장착되면서 양단이 상기 수직바(72)의 힌지편(73) 및 상기 침대 프레임(10)의 힌지편(13)에 접촉되는 푸쉬용 스프링(90)이 더 개재된다.
상기한 푸쉬용 스프링(90)의 일측은 침대 프레임(10)의 힌지편(13)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수평바(71)의 힌지편(73)에 접촉됨에 따라 난간(70)을 침대(1)의 아래로 내렸을 경우 복원력을 통해 상기 수평바(71)의 힌지편(73)을 밀어 상기 난간(70)이 침대 프레임(10)의 내부로 완전히 이동되도록 안내하므로서, 의사, 간호사 또는 보호자가 난간(70)에 걸려 넘어지지 않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로 형성된 난간(70)과 난간제어 부재(80)를 통해 환자, 보호자, 의료인의 손이 난간(70)에 끼어 다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상기 회동 프레임(20)은 환자의 상체가 거치되는 상체 프레임(21)과, 환자의 엉덩이 부분이 거치되는 중앙 프레임(22)과, 환자의 하체가 거치되는 메인 하체 프레임(23') 및 서브 하체 프레임(2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체 프레임(21)과, 중앙 프레임(22)과, 메인 하체 프레임(23') 및 서브 하체 프레임(23)은 모두 내부가 빈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체 프레임(21)과, 중앙 프레임(22)과, 메인 하체 프레임(23') 및 서브 하체 프레임(23)이 서로 맞닿는 부분에는 연결재(20a)가 상측을 향해 돌출형성된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재(20a)는 상기 상체 프레임(21)과, 중앙 프레임(22)과, 메인 하체 프레임(23') 및 서브 하체 프레임(23)이 맞닿았을 때 서로 중첩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상체 프레임(21)의 연결재(20a)와 중앙 프레임(22)의 연결재(20a)가 중첩된 상태에서 회동축을 각각 관통설치하고, 중앙 프레임(22)의 연결재(20a)와 메인 하체 프레임(23')의 연결재(20a)가 중첩된 상태에서 회동축을 각각 관통설치하며, 메인 하체 프레임(23')의 연결재(20a)와 서브 하체 프레임(23)의 연결재(20a)가 중첩된 상태에서 회동축을 각각 관통설치 하므로서, 다수개로 분할형성되는 회동 프레임(20)이 회동가능하게 연결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회동 프레임(20)이 회동가능하게 연결결합되도록 연결재(20a)에 설치되는 회동축은 공지의 볼트 및 너트가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체 프레임(21)의 상면 중 사용자의 머리가 위치되는 부분에는 지지 프레임(210)을 더 설치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210)에는 높이 조절용 판(210)을 더 설치하여 환자의 휴식 또는 수면을 방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휴식부재(30)는 회동 프레임(20)의 상면과 간격을 두고 위치되어 승강용 실린더(40)를 통해 수직이동되는 것으로, 받침 프레임(31)과, 황토베드 유닛(3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 프레임(31)은 평평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동 프레임(20)의 상면에 간격을 두고 횡방향으로 위치된다.
상기 황토베드 유닛(32)은 상기 받침 프레임(31)의 상면에 각각 설치되어 사용자의 신체와 직접 맞닿는 것으로, 환자의 세포 생리작용을 활발하게 하고 인체 내부에 열에너지를 발생시키며 인체 내부에 세포가 안고 있는 유해물질을 방출하고 해독하는 광전효과가 탁월하여 환자의 건강을 최적화시킨다.
또한, 상기 휴식부재(30)의 황토베드 유닛(32) 대신 다공성의 스폰지(33)로 대체하여 환자에게 보다 편안한 쿠션감을 제공하면서 공기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휴식부재(30)에는 커버가 더 위요되어 환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170)에는 통공홀(171)이 간격을 두고 관통형성하여 상기 송풍팬(100)에서 발생되는 바람이 환자에게 고루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승강수단은 회동 프레임(20)을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승강용 실린더(40) 또는 전자석 실린더(40')가 적용될 수 있다.
먼저, 승강용 실린더(40)는 케이스(41)와, 하부캡(43)과, 상부캡(44)과, 탄성스프링(45)과, 피스톤(49)으로 이루어져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41)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며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부 측면에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공기 출입용 노즐(42)이 관통설치된다.
상기 하부캡(43)은 내주연에 정착홈(43a)이 형성되며, 상기 정착홈(43a)이 케이스(41)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케이스(41)의 하부에 장착된다.
상기 상부캡(44)은 케이스(41)의 상부에 장착되며, 중앙부분에 상기 케이스(41)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출입구(44a)가 관통형성되고, 상기 하부캡(43)과 함께 케이스(41)를 밀폐시킨다.
상기 상,하부캡(43,44)과 케이스(41)의 사이에는 오링(O)을 더 개재하여 케이스(41)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탄성스프링(45)은 상기 하부캡(43)의 정착홈(43a)에 삽입되도록 상기 케이스(41)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며, 피스톤(49)이 하강할 경우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킨다.
상기 피스톤(49)은 상기 탄성스프링(45)의 상단에 안착되고, 상부는 상부캡(44)의 출입구(44a)를 관통하여 휴식부재(30)의 저면에서 상부로 관통설치된다.
상기 피스톤(49)은 케이스(41)의 내부공간으로 공압이 주입되면 그 압력에 의해 탄성스프링(45)을 가압하면서 하강하게 되고, 이와 반대로 케이스(41)의 외부로 공압이 배출되면 탄성스프링(45)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온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49)의 하부 외주연에는 오링을 더 장착하여 케이스(41)의 내부로 주입되는 공압이 피스톤(49)의 하부로 불필요하게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캡(44)의 출입구(44a)에는 상기 피스톤(49)의 외주연을 감싸 고정하는 상부 부싱(46)과 하부 부싱(47)이 적층되도록 끼움고정되어지되, 상기 하부 부싱(47)의 저부에는 공기 유입홈(47a)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하부 부싱(47)은 공기 유입홈(47a)에 공기가 유입되면 팽창되어 상기 피스톤(49)의 외주연을 조이면서 감싸 고정하므로서 승강용 실린더(40)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으며 하부 부싱(47)이 마모되더라도 장기간 기밀을 유지할 수 있어 승강용 실린더(40)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용 실린더(40)의 피스톤(49)에는 탄성 슬리브(48)를 장착하여 상기 승강용 실린더(40)의 피스톤(49)이 받침 프레임(31)에 분리 또는 결합되도록 하므로서, 휴식부재(30)의 세탁이 필요하거나 결함이 발생될 경우 용이하게 분리하여 세탁하여 재결합하거나 새로운 휴식부재(30)로 교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자석 실린더(40')는 콘트롤러부(60)의 제어를 받아 작동된다.
이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콘크롤러부(60)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전자석 실린더(40')의 전자석 코일에 전류를 공급함에 따라 피스톤이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스프링(미도시)을 압축하고, 전자석 코일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함에 따라 피스톤이 스프링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휴식부재(30)를 승강시킨다.
상기한 승강용 실린더(40) 및 전자석 실린더(40')는 환자가 누워있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환자의 신체 뒷부분과 휴식부재(30)의 황토베드 유닛(32) 사이에 빈 공간을 형성하게되어 환자의 신체 뒷부분에 혈액과 공기가 소통되게 하고, 주기적으로 환자의 신체 뒷부분에 공기가 흐르게 하여 장기간동안 침대생활을 해온 환자에게 발생되는 욕창 등의 질환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회동부재는 환자의 신체부위 중 상체 각도를 조정하는 상체 회동부재(50)와, 하체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하체 회동부재(50')로 분할형성된다.
상기에서 상체 회동부재(50)는 하체 회동부재(50')와 구성이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상체 회동부재(50)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상체 회동부재(50)는 상체 회동용 실린더(51)와, 상체 장력볼트(52)와, 상체 장력 조절너트(53)와, 상체 장력 스프링(54)으로 이루어져 구성된다.
상기 상체 회동용 실린더(5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브라켓(220)을 매개로 하여 침대 프레임(10)의 지지대(11) 중 환자의 상체부분이 위치되는 지지대(11)의 저면에 결합되고, 상기 회동용 실린더(51)의 제 1피스톤이 상기 상체 프레임(21)의 하부로 사선경사지게 돌출되면서 하단부가 수직하게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체 연결대(21a)에 결합된다.
상기 상체 회동용 실린더(51)는 통상의 공압 실린더로서 공압이 주입되거나 배출됨에 따라 제 1피스톤이 상체 회동용 실린더(51)의 내부에서 인출되거나 상체 회동용 실린더(51)의 외부로 인출되면서 상기 상체 프레임(21)을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상기 상체 장력볼트(52)는 상체 프레임(10)에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예컨대, 상기 상체 프레임(21)에는 중공이 형성된 평평한 판을 설치하고, 상기 상체 장력볼트(52)를 상기 평평한 판의 중공에 양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관통설치할 수 있다.
상기 상체 장력 조절너트(53)는 2개가 한조를 이루어 상기 상체 장력볼트(52)가 관통설치된 평평한 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상체 장력볼트(52)에 체결되어 상체 장력볼트(52)를 고정하며, 상기 상체 장력 조절너트(53)와 평평한 판의 사이에는 와샤(미도시)를 더 개재하여 안정적인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상체 장력 스프링(54)은 일측은 상기 상체 연결대(21a)에 관통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상체 장력볼트(52)에 관통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체 회동부재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상체 프레임(21)이 도복된 상태에서 상체 회동용 실린더(51)의 내부 공압을 배출하면 제 1피스톤이 상체 회동용 실린더(51)의 내부로 인입되면서 상기 상체 연결대(21a)를 당기게 되고, 상기 상체 연결대(21a)에 연결된 상체 프레임(21)이 상측으로 일정각도 기울기를 갖도록 회동되어 기립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상체 회동용 실린더(51)의 내부에 공압을 배출하면 상기 제 1피스톤이 상체 회동용 실린더(51)의 내부에서 인출되면서 상기 상체 연결대(21a)를 밀게되고, 상기 상체 연결대(21a)에 연결된 상체 프레임(21)이 하측으로 회동되어 도복된다.
상기 상체 장력 스프링(54)은 상체 프레임(21)의 자체 중량과 환자의 무게를 지탱하며 상체 프레임(21)이 하강시 추가로 가해지는 환자의 무게에 효율적으로 대응하여 지지하며 완충효과로 인해 상체 프레임(21)의 부드러운 하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상체 장력볼트(52)를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당기면 상기 상체 장력 스프링(54)의 길이가 가변되어 장력이 조절됨에 따라 몸무게가 많이 나가거나 적게 나가는 환자에 관계없이 상체 프레임(21)을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상체 회동부재(50)는 상체판(21)이 수직에 가까운 상체 거상을 가능케 하여 환자가 식사나 TV 청취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침대 프레임(10)에는 송신부(통상의 리모콘일 수 있음)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승강용 실린더(40)와 회동부재의 상체 회동용 실리더 (51) 및 하체 회동용 실린더(51')의 작동을 제어하거나, 스위치를 통해 승강용 실린더(40)와 회동부재의 상체 회동용 실리더(51) 및 하체 회동용 실린더(51')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수신부(180)를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실린더(40,51,51')를 원격 또는 수동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침대 프레임(10)의 지지대(11)와 회동 프레임(20)의 사이에는 승강부재(130)를 통해 승강되는 승강틀(200)이 더 개재되고, 상기 승강부재(130)에는 환자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체중 측정부재(150)가 더 연결설치된다.
상기에서 승강부재(130)와 승강틀(200)의 결합관계는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승강부재(130)는 승강틀(200)을 통해 회동 프레임(20)을 승강시켜 의사가 환자를 치료하거나 진료할 경우 휴식부재(30)를 높이를 원하는 높이만큼 올려 의사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도 편리하게 환자를 진료하기 위한 것으로서, 받침대(131)와, 하우징(132)과, 너트통(133)과, 메인 서포트(134)와, 레일 베이스(135)와, 회전축 체인 스프라켓(136)과, 하부 체인(137)과, 상부 체인(137')과, 구동모터(138)로 이루어져 구성된다.
상기 받침대(131)는 구동모터(138) 및 하우징(132)이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평평한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침대 프레임(10)의 지지대(11) 중 상체 프레임(21)과 이웃하는 지지대(11)의 양측과, 서브 하체 프레임(23)과 이웃하는 지지대(11)의 양측에 용접 또는 볼팅 결합되어 상호 간격을 두게 된다.
상기 하우징(132)은 전체가 동일한 외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구동모터(138)와 이격되도록 상기 받침대(131)의 상면에 결합된다.
상기 너트통(133)은 상,하측이 하우징(132)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우징(132)의 내부공간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132)의 상,하부로 돌출되는 외주연에 상,하부 체인 스프라켓(133a,133b)이 장착되며, 내부공간에 나선이 형성된다.
상기 메인 서포트(134)는 연결재(미도시)를 통해 승강틀(200)과 결합되고,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되어 상기 너트통(133)의 나선에 나선결합되며, 내주연에는 서브 서포트(151)가 결합되도록 나선이 형성된다.
예컨대, 도 1을 기준으로 상기 승강부재(130) 중 침대 프레임(10)의 좌측에 위치된 승강부재(130)의 메인 서포트(134)에는 '
Figure 112011029461985-pat00013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연결재를 설치하되, 이 연결재의 상부 일측 끝단은 메인 서포트(134)의 상측 부분에 설치되도록 하고 하측은 승강틀(200)에 설치되도록 하며, 상기 침대 프레임(10)의 우측에 위치된 승강부재(130)의 메인 서포트(134)에는 '
Figure 112011029461985-pat00014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연결재를 설치하되, 이 연결재의 상부 일측 끝단은 메인 서포트(134)의 상측 부분에 설치되도록 하고, 하측은 승강틀(200)에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연결재는 메인 서포트(134)의 회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메인 서포트(134)를 따라 승강될 수 있는 구조로 결합된다.
상기 레일 베이스(135)는 평평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은 상부 체인(137')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측을 향해 수직하게 돌출된다.
상기 레일 베이스(135)는 양단을 오목하게 라운딩 처리하여 상기 하우징(132)의 상단에 고정하므로서, 너트통(133)의 상부 체인스프라켓(133a)과 하우징(132)의 상단 사이에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축 체인 스프라켓(136)은 너트통(133)의 하부 체인스프라켓(133b)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받침대(131)의 저면에 위치된다.
상기 하부 체인(137)은 회전축 체인 스프라켓(136) 및 너트통(133)의 하부 체인스프라켓(133b)에 치합되어 이들의 회전을 연동시킨다.
상기 상부 체인(137')은 상기 레일 베이스(135)에 안착되면서 너트통(133)의 상부 체인스프라켓(133a) 및 마주하는 너트통(133)의 상부 체인스프라켓(133a)에 치합되어 너트통(133)의 상,하부 체인 스프라켓(133a,133b) 및 마주하는 너트통(133)의 상부 체인스프라켓(133a)의 회전을 연동시킨다.
상기 구동모터(138)는 상체 프레임(21) 및 서브 하체 프레임(23)에 결합된 한쌍의 받침대(131) 중 택일되는 받침대(131)의 상면에 용접 또는 볼팅결합되고, 회전축이 상기 받침대(131)의 저면을 관통하여 회전축 체인 스프라켓(136)에 장착되며, 이 회전축 체인 스프라켓(136)에 회전동력을 부여한다.
상기한 구동모터(138)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통해 회전동력이 양방향으로 출력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승강부재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구동모터(138)에 외부전원을 인가하여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하부 체인(137)이 너트통(133)의 하부 체인스프라켓(133b)을 통해 너트통(133)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게되고, 상기 너트통(133)의 내부공간에 나선결합된 메인 서포트(134)가 너트통(133)의 나선을 타고 상측 방향으로 수직 이동되며, 이와 동시에 상부 체인(137')이 마주하는 승강부재(130)의 너트통(133)을 회전시켜 메인 서포트(134)를 상측 방향으로 수직 이동시키며, 상기 메인 서포트(134)와 승강틀(200)에 연결설치된 연결재가 메인 서포트(134)를 따라 수직 이동되면서 승강틀(200)을 상승시키게되어 상기 휴식부재(30)와 연결결합된 회동 프레임(20)을 의사가 원하는 높이 만큼 상승시킬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구동모터(138)에 외부전원을 인가하여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하부 체인(137)이 너트통(133)의 하부 체인스프라켓(133b)을 통해 너트통(133)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되고, 상기 너트통(133)의 내부공간에 나선결합된 메인 서포트(134)가 너트통(133)의 나선을 타고 하측 방향으로 수직 이동되며, 이와 동시에 상부 체인(137')이 마주하는 승강부재(130)의 너트통(133)을 회전시켜 메인 서포트(134)를 하측 방향으로 수직 이동시키며, 상기 메인 서포트(134)와 승강틀(200)에 연결설치된 연결재가 메인 서포트(134)를 따라 수직 이동되면서 승강틀(200)을 하강시키게되어 상기 휴식부재(30)와 연결결합된 회동 프레임(20)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상체 프레임(21) 측에 위치된 지지대(11)의 구동모터(138)와 서브 하체 프레임(23) 측에 위치된 지지대(11)의 구동모터(138)에는 관리자의 프로그래밍 셋팅을 통해 외부 전원이 교번되게 공급되도록 하여 상기 회동 프레임(20)이 좌,우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하므로서, 환자의 온몸 근육 및 내장 기관의 운동에 탁월한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여 장기간 침대 생활을 해야 하는 사람들에게 발생될 수 있는 욕창이나 변비, 근육 경직, 비만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기상시 담병 등의 유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침대 프레임(10)의 지지대(11)에는 하강되는 승강틀(200)과 접촉시 이 신호를 센싱하여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구동모터(138)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하강 제한용 접촉감지센서(140)를 더 설치하고, 상기 지지대(11)의 상면에는 높이를 갖는 고정대(3)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대(3)의 상면에는 상승되는 승강틀(200)의 상면과 접촉시 이 신호를 센싱하여 제어부를 통해 구동모터(138)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상승 제한용 접촉감지센서(140')를 설치하여 상기 휴식부재(30)가 한계치 이상으로 승강되어 구동모터(138)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중 측정부재(150)는 서브 서포트(151)와, 로드 베어링(152)과, 로드셀(153)로 이루어져 구성된다.
상기 서브 서포트(151)는 상부가 상기 휴식부재의 받침 프레임에 결합되며,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되어 상기 메인 서포트(134)의 내주연에 형성된 나선에 맞물려 결합되어 상기 너트통(133)의 회전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수직 이동되는 메인 서포트(134)의 내부 나선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수직이동되면서 상기 휴식부재(30)를 승강시킨다.
상기 서브 서포트(151)의 상단에는 원형, 삼각형, 다각형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손잡이를 더 구비하여 공구를 통해 상기 서브 서포트(151)를 메인 서포트(134)의 내부 나선에 나선결합할 수 있다.
상기 로드 베어링(152)은 서브 서포트(151)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로드셀(153)은 일측이 설치대(4)를 매개로 하여 상기 침대 프레임(10)의 지지대(11)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로드베어링(15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승강되는 상체 프레임(21) 및 서브 하체 프레임(23)과 대응되어 결합각도가 변위되면서 상체 프레임(21) 및 서브 하체 프레임(23)의 저면과 맞닿게 되어 환자로부터 가해지는 체중을 측정하여 계측기에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로드셀(153)은 총 4개가 설치되며 상기 로드셀(153)에 디스플레이된 체중을 모두 더한 다음 나누기 4를 하게 되면 환자의 정확한 체중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부(60)는 승강용 슬린더(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승강용 실린더(40)의 작동을 구획별로 나누면서 상기 구획별로 나누어진 승강용 실린더(40)에 공압을 분기별로 교번되게 공급한다.
예컨대, 상기 컨트롤러부(60)는 에어탱크(120)를 작동시키고, 상기 에어탱크(120)는 공급선(미도시)을 통해 연결된 다수개의 솔로레이드 밸브에 에어를 전달하며, 상기 컨트롤러부(60)는 공급선 및 분기관을 통해 상기 에어탱크(120)의 에어가 구획별로 나누어진 승강용 실린더(40)에 분기별로 교번되게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10 : 침대 프레임 11 : 지지대
12 : 지지용 다리 13,73 : 힌지편
14 : 안착부 15 : 레일틀
20 : 회동 프레임 20a : 연결재
21 : 상체 프레임 21a : 상체 연결대
22: 중앙 프레임 23 : 서브 하체 프레임
23a : 하체 연결대 30 : 휴식부재
31 : 받침 프레임 32 : 황토베드 유닛
33 : 스폰지 40 : 승강용 실린더
41 : 케이스 42 : 공기 출입용 노즐
43 : 하부캡 43a : 정착홈
44 : 상부캡 45 : 탄성스프링
46 : 상부 부싱 47 : 하부 부싱
47a : 공기 유입홈 48 : 탄성 슬리브
49 : 피스톤 50 : 상체 회동부재
51 : 상체 회동용 실린더 52 : 상체 장력볼트
53 : 상체 장력 조절너트 54 : 상체 장력 스프링
50' : 하체 회동부재 51' : 하체 회동용 실린더
52' : 하체 장력볼트 53' : 하체 장력 조절너트
54' : 하체 장력 스프링 60 : 컨트롤러부
70 : 난간 71 : 수평바
72 : 수직바 80 : 난간 제어부재
81 : 고정편 82 : 결속홀
83 : 회동 고정부 84 : 고정홈
85 : 손잡이 86 : 지지 스프링
90 : 푸쉬용 스프링 100 : 송풍팬
110 : 컨트롤 박스 120 : 에어탱크
130 : 승강부재 131 : 받침대
132 : 하우징 133 : 너트통
133a : 상부 체인 스프라켓 133b : 하부 체인 스프라켓
134 : 메인 서포트 135 : 레일베이스
136 : 회전축 체인 스프라켓 137 : 하부 체인
137' : 상부 체인 138 : 구동모터
140 : 하강 제한용 접촉감지센서 140' : 상승 제한용 접촉감지센서
150 : 체중 측정부재 151 : 서브 서포트
152 : 로드 베어링 153 : 로드셀
160 : 보관함 170 : 커버
171 : 통공홀 180 : 수신부
190 : 받침대 200 : 승강틀

Claims (22)

  1. 내부에 지지대(11)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침대 프레임(10)과; 상기 침대 프레임(10)의 지지대(11) 상부에 안착되는 회동 프레임(20)과; 상기 회동 프레임(20)의 상면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승강수단들과; 상기 승강수단들의 상면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되는 휴식부재(30)와; 상기 회동 프레임(20)을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부재와; 상기 침대 프레임(10)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승강수단이 교번되게 작동되도록 하는 컨트롤러부(60);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의료용 침대에 있어서,
    상기 침대 프레임(10)의 지지대(11)와 회동 프레임(20)의 사이에는 승강부재(130)를 통해 승강되어 상기 회동 프레임(20)을 승강시키는 승강틀(200)이 개재되고,
    상기 승강부재(130)에는 이 승강부재(130)의 승강작동과 연동작동되어 환자의 무게를 측정하는 체중 측정부재(15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 프레임(10)의 양측에는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힌지편(13)이 더 형성되고, 상기 침대 프레임(10)의 힌지편(13)에는 난간제어 부재(80)에 의해 상,하 방향의 회동을 제어받는 난간(70)이 더 결합되어지되, 상기 난간(70)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수평바(71)와, 상기 수평바(71)의 사이에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연장형성되는 수직바(72)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수평바(71) 중 하측에 위치되는 수평바(71)의 양측 끝단에는 힌지편(73)이 형성되어 상기 힌지편(13,73)에 관통설치되는 회동축(2)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난간제어 부재(80)는,
    상기 침대 프레임(10)의 저부에 결합되며 상면이 상기 침대 프레임(10)에 결합되고 하부 일측에 좌,우방향으로 관통되는 결속홀(82)이 형성되는 고정편(81)과,
    상기 고정편(81)의 일측면에 회동축(2)을 매개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부분에는 상기 난간(70)의 수평바(71)가 삽입고정되는 고정홈(84)이 형성되며, 일단부에 손잡이(85)가 설치된 회동 고정부(83)와;
    일측은 상기 고정편(81)의 결속홀(82)에 결속되고, 타측은 상기 회동 고정부(83)의 측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결속구(6)에 결속되어 상기 회동 고정부(83)가 상측 방향으로 회동되었을 경우 인장력을 통해 회동 고정부(83)를 지탱하여 상기 난간(70)을 지지하도록 하는 지지 스프링(86)으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70)을 구성하는 상기 수평바(71)의 힌지편(73)과, 침대 프레임(10)의 힌지편(13) 사이에는 중앙부분이 상기 회동축(2)의 외주연에 장착되면서 양단이 상기 수평바(71)의 힌지편(73) 및 상기 침대 프레임의 힌지편(13)에 접촉되며, 상기 수평바(71)의 힌지편(73)을 밀어 상기 난간(70)이 침대 프레임(10)의 내부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푸쉬용 스프링(90)이 더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 프레임(10)에는 환자의 뒷부분에 공기를 공급하여 환자의 혈액 순환을 촉진시키기 위한 송풍팬(100)이 간격을 두고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프레임(20)은
    상체 프레임(21)과, 중앙 프레임(22)과, 메인 하체 프레임(23') 및 서브 하체 프레임(23)으로 이루어지고 양측 상부에 형성되는 연결재(20a)를 통해 회동가능하게 연결결합되어지되, 상기 상체 프레임(21)의 상면 중 사용자의 머리가 위치되는 부분에는 높이 조절판(190)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며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측면에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공기 출입용 노즐(42)이 관통설치된 케이스(41)와,
    상기 케이스(41)의 하부에 장착되며 내주연에 정착홈(43a)이 형성되는 하부캡(43)과,
    상기 케이스(41)의 상부에 장착되며, 중앙부분에 상기 케이스(41)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출입구(44a)가 관통형성된 상부캡(44)과,
    상기 하부캡(43)의 정착홈(43a)에 삽입되도록 상기 케이스(41)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탄성스프링(45)과,
    상부가 상기 상부캡(44)의 출입구(44a)를 관통하여 휴식부재(30)의 저면에서 상부로 관통설치되도록 상기 탄성스프링(45)의 상단에 안착되어 상기 케이스(41)의 내부공간으로 공압이 주입되거나 배출됨에 따라 승강되고, 하부 외주연에 오링(O)이 장착된 피스톤(49)으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승강용 실린더(40)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캡(44)의 출입구(44a)에는 상기 피스톤(49)의 외주연을 감싸 고정하는 상부 부싱(46) 및 하부 부싱(47)이 적층되도록 끼움고정되어지되, 상기 하부 부싱(47)의 저면에는 공기 유입홈(47a)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하부 부싱(47)은 공기 유입홈(47a)에 공기가 유입되면 팽창되어 상기 피스톤(49)을 조이면서 감싸 고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전자석 실린더(40')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 프레임(10)의 내부에는 안착부(14)가 더 결합되고, 상기 안착부(14)에는 승강용 실린더(40)의 내부에 주입되거나 배출되는 공압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박스(11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 프레임(10)의 내부에는 안착부(14)가 더 결합되고, 상기 안착부(14)에는 상기 컨트롤 박스(110)의 제어를 받아 승강용 실린더(40)에 공급되는 에어를 제어하기 위한 에어탱크(120)가 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130)는,
    평평한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침대 프레임(10)의 지지대(11)의 저면에 결합되는 받침대(131)와,
    상기 받침대(131)의 상면에 각각 결합되며, 전체가 동일한 외경을 갖는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132)과,
    상기 하우징(132)의 내부공간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132)의 상,하부로 돌출되는 부분의 외주연에 상,하부 체인 스프라켓(133a,133b)이 장착되며, 내부공간에는 나선이 형성되는 너트통(133)과;
    상기 승강틀(200)에 결합되고,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되어 상기 너트통(133)의 나선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수직이동되면서 승강틀(200)을 승강시키고, 내주연에 나선이 형성된 중공형상의 메인 서포트(134)와;
    상기 하우징(132)의 상단에 고정되는 레일 베이스(135)와;
    상기 너트통(133)의 하부 체인스프라켓(133b)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받침대(131)의 저면에 위치되는 회전축 체인 스프라켓(136)과,
    상기 회전축 체인 스프라켓(136) 및 너트통(133)의 하부 체인스프라켓(133b)에 치합되어 회전축 체인 스프라켓(136) 및 너트통(133)의 하부 체인스프라켓(133b)의 회전을 연동시키는 하부 체인(137)과,
    상기 레일 베이스(135)에 안착되고 너트통(133)의 상부 체인스프라켓(133a) 및 마주하는 너트통(133)의 상부 체인스프라켓(133a)에 치합되어 너트통(133)의 상,하부 체인 스프라켓(133a,133b) 및 마주하는 너트통(133)의 상부 체인스프라켓(133a)의 회전을 연동시켜 상기 메인 서포트(134)를 상,하 방향으로 수직이동시키는 상부 체인(137')과,
    회전동력이 양방향으로 출력되는 회전축이 상기 회전축 체인 스프라켓(136)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축 체인 스프라켓(136)에 회전동력을 부여하는 구동모터(138);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138)에는 전원이 교번되게 공급되도록 하여 상기 승강틀(200)이 좌,우로 기울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 프레임(10)의 지지대(11)에는 하강되는 승강틀(200)과 접촉시 이 신호를 센싱하여 상기 구동모터(138)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하강 제한용 접촉감지센서(140)가 더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11)의 상면에는 상승되는 승강틀(200)과 접촉시 이 신호를 센싱하여 상기 구동모터(138)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상승 제한용 접촉감지센서(140')가 고정대(3)를 통해 지지대(11)의 상면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체중 측정부재(150)는,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되어 메인 서포트(134)의 내주연에 형성된 나선에 맞물려 결합되며, 너트통(133)의 회전과 연동되어 상,하 방향으로 수직 이동되는 메인 서포트(134)의 나선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수직이동되는 서브 서포트(151)와,
    상기 서브 서포트(151)의 상단에 결합되는 로드 베어링(152)과,
    일측은 설치대(4)를 통해 상기 지지대(11)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로드베어링(15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승강되는 승강틀(200)에 대응하여 결합각도가 변위되면서 환자의 체중을 측정하여 계측기에 디스플레이하는 로드셀(153)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 프레임(10)의 저면에는 그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레일틀(15)이 더 설치되고, 상기 레일틀(15)에는 침대 프레임(10)의 내측과 외측으로 슬라이딩 가능케 수용되는 보관함(160)이 더 구비되어지되, 상기 레일틀(15)은 금속재질에 의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레일틀(15)의 내벽면과 맞닿는 보관함(160)의 일면에는 자석(161)을 더 설치하여 상기 보관함(160)이 레일틀(15)의 내벽면에 부착되는 자석(161)을 통해 레일틀(15)에 유동 없이 수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
  15.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휴식부재(30)는,
    상기 회동 프레임(20)의 상면에 간격을 두고 위치되며, 상기 승강용 실린더(40)의 피스톤이 관통설치되는 받침 프레임(31)과,
    상기 받침 프레임(31)의 상면에 각각 설치되는 황토베드 유닛(3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
  16.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휴식부재(30)는,
    상기 회동 프레임(20)의 상면에 간격을 두고 위치되며, 상기 승강용 실린더(40)의 피스톤이 관통설치되는 받침 프레임(31)과,
    상기 받침 프레임(31)의 상면에 각각 설치되는 스폰지(3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
  17. 제 15항 또는 1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용 실린더(40)의 피스톤(49)의 외주연에는 탄성 슬리브(48)를 장착하여 상기 승강용 실린더(40)의 피스톤(49)이 받침 프레임(31)에 분리 또는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
  1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휴식부재(30)에는 커버(170)가 더 위요되어지되, 상기 커버(170)에는 송풍팬(100)에서 발생되는 바람이 환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통공홀(171)이 간격을 두고 더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
  1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는 상체 회동부재(50)와 하체 회동부재(50')로 분할형성되어지되,
    상기 상체 회동부재(50)는 일단부는 상기 침대 프레임(10)의 지지대(11)에 결합되고, 제 1피스톤이 상기 상체 프레임(21)의 하부로 사선경사지게 돌출되는 상체 연결대(21a)에 결합되어 상기 상체 프레임(21)을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상체 회동용 실린더(51)와;
    상기 상체 프레임(21)에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체 장력볼트(52)와;
    상기 상체 장력볼트(52)에 체결되어 상체 장력볼트(52)를 고정하는 상체 장력 조절너트(53)와;
    일측은 상기 상체 연결대(21a)에 관통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상체 장력볼트(52)에 관통설치되어 상기 상체 장력볼트(52)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며, 상기 상체 프레임(21)을 지지하는 상체 장력 스프링(54)으로 이루어져 구성되고,
    상기 하체 회동부재(50')는 일단부는 상기 침대 프레임(10)의 지지대(11)에 결합되고, 제 2피스톤이 상기 서브 하체 프레임(23)의 하부로 사선경사지게 돌출되는 하체 연결대(23a)에 결합되어 상기 서브 하체 프레임(23)을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하체 회동용 실린더(51')와,
    상기 서브 하체 프레임(23)에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체 장력볼트(52')와,
    상기 하체 장력볼트(52')에 체결되어 하체 장력볼트(52')를 고정하는 하체 장력 조절너트(53')와,
    일측은 상기 하체 연결대(23a)에 관통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하체 장력볼트(52')에 관통설치되어 상기 하체 장력볼트(52')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며, 상기 서브 하체 프레임(23)을 지지하는 하체 장력 스프링(54')으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 프레임(10)에는 송신부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승강용 실린더(40)와, 상체 회동용 실린더(51) 및 하체 회동용 실린더(51')의 작동을 제어하거나, 스위치를 통해 승강용 실린더(40)와 상체 회동용 실린더(51) 및 하체 회동용 실린더(51')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수신부(18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
  2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부(60)는 에어탱크(120)를 작동시키도록하고, 상기 에어탱크(120)는 공급선을 통해 연결된 다수개의 솔로레이드 밸브에 에어를 전달하도록 하며, 상기 컨트롤러부(60)는 공급선 및 분기관을 통해 상기 에어탱크(120)의 에어가 구획별로 나누어진 승강용 실린더(40)에 분기별로 교번되게 공급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
  2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 프레임(10)에는 승강용 실린더(40) 및 외부에 위치되는 에어탱크(120')가 연통되도록 하기 위한 연결선(7)을 각각 설치하여 에어탱크(120')의 공압이 침대 프레임(10)의 승강용 실린더(40)들에 각각 공급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
KR1020100117719A 2010-11-24 2010-11-24 의료용 침대 KR101043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719A KR101043999B1 (ko) 2010-11-24 2010-11-24 의료용 침대
PCT/KR2011/009039 WO2012070898A2 (ko) 2010-11-24 2011-11-24 의료용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719A KR101043999B1 (ko) 2010-11-24 2010-11-24 의료용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3999B1 true KR101043999B1 (ko) 2011-06-24

Family

ID=44406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7719A KR101043999B1 (ko) 2010-11-24 2010-11-24 의료용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3999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2191A (ko) * 2014-11-04 2016-05-12 주식회사 씨엠아이 욕창 방지용 매트리스 장치
KR101624577B1 (ko) 2014-10-15 2016-05-26 주식회사 테크노믹스 구급차용 방진베드
KR101731967B1 (ko) * 2015-10-08 2017-05-12 주식회사 와이케이테크놀러지 욕창방지용 침대
KR101916574B1 (ko) * 2017-03-24 2018-11-08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 맞춤형 자동 방사선 검사 테이블
KR20190041205A (ko) 2017-10-12 2019-04-22 주식회사소화 팔걸이를 구비한 의료용 침대
CN109893350A (zh) * 2019-04-24 2019-06-18 柳州市柳铁中心医院 一种改良平板车
KR20220125758A (ko) * 2021-03-05 2022-09-14 주식회사 나인벨 인공지능을 이용한 욕창예방 의료용 로봇 침대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220129754A (ko) * 2021-03-17 2022-09-26 주식회사 나인벨 체압 센서를 이용한 욕창예방 의료용 로봇 침대의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3365A (ja) 1996-10-11 1998-05-06 Daiki:Kk 介護用ベッド
KR20050034666A (ko) * 2005-03-09 2005-04-14 서진홍 중환자용 침대
JP2006075507A (ja) 2004-09-13 2006-03-23 Junichi Yoshimori 床ずれ防止ベッド
KR20100084826A (ko) * 2009-01-19 2010-07-28 정순철 욕창방지용 침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3365A (ja) 1996-10-11 1998-05-06 Daiki:Kk 介護用ベッド
JP2006075507A (ja) 2004-09-13 2006-03-23 Junichi Yoshimori 床ずれ防止ベッド
KR20050034666A (ko) * 2005-03-09 2005-04-14 서진홍 중환자용 침대
KR20100084826A (ko) * 2009-01-19 2010-07-28 정순철 욕창방지용 침대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4577B1 (ko) 2014-10-15 2016-05-26 주식회사 테크노믹스 구급차용 방진베드
KR20160052191A (ko) * 2014-11-04 2016-05-12 주식회사 씨엠아이 욕창 방지용 매트리스 장치
KR101636928B1 (ko) * 2014-11-04 2016-07-07 주식회사 씨엠아이 욕창 방지용 매트리스 장치
KR101731967B1 (ko) * 2015-10-08 2017-05-12 주식회사 와이케이테크놀러지 욕창방지용 침대
KR101916574B1 (ko) * 2017-03-24 2018-11-08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 맞춤형 자동 방사선 검사 테이블
KR20190041205A (ko) 2017-10-12 2019-04-22 주식회사소화 팔걸이를 구비한 의료용 침대
CN109893350A (zh) * 2019-04-24 2019-06-18 柳州市柳铁中心医院 一种改良平板车
KR20220125758A (ko) * 2021-03-05 2022-09-14 주식회사 나인벨 인공지능을 이용한 욕창예방 의료용 로봇 침대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2586633B1 (ko) 2021-03-05 2023-10-11 주식회사 나인벨헬스캐어 인공지능을 이용한 욕창예방 의료용 로봇 침대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220129754A (ko) * 2021-03-17 2022-09-26 주식회사 나인벨 체압 센서를 이용한 욕창예방 의료용 로봇 침대의 제어 방법
KR102606089B1 (ko) 2021-03-17 2023-11-24 주식회사 나인벨헬스캐어 체압 센서를 이용한 욕창예방 의료용 로봇 침대의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3999B1 (ko) 의료용 침대
US5230113A (en) Multiple position adjustable day night patient bed chair
US10292885B2 (en) Multifunctional critical care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6215396B2 (ja) 介護ベッド
CN202288682U (zh) 一种翻身床
US7716762B2 (en) Bed with sacral and trochanter pressure relieve functions
US6427270B1 (en) Cantilevered mobile bed/chair apparatus for safety patient transfer
US8484773B2 (en) Combined bed/chair transporter with leg lift
US5996150A (en) Cantilevered mobile bed/chair apparatus for safety patient transfer
US20010008028A1 (en) Patient bed with leg lifter
US8011044B1 (en) Pressure relieving body support
AU2466195A (en) Articulating bed
WO1995029659A9 (en) Articulating bed
CN102510748A (zh) 淋浴担架床
WO2007055051A1 (ja) 介護用ベッド
US9925105B1 (en) Patient transfer device
CN111494117B (zh) 多功能智能护理床及其安装方法
CN111616883B (zh) 适用于护理床的马桶以及多功能智能护理床
JP2000279454A (ja) 自助介護用ベッド装置
JP6870809B2 (ja) 介護装置
JP4586038B2 (ja) 療養用ベッド
EP3600205A1 (en) Adjustable bed solution
US6647571B2 (en) Bed assembly with an insert for invalids
KR101102513B1 (ko) 거동불편자용 다기능 침대
CN221556414U (zh) 一种带有提醒功能可调节病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