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6849B1 - X-선 검사 시 자세 안정화 장치 - Google Patents
X-선 검사 시 자세 안정화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46849B1 KR102546849B1 KR1020210160978A KR20210160978A KR102546849B1 KR 102546849 B1 KR102546849 B1 KR 102546849B1 KR 1020210160978 A KR1020210160978 A KR 1020210160978A KR 20210160978 A KR20210160978 A KR 20210160978A KR 102546849 B1 KR102546849 B1 KR 1025468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sture
- vacuum release
- coupling
- handle
- vacuum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4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0
- 230000001144 postur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36544 pos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66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06010073306 Exposure to radi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595 magnetic resonance ima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591 computed tom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88 si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059 diagnostic ima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41 quality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45 quantitative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31 sacroiliac join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16 scre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364 upper extremity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61B6/0407—Supports, e.g. tables or beds, for the body or parts of the bod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61B6/0492—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using markers or indicia for aiding patient position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6—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X-선 검사 시 자세 안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로는, 해부학적 자세에서 인체 중심축이 변화되는 X-선 영상검사를 수행함에 있어서, 검사용 테이블 위에 올라가서 눕거나 엎드리거나 또는 앉게 되는 피검사자의 X-선 영상촬영 자세를 원활하게 만들 수 있고, 만든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X-선 영상검사의 신속성, 안정성 및 정확성을 기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자세 안정화 장치는, 검사용 테이블 위의 어느 위치라도 임의의 위치에 부착이 가능하고, 360도 회전이 가능함은 물론, 손쉬운 방법으로 고정하거나 및 고정상태를 해제할 수 있기 때문에, 검사용 테이블 위의 원하는 위치에 신속하고 편리하게 고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자세 안정화 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어떠한 촬영자세라도 손쉽게 만들어 낼 수 있으며, 촬영자세가 만들진 뒤에는 촬영이 끝날 때까지 정확한 자세로 계속하여 유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X-선 검사 시 자세 안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로는, 해부학적 자세에서 인체 중심축이 변화되는 X-선 영상검사를 수행함에 있어서, 검사용 테이블 위에 올라가서 눕거나 엎드리거나 또는 앉게 되는 피검사자의 X-선 영상촬영 자세를 원활하게 만들 수 있고, 만든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X-선 영상검사의 신속성, 안정성 및 정확성을 기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자세 안정화 장치는, 검사용 테이블 위의 어느 위치라도 임의의 위치에 부착이 가능하고, 360도 회전이 가능함은 물론, 손쉬운 방법으로 고정하거나 및 고정상태를 해제할 수 있기 때문에, 검사용 테이블 위의 원하는 위치에 신속하고 편리하게 고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자세 안정화 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어떠한 촬영자세라도 손쉽게 만들어 낼 수 있으며, 촬영자세가 만들어진 뒤에는 촬영이 끝날 때까지 정확한 자세로 계속하여 유지할 수 있게 된다.
X-선에 의한 질병 진단은 방사선에너지가 노출되는 의료피폭의 위험에도 불구하고 인체의 다양한 질병 진단에 많이 이용된다. 1895년 뢴트겐에 의해 X-선이 발견된 후 인류의 의학적 진단과 질병 치료에 많은 이득을 주고 있어 그 검사 건수는 해마다 증가되고 있다. 그중 단순 X-선 영상검사는 인체의 부위에 따라 몸의 중심축을 변경하는 불안정 자세를 일정 시간 유지된 상태에서 검사하고 다음 검사를 실시간 연속적으로 진행하게 된다. 그러나 불안정한 자세로 촬영되게 되면, 진단이 어렵기 때문에 재촬영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그렇게 되면, 재촬영 검사에 따른 추가적인 방사선 피폭이 수반되게 된다.
도 1에는 검사용 테이블(10) 위에서 X-선을 촬영하는 다양한 자세들의 사례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a)의 경우 왼쪽과 같은 무릎 옆쪽 영상을 촬영하게 되는 경우에 있어서 피검사자의 자세(오른쪽)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그리고, 도 1(b)는 척추에 대하여 비스듬한 방향에서의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에 있어서 피검사자의 자세(오른쪽)를 보여주는 사진이며, 도 1(c)는 천장관절에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에 있어서 피검사자의 자세(오른쪽)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서 피검사자들은 평상시 전혀 해보지 않았던 자세를 취하게 되는데, 이는 매우 어려운 자세일 뿐만 아니라, 어렵사리 자세를 잡은 뒤에도 쉽게 흐트러질 수 있는 불안정한 자세들이다. 따라서, 촬영 전에는 방사선사의 도움을 받아 제대로 된 자세를 취했다가도 촬영하는 과정에서 자세가 흐트러지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X-선 영상을 다시 촬영하게 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며, 그 결과 피검사자들에 대한 방사선 피폭량이 증가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도 2에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검사용 테이블(10) 모서리에 보조손잡이(20)를 고정 장착한 후 촬영 시에 피검사자들이 보조손잡이(20)를 손으로 잡고 자세를 유지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보조손잡이(20)는 사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검사용 테이블(10)의 모서리에 보조손잡이(20)를 고정하여 장착하는 방법밖에 없기 때문에 여러 가지 방향에서 촬영하여야 하거나, 위치를 바꿔가면서 촬영해야 하는 다양한 검사들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많았었다. 특히, 피검사자의 신체에 대한 아래와 위를 바꾸어 가며 촬영하거나, 좌우로 방향을 전환하면서 촬영하는 등의 연속적 검사 시 보조손잡이(20)의 이동 장착에 많은 시간이 필요하며, 움직일 수 없는 피검사자들을 검사 테이블로 이동 시 장애 요소가 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런 장치들은 효율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그 활용도가 높지 않은 실정이다.
Rhee D. B., Lee S., Choi H. W., Kim J. K., Lee J. M. (2018) A Study on Chest X-ray Using Ancillary Device for Child Radiography.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39(1), 48-54.
Lee W. J., Jeong S. C (2019) Prediction of Entrance Surface Dose in Chest Digital Radiograph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13(4), 573-579. DOI : 10.7742/JKSR.2019.13.4.573
Kim C. G., (2014) Spatial dose distribution and exposure dose during lumbar lateral test.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5(1), 17-22. DOI : 10.15207/JKCS.2014.5.1.017
Gil J. W., Park J. H., Park M. H., Park C. Y., Kim S. Y., Shin .D. W et al. (2014) Estimated Exposure Dose and Usage of Radiological Examination of the National Health Screening.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39(3), 142-149.
Kang E. B. (2019) A Comparison of Density and Patient Doses According to kVp and mAs Changes in General Radiograph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13(7), 987-992.
Kim H. G., Jung J. E., Jung H. M. (2012)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Anatomical Rotation Change Image by Aid Tool in Shoulder MRArthrograph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6(4), 299-303.
Choi W. J., Ye S. Y., Kim D. H. (2016) Making Aids of Magnetic Resonacnce Image Susing 3D Printing Technolog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10(6), 403-409.
Son S. H., Kim S. K. (2010) The Evaluation of Usefulness New Assistant Device to Increase Patient Convenience and Processes Efficiency of Radiographic Procedures for Merchant View. Korean J Digit Imaging Med, 12(1), 43-50.
Uhm S. Y., Cho Y. K., Kang S. J. (2017) A Study on the Accuracy and Convenience of Imaging Method Using Support Device in Knee Joint Lateral Radiograph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11(4), 253-261.
Seo S. Y., Han M. S., Jeon M. C., Yu S. J., Kim Y. K. (2010) The Evaluation of Usefulness for New Assistant Device to Observe Posterior Cruciate Ligament Rupture and Patellofemoral Joint Injury in Emergency Patient.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33(2), 93-96.
Choi W. J., Kim D. H. (2017) Making Human Phantom for X-ray Practice with 3D Print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11(5), 370-377.
Yoon M. S., Han D. K., Kim Y. M., Yoon. J. (2018) A Study on the Fabrication of bone Model X-ray Phantom Using CT Data and 3D Printing Technolog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12(7), 879-887.
Yoon M. S., Han D. K., Kim Y. M., Yoon. J. (2018) Artifacts in Digital Radiography.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38(4), 375-381.
Lee D. B., Kim J. G., Lee J. M. (2018)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the Radiation Exposure Dose to the Image Quality of Phantom Chest Radiography Using a Radiographic Assist Device. New Physics: Sae Mulli, 68(7), 801-811.
Park H. W., Lee M. S., Kim Y. G., Bae S. H (2018) Evaluation of the Usefulness of Ancillary Devices for Patients with Acute Lumbar Pain Dur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41(3), 193-199. DOI : 10.17946/JRST.2018.41.3.193
Kim H. G., Yoon J. H., Choi S. D (2015) Study on 3D Printer Production of Auxiliary Device for Upper Limb for Medical Imaging Test..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38(4), 389-394.
Won G. J., Kim Y. G (2015) The Development of Assistant Device for the Standing X-ray Views and Its Usability for the Patient Safety. Korea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17(4), 223-229.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에 의한 ‘X-선 검사 시 피검사자 촬영자세 안정화 장치’는 X-선 검사를 할 때, 검사용 테이블 위에 눕거나 앉게 되는 피검사자의 촬영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는 자세 안정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검사용 테이블 위의 어느 위치에나 쉽고 빠르게 장착하여 고정할 수 있고, 필요가 없어지거나 이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손쉽게 탈거할 수 있는 자세 안정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손쉽고 빠르게 장착하여 고정하는 것과 손쉬운 탈거가 가능하면서도, 피검사자가 잡아당기는 힘을 충분히 견뎌낼 수 있을 정도의 인장하중 등을 갖춤으로서 견고하고 안전성이 뛰어난 자세 안정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검사용 테이블 위의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으면서도, 손잡이는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자세 안정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X-선 검사를 할 때, 검사용 테이블 위에 올라가는 피검사자의 촬영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장치로서, 진공흡착 방식에 의하여 상기 테이블 표면에 흡착시켜 고정할 수 있는 흡착부; 수평부와 수직부로 이루어진 L자형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부 종단이 상기 흡착부의 상단 중심에 결합되는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 및 상기 흡착부에 결합되며, 상기 흡착부의 진공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진공 해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검사 시 자세 안정화 장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손잡이는, 상기 흡착부의 상단 중심에 결합 된, 상기 수평부의 종단을 중심축으로 하여 360도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검사 시 자세 안정화 장치로 하거나 이에 더하여, 상기 손잡이 중 상기 수직부에는,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굴곡진 파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검사 시 자세 안정화 장치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흡착부에는, - 속이 빈 반구 형태의 빨판; - 상기 빨판의 상단 중심부에 형성된 진공해제구멍; 및 - 상기 빨판의 상단에서 상기 진공해제구멍을 둘러싸며 상부로 연장되며, 내면은 비어있고, 외주면의 상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에는, - 상기 수평부의 종단에 위치하며, 상기 결합파이프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구멍이 형성된 결합부; 및 - 상기 수평부의 위에 형성된 결합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진공 해제부에는, - 상기 진공해제구멍을 막거나 열 수 있도록 아래쪽 종단에 마개를 가지며, 아랫부분이 상기 결합파이프 내부에 삽입되고 윗부분은 상기 결합파이프 상단 위로 돌출되며, 윗부분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진공해제봉; - 상기 진공해제봉의 아랫부분을 둘러싸고 있으며, 상기 진공해제봉에 대하여 아래쪽을 향하는 힘을 가해주는 스프링; - 상기 진공해제봉의 아랫부분과 상기 스프링이 상기 결합파이프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결합파이프가 상기 결합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파이프 상단과 나사결합되는 제1결합너트; - 일단부가 상기 결합돌기에 결합되되 아래위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진공해제봉의 윗부분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타단부는 후크형상으로 휘어진 진공해제고리; 및 - 상기 관통부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상기 진공해제봉의 윗부분과 나사결합되는 제2결합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검사 시 자세 안정화 장치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X-선 검사 시 자세 안정화 장치’는 X-선 검사를 하는 피검사자들이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가 달린 자세 안정화 장치를 검사용 테이블 위의 적정 위치에 부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검사용 테이블 위에 올라가서 눕거나 엎드리거나 또는 앉아 있게 되는 피검사자들에게, 정확한 영상촬영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하고 촬영이 끝날 때까지 영상촬영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 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진공흡착 방식에 의하여 상기 테이블 표면에 흡착시켜 고정할 수 있는 흡착부와, 수평부와 수직부로 이루어진 L자형으로 되어 있으며, 수평부 종단이 흡착부의 상단 중심에 결합되는 손잡이와, 손잡이 및 흡착부에 결합되며, 상기 흡착부의 진공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진공 해제부를 포함하기 때문에 검사용 테이블 위의 어느 위치에나 쉽고 빠르게 고정할 수 있고, 필요가 없어지거나 이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손쉽게 탈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흡착부에 포함된 빨판 위에 손잡이를 고정시키기 때문에, 검사용 테이블 위에서 빨판을 사용하여 진공 흡착시키면 측면이나 수직방향으로 강력한 인장하중이 가해지더라도 버틸수 있기 때문에, 손쉽고 빠르게 고정 및 탈거가 가능하면서도 피검사자가 잡아당기는 힘을 충분히 견뎌낼 수 있는 등 견고성 및 안전성이 뛰어난 자세 안정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는, 흡착부의 상단 중심에 결합 된, 수평부의 종단을 중심축으로 하여 360도 회전이 가능한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검사용 테이블 위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으면서도, 손잡이는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어서 필요에 따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검사용 테이블 위에서 X-선을 촬영하기 위한 다양한 자세들의 사례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검사용 테이블에서 자세안정을 도와주는 자세 안정화 장치에 대한 종래기술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X-선 검사 시 자세 안정화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X-선 검사 시 자세 안정화 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X-선 검사 시 자세 안정화 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X-선 검사 시 자세 안정화 장치의 적용사례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Universal Testing Machine 장치에 의한 인장하중 결과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대한 임상적용 테스트 장면에 대한 사진(a)과 종래기술과의 비교결과를 보여주는 표이다.
도 2는 검사용 테이블에서 자세안정을 도와주는 자세 안정화 장치에 대한 종래기술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X-선 검사 시 자세 안정화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X-선 검사 시 자세 안정화 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X-선 검사 시 자세 안정화 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X-선 검사 시 자세 안정화 장치의 적용사례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Universal Testing Machine 장치에 의한 인장하중 결과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대한 임상적용 테스트 장면에 대한 사진(a)과 종래기술과의 비교결과를 보여주는 표이다.
이하에서 상술한 목적과 특징이 분명해지도록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한 공지기술 중 이미 그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는 것으로서, 그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 예들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다양한 부가적 실시 예들을 가질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특정한 실시 예들이 도면에 표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실시 예들을 특정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 예들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 가운데 “제1”, “제2”, “첫째” 또는“둘째”등의 표현들이 실시 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X-선 검사 시 자세 안정화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X-선 검사 시 자세 안정화 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X-선 검사를 할 때, 검사용 테이블 위에 올라가서 눕거나 엎드리거나 또는 앉게 되는 피검사자의 촬영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장치(30)로서, 진공흡착 방식에 의하여 상기 테이블 표면에 흡착시켜 고정할 수 있는 흡착부(200)와, 수평부(120)와 수직부(110)로 이루어진 L자형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부(120) 종단이 상기 흡착부(200)의 상단 중심에 결합되는 손잡이(100)와, 상기 손잡이(100) 및 상기 흡착부(200)에 결합되며, 상기 흡착부(200)의 진공상태를 유지하거나 해제할 수 있는 진공 해제부(300)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흡착부(200)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속이 빈 반구 형태의 빨판(210)으로서, X-선 검사용 테이블(10)과 같은 매끈한 표면 위에서 상기 빨판(210) 내부의 공기를 밀어내면서 밀착시키면 상기 빨판(210) 내부가 진공 상태로 되므로, 상기 빨판(210)이 상기 검사용 테이블(10)에 강력하게 흡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빨판(210)의 상단 중심에 고정된 손잡이(100)는 상기 검사용 테이블(10)에 단단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진공 해제부(300)를 위로 잡아 올리면, 상기 빨판(210) 내부에 공기가 들어가고, 이에 따라 상기 빨판(210) 내부의 진공상태가 해제되는 구조이다. 상기 빨판(210) 내부의 진공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빨판(210)은 상기 검사용 테이블(10)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자세 안정화 장치(30)는, 상기 검사용 테이블(10) 위의 임의의 위치에 손쉽게 장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위치로의 이동도 손쉽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빨판(210)은 고무재질 등과 같이 탄력성과 접촉부의 기밀성이 뛰어난 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100)의 경우, 플라스틱 등과 같이 견고하고 내마모성이 뛰어난 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손잡이(100)는, 상기 흡착부(200)의 상단을 중심축으로 하여 어느 방향으로나 회전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손잡이(100)는, 상기 흡착부(200)의 상단 중심에 결합 된 상기 수평부(120)의 종단을 중심축으로 하여 360도 회전이 가능하게 상기 수평부(120)의 종단이 상기 빨판(200)의 상단 중심에 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100) 중 상기 수직부(110)에는, 피검사자가 상기 손잡이(100)를 잡을 때,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굴곡진 파지부(111)가 다수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흡착부(200)는, 속이 빈 반구 형태의 빨판(210)을 가지고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와 더불어 상기 빨판(210)의 상단 중심부에는 진공해제구멍(230)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빨판(210)의 상단에는 결합파이프(220)가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흡착부(200)가 상기 손잡이(100) 및 상기 진공해제부(3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결합파이프(220)는 상기 빨판(210)의 상단에서 상기 진공해제구멍(230)을 둘러싸며 상부로 연장되되, 그 내면은 비어있고, 외주면의 상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100)에는, 결합부(130) 및 결합돌기(140)를 더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손잡이(100)가 상기 흡착부(200) 및 상기 진공 해제부(300)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130)는, 상기 수평부(120)의 종단에 위치하도록 하되, 상기 결합부(130)에는 상기 결합파이프(2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구멍(131)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140)는 상기 수평부(120) 위에 수직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진공 해제부(300)의 일단이 결합되어 아래위로 회동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진공 해제부(300)는, 진공해제봉(341), 마개(344), 스프링(342), 제1결합너트(330), 진공해제고리(310) 및 제2결합너트(320)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진공해제봉(341)은, 상기 진공해제구멍(230)을 막거나 열 수 있도록 아래쪽 종단에 상기 마개(344)를 가지며, 아랫부분이 상기 결합파이프(220) 내부에 삽입되고 윗부분은 상기 결합파이프(220) 상단 위로 돌출되며, 윗부분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342)은 상기 진공해제봉(341)의 아랫부분을 둘러싸도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진공해제봉(341)에 대하여 아래쪽을 향하는 힘을 가해주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342)이 위쪽으로 탈출하지 않도록, 상기 진공해제봉(341)에 끼워지는 제1와셔(343)가 상기 스프링(342)의 상단을 막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결합너트(330)는, 상기 진공해제봉(341)의 아랫부분과 상기 스프링(342)이 상기 결합파이프(220)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결합파이프(220)가 상기 결합구멍(13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파이프(220) 상단과 나사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100)의 수평부(120) 종단쪽에 있는 상기 결합부(130)는 상기 결합파이프(220)에 끼워지고, 상기 결합파이프(220) 상단은 상기 제1결합너트(330)에 의하여 막혀있는 상태가 되므로, 상기 손잡이(100)는 상기 흡착부(200)의 상단 중심에 결합 된 상기 수평부(120)의 종단에 삽입된 상기 결합파이프(220)를 중심축으로 하여 360도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진공해제고리(310)의 일단부에는 상기 결합돌기(140)에 결합되어 아래위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313)이 형성되어 있고, 중앙부에는 상기 진공해제봉(341)의 윗부분이 관통하는 관통공(312)이 형성되며, 타단부는 둥그렇게 휘어진 후크형상(311)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결합너트(320)는, 상기 관통공(312)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상기 진공해제봉(341)의 윗부분과 나사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후크형상(311)의 반대쪽은 상기 결합돌기(14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진공해제봉(341)은 상기 제2결합너트(320)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후크형상(311)을 들어올리면, 상기 진공해제봉(341)이 들어올려지면서, 상기 진공해제구멍(230)을 막고 있던 상기 마개(344)도 들어올려지므로 상기 빨판(210) 내부로 공기가 들어가서 진공상태가 해제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X-선 검사 시 자세 안정화 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X-선 검사 시 자세 안정화 장치의 적용사례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도 5(a)는 상기 진공해제봉(341)이 상기 스프링(342)에 의하여 눌려져서 상기 마개(344)가 상기 진공해제구멍(230)을 막고 있는 모습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검사용 테이블(10) 표면에 상기 빨판(210)을 대고 누르면 상기 빨판(210) 내부의 공기가 빠져나가면서 상기 빨판(210) 내부는 진공에 가까운 상태가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빨판(210)은 상기 검사용 테이블(10)의 표면에 흡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빨판(210)이 상기 검사용 테이블(10)의 표면에 흡착되어 고정된 후에는 상기 손잡이(100)가 상기 검사용 테이블(10)에 고정된 상태가 되므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검사용 테이블(10)에 있는 피검사자들이 상기 손잡이(100)를 붙잡고 X-선 영상촬영용 자세를 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자세 안정화 장치(30)를 상기 검사용 테이블(10) 위에서 떼어낼 때는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진공해제봉(341)에 있는 상기 후크형상(311)을 위로 올리면(빨간색 화살표 참조), 상기 진공해제봉(341)이 위로 올라가면서 상기 진공해제구멍(230)을 막고 있던 상기 마개(344) 또한 위로 올라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진공해제구멍(230)을 통하여 상기 빨판(210) 내부로 공기가 들어가면서 상기 빨판(210) 내부는 진공상태가 해제되며, 이에 따라 상기 빨판(210)을 상기 검사용 테이블(10)의 표면으로부터 분리해 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X-선 검사 시 자세 안정화 장치에 대한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창안하는 과정에서 인장하중을 평가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하에서는 이에 대한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험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험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같이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험예>
인장하중 평가
본 발명에 의하여 개발된 자세 안정화 장치(30)에 대하여, X-선 검사실 벽면에 수직 흡착된 상태에서 30kg 모래주머니를 매달아 측정한 결과 가해진 하중을 변동없이 유지하였다. 이에 좀 더 정밀한 정량적 분석을 위해 Universal Testing Machine 장치로 수직, 수평방향의 인장하중 실험을 하였다. 흡착 고정된 자세 안정화 장치는 크로스헤드 10mm/min 상태에서 수평방향 67mm, 수직방향 47.6mm 변위에서 수평 45.5kgf, 수직 73.3kgf의 최대 인장하중 값을 나타냈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Universal Testing Machine 장치에 의한 인장하중 결과 그래프이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세 안정화 장치(30)는 검사용 테이블(10)에 흡착된 상태에서 Horizontal, Vertical 하중이 작용 된 방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오른쪽 그래프는 변위에 대한 하중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임상 시뮬레이션
본 발명에 의하여 개발된 자세 안정화 장치(30)를 적용하여 중심축 이동의 환자 자세가 유지된 상태로 임상검사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X-선 검사는 환자의 이동을 최소화 할 수 있었고 정확하고 안정된 자세유지가 신속하게 적용되었다. 이는 기존 고정된 제품에 비해 이동, 회전 등의 추가된 기능으로 중심축 변경에 의한 자세유지를 자세 안정화 장치에 일방적 맞추는 방식에서 환자, 검사자 중심으로 변화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개발된 자세 안정화 장치의 특징들을 기존 고정된 자세 안정화 장치와 비교한 결과가 도 8에 제시되어 있다. 도 8(a)는 본 발명에 대한 임상적용 테스트 장면에 대한 사진으로서, 중심축 이동된 X-선 검사의 실제 임상 테스트 모습과 검사전문가에 의한 회전, 탈착, 수직, 수평방향의 임상적용 테스트(B)를 실시하는 모습이다. 그리고 도 8(b)는 종래기술에 의한 손잡이와의 비교결과를 보여주는 표이다.
실험결과
인체구조를 기본적으로 Screening 할 수 있는 단순 X-선 영상 검사는 CT(Computed Tom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검사처럼 인체 단면을 직접 시각화 하는데 제한이 있어 검사 시 환자 자세는 매우 중요하다. 특히 환자의 중심축 변경에 따른 불편한 자세 유지는 영상 진단과 검사시간 등 검사의 질(Quality)을 좌우할 수 있기 때문에 자세 안정화 장치의 도움이 많이 필요하다. 이는 결과적으로 재촬영으로 인한 의료피폭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검사가 이루어지는 임상 환경에서 사용되는 자세 안정화 장치들은 촬영을 위한 검사용 테이블(10)의 종축 방향에 한쪽 또는 양쪽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된 것이 대부분이다. 이는 다양한 자세 적용에 제한되며 필요에 따라 이동 설치해야 하는 경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움직이지 못하는 환자의 테이블 이동 시 방해요소가 되어 임상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경우도 많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하는 새로운 디자인 설계 및 개발로 환자의 안정성 유지, 검사 신속성, 사용자 편리성을 중심으로 자세 안정화 장치를 개발하고 임상적 적용을 확인하였다.
임상에서 영상 검사 시 기존에 활용된 자세 안정화 장치 사례들을 보면 환자 자세를 유지하는 목적으로 사용된 비중이 높고 이는 결국 질(Quality) 높은 영상 검사 결과를 위한 것이다. 또한, MRI 검사 등에서는 자세 안정화 장치 물질이 비 자성체의 재질만 요구되는 특수한 경우도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재질에 특별한 제한은 두지 않았다. 영상 검사에 적용된 연구사례에서 Gil 등은 단순 X-선 검사에서 환자 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자세 안정화 장치 사용은 촬영 성패 및 안락한 검사를 위한 환자의 만족도에 기여된다고 자세 안정화 장치 활용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비특허문헌 17 참조). Choi 등은 자세 안정화 장치를 개발하고 영상검사 사용 전·후의 질 평가를 통하여 자세 안정화 장치의 필요성과 영상검사의 진단적 가치를 증명해 주었다(비특허문헌 7 참조). 이같이 다양한 검사 및 장치에서 환자의 안전과 더불어 자세 안정화 장치의 필요성을 공유할 수 있었다.
상술한 여러 가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검사용 테이블
20 보조손잡이
30 자세 안정화 장치
100 손잡이
110 수직부 111 파지부
120 수평부
130 결합부 131 결합구멍
140 결합돌기 141 결합돌기구멍
200 흡착부
210 빨판 220 결합파이프
230 진공해제구멍
300 진공 해제부
310 진공해제고리 311 후크형상
312 관통공 313 결합공
320 제2결합너트 330 제1결합너트
341 진공해제봉 342 스프링
343 제1와셔 344 마개
350 제2와셔
20 보조손잡이
30 자세 안정화 장치
100 손잡이
110 수직부 111 파지부
120 수평부
130 결합부 131 결합구멍
140 결합돌기 141 결합돌기구멍
200 흡착부
210 빨판 220 결합파이프
230 진공해제구멍
300 진공 해제부
310 진공해제고리 311 후크형상
312 관통공 313 결합공
320 제2결합너트 330 제1결합너트
341 진공해제봉 342 스프링
343 제1와셔 344 마개
350 제2와셔
Claims (4)
- X-선 검사를 할 때, 검사용 테이블 위에 올라가는 피검사자의 촬영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장치로서,
진공흡착 방식에 의하여 상기 테이블 표면에 흡착시켜 고정할 수 있는 흡착부;
수평부와 수직부로 이루어진 L자형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부 종단이 상기 흡착부의 상단 중심에 결합되는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 및 상기 흡착부에 결합되며, 상기 흡착부의 진공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진공 해제부;를 포함하되,
상기 흡착부에는,
- 속이 빈 반구 형태의 빨판;
- 상기 빨판의 상단 중심부에 형성된 진공해제구멍; 및
- 상기 빨판의 상단에서 상기 진공해제구멍을 둘러싸며 상부로 연장되며, 내면은 비어있고, 외주면의 상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에는,
- 상기 수평부의 종단에 위치하며, 상기 결합파이프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구멍이 형성된 결합부; 및
- 상기 수평부의 위에 형성된 결합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진공 해제부에는,
- 상기 진공해제구멍을 막거나 열 수 있도록 아래쪽 종단에 마개를 가지며, 아랫부분이 상기 결합파이프 내부에 삽입되고 윗부분은 상기 결합파이프 상단 위로 돌출되며, 윗부분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진공해제봉;
- 상기 진공해제봉의 아랫부분을 둘러싸고 있으며, 상기 진공해제봉에 대하여 아래쪽을 향하는 힘을 가해주는 스프링;
- 상기 진공해제봉의 아랫부분과 상기 스프링이 상기 결합파이프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결합파이프가 상기 결합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파이프 상단과 나사결합되는 제1결합너트;
- 일단부가 상기 결합돌기에 결합되되 아래위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진공해제봉의 윗부분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타단부는 후크형상으로 휘어진 진공해제고리; 및
- 상기 관통부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상기 진공해제봉의 윗부분과 나사결합되는 제2결합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검사 시 자세 안정화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흡착부의 상단 중심에 결합 된 상기 수평부의 종단을 중심축으로 하여 360도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검사 시 자세 안정화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중 상기 수직부에는,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굴곡진 파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검사 시 자세 안정화 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60978A KR102546849B1 (ko) | 2021-11-22 | 2021-11-22 | X-선 검사 시 자세 안정화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60978A KR102546849B1 (ko) | 2021-11-22 | 2021-11-22 | X-선 검사 시 자세 안정화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76878A KR20230076878A (ko) | 2023-06-01 |
KR102546849B1 true KR102546849B1 (ko) | 2023-06-23 |
Family
ID=86770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60978A KR102546849B1 (ko) | 2021-11-22 | 2021-11-22 | X-선 검사 시 자세 안정화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46849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14484A (ja) | 2000-02-04 | 2001-08-07 | San-Ei Faucet Mfg Co Ltd | シャワーホースハンガーや握りバーなどの固定に用いる回転式吸着盤。 |
KR200327081Y1 (ko) * | 2003-06-30 | 2003-09-19 | 리드센스 주식회사 | 흡착식 걸이장치 |
US20060086872A1 (en) | 2004-10-26 | 2006-04-27 | Eagle Fan | Vacuum suction apparatus |
KR200464979Y1 (ko) * | 2010-12-23 | 2013-01-28 | 김상현 | 흡착용 거치대 |
-
2021
- 2021-11-22 KR KR1020210160978A patent/KR10254684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14484A (ja) | 2000-02-04 | 2001-08-07 | San-Ei Faucet Mfg Co Ltd | シャワーホースハンガーや握りバーなどの固定に用いる回転式吸着盤。 |
KR200327081Y1 (ko) * | 2003-06-30 | 2003-09-19 | 리드센스 주식회사 | 흡착식 걸이장치 |
US20060086872A1 (en) | 2004-10-26 | 2006-04-27 | Eagle Fan | Vacuum suction apparatus |
KR200464979Y1 (ko) * | 2010-12-23 | 2013-01-28 | 김상현 | 흡착용 거치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76878A (ko) | 2023-06-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047574B2 (ja) | 動態画像解析装置、動態画像解析システム、動態画像解析プログラム及び動態画像解析方法 | |
JP7077993B2 (ja) | 呼吸指示装置、放射線撮影システム、呼吸補助器具及び動態画像撮影方法 | |
JP4870965B2 (ja) | 女性胸部の支持治具 | |
JP2003190150A (ja) | 口内法x線撮影用補助具 | |
KR102546849B1 (ko) | X-선 검사 시 자세 안정화 장치 | |
Ejima et al. | Influence of metal artifacts on in vivo micro-CT for orthodontic mini-implants | |
JP2004049797A (ja) | 呼吸状態検出センサの固定用ベルト | |
Kim et al. | Study on 3D printer production of auxiliary device for upper limb for medical imaging test | |
Yousef et al. | Radiation dose measurements during hysterosalpingography | |
Kim et al. | Real-time identification of upper airway occlusion using electrical impedance tomography | |
JP2022162161A (ja) | 核医学診断装置 | |
CN211355546U (zh) | 一种计算机x射线断层成像机 | |
Kim | Development of an Auxiliary Device for X-ray Examinations Using 3D Printing and Evaluation of Its Usefulness | |
KR101349316B1 (ko) | 환자용 고정 장치 | |
KR20110093180A (ko) | 의료용 영상진단장치 및 신체교정용 장치 | |
KR101916574B1 (ko) | 환자 맞춤형 자동 방사선 검사 테이블 | |
KR20160005518A (ko) | 엑스레이 촬영용 하지관절 정위치 고정장치 | |
Scappatura | Radiological examinations in patients with COVID-19 | |
Kim et al. | Shielding capability evaluation of mobile X-ray generator through the production assembled shield | |
JP7119963B2 (ja) | 核医学診断装置用被検者支持装置 | |
JP6127928B2 (ja) | 乳房専用核医学診断装置 | |
CN220676014U (zh) | 一种可降低伪影的ct检查辅助装置 | |
Lee et al. | Estimation of Appropriate Number of Radiologic Technologist Based on Analysis of Time Required for Computed Tomography | |
Joo et al. | A Study of Heart and Thoracic Size and Cardiothoracic Ratio on Chest Radiography in Digital-Radiography System | |
Yousif Mohamed et al. | Calculation of Radiation Dose Received in Cervical Vertebrae (C/S) Examin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