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979Y1 - 흡착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흡착용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979Y1
KR200464979Y1 KR2020100013324U KR20100013324U KR200464979Y1 KR 200464979 Y1 KR200464979 Y1 KR 200464979Y1 KR 2020100013324 U KR2020100013324 U KR 2020100013324U KR 20100013324 U KR20100013324 U KR 20100013324U KR 200464979 Y1 KR200464979 Y1 KR 2004649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sorption
cradle
suction plate
holder
suppor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33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4791U (ko
Inventor
김상현
Original Assignee
김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현 filed Critical 김상현
Priority to KR20201000133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979Y1/ko
Publication of KR201200047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7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9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97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1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 H04M1/12Adjustable supports, e.g. exten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6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uction c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흡착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차량 유리나 테이블 등에 부착시키는 작업이 별도의 흡착장치 없이도 거치대를 회동시키는 동작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 제품의 이용 편의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흡착용 거치대는, 매끄러운 평탄면에 진공 흡착이 이루어지게 될 연성재질의 흡착판(1)과; 상기 흡착판(1)에 당김력을 가하기 위해 중앙부위에 연결 구성된 연결대(2)와; 상기 흡착판(1)의 테두리부를 지지하며, 내부에는 흡착판(1)의 유동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대(2)가 중앙을 관통하게 되는 지지하우징(3)과; 상기 연결대(2)와 일단부에서 힌지핀(4)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진 거치대(10)와; 상기 거치대(10)의 단부에 돌출되어 거치대(10)의 회동시 지지하우징을 가압하는 가압돌기(11)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룸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흡착용 거치대{A SUPPORT DEVICE FOR ABSORPTION}
본 고안은 흡착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거치대의 고정을 위한 흡착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제품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일반 가정이나 사무소 등에서, 유리, 거울 또는 타일 등의 벽면에 피착물을 고정하기 위하여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고정구로는, 못(나사), 양면접착테잎 또는 접착제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고정구 중 일부는 견고함은 우수하지만 피착벽면 자체를 파손시킴으로써 피착물을 옮겨 달게 되는 경우에 미관상 좋지 못한 흔적이 남게 되거나, 또는 견고성이 불량하여 설치 후 귀중한 피착물이 낙하하여 파손되는 경우가 흔히 발생되었다.
이러한 벽면 파손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피착물의 위치변경이 용이한 고정수단으로서 현재 흔히 사용되고 있는 것이 흡착판을 이용한 진공흡착구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진공흡착구가 구비된 거치대를 이용하여 차량내 전면 유리 등에 내비게이션이나 핸드폰을 고정시킴과 함께, 테이블 스탠드 등의 매끄러운 면에 거치구의 흡착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 거치대에 구성된 진공흡착구는 흡착 고정을 위해서는 흡착판에 압착력을 가하기 위한 별도의 레버가 구비되어져야 함으로 부품수가 증가되어짐은 물론, 레버에 힘을 가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여성이나 노약자가 사용하기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흡착판에 가압력을 전달하기 위한 별도의 레버장치 없이도 누구나 쉽고 용이하게 흡착 가압력이 전달될 수 있는 흡착형 거치대 구조를 제공함으로서 제품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은, 매끄러운 평탄면에 진공 흡착이 이루어지게 될 연성재질의 흡착판과; 상기 흡착판에 당김력을 가하기 위해 중앙부위에 연결 구성된 연결대와; 상기 흡착판의 테두리부를 지지하며, 내부에는 흡착판의 유동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대가 관통되어지는 지지하우징과; 상기 연결대와 일단부에서 힌지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진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의 단부에 돌출되어 거치대의 회동시 지지하우징을 가압하는 가압돌기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룸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흡착용 거치대는, 차량 유리나 테이블 또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용 기기에 부착시키는 작업이 별도의 흡착장치 없이도 거치대를 회동시키는 동작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됨으로 제품의 이용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흡착용 거치대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흡착용 거치대의 측면 구조도.
도 3은 본 고안 흡착용 거치대의 측단면 구조도.
도 4는 본 고안 흡착용 거치대의 동작상태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 흡착용 거치대의 동작상태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흡착용 거치대의 동작상태 정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착용 거치대의 회동상태 정단면도.
도 8은 도 7의 A부 확대도.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압돌기가 다수개 구비된 상태의 측면 구조도.
도 10은 본 고안의 양면형 흡착용 거치대의 사용 상태도.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흡착용 거치대의 구조를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살펴보면, 연성고무재질의 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흡착판(1) 중앙에는 연결대(2)가 연결되어져 있으며, 지지하우징(3)은 대략 반원형태의 단면 구조를 이루어 흡착판(1)의 테두리부를 지지함과 함께 내부에 일정공간을 형성하며 중앙에는 연결대(2)가 관통되어지는 통공이 형성되어져 있다.
그리고, 연결대(2) 상단부에는 거치대(10)가 힌지핀(4)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구조를 이루고 있는데, 본 고안에서의 거치대(10) 일단부에는 가압돌기(11)가 돌출 구비되었다.
또한, 흡착판(1) 일측에는 손잡이부(1a)가 돌출 형성되었다.
본 실시 예에서의 거치대(10)는 상기 흡착판(1) 구성이 양면에 대칭형태로 구성됨으로서 일측 흡착판(1)은 평탄면에 흡착 고정되어지도록 하고, 타측 흡착판(1)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전자기기의 거치를 위해 기기 케이스와 흡착 고정이 이루어지도록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를 이루는 본 고안 흡착용 거치대의 흡착 고정 동작에 따른 작용효과를 도 4 내지 도 6 및 도 10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흡착용 거치대는 단면 또는 양면에 구비된 흡착판(1)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유리, 테이블 또는 휴대용 전자기기 등과 같은 흡착 대상물의 평탄면에 위치시킨 후 거치대(10)를 수직방향으로 회동시켜 들어올리게 되면, 흡착판(1)에 진공력이 작용하여 흡착 대상물에 고정되어질 수 있게 된다.
즉, 거치대(10)를 힌지핀(4)을 축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가압돌기(11)가 지지하우징(3)을 가압하게 됨으로 상대적으로 연결대(2)가 상승되어지고, 이에 따라 흡착판(1)의 중앙부위가 상승되어진다.
따라서, 흡착판(1)의 주변부는 지지하우징(3)에 의해 지지되어 흡착 대상물에 접해져 있는 상태에서 내부에 진공력이 작용하게 됨으로 흡착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흡착 고정상태를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반대로 거치대(10)를 수평방향으로 눕혀줌과 함께 흡착판(1) 일측에 구비된 손잡이부(1a)를 살짝 들어주게 되면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짐으로서 흡착판(1)의 진공력이 해제되어지게 되어 흡착 고정상태가 신속하게 해제되어지게 된다.
한편,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흡착용 거치대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하우징(3)에는 가압돌기(11)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홈(3a)을 형성하였으며, 안내홈(3a)에는 가압돌기(11)의 가압력에 따른 크랙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테프론 재질의 보호층(3b)을 코팅 형성시킨 것이다.
이와 같이 안내홈(3a) 형성구조를 이룸으로서 거치대(10) 회동시 가압돌기(11)를 안내하여 보다 안정적인 가압력이 작용되어질 수 있게 되며, 또한 안내홈(3a)에 테프론 재질의 보호층(3b)이 형성되어짐으로서 가압돌기(11)의 반복 동작에 따른 마모발생이 방지되어 지지하우징(3)의 크랙 또는 파손 현상이 방지되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가압돌기(11)는 지지하우징(3)과의 충격력을 분산시킴과 함께 안정적인 가압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높이를 달리하는 다수개로 구비되어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높이를 달리하는 가압돌기(11)에 따라 거치대(10)를 회동시키는 각도에 따라 점차 가압높이가 증가되어질 수 있게 됨으로, 흡착 대상물에 따라 적절한 흡착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을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의 흡착용 거치대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 : 흡착판 1a: 손잡이부
2 : 연결대 3 : 지지하우징
3a: 안착홈 3b: 보호층
4 : 힌지핀
10 : 거치대 11 : 가압돌기

Claims (5)

  1. 매끄러운 평탄면에 진공 흡착이 이루어지게 될 연성재질의 흡착판(1)과;
    상기 흡착판(1)에 당김력을 가하기 위해 중앙부위에 연결 구성된 연결대(2)와;
    상기 흡착판(1)의 테두리부를 지지하며, 내부에는 흡착판(1)의 유동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대(2)가 중앙을 관통하게 되는 지지하우징(3)과;
    상기 연결대(2)와 일단부에서 힌지핀(4)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진 거치대(10)와;
    상기 거치대(10)의 단부에 돌출되어 거치대(10)의 회동시 지지하우징을 가압하는 가압돌기(11)와;
    상기 가압돌기(11)를 안내하기 위해 지지하우징(3)에 형성된 안내홈(3a);
    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룸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용 거치대.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3a)에는 가압돌기(11)의 가압력에 따른 크랙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테프론재질의 보호층(3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용 거치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착판(1) 일측에는 손잡이부(1a)가 돌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용 거치대.

KR2020100013324U 2010-12-23 2010-12-23 흡착용 거치대 KR2004649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3324U KR200464979Y1 (ko) 2010-12-23 2010-12-23 흡착용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3324U KR200464979Y1 (ko) 2010-12-23 2010-12-23 흡착용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791U KR20120004791U (ko) 2012-07-03
KR200464979Y1 true KR200464979Y1 (ko) 2013-01-28

Family

ID=46852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3324U KR200464979Y1 (ko) 2010-12-23 2010-12-23 흡착용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97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6878A (ko) * 2021-11-22 2023-06-01 극동대학교 산학협력단 X-선 검사 시 자세 안정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4034B1 (ko) * 2019-01-11 2019-04-30 주식회사 그레이프이펙트 탈부착력을 강화한 스마트폰용 핸드그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7081Y1 (ko) * 2003-06-30 2003-09-19 리드센스 주식회사 흡착식 걸이장치
JP2006118243A (ja) 2004-10-22 2006-05-11 Eli Zhadanov シャワー保持器具及び浴室備品保持器具
KR20100083688A (ko) * 2009-01-14 2010-07-22 리히터 하랄트 피벗 레버를 구비한 흡입발 작동기구
KR20110006893U (ko) * 2009-12-31 2011-07-07 황현호 흡착기능을 가진 흡착자석비누홀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7081Y1 (ko) * 2003-06-30 2003-09-19 리드센스 주식회사 흡착식 걸이장치
JP2006118243A (ja) 2004-10-22 2006-05-11 Eli Zhadanov シャワー保持器具及び浴室備品保持器具
KR20100083688A (ko) * 2009-01-14 2010-07-22 리히터 하랄트 피벗 레버를 구비한 흡입발 작동기구
KR20110006893U (ko) * 2009-12-31 2011-07-07 황현호 흡착기능을 가진 흡착자석비누홀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6878A (ko) * 2021-11-22 2023-06-01 극동대학교 산학협력단 X-선 검사 시 자세 안정화 장치
KR102546849B1 (ko) * 2021-11-22 2023-06-23 극동대학교 산학협력단 X-선 검사 시 자세 안정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791U (ko) 2012-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539626A5 (ko)
EP1923617A3 (en) Display screen turning apparatus
US8511624B2 (en) Height adjustble display device
KR200464979Y1 (ko) 흡착용 거치대
WO2020181843A1 (zh) 指环支架
CN101877735A (zh) 支撑结构及具该支撑结构的便携式电子装置
JP2011047445A (ja) スタンド装置
WO2017041443A1 (zh) 固定结构和具有该固定结构的显示装置
CN204459647U (zh) 一种可调节平板电脑支架
WO2020181844A1 (zh) 指环支架
JP2013243203A (ja) 支持装置
JP2009026859A5 (ko)
JP2011137508A (ja) スタンド装置
KR101266862B1 (ko) 진공 흡착기
KR20150105887A (ko) 곡면형 터치 스크린 패널의 라미네이션장치
CN208977631U (zh) 一种自动定位夹治具
CN108930383B (zh) 一种五金装饰片与板材的固定结构
CN220493264U (zh) 一种无线控制的多路开关装置
CN206060870U (zh) 一种手机支架
CN211694262U (zh) 一种双吸盘真空支架
CN108700248B (zh) 云台及包括该云台的拍摄装置
CN104747885A (zh) 一种液晶电视使用的塑料支架
CN109674215B (zh) 便捷式笔记本电脑支架
CN210201901U (zh) 智能终端夹持装置
CN203424554U (zh) 墙画多功能餐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