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7484B1 - 소아 환자 고정 기구 - Google Patents

소아 환자 고정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7484B1
KR101727484B1 KR1020160061961A KR20160061961A KR101727484B1 KR 101727484 B1 KR101727484 B1 KR 101727484B1 KR 1020160061961 A KR1020160061961 A KR 1020160061961A KR 20160061961 A KR20160061961 A KR 20160061961A KR 101727484 B1 KR101727484 B1 KR 101727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iatric patient
pair
disposed
holes
body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1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현
최성민
정주영
양윤호
이대영
유송현
Original Assignee
(재)예수병원유지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예수병원유지재단 filed Critical (재)예수병원유지재단
Priority to KR1020160061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74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7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7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61B6/0478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는 소아 환자의 엑스레이 촬영을 보조하기 위해, 엑스레이 촬영용 이미지 디텍터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소아 환자 고정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바디부, 바디부의 측면에 배치되며, 이미지 디텍터가 안착 가능하게 바디부의 측면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함몰된 디텍터 안착부, 및 바디부의 상면으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돌출되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를 포함하며,
바디부는 그 상면에 배치되며, 상기 소아 환자의 다리를 수용하는 한 쌍의 홀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아 환자 고정 기구{THE SUPPORTING APPARATUS FOR A PEDIATRIC PATIENT}
본 발명은 소아 환자 고정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엑스 레이 촬영 시 소아 환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소아 환자 고정 기구에 관한 것이다.
소아 환자는 자유 분방한 움직임을 갖는다. 또한, 소아 환자는 연령에 따른 신체를 움직일 수 있는 능력을 갖는다. 예컨대, 소아 환자는 일어서지 못하고 기어 다닌다. 또한, 소아 환자는 특정 물품을 안정적으로 붙잡을 수 있는 능력을 갖지 못할 수 있다. 즉, 나이가 어릴수록, 소아 환자는 신체의 움직임을 스스로 제어하기 어렵다.
엑스 레이 촬영에서 정확한 이미지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소아 환자와 엑스 레이 촬영을 위한 이미지 디텍터는 서로 밀착 되어야 한다. 그러나, 소아 환자가 반복적으로 움직이거나 자세를 유지하고 있지 못하는 경우, 소아 환자와 이미지 디텍터의 사이의 갭에 의해 정확한 이미지가 확보되지 못한다.
또한, 소아 환자에 있어서, 엑스 레이 촬영의 대상이 되는 신체 부위와 기타 신체 부위가 중첩되게 배치되는 경우, 정확한 이미지가 확보되지 못한다. 예컨대, 소아 환자의 복부가 엑스 레이 촬영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소아 환자가 다리를 복부로 끌어 당겨 웅크린 상태에서 엑스 레이 촬영이 이루어지면, 복부에 대한 정확한 이미지가 확보되지 못한다.
종래에는, 소아 환자의 엑스 레이 촬영을 위해, 이미지 디텍터에 인접하게 테이블이 배치되었다. 소아 환자는 테이블 상에 위치하거나 테이블에 앉은 상태에서 엑스 레이 촬영 되었다. 따라서, 소아 환자는 보조인의 도움으로 테이블 상에서 엑스 레이 촬영을 위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인은 엑스 레이 노출을 피하기 위해 소아 환자의 자세를 고정하는데 제약이 따른다. 또한, 소아 환자는 다리 등을 쉽게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소아 환자의 자세에 의해 정확한 이미지가 확보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소아 환자의 자세 유지 능력 부족으로 인해, 소아 환자가 테이블의 외부로 떨어지는 등, 사고 위험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아 환자 고정 기구는 용이하게 자세를 유지하여 낙상을 예방할 수 있는 소아 환자 고정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아 환자 고정 기구는 소아 환자의 신체 부위를 중첩되지 않게 하여, 정확한 이미지를 확보할 수 있는 소아 환자 고정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아 환자 고정 기구는 소아 환자의 엑스레이 촬영을 보조하기 위해, 엑스레이 촬영용 이미지 디텍터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소아 환자 고정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이미지 디텍터가 안착 가능하게 상기 바디부의 측면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함몰된 디텍터 안착부, 및 상기 바디부의 상면으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돌출되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는 그 상면에 배치되며, 상기 소아 환자의 다리를 수용하는 한 쌍의 홀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소아 환자의 다리는 바디부의 상면에 배치된 한 쌍의 홀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소아 환자는 바디부의 상면에 앉은 자세를 쉽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소아 환자의 다리가 바디부에 의해 지지되지 않으므로, 소아 환자는 바디부 상에 서 이동되지 않는다. 한편, 바디부의 측면에 배치된 디텍터 안착부에 의해 소아 환자는 이미지 디텍터에 밀착될 수 있다. 이로써, 정밀하고 정확한 이미지의 확보가 가능하다. 또한, 소아 환자의 다리가 한 쌍의 홀에 삽입되므로, 엑스 레이 촬영 시 소아 환자의 다리와 복부가 중첩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복부에 대한 정확한 이미지의 확보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지지부는 상기 한 쌍의 홀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지지부는 소아 환자의 양 측면에 배치된다. 따라서, 한 쌍의 지지부는 소아 환자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소아 환자는 한 쌍의 지지부를 손으로 붙잡을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지지부는 소아 환자의 자세 유지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의 상면에 배치되되, 상기 바디부의 상면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쿠션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쿠션 부재는 상기 한 쌍의 홀에 대응하는 한 쌍의 쿠션 홀을 가지며, 또한, 상기 쿠션 부재는 상기 쿠션 홈의 내주면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홀에 삽입되는 원형 돌출부를 포함하는 소아 환자 고정 기구.
소아 환자는 바디부의 상면에 배치되는 쿠션 부재에 의해 편안함과 안락함을 제공받을 수 있다. 특히, 원형 돌출부가 한 쌍의 홀의 내주면을 덮음으로써, 소아 환자의 다리 부위에 쿠션감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원형 돌출부가 한 쌍의 홀에 삽입됨으로써, 쿠션 부재가 바디부의 상면에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홀을 사이에 두고 상기 디텍터 안착부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바디부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차폐하는 쉴딩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쉴딩 부재는 엑스 레이를 차단한다. 즉, 쉴딩 부재는 엑스 레이에 의해 소아 환자의 생식기 등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아 환자 고정 기구의 일 방향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소아 환자 고정 기구의 타 방향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소아 환자 고정 기구에 배치된 소아 환자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소아 환자 고정 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소아 환자 고정 기구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소아 환자 고정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소아 환자 고정 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쿠션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쿠션 부재의 배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쿠션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쉴딩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아 환자 고정 기구(10)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아 환자 고정 기구(10)의 일 방향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소아 환자 고정 기구(10)의 타 방향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소아 환자 고정 기구(10)에 배치된 소아 환자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소아 환자 고정 기구(10)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소아 환자 고정 기구(10)의 배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소아 환자 고정 기구(10)의 측면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소아 환자 고정 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아 환자 고정 기구(10)는 바디부(100), 바디부(100)의 측면에 배치된 디텍터 안착부(200), 및 바디부(100)의 상면에 배치된 한 쌍의 지지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바디부(100)는 상면과 4개의 측면을 가지는 박스(box)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바디부(100)는 상면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면을 가지거나, 가지지 않을 수 있다. 바디부(100)는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안착부(200)는 바디부(10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안착부(200)는 이미지 디텍터(11)가 안착 가능하게 바디부(100)의 측면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함몰된 디텍터 안착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디텍터 안착부(200)는 이미지 디텍터(11)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디텍터 안착부(200)는 안착부 수평면(210)과 안착부 수직면(230)을 가질 수 있다. 안착부 수평면(210)은 바디부(100)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또한, 안착부 수직면(230)은 바디부(100)의 측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이미지 디텍터(11)는 디텍터 안착부(200)에 안착될 수 있다. 이로써, 소아 환자와 이미지 디텍터(11)가 밀착될 수 있다.
바디부(100)는 한 쌍의 홀(110)을 가질 수 있다. 한 쌍의 홀(110)은 바디부(10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홀(110) 각각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은 이미지 디텍터(11)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소아 환자의 다리는 한 쌍의 홀(110)에 수용될 수 있다. 이로써, 소아 환자는 스스로 자세를 쉽에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바디부(100)는 캐스터(130)를 포함할 수 있다. 캐스터(130)는 바디부(1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캐스터(130)는 바디부(100)의 하면의 각 모서리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바디부(100)는 캐스터(130)에 의해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부(300)는 바디부(10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한 쌍의 지지부(300)는 제 1 지지부(310)와 제 2 지지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지지부(310)는 바디부(100)의 상면으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제 2 지지부(330)는 바디부(100)의 상면으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제 1 지지부(310)는 한 쌍의 홀(110)을 사이에 두고 제 2 지지부(330)로부터 이격된다.
다른 실시 예로, 제 1 지지부(310)는 바디부(100)의 일 측면에 고정되되, 제 1 지지부(310)의 최상단이 바디부(100)의 상면 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2 지지부(310)는 바디부(100)의 타 측면에 고정되되, 제 2 지지부(330)의 최상단이 바디부(100)의 상면 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 1 지지부(310)는 바디부(100)의 상면 중 일 모서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 2 지지부(330)는 바디부(100)의 상면 중 타 모서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쿠션 부재(40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쿠션 부재(400)의 배면도이며,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쿠션 부재(400)의 측면도이다.
도 8 내지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아 환자 고정 기구(10)는 쿠션 부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쿠션 부재(400)는 바디부(10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쿠션 부재(400)는 솜, 스펀지, 용수철 등의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쿠션 부재(400)는 바디부(100)의 상면에 위치하는 소아 환자에게 안락함과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쿠션 부재(400)는 한 쌍의 지지부(30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쿠션 부재(400)는 한 쌍의 홀(110)에 대응하는 한 쌍의 쿠션 홀(410)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쿠션 부재(400)는 상기 한 쌍의 쿠션 홀(410)의 내주면을 따라 배치된 원형 돌출부(430)를 포함한다. 원형 돌출부(430)는 쿠션 부재(400)의 하부를 향하여 원형으로 돌출될 수 있다. 원형 돌출부(430)는 한 쌍의 홀(110)에 적어도 일부 삽입될 수 있다. 즉, 원형 돌출부(430)는 한 쌍의 홀(110)의 내주면을 덮는다.
소아 환자는 바디부의 상면에 배치되는 쿠션 부재(400)에 의해 편안함과 안락함을 제공받을 수 있다. 특히, 원형 돌출부(430)가 한 쌍의 홀(110)의 내주면을 덮음으로써, 소아 환자의 다리 부위에 쿠션감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원형 돌출부(430)가 한 쌍의 홀(110)에 삽입됨으로써, 쿠션 부재(400)가 바디부(100)의 상면에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쿠션 부재(400)는 바디부(100)의 상면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쿠션 부재(400)를 용이하게 바디부(1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로써, 쿠션 부재(400)의 세척 및 소독이 용이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쉴딩 부재(5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아 환자 고정 기구(10)는쉴딩 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쉴딩 부재(500)는 한 쌍의 홀(110)을 사이에 두고 디텍터 안착부(200)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쉴딩 부재(50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쉴딩 부재(500)의 일 단은 제 1 지지부(31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쉴딩 부재(500)의 타단은 제 2 지지부(330)에 고정될 수 있다. 쉴딩 부재(500)는 바디부(100)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차폐시킬 수 있다. 이로써, 소아 환자는 생식기 부위에 엑스 레이에 의한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소아 환자의 엑스 레이 촬영을 보조하는 소아 환자 고정 기구에 관한 기술에 적용될 수 있다.
10 : 소아 환자 고정 기구
100 : 바디부
200 : 디텍터 안착부
300 : 한 쌍의 지지부
400 : 쿠션 부재
500 : 쉴딩 부재

Claims (5)

  1. 소아 환자의 엑스레이 촬영을 보조하기 위해, 엑스레이 촬영용 이미지 디텍터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소아 환자 고정 기구에 있어서,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이미지 디텍터가 안착 가능하게 상기 바디부의 측면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함몰된 디텍터 안착부; 및
    상기 바디부의 상면으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돌출되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는 그 상면에 배치되며, 상기 소아 환자의 다리를 수용하는 한 쌍의 홀을 가지는 소아 환자 고정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한 쌍의 홀을 사이에 두고 한 쌍으로 배치된 소아 환자 고정 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상면에 배치되되, 상기 바디부의 상면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쿠션 부재를 더 포함하는 소아 환자 고정 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부재는 상기 한 쌍의 홀에 대응하는 한 쌍의 쿠션 홀을 가지며,
    또한, 상기 쿠션 부재는 상기 쿠션 홀의 내주면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홀에 삽입되는 원형 돌출부를 포함하는 소아 환자 고정 기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홀을 사이에 두고 상기 디텍터 안착부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바디부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차폐하는 쉴딩 부재를 더 포함하는 소아 환자 고정 기구.
KR1020160061961A 2016-05-20 2016-05-20 소아 환자 고정 기구 KR101727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961A KR101727484B1 (ko) 2016-05-20 2016-05-20 소아 환자 고정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961A KR101727484B1 (ko) 2016-05-20 2016-05-20 소아 환자 고정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7484B1 true KR101727484B1 (ko) 2017-05-02

Family

ID=58742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1961A KR101727484B1 (ko) 2016-05-20 2016-05-20 소아 환자 고정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74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2559A1 (ko) * 2017-05-15 2018-11-22 전북대학교병원 영유아 엑스레이 검사용 기립자세 보조기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4780A (en) 1982-08-19 1984-08-07 Ruiz Gilbert G Pediatric restraint for X-ray photography
WO2002094100A1 (en) 2001-05-24 2002-11-2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Non-axial body computed tomography
JP2003501115A (ja) 1999-03-16 2003-01-14 ヒル−ロム,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ディジタル式x線カセットを備えた患者支持体
CN201814586U (zh) 2010-09-27 2011-05-04 刘广琥 多功能x线摄影架
CN202761299U (zh) 2012-07-31 2013-03-06 徐州医学院附属医院 婴幼儿胸部摄片固定装置
CN203107147U (zh) 2013-03-30 2013-08-07 潘英华 影像科用婴幼儿胸透固定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4780A (en) 1982-08-19 1984-08-07 Ruiz Gilbert G Pediatric restraint for X-ray photography
JP2003501115A (ja) 1999-03-16 2003-01-14 ヒル−ロム,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ディジタル式x線カセットを備えた患者支持体
WO2002094100A1 (en) 2001-05-24 2002-11-2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Non-axial body computed tomography
CN201814586U (zh) 2010-09-27 2011-05-04 刘广琥 多功能x线摄影架
CN202761299U (zh) 2012-07-31 2013-03-06 徐州医学院附属医院 婴幼儿胸部摄片固定装置
CN203107147U (zh) 2013-03-30 2013-08-07 潘英华 影像科用婴幼儿胸透固定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2559A1 (ko) * 2017-05-15 2018-11-22 전북대학교병원 영유아 엑스레이 검사용 기립자세 보조기구
KR101931240B1 (ko) * 2017-05-15 2018-12-21 전북대학교병원 영유아 엑스레이 검사용 기립자세 보조기구
US11039800B2 (en) 2017-05-15 2021-06-22 Ch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Upright posture assisting device for x-ray inspection of infan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7622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atient positioning in an imaging system
US11166681B2 (en) Adjustable computed tomography head fixator for neurological scans
KR102211920B1 (ko) 환자 지지를 위한 x-레이-최적화된 디바이스
KR102105853B1 (ko) 엑스 선 스티칭 지그
JP5619519B2 (ja) 医用頭部固定装置及び当該医用頭部固定装置を利用する医用寝台システム
KR102022477B1 (ko) 방사선영상 촬영을 위한 검사용 카세트 트레이 일체형 병실 침대
JP7030478B2 (ja) 撮影台および放射線撮影システム
KR101727484B1 (ko) 소아 환자 고정 기구
KR101931240B1 (ko) 영유아 엑스레이 검사용 기립자세 보조기구
JP2017006398A (ja) X線タルボ撮影装置
CN103110426A (zh) X线摄影辅助装置
JP2006197966A (ja) 画像診断装置及びその補助具
JP2012020025A (ja) シールド部材および撮影テーブル並びにx線ct装置
TW201417776A (zh) X射線測量輔助具
KR101625057B1 (ko) 방사선 촬영 보조 기구 및 방사선 촬영 장치
KR102150143B1 (ko) 해부체의 부분적 체적들의 배치
JP2005205082A (ja) X線ct撮影装置
KR101597963B1 (ko) 영유아를 위한 엑스-레이 촬영용 보조장치
KR20190086965A (ko) 이동형 방사선 차폐장치
KR101916574B1 (ko) 환자 맞춤형 자동 방사선 검사 테이블
JP7106313B2 (ja) 医用固定具
CN203252658U (zh) X线摄影辅助装置和x线摄影设备
CN216652315U (zh) 患者支承设备和医学x射线系统
KR20200099869A (ko) 엑스레이 촬영 테이블용 매트
JP2005095509A (ja) X線撮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