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212559A1 - 영유아 엑스레이 검사용 기립자세 보조기구 - Google Patents

영유아 엑스레이 검사용 기립자세 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212559A1
WO2018212559A1 PCT/KR2018/005556 KR2018005556W WO2018212559A1 WO 2018212559 A1 WO2018212559 A1 WO 2018212559A1 KR 2018005556 W KR2018005556 W KR 2018005556W WO 2018212559 A1 WO2018212559 A1 WO 201821255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infant
main body
standing posture
hole
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555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임호태
고명환
한갑수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병원
Priority to US16/613,424 priority Critical patent/US11039800B2/en
Publication of WO201821255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21255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61B6/0407Supports, e.g. tables or beds, for the body or parts of the body
    • A61B6/0421Supports, e.g. tables or beds, for the body or parts of the body with immobilising mean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nding posture assistive device for infant x-ray inspe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anding posture assistive device for infant x-ray examination capable of stably fixing infants x-rays.
  • X-ray imagin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medical activities in the modern era, in which high radiation is used to determine the patient's condition.
  • infants who are not aware of the risk may have a high frequency of retake due to movement or instability during X-ray imaging.
  • the guardian and assistant hold the infant at the time of shooting, in this case, the guardian and assistant has a risk of radiation exposure during X-ray imaging.
  • a hand such as a guardian holding the infant's body may be photographed, which may cause errors and obstacles in the examination.
  • an assisting device for fixing infants has been developed, but it still holds the infant unstable, re-shooting occurs somewhat, and there is a risk of infants falling from the assisting device.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o prevent the guardian and the like to be exposed to the radiation while ensuring that the X-ray imaging is accurately and easily secured to the infant when the guardian or the like does not hold the infant during X-ray imaging of the infant
  •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tanding posture assistive device for infant x-ray examination.
  • the standing posture assistive device for infant x-ray exami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disposed in front of the x-ray detector and having an empty space therein; An insertion hole formed to insert an infant's leg into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 handle part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 the handle portion is coupled to the top of the side fixing.
  • the side stand is mounted to the body so as to be mov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 the side stand is a pair of support plates dispos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insertion hole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infant; Guide protrusions protru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support plate; and the rail grooves are formed on the main body to move the guide protrusions.
  • the main body is formed with a first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rail groove
  • the guide protrusion is formed with a second through hole
  • any one or more of the first through hole or the second through hole is made of a plurality
  • the stop The member has a pin shape and is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to fix the guide protrusion.
  • An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infant, is coupled with a buffer material through which X-rays pass.
  • the front stop guard for connecting a pair of mutually spaced side fasteners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main body, the front stop guard is made of a material X-rays penetrate.
  •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is equipped with a footrest for supporting the feet of the infant is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the footrest is mount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relative to the main body.
  • the rear of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seating portion is sea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X-ray detector, the locking jaw that is caught on the back of the X-ray detector protrudes from the rear of the mounting portion.
  • the X-ray imaging can be made accurately and easily by securely fixing the infant using a side stand, etc., without the caregiver holding the infant during X-ray imaging.
  • the guardian does not hold the infant, the guardian and the lik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to radiation, and only the infant's body is photographed through X-rays, thereby increasing the accuracy of the test.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nding posture assistive device for infant x-ray examin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tanding posture assistive device for infant x-ray examin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front view of the standing posture assistive device for infant x-ray examin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side cross-sectional structur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 5a to 5b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ide stand of the standing posture assistive device for infant x-ray examin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6A to 6C are sid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coupling a standing posture assistive device for infant x-ray examin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n X-ray detector
  • Figure 7 is a front view of a state in which infants ride on the standing posture assistive device for infant x-rays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tanding posture assisting device for infant x-ray exami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a side stand 20, and a handle 30 as shown in FIGS. 1 to 7.
  • the main body 1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X-ray detector 50, and an empty space is formed therein.
  • the detector 50 is composed of a commonly used DR detector.
  • the main body 10 is formed in a hexahedron shape, but may be formed in a shape other than the hexahedron.
  •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has an insertion hole 11 for inserting the infant's legs.
  • the insertion hole 11 may be made of only one, so that both legs are inserted, or two may be formed as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 so that each insertion hole 11 is inserted one leg.
  • a buffer material such as a sponge is disposed between the two insertion holes 11 so as not to inconvenience the legs of the infant.
  • a rea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is formed with a seating portion 14 on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X-ray detector 50 is seated.
  • the jaw 15 is protruded.
  • the X-ray detector 50 When the lower portion of the X-ray detector 50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14 by the seating portion 14 and the locking jaw 15 as described above, the X-ray detector 50 by the locking jaw 15. And the main body 1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reby preventing the main body 10 from being separated or separated from the X-ray detector 50.
  • the side stand 2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so that the infant is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pelvis or flanks of the infant to maintain a fixed state without shak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 the side stand 20 is mounted to be movable in the later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 so that it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body size of the infant.
  • the side stand 20 as described above, comprises a support plate 21 and the guide protrusion 22.
  • the support plate 21 is composed of two plates and dispos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insertion hole 11 and abuts the side of the infant.
  •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21, that is,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infant is coupled with a buffer material (not shown) through which the X-rays, the support plate 21 is strongly pressed to the side of the infant to prevent accidents from occurring Do it.
  • the buffer material is preferably made of a sponge or the like X-rays are transmitted.
  • the guide protrusion 22 protrudes from the support plate 2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the main body 10 has a rail groove 12 for seating and moving the guide protrusion 22 is formed to be conca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the guide protrusion 22 moves along the rail groove 12 so that the side stand 20 is stabl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main body 10. I can move it.
  • the guide member 22 for moving along the rail groove 12 may be further comprises a stop member 25 for fixing.
  • the stop member 25 is made of various structures known in the art so that the guide protrusion 22 is not moved.
  • a first through hole 13 penetrating the rail groove 12 is formed in the main body 10, and the guide protrusion 22 is formed.
  • the second through hole 23 is formed therein.
  • any one or more of the first through hole 13 or the second through hole 23 is made of a plurality, the stop member 25 is made of a pin shape of the first through hole 13 and the second The guide protrusion 22 is fixed to the through hole 23.
  • the side stand 20 as described above may be absent, but by being present it can prevent the infan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1 of the main body 1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 the handle portion 3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ide stand 20, so that infants hold the handle portion 30.
  • the handle 30 may be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 it may further comprise a front stop guard 40 for connecting the pair of the side stand 2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 the front stop guard 40 is made of a wire or rod, to prevent the infant bend forward, the front stop guard 40 can adjust its length.
  • the front stop guard 40 is made of a variety of materials that can pass through the X-rays.
  •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10 may be equipped with a footrest 19 for supporting the feet of infants whose lower body is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10.
  • the scaffold 19 is mount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
  • a slide hole 18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10, and the support bar 19a is inserted into the slide hole 18 and stopped while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installed.
  • a stop hole 18a is formed in the slide hole 18 so that the footrest 19 remains in a stopped state when the support rod 19a is inserted into the stop hole 18a.
  • the stool 19 By mounting the stool 19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the stool 19 can be mov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infant so that the infant can stand on the stool 19 to stand stably. .
  • the infant's leg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1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 the stop member 25 is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13 and the second through hole 23 to stop the movement of the side stand 20. .
  • Infants and infants can be maintained in a fixed state by shaking the left and righ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s described above.
  • the front stop guard 40 is installed to prevent the infants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from moving forward.
  • the auxilia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to the position where the X-ray detector 50 is located.
  • the lower part of the X-ray detector 50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14 form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10.
  • a locking jaw 15 is formed below the seat 14, and the locking jaw 15 is caught by the rear surface of the X-ray detector 50.
  • the main body 10 is joined by the X-ray detector 50 to the main body 10 by the seating portion 14 and the locking jaw 15. X-ray examination can be performed in a stationary state without being moved.
  • auxilia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X-ray photographing infants, such as a guardian can securely fix the infants without holding the infants X-rays can be made accurately and easily.
  • the guardian does not hold the infant, the guardian and the lik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to radiation, and only the infant's body is photographed through X-rays, thereby increasing the accuracy of the test.
  • the standing posture assistive device for infant x-ray exami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assistive device to maintain the infant standing state at the X-rail test, there is industrial applicabil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유아 엑스레이 검사용 기립자세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영유아를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엑스레이 촬영을 할 수 있는 영유아 엑스레이 검사용 기립자세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영유아 엑스레이 검사용 기립자세 보조기구는, 엑스레이 디텍터의 전방에 배치되고, 내부에 빈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면에 영유아의 다리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삽입공과; 상기 본체의 상면 양측에 장착된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영유아 엑스레이 검사용 기립자세 보조기구
본 발명은 영유아 엑스레이 검사용 기립자세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영유아를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엑스레이 촬영을 할 수 있는 영유아 엑스레이 검사용 기립자세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엑스레이 촬영은 높은 방사선을 조사하여 환자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현대시대에 빼놓을 수 없는 의료행위 중 한 가지다.
다만, 엑스레이는 높은 방사선에 의한 위험을 동반하기 때문에 사용자 및 환자는 엑스레이 촬영 시 환자 및 사용자는 되도록 한 번의 촬영으로 끝내야 하는 부담감이 있다.
하지만, 위험을 인식하지 못하는 영유아의 경우 엑스레이 촬영시 움직이거나 불안정한 자체로 인해 재촬영 빈도수가 높을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비교적 산만한 영유아의 재촬영을 방지하기 위해 촬영 시 보호자 및 보조자가 영유아를 잡고 있지만, 상기와 같은 경우에는 보호자 및 보조자가 엑스레이 촬영시 방사선 노출이라는 위험부담을 가진다.
또한, 영유아의 몸을 잡고 있는 보호자 등의 손 등이 촬영되어 검사에 오류 및 장애요소로 작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영유아를 고정하기 위한 보조장치가 개발되어 왔지만, 여전히 영유아를 불안정하게 잡아주어 재촬영이 다소 발생하고, 보조장치에서 영유아가 낙상되는 위험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영유아의 엑스레이 촬영시 보호자 등이 영유아를 잡지 않고도 영유아를 안전하게 고정시켜 엑스레이 촬영이 정확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보호자 등이 방사선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영유아 엑스레이 검사용 기립자세 보조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영유아 엑스레이 검사용 기립자세 보조기구는, 엑스레이 디텍터의 전방에 배치되고, 내부에 빈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면에 영유아의 다리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삽입공과; 상기 본체의 상면 양측에 장착된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의 상면 양측에는 영유아의 측면에 접하여 영유아를 고정시키는 한쌍의 측면고정대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측면고정대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측면고정대는 상기 본체에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측면고정대는, 상기 삽입공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어 영유아의 측면에 접하는 한쌍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서 상기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안착되어 이동하는 레일홈이 형성된다.
상기 레일홈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가이드돌기를 고정시키는 정지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에는 상기 레일홈을 관통하는 제1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돌기는 제2관통공이 형성되되, 상기 제1관통공 또는 제2관통공 중 어느 하나 이상은 다수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정지부재는 핀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돌기를 고정시킨다.
영유아의 측면에 접하는 상기 지지판의 안쪽면에는 엑스레이가 투과하는 완충재가 결합되어 있다.
상호 이격된 한쌍의 측면고정대를 상기 본체의 전방 방향에서 연결하는 전방정지보호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전방정지보호대는 엑스레이가 투과하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하체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영유아의 발을 지지하는 발판이 장착되되, 상기 발판은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본체의 후방에는 상기 엑스레이 디텍터의 하부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의 후방에는 상기 엑스레이 디텍터의 뒷면에 걸리는 걸림턱이 돌출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영유아 엑스레이 검사용 기립자세 보조기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보조기구에 의해, 영유아의 엑스레이 촬영시 보호자 등이 영유아를 잡지 않고도 측면고정대 등을 이용하여 영유아를 안전하게 고정시켜 엑스레이 촬영이 정확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보호자가 영유아를 잡고 있지 않기 때문에 보호자 등이 방사선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영유아의 신체만 엑스레이를 통해 촬영되는바, 검사의 정확도를 더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엑스레이 검사용 기립자세 보조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엑스레이 검사용 기립자세 보조기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엑스레이 검사용 기립자세 보조기구의 정면도,
도 4는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측단면구조도,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엑스레이 검사용 기립자세 보조기구의 측면고정대의 작동과정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엑스레이 검사용 기립자세 보조기구를 엑스레이 디텍터에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엑스레이 검사용 기립자세 보조기구에 영유아가 탑승한 상태의 정면도.
본 발명의 영유아 엑스레이 검사용 기립자세 보조기구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와, 측면고정대(20)와, 손잡이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는 엑스레이 디텍터(50)의 전방에 배치되고, 내부에 빈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디텍터(5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DR 디텍터 등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 상기 본체(10)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육면체 이외의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본체(10)의 상면에는 영유아의 다리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공(11)은 1개만으로 이루어져 양다리가 모두 삽입되도록 할 수도 있고, 본 실시예의 도면과 같이 2개가 형성되어 각각의 삽입공(11)이 다리 하나씩 삽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삽입공(11)이 2개 형성된 경우에는 2개의 삽입공(11) 사이에 스폰지와 같은 완충재를 배치하여 영유아의 다리 사이가 불편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후방에는 상기 엑스레이 디텍터(50)의 하부가 안착되는 안착부(14)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14)의 후방에는 상기 엑스레이 디텍터(50)의 뒷면에 걸리는 걸림턱(15)이 돌출형성된다.
위와 같은 상기 안착부(14) 및 걸림턱(15)에 의해, 상기 엑스레이 디텍터(50)의 하부가 상기 안착부(14)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걸림턱(15)에 의해 상기 엑스레이 디텍터(50)과 상기 본체(10)가 결합하게 되어, 상기 본체(10)가 상기 엑스레이 디텍터(50)으로부터 분리되거나 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측면고정대(20)는 상기 본체(10)의 상면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영유아의 골반 또는 옆구리 등의 측면에 접함으로써 영유아가 좌우방향으로 흔들리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측면고정대(20)는 상기 본체(10)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영유아의 몸 크기에 따라 가변될 수 있도록 한다.
위와 같은 상기 측면고정대(20)는, 지지판(21)과 가이드돌기(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판(21)은 2개의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삽입공(11)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고, 영유아의 측면에 접한다.
이때, 상기 지지판(21)의 안쪽면 즉 영유아의 측면에 접하는 면에서는 엑스레이가 투과하는 완충재(미도시)가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21)이 영유아의 측면을 강하게 가압하여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완충재는 엑스레이가 투과하는 스펀지 등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돌기(22)는 상기 지지판(21)에서 상기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가이드돌기(22)가 안착되어 이동하기 위한 레일홈(12)이 수평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측면고정대(20)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가이드돌기(22)는 상기 레일홈(12)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측면고정대(20)가 상기 본체(10)의 좌우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레일홈(12)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가이드돌기(22)를 고정시키기 위한 정지부재(2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정지부재(25)는 종래의 공지된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가이드돌기(22)가 이동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돌기(22)가 이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10)에 상기 레일홈(12)을 관통하는 제1관통공(1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돌기(22)에는 제2관통공(23)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관통공(13) 또는 제2관통공(23) 중 어느 하나 이상은 다수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정지부재(25)는 핀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관통공(13) 및 제2관통공(23)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돌기(22)를 고정시킨다.
위와 같은 상기 측면고정대(20)는 없을 수도 있으나, 존재함으로써 상기 본체(10)의 삽입공(11)에 하체가 삽입된 영유아가 좌우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30)는 상기 측면고정대(20)의 상부에 결합되어, 영유아가 상기 손잡이부(30)를 잡고 있도록 한다.
상기 측면고정대(20)가 없는 경우 상기 손잡이부(30)는 상기 본체(10)의 상면 양측에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상호 이격된 한쌍의 상기 측면고정대(20)를 상기 본체(10)의 전방 방향에서 연결하는 전방정지보호대(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방정지보호대(40)는 와이어 또는 막대 등으로 이루어져, 영유아가 전방으로 구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상기 전방정지보호대(40)는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방정지보호대(40)는 엑스레이가 투과할 수 있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하부에는 하체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영유아의 발을 지지하는 발판(19)이 장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발판(19)은 상기 본체(1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10)의 측면에는 슬라이드공(18)을 형성하였고, 상기 발판(19)에는 상기 슬라이드공(18)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정지되는 지지봉(19a)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공(18)에는 정지공(18a)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봉(19a)이 상기 정지공(18a)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발판(19)은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발판(19)을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영유아의 키에 따라 상기 발판(19)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영유아가 상기 발판(19)에 올라서서 안정적으로 서 있게 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사용방법 등에 대하여 살펴본다.
먼저, 영유아의 다리를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삽입공(11)에 삽입한다.
그 후 도 5a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고정대(20)를 이용하여 영유아의 측면을 고정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판(21) 등을 잡고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가이드돌기(22)는 상기 레일홈(12)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지지판(21)이 영유아의 측면에 접하게 되면 상기 정지부재(25)를 상기 제1관통공(13)과 제2관통공(23)에 삽입하여, 상기 측면고정대(20)의 이동을 정지시킨다.
위와 같은 상기 측면고정대(20)에 의해 영유아가 좌우방향으로 흔들리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전방정지보호대(40)를 설치하여,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배치된 영유아가 전방으로 유동되는 것도 저지하도록 한다.
위와 같은 과정이 완료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영유아의 탑승 및 고정이 완료되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엑스레이 디텍터(50)을 상승시킨다.
그 후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조기구를 상기 엑스레이 디텍터(50)이 있는 곳까지 이동시킨다.
그리고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엑스레이 디텍터(50)을 하강시킨다.
그러면 상기 엑스레이 디텍터(50)의 하부는 상기 본체(10)의 후방에 형성된 안착부(14)에 안착되게 된다.
이때, 상기 안착부(14)의 하부에는 걸림턱(15)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걸림턱(15)은 상기 엑스레이 디텍터(50)의 뒷면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바퀴가 있지만, 상기 엑스레이 디텍터(50)이 상기 안착부(14) 및 걸림턱(15)에 의해 상기 본체(10)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본체(10)가 임으로 이동됨이 없이 정지된 상태에서 엑스레이 검사를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보조기구에 의해, 영유아의 엑스레이 촬영시 보호자 등이 영유아를 잡지 않고도 영유아를 안전하게 고정시켜 엑스레이 촬영이 정확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보호자가 영유아를 잡고 있지 않기 때문에 보호자 등이 방사선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영유아의 신체만 엑스레이를 통해 촬영되는바, 검사의 정확도를 더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인 영유아 엑스레이 검사용 기립자세 보조기구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엑스레일 검사시 영유아가 서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보조기구에 적용될 수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Claims (10)

  1. 엑스레이 디텍터의 전방에 배치되고, 내부에 빈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면에 영유아의 다리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삽입공과;
    상기 본체의 상면 양측에 장착된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엑스레이 검사용 기립자세 보조기구.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면 양측에는 영유아의 측면에 접하여 영유아를 고정시키는 한쌍의 측면고정대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측면고정대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엑스레이 검사용 기립자세 보조기구.
  3.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측면고정대는 상기 본체에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엑스레이 검사용 기립자세 보조기구.
  4.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측면고정대는,
    상기 삽입공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어 영유아의 측면에 접하는 한쌍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안착되어 이동하는 레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엑스레이 검사용 기립자세 보조기구.
  5.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레일홈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가이드돌기를 고정시키는 정지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엑스레이 검사용 기립자세 보조기구.
  6. 청구항5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레일홈을 관통하는 제1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돌기는 제2관통공이 형성되되,
    상기 제1관통공 또는 제2관통공 중 어느 하나 이상은 다수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정지부재는 핀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돌기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엑스레이 검사용 기립자세 보조기구.
  7. 청구항4에 있어서,
    영유아의 측면에 접하는 상기 지지판의 안쪽면에는 엑스레이가 투과하는 완충재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엑스레이 검사용 기립자세 보조기구.
  8. 청구항2에 있어서,
    상호 이격된 한쌍의 측면고정대를 상기 본체의 전방 방향에서 연결하는 전방정지보호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전방정지보호대는 엑스레이가 투과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엑스레이 검사용 기립자세 보조기구.
  9.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하체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영유아의 발을 지지하는 발판이 장착되되,
    상기 발판은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엑스레이 검사용 기립자세 보조기구.
  10.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후방에는 상기 엑스레이 디텍터의 하부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의 후방에는 상기 엑스레이 디텍터의 뒷면에 걸리는 걸림턱이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엑스레이 검사용 기립자세 보조기구.
PCT/KR2018/005556 2017-05-15 2018-05-15 영유아 엑스레이 검사용 기립자세 보조기구 WO2018212559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613,424 US11039800B2 (en) 2017-05-15 2018-05-15 Upright posture assisting device for x-ray inspection of infa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685A KR101931240B1 (ko) 2017-05-15 2017-05-15 영유아 엑스레이 검사용 기립자세 보조기구
KR10-2017-0059685 2017-05-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12559A1 true WO2018212559A1 (ko) 2018-11-22

Family

ID=64274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5556 WO2018212559A1 (ko) 2017-05-15 2018-05-15 영유아 엑스레이 검사용 기립자세 보조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039800B2 (ko)
KR (1) KR101931240B1 (ko)
WO (1) WO20182125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949Y1 (ko) * 2019-07-12 2021-01-07 박용범 다리 정맥 검사용 진료대
KR20210081856A (ko) 2019-12-24 2021-07-02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유아 자세 보정기
CN113069140B (zh) * 2021-03-24 2024-04-02 许风珍 一种放射科用ct扫描人体站立辅助架
KR102618235B1 (ko) * 2021-11-25 2023-12-27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엑스레이 촬영용 보조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4780A (en) * 1982-08-19 1984-08-07 Ruiz Gilbert G Pediatric restraint for X-ray photography
CN2650708Y (zh) * 2003-10-21 2004-10-27 杨丰才 X线透视辅助升降椅
KR20040095603A (ko) * 2002-03-14 2004-11-15 팀 쉰켈 높은 의자
JP3770069B2 (ja) * 2000-10-20 2006-04-26 株式会社松永製作所 歩行器
KR101163125B1 (ko) * 2010-04-30 2012-07-06 제이엔티(주) 재활치료 환자를 위한 다기능 전동식 보행기
KR101727484B1 (ko) * 2016-05-20 2017-05-02 (재)예수병원유지재단 소아 환자 고정 기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57997A (en) * 1955-06-21 1956-08-07 Picker X Ray Corp X-ray table accessory
US2926256A (en) * 1958-06-30 1960-02-23 Russell P Rankin Pediatric x-ray apparatu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4780A (en) * 1982-08-19 1984-08-07 Ruiz Gilbert G Pediatric restraint for X-ray photography
JP3770069B2 (ja) * 2000-10-20 2006-04-26 株式会社松永製作所 歩行器
KR20040095603A (ko) * 2002-03-14 2004-11-15 팀 쉰켈 높은 의자
CN2650708Y (zh) * 2003-10-21 2004-10-27 杨丰才 X线透视辅助升降椅
KR101163125B1 (ko) * 2010-04-30 2012-07-06 제이엔티(주) 재활치료 환자를 위한 다기능 전동식 보행기
KR101727484B1 (ko) * 2016-05-20 2017-05-02 (재)예수병원유지재단 소아 환자 고정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1240B1 (ko) 2018-12-21
KR20180125191A (ko) 2018-11-23
US20200100735A1 (en) 2020-04-02
US11039800B2 (en) 202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212559A1 (ko) 영유아 엑스레이 검사용 기립자세 보조기구
WO2011139062A2 (ko) 환자 이동용 침대
WO2013069952A1 (en) Separation type bed
WO2012060658A2 (ko) 다기능 의자
WO2017179745A1 (ko) 위치변경이 가능한 유아용 카시트
WO2021002663A1 (ko) 보행 자동화 로봇 시스템
WO2019132108A1 (ko) 노약자용 보행 보조기
WO2014025077A1 (ko) 건설기계 시트용 아암 레스트 높이 조절장치
WO2016137094A1 (ko) 침대와 좌변기 부설 휠체어로 변환가능한 환자용 베드체어
WO2019103402A1 (ko) 사지 촬영용 자기공명영상 시스템
WO2015083944A1 (ko) 육아 보조기구
WO2013147420A1 (ko) 무릎관절 회전각 측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측정 방법
WO2018084389A1 (ko) 기울기 조절 및 다리 운동이 가능한 발판
WO2019088535A1 (ko) 하체 재활 치료 장치
WO2020180096A1 (ko) 탈부착형 낙상방지 침대 보조손잡이
US5031202A (en) Tower stand cooperating with a patient table for X-ray or similar examination
CN216907993U (zh) 一种新型医用摄片辅助椅
WO2020091195A1 (ko) 휴대용 운동기구
JP5494413B2 (ja) X線撮影用衝立およびx線撮影装置
WO2018080037A1 (ko)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아이스하키용 썰매
KR101727484B1 (ko) 소아 환자 고정 기구
WO2013069842A1 (ko) 컴퓨터 단층촬영장치
WO2023054889A1 (ko) 스케이트 슬라이딩 방식의 운동 기구
WO2019050231A1 (ko) 치과용 서포트 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 촬영 장치
CN219516328U (zh) 一种儿童放射检查防护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0191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0191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