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5603A - 높은 의자 - Google Patents

높은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5603A
KR20040095603A KR10-2003-7009198A KR20037009198A KR20040095603A KR 20040095603 A KR20040095603 A KR 20040095603A KR 20037009198 A KR20037009198 A KR 20037009198A KR 20040095603 A KR20040095603 A KR 200400956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base plate
nut
backrest
foot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9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팀 쉰켈
Original Assignee
팀 쉰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팀 쉰켈 filed Critical 팀 쉰켈
Publication of KR20040095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560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002Children's chairs adjustable
    • A47D1/004Children's chairs adjustable in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4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 spindle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등받이를 구비하고 좌석 표면을 구비하며, 의자의 다리가 그에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높은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며, 좌석 표면(4)은 중앙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를 통하여 통과되는 하방향으로 지향하는 나사화된 로드(5)를 중앙에 가지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와 상기 자석 표면(4)의 사이 또는 상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의 아래에서 상기 나사화된 로드(5)에 미끄러질 수 있는 스페이서 링(6)이 제공되며, 상기 스페이서 링(6)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와 너트(7) 사이 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와 좌석 표면(4) 사이에서 너트(7)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높은 의자{High chair}
본 발명에 따른 높은 의자는 의자의 높이와 등받이 위치에 관련하여 어린이의 성장에 적합될 수 있어야 한다. 동시에 높은 의자는 안정적이고 견고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생리학적이고 생태학적인 이유로, 거의 전적으로 나무로 만들어져야만 한다.
본 발명은 높은 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 은 의자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2 내지 도 4 는 의자의 치수에 대한 바람직한 범위를 도시한다.
도 5a 및 도 5b 는 발판이 연속적으로 높이에서 조절될 수 있는 것을 나타내도록 발판의 바람직한 적용예를 정면으로부터(도 5a) 그리고 저면으로부터(도 5b)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 범위 제 1 항에 따른 높은 의자에 의해서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높은 의자의 다른 장점 및, 특징들은 다음의 청구 범위 제 2 항 내지 제 8 항에서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의자는 의자의 다리가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 좌석 표면(4) 및, 등받이(3)를 가진다.
좌석 표면(4)은 중앙에 하방향으로 지향하는 나사화된 로드(5)를 가지는데, 상기 나사는 베이스 플레이트(1)내의 중앙 구멍을 통과한다. 스페이서 링(6)은 좌석 표면(4)과 베이스 플레이트(1) 사이의 나사화된 로드(5)상으로 측방향의 미끄러짐을 위해서 제공되는데, 배치 또는 좌석 표면(4), 스페이서 링 또는 스페이서 링들(6)과 베이스 플레이트(1)가 나사화된 로드(5)의 단부 영역으로 나사 결합될 수 있는 너트(7)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가장 높은 지점에서, 모든 스페이서 링(6)은 좌석 표면(4)과 베이스 플레이트(1) 사이에 배치된다. 어린이가 성장함에 따라서, 이러한 스페이서 링(6)들은 점진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아래에서 나사화된 로드(5)상으로 미끄러질 수 있으며 이들은 너트(7)를 조임으로써 고정되고 지지된다. 스페이서 링(6)은 바람직스럽게는 슬롯 형상의 개구(6a)를 가지며, 상기 개구부는 스페이서 링이 나사화된 로드(6)상으로 측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게 한다.
설명된 구현예에 있어서, 등받이(3)는 좌석 표면(4)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1)에 고정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등받이(3)의 측부 직립부(3a)가 고정되는 등받이 베이스 플레이트(8)가 제공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예를 들면 등받이 베이스플레이트(8)는 등받이 직립부(3a)를 미끄러뜨려서 고정시키도록 옆의 구멍(8a)을 가진다.
등받이 베이스 플레이트(8)의 중앙에 슬롯 형상의 요부가 제공되는데, 이것은 의자의 전방 가장자리로 거의 직각으로 이어진다. 나사화된 로드(5)는 슬롯 형상의 요부내에서 안내될 수 있어서 등받이가 그에 의해 의자의 전방 가장자리로 직각으로 변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높이가 조절될 수 있는 높은 의자는 등받이 위치와 관련해서 가변적이도록 구성된다.
다른 구현예에서는 전방의 평행한 2 개의 의자 다리(2)에 발판(9)이 제공되는데, 이것은 거기에서 연속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게 배치된다. 도 1 에 도시된 발판(9)은 2 개의 부분인데. 여기에서 2 개의 부분들은, 예를 들면 발의 2 개 부분을 접합시키는 도시되지 않은 탈착 가능한 나사에 의해서, 전방 다리들(2)을 그 안에서 사이에 클램프시켜서 유지한다.
또한 안전 바아(10)가 제공되는데, 이것은 베이스 플레이트(1), 좌석 표면(4)에 고정되고, 바람직스럽게는 등받이 베이스 플레이트(8)에 고정되어, 어린이가 의자 밖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좌석 표면(4)의 장식 및, 등받이(3)의 장식을 제외하고는 높은 의자가 나무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높이 의자의 위치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필요하다면 제거될 수 있는 베이스 연장부(11)가 의자 다리(2)의 발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이것은 바람직스럽게는 반구형 발(11)을 구비하는데, 반구형 발은 필요하다며 동물의 다리 또는 동물의 발과 같이 성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높은 의자의 바람직스러운 치수는 도 2, 도 3 및, 도 4 로부터 얻을 수 있다. 스페이서 링(6)의 두께는 바람직스럽게는 3cm 이며, 이것의 직경은 바람직스럽게는 12 cm 이다. 너트(7)의 두께는 바람직스럽게는 3cm 이며, 그 직경은 8cm 이다. 그 원주는 바람직스럽게는 수동의 작용을 위해서 디자인된다. 나사화된 로드(5)의 직경은 바람직스럽게는 3cm 이다.
도 5a 및, 도 5b 에 있어서, 발판(9)은 적용예의 바람직한 유형으로 도시되어 있다. 발판은 전방의 의자 다리들(2)에 대응하는 개구(11)를 가지는데, 개구를 통해서 이들 의자 다리가 안내된다. 발판(9)은 의자 다리(2)상에서 자유롭게 변위될 수 있으며 원호 형상으로 성형된 나무 클램프(12)에 의해서 그 어떤 높이로도 그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는 아래로부터 의자 다리(2)와 발판(9)에 대하여 놓이는 단부를 가지며 발판과 성형 나무 클램프(12)를 통하여 하방향으로 통과하는나사 및, 성형 나무 클램프(12)에 대하여 아래로부터 작용하는 너트(14)에 의해서 발판(9)의 아래에 유지된다. 너트를 조임으로써, 성형 나무 클램프(12)는 그것의 곡률과 관련하여 평탄해지며 따라서 의자의 다리(2)에 대하여 펼쳐지게 됨으로써, 발판(9)은 그것의 높이에 고정되다. 바람직스럽게는 나무로 만들어진 너트(14)는 손으로 편리하게 돌릴 수 있도록 넓다. 또한 나무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스러운 나사(13)는 헤드 단부에서 사각형을 가져서, 그것으로써 지지부(9)내의 사각형 구멍에 안착되며, 그에 의해서 너트(12)가 회전될 때 나사(13)가 너트(12)와 함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어린이용 의자에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Claims (8)

  1. 등받이를 구비하고 좌석 표면을 구비하며, 의자 다리가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높은 의자로서,
    좌석 표면(4)은 베이스 플레이트(1)를 통하여 중앙으로 통과하는, 하방향으로 지향하는 나사화된 로드(5)를 중앙에 가지고, 베이스 플레이트(1) 아래에서 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와 상기 좌석 표면(4) 사이에서 상기 나사화된 로드(5) 상으로 미끄러질 수 있는 스페이서 링(6)이 제공되고, 상기 스페이서 링(6)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와 너트(7) 사이 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와 좌석 표면(4) 사이에서 너트(7)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의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링(6)은 그것을 상기 나사화된 로드(5)로 용이하게 미끄러지게 하는 슬롯(6a)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의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7)는 수동의 작용을 위해서 치수가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의자.
  4. 전기한 항들중 적어도 하나의 항에 있어서,
    등받이 직립부(3a)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8a)을 가지고; 의자의 전방 가장자리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되는 슬롯 형상의 요부(8b)를 중앙에 가지고; 폭은 상기 나사화된 로드(5)보다 다소 크게 형성된, 등받이 베이스 플레이트(8)가 더 제공되고, 상기 등받이 베이스 플레이트(8)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의 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의자.
  5. 전기한 항들중 적어도 하나의 항에 있어서,
    수직으로 변위 가능한 발판(9)이 높은 의자의 전방 다리들상에 배치되며, 필요하다면, 안전 바아(10)가 상기 등받이(3)에 대향하여 상기 등받이 베이스 플레이트(8)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의자.
  6. 전기한 항들중 적어도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 다리(2)의 실질적으로 반구형인 베이스 연장부(11)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의자.
  7. 전기한 항들중 적어도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 표면(4)의 장식부 및, 상기 등받이 휴식부(3)의 장식부를 제외하고 상기의 모든 구성 요소들이 나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의자.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5) 아래에서 전방 의자 다리(2)를 따라서 상기 발판(9)의 연속적인 높이 조절을 위해서 상기 발판(9)과 상기 전방의 의자 다리(2)에 대하여 그 단부에서 맞닿는 원호 형상의 성형 나무 클램프(12)가 제공되고, 상기 성형 나무 클램프(12)는 나사-너트 연결에 의해서 상기 발판(9)으로부터 이격된 지점에서 상기 발판(9)에 접합되어, 너트(14)가 조여질 때 나사-너트의 연결은 의자 다리에 대한 상기 발판(9)의 벌어짐을 야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의자.
KR10-2003-7009198A 2002-03-14 2003-03-14 높은 의자 KR200400956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4165U DE20204165U1 (de) 2002-03-14 2002-03-14 Kinderstuhl
DE20204165.4 2002-03-14
PCT/EP2003/002720 WO2003075718A1 (de) 2002-03-14 2003-03-14 Kinderstuh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5603A true KR20040095603A (ko) 2004-11-15

Family

ID=7969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9198A KR20040095603A (ko) 2002-03-14 2003-03-14 높은 의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040095603A (ko)
AU (1) AU2003214130A1 (ko)
DE (1) DE20204165U1 (ko)
WO (1) WO200307571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2559A1 (ko) * 2017-05-15 2018-11-22 전북대학교병원 영유아 엑스레이 검사용 기립자세 보조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06930A1 (en) * 2003-03-26 2005-01-13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High chai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06629A (en) * 1924-05-12 1924-08-26 George H Giffin High chair
US2245204A (en) * 1939-10-12 1941-06-10 Plante Peter J La High chair
DE29508861U1 (de) * 1995-05-29 1995-09-28 Bannik Britta Höhenverstellbarer Kinderstuh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2559A1 (ko) * 2017-05-15 2018-11-22 전북대학교병원 영유아 엑스레이 검사용 기립자세 보조기구
US11039800B2 (en) 2017-05-15 2021-06-22 Ch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Upright posture assisting device for x-ray inspection of infa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75718A1 (de) 2003-09-18
DE20204165U1 (de) 2002-07-25
AU2003214130A1 (en) 2003-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8969B1 (en) Adjustable footrest ring for chair
US5606917A (en) Table assembly with slidable table
US3232253A (en) Adjustable chair
US4676547A (en) Portable spectator's stool
US8667909B2 (en) Adjustable attachment device for furniture
US20100171012A1 (en) Furniture provided with length-adjustable legs
KR200394803Y1 (ko)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
US9642452B2 (en) Ratchet-based height adjustable system
US5816556A (en) Adjustable chair stand
US5356203A (en) Adjustable footrest
CA2589024C (en) Height adjustable headrest device
US4586748A (en) Adjustable chair iron
KR20040095603A (ko) 높은 의자
US4921303A (en) Studio stool
US20200121081A1 (en) Height adjustment locking mechanism
KR20040046634A (ko) 책, 걸상용 지지다리의 높이조절구조
KR200381387Y1 (ko) 높이조절의자
US20040247377A1 (en) Device for connecting legs to furnishing elements, and a furnishing element comprising that device
KR200255714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책상
US1894742A (en) Supporting structure
KR100357430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다리
JP2007202768A (ja) 座高調節自在椅子
KR200304162Y1 (ko) 책, 걸상용 지지다리의 높이조절구조
KR850000235Y1 (ko) 의자
KR200306805Y1 (ko)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