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6805Y1 -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 - Google Patents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6805Y1
KR200306805Y1 KR20-2002-0037741U KR20020037741U KR200306805Y1 KR 200306805 Y1 KR200306805 Y1 KR 200306805Y1 KR 20020037741 U KR20020037741 U KR 20020037741U KR 200306805 Y1 KR200306805 Y1 KR 2003068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height adjustment
bosses
coupled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77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자천
Original Assignee
구자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천 filed Critical 구자천
Priority to KR20-2002-00377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68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68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68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에 관한 것으로, 지지다리(41)를 이루는 네개의 보스(43) 중 전방측에 위치한 두개의 보스(43) 상단에 고정결합되는 고정너트(45)와; 상기 네개의 보스(43) 중 나머지 후방의 두개의 보스(43) 상단에 고정결합되는 보강편(46)과; 상기 두 고정너트(45)에 체결되는 중공형 높이조절볼트(47)와; 하부가 상기 두개의 높이조절볼트(47)에 고정결합되는 제1높이조절봉(49)과; 하부가 상기 보강편(46) 및 후방의 두 보스(43) 내에 삽입되는 제2높이조절봉(50)과; 공지의 상판(51) 저면에 두개씩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고정캡(52)과; 양단이 상기 두 고정캡(52)에 결합되어 상판(51) 저면 양측에 설치되는 가이드봉(53)과; 상부가 상기 가이드봉(53) 전방에 결합되어 이를 따라 슬라이드되고 하부가 상기 제1높이조절봉(49) 상단에 결합되는 가이드편(55)과; 상부가 상기 가이드봉(53) 후방에 고정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제2높이조절봉(50) 상단에 결합되는 고정편(56)과; 상단이 상기 고정편(56) 및 가이드봉(53)에 고정결합되는 고리(57)가 더 구비되는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을 구비하였다.
그러므로, 두 높이조절볼트(47)의 볼트머리(48)를 오른쪽이나 왼쪽으로 회전시키면 한쌍의 가이드편(55)이 가이드봉(53)을 따라 전후로 이송되는 동시에 높이조절볼트(47)가 고정너트(45) 상측으로 인출되거나 그 하측으로 삽입되면서 상판(51)의 높낮이가 조절되고, 이때 높이조절볼트(47)와 고정너트(45)는 서로 나사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사이에 별도의 부품을 결합시키지 않아도 높이조절된상태가 그대로 세팅되며, 이에 따라 두개의 볼트머리(48)를 좌우로 회전시키는 간단한 작업으로 상판의 높이조절작업 및 세팅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 {height adjusting device in table}
본 고안은 가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책상의 다리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은 책상을 사용하는 부류의 사람들의 평균키를 기준으로 설계 및 제작되고 상판과 다리가 고정설치되기 때문에 평균키보다 큰 사람에게는 책상 높이가 작고 평균키보다 작은 사람에게는 책상 높이가 크므로 이들이 이러한 책상을 사용하게 되면, 책상의 높이가 너무 낮아 허리를 구부려야 하므로 바른 자세로 필기할 수 없게 되거나, 책상이 너무 높이 필기하기가 매우 힘든 문제가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책상 다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 및 테이블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판(1) 저면에 고정구비된 원통형 보스(2)와, 보스(2)에 삽입되고 외주면에 다수의 나사홈(4)이 형성된 가이드봉(3)과, 보스(2)에 결합되어 다수의 나사홈(4) 중 어느 한 나사홈(4)에 체결되는 조절볼트(5)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높낮이 조절장치를 가지는 책상 또는 테이블은 조절볼트(5)를 약간 푼 다음 상판(1)을 들어올리거나 내리고 다시 조절볼트(5)를 조여서 다리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 또는 테이블은 상판(1)과 이를 지지하는 보스(2) 및 가이드봉(3)이 일자형태를 가지는데, 이러한 형태의 다리구조로는 상판(1)을 견고히 지지하지 못하였고, 전후방향으로 약간만 밀리게 되어도 쉽게 쓰러지는 일이 종종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높낮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을 개발하였는바, 이는, 상판(11) 저면 양측에 각각 고정구비되고, 개방된 하부 양측에 가이드턱이 형성되며, 측면과 가이드턱 사이의 모서리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결합구멍이 형성된 브라켓(13)과; 브라켓(13) 내부에 삽입되어 그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되고, 저면에 나사구멍이 형성된 가이드(23)와; 두 브라켓(13)의 양단 저면에 대향되도록 상판(11)의 네 모서리부 하부에 각각 위치되는 중공형 보스(19)와, 보스(19)들의 하단부에 고정지지되는 하부받침(20)과, 보스(19)들의 상단부에 고정지지되는 연결대(21)로 이루어진 지지다리(18)와; 상단이 가이드(23)에 고정지지되어 이를 따라 이송되고, 하단부가 네 개의 보스(19) 중 전방의 두 보스(19)에 각각 삽입되는 조절봉(25)과; 상단이 브라켓(13)의 대응 후방 일단에 각각 고정지지되고, 하단부가 네 개의 보스(19) 중 후방의 두 보스(19)에 각각 삽입되는 고정봉(26)과; 브라켓(13)의 저면 일부 둘레를 감싸도록 ㄷ자 형상을 가지고, 브라켓(13)의 양측 결합구멍에 대응 결합되도록 내측 모서리부에 각각 다수의 랜싱돌기가 형성되며, 중앙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착탈편(27)과; 가이드(23)의 나사구멍에 체결되어 착탈편(27)의 랜싱돌기를 브라켓(13)의 결합구멍에 착탈시키는 조절볼트(30)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조절볼트(30)를 약간 풀면 착탈편(27)의 랜싱돌기들이 브라켓(13)의 결합구멍들로부터 분리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판(11)을 상측으로 들어올리거나 하측으로 누르면 가이드(23)가 브라켓(13)의 내부를 따라 수평으로 이송되면서 조절봉(25) 및 고정봉(26)을 보스(19)에 대해 수직운동시켜서 책상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높낮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조절볼트(30)를 조이면 착탈편(27)의 랜싱돌기가 브라켓(13)의 결합구멍에 안착되면서 가이드(23) 및 조절봉(25)의 수평이송을 제한하게 되므로 책상의 높낮이를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은, 책상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조절볼트(30)를 풀고, 상판(11)을 상측으로 들어올리거나 하측으로 누른 후 다시 조절볼트(30)를 조이는 작업이 필요하므로 그 작업이 번잡하였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상판의 높이조절이 편리하도록 한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은, 공지의 상판과 상기 상판 하부에 구비되는 지지다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판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에 있어서, 지지다리를 이루는 네개의 보스 중 전방측에 위치한 두개의 보스 상단에 고정결합되는 고정너트와; 상기 네개의 보스 중 나머지 후방의 두개의 보스 상단에 고정결합되는 보강편과; 상기 두 고정너트에 체결되는 중공형 높이조절볼트와; 하부가 상기 두개의 높이조절볼트에 고정결합되는 제1높이조절봉과; 하부가 상기 보강편 및 후방의 두 보스 내에 삽입되는 제2높이조절봉과; 공지의 상판 저면에 두개씩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고정캡과; 양단이 상기 두 고정캡에 결합되어 상판 저면 양측에 설치되는 가이드봉과; 상부가 상기 가이드봉 전방에 결합되어 이를 따라 슬라이드되고 하부가 상기 제1높이조절봉 상단에 결합되는 가이드편과; 상부가 상기 가이드봉 후방에 고정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제2높이조절봉 상단에 결합되는 고정편과; 상단이 상기 고정편 및 가이드봉에 고정결합되는 고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두 높이조절볼트의 볼트머리를 오른쪽이나 왼쪽으로 회전시키면 한쌍의 가이드편이 가이드봉을 따라 전후로 이송되는 동시에 높이조절볼트가 고정너트 상측으로 인출되거나 그 하측으로 삽입되면서 상판의 높낮이가 조절되고, 이때 높이조절볼트와 고정너트는 서로 나사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사이에 별도의 부품을 결합시키지 않아도 높이조절된 상태가 그대로 세팅되며, 이에 따라 두개의 볼트머리를 좌우로 회전시키는 간단한 작업으로 상판의 높이조절작업 및 세팅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1 및 도2는 종래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을 보이는 사시도들
도4는 본 고안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을 보이는 분해 사시도
도5 및 도6은 본 고안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을 보이는 측면도 및 그 단면도
도7 및 도8은 본 고안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의 사용상태 측면도 및 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1 ; 지지다리 45 ; 고정너트
47 ; 높이조절볼트 48 ; 볼트머리
51 ; 상판 52 ; 고정캡
53 ; 가이드봉 54 ; 체결볼트
55 ; 가이드편 56 ; 고정편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3은 본 고안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4는 그 분해 사시도로써, 이는 상판(51)과, 상판(51) 하부에 구비되어 이를 지지하는 지지다리(41)와, 상판(51)과 지지다리(41) 사이에 설치되는 높이조절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판(51)을 지지하는 지지다리(41)는 ㄷ자 형상의 수평 하부받침(42)에 네개의 보스(43) 하단이 사다리꼴 형상을 갖도록 고정구비되고 네개의 보스(43) 상부에는 연결대(44)에 의해 서로 지지되어 있다.
지지다리(41)를 이루는 네개의 보스(43) 중 전방측에 위치한 두개의보스(43) 상단에는 고정너트(45)가 고정결합되어 있고, 네개의 보스(43) 중 나머지 후방의 두개의 보스(43) 상단에는 보강편(46)이 고정결합되어 있다.
책상의 전방 양측에 구비된 두 고정너트(45)에는 볼트머리(48)가 구비된 중공형 높이조절볼트(47)가 체결되어 있어, 볼트머리(48)를 좌우로 회전시킬시 고정너트(45) 및 보스(43) 내측으로 삽입되거나 상측으로 인출된다.
이러한 두개의 높이조절볼트(47)에는 제1높이조절봉(49)의 하부가 고정결합되고, 보강편(46) 및 후방의 두 보스(43) 내에는 제2높이조절봉(50)의 하부가 결합된다.
한편 상판(51) 저면에는 네개의 고정캡(52)이 결합고정되어 있는바, 일측면 전후방의 두 고정캡(52)과 타측면 전후방의 두 고정캡(52)이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며, 이러한 두쌍의 고정캡(52)에는 각각 두개의 가이드봉(53)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가이드봉(53) 전방에는 가이드편(55)의 상부가 결합되어 이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고, 가이드편(55) 하단은 제1높이조절봉(49)의 상단에 고정결합되어 있다.
가이드봉(53) 후방에는 고정편(56)의 상부가 고정결합되고, 고정편(56) 하단은 제2높이조절봉(50)의 하단에 고정결합되며, 고정편(56) 및 가이드봉(53)에는 고리(57) 상단이 고정결합된다.
미설명 부호 54는 고정캡(52), 가이드봉(53), 상판(51)을 결합고정시키는 체결볼트이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은, 도5 및 도6과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책상 상판(51)의 위치를 높이려면 두개의 높이조절볼트(47)의 볼트머리(48)를 양손으로 잡고 이를 동시에 회전시키면 고정너트(45)에 체결된 높이조절볼트(47)가 상측으로 인출된다.
높이조절볼트(47)가 상측으로 인출되면 제1높이조절봉(49)이 이와 함께 인출되고, 이에 따라 가이드편(55)이 가이드봉(53)을 따라 그 후방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여기서 높이조절볼트(47)가 상승됨에 따라 제2높이조절봉(50) 및 고정편(56)도 이와 함께 상승되며, 이때 고정편(56)은 고리(57)에 의해 가이드봉(53) 상에 고정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봉(53)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볼트머리(48)를 회전시켜서 도7 및 도8과 같이 상판(51)의 위치가 상승되면 상판(51)의 높낮이 조절 완료와 동시에 조정된 상태가 세팅된다. 즉, 높이조절볼트(47)와 고정너트(45)는 사로 나사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높낮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이들 사이에 별도의 부품을 결합시키지 않아도 볼트머리(48)에서 외력을 제거하기만 하면 서로 지지된다.
반대로 상판(51)의 위치를 낮추려면 도7 및 도8에서 두 볼트머리(48)를 잡고 상술한 반대로 동시에 회전시키면 도5 및 도6과 같이 상판(51)이 하강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볼트머리(48)에서 손을 떼면 조절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된다.
이러한 본 고안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은 높낮이 조절 방법 및 조절된 상태의 세팅 작업이 매우 신속하고 편리하다.
즉, 두개의 볼트머리(48)를 동시에 좌우로 회전시킨 후 손을 떼면 상판(51)의 높낮이가 조절되며 조절된 상태가 세팅되므로 높낮이 조절 작업과 높이조절된 상판(51)의 세팅작업이 모두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은, 상판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볼트를 풀고, 상판을 들어 올리거나 내리 누르며, 높이조절된 상판을 세팅시키기 위해 풀린 상태의 볼트를 다시 조였던 종래와 비교할때, 상판의 높낮이 조절작업 및 세팅작업이 매우 신속하고 편리한 이점이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본 고안 책상은, 상판(51)을 들어 올리거나 내리는 작업이 매우 용이하므로 누구나 손쉽게 자신의 체형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에 의하면, 두 높이조절볼트(47)의 볼트머리(48)를 오른쪽이나 왼쪽으로 회전시키면 한쌍의 가이드편(55)이 가이드봉(53)을 따라 전후로 이송되는 동시에 높이조절볼트(47)가 고정너트(45) 상측으로 인출되거나 그 하측으로 삽입되면서 상판(51)의 높낮이가 조절되고, 이때 높이조절볼트(47)와 고정너트(45)는 서로 나사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사이에 별도의 부품을 결합시키지 않아도 높이조절된 상태가 그대로 세팅되며, 이에 따라 두개의 볼트머리(48)를 좌우로 회전시키는 간단한 작업으로 상판의 높이조절작업 및 세팅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공지의 상판과 상기 상판 하부에 구비되는 지지다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판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에 있어서,
    지지다리(41)를 이루는 네개의 보스(43) 중 전방측에 위치한 두개의 보스(43) 상단에 고정결합되는 고정너트(45)와;
    상기 네개의 보스(43) 중 나머지 후방의 두개의 보스(43) 상단에 고정결합되는 보강편(46)과;
    상기 두 고정너트(45)에 체결되는 중공형 높이조절볼트(47)와;
    하부가 상기 두개의 높이조절볼트(47)에 고정결합되는 제1높이조절봉(49)과;
    하부가 상기 보강편(46) 및 후방의 두 보스(43) 내에 삽입되는 제2높이조절봉(50)과;
    공지의 상판(51) 저면에 두개씩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고정캡(52)과;
    양단이 상기 두 고정캡(52)에 결합되어 상판(51) 저면 양측에 설치되는 가이드봉(53)과;
    상부가 상기 가이드봉(53) 전방에 결합되어 이를 따라 슬라이드되고 하부가 상기 제1높이조절봉(49) 상단에 결합되는 가이드편(55)과;
    상부가 상기 가이드봉(53) 후방에 고정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제2높이조절봉(50) 상단에 결합되는 고정편(56)과;
    상단이 상기 고정편(56) 및 가이드봉(53)에 고정결합되는 고리(57)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
KR20-2002-0037741U 2002-12-18 2002-12-18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 KR2003068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741U KR200306805Y1 (ko) 2002-12-18 2002-12-18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741U KR200306805Y1 (ko) 2002-12-18 2002-12-18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6805Y1 true KR200306805Y1 (ko) 2003-03-11

Family

ID=49402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7741U KR200306805Y1 (ko) 2002-12-18 2002-12-18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680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196B1 (ko) * 2006-10-04 2007-12-06 손영윤 테이블용 높낮이 조절 다리
KR101127036B1 (ko) * 2009-11-13 2012-03-26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가스터빈엔진의 고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196B1 (ko) * 2006-10-04 2007-12-06 손영윤 테이블용 높낮이 조절 다리
KR101127036B1 (ko) * 2009-11-13 2012-03-26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가스터빈엔진의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08049A1 (en) Frame of electric bed
KR200306805Y1 (ko)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
US3220771A (en) Reverse sun deck chair
US6305747B1 (en) Swayable backrest assembly for a chair
KR200306806Y1 (ko)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의자
JP3145686U (ja) 伸縮収納ベッド
KR100434014B1 (ko)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
CN210227500U (zh) 办公椅脚踏
CN211415058U (zh) 切割机支架
CN210843916U (zh) 一种电动护理床用床垫托架
KR200232818Y1 (ko)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
US3025103A (en) Table attachment for lawn chairs
TWM497968U (zh) 可斜躺之座椅結構
CN108215529B (zh) 一种撑杆装置及其撑杆方法
TWI538837B (zh) Cup holder
US2842414A (en) Stand for power sewing machine table
CN213605481U (zh) 一种床护栏底杆固定装置
CN111528642A (zh) 一种组装式沙发
US2930566A (en) Adjustable bed clamps for therapeutic devices
EP1164896B1 (en) A chair with an elastic, counter-reacting, reclining seat back
CN216932455U (zh) 一种具有调节椅子座板长度功能的椅子
CN214024200U (zh) 一种专用于焊接的模具平台
KR200268518Y1 (ko)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
CN205457444U (zh) 多功能折叠床椅
CN219465884U (zh) 一种调整垫片专用工装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