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1387Y1 - 높이조절의자 - Google Patents

높이조절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1387Y1
KR200381387Y1 KR20-2005-0002350U KR20050002350U KR200381387Y1 KR 200381387 Y1 KR200381387 Y1 KR 200381387Y1 KR 20050002350 U KR20050002350 U KR 20050002350U KR 200381387 Y1 KR200381387 Y1 KR 2003813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fixed frame
chair
bolt
movabl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23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경섭
Original Assignee
손경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경섭 filed Critical 손경섭
Priority to KR20-2005-00023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13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13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13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6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 or inclined toothed rack; with peg-and-notch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4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or bolt-and-nut adjustment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높이조절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의자의 높이조절다리부가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대해 길이조절가능한 가동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면에 상기 고정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원형부와, 상기 복수의 원형부들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원형부의 직경에 비해 좁은 폭을 형성하는 직선부를 갖는 슬롯부와; 상기 가동프레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볼트공과; 상기 볼트공에 체결되는 나사산을 갖되 상기 직선부를 통과할 수 있는 단면적을 갖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단부에 형성된 머리부와, 상기 축부와 상기 머리부 사이에 형성되되 선택적으로 상기 원형부에 걸리는 걸림보스부를 가지고 상기 고정프레임에 대해 상기 가동프레임을 고정 및 고정해제하는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의자의 높이조절다리부를 볼트 체결방법에 기초하여 고정프레임에 대해 가동프레임의 높이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면서도 구조가 단순하여 조제가 용이하고 제조가가 저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높이조절의자{Chair for controlling height}
본 고안은, 높이조절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의자의 높이조절다리부를 볼트 체결방법에 기초하여 고정프레임에 대해 가동프레임의 높이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체형에 맞게 용이하게 의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면서도 그 구조가 단순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가가 저렴하게 되며 사용이 편리한 높이조절의자에 관한 것이다.
의자는 걸터앉는데 사용하는 가구의 일종이다. 이러한 의자의 기본 구조는 쿠션부라고 하는 앉는 자리와 의자를 지탱하는 다리부 및 등받이부로 이루어져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등받이부의 상단에 결합되어 머리를 받치는 머리받침부를 가지기도 한다.
의자는 그 형태, 구조, 재료 및 가공기술에 따라 여러 가지고 나뉜다. 형태에 따라서는 등받이부가 없는 의자, 소형의자, 팔걸이의자, 안락의자, 긴의자(sofa), 침대식 긴의자, 흔들의자 등이 있다. 용도를 살펴보면 사무용, 학습용, 식사용, 회의용 의자 등이 있고, 특수용도로 이발용, 미용용, 의료용, 극장용 등이 나와 있기도 하다.
한편, 사용자마다 신장이 다르고 앉은 키 역시 상이하기 때문에 의자의 다리부는 필요에 따라 그 높이가 조절될 필요성이 있다. 이에 유압실린더 등을 이용하여 의자의 쿠션부에 대한 높이를 조절하고 있지만 유압실린더를 채용함에 따라 그 비용이 높아지는 단점을 보인다. 이에 통상적으로는 다리부에 볼트 등을 이용하여 그 높이를 조절하는 통상의 기계식 구조를 보이기도 한다.
그런데, 볼트 체결에 의해 다리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경우, 볼트를 다리부로부터 완전히 풀고 난 다음 다리부의 높이를 조절하고 다시 풀었던 볼트를 해당 위치에 체결해야 한다. 따라서 그 높이를 조절하는 데에 상당히 불편하고 번거로운 뿐만 아니라 볼트의 분실 우려가 따르는 결점을 보인다.
본 고안의 목적은, 볼트 체결방법에 기초하여 고정프레임에 대해 가동프레임의 높이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면서도 그 조작이 단순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제조가가 절감되는 높이조절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대해 길이조절가능한 가동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면에 상기 고정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원형부와, 상기 복수의 원형부들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원형부의 직경에 비해 좁은 폭을 형성하는 직선부를 갖는 슬롯부와; 상기 가동프레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볼트공과; 상기 볼트공에 체결되는 나사산을 갖되 상기 직선부를 통과할 수 있는 단면적을 갖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단부에 형성된 머리부와, 상기 축부와 상기 머리부 사이에 형성되되 선택적으로 상기 원형부에 걸리는 걸림보스부를 가지고 상기 고정프레임에 대해 상기 가동프레임을 고정 및 고정해제하는 볼트를 포함하는 높이조절다리부를 구비한 높이조절의자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볼트공은 상기 가동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한 쌍으로 배치되고, 상기 볼트는 상기 한 쌍으로 배치된 상기 볼트공에 하나씩 대응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및 가동프레임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에 대해 삽입되면서 그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장치가 장착된 의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자에서 높이조절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의자에서 높이조절장치 영역의 부분 절개 확대도,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장치의 사용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할 때,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1)는 크게, 앉는 자리로써의 좌판부(2)와, 의자(1)를 지탱하는 높이조절다리부(10)와, 높이조절다리부(10)를 지면에 대해 지지하는 지지부(4)와, 의자(1)에 앉은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6)를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 등받이부(6)의 상단에는 사용자의 머리를 받치는 머리받침부(미도시)가 마련될 수도 있다.
좌판부(2)는 도시된 것처럼 판상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내부에 별도의 쿠션재가 포함된 천 재질로 형성된다. 이러한 좌판부(2)가 사용자의 엉덩이의 형상에 맞게 파형상을 가진다면 사용자가 좀 더 편안하게 앉을 수 있다. 좌판부(2)의 양측에는 필요에 따라 팔걸이부(미도시)가 장착될 수도 있다.
높이조절다리부(10)는 지지부(4)와 함께 의자(1)를 지면에 대해 지지하는 부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조절다리부(10)는, 크게 고정프레임(12), 가동프레임(17) 및 볼트(20)로 이루어져 있다.
고정프레임(12)은 그 하단이 지지부(4)에 고정되어 상측으로 기립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프레임(12)은 내부가 빈 사각단면의 파이프 형태를 취한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바, 원형이나 삼각형 단면을 갖는 관상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가동프레임(17)은 그 상단이 좌판부(2)에 고정되고 하단은 고정프레임(12)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고정프레임(12)에 대해 그 길이가 연장 및 축소되면서 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물론, 고정프레임(12)에 대한 가동프레임(17)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수단이 강구된다.
고정프레임(12)에는 일면을 관통하는 슬롯부(15)가 고정프레임(12)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관통형성되어 있다. 슬롯부(15)는 도 2에 확대한 바와 같이, 그 위치에 따라 복수의 원형부(15a)와, 복수의 원형부(15a)들 사이에 형성된 직선부(15b)로 이루어져 있다. 이 때, 직선부(15b)의 폭(L2)은 원형부(15a)의 직경(L1)에 비해 좁게 형성되어 있다.
가동프레임(17)의 일면에는 한 쌍의 볼트공(17a)이 형성되어 있다. 경우에 따라 볼트공(17a)은 가동프레임(17)에 한개 형성할 수도 있고, 혹은 세 개 이상 마련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서는 보다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볼트공(17a)을 두 개 형성하고 있다.
본 높이조절다리부(10)는 고정 및 가동프레임(12,17)에는 고정프레임(12)에 대해 가동프레임(17)의 위치를 고정시키거나 혹은 고정프레임(12)에 대해 가동프레임(17)이 높이를 조절하는 수단으로써 볼트(20)를 채용하고 있다.
볼트(20)는 크게 축부(20a), 머리부(20b) 및 걸림보스부(20c)로 이루어져 있다. 축부(20a)의 외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그 단부는 가동프레임(17)에 형성된 볼트공(17a)에 체결된다. 이 때, 축부(20a)의 단면 직경(미도시)은 직선부(15b)의 폭(L2)에 비해 거의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볼트(20)의 축부(20a)는 슬롯부(15)의 원형부(15a)를 비롯하여 직선부(15b)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머리부(20b)는 축부(20a)의 단부에 형성되는데, 그 내부에는 렌치홈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렌치홈 외에도 일자나 십자형의 드라이버홈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이들 홈을 형성하지 않고도 공구 없이 손으로 머리부(20b)를 쉽게 돌릴 수 있는 구조를 보일 수도 있다.
걸림보스부(20c)는 머리부(20b)의 내면에 위치한다. 이러한 걸림보스부(20c)의 단면 직경은 직선부(15b)의 폭(L2)에 비해서는 크고 원형부(15a)의 직경(L1)에 비해서는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걸림보스부(20c)가 어느 한 원형부(15a)에 걸림유지될 경우, 해당 위치에서 가동프레임(17)은 고정프레임(12)에 대해 움직이지 못하고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높이조절다리부(10)를 이용하여 의자(1)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과정에 대해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1)의 높이를 낮추기 위해서는 우선, 볼트(20)를 푼다. 이 때, 볼트(20)를 완전히 분리해낼 필요가 없으며, 걸림보스부(20c)가 슬롯부(15)의 원형부(15a)로부터 이탈되는 만큼만 볼트(20)를 반시계방향으로 풀면 된다. 그렇다 하더라도 볼트(20)의 축부(20a)는 볼트공(17a)에 그대로 끼워진 상태를 취한다. 따라서 볼트(20)의 분실 우려를 해소할 수 있다.
걸림보스부(20c)가 슬롯부(15)의 원형부(15a)로부터 이탈되면, 고정프레임(12)에 대해 가동프레임(17)을 하방으로 내려 의자(1)의 높이를 낮춘다. 이 때는 볼트(20)의 축부(20a)가 슬롯부(15)의 원형부(15a)를 포함하여 직선부(15b)를 자유롭게 이동하기 때문에 가능해진다.
의자(1)의 높이를 낮추고 나면 다시 볼트(20)를 시계방향으로 조여 볼트(20)의 걸림보스부(20c)가 슬롯부(15)의 원형부(15a)에 끼워지도록 한다. 그러면, 원형부(15a)에 끼워진 걸림보스부(20c)로 인해 가동프레임(17)이 해당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도 4b와 같이, 의자(1)의 높이를 높이고자 할 경우라도 전술한 방법을 그대로 이용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볼트(20) 체결방법에 기초하여 고정프레임(12)에 대해 가동프레임(17)의 높이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면서도 볼트(20)의 분실우려를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높이조절다리부(10)가 의자(1)의 다리부에 적용된 것을 그 예로 하고 있지만, 기타 캐비넷 등의 다리부에도 동일한 사상을 적용할 수 있을 것임에 틀림이 없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고정 및 가동프레임(12,17)이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기에 그 높이를 조절한다고 설명하고 있지만 고정 및 가동프레임(12,17)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면 길이 조절로 설명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고정프레임(12)의 내측으로 가동프레임(17)이 삽입 및 취출되면서 그 높이를 조절하고 있지만, 반대로 고정프레임(12)이 가동프레임(17)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경우라면, 슬롯부(15) 및 볼트공(17a)의 위치가 서로 바뀌어야 할 것이나 그렇다 하더라도 본 고안의 사상 범주에 속하게 됨은 두말할 여지가 없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의자의 높이를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단순하게 볼트를 풀고 조이는 것만으로도 의자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그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 다리부의 구조가 간단하게 되어 제조가가 저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다리부가 장착된 의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자에서 높이조절다리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의자에서 높이조절다리부 영역의 부분 절개 확대도,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의자의 사용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의자 10 : 높이조절다리부
12 : 고정프레임 15 : 슬롯부
15a : 원형부 15b : 직선부
17 : 가동프레임 17a : 볼트공
20 : 볼트 20a : 축부
20b : 머리부 20c : 걸림보스부

Claims (3)

  1. 좌판과 등받이부와 높이조절 다리부로 이루어진 높이조절의자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다리부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대해 길이조절가능한 가동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면에 상기 고정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원형부와, 상기 복수의 원형부들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원형부의 직경에 비해 좁은 폭을 형성하는 직선부를 갖는 슬롯부와;
    상기 가동프레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볼트공과;
    상기 볼트공에 체결되는 나사산을 갖되 상기 직선부를 통과할 수 있는 단면적을 갖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단부에 형성된 머리부와, 상기 축부와 상기 머리부 사이에 형성되되 선택적으로 상기 원형부에 걸리는 걸림보스부를 가지고 상기 고정프레임에 대해 상기 가동프레임을 고정 및 고정해제하는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공은 상기 가동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한 쌍으로 배치되고, 상기 볼트는 상기 한 쌍으로 배치된 상기 볼트공에 하나씩 대응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의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및 가동프레임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에 대해 삽입되면서 그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의자.
KR20-2005-0002350U 2005-01-26 2005-01-26 높이조절의자 KR2003813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2350U KR200381387Y1 (ko) 2005-01-26 2005-01-26 높이조절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2350U KR200381387Y1 (ko) 2005-01-26 2005-01-26 높이조절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1387Y1 true KR200381387Y1 (ko) 2005-04-11

Family

ID=43682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2350U KR200381387Y1 (ko) 2005-01-26 2005-01-26 높이조절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138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405B1 (ko) 2007-12-03 2008-05-08 (주)에리트퍼니처 높낮이 조절핀이 내장된 의자
KR101196012B1 (ko) * 2005-07-05 2012-10-30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선회 작업차
US11548643B2 (en) 2020-12-21 2023-01-10 B/E Aerospace, Inc. Cabin attendant seat with height adjustable seat pa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012B1 (ko) * 2005-07-05 2012-10-30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선회 작업차
US8327811B2 (en) 2005-07-05 2012-12-11 Yanmar Co., Ltd. Rotary working machine
KR100828405B1 (ko) 2007-12-03 2008-05-08 (주)에리트퍼니처 높낮이 조절핀이 내장된 의자
US11548643B2 (en) 2020-12-21 2023-01-10 B/E Aerospace, Inc. Cabin attendant seat with height adjustable seat pa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8803B1 (ko) 척추 및 허리 보호를 위한 의자
WO2004073457A1 (de) Stuhl, insbesondere büro- oder arbeitsstuhl
KR200381387Y1 (ko) 높이조절의자
KR101492896B1 (ko) 슬라이딩 의자
KR200396260Y1 (ko) 의자용 등받이 조절장치
NZ529154A (en) Recline mechanism for seating furniture
EP0412926B1 (en) A piece of furniture
KR200464496Y1 (ko) 다기능 낚시의자
KR200381992Y1 (ko) 높이조절책상
US975374A (en) Convertible chair.
AU2021201647A1 (en) An article of furniture
KR200408300Y1 (ko) 테이블 조립형 의자
KR20150108091A (ko) 책상과 의자로 상호 전환 가능한 기구
US7159935B2 (en) Structure of a chair
KR102624330B1 (ko) 팔걸이 가변식 소파
KR920002671Y1 (ko) 조립식 의자
JP7400298B2 (ja) ソファ
KR200371572Y1 (ko) 의자
JPH06987Y2 (ja) 椅子の背もたれ位置調整装置
KR102339291B1 (ko) 의자용 발받침 장치
KR100683552B1 (ko) 의자
KR200377422Y1 (ko) 의자용 머리받침부
JP2018130314A (ja) 身体支持装置
KR200301879Y1 (ko)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가구용 받침대
JP4486465B2 (ja) 椅子の背凭れ取付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