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6012B1 - 선회 작업차 - Google Patents

선회 작업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6012B1
KR101196012B1 KR1020087002218A KR20087002218A KR101196012B1 KR 101196012 B1 KR101196012 B1 KR 101196012B1 KR 1020087002218 A KR1020087002218 A KR 1020087002218A KR 20087002218 A KR20087002218 A KR 20087002218A KR 101196012 B1 KR101196012 B1 KR 101196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oom
swing
bonnet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2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2125A (ko
Inventor
카즈야 호키모토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2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2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6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6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liquid cooling
    • B60K1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radiators, radiator shutters, or radiator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8Air inlets for cooling; Shutters or blind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8Air inlets for cooling; Shutters or blinds therefor
    • B60K11/085Air inlets for cooling; Shutters or blinds therefor with adjustable shutters or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01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ith more than two arms (boom included), e.g. two-part boom with additional dipper-ar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07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the boom and the dipper-arm being connected so as to permit relative movement in more than one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91Lids or bonnets or door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04Control mechanisms, e.g. control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5/00Pumping cooling-air or liquid coolants
    • F01P5/02Pumping cooling-air; Arrangements of cooling-air pumps, e.g. fans or blowers
    • F01P5/06Guiding or ducting air to, or from, ducted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02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cooling-air
    • F01P7/10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cooling-air by throttling amount of air flowing through liquid-to-air heat excha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8Optimized components or subsystems, e.g. lighting, actively controlled gla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엔진 등을 냉각한 후의 냉각풍이 배출풍으로서 본기 측방으로 배출될 때에, 본기 측방에 위치하는 수목이나 본기 측방을 통과하는 보행자 등을 향해 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보닛(10) 내에 엔진(8)과 토출식의 냉각팬(45)을 구비하는 선회 작업차에 있어서, 상기 보닛(10)의 측면에 냉각풍을 배출하는 개구부(10b)를 마련하고, 상기 개구부(10b)와 냉각팬(45)의 사이에 배치한 덕트(48) 내에 복수의 날개판(52?52…)을 갖는 가동식 루버(50)를 마련하였다.

Description

선회 작업차{ROTARY WORKING MACHINE}
본 발명은, 선회 작업차의 보닛 내에 구비되는 배풍(排風)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파워셔블(power shovel) 등의 선회 작업차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주행 장치상에 선회대 프레임이 배치되고, 이 선회대 프레임의 앞부분에 붐이나 아암, 버킷 등의 부속 장치를 구비한 작업기가 전후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선회대 프레임의 뒷부분 위에 엔진이나 라디에이터 등이 보닛에 덮여 배치되어 있다.
상기 보닛 내에서는 엔진의 측방에 냉각팬과 라디에이터가 배치되고, 이 냉각팬으로 일으켜진 냉각풍이 엔진을 냉각한 다음, 배출풍으로서 라디에이터를 통과하여 보닛 측면에 마련한 개구부로부터 본기 측방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개구부 또는 라디에이터와 개구부의 사이에 설치된 덕트 내에 풍향판이 설치되어, 배출풍의 풍향이 상하 방향으로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그런데, 종래와 같은 선회 작업차에 있어서는, 보닛 측면의 개구부로부터 배출되는 배출풍의 풍향이 상하 일정 방향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작업장의 상황에 따라서는 열풍이 된 배출풍이 본기 측방에 위치하는 수목이나 본기 측방을 통과하는 보행자을 향해 불 우려가 있다. 게다가, 풍향의 변화에 의해, 배출풍이 본기상의 조종자 자신을 향해서도 부는 문제가 생기는 경우도 있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4-352089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엔진 등을 냉각한 후의 냉각풍이 배출풍으로서 본기 측방으로 배출될 때에, 본기 측방에 위치하는 수목이나 본기 측방을 통과하는 보행자 등을 향해 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선회 작업차는, 보닛 내에 엔진과 토출식의 냉각팬을 구비하는 선회 작업차에 있어서, 상기 보닛의 측면에 냉각풍을 배출하는 개구부를 마련하고, 이 개구부와 냉각팬 사이에 배치한 덕트 내에 복수의 날개판을 갖는 가동식 루버를 마련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선회 작업차는, 상기 루버의 복수의 날개의 각 일측을 가동 레버로 연계하고, 이 레버의 일단을 덕트 상방에 연장하여 설치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선회 작업차는, 상기 덕트의 측면에 형성한 원호상의 장공을 통해 위치 고정 부재에 의해 상기 레버의 상기 일단을 이 덕트의 측면에 고정 가능하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선회 작업차는, 상기 위치 고정 부재를 보닛의 상방을 개방하는 커버의 근방에 배치한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선회 작업차에서는, 보닛 내에 엔진과 토출식의 냉각팬을 구비하는 선회 작업차에 있어서, 상기 보닛의 측면에 냉각풍을 배출하는 개구부를 마련하고, 이 개구부와 냉각팬 사이에 배치한 덕트 내에 복수의 날개판을 갖는 가동식 루버를 마련한 것으로부터, 보닛 내로부터의 배출풍을 임의의 방향으로 흐르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열풍이 된 배출풍이 운전 조작부상의 조종자나 본기 측방의 수목 등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회 작업차에 있어서는, 상기 루버의 복수의 날개의 각 일측을 가동 레버로 연계하고, 이 레버의 일단을 덕트 상방으로 연장하여 설치한 것으로부터, 덕트 상방으로부터 레버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해져, 간단하게 날개판을 회동시켜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회 작업차에 있어서는, 상기 덕트의 측면에 형성한 원호상의 장공을 통해 위치 고정 부재에 의해 상기 레버의 상기 일단을 이 덕트의 측면에 고정 가능하게 한 것으로부터, 각 날개판의 회동 각도를 용이하게 변경, 위치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회 작업차에 있어서는, 상기 위치 고정 부재를 보닛의 상방을 개방하는 커버의 근방에 배치한 것으로부터, 각 날개판의 회동 각도를 신속히 변경하여, 루버에 의한 배출풍의 풍향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방 초소선회형의 선회 작업차의 좌측면도.
도 2는 선회 작업차에서의 본체기의 사시도.
도 3은 선회대 프레임 상의 배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4는 선회대 프레임 상의 배치 구성을 도시하는 배면도.
도 5는 선회대 프레임의 평면도.
도 6은 엔진 지지부의 전방 사시도.
도 7은 엔진 지지부의 후방 사시도.
도 8은 엔진 지지부의 좌측면도.
도 9는 엔진 지지 부재의 사시도.
도 10은 선회대 프레임 상의 배치 구성을 도시하는 우측면도.
도 11은 루버의 측면도.
도 12는 루버의 사시도.
도 13은 선회대 프레임 상의 앞부분 우측의 배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14는 선회대 프레임 상의 배치 구성을 도시하는 좌측면도.
도 15는 선회대 프레임 상의 앞부분 좌측의 배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6은 페달 조작 상태에서의 스텝부의 사시도.
도 17은 페달 수납 상태에서의 스텝부의 사시도.
도 18은 페달 지지부의 측면도.
도 19는 프런트 커버의 사시도.
도 20은 프런트 커버의 배면도.
도 21은 전조등의 지지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소선회형의 선회 작업차의 좌측면도.
도 23은 초소선회형의 선회 작업차 상부의 우측면도.
도 24는 선회대 프레임의 평면도.
도 25는 오프셋형(off-set type)의 작업기의 배면도.
도 26은 제2 붐의 배면도.
〈부호의 설명〉
8 엔진
10 보닛
10b 개구부
45 냉각팬
48 덕트
50 루버
52 날개판
53 레버
55 볼트(위치 고정 부재)
도 1, 도 2,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회 작업차, 예를 들어 작업기(1)를 본체기(2)의 앞부분 좌우 중앙에 장착한 후방 초소선회형의 파워셔블에 있어서는, 크롤러식 주행 장치(3)의 상부 중앙에 선회대 베어링을 개재하여 선회대 프레임(5)이 좌우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며, 이 선회대 프레임(5)상에 선회 모터(6)가 배치되어 있다. 크롤러식 주행 장치(3)의 전후 일측에는, 블레이드(7)가 상하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선회대 프레임(5)의 상부에는 엔진(8) 등을 덮는 보 닛(10)이 설치되고, 이 보닛(10)의 위 또는 보닛(10)의 전측에 운전석(11)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운전석(11)의 근방에 조작 레버나 록킹 레버 등이 배치됨과 함께, 운전석(11) 전방의 스텝(12)상에 주행 레버나 페달 등이 배치되어 운전 조작부(13)를 구성하고 있다. 운전 조작부(13)의 상방에는 차양(14) 또는 캐빈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선회대 프레임(5)의 전단의 좌우 중앙부에는 붐 브라켓(15)이 좌우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붐 브라켓(15)에 붐(16)의 하단부가 상하(전후)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붐(16)은 중간부에서 전방으로 굴곡되어, 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붐(16)의 상단부에 아암(17)의 후단부가 전후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아암(17)의 선단부에 작업용 부속 장치인 버킷(18)이 전후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붐 회동용의 붐 실린더(20)가 붐 브라켓(15)의 앞부분과 붐(16) 중간부의 앞부분 사이에 장착되고, 아암 회동용 아암 실린더(21)가 붐(16) 중간부의 후면과 아암(17)의 후단부에 마련한 스테이 사이에 장착되고, 버킷 회동용의 버킷 실린더(22)가 아암(17) 뒷부분의 상기 스테이와 버킷(18)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이들 붐(16)이나 아암(17), 버킷(18), 각 실린더(21?22?23) 등으로 작업기(1)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작업기(1)에서는, 붐(16)이 붐 실린더(20)의 신축 구동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되고, 아암(17)이 아암 실린더(21)의 신축 구동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되고, 버킷(18)이 버킷 실린더(22)의 신축 구동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체기(2)에서는, 크롤러식 주행 장치(3)상의 선회대 프레임(5)이 선회 모 터(6)의 회전 구동에 의해 선회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들 유압 액츄에이터인 실린더(21?22?23)나 선회 모터(6)는, 운전 조작부(13)에 설치된 조작 레버나 페달 등의 회동 조작에 의해 컨트롤 밸브(25)를 절환함으로써, 선회대 프레임(5)상에 설치된 유압 펌프(26)로부터 유압 호스를 통해 압유(壓油)를 공급받아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선회대 프레임(5)의 전후좌우 중앙에는 선회대 베어링을 설치하기 위한 개구부(5a)가 마련되어, 그 중심이 본체기(2)의 선회 중심이 되어 있다. 선회대 프레임(5)의 뒷부분은 외주 형상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선회 중심을 중심으로 한 반원 형상(대략 3/5원)이 되도록 형성되고, 반원 부분의 반경이 선회대 프레임(5) 후단의 선회 궤적의 반경과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선회 중심으로부터 원호 부분까지의 거리가, 선회대 프레임 뒷부분이 그리는 대략 원형상의 선회 궤적의 반경이 되어 있다. 그리고, 선회대 프레임(5)은 그 좌우폭이 크롤러식 주행 장치(3)의 좌우폭과 대략 일치하는 것이 되어, 이 크롤러식 주행 장치(3)상에서 개구부(5a) 근방에 마련한 선회 모터(6)의 구동에 의해 선회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선회대 프레임(5)의 앞부분은 좌우 일직선 형상으로 절개되어, 앞부분 외주 형상이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있다. 이 직선 부분의 좌우 중앙에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삼각형상으로 구성한 붐 브라켓(15)을 장착하기 위한 붐 브라켓 장착부(5b)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이 붐 브라켓 장착부(5b)의 앞부분에 작업기(1)를 장착하는 붐 브라켓(15)이 선회 반경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선회대 프레임(5)의 좌측부상에 운전 조작부(13)가 배치되는 한편, 우측부 및 뒷부분 위에 보닛(10)이 선회대 프레임(5)의 외주 형상을 따라 배치되고, 그 보닛 내에 엔진(8), 유압 펌프(26), 연료 탱크, 작동유 탱크, 라디에이터 등이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선회대 프레임(5) 앞부분의 좌우 일측, 본 실시예에서는 운전 조작부(13)에 대해 좌우 반대측이 되는 우측에, 후방으로 오목한 단차부(5c)가 마련되어 있다. 이 단차부(5c)의 전면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단차부(5c)의 전면 상방에는 개구부(10a)가 마련되고, 이 개구부(10a)로부터 붐 브라켓(15)을 향해 돌출되도록 스윙 실린더(28)가 설치되어 있다. 스윙 실린더(28)는 후단이 선회대 프레임(5)상에 설치된 추지부(5d)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편, 선단이 붐 브라켓(15)에 접속되어, 그 신축 구동에 의해 붐 브라켓(15)을 선회대 프레임(5)에 대해 좌우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선회대 프레임(5)의 단차부(5c)의 상방에는, 단차부(5c) 및 개구부(10a)를 가리고 스윙 실린더(28)의 실린더 튜브의 앞부분 위를 덮으면서 동시에, 선회 반경내에 위치하도록 제2 스텝(29)이 마련되어 있다. 이 제2 스텝(29)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삼각형상으로서 보닛(10)의 앞부분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고, 운전 조작부(13) 앞부분에 마련된 스텝(12)과 좌우 방향으로 연속하여 상면의 높이가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스텝(12) 및 제2 스텝(29)의 상방에 좌우 방향으로 통과하는 워크-스루(walk-through) 공간이 형성되어, 이 워크 스루 공간에 의해 본체기(2)상에서의 작업 가능 범위가 확대되어 작업성의 향상이 도 모되고 있다. 또한, 제2 스텝(29)의 하방의 개구부(10a)로부터 작업기(1)에 구비한 각 실린더(20?21?22)를 향해 유압 호스가 일괄적으로 연장되어, 이 제2 스텝(29)을 제거함으로써 용이하게 유지 보수를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닛(10)으로 덮이는 선회대 프레임(5)상에서는, 도 6 내지 도 9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회대 프레임(5)상에 좌우 방향으로 배치하는 엔진(8)을 지지하는 엔진 지지 부재(31)와, 차양(14)을 설치하는 차양 설치 부재(32)를 일체적으로 구성한 지지체가 선회대 프레임(5)상에 고정 배치되어 있다. 이 지지체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L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엔진 지지 부재(31)는, 도 9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전후 평행하게 배치되는 후프레임(31a)과 전프레임(31b), 및 전후 방향으로 좌우 평행하게 배치되는 프레임(31c?31d)으로 이루어지고, 이 프레임(31a?31b?31c?31d)은 수평 방향으로 배치하여 틀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후프레임(31a)은 선회대 프레임(5)상에 직접 고정 설치되고, 전프레임(31b)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역 U자 형상으로 절곡한 브라켓(33)을 개재하고 선회대 프레임(5)상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이 후프레임(31a)과 전프레임(31b)의 사이에 측면에서 보았을 때 배 밑바닥 형상으로 구성한 좌우의 프레임(31c?31d)이 적절하게 간격을 두고 가로로 설치되어 있다. 엔진 지지 부재(31)의 후프레임(31a) 및 전프레임(31b)상에 엔진(8)이 방진 부재(34)를 사이에 두고 지지되고, 또한 프레임(31a)상에 차양 설치 부재(32)가 세로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차양 설치 부재(32)는, 기둥 형상의 좌우의 프레임(32a?32b)과 플레이 트 형상의 차양 설치 플레이트(32c)로 이루어지며, 좌우의 프레임(32a?32b)은 엔진 지지 부재(31)의 후프레임(31a)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각각이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고정 설치되고, 이 좌우의 프레임(32a?32b) 상단부의 사이에 차양 설치 플레이트(32c)가 가로로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차양 설치 부재(32)는 엔진 지지 부재(31)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선회대 프레임(5)상에 볼트 등으로 고정되므로, 단독으로 선회대 프레임(5)상에 고정 설치하는 것보다도 전후 방향으로 쓰러지거나 진동하는 것을 저하시킬 수 있다. 즉, 엔진 지지 부재(31)상에는 무거운 엔진이 설치되므로, 차양 설치 부재(32)는 후방으로 쓰러지기 어렵게 되고, 전방으로 쓰러지는 것은 엔진 지지 부재(31)에서 버티게 되어, 선회대 프레임(5)상에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차양 설치 플레이트(32c)가 운전 조작부(13)의 운전석(11)의 후방에 배치되고, 이 차양 설치 플레이트(32c)상에 차양(14)이 설치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차양 설치 부재(32)의 상부와 엔진 지지 부재(31)의 앞부분의 사이에 보강 부재(35)가 연결되어, 상기 지지체가 보강되고 있다. 즉, 이 보강 부재(35)는 플레이트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역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엔진(8)의 앞쪽 상방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그 연직부(35a)의 하부에서 엔진 지지 부재(31)의 전프레임(31b)에 연결되며, 수평부(35b)의 뒷부분에서 차양 설치 부재(32)의 차양 설치 플레이트(32c)에 열결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이 보강 부재(35)에 의해 차양 설치 부재(32)와 엔진 지지 부재(31)가 측면에서 보았을 때 틀 형상이 되어 강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차양 설치 부재(32)와 엔진 지지 부재(31)가 일체적으로 선회대 프레임(5)에 고정되게 되어, 차양 설치 부재(32)가 단독으로 선회대 프레임(5)에 고정되는 경우에 비해, 차양 설치 부재(32)를 강고하게 고정하여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차양 설치 부재(32)와 엔진 지지 부재(31)상에 각종 기기를 설치한 상태에서, 이 차양 설치 부재(32)와 엔진 지지 부재(31)를 선회대 프레임(5)에 조립하는 것이 가능해져, 모듈로서 조립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차양 설치 부재(32)와 엔진 지지 부재(31)를 일체적으로 구성한 지지체에 장착되는 기기로서는, 배터리(36)나 에어클리너(37), 라디에이터(40) 등이 있다. 배터리(36)는, 차양 설치 부재(32)의 좌프레임(32a)에 장착된 배터리 설치대(38)상에 지지 고정되며, 엔진(8)의 왼쪽 상부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에어클리너(37)는 차양 설치 플레이트(32c)의 바닥면에 스테이(39) 등을 개재하여 장착되며, 엔진(8)의 좌우 중앙부의 뒤쪽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라디에이터(40)는 엔진 지지 부재(31)의 후프레임(31a) 및 전프레임(31b)의 우단에 장착된 라디에이터 지지대(41)상에 지지되며, 엔진(8)의 우측방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차양 설치 부재(32)에는, 그 밖에 유압 호스나 하네스도 장착되어, 진동이나 얽힘 등이 방지되고 있다.
또한, 상기 보강 부재(35)에는 소음기(42)가 장착되어 있다. 이 소음기(42)는 보강 부재(35)의 수평부(35b)에 장착한 스테이(43)을 사이에 두고 장착되며, 엔진(8)의 상방에서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지지체에 각종 기기를 장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선회대 프레임(5)에 장착하기 전에, 지지체에 엔진(8)을 장착하고 나서 그 엔진의 전후좌우의 주위로부터 차양 설치 부재(32)나 보강 부재(35)에 배터리(36)나 에어클리너(37), 라디에이터(40), 소음기(42) 등의 각종 기기를 설치하게 되기 때문에, 공구나 손 등을 각 부품에 용이하게 접근시켜 조립 작업을 할 수 있게 되어, 확실하고 용이하게 조립 작업을 할 수 있다.
상기 엔진 지지 부재(31)상에 지지되는 엔진(8)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랭크축이 기체 좌우 방향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엔진(8)의 우측방에는 냉각팬(45)이 설치되고, 엔진(8)에 의해 벨트나 풀리를 개재하여 구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냉각팬(45)의 우측방에 라디에이터(40) 및 오일 쿨러(46)가 전후로 연결 설치되며, 측면에서 보았을 때 겹치지 않도록 나란히 전단부가 바깥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라디에이터(40) 및 오일 쿨러(46)와 냉각팬(45)의 사이에는 슈라우드(47)가 설치되고, 이 슈라우드(47) 내에 평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삼각형상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냉각팬(45)의 회전에 의해 일어나는 냉각풍이 슈라우드(47) 내의 공간을 지나 라디에이터(40) 및 오일 쿨러(46)에 동시에 부딪혀, 이들을 냉각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2,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라디에이터(40) 및 오일 쿨러(46)는 원호상으로 형성된 보닛(10)의 측벽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이 라디에이터(40) 및 오일 쿨러(46)와 보닛(10)의 측벽과의 사이에 덕트(48)가 설치되어 있다. 보닛(10) 측면의 라디에이터(40) 및 오일 쿨러(46)와 대향하는 부분에는 개구부(10b)가 마련되며, 이 개구부(10b)를 통해 덕트(48)가 외부와 연통되어, 냉 각팬(45)으로부터의 냉각풍이 덕트(48) 및 개구부(10b)로부터 외부로 배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개구부(10b)에는 가로살(10c)이 상하 평행으로 가로로 걸어짐과 함께 그물 형상 부재가 설치되어, 가로살(10c)과 그물 형상 부재에 의해 라디에이터(40) 및 오일 쿨러(46)의 보호를 도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라디에이터(40) 및 오일 쿨러(46)와 보닛(10)의 측면에 마련된 개구부(10b)와의 사이에서, 덕트(48) 내에 가동식 루버(50)가 설치되어, 이 루버(50)에 의해 냉각팬(45)으로부터의 냉각풍이 개구부(10b)로부터 외부로 배출될 때에, 냉각풍의 풍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1,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루버(50)는 덕트(48)의 측벽에 고정 설치된 전후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51?51)과, 사이드 프레임(51?51)의 사이에 상하로 복수 배치된 날개판(52?52…)과, 날개판(52?52…)의 각도를 변경하는 수단과, 각도의 위치 고정 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날개판(52?52…)은 상하 평행으로 가로로 걸려지고, 각 날개판(52)의 길이 방향 양단에서의 폭 방향 일단으로부터 사이드 프레임(51?51)을 향해 저널부(52a?52a)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저널부(52a?52a)는 좌우의 각 사이드 프레임(51?51)의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마다 설치된 베어링부(51a?51a)에 지지된다. 이렇게 하여 각 날개판(52)의 양측을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51?51)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루버(50)가 가동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날개판(52)은 그 외측이 약간 기울기 상방으로 굴곡됨과 함께, 오일 쿨러(46)에 대향하는 부분의 폭이 좁아지고, 보닛(10)의 측벽을 따른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날개판(52)의 길이 방향 일단에서의 폭 방향의 타단으로부터는 저널부(52a)와 평행하게 지지부(52b)가 돌출 형성되어, 이 지지부(52b)가 사이드 프레임(51)과 평행하게 상하 방향으로 배치한 레버(53)에 지지된다. 이렇게 하여, 레버(53)는 날개판(52?52…)과 연계되어, 이 레버(53)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날개판(52?52…)을 동일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레버(53)의 상부는 덕트(48) 내의 상방으로 연신되며, 그 상단부(53a)가 덕트(48)의 측벽에 접하도록 굴곡되어 있다. 레버(53)의 상부와 덕트(48) 사이에 위치 고정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즉, 레버(53)의 상단부(53a)로부터 측방으로 볼트가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53)의 상단부(53a) 측방의 덕트(48)의 측벽에는 원호상의 장공(48a)이 마련되어, 상기 볼트를 이 장공(48a)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시켜, 나비너트(55)를 끼우고, 이 나비너트(55)를 단단히 조임으로써 레버(53)가 조작된 임의 위치에 고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루버(50)는 날개판(52?52…)을 임의 각도로 변경하여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단, 레버(53)의 고정 수단은 볼트?너트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핀 등이라도 되고, 또한, 어느 하나의 저널부(52a)에 모터를 연결하여 모터로 날개판(52?52…)의 각도를 변경하거나, 레버(53)를 실린더와 연결하고, 이 실린더를 신축시킴으로써 날개판(52?52…)의 각도를 변경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 모터 또는 실린더 등의 액츄에이터를 조작부에 마련한 조작 수단으로 원격 조작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루버(50)는 덕트(48) 상방으로부터 레버(53)를 조작하여 날개 판(52?52…)을 임의의 각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예를 들면, 덕트(48)의 측벽에 마련한 장공(48a)의 상단에 너트(55)를 위치시키고 조여, 레버(53)를 최상 위치로 한 경우에는, 날개판(52)의 외측이 기울기 상방으로 기운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반대로 장공(48a)의 하단에 너트(55)를 위치시키고 조여, 레버를 최하 위치에 고정한 경우에는, 날개판(52)을 대략 수평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장공(48a)의 상하 임의 위치에 너트(55)를 위치시켜 고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냉각팬(45)의 회전에 의해 일어나는 냉각풍으로 라디에이터(40) 및 오일 쿨러(46)가 냉각된 다음, 냉각풍은 보닛(10)에 마련한 개구부(10b)로부터 배출되지만, 냉각풍의 배출 방향은 상황에 따라 본기 측방 또는 기울기 상방으로 각도 변경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데워진 냉각풍이 가로수나 보행자 등을 향해 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기 측방에 가로수가 있는 경우에는, 냉각풍의 배출 방향을 본기 기울기 상방으로 변경함으로써, 냉각풍이 가로수를 향해 불지 않도록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데워진 냉각풍을 상방으로 배출하면, 풍향에 따라서는 운전 조작부(13) 위의 조종자에게 불어오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대략 수평 방향으로 변경함으로써 냉각풍을 측방으로 배출할 수 있어, 조종자에게 데워진 냉각풍이 불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루버(50)의 조정을 행하기 위한 너트(55)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닛(10)의 오른쪽 앞부분에 마련된 유지 보수 공간(10d)을 덮는 커버(58)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커버(58)는 후단이 기체에 지지되어, 이 후단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여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커버(58)를 상방으로 회동하여 열면, 너트(55)가 노출되어 이 너트(55)를 조작할 수 있게 되어, 루버(50)의 날개판(52?52…)의 각도 조정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라디에이터(40)와 루버(50)의 전방에는 연료 탱크(59)가 설치되어 있다. 도 10,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료 탱크(59)는 선회대 프레임(5)상에 고정 설치되고, 상부가 상기 커버(58)로 덮여 있다. 연료 탱크(59)의 상면에는 급유구(59a)가 마련되어, 커버(58)를 상방으로 회동하여 여는 것으로, 급유구(59a)로부터 연료 탱크(59) 내에 급유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연료 탱크(59) 하부의 기체 좌우 방향 내측은 절개된 형상이 되고, 절개부(59b)에 상기 스윙 실린더(28)가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연료 탱크(59)는 그 하부를 스윙 실린더(28)의 측방으로 팽출하여 용량을 크게 하면서, 스윙 실린더(28)와 선회대 프레임(5)의 좌우 동일측에 설치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단, 연료 탱크(59) 대신에 리저버(reservoir) 탱크를 같은 구성으로 하여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연료 탱크(59) 전방에 상기 제2 스텝(29)이 배치되며, 이 제2 스텝(29)상에서 작업자가 커버(58)를 회동하여 열고, 루버(50)의 날개판(52)의 각도를 조정하거나 연료 탱크(59)에 급유구(59a)로부터 급유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엔진(8)의 라디에이터(40)와 좌우 반대측에 상기 유압 펌프(26)가 설치되어, 엔진(8)에 의해 구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압 펌프(26)의 좌측방에는 리저버 탱크(61)가 설치되고, 이 리저버 탱크(61) 의 전방에 상기 컨트롤 밸브(2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컨트롤 밸브(25)와 유압 펌프(26), 리저버 탱크(61), 및 컨트롤 밸브(25)와 선회 모터(6), 스윙 실린더(28), 작업기(1)의 각 실린더(20?21?22) 등의 사이가 유압 호스로 접속되어, 리저버 탱크(61)로부터 작동유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4,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 밸브(25)는, 리저버 탱크(61)의 전방에서 선회대 프레임(5)의 좌측 앞부분에 설치되며, 전고후저(前高後低)로 비스듬히 세워진 상태로 브라켓(62)으로 유지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컨트롤 밸브(25)를 경사지게 배치함으로써 가급적 선회대 프레임(5)의 전측에 배치할 수 있어, 컨트롤 밸브(25)의 후단 위치도 전방에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그 후방의 공간도 크게 구성할 수 있고, 이 공간에는 리저버 탱크(61)의 앞부분을 팽출시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져, 리저버 탱크(61)의 용량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 밸브(25)의 전하방에 형성되는 공간에, 부속 작업기가 되는 브레이커 등을 위한 외부 취출용 부품(63)을 배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컨트롤 밸브(25)를 장착한 브라켓(62)의 상단에는 페달대(65)가 설치되고, 페달대(65)의 상방에 상기 스텝(12)이 배치되어 있다. 스텝(12)은, 페달대(65)를 덮는 전스텝(12A)과, 이 전스텝(12A)의 뒷부분에 연결 설치되는 후스텝(12B)으로 이루어지며, 전스텝(12A) 또는 후스텝(12B)상에 복수의 페달이나 레버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스텝(12)의 앞부분 중앙 부근에 주행 증속 페달(66), PTO 조작 페달(67), 스윙 페달(68)이 왼쪽부터 차례로 나란히 배치되며, 이 PTO 조작 페달(67)과 스윙 페달(68)의 사이에 좌우 한쌍의 주행용 조작 레버(69 ?69)가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또한, 좌우의 각 조작 레버(69?69)의 하부에 조작 페달(70?70)이 일체적으로 설치되며, 이 조작 페달(70?70)로 조작 레버(69?69)를 조작할 수도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6 내지 도 18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PTO 조작 페달(67)과 스윙 페달(68)은 각각 일측(전측)에서 페달대(65)에 지점축(71?72)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페달대(65)에 구비된 링크 기구(73)를 개재하여 컨트롤 밸브(25)와 연계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조작 레버(69?69)도 지점축(74?74)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페달대(65)에 구비된 링크 기구(73)를 개재하여 컨트롤 밸브(25)와 연계되어 있다. 여기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컨트롤 밸브(25)가 전고후저로 비스듬히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종래와 같이 가로로 배치하는 것보다도, 컨트롤 밸브(25) 상단과 조작 레버(69)나 조작 페달(70) 등과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으며, 양자를 연계하는 링크 기구(73)도 간단한 구성으로 하여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조작 페달(70?70)을 안정적으로 밟고 조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PTO 조작 페달(67)과 스윙 페달(68)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일측의 상하 양면에 발의 안착부(67a?68a)를 구비하고, 타측에서 지점축(71?72)에 지지되어, 전후 방향으로의 회동에 의해 밟아서 조작 가능한 조작 상태와 조작 불가능한 수납 상태(풋레스트 상태)로 절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각 페달(67?68)은,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스텝(12B) 위에 위치할 때까지 후방으로 회동되어, 링크 기구(73)에 구비하는 유압 액츄에이터 의 조작 부재와 맞닿음으로써 조작 가능한 상태가 되고,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스텝(12A) 위까지 전방으로 회동되어, 그 전스텝(12A)에 노출된 수납 부재(75?76)에 맞닿음으로써 조작 불가능한 수납 상태가 되어, 풋레스트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각 페달(67?68)은 조작 상태에서 안착부(67a?68a)의 중앙이 하방으로 오목하도록 형성되며, 이 안착부(67a?68a)에 발이 올려져 밟는 조작이 행해지면, 지점축(71?72)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로 회동하고, 이에 따라 링크 기구(73)를 통해 컨트롤 밸브(25)를 조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단, 스윙 페달(68)은 좌우로 요동시켜 조작한다. 그리고, 조작 상태에서 수동으로 수납 상태로 절환되어 전방으로 회동되었을 때에는 좌우 양측부에서 수납 부재(75?76)에 맞닿아, 전스텝(12A) 위에 보관된다. 이 수납 부재(75?76)의 중앙에는 옵션용 스위치(77?78)가 마련되어, 페달(67?68)이 수납 상태가 되었을 때에, 그 페달(67?68)의 상방으로 볼록하게 되는 안착부(67a?68a)로 덮여 보호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PTO 조작 페달(67)이나 스윙 페달(68)의 조작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페달(67?68)을 지점축(71?72)을 중심으로 하여 전방으로 회동시켜 전스텝(12A)의 수납 부재(75)에 맞닿게 함으로써, 페달(67?68)을 밟는 조작을 불가능하게 하여 오조작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동시에, 페달(67?68)의 안착부(67a?68a)로 옵션용 스위치(77?78)를 덮을 수 있으므로, 오조작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페달(67?68)의 안착부(67a?68a)의 하면을 발판으로서 이용할 수도 있어, 스텝(12)에서의 조종자의 발밑 부분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 다.
한편, 상기 PTO 조작 페달(67)이나 스윙 페달(68)의 조작이 필요하게 된 경우에는, 페달(67?68)을 지점축(71?72)을 중심으로 하여 후방으로 회동시켜 후스텝(12B) 위에 배치함으로써, 밟는 조작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페달(67?68)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페달(67?68) 자체를 후스텝(12B) 위에서 전방으로 회동하여 전스텝(12A) 위에 간단하게 수납할 수 있어, 스텝(12)에서의 조종자의 발밑 부분의 공간을 넓게 할 수 있다. 또한, 페달(67?68)을 전방으로 회동시키는 것만으로 조작 불가능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페달을 조작 불가능하게 하는 페달 커버가 불필요하게 되어,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스텝(12) 전단부에는 PTO 조작 페달(67)이나 스윙 페달(68) 등의 전방을 덮도록 프런트 커버(81)가 배치되어 있다. 이 프런트 커버(81)는,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았을 때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스텝(12) 앞부분에 세로로 설치된 정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門"자 형상의 난간(82)의 사이에 가로로 설치되어 있다. 이 프런트 커버(81)의 중앙 상부에는 개구부(81a)가 마련되며, 이 개구부(81a) 내에 전조등(83)이 운전 조작부(13) 전방에서 가능한 한 높은 위치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전조등(83)에 의해 조종자의 전방을 비출 수 있어, 주위에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런트 커버(81)는 그 좌우 양측 상부가 스텝(12)의 좌우 양측에 설치한 페달(67?68)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페달 전방에 다리를 뻗었을 때에, 프런트 커버(81)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전방으로 내는 것이 가 능해져, 조종자의 발밑 부분의 공간을 확대할 수 있다.
그리고, 이상과 같이 엔진(8), 유압 펌프(26), 연료 탱크, 작동유 탱크, 라디에이터 등을 구비하는 선회대 프레임(5)은, 그 앞부분의 좌우 일직선부의 좌우 중앙에 설치부를 마련하여 작업기(1)를 설치함으로써, 선회 작업차를 후방 초소선회형으로 하고 있지만, 앞부분 우측에 마련한 단차부(5d)에 설치부를 마련하여 작업기를 설치하여,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회 작업차를 초소선회형으로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선회대 프레임(5)의 전단 이외는 후방 초소선회형과 초소선회형의 선회 작업차에서 공통의 형상으로서 양쪽 모두에서 공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후방 초소선회형과 초소선회형의 선회 작업차에서의 선회대 프레임(5)의 성형형을 공통으로 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선회대 프레임(5)을 이용하여 초소선회형의 선회 작업차가 구성되는 경우, 도 23,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업기(101)는 그 받침점(105a)이 선회 반경내에 위치하도록 선회대 프레임(5)의 단차부(5c)에서 지지부(5e)에 지지되며, 선회대 프레임(5)에 대해 우측에 가까이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작업기의 좌우 반대측에 배치되는 운전 조작부(13)의 공간이 가능한 한 넓게 확보되어, 운전 조작부(13)의 거주성이 높여져 있다.
상기 작업기(101)는, 도 23,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버킷(102), 아암(103), 붐(104), 이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 실린더 등을 구비하며, 부속 장치가 되는 버킷(102)을 붐(104)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오프셋형 의 작업기로서 구성되어 있다. 붐(104)은 기초부측으로부터 제1 붐(105)과 제2 붐(106)과 제3 붐(107)을 본기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차례로 접속한 것으로서, 제1 붐(105)의 기초부가 선회대 프레임(5)의 단차부(5c)상에서, 지지부(5e)에 상하(전후)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1 붐(105)의 선단부에 제2 붐(106)의 기초부가 좌우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2 붐(106)의 선단부에 제3 붐(107)의 기초부가 좌우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 붐(104)의 선단부, 즉 제3 붐(107)의 선단부에 아암(103)의 기초부가 상하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아암(103)의 선단부에 버킷(102)이 전후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붐 회동용의 붐 실린더(111)가 제1 붐(105)의 기초부로부터 그 받침점(105a)보다 하방으로 돌출 설치된 브라켓(112)과 선회대 프레임(5) 뒷부분에 설치된 지지부(5f)의 사이에 개재되고, 아암 회동용의 아암 실린더(113)가 아암(103)의 기초부보다 상방으로 돌출 설치된 아암 브라켓(114)과 제3 붐(107)의 기초부와의 사이에 개재되고, 버킷 회동용의 버킷 실린더(115)가 버킷(102)의 링크 기구(116)와 암 브라켓(114)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붐(104)이 붐 실린더(111)의 신축 구동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되고, 아암(103)이 아암 실린더(113)의 신축 구동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되고, 버킷(102)이 버킷 실린더(115)의 신축 구동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붐(105)의 선단부측 우측면에 돌출 설치된 브라켓(117)과 제3 붐(107)의 기초부측 우측면에 돌출 설치된 브라켓(118)의 사이에 오프셋 로드(119)가 설치됨과 함께, 제1 붐(105)의 중앙부 우측면에 돌출 설치된 브라 켓(121)과 제2 붐(106)의 기초부측 우측면에 돌출 설치된 브라켓(122)의 사이에 오프셋 실린더(123)가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오프셋 실린더(123)가 신축 구동함으로써 제2 붐(106)이 좌우로 회동하고, 제2 붐(106)의 회동에 연동하여 오프셋 로드(109)도 좌우로 회동하고, 제3 붐(107)보다 선단측에 배치되는 제3 붐(107)과 아암(103)과 버킷(102)을 뒤에서 보았을 때 좌우로 경사지지 않고, 좌우로 대략 평행 이동(오프셋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붐(104)을 최후방으로 회동한 상태에서, 상기 제2 붐(106)은 뒤에서 보았을 때 대략 평행사변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한쪽의 대각선 A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다른 쪽의 대각선 B가 기체 좌우 중앙측에 경사지게 배치되며, 전자의 대각선 A의 양단에 마련된 지지축(125?126)에서 각각 제1 붐(105)과 제3 붐(107)에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2 붐(106)은 대략 평행 사변형으로서, 전후 방향(상하 방향)의 대각선 A와 기체 내측의 기초부측의 변(106b) 사이의 각도 α는, 대각선 A와 기체 내측의 선단측의 변(106c) 사이의 각도 β보다 작아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2 붐(106)의 강성을 떨어뜨리지 않고, 기초부 내측의 돌출이 작아져 제1 붐(105)의 선단부의 내측과 맞닿기 어려워져, 제2 붐(106)을 본기 기체 내측으로 크게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제2 붐(106)의 오프셋량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1 붐(105)을 가능한 한 기체 외측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져, 운전 조작부(13)의 공간을 크게 할 수 있다. 이때, 제2 붐(106)의 기초부측의 바깥 방향으로 팽출한 부분(106a)은 상하 같은 위치에서 내측으로의 팽출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제2 붐(106)을 회동시키는 오프셋 실린더(123)의 피스톤 로드의 지지부인 브라켓(122)은, 이 제2 붐(106)의 기초부측의 바깥 방향으로 팽출한 부분(106a)에, 바깥 방향으로 더욱 돌출하여 설치되게 되므로, 제2 붐(106)을 본기 내측으로 크게 회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제1 붐(105)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S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붐(105)은, 작업기(101)가 최후방 위치가 되고, 버킷(102)이 아암(103)을 사이에 두고 붐(104)에 가까워지도록 회동되었을 때에, 선단부측에 형성된 앞 공간 내에 버킷(102)이 들어가도록 구성되고, 동시에 기초부측에 형성된 뒷공간 내에 보닛(10) 앞부분이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 붐(105), 즉 작업기(101)의 후방으로의 회동 각도를 크게 하지 않고 버킷(102)을 가능한 한 후방의 본기측에 위치시킬 수 있어 선회 반경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붐(104)을 회동하는 붐 실린더(111)는,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회대 프레임(5)의 단차부(5c)의 후방에서 보닛(10) 내에 수납되며, 운전 조작부(13)에 구비되는 스텝(12)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보닛(10) 내의 공간이 넓게 확보되어, 이 공간에 수납하는 연료 탱크(59)나 리저버 탱크(61) 등의 용량을 증가시키거나, 냉각풍이 흐르는 공간을 확실히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붐 실린더(111)를 작업기(101)측이 아니라 본기측에 배치함으로써, 작업기(101)의 콤팩트화 및 경량화가 도모되고 있다.
그리고, 이상과 같은 오프셋형의 작업기(101)를 구비하는 초소선회형의 선회 작업차에 있어서는, 선회대 프레임(5)상에 붐 실린더(111)가 상기 후방 초소선회형 의 선회 작업차의 스윙 실린더(28)와 대략 같은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와 마찬가지로 선회대 프레임(5)상에서 붐 실린더(111)의 상방에 연료 탱크(59)와 라디에이터(40)가 전후로 나란히 배치되고, 이 라디에이터(40)의 측방에 엔진(8)과 리저버 탱크(61)가 병설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선회대 프레임(5)상에 각종 기기가 효율적으로 배치되어, 이 레이아웃이 후방 초소선회형과 초소선회형의 선회 작업차에서 공통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선회 작업차는, 엔진 등을 냉각한 후의 냉각풍이 배출풍으로서 본기 측방으로 배출될 때에, 본기 측방에 위치하는 수목이나 본기 측방을 통과하는 보행자 등을 향해 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산업상 유용하다.

Claims (4)

  1. 보닛(10)과,
    상기 보닛(10) 내의 엔진(8)과,
    상기 보닛(10) 내의 공기 토출식의 냉각팬(45)을 구비하고,
    상기 보닛(10)의 측면에 상기 냉각팬(45)으로부터의 냉각풍을 배출하는 개구부(10b)를 마련하고,
    상기 개구부(10b)와 상기 냉각팬(45)의 사이에 덕트(48)를 배치한 선회 작업차(1)에 있어서,
    프레임(51)과, 복수의 날개판(52)과, 상하 가동의 레버(53)를 갖는 루버(50)를 마련하고,
    상기 복수의 날개판(52)의 각각은, 일측을 상기 프레임(51)에 지지하고, 타측을 상기 레버(53)에 지지하여, 상기 레버(53)의 상하 이동에 따라 움직일 수 있고,
    상기 프레임(51)을 상기 덕트(48)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루버(50)를 상기 덕트(48) 내에 배치하는 것으로 하고,
    상기 레버(53)의 일단을 상기 덕트(48) 상방에 연장하여 설치하고, 상기 덕트(48)의 측면에 형성한 원호상의 장공(48a)을 통해, 위치 고정 부재(55)에 의해 상기 레버(53)의 상기 일단을 이 덕트(48)의 측면에 고정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 작업차(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고정 부재(55)를 보닛(10)의 상방을 개방하는 커버(58)의 근방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 작업차(1).
  3. 삭제
  4. 삭제
KR1020087002218A 2005-07-05 2006-01-19 선회 작업차 KR1011960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96828A JP4667141B2 (ja) 2005-07-05 2005-07-05 旋回作業車
JPJP-P-2005-00196828 2005-07-05
PCT/JP2006/300735 WO2007004329A1 (ja) 2005-07-05 2006-01-19 旋回作業車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2125A KR20080032125A (ko) 2008-04-14
KR101196012B1 true KR101196012B1 (ko) 2012-10-30

Family

ID=37604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2218A KR101196012B1 (ko) 2005-07-05 2006-01-19 선회 작업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327811B2 (ko)
EP (1) EP1902889A4 (ko)
JP (1) JP4667141B2 (ko)
KR (1) KR101196012B1 (ko)
CN (1) CN101233007A (ko)
WO (1) WO20070043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64777B2 (ja) * 2007-03-16 2012-02-01 株式会社クボタ バックホー
CN103266842B (zh) * 2013-05-02 2015-03-11 苏州市捷达消防车辆装备有限公司 消防车的联动式百叶窗结构
JP6216164B2 (ja) * 2013-06-14 2017-10-18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WO2015141499A1 (ja) * 2014-03-20 2015-09-24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装置及びこれを搭載した定置型作業機
US10252611B2 (en) * 2015-01-22 2019-04-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ctive seal arrangement for use with vehicle condensers
JP6566817B2 (ja) * 2015-09-29 2019-08-28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USD832137S1 (en) * 2016-03-02 2018-10-30 Mora Contract Manufacturing Ab Snowmobile accessory
US10184227B2 (en) * 2016-06-21 2019-01-22 Kubota Corporation Work machine
US10813286B2 (en) 2017-11-15 2020-10-27 Cnh Industrial America Llc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flow orientation of an air flow exhausted from an agricultural harvester
WO2020166629A1 (en) 2019-02-13 2020-08-20 Nec Corporation Doherty power amplifier
EP4123902A4 (en) 2020-04-27 2023-05-0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DOHERTY AMPLIFIER
JP2022098754A (ja) * 2020-12-22 2022-07-04 ヤンマ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建設機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7758A (en) 1981-10-06 1984-07-03 C. R. Bard, Inc. Venting assembly for a sealed body fluid drainage device
JP2004352089A (ja) * 2003-05-29 2004-12-16 Yanmar Co Ltd 旋回式作業機械
KR200381387Y1 (ko) * 2005-01-26 2005-04-11 손경섭 높이조절의자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7776A (en) * 1906-02-23 1910-05-10 Robert A Ilg Ventilating-fan.
US1220794A (en) * 1916-03-18 1917-03-27 Walter Edwin Stephenson Motor-radiator air-draft control.
US1257218A (en) * 1917-03-29 1918-02-19 Leslie W Griswold Heat-controller for air-cooled engines.
US1257219A (en) * 1917-09-04 1918-02-19 Leslie W Griswold Heat-controller for air-cooled engines.
US1352509A (en) * 1920-01-24 1920-09-14 Leslie W Griswold Air-control device for engines
US1649246A (en) * 1922-02-23 1927-11-15 Banning Jr Thomas A Internal-combustion engine
US1528575A (en) * 1922-12-01 1925-03-03 William H Schill Automobile radiator shutter
US1573641A (en) * 1923-05-26 1926-02-16 Gen Motors Res Corp Air-cooling system
US1542407A (en) * 1923-12-22 1925-06-16 Pines Mfg Company Shutter apparatus for radiators
US2357137A (en) * 1941-11-22 1944-08-29 Gen Electric Shutter construction
US2551921A (en) * 1945-11-20 1951-05-08 William C Arsem Automatic radiator shutter
US3226025A (en) * 1963-02-21 1965-12-28 Kysor Industrial Corp Electrically driven thermostatically controlled heat regulating mechanism for automotive vehicles
US3885945A (en) 1974-03-20 1975-05-27 Owens Corning Fiberglass Corp Method of and apparatus for electrically heating molten glass
DE2359388A1 (de) 1973-11-28 1975-06-05 Willi Gaspers Kuehler-jalousie fuer wassergekuehlte kraftfahrzeugmotoren, die sich bei erreichter betriebstemperatur selbsttaetig oeffnet und bei abgeschaltetem motor sofort wieder schliesst
DD129540A1 (de) * 1976-12-31 1978-01-25 Dieter Kunze Luftleiteinrichtung am motorkuehlsystem einer selbstfahrenden landmaschine
DD140105A1 (de) * 1978-12-27 1980-02-13 Dieter Berth Luftfuehrung am kuehlsystem und antriebsmotor einer selbstfahrenden landmaschine
JPS6134224Y2 (ko) * 1981-04-22 1986-10-06
JPS59107925U (ja) * 1983-01-11 1984-07-20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トラクタ−のボンネツト部におけるカバ−装置
JPS59163525A (ja) 1983-03-08 1984-09-14 Japan Spectroscopic Co 連続駆動型マイケルソン干渉計の可動鏡駆動装置
JPS59163525U (ja) * 1983-04-19 1984-11-01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バツクホ−のラジエ−タ−冷却排気排出窓配設構造
JPS60113221A (ja) 1983-11-25 1985-06-19 Fuji Xerox Co Ltd 複写機用露光位置制御装置
JPS60113221U (ja) * 1984-01-06 1985-07-31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土工車輛用消音ル−バ−装置
US4753288A (en) * 1986-10-22 1988-06-28 Kysor Industrial Corporation Polymeric shutter assembly
JPS63270230A (ja) * 1987-04-29 1988-11-08 Honda Motor Co Ltd 車両の冷却、排風構造
JPH0535888Y2 (ko) * 1987-06-22 1993-09-10
KR970065061A (ko) 1996-03-12 1997-10-13 김영귀 액티브 라디에이터 그릴
JP2000062474A (ja) * 1998-08-21 2000-02-29 Komatsu Ltd 作業車両の冷却装置
KR100512804B1 (ko) * 2000-12-01 2005-09-07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건설기계
JP3600164B2 (ja) * 2001-02-13 2004-12-08 三洋電機株式会社 冷暖房用車載空気調和機
FR2821817A3 (fr) * 2001-03-07 2002-09-13 Plastic Omnium Cie Ensemble constitue par une piece de carrosserie de vehicule automobile et par un obturateur d'entree d'air et piece de carrosserie apte a supporter un tel obturateur
US6527333B2 (en) * 2001-04-18 2003-03-04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Solid state drag reducing vehicle grille
JP3929347B2 (ja) * 2002-04-24 2007-06-13 株式会社ニフコ 空気吹き出し口の調節装置
ITTO20020727A1 (it) * 2002-08-14 2004-02-15 Fiat Kobelco Construction Machinery Spa Apparecchiatura di raffreddamento per un autoveicolo, in particolare per un escavatore.
EP1558840A4 (en) * 2002-10-11 2006-03-22 Nordam Group Inc PUSHED INVERTER WITH DOUBLE FOLDING SHUTTER
JP3952972B2 (ja) * 2003-03-07 2007-08-01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冷却装置
JP4226546B2 (ja) * 2004-03-29 2009-02-18 株式会社クボタ 旋回作業機
KR101127799B1 (ko) * 2004-12-29 2012-03-26 두산산업차량 주식회사 엔진식 지게차의 쿨링장치
US7828097B2 (en) * 2005-07-05 2010-11-09 Yanmar Co., Ltd. Construction machine
US7753152B2 (en) * 2005-09-15 2010-07-13 Komatsu Ltd. Cooling device for construction machine
US7503419B2 (en) * 2005-09-26 2009-03-17 Kubota Corporation Backhoe
JP4501945B2 (ja) * 2007-02-23 2010-07-14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冷却器用フィルタの取付構造
US7836967B2 (en) * 2008-07-28 2010-11-23 Caterpillar Inc Cooling system packaging arrangement for a machine
US20100071978A1 (en) * 2008-09-22 2010-03-25 Clark Equipment Company Combustion air cleaner scavenge system
JP4909972B2 (ja) * 2008-10-02 2012-04-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エンジンの冷却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7758A (en) 1981-10-06 1984-07-03 C. R. Bard, Inc. Venting assembly for a sealed body fluid drainage device
JP2004352089A (ja) * 2003-05-29 2004-12-16 Yanmar Co Ltd 旋回式作業機械
KR200381387Y1 (ko) * 2005-01-26 2005-04-11 손경섭 높이조절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26440A1 (en) 2010-05-27
EP1902889A4 (en) 2012-01-11
CN101233007A (zh) 2008-07-30
KR20080032125A (ko) 2008-04-14
JP2007015462A (ja) 2007-01-25
JP4667141B2 (ja) 2011-04-06
WO2007004329A1 (ja) 2007-01-11
EP1902889A1 (en) 2008-03-26
US8327811B2 (en) 2012-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6012B1 (ko) 선회 작업차
KR101189702B1 (ko) 선회 작업차
KR101196013B1 (ko) 선회 작업차
KR101209658B1 (ko) 선회 작업차
KR101318408B1 (ko) 선회 작업차의 구성 방법
JP4540562B2 (ja) 旋回作業車
JP4585395B2 (ja) 旋回作業車
JP4585396B2 (ja) 超小旋回作業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