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6366B1 - 진동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진동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6366B1
KR101916366B1 KR1020170049138A KR20170049138A KR101916366B1 KR 101916366 B1 KR101916366 B1 KR 101916366B1 KR 1020170049138 A KR1020170049138 A KR 1020170049138A KR 20170049138 A KR20170049138 A KR 20170049138A KR 101916366 B1 KR101916366 B1 KR 101916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ing
guide members
unit
guid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9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6615A (ko
Inventor
이경호
배욱관
Original Assignee
(주)엔클로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클로니 filed Critical (주)엔클로니
Priority to KR1020170049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6366B1/ko
Publication of KR20180116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6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6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6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7/00Jigging conveyors
    • B65G27/04Load carriers other than helical or spiral channels or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7/00Jigging conveyors
    • B65G27/10Applications of device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jigging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7Tablets, capsules, pill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3Vibrating conveyors
    • B65G2812/0304Driving means or auxiliary devices
    • B65G2812/0308Driv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 Jigging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이송 방향을 따라 연장한 적어도 2개의 안내 부재가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이송되는 이송 대상물 중 불량품을 안내 부재들 사이의 간격을 통해 제거하는 이송 유닛; 및 상기 이송 유닛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이송 유닛을 진동시키는 진동 유닛을 포함하여서, 이송 대상물 중 불량품을 손쉽게 분리하여 정상품만 이송되게 함으로써, 후속 공정을 보다 원활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품의 생산성이 증진됨과 동시에 제품의 신뢰도 및 안정감을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진동 이송 장치 {Oscillatory transfer apparatus}
본 발명은, 예컨대 정제와 같은 이송 대상물을 이송하면서 불량품을 선별하여 제거할 수 있는 진동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캡슐 또는 타원형이나 원형의 단면을 가진 정제는 자동화 공정을 통해 대량으로 생산되기 때문에 성분이나 용량으로 인한 불량보다는 제조, 이송, 인쇄, 배출, 포장되는 과정 등에서 불량품이 많이 발생 되었다.
이러한 불량품은, 예를 들어 이물질의 부착 또는 오염, 정제 간의 접촉이나 충격에 의한 크랙 또는 부분 손상, 변형 등과 같은 외관상의 흠결을 갖게 된다.
그런데, 경우에 따라서는 불량품 중에 예정된 두께보다 모자란 두께를 가진 이형 정제 또는 손상된 정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자란 두께의 정제는 그 형태가 일정하지 않아, 상기한 자동화 공정에서 원활히 이송되거나 자동화 공정을 통해 정확히 배출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그 결과, 제품의 생산성을 떨어뜨리게 됨은 물론, 심한 경우에는 설비의 고장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불량품을 선별하는 인력과 공정 등이 추가로 요구되고, 인력으로 선별하게 되면 많은 시간과 노력 및 비용이 소요되며, 일일이 손으로 분류하면서 제품이 오염될 우려까지 있었다.
(특허문헌 1) KR 2016-0072723 A
이에 본 발명은, 예컨대 정제와 같은 이송 대상물을 이송하면서 불량품을 선별하여 제거할 수 있는 진동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이송 장치는, 이송 방향을 따라 연장한 적어도 2개의 안내 부재가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이송되는 이송 대상물 중 불량품을 안내 부재들 사이의 간격을 통해 제거하는 이송 유닛; 및 상기 이송 유닛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이송 유닛을 진동시키는 진동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송 대상물 중 불량품, 특히 검사 장비가 검출해내기 곤란한 불량품을 손쉽게 분리하여 정상품만 이송되게 함으로써, 후속 공정을 보다 원활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품의 생산성이 증진됨과 동시에 제품의 신뢰도 및 안정감을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설비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송 중에 불량품을 제거하여 불량품의 선별을 위한 별도의 인력과 공정 등이 필요 없게 됨으로써, 불량품으로 인해 소요되는 시간, 노력, 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이송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송 유닛 중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이송 장치 중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이송 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이송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송 유닛 중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이송 장치 중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이송 장치는, 이송 방향을 따라 연장한 적어도 2개의 안내 부재(16)가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이송되는 이송 대상물 중 불량품을 안내 부재들 사이의 간격을 통해 제거하는 이송 유닛(10); 및 이 이송 유닛의 일측에 연결되어, 이송 유닛을 진동시키는 진동 유닛(30)을 포함하고 있다.
이송 유닛(10)은 이송 대상물을 이송하는 이송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이송 유닛은 상세히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입측(入側), 즉 상류 쪽은 이송 대상물이 저장된 별개의 저장 수단(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으며, 출측(出側), 즉 하류 쪽은 검사나 포장 혹은 다른 임의의 후속 공정에 연결되어 이송 대상물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송 대상물로 정제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진동 이송 장치가 반드시 이러한 정제에 대해서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임의의 이송 대상물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송 유닛(10)은, 상대적으로 상승한 융기부(11)와 이 융기부로부터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대적으로 하강한 함몰부(12)를 갖춘 케이스(13); 함몰부 내에 설치되고, 대략 사각형 모양의 프레임 형태로 되어 중공부(14)를 가진 받침대(15); 및 이 받침대 위에 이송 방향을 따라 연장하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전술한 적어도 2개의 안내 부재(16)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3)의 평탄한 융기부(11)에는, 한쪽에는 유입구(17)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는 유출구(18)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융기부를 덮어씌우도록 대략 아래로 개방된 박스 형상의 덮개부(19)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덮개부(19)의 상부면에 유입구(17)가 형성되고 덮개부의 일측 측면에 유출구(18)가 형성된 예가 나타나 있지만, 유입구와 유출구의 배치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케이스(13)의 융기부(11) 자체에 융기부를 둘러싸는 벽체가 형성된 경우에는 이들 벽체에 유입구와 유출구가 각각 구분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13)의 융기부(11)와 이에 조립된 덮개부(19)가 본 발명의 진동 이송 장치에서 상류에 위치되어 이송 대상물이 공급되게 하는 공급부를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입구(17)에 전술한 저장 수단이 연결될 수 있다.
유출구(18)에 인접하여, 덮개부(19)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블록(20)이 설치될 수 있다. 이 안내 블록은 덮개부에 부착되거나 케이스(13)의 융기부(11)에 조립될 수 있다. 이러한 안내 블록에 의해, 유입구(17)를 통해 공급된 복수의 이송 대상물이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이동되어 안내 부재(16) 쪽으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하면, 받침대(15)는 케이스(13)의 함몰부(12) 내에 위치되며, 그 위에 복수의 안내 부재(16)가 서로 이격된 채로 배열되어, 이들 안내 부재가 받침대의 중공부(14)를 거의 덮어씌우게 된다.
받침대(15)와 복수의 안내 부재(16)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예컨대 고정 나사와 같은 임의의 고정 수단을 매개로 하여 서로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조립될 수도 있다. 특히 이송 대상물의 크기에 따라 안내 부재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이송 방향에 교차하는 받침대의 부분에 길게 관통 슬릿을 형성하고, 이 관통 슬릿을 관통하는 복수의 고정 나사를 해당 안내 부재마다 체결하여 조립할 수도 있다. 이로써, 이송 대상물에 따라 각 안내 부재의 위치와 이들 사이의 간격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케이스(13)의 함몰부(12)와 그 안에 수용된 받침대(15) 및 받침대 상에 위치된 안내 부재(16)들이 본 발명의 진동 이송 장치에서 이송 대상물을 이송하는 이송부와 동시에, 이송 대상물 중에서 불량품을 분리하는 선별부를 구성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안내 부재(16)는 대략 곧게 뻗은 로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받침대(15) 상에 위치된 안내 부재들의 상단은 이송 대상물의 원활한 이송을 위해 케이스(13)의 융기부(11))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로 위치하거나 다소 낮게 위치하는 것이 좋다.
인접한 안내 부재(16)들 사이의 간격은 예를 들어 이송 대상물의 두께보다 작아야 한다. 바람직하기로, 이 간격은 이송 대상물의 절반 두께 이상에서 이송 대상물의 두께 미만의 범위를 갖는다. 인접한 안내 부재(16)들 사이의 간격이 이송 대상물의 절반 두께보다 작으면 모자란 두께를 가진 불량품의 제거 효율이 떨어지며, 이송 대상물의 두께 이상으로 되면 정상품도 이송 경로를 벗어날 우려가 있다.
또한, 이 간격에 의해 생성된 공간은 케이스(13)의 함몰부(12) 내에 있는 받침대(15)의 중공부(14)와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송되는 이송 대상물 중 예컨대 모자란 두께를 가진 불량품은 안내 부재(16)들 사이의 간격을 통해 케이스(13)의 함몰부(12) 쪽으로 낙하할 수 있고, 이로써 이송 대상물 중 불량품이 선별되어 제거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함몰부(12)에 낙하한 불량품은 차후에 수동으로 수거되거나, 함몰부의 일측에 유출 구멍(미도시)이 마련되어 이 유출 구멍을 통해 추출될 수도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진동 이송 장치에서는, 불량품으로부터 야기된 작은 조각이나 분진은 환경을 악화시키는 것은 물론, 이들이 누적되어 고착되면 이송을 방해하고, 장치 전체에 트러블을 초래하기도 하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몰부(12)의 측면 또는 밑면을 통해 연통되어 이송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 등을 흡입할 수 있는 흡입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으로, 예정된 크기(두께)를 가진 정상품은 후술하는 진동 유닛(30)의 진동으로 인해 인접한 안내 부재(16)들 사이의 골을 타고 하류 쪽으로 미끄럼 이동될 수 있다.
예컨대 정제와 같은 이송 대상물이 진동 유닛(30)에 의한 진동으로 이동하면서 안내 부재(16)와 부딪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 안내 부재의 상부면은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송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의 최외곽에 위치하는 안내 부재에서는, 그 상부면 중 인접한 다른 안내 부재를 향한 부분은 곡면으로 형성되고 나머지 부분은 평탄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끄럼 이동되는 정상품은 그 형상에 따라 안내 부재(16)들 사이의 골을 향해 경사진 자세로, 혹은 안내 부재와 안내 부재 사이의 골에 걸쳐 놓인 상태로 되어 나아가게 된다.
양측 최외곽에 위치한 안내 부재(16)의 평탄면 위에는 각각 이송되는 이송 대상물의 탈락을 방지하도록 하는 측벽 부재(21)가 대략 직립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 측벽 부재의 일측 단부는 덮개부(19) 또는 융기부(11)의 선단에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도 1과 도 2 및 도 4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진동 이송 장치에서, 이송부 또는 선별부의 측방을 차단하는 측벽 부재(21) 상에는, 이송 대상물의 탈락과 동시에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22)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더구나, 이 커버에는, 작업자가 이송 대상물의 이송 과정 내지 불량품의 선별 과정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투명한 재질의 윈도우(23)가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3)에는, 커버(22)의 견고한 장착과 더불어, 청소나 유지 보수를 위한 용이한 탈착을 위해 예컨대 클램프와 같은 체결구(24)가 마련될 수 있다.
추가로, 안내 부재(16) 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핀(25) 또는 안내 판재가 직립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안내 핀 또는 안내 판재는, 이송되는 이송 대상물, 특히 불량품이 안내 부재를 타고 진행하지 않고 반드시 안내 부재와 안내 부재 사이의 골을 타고 나아가게 함으로써, 불량품의 선별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안내 핀(25)인 경우에는 핀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안내 부재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을 갖춘 관통공(26)이 형성되어, 안내 핀이 관통공에 나사결합함으로써 위로 돌출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안내 판재(미도시)인 경우에는 안내 판재가 직립하고서 이송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도록 안내 부재에 형성된 슬릿홈에 안내 판재가 억지끼워맞춤되거나 삽입 후 접착될 수 있다.
또한, 받침대(15)에서 융기부(11))의 반대쪽, 즉 하류 측에는 이송 대상물 중 선별된 정상품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 부재(27)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배출 부재는 예컨대 밑면 일측에 배출구(28)를 가진 대략 박스나 통 형상의 부재로 될 수 있다.
배출 부재(27)는 본 발명의 진동 이송 장치에서 하류에 위치되어 이송 대상물이 배출되게 하는 배출부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배출구(28)로부터 전술한 후속 공정이 연속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배출 부재(27)의 상부에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다공판(29)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다공판은, 예를 들어 정제와 같은 이송 대상물이 코팅되거나 인쇄된 후 코팅액이나 인쇄액이 완전히 건조되기 전에 이송됨으로써 인접한 이송 대상물이 서로 중첩되거나 들러붙은 채로 이송될 때, 이러한 불량품을 여과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다공판(29)은 본 발명의 진동 이송 장치에서 이송 대상물을 배출하는 배출부와 동시에, 이송 대상물 중에서 불량품을 분리하는 또 다른 선별부를 구성할 수 있다.
다공판(29)의 각 구멍은 대략 하나의 이송 대상물이 가질 수 있는 최대 단면적보다 크고 이 최대 단면적의 2 배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져야 한다. 다공판(29)이 갖는 각 구멍의 단면적이 이송 대상물이 가질 수 있는 최대 단면적의 2배 이상이면 들러붙은 불량품의 제거 효율이 떨어지며, 이송 대상물의 최대 단면적 이하로 되면 정상품도 이송 경로를 벗어나 배출되지 못할 우려가 있다. 구멍의 형상은 원형이나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안내 부재(16)의 평탄면 위에 측벽 부재(21)가 설치된 경우에는, 이 측벽 부재가 다공판(29)의 측방 선단을 따라 다공판 위로 연장되어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진동 유닛(30)의 진동으로 인해 안내 부재(16)들로부터 다공판(29)으로 이송되어 온 이송 대상물 중 정상품은 다공판을 통과하고 배출 부재(27)를 거쳐 후속 공정으로 나아갈 수 있지만, 중첩되거나 들러붙은 불량품은 다공판에 걸려 다공판 위에 남아 있게 된다.
다공판(29)에 잔류하는 불량품은 차후에 수동으로 수거되거나, 다공판의 하류측에 마련된 유출 구멍(미도시)과, 이 유출 구멍에 연결된 주머니나 튜브 등과 같은 별도의 분리 부재를 통해 추출될 수도 있다.
진동 유닛(30)은 이송 유닛(10)을 진동시킨다. 이러한 진동 유닛은 이송 유닛의 케이스(13)의 일측에 결합하여 이송 유닛에 진동을 전달하는 발진 수단(31)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진동 유닛은 이송 유닛을 진동시킴으로써, 이송 유닛의 입측에서 출측을 향해 이송 대상물이 정체되지 않고 이동되게 추진할 수 있다.
발진 수단(31)으로는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수축 및 팽창이 이루어져 일측 또는 타측으로 휘어지게 됨으로써 진동을 발생시키는 압전 소자 액추에이터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압전 소자 액추에이터는 빠른 응답성과 고진동의 성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다만, 발진 수단(31)으로 반드시 압전 세라믹 액추에이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모터와 캠 등을 사용한 것과 같이 다른 임의의 발진 수단이 채용되어도 무방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발진 수단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보다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 유닛(30)과 이송 유닛(10) 사이의 연결을 위해, 발진 수단(31)에는 지지 불록(32)이 고정되는 한편, 케이스(13)에는 지지 홀더(33)가 고정되게 된다. 지지 블록 위에서 지지 홀더는 서로 형상맞춤되어 결합할 수 있으며, 견고한 결합을 위해 고정 나사와 같은 별도의 고정구(34)가 추가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 블록(32)의 접촉면은 이송 방향의 상류 측이 높고 하류 측이 낮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이에 따라 지지 블록과 접하는 지지 홀더(33)가 경사지게 되며, 결국 이송 유닛(10)은 이송 대상물의 이송 방향을 기준으로 이송 유닛의 입측이 출측보다 높게 기울어지도록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이송 대상물은 진동 유닛(30)의 진동 및 지지 블록(32)의 경사로 인하여 이송 유닛(10)의 입측에서 출측을 향해 정체되지 않고 원활히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이동 도중에, 이송 대상물 중 예컨대 모자란 두께를 가진 불량품은 이송 유닛(10)의 안내 부재(16)들 사이의 간격을 통해 케이스(13)의 함몰부(12)로 낙하할 수 있고, 이로써 이송 대상물 중 불량품이 선별되어 제거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구나, 다공판(29)이 구비된 경우에는, 안내 부재(16)들로부터 이송되어 온 이송 대상물 중 정상품은 다공판을 통과하고 배출 부재(27)를 거쳐 후속 공정으로 나아갈 수 있으나, 중첩되거나 들러붙은 불량품은 다공판에 걸려 선별될 수 있게 된다.
진동 유닛(30)은 지지 본체(3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 본체는 본 발명의 진동 이송 장치가 임의의 설비에 거치될 수 있게 하는 지지부재로 작용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본 발명의 진동 이송 장치가 복수의 설비에 사용될 수 있도록, 그 위치가 가변되게 하는 복수의 바퀴(미도시)가 지지 본체(35)의 하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송 대상물 중 불량품, 특히 검사 장비가 검출해내기 곤란한 불량품을 손쉽게 분리하여 정상품만 이송되게 함으로써, 후속 공정을 보다 원활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품의 생산성이 증진됨과 동시에 제품의 신뢰도 및 안정감을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설비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송 중에 불량품을 제거하여 불량품의 선별을 위한 별도의 인력과 공정 등이 필요 없게 됨으로써, 불량품으로 인해 소요되는 시간, 노력, 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이송 유닛 13: 케이스
15: 받침대 16: 안내 부재
19: 덮개부 20: 안내 블록
22: 커버 23: 윈도우
25: 안내 핀 27: 배출 부재
28: 배출구 29: 다공판
30: 진동 유닛 31: 발진 수단
35: 지지 본체

Claims (18)

  1. 이송 방향을 따라 연장한 적어도 2개의 안내 부재가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이송되는 이송 대상물 중 불량품을 안내 부재들 사이의 간격을 통해 제거하는 이송 유닛; 및
    상기 이송 유닛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이송 유닛을 진동시키는 진동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 유닛은,
    상대적으로 상승한 융기부와 상기 융기부로부터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대적으로 하강한 함몰부를 갖춘 케이스;
    상기 함몰부 내에 설치되고, 중공부를 가진 받침대;
    상기 받침대 위에 이송 방향을 따라 연장하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안내 부재; 및
    상기 함몰부의 측면 또는 밑면을 통해 연통되는 흡입부
    를 포함하는 진동 이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인접한 안내 부재들 사이의 간격은 상기 이송 대상물의 절반 두께 이상에서 상기 이송 대상물의 두께 미만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이송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융기부에는, 상기 융기부를 덮어씌우면서 한쪽에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는 유출구가 형성된 덮개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이송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에 인접하여, 상기 덮개부 내에는 상기 이송 대상물의 경로를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블록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이송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와 상기 안내 부재들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이송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대상물의 크기에 따라 상기 안내 부재들 사이의 간격은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이송 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부재의 상부면 중 적어도 일측은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이송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양측 최외곽에 위치한 안내 부재의 위에는 이송 대상물의 탈락을 방지하도록 측벽 부재가 직립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이송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부재 상에는 커버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커버에는 투명한 재질의 윈도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이송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부재 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핀 또는 안내 판재가 직립하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이송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에서 상기 융기부의 반대쪽에는 상기 이송 대상물 중 정상품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가진 배출 부재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이송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부재의 상부에는 다공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이송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판의 각 구멍은 상기 이송 대상물이 갖는 최대 단면적보다 크고, 상기 최대 단면적의 2 배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이송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유닛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결합하여 상기 이송 유닛에 진동을 전달하는 발진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이송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 수단은 압전 소자 액추에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이송 장치.
  18. 이송 방향을 따라 연장한 적어도 2개의 안내 부재가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이송되는 이송 대상물 중 불량품을 안내 부재들 사이의 간격을 통해 제거하는 이송 유닛; 및
    상기 이송 유닛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이송 유닛을 진동시키는 진동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 유닛은,
    상대적으로 상승한 융기부와 상기 융기부로부터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대적으로 하강한 함몰부를 갖춘 케이스;
    상기 함몰부 내에 설치되고, 중공부를 가진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 위에 이송 방향을 따라 연장하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안내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유닛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결합하여 상기 이송 유닛에 진동을 전달하는 발진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발진 수단에는 지지 블록이 고정되는 한편, 상기 케이스에는 지지 홀더가 고정되어, 상기 지지 블록 상에 상기 지지 홀더가 결합하며,
    상기 지지 블록의 접촉면은 이송 방향의 상류 측이 높고 하류 측이 낮아지도록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이송 장치.
KR1020170049138A 2017-04-17 2017-04-17 진동 이송 장치 KR101916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138A KR101916366B1 (ko) 2017-04-17 2017-04-17 진동 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138A KR101916366B1 (ko) 2017-04-17 2017-04-17 진동 이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615A KR20180116615A (ko) 2018-10-25
KR101916366B1 true KR101916366B1 (ko) 2018-11-09

Family

ID=64131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9138A KR101916366B1 (ko) 2017-04-17 2017-04-17 진동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63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738B1 (ko) * 2018-10-31 2020-08-31 김영석 부재 정렬-삽입 장치
CN112604967B (zh) * 2020-11-18 2021-11-19 浦江三创科技有限公司 服装扣子智能筛选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250Y1 (ko) 2000-06-07 2000-12-15 허태균 살균장치가 구비된 식판 이송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250Y1 (ko) 2000-06-07 2000-12-15 허태균 살균장치가 구비된 식판 이송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615A (ko) 2018-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6366B1 (ko) 진동 이송 장치
US20090223015A1 (en) Automatic pallet cleaning apparatus
TWI691449B (zh) 光學膜搬送回收裝置、光學膜製造系統及光學膜搬送回收方法
GB2253271A (en) Dust cleaner and dust cleaning method
KR101741371B1 (ko) 순환식 반송장치
KR20200013026A (ko) 칩 부품 반송 장치
JP2010131492A (ja) 不良品選別システム及び不良品選別システムに於ける不良品排除装置
JP2008104958A (ja) 梱包資材の除塵装置
JP6693779B2 (ja) 錠剤搬送装置及び錠剤印刷装置
JP6039923B2 (ja) 計測装置
CN107215636B (zh) 用于具有针对烟草工业棒状元件的可调节容量的输送和储存设备的清洁系统
JP2017065748A (ja) 容器クリーニング装置
JP2020104910A (ja) 容器包装装置
KR101439575B1 (ko) 노즐, 드라이 클리너 및 드라이 클리너 시스템
JP6500314B2 (ja) 粉体搬送装置
TWI804241B (zh) 零件收容裝置
JP2020045177A (ja) 容器供給装置
JP6567306B2 (ja) シール装置
JP2017218299A (ja) 搬送装置
JP7140967B2 (ja) 振動搬送装置
JP2021195216A (ja) 搬送設備
KR20000062920A (ko) 미소부품 공급장치
JPH11244798A (ja) 清掃装置及び清掃方法
JP5667119B2 (ja) 錠剤供給装置及びptp包装機
JP2011178560A (ja) チップ部品の整列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