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6043B1 -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6043B1
KR101916043B1 KR1020130164105A KR20130164105A KR101916043B1 KR 101916043 B1 KR101916043 B1 KR 101916043B1 KR 1020130164105 A KR1020130164105 A KR 1020130164105A KR 20130164105 A KR20130164105 A KR 20130164105A KR 101916043 B1 KR101916043 B1 KR 101916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fan motor
shutter
blad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4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5791A (ko
Inventor
남종우
정한신
조현
이준호
이동국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4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6043B1/ko
Publication of KR20150075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5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6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6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liquid cooling
    • B60K1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radiators, radiator shutters, or radiator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8Air inlets for cooling; Shutters or blind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5/00Pumping cooling-air or liquid coolants
    • F01P5/02Pumping cooling-air; Arrangements of cooling-air pumps, e.g. fans or b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 에 관한 것으로, 팬 쉬라우드; 상기 팬 쉬라우드에 장착되는 팬 모터; 상기 팬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그 원주 방향으로 가이드 슬롯이 형성된 셔터 허브; 상기 셔터 허브에 결합하며 상기 팬 모터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복수 개의 메인 블레이드; 상기 각 메인 블레이드의 일단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가이드 슬롯을 따라 인접하는 메인 블레이드 방향으로 펼쳐지거나 접히며 각각 겹쳐져 구비되는 복수 개의 셔터 블레이드; 상기 셔터 블레이드를 선택적으로 펼치거나 접는 블레이드 작동부; 및 상기 팬 모터 및 상기 블레이드 작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CONTROL SYSTEM OF FLOWING AIR INTO VEHICLE ENGINE ROOM AND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냉각 성능과 공력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의 냉각을 위한 라디에이터와, 공조 장치(air conditioner)의 냉매 응축을 위한 콘덴서가 차량에 장착되고, 냉각 팬을 구동하여 라디에이터와 콘덴서의 온도를 낮추게 된다. 차량의 초기 시동시에는 엔진의 온도가 적정 수준까지 빨리 상승하는 것이 연비에 유리하고, 엔진의 온도를 적정 온도로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전통적으로, 냉각 팬은 엔진의 구동에 의해 작동 하던 방식이 사용되었으며, 이러한 기계식 방식은 냉각 팬이 엔진이 구동할 때 항상 구동하여 차량의 연비가 악화되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전기 모터를 구동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는데, 차량의 운행 상태에 따라 필요 시에만 냉각 팬을 구동하여 연비가 보다 개선된 효과가 있어 그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한편, 차량의 주행 속도가 증가하면 공력(aero-dynamic) 특성이 차량의 연비 및 속도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며, 고속에서 차량의 엔진 룸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차단하게 되면, 공기가 엔진 룸을 통과하며 발생하는 항력이 줄어들어 연비가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냉각 성능과 공력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냉각 팬의 작동을 최소화 하고, 필요 시에는 엔진 룸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차단하여 항력을 줄일 수 있는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은 팬 쉬라우드; 상기 팬 쉬라우드에 장착되는 팬 모터; 상기 팬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그 원주 방향으로 가이드 슬롯이 형성된 셔터 허브; 상기 셔터 허브에 결합하며 상기 팬 모터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복수 개의 메인 블레이드; 상기 각 메인 블레이드의 일단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가이드 슬롯을 따라 인접하는 메인 블레이드 방향으로 펼쳐지거나 접히며 각각 겹쳐져 구비되는 복수 개의 셔터 블레이드; 상기 셔터 블레이드를 선택적으로 펼치거나 접는 블레이드 작동부; 및 상기 팬 모터 및 상기 블레이드 작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은 상기 팬 쉬라우드에 구비되어 개폐되는 복수 개의 플랩;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플랩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셔터 블레이드의 일단에는 각각 슬릿과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가 이웃하는 셔터 블레이드의 슬릿에 끼워겨 상기 셔터 블레이드의 상대적인 이동이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은 상기 팬 모터의 회전을 상기 셔터 허브로 전달하는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1 회전축과 동일한 회전 중심을 가지며 상기 셔터 블레이드와 연결된 제2 회전축;을 더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 작동부는 상기 제1 회전축에 대한 상기 제2 회전축의 상대적인 위상을 가변하여 상기 셔터 블레이드가 펼쳐지거나 접히게 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플랩에는 전자석이 구비되어 상기 전자석으로 공급되는 전류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플랩이 개폐될 수 있다.
상기 팬 쉬라우드는 엔진과 라디에이터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은 상기 엔진 룸을 감싸는 인캡슐레이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의 작동 모드는 상기 복수 개의 플랩이 닫히고, 상기 셔터 블레이드가 완전히 펼쳐지고, 상기 팬 모터의 작동을 오프(off)하는 제1 모드; 상기 복수 개의 플랩이 닫히고, 상기 셔터 블레이드가 완전히 접히고, 상기 팬 모터의 작동을 차량 작동 상태에 따라 제어하는 제2 모드; 상기 복수 개의 플랩이 열리고, 상기 셔터 블레이드가 완전히 접히고, 상기 팬 모터의 작동을 오프 하는 제3 모드; 및 상기 복수 개의 플랩이 닫히고, 상기 셔터 블레이드의 펼쳐진 면적이 제어되고, 상기 팬 모터의 작동을 오프 하는 제4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은 대기온을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대기온 센서;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속도 센서; 에어 컨디셔닝 내부 압력을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에어 컨디셔닝 압력 센서; 에어 컨디셔닝 스위치의 작동 신호를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에어 컨디셔닝 스위치 센서; 냉매 온도를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냉매온 센서; 및 상기 셔터 블레이드의 개방 면적을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위치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센서로부터 해당 신호를 바탕으로 차량의 작동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의 작동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모드 내지 제4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상기 블레이드 작동부, 상기 복수 개의 플랩 및 상기 팬 모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은 인터쿨러의 온도를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인터쿨러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쿨러 온도 센서의 신호를 더 입수하여 상기 차량의 작동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제1 모드 내지 제4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상기 블레이드 작동부, 상기 복수 개의 플랩 및 상기 팬 모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 제어 방법은 대기온을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대기온 센서,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속도 센서, 에어 컨디셔닝 내부 압력을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에어 컨디셔닝 압력 센서, 에어 컨디셔닝 스위치의 작동 신호를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에어 컨디셔닝 스위치 센서, 냉매 온도를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냉매온 센서, 팬 쉬라우드에 장착되는 팬 모터, 상기 팬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그 원주 방향으로 가이드 슬롯이 형성된 셔터 허브, 상기 셔터 허브에 결합하며 상기 팬 모터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복수 개의 메인 블레이드, 상기 각 메인 블레이드의 일단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가이드 슬롯을 따라 인접하는 메인 블레이드 방향으로 펼쳐지거나 접히며 각각 겹쳐져 구비되는 복수 개의 셔터 블레이드, 상기 셔터 블레이드의 개방 면적을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위치 센서, 상기 셔터 블레이드를 선택적으로 펼치거나 접는 블레이드 작동부, 상기 팬 쉬라우드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복수 개의 플랩 및 상기 팬 모터, 상기 블레이드 작동부 및 상기 플랩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대기온 센서, 상기 속도 센서, 상기 에어 컨디셔닝 압력 센서, 상기 에어 컨디셔닝 스위치 센서 및 상기 냉매온 센서의 신호들을 포함하는 센서 신호를 바탕으로 차량의 작동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상기 차량의 작동 상태에 따라 상기 셔터 블레이드가 완전히 펼쳐지는 것이 요구되는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셔터 블레이드가 완전히 펼쳐지는 것이 요구되는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셔터 블레이드를 완전히 펼치고, 상기 복수 개의 플랩을 닫고, 상기 팬 모터의 작동을 오프(off)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상기 셔터 블레이드가 완전히 닫히는 것이 요구되지 않는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의 작동 상태가 설정된 저속 고부하 조건에 해당 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작동 상태가 저속 고부하 조건에 해당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셔터 블레이드를 완전히 접고, 상기 복수 개의 플랩을 닫고, 상기 차량의 작동 상태에 따라 상기 팬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상기 차량의 작동 상태가 저속 고부하 조건에 해당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의 작동 상태가 설정된 고속 고부하 조건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작동 상태가 고속 고부하 조건에 해당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셔터 블레이드를 완전히 접고, 상기 복수 개의 플랩을 열고, 상기 팬 모터의 작동을 오프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상기 차량의 작동 상태가 고속 고부하 조건에 해당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복수 개의 플랩을 닫고, 상기 팬 모터의 작동을 오프 하고, 상기 차량의 작동 상태에 따라 상기 셔터 블레이드의 개방면적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상기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은 인터쿨러의 온도를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인터쿨러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쿨러 온도 센서의 신호를 더 포함하여 상기 차량의 작동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냉각 팬의 사용을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제어하여 냉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차량에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여 공력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3 내지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7 내지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의 메인 블레이드와 셔터 블레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의 플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3 내지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의 작동 모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7 내지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의 메인 블레이드와 셔터 블레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의 플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 내지 도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은 팬 쉬라우드(30), 상기 팬 쉬라우드(30)에 장착되는 팬 모터(22), 상기 팬 모터(22)에 의해 회전하며, 그 원주 방향으로 가이드 슬롯(24)이 형성된 셔터 허브(20), 상기 셔터 허브(20)에 결합하며 상기 팬 모터(22)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복수 개의 메인 블레이드(40), 상기 각 메인 블레이드(40)의 일단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가이드 슬롯(24)을 따라 인접하는 메인 블레이드(40) 방향으로 펼쳐지거나 접히며 각각 겹쳐져 구비되는 복수 개의 셔터 블레이드(50), 상기 셔터 블레이드(50)를 선택적으로 펼치거나 접는 블레이드 작동부(44) 및 상기 팬 모터(22) 및 상기 블레이드 작동부(44)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은 상기 팬 쉬라우드(30)에 구비되어 개폐되는 복수 개의 플랩(6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00)가 상기 플랩(6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팬 쉬라우드(30)는 엔진(70)과 라디에이터(8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라디에이터(80) 전방에는 콘덴서(8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콘덴서(82) 전방에는 인터 쿨러(84)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은 상기 엔진 룸을 감싸는 인캡슐레이션(9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인캡슐레이션(90)은 상기 엔진(70)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이 상기 차체(10)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고, 주행풍이 상기 엔진 룸으로 유입되면 주행풍을 안내하여 항력(drag)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인캡슐레이션(90)은 상기 엔진(70)에서 발생하는 열을 보존하여 차량의 정차 후 일정 시간 이내에 재운행 할 때, 상기 엔진(70)이 최적 작동 온도로 운전되도록 할 수 있다.
도2를 참조하면, 상기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은 대기온을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대기온 센서(110),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속도 센서(120), 에어 컨디셔닝 내부 압력을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에어 컨디셔닝 압력 센서(130), 에어 컨디셔닝 스위치의 작동 신호를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에어 컨디셔닝 스위치 센서(140), 냉매 온도를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냉매온 센서(150) 및 상기 셔터 블레이드의 개방 면적을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위치 센서(1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각 센서로부터 해당 신호를 바탕으로 차량의 작동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의 작동 상태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 작동부(44), 상기 복수 개의 플랩(60) 및 상기 팬 모터(22)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은 상기 인터 쿨러(84)의 온도를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인터 쿨러 온도 센서(16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인터 쿨러 온도 센서(160)의 신호를 더 입수하여 상기 차량의 작동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블레이드 작동부(44), 상기 복수 개의 플랩(60) 및 상기 팬 모터(22)의 작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도1, 도7 및 도8을 참조하면, 상기 셔터 블레이드(50)의 일단에는 각각 슬릿(52)과 돌출부(54)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54)가 이웃하는 셔터 블레이드(50)의 슬릿(52)에 끼워겨 상기 셔터 블레이드(50)의 상대적인 이동이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은 상기 팬 모터(22)의 회전을 상기 셔터 허브(20)로 전달하는 제1 회전축(26) 및 상기 제1 회전축(26)과 동일한 회전 중심을 가지며 상기 셔터 블레이드(50)와 연결된 제2 회전축(42)을 더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 작동부(44)는 상기 제1 회전축(26)에 대한 상기 제2 회전축(42)의 상대적인 위상을 가변하여 상기 셔터 블레이드(50)가 펼쳐지거나 접히게 할 수 있다.
상기 팬 모터(22)가 작동하게 되면, 상기 팬 모터와 연결된 상기 셔터 허브(20)가 회전하며, 상기 셔터 허브(20)에 장착된 상기 메인 블레이드(40)가 회전하여 외부 공기를 상기 엔진(70) 방향으로 흐르게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블레이드 작동부(44)는 작동하지 않고, 상기 셔터 블레이드(50)는 접힌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팬 모터(22)가 오프(off)된 상태에서, 상기 블레이드 작동부(44)가 작동하게 되면, 상기 제2 회전축(42)이 상기 제1 회전축(26)에 대한 상대적인 위상이 가변되면서 상기 셔터 블레이드(50)는 펼쳐지게 된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셔터 블레이드(50) 중 최말단의 셔터 블레이드(50)가 상기 제2 회전축(42)에 연결되고, 상기 각 돌출부(54)가 이웃하는 셔터 블레이드(50)의 슬릿(52)에 끼워겨 이웃하는 셔터 블레이드(50)를 밀거나 당겨 차례로 펼쳐지거나 접힐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작동부(44)는 예를 들어, 전자 클러치 형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기계적인 구성으로, 예를 들어 연속 가변 밸브 타이밍 장치(CVVT)의 스플라인과 헬리켈 기어를 조합한 구성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2개의 축의 위상을 가변 시키는 구성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 하기로 한다.
도9를 참조하면, 상기 복수 개의 플랩(60)에는 전자석(62)이 구비되어 상기 전자석(62)으로 공급되는 전류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플랩(60)이 개폐될 수 있으며, 상기 플랩(60)에는 플랩 회전 축(64)이 구비되어 상기 회전 축(64)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플랩 회전 축(64)은 토션 스프링일 수 있으며, 상기 전자석(62)으로 전류가 공급되지 않을 때, 상기 플랩(60)이 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전류 공급 장치의 고장 등의 경우에, 상기 플랩(60)이 열린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엔진(70)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도3 내지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의 작동 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3에 도시된 작동 모드는 상기 복수 개의 플랩(60)이 닫히고, 상기 셔터 블레이드(50)가 완전히 닫힌(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며, 이 때, 상기 팬 모터(22)의 작동은 오프(off)될 수 있고, 외부 공기의 상기 엔진(70)으로의 유입은 차단된다.
도4에 도시된 작동 모드는 상기 복수 개의 플랩(60)이 닫히고, 상기 셔터 블레이드(50)가 완전히 열린 상태(접힌)를 나타내며, 상기 팬 모터(22)의 작동은 차량 작동 상태에 따라 그 작동이 제어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블레이드(40)가 회전하며 열린 공간(41)을 통해 외부 공기가 상기 엔진(70)으로 전달된다.
도5에 도시된 작동 모드는 상기 복수 개의 플랩(60)이 열리고, 상기 셔터 블레이드(50)가 완전히 열린(접힌) 상태를 나타내며, 이 때, 상기 팬 모터(22)의 작동은 오프 되어, 주행풍이 상기 엔진(70)으로 전달된다.
도6에 도시된 작동 모드는 상기 복수 개의 플랩(60)이 닫히고, 상기 셔터 블레이드(50)의 펼쳐진 면적이 제어되는 상태를 나타내며, 이 때, 상기 팬 모터(22)의 작동은 오프 될 수 있다.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이 하, 도3 내지 도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100)가 상기 대기온 센서(110), 상기 속도 센서(120), 상기 에어 컨디셔닝 압력 센서(130), 상기 에어 컨디셔닝 스위치 센서(140) 및 상기 냉매온 센서(150)의 신호들을 포함하는 센서 신호를 바탕으로 차량의 작동 상태를 판단하고(S10), 판단된 상기 차량의 작동 상태에 따라 상기 셔터 블레이드(50)가 완전히 닫히는(펼쳐지는) 것이 요구되는 상태인지 판단한다(S20).
상기 셔터 블레이드(50)가 완전히 닫히는(펼쳐지는) 것이 요구되는 상태는 냉각이 필요 없는 상태로, 예를 들어, 차량의 엔진 시동 후 일정 시간 상기 엔진(70)의 웜업이 필요한 상태, 엔진의 시동을 오프(off)하여 상기 엔진(70)의 온도를 유지할 필요가 있는 상태, 차량이 저속 저부하 상태로 주행하는 상태 등일 일 수 있다. 상기 해당 조건은 설정된 맵에 미리 저장되고, 상기 제어부(100)가 상기 맵과 상기 차량의 작동 상태를 비교하여 상기 셔터 블레이드(50)가 완전히 닫히는(펼쳐지는) 것이 요구되는 상태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로터리 셔터가 완전히 닫히는(펼쳐지는) 것이 요구되는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셔터 블레이드(50)를 완전히 닫고, 상기 복수 개의 플랩(60)을 닫고, 상기 팬 모터(22)의 작동을 오프(off)한다(S30).
이 경우, 상기 엔진(70)의 웜웝이나 적정 온도 유지가 가능하고, 상기 셔터 블레이드(50)와 상기 복수 개의 플랩(60)이 닫혀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엔진 룸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차단하여 공력(aero-dynamic) 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로터리 셔터가 완전히 닫히는 것이 요구되지 않는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차량의 작동 상태가 설정된 저속 고부하 조건에 해당 하는지 판단하고(S40), 상기 차량의 작동 상태가 저속 고부하 조건에 해당하면,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셔터 블레이드(50)를 완전히 개방하고(접고), 상기 복수 개의 플랩(60)을 닫고, 상기 차량의 작동 상태에 따라 상기 팬 모터(22)의 작동을 제어한다(S50). 이 때, 상기 메인 블레이드(40)가 회전하며 열린 공간(41)을 통해 외부 공기가 상기 엔진(70)으로 전달된다.
상기 설정된 저속 고부하 조건은 예를 들어 차속이 대략 30~40kph 이고, 엔진 RPM 이 2000~4000 인 상태를 의미할 수 있고, 또는 상기 팬 모터(22)을 구동하여 냉각이 필요한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즉 냉각이 필요하나, 차량의 주행풍에 에 의한 냉각이 불충분한 조건으로 정의될 수 있겠다.
상기 해당 조건은 설정된 맵에 저장되고, 상기 제어부(100)가 상기 맵과 상기 차량의 작동 상태를 비교하여 상기 팬 모터(22)의 작동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차량의 작동 상태에 따라 상기 제어부(100)가 상기 팬 모터(22)의 작동을 제어 한다. 상기 팬 모터(22)의 작동은 상기 제어부(100)가 그 회전수를 설정된 맵에 따라 결정하여 작동 시킬 수 있고, 또는 상기 팬 모터(22)의 작동 시간을 상기 제어부(100)가 결정하여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상기 팬 모터(22)을 작동시킬 수도 있다.
상기 차량의 작동 상태가 저속 고부하 조건에 해당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차량의 작동 상태가 설정된 고속 고부하 조건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고(S60), 상기 차량의 작동 상태가 고속 고부하 조건에 해당하면, 상기 제어부(100)가 상기 셔터 블레이드(50)를 완전히 개방하고(접고), 상기 복수 개의 플랩(60)을 열고, 상기 팬 모터(22)의 작동을 오프 한다(S70).
상기 설정된 고속 고부하 조건은 예를 들어 차속이 대략 90-110kph 이고, 엔진 RPM 이 2000~4000 인 상태를 의미할 수 있고, 또는 냉각이 필요하며, 차량의 주행풍에 에 의한 냉각이 충분한 조건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외부 공기가 상기 플랩(60)의 열린 공간과 상기 셔터 블레이드(50)가 열린 공간(41)을 통해 유입된다.
상기 해당 조건은 설정된 맵에 저장되고, 상기 제어부(100)가 상기 맵과 상기 차량의 작동 상태를 비교하여 주행풍에 의한 냉각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작동 상태가 고속 고부하 조건에 해당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복수 개의 플랩(60)을 닫고, 상기 팬 모터(22)의 작동을 오프 하고, 상기 차량의 작동 상태에 따라 상기 셔터 블레이드(50)의 개방면적을 제어한다(S80, S90, S100)
즉, 상기 제어부(100)는 차량의 작동 상태에 따라 냉각이 필요하고, 상기 팬 모터(22)의 작동이 불필요하고, 차량에 유입되는 주행풍의 제어가 필요한 상태인지 판단한다.
상기 해당 조건은 설정된 맵에 저장되고, 상기 제어부(100)가 상기 맵과 상기 차량의 작동 상태를 비교하여 상기 셔터 블레이드(50)의 작동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차량의 작동 상태에 따라 상기 제어부(100)가 상기 셔터 블레이드(50)의 개방 면적을 결정하고, 상기 셔터 블레이드(50)의 개방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위치 센서(170)를 통해 상기 셔터 블레이드(50)의 위치, 즉 상기 셔터 블레이드(50)의 개방면적이 적절한지 판단한다. 즉 현재 상기 셔터 블레이드(50)의 개방 면적이 상기 결정된 상기 셔터 블레이드(50)의 개방 면적에 해당하는지를 판단(S80)하고, 현재 상기 셔터 블레이드(50)의 개방 면적이 상기 결정된 상기 셔터 블레이드(50)의 개방 면적에 해당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블레이드 작동부(44)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셔터 블레이드(50)의 개방 면적을 제어한다(S100).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복수 개의 플랩(60)을 닫고, 상기 팬 모터(22)의 작동을 오프 하고, 상기 셔터 블레이드(50)의 개방면적을 유지한다(S90).
상기 엔진(70)에 인터 쿨러(84)가 장착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00)가 상기 인터 쿨러 온도 센서(160)의 해당 신호를 더 포함하여 상기 차량의 작동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냉각 팬의 사용을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제어하여 냉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차량에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여 공력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0: 차체 20: 셔터 허브
22: 팬 모터 24: 가이드 슬롯
26: 제1 회전축 30: 팬 쉬라우드
40: 메인 블레이드 42: 제2 회전축
44: 블레이드 작동부 45: 마운팅 서포터
50: 셔터 블레이드 52: 슬릿
54: 돌출부 60: 플랩
2: 전자석 64: 플랩 회전축
70: 엔진 80: 라디에이터
82: 콘덴서 84: 인터쿨러
90: 인캡슐레이션 100: 제어부
110: 대기온 센서 120: 속도 센서
130: 에어 컨디셔닝 압력 센서 140: 에어 컨디셔닝 스위치 센서
150: 냉매온 센서 160: 인터 쿨러 온도 센서
170: 위치 센서

Claims (15)

  1. 팬 쉬라우드;
    상기 팬 쉬라우드에 장착되는 팬 모터;
    상기 팬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그 원주 방향으로 가이드 슬롯이 형성된 셔터 허브;
    상기 셔터 허브에 결합하며 상기 팬 모터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복수 개의 메인 블레이드;
    상기 각 메인 블레이드의 일단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가이드 슬롯을 따라 인접하는 메인 블레이드 방향으로 펼쳐지거나 접히며 각각 겹쳐져 구비되는 복수 개의 셔터 블레이드;
    상기 셔터 블레이드를 선택적으로 펼치거나 접는 블레이드 작동부; 및
    상기 팬 모터 및 상기 블레이드 작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팬 쉬라우드에 구비되어 개폐되는 복수 개의 플랩;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플랩의 작동을 제어하는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
  3. 제1항에서,
    상기 셔터 블레이드의 일단에는 각각 슬릿과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가 이웃하는 셔터 블레이드의 슬릿에 끼워겨 상기 셔터 블레이드의 상대적인 이동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
  4. 제3항에서,
    상기 팬 모터의 회전을 상기 셔터 허브로 전달하는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1 회전축과 동일한 회전 중심을 가지며 상기 셔터 블레이드와 연결된 제2 회전축;
    을 더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 작동부는 상기 제1 회전축에 대한 상기 제2 회전축의 상대적인 위상을 가변하여 상기 셔터 블레이드가 펼쳐지거나 접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
  5. 제1항에서,
    상기 복수 개의 플랩에는 전자석이 구비되어 상기 전자석으로 공급되는 전류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플랩이 개폐되는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
  6. 제1항에서,
    상기 팬 쉬라우드는 엔진과 라디에이터 사이에 구비된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
  7. 제6항에서,
    상기 엔진 룸을 감싸는 인캡슐레이션;
    을 더 포함하는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
  8. 제1항에서,
    상기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의 작동 모드는
    상기 복수 개의 플랩이 닫히고, 상기 셔터 블레이드가 완전히 펼쳐지고, 상기 팬 모터의 작동을 오프(off)하는 제1 모드;
    상기 복수 개의 플랩이 닫히고, 상기 셔터 블레이드가 완전히 접히고, 상기 팬 모터의 작동을 차량 작동 상태에 따라 제어하는 제2 모드;
    상기 복수 개의 플랩이 열리고, 상기 셔터 블레이드가 완전히 접히고, 상기 팬 모터의 작동을 오프 하는 제3 모드; 및
    상기 복수 개의 플랩이 닫히고, 상기 셔터 블레이드의 펼쳐진 면적이 제어되고, 상기 팬 모터의 작동을 오프 하는 제4 모드;
    를 포함하는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
  9. 제8항에서,
    상기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은
    대기온을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대기온 센서;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속도 센서;
    에어 컨디셔닝 내부 압력을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에어 컨디셔닝 압력 센서;
    에어 컨디셔닝 스위치의 작동 신호를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에어 컨디셔닝 스위치 센서;
    냉매 온도를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냉매온 센서; 및
    상기 셔터 블레이드의 개방 면적을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위치 센서;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센서로부터 해당 신호를 바탕으로 차량의 작동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의 작동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모드 내지 제4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상기 블레이드 작동부, 상기 복수 개의 플랩 및 상기 팬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
  10. 제9항에서,
    상기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은
    인터쿨러의 온도를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인터쿨러 온도 센서;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쿨러 온도 센서의 신호를 더 입수하여 상기 차량의 작동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제1 모드 내지 제4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상기 블레이드 작동부, 상기 복수 개의 플랩 및 상기 팬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
  11. 대기온을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대기온 센서,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속도 센서, 에어 컨디셔닝 내부 압력을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에어 컨디셔닝 압력 센서, 에어 컨디셔닝 스위치의 작동 신호를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에어 컨디셔닝 스위치 센서, 냉매 온도를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냉매온 센서, 팬 쉬라우드에 장착되는 팬 모터, 상기 팬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그 원주 방향으로 가이드 슬롯이 형성된 셔터 허브, 상기 셔터 허브에 결합하며 상기 팬 모터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복수 개의 메인 블레이드, 상기 각 메인 블레이드의 일단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가이드 슬롯을 따라 인접하는 메인 블레이드 방향으로 펼쳐지거나 접히며 각각 겹쳐져 구비되는 복수 개의 셔터 블레이드, 상기 셔터 블레이드의 개방 면적을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위치 센서, 상기 셔터 블레이드를 선택적으로 펼치거나 접는 블레이드 작동부, 상기 팬 쉬라우드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복수 개의 플랩 및 상기 팬 모터, 상기 블레이드 작동부 및 상기 플랩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대기온 센서, 상기 속도 센서, 상기 에어 컨디셔닝 압력 센서, 상기 에어 컨디셔닝 스위치 센서 및 상기 냉매온 센서의 신호들을 포함하는 센서 신호를 바탕으로 차량의 작동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상기 차량의 작동 상태에 따라 상기 셔터 블레이드가 완전히 펼쳐지는 것이 요구되는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셔터 블레이드가 완전히 펼쳐지는 것이 요구되는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셔터 블레이드를 완전히 펼치고, 상기 복수 개의 플랩을 닫고, 상기 팬 모터의 작동을 오프(off)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서,
    상기 셔터 블레이드가 완전히 닫히는 것이 요구되지 않는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의 작동 상태가 설정된 저속 고부하 조건에 해당 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작동 상태가 저속 고부하 조건에 해당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셔터 블레이드를 완전히 접고, 상기 복수 개의 플랩을 닫고, 상기 차량의 작동 상태에 따라 상기 팬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
  13. 제12항에서,
    상기 차량의 작동 상태가 저속 고부하 조건에 해당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의 작동 상태가 설정된 고속 고부하 조건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작동 상태가 고속 고부하 조건에 해당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셔터 블레이드를 완전히 접고, 상기 복수 개의 플랩을 열고, 상기 팬 모터의 작동을 오프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
  14. 제13항에서,
    상기 차량의 작동 상태가 고속 고부하 조건에 해당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복수 개의 플랩을 닫고, 상기 팬 모터의 작동을 오프 하고, 상기 차량의 작동 상태에 따라 상기 셔터 블레이드의 개방면적을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
  15. 제14항에서,
    상기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은 인터쿨러의 온도를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인터쿨러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쿨러 온도 센서의 신호를 더 포함하여 상기 차량의 작동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130164105A 2013-12-26 2013-12-26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916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105A KR101916043B1 (ko) 2013-12-26 2013-12-26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105A KR101916043B1 (ko) 2013-12-26 2013-12-26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5791A KR20150075791A (ko) 2015-07-06
KR101916043B1 true KR101916043B1 (ko) 2018-11-07

Family

ID=53788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4105A KR101916043B1 (ko) 2013-12-26 2013-12-26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604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2705A (ja) 2003-07-10 2005-02-17 Calsonic Kansei Corp 熱交換器の風量制御機構
JP2007118651A (ja) 2005-10-25 2007-05-17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冷却装置
JP2010025009A (ja) 2008-07-22 2010-02-04 Isuzu Motors Ltd 内燃機関の冷却システム及び冷却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7434A (ja) * 1994-02-02 1995-08-15 Toyo Radiator Co Ltd 熱交換器用ファンシュラウドおよび熱交換器
KR20050038890A (ko) * 2003-10-23 2005-04-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팬 쉬라우드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2705A (ja) 2003-07-10 2005-02-17 Calsonic Kansei Corp 熱交換器の風量制御機構
JP2007118651A (ja) 2005-10-25 2007-05-17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冷却装置
JP2010025009A (ja) 2008-07-22 2010-02-04 Isuzu Motors Ltd 内燃機関の冷却システム及び冷却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5791A (ko) 2015-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0957B1 (ko)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713741B1 (ko)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628124B1 (ko)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
KR101518961B1 (ko)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588761B1 (ko)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
KR101543001B1 (ko)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유량 제어 시스템
US8463493B2 (en) Powertrain thermal control with grille airflow shutters
US9810138B2 (en) Air control system with an integrated diagnostic device for a motor vehicle
US20140039765A1 (en) Initialization sequence for a vehicle grille shutter
EP2647515A1 (en) Grille shutter device at a front portion of a vehicle
US10508588B2 (en) Cooling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1916043B1 (ko)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987158B1 (ko)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7172154B2 (ja) シャッター装置
KR102109423B1 (ko)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S5919849B2 (ja) 車輛用自動空調装置
KR101916044B1 (ko)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00199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6406459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19168204A (ja) モータ制御装置、統合弁装置及び熱交換器
JP2019170142A (ja) モータ制御装置、統合弁装置及び熱交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