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4278B1 - 비굴착 상하수도 보수용 가변형 반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굴착 상하수도 보수 방법 - Google Patents

비굴착 상하수도 보수용 가변형 반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굴착 상하수도 보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4278B1
KR101914278B1 KR1020160177101A KR20160177101A KR101914278B1 KR 101914278 B1 KR101914278 B1 KR 101914278B1 KR 1020160177101 A KR1020160177101 A KR 1020160177101A KR 20160177101 A KR20160177101 A KR 20160177101A KR 101914278 B1 KR101914278 B1 KR 101914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r
tube
frame
tube liner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7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9754A (ko
Inventor
김정민
Original Assignee
김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민 filed Critical 김정민
Priority to KR1020160177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4278B1/ko
Publication of KR20170089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9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4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4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26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 B29C63/34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using tubular layers or sheathings
    • B29C63/36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using tubular layers or sheathings being turned inside o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 F16L55/1651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the flexible liner being everted

Abstract

본 발명은 비굴착 상하수도 보수용 가변형 반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굴착 상하수도 보수 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대형 반전 장치와 달리 소형화를 통해 이동이 자유롭고, 작업 공간의 크기에 맞춰 원거리 반전과 근거리 반전 모두가 가능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비굴착 상하수도 보수용 가변형 반전 장치는, 비굴착 상하수도 보수대상 관로에 튜브라이너를 삽입하여 경화 시공하는 비굴착 상하수도 보수용 가변형 반전 장치로서, 저부가 지면이나 차량에 지지되는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튜브라이너를 상기 프레임 안으로 유도하는 라이너 유도부와; 상기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라이너 유도부를 통해 유도되는 튜브라이너를 반전시키는 반전기(200)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은 상기 라이너 유도부인 상기 유도 롤러와 튜브 폴딩부가 설치되는 라이너유도부 고정틀(111) 및 상기 라이너유도부 고정틀에 체결수단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반전기가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반전기 고정틀(112)을 포함하고, 상기 반전기는 상하가 개방되는 통 구조이며 공기와 열기의 주입을 위한 주입 포트가 구비되어 상기 주입 포트를 통해 주입되는 공기를 통해 상기 튜브라이너를 반전시키는 한편 열기의 주입을 통해 반전된 튜브라이너를 경화시키며 상기 프레임의 반전기 고정틀(11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반전기 몸체(210), 상기 반전기 몸체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반전기 몸체와의 사이에 상기 튜브라이너를 고정하는 라이너 고정구(220), 상기 반전기 몸체의 상부에 상기 튜브라이너의 경화시 결합되어 상기 반전기 몸체 내부를 밀폐하는 덮개(23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굴착 상하수도 보수용 가변형 반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굴착 상하수도 보수 방법{VARIABLE REVERSE TOOL AND A NOT-DIGGING OF UNDERGROUND PIPE REPAIR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비굴착 상하수도 보수용 반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속반전장치는 지상이나 지하의 작업구와 보수관의 상태에 맞춰 자유롭게 위치와 형태를 변형시킬 수 있는 가변형 구조로 반전 길이의 제한이 없고 공기압과 열의 손실이 적어 현장 적용성이 뛰어난 비굴착 상하수도 보수용 가변형 반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굴착 상하수도 보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산업배관인 상하수도, 가스, 전기, 통신, 송유관, 해수관 등이 노후 또는 파손된 경우에 관내로 수지가 함침된 튜브라이너를 인입시킨 후 열로 경화하여 새로운 관을 형성하는 현장 경화형 파이프(Cured in place pipe) 라이닝 공법이 있으며,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특허 제10-1040514호, 특허 제10-0553240호 등에 나타나 있다.
이 공법을 이용하기 위한 종래의 장치를 살펴보면, 열호스와 튜브라이너가 권취된 드럼형 반전기는 공기압축기 그리고 발전기를 탑재한 차량을 구비하며, 이송된 튜브라이너를 차량에 탑재된 반전기 내부에 원형으로 감아서 권취하고, 튜브라이너의 끝을 반전기 입구에 결속하여 보수관까지 그대로 반전하여 튜브라이너가 길게 노출되도록 하거나 반전기에서 맨홀까지의 일정구간을 유도튜브로 연결하여 보수관 입구에서 반전하도록 한다.
이와 유사한 박스형 반전기는 공기압축기 그리고 발전기를 탑재한 차량을 구비하고, 이송된 튜브라이너를 암롤박스형 반전기 내부에 적재하고 튜브라이너의 끝을 반전기 입구에 결속시켜서 관로까지 그대로 반전하도록 한다.
위와 같은 대형 반전기는 반전기 내부로 공급된 열이 노출된 튜브라이너나 유도관을 따라 보수관 입구까지 이동하여 삽입된 튜브라이너를 경화시키기 때문에 열의 손실과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에는 튜브라이너를 반전장치 내부에 탑재해야 하므로 필수적으로 반전기가 대형화되어 반전기 내부에 압력 공기와 열이 체류하는 공간이 크고 원거리 반전 시 노출되는 튜브라이너의 길이가 길어 열효율이 떨어지고 압력에 취약하여 반전기 제작 비용과 시공 비용을 상승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또한 대형화된 연속 반전기 역시 보수관에 근접하여 장착할 수 없어 반전기로부터 보수관까지 튜브라이너나 유도튜브가 노출되어 열에 의해 팽창되면 터질 위험이 있어 별도의 보강튜브나 유도튜브를 사용하여 보수관 입구에서 근접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안전을 위해 덧씌우는 보강튜브나 근접 반전을 위한 유도튜브는 열을 공급하고 난 후에는 내측이 열에 의해 변형되고, 시공 현장 상황이 매번 달라져 다음 시공에서는 보강튜브나 유도튜브의 재사용이 불가능하여 폐기해야 되고, 이에 따른 자원낭비와 함께 추가적인 자재비용이 발생한다.
종래의 연속반전기는 역류방지와 속도조절장치가 일체화되어 일자형의 튜브라이너를 삽입하여 원통형으로 뒤집혀 반전되므로 연속반전기 역시 대형화되어 차량에 탑재하거나 별도의 반전기 차량으로 제작되어 작업 구간에 투입되어야 한다.
이 때문에 차량 진입이 곤란한 작업 구간이나 튜브라이너 공급 차량이 원거리에 있는 경우 반전기만 분리하여 작업구에 별도로 둘 수 없어 원거리 반전 자체가 불가능하기도 한다.
대형화된 반전장치 역시 보수 관로에 근접 장착할 수 없고 경화 작업 과정 중에 반전 장치를 분리할 수 없어 공사 마무리 단계까지 반전기 탑재 차량이 작업공간을 점유하고 있어 교통흐름을 방해하고, 반전 작업 완료 후 타 작업구간으로 이동을 하여 시공하는 연속작업이 불가능하다.
특허 제10-1040514호 특허 제10-0553240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의 대형 반전 장치와 달리 소형화를 통해 이동이 자유롭고, 작업 공간의 크기에 맞춰 원거리 반전과 근접 반전 모두가 가능한 비굴착 상하수도 보수용 가변형 반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굴착 상하수도 보수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비굴착 상하수도 보수용 가변형 반전 장치는, 비굴착 상하수도 보수대상 관로에 튜브라이너를 삽입하여 경화 시공하는 비굴착 상하수도 보수용 가변형 반전 장치로서, 저부가 지면이나 차량에 지지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튜브라이너를 상기 프레임 안으로 유도하는 라이너 유도부와; 상기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라이너 유도부를 통해 유도되는 튜브라이너를 반전시키는 반전기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은 상기 유도 롤러와 튜브 폴딩부가 설치되는 라이너유도부 고정틀 및 상기 라이너유도부 고정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반전기 고정틀을 포함하고, 상기 반전기는 상하가 개방되는 통 구조이며 공기와 열기의 주입을 위한 주입 포트가 구비되어 상기 주입 포트를 통해 주입되는 공기를 통해 상기 튜브라이너를 반전시키는 한편 열기의 주입을 통해 반전된 튜브라이너를 경화시키며 상기 프레임의 반전기 고정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반전기 몸체, 상기 반전기 몸체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반전기 몸체와의 사이에 상기 튜브라이너를 고정하는 라이너 고정구, 상기 반전기 몸체의 상부에 상기 튜브라이너의 경화시 결합되어 상기 반전기 몸체 내부를 밀폐하는 덮개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비굴착 상하수도 보수용 가변형 반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굴착 상하수도 보수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반전기의 설치가 어려운 작업 구간에서는 반전기를 프레임과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프레임을 통해 반전기를 설치한 후 보수관 외부에서 원거리 반전을 하고, 또한 작업 공간이 비교적 여유롭고 반전 장치의 근접 장착이 가능한 수도관이나 가스관에는 반전기를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여 보수관에 플랜지로 연결하여 근접 반전을 하며, 즉, 반전기를 설치하는 조건에 맞춰 반전기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프레임과 함께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보수 지역의 제약없는 시공이 가능하다.
가변형 반전 장치는 다양한 연결구를 이용하여 작업구 내부의 지장물(예를 들면 통신,전기,가스배관)을 우회하거나 관로의 위치와 작업구의 모양에 맞춰 반전기를 분리하여 가변형으로 사용할 수 있어 현장 적용성이 뛰어나다.
한편, 대형반전기는 내부에 압력 공기와 증기열이 가득 차는 구조이나 본 발명은 하단부 반전기만 분리시켜 밀폐됨으로써 반전기의 최소 공간에 압력공기와 열의 손실 없이 보수관에 직접 공급되므로 효율적이고 안전하다.
그리고, 튜브라이너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면 보수 공사 구간 길이에 관계없이 연속적으로 반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대형반전기에 튜브라이너를 권취하거나 적재하여 반전하는 기존 방식에 비해 보수 관로의 길이에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반전 장치는 소형화되어 이동이 자유롭고 설치가 간단하여 차량 진입이 어려운 공사 구간이나 작업구 내부가 좁은 곳에서도 쉽게 이동하여 근접 시공이 가능하다. 또한, 공사 시 점유 공간도 대형반전기에 비해 작아 교통통제 등에 따른 민원을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장치 제작비용, 공사비용, 유도 튜브 및 보강튜브 제작 등의 비용발생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전체 공사 시간 역시 대형반전기의 경우 작업 준비를 위해 튜브라이너를 권취하거나 적재하는 시간, 튜브 연결구에 연결하는 시간, 공기압력과 증기열 전달 시간 등이 줄어들어 전체 공사시간이 현저히 줄어들어 비용절감 효과가 크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비굴착 상하수도 보수용 가변형 반전 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비굴착 상하수도 보수용 가변형 반전 장치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비굴착 상하수도 보수용 가변형 반전 장치의 다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비굴착 상하수도 보수용 가변형 반전 장치에 적용된 각도조절수단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비굴착 상하수도 보수용 가변형 반전 장치에 적용된 라이너 고정구에 의해 튜브라이너가 고정된 것을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비굴착 상하수도 보수용 가변형 반전 장치에 적용된 역류방지기가 상하 2개소에 적용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비굴착 상하수도 보수용 가변형 반전 장치에 적용된 원통형의 역류방지기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비굴착 상하수도 보수용 가변형 반전 장치에 적용된 박스형의 역류방지기를 보인 도면.
도 9 내지 도 15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비굴착 상하수도 보수용 가변형 반전 장치를 이용한 보수 방법을 보인 도면으로서,
도 9와 도 15는 원거리 반전시이고,
도 10과 도 11 내지 도 14는 반전기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근거리 반전시이다.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비굴착 상하수도 보수용 가변형 반전 장치(100)는, 지면이나 차량 등에 지지되는 프레임(110), 프레임(11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프레임(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튜브라이너(1)를 공급받아 반전시키는 한편 프레임(110)로부터 분리되어 보수관에 직접 장착된 상태에서 튜브라이너(1)를 반전시키는 반전기(200)를 기본 구성으로 한다.
프레임(110)은 예컨대 원형이나 사각틀의 구조체[예컨대, 다수의 수직재(봉, 관 등)와 링형상의 수평재가 사각틀, 원형틀의 형태로 배열되도록 조합되는 구성]로서 내부와 외부가 통하는 공간을 마련하여 튜브라이너(1)의 인입 작업과 보수 작업이 가능하고, 물론, 반전기(200)가 분리되도록 장착된다. 아울러, 프레임(110)은 유도 롤러(120), 속도조절부(130), 튜브 폴딩부(140)를 지지하는 기능도 겸하면서 튜브라이너를 유입 안내부에 연결하도록 상단 천정부에 유입홀이 형성된다.
반전기(200)는 프레임에서 분리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분리된 반전기(200)를 보수관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고정장치를 필요로 할 것이므로 프레임(110)은 라이너유도부 고정틀(111) 및 이 라이너유도부 고정틀(11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반전기(200)가 장착되는 반전기 고정틀(112)로 분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이너유도부 고정틀(111)과 반전기 고정틀(112)는 볼팅 등 다양한 체결수단을 통해 체결될 수 있으며 이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 의해 실시 가능하므로 구체적인 설명과 도면을 생략하며, 반전기(200)는 반전기 고정틀(112)과 함께 라이너유도부(111)에서 분리되어 단독으로 사용 가능한 것이다.
프레임(110)은 저부가 지면 등에 안착되어 설치되며, 지면이 평탄하지 않더라도 견고하고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하도록 높이조절이 가능한 구성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높이조절형 다리가 갖추어질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형 다리는 프레임(110)에 나사 체결 등을 통해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튜브라이너(1)를 반전기(200)로 유도하는 라이너 유도부가 함께 갖추어진다.
상기 라이너 유도부는 유도 롤러(120), 속도조절부(130), 튜브 폴딩부(140)가 구성된다.
유도 롤러(120), 속도조절부(130), 튜브 폴딩부(140)는 프레임(110)의 라이너유도부 고정틀(111)에 설치된다.
유도 롤러(120)는 하나 이상이 구성된다.
유도 롤러(120)는 프레임(110)의 유입홀에 튜브라이너의 유도를 위한 공간을 두고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튜브라이너와의 마찰저항을 극소화한다.
2개의 유도 롤러(120)가 적용되는 경우 2개의 유도 롤러 사이를 통해 튜브라이너가 유도되어 튜브라이너와의 마찰력을 극소화한다.
또한, 유도 롤러(120)는 반전기(200)가 프레임(110)로부터 분리되어 보수관에 수평으로 장착될 경우 반전기(200)에 체결되어 수직이나 경사지게 공급되는 튜브라이너(1)를 반전기(200)의 중앙에 인입되도록 방향을 변경하여 주는 용도로도 사용 가능하다. 즉, 유도 롤러(120)는 프레임(110)의 상부에 배치되지만 반전기(200)가 장착되는 반전기 고정틀(112)에 설치되어, 반전기(200)와 함께 사용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유도 롤러(120)는 프레임(110)의 라이너유도부 고정틀(111)에 고정되는 방안, 반전기 고정틀(112)에 고정되는 방안이 가능하고, 각각의 방안에서 라이너유도부 고정틀(111)과 반전기 고정틀(112)에서 분리 가능하다.
또한, 유도 롤러(120)는 각도 조절 가능하도록 반전기 고정틀(112)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예에 따르면 반전기(200)가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 유도 롤러(120)를 반전기(200)의 설치 위치와 튜브라이너(1)의 공급 위치에 맞는 각도로 설치하여 튜브라이너(1)를 큰 꺽임없이 반전기(200)로 유도하는 이점이 있다. 유도 롤러(120)의 각도 조절은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고, 예를 들어 반전기 고정틀(112)에 원주방향을 따라 다단의 각도조절공이 형성하고 유도 롤러(120)의 지지대를 상기 다단의 각도조절공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각도조절공에 고정하는 방법이 있다.
속도조절부(130)는 튜브라이너의 속도(인입속도, 반전속도)를 조절하는 것이며, 예를 들어 상하로 배열되는 2개 이상(도면에는 2개를 예로 들어 도시함)의 속도조절롤러(131,132)로 이루어지되, 속도조절롤러(131,132)는 튜브라이너의 인입 경로를 지그재그 형태로 함으로써 속도를 조절하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된다.
속도조절롤러(131,132)는 다양한 속도조절을 위하여 튜브라이너(1)의 인입 방향[튜브라이너의 인입 경로가 상하 종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좌우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속도조절롤러(131,132)는 프레임(110)에 고정되는 롤러 고정대(133,134)에 나사봉(135,136)(턴버클식도 가능함)을 통해 나사 체결되어 횡방향을 따라 전후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물론, 나사봉(135,136)은 속도조절롤러(131,132)의 이동이 용이하고 튜브라이너(1)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반대 방향으로 밀리지 않는 점에서 유용하며, 단 전후진의 구성은 나사봉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속도조절롤러(131,132)는 상호 간에 상하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속도조절롤러의 상하 조절은 롤러고정대(133,134)를 프레임(11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하는 방법을 통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속도조절롤러(131,132)는 유도 롤러를 통해 인입되는 일자형의 튜브라이너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밀어 사행형상으로 유도함으로써 인입 속도를 조절(감속)한다.
또한, 속도조절롤러(131,132)를 수평으로 배치하고 상호 간의 간격 조절을 통해 튜브라이너(1)와 밀착시켜 튜브라이너(1)와 슬립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회전을 통해 튜브라이너(1)를 이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속도조절롤러(131,132)를 튜브라이너(1)의 이송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반전기(200)의 압력이 부족하거나 튜브라이너(1)의 라이닝 구간에 곡관부가 있어 튜브라이너(1)의 반전과 라이닝이 어려운 경우 속도조절롤러(131,132)가 튜브라이너(1)를 강제로 이송시켜 튜브라이너(1)의 반전과 라이닝이 수월해진다.
속도조절롤러(131,132)는 튜브라이너(1)의 인입 속도를 감속하는 용도로만 사용되는 것은 아니며, 속도 조절이 필요 없는 경우 튜브라이너(1)의 인입 경로로부터 떨어지도록 배치되어 튜브라이너(1)가 인입 경로를 이탈하지 못하도록 가이드하는 용도로도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세정작업이 완료된 후 반전 작업을 진행할 때 보수관의 내부에 튜브라이너(1)가 반전되면서 밀어내거나 이동시켜야 하는 지장물이나 유체가 없는 가스관이나 상수관인 경우 따로 속도조절부는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반전기(200)를 프레임(110)으로부터 분리하여 수평으로 보수관에 장착할 경우 프레임(110)의 반전기 거치구에 착탈식 속도조절롤러를 거치하고 수동핸들로 롤러의 간격을 조절하여 튜브라이너(1)의 인입과 반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튜브 폴딩부(140)는 유도 롤러나 속도조절롤러(131,132)를 거쳐 인입되는 납작하게 붙은 튜브라이너(1)를 반전기 입구 관경과 반전튜브 고정구의 관경에 맞는 폭으로 접어줌으로써 반전기에 삽입이 용이하게 해주는 것이며, 바람직하게 폴딩유도틀(141)과 폴딩유도롤러(142)로 구성된다. 튜브라이너(1)는 설치 상태를 기준으로 할 때 관형이지만 반전 시공 전까지는 납작하게 붙은 상태이고, 튜브 폴딩부(140)는 튜브라이너(1)의 경로에서 납작하게 붙은 튜브라이너(1)의 좌우 폭보다 좁게 배치되어 납작하게 붙은 튜브라이너(1)의 양측을 서로 모아지는 방향으로 누름으로써 튜브라이너(1)를 접어주는 것이다.
폴딩유도틀(141)은 납작하게 붙은 상태의 튜브라이너(141)의 폭보다는 좁은 폭으로 이루어지며 튜브라이너(1)의 양쪽 끝을 안쪽으로 모아 접는 방식이고, 하나의 타원형도 가능하지만 튜브라이너(1)의 폴딩을 조절할 수 있도록 2개가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면서 서로 모아지는 방향과 벌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는 2개의 폴딩유도틀(141)은 서로 마주하는 방향이 개방된 곡선형이며 각각 폭조절대(143)를 통해 프레임(110)에 설치된다.
폴딩유도틀(141)의 폭조절 방식으로, 폭조절대(143)를 나사봉의 형태로 하여 폴딩유도틀(141)을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너트의 체결에 의해 폴딩유도틀(141)을 고정하는 방식, 폭조절대(143)에 다단의 폭조절공을 형성하여 폴딩유도틀(141)의 돌기를 다단의 폭조절공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조립하는 방식 등이 가능하고, 물론 전술한 방식이외에 폴딩유도틀(141)의 폭조절이 가능한 모든 방식이 포함된다.
폴딩유도롤러(142)는 폴딩유도틀(141)의 안쪽면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을 통해 튜브라이너(1)와의 마찰력을 극소화함으로써 튜브라이너(1)의 손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폴딩유도롤러(142)는 필수적으로 적용되지 아니하고 필요에 따라 선택되어 적용된다.
폴딩유도롤러(142)가 적용되지 않는 경우 폴딩유도틀(141)은 튜브라이너(1)의 접촉면적을 줄이는 방법을 통해 튜브라이너(1)와의 마찰저항을 극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원형 단면으로 구성된다.
유입 안내부(120), 속도조절부(130), 튜브 폴딩부(140)는 하나의 프레임(110)에 에 구성되는 모든 방식이 가능하고, 예를 들어 유입 안내부(120), 속도조절부(130), 튜브 폴딩부(140)가 하나의 프레임(110)에 다단으로 구성되는 것, 도 3과 같이 프레임(110)을 분리 구성하여 유입 안내부(120), 속도조절부(130), 튜브 폴딩부(140)가 각각의 프레임(110-1,110-2,110-3)을 통해 적층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반전기(200)도 별도의 프레임(110-4)을 통해 구성된다.
반전기(200)는 튜브라이너(1)를 반전(뒤집기)시켜 보수관의 내벽에 붙이는 것이며, 상하 양측이 개방된 통 구조의 반전기 몸체(210), 반전기 몸체(210)의 하부에 형성되며 튜브라이너(1)를 고정하는 라이너 고정구(220), 반전기 몸체(210)의 상측 개방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밀폐형의 덮개(230)로 구성되며, 부가적으로 역류방지기(240)가 구성된다.
반전기 몸체(210)는 내부에 튜브라이너(1)가 통과하는 공간을 갖는 바람직하게 원통형이며, 프레임(110)에 반전기 고정수단을 통해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반전 장치는 수직형으로 원거리 반전에 사용될 경우 보통 보수관 위쪽 지상에 위치하여 지중의 보수관쪽으로 튜브라이너(1)를 보내게 되므로 지장물이 있으면 튜브라이너(1)가 'ㄱ'자, 'ㄷ'자, 'ㄴ'자, 'U'자형으로 굴곡될 수 있다. 이 때 튜브라이너(1)가 꺽이는 경사각을 조절하고 원활한 반전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 반전기를 기울여 경사 각도를 조절하면 보수관까지 반전튜브의 이송이 수월해진다.
이를 위하여 반전기(200)에는 튜브라이너(1)의 삽입 각도와 굴곡을 조절할 수 있도록 경사 조절구가 적용된다.
즉, 반전기 몸체(210)는 프레임(110)에 볼트와 너트 등의 체결구를 통해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고, 각도조절수단을 통해 각도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후자의 경우 반전기(200)를 튜브라이너(1)를 보수관에 반전 라이닝하기 위한 최적의 위치에 설치하고 지장물의 간섭없이 설치할 수 있는 점에서 이점이 있다.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예를 들어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다단의 각도조절공(151)이 구비된 각도조절판(150), 반전기 몸체(210)의 둘레부에 각도조절판(150)과 대향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체결공(152)을 갖는 체결판(153), 각도조절판(150)의 어느 하나의 각도조절공(151)과 체결판(153)의 체결공(152)에 체결되는 각도고정핀(154)으로 구성되며, 물론, 반전기 몸체(210)는 프레임(110)에 축핀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즉 각도 조절 가능하게 설치된다.
반전기 몸체(210)는 튜브라이너(1)의 반전을 위한 공기가 주입되고, 아울러 튜브라이너(1)를 경화하기 위하여 스팀(또는 고온의 공기)가 주입되며, 이를 위하여 주입포트(211)가 구성된다. 주입포트(211)는 공기 주입관과 스팀 주입관이 선택적으로 연결됨으로써 공기 또는 스팀을 주입한다. 물론, 공기 주입을 위한 포트와 스팀 주입을 위한 포트가 함께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반전기 몸체(210)에는 온도와 압력 등의 정보를 보여주는 온도계와 압력계(212)가 갖추어질 수 있다.
라이너 고정구(220)는 튜브라이너(1)의 단부를 고정하여 공기의 주입에 의해 튜브라이너(1)가 반전되도록 하며, 튜브라이너(1)의 직경에 맞춰 원통형으로 제작되며, 이는 튜브라이너(1)가 주름 없이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원활한 반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라이너 고정구(220)는 튜브라이너(1)의 견고한 고정을 위하여 외주면이 테이퍼 단면(상부로 가면서 외경이 작아지는 형태의 경사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이너 고정구(220)의 고정 방법으로 튜브라이너(1)를 라이너 고정구(220) 바깥쪽으로 뒤집어 라이너 고정구(220) 외측에서 와이어나 스틸 밴드를 감아서 고정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의 경우 반전이 완료된 튜브라이너가 접히는 부분 없이 일자형으로 위치하게 되므로 멈춤 장치 없이 높은 내부 압력을 견뎌야 하므로 튜브라이너의 고정 능력이 떨어지게 된다.
이 때문에 도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라이너 고정구(220)를 반전기 몸체(210)의 저부에서 내부에 삽입하고, 이들(210,220)들 사이에 튜브라이너(1)를 끼운 상태에서 볼트(221)를 체결하여 반전기 몸체(210)와 라이너 고정구(220)에 튜브라이너(1)를 고정한다.
바람직하게, 반전기 몸체(210)의 하단 둘레부와 라이너 고정구(220)의 둘레부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볼트공이 구비된 외향의 플랜지(213,222)가 각각 형성되고, 볼트(221)가 플랜지(213,222)의 볼트공에 저부에서 상부(또는 반대도 가능함)로 체결됨으로써 튜브라이너(1)를 견고하게 고정한다. 즉, 라이너 고정구(220)는 반전기 몸체(210)와 분리된 단품이며, 반전기 몸체(210)에 튜브라이너(2)와 함께 고정되어 압력 공기가 반전기(200)에 주입되면 튜브라이너(1)가 뒤집히며 팽창하여 반전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튜브라이너(1)의 고정방식에 따르면, 튜브라이너(1)는 라이너 고정구(220)에서 한번 접혀서 반전이 되고, 반전이 완료되면 시작부가 기억자형으로 고정되어 라이너 고정구(220) 외측에 튜브라이너(1)를 결속하는 방법보다 튜브라이너(1)의 고정 능력이 향상된다.
덮개(230)는 튜브라이너(1)의 경화를 위한 스팀이 누출되지 않도록 반전기 몸체(210)의 상측 개방부에 결합 즉 튜브라이너(1)의 반전이 완료된 후 반전기 몸체(210)에 결합되는 것이며, 밀폐를 위하여 패킹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볼팅 등 다양한 방법으로 분리 가능하게 고정된다.
역류방지기(240)는 연질의 팽창형 튜브로서 내부에 유체(공기)가 주입됨으로써 팽창하여 튜브라이너(1)는 통과하도록 하지만 공기의 역류를 막는다.
역류방지기(240)는 튜브라이너(1)를 감싸는 형태로서 중앙에 상하로 관통하는 홀이 구비된 도넛 형태가 바람직하다.
역류방지기(240)는 공기를 외부에서 주입하도록 공기 주입구(241)가 갖추어진다.
역류방지기(240)는 팽창력이 주입되는 공기의 양에 비례하기 때문에 주입구(241)에 압력(유량)조절밸브가 갖추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역류방지기(240)는 반전기 몸체(210) 내부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반전기 몸체(210)의 상부에 적층되는 별도의 케이스(242)를 통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6에서 보이는 것처럼, 역류방지기(240)는 반전기 몸체(210)의 상부와 하부에 2개 이상 설치되어 역류방지와 밀폐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역류방지기(240)는 원통형, 박스형 등이 가능하다.
도 7에서 보이는 것처럼, 원통형의 역류방지기(240-1)는 중앙에 튜브라이너(1)의 진행방향인 상하로 관통되는 대략 원형 내지 타원형의 홀이 형성되는 연질의 튜브로서 상하부 또는 외주면이 고정되고, 외부에서 유체인 공기의 주입과 배출이 가능하도록 주입구가 구성된다.
연질 튜브인 원통형의 역류방지기(240-1)는 내주면이 주름막의 형태로 구성되며 유체의 주입에 의해 펼쳐지면서 튜브라이너(1)의 둘레면에 밀착되고 또한 자신의 둘레부가 반전기 몸체(210)나 별도의 원통형의 케이스(242-1)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밀봉함으로써 역류를 막는다.
도 8과 같은 박스형의 역류방지기(240-2)는 일자형의 홀이 형성되는 연질의 튜브로서 둘레부가 반전기 몸체(210)나 별도의 육면체형의 케이스(242-2)에 밀폐 고정되고, 주입구를 통해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면 내부에 매우 좁지만 유동적인 통로를 형성하여 이 통로를 통해 튜브라이너(1)가 통과하도록 하지만 공기가 누출되는 것을 막는다.
튜브라이너(1) 관경이 커질 경우 원통형의 연질튜브로 이루어진 역류방지기(240-1)는 내부 밀폐차단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므로 박스형의 역류방지기(240-2)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박스형의 역류방지기(240-2)는 일자형의 홀로 구성되어 튜브라이너(1)의 통과 공간(일자형의 홀)을 매우 좁게 할 수 있으므로 밀폐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시트를 대신하여 자전거 튜브와 같은 도넛 모양의 튜브를 사각형의 박스형 입구 안쪽에 타원형으로 고정하면 대형관에 적합한 역류 방지용 밀폐수단이 형성된다.
튜브라이너 반전을 위한 압력 공기는 반전기를 밀폐하여 외부 누출을 차단하면 압력 조절에 유리하지만 대형반전기인 경우 압력공기의 체적 공간이 늘어나 내부 압력이 높아지므로 압력을 견디기 위해 제작되는 반전기의 소재와 밀폐 수단이 중량화 되어야 하므로 대형화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반전장치는 반전기(200) 내부의 체적 공간이 작아 낮은 공기압으로도 반전이 가능하므로 반전 작업 중 압력 공기가 일부 누출되어도 반전작업에는 지장이 없다.
대부분의 반전기는 반전공기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일자형으로 인입되는 튜브라이너의 폭과 두께에 맞춰 각각의 연질 튜브나 경성 판재로 통로를 만들어 이를 통과시키며 내부 공기 누출을 차단하거나 상하 좌우의 연질판으로 튜브라이너 외측면을 눌러 반전공기가 반대로 누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역류방지 장치를 사용한다.
이러한 기존의 연속반전장치의 역류 방지장치는 일자형의 다양한 튜브라이너의 폭과 두께에 맞는 연질의 튜브를 만들어야 하므로 제작 비용이 비싸고, 인입되는 일자형의 튜브 폭에 맞춰 반전기를 제작해야 하므로 역류방지장치의 내부 공간이 너무 커져 전체적으로 대형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연질의 팽창튜브형태이기 때문에 연속적으로 인입되는 튜브라이너(1)의 모양에 맞춰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역류방지기가 다양한 크기와 모양의 튜브라이너(1)에 밀착되어 반전기(200) 내부에 주입되는 공기의 누출을 차단하고, 또한 역류방지기(200)는 외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튜브라이너(1)가 통과할 때 밀리면서 튜브라이너(1)에 밀착됨으로써 밀폐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상기 반전기 고정구는 수직형으로 사용할 경우 반전장치 상단부 몸체에 반전기 경사조절구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브라켓이 고정구가 되고, 수평형으로 보수관에 장착될 경우 보수관의 플랜지와 반전구의 플랜지가 수평으로 무두 볼트와 너트로 고정시킬 수 있어 반전구 플랜지가 전체 반전기를 수평으로 고정하는 고정구가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가변형 반전 장치는 외부 환경과 작업 조건에 맞춰 다양하게 사용되고, 도 9와 도 15는 수직형의 원거리 반전시이고, 도 10과 11 내지 도 14는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된 반전기(200)만을 이용한 근접 반전시이다.
1. 원거리 반전.
반전기(200)를 보수관(2)에 직접 설치할 수 없는 환경에서는 도 9와 같이 프레임(110)과 반전기(200)가 결합된 가변형 반전 장치(100)를 이용하여 튜브라이너(1)를 반전 시공한다.
가. 반전 장치 설치.
프레임(110)과 반전기(200)가 결합된 가변형 반전 장치(100)를 지상 등에 설치하며, 수직형의 경우 도 9와 같이, 프레임(110)의 하단부를 지면에 안착하거나 앵커링을 하여 가변형 반전 장치(100)를 설치한다. 이때, 도 1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튜브라이너(1)의 꺽임을 최소화하면서 튜브라이너(1)를 보수관(2) 내부에 반전 라이닝하기 위하여 반전기(200)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 튜브 라이너 거치.
적재 차량에서 튜브 라이너(1)를 견인하여 반전 장치 상단 시작부의 유입 안내부인 유도 롤러(120)를 거쳐 라이너 고정구(220)에 고정하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튜브 라이너(1)를 유도 롤러에 통과시킨 후 속도조절롤러(131,132)에 지그재그 형태로 통과시키고, 지금까지는 튜브라이너(1)는 납작하게 접힌 상태를 유지한다.
이어서, 튜브라이너(1)를 튜브 폴딩부(140)의 안으로 통과시키며, 이때, 튜브라이너(1)의 폭보다 튜브 폴딩부(140)의 폴딩유도틀(141)의 폭이 좁기 때문에 튜브라이너(1)는 납작한 상태에서 폭이 좁아지도록 접히게 된다. 이때, 한 쌍의 폴딩유도틀(141)의 간격에 따라 튜브라이너(1)의 폭이 달라질 것이므로 폴딩유도틀(141)의 간격을 적절하게 맞추는 것이 필요하고, 한편, 튜브라이너(1)의 거치시에는 한 쌍의 폴딩유도틀(141)간의 간격을 튜브라이너(1)의 폭보다 크게 하여 튜브라이너(1)의 거치를 용이하게 하고 튜브라이너(1)을 고정한 후 폴딩유도틀(141)을 서로 모아지도록 하여 튜브라이너(1)를 접는 것도 가능하다.
튜브 폴딩부(140)를 통과시킨 튜브라이너(1)를 반전기(200) 내부에 삽입한 후 단부를 라이너 고정구(220)의 둘레부에 감싸 고정한 상태에서 라이너 고정구(220)를 반전기 몸체(210)에 볼트로 고정하여 튜브라이너(1)를 거치한다. 튜브라이너(1)는 라이너 고정구(220)와 반전구 몸체(210) 사이에 강하게 밀착되어, 플라스틱 코팅면이 외측면이 되고 함침된 수지쪽이 내측면에 놓이는 상태로 거치되어 반전 준비가 완료된다.
튜브라이너(1)의 거치시 역류방지기(240)는 내부에 유체가 주입되지 않은 수축 상태이며, 따라서, 튜브라이너(1)의 삽입 거치를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속도조절부(130)의 속도조절롤러(131,132)도 튜브라이너(1)의 거치시에는 튜브라이너(1)가 꺽이지 않도록 후퇴시키고, 튜브라이너(1)의 고정이 완료된 후 전진시켜 튜브라이너(1)를 S 자 형태로 맞추는 것도 가능하다. 튜브라이너(1)의 속도 조절이 필요없는 경우 속도조절롤러(131,132)를 튜브라이너(1)가 꺽이지 않는 위치에 셋팅하여 속도조절없이 튜브라이너(1)의 공급의 가이드만 하도록 한다.
다. 반전 셋팅.
튜브라이너(1)를 고정한 후 반전기(200)를 다음과 같이 셋팅한다.
역류방지기(240) 내부에 유체를 주입하여 팽창시킨다. 공기 주입구(241)를 통해 공기(압축 공기)를 연질튜브인 역류방지기(240)를 팽창시켜 튜브라이너(1)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역류방지기(240)는 튜브라이너(1)의 외부와 반전기(200) 내부의 공간을 막아 이 공간에 주입되는 반전을 위한 공기와 경화를 위한 스팀이 상부로 역류하지 못하도록 한다. 공기압으로 팽창된 연질튜브의 역류방지기(240)는 매우 탄력적이어서 이송되는 튜브라이너(1)의 모양에 맞춰 유동적으로 반전기(200) 입구를 메우게 된다.
이와 같은 반전기(200)의 조절작업이 완료되면 튜브라이너(1)의 반전을 시작한다.
라. 반전.
반전기 몸체(210)의 주입포트(211)에 공기 호스를 연결하고 압축공기를 주입하면 튜브라이너(1)는 반전을 시작한다. 튜브라이너(1)가 반전기(200)에서 나오면 보수관(2) 입구까지 방향을 잡고 꺾인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공기 주입량을 조절하여 튜브라이너(1)의 이동 방향과 속도를 조절한다.
튜브라이너(1)가 반전되어 보수관(2)에 삽입되면 압축공기 주입량을 고정하여 튜브라이너(1)의 연속 반전이 진행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속도조절롤러(131,132)의 간격 조절을 통해 튜브라이너(1)의 반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고, 즉 튜브라이너(1)가 최적의 조건으로 반전 및 삽입되도록 한다.
반전 작업 시 전체 튜브라이너(1) 중 절반 이상이 삽입되면 반전장치 입구에는 인입되는 튜브라이너(1)가 없고 튜브라이너(1) 말단을 묶어 놓은 반전멈춤끈만 노출된다. 그러므로 선택적으로 반전멈춤끈 풀이장치(Unwinder)를 외부장치로 사용하여 반전멈춤끈을 긴장하거나 누름롤러로 장력을 생성하면 튜브라이너(1)의 삽입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튜브라이너(1)가 보수관(2) 내부에서 반전되는 속도는 반전기(200)로 인입되는 튜브라이너(1)의 삽입속도로 측정할 수 있다.
한편, 튜브라이너(1)의 반전시 장력의 변화가 발생되는 등의 이유로 인하여 반전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는 경우 속도조절롤러(131,132)의 간격을 조절, 즉, 장력이 팽팽해진 경우 속도조절롤러(131,132)들을 벌려 튜브라이너(1)의 꺽임을 줄여주고 장력이 느슨해진 경우 서로 같은 방향으로 속도조절롤러(131,132)들을 모아 튜브라이너(1)를 팽팽하게 조절한다.
마. 경화 라이닝.
튜브라이너(1)의 반전이 완료되면 반전멈춤끈을 완전히 풀거나 잘라낸 후 반전기(200)에 덮개(230)를 체결하여 반전기(200) 내부를 기밀하게 밀폐하고, 이 때, 역류방지기(240) 내부의 유체를 빼낸다.
이와 같이, 반전기(200) 내부를 밀폐한 후 튜브라이너(1)의 경화작업을 시작한다.
먼저 반전기(200)의 주입포트(211)에 호스를 연결하고 열기를 공급하며, 열기는 반전기(200) 내부에서부터 보수관(2) 내부에 라이닝된 튜브라이너(1)에 공급되어 튜브라이너(1)의 함침수지의 경화를 유도하고, 튜브라이너(1)는 보수관(2) 내벽에 경화관의 라이닝층을 형성한다.
튜브라이너(1)의 경화 작업이 완료되면 열기의 공급을 차단하고, 압축공기만 공급하여 내부 경화관의 압력을 유지하면서 서서히 냉각시키는 양생 과정을 진행한다. 경화관의 양생이 완료되면 경화관의 말단부를 절단하고 반전기를 분리하여 공사를 마무리한다.
이와 같이 프레임(110)을 수직으로 설치하여 사용한 것은 원거리 반전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평으로 거치하여 사용하는 근거리 반전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2. 근거리 반전(도 10, 도11, 도 12, 도 13, 도 14 참고).
프레임(110)과 라이너 유도부(120,130,140)가 필요하지 않거나 프레임(110)을 설치할 수 없는 환경에서는 반전기(200)를 프레임(110)로부터 분리하여 단독으로 사용한다.
프레임(110)의 라이너유도부 고정틀(111)과 반전기 고정틀(112)로 분리하면, 라이너유도부 고정틀(111)에 속도조절부(130)와 튜브 폴딩부(140)가 갖추어지고, 반전기 고정틀(112)에 반전기(200)가 갖추어짐으로써 반전기(200)가 라이너유도부 고정틀(111)로부터 분리된다.
이 때, 도 11에서처럼 유도 롤러(120)가 반전기 고정틀(112)에 고정되는 방식이라면 유도 롤러(120)는 튜브라이너(1)를 반전기(200)로 유도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근거리 반전은 반전기(200)를 분리하고 반전기 고정틀(112)을 커플링 등을 매개로 하여 보수관(2)에 고정함으로써 반전기(200)를 설치한다.
반전기(200)는 다양한 고정장치를 통해 보수관(2)이나 맨홀 등에 설치되며, 외부장치로 사용할 수 있는 반전멈춤끈 풀이장치(Unwinder)의 긴장력에 의해 튜브라이너(1)의 삽입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반전기(200)를 분리하여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은 수직형과 수평형 모두가 가능하다. 분리된 반전기(200)는 일체형 반전 장치의 속도조절부와 튜브 폴딩부가 없는 대신 착탈식 속도조절장치와 튜브 폴딩 장치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다만, 반전기(200)만 보수관(2) 입구에 수평으로 근접 장착하는 경우 반전기(200)의 무게로 인하여 반전기(200)가 기울어질 수 있으므로 수직 형태의 받침 구조물을 이용하여 반전기(200)를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수평식으로 반전기(200)를 근접 장착하는 경우 작업구 외부에서 튜브 라이너(1)를 견인하여 반전기(200)를 관통시켜 라이너 고정구(220)에 고정한다.
튜브라이너(1)를 고정한 반전기(200)는 외부 이송수단(지게차, 크레인 등)으로 보수관(1) 입구까지 운반되어 미리 장착된 보수관(2) 입구 플랜지와 수평으로 맞닿은 상태에서 볼트의 체결에 의해 설치된다.
보수관(2)에 반전기(200)의 수평장착이 완료되면 반전기(200)의 장치들을 조절하여 안정적인 반전작업을 위한 작업 조건을 맞춘다(전술한 반전 셋팅).
속도조절장치와 튜브 폴딩 장치가 필요한 경우 착탈식 속도조절 롤러와 튜브 폴딩 장치를 반전기(200)에 체결한다. 수평형의 경우 유도 롤러(120)를 프레임(110)에서 분리하여 반전기 고정틀(112)에 설치할 수 있다.
반전기(200)의 근접 장착에서 착탈식 조절장치들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튜브라이너(1)의 반전과 경화는 전술한 원거리 반전시공과 동일하다.
수직형과 수평형 모두 반전기(200)가 보수관(2)으로부터 떨어진 상태에서 튜브라이너(1)를 반전 라이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반전기(200)와 보수관(2) 사이에 튜브라이너(1)를 보수관(2)으로 유도하기 위한 별도의 유도관이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100 : 비굴착 상하수도 보수용 가변형 반전 장치,
110 : 프레임,
111 : 라이너유도부 고정틀, 112 : 반전기 고정틀
120 : 유도 롤러, 130 : 속도조절부
131,132 : 속도조절롤러, 140 : 튜브 폴딩부
141 : 폴딩 유도틀, 142 : 폴딩유도롤러
200 : 반전기, 210 : 반전기 몸체
220 : 라이너 고정구, 230 : 덮개
240 : 역류방지기, 241 : 공기 주입구

Claims (11)

  1. 비굴착 상하수도 보수대상 관로에 튜브라이너를 삽입하여 경화 시공하는 비굴착 상하수도 보수용 가변형 반전 장치로서,
    저부가 지면이나 차량에 지지되는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튜브라이너를 상기 프레임 안으로 유도하는 라이너 유도부와;
    상기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라이너 유도부를 통해 유도되는 튜브라이너를 반전시키는 반전기(200)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은 상기 라이너 유도부가 설치되는 라이너유도부 고정틀(111) 및 상기 라이너유도부 고정틀에 체결수단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반전기가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반전기 고정틀(112)을 포함하고,
    상기 반전기는 상하가 개방되는 통 구조이며 공기와 열기의 주입을 위한 주입 포트가 구비되어 상기 주입 포트를 통해 주입되는 공기를 통해 상기 튜브라이너를 반전시키는 한편 열기의 주입을 통해 반전된 튜브라이너를 경화시키며 상기 프레임의 반전기 고정틀(11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반전기 몸체(210), 상기 반전기 몸체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반전기 몸체와의 사이에 상기 튜브라이너를 고정하는 라이너 고정구(220), 상기 반전기 몸체의 상부에 상기 튜브라이너의 경화시 결합되어 상기 반전기 몸체 내부를 밀폐하는 덮개(230)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너 유도부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튜브라이너를 상기 프레임 안으로 유도하는 유도 롤러(120), 상기 프레임에 상기 튜브라이너의 좌우 폭보다 좁은 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유도 롤러에 의해 유도되는 납작한 형태의 튜브라이너의 좌우 양측을 눌러 접는 튜브 폴딩부(140), 상기 유도 롤러와 상기 튜브 폴딩부의 사이에 상기 튜브라이너의 이동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유도 롤러를 통과하는 튜브라이너의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굴착 상하수도 보수용 가변형 반전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튜브 폴딩부는 마주하는 방향이 개방되어 튜브라이너의 양쪽를 감싸는 형태이며 모아지거나 벌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튜브라이너를 접는 한 쌍의 폴딩유도틀(14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굴착 상하수도 보수용 가변형 반전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전기가 상기 반전기 고정틀(112)과 함께 상기 라이너 유도부 고정틀(111)에서 분리될 때 상기 반전기 고정틀에 설치되어 상기 튜브라이너를 상기 반전기로 유도하는 유도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굴착 상하수도 보수용 가변형 반전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전기 몸체의 주입포트 상부 또는 상하부에 배치되며 유체의 주입에 의해 팽창하여 상기 반전기 몸체 내부에 주입되는 공기의 역류를 차단하는 팽창튜브형의 역류방지기(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굴착 상하수도 보수용 가변형 반전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 고정구는 둘레부에 외향의 플랜지가 형성되는 원통형으로서 상기 반전기 몸체의 저부에서 상기 반전기 몸체 내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플랜지가 상기 반전기 몸체의 하단 둘레부에 형성된 플랜지의 저부에 겹쳐지면서 체결구를 통해 고정되어 상기 반전기 몸체와의 사이에 상기 튜브라이너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굴착 상하수도 보수용 가변형 반전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 고정구는 상부로 가면서 외경이 좁아지는 테이퍼 단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튜브라이너를 상기 반전기 몸체의 내주면쪽으로 압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굴착 상하수도 보수용 가변형 반전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도 롤러와 속도조절부 및 상기 튜브 폴딩부는 각각의 케이스를 통해 단품으로 이루어져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굴착 상하수도 보수용 가변형 반전 장치.
  10. 청구항 1에 의한 비굴착 상하수도 보수용 가변형 반전 장치를 이용한 비굴착식 상하수도 보수 방법으로서,
    상기 비굴착 상하수도 보수용 가변형 반전 장치의 프레임과 반전기를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의 저부를 지중의 보수관 주변에 안착 설치하는 제1단계와;
    튜브라이너를 상기 비굴착 상하수도 보수용 가변형 반전 장치 안에 삽입하면서 단부를 반전기에 고정하여 거치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를 통해 튜브라이너를 반전기에 고정한 후 상기 반전기 안에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튜브라이너를 반전시키면서 보수관의 내벽에 붙이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 이후 상기 반전기를 덮개를 통해 밀폐하고 열기를 주입하여 상기 튜브라이너의 함침수지를 경화시킨 후 냉각을 통해 상기 보수관의 내부에 경화관을 시공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굴착 상하수도 보수용 가변형 반전 장치를 이용한 비굴착식 상하수도 보수 방법.
  11. 청구항 1에 의한 비굴착 상하수도 보수용 가변형 반전 장치를 이용한 비굴착식 상하수도 보수 방법으로서,
    상기 비굴착 상하수도 보수용 가변형 반전 장치의 프레임과 반전기를 분리하고 튜브라이너를 상기 반전기에 고정한 후 이 반전기를 지중의 보수관 설치 또는 보수관이 연결되는 맨홀에 고정 설치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설치된 반전기 안에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튜브라이너를 반전시키면서 보수관의 내벽에 붙이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 이후 상기 반전기를 덮개로 밀폐하고 열기를 주입하여 상기 튜브라이너의 함침수지를 경화시킨 후 냉각을 통해 상기 보수관의 내부에 경화관을 시공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굴착 상하수도 보수용 가변형 반전 장치를 이용한 비굴착식 상하수도 보수 방법.
KR1020160177101A 2016-12-22 2016-12-22 비굴착 상하수도 보수용 가변형 반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굴착 상하수도 보수 방법 KR101914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101A KR101914278B1 (ko) 2016-12-22 2016-12-22 비굴착 상하수도 보수용 가변형 반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굴착 상하수도 보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101A KR101914278B1 (ko) 2016-12-22 2016-12-22 비굴착 상하수도 보수용 가변형 반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굴착 상하수도 보수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0327 Division 2016-0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9754A KR20170089754A (ko) 2017-08-04
KR101914278B1 true KR101914278B1 (ko) 2018-11-01

Family

ID=59654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7101A KR101914278B1 (ko) 2016-12-22 2016-12-22 비굴착 상하수도 보수용 가변형 반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굴착 상하수도 보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42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824B1 (ko) * 2018-05-08 2020-04-01 (주)크린텍 공기역전 방법을 이용한 라이너 반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굴착 반전공법
KR101963176B1 (ko) 2018-08-10 2019-03-2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텍스타일 그리드 보강재 및 몰탈 라이닝을 활용한 비굴착 상하수도관 갱생 라이닝 형성장치 및 그 방법
IT201900019277A1 (it) * 2019-10-18 2021-04-18 Eni Spa Metodo e sistema per il rivestimento di condotte
KR102269518B1 (ko) * 2020-07-30 2021-06-25 정지훈 반전튜브 공급수단을 구비하는 반전튜브 반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보수공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8724B1 (ko) * 2012-05-25 2012-10-10 (주)알파에코 반전탱크를 이용한 매설관로 비굴착 전체 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체 보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8724B1 (ko) * 2012-05-25 2012-10-10 (주)알파에코 반전탱크를 이용한 매설관로 비굴착 전체 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체 보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9754A (ko) 2017-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4278B1 (ko) 비굴착 상하수도 보수용 가변형 반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굴착 상하수도 보수 방법
US5108533A (en) Method and combination for installing a liner within a service pipe transversely connected to a main pipe
US70255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ning a conduit
JP4896042B2 (ja) 既設輸送管路の非開削更生方法
US468598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installation of a liner within a conduit
JP4777997B2 (ja) 空気及び貫流水蒸気を用いて硬化させる現場硬化型ライナの設置
US4776370A (en) Apparatus for securing a cable to a tubular pipe liner
US7360559B2 (en) Steam cure of cured in place liner
JP2927407B2 (ja) 管ライニング工法
RU2388959C2 (ru) Способ инвертирования вкладыша, способ бестраншейного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существующего трубопровода посредством инвертирования вкладыша,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оздушного инвертирования и парового отверждения вкладыша и трубный вкладыш, отверждаемый на месте эксплуатации
JP2837385B2 (ja) マンホール用ライニング材及びマンホールライニング工法
US7866968B2 (en) Reusable inversion sleeve assembly for inversion of cured in place liners
US2011020372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flexible linings in underground pipes
KR101794254B1 (ko) 비굴착 상하수도 보수용 연속 반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굴착 상하수도 보수 방법
JP5891136B2 (ja) ライニング管の施工方法
KR101186615B1 (ko) 이동식 소형 근접 반전구 및 이를 이용한 배관 비굴착 보수 장치와 방법
KR20130063067A (ko) 다양한 내경의 하수관로에 사용될 수 있는 보수장치
US11156319B2 (en) Flow restriction system
JP3450782B2 (ja) 下水道取付管の補修方法及び補修装置
JP4073106B2 (ja) 管路補修方法及び設備
US20120207548A1 (en) In-pipe eversion device and method of use
KR200378117Y1 (ko) Pe 연질 부직포 보강 튜브의 공·수압 복합 수직형 관 고정식 반전 삽입 장치.
KR100633737B1 (ko) 공·수압 복합형 반전 삽입장치를 이용한 관고정식 상·하수도 노후관의 열경화성 수지액 함침 pe 연질 부직포 보강튜브 삽입 보수공법.
JP2001065296A (ja) 二次覆工中詰め充填材の仕切り構築方法および堰き止め機構
CA2836627C (en) Dual gland air inversion and steam cure of cured in place lin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