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3238B1 - 무선 주파수 수신기 및 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주파수 수신기 및 수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3238B1
KR101913238B1 KR1020177004280A KR20177004280A KR101913238B1 KR 101913238 B1 KR101913238 B1 KR 101913238B1 KR 1020177004280 A KR1020177004280 A KR 1020177004280A KR 20177004280 A KR20177004280 A KR 20177004280A KR 101913238 B1 KR101913238 B1 KR 101913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requency
frequency division
band
oscil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4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1756A (ko
Inventor
민 이
지안 리앙
니안용 주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31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1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3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3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00Frequency-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02Details
    • H04J1/12Arrangements for reducing cross-talk between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53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 H04B1/0057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using diplexing or multiplexing filters for selecting the desired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53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 H04B1/006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using switches for selecting the desired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04B1/12Neutralising, balancing, or compensation arrangements
    • H04B1/123Neutralising, balancing, or compensation arrangements using adaptive balancing or compensation means
    • H04B1/126Neutralising, balancing, or compensation arrangements using adaptive balancing or compensation means having multiple inputs, e.g. auxiliary antenna for receiving interfering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Superheterodyne Receiver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주파수 수신기 및 수신 방법에 대해 개시하며, 수신 방법은, 무선 주파수 신호에 대해 대역 분할을 수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대역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역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는 복수의 반송파의 반송파 집성 신호이고, 각각의 대역 신호는 복수의 반송파 중 적어도 하나의 반송파를 포함함 - ;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역 신호에 대해 필터링 및 증폭 처리를 개별적으로 수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처리된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복수의 발진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처리된 신호 중에서 목표 반송파를 포함하는 처리된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발진 신호 중에서 상기 목표 반송파에 대응하는 발진 신호를 수신하고, 복수의 주파수 분할비 중에서 하나의 주파수 분할비를 선택적으로 선택하고, 상기 주파수 분할비를 상기 수신된 발진 신호에 대해 주파수 분할을 수행하는 데 사용하여 국부 발진기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국부 발진기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목표 반송파를 포함하는 상기 수신된 처리된 신호에 대해 주파수 혼합을 수행하여 혼합된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주파수 수신기 및 수신 방법{RADIO FREQUENCY RECEIVER AND RECEIVING METHOD}
본 발명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무선 주파수 수신기 및 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삭제
현재, 통신 대역폭을 넓히고 사용자 데이터 처리량도 높이기 위해, 롱텀에볼루션 어드밴스트(Long-Term Evolution-Advanced, LTE-A) 기술에서는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CA)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CA 기술의 원리는 사용자 통신 데이터가 통신을 위한 복수의 반송파 상에서 반송된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CA 기술의 도입으로 기존의 무선 주파수 수신기 솔루션에는 큰 충격이 가해진다.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rd-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 프로토콜 릴리즈 10(Release 10, R10)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의 3개의 CA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가 정의된다:
대역 내, 연속 CA (intra band, continuous CA);
대역 내, 비연속 CA (intra band, non continuous CA); 및
대역 간, 비연속 CA (inter band, non continuous CA) 또는 대역 간 CA라고도 하며,
여기서 A 및 B는 2개의 집성된 반송파를 나타낸다.
대역 내 연속 CA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서, 무선 주파수 수신기 솔루션은 종래의 방식에서와 같이 단일 주파수 합성기를 사용하여 여전히 실행될 수 있으며, 2개의 복잡한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서, 다중 주파수 합성기를 사용하는 것이 무선 주파수 수신기 솔루션을 위한 유일한 선택사항이다. 그렇지만, 다중 주파수 합성기 사이에는 상호 간섭이 존재하는데, 이것은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O) 간의 상호 인력(VCO Pulling)과 VCO의 스푸리어스 커플링 및 누화를 포함하며, 이것이 다중 주파수 합성기의 싱글-칩 집적을 저해하는 주요 문제이다. 주목해야 할 사항은: 1. VCO 간의 상호 인력은 복수의 VCO가 동시에 작동할 때의 공통적인 상호-간섭 현상이다. 2개의 VOC가 동시에 작동하는 시나리오를 예로 사용하면, VCO 1의 발진 에너지가 VCO 2에 결합되고, 그에 따라 VCO 2의 출력 신호는 VCO 1의 발진 주파수의 주파수 성분을 포함하며, 이에 의해 VCO 2가 국부 발진기 신호의 수신 채널로 사용될 때 수신 품질에 영향을 준다. VCO의 스푸리어스 커플링 및 누화는 VOC에 의해 실제로 출력되는 주파수 컴포넌트에 필연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주파수 컴포넌트 중 원하는 주파수 컴포넌트를 제외한 다양한 스푸리어스 성분을 말한다. 스푸리어스 성분은 많은 이유로 생성될 수 있으며, 참조 클록으로 생길 수도 있고 주파수 합성기의 비선형성으로 생길 수도 있다. 다중 주파수 합성기 및 복수의 수신 채널이 있는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서, VCO 중 하나에 의해 출력된 스푸리어스 성분이 다른 수신 채널에 연결되고 그 수신 채널에 의해 수신되어야 하는 유용한 신호의 스펙트럼에 중첩되면, 즉 수신 채널의 수신 대역 내에 있으면, 채널의 수신 성능이 영향을 받게 될 것이다.
가능한 무선 주파수 수신기 솔루션은 다중 주파수 합성기의 상호-간섭 문제를 비교적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서로 다른 칩에 다중 주파수 합성기를 배치하는 것이다. 그렇지만, 멀티-칩 솔루션을 적용하면, 면적 및 비용이 급격하게 증가하여 가격이 상승하고, 이것은 현재 무선 주파수 서브시스템의 소형화 및 비용효율 면에서 이동 단말의 집중요건과 더욱 상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종래기술에서 다중 주파수 합성기가 싱글 칩으로 집적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할 무선 주파수 수신기를 제공한다.
제1 관점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주파수 수신기를 제공하며, 상기 수신기는:
대역 스플리터 - 상기 대역 스플리터의 입력단은 안테나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대역 스플리터는 상기 안테나로부터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고, 무선 주파수 신호에 대해 대역 분할을 수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대역 신호를 획득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역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는 복수의 반송파의 반송파 집성 신호이고, 각각의 대역 신호는 복수의 반송파 중 적어도 하나의 반송파를 포함함 - ;
상기 대역 스플리터의 출력단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역 신호에 대해 필터링 및 증폭 처리를 개별적으로 수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처리된 신호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프로세싱 회로;
복수의 발진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다중 주파수 합성기; 및
상기 다중 주파수 합성기와 일대일 방식으로 대응하는 복수의 수신 채널
을 포함하며,
상기 수신 채널 중 임의의 수신 채널은 상기 프로세싱 회로에 의해 출력된 적어도 하나의 처리된 신호 중에서 상기 임의의 수신 채널의 목표 반송파를 포함하는 처리된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임의의 수신 채널에 대응하는 주파수 합성기에 의해 생성된 발진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임의의 수신 채널의 주파수 분할비를 복수의 주파수 분할비 중에서 선택적으로 선택하고, 상기 주파수 분할비를 상기 수신된 발진 신호에 대해 주파수 분할을 수행하는 데 사용하여 상기 임의의 수신 채널의 국부 발진기 신호를 획득하며, 상기 국부 발진기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목표 반송파를 포함하는 상기 수신된 처리된 신호에 대해 주파수 혼합을 수행하여 혼합된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혼합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반송파에 대응하는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목표 반송파는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반송파 중 하나이며,
상기 복수의 수신 채널은 각각의 주파수 분할비를 개별적으로 선택함으로써 상기 다중 주파수 합성기 간의 상호 간섭을 억제한다.
제1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복수의 주파수 분할비는 복수의 정수 주파수 분할비 및 복수의 소수 주파수 분할비로 이루어진 집합 중에서 선택된다.
제1 관점 또는 제1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2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복수의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프로세싱 유닛은 대역 스플리터의 출력단에 일대일 방식으로 대응하고, 상기 프로세싱 유닛 중 임의의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대역 스플리터에 의해 출력된 적어도 하나의 대역 신호 중에서 하나의 대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대역 신호의 대역 밖의 신호를 필터링하여 하나의 대역 내의 신호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대역통과 필터; 및
상기 대역통과 필터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대역 내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대역 내의 신호에 대해 이득 증폭을 수행하여 상기 처리된 신호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무선 주파수 증폭기
를 포함한다.
제1 관점의 제2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3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무선 주파수 수신기는 스위칭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 유닛은 상기 복수의 프로세싱 유닛과 상기 복수의 수신 채널 간에 결합되고, 상기 스위칭 유닛은, 상기 임의의 수신 채널이 상기 프로세싱 회로 내의 프로세싱 유닛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임의의 수신 채널의 목표 반송파를 포함하는 상기 처리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스위칭 제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관점 또는 제1 관점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4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복수의 수신 채널 중 임의의 수신 채널은: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의 제어하에, 상기 복수의 주파수 분할비 중에서 상기 임의의 수신 채널의 주파수 분할비를 선택적으로 선택하고, 상기 주파수 분할비에 기초해서, 상기 임의의 수신 채널에 의해 수신된 발진 신호에 대해 주파수 분할을 수행하여 상기 국부 발진기 신호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구성가능 주파수 분할기;
상기 국부 발진기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수신된 처리된 신호에 대해 주파수 혼합을 수행하여 혼합된 신호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주파수 혼합기;
상기 혼합된 신호에 대해 잡음 억제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로우패스 필터; 및
상기 목표 반송파에 대응하는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로우패스 필터에 의해 잡음 억제가 수행된 후 획득되는 혼합된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기저대역 증폭기
를 포함한다.
제1 관점의 제4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5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구성가능 주파수 분할기는 다수중하나선택 주파수 분할기(one-out-of-many frequency divider)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중하나선택 주파수 분할기는 복수의 주파수 분할 모드를 포함하며, 각각의 주파수 분할 모드는 정수 주파수 분할비 또는 소수 주파수 분할비에 대응하며, 상기 다수중하나선택 주파수 분할기는 상기 제어 신호의 제어하에, 복수의 주파수 분할 모드 중 하나의 주파수 분할 모드를 현재의 작업 모드로 구성하여, 상기 복수의 주파수 분할비 중에서 상기 임의의 수신 채널의 주파수 분할비의 선택적 선택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관점의 제4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6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구성가능 주파수 분할기는 복수의 주파수 분할 유닛 및 선택기를 포함하고, 각각의 주파수 분할 유닛은 정수 주파수 분할비 또는 소수 주파수 분할비에 대응하고, 상기 복수의 주파수 분할 유닛의 일단은 상기 구성가능 주파수 분할기의 입력단에 개별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주파수 분할 유닛의 타단은 상기 선택기의 입력단에 개별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선택기의 출력단은 상기 구성가능 주파수 분할기의 출력단에 결합되고, 상기 선택기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의 제어하에, 상기 복수의 주파수 분할 유닛 중 하나의 주파수 분할 유닛을 선택하고, 상기 주파수 분할 유닛을 턴온시켜, 상기 복수의 주파수 분할비 중에서 상기 임의의 수신 채널의 주파수 분할비의 선택적 선택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관점의 제4 가능한 실시 방식 또는 제5 가능한 실시 방식 또는 제6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7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무선 주파수 수신기는 상기 구성가능 주파수 분할기가 요구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 신호 생성기를 더 포함한다.
제1 관점 또는 제1 관점의 제1 내지 제7 가능한 실시 방식 중 임의의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8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무선 주파수 수신기는 상기 복수의 수신 채널에 의해 출력된 기저대역 신호에 대해 기저대역 프로세싱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기저대역 프로세서를 더 포함한다.
제1 관점 또는 제1 관점의 제1 내지 제8 가능한 실시 방식 중 임의의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9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임의의 수신 채널은 제로-중간-주파수 수신 채널이다.
제1 관점 또는 제1 관점의 제1 내지 제0 가능한 실시 방식 중 임의의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10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다중 주파수 합성기 및 상기 복수의 수신 채널은 집적회로 내에 집적된다.
제2 관점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신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수신 방법은:
무선 주파수 신호에 대해 대역 분할을 수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대역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역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는 복수의 반송파의 반송파 집성 신호이고, 각각의 대역 신호는 복수의 반송파 중 적어도 하나의 반송파를 포함함 - ;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역 신호에 대해 필터링 및 증폭 처리를 개별적으로 수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처리된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복수의 발진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처리된 신호 중에서 목표 반송파를 포함하는 처리된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발진 신호 중에서 상기 목표 반송파에 대응하는 발진 신호를 수신하고, 복수의 주파수 분할비 중에서 하나의 주파수 분할비를 선택적으로 선택하고, 상기 주파수 분할비를 상기 수신된 발진 신호에 대해 주파수 분할을 수행하는 데 사용하여 국부 발진기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국부 발진기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목표 반송파를 포함하는 상기 수신된 처리된 신호에 대해 주파수 혼합을 수행하여 혼합된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혼합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반송파에 대응하는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목표 반송파는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반송파 중 하나이며,
상기 복수의 발진 신호 간의 상호 간섭은 상기 복수의 발진 신호에 대해 주파수 분할을 수행하도록 주파수 분할비를 개별적으로 선택함으로써 억제된다.
제2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복수의 주파수 분할비는 복수의 정수 주파수 분할비 및 복수의 소수 주파수 분할비로 이루어진 집합 중에서 선택된다.
제2 관점 또는 제2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2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역 신호에 대해 필터링 및 증폭 처리를 개별적으로 수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처리된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역 신호 중 하나의 대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대역 신호의 대역 밖의 신호를 필터링하여 하나의 대역 내의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대역 내의 신호에 대해 이득 증폭을 수행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처리된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2 관점의 제2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3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처리된 신호 중에서 목표 반송파를 포함하는 처리된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것은:
선택 수신을 실행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처리된 신호 중에서 상기 목표 반송파를 포함하는 처리된 신호의 스위칭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3 관점 또는 제1 내지 제3 가능한 실시 방식 중 임의의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4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복수의 주파수 분할비 중에서 하나의 주파수 분할비를 선택적으로 선택하고, 상기 주파수 분할비를 상기 수신된 발진 신호에 대해 주파수 분할을 수행하는 데 사용하여 국부 발진기 신호를 획득하는 것은: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의 제어하에, 상기 복수의 주파수 분할비 중 상기 주파수 분할비를 선택적으로 선택하고, 상기 주파수 분할비에 기초해서, 상기 수신된 발진 신호에 대해 주파수 분할을 수행하여 상기 국부 발진기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또는 종래기술의 기술적 솔루션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 필요한 첨부된 도면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당연히, 이하의 실시예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의 실시예에 지나지 않으며, 당업자라면 창조적 노력 없이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을 도출해낼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반송파 집성의 통상적인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의 제로-중간-주파수 수신기에 대한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무선 주파수 수신기에 대한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무선 주파수 수신기에 대한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다른 무선 주파수 수신기에 대한 회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구성가능 주파수 분할기에 대한 회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다른 구성가능 주파수 분할기에 대한 회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또 다른 무선 주파수 수신기에 대한 회로도이다.
도 8a는 대역 간 비연속 CA 신호를 수신하는 도 5에 도시된 무선 주파수 수신기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8b는 종래의 무선 주파수 수신기 내의 2개의 VCO 간에 상호 인력이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a는 대역 내 비연속 CA 신호를 수신하는 도 5에 도시된 무선 주파수 수신기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9b는 종래의 무선 주파수 수신기 내의 2개의 VCO 간에 스푸리어스 커플링 및 누화가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대역 간 비연속 CA 신호를 수신하는 도 7에 도시된 무선 주파수 수신기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11은 다른 대역 간 비연속 CA 신호를 수신하는 도 7에 도시된 무선 주파수 수신기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수신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솔루션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종래의 제로-중간-주파수 수신기에 대해 이하에 먼저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2는 종래의 제로-중간-주파수(zero intermediate frequency, ZIF) 수신기에 대한 구조도이다. 증폭된 후, 제로-중간-주파수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는 서로 직교하는 2개의 국부 발진기 신호와 혼합되어 2개의 기저대역 신호: I (In-phase, 동위상) 신호 및 Q (Quadrature, 직교) 신호를 개별적으로 생성한다. 국부 발진기 신호의 주파수는 무선 주파수 신호의 주파수와 같기 때문에, 기저대역 신호가 혼합 후에 바로 생성되는 반면, 채널 선택 및 이득 조정이 기저대역에 대해 수행되고 하나의 칩 상에서 로우패스 필터 및 기저대역 증폭기에 의해 완료된다. 제로-중간-주파수 수신기에서 가장 주목할 것은 중간 주파수가 하향 변환 프로세스(down conversion process)에 포함되어서는 안 되며, 무선 주파수 신호 자체가 영상 주파수이고 영상 주파수 간섭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슈퍼헤테로다인 수신기와 비교하면, 제로-중간-주파수 수신기는 슈퍼헤테로다인 수신기 아키텍처에서 사용되는 영상 억제 필터 및 중간-주파수 필터를 생략할 수 있다. 이 방법에서, 한편으론 외부 컴포넌트가 생략되어, 시스템의 싱글-칩 집적을 유도하고 비용을 절감하며, 다른 한편으론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회로 모듈 및 외부 노드가 감소하여, 수신기가 요구하는 전력 소모를 감소하고 외부 간섭에 대한 무선 주파수 신호의 취약성을 완화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술적 솔루션을 명확하게 설명한다. 당연히,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가 아닌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당업자가 창조적 노력 없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획득하는 모든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실시예 1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은 무선 주파수 수신기를 제공하며, 상기 무선 주파수 수신기는 안테나(100), 대역 스플리터(200), 프로세싱 회로(300), 다중 주파수 합성기(400), 및 복수의 수신 채널(500)을 포함한다.
안테나(100)는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에서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무선 주파수 신호는 복수의 반송파의 반송파 집성 신호이다. 당업자는 실제의 애플리케이션에서 복수의 반송파의 반송파 집성의 방식은: 대역 내 연속 반송파 집성, 대역 내 비연속 반송파 집성, 및 대역 간 비연속 반송파 집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세히 설명에 대해서는 도 1에 도시된 수 개의 통상적인 다중반송파 집성 방식을 참조하면 된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무선 주파수 수신기가 칩에 집적되면, 안테나(100)는 통상적으로 그 칩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대역 스플리터(200)의 입력단은 안테나(100)에 결합되고, 대역 스플리터(200)는 안테나(100)에 출력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고, 무선 주파수 신호에 대해 대역 분할을 수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대역 신호를 획득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역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대역 신호는 복수의 반송파 중 적어도 하나의 반송파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대역 스플리터(200)는 다이플렉서(Diplexer, 또는 송수신 커플러라고 한다), 트리플렉서(Triplexer), 쿼드렉서러(quadruplex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느 컴포넌트가 사용되어야 하는지는 복수의 반송파의 CA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대역의 수량에 달려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반송파의 CA 신호가 3개의 대역 신호를 포함하면, 3개의 대역 신호를 분할하기 위해 트리플렉서를 사용하고, 복수의 반송파의 CA 신호가 2개의 대역 신호를 포함하면, 2개의 대역 신호를 분할하는데 다이플렉서로도 충분하다. 또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언급된 커플링은 이미 당 업계에서 일반적으로 해석되고, 전기적 의미에서 직접 접속 또는 간접 접속을 포함하되 이제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에서는 동일하게 적용되며, 이에 대해서는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이 실시예에서, 대역 스플리터(200)는 복수의 반송파의 반송파 집성 방식에 따라 무선 주파수 신호에 대해 대역 분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테나(100)에 의해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가 복수의 반송파의 대역 간 CA 신호이면, 대역 스플리터(200)는 대역이 높은지 낮은지에 따라 대역 간 CA 신호를 복수의 대역 신호로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를 참조하면, 대역 8에서의 무선 주파수 신호 집성 반송파 A(반송파 주파수는 935 MHz이다) 및 대역 3에서의 반송파 B(반송파 주파수는 1870.1 MHz이다)에 있어서, 대역 스플리터(200)는 그에 대응해서 다이플렉서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이플렉서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고 대역의 신호(즉, 반송파 B를 포함하는 대역 3) 및 저 대역의 신호(즉, 반송파 A를 포함하는 대역 8)로 분할할 수 있다. 안테나(100)에 의해 수신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가 즉, 대역 내 비연속 CA 신호 또는 대역 내 연속 CA 신호이면, 대역 스플리터(200)는 대역 내 비연속 CA 신호 또는 대역 내 연속 CA 신호의 복수의 반송파를 하나의 대역 신호로 그룹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a를 참조하면, 대역 25는 2개의 비연속 반송파 A 및 B를 포함한다. 다이플렉서의 정확도는 제한되어 있으므로, 대역 25에서 집성된 반송파는 분할될 수 없다. 출력 동안, 다이플렉서는 고-대역 출력 또는 저-대역 출력을 선택하고, 반송파 A 및 반송파 B를 포함하는 대역 신호(즉, 대역 25)를 출력한다. 여기서 언급된 대역 3, 대역 8, 및 대역 25와 같은 대역 신호의 대역 범위에 있어서, 3GPP 프로토콜에서의 대응하는 규정을 참조하면 되므로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프로세싱 회로(300)는 대역 스플리터(200)의 출력단에 결합되고, 대역 스플리터(200)에 의해 출력된 적어도 하나의 대역 신호에 대해 필터링 및 증폭 프로세싱을 개별적으로 수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처리된 신호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중 주파수 합성기(400)는 복수의 발진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복수의 발진 신호의 주파수는 서로 다르다.
복수의 수신 채널(500)은 다중 주파수 합성기(400)와 일대일 방식으로 대응하며, 상기 수신 채널 중 임의의 수신 채널은 프로세싱 회로(300)에 의해 출력된 적어도 하나의 처리된 신호 중에서 상기 임의의 수신 채널의 목표 반송파를 포함하는 처리된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다중 주파수 합성기(400)에 의해 생성된 복수의 발진 신호 중에서 상기 임의의 수신 채널에 대응하는 주파수 합성기에 의해 생성된 발진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임의의 수신 채널의 주파수 분할비를 복수의 주파수 분할비 중에서 선택적으로 선택하고, 상기 주파수 분할비를 상기 수신된 발진 신호에 대해 주파수 분할을 수행하는 데 사용하여 상기 임의의 수신 채널의 국부 발진기 신호를 획득하며, 국부 발진기 신호를 사용하여 목표 반송파를 포함하는 상기 수신된 처리된 신호에 대해 주파수 혼합을 수행하여 혼합된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혼합된 신호에 기초하여, 목표 반송파에 대응하는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목표 반송파는 무선 주파수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반송파 중 하나이며,
복수의 수신 채널(500)은 각각의 주파수 분할비를 개별적으로 선택함으로써 다중 주파수 합성기(400) 간의 상호 간섭을 억제한다.
다중 주파수 합성기 간의 상호 간섭은: 1. 상호 인력, 2. 스푸리어스 커플링 및 누화를 주로 포함한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 실시예에서, 임의의 수신 채널은 임의의 수신 채널의 주파수 분할비를 선택하며, 그러므로 임의의 수신 채널에 대응하는 주파수 합성기에 의해 생성된 발진 신호와, 복수의 발진 신호 중 임의의 수신 채널에 대응하는 발진 신호를 제외한 다른 발진 신호 간의 상호 인력 영향은 약하고, 즉, 임의의 수신 채널 상에서, 임의의 수신 채널에 대응하는 주파수 합성기를 제외한 다른 주파수 합성기에 의해 야기되는 인력 영향이 억제되며, 임의의 수신 채널이 다른 발신 신호의 스푸리어스 성분에 대해 주파수 분할을 수행한 후 획득된 신호와 임의의 수신 채널의 목표 반송파 사이의 중첩은 발생하지 않으며, 즉 임의의 수신 채널에 대응하는 주파수 합성기를 제외한 다른 주파수 합성기에 의해 생성된 발진 신호의 스푸리어스 성분이 임의의 수신 채널에 결합될 때 생기는 커플링 및 누화가 억제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을 사용함으로써 다중 주파수 분할기 간의 상호 간섭이 효과적으로 억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를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해, 하기 실시예를 사용하여 도 8a 및 도 9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역 8에서의 반송파 A와 대역 3에서의 반송파 B는 대역 간 방식으로 집성되고, 반송파 A의 반송파 주파수는 FA = 1870.1 MHz이고, 반송파 B의 반송파 주파수는 FB = 935 MHz이며, 2개의 수신 채널(501A, 501B)의 각각의 국부 발진기 신호의 주파수는 각각 LOA = 1870.1 MHz 및 LOB = 935 MHz이다. 종래의 솔루션에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 주파수 분할은 일반적으로 2개의 국부 발진기 신호를 얻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발진 신호(발진 주파수 FVCOA = 3740.2 MHz)에 대해 2 주파수 분할을 수행하여 LOA를 얻고, 발진 신호 (발진 주파수 FVCOB = 3740 MHz)를 4 주파수 분할을 수행하여 LOB를 얻는다. FVCOA 및 FVCOB는 주파수가 가깝기 때문에, 두 개의 해당 주파수 합성기 사이의 격리가 제한적일 경우, 상호 인력이 발생하고 수신기 성능이 크게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는 수신 채널(501A)의 주파수 분할비가 2로 설정되고 수신 채널(501B)의 주파수 분할비가 3.5로 설정됨으로써 수신 채널(501A)은 발진 신호(발진 주파수 FVCOA = 3740.2 MHz)에 2 주파수 분할을 수행하여 LOA를 얻고 수신 채널(501B)은 발진 신호(발진 주파수 FVCOB = 3740 MHz)에 3.5 주파수 분할을 수행하여 LOB를 얻으며 이에 따라 FVCOA 및 FVCOB는 멀리 떨어져 있다. 주파수 합성기 간의 상호 인력은 발진 신호의 발진 주파수 간의 차이 주파수 및 주파수 합성기 사이의 격리에 따라 다르다. 차이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절연이 더 잘되고, 상호 인력 효과가 약해진다. 따라서, 복수의 수신 채널(500) 각각에 대한 주파수 분할비를 유연하게 선택함으로써, 복수의 수신 채널(500)에 대응하는 다중 주파수 합성기(400) 사이의 상호 인력 효과가 기본적으로 사라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가 대역 25에서의 반송파 A 및 반송파 B 상의 비연속 CA일 때, 반송파 A의 반송파 주파수는 FA = 1966.2 MHz이고, 반송파 B의 반송파 주파수는 FB = 1969.2 MHz이며, 그러므로 2개의 수신 채널(501A, 501B)의 각각의 국부 발진기 신호의 로컬 오실레이터 주파수는 각각 LOA = 1966.2 MHz 및 LOB = 1969.2 MHz이다. 종래의 솔루션에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 주파수 분할은 일반적으로 2개의 국부 발진기 신호를 얻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발진 신호(발진 주파수 FVCOA = 3932.4 MHz)에 대해 2 주파수 분할을 수행하여 LOA를 얻고, 발진 신호(발진 주파수 FVCOB = 3938.4 MHz)에 대해 2 주파수 분할을 수행하여 LOB를 얻는다. LOB에 해당하는 주파수 합성기가 19.2 MHz의 기준 클록 소스를 사용한다고 가정하면 주파수가 Fspus = 1966.8 MHz인 스푸리어스 성분(경계 spur로도 알려져 있다)이 LOB에 존재할 수 있다. 스푸리어스 성분이 수신 채널(501A)에 결합되어 LOA와 혼합되어 출력용 Fspus - LOA = 0.6 MHz의 저주파 성분이 획득되는 경우, 반송파 A로 구성된 주파수를 3 MHz로 하면, 수신 채널(501A)에 의해 수신될 신호의 주파수에 0.6 MHz의 저주파 성분이 중첩하고, 이것은 반송파 A의 수신 성능에 큰 영향을 준다. 이 실시예에서는, 수신 채널(501A)의 주파수 분할비를 2로 설정하고, 수신 채널(501B)의 주파수 분할비를 2.5로 설정함으로써, 수신 채널(501A)은 발진 신호(발진 주파수 FVCOA = 3932.4 MHz)에 대해 2 주파수 분할을 수행하여 LOA를 얻을 수 있고, 수신 채널(501B)은 발진 신호(발진 주파수 FVCOB = 4923 MHz)에 대해 2.5 주파수 분할을 수행하여 LOB를 얻을 수 있다. 이 방식에서, FVCOA는 FVCOB와 멀리 떨어져 있으므로, 수신 채널(501A)의 수신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스푸리어스 성분이 수신 채널(501B)에 의한 주파수 분할 후에 획득된 LOB에 더 이상 존재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복수의 수신 채널(500) 각각의 주파수 분배 비율을 유연하게 선택함으로써 복수의 수신 채널(500)에 대응하는 다중 주파수 합성기(400) 사이의 스푸리어스 커플 링 및 누화를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임의의 수신 채널의 주파수 분할비가 선택되는 복수의 주파수 분할비는 복수의 정수 주파수 분할비 및 복수의 소수 주파수 분할비를 포함하는 집합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복수의 주파수 분할비는 복수의 정수 주파수 분할비와 복수의 소수 주파수 분할비의 적어도 2개 이상의 분할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주파수 분할비는 복수의 정수 주파수 분할비의 집합일 수도 있고, 복수의 소수 주파수 분할비의 집합일 수도 있고, 소수 주파수 분할비와 정수 주파수 분할비로 이루어진 집합일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소수 주파수 분할비 및/또는 정수 주파수 분할비를 포함하는 복수의 주파수 분할비가 제공되기 때문에, 수신 채널에 대응하는 주파수 합성기 간의 상호 간섭을 억제하기 위해 각 수신 채널이 자체의 주파수 분할비를 선택하는 것이 매우 유연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기술적 솔루션을 도 4에 도시된 구체적인 무선 주파수 수신기 아키텍처를 참조하여 추가로 설명한다. 요컨대, 도 4는 단지 2개의 수신 채널과 2개의 주파수 합성기를 포함하는 수신기의 아키텍처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실제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수신 채널은 도 4를 기초해서 확장될 수 있다. 그러므로 도 4의 내용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싱 회로(300)는 복수의 프로세싱 유닛(30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프로세싱 유닛(301)의 수는 대역 스플리터(200)의 출력단의 수와 같을 수 있다. 복수의 프로세싱 유닛(301)은 대역 스플리터(300)의 출력단에 개별적으로 결합된다. 각각의 프로세싱 유닛(301)은 대역 스플리터(200)에 의해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대역 신호 중 하나의 대역 신호에 대해 필터링 및 증폭 프로세싱을 수행하여 하나의 처리된 신호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8a에 도시된 수신기를 예로 계속 사용하면, 반송파 집성 신호가 대역 8에서의 반송파 A와 대역 3에서의 반송파 B의 대역 간 집성일 때, 대역 스플리터(200)는 다이플렉서일 수 있다. 이에 대응해서, 다이플렉서는 2개의 출력단: 제1 출력단 및 제2 출력단을 가진다. 제1 출력단은 고 대역의 대역 신호, 즉 반송파 B가 위치하는 대역 신호(대역 3)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출력단은 저 대역의 대역 신호, 즉 반송파 A가 위치하는 대역 신호(대역 8)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대응해서, 프로세서(300)는 2개의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한다. 프로세싱 유닛 중 하나는 제1 출력단에 결합되어 있고 고 대역(대역 3)의 신호에 대해 필터링 및 증폭 프로세싱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다른 프로세싱 유닛은 제2 출력단에 결합되어 있고 저 대역(대역 8)의 신호에 대해 필터링 및 증폭 프로세싱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정한 상황에서, 즉 무선 주파수 신호가 제1 반송파 및 제2 반송파만을 포함하고 제1 반송파 및 제2 반송파는 대역 내 연속 집성된 반송파 또는 대역 내 비연속 집성된 반송파일 때, 대역 스플리터(200)는 하나의 대역 신호만을 출력하므로, 대역 스플리터(200)는 여전히 다이플렉서인 것으로 가정하면, 대역 신호는 제1 출력단 또는 제2 출력단에 의해 출력될 수 있다. 제1 출력단이 대역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복수의 프로세싱 유닛 중에서 다이플렉서의 제1 출력단에 결합되어 있는 프로세싱 유닛만이 대역 신호를 처리하여 제1 반송파 및 제2 반송파를 포함하는 처리된 신호를 획득한다.
이 실시예에서, 복수의 프로세싱 유닛(301) 중 임의의 프로세싱 유닛(301)은 대역통과 필터(3011) 및 무선 주파수 증폭기(3012)를 포함할 수 있다. 대역통과 필터(3011)의 입력단은 대역 스플리터(200)의 출력단에 결합되고, 대역통과 필터(3011)의 출력단은 무선 주파수 증폭기(3012)의 입력단에 결합된다. 대역통과 필터(3011)는 대역 스플리터(200)에 의해 출력된 적어도 하나의 대역 신호 중 하나의 대역 신호를 수신하고, 이 대역 신호의 대역 밖 신호를 필터링하여 하나의 대역 내의 신호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무선 주파수 증폭기(3012)는 대역통과 필터(3011)에 의해 필터링된 후 획득되는, 하나의 대역 내의 신호를 수신하고, 그 대역 내의 신호에 대해 이득 증폭을 수행하여 상기 처리된 신호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프로세싱 유닛의 구조는 다른 대역 내의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각각의 프로세싱 유닛 내의 대역통과 필터를 통과하도록 허용된 주파수의 범위가 변한다는 것을 제외하곤 동일하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다양한 무선 수신기 내의 무선 주파수 사전증폭기가 약한 신호를 증폭할 때, 무선 주파수 증폭기의 잡음에 의해 생기는 신호에 대해 간섭이 심할 수 있다. 이러한 잡음을 줄이고 출력 신호대잡음비를 높이기 위해, 저-잡음 증폭기가 일반적으로 무선 주파수 신호에 대해 대역통과 필터링 및 이득 증폭을 수행하도록 선택된다. 종래기술을 참조하면 되므로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주파수 수신기는 스위칭 유닛(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 유닛(600)은 복수의 프로세싱 유닛(301)과 복수의 수신 채널(500) 사이에 결합되어 있다. 스위칭 유닛(600)은 임의의 수신 채널이 프로세싱 회로(300) 내의 프로세싱 유닛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임의의 수신 채널의 목표 반송파를 포함하는 처리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스위칭 제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한다. 도 5에 도시된 무선 주파수 수신기에서, 복수의 수신 채널(500)은 2개의 수신 채널(설명을 쉽게 하기 위해, 501A 및 501B로 각각 표시한다)을 포함하고, 프로세싱 회로(300)는 2개의 프로세싱 유닛(설명을 쉽게 하기 위해, 301A 및 301B로 각각 표시한다)을 포함하며, 그러므로 스위칭 유닛(600)은 구체적으로 제1 스위치(601), 제2 스위치(602), 및 제3 스위치(60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위치(601)의 일단은 프로세싱 유닛(301A)의 출력단에 결합되고, 제1 스위치(601)의 타단은 수신 채널(501A)의 무선 주파수 입력단 및 제2 스위치(602)의 일단에 개별적으로 결합된다. 제3 스위치(603)의 일단은 프로세싱 유닛(301B)의 출력단에 결합되고, 제3 스위치(603)의 타단은 수신 채널(501B)의 무선 주파수 입력단 및 제2 스위치(602)의 타단에 개별적으로 결합된다. 3개의 스위치의 온-오프를 제어함으로써, 스위칭 유닛(600)은 다른 유형의 CA 신호의 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주파수 신호가 대역 3에서의 반송파 B 및 대역 8에서의 반송파 A 상의 대역 간 CA이면, 스위칭 유닛은 제1 스위치(601)와 제2 스위치(602)가 동시에 턴 온 되도록 제어하고 제2 스위치(602)가 턴 오프 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대역 신호 대역 3은 301A->601->501A의 링크를 따라 수신 채널(501A)에 전송되고 대역 신호 대역 8은 301B->603->501B의 링크를 따라 수신 채널(501B)에 전송된다. 수신 채널(501A)의 목표 반송파는 반송파 B이고, 수신 채널(501B)의 목표 반송파는 반송파 A이다. 무선 주파수 신호가 대역 신호 대역 25에서의 2개의 반송파 A 및 B 상의 비연속 CA에 의해 획득되면, 대역 스플리터(200)는 하나의 대역 내의 복수의 반송파를 분할할 수 없기 때문에, 대역 스플리터(200)는 하나의 출력단만을 선택하여 대역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301A)이 대역 스플리터(200)에 의해 출력되는 대역 25에 대해 필터링 및 증폭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하면, 스위칭 유닛은 제1 스위치(601)와 제2 스위치(602)가 동시에 턴 온 되도록 제어하고 제3 스위치(603)가 턴 오프 되도록 제어하며, 이에 따라 대역 신호 대역 25는 301A->601->501A의 링크를 따라 수신 채널(501A)에 전송되고 동시에 301A->601->602->501B의 링크를 따라 수신 채널(501B)에 전송된다. 수신 채널(501A)의 목표 반송파는 반송파 A이고, 수신 채널(501B)의 목표 반송파는 반송파 B이다. 요컨대, 도 8a, 도 8b, 도 9a, 도 9b에서는 구성요소의 도면부호가 생략되어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도 5에서의 도면부호를 참조하면 된다.
또한, 도 5에 기초해서, 도 7을 참조하면, 무선 주파수 수신기가 3개의 프로세싱 유닛(301A, 301B, 301C) 및 3개의 수신 채널(501A, 501B, 501C)을 포함하는 경우, 스위칭 유닛(600)은 제4 스위치(604) 및 제5 스위치(6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5개의 스위치의 온-오프를 제어함으로써, 더 많은 유형의 CA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주파수 신호가 3개의 반송파: 대역 3에서의 반송파 A, 대역 4에서의 반송파 B, 대역 5에서의 반송파 C 상의 대역 간 CA에 의해 획득될 때, 도 10을 참조하면, 스위칭 유닛은 제1 스위치(601), 제3 스위치(603) 및 제5 스위치(605)가 동시에 턴 온 되도록 제어하고 제2 스위치(602) 및 제4 스위치(604)가 턴 오프 되도록 제어하며, 이에 따라 대역 5는 301A->601->501A를 따라 수신 채널(501A)에 전송되고, 대역 4는 301B->603->501B를 따라 수신 채널(501B)에 전송되고, 대역 3은 301C->605->501C를 따라 수신 채널(501B)에 전송된다. 수신 채널(501A)의 목표 주파수가 반송파 C이고, 수신 채널(501B)의 목표 주파수가 반송파 B이고, 수신 채널(501C)의 목표 주파수가 반송파 A이다. 무선 주파수 신호가 대역 3에서의 반송파 A 및 B의 비연속 CA에 의해 획득되고 그런 다음 대역 간 CA 방식으로 대역 5에서의 반송파 C와 집성될 때, 도 11을 참조하면, 프로세싱 유닛(301B)은 반송파 A 및 B를 포함하는 대역 3을 처리하고, 스위칭 유닛(600)은 제1 스위치(601), 제3 스위치(603) 및 제4 스위치(604)가 동시에 턴 온 되도록 제어하고 제2 스위치(602) 및 제5 스위치(605)가 턴 오프 되도록 제어하며, 이에 따라 대역 5는 301A->601->501A를 따라 수신 채널(501A)에 전송될 수 있고, 대역 3은 301B->603->501B를 따라 수신 채널(501B)에 전송되고 301B->603->604->501C를 따라 수신 채널(501C)에 전송될 수 있다. 수신 채널(501A)의 목표 반송파는 반송파 C이고, 수신 채널(501B)의 목표 반송파는 반송파 B이고, 수신 채널(501C)의 목표 반송파는 반송파 A이다. 요컨대, 구성요소의 도면부호가 도 10 및 도 11에서 생략되어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도 7에서의 도면부호를 참조하면 된다.
결론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스위칭 유닛(600)은 복수의 수신 채널(500) 중 임의의 수신 채널이 프로세싱 회로(300)에 의해 처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처리된 신호 중에서 상기 임의의 수신 채널의 목표 반송파를 포함하는 처리된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스위칭 제어를 실행할 수 있고, 그러므로 이 실시예에서의 무선 주파수 수신기는 대역 내 연속 CA, 대역 내 비연속 CA, 대역 간 CA와 같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 폭넓게 적용될 수 있고, 호환성이 높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스위치의 조합을 사용하여 스위칭 유닛(600)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였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실제의 애플리케이션에서, 당업자는 스위칭 제어 기능을 가진 다른 회로 또는 칩을 사용하여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수신 채널 중 상기 임의의 수신 채널은:
제어 신호(control, CTRL)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의 제어하에, 상기 복수의 주파수 분할비 중에서 상기 임의의 수신 채널의 주파수 분할비를 선택적으로 선택하고, 상기 주파수 분할비에 기초해서, 상기 임의의 수신 채널에 의해 수신된 발진 신호에 대해 주파수 분할을 수행하여 상기 국부 발진기 신호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구성가능 주파수 분할기(5011);
상기 국부 발진기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수신된 처리된 신호에 대해 주파수 혼합을 수행하여 혼합된 신호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주파수 혼합기(5012);
상기 혼합된 신호에 대해 잡음 억제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로우패스 필터(5013); 및
상기 목표 반송파에 대응하는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로우패스 필터에 의해 잡음 억제가 수행된 후 획득되는 혼합된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기저대역 증폭기(5014)
를 포함한다.
또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구성가능 주파수 분할기(5011)는 다수중하나선택 주파수 분할기(one-out-of-many frequency divider)(50111)를 포함한다. 다수중하나선택 주파수 분할기(50111)는 복수의 주파수 분할 모드를 포함한다. 각각의 주파수 분할 모드는 정수 주파수 분할비 또는 소수 주파수 분할비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1 주파수 분할, 0.75 주파수 분할, 1.25 주파수 분할, 1.5 주파수 분할, 1.75 주파수 분할, 및 2 주파수 분할와 같은 복수의 주파수 분할 모드가 포함될 수 있다. 다수중하나선택 주파수 분할기는 제어 신호의 제어하에, 복수의 주파수 분할 모드 중 하나의 주파수 분할 모드를 현재의 작업 모드로 구성하여, 복수의 주파수 분할비 중에서 임의의 수신 채널의 주파수 분할비의 선택적 선택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구성가능 주파수 분할기(5011)는 또한 복수의 주파수 분할 유닛(50121A) 및 선택기(50121B)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주파수 분할 유닛은 정수 주파수 분할비 또는 소수 주파수 분할비에 대응한다. 복수의 주파수 분할 유닛(50121A)의 일단은 구성가능 주파수 분할기(5011)의 입력단에 개별적으로 결합되고, 복수의 주파수 분할 유닛(50121A)의 타단은 선택기(50121B)의 입력단에 개별적으로 결합되고, 선택기(50121B)의 출력단은 구성가능 주파수 분할기(5011)의 출력단에 결합된다. 선택기(50121B)는 제어 신호 CTRL을 수신하고, 제어 신호의 제어하에, 제어 신호의 제어하에, 복수의 주파수 분할 유닛 중 하나의 주파수 분할 유닛을 선택하고, 상기 주파수 분할 유닛을 턴온시켜, 복수의 주파수 분할비 중에서 상기 임의의 수신 채널의 주파수 분할비의 선택적 선택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주파수 분할 유닛은 주파수 분할 성능을 가진 주파수 분할 구성요소 또는 회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파수 분할 유닛은 1 주파수 분할, 2 주파수 분할 등을 위한 정수 주파수 분할기일 수도 있고, 0.75 주파수 분할, 1.25 주파수 분할, 1.5 주파수 분할, 1.75 주파수 분할 등을 위한 소수 주파수 분할기일 수 있으며, 이것은 이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구성가능 주파수 분할기(5011)는 또한 복수의 주파수 분할비를 가진 다른 주파수 분할 구성요소일 수도 있고, 복수의 일반적인 주파수 분할 구성요소들의 조합이면서 복수의 주파수 분할비를 가지는 회로 또는 칩 등일 수도 있다. 그러므로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특정한 회로 구조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파악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에서,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주파수 수신기는 복수의 수신 채널이 각각의 주파수 분할비를 선택하여 복수의 주파수 합성기 간의 상호 간섭을 억제하도록 제어하기 위해, 임의의 수신 채널 내의 구성가능 주파수 분할기가 요구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 신호 생성기(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로-중간-주파수 수신기는 다운-변환 프로세스에서 중간 주파수를 포함하지 않으며, 영상 주파수는 그 자체가 무선 주파수 신호이고 영상 주파수 간섭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다른 유형의 수신기와 비교해 보면, 제로-중간-주파수 수신기는 영상 억제 필터 및 중간-주파수 필터와 같은 구성요소를 생략할 수 있고, 비용효율 및 싱글-칩 집적 면에서 분명한 이점을 가진다. 그러므로 이 실시예에서, 복수의 수신 채널(500) 중 임의의 수신 채널은 제로-중간-주파수 수신 채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제로-중간-주파수 수신 채널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수신 채널이 제로-중간-주파수 수신 채널이면, 주파수 혼합기(5012)는 2개의 동위상 직교 I/Q 주파수 혼합기: 동위상 주파수 혼합기(5012A) 및 직교 주파수 혼합기(5012B)를 포함하며, 이것들은 임의의 수신 채널의 목표 반송파를 포함하는 처리된 신호를 개별적으로 수신하고, 위상 차가 90°인 2개의 국부 발진기 신호(LOI 및 LOQ)를 상기 수신된 처리된 신호에 대해 주파수 혼합을 수행하는 데 사용하여 2개의 혼합된 신호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로우패스 필터(5013)는 동위상 로우패스 필터(5013A) 및 직교 로우패스 필터(5013B)를 포함하며, 이것들은 동위상 주파수 혼합기(5012A) 및 직교 주파수 혼합기(5012B)에 의한 혼합을 통해 획득되는 혼합된 신호에 대해 잡음 억제를 수행하도록 각각 구성되어 있다. 기저대역 필터(5014)는 동위상 기저대역 증폭기(5014A) 및 직교 기저대역 증폭기(5014B)를 포함하며, 이것들은 동위상 로우패스 필터(5013A) 및 직교 로우패스 필터(5013B)에 의해 잡음 억제가 수행된 후 획득되는 혼합된 신호를 증폭하여 목표 반송파에 대응하는 2개의 I/Q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하도록 각각 구성되어 있다. 당업자는 제로-중간-주파수 수신기의 아키텍처에 능숙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하며,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종래기술을 참조하면 된다.
또한, 임의의 수신 채널이 제로-중간-주파수 수신기이면,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가능 주파수 분할기는 다상 필터(Poly-Phase Filter, PPF)(50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상 필터(50112)는 구성가능 주파수 분할기(5011)의 입력단과 다수중하나선택 주파수 분할기(50111)의 입력단 사이에 결합되거나, 구성가능 주파수 분할기(5011)의 입력단과 복수의 주파수 분할 유닛(50121A)의 입력단 사이에 결합되며, 임의의 수신 채널에 대응하는 주파수 합성기(401)로부터 구성가능 주파수 분할기(5011)로 입력되는 발진 신호에 대해 다상 필터링을 수행하여 특정한 위상 차를 가지는 복수의 발진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다수중하나선택 주파수 분할기(50111) 또는 복수의 주파수 분할 유닛(50121A)은 다상 필터링을 통해 획득된 발진 신호에 대해 주파수 분할을 수행하여 위상 차가 90인 국부 발진 신호 LOI 및 LOQ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다상 필터(50112)는 서로 다른 클록 에지를 주파수 분할된 신호의 위상을 지연시키는 데 사용하여 특정한 위상 차를 생성한다. 클록 에지를 사용하여 위상 지연을 실행하는 메커니즘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졌으므로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으며 종래기술을 참조하면 된다.
또한,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가능 주파수 분할기(5011)는 제6 스위치(50113), 제7 스위치(50114), 제1 정수 주파수 분할기(50115), 및 제2 정수 주파수 분할기(50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6 스위치(50113) 및 제7 스위치(50114)의 턴-온 제어에 의해, 제1 정수 주파수 분할기(50115) 및 제2 정수 주파수 분할기(50116)는 다수중하나선택 주파수 분할기(50111) 또는 선택기(50121B)에 의해 출력된 신호에 대해 주파수 분할을 추가로 수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정수 주파수 분할기(50115) 및 제2 정수 주파수 분할기(50116)가 2분할(divide-by-two) 주파수 분할기인 것으로 가정할 때, 제6 스위치(50113)를 턴 온 되도록 제어하고 동시에 제7 스위치(50114)를 턴 오프 되도록 제어하면, 다수중하나선택 주파수 분할기(50111) 또는 선택기(50121B)에 의해 출력된 신호의 주파수는 2로 분할되며, 제6 스위치(50113)를 턴 오프 되도록 제어하고 동시에 제7 스위치(50114)를 턴 온 되도록 제어하면, 다수중하나선택 주파수 분할기(50111) 또는 선택기(50121B)에 의해 출력된 신호의 주파수는 4로 분할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주파수 분할비를 구성할 때 구성가능 주파수 분할기(5011)의 유연성이 향상되고 분할 신호의 폭을 확장하는 데 일조한다.
이 실시예에서,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주파수 수신기는 복수의 수신 채널(500)에 의해 출력된 기저대역 신호에 대해 기저대역 프로세싱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기저대역 프로세서(8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수신 채널이 제로-중간-주파수 수신 채널일 때, 구체적으로 2개의 I/Q 기저대역 신호에 대해 기저대역 프로세싱을 수행한다. 기저대역 프로세서의 작동 원리에 대해서는 종래기술을 참조하면 되므로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수신기는 싱글-칩 집적 무선 주파수 수신기이다. 복수의 주파수 합성기(400) 및 복수의 수신 채널(500)은 집적회로에 집적된다. 당연히, 프로세싱 회로(300), 스위칭 유닛(600), 및 제어 신호 생성기(700)는 예를 들어 무선 주파수 칩에 집적될 수 있다. 복수의 주파수 합성기를 포함하는 싱글-칩 집적 무선 주파수 수신기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기술적 솔루션은 복수의 주파수 합성기의 상호 근접성에 야기되는 상호 간섭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다중-반송파 CA 신호를 수신하는 종래의 멀티-칩 솔루션과 비교해 보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싱글-칩 집적 무선 주파수 수신기는 칩의 영역을 감소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지능형 단말을 예로 들면, 기저대역 프로세서(800)는 일반적으로 무선 주파수 칩과 상관없이 메인 칩에 집적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안테나(100) 및 기저대역 프로세서(800)는 무선 주파수 신호의 수신으로부터 기저대역 신호 프로세싱의 완료로의 완료 프로세스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입된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의 무선 주파수 수신기에 기초하여,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 실시예는 다중 반송파 집성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S1. 복수의 반송파의 반송파 집성 신호인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한다.
S2. 무선 주파수 신호에 대해 대역 분할을 수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대역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역 신호를 출력하며, 여기서 각각의 대역 신호는 복수의 반송파 중 적어도 하나의 반송파를 포함한다.
S3. 적어도 하나의 대역 신호에 대해 필터링 및 증폭 처리를 개별적으로 수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처리된 신호를 획득한다.
S4. 복수의 발진 신호를 생성한다.
S5. 적어도 하나의 처리된 신호 중에서 목표 반송파를 포함하는 처리된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발진 신호 중에서 상기 목표 반송파에 대응하는 발진 신호를 수신하고, 복수의 주파수 분할비 중에서 하나의 주파수 분할비를 선택적으로 선택하고, 상기 주파수 분할비를 상기 수신된 발진 신호에 대해 주파수 분할을 수행하는 데 사용하여 국부 발진기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국부 발진기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목표 반송파를 포함하는 상기 수신된 처리된 신호에 대해 주파수 혼합을 수행하여 혼합된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혼합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반송파에 대응하는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목표 반송파는 무선 주파수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반송파 중 하나이다.
복수의 발진 신호 간의 상호 간섭은 복수의 발진 신호에 대해 주파수 분할을 수행하도록 주파수 분할비를 개별적으로 선택함으로써 억제된다.
싱글-칩 집적 무선 주파수 수신기에서, 복수의 주파수 합성기에 의해 생성된 복수의 발진 신호 간의 상호 간섭은: 1. 상호 인력, 2. 스푸리어스 커플링 및 누화를 주로 포함한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주파수 분할비를 선택적으로 선택함으로써,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무선 주파수 수신기는 복수의 발진 신호 중에서 목표 반송파에 대응하는 하나의 발진 신호의 주파수가 분할된 후 획득된 신호와, 목표 반송파에 대응하는 발진 신호를 제외한 다른 발진 신호에 대응하는 목표 반송파 간의 중첩을 회피하며, 복수의 발진 신호 중에서 목표 반송파에 대응하는 상기 하나의 발진 신호의 주파수가 분할된 후 획득된 신호의 스푸리어스 구성요소와, 목표 반송파에 대응하는 발진 신호를 제외한 다른 발진 신호에 대응하는 목표 반송파 간의 중첩을 회피한다. 즉, 복수의 발진 신호에 대해 주파수 분할을 수행하도록 복수의 주파수 분할비를 선택함으로써 복수의 발진 신호 간의 상호 인력 및 스푸리어스 커플링 및 누화가 억제된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주파수 분할비는 복수의 정수 주파수 분할비 및 복수의 소수 주파수 분할비를 포함하는 집합 중에서 선택된다. 바꿔 말하면, 복수의 정수 주파수 분할비는 복수의 정수 주파수 분할비 및 복수의 소수 주파수 분할비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2개의 주파수 분할비를 포함할 수 있다. 소수 주파수 분할비 및/또는 정수 주파수 분할비를 포함하는 복수의 주파수 분할비가 제공되므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무선 주파수 수신기가 무선 주파수 신호일 때, 각각의 수신 채널은 그 자체의 주파수 분할비를 더욱 유연하게 선택하여, 수신 채널에 대응하는 주파수 합성기 간의 상호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S3에서, 적어도 하나의 대역 신호에 대해 필터링 및 증폭 처리를 개별적으로 수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처리된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대역 신호 중 하나의 대역 신호를 수신하고, 대역 신호의 대역 밖의 신호를 필터링하여 하나의 대역 내의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대역 내의 신호에 대해 이득 증폭을 수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처리된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S5에서, 적어도 하나의 처리된 신호 중에서 목표 반송파를 포함하는 처리된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것은:
선택 수신을 실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처리된 신호 중에서 임의의 수신 채널의 목표 반송파를 포함하는 처리된 신호의 스위칭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S5에서, 복수의 주파수 분할비 중에서 하나의 주파수 분할비를 선택적으로 선택하고, 주파수 분할비를 수신된 발진 신호에 대해 주파수 분할을 수행하는 데 사용하여 국부 발진기 신호를 획득하는 것은: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의 제어하에, 복수의 주파수 분할비 중 상기 주파수 분할비를 선택적으로 선택하고, 상기 주파수 분할비에 기초해서, 상기 수신된 발진 신호에 대해 주파수 분할을 수행하여 국부 발진기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2는 실시예 1에서 제공하는 무선 주파수 수신기에 기초하여 방법 실시예라는 것에 유의해야 하며, 그러므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의 관련 특징에 대해서는 서로 참조하면 된다.
여기에 설명된 특정한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일반적인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원리를 벗어남이 없는 모든 변형, 등가의 대체, 및 개선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6)

  1. 무선 주파수 수신기로서,
    대역 스플리터 - 상기 대역 스플리터의 입력단은 안테나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대역 스플리터는 상기 안테나로부터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고, 무선 주파수 신호에 대해 대역 분할을 수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대역 신호를 획득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역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는 복수의 반송파의 반송파 집성 신호이고, 각각의 대역 신호는 복수의 반송파 중 적어도 하나의 반송파를 포함함 - ;
    상기 대역 스플리터의 출력단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역 신호에 대해 필터링 및 증폭 처리를 개별적으로 수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처리된 신호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프로세싱 회로;
    복수의 발진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다중 주파수 합성기; 및
    상기 다중 주파수 합성기와 일대일 방식으로 대응하는 복수의 수신 채널
    을 포함하며,
    상기 수신 채널 중 임의의 수신 채널은 상기 프로세싱 회로에 의해 출력된 적어도 하나의 처리된 신호 중에서 상기 임의의 수신 채널의 목표 반송파를 포함하는 처리된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임의의 수신 채널에 대응하는 주파수 합성기에 의해 생성된 발진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임의의 수신 채널의 주파수 분할비를 복수의 주파수 분할비 중에서 선택적으로 선택하고, 상기 주파수 분할비를 상기 수신된 발진 신호에 대해 주파수 분할을 수행하는 데 사용하여 상기 임의의 수신 채널의 국부 발진기 신호를 획득하며, 상기 국부 발진기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목표 반송파를 포함하는 상기 수신된 처리된 신호에 대해 주파수 혼합을 수행하여 혼합된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혼합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반송파에 대응하는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목표 반송파는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반송파 중 하나이며,
    상기 복수의 수신 채널은 각각의 주파수 분할비를 개별적으로 선택함으로써 상기 다중 주파수 합성기 간의 상호 간섭을 억제하고, 상기 임의의 수신 채널이 상기 임의의 수신 채널의 주파수 분할비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상기 임의의 수신 채널에 대응하는 주파수 합성기에 의해 생성된 발진 신호와, 상기 복수의 발진 신호 중 상기 임의의 수신 채널에 대응하는 발진 신호를 제외한 다른 발진 신호 간의 상호 인력 영향은 억제되고, 그리고 상기 임의의 수신 채널이 다른 발신 신호의 스푸리어스 성분에 대해 주파수 분할을 수행한 후 획득된 신호와 상기 임의의 수신 채널의 목표 반송파 사이의 중첩은 발생하지 않는,
    무선 주파수 수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파수 분할비는 복수의 정수 주파수 분할비 및 복수의 소수 주파수 분할비로 이루어진 집합 중에서 선택되는, 무선 주파수 수신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복수의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프로세싱 유닛은 대역 스플리터의 출력단에 일대일 방식으로 대응하고, 상기 프로세싱 유닛 중 임의의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대역 스플리터에 의해 출력된 적어도 하나의 대역 신호 중에서 하나의 대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대역 신호의 대역 밖의 신호를 필터링하여 하나의 대역 내의 신호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대역통과 필터; 및
    상기 대역통과 필터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대역 내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대역 내의 신호에 대해 이득 증폭을 수행하여 처리된 신호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무선 주파수 증폭기
    를 포함하는, 무선 주파수 수신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주파수 수신기는 스위칭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 유닛은 상기 복수의 프로세싱 유닛과 상기 복수의 수신 채널 간에 결합되고, 상기 스위칭 유닛은, 상기 임의의 수신 채널이 상기 프로세싱 회로 내의 프로세싱 유닛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임의의 수신 채널의 목표 반송파를 포함하는 상기 처리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스위칭 제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무선 주파수 수신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신 채널 중 임의의 수신 채널은,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의 제어하에, 상기 복수의 주파수 분할비 중에서 상기 임의의 수신 채널의 주파수 분할비를 선택적으로 선택하고, 상기 주파수 분할비에 기초해서, 상기 임의의 수신 채널에 의해 수신된 발진 신호에 대해 주파수 분할을 수행하여 상기 국부 발진기 신호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구성가능 주파수 분할기;
    상기 국부 발진기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수신된 처리된 신호에 대해 주파수 혼합을 수행하여 혼합된 신호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주파수 혼합기;
    상기 혼합된 신호에 대해 잡음 억제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로우패스 필터; 및
    상기 목표 반송파에 대응하는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로우패스 필터에 의해 잡음 억제가 수행된 후 획득되는 혼합된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기저대역 증폭기
    를 포함하는, 무선 주파수 수신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가능 주파수 분할기는 다수중하나선택 주파수 분할기(one-out-of-many frequency divider)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중하나선택 주파수 분할기는 복수의 주파수 분할 모드를 포함하며, 각각의 주파수 분할 모드는 정수 주파수 분할비 또는 소수 주파수 분할비에 대응하며, 상기 다수중하나선택 주파수 분할기는 상기 제어 신호의 제어하에, 복수의 주파수 분할 모드 중 하나의 주파수 분할 모드를 현재의 작업 모드로 구성하여, 상기 복수의 주파수 분할비 중에서 상기 임의의 수신 채널의 주파수 분할비의 선택적 선택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무선 주파수 수신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가능 주파수 분할기는 복수의 주파수 분할 유닛 및 선택기를 포함하고, 각각의 주파수 분할 유닛은 정수 주파수 분할비 또는 소수 주파수 분할비에 대응하고, 상기 복수의 주파수 분할 유닛의 일단은 상기 구성가능 주파수 분할기의 입력단에 개별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주파수 분할 유닛의 타단은 상기 선택기의 입력단에 개별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선택기의 출력단은 상기 구성가능 주파수 분할기의 출력단에 결합되고, 상기 선택기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의 제어하에, 상기 복수의 주파수 분할 유닛 중 하나의 주파수 분할 유닛을 선택하고, 상기 주파수 분할 유닛을 턴온시켜, 상기 복수의 주파수 분할비 중에서 상기 임의의 수신 채널의 주파수 분할비의 선택적 선택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무선 주파수 수신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가능 주파수 분할기가 요구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 신호 생성기를 더 포함하는 무선 주파수 수신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신 채널에 의해 출력된 기저대역 신호에 대해 기저대역 프로세싱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기저대역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무선 주파수 수신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수신 채널은 제로-중간-주파수 수신 채널(zero-intermediate-frequency receiving channel)인, 무선 주파수 수신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주파수 합성기 및 상기 복수의 수신 채널은 집적회로 내에 집적되는, 무선 주파수 수신기.
  12. 수신 방법으로서,
    무선 주파수 신호에 대해 대역 분할을 수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대역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역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는 복수의 반송파의 반송파 집성 신호이고, 각각의 대역 신호는 복수의 반송파 중 적어도 하나의 반송파를 포함함 - ;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역 신호에 대해 필터링 및 증폭 처리를 개별적으로 수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처리된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복수의 발진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처리된 신호 중에서 목표 반송파를 포함하는 처리된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발진 신호 중에서 상기 목표 반송파에 대응하는 발진 신호를 수신하고, 복수의 주파수 분할비 중에서 하나의 주파수 분할비를 선택적으로 선택하고, 상기 주파수 분할비를 상기 수신된 발진 신호에 대해 주파수 분할을 수행하는 데 사용하여 국부 발진기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국부 발진기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목표 반송파를 포함하는 상기 수신된 처리된 신호에 대해 주파수 혼합을 수행하여 혼합된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혼합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반송파에 대응하는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목표 반송파는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반송파 중 하나이며,
    상기 복수의 발진 신호 간의 상호 간섭은 상기 복수의 발진 신호에 대해 주파수 분할을 수행하도록 주파수 분할비를 개별적으로 선택함으로써 억제되고, 주파수 분할비를 개별적으로 선택하는 것에 의해, 수신된 발진 신호와 상기 복수의 발진 신호 중 상기 수신된 발진 신호를 제외한 다른 발진 신호 간의 상호 인력 영향은 억제되고, 그리고 상기 다른 발진 신호의 스푸리어스 성분에 대해 주파수 분할을 수행한 후 획득된 신호와 상기 목표 반송파 사이의 중첩은 발생하지 않는, 수신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파수 분할비는 복수의 정수 주파수 분할비 및 복수의 소수 주파수 분할비로 이루어진 집합 중에서 선택되는, 수신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역 신호에 대해 필터링 및 증폭 처리를 개별적으로 수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처리된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역 신호 중 하나의 대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대역 신호의 대역 밖의 신호를 필터링하여 하나의 대역 내의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대역 내의 신호에 대해 이득 증폭을 수행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처리된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신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처리된 신호 중에서 목표 반송파를 포함하는 처리된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것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처리된 신호 중에서, 상기 목표 반송파를 포함하는 처리된 신호의 선택 수신을 실행하기 위해, 스위칭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신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복수의 주파수 분할비 중에서 하나의 주파수 분할비를 선택적으로 선택하고, 상기 주파수 분할비를 상기 수신된 발진 신호에 대해 주파수 분할을 수행하는 데 사용하여 국부 발진기 신호를 획득하는 것은,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의 제어하에, 상기 복수의 주파수 분할비 중 상기 주파수 분할비를 선택적으로 선택하고, 상기 주파수 분할비에 기초해서, 상기 수신된 발진 신호에 대해 주파수 분할을 수행하여 상기 국부 발진기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신 방법.
KR1020177004280A 2014-08-07 2015-08-03 무선 주파수 수신기 및 수신 방법 KR1019132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387196.4A CN104135301B (zh) 2014-08-07 2014-08-07 一种射频接收机及接收方法
CN201410387196.4 2014-08-07
PCT/CN2015/085954 WO2016019839A1 (zh) 2014-08-07 2015-08-03 一种射频接收机及接收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756A KR20170031756A (ko) 2017-03-21
KR101913238B1 true KR101913238B1 (ko) 2018-10-30

Family

ID=51807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4280A KR101913238B1 (ko) 2014-08-07 2015-08-03 무선 주파수 수신기 및 수신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9698925B2 (ko)
EP (1) EP2983002B1 (ko)
JP (2) JP6340476B2 (ko)
KR (1) KR101913238B1 (ko)
CN (1) CN104135301B (ko)
WO (1) WO20160198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35301B (zh) * 2014-08-07 2017-01-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射频接收机及接收方法
KR102384866B1 (ko) * 2015-01-13 2022-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신기, 무선 단말 및 무선 단말의 동작 방법
CN106330240B (zh) * 2015-06-18 2019-07-30 大唐半导体科技有限公司 一种实现多射频的高低本振产生电路及其装置
CN204761429U (zh) * 2015-06-24 2015-11-11 陈林 一种终端设备
CN106452702A (zh) * 2015-08-10 2017-02-22 深圳市中兴微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载波聚合信号的接收方法及装置
KR102385084B1 (ko) * 2015-09-07 2022-05-04 (주)와이솔 필터 모듈 및 그를 이용한 전자 장치
CN105119627B (zh) * 2015-09-14 2018-08-3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路板及电子设备
CN108353387A (zh) * 2015-12-30 2018-07-31 华为技术有限公司 多载波处理方法、基站及用户设备
WO2017186268A1 (en) * 2016-04-26 2017-11-02 Huawei Technologies Co., Ltd. A receiver and a method for receiving a carrier aggregated rf signal
EP3276538B1 (en) * 2016-07-25 2020-01-01 STMicroelectronics International N.V. Carrier signal generation circuit for a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transponder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a carrier signal
US9948409B2 (en) 2016-09-20 2018-04-17 Infineon Technologies Ag Phase and amplitude signal sensing circuit for radio frequency (RF) transmitters
WO2019044656A1 (ja) * 2017-08-28 2019-03-0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フィルタ装置、マルチプレクサ、高周波フロントエンド回路および通信装置
CN107769800B (zh) * 2017-09-14 2019-12-27 天津大学 一种多频点太赫兹星间通信接收机
CN109962716B (zh) * 2017-12-26 2021-02-12 华为技术有限公司 信号接收电路、信号处理芯片、通信设备及信号接收方法
US10560134B2 (en) * 2018-02-05 2020-02-11 Huawei Technologies Co., Ltd. Multiband aggregation receiver architecture
CN110824396A (zh) * 2018-08-10 2020-02-21 西门子(深圳)磁共振有限公司 一种射频发生系统和局部线圈
US10797738B2 (en) 2018-10-26 2020-10-06 Analog Devices, Inc. Segmented receiver for wireless communications
CN109660285B (zh) * 2019-01-09 2021-04-20 西安电子科技大学 一种mimo体制中基于共参考的波束赋形实现方法
CN110113059B (zh) * 2019-04-12 2021-10-22 博微太赫兹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降低adc采样速率的装置及方法
KR102653889B1 (ko) * 2019-10-18 2024-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반송파 집성을 지원하는 수신기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CN112688641A (zh) * 2020-12-16 2021-04-20 中电科仪器仪表有限公司 一种基于分频器实现正交混频的装置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16105A (zh) * 2008-06-11 2008-12-03 苏州中科半导体集成技术研发中心有限公司 多标准多模无线收发器
CN101908883A (zh) * 2009-06-03 2010-12-08 中国科学院微电子研究所 可编程小数分频器
CN102891695A (zh) * 2012-11-06 2013-01-23 中国科学院上海微系统与信息技术研究所 非对称柔性通信收发机及通信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93710A (en) * 1991-08-02 1996-02-20 Hitachi, Ltd. Communication system having oscillation frequency calibrating function
US5485164A (en) * 1992-07-16 1996-01-16 Cornell Research Foundation, Inc. Self-scanning pulsed source using mode-locked oscillator arrays
JPH09261106A (ja) 1996-03-22 1997-10-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複数帯域移動無線機
US6421396B1 (en) * 1997-04-16 2002-07-16 Broadcom Corporation Variable rate modulator
WO1999000910A1 (fr) 1997-06-27 1999-01-07 Asahi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Dispositif de communication
US6029052A (en) * 1997-07-01 2000-02-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ultiple-mode direct conversion receiver
KR100402785B1 (ko) * 2000-12-27 2003-10-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변 전송율을 가지는 큐에이엠 트랜시이버 장치
KR101062804B1 (ko) * 2004-08-26 2011-09-07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다중 무선 통신 서비스 처리 방법 및 장치
US20060045126A1 (en) 2004-08-30 2006-03-02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ly selecting sampling frequency for analog-to-digital conversion
JP2006186718A (ja) * 2004-12-28 2006-07-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受信装置および無線送受信装置ならびに移動体端末装置
US7392026B2 (en) * 2005-04-04 2008-06-24 Freescale Semiconductor, Inc. Multi-band mixer and quadrature signal generator for a multi-mode radio receiver
KR100788639B1 (ko) * 2007-05-31 2007-12-26 (주)에프씨아이 다중 채널 수신기 및 다중 채널 수신기의 간섭억제방법
JP4982350B2 (ja) 2007-12-17 2012-07-25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送受信機
US8503546B1 (en) * 2008-01-31 2013-08-06 Quantum XTEL, Inc. Multiple layer overlay modulation
CN101908896B (zh) * 2009-06-03 2013-04-24 中国科学院微电子研究所 一种多频段射频接收机
JP2011250093A (ja) * 2010-05-26 2011-12-08 Mitsubishi Electric Corp 受信機及び送信機
CN102104392B (zh) * 2010-12-15 2013-10-09 华为技术有限公司 多频段多路收发设备及方法、基站系统
US9178669B2 (en) 2011-05-17 2015-11-03 Qualcomm Incorporated Non-adjacent carrier aggregation architecture
US9252827B2 (en) * 2011-06-27 2016-02-02 Qualcomm Incorporated Signal splitting carrier aggregation receiver architecture
CN102308484B (zh) * 2011-07-14 2013-11-06 华为技术有限公司 接收机及其接收方法
US8892057B2 (en) 2011-08-23 2014-11-18 Rf Micro Devices, Inc. Carrier aggregation radio system
US8670668B2 (en) * 2011-09-19 2014-03-11 Arris Enterprises, Inc. Digitizer for use in an overlay system with digital optical transmitter for digitized narrowcast signals
GB2496502B (en) 2011-10-17 2014-01-01 Renesas Mobile Corp Methods of receiving and receivers
CN102812680B (zh) * 2012-05-09 2015-03-25 华为技术有限公司 载波同步方法、电路及系统
US9432063B2 (en) * 2013-01-16 2016-08-30 Huawei Technologies Co., Ltd. Radio frequency signal transceiving and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base station system
CN103338050B (zh) 2013-05-30 2015-11-25 华为技术有限公司 射频收发装置、终端及方法
CN104378082B (zh) * 2013-08-12 2017-11-07 瑞昱半导体股份有限公司 振荡频率偏移侦测方法以及振荡频率偏移侦测电路
KR20150057834A (ko) * 2013-11-20 2015-05-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신 장치 및 방법
CN104135301B (zh) * 2014-08-07 2017-01-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射频接收机及接收方法
US9385765B2 (en) * 2014-10-31 2016-07-05 Skyworks Solutions, Inc. Diversity receiver front end system with phase-shifting component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16105A (zh) * 2008-06-11 2008-12-03 苏州中科半导体集成技术研发中心有限公司 多标准多模无线收发器
CN101908883A (zh) * 2009-06-03 2010-12-08 中国科学院微电子研究所 可编程小数分频器
CN102891695A (zh) * 2012-11-06 2013-01-23 中国科学院上海微系统与信息技术研究所 非对称柔性通信收发机及通信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170764A (ja) 2018-11-01
JP2017528968A (ja) 2017-09-28
EP2983002A1 (en) 2016-02-10
KR20170031756A (ko) 2017-03-21
USRE49903E1 (en) 2024-04-02
CN104135301A (zh) 2014-11-05
US9698925B2 (en) 2017-07-04
WO2016019839A1 (zh) 2016-02-11
US20160043822A1 (en) 2016-02-11
JP6340476B2 (ja) 2018-06-06
JP6591611B2 (ja) 2019-10-16
EP2983002B1 (en) 2017-05-03
CN104135301B (zh) 2017-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3238B1 (ko) 무선 주파수 수신기 및 수신 방법
EP301167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current communication with multipl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of different radio access technologies
US7567786B2 (en) High-dynamic-range ultra wide band transceiver
WO2009131076A1 (ja) 無線通信装置
US20160294591A1 (en) Multichannel receiver
US11031962B2 (en) Carrier aggregated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EP2611031A1 (en) Signal filtering
US10211855B2 (en) Apparatus for multi carrier aggregation in a software defined radio
US20150244548A1 (en) Frequency adjustment of signals
JP2000013278A (ja) 無線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無線携帯機及び無線基地局並びにそれらを含む無線通信システム
CN101103538A (zh) 通信设备、多频带接收机及接收机
US6816021B2 (en) Multiple band local oscillator frequency generation circuit
CN108847866B (zh) 射频前端邻道干扰抑制电路和wlan接入设备
JP3816356B2 (ja) 無線送信機
US10439593B2 (en) Multi-band filter architectures
JP2005518757A (ja) 3g無線受信機
JP4338526B2 (ja) 3g無線受信機
JP3828077B2 (ja) 周波数変換回路および通信装置
US10951445B2 (en) 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 supporting carrier aggreg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RU2398352C2 (ru) Устройство передачи/приема радиочастотного сигнала и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приема радиочастотного сигнала
KR20060117102A (ko) 바이패스 회로를 구비한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용수신기.
TW201931784A (zh) 用於傳輸和接收載波聚合訊號的射頻積體晶片和無線通訊裝置
JP2003298450A (ja) 無線機
Tao A 2.4 GHz Dual-Mode CMOS Transceiver for Bluetooth and 802.11 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